KR20070116914A - 우울증 치료용 약물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우울증 치료용 약물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6914A
KR20070116914A KR1020077024510A KR20077024510A KR20070116914A KR 20070116914 A KR20070116914 A KR 20070116914A KR 1020077024510 A KR1020077024510 A KR 1020077024510A KR 20077024510 A KR20077024510 A KR 20077024510A KR 20070116914 A KR20070116914 A KR 200701169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extract
jujube
ginse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4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쭈오꾸앙 짱
Original Assignee
베이징 워너 바이오텍 리미티드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워너 바이오텍 리미티드 컴퍼니 filed Critical 베이징 워너 바이오텍 리미티드 컴퍼니
Publication of KR20070116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69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61K31/703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 A61K31/70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attached to a condensed carbocyclic ring system, e.g. sennosides, thiocolchicosides, escin, daunorubi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5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 A61K31/706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 A61K31/706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condensed or non-condensed pyrimidines
    • A61K31/7076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condensed or non-condensed pyrimidines containing purines, e.g. adenosine, adenyl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2Rhamnaceae (Buckthorn family), e.g. buckthorn, chewstick or umbrella-tree
    • A61K36/725Ziziphus, e.g. jujub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3Enzymes; Proenzymes; Derivatives thereof
    • A61K38/51Lyases (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4Antidepress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eurosurg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sychiat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울증 치료용 약물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인삼, 감초 또는 이의 물 또는 알콜 추출물을 포함한다. 또한, 대추 또는 이의 물 또는 알콜 추출물이 상기 조성물 내에 포함될 수 있다.

Description

우울증 치료용 약물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DEPRESSION AND METHOD FOR PREPARATION OF THEREOF}
본 발명은 약물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주 효과로서 우울증을 치료하기 위한 약물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주 목적으로서 우울증을 치료하기 위한 약물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울증은 일반적인 질병이다. 통계에 따른면, 세계 인구의 약 25%의 여성이 생활에서 우울증을 경험하고, 약 10%의 남성이 우울증을 경험한다(문헌[Ch'un-Hsing Chang, Morden Psychology] 인용). 세계 보건 기구(WHO)는 '세계 우울증 발병율이 약 11%이다'라고 발표했다. 현재, 세계적으로 약 3억 4천만명의 심리학적 우울증 환자가 있으며, 그 숫자는 증가하고 있다. 상기 조사에 의하면, 우울증은 지금으로부터 20년 후에는 세계 2번째의 보편적인 질병으로 증가하게 된다.
현재, 국내 및 해외 시장에서의 항우울증 약물은 선택성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 예컨대 프로작(Prozac)(플루옥세틴 염산염), 팍실(Paxil)(파록세틴 또는 파록세틴 염산염), 및 졸로프트(Zoloft)(서트랄린(sertraline) 염산염) 등으로 주로 구성된다. 상기 약물은 인간 체내의 세로토닌 성분 및 함량을 증가시켜 우울증 증상을 감소시키거나 경감시켜 작용한다. 이러한 종류의 약물은 모두 다른 수준 의 부작용을 보유한다. 연구 결과, 상기 약물은 체내의 화학적 불균형을 바로잡는 성능을 보유하지만 대체로 여전히 환자를 진정시킬 수 없다는 것이 공지되었다. 최근, 프로작과 같은 우울증 약물의 유해 여부가 심각한 사회 문제가 되었고, 한편, 1996년에는 팍실이 유해한 것으로 밝혀졌다. 팍실은 2001년 이후부터 시장에서 계속 회수되고 있다. 2004년 6월에 뉴욕주 법무 장관이 영국 소재의 글락소스미스클라인(GlaxoSmithKline)사를, 팍실과 '청년기 자살 행동 및 경향의 위험성 증가' 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보고서를 고의로 은닉한 것에 대해 고소하였다. 현재 상황에 비추어, 부작용이 보다 적고 항우울증 특성이 더욱 명확하고/효과적인 새로운 세대의 약물에 대한 연구가 약학 업계 전반에서 관심의 중심이 되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종래 기술에서 마주친 상기 상황을 해결하려 시도하였다.
현대 기술의 불충분함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주 목적으로서 항우울증용 식물성 약물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는 우울증 개선용 약물 또는 건강 식품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라, 우울증 치료용 약물 조성물이 제공된다. 약물 조성물은 하기 원료 조성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A) 인삼 4~18 중량부 및 감초 3~14 중량부; (B) 인삼 4~18 중량부로부터 추출한 인삼 추출물, 및 감초 3~14 중량부로부터 추출한 감초 추출물; (C) 인삼 4~18 중량부, 및 감초 3~14 중량부로부터 추출한 감초 추출물; 및 (D) 인삼 4~18 중량부로부터 추출한 인삼 추출물, 및 감초 3~14 중량부.
약물 조성물은 대추 3~14 중량부, 및 대추 3~14 중량부로부터 추출한 대추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고, 여기서 대추 추출물은 대추 물 추출물 및 대추 에탄올 추출물 중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약물 조성물은 대추 4~8 중량부, 및 대추 4~8 중량부로부터 추출한 대추 추출물 중 하나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료 조성물 (A)은 인삼 7~11 중량부 및 감초 4~8 중량부로 제조하고/하거나; 원료 조성물 (B)의 인삼 추출물은 인삼 7~11 중량부로부터 추출하고, 이의 감초 추출물은 감초 4~8 중량부로부터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약물 조성물은 약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를 포함하고/하거나; 상기 약물 조성물을 분말, 캡슐, 정제 및 알약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으로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삼 추출물은 인삼 물 추출물 및 인삼 에탄올 추출물 중 하나이고, 감초 추출물은 감초 물 추출물 및 감초 에탄올 추출물 중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에 따라, 우울증 치료용 약물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약물 조성물로는 인삼 3A~10A 중량부로부터 추출하고,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B%인 인삼 추출물(여기서, B와 A의 곱은 20~40이고, A는 0.2 내지 40의 범위에 있음); 순도가 D%인 글리시리진계 산 0.2C~0.8C(여기서, D 및 C의 곱은 80~98이고, C는 0.8 내지 98의 범위에 있음)을 포함한다.
인삼은 인삼 물 추출물 및 인삼 에탄올 추출물 중의 하나이고, 인삼 에탄올 추출물은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20~40%이고, 상기 글리시리진계 산은 글리시리진산 및 글리시레틴산 중 하나이며, 글리시리진계 산의 순도는 80~98%인 것이 바람직하다.
약물 조성물은 대추 0.05E~0.2E 중량부로부터 추출하고, 대추 시클릭 아데노신 모노포스페이트(cAMP)의 함량이 F%인 대추 추출물(여기서, F 및 E의 곱은 0.5~3이고, E는 0.005 내지 3의 범위에 있음)을 포함하고, 상기 대추 추출물은 대추 물 추출물 및 대추 에탄올 추출물 중 하나이며, 대추 에탄올 추출물은 대추 cAMP 함량이 0.5~3%인 것이 바람직하다.
인삼 추출물은 인삼 4~6 중량부로부터 추출한 에탄올 추출물이고, 진세노사이드의 함량이 25~35%이며, 글리시리진계 산은 순도가 85~95%인 글리시레틴산이 0.3~0.5 중량부이고, 약물 조성물은 대추 0.08~0.12 중량부로부터 추출하고 대추 cAMP 순도가 0.8~1.2%인 대추 에탄올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에 따라, 약물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제조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1) 인삼 4~18 중량부를 60~77% 농도의 에탄올 용액에서 열추출(decoction)하여 제1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2) 감초 4~18 중량부를 물에서 열추출하여 제2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3) 제1 추출물과 제2 추출물을 혼합하고 체질하여 약물 조성물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제조 방법은 하기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대추 3~14 중량부를 60~70% 농도의 에탄올 용액에서 추출하여 제3 추출물을 수득하고, 제3 추출물을 약물 조성물에 첨가하는 단계.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에 따라, 약물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제조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1)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20~40%인 인삼 추출물 3~10 중량부를 순도가 80~98%인 글리시리진계 산 0.2~0.8 중량부와 혼합하여 약물 조성물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제조 방법은 하기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β-시클로덱스트린을, 대추 0.05~0.2 중량부로부터 추출하고 대추 시클릭 아데노신 모노포스페이트(cAMP)를 1% 함유하는 대추 추출물과 화합하여 대추 추출물 화합물을 수득하고 대추 추출물 화합물을 약물 조성물에 첨가하는 단계.
구체적으로 언급하여, 본 발명의 약물 조성물 내에 인삼, 감초 및/또는 대추의 단지 2개 내지 3개의 약물만이 존재한다.
인삼: 인삼은 아데노신을 자극하는 아데닐레이트 시클라제(AC), 및 포스포디에스테라제 억제제를 함유한다. 상기 아데닐레이트 시클라제 및 포스포디에스테라제 억제제 둘 모두는 상조 작용(synergism)을 보유하고, 전체적으로 세포 내 cAMP를 증가시킨다. 페닐알라닌은 인삼에 의해 촉진되어 혈액 뇌관문을 통한 도파민(DA)과 노르에피네프린(NE)의 합성을 증가시키고, 따라서 도파민 및 노르에피네프린의 농도를 증가시킨다.
감초: 감초 내의 글리시리진산 및 글리시레틴산은 강한 cAMP 포스포디에스테라제 억제제이다. 상기 cAMP의 분해는 cAMP 포스포디에스테라제를 억제시켜 감소되며, 이후 중추 신경계에서의 cAMP의 사용이 증가된다.
대추: 대추는 다량의 유사 cAMP 물질을 함유한다. 외인성 비수화 cAMP는 체내 cAMP 대사에 관여될 수 있으며, 효소 작용과 유사하고, 세포 내 cAMP를 증가시킨다.
본 발명 약물 조성물의 인삼, 감초 및 대추는 한 조가 되고 선택적으로 작용하여 아데닐레이트 시클라제를 자극시킴으로써 뇌세포 내의 cAMP 농도를 증가시키며, cAMP 포스포디에스테라제를 억제시킴으로써 cAMP 분해를 감소시키고, cAMP 사용량을 증가시킨다. 증가된 cAMP의 농도 및 작용은 신경 전달 물질, 예컨대 노르에피네프린 등의 합성 및 방출을 증가시킬 수 있다(카테콜아민(CA) 합성에서의 cAMP의 관련 설명에 대한 문헌[Volume One , Principles of Neurosciences] 인용). 상기 과정은 상기 조성물에서의 항우울증에 대한 현대 약리학 메카니즘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 조성물의 바람직한 중량부는 하기와 같이 기술되어 있다.
1. 조성 1: 인삼 4~18 중량부 및 감초 3~14 중량부.
상기 중량비의 원료에 의해 제조되는 약제의 바람직한 조성은 하기와 같이 기술된다: 인삼 9 중량부 및 감초 6 중량부.
2. 조성 2: 인삼 4~18 중량부, 감초 3~14 중량부 및 대추 3~14 중량부.
상기 중량비의 원료에 의해 제조되는 약제의 바람직한 조성은 하기와 같이 기술된다: 인삼 9 중량부, 감초 6 중량부 및 대추 6 중량부.
3. 조성 3: 인삼 에탄올 추출물(진세노사이드 20~40% 함유) 3~10 중량부, 글리시레틴산(순도 80~98%) 0.2~0.8 중량부, 및 대추 에탄올 추출물(대추 cAMP 0.5~3% 함유) 0.05~0.2 중량부.
조성 3에서, 상기 중량비의 원료에 의해 제조되는 약제의 바람직한 조성은 하기와 같이 기술된다: 인삼 에탄올 추출물(진세노사이드 30% 함유) 5 중량부, 글리시레틴산(순도 90%) 0.4 중량부, 및 대추 에탄올 추출물(대추 cAMP 1% 함유) 0.1 중량부.
본 발명의 약물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인삼 및 감초의 분쇄 물질을 상기 언급된 조성의 중량비에 따라 직접 사용하고, 약물 조성물을 직접 제조한다. 또다른 약물 조성물은 상기 약물 조성물을 기초로 하여 대추 건조 분말을 첨가함으로써 제조한다.
또한, 상기 조성의 성분 중량비에 따라, 원료의 건조 분말을 적용하고, 다른 성분의 물 추출물 또는 에탄올 추출물을 첨가하여 본 발명의 약물 조성물을 제조하거나, 원료의 물 추출물 또는 에탄올 추출물을 적용하고, 다른 성분의 건조 분말을 첨가하여 본 발명의 약물 조성물을 제조한다.
본 발명의 약물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는 하기 방법을 들 수 있다:
방법 1:
1. 60~77% 농도의 에탄올 용액에서 인삼 4~18 중량부를 열추출하고,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리 및 정제하여 제1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2. 물에서 감초 4~18 중량부를 열추출하고, 농축시키며, 건조시켜 제2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3. 제1 단계에서 수득한 제1 추출물과 제2 단계에서 수득한 제2 추출물을 혼합하고 체질하여 본 발명의 약물 조성물 1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방법에서 약제의 조성은 인삼 9 중량부 및 감초 6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방법 2:
대추 3~14 중량부(상기 약제의 조성은 6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함)를 추가로 첨가하고, 방법 1의 에탄올 용액에서 열추출한 후,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리 및 정제하고 β-시클로덱스트린과 화합하여 대추 추출물 화합물을 수득한다. 대추 추출물 화합물을 제1 추출물과 제2 추출물과 혼합하고, 분쇄하여 본 발명의 약물 조성물 2를 수득한다.
방법 3:
1. 대추 cAMP를 1% 함유하는 대추 추출물 0.05~0.2 중량부를 β-시클로덱스트린과 화합하여 대추 추출물 화합물을 수득하는 단계;
2. 상기 대추 추출물 화합물, 순도가 90%인 글리시레틴산 0.2~0.8 중량부, 및 순도가 30%인 인삼 추출물 3~10 중량부를 혼합하여 본 발명의 약물 조성물 3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방법에서 각 조성물의 바람직한 중량부는 대추 cAMP를 1% 함유하는 대추 추출물 0.1 중량부(β-시클로덱스트린 9 중량부와 화합됨), 진세노사이드를 30% 함유하는 인삼 추출물 5 중량부, 및 순도가 90%인 글리시레틴산 0.4 중량부이다.
본 발명의 식물성 약물 조성물의 해결안은 우울증에 관한 현대 의학 및 약리학의 치료 메커니즘을 병용함으로써, 중국 의학 원리를 기반으로하는, 주 목적으로서 우울증 치료용의 식물성 약물 조성물을 연구 및 개발하는 것이다. 이는, 모든 원료가 음식으로 겸용하는 약제이고, 약제 조합이 단순하며(단기 2~3개의 약제), 작용 및 메커니즘이 명확하고(현대 약리학의 작용 및 메커니즘에 따름), 효과 및 성분을 정량화할 수 있으며, 치료적 효과가 유효하고 안전하다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음식으로 겸용하는 상기 종류의 식물성 약제는 독성 또는 부작용이 없다. 이는 우울증 치료용 약제 또는 건강 식품으로서 사용하고, 장기간 복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물 조성물은 단위 제형 제제로서 투여할 수 있고, 투여 방법은 장 또는 장외 투여, 예컨대 경구 투여 등일 수 있다. 매질로는 정제, 캡슐, 알약, 롤, 분말, 용액, 현탁액, 에멀젼 및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이는 속방형, 서방형, 제어방출형, 미세소체 전달 시스템으로서 제조할 수 있다. 정제 형태의 단위 전달물을 제조하기 위해, 당업자에게 각각의 담체는 널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담체의 예로는 희석제 및 흡수제, 즉, 전분, 덱스트린, 황산칼슘, 락토스, 만니톨, 수크로스, 염화나트륨, 글루코스, 우레아, 탄산나트륨, 카올린, 미세결정질 셀룰로스 및 규산알루미늄 등이 있다. 담체에 대한 추가 예로는 습윤제 및 결합제, 즉, 물, 글리세롤,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탄올, 프로판올, 전분 슬러리, 덱스트린, 시럽, 꿀, 글루코스 용액, 아라비아 점액(arabic mucilage), 젤라틴,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랙(lac), 메틸 셀룰로스, 인산칼륨 및 폴리 비닐 피롤리돈 등이 있다. 담체에 대한 추가 예로는 리시스 제제(lysis agent), 즉, 건조 전분, 알기네이트, 아가르(agar), 라미나란(laminaran), 탄산수소나트륨, 시트르산, 탄산칼슘,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알킬에스테르, 나트륨 도데실-설포네이트, 메틸 셀룰로스 및 에틸 셀룰로스 등이 있다. 담체에 대한 추가 예로는 리시스 억제제, 즉, 수크로스, 트리스테아릴 글리세롤, 코코아 버터 및 경화유 등이 있다. 담체에 대한 추가 예로는 흡수제, 즉, 4차 암모늄 염 및 나트륨 도데실-설포네이트 등이 있다. 담체에 대한 추가 예로는 윤활제, 즉, 활석 분말, 이산화규소, 옥수수 전분, 스테아레이트, 붕산, 액체 파라핀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이 있다. 정제는 추가로 코팅 정제, 즉, 당 코팅 정제, 필름 코팅 정제, 장용 코팅 정제, 이중층 정제 및 다중층 정제로서 제조된다. 중국 의학 알약 형태의 단위 전달물을 제조하기 위해서, 당업자에게 각각의 담체가 널리 사용될 수 있다. 담체에 관한 예로는 희석제 및 흡수제, 즉, 글루코스, 수크로스, 전분, 코코아 버터, 경화 식물유, 폴리 비닐 피롤리돈, 겔루시레(gelucire), 카올린, 활석 분말 등이 있다. 담체에 대한 추가 예로는 결합제, 즉, 아라비아 검, 트라가칸스 검, 젤라틴, 에탄올, 꿀, 액체 당, 쌀 슬러리 및 배터(batter) 등이 있다. 담체에 대한 추가 예로는 리시스 제제, 즉, 아가르, 건조 분말, 알기네이트, 나트륨 도데실-설포네이트, 메틸 셀룰로스 및 에틸 셀룰로스 등이 있다. 좌약 형태의 단위 전달물을 제조하기 위해서, 당업자에게는 각각의 담체가 널리 사용될 수 있다. 담체에 대한 예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레시틴, 코코아 버터, 고급 알콜, 고급 알콜 에스테르, 젤라틴, 반합성 글리세라이드 등이 있다. 캡슐 형태의 단위 전달물을 제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약물 조성물 또는 추출물을 상기 기술한 각각의 담체와 혼합시키고, 상기 방법에 의해 수득한 혼합물을 경질 젤라틴 캡슐 또는 연질 캡슐에 첨가한다. 본 발명의 약물 조성물 및 추출물은 마이크로캡슐로서 제조할 수 있고, 물 매질에 현탁시켜 현탁액을 제조할 수 있다. 이는 경질 캡슐에 첨가 적용할 수 있다.
더욱이, 필요한 경우, 착색제, 향신료, 향미 증진제, 감미제 및 기타 재료를 상기 약물 조성물에 첨가할 수 있다.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이점은 하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을 검토한 후, 더욱 용이하게 명료하게 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제1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약물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약물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약물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를 참조하여 더욱 자세하게 기술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하기 설명은 본 발명에서 예시 및 설명의 목적으로만 나타내며; 개시된 정확한 형태에 얽매이거나 제한되도록 하려는 의도는 아님을 주지해야 한다.
실시예 1
도 1을 참조하면, 이는 본 발명의 제1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약물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은 당업계의 방법을 적용한다. 인삼(101) 9 kg을 순도 75%의 에탄올 용액에서 열추출 시킨 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에 의해 분리 및 정제시켜 제1 추출물(102)을 수득한다. 제1 추출물은 진세노사이드를 40% 함유한다. 감초(103) 6 kg을 수용액에서 열추출시킨 후, 여과시키고, 농축시키며, 건조시켜 제2 추출물(104)을 수득한다. 제1 추출물을 제2 추출물과 혼합한 후, 분쇄시켜 본 발명의 제1 약물 조성물을 수득한다(105, 106, 107 및 108).
실시예 2
도 2를 참조하면, 이는 본 발명의 제2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약물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에서, 인삼(201) 9 kg을 60%의 에탄올 용액에서 열추출시킨 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리 및 정제하여 제1 추출물(202)을 수득한다. 감초(203) 6 kg을 수용액에서 열추출시킨 후, 여과시키고, 농축시키며, 건조시켜 제2 추출물(204)을 수득한다. 대추(205) 6 kg을 75%의 에탄올 용액에서 열추출시킨 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리 및 정제시킨 후 제3 추출물을 수득한다. 제3 추출물을 β-시클로덱스트린 9 중량부와 화합하여 추출물 화합물(206)을 수득한다. 제1 추출물, 제2 추출물, 및 제3 추출물의 추출물 화합물을 혼합하고 분쇄시켜 본 발명의 제2 약물 조성물을 수득한다(207, 208, 209 및 210).
실시예 3
도 3를 참조하면, 이는 본 발명의 제3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약물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대추 추출물(대추 cAMP 1% 함유)(302) 1 g을 β-시클로덱스트린 9 g과 화합하여 추출물 화합물(303) 10 g을 수득한다. 추출물 화합물 10 g, 인삼 추출물(진세노사이드 30% 함유)(301) 50 g, 및 글리시레틴산(순도 90%)(304) 4 g을 혼합하고 분쇄시켜 본 발명의 제3 약물 조성물을 수득한 다(305, 306, 307 및 308).
실시예 4
인삼 4 kg 및 감초 3 kg을 건조 분말로 분쇄시킨다. 수득한 건조 분말을 당업자에 의해 적용되는 제조 방법으로 혼합한 후, 약학 결합제, 예컨대 꿀 등을 첨가하여 꿀 알약을 제조한다.
실시예 5
본 약물 조성물을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을 적용하여 제조한다. 다른 점은 인삼 18 kg 및 감초 14 kg을 적용한다는 것이다.
실시예 6
상업적 인삼 4 kg 및 감초 3 kg을 건조 분말로 분쇄한다. 수득한 건조 분말을 당업자에 의해 적용되는 제조 방법으로 혼합한 후, 대추 에탄올 추출물 0.2 kg 및 약학 담체, 즉, 전분 및 덱스트린을 첨가하여 알약을 제조한다.
실시예 7
상업적 인삼 물 추출물 18 kg 및 감초 14 kg을 건조 분말로 분쇄한다. 수득한 건조 분말을 당업자에 의해 적용되는 제조 방법으로 혼합한 후, 약학 담체, 즉, 전분 및 덱스트린을 첨가하여 알약을 제조한다.
실시예 8
인삼 4 kg, 및 실시예 1의 방법(10)에 의해 수득한 감초 물 추출물 14 kg을 건조 분말로 분쇄한다. 수득한 건조 분말을 당업자에 의해 적용되는 제조 방법으로 혼합한 후, 실시예 2의 방법(20)에 의해 수득한 70% 대추 물 추출물 14 kg 및 약학 담체, 즉, 전분 및 덱스트린을 첨가하여 알약을 제조한다.
실시예 9
진세노사이드를 40% 함유하는 상업적 인삼 에탄올 추출물 3 kg 및 글리시레틴산 0.2 kg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수득한 후, 당업자에 의해 적용되는 방법으로 약학 알약을 제조한다.
실시예 10
진세노사이드를 20% 함유하는 상업적 인삼 에탄올 추출물 4 kg 및 글리시리진산 0.8 kg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수득한 후, 당업자에 의해 적용되는 방법으로 약학 연질 캡슐을 제조한다.
실험
본 발명의 항우울증 실험
실험 1: '마우스 꼬리 매달기' 실험
실험 동물: ICR 마우스
실험 약제: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약제는 베이징 워너 바이오텍 리미티드 컴퍼니(Beijing Wonner Biotech Ltd. Co.)가 제공하였고, 우울증 완화 알약은 정저우 유미 메디슨즈 컴퍼니 리미티드(Zhengzhou Yumi Medicines Co. Ltd.)의 생산물이며, 파록시틴(팍실)은 정 메이 티엔진 스미스 클라인 파마슈티칼즈 컴퍼니 리미티드(Zhong Mei Tianjin Smith Kline pharmaceuticals Co., Ltd.)의 생산물이었다.
실험 방법:
I. 군 분할: 1. 많은 투여량의 본 발명 실시예 3 약물(188.5 mg/kg), 2. 중 간 투여량의 본 발명 실시예 3 약물(94.25 mg/kg), 3. 적은 투여량의 본 발명 실시예 3 약물(47.125 mg/kg), 4. 우울증 완화 알약(650 mg/kg), 5. 파록시틴(16.7 mg/kg), 및 6. 생리 식염. (각 군은 10마리의 마우스임).
Ⅱ. 약물 투여: 전술한 약학 수용액을 체중 10 g당 0.2 ml를 총 7일 동안 1일 2회 위장에 투여하였다. 마지막 약물 투여 1 시간 후, 마우스 꼬리 매달기 실험을 진행하였다.
Ⅲ. 마우스 꼬리 매달기 실험: 마우스 꼬리(꼬리 말단에 근접한 1 cm)를 높은 산 플랫폼으로부터 5 cm의 목재 스트립 상에 테입 고정하고, 6 분 동안 매달았다. 마지막 5 분 동안, 마우스가 움직이지 않은 시간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실험 결과의 분산 분석 계산 및 대조군에 대한 p-값을 SPSS 11.5 분석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동물 개체수 무운동 시간(s) p-값
생리 식염(대조군) 10 122.6±33.53
우울증 완화 알약 10 88.21±52.50 0.081
파록시틴 10 54.98±46.92 0.01
많은 투여량의 본 발명 실시예 3 약제 10 60.41±36.42 0.02
중간 투여량의 본 발명 실시예 3 약제 10 72.68±55.37 0.013
적은 투여량의 본 발명 실시예 3 약제 10 84.35±27.56 0.053
결론: 상기 실험에 따르면, 마우스 꼬리 매달기 실험 후 무운동 시간은 많은 투여량, 중간 투여량 및 적은 투여량의 본 발명 실시예 3 약제 모두에서 감소하였고, 생리 식염(대조군)에 비해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 3은 항우울증 작용을 보유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실험 2: 레세트핀(resetpine)에 의해 야기되는 체온 감소 실험
실험 동물: ICR 마우스
실험 약제: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약제는 베이징 워너 바이오텍 리미티드 컴퍼니가 제공하였고, 우울증 완화 알약은 정저우 유미 메디슨즈 컴퍼니 리미티드의 생산물이며, 파록시틴(팍실)은 정 메이 티엔진 스미스 클라인 파마슈티칼즈 컴퍼니 리미티드의 생산물이었다.
실험 방법:
I. 군 분할: 1. 많은 투여량의 본 발명 실시예 3 약물(188.5 mg/kg), 2. 중간 투여량의 본 발명 실시예 3 약물(94.25 mg/kg), 3. 적은 투여량의 본 발명 실시예 3 약물(47.125 mg/kg), 4. 우울증 완화 알약(650 mg/kg), 5. 파록시틴(16.7 mg/kg), 및 6. 생리 식염. (각 군은 10마리의 마우스임).
Ⅱ. 약물 투여: 전술한 약학 수용액을 체중 10 g당 0.2 ml를 총 7일 동안 1일 2회 위장에 투여하였다.
Ⅲ. 약물 투여 후, 항문 온도를 측정하고, 이어서 체중 1 kg당 레세트핀 2 mg을 복강내 주사로 투여하였다. 레세트핀 주사 후, 각각 2, 3, 4, 5, 6 및 7 시간에 마우스의 항문 온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실험 결과의 분산 분석 계산 및 대조군에 대한 p-값을 SPSS 11.5 분석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동물 개체수 2 시간 동안의 항문 하강 온도(℃) p-값 3 시간 동안의 항문 하강 온도(℃) p-값 4 시간 동안의 항문 하강 온도(℃) p-값
생리 식염(대조군) 10 2.63±0.56 2.33±0.85 2.84±0.84
파록시틴 10 1.29±0.47 0.001 1.08±0.35 0.001 1.55±0.64 0.001
우울증 완화 알약 10 2.03±0.55 0.003 2.67±0.48 0.201 2.88±0.65 0.882
많은 투여량의 본 발명 실시예 3 약제 10 1.82±0.38 0.001 1.77±0.51 0.038 2.92±0.51 0.767
중간 투여량의 본 발명 실시예 3 약제 10 0.90±0.44 0.001 0.48±0.36 0.001 0.85±0.21 0.001
적은 투여량의 본 발명 실시예 3 약제 10 2.63±0.43 0.815 2.04±0.77 0.275 1.45±0.55 0.001
동물 개체수 5 시간 동안의 항문 하강 온도(℃) p-값 6 시간 동안의 항문 하강 온도(℃) p-값 7 시간 동안의 항문 하강 온도(℃) p-값
생리 식염(대조군) 10 2.97±0.51 2.60±0.57 3.05±0.67
파록시틴 10 1.44±0.32 0.001 2.51±0.47 0.720 2.76±0.59 0.272
우울증 완화 알약 10 2.49±0.60 0.033 2.71±0.46 0.660 3.45±0.65 0.131
많은 투여량의 본 발명 실시예 3 약제 10 2.88±0.44 0.683 2.43±0.64 0.499 2.30±0.57 0.006
중간 투여량의 본 발명 실시예 3 약제 10 1.29±0.56 0.001 1.08±0.59 0.001 1.08±0.39 0.001
적은 투여량의 본 발명 실시예 3 약제 10 2.28±0.48 0.003 2.68±0.61 0.750 2.29±0.59 0.005
결론: 상기 결과에 따르면, 많은 투여량, 중간 투여량 및 적은 투여량의 본 발명 실시예 3 약제 모두에서 레세트핀에 의해 유발된 마우스 항문 온도 감소에 대향하는 작용이 있었다. 중간 투여량은 생리 식염(대조군)에 비해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 실시예 3은 항우울증 작용을 보유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은 현재 가장 현실적이고 바람직한 실시예인 것으로 생각되는 것의 관점에서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요건은 개시된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첨부된 청구의 범위의 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된 다양한 변경예 및 유사 배치예를 포함하도록 의도하고, 이러한 모든 변경예 및 유사 구조예를 포괄하도록 가장 넓게 해석하는 것이 허용된다.

Claims (13)

  1. 하기 원료 조성물:
    (A) 인삼 4~18 중량부 및 감초 3~14 중량부;
    (B) 인삼 4~18 중량부로부터 추출한 인삼 물 추출물 또는 인삼 에탄올 추출물, 및 감초 3~14 중량부로부터 추출한 감초 물 추출물 또는 감초 에탄올 추출물;
    (C) 인삼 4~18 중량부, 및 감초 3~14 중량부로부터 추출한 감초 물 추출물 또는 감초 에탄올 추출물; 및
    (D) 인삼 4~18 중량부로부터 추출한 인삼 물 추출물 또는 인삼 에탄올 추출물, 및 감초 3~14 중량부
    중 하나를 포함하는 우울증 치료용 약물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E) 대추 3~14 중량부; 또는
    (F) 대추 3~14 중량부로부터 추출한 대추 물 추출물 또는 대추 에탄올 추출물
    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약물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인삼 9 중량부 및 감초 6 중량부; 또는
    인삼 9 중량부로부터 추출한 인삼 물 추출물 또는 인삼 에탄올 추출물, 및 감초 6 중량부로부터 추출한 감초 물 추출물 또는 감초 에탄올 추출물
    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약물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대추 6 중량부; 또는
    대추 6 중량부로부터 추출한 대추 물 추출물 또는 대추 에탄올 추출물
    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약물 조성물.
  5. 인삼 3~10 중량부로부터 추출한 인삼 물 추출물 또는 인삼 에탄올 추출물; 및
    글리시리진산 또는 글리시레틴산 0.2~0.8 중량부
    를 포함하는 우울증 치료용 약물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인삼 에탄올 추출물은 진세노사이드를 20~40% 포함하고, 글리시리진산 또는 글리시레틴산은 순도가 80~98%인 것인 약물 조성물.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대추 0.05~0.2 중량부로부터 추출한 대추 물 추출물 또는 대추 에탄올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약물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대추 에탄올 추출물은 대추 시클릭 아데노신 모노포스페이트(cAMP)를 0.5~3% 함유하는 것인 약물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인삼 에탄올 추출물 5 중량부, 글리시레틴산 0.4 중량부 및 대추 에탄올 추출물 0.1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삼 에탄올 추출물은 진세노사이드를 30% 함유하고, 상기 글리시레틴산은 순도가 90%이며, 상기 대추 에탄올 추출물은 대추 cAMP를 1% 함유하는 것인 약물 조성물.
  10. 제1항의 약물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1) 인삼 4~18 중량부를 60~77% 에탄올 용액에서 열추출(decoction)한 후,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제1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2) 감초 3~14 중량부를 물에서 열추출한 후, 농축시키고, 건조시켜 제2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3) 단계 (1)에서 수득한 제1 추출물과 단계 (2)에서 수득한 제2 추출물을 혼합하고 분쇄한 후, 체질하여 약물 조성물을 수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대추 3~14 중량부를 60~75% 에탄올 용액에서 열추출한 후,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제3 추출물을 수득하고, 상기 제3 추출물을 약물 조성물에 첨가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방법.
  12. 제5항에 있어서,
    순도가 80~98%인 글리시리진산 또는 글리시레탄산 0.2~0.8 중량부와 진세노사이드를 20~40% 함유하는 인삼 추출물 3~10 중량부를 혼합하고 분쇄하여 약물 조성물을 수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대추 시클릭 아데노신 모노포스페이트(cAMP)를 1% 함유하는 대추 추출물 0.05~0.2 중량부를 β-시클로덱스트린과 화합하여 대추 추출물 화합물을 수득하고, 상기 대추 추출물 화합물을 약물 조성물에 첨가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방법.
KR1020077024510A 2005-03-25 2005-10-31 우울증 치료용 약물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701169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510058987.3 2005-03-25
CNB2005100589873A CN100509006C (zh) 2005-03-25 2005-03-25 治疗抑郁症的药物组合物及其制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6914A true KR20070116914A (ko) 2007-12-11

Family

ID=37014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4510A KR20070116914A (ko) 2005-03-25 2005-10-31 우울증 치료용 약물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6)

Country Link
US (2) US20090232914A1 (ko)
EP (2) EP1862158B8 (ko)
JP (1) JP2008533180A (ko)
KR (1) KR20070116914A (ko)
CN (1) CN100509006C (ko)
AU (1) AU2005329710B2 (ko)
BR (2) BRPI0520141A2 (ko)
CA (2) CA2821645C (ko)
CY (1) CY1113666T1 (ko)
DK (2) DK2110135T3 (ko)
ES (2) ES2394609T3 (ko)
HK (2) HK1111631A1 (ko)
IL (1) IL186127A (ko)
MX (1) MX2007011713A (ko)
NO (1) NO338015B1 (ko)
NZ (2) NZ562641A (ko)
PL (1) PL1862158T3 (ko)
PT (2) PT2110135E (ko)
RU (1) RU2395293C2 (ko)
SG (1) SG161214A1 (ko)
SI (1) SI1862158T1 (ko)
TR (1) TR200706524T1 (ko)
TW (1) TW200904461A (ko)
UA (2) UA92739C2 (ko)
WO (1) WO2006099783A1 (ko)
ZA (1) ZA20070815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53027B (zh) * 2007-11-16 2014-09-21 Chi Yu Fen 主功效成分為大棗環腺苷單磷酸之藥物作為治療憂鬱症的用途
TWI394576B (zh) * 2007-11-20 2013-05-01 Chi Yu Fen 以人參、大棗為原料的治療憂鬱症的藥物組合物及其製法
TWI400078B (zh) * 2007-11-21 2013-07-01 Chi Yu Fen 以甘草、大棗為原料的治療憂鬱症的藥物組合物
JP5628682B2 (ja) * 2007-11-30 2014-11-19 戚 郁芬 鬱病治療のための薬剤組成物
WO2009070916A1 (fr) * 2007-11-30 2009-06-11 Chi, Yu-Fen Composition pharmaceutique pour le traitement de la dépression et son procédé de préparation
MX2010005838A (es) * 2007-11-30 2010-09-14 Yu Fen Chi Medicina antimelancolica preparada con materiales de camp de azufaifa.
KR20100106976A (ko) * 2007-11-30 2010-10-04 치, 유-펜 우울증 및 불안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RU2456014C2 (ru) * 2007-11-30 2012-07-20 Цзогуан ЧЖАН ЛЕКАРСТВЕННОЕ СРЕДСТВО ОТ МЕЛАНХОЛИИ, ПОЛУЧЕННОЕ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МАТЕРИАЛОВ С сАМР ЖУЖУБА
WO2009070923A1 (fr) * 2007-11-30 2009-06-11 Chi, Yu-Fen Composition pharmaceutique pour le traitement de la dépression et sa méthode de préparation
RU2452505C2 (ru) * 2007-11-30 2012-06-10 Цзогуан ЧЖАН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е композиции с механизмом многоцелевого рецепторного противодействия для лечения депрессии
DK2216039T3 (da) * 2007-11-30 2012-10-22 Chi Yu Fen Farmaceutiske sammensætninger til behandling af angst
WO2009070917A1 (fr) * 2007-11-30 2009-06-11 Chi, Yu-Fen Composition pharmaceutique orale pour le traitement de la barythymie
RU2449804C2 (ru) * 2007-11-30 2012-05-10 Цзогуан ЧЖАН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е композиции для лечения депрессии и тревожного расстройства (варианты)
CN102038701B (zh) 2009-10-20 2012-06-27 张作光 芍药内酯苷的抗抑郁用途
RU2486915C1 (ru) * 2012-03-01 2013-07-10 Леонид Леонидович Клопотенко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содержащая фермент дезоксирибонуклеазу и глицирризиновую кислоту или ее соли: глицирризинат аммония, или дикалия, или тринатрия
CN102793760B (zh) * 2012-07-25 2015-04-22 青岛文创科技有限公司 一种改善帕金森病非运动障碍的药物组合物
WO2014026341A1 (zh) * 2012-08-15 2014-02-20 戚郁芬 增加体内环腺苷单磷酸含量及利用度的药物组合物及其制造方法
CN107684614A (zh) * 2016-08-03 2018-02-13 临澧县第二人民医院 一种治疗抑郁症的中药组合物
CN115300547A (zh) * 2021-05-06 2022-11-08 邢禹贤 一药物组合物在制备用于治疗口臭、痔疮、白带腥臭及其组合之一的药品和保健品中的应用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000800C1 (ru) * 1992-10-13 1993-10-15 Малое предпри тие "Европа"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экстракта корн солодки голой
US5589182A (en) * 1993-12-06 1996-12-31 Tashiro; Renki Compositions and method of treating cardio-, cerebro-vascular and alzheimer's diseases and depression
CN1076608C (zh) * 1995-09-22 2001-12-26 刘增垣 治疗焦虑症的中药
US6083932A (en) 1997-04-18 2000-07-04 Cv Technologies Inc. Pharmaceutical compositions derived from ginseng and methods of treatment using same
US6432454B1 (en) * 1997-12-12 2002-08-13 C. V. Technologies, Inc. Processes of making north american ginseng fractions, products containing them, and use as immunomodulators
JP2002509111A (ja) * 1998-01-13 2002-03-26 レクソール サンダウ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オトギリソウ及びメチル供与体組成物、並びにその使用
CN1070032C (zh) 1998-03-31 2001-08-29 山西中医学院 玫瑰晚茶及其制作方法
US6395311B2 (en) * 1998-04-29 2002-05-28 Univera Pharmaceuticals, Inc. Multicomponent biological vehicle
CN1259359A (zh) * 1998-11-06 2000-07-12 杨悦超 一种熊三仙药酒及其制备工艺
CN1183921C (zh) * 2000-03-06 2005-01-12 李世林 可通过头部穴位渗透法治疗抑郁症的药物
CN1122522C (zh) 2001-01-12 2003-10-01 王东桥 一种治疗抑郁型精神病的药物
CN1199682C (zh) * 2002-11-27 2005-05-04 北京中医药大学 一种四逆散的有效部位及其制备方法
CN1552333A (zh) * 2003-06-03 2004-12-08 张金铎 一种防治忧郁症的药物
US20050079234A1 (en) * 2003-08-27 2005-04-14 Chiang Yang Chi Compositions comprising herbs and method for immunomodulation
CN1611232A (zh) * 2003-10-30 2005-05-04 北京欧纳尔生物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以抗疲劳、抗辐射、抗忧郁为主功效的药物组合物及其制法
JP2005278604A (ja) 2004-03-31 2005-10-13 Daicho Kikaku:Kk 健康食品
DK2216039T3 (da) 2007-11-30 2012-10-22 Chi Yu Fen Farmaceutiske sammensætninger til behandling af angst
JP5628682B2 (ja) 2007-11-30 2014-11-19 戚 郁芬 鬱病治療のための薬剤組成物
KR20100106976A (ko) 2007-11-30 2010-10-04 치, 유-펜 우울증 및 불안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MX2010005838A (es) 2007-11-30 2010-09-14 Yu Fen Chi Medicina antimelancolica preparada con materiales de camp de azufaif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601790A1 (en) 2006-09-28
HK1135338A1 (en) 2010-06-04
ZA200708156B (en) 2009-05-27
RU2007135252A (ru) 2009-04-27
HK1111631A1 (en) 2008-08-15
US20090232914A1 (en) 2009-09-17
ES2394609T3 (es) 2013-02-04
SI1862158T1 (sl) 2013-02-28
EP2110135A2 (en) 2009-10-21
CA2821645A1 (en) 2006-09-28
IL186127A (en) 2015-09-24
DK1862158T3 (da) 2012-12-17
BR122017003461B1 (pt) 2018-01-16
NZ590712A (en) 2012-07-27
NO338015B1 (no) 2016-07-18
EP2110135A3 (en) 2010-12-22
BRPI0520141A2 (pt) 2009-08-25
MX2007011713A (es) 2008-01-28
CA2821645C (en) 2016-08-09
AU2005329710B2 (en) 2010-11-25
DK2110135T3 (da) 2014-03-31
CN100509006C (zh) 2009-07-08
UA92861C2 (ru) 2010-12-10
TR200706524T1 (tr) 2008-03-21
PL1862158T3 (pl) 2013-04-30
CN1836687A (zh) 2006-09-27
WO2006099783A1 (fr) 2006-09-28
RU2395293C2 (ru) 2010-07-27
CA2601790C (en) 2015-09-08
AU2005329710A1 (en) 2006-09-28
ES2455016T3 (es) 2014-04-14
US9572827B2 (en) 2017-02-21
TW200904461A (en) 2009-02-01
PT2110135E (pt) 2014-04-07
EP2110135B1 (en) 2014-01-01
IL186127A0 (en) 2008-08-07
CY1113666T1 (el) 2016-06-22
PT1862158E (pt) 2012-12-17
EP1862158A4 (en) 2008-08-27
EP1862158B1 (en) 2012-08-29
NO20074753L (no) 2007-12-20
EP1862158B8 (en) 2013-04-03
UA92739C2 (ru) 2010-12-10
JP2008533180A (ja) 2008-08-21
EP1862158A1 (en) 2007-12-05
US20140065125A1 (en) 2014-03-06
NZ562641A (en) 2012-05-25
SG161214A1 (en) 2010-05-27
DK1862158T5 (da) 2013-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16914A (ko) 우울증 치료용 약물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EP2491934B1 (en) Use of albiflorin for anti-depression
KR20120123064A (ko) 해바라기 추출물을 포함한 약학 조성물, 그의 제조 방법 및 용도
WO2010133015A1 (zh) 治疗抑郁症的药物组合物、制备方法及用途
KR20100106976A (ko) 우울증 및 불안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09070924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with a mechanism of multi-target receptor retroaction for treating depression
CN103385931B (zh) 一种降血糖的药物组合物
CN106822152B (zh) 一种药物组合物及其应用
KR101600745B1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경안정용 약학적 조성물
KR20150042769A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경안정용 약학적 조성물
TWI364287B (ko)
KR20150015823A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경안정용 약학적 조성물
TWI400078B (zh) 以甘草、大棗為原料的治療憂鬱症的藥物組合物
TWI394576B (zh) 以人參、大棗為原料的治療憂鬱症的藥物組合物及其製法
WO2009070923A1 (fr) Composition pharmaceutique pour le traitement de la dépression et sa méthode de préparation
CN113952408A (zh) 一种改善睡眠质量的药物组合物
CN112402485A (zh) 植物提取物在抗产褥期精神综合症药物中的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405

Effective date: 20110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