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4780A - 보일러 장치 - Google Patents

보일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4780A
KR20070114780A KR1020077022062A KR20077022062A KR20070114780A KR 20070114780 A KR20070114780 A KR 20070114780A KR 1020077022062 A KR1020077022062 A KR 1020077022062A KR 20077022062 A KR20077022062 A KR 20077022062A KR 20070114780 A KR20070114780 A KR 200701147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iler
water
water supply
boiler water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2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나리 구메
Original Assignee
미우라고교 가부시키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우라고교 가부시키카이샤 filed Critical 미우라고교 가부시키카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14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47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025Devices and methods for diminishing corrosion, e.g. by preventing cooling beneath the dew poi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DPREHEATING, OR ACCUMULATING PREHEATED, FEED-WATER FOR STEAM GENERATION; FEED-WATER SUPPLY FOR STEAM GENERATION; CONTROLLING WATER LEVEL FOR STEAM GENERATION; AUXILIARY DEVICES FOR PROMOTING WATER CIRCULATION WITHIN STEAM BOILERS
    • F22D1/00Feed-water heaters, i.e. economisers or like preheaters
    • F22D1/02Feed-water heaters, i.e. economisers or like preheaters with water tubes arranged in the boiler furnace, fire tubes, or flue w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DPREHEATING, OR ACCUMULATING PREHEATED, FEED-WATER FOR STEAM GENERATION; FEED-WATER SUPPLY FOR STEAM GENERATION; CONTROLLING WATER LEVEL FOR STEAM GENERATION; AUXILIARY DEVICES FOR PROMOTING WATER CIRCULATION WITHIN STEAM BOILERS
    • F22D1/00Feed-water heaters, i.e. economisers or like preheaters
    • F22D1/02Feed-water heaters, i.e. economisers or like preheaters with water tubes arranged in the boiler furnace, fire tubes, or flue ways
    • F22D1/14Safety or venting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8Corrosion inhib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reventing Corrosion Or Incrustation Of Metals (AREA)

Abstract

수분의 영향에 의해서 보일러의 열전달관에 발생하는 부식을 억제한다.
보일러(2)내의 보일러수를 채취하는 보일러수 채취수단(3)과, 채취한 보일러수를 상기 보일러(2)에의 공급전의 급수에 첨가하는 보일러수 첨가수단(4)을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 보일러수 채취수단(3)에 의해, 연소중의 보일러(2)로부터 알칼리성, 또한 부식 억제 성분인 실리카가 농축된 보일러수가 채취된다. 그리고, 채취된 보일러수는, 상기 보일러수 첨가수단(4)에 의해, 급수 탱크(15)내에 저장된 급수에 첨가되어, 이 급수가 상기 보일러(2)의 하부 헤더(6)와 각 수관(7)과의 연락부분에 발생하는 부식을 억제 가능한 수질로 조정된다.

Description

보일러 장치{BOILER APPARATUS}
이 발명은, 수분의 영향에 의해서 보일러, 혹은 에코노마이저(Economizer)의 열전달관에 발생하는 부식을 억제할 수 있는 보일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관(水管) 보일러, 원통 보일러로 대표되는 보일러는, 다양한 산업의 열원으로 사용되며, 난방기기, 건조기기, 생산기기 등의 증기 사용기기에 증기를 공급하고 있다. 이 보일러는, 급수를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수관이나 연관 등의 열전달관을 구비하고 있다. 이 열전달관은, 탄소강 등의 비부동태화(非不動態化) 금속을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일러수와 접촉하는 부위가 보일러수의 영향에 의한 부식 때문에 파손하여, 상기 증기 보일러의 수명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상기 보일러를 장기간 안정적으로 운전하기 위해서는, 상기 열전달관의 부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보일러에서는, 연도(煙道)에 에코노마이저(급수 예열기)를 설치한 구성의 것이 사용되고 있다(비특허 문헌 1). 이러한 구성의 보일러는, 상기 에코노마이저에 의해 배기가스의 잠열을 회수하여 급수의 예열에 이용하는 것으로부터, 연료의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다고 하는 경제적인 장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 에코노마이저는, 급수와 배기가스를 열교환시키기 위한 열전달관을 구비하고 있지 만, 이 열전달관은, 탄소강 등의 비부동태화 금속을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급수와 접촉하는 부위가 급수의 영향에 의한 부식으로 인해 파손하여, 상기 에코노마이저의 수명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에코노마이저를 장기간 안정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열전달관의 부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필요가 있다.
비특허 문헌 1 : 재단법인 일본 소형 관류 보일러 협회 발행 「소형 관류 보일러의 길잡이」제28 페이지
그런데, 상기 열전달관의 부식은, 급수나 보일러수와 계속적으로 접촉하고 있는 부분에서 일어나기 쉽다. 예를 들어, 상기 수관 보일러의 한 형태인 관류 보일러에서는, 상기 열전달관과 하부 헤더의 연결 부분이 부식하기 쉬운 경향이 있다. 또한, 상기 에코노마이저에서는, 상기 보일러의 운전중에 상기 열전달관내에 상시 급수가 존재하기 때문에, 부식하기 쉬운 경향이 있다. 상기 열전달관의 부식은, 일반적으로, 수중에 황산이온, 염화물이온, 혹은 용존 산소 등의 부식 촉진 성분이 많이 포함되고, 또한 실리카 등의 부식 억제 성분이 적은 경우, 부식의 경향이 높아진다. 이 부식은, 상기 열전달관의 두께감소적인 부식에 더하여, 국부적 부식이 발생하기 쉽고, 이것이 원인으로 미소한 구멍이 생기게 되어 파손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상기 국부 부식은, 상기 열전달관과 물과의 접촉면측으로부터 두께 방향의 반대측을 향하는 구멍형상의 부식, 즉 상기 열전달관의 두께 방향으로 발생하는 구멍부식으로, 상기 열전달관이 단기간에 파손에 이른다.
상기 보일러에서는, 비부동태화 금속으로 형성된 상기 열전달관의 부식을 억 제할 목적으로, 보일러의 pH를 11∼12의 범위로 유지하도록 운전되고 있다. 수돗물이나 지하수 등을 수원으로 하는 급수에는, 통상, 알칼리 성분(탄산수소염이나 탄산염)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 알칼리 성분이 상기 보일러내에서 열분해하여 수산화물을 생성한다. 이 수산화물은, 증기의 발생에 따라 농축되어 보일러수의 pH가 상승한다. 그리고, 보일러수의 pH가 상기의 범위가 되도록, 블로우 조작 예를 들어 상기 하부 헤더의 바닥부로부터의 블로우(바닥 블로우)나 상기 하부 헤더와 접속된 기수분리기(氣水分籬器)의 강수관으로부터의 블로우(세퍼레이터 블로우)에 의해 농축 배율이 관리된다. 따라서, 알칼리 성분이 충분히 포함되는 수질에서는, 급수에 알칼리 약품 등의 물처리제를 첨가하지 않고, 상기 열전달관의 부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증기 보일러내에서는, 보일러수의 비등에 따라 용존 산소 농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상기 열전달관에 있어서의 부식의 억제에 기여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열전달관은, 급수가 유입하는 부분, 예를 들어 상기 열전달관과 상기 하부 헤더의 연결 부분은, 상대적으로 수온이 낮고, 농축이나 비등이 일어나기 어렵다. 이 때문에, 보일러수의 농축 배율을 소정의 범위로 관리하고 있어도, pH의 상승이나 탈산소가 일어나기 어렵고, 부식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한편, 상기 에코노마이저에서는, 배기가스와의 열교환에 의해서 상승하는 급수의 온도는, 겨우 120℃정도이며, 급수중의 알칼리 성분이 열분해되기 어렵고, 또한 농축도 일어나지 않는다. 즉, 상기 열전달관내에서는, 급수의 pH가 상승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보일러에 비해 부식이 촉진되기 쉬운 상태가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열전달관내에서는, 가압 상태에 있기 때문에, 급수의 비등이 일어나지 않고, 용존 산소 농도의 저하가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부식이 촉진되기 쉽다.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수분의 영향에 의해서 보일러, 혹은 에코노마이저의 열전달관에 발생하는 부식을 억제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이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보일러내의 보일러수를 채취하는 보일러수 채취수단과, 채취한 보일러수를 상기 보일러로의 공급전의 급수에 첨가하는 보일러수 첨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보일러수 채취수단에 의해, 연소중의 보일러로부터 알칼리성, 또한 부식 억제 성분인 실리카가 농축된 보일러수가 채취된다. 그리고, 채취된 보일러수는, 상기 보일러수 첨가수단에 의해, 상기 보일러로의 공급전의 급수에 첨가되고, 급수가 상기 보일러의 열전달관에 발생하는 부식을 억제 가능한 수질로 조정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보일러로의 급수를 상기 보일러로부터의 배기가스에 의해서 예열하는 에코노마이저와, 상기 보일러내의 보일러수를 채취하는 보일러수 채취수단과, 채취한 보일러수를 상기 에코노마이저로의 공급전의 급수에 첨가하는 보일러수 첨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보일러수 채취수단에 의해, 연소중의 보일러로부터 알칼리성, 또한 부식 억제 성분인 실리카가 농축된 보일러수가 채취된다. 그리고, 채취된 보일러수는, 상기 보일러수 첨가수단에 의해, 상기 에코노마이저로의 공급전의 급수에 첨가되어, 급수가 상기 보일러의 열전달관에 발생하는 부식과 상기 에코노마이저의 열전달관에 발생하는 부식을, 함께 억제 가능한 수질로 조정된다.
또한,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채취한 보일러수를 상기 보일러로의 급수를 저장하는 급수 탱크에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가열된 보일러수가 상기 급수 탱크내에 저장된 급수와 혼합된다. 그리고, 급수의 수온 상승에 따라, 용존 산소 농도가 저감되어, 상기 보일러나 상기 에코노마이저의 열전달관에 발생하는 부식을 억제 가능한 수질로 조정된다.
[발명의 효과]
이 발명에 의하면, 수분의 영향에 의해 보일러, 혹은 에코노마이저의 열전달관에 발생하는 부식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상기 보일러나 상기 에코노마이저의 파손이 방지되어 증기를 장기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다음에, 이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발명은, 급수를 보일러에 공급하여, 보일러수를 가열하는 것에 의해서 증기를 발생시키는 보일러 장치에 대하여 적합하게 실시된다.
(제1 실시형태)
먼저, 본 발명과 관련된 보일러 장치의 제1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와 관련된 보일러 장치는, 보일러와 보일러수 채취수단과, 보일러수 첨가수단을 주로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보일러는, 급수를 가열하여 증기를 생성하는 것으로, 다관식 수관 보일러, 단관식 수관 보일러 및 원통 보일러 등 여러 가지 구조의 것이 사용된다. 특히, 이들 보일러중에서, 소형이고 설치 면적이 적어도 되며, 또한 보일러 효율이 뛰어나고, 관리, 취급이 더 용이한 점에서, 다관식 수관 보일러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상기 보일러의 캔체 부분, 이른바 보일러 캔체의 하부는, 급수 탱크와 급수 경로에서 접속되고 있다. 상기 급수 탱크의 상류측에는, 수돗물, 공업용수, 지하수 등의 원수의 수질에 따라 소정의 물처리를 행하기 위한 수처리기기, 예를 들어 연수장치, 이온교환장치, 역침투막장치, 나노여과막장치, 탈산소장치, 수처리제의 주입장치 등이 접속되어 있다. 즉, 상기 급수 탱크에는, 상기 수처리기기로 처리된 급수가 저장되고, 이 급수가 상기 급수 경로를 통하여 상기 보일러 캔체내에 저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보일러 캔체의 상부는, 기수분리기와 증기공급경로에서 접속되어 있으며, 이 기수분리기의 하부는, 분리수를 회수하기 위해서, 상기 보일러 캔체의 하부와 강수관에서 접속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 보일러수 채취수단은, 이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보일러수 채취경로와, 보일러수 채취밸브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보일러수 채취경로는, 상기 보일러 캔체내로부터 농축한 보일러수를 채취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상기 강수관이나 상기 보일러 캔체의 하부와 접속되고 있으며, 이 보일러수 채취경로에는, 상기 보일러수 채취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보일러수 채취밸브는, 통상, 상기 보일러의 연소중에,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개폐 제어된다.
여기서, 상기 보일러는, 통상, 보일러수가 과도하게 농축하여 캐리 오버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소정 비율의 보일러수를 상기 보일러 캔체내로부터 배출하여, 적정한 보일러수 농도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보일러는, 농축한 보일러수를 블로우 배수로서 배출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상기 강수관이나 상기 보일러 캔체의 하부에 보일러수 배출경로가 접속되어 있으며, 이 보일러수 배출경로에는, 블로우 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의 상기 보일러에서는, 새롭게 상기 보일러수 채취수단을 설치하지 않아도, 상기 보일러수 배출경로를 상기 보일러수 채취경로로서 그대로 이용하고, 또한 상기 블로우 밸브를 상기 보일러수 채취밸브로서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보일러수 첨가수단은, 이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보일러수 공급경로를 구비하고 있다. 이 보일러수 공급경로의 일단측은, 상기 강수관이나 상기 보일러 캔체의 하부로부터의 상기 보일러수 채취경로와 접속되고 있다. 한편, 상기 보일러수 공급경로의 타단측은, 상기 보일러 캔체의 상류측, 예를 들면 상기 급수 탱크나 상기 급수 경로와 접속되어 있다. 즉, 상기 보일러 캔체내로부터 채취된 보일러수는, 상기 보일러수 채취경로 및 상기 보일러수 공급경로를 통하여 상기 보일러 캔체의 상류측에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채취된 보일러수를 상기 급수 탱크내에 공급하는 경우, 상기 급수 탱크내에 저장된 급수와 보일러수를 균일하게 혼합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급수의 유입부와 보일러수의 유입부를 근접하여 배치하고, 상기 급수 탱크내에 유입하는 급수의 수류에 의해서, 급수와 보일러수를 균일하게 혼합시킨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급수 탱크에 순환 경로를 접속하여, 상기 급수 탱크내의 급수를 순환 펌프로 순환시키는 것에 의해서, 급수와 보일러수를 균일하게 혼합시킨다. 또한, 예를 들면 상기 급수 탱크에 교반기를 설치하여, 상기 급수 탱크내의 급수를 교반시키는 것에 의해서, 급수와 보일러수를 균일하게 혼합시킨다.
또한, 상기 급수 탱크나 상기 급수 경로에는, 수질계(水質計), 예를 들어 pH계가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수질계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보일러수 채취밸브를 개폐 제어하는 것에 의해서, 급수에 대한 보일러수의 첨가량을 보다 정밀도 좋게 조절할 수 있다.
이하, 제1 실시형태와 관련된 상기 보일러 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급수 탱크내에 저장된 급수가 상기 급수 경로를 통하여 상기 보일러 캔체에 공급되어, 보일러수로서 저장된다. 이 보일러수는, 통상, 탄산수소염이나 탄산염 등의 알칼리 성분 및 부식 억제 성분인 실리카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보일러를 연소시키면, 가열에 의해 보일러수가 비등하여, 증기가 생성한다. 이 증기는, 공장 등의 시설내에 설치된 증기 사용 기기에 공급된다. 여기서, 보일러수에 포함되는 알칼리 성분은, 가열에 의해 열분해하여 수산화물을 생성하여, 보일러수의 pH를 상승시킨다. 또한, 보일러수에 포함되는 실리카는, 증기의 생성에 따라 농축하여, 상기 보일러 캔체내에서 방식 피막을 형성하도록 작용한다.
여기서, 상기 보일러 장치는, 보일러수의 pH를 상기 보일러 캔체를 형성하는 비부동태화 금속의 부식을 억제 가능한 값, 구체적으로는 pH11∼12의 범위로 유지하고, 또한 캐리어 오버를 일으키지 않는 전기전도율(예를 들어, 4000μS/cm이하)을 유지하도록 운전된다. 즉, 상기 보일러의 연소중에 상기 보일러수 채취밸브가 개폐 제어되고,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소정 비율(예를 들어, 급수량의 10∼20%에 상당하는 양)의 알칼리성 보일러수를 상기 보일러 캔체로부터 배출한다. 그리고, 상기 보일러 캔체로부터 배출된 알칼리성, 또한 농축 실리카를 포함한 보일러수는, 상기 보일러 캔체내의 압력에 의해, 상기 보일러수 채취경로 및 상기 보일러수 공급경로를 통하여 상기 보일러로의 급수에 공급, 혼합되어, 급수의 pH 및 실리카 농도를 상승시킨다.
여기서, 보일러수가 혼합된 급수의 pH는, 상기 보일러 캔체의 하부(특히, 관류 보일러에서는, 열전달관과 하부 헤더의 연결 부분)에 있어서의 비부동태화 금속의 부식을 억제 가능한 값, 구체적으로는 pH9∼11.5의 범위가 되도록 조정된다. 또한, 보일러수가 혼합된 급수의 실리카 농도는, 상기 보일러 캔체의 하부(특히, 관류 보일러에서는, 열전달관과 하부 헤더의 연결 부분)에 있어서의 비부동태화 금속에 피막을 형성 가능한 소정치 이상이 되도록 조정된다. 이 pH 및 실리카 농도가 조정된 급수는, 상기 급수 경로를 통하여 상기 보일러 캔체에 공급된다. 따라서, 이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급수중의 알칼리 성분 및 실리카는, 상기 보일러 캔체내에서 농축되면서 회수된 후, 급수에 첨가되어 반복하여 재이용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제1 실시형태에 의하면, 수분의 영향에 의해서 상기 보일러의 열전달관에 발생하는 부식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상기 보일러의 파손이 방지되어, 증기를 장기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다음에, 이 발명과 관련된 증기보일러 장치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와 관련된 증기 보일러 장치는, 보일러와 에코노마이저와, 보일러수 채취수단과, 보일러수 첨가수단을 주로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는, 상기 제1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상기 에코노마이저는, 상기 보일러의 연도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보일러로부터의 배기가스와 상기 보일러로의 급수를 열교환하여, 급수를 예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에코노마이저의 급수 입구는, 상기 급수 탱크와 상기 급수 경로에서 접속되고 있다. 한편, 상기 에코노마이저의 급수 출구는, 상기 보일러 캔체의 하부와 접속되고 있다.
상기 보일러수 채취수단은,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상기 보일러수 채취경로와 상기 보일러수 채취밸브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보일러수 채취경로는, 상기 보일러 캔체내로부터 농축한 보일러수를 채취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상기 강수관이나 상기 보일러 캔체의 하부와 접속되고 있으며, 이 보일러수 채취경로에는, 상기 보일러수 채취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보일러수 채취밸브는, 통상, 상기 보일러의 연소중에,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개폐 제어된다.
상기 보일러수 첨가수단은, 이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저장조와, 보일러수 공급경로와, 첨가 펌프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저장조는, 상기 보일러 캔체로부터 상기 보일러수 채취 경로를 통하여 채취된 보일러수를 저장하는 것으로, 이 저장조에는, 상기 보일러수 공급경로의 일단측이 접속되어 있다. 상기 보일러수 공급경로의 타단측은, 상기 에코노마이저의 상류측, 예를 들면 상기 급수 탱크나 상기 급수 경로와 접속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보일러수 공급경로에는, 상기 첨가 펌프가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보일러 캔체로부터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배출되는 보일러수는, 상기 저장조내에 저장된 후, 상기 보일러수 공급경로를 통하여 상기 에코노마이저의 상류측에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첨가 펌프는, 상기 보일러의 연소중, 즉 급수가 상기 보일러 캔체에 공급되고 있을 때,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작동하도록 제어된다.
또한, 상기 보일러 캔체로부터의 보일러수는, 가열된 상태로 배출되기 때문에, 보일러수의 열을 회수할 목적으로, 상기 급수 탱크나 상기 급수 경로에 열교환기를 설치해도 좋다. 이 경우, 상기 저장조로부터 상기 열교환기에 보일러수를 공급하고, 냉각된 보일러수를 상기 에코노마이저에의 공급전의 급수에 공급하도록 상기 보일러수 공급경로를 접속한다. 여기서, 상기 급수 탱크에 상기 열교환기를 설치했을 경우, 보일러수의 열에 의해서 급수가 가온되어, 급수의 탈산소가 촉진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 에코노마이저의 열전달관의 용존 산소에 의한 부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열교환기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저장조내의 보일러수를 상기 급수 탱크내에 저장된 급수중에 직접 공급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된 상태의 보일러수를 급수에 직접 공급하면, 보일러수의 열에 의해서 급수가 가온되어 급수의 탈산소가 촉진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 에코노마이저의 열전달관의 용존 산소에 의한 부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 경로에는,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수질계, 예를 들어 pH계가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수질계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첨가 펌프를 작동시키는 것으로, 급수에 대한 보일러수의 첨가량을 보다 정밀도 좋게 조절할 수 있다.
아래에, 제2 실시형태와 관련된 상기 보일러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증기 보일러 장치는,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보일러수의 pH를 11∼12의 범위로 유지하도록,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소정 비율(예를 들어, 급수량의 10∼20%에 상당하는 양)의 알칼리성 보일러수를 상기 보일러 캔체로부터 배출하면서 운전되고 있다. 즉, 상기 보일러의 연소중에 상기 보일러수 채취밸브를 개폐 제어하여 알칼리성 보일러수를 상기 보일러 캔체로부터 배출하는 동시에, 이 보일러수를 상기 보일러수 채취경로를 통하여 상기 저장조에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저장조내의 알칼리성, 또한 농축 실리카를 포함한 보일러수는, 상기 에코노마이저의 상류측을 흐르는 급수에 혼합되어, 급수의 pH 및 실리카 농도를 상승시킨다.
여기서, 보일러수가 혼합된 급수의 pH는, 상기 에코노마이저에 있어서의 비부동태화 금속의 부식을 억제 가능한 값, 구체적으로는 pH9∼11.5의 범위가 되도록 조정된다. 또한, 보일러수가 혼합된 급수의 실리카 농도는, 상기 에코노마이저에 있어서의 비부동태화 금속에 피막을 형성할 수 있는 소정치 이상이 되도록 조정된다. 이 pH 및 실리카 농도가 조정된 급수는, 상기 급수 경로를 통하여 상기 에코노마이저에 공급된 후, 상기 보일러 캔체에 공급된다. 따라서, 이 제2 실시형태에서는, 급수중의 알칼리 성분 및 실리카는, 상기 보일러 캔체내에서 농축되면서 회수된 후, 급수에 첨가되어 반복하여 재이용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제2 실시형태에 의하면, 수분의 영향에 의해서 상기 보일러 및 상기 에코노마이저의 열전달관에 발생하는 부식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상기 보일러나 상기 에코노마이저의 파손이 방지되어, 증기를 장기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도 1]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관련된 보일러 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2]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와 관련된 보일러 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3] 이 발명의 제3 실시예와 관련된 보일러 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4] 이 발명의 제4 실시예와 관련된 보일러 장치의 개략 구성도.
[부호의 설명]
1 보일러 장치 2 보일러
3 보일러수 채취수단 4 보일러수 첨가수단
29 보일러 장치 30 에코노마이저
(제1 실시예)
아래에, 이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예와 관련된 보일러 장치의 개략 구성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 보일러 장치(1)는, 보일러(2)와, 보일러수 채취수단(3)과, 보일러수 첨가수단(4)을 주로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보일러(2)는, 이른바 다관식 수관 보일러로서, 상부 헤더(5) 및 하부 헤더(6)의 사이에 다수의 수관(열전달관)(7,7,…)을 세워 설치하여 형성된 보일러 캔체(8)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상부 헤더(5)는, 기수분리기(9)와 증기공급경로(10)에서 접속되고 있으며, 이 기수분리기(9)의 상부는, 부하 기기(도시 생략)와 증기 배관(11)에서 접속되고 있다. 또한, 상기 기수분리기(9)의 하부는, 분리수를 회수하기 위해서 상기 하부 헤더(6)와 강수관(12)에서 접속되고 있다. 또한, 상기 보일러(2)의 연도(13)에는, 연소에 의해서 생성한 배기가스를 배출하기 위해서, 배기통(14)이 접속되고 있다.
상기 하부 헤더(6)는, 급수탱크(15)와 급수경로(16)로 접속되어 있으며, 이 급수 경로(16)에는, 급수펌프(1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급수 탱크(15)의 상류측에는, 보급수 공급경로(18)가 접속되어 있으며, 이 보급수 공급경로(18)에는, 상류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연수장치(19) 및 탈산소장치(2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연수장치(19)는, 수돗물, 공업용수, 지하수 등의 원수로부터 경도 성 분(칼슘 이온이나 마그네슘 이온)을 제거하여, 상기 각 수관(7)내에 있어서의 스케일 생성을 방지하기 위한 수처리기기이다. 한편, 탈산소장치(20)는, 원수로부터 용존 산소를 제거하고, 상기 하부 헤더(6)내, 상기 각 수관(7)내, 상기 급수 경로(16)내 등의 부식을 억제하기 위한 수처리기기이다.
상기 급수 탱크(15)의 측면에는, 저장된 급수를 순환하기 위해서, 순환 경로(21)가 접속되어 있으며, 이 순환 경로(21)에는, 순환 펌프(22)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순환 경로(21)의 급수 입구(23)는, 상기 급수 탱크(15)의 하부와 접속되고 있으며, 또한 상기 순환 경로(21)의 급수 출구(24)는, 상기 급수 탱크(15)의 상부와 접속되고 있다. 즉, 상기 급수 탱크(15)내의 급수는, 이 급수 탱크(15)의 하부로부터 나온 후, 이 급수 탱크(15)의 상부로 환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보일러수 채취수단(3)은, 보일러수 채취경로(25)와 보일러수 채취밸브(26)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보일러수 채취경로(25)의 일단측은, 상기 강수관(12)과 접속되어 있고, 이 보일러수 채취 경로(25)에는, 상기 보일러수 채취밸브(26)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보일러수 채취경로(25)의 타단측은, 채취된 보일러수를 청정화하는 필터부(27)와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보일러수 채취밸브(26)는, 상기 보일러(2)의 연소중에 적정한 보일러수 농도를 유지하도록,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소정 비율의 보일러수를 상기 보일러 캔체(8)내로부터 배출하도록 제어기(도시 생략)로 개폐 제어된다.
상기 보일러수 첨가수단(4)은, 보일러수 공급경로(28)를 구비하고 있다. 이 보일러수 공급경로(28)의 일단측은, 상기 필터부(27)와 접속되어 있다. 한편, 상기 보일러수 공급경로(28)의 타단측은, 상기 급수 탱크(15)의 하부에 있어서, 상기 급수 입구(23)에 근접하는 부위와 접속되어 있다.
아래에, 제1 실시예와 관련된 상기 보일러 장치(1)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보급수 공급경로(18)를 흐르는 원수는, 상기 연수장치(19)에 있어서, 이온 교환에 의해 연수화처리되고, 그 다음에 상기 탈산소장치(20)에 있어서, 탈산소처리된다. 이 탈산소된 연수는, 급수로서 상기 급수 탱크(15)에 공급되어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급수 탱크(15)내의 급수는, 상기 급수 펌프(17)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급수 경로(16)를 통하여 공급되어, 상기 보일러 캔체(8)내에 보일러수로서 저장된다.
상기 보일러(2)의 연소중에는, 상기 보일러 캔체(8)의 가열에 의해 보일러수가 비등하여, 증기가 생성한다. 이 증기는, 상기 증기공급경로(10)를 통하여 상기 기수분리기(9)에 보내져 증기중의 수분이 분리되어 건조도가 높아진 후, 상기 증기 배관(11)을 통하여 상기 부하기기에 공급된다. 한편, 상기 기수분리기(9)로 분리된 수분, 즉 분리수는, 상기 강수관(12)을 통하여 상기 보일러 캔체(8)내에 환류된다.
그런데, 급수에 포함되는 알칼리 성분(즉, 탄산수소염이나 탄산염)은, 상기 보일러 캔체(8)내에 있어서, 가열에 의해 열분해하여 수산화물을 생성하는 동시에 농축하여, 보일러수의 pH를 상승시킨다. 동시에 급수에 포함되는 부식 억제 성분인 실리카도 농축된다. 상기 보일러(2)의 연소중에는, 보일러수의 pH를 11∼12의 범위로 유지하도록, 정기적으로 급수량의 10∼20%에 상당하는 양의 알칼리성 보일러수를, 상기 보일러수 채취밸브(26)를 개폐 제어함으로써, 상기 보일러 캔체(8)내로부터 배출한다. 즉, 알칼리성 보일러수의 일부는, 상기 보일러수 채취 경로(25)를 통하여 상기 필터부(27)에 공급된다.
상기 필터부(27)에서는, 보일러수에 포함되는 슬러지 등이 여과되어 청정화된다. 이 여과된 보일러수는, 상기 보일러 캔체(8)내의 증기압력에 의해, 상기 보일러수 공급경로(28)를 통하여 상기 급수 탱크(15)에 공급된다. 상기 급수 탱크(15)내에 있어서, 급수 및 보일러수는, 상기 순환 펌프(22)를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상기 순환 경로(21)를 통하여 순환되어 균일하게 혼합된다. 이 결과, 보일러수가 첨가된 급수는, 그 pH 및 실리카 농도가 상승한다. 여기서, 급수에 대한 보일러수의 첨가량은, 상기 하부 헤더(6)와 상기 각 수관(7)의 연결 부분에 발생하는 부식을 억제 가능한 pH9∼11.5의 범위로 조정되도록, 상기 보일러수 채취밸브(26)의 밸브개방 시간 및 밸브개방 간격이 조절된다.
(제2 실시예)
다음에, 이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 실시예는, 상기 제1 실시예의 변형예이다. 도 2는, 제2 실시예와 관련된 보일러 장치의 개략 구성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있어서,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고 있으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급수경로(18)는, 상기 급수탱크(15)의 바닥부를 향하여 이어지고 있다. 즉, 상기 연수장치(19) 및 상기 탈산소장치(20)로 처리된 급수는, 상기 급수탱크(15)의 바닥부에 유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일러수 공급경로(28)의 타단측은, 상기 급수 탱크(15)의 하부에서, 상기 급수경로(18)의 단부에 근접하는 부위와 접속되어 있다. 즉, 상기 급수 탱크(15)의 바닥부에 유입하는 급수의 수류가, 상기 보일러수 공급경로(28)를 통하여 유입하는 보일러수의 수류와 충돌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아래에, 제2 실시예와 관련된 상기보일러 장치(1)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보급수 공급경로(18)를 흐르는 원수는, 상기 연수장치(19)에 있어서, 이온 교환에 의해 연수화처리되고, 그 다음에 상기 탈산소장치(20)에 있어서, 탈산소처리된다. 이 탈산소된 연수는, 급수로서 상기 급수 탱크(15)에 공급되어,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급수 탱크(15)내의 급수는, 상기 급수 펌프(17)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급수경로(16) 를 통하여 공급되어, 상기 보일러 캔체(8)내에 보일러수로서 저장된다.
상기 보일러(2)의 연소중에는, 상기 보일러 캔체(8)의 가열에 의해 보일러수가 비등하여, 증기가 생성한다. 이 증기는, 상기 증기공급경로(10)를 통하여 상기 기수분리기(9)에 보내져, 증기중의 수분이 분리되어 건조도가 높아진 후, 상기 증기배관(11)을 통하여 상기 부하기기에 공급된다. 한편, 상기 기수분리기(9)로 분리된 수분, 즉 분리수는, 상기 강수관(12)을 통하여 상기 보일러 캔체(8)내에 환류된다.
그런데, 급수에 포함되는 알칼리 성분(즉, 탄산수소염이나 탄산염)은, 상기 보일러 캔체(8)내에 있어서, 가열에 의해 열분해하여 수산화물을 생성하는 동시에 농축하여, 보일러수의 pH를 상승시킨다. 동시에, 급수에 포함되는 부식 억제 성분인 실리카도 농축된다. 상기 보일러(2)의 연소중에는, 보일러수의 pH를 11∼12의 범위로 유지하도록, 정기적으로 급수량의 10∼20%에 상당하는 양의 알칼리성 보일러수를, 상기 보일러수 채취밸브(26)를 개폐 제어함으로써, 상기 보일러 캔체(8)내로부터 배출한다. 즉, 알칼리성 보일러수의 일부는, 상기 보일러수 채취경로(25)를 통하여 상기 필터부(27)에 공급된다.
상기 필터부(27)에서는, 보일러수에 포함되는 슬러지 등이 여과되어 청정화된다. 이 여과된 보일러수는, 상기 보일러 캔체(8)내의 증기압력에 의해, 상기 보일러수 공급경로(28)를 통하여 상기 급수탱크(15)에 공급된다. 상기 급수 탱크(15)내에 있어서, 급수 및 보일러수는, 각각의 수류가 충돌하는 것에 의해서, 균일하게 혼합된다. 이 결과, 보일러수가 첨가된 급수는, 그 pH 및 실리카 농도가 상승한다. 여기서, 급수에 대한 보일러수의 첨가량은, 상기 하부 헤더(6)와 상기 각 수관(7)의 연결 부분에 발생하는 부식을 억제 가능한 pH 9∼11.5의 범위로 조정되도록, 상기 보일러수 채취밸브(26)의 밸브개방 시간 및 밸브개방 간격이 조절된다.
(제3 실시예)
다음에, 이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제3 실시예와 관련된 보일러 장치의 개략 구성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있어서, 상기 제1 실시예 및 상기 제2 실시예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고 있으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보일러 장 치(29)는, 상기 보일러(2), 상기 보일러수 채취수단(3) 및 상기 보일러수 첨가수단(4)에 더하여, 에코노마이저(30)를 주로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보일러(2)에 있어서, 상기 연도(13)에는, 상기 에코노마이저(30)의 배기가스 입구(31)가 접속되어 있고, 또 상기 에코노마이저(30)의 배기가스 출구(32)에는, 상기 배기통(14)이 접속되어 있다. 상기 에코노마이저(30)내의 배기가스 유통 공간(33)에는, 배기가스와의 열교환을 위해서, 급수를 유통시키는 열전달관(34)이 배치되어 있고, 이 열전달관(34)의 출구측은, 상기 하부 헤더(6)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열전달관(34)의 입구측은, 상기 급수경로(16)와 접속되어 있다.
상기 보급수 공급경로(18)에는, 연수장치(1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급수 탱크(15)내에는, 상기 보일러 캔체(8)내로부터 배출된 보일러수와 급수를 열교환시키기 위한 열교환기(35)가 설치되어 있고, 이 열교환기(35)의 보일러 수류 입구(36)에는, 상기 보일러수 채취 경로(25)의 타단측이 접속되고 있다.
상기 보일러수 첨가수단(4)은, 제3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일러수 공급경로(28)와, 저장조(37)와, 첨가 펌프(38)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저장조(37)는, 상기 보일러 캔체(8)내로부터 배출되고, 또한 상기 열교환기(35)로 냉각된 보일러수를 저장하기 위해서, 상기 열교환기(35)의 보일러 수류 출구(39)와 보일러수 회수 경로(40)에서 접속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조(37)는, 상기 급수 탱크(15)의 하부에 있어서, 상기 급수 입구(23)에 근접하는 부위와 상기 보일러수 공급경로(28)에서 접속되고 있고, 이 보일러수 공급경로(28)에는, 상기 첨가 펌프(3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첨가 펌프(38)는, 상기 보일러(2)의 연소중에, 구체적으로 는, 상기 급수 펌프(17)에 연동하여 작동하도록, 제어부(도시 생략)로 제어된다.
아래에, 제3 실시예와 관련된 상기 보일러 장치(29)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보급수 공급경로(18)를 흐르는 원수는, 상기 연수장치(19)에 있어서, 이온 교환에 의해 연수화처리된다. 이 연수는, 급수로서 상기 급수 탱크(15)에 공급되어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급수 탱크(15)내의 급수는, 상기 급수 펌프(17)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급수경로(16)을 통하여 상기 에코노마이저(30)에 공급된다. 이 급수는, 상기 열전달관(34)에 있어서 배기가스와 열교환되어 소정의 온도까지 예열된다. 그리고, 이 예열된 급수는, 상기 보일러 캔체(8)내에 보일러수로서 저장된다.
상기 보일러(2)의 연소중에는, 상기 보일러 캔체(8)의 가열에 의해 보일러수가 비등하여, 증기가 생성한다. 이 증기는, 상기 증기공급경로(10)를 통하여 상기 기수분리기(9)에 보내져, 증기중의 수분이 분리되어 건조도가 높아진 후, 상기 증기배관(11)을 통하여 상기 부하기기에 공급된다. 한편, 상기기수분리기(9)로 분리된 수분, 즉 분리수는, 상기 강수관(12)을 통하여 상기 보일러 캔체(8)내에 환류된다.
그런데, 급수에 포함되는 알칼리 성분(즉, 탄산수소염이나 탄산염)은, 상기 보일러 캔체(8)내에 있어서, 가열에 의해 열분해하여 수산화물을 생성하는 동시에 농축하여, 보일러수의 pH를 상승시킨다. 동시에 급수에 포함되는 부식 억제 성분인 실리카도 농축된다. 상기 보일러(2)의 연소중에는, 보일러수의 pH를 11∼12의 범위로 유지하도록, 정기적으로 급수량의 10∼20%에 상당하는 양의 알칼리성 보일 러수를, 상기 보일러수 채취밸브(26)를 개폐 제어함으로써, 상기 보일러 캔체(8)내로부터 배출한다. 즉, 알칼리성 보일러수의 일부는, 상기 보일러수 채취 경로(25)를 통하여 상기 열교환기(35)에 공급된다. 상기 열교환기(35)에 있어서는, 보일러수와 상기 급수 탱크(15)내의 급수가 열교환되는 것에 의해서 급수가 가열되어 급수중의 용존 산소가 저감된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35)로 냉각된 보일러수는, 상기 보일러수 회수 경로(40)를 통하여 상기 저장조(37)에 공급되어 저장된다.
다음에, 상기 급수 펌프(17)의 작동중(즉, 급수를 공급중)에, 상기 첨가 펌프(38)를 작동시킨다. 상기 저장조(37)내의 보일러수는, 상기 첨가 펌프(38)의 토출 압력에 의해, 상기 보일러수 공급경로(28)를 통하여, 상기 급수 탱크(15)에 공급된다. 상기 급수 탱크(15)내에 있어서, 급수 및 보일러수는, 상기 순환 펌프(22)를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상기 순환 경로(21)를 통하여 순환되어 균일하게 혼합된다. 이 결과, 보일러수가 첨가된 급수는, 그 pH 및 실리카 농도가 상승한다. 여기서, 급수에 대한 보일러수의 첨가량은, 상기 열전달관(34)이나 상기 하부 헤더(6)와 상기 각 수관(7)의 연결 부분에 발생하는 부식을 함께 억제할 수 있는 pH9∼11.5의 범위로 조정되도록, 상기 첨가 펌프(38)의 작동 시간 및 작동 간격이 조절된다.
(제4 실시예)
다음에, 이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4 실시예는, 상기 제3 실시예의 변형예이다. 도 4는, 제4 실시예와 관련된 보일러 장치의 개략 구성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있어서, 상기 제1 실시예, 제2 실시 예 및 제3 실시예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고 있으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4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강수관(12)에는, 보일러수 배출경로(41)가 접속되어 있고, 이 보일러수 배출 경로(41)에는, 블로우 밸브(4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헤더(6)의 바닥부에는, 상기 보일러수 채취경로(25)의 일단측이 접속되어 있고, 이 보일러수 채취경로(25)에는, 상기 보일러수 채취밸브(26)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블로우 밸브(42) 및 상기 보일러수 채취밸브(26)는, 상기 보일러(2)의 연소중에 적정한 보일러수 농도를 유지하도록,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소정 비율의 보일러수를 상기 보일러 캔체(8)내로부터 배출하도록 제어기(도시 생략)로 개폐 제어된다.
제4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급수경로(18)는, 상기 급수 탱크(15)의 바닥부를 향하여 이어지고 있다. 즉, 상기 연수장치(19)로 처리된 급수는, 상기 급수 탱크(15)의 바닥부에 유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일러수 공급경로(28)의 타단측은, 상기 급수 탱크(15)의 하부에 있어서, 상기 급수경로(18)의 단부에 근접하는 부위와 접속되고 있다. 즉, 상기 급수 탱크(15)의 바닥부에 유입하는 급수의 수류가, 상기 보일러수 공급경로(28)를 통하여 유입하는 보일러수의 수류와 충돌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제4 실시예와 관련된 상기 보일러 장치(29)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보급수 공급경로(18)를 흐르는 원수는, 상기 연수장치(19)에 있어서, 이온 교환에 의해 연수화처리된다. 이 연수는, 급수로서 상기 급수 탱크(15)에 공 급되어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급수 탱크(15)내의 급수는, 상기 급수 펌프(17)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급수경로(16)를 통하여 상기 에코노마이저(30)에 공급된다. 이 급수는, 상기 열전달관(34)에 대해 배기가스와 열교환되어 소정의 온도까지 예열된다. 그리고, 이 예열된 급수는, 상기 보일러 캔체(8)내에 보일러수로서 저장된다.
상기 보일러(2)의 연소중에는, 상기 보일러 캔체(8)의 가열에 의해 보일러수가 비등하고, 증기가 생성한다. 이 증기는, 상기 증기공급경로(10)를 통하여 상기 기수분리기(9)에 보내져 증기중의 수분이 분리되어 건조도가 높아진 후, 상기 증기 배관(11)을 통하여 상기 부하기기에 공급된다. 한편, 상기 기수분리기(9)로 분리된 수분, 즉 분리수는, 상기 강수관(12)을 통하여 상기 보일러 캔체(8)내에 환류된다.
그런데, 급수에 포함되는 알칼리 성분(즉, 탄산수소염이나 탄산염)은, 상기 보일러 캔체(8)내에 있어서, 가열에 의해 열분해하여 수산화물을 생성하는 동시에 농축하여, 보일러수의 pH를 상승시킨다. 동시에 급수에 포함된 부식 억제 성분인 실리카도 농축된다. 상기 보일러(2)의 연소중에는, 보일러수의 pH를 11∼12의 범위로 유지하도록, 정기적으로 급수량의 10∼20%에 상당하는 양의 알칼리성 보일러수를, 상기 블로우 밸브(42) 및 상기 보일러수 채취밸브(26)를 개폐 제어함으로써, 상기 보일러 캔체(8)내로부터 배출한다. 즉, 알칼리성 보일러수의 일부는, 상기 보일러수 배출 경로(41)를 통하여 계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알칼리성 보일러수의 일부는, 상기 보일러수 채취경로(25)를 통하여 상기 열교환기(35)에 공급된다. 상기 열교환기(35)에 있어서는, 보일러수와 상기 급수 탱크(15)내의 급수가 열교환되는 것에 의해서 급수가 가열되어, 급수중의 용존 산소가 저감된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35)로 냉각된 보일러수는, 상기 보일러수 회수 경로(40)를 통하여 상기 저장조(37)에 공급되어 저장된다.
다음에, 상기 급수 펌프(17)의 작동중(즉, 급수를 공급중)에, 상기 첨가 펌프(38)을 작동시킨다. 상기 저장조(37)내의 보일러수는, 상기 첨가 펌프(38)의 토출 압력에 의해, 상기 보일러수 공급경로(28)를 통하여, 상기 급수 탱크(15)에 공급된다. 상기 급수 탱크(15)내에 있어서, 급수 및 보일러수는, 각각의 수류가 충돌하는 것에 의해서, 균일하게 혼합된다. 이 결과, 보일러수가 첨가된 급수는, 그 pH 및 실리카 농도가 상승한다. 여기서, 급수에 대한 보일러수의 첨가량은, 상기 열전달관(34)이나 상기 하부 헤더(6)와 상기 각 수관(7)의 연결 부분에 발생하는 부식을 함께 억제 가능한 pH9∼11.5의 범위로 조정되도록, 상기 첨가 펌프(38)의 작동 시간 및 작동 간격이 조절된다.

Claims (3)

  1. 보일러내의 보일러수를 채취하는 보일러수 채취수단과,
    채취한 보일러수를 상기 보일러로의 공급전의 급수에 첨가하는 보일러수 첨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장치.
  2. 보일러로의 급수를 상기 보일러로부터의 배기가스에 의해서 예열하는 에코노마이저와,
    상기 보일러내의 보일러수를 채취하는 보일러수 채취수단과,
    채취한 보일러수를 상기 에코노마이저로의 공급전의 급수에 첨가하는 보일러수 첨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채취한 보일러수를 상기 보일러로의 급수를 저장하는 급수 탱크에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장치.
KR1020077022062A 2005-03-29 2006-03-29 보일러 장치 KR200701147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94952 2005-03-29
JP2005094952A JP2006275410A (ja) 2005-03-29 2005-03-29 ボイラ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4780A true KR20070114780A (ko) 2007-12-04

Family

ID=37053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2062A KR20070114780A (ko) 2005-03-29 2006-03-29 보일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06275410A (ko)
KR (1) KR20070114780A (ko)
CN (1) CN101184955A (ko)
CA (1) CA2603431A1 (ko)
WO (1) WO20061041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73378B2 (ja) 2009-03-25 2013-08-28 三浦工業株式会社 蒸気ボイラ装置およびその運転方法
US20110094227A1 (en) * 2009-10-27 2011-04-28 General Electric Company Waste Heat Recovery System
JP5510123B2 (ja) * 2010-06-30 2014-06-04 三浦工業株式会社 蒸気ボイラの運転方法
JP6362351B2 (ja) * 2014-02-28 2018-07-25 株式会社サムソン 給水予熱装置を持ったボイラ
CN106642080A (zh) * 2016-11-03 2017-05-10 重庆华万伦生物新能源科技有限公司 采用双燃料供给设计的生物质燃料燃烧系统
JP6937217B2 (ja) * 2017-10-17 2021-09-22 三菱パワー株式会社 給水系統における海水の漏洩検出装置及び方法並びに蒸気タービンプラン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2801U (ja) * 1982-08-20 1984-02-29 株式会社サムソン 多管式貫流ボイラ
JPS6234606U (ko) * 1985-08-14 1987-02-28
JP3572461B2 (ja) * 1994-02-16 2004-10-06 バブコック日立株式会社 ボイラ装置の腐食防止装置および腐食防止方法
JP4165273B2 (ja) * 2003-03-27 2008-10-15 三浦工業株式会社 ボイラ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84955A (zh) 2008-05-21
CA2603431A1 (en) 2006-10-05
JP2006275410A (ja) 2006-10-12
WO2006104181A1 (ja) 2006-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9162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iminating or reducing waste effluent from a wet electrostatic precipitator
KR20070114780A (ko) 보일러 장치
JP5273378B2 (ja) 蒸気ボイラ装置およびその運転方法
US20100200231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covering Oil and Generating Steam from Produced Water
EA009398B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пара высокого давления из отработанной воды
JP4974460B2 (ja) 熱伝達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16083609A (ja) アンモニア含有排水の処理装置および処理方法
JP7183639B2 (ja) ボイラの化学洗浄方法
JP5013063B2 (ja) ボイラ給水用補給水の供給方法
KR20150060723A (ko) 증기 발전 설비의 공정 폐수 회수 방법
JP5013064B2 (ja) ボイラ給水用補給水の供給方法
US20080163832A1 (en) Boiler Apparatus
JP5135768B2 (ja) 蒸気ボイラ装置の運転方法
JP2008135271A (ja) 燃料電池装置
JP2008300059A (ja) 燃料電池装置
JP2015212585A (ja) 給水脱気装置を持ったボイラ
JP5013062B2 (ja) ボイラ給水用補給水の供給方法
JP2007263385A (ja) ボイラ給水処理装置、ボイラ装置及びボイラ給水処理装置の運転方法
JP2006283988A (ja) 脱気システム
CN102661602B (zh) 一种能够实现工业锅炉废水零排放的工艺
KR101731295B1 (ko) 폐 분출수 열 회수장치
JP5084130B2 (ja) 廃液処理方法及び廃液処理システム
JP4965514B2 (ja) ドレン中和装置
JP2016157621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KR200372276Y1 (ko) 순환수계통의 스케일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