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5924A - 기계적 특성 및 가공성이 개선된 취입 필름 제조용폴리에틸렌 성형 조성물 - Google Patents

기계적 특성 및 가공성이 개선된 취입 필름 제조용폴리에틸렌 성형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5924A
KR20070115924A KR1020077019972A KR20077019972A KR20070115924A KR 20070115924 A KR20070115924 A KR 20070115924A KR 1020077019972 A KR1020077019972 A KR 1020077019972A KR 20077019972 A KR20077019972 A KR 20077019972A KR 20070115924 A KR20070115924 A KR 200701159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ing composition
weight
copolymer
comonomer
eth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9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하임 베르톨트
루츠-게르트 하이니케
게르하르두스 마이어
Original Assignee
바젤 폴리올레핀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젤 폴리올레핀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바젤 폴리올레핀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70115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5924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 C08F297/0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using a catalyst of the coordination type
    • C08F297/0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using a catalyst of the coordination type polymerising mono-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모드 몰 질량 분포를 갖는, 특히 두께가 8 내지 200 μm인 취입 성형 필름용으로 적절한 폴리에틸렌 성형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성형 조성물은 23 ℃에서 밀도가 0.948 내지 0.953 g/cm3이고, 압출 후 최종 생성물의 MFR190/5가 0.10 내지 0.50 dg/분이다. 조성물은 제1 분자량을 갖는 단독중합체 A로 구성된 제1 에틸렌 중합체 분획 30 내지 60 중량%; 추가의 단독중합체, 또는 에틸렌과 탄소 원자수가 4 내지 8개인 올레핀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제1 공단량체와의 제1 공중합체 B(상기 제1 분자량보다 높은 제2 분자량을 가짐)로 구성된 제2 에틸렌 중합체 분획 22 내지 40 중량%; 및 제2 공중합체 C(상기 제2 분자량보다 높은 제3 분자량을 가짐)로 구성된 제3 에틸렌 중합체 분획 1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성형 조성물로 가공성과 기계적 특성간의 균형이 양호한 필름의 제조가 가능하다.
폴리에틸렌 성형 조성물, 취입 필름, 가공성, 기계적 특성, 버블 안정성, 다트 낙하 충격 강도(DDI)

Description

기계적 특성 및 가공성이 개선된 취입 필름 제조용 폴리에틸렌 성형 조성물 {POLYETHYLENE MOLDING COMPOSITION FOR PRODUCING BLOWN FILMS HAVING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AND PROCESSABILITY}
본 발명은 다중모드(multimodal) 몰 질량 분포를 갖는 폴리에틸렌 (PE) 성형 조성물, 즉, 상이한 몰 질량을 갖는 복수개의 에틸렌 중합체 분획을 포함하는 성형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 및 하기 청구항에서, 달리 언급이 없는 한, 용어 "중합체"는 단독중합체, 즉, 동일한 단량체 종으로부터 유래된 반복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는 중합체, 및 공중합체, 즉, 2종 이상의 상이한 단량체로부터 유래된 반복 단량체를 포함하며, 각 경우에 사용되는 단량체의 상이한 종의 수에 따라 이성분계 공중합체, 삼원 공중합체 등으로 제조될 수 있는 중합체 둘 다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다중모드 PE 성형 조성물은 취입 필름을 제조하는데 특히 유용하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PE 성형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언급된 성형 조성물로부터 취입 필름 공정에 의해 제조된 취입 필름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틸렌은 그것의 기계적 강도, 가공성, 양호한 내화학성 및 낮은 고유 중량 덕택으로 취입 필름 압출 공정에 의해 필름을 대량으로 제조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EP-A-O 603 935호에 이중모드 몰 질량 분포를 갖고, 양호한 기계적 특성을 갖는 필름 및 성형물을 제조하는데 적절한 폴리에틸렌 기재 성형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중모드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된 종래 필름은, 특히 가공 중의 버블(bubble) 안정성 면에 있어서의 충분한 가공성과 충분한 기계적 특성이 동시에 제공되지 아니한다. 개선된 버블 안정성을 얻고자 하면, 특히, ASTM D 1709, 방법 A에 따라 측정되는 다트(Dart) 낙하 충격 강도 (DDI)면에 있어서 기계적 특성의 허용될 수 없는 악화가 불가피하게 초래된 반면, 개선된 기계적 특성을 얻고자 하면, 버블 안정성의 허용될 수 없는 악화가 불가피하게 초래되었다.
<발명의 요약>
따라서,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기술적 문제는 취입 필름 압출 공정에서, 일반적으로 서로 상충되는 특성인, 가공성, 특히 필름 버블 안정성 면에서의 가공성 및 기계적 강도, 특히 DDI 면에서의 기계적 강도간의 균형이 개선된 신규의 PE 성형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신규 PE 성형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필름의 기계적 강도(DDI로 나타냄)는 두께가 20 μm인 필름에 대해 400 g 보다 낮으면 안된다.
본 명세서 및 하기 청구항의 목적상, 달리 언급이 없는 한, 양, 백분율 등을 나타내는 모든 숫자는 모든 경우에서 용어 "약"으로 수식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모든 범위는 기재된 최대 및 최소값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고, 그 범위 내의 임의의 중간 범위를 포함하며, 이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열거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한 기술적 문제는 다중모드 몰 질량 분포를 가지며, 23 ℃에서 밀도가 0.948 내지 0.953 g/cm3이고, 압출 후 최종 생성물의 MFR190 /5가 0.10 내지 0.50 dg/분인 PE 성형 조성물에 의해 해결되며, 이 폴리에틸렌 성형 조성물은,
- 제1 분자량을 갖는 에틸렌 단독중합체 A로 구성된 제1 에틸렌 중합체 분획 30 내지 60 중량%,
- 추가의 단독중합체, 또는 에틸렌과 탄소 원자수가 4 내지 8개인 올레핀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제1 공단량체와의 제1 공중합체 B(상기 제1 분자량보다 높은 제2 분자량을 가짐)로 구성된 제2 에틸렌 중합체 분획 22 내지 40 중량%, 및
- 에틸렌과 1종 이상의 제2 공단량체와의 제2 공중합체 C(상기 제2 분자량보다 높은 제3 분자량을 가짐)로 구성된 제3 에틸렌 중합체 분획 10 내지 30 중량%(모든 백분율은 성형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함)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 및 하기 청구항에서, 용융 유량 MFR190 /5는 ISO 1133에 따라 190 ℃, 5 kg 하중 하에서 측정된 용융 유량이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의 신규 PE 성형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필름은 보다 양호한 버블 안정성, 감소된 용융 압력 및 두께가 20 μm인 필름에 대한 DDI가 400 g 초과라는 점에 있어서, 종래 필름에 비해 적절한 기계적 특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 성형 조성물의 밀도는 23 ℃에서 0.948 내지 0.953 g/cm3, 바람직하게는 0.948 내지 0.952 g/cm3이고, 광범위한 삼중모드 몰 질량 분포를 갖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따라, 폴리에틸렌 성형 조성물은 제1 에틸렌 중합체 분획, 즉, 단독중합체 A 42 내지 52 중량%; 제2 에틸렌 중합체 분획, 즉, 추가의 단독중합체 또는 제1 공중합체 B 27 내지 38 중량%; 및 제3 에틸렌 중합체 분획, 즉, 제2 공중합체 C 15 내지 25 중량%을 포함한다.
제2 공중합체 B는, 바람직하게는 에틸렌에 추가하여, 탄소 원자수가 4 내지 8개인 1종 이상의 제1 올레핀 공단량체를 소정 부분, 바람직하게는 제2 공중합체 B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1 내지 2.0 중량%를 함유한다.
상기 공단량체의 예로는 1-부텐, 1-펜텐, 1-헥센, 1-옥텐 및 4-메틸-1-펜텐, 및 이들의 혼합물이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제2 공중합체 C는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과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수가 4 내지 8개인 올레핀 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거한 공단량체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제2 공단량체와의 공중합체이다.
바람직하게는, 1종 이상의 제2 공단량체는 제2 공중합체 C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3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또한, 본 발명의 PE 성형 조성물은 압출 후 최종 생성물의 용융 유량 MFR190 /5가 ISO 1133에 따라 측정시 0.10 내지 0.50 g/10 분, 바람직하게는 0.19 내지 0.25 g/10 분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PE 성형 조성물의 점도수 VN3는 ISO/R 1191에 따라 데칼린(decalin) 중 135 ℃에서 측정시 270 내지 400 cm3/g, 특히 350 내지 430 cm3/g이다.
하기의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의해 제공되는 바와 같이, PE 성형 조성물이 제1 단계, 제2 단계 및 제3 단계를 포함하는 3단계 이상의 연속적 중합 단계를 포함한 캐스케이드 중합 공정으로 제조되는 경우, 본 발명 조성물의 삼중모드는 별개의 연속적 중합 단계에서 형성된 에틸렌 중합체 분획의 ISO/R 1191에 따라 측정된 점도수 VN으로 기술될 수 있다.
여기서, 각 점도수는 하기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다.
점도수 VN1은 제1 중합 단계 후의 중합체에 대해 측정된 점도수를 나타낼 때 사용되며, 점도수 VN1은 단독중합체 A의 점도수 VNA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따르면, 점도수 VN1은 60 내지 110 cm3/g,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10 cm3/g이다.
점도수 VN2는 제2 중합 단계 후의 중합체에 대해 측정된 점도수를 나타낼 때 사용된다. 따라서, 점도수 VN2는 단독중합체 A와 추가의 단독중합체 또는 제1 공중합체 B의 혼합물의 점도수이다. 제2 중합 단계에서 형성된 추가의 단독중합체 또는 제1 공중합체 B의 점도수는 대신에 수학적으로만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따르면, 점도수 VN2는 270 내지 400 cm3/g, 바람직하게는 310 내지 375 cm3/g이다.
점도수 VN3는 제3 중합 단계 후의 중합체에 대해 측정된 점도수를 나타낼 때 사용된다. 따라서, 점도수 VN3는 단독중합체 A, 추가의 단독중합체 또는 제1 공중합체 B, 및 제2 공중합체 C의 혼합물의 점도수이다. 제3 중합 단계에서 형성된 제2 공중합체 C의 점도수는 대신에 수학적으로만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따르면, 점도수 VN3는 280 내지 480 cm3/g, 특히 330 내지 440 cm3/g이다.
본 발명의 PE 성형 조성물은 또한 추가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예를 들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O 내지 5 중량%에 이르는 열 안정화제, 항산화제, UV 안정화제, 광 안정화제, 금속 불활성화제, 과산화물-분해 화합물, 염기성 공안정화제, 및 0 내지 50 중량%에 이르는 충전제, 강화제, 가소제, 윤활제, 유화제, 안료, 광표백제, 난연제, 대전 방지제, 발포제 또는 이들의 조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에틸렌, 상기 1종 이상의 제1 공단량체 및 1종 이상의 제2 공단량체를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20 ℃,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0 ℃,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0 ℃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 bar의 압력에서, 바람직하게는, 지글러(Ziegler) 촉매 존재하에 현탁액 중에서 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폴리에틸렌 성형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PE 성형 조성물의 제조 공정은 바람직하게는 전이 금속 화합물 및 조촉매, 바람직하게는 유기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고활성 지글러 촉매 화합물을 포함한 촉매계 존재하에 3단계 이상의 연속적 중합을 포함하는 다단계 반응 순서로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중합은 직렬 배열된 제1 반응기, 제2 반응기 및 제3 반응기를 포함하는 다중 반응기에서 수행되는 상응하는 제1 단계, 제2 단계 및 제3 단계를 포함하는 다중 연속적 중합 단계로 수행된다.
중합은 EP-A-1 228 101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캐스케이드 현탁 중합으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중합 단계에서 몰 질량은 연쇄 전달제(chain transfer agent), 바람직하게는 수소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각 중합 단계 후에 상기 바람직한 점도수가 얻어지도록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PE 성형 조성물은 취입 필름 압출 공정에 의한 취입 필름의 제조에 특히 적절하다. 상기 공정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은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폴리에틸렌 성형 조성물을 먼저 200 내지 250 ℃의 압출기에서 가소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가소화된 폴리에틸렌을 환상 다이를 통해 용융 상태로 압출시켜 실질적으로 관 형태를 갖는 버블을 형성하도록 한다. 버블을 냉각(바람직하게는 압축공기에 의함)시키고, 이어서 롤러로 압착(collapse)하여 필름으로 말아올린다.
본 발명의 성형 조성물은 큰 규모의 공업적 설비에서의 전형적인 공정 조건하에서도 개선된 연신특성 및 적절한 필름 버블 안정성이 가능하기 때문에 필름 취입 공정에 의해 특히 잘 가공될 수 있다. 즉, 연신특성 덕택으로, 특히 균일하고 일정한 두께를 가진 박막이 제조될 수 있다. 버블 안정성 덕택으로, 환상 다이로부터 나온 필름 버블은 높은 인취(take-off) 속도에서도 안정하고, 축방향이나 방사 방향 어느 쪽에서도 입체적 형태가 변하는 경향을 보이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버블은 최대 인취 속도에서의 충격 시험 (하기 실시예 3에서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수행함) 중에 축방향으로 ± 2 cm 이하로 진동하는, 응결된 물질로부터 용융된 물질의 한계를 정하는 결빙선(frost line)을 갖는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PE 성형 조성물을 포함하고 두께가 8 내지 200 μm,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 μm인 필름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두께가 20 μm인 필름에 대한 DDI가 400 g 보다 높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하기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의해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나, 그로써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 중합 (본 발명)
에틸렌을 상호간에 직렬로 배열된 3개의 반응기 내에서 캐스케이드 방식으로 수행되는 연속공정으로 중합시켰다. EP-A 401 776호,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수소에 대한 매우 높은 반응성을 갖고 캐스케이드 중합을 수행하기에 충분한 활성을 갖는 지글러 촉매를 사용하였는데, 이 촉매는 1 내지 8 시간의 장기간 동안 활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촉매는 구체적으로 다음의 분석 조성을 갖는다: Ti 6.2중량%, Mg 70.8중량%, Cl 23.0 중량%.
상기 촉매를 충분한 양의 트리에틸알루미늄으로 예비활성화한 다음, 4.7 mmol/h의 양으로 제1 반응기내로 공급하였다.
충분한 현탁 매질, 특히 헥산, 에틸렌 및 수소를 추가로 제1 반응기에 공급하였다. 제1 반응기의 기체 공간(분석 측정을 위한 기체 온도는 5±1 ℃임)에서 에틸렌 17 부피% 및 수소 65 부피%가 되도록 에틸렌 (= 46 kg/h) 및 수소 (= 60 g/h)의 양을 설정하였다. 그 나머지는 질소와 기화된 현탁 매질의 혼합물이었다.
제1 반응기에서 중합은 84 ℃의 온도 및 0.94 MPa에 상응하는 9.4 bar의 압력하에 수행하였다.
그 다음, 현탁액을 제1 반응기로부터 제1 반응기의 하류에 직렬로 배열된 제2 반응기로 이송시켰다. 제2 반응기의 기체 공간(분석 측정을 위한 기체 온도는 5±1 ℃임)에서 수소를 중간 H2 감압장치에 의해 3.9 부피%로 감소시켰다. 에틸렌 30.7 kg/h 및 매우 소량의 제1 공단량체, 즉 1-부텐을 제2 반응기에 도입시켰다. 제2 반응기의 기체 공간에서 에틸렌이 59 부피%, 수소가 3.9 부피% 및 1-부텐이 1.1 부피%로 측정되었으며, 그 나머지는 질소와 기화된 현탁 매질의 혼합물이었다.
제2 반응기에서 중합은 84 ℃의 온도 및 0.26 MPa에 상응하는 2.6 bar의 압력하에 수행하였다.
현탁액을 제2 반응기로부터 추가로 작동되는 중간 감압장치를 통해 배출가스(off-gas) 없이 제2 반응기의 하류에 직렬로 배열된 제3 반응기로 이송시켰다. 기체 공간에서 수소 농도를 도입되는 수소에 의해 7.5 부피%로 설정하였다. 에틸렌 19.2 kg/h 이외에 제2 단계에서 도입된 제1 공단량체와 동일한 제2 공단량체, 즉 1-부텐 1080 g/h를 추가로 제3 반응기에 도입시켰다.
제3 반응기의 기체 공간(분석 측정을 위한 기체 온도는 5±1 ℃임)에서 에틸렌이 63 부피%, 수소가 7.5 부피% 및 1-부텐이 5.2 부피%로 측정되었으며, 그 나머지는 질소와 기화된 현탁 매질의 혼합물이었다.
제3 반응기에서 중합은 84 ℃의 온도 및 0.31 MPa에 상응하는 3.1 bar의 압력하에 수행하였다.
현탁 매질을 제3 반응기에서 배출되는 중합체 현탁액으로부터 분리해낸 후, 분말을 건조시키고 펠렛화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조된 폴리에틸렌 성형 조성물의 점도수 VN1, VN2 및 VN3, 단독중합체 A, 제1 공중합체 B 및 제2 공중합체 C 각각의 비율 wA, wB 및 wc, 및 용 융 유량 MFR1, MFR2 및 MFR3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7063648749-PCT00001
표 1에서 물성에 대한 약어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진다:
wA, wB, wc = 총 성형 조성물 중 단독중합체 A, 제1 공중합체 B 및 제2 공중합체 C 각각의 비율 = 각 반응기에 공급되는 에틸렌의 양에 의해 결정되는 반응기 스플릿(split);
VN1, VN2, VN3 = 각각 제1, 제2 및 제3 반응기에서 배출된 중합체의 ISO/R 1191에 따라 데칼린 중 135 ℃에서 측정된 점도수;
MFR1, MFR2, MFR3 = 각각 제1, 제2 및 제3 반응기에서 배출된 중합체의 ISO 1133에 따라 표시된 온도 및 하중하에 측정된 용융 유량;
MFR펠렛 = 압출 후 최종 생성물의 용융 유량.
실시예 2: 필름 제조 (본 발명)
필름을 상기와 같이 제조된 성형 조성물로부터 하기의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두께가 20 μm인 필름을 직경 d1이 50 mm이고 길이가 21 x d1 (= 1.05 m)인 압출기 및 직경 d2가 120 mm이고 갭의 폭이 1 mm인 환상 다이를 포함하는 알핀(Alpine) 필름 취입 설비 상에서 제조하였다. 필름을 블로우업(blow-up) 비 4:1 및 경부(neck) 길이 7.5 x d2 (= 90 cm)에서 제조하였다. 압출기에서 성형 조성물의 융점은 205 내지 210 ℃이었다.
필름의 특성을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필름 제조 ( 비교예 )
20 μm 필름을 미쯔이(Mitsui)으로부터 명칭 7000 F로 시판되는 상업용 필름 조 물질 Hi-Zex를 사용하여, 압출기에서 성형 조성물의 융점이 215 내지 220 ℃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설비에서 동일한 조건하에 제조하였다.
필름의 특성을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7063648749-PCT00002
보다 구체적으로, 필름 버블 안정성은 이하에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예비 시험 및 충격 시험을 포함한 하기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예비 시험에서, 인취 속도는 소정의 증가하는 인취 속도, 즉, 58, 63, 70, 77 및 87 m/분 (= 최대 롤링업(rolling-up) 속도)로 설정하였다. 각 인취 속도를 얻고, 냉각 송풍기를 조절함으로써 경부 길이를 90 cm로 조정한 후, 필름 버블의 축상 진동을 관찰하였다.
상기 시험은 형성되는 버블의 축상 진동이 1분의 관찰 기간 동안 ± 2 cm 범위 안에 있는 경우에 주어진 속도에서 합격 및 완성된 것으로 보았다.
이어서, 충격 시험은 예비 시험에서와 같이 설정된 동일한 인취 속도로 수행하였다. 충격 시험에서, 버블은 축을 따라 진동하였다. 이는 약 7 초 동안 냉각 송풍기의 조리개를 완전히 개방함으로써 수행하였다. 그 다음, 조리개를 다시 처음 상태로 두었다. 조리개의 개방 및 폐쇄는 냉각 공기의 압력을 통해 모니터링하였다. 그러나, 25 ℃를 초과하는 실온에서, 상기한 조리개의 개방만으로는 필름 버블이 진동하도록 두기에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25 ℃를 초과하는 실온에서는, 계속하여 공기 압력으로 모니터링하면서 먼저 조리개를 개방한 다음, 최대 3초 동안 완전히 닫고, 이 후 처음 상태로 두었다. 충격 시험은 필름 버블의 진동이 2분 이내에 ± 2 cm 로 감소되는 경우에 주어진 인취 속도에서 합격한 것으로 보았다.
이 시험은 상기 증가하는 인취 속도 각각에 대하여 이루어졌다. 특정 인취 속도에서 충격 시험 또는 예비 시험에 합격하지 않은 경우에, 이전의 더 낮은 인취 속도에 상응하는 안정성 등급으로 인정하였다.
필름의 다트 낙하 충격 강도는 표준 ASTM D 1709, 방법 A에 따라 측정하였다.
얼룩에 대한 평가는 육안으로 수행하였다.

Claims (13)

  1. 다중모드 몰 질량 분포를 가지며, 23 ℃에서 밀도가 0.948 내지 0.953 g/cm3이고, 압출 후 최종 생성물의 MFR190 /5가 0.10 내지 0.50 dg/분이고, 성형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하여,
    - 제1 분자량을 갖는 에틸렌 단독중합체 A로 구성된 제1 에틸렌 중합체 분획 30 내지 60 중량%,
    - 추가의 단독중합체, 또는 에틸렌과 탄소 원자수가 4 내지 8개인 올레핀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제1 공단량체와의 제1 공중합체 B(상기 제1 분자량보다 높은 제2 분자량을 가짐)로 구성된 제2 에틸렌 중합체 분획 22 내지 40 중량%, 및
    - 에틸렌과 1종 이상의 제2 공단량체와의 제2 공중합체 C(상기 제2 분자량보다 높은 제3 분자량을 가짐)로 구성된 제3 에틸렌 중합체 분획 10 내지 30 중량%
    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성형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 제1 에틸렌 중합체 분획 42 내지 52 중량%,
    - 제2 에틸렌 중합체 분획, 즉, 공중합체 B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1종 이상의 제1 공단량체를 0.1 내지 2.0 중량% 함유하는 제1 공중합체 B 27 내지 38 중량%, 및
    - 제3 에틸렌 중합체 분획, 즉, 제2 공중합체 C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1종 이상의 제2 공단량체를 3 내지 15 중량% 함유하는 제2 공중합체 C 15 내지 25 중량%
    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성형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단량체 및 상기 제2 공단량체가 독립적으로 1-부텐, 1-펜텐, 1-헥센, 1-옥텐 및 4-메틸-1-펜텐,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폴리에틸렌 성형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밀도가 0.948 내지 0.952 g/cm3이고, 압출 후 최종 생성물의 MFR190 /5가 0.19 내지 0.25 g/10 분인 폴리에틸렌 성형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ISO/R 1191에 따라 데칼린(decalin) 중 135 ℃에서 측정된 점도수 VN3가 270 내지 460 cm3/g인 폴리에틸렌 성형 조성물.
  6. 에틸렌, 상기 1종 이상의 제1 공단량체 및 1종 상의 제2 공단량체를 20 내지 120 ℃, 2 내지 10 bar의 압력에서 전이 금속 화합물 및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을 포함하는 지글러(Ziegler) 촉매 존재하에 현탁액 중에서 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5항에 따르는 폴리에틸렌 성형 조성물의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 단계가 직렬 배열된 제1 반응기, 제2 반응기 및 제3 반응기를 포함하는 다중 반응기에서 수행되는 상응하는 제1 단계, 제2 단계 및 제3 단계를 포함하는 다중 연속적 중합 단계로 수행되고, 각 단계에서 폴리에틸렌 조성물의 몰 질량이 각 경우에 수소에 의해 조절되는 것인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제1 중합 단계에서의 수소 농도가 중합체 A의 점도수 VN1이 60 내지 110 cm3/g이 되도록 설정되는 것인 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제2 중합 단계에서의 수소 농도가 단독중합체 A와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B의 혼합물의 점도수 VN2가 270 내지 400 cm3/g이 되도록 설정되는 것인 방법.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3 중합 단계에서의 수소 농도가 단독중합체 A, 제1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B 및 제2 공중합체 C의 혼합물의 점도수 VN3가 280 내지 480 cm3/g이 되도록 설정되는 것인 방법.
  11. 두께가 8 내지 200 μm인 취입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폴리에틸렌 성형 조성물의 용도.
  12. 제11항에 있어서, 취입 필름이 폴리에틸렌 용융물을 얻도록 폴리에틸렌 성형 조성물을 용융시키는 단계; 최대 인취 속도에서의 충격 시험 중에 축방향으로 최대 ± 2 cm로 진동하는 결빙선(frost line)을 갖는 버블을 형성하도록 폴리에틸렌 용융물을 환상 다이를 통해 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취입 필름 공정을 통해 제조되는 것인 용도.
  13.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폴리에틸렌 성형 조성물을 포함하는, 두께가 8 내지 200 μm이고, 두께가 20 μm인 필름에 대해 측정된 DDI가 400 g 초과인 취입 필름.
KR1020077019972A 2005-03-01 2006-02-23 기계적 특성 및 가공성이 개선된 취입 필름 제조용폴리에틸렌 성형 조성물 KR200701159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09895A DE102005009895A1 (de) 2005-03-01 2005-03-01 Polyethylen Formmasse zum Herstellen von Blasfolien mit verbesserten mechanischen Eigenschaften
DE102005009895.9 2005-03-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5924A true KR20070115924A (ko) 2007-12-06

Family

ID=36202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9972A KR20070115924A (ko) 2005-03-01 2006-02-23 기계적 특성 및 가공성이 개선된 취입 필름 제조용폴리에틸렌 성형 조성물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3) US20080199674A1 (ko)
EP (1) EP1853662B1 (ko)
JP (1) JP2008531804A (ko)
KR (1) KR20070115924A (ko)
CN (1) CN101128532B (ko)
AT (1) ATE492596T1 (ko)
AU (1) AU2006219908A1 (ko)
BR (1) BRPI0607500A2 (ko)
CA (1) CA2598611A1 (ko)
DE (2) DE102005009895A1 (ko)
RU (1) RU2007136034A (ko)
WO (1) WO20060923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20524A1 (de) 2004-04-26 2005-11-10 Basell Polyolefine Gmbh Polyethylen und Katalysatorzusammensetzung zu dessen Herstellung
DE102005009896A1 (de) * 2005-03-01 2006-09-07 Basell Polyolefine Gmbh Polyethylen Formmasse zum Herstellen von Blasfolien mit verbesserten mechanischen Eigenschaften
DE102005030941A1 (de) * 2005-06-30 2007-01-11 Basell Polyolefine Gmbh Polyethylen Formmasse zur Herstellung von spritzgegossenen Fertigteilen
DE102005040390A1 (de) * 2005-08-25 2007-03-01 Basell Polyolefine Gmbh Multimodale Polyethylen Formmasse zur Herstellung von Rohren mit verbesserten mechanischen Eigenschaften
US20090272721A1 (en) * 2005-09-28 2009-11-05 Tadahiro Ohmi Athmosphere-Controlled Bonding Apparatus, Bond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WO2008077530A2 (en) * 2006-12-22 2008-07-03 Basell Polyolefine Gmbh Multimodal polyethylene composition, mixed catalyst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composition
DE602007012474D1 (de) * 2006-12-22 2011-03-24 Basell Polyolefine Gmbh Multimodale polyethylenzusammensetzung, mischkatalysaot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 zusammensetzung
DE102007017903A1 (de) 2007-04-13 2008-10-16 Basell Polyolefine Gmbh Polyethylen und Katalysatorzusammensetzung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S9187627B2 (en) * 2008-10-23 2015-11-17 Equistar Chemicals, Lp Polyethylene having faster crystallization rate and improved environmental stress cracking resistance
RU2545063C2 (ru) * 2009-06-03 2015-03-27 Базелль Полиолефине Гмбх Полиэтиленовая композиция и полученные из нее готовые изделия
GB2498936A (en) * 2012-01-31 2013-08-07 Norner Innovation As Polyethylene with multi-modal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US9234061B2 (en) 2012-03-28 2016-01-12 Borealis Ag Multimodal polymer
US9346897B2 (en) 2013-05-14 2016-05-24 Chevron Phillips Chemical Company Lp Peroxide treated metallocene-based polyolefins with improved melt strength
GB201313937D0 (en) 2013-08-05 2013-09-18 Ineos Europe Ag Polymerisation process
EP3293213B1 (en) 2016-09-12 2019-08-14 Thai Polyethylene Co., Ltd. Multimodal polyethylene container
JP7066682B2 (ja) 2016-09-12 2022-05-13 タイ ポリエチレン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二峰性ポリエチレン組成物及びそれを含むパイプ
ES2746570T3 (es) 2016-09-12 2020-03-06 Thai Polyethylene Co Ltd Tapón de rosca de polietileno multimodal
PL3293214T3 (pl) 2016-09-12 2020-07-27 Thai Polyethylene Co., Ltd. Wielomodalny polietylen o ultradużej masie cząsteczkowej o wysokich parametrach
HUE047268T2 (hu) 2016-09-12 2020-04-28 Thai Polyethylene Co Ltd Többmódusú polietilén csõ
HUE047204T2 (hu) 2016-09-12 2020-04-28 Thai Polyethylene Co Ltd Reaktorrendszer multimodális polietilén polimerizáláshoz
PT3293207T (pt) 2016-09-12 2019-10-25 Scg Chemicals Co Ltd Tubo de polietileno multimodal
PT3293209T (pt) 2016-09-12 2019-11-19 Scg Chemicals Co Ltd Película fina de polietileno multimodal
ES2728941T3 (es) 2016-09-12 2019-10-29 Thai Polyethylene Co Ltd Película de polietileno multimodal
US11952480B2 (en) 2018-02-05 2024-04-09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Enhanced processability of LLDPE by addition of ultra-high molecular weight density polyethylen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724B2 (ja) * 1979-08-24 1984-03-10 旭化成株式会社 エチレンの連続重合法
DE3124223A1 (de) * 1981-06-20 1982-12-30 Hoechst Ag, 6000 Frankfurt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polyolefins und katalysator hierfuer"
US4536550A (en) * 1983-04-21 1985-08-20 Asahi Kasei Kogyo Kabushiki Kaisha Polyethylene composition
US5648309A (en) * 1990-06-01 1997-07-15 Hoechst Aktiengesellschaft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poly-1-olefin
US5338589A (en) * 1991-06-05 1994-08-16 Hoechst Aktiengesellschaft Polyethylene molding composition
JP2716615B2 (ja) * 1991-10-25 1998-02-18 丸善ポリマー株式会社 エチレン系重合体組成物の製造方法
BE1006439A3 (fr) * 1992-12-21 1994-08-30 Solvay Societe Annonyme Procede de preparation d'une composition de polymeres d'ethylene, composition de polymeres d'ethylene et son utilisation.
US5350807A (en) * 1993-06-25 1994-09-27 Phillips Petroleum Company Ethylene polymers
US5882750A (en) * 1995-07-03 1999-03-16 Mobil Oil Corporation Single reactor bimodal HMW-HDPE film resin with improved bubble stability
SE504455C2 (sv) * 1995-07-10 1997-02-17 Borealis Polymers Oy Kabelmantlingskomposition, dess användning samt sätt för dess framställning
US6432496B1 (en) * 1997-06-06 2002-08-13 Eastman Chemical Company High density polyethylene films with improved barrier properties
US6242548B1 (en) * 1999-05-13 2001-06-05 Dyneon Llc Fluoroplastic polymers with improved characteristics
DE19945980A1 (de) * 1999-09-24 2001-03-29 Elenac Gmbh Polyethylen Formmasse mit verbesserter ESCR-Steifigkeitsrelation und Schwellrat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daraus hergestellte Hohlkörper
KR100902462B1 (ko) * 2001-08-17 2009-06-11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인크. 바이모드 폴리에틸렌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물품
JP2006511676A (ja) * 2002-12-19 2006-04-06 バーゼル・ポリオレフィン・ゲーエムベーハー 小さな容器を製造するためのポリエチレン吹込み成形用組成物
EP1578862B1 (en) * 2002-12-24 2006-07-12 Basell Polyolefine GmbH Polyethylene blow moulding composition for producing jerry cans
ES2268493T3 (es) * 2002-12-24 2007-03-16 Basell Polyolefine Gmbh Composicion de polietileno para la produccion de bidones del tipo l-ring.
PL377195A1 (pl) * 2002-12-24 2006-01-23 Basell Polyolefine Gmbh Kompozycja polietylenowa do formowania z rozdmuchiwaniem przeznaczona do wytwarzania dużych pojemników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531804A (ja) 2008-08-14
CN101128532A (zh) 2008-02-20
EP1853662A1 (en) 2007-11-14
US20080199674A1 (en) 2008-08-21
RU2007136034A (ru) 2009-04-10
BRPI0607500A2 (pt) 2016-11-01
EP1853662B1 (en) 2010-12-22
AU2006219908A1 (en) 2006-09-08
ATE492596T1 (de) 2011-01-15
US20110172362A1 (en) 2011-07-14
DE102005009895A1 (de) 2006-09-07
CA2598611A1 (en) 2006-09-08
DE602006019064D1 (de) 2011-02-03
US20110171450A1 (en) 2011-07-14
CN101128532B (zh) 2013-03-06
WO2006092379A1 (en) 2006-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15923A (ko) 가공성이 개선된 취입 필름 제조용 폴리에틸렌 성형 조성물
KR20070115924A (ko) 기계적 특성 및 가공성이 개선된 취입 필름 제조용폴리에틸렌 성형 조성물
KR20070115922A (ko) 기계적 특성이 개선된 취입 필름 제조용 폴리에틸렌 성형조성물
US7427649B2 (en) Polyethylene blow molding composition for producing small containers
EP1576048B1 (en) Polyethylene blow molding composition for producing large containers
US20060052542A1 (en) Polyethylene composition for producing l-ring drums
EP3908628A1 (en) Heterophasic propylene copolymers, methods, films, and articles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