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4834A -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4834A
KR20070114834A KR1020077024558A KR20077024558A KR20070114834A KR 20070114834 A KR20070114834 A KR 20070114834A KR 1020077024558 A KR1020077024558 A KR 1020077024558A KR 20077024558 A KR20077024558 A KR 20077024558A KR 20070114834 A KR20070114834 A KR 200701148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medium
substrate
cell
display
ch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4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6843B1 (ko
Inventor
요시또모 마스다
다이찌 고바야시
히로따까 야마자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브리지스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131876A external-priority patent/JP463285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13065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308819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13394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309046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13392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309045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11932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330707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브리지스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브리지스톤
Publication of KR20070114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4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6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6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75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67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Filling or closing of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75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67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Filling or closing of cells
    • G02F1/1681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Filling or closing of cells having two or more microcells partitioned by walls, e.g. of microcup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6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 G02F1/16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by electrophoresi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6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 G02F1/167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involving dry ton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1Filling or closing of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75Constructional details
    • G02F2001/1678Constructional detail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particle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적어도 한쪽이 투명한 대향하는 2매의 기판(1, 2) 사이의 격벽(4)에 의해 형성된 셀(14) 내에 적어도 1종류 이상의 입자로 구성되는 광학적 반사율 및 대전성을 갖는 적어도 1종류 이상의 표시 매체(3)를 봉입하고, 표시 매체에 전계를 부여함으로써, 표시 매체를 이동시켜 화상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표시 매체를 셀 내에 충전하는 표시 매체 충전 공정을, 대전된 표시 매체를 담지하는 표시 매체 대전 담지 공정과, 담지된 표시 매체를 정전 잠상을 기초로 하여 배열하는 표시 매체 배열 공정과, 배제시킨 표시 매체를 셀 내에 전사하여 충전하는 표시 매체 전사 충전 공정으로 구성한다.
표시 매체, 대전 장치, 전사 장치, 감광체 롤러, 교류 전압 인가 장치

Description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INFORMATION DISPLAY PANEL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적어도 한쪽이 투명한 대향하는 2매의 기판 사이의 격벽에 의해 형성된 셀 내에, 적어도 1종류 이상의 입자로 구성되는 광학적 반사율 및 대전성을 갖는 적어도 1종류 이상의 표시 매체를 봉입하고, 표시 매체에 전계를 부여함으로써, 표시 매체를 이동시켜 화상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액정(LCD)을 대신하는 정보 표시 장치로서, 전기 영동 방식, 일렉트로 크로믹 방식, 서멀 방식, 2색 입자 회전 방식 등의 기술을 이용한 정보 표시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들 종래 기술은, LCD와 비교하면, 통상의 인쇄물에 가까운 넓은 시야각을 얻을 수 있고, 소비 전력이 작고, 메모리 기능을 갖고 있는 등의 장점이 있으므로, 차세대의 저렴한 정보 표시 장치에 사용 가능한 기술로서 고려되고 있고, 휴대 단말용 정보 표시, 전자 페이퍼 등으로의 전개가 기대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분산 입자와 착색 용액으로 이루어지는 분산액을 마이크로 캡슐화하고, 이를 대향하는 기판 사이에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전기 영동 방식이 제안되어,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
그러나, 전기 영동 방식에서는, 액 속을 입자가 영동하기 때문에 액의 점성 저항에 의해 응답 속도가 느려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저비중의 용액 중에 산화티탄 등의 고비중의 입자를 분산시키고 있기 때문에 침강하기 쉽게 되어 있고, 분산 상태의 안정성 유지가 어려워, 정보 표시의 반복 수정의 안정성이 부족하다는 문제를 안고 있다. 또한, 마이크로 캡슐화로 해도, 셀 사이즈를 마이크로 캡슐 레벨로 하여, 외관상 상술한 결점이 나타나기 어렵게 되어 있을 뿐이며, 본질적인 문제는 전혀 해결되고 있지 않다.
한편, 용액 중에서의 거동을 이용하는 전기 영동 방식에 대해, 용액을 사용하지 않고 도전성 입자와 전하 수송층을 기판의 일부에 삽입하는 방식도 제안되기 시작하고 있다[예를 들어, 조 국래, 외 3명, "새로운 토너 디스플레이 디바이스(I)", 1999년 7월 21일, 일본 화상 학회 연차 대회(통산 83회) "Japan Hardcopy'99" 논문집, p.249-252 참조]. 그러나, 전하 수송층, 또는 전하 발생층을 배치하기 위해 구조가 복잡화되는 동시에, 도전성 입자에 전하를 일정하게 주입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표시 안정성이 부족한 문제도 있다.
상술한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서, 적어도 한쪽이 투명한 대향하는 2매의 기판 사이의 격벽에 의해 형성된 셀 내에, 적어도 1종류 이상의 입자로 구성되는 광학적 반사율 및 대전성을 갖는 적어도 1종류 이상의 표시 매체를 봉입하고, 표시 매체에 전계를 부여함으로써, 표시 매체를 이동시켜 화상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 표시용 패널이 알려져 있다.
상술한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표시 매체(바꾸어 말하면 표시 매체를 구성하는 표시 매체용 입자)를 기판 사이에 봉입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표시 매체를 패널 기판 상에 확대시키는 도포법이나, 표시 매체를 교반 및 에어 블로우 등에 의해 공기 중에 부유시키고, 그 중에 패널 기판을 통과시킴으로써 표시 매체 입자를 기판 상에 산포하는 방법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이들 방법 중, 도포법에 있어서는, 표시 매체가 패널 기판에 부착되기 어렵기 때문에 충전량(도포량)의 부족 및 치우침이 발생하기 쉬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산포법에 있어서는, 기판 사이에 복수의 셀을 형성하는 동시에 기판간의 간격을 균일하게 확보하기 위해 설치하는 격벽에 의해 기판 사이의 공간을 복수의 셀로 나누고, 각 셀에 표시 매체를 충전하여 봉입하고자 하면, 격벽의 정상부에 표시 매체가 적재되어 2매의 기판을 중첩할 때에, 기판과 격벽의 중첩선, 혹은 격벽끼리의 중첩선에 표시 매체가 끼이게 되어 기판간의 간격을 균일하게 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술한 격벽의 정상부에 표시 매체가 적재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입자를 충전하려고 하는 기판의 이면측에 입자와는 역극성의 전위를 부여하여, 셀 내에 대전 입자를 유도하도록 하여 표시 매체용 착색 입자를 충전하려고 하는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대전 극성이 다른 2종류의 표시 매체용 착색 입자를 충전하려고 하면, 처음의 첫 번째 종류의 입자의 충전은 문제없이 행할 수 있지만, 2번째 종류의 입자의 충전시에 먼저 충전된 입자가 셀 내로부터 돌출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 방법에서는, 셀 내에 충전한 표시 매체를 다음 공정으로 이동할 때에, 충전한 입자가 진동이나 바람 등의 외력의 영향으로 셀 내로부터 돌출되어 버리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이 방법에서는, 셀 내뿐만 아니라 셀을 형성하는 격벽 상에도 표시 매체가 부착되어 버리면, 다른 1매의 기판을 부착할 때에 표시 매체가 기판과 격벽 정상의 간극에 끼여 버려 패널 기판간 거리가 일정하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표시 매체를 충전하려고 하는 기판 상에, 셀 형상에 맞춘 개구를 갖는 마스크를 셀을 형성하는 격벽 상에 적재하여, 표시 매체가 격벽 상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지만, 표시 매체 충전 후에 마스크를 제거하면 셀 내에 충전된 표시 매체마저도 마스크와 함께 셀 내로부터 나와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 방법에서는, 기판의 이면측에 입자와는 역극성의 전위를 부여하여 셀 내에 대전 입자를 유도하는 방법에서는, 기판에 전극이 없는 경우에는 잘 충전을 행할 수 있었지만, 기판에 전극이 배치되어 있고 전극이 기판 이면측의 역극성의 전위 부여 수단과 셀 내의 대전 입자 사이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충전을 행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문제는, 직접 산포하는 방법이든, 감광체 등의 대전 매체 상에 배치해 둔 대전 입자를 이동시키는 방법이든, 모두 발생하여, 기판에 전극을 배치한 경우에는 입자를 정밀도 좋게 충전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여, 대향하는 기판 사이에 있어서, 격벽에 의해 형성된 셀 내에 표시 매체를 봉입하는 경우라도 셀 내에 소정량의 표시 매체를 확실하게 봉입할 수 있는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자고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은, 적어도 한쪽이 투명한 대향하는 2매의 기판 사이의 격벽에 의해 형성된 셀 내에 적어도 1종류 이상의 입자로 구성되는 광학적 반사율 및 대전성을 갖는 적어도 1종류 이상의 표시 매체를 봉입하고, 표시 매체에 전계를 부여함으로써 표시 매체를 이동시켜 화상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표시 매체를 셀 내에 충전하는 표시 매체 충전 공정이, 대전된 표시 매체를 담지하는 표시 매체 대전 담지 공정과, 담지된 표시 매체를 정전 잠상을 기초로 하여 배열하는 표시 매체 배열 공정과, 배열시킨 표시 매체를 셀 내에 전사하여 충전하는 표시 매체 전사 충전 공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주된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적합예로서는, 상기 표시 매체 대전 담지 공정을, 표시 매체 대전 공급 장치로부터 대전된 표시 매체를 표시 매체 담지 롤러에 공급함으로써 실시하는 것, 상기 표시 매체 배열 공정을, 정전 잠상 형성 장치에 의해 감광체 드럼 표면에 소정 패턴의 정전 잠상을 형성하고, 감광체 드럼 상에 정전 잠상을 기초로 하여 표시 매체를 배열함으로써 실시하는 것, 상기 표시 매체 전사 충전 공정을, 배열시킨 표시 매체와 전사 장치 사이에 셀을 갖는 기판을 통과시켜, 셀 내에 표시 매체를 전사하여 충전함으로써 실시하는 것, 상기 표시 매체 충전 공정이, 충전하는 표시 매체의 종류의 수만큼 연속해서 마련되어 있는 것, 상기 표시 매체 충전 공정이, 각각 2매의 기판에 대해 충전하는 표시 매체의 종류의 수만큼 마련되고, 표시 매체 충전 공정이 병설되어 있는 것이 있다.
본 발명의 주된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정보 표시용 패널 기판 사이에 격벽에 의해 형성된 셀 내에 표시 매체를 충전하는 데 있어서, 충전량의 부족 및 치우침이 발생하는 일이 없고, 격벽의 정상부에 표시 매체가 적재되는 일도 없어, 기판간의 간격을 균일하게 할 수 있게 되고, 양호한 콘트라스트를 갖는 표시 상태를 얻을 수 있는 정보 표시용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적합예의 제1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여, 대전 극성이 다른 2종류의 표시 매체를 셀 내에 충전하는 경우에도, 먼저 충전한 입자가 셀 내로부터 돌출되는 일이 없는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자고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적합예에 관한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은, 상기 표시 매체 전사 충전 공정이, 기판의 셀 상에 한쪽 극성으로 대전된 표시 매체를 배치하고, 기판의 이면측으로부터 표시 매체와는 역극성인 다른 쪽 극성의 전위를 부여하여 셀 내에 표시 매체를 충전하는 제1 표시 매체 충전 공정과, 셀 내에 충전한 표시 매체에 대해 제전을 행하는 제전(除電) 공정과, 한쪽 극성으로 대전된 표시 매체를 충전한 셀 상에 다른 쪽 극성으로 대전된 표시 매체를 배치하고, 기판의 이면측으로부터 표시 매체와는 역극성인 한쪽 극성의 전위를 부여하여 셀 내에 표시 매체를 충전하는 제2 표시 매체 충전 공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제1 적합예에 관한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다른 적합예로서는, 상기 대전 극성이 다른 2종류의 표시 매체가 다른 색을 갖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제1 적합예에 관한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제1 표시 매체 충전 공정과 제2 표시 매체 충전 공정 사이에 제전 공정을 행하고 있기 때문에, 대전 극성이 다른 2번째 종류의 표시 매체를 충전할 때에, 기판 이면측에 먼저 충전한 표시 매체와 동극성의 전위를 부여하여 셀 내에 2번째 종류의 표시 매체를 유도하도록 해도, 먼저 충전한 표시 매체가 셀 내로부터 돌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적합예의 제2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여, 셀 내에 충전한 표시 매체를 다음 공정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충전한 입자가 셀 내로부터 돌출되지 않는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자고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적합예에 관한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은, 상기 표시 매체 전사 충전 공정이, 기판의 셀 상에 한쪽 극성으로 대전된 표시 매체를 배치하고 기판의 이면측으로부터 표시 매체와는 역극성인 다른 쪽 극성의 전위를 부여하여 셀 내에 표시 매체를 충전하는 표시 매체 충전 공정과, 기판의 이면측에 충전한 표시 매체와는 역극성인 다른 쪽 극성의 전위를 부여한 상태에서 표시 매체를 셀 내에 충전한 기판을 다음 공정으로 반송하는 충전 후 패널 반송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제2 적합예에 관한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또 다른 적합예로서는, 상기 충전 후 패널 반송 공정을, 표시 매체를 충전한 기판을 반송 수단에 의해 반송하고, 반송 중, 반송 수단의 기판과는 반대측에 설치한 전압 인가 보조 수단으로부터 소정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행하는 것, 상기 전압 인가 보조 수단이 연속되는 복수의 전압 인가 롤러인 것, 상기 전압 인가 보조 수단이 전압 인가 벨트인 것이 있다.
본 발명의 제2 적합예에 관한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셀 내에 표시 매체를 충전한 기판을 이동할 때에, 기판의 이면측에 충전한 표시 매체가 갖는 대전성과는 역극성의 전위를 계속해서 부여하도록 하였으므로, 표시 매체는 기판 이면측으로부터 작용하는 흡인력에 의해 셀 내에 고정되므로, 진동이나 바람 등의 외력의 영향을 받아도 셀 내로부터 돌출되는 일이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적합예의 제3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여, 격벽 상에 마스크를 적재하여 셀 내에 표시 매체를 충전한 후에 마스크를 격벽 상으로부터 제거하는 경우에도, 충전한 표시 매체가 셀 내로부터 돌출되는 일 없이, 셀 내에 충전된 표시 매체의 양을 일정하게 할 수 있는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자고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적합예에 관한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은, 상기 표시 매체 전사 충전 공정이 한쪽 극성으로 대전된 표시 매체를 격벽 상에 마스크를 적재하는 동시에 기판의 이면측으로부터 표시 매체와는 역극성인 다른 쪽 극성의 전위를 부여하여 셀 내에 표시 매체를 충전하는 표시 매체 충전 공정과, 기판의 이면측에 충전한 표시 매체와는 역극성인 다른 쪽 극성의 전위를 부여한 상태에서 마스크를 격벽으로부터 제거하는 마스크 제거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적합예에 관한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표시 매체를 대전시켜 두고, 표시 매체를 충전하려고 하는 기판의 이면측에 표시 매체와는 역극성의 전위를 부여하여 셀 내에 대전 입자를 유도하도록 하여 표시 매체를 충전하고, 또한 마스크를 이용함으로써 격벽 상에 입자가 부착되지 않도록 하여 표시 매체를 셀 내에 충전하도록 하였다. 또한, 표시 매체가 충전된 패널 기판으로부터 마스크를 제거할 때에도, 패널 기판 이면측에 충전한 입자가 갖는 대전성과는 역극성의 전위를 계속해서 부여하도록 하였다. 상기에 의해, 표시 매체가 충전된 패널 기판으로부터 마스크를 제거할 때에도, 표시 매체는 기판 이면측으로부터 작용하는 흡인력에 의해 셀 내에 고정되므로, 외층으로 하고 있는 마스크에 딸려 가는 일이 없기 때문에, 셀 내에 충전된 표시 매체의 양을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적합예의 제4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여, 기판에 전극을 배치한 경우에도, 표시 매체를 정밀도 좋게 셀 내에 충전할 수 있는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자고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4 적합예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은, 상기 표시 매체 전사 충전 공정이 기판의 셀 상에 한쪽 극성으로 대전된 표시 매체를 배치하고, 기판의 이면측으로부터 표시 매체와는 역극성인 다른 쪽 극성의 전위를 부여하는 동시에, 기판 상에 설치한 전극에 교류 전압을 인가하여 셀 내에 표시 매체를 충전하는 표시 매체 충전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4 적합예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은, 상기 표시 매체 전사 충전 공정이 기판의 셀 상에 한쪽 극성으로 대전된 표시 매체를 배치하고, 기판의 이면측으로부터 표시 매체와는 역극성인 다른 쪽 극성의 전위를 부여하는 동시에, 기판 상에 설치한 전극에 전위 V1을 인가하고, 기판의 이면측에 전위 V2를 인가하여, 양 전위의 관계를 |V1| < |V2|로 하여, 셀 내에 표시 매체를 충전하는 표시 매체 충전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4 적합예에 관한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기판 이면측의 역극성의 전위 부여 수단과 셀 내의 대전 입자 사이에 존재하는 전극에 교류 전압을 인가하여 셀 내에 표시 매체를 충전함으로써(제1 실시예), 또는 기판 상에 설치한 전극에 전위 V1을 인가하고, 기판의 이면측에 전위 V2를 인가하여 양 전위의 관계를 |V1| < |V2|로 하여, 셀 내에 표시 매체를 충전함으로써(제2 실시예), 대전 매체 상에 배치된 대전된 표시 매체가 기판측으로 이동하기 쉬워져 표시 매체를 정밀도 좋게 셀 내에 충전할 수 있다.
또한, 어떠한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또 다른 적합예로서는 상기 표시 매체가 입자군 또는 분류체인 것이 있다.
도1의 (a), 도1의 (b)는 각각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의 대상이 되는 정보 표시용 패널의 일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2의 (a), 도2의 (b)는 각각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의 대상이 되는 정보 표시용 패널의 다른 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3의 (a), 도3의 (b)는 각각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의 대상이 되는 정보 표시용 패널의 또 다른 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주된 발명에 관한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주된 발명에 관한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주된 발명에 관한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7의 (a), 도7의 (b)는 각각 셀 개구부 형상과 그에 대응하는 정전 잠상 패턴의 적합한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8의 (a), 도8의 (b)는 각각 셀 개구부 형상과 그에 대응하는 정전 잠상 패턴의 적합한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9의 (a), 도9의 (b)는 각각 셀 개구부 형상과 그에 대응하는 정전 잠상 패턴의 적합한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0의 (a), 도10의 (b)는 각각 셀 개구부 형상과 그에 대응하는 정전 잠상 패턴의 적합한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1 적합예에 관한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제1 적합예에 관한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을 실시하는 장치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제2 적합예에 관한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제2 적합예에 관한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5는 본 발명의 제2 적합예에 관한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6은 본 발명의 제3 적합예에 관한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7은 본 발명의 제3 적합예에 관한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8은 본 발명의 제3 적합예에 관한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9는 본 발명의 제4 적합예에 관한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20은 본 발명의 제4 적합예에 관한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21은 본 발명의 제4 적합예에 관한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22는 본 발명의 제4 적합예에 관한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23은 본 발명의 제4 적합예에 관한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24는 본 발명의 제4 적합예에 관한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25는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의 대상이 되는 정보 표시용 패널에 있어서의 격벽의 형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6은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 이용하는 마스크 형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따라서 제조한 정보 표시용 패널의 기본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정보 표시용 패널에서는, 대향하는 기판 사이에 봉입된 표시 매체에 전계가 부여된다. 부여된 전계 방향을 따라, 대전된 표시 매체가 전계의 힘이나 쿨롬력 등에 의해 당겨져, 그들 표시 매체가 전계 방향의 변화에 의해 이동 방향을 변화시킴으로써 화상 등의 정보 표시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표시 매체가 균일하게 이동하고, 또한 표시 정보를 수정할 때 혹은 표시 정보를 계속해서 표시할 때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정보 표시용 패널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표시 매체를 구성하는 입자에 걸리는 힘은, 입자끼리의 쿨롬력에 의해 서로 당기는 힘 이외에, 전극과의 전기 경상력(鏡像力), 분자간력, 액 가교력, 중력 등을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따라서 제조한 정보 표시용 패널의 예를, 도1의 (a), 도1의 (b) 내지 도3의 (a), 도3의 (b)를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도1의 (a), 도1의 (b)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적어도 1종 이상의 입자로 구성되는 광학적 반사율 및 대전 특성이 다른 적어도 2종류 이상의 표시 매체(3)[여기서는 입자군으로 이루어지는 백색 표시 매체(3W)와 입자군으로 이루어지는 흑색 표시 매체(3B)를 나타냄]를 기판(1, 2) 사이에 봉입하고, 기판 사이에 어떠한 전압 인가 수단을 이용함으로써 발생하는 전계에 따라서, 기판(1, 2)과 수직으로 이동시켜 흑색 표시 매체(3B)를 관찰자에게 눈으로 확인시켜 흑색의 표시를 행하거나, 혹은 백색 표시 매체(3W)를 관찰자에게 눈으로 확인시켜 백색의 표시를 행하고 있다. 또, 도1의 (b)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기판(1, 2) 사이에 격벽(4)을 형성하여 복수의 사각형 셀을 격자형으로 설치하고 있다(도면의 전방에 있는 격벽은 생략하고 있음).
도2의 (a), 도2의 (b)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적어도 1종 이상의 입자로 구성되는 광학적 반사율 및 대전 특성이 다른 적어도 2종류 이상의 표시 매체(3)[여기서는 입자군으로 이루어지는 백색 표시 매체(3W)와 입자군으로 이루어지는 흑색 표시 매체(3B)를 나타냄]를 기판(1)에 설치한 전극(5)과 기판(2)에 설치한 전극(6) 사이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발생하는 전계에 따라서, 기판(1, 2)과 수직으로 이동시켜 흑색 표시 매체(3B)를 관찰자에게 눈으로 확인시켜 흑색의 표시를 행하거나, 혹은 백색 표시 매체(3W)를 관찰자에게 눈으로 확인시켜 백색의 표시를 행하고 있다. 또, 도2의 (b)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기판(1, 2) 사이에 격벽(4)을 형성하여 복수의 사각형 셀을 격자형으로 설치하고 있다(도면의 전방에 있는 격벽은 생략하 고 있음).
도3의 (a), 도3의 (b)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적어도 1종 이상의 입자로 구성되는 1종류의 광학적 반사율과 대전성을 갖는 표시 매체(3)[여기서는 입자군으로 이루어지는 백색 표시 매체(3W)를 나타냄]를 기판(1)에 설치한 전극(5)과 전극(6) 사이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발생하는 전계에 따라서, 기판(1, 2)과 평행하게 이동시키고, 백색 표시 매체(3W)를 관찰자에게 눈으로 확인시켜 백색의 표시를 행하거나, 혹은 전극(6) 혹은 기판(1)을 관찰자에게 눈으로 확인시켜 전극(6) 혹은 기판(1)의 색[백색 표시 매체(3W)와는 다른 광학적 반사율에 의해 발현되는 색]의 표시를 행하고 있다. 또, 도3의 (b)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기판(1, 2) 사이에 격벽(4)을 형성하여 복수의 사각형 셀을 격자형으로 설치하고 있다(도면의 전방에 있는 격벽은 생략하고 있음).
전극은 기판의 외측에 설치해도 기판 내에 매립하도록 설치해도 좋다.
이상의 설명은, 입자군으로 이루어지는 백색 표시 매체(3W)를 분류체가 되는 백색 표시 매체로, 입자군으로 이루어지는 흑색 표시 매체(3B)를 분류체가 되는 흑색 표시 매체로 각각 치환한 경우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주된 발명의 설명>
상술한 구성의 정보 표시용 패널을 제조하는 데 있어서, 본 발명의 주된 발명의 특징은, 표시 매체를 셀 내에 충전하는 표시 매체 충전 공정이, 대전된 표시 매체를 담지하는 표시 매체 담지 공정과, 담지된 표시 매체를 정전 잠상을 기초로 하여 배열하는 표시 매체 배열 공정과, 배열시킨 표시 매체를 셀 내에 전사하여 충 전하는 표시 매체 전사 충전 공정으로 구성되는 것에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주된 발명에 관한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의 특징이 되는 표시 매체 충전 공정과 그에 이어지는 패널 부착 공정을 나타내고 있다. 도4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우선 표시 매체 대전 공급 장치(11)로부터 대전된 표시 매체(3)(여기서는 백색 표시 매체)를 표시 매체 담지 롤러(12)에 공급한다(표시 매체 대전 담지 공정).
다음에, 정전 잠상 형성 장치(13)에 의해 감광체 드럼(15)의 표면에 소정 패턴[예를 들어, 패널의 기판(1) 상에 격벽(4)에 의해 형성된 셀(14)의 셀 패턴에 대응하는 패턴]의 정전 잠상을 형성하고, 감광체 드럼(15)의 표면에 표시 매체 담지 롤러(12)로 담지된 표시 매체(3)를 표시 매체 담지 롤러(12)를 회전하여 공급함으로써, 감광체 드럼(15) 상에 정전 잠상의 소정 패턴을 따라 표시 매체(3)를 배열 적재한다(표시 매체 배열 공정).
감광체 드럼(15) 밑에는, 패널 기판(1)을 반송하는 반송 벨트(16)가 지나가고 있고, 그 반송 벨트(16)의 감광체 드럼(15)과 대향하는 이면측에는 감광체 드럼(15) 상에 배열된 표시 매체(3)를 기판(1)에 전사하기 위한 전사 장치(17)가 설치되어 있다. 반송 벨트(16)에서 반송되는 패널 기판(1)이 감광체 드럼(15)과 전사 장치(17) 사이를 통과할 때에, 감광체 드럼(15) 상에 배열 적재된 표시 매체(3) 가 패널 기판(1) 상의 셀(14) 내에 전사되어 충전된다(표시 매체 전사 충전 공정).
상술한 표시 매체 충전 공정이 종료된 후, 셀(14) 내에 소정의 표시 매체(3)를 충전한 기판(1)에 대해 다른 한쪽의 기판(2)을 부착함으로써, 정보 표시용 패널을 얻을 수 있다(패널 부착 공정).
또, 상술한 예에서는, 표시 매체 담지 롤러(12) 상 및 감광체 드럼(15) 상의 표시 매체(3)를 1층으로 하여 기재하였지만, 1층일 필요는 없고, 셀(14) 내에 충전하는 양에 따라서 2층 이상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감광체 드럼(15) 상의 정전 잠상을 셀 패턴에 대응시키는, 다시 말하면, 격벽(4)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정전 잠상을 부여하지 않고 표시 매체(3)를 설치하지 않도록 한 예를 나타냈지만, 정전 잠상의 패턴은 셀 패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면 전체에 표시 매체(3)를 배치하도록 정전 잠상을 부여해도 좋다. 또한, 정전 잠상의 패턴은 기판 상 격벽(4)이 형성하는 셀(14)의 위치에 대응하여, 그 개구부보다도 좁은 영역으로 할 수도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5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도4에 나타낸 표시 매체 충전 공정을 2개 연속시켜 흑색 표시 매체(3B) 및 백색 표시 매체(3W)를 패널 기판 사이에 충전하고, 그 후 패널을 부착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6은 본 발명의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도4에 나타낸 표시 매체 충전 공정을 2개 병설시켜, 흑색 표시 매체(3B) 및 백색 표시 매체(3W)를 2매의 패널 기판에 따로따로 충전시키고, 그 후 패널을 부착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7의 (a), 도7의 (b) 내지 도10의 (a), 도10의 (b)는 각각 셀 개구부 형상과 그에 대응하는 정전 잠상 패턴의 적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모두, 상술한 적합예로서 설명한 기판 상 격벽(4)이 형성하는 셀(14)의 개구부[도7의 (a), 도8의 (a), 도9의 (a), 도10의 (a)]에 대응하고, 셀 개구부보다도 정전 잠상의 패턴[도7의 (b), 도8의 (b), 도9의 (b), 도10의 (b)]을 좁게 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1 적합예의 설명>
도11은 본 발명의 제1 적합예에 관한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1 표시 매체 충전 공정을 플러스 대전의 표시 매체를 충전하는 플러스 대전 충전 공정으로 하고, 제2 표시 매체 충전 공정을 마이너스 대전의 표시 매체를 충전하는 마이너스 대전 충전 공정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표시 매체를 셀 내에 충전하는 표시 매체 충전 공정을, 플러스 대전 충전 공정, 제전 공정, 마이너스 대전 충전 공정으로 구성하고 있다. 이하, 도11을 참조하여 각 공정을 설명한다.
플러스 대전 충전 공정에서는, 우선, 대전 장치(31)를 이용하여, 감광체 등의 대전 매체 상, 여기서는 감광체 롤러(32) 상에, 플러스로 대전된 표시 매체(23)를 담지시킨다. 표시 매체(23)를 충전하려고 하는 격벽(24)에 의해 형성된 셀(33)을 갖는 기판(21)에 대해, 셀(33)을 설치한 측과 반대측의 이면측에 전사 장치(34)를 배치한다. 전사 장치(34)에 의해, 표시 매체(23)와는 역극성 여기서는 마이너스의 전위를 부여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감광체 롤러(32)를 회전시켜, 셀(33) 상에 반송된 플러스 대전의 표시 매체(23)를 전사 장치(34)로부터 부여되는 마이너스 전위에 의해 셀(33) 내에 유도하여 충전한다.
다음에, 제전 공정에서는, 플러스 대전 충전 공정 종료 후, 셀(33) 내에 충전된 플러스 대전의 표시 매체(23)에 대해, 제전 장치(35)에 의해 제전을 행한다. 이 제전 공정에서는, 제전에 의해 표시 매체(23)의 플러스 대전의 대전 레벨은 낮아지지만, 플러스 대전의 표시 매체(23)로서 필요한 대전량은 남도록 제전의 레벨을 제어한다.
다음에, 마이너스 대전 충전 공정에서는, 셀(33) 내에 먼저 충전되어 있는 플러스 대전의 표시 매체(23)에 중첩하여 마이너스 대전의 표시 매체(23)를 충전한다. 충전 방법은, 상술한 플러스 대전 충전 공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즉, 우선 대전 장치(31)를 이용하여, 감광체 등의 대전 매체 상, 여기서는 감광체 롤러(32) 상에 마이너스로 대전된 표시 매체(23)를 담지시킨다. 표시 매체(23)를 충전하려고 하는 격벽(24)에 의해 형성된 셀(33)을 갖는 기판(21)에 대해, 셀(33)을 설치한 측과 반대측의 이면측에 전사 장치(34)를 배치한다. 전사 장치(34)에 의해, 표시 매체(23)와는 역극성 여기서는 플러스의 전위를 부여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감광체 롤러(32)를 회전시켜, 셀(33) 상에 반송된 마이너스 대전의 표시 매체(23)를 전사 장치(34)로부터 부여되는 플러스 전위에 의해 셀(33) 내로 유도하여, 먼저 충전되어 있는 플러스 대전의 표시 매체(23)에 중첩하여 충전한다.
본 발명의 제1 적합예에서는, 종래의 입자를 산포하는 방법 대신에, 감광체 롤러(32) 상에서 표시 매체(23)를 대전시켜 두고, 표시 매체(23)를 충전하려고 하 는 기판(21)의 이면측에 표시 매체(23)와는 역극성의 전위를 부여하여 셀(33) 내에 대전된 표시 매체(23)를 유도하도록 하여 표시 매체(23)를 충전하는 방법에 의해, 충전하는 기판(21)과, 대전된 표시 매체(23)가 이동을 개시하는 위치를 근접시킴으로써, 격벽(24) 상에 표시 매체(23)가 부착되는 문제를 해소하는 동시에, 극성이 다른 2종류의 표시 매체(23)를 충전하는 경우에는, 2번째 종류의 표시 매체(23)의 충전에 앞서, 충전된 셀(33) 내의 표시 매체(23)에 대해 제전 장치(35)에 의해 제전을 행하도록 하였다. 상기에 의해, 극성이 다른 2번째 종류의 표시 매체(23)를 충전할 때에, 기판 이면측에 먼저 충전한 표시 매체(23)와는 역극성의 전위를 부여하여 셀(33) 내에 대전된 표시 매체(23)를 유도하도록 해도, 먼저 충전한 표시 매체(23)가 셀(33) 내로부터 돌출되어 버리는 문제도 해소할 수 있었다.
도12는 본 발명의 제1 적합예에 관한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을 실시하는 장치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플러스 대전 충전 공정, 제전 공정, 마이너스 대전 충전 공정을 반송 벨트(41) 상에서 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 표시 매체 충전 장치(4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을 연속해서 실시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적합예의 설명>
도13은 본 발명의 제2 적합예에 관한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표시 매체를 셀 내에 충전하는 표시 매체 충전 공정과, 표시 매체 충전 후, 표시 매체를 셀 내에 충전한 기판을 다음 공정으로 반송하는 충전 후 패널 반송 공정으로부터 본 발명의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을 구성하고 있다. 이하, 도13을 참조하여 각 공정을 설명한다.
표시 매체 충전 공정에서는, 우선 대전 장치(61)를 이용하여 감광체 등의 대전 매체 상, 여기서는 감광체 롤러(62) 상에, 일례로서 플러스로 대전된 표시 매체(53)를 담지시킨다. 표시 매체(53)를 충전하려고 하는 격벽(54)에 의해 형성된 셀(63)을 갖는 기판(51)에 대해, 셀(63)을 설치한 측과 반대측에 전사 장치(64)를 배치한다. 전사 장치(64)에 의해 표시 매체(53)와는 역극성 여기서는 마이너스의 전위를 부여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감광체 롤러(62)를 회전시켜, 셀(63) 상에 반송된 플러스 대전의 표시 매체(53)를 전사 장치(64)로부터 부여되는 마이너스 전위에 의해 셀(63) 내에 유도하여 충전한다. 또, 표시 매체(53)를 셀(63) 내에 충전한 기판(51)은 반송 벨트(65)에 의해 반송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충전 후 패널 반송 공정에서는, 표시 매체(53)를 셀(63) 내에 충전한 기판(51)을 반송 벨트(65)의 구동에 의해 다음 공정으로 반송할 때에, 기판(51)의 이면측에, 충전한 표시 매체(53)와는 역극성 여기서는 마이너스의 전위를 부여한 상태에서, 표시 매체(53)를 셀(63) 내에 충전한 기판(51)을 다음 공정으로 반송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 수단으로서의 반송 벨트(65)의 기판(51)과는 반대측에 설치한, 마이너스 전압 인가 장치(66)를 구성하는 연속되는 복수의 전압 인가 롤러(67)로부터 기판(51)에 대해 소정의 마이너스 전압을 인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2 적합예에서는, 종래의 입자를 산포하는 방법 대신에, 감광체 롤러(62) 상에서 표시 매체(53)를 대전시켜 두고, 표시 매체(53)를 충전하려고 하는 기판(51)의 이면측에 표시 매체(53)와는 역극성의 전위를 부여하여, 셀(63) 내에 대전된 표시 매체(53)를 유도하도록 하여 표시 매체(53)를 충전하는 방법에 의해, 충전하는 기판(51)과, 대전된 표시 매체(53)가 이동을 개시하는 위치를 근접시킴으로써, 격벽(54) 상에 표시 매체(53)가 부착되는 문제를 해소하고, 표시 매체(53)를 셀(63) 내에 충전하도록 하였다. 또한, 표시 매체(53)가 충전된 패널 기판(51)을 이동할 때에도, 패널 기판(51)의 이면측에 충전된 표시 매체(53)가 갖는 대전성과는 역극성의 전위를 계속해서 부여하도록 하였다. 상기에 의해, 표시 매체(53)가 충전된 패널 기판(51)을 이동할 때, 표시 매체(53)는 기판 이면측으로부터 작용하는 흡인력에 의해 셀 내에 고정되므로, 진동이나 바람 등의 외력을 받아도 셀(63) 내로부터 돌출되는 일이 없다.
도14는 본 발명의 제2 적합예에 관한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표시 매체(53)의 극성이 마이너스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고, 그로 인해 전사 장치(64)로부터는 플러스의 전위를 부여하도록 구성하고, 연속되는 복수의 전압 인가 롤러(67)로 구성되는 플러스 전압 인가 장치(68)를 이용하고 있다. 도14에 나타내는 예에서도, 플러스와 마이너스가 반대가 될 뿐으로, 도13에 나타내는 예와 같은 작용 및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15는 본 발명의 제2 적합예에 관한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5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도13에 나타내는 예 에 있어서의 연속되는 복수의 전압 인가 롤러(67)로 구성되는 마이너스 전압 인가 장치(66) 대신에, 마이너스 전압 인가 벨트(69)로 구성되는 마이너스 전압 인가 장치(66)를 이용하고 있다. 도15에 나타내는 예에서도, 도13에 나타내는 예와 같은 작용 및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3 적합예의 설명>
상술한 구성의 정보 표시용 패널을 제조하는 데 있어서, 본 발명의 제3 적합예의 특징은, 한쪽 극성으로 대전된 표시 매체를, 격벽 상에 마스크를 적재하는 동시에 기판의 이면측으로부터 표시 매체와는 역극성인 다른 쪽 극성의 전위를 부여하여 셀 내에 표시 매체를 충전하는 표시 매체 충전 공정과, 기판의 이면측에 충전한 표시 매체와는 역극성인 다른 쪽 극성의 전위를 부여한 상태에서 마스크를 격벽으로부터 제거하는 마스크 제거 공정을 구비하는 것에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적합예에 관한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6은 본 발명의 제3 적합예에 관한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우선 표시 매체(73)를 충전하려고 하는 기판(71)(또는 72) 상에, 셀 형상에 맞춘 개구를 갖는 마스크(91)를 셀(83)을 형성하는 격벽(74) 상에 적재한다. 이하, 표시 매체 충전 공정, 마스크 제거 공정, 패널 조립 공정을 행한다.
표시 매체 충전 공정에서는, 우선 대전 장치(81)를 이용하여 감광체 등의 대전 매체 상, 여기서는 감광체 롤러(82) 상에, 일례로서 플러스로 대전된 표시 매 체(73)를 담지시킨다. 표시 매체(73)를 충전하려고 하는 마스크(91)를 적재한 격벽(74)에 의해 형성된 셀(83)을 갖는 기판(71)(또는 72)에 대해, 셀(83)을 설치한 측과 반대측에 전사 장치(84)를 배치한다. 전사 장치(84)에 의해, 표시 매체(73)와는 역극성 여기서는 마이너스의 전위를 부여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감광체 롤러(82)를 회전시켜, 셀(83) 상에 반송된 플러스 대전의 표시 매체(73)를, 전사 장치(84)로부터 부여되는 마이너스 전위에 의해 마스크(91)를 통해 셀(83) 내에 유도하여 충전한다. 또, 표시 매체(73)를 셀(83) 내에 충전한 기판(71)은 반송 벨트(85)에 의해 반송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마스크 제거 공정에서는, 표시 매체(73)를 셀(83) 내에 충전한 기판(71)을 반송 벨트(85)의 구동에 의해 다음 공정으로 반송할 때에, 기판(71)의 이면측에 충전한 표시 매체(73)와는 역극성 여기서는 마이너스의 전위를 부여한 상태에서 마스크(91)를 격벽(74)으로부터 제거한다. 구체적으로는,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 벨트(85)의 기판(71)(또는 72)과는 반대측에 설치한, 여기에서는 마이너스 전위를 인가하기 위한 흡인용 전위 인가 장치(86)를 구성하는 연속되는 복수의 전압 인가 벨트(87)로부터 기판(71)에 대해 소정의 마이너스 전위를 인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패널 조립 공정에서는, 상술한 마스크 제거 공정이 종료된 후, 셀(83) 내에 소정의 표시 매체(73)를 충전한 기판(71)(또는 72)에 대해, 다른 한쪽의 기판(72)(또는 71)을 부착함으로써 정보 표시용 패널을 얻고 있다.
도17은 본 발명의 제3 적합예에 관한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7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도16에 나타내는 예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17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마스크 제거 공정에 있어서, 흡인용 전위 인가 장치(86)를 연속되는 복수의 전위 인가 롤러(88)로 구성하고 있다. 그 밖의 구성은 도12와 동일하다.
도18은 본 발명의 제3 적합예에 관한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의 또 다른 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8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도16에 나타내는 예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18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표시 매체 충전 공정에 있어서, 대전된 표시 매체(73)를 표시 매체 대전 공급 장치(89)를 이용하여 산포함으로써 셀(83) 내에 표시 매체(73)를 공급하고 있다. 그 밖의 구성은 도16과 동일하다.
또, 상술한 예에서는, 표시 매체로서 플러스로 대전된 표시 매체(73)를 이용하여 설명하였지만, 마이너스로 대전된 표시 매체(73)를 이용해도 본 발명의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3 적합예에 관한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에서는, 표시 매체 충전 공정에 있어서, 감광체 롤러(82)와 전사 장치(84)를 이용하여 셀(83) 내에 표시 매체(73)를 충전하거나, 혹은 표시 매체 대전 공급 장치(89)를 이용하여 셀(83) 내에 표시 매체(73)를 충전하는 경우에, 마스크(91)를 이용함으로써 격벽(74) 상에 남는 표시 매체(73)를 없앨 수 있고, 표시 매체(73)를 셀(83) 내에 적합하게 충전할 수 있다. 또한, 마스크 제거 공정에 있어서, 흡인용 전위 인가 장치(86)를 이용함으로써, 충전된 표시 매체(73)와는 역극성의 전위를 기판 이 면측으로부터 계속해서 작용시키고 있으므로, 셀(83) 내에 충전된 표시 매체(73)가 제거하는 마스크(91)와 함께 딸려 가지 않아 일정량의 표시 매체(73)를 셀(83) 내에 충전할 수 있다.
<제4 적합예의 설명>
도19는 본 발명의 제4 적합예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9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우선, 표시 매체(103)를 충전하려고 하는 기판(101)(또는 102) 상에 형성한 예를 들어 ITO 전극(121)[도2의 (a), 도2의 (b) 및 도3의 (a), 도3의 (b)에 있어서의 전극(5) 또는 전극(6)에 대응함]에 보조 리드(122)를 설치하여, 보조 리드(122)에 교류 전압 인가 장치(123)로부터 교류 전압을 인가한다. 이 상태에서, 이하에 설명하는 표시 매체 충전 공정을 행한다.
표시 매체 충전 공정에서는, 우선 대전 장치(111)를 이용하여 감광체 등의 대전 매체 상, 여기서는 감광체 롤러(112) 상에, 일례로서 플러스로 대전된 표시 매체(103)를 담지시킨다. 표시 매체(103)를 충전하려고 하는 격벽(104)에 의해 형성된 셀(113)을 갖는 기판(101)(또는 102)에 대해, 셀(113)을 설치한 측과 반대측에 전사 장치(114)를 배치한다. 전사 장치(114)에 의해, 표시 매체(103)와는 역극성 여기서는 마이너스의 전위를 부여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감광체 롤러(112)를 회전시켜, 셀(113) 상에 반송된 플러스 대전의 표시 매체(103)를 전사 장치(114)로부터 부여되는 마이너스 전위에 의해 마스크(121)를 통해 셀(113) 내에 유도하여 충전한다. 또, 표시 매체(103)를 셀(113) 내에 충전한 기판(101)은 반송 벨트(115)에 의해 반송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20은 본 발명의 제4 적합예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20에 나타내는 예에서, 도19에 나타내는 예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20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마이너스로 대전된 표시 매체(103)를 충전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고, 전사 장치(114)로부터는 플러스의 전위를 부여하고 있다. 이 경우에도, ITO 전극(121)에 교류 전압 인가 장치(123)로부터 교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본 발명을 달성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4 적합예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기판 이면측의 역극성의 전위 부여 수단인 전사 장치(114)와 셀(113) 내의 대전된 표시 매체(103) 사이에 존재하는 ITO 전극(121)에 교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감광체 롤러(112) 상에 배치된 대전된 표시 매체(103)가 기판측으로 이동하기 쉬워지고, 표시 매체(103)를 정밀도 좋게 셀(113) 내에 충전할 수 있다. 기판 상에 전극 등의 도전성 재료가 있어도 이동하게 되는 것에 대해, 그 이유는 아직 명확하지 않지만, 전자 사진 현상에서 보이는 토너 입자(대전 입자)의 점핑 현상과 같은 메커니즘이 작용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도21 및 도22는 각각 본 발명의 제4 적합예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21은 도19에 나타낸 플러스 대전의 표시 매체(103)를 충전하는 예를 나타내고, 도22는 도20에 나타낸 마이너스 대전의 표시 매체(103)를 충전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21 및 도22에 나타내는 제4 적합예의 제2 실시예에서는, ITO 전극(121)에 전위 인가 장치(124)로부터 인가하는 전위를 V1이라 하고, 기판(101)(또는 102)의 이면측에 부여하는 전위를 V2라 하였을 때의 V1과 V2의 관계를 |V1| < |V2|가 되도록 제어하고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4 적합예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ITO 전극(121)에 교류 전압 인가 장치(123)로부터 교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그리고, ITO 전극(121)에 전위 인가 장치(124)로부터 인가하는 전위를 V1이라 하고, 기판(101)(또는 102)의 이면측에 부여하는 전위를 V2라 하였을 때의 V1과 V2와의 관계를 |V1| < |V2|가 되도록 제어함으로써, 감광체 롤러(112) 상에 배치된 표시 매체(103)가 기판측으로 보다 이동하기 쉬워져, 표시 매체(103)를 보다 정밀도 좋게 셀(113) 내에 충전할 수 있다.
도23 및 도24는 각각 본 발명의 제4 적합예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23은 도21에 도시한 플러스 대전의 표시 매체(103)를 충전하는 예를 나타내고, 도24는 도22에 도시한 마이너스 대전의 표시 매체(103)를 충전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23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도21에 나타내는 예와 다른 점은, 전사 장치(114)로서 전사 롤러(116)를 사용한 점이며, 또한 도24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도22에 나타내는 예와 다른 점은, 전사 장치(114)로서 전사 벨트(117)를 사용한 점이다. 어떠한 경우도 본 발명의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을 적합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대상이 되는 정보 표시용 패널을 구성하는 각 부재에 대해 설명한다.
기판에 대해서는, 적어도 한쪽 기판은 정보 표시용 패널 외측으로부터 표시 매체의 색을 확인할 수 있는 투명한 기판(2)이며, 가시광의 투과율이 높고 또한 내열성이 좋은 재료가 적합하다. 기판(1)은 투명이든 불투명이든 상관없다. 기판 재료를 예시하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에테르 술폰, 폴리에틸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아크릴 등의 폴리머 시트나, 금속 시트와 같이 가요성이 있는 것, 그리고, 글래스, 석영 등의 가요성이 없는 무기 시트를 들 수 있다. 기판의 두께는, 2 내지 5000 ㎛가 바람직하고, 또한 5 내지 2000 ㎛가 적합하고, 지나치게 얇으면, 강도, 기판간의 간격 균일성을 유지하기 어려워지고, 5000 ㎛보다 두꺼우면, 박형 정보 표시용 패널로 하는 경우에 문제가 있다.
정보 표시용 패널에 전극을 설치하는 경우의 전극 형성 재료로서는, 알루미늄, 은, 니켈, 구리, 금 등의 금속류나 산화인듐주석(ITO), 산화인듐, 도전성 산화주석, 안티몬 주석 산화물(ATO), 도전성 산화아연 등의 도전 금속 산화물류,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폴리티오펜 등의 도전성 고분자류가 예시되어 적절하게 선택하여 이용된다. 전극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상기 예시의 재료를 스퍼터링법, 진공 증착법, CVD(화학 증착)법, 도포법 등에 의해 박막 형상으로 형성하는 방법이나, 도전제를 용매나 합성 수지 바인더에 혼합하여 도포하거나 하는 방법이 이용된다.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측이며 투명할 필요가 있는 표시면측 기판(2)에 설치하는 전극은 투명할 필요가 있지만, 배면측 기판(1)에 설치하는 전극은 투명할 필요는 없다. 어떠한 경우도 패턴 형성 가능하며 도전성인 상기 재료를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 전극 두께는 도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광 투과성에 지장이 없으면 좋고, 3 내지 1000 ㎚,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00 ㎚가 적합하다. 배면측 기판(1)에 설치하는 전극의 재질이나 두께 등은 상술한 표시면측 기판에 설치하는 전극과 마찬가지이지만, 투명할 필요는 없다. 또한, 이 경우의 외부 전압 입력은 직류 혹은 교류를 중첩해도 좋다.
기판에 설치하는 격벽의 높이나 폭은 표시에 관계되는 표시 매체의 종류에 따라 적절하게 최적 설정되고, 일률적으로는 한정되지 않지만, 격벽의 폭은 2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0 ㎛로, 격벽의 높이는 10 내지 500 ㎛,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0 ㎛로 조정된다. 표시측 기판과 배면측 기판을 중첩하여 얻어지는 정보 표시용 패널에 있어서의 셀 형상은 격벽 형상에 따라 도25에 예시하는 바와 같은 다양한 형상의 것이 이용된다. 표시면측으로부터 보이는 격벽 단면 부분에 상당하는 부분(격벽의 폭에 의해 형성되는 셀의 프레임부의 면적)은 가능한 한 작게 한 쪽이 좋고, 표시 상태의 선명함이 증가한다.
제4 적합예에 있어서의 표시 매체 충전 공정에서 이용하는 마스크에 대해, 그 개구 형상은 기판 상에 형성된 셀 형상에 맞추는 동시에, 개구부의 크기는 셀보다도 약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개구부의 크기가 셀보다도 크면, 마스크를 격벽에 적재하였을 때에 노출된 격벽 상에 표시 매체가 부착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마스크 형상을 예시하면 도26과 같은 것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정보 표시용 패널에서 표시 매체로서 예를 들어 이용하는 분류체에 대해 설명한다. 또, 본 발명의 정보 표시용 패널에서 이용하는 분류체의 명칭에 대해서는, 본 출원인이「전자 분류체(등록상표) : 등록 번호 4636931」의 권리를 얻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분류체(粉流體)」는, 기체의 힘도 액체의 힘도 빌리지 않고, 스스로 유동성을 나타내는, 유체와 입자의 특성을 겸비한 양자의 중간 상태의 물질이다. 예를 들어, 액정은 액체와 고체의 중간적인 상(相)으로 정의되고, 액체의 특징인 유동성과 고체의 특징인 이방성(광학적 성질)을 갖는 것이다(헤이본사 : 대백과사전). 한편, 입자의 정의는,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라도 유한한 질량을 가진 물체이며, 중력의 영향을 받는다고 되어 있다(마루젠 : 물리학사전). 여기서, 입자라도, 기고(氣固) 유동층체, 액고(液固) 유동체라는 특수 상태가 있고, 입자에 바닥판으로부터 기체를 흐르게 하면, 입자에는 기체의 속도에 대응하여 상향의 힘이 작용하고, 이 힘이 중력과 균형이 맞을 때에, 유체와 같이 용이하게 유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을 기고 유동층체라 부르고, 마찬가지로 유체에 의해 유동화시킨 상태를 액고 유동체라 부른다고 되어 있다(헤이본사 : 대백과사전). 이와 같이 기고 유동층체나 액고 유동체는, 기체나 액체의 흐름을 이용한 상태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기체의 힘도, 액체의 힘도 빌리지 않고, 스스로 유동성을 나타내는 상태의 물질을 특이적으로 만들어 낼 수 있는 것이 판명되어, 이를 분류체라 정의하였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의 분류체는, 액정(액체와 고체의 중간상)의 정의와 마찬가지로, 입자와 액체의 양 특성을 겸비한 중간적인 상태로, 앞서 서술한 입자의 특징인 중력의 영향을 가장 받기 힘들어, 고유동성을 나타내는 특이한 상태를 나타내는 물질이다. 이와 같은 물질은 에어졸 상태, 즉 기체 중에 고체상 혹은 액체상의 물질이 분산질로서 안정적으로 부유하는 분산계로 얻을 수 있고, 본 발명의 정보 표시용 패널로 고체 형상 물질을 분산질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정보 표시용 패널은, 적어도 한쪽이 투명한 대향하는 기판 사이에, 예를 들어 기체 중에 고체 입자가 분산질로서 안정적으로 부유하는 에어졸 상태에서 고유동성을 나타내는 분류체를 봉입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분류체는 분체의 유동성을 나타내는 지수인 안식각(安息角)을 형성하지 않을수록 유동성이 풍부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저전압의 인가 등으로 형성되는 전계에서 쿨롬력 등에 의해 용이하게 안정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표시 매체로서 예를 들어 이용하는 분류체라 함은,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기체의 힘도 액체의 힘도 빌리지 않고 스스로 유동성을 나타내는, 유체와 입자의 특성을 겸비한 양자의 중간 상태의 물질이다. 이 분류체는, 특히 에어졸 상태로 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정보 표시용 패널에서는, 기체 중에 고체상의 물질이 분산질로서 비교적 안정적으로 부유하는 상태를 용이하게 만들어 낼 수 있는 표시 매체로서 이용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정보 표시용 패널에 있어서 표시 매체를 구성하는 표시 매체용 입자(이하, 입자라고도 함)에 대해 설명한다. 표시 매체용 입자는, 그대로 상기 표시 매체용 입자만으로 구성하여 표시 매체로 하거나, 그 밖의 입자와 함께 구성하여 표시 매체로 하거나, 분류체가 되도록 조정 및 구성하여 표시 매체로 하 여 이용된다.
입자에는, 그 주성분이 되는 수지에, 필요에 따라서, 종래와 마찬가지로 하전 제어제, 착색제, 무기 첨가제 등을 포함시킬 수 있다. 이하에, 수지, 하전 제어제, 착색제, 기타 첨가제를 예시한다.
수지의 예로서는, 우레탄 수지, 우레아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우레탄 수지, 아크릴우레탄실리콘 수지, 아크릴우레탄불소 수지, 아크릴불소 수지, 실리콘 수지, 아크릴실리콘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스티렌아크릴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부티랄 수지, 염화비닐리덴 수지, 멜라민 수지, 페놀 수지, 불소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술폰 수지, 폴리에테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2종 이상 혼합할 수도 있다. 특히, 기판과의 부착력을 제어하는 관점으로부터, 아크릴우레탄 수지, 아크릴실리콘 수지, 아크릴불소 수지, 아크릴우레탄실리콘 수지, 아크릴우레탄불소 수지, 불소 수지, 실리콘 수지가 적합하다.
하전 제어제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마이너스 하전 제어제로서는 예를 들어, 살리실산 금속 착체, 함금속 아조 염료, 함금속(금속 이온이나 금속 원자를 포함) 유용성(油溶性) 염료, 4급 암모늄 염계 화합물, 카릭스아렌 화합물, 함붕소 화합물(벤질산붕소 착체), 니트로이미다졸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플러스 하전 제어제로서는, 예를 들어 니그로신 염료, 트리페닐메탄계 화합물, 4급 암모늄염계 화합물, 폴리아민 수지, 이미다졸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그 밖에, 초미립자 실리카, 초미립자 산화티탄, 초미립자 알루미나 등의 금속 산화물, 피리딘 등의 함 질소 환상(環狀) 화합물 및 그것의 유도체나 염, 각종 유기 안료, 불소, 염소, 질소 등을 포함한 수지 등도 하전 제어제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착색제로서는, 이하에 예시하는 바와 같은 유기 또는 무기의 각종, 각색의 안료, 염료가 사용 가능하다.
흑색 착색제로서는, 카본 블랙, 산화구리, 이산화망간, 아닐린 블랙, 활성탄 등이 있다.
청색 착색제로서는, C.I.피그먼트 블루 15:3, C.I.피그먼트 블루 15, 감청,코발트 블루, 알칼리 블루레이크, 빅토리아 블루레이크, 프탈로시아닌 블루, 무금속 프탈로시아닌 블루, 프탈로시아닌 블루 부분 염소화물, 퍼스트 스카이 블루, 인단트렌 블루 BC 등이 있다.
적색 착색제로서는, 벵갈라, 카드뮴 레드, 연단, 황화(硫化)수은, 카드뮴, 퍼머넌트 레드 4R, 리솔 레드, 피라졸론 레드, 워칭 레드, 칼슘염, 레이크 레드 D, 브릴리언트커민 6B, 에오신 레이크, 로더민 레이크 B, 알리자린 레이크, 브릴리언트커민 3B, C.I.피그먼트 레드 2 등이 있다.
황색 착색제로서는, 황연, 아연황, 카드뮴 옐로우, 황색산화철, 미네랄 퍼스트 옐로우, 니켈티탄 옐로우, 네이블 옐로우, 나프톨 옐로우 S, 한자 옐로우 G, 한자 옐로우 10G, 벤지딘 옐로우 G, 벤지딘 옐로우 GR, 퀴놀린 옐로우 레이크, 퍼머넌트 옐로우 NCG, 타트라진 레이크, C.I.피그먼트 옐로우 12 등이 있다.
녹색 착색제로서는, 크롬 그린, 산화크롬, 피그먼트 그린 B, C.I.피그먼트 그린 7, 말라카이트 그린 레이크, 파이널 옐로우 그린 G 등이 있다.
주황색 착색제로서는, 적색황연, 몰리브덴 오렌지, 퍼머넌트 오렌지 GTR, 피라졸론 오렌지, 발칸 오렌지, 인던트렌 브릴리언트 오렌지 RK, 벤지딘 오렌지 G, 인던트렌 브릴리언트 오렌지 GK, C.I.피그먼트 오렌지 31 등이 있다.
자색 착색제로서는, 망간자, 퍼스트 바이올렛 B, 메틸 바이올렛 레이크 등이 있다.
백색 착색제로서는, 아연화, 산화티탄, 안티몬 백, 유화아연 등이 있다.
체질 안료로서는, 바라이트분, 탄산바륨, 클레이, 실리카, 화이트카본, 탈크, 알루미나 화이트 등이 있다. 또한, 염기성, 산성, 분산, 직접 염료 등의 각종염료로서, 니그로신, 메틸렌 블루, 로즈벤갈, 퀴놀린 옐로우, 울트라마린 블루 등이 있다.
무기계 첨가제의 예로서는, 산화티탄, 아연화, 유화아연, 산화안티몬, 탄산칼슘, 연백, 탈크, 실리카, 규산칼슘, 알루미나 화이트, 카드뮴 옐로우, 카드뮴 레드, 카드뮴 오렌지, 티탄 옐로우, 감청, 군청, 코발트 블루, 코발트 그린, 코발트 바이올렛, 산화철, 카본 블랙, 망간페라이트 블랙, 코발트 페라이트 블랙, 구리분, 알루미늄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안료 및 무기계 첨가제는, 단독으로 혹은 복수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 중 특히 흑색 안료로서 카본 블랙이, 백색 안료로서 산화티탄이 바람직하다.
상기 착색제를 배합하여 원하는 색의 표시 매체용 입자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입자는 평균 입자 직경 d(0.5)가 0.1 내지 20 ㎛인 범위이 며, 균일하고 일정한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 입자 직경(d)(0.5)이 이 범위보다 크면 표시 상의 선명함이 부족하고, 이 범위보다 작으면 입자끼리의 응집력이 지나치게 커지기 때문에 표시 매체로서의 이동에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각 표시 매체용 입자의 입자 직경 분포에 관하여, 하기식에 나타내어지는 입자 직경 분포 스팬(Span)을 5 미만, 바람직하게는 3 미만으로 한다.
스팬(Span) = [d(0.9) - d(0.1)]/d(0.5)
[단, d(0.5)는 입자의 50 %가 이보다 크고, 50 %가 이보다 작은 입자 직경을 ㎛로 나타낸 수치, d(0.1)는 이 이하의 입자의 비율이 10 %인 입자 직경을 ㎛로 나타낸 수치, d(0.9)는 이 이하의 입자가 90 %인 입자 직경을 ㎛로 나타낸 수치임]
스팬을 5 이하의 범위에 들어가게 함으로써, 각 입자의 사이즈가 일정해지고, 표시 매체로서의 균일한 이동이 가능해진다.
또한, 각 표시 매체용 입자의 상관에 대해, 사용한 입자 중, 최대 직경을 갖는 입자의 d(0.5)에 대한 최소 직경을 갖는 입자의 d(0.5)의 비를 50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이하로 하는 것이 중요하다. 가령 입자 직경 분포 스팬을 작게 하였다 해도, 서로 대전 특성의 다른 입자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므로, 서로의 입자 사이즈가 가깝고, 서로의 입자가 당량씩 반대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적합하고, 그것이 이 범위가 된다.
또, 상기한 입자 직경 분포 및 입자 직경은, 레이저 회절/산란법 등으로부터 구할 수 있다. 측정 대상이 되는 입자에 레이저광을 조사하면 공간적으로 회절/산 란광의 광강도 분포 패턴이 생기고, 이 광강도 패턴은 입자 직경과 대응 관계가 있으므로, 입자 직경 및 입자 직경 분포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입자 직경 및 입자 직경 분포는 체적 기준 분포로부터 얻어진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Mastersizer2000(Malvern Instruments Ltd.) 측정기를 이용하여 질소 기류 중에 입자를 투입하고, 부속의 해석 소프트(Mie 이론을 이용한 체적 기준 분포를 기본으로 한 소프트)에 의해 입자 직경 및 입자 직경 분포의 측정을 행할 수 있다.
표시 매체용 입자의 대전량은 당연히 그 측정 조건에 의존하지만, 정보 표시용 패널에 있어서의 표시 매체용 입자의 대전량은 거의 초기 대전량, 격벽과의 접촉, 기판과의 접촉, 경과 시간에 수반하는 전하 감쇠에 의존하고, 특히 표시 매체용 입자의 대전 거동의 포화치가 지배 인자로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한 결과, 블로우 오프법에 있어서 동일한 캐리어 입자를 이용하여, 표시 매체용 입자의 대전량 측정을 함으로써, 표시 매체용 입자의 적정한 대전 특성치의 범위를 평가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조한 정보 표시용 패널을 표시 매체를 기중 공간에서 구동하는 건식의 정보 표시용 패널로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표시 매체를 둘러싸는 공극 부분의 기체의 관리가 중요하고, 표시 안정성 향상에 기여한다. 구체적으로는, 공극 부분의 기체의 습도에 대해, 25 ℃에 있어서의 상대 습도를 60 %RH 이하, 바람직하게는 50 %RH 이하로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공극 부분이라 함은, 도1의 (a), 도1의 (b) 내지 도3의 (a), 도3의 (b)에 있어서, 대향하는 기판(1), 기판(2)에 끼여 있는 부분으로부터, 전극(5, 6)(전극을 기판 내측에 설치한 경우), 표시 매체(3)(입자군 혹은 분류체)의 점유 부분, 격벽(4)의 점유 부분(격벽을 설치한 경우), 정보 표시용 패널의 밀봉 부분을 제외한 소위 표시 매체가 접하는 기체 부분을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공극 부분의 기체는, 앞서 서술한 습도 영역이면, 그 종류는 상관없지만, 건조 공기, 건조 질소, 건조 아르곤, 건조 헬륨, 건조 이산화탄소, 건조 메탄 등이 적합하다. 이 기체는, 그 습도가 유지되도록 정보 표시용 패널에 봉입하는 것이 필요하고, 예를 들어 표시 매체의 충전, 정보 표시용 패널의 조립 등을 소정 습도 환경하에서 행하고, 또한 외부로부터의 습도 침입을 방지하는 밀봉재, 밀봉 방법을 실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대상이 되는 정보 표시용 패널에 있어서의 기판과 기판의 간격은, 표시 매체를 이동할 수 있고, 콘트라스트를 유지할 수 있으면 좋지만, 통상 10 내지 500 ㎛,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0 ㎛로 조정된다.
건식의 정보 표시용 패널로 하는 경우, 대향하는 기판 사이의 공간에 있어서의 표시 매체의 체적 점유율은 5 내지 70 %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60 %이다. 70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표시 매체의 이동에 지장을 초래하고, 5 % 미만인 경우에는 콘트라스트가 불명확해지기 쉽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비교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정보 표시용 패널은 하기의 방법으로 제작한 것을 하기의 기준에 따라서 평가하였다.
「표시 매체의 준비」
실시예, 비교예에서는 표시 매체로서, 대전 특성이 다른 흑백 2색의 표시 매체(입자군 A, 입자군 B)를 이용하였다.
입자군 A는, 아크릴우레탄 수지 EAU53B(아지아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제)/IPDI계 가교제 액셀 하드너 HX(아지아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제)에 카본 블랙(MA100 미쯔비시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4 중량부, 하전 제어제 본트론 E89(오리엔트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제) 2 중량부를 첨가하여 혼련 후, 제트밀로 분쇄하고, 또한 하이브리다이져 장치(나라 기까이 세이사꾸쇼 가부시끼가이샤제)를 이용하여 기계적 충격력을 가하여 대략 구 형상으로 한 후 분급하여 제작하였다. 제작된 입자군 A는, 평균 입자 직경이 9.1 ㎛, 대략 구형이고 마이너스 대전성의 흑색 입자군이었다.
입자군 B는, 터셔리부틸메타크릴레이트모노머 80 중량부와 메타크릴산2-(디에틸아미노)에틸모노머-20 중량부에 0.5 중량부의 AIBN(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을 용해하고, 커플링제 처리하여 친유성으로 한 산화티탄 20 중량부를 분산시켜 얻어진 액을, 10배량의 0.5 % 계면 활성제(라우릴 황산나트륨) 수용액에 현탁 및 중합시켜, 여과 및 건조시킨 후, 분급기(MDS-2 : 니혼 뉴마틱 고오교오)를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제작된 입자군 B는, 평균 입자 직경이 8.5 ㎛이고 플러스 대전성의 구형 백색 입자이며, 이를 입자군 B라 하였다.
「패널 기판의 제작」
ITO 전극이 부착된 글래스제 투명 기판(7 ㎝ × 7 ㎝□)을 준비하고, 한쪽의 기판 상에 높이 50 ㎛의 리브를 만들고, 사각형, 격자형 배치의 격벽을 형성하였다.
격벽의 형성은 다음과 같이 행하였다. 감광성 필름인 니찌고오 모튼사제 드라이 필름 포토레지스트 NIT250을 ITO가 부착된 글래스 상에 라미네이트하고, 노광, 현상에 의해 원하는 라인 30 ㎛, 스페이스 320 ㎛, 피치 350 ㎛의 격벽을 형성하였다. 다른 한쪽의 기판에는, ITO 전극이 부착된 글래스제 투명 기판(7 ㎝ × 7 ㎝□)을 준비하였다.
(주된 발명의 실시예)
<제1 실시예>
광학적 반사율과 대전 특성이 다른 2종류의 입자군(입자군 A, 입자군 B)을 도5에 나타낸 표시 매체 충전 공정에 의해, 격벽이 형성된 한쪽 기판의 셀 내에 연속해서 충전하였다. 입자군 A와 입자군 B의 충전 배치량은 동체 적량씩으로 하고, 2매의 기판을 부착하여 생기는 기판 사이에 대한 양방의 입자군이 합쳐진 체적 점유율이 25 vol%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다음에, 입자군이 셀 내에 충전 배치된 기판에 다른 한쪽의 기판을 서로 중첩하여, 기판 주변의 외주 부분을 에폭시계 접착제로 접착 및 밀봉하여 표시 매체(입자군 A 및 입자군 B)를 봉입하고, 정보 표시용 패널을 제작하였다.
<제2 실시예>
광학적 반사율과 대전 특성이 다른 2종류의 입자군(입자군 A, 입자군 B)을 도6에 나타낸 표시 매체 충전 공정에 의해, 격벽이 형성된 기판의 셀 내와, 격벽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다른 한쪽의 기판의 셀 내에 따로따로 충전하였다. 입자군 A와 입자군 B의 충전 배치량은 동체 적량씩으로 하여, 2매의 기판을 부착하여 생기는 기판 사이에 대한 양방의 입자군이 합쳐진 체적 점유율이 25 vol%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다음에, 입자군이 셀 내에 충전 배치된 2매의 기판을 중첩하여 기판 주변의 외주 부분을 에폭시계 접착제로 접착 및 밀봉하여 표시 매체(입자군 A 및 입자군 B)를 봉입하고, 정보 표시용 패널을 제작하였다.
<제1 비교예>
분체 대전 산포 장치를 이용하여, 격벽이 형성된 기판 상에 직접 입자군 A, 입자군 B의 순서로 소정량의 표시 매체(입자군 A 및 입자군 B)를 기판의 셀 내에 산포하여 충전한 이외에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여 정보 표시용 패널을 제작하였다. 즉, 본 발명의 표시 매체 충전 공정은 이용하지 않고 표시 매체의 충전을 행하여 정보 표시용 패널을 제작하였다.
상술한 제1 실시예, 제2 실시예 및 제1 비교예에 대해, 표시 매체 충전 후의 상황과 기판을 중첩한 패널의 상황을 조사하였다. 결과를 이하의 표1에 나타낸다.
[표1]
제1 실시예 제2 실시예 제1 비교예
표시 매체 충전 공정 표시 매체 대전 담지 공정/표시 매체 배열 공정/표시 매체 전사 충전 공정 표시 매체 대전 담지 공정/표시 매체 배열 공정/표시 매체 전사 충전 공정 분체 대전 산포
표시 매체 충전 후의 상황 격벽 상에 표시 매체는 적재되어 있지 않았음 격벽 상에 표시 매체는 적재되어 있지 않았음 격벽 상에 표시 매체가 적재된 상태였음
기판을 중첩한 패널의 상황 소정 패널 두께를 얻었음 소정 패널 두께를 얻었음 소정의 패널 두께보다도 두껍고, 그 패널 두께에도 변동이 있었음
표1의 결과로부터 이하의 것을 알 수 있다. 표시 매체를, 본 발명의 표시 매체 대전 담지 공정과, 표시 매체 배열 공정과, 표시 매체 전사 충전 공정으로 구성되는 표시 매체 충전 공정에 따라서 충전하여 제작한 정보 표시용 패널을 이용한 제1 실시예, 제2 실시예의 정보 표시용 패널에서는, 표시 매체 충전시에 격벽 상에 표시 매체가 적재되지 않아, 그대로 기판을 중첩하여 패널로 해도 전혀 문제가 없는 상황이었다. 한편, 표시 매체를 본 발명의 충전 공정을 이용하지 않고 분체 대전 산포 장치를 이용하여 충전한 제1 비교예에서는, 표시 매체 충전시에 격벽 상에 표시 매체가 적재되어, 그대로 기판을 중첩하여 패널로 하는 것에는 문제가 있는 상황이었다.
(제1 적합예에 관한 실시예)
<제11 실시예>
대전 특성이 다른 흑백 2종류의 표시 매체(입자군 A와 입자군 B)를 도11에 나타낸 표시 매체 충전 공정에 따라서, 격벽이 형성된 한쪽 기판의 셀 내에 연속해서 충전하였다. 우선, 흑색 표시 매체(흑색 입자군)를 충전하고, 공기 이온식의 이온 발생기(가부시끼가이샤 키엔스제 SJ-F010)로 제전 후, 백색 표시 매체(백색 입자군)를 중첩하여 충전하였다. 충전 공정 종료 후의 상태를 관찰 평가한 결과를 이하의 표2에 나타낸다.
<제12 실시예>
대전 특성이 다른 흑백 2종류의 표시 매체(입자군 A와 입자군 B)를 충전하는 순서를 반대로 한 것 이외에는 제1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여 표시 매체의 충전을 행하였다. 충전 공정 종료 후의 상태를 관찰 평가한 결과를 이하의 표2에 나타낸다.
<제13 실시예>
제전 공정에, 코로나 방전식의 이온 발생기(가부시끼가이샤 키엔스제 SJ-R036)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제1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여 표시 매체의 충전을 행하였다. 충전 공정 종료 후의 상태를 관찰 평가한 결과를 이하의 표2에 나타낸다.
<제11 비교예>
제전 공정을 마련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제1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여 표시 매체의 충전을 행하였다. 충전 공정 종료 후의 상태를 관찰 평가한 결과를 이하의 표2에 나타낸다.
[표2]
제11 실시예 제12 실시예 제13 실시예 제11 비교예
제전 공정 있음 공기 이온식 있음 공기 이온식 있음 코로나 방전식 없음
충전 공정 종료 후의 패널의 상황 격벽 상에 표시 매체 부착이 없고, 소정량의 표시 매체 충전을 행할 수 있었음 격벽 상에 표시 매체 부착이 없고, 소정량의 표시 매체 충전을 행할 수 있었음 격벽 상에 표시 매체 부착이 없고, 소정량의 표시 매체 충전을 행할 수 있었음 제2 표시 매체 충전시에, 모두 충전된 제1 표시 매체가 셀로부터 돌출되어 격벽 상에 부착하여 소정량의 표시 매체 충전을 행할 수 없었음
표2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 내지 제13 실시예에서는 소정량의 표시 매체 충전을 행할 수 있었던 것에 대해, 제11 비교예에서는 제2 표시 매체(여기서는 백색 표시 매체)의 충전시에 제1 표시 매체(여기서는 흑색 표시 매체)가 돌 출되어 소정량의 표시 매체의 충전을 행할 수 없었던 것을 알 수 있다.
(제2 적합예에 관한 실시예)
<제21 실시예>
대전 특성이 다른 흑백 2종류의 표시 매체(입자군 A와 입자군 B)를 도13에 나타낸 표시 매체 충전 공정 및 도14에 나타낸 표시 매체 충전 공정에 각각 따라서, 격벽이 형성된 한쪽 기판의 셀 내 및 격벽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다른 한쪽의 기판 상에 각각 충전(배치)한 후, 흑색 표시 매체(흑색 입자군)를 충전한 기판에 백색 표시 매체(백색 입자군)를 충전한 기판을 중첩하여 정보 표시용 패널로 하였다. 2매의 패널용 기판에 대해 충전 공정을 종료하고, 기판 중첩 공정까지 반송된 후의 상태를 관찰 평가한 결과를, 이하의 표3에 나타낸다.
<제22 실시예>
대전 특성이 다른 흑백 2종류의 표시 매체(입자군 A와 입자군 B)를 도15에 나타낸 표시 매체 충전 공정(표시 매체의 대전 극성에 대응하여 각각 준비한 2개의 공정)에 따라서, 격벽이 형성된 한쪽 기판의 셀 내 및 격벽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다른 한쪽의 기판 상에 각각 충전(배치)한 후, 흑색 표시 매체(흑색 입자군)를 충전한 기판에 백색 표시 매체(백색 입자군)를 충전한 기판을 중첩하여 정보 표시용 패널로 하였다. 2매의 패널용 기판에 대해 충전 공정을 종료하고, 기판 중첩 공정까지 반송된 후의 상태를 관찰 평가한 결과를 이하의 표3에 나타낸다.
<제21 비교예>
충전 후 패널 반송 공정에 있어서, 배치한 연속하는 복수의 롤러에 전압을 부여하지 않은 상태에서 패널 기판 반송을 행한 것 이외에는 제2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여 패널 기판 반송 공정을 행하고, 기판 중첩 공정까지 반송된 후의 상태를 관찰 평가한 결과를 이하의 표3에 나타낸다.
[표3]
제21 실시예 제22 실시예 제21 비교예
패널 기판 반송 공정에서의 전압 인가 있음 연속된 복수의 전압 인가 롤러 있음 전압 인가 벨트 없음
패널 기판 반송 공정 종료 후, 기판 중첩 전의 패널 기판의 상황 격벽 상에 표시 매체 부착이 없고, 충전된 표시 매체의 비산 손실도 없었음 격벽 상에 표시 매체 부착이 없고, 충전된 표시 매체의 비산 손실도 없었음 격벽 상에 표시 매체 부착이 있고, 충전된 표시 매체의 비산 손실도 있었음
표3의 결과로부터 이하를 알 수 있었다. 제21 실시예, 제22 실시예에서는, 표시 매체 충전 후, 기판 중첩까지의 패널 기판 반송 공정에서, 패널 기판의 이면측으로부터, 충전한 표시 매체가 갖는 대전 극성과는 역극성의 전압 인가를 행하였으므로, 반송 중에 기판의 셀 내로부터 충전한 표시 매체가 돌출되는 일이 없고, 격벽 상에도 부착되는 일이 없어, 그대로 패널 기판의 중첩을 행할 수 있었다. 한편, 제21 비교예에서는, 표시 매체 충전 후, 기판 중첩까지의 패널 기판 반송 공정에서, 패널 기판의 이면측으로부터 충전한 표시 매체가 갖는 대전 극성과는 역극성의 전압 인가를 행하지 않았으므로, 반송 중에 기판의 셀 내로부터 충전한 표시 매체가 돌출되어 충전한 표시 매체량에 손실이 있고, 격벽 상에도 표시 매체의 부착이 있었으므로, 그대로 패널 기판의 중첩을 행할 수 없었다.
(제3 적합예에 관한 실시예)
제3 적합예에서는, 상술한 입자군 B로 이루어지는 백색 표시 매체를 사용하 고, 그 대전량은 +10 μC/g(플러스 대전)이었다. 또한, 패널 기판의 제작에 있어서, 사각형, 격자형 배치의 격벽 외에 육각형, 벌집형 배치의 격벽도 형성하였다.
<제31 실시예>
사각형, 격자형 배치의 격벽이 형성된 기판에, 격벽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마스크(셀 개구보다도 약간 작은 개구의 마스크)를 적재하여, 도16에 나타낸 표시 매체 충전 공정에 따라서 준비한 백색 표시 매체를 셀에 충전하였다. 충전 배치량은 2매의 기판을 부착하여 생기는 기판 사이에 대한 체적 점유율이 25 vol%가 되도록 조제하였다.
다음에, 도16에 나타낸 마스크 제거 공정에 따라서, 기판 이면측에 배치된 흡인 전위 인가 장치에 전위를 인가한 상태에서, 표시 매체가 적재된 마스크를 기판으로부터 제거하여 표시 매체의 충전을 종료하였다.
<제32 실시예>
육각형, 벌집형 배치의 격벽이 형성된 기판에, 격벽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마스크(셀 개구보다도 약간 작은 개구의 마스크)를 적재하여, 도16에 나타낸 표시 매체 충전 공정에 따라서 준비한 백색 표시 매체를 셀에 충전하였다. 충전 배치량은 2매의 기판을 부착하여 생기는 기판 사이에 대한 체적 점유율이 25 vol%가 되도록 조제하였다.
다음에, 도16에 나타낸 마스크 제거 공정에 따라서 기판 이면측에 배치된 흡인 전위 인가 장치에 전위를 인가한 상태에서, 표시 매체가 적재된 마스크를 기판으로부터 제거하여 표시 매체의 충전을 종료하였다.
<제31 비교예>
사각형, 격자형 배치의 격벽이 형성된 기판에, 격벽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마스크(셀 개구보다도 약간 작은 개구의 마스크)를 적재하여, 도16에 도시한 표시 매체 충전 공정에 따라서 준비한 백색 표시 매체를 셀에 충전하였다. 충전 배치량은 2매의 기판을 부착하여 생기는 기판 사이에 대한 체적 점유율이 25 vol%가 되도록 조제하였다.
다음에, 도16에 나타낸 마스크 제거 공정에서, 기판 이면측에 배치된 흡인 전위 인가 장치에 전위를 인가시키지 않은 상태에서(즉, 본 발명의 마스크 제거 공정을 이용하지 않고), 표시 매체가 적재된 마스크를 기판으로부터 제거하여 표시 매체의 충전을 종료하였다.
<제32 비교예>
육각형, 벌집형 배치의 격벽이 형성된 기판에, 격벽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마스크(셀 개구보다도 약간 작은 개구의 마스크)를 적재하여, 도16에 나타낸 표시 매체 충전 공정에 따라서 준비한 백색 표시 매체를 셀에 충전하였다. 충전 배치량은 2매의 기판을 부착하여 생기는 기판 사이에 대한 체적 점유율이 25 vol%가 되도록 조제하였다.
다음에, 도16에 나타낸 마스크 제거 공정에서, 기판 이면측에 배치된 흡인 전위 인가 장치에 전위를 인가시키지 않은 상태에서(즉, 본 발명의 마스크 제거 공정을 이용하지 않고), 표시 매체가 적재된 마스크를 기판으로부터 제거하여 표시 매체의 충전을 종료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표4에 나타낸다.
[표4]
제31 실시예 제32 실시예 제31 비교예 제32 비교예
흡인용 전위 인가 장치에 의한 인가의 유무 있음 있음 없음 없음
마스크 형상 사각형 육각형 사각형 육각형
마스크 제거시의 관찰 결과 충전된 표시 매체가 마스크에 딸려 가는 일이 없었음 충전된 표시 매체가 마스크에 딸려 가는 일이 없었음 충전된 표시 매체가 마스크에 딸려 가거나, 격벽 상에 부착하는 일이 있었음 충전된 표시 매체가 마스크에 딸려 가거나 격벽 상에 부착하는 일이 있었음
표4의 결과로부터, 표시 매체 충전 후의 마스크 제거 공정에 있어서, 기판의 이면측에 배치한 흡인용 전위 인가 장치를 인가 상태로 하여 마스크를 제거한 제31 실시예, 제32 실시예에서는, 충전한 표시 매체가 마스크에 딸려 가는 일이 없어 소정량의 표시 매체 충전을 행할 수 있지만, 표시 매체 충전 후의 마스크 제거 공정에 있어서, 기판의 이면측에 배치한 흡인용 전위 인가 장치를 인가 상태로 하지 않고 마스크를 제거한 제31 비교예, 제32 비교예에서는, 충전한 표시 매체가 마스크에 딸려 가게 되거나, 마스크에 딸려 가게 된 표시 매체가 격벽 상에 부착되어 소정량의 표시 매체 충전을 행할 수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제4 적합예에 관한 실시예)
제4 적합예에서는, 상술한 패널 기판의 제작에 있어서, ITO 전극에는 리드를 설치하여 외부 전원으로부터 기판 상의 ITO 전극 전체에 동전위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41 실시예>
색과 대전 특성이 다른 2종류의 표시 매체(입자군 A와 입자군 B)를 도19, 도20에 나타낸 표시 매체 충전 공정을 연속해서 행함으로써, 100 V의 교류 전압을 ITO 전극에 인가하면서 격벽이 형성된 한쪽 기판의 셀 내에 연속해서 충전하였다.
<제42 실시예>
색과 대전 특성이 다른 2종류의 표시 매체(입자군 A와 입자군 B)를 도21, 도22에 나타낸 표시 매체 충전 공정을 연속해서 이용하고, 격벽이 형성된 한쪽 기판의 셀 내에 충전(배치)하였다. 도21에 나타낸 공정에서는, V1 = -150 V, V2 = -200 V로 하고, 도22에 나타낸 공정에서는, V1 = +150 V, V2 = +200 V로 하였다.
<제41 비교예>
교류 전압을 인가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제4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여 표시 매체의 충전을 행하였다. 즉, 본 발명의 표시 매체 충전 공정은 이용하지 않고 표시 매체의 충전을 행하였다.
<제42 비교예>
색과 대전 특성이 다른 2종류의 표시 매체(입자군 A와 입자군 B)를 도21, 도22에 나타낸 표시 매체 충전 공정을 연속해서 이용하여, 격벽이 형성된 한쪽 기판의 셀 내에 충전(배치)하였다. 도21에 나타낸 공정에서는, V1 = -200 V, V2 = -150 V로 하고, 도22에 나타낸 공정에서는 V1 = +200 V, V2 = +150 V로 하였다.
이상의 기판 내 셀로의 표시 매체 충전 공정에서 표시 매체 충전을 행한 후의 상태를 관찰 평가한 결과를 표5에 나타낸다.
[표5]
제41 실시예 제42 실시예 제41 비교예 제42 비교예
표시 매체 충전 공정에서의 전위 인가(볼트) 교류 전압 V = 100 (플러스 대전 입자 충전 공정) V1 = -150, V2 = -200 (마이너스 대전 입자 충전 공정) V1 = +150, V2 = +200 인가 없음 (플러스 대전 입자 충전 공정) V1 = -200, V2 = -150 (마이너스 대전 입자 충전 공정) V1 = +200, V2 = +150
표시 매체 충전 상황 격벽 상에 표시 매체를 부착하지 않고 충전을 행할 수 있었음 격벽 상에 표시 매체를 부착하지 않고 충전을 행할 수 있었음 표시 매체가 비상하지 않아 충전을 행할 수 없었음 표시 매체가 비상하지 않아 충전을 행할 수 없었음
표5의 결과로부터, 제41 실시예, 제42 실시예에서는, ITO 전극에 교류 전압의 인가, 혹은 ITO 전극에 인가하는 전위 V1과 기판 이면측에 인가하는 전위 V2와의 관계를 |V1| < |V2|가 되도록 하였으므로, 감광체 롤러 상에 배치한 표시 매체가 비상하여 기판 상 셀 내에 정밀도 좋게 충전할 수 있지만, 제11 비교예, 제12 비교예에서는 ITO 전극에 교류 전압의 인가를 하지 않거나, 혹은 ITO 전극에 인가하는 전위 V1과 기판 이면측에 인가하는 전위 V2와의 관계를 |V1| < |V2|가 되도록 하지 않았으므로, 감광체 롤러 상에 배치한 표시 매체가 비상하지 않아 기판 상 셀 내에 표시 매체를 충전할 수 없었던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되는 정보 표시용 패널은, 퍼스널 컴퓨터, PDA, 휴대 전화, 핸디 터미널 등의 모바일 기기의 표시부, 전자 북, 전자 신문 등의 전자 페이퍼, 간판, 포스터, 칠판 등의 게시판, 전자 계산기, 가전 제품, 자동차 용품 등의 표시부, 포인트 카드, IC 카드 등의 카드 표시부, 전자 광고, 정보 보드, 전자 POP(Point Of Presence, Point Of Purchase advertising), 전자 재고표, 전자 정가표, 전자 악보, RF-ID 기기의 표시부 등에 적합하게 이용된다.

Claims (17)

  1. 적어도 한쪽이 투명한 대향하는 2매의 기판 사이의 격벽에 의해 형성된 셀 내에 적어도 1종류 이상의 입자로 구성되는 광학적 반사율 및 대전성을 갖는 적어도 1종류 이상의 표시 매체를 봉입하고, 표시 매체에 전계를 부여함으로써 표시 매체를 이동시켜 화상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표시 매체를 셀 내에 충전하는 표시 매체 충전 공정이, 대전된 표시 매체를 담지하는 표시 매체 대전 담지 공정과, 담지된 표시 매체를 정전 잠상을 기초로 하여 배열하는 표시 매체 배열 공정과, 배열시킨 표시 매체를 셀 내에 전사하여 충전하는 표시 매체 전사 충전 공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매체 배열 공정에 있어서의 정전 잠상을 기초로 하는 패턴이, 기판 상 격벽이 형성하는 셀 개구부에 대응하고, 셀 개구부보다도 좁은 영역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매체 대전 담지 공정을, 표시 매체 대전 공급 장치로부터 대전된 표시 매체를 표시 매체 담지 롤러에 공급함으로써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매체 배열 공정을, 정전 잠상 형성 장치에 의해 감광체 드럼 표면에 소정 패턴의 정전 잠상을 형성하고, 감광체 드럼 상에 정전 잠상을 기초로 하여 표시 매체를 배열함으로써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매체 전사 충전 공정을, 배열시킨 표시 매체와 전사 장치 사이에 셀을 갖는 기판을 통과시켜, 셀 내에 표시 매체를 전사하여 충전함으로써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매체 충전 공정이, 충전하는 표시 매체의 종류의 수만큼 연속해서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매체 충전 공정이, 각각 2매의 기판에 대해 충전하는 표시 매체의 종류의 수만큼 마련되고, 표시 매체 충전 공정이 병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매체 전사 충전 공정이, 기판의 셀 상에 한쪽 극성으로 대전된 표시 매체를 배치하고 기판의 이면측으로부터 표시 매체와는 역극성인 다른 쪽 극성의 전위를 부여하여 셀 내에 표시 매체를 충전하는 제1 표시 매체 충전 공정과, 셀 내에 충전한 표시 매체에 대해 제전을 행하는 제전 공정과, 한쪽 극성으로 대전된 표시 매체를 충전한 셀 상에 다른 쪽 극성으로 대전된 표시 매체를 배치하고 기판의 이면측으로부터 표시 매체와는 역극성인 한쪽 극성의 전위를 부여하여 셀 내에 표시 매체를 충전하는 제2 표시 매체 충전 공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 극성이 다른 2종류의 표시 매체가 다른 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매체 전사 충전 공정이, 기판의 셀 상에 한쪽 극성으로 대전된 표시 매체를 배치하고 기판의 이면측으로부터 표시 매체와는 역극성인 다른 쪽 극성의 전위를 부여하여 셀 내에 표시 매체를 충전하는 표시 매체 충전 공정과, 기판의 이면측에, 충전한 표시 매체와는 역극성인 다른 쪽 극성의 전위를 부여한 상태에서 표시 매체를 셀 내에 충전한 기판을 다음 공정으로 반송하는 충전 후 패널 반송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후 패널 반송 공정을, 표시 매체를 충전한 기판을 반송 수단에 의해 반송하고, 반송 중, 반송 수단의 기판과는 반대측에 설치한 전압 인가 보조 수단으로부터 소정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인가 보조 수단이 연속되는 복수의 전압 인가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인가 보조 수단이 전압 인가 벨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매체 전사 충전 공정이, 한쪽 극성으로 대전된 표시 매체를, 격벽 상에 마스크를 적재하는 동시에 기판의 이면측으로부터 표시 매체와는 역극성인 다른 쪽 극성의 전위를 부여하여 셀 내에 표시 매체를 충전하는 표시 매체 충전 공정과, 기판의 이면측에, 충전한 표시 매체와는 역극성인 다른 쪽 극성의 전위를 부여한 상태에서 마스크를 격벽으로부터 제거하는 마스크 제거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매체 전사 충전 공정이, 기판의 셀 상에 한쪽 극성으로 대전된 표시 매체를 배치하고, 기판의 이면측으로부터 표시 매체와는 역극성인 다른 쪽 극성의 전위를 부여하는 동시에, 기판 상에 설치한 전극에 교류 전압을 인가하여 셀 내에 표시 매체를 충전하는 표시 매체 충전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매체 전사 충전 공정이, 기판의 셀 상에 한쪽 극성으로 대전된 표시 매체를 배치하고, 기판의 이면측으로부터 표시 매체와는 역극성인 다른 쪽 극성의 전위를 부여하는 동시에, 기판 상에 설치한 전극에 전위 V1을 인가하고, 기판의 이면측에 전위 V2를 인가하여, 양 전위의 관계를 |V1| < |V2|로 하여, 셀 내에 표시 매체를 충전하는 표시 매체 충전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매체가 입자군 또는 분류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
KR1020077024558A 2005-04-26 2006-04-25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 KR1009268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27923 2005-04-26
JP2005127923 2005-04-26
JP2005131876A JP4632850B2 (ja) 2005-04-28 2005-04-28 情報表示用パネルの製造方法
JPJP-P-2005-00131876 2005-04-28
JPJP-P-2005-00130652 2005-04-28
JP2005130652A JP2006308819A (ja) 2005-04-28 2005-04-28 情報表示用パネルの製造方法
JPJP-P-2005-00133941 2005-05-02
JP2005133941A JP2006309046A (ja) 2005-05-02 2005-05-02 情報表示用パネルの製造方法
JP2005133928A JP2006309045A (ja) 2005-05-02 2005-05-02 情報表示用パネルの製造方法
JPJP-P-2005-00133928 2005-05-02
JPJP-P-2006-00119327 2006-04-24
JP2006119327A JP2006330707A (ja) 2005-04-26 2006-04-24 情報表示用パネル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4834A true KR20070114834A (ko) 2007-12-04
KR100926843B1 KR100926843B1 (ko) 2009-11-13

Family

ID=37307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4558A KR100926843B1 (ko) 2005-04-26 2006-04-25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835064B2 (ko)
KR (1) KR100926843B1 (ko)
CN (1) CN101167014B (ko)
WO (1) WO200611811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342B1 (ko) * 2011-04-29 2013-08-06 주식회사 넥스트파피루스 반사형 디스플레이 장치
KR101407022B1 (ko) * 2009-09-14 2014-06-12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입자 주입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32168B2 (ja) * 2007-03-08 2013-01-30 株式会社リコー 画像表示素子用構造体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並びに電気泳動表示素子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20100077458A (ko) * 2008-12-29 2010-07-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전자 종이 장치 및 그의 입자 어드레싱 방법
US8850689B2 (en) * 2012-03-23 2014-10-07 Delta Electronics, Inc. Method for manufacturing switchable particle-based display using a pre-filling proces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24153B1 (en) * 1999-05-14 2003-02-25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for producing display device
WO2003027763A1 (fr) 2001-09-19 2003-04-03 Bridgestone Corporation Afficheur d'image, procede d'affichage d'image et procede de fabrication d'afficheur d'image
JP4423838B2 (ja) * 2001-09-28 2010-03-0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表示素子
JP2003241231A (ja) 2001-12-13 2003-08-27 Bridgestone Corp 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04094137A (ja) * 2002-09-04 2004-03-25 Hitachi Ltd 画像表示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と分解方法
JP2004199003A (ja) 2002-12-20 2004-07-15 Bridgestone Corp 画像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
JP2004233575A (ja) * 2003-01-29 2004-08-19 Canon Inc 電気泳動表示装置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7022B1 (ko) * 2009-09-14 2014-06-12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입자 주입 장치 및 방법
KR101294342B1 (ko) * 2011-04-29 2013-08-06 주식회사 넥스트파피루스 반사형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67014A (zh) 2008-04-23
WO2006118116A1 (ja) 2006-11-09
KR100926843B1 (ko) 2009-11-13
US20090273826A1 (en) 2009-11-05
CN101167014B (zh) 2010-06-16
US7835064B2 (en) 2010-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97807B2 (ja) 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0926843B1 (ko)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
EP1662305B1 (en) Image display panel manufacturing method
JP4787566B2 (ja) 情報表示用パネルの製造方法
JP4895528B2 (ja) 情報表示用パネル
JP4614711B2 (ja) 画像表示用パネルの製造方法
JP2006330707A (ja) 情報表示用パネルの製造方法
JP2006139266A (ja) 情報表示用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情報表示用パネル
JP4614714B2 (ja) 画像表示用パネルの製造方法
JP4925606B2 (ja) 情報表示用パネルの製造方法
JP2006145937A (ja) 情報表示用パネル、表示媒体充填用マスクおよび情報表示用パネルの製造方法
JP2006309067A (ja) 情報表示用パネルの製造方法
JP4820576B2 (ja) 情報表示用パネルの製造方法
JP4679164B2 (ja) 情報表示用パネルの製造方法および情報表示用パネル
JP4632850B2 (ja) 情報表示用パネルの製造方法
JP4863644B2 (ja) 情報表示用パネルの製造方法
JP2006058544A (ja) 画像表示用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6309046A (ja) 情報表示用パネルの製造方法
JP2006058550A (ja) 画像表示用パネル、その製造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
JP2007079394A (ja) 情報表示用パネルの製造方法
JP2006154664A (ja) 情報表示用パネル及び情報表示装置
JP2007163660A (ja) 情報表示用パネルの製造方法および情報表示用パネル
JP2006308819A (ja) 情報表示用パネルの製造方法
JP2006309045A (ja) 情報表示用パネルの製造方法
JP2006317622A (ja) 情報表示用パネル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