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3491A - 자동차부품용 내충격성 시험기 - Google Patents

자동차부품용 내충격성 시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3491A
KR20070113491A KR1020060046423A KR20060046423A KR20070113491A KR 20070113491 A KR20070113491 A KR 20070113491A KR 1020060046423 A KR1020060046423 A KR 1020060046423A KR 20060046423 A KR20060046423 A KR 20060046423A KR 20070113491 A KR20070113491 A KR 200701134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actor
plate
support
guid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6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훈
Original Assignee
동해전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해전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해전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6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13491A/ko
Publication of KR20070113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34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078Shock-testing of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 G01M7/08Shock-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3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a single impulsive force, e.g. by falling we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78Testing material properties on manufactured objects
    • G01N33/0083Vehicle par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01Type of application of the stress
    • G01N2203/001Impulsiv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시료와 시료 측으로 자유낙하는 충격자 사이의 거리조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시료를 타격한 충격자가 외부로 튕겨 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부품용 내충격성 시험기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내충격성 시험기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지지대를 갖는 높이조절부; 지지대의 상부 측에서 시험높이에 맞추어 지지대를 따라 가변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부플레이트와, 상부플레이트에 장착되면서 구형상의 충격자가 안치됨과 아울러 충격자를 낙하시키는 충격자안치플랜지를 갖는 상판부; 지지대의 중앙부분에 시료의 크기에 맞추어 지지대를 따라 가변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이드플레이트와, 가이드플레이트에 장착되면서 낙하하는 충격자를 안내하는 가이드관을 갖는 가이드부; 및 가이드부의 하부 지면상에 배치되고 상부면 상에는 낙하하는 충격자에 타격되는 시료가 안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를 갖는 베이스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자동차부품용 내충격성 시험기{IMPACT TEST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부품용 내충격성 시험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상판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가이드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내충격성 시험기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0 : 자동차부품용 내충격성 시험기 110 : 높이조절부
112 : 지지대 114 : 눈금
120 : 상판부 122 : 상부플레이트
124 : 제 1 결합공 126 : 제 1 관통공
128 : 충격자안치플랜지 130 : 제 1 안치링
132 : 제 2 안치링 134 : 작동레버
136 : 손잡이 140 : 가이드부
142 : 가이드플레이트 144 : 제 2 결합공
146 : 제 2 관통공 148 : 가이드관
150 : 베이스부 152 : 베이스플레이트
160 : 하판부 162 : 하부플레이트
164 : 제 3 결합공 166 : 제 3 관통공
본 발명은 자동차의 내장용 및 외장용 합성수지 제품 또는 와이어 보호용 튜브류의 내충격성 시험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료와 시료 측으로 자유낙하는 충격자 사이의 거리조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시료를 타격한 충격자가 외부로 튕겨 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부품용 내충격성 시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충격시험기는 충격시험대상 및 시험조건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적으로는 샤르피 충격시험기, 아이조드 충격시험기 및 자유낙하형 충격시험기 등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충격시험기들은 재료의 변형을 기준으로 저속충격시험과 고속충격시험으로 구분되며, 충격시험의 목적은 재료의 충격물성 획득 및 제품의 충격 안전성 평가를 위해 사용된다.
상기 충격시험기 중 자유낙하형 충격시험기는 재료의 충격특성을 분석하는 시험기와, 완성제품의 충격안정성을 분석하기 위한 시험기로 구분된다. 전술한 재료의 충격특성을 분석하는 시험기는 합성수지 또는 복합재료와 같은 재료에 일정한 무게를 가지는 충격자가 중력에 의해 자유 낙하되어 충돌되면 충돌에 의해 발생된 충격거동을 분석하는 것이며, 후술한 완성제품의 충격안전성을 분석하기 위한 시험 기는 운송 중 발생되는 충격손상 등에 의해 제품의 파손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자동차 부품의 사용되는 내장용 및 외장용 합성수지 제품, 또는 와이어 보호용 튜브 등의 충격시험에는 통상적으로 충격특성을 분석하는 자유 낙하형 충격시험이 주로 사용되는데, 종래 자동차 부품의 충격시험에서는 시료가 안치되는 베이스철판과, 베이스철판에 안치된 시료 측으로 자유낙하는 충격자와, 시료와 충격자 사이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는 수직한 자를 구비한 상태 하에서 작업자가 직접 충격자를 들고 수직한 자를 이용해 시료와의 거리를 조정한 상태에서 충격자를 시료 측으로 낙하시켜 시료의 파손여부를 측정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충격시험은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수행되기 때문에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서로 다른 결과가 얻어지고, 시료와 충격자의 거리 및 시료에 낙하되는 충격자의 위치가 동일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시료 측으로 낙하하여 시료를 타격한 충격자가 튕겨 작업자를 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시료와 시료 측으로 자유낙하는 충격자 사이의 거리조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시료를 타격한 충격자가 외부로 튕겨 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부품용 내충격성 시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적어도 3개 이상의 지지대를 갖는 높이조절부;
지지대의 상부 측에서 시험높이에 맞추어 지지대를 따라 가변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부플레이트와, 상부플레이트에 장착되면서 구형상의 충격자가 안치됨과 아울러 충격자를 낙하시키는 충격자안치플랜지를 갖는 상판부;
지지대의 중앙부분에 시료의 크기에 맞추어 지지대를 따라 가변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이드플레이트와, 가이드플레이트에 장착되면서 낙하하는 충격자를 안내하는 가이드관을 갖는 가이드부; 및
가이드부의 하부 지면상에 배치되고 상부면 상에는 낙하하는 충격자에 타격되는 시료가 안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를 갖는 베이스부로 이루어진 자동차부품용 내충격성 시험기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시료와 시료 측으로 자유낙하는 충격자 사이의 거리조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시료를 타격한 충격자가 외부로 튕겨 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부품용 내충격성 시험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부품용 내충격성 시험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부품용 내충격성 시험기(100)는 높이조절부(110)와, 높이조절부(110)의 상부 측에서 시험높이에 맞추어 높이조절 부(110)를 따라 가변 가능하게 장착되면서 구형상의 충격자(W)가 안치됨과 아울러 안치된 충격자(W)를 낙하시키는 상판부(120)와, 마찬가지로 높이조절부(110)의 중앙부분에 시료(S)의 크기에 맞추어 높이조절부(110)를 따라 가변 가능하게 장착되면서 낙하하는 충격자(W)를 안내하는 가이드부(140) 및 가이드부(140)의 하부 지면상에 배치되고 상부면 상에는 낙하하는 충격자(W)가 타격하는 시료(S)가 안치되는 베이스부(150)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내충격성 시험기(100)는 높이조절부(110)의 하부 측에 장착되면서 베이스부(150)와 이격되는 하판부(160)를 더 구비한다.
먼저, 높이조절부(110)는 지면에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지지대(112)를 구비한다. 이러한 지지대(112)는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배치되는데, 어느 하나의 지지대(112) 또는 각각의 지지대(112)의 외측에는 지면에서부터의 높이를 알 수 있도록 눈금(114)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지지대(112)에는 상판부(120), 가이드부(140)가 장착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상판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가이드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부(120)는 각각의 모서리부분이 각각의 지지대(112)에 끼워지는 상부플레이트(122)와, 상부플레이트(122) 중앙부분에 관통되게 장착되는 충격자안치플랜지(128)를 구비한다.
상부플레이트(122)는 수평한 판 형상을 가지면서 각각의 모서리부분에는 지지대(112)에 끼워질 수 있도록 다수의 제 1 결합공(124)이 수직하게 형성되고, 상 부플레이트(122)의 중앙부분에는 제 1 관통공(126)이 형성되는데, 각각의 모서리 외측에는 제 1 결합공(124)에 끼워진 지지대(112)를 가압하는 통상의 나비볼트(B)가 체결된다. 즉, 상부플레이트(122)는 각각의 지지대(112)에 끼워진 상태 하에서 모서리에 체결되는 나비볼트(B)에 의해서 고정 장착된다. 충격자안치플랜지(128)는 상부플레이트(122)의 상부면 상에 거치됨과 아울러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제 1 안치링(130)과, 제 1 안치링(13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제 1 관통공(126)을 관통하는 제 2 안치링(132)을 구비한다. 이러한 제 1 안치링(130)에는 작동레버(134)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데, 작동레버(134)는 제 1 안치링(130)의 외주면 일측 외측에서부터 제 1 안치링(130)의 내주면을 지나 제 1 안치링(130)의 외주면 타측 까지 연장된다. 이렇게 제 1 안치링(130)의 내주면을 관통하는 작동레버(134)는 충격자(W)가 안치되게 하고, 작동레버(134)의 어느 하나의 단부에는 손잡이(136)가 일체로 장착된다.
한편, 가이드부(140)는 각각의 모서리부분이 각각의 지지대(112)에 끼워지는 가이드플레이트(142)와, 가이드플레이트(142) 중앙부분에 관통되게 장착되면서 가이드플레이트(142)의 하부측으로 연장되는 가이드관(148)을 구비한다.
가이드플레이트(142)는 상부플레이트(122)와 마찬가지로 수평한 판 형상을 가지면서 각각의 모서리부분에는 지지대(112)에 끼워질 수 있도록 다수의 제 2 결합공(144)이 수직하게 형성되고, 가이드플레이트(142)의 중앙부분에는 제 1 안치링(130) 및 제 2 안치링(132)의 내주면과 마주보는 제 2 관통공(146)이 형성된다. 이때, 가이드플레이트(142)의 각각의 모서리 외측에는 제 2 결합공(144)에 끼워진 지지대(112)를 가압하는 통상의 나비볼트(B)가 체결된다. 한편 가이드관(148)의 상부는 제 2 관통공(146)에 장착되고 가이드관(148)의 하부는 지지대(112)의 하부에 인접한 위치까지 연장된다. 이러한 가이드관(148)은 낙하하는 충격자(W)를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제작되고, 시료(S)를 타격한 후 지지대(112)의 외부로 튕겨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베이스부(150)는 금속재질로 제작된 베이스플레이트(152)를 구비하는데, 이러한 베이스플레이트(152)의 상부에는 시료(S)가 안치된다.
한편, 하판부(160)는 베이스플레이트(152)와 가이드관(148) 사이에 배치된다. 이를 위해서 하판부(160)는 가이드플레이트(142)와 마찬가지로 수평한 판 형상의 하부플레이트(162)를 구비하는데, 하부플레이트(162)의 각각의 모서리부분에는 지지대(112)에 끼워질 수 있도록 다수의 제 3 결합공(164)이 수직하게 형성되고, 하부플레이트(162)의 중앙부분에는 가이드관(148)의 내주면과 마주보는 제 3 관통공(166)이 형성된다. 제 3 관통공(166)으로는 베이스플레이트(152)에 안치된 시료(S)가 가이드관(148) 측으로 노출된다. 이때, 하부플레이트(162)의 각각의 모서리 외측에는 제 3 결합공(164)에 끼워진 지지대(112)를 가압하는 통상의 나비볼트(B)가 체결된다. 이와 같이 지지대(112)의 하부에 장착된 하부플레이트(162)는 지지대(112)의 하부를 안전하게 파지한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자동차부품용 내충격성 시험기(100)의 사용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내충격성 시험기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부품용 내충격성 시험기(100)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베이스플레이트(152) 상부에 시료(S)를 안치시킨다. 이때, 시료(S)는 하부플레이트(162)에 형성된 제 3 관통공(166) 외부로 노출되게 안치시킨다. 이러한 상태 하에서 제 1 안치링(130)에 작동레버(134)를 장착한 후 제 1 안치링(130)의 내주면 상에 충격자(W)를 안치시키는데, 이때 충격자(W)는 작동레버(134)에 의해서 제 1 안치링(130)의 내주면 상에 안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충격자(W)가 제 1 안치링(130)의 내주면 안치되면, 작업자는 작동레버(134)의 손잡이(136)를 잡고 충격자(W)가 자유 낙하되도록 작동레버(134)를 제 1 안치링(130) 외부로 잡아 당긴다. 이와 같이 작동레버(134)를 잡아당기면, 충격자(W)는 제 1 안치링(130)의 내주면에서 제 2 안치링(132)의 내주면을 거쳐 가이드관(148)의 내주면을 따라 낙하하면서 시료(S)를 타격하게 된다. 이때, 시료(S)를 타격한 충격자(W)는 가이드관(148)에 의해서 가이드관(148)의 내주면 상에 잔류하게 되고, 작업자는 안전하게 타격된 시료(S)를 인출하여 시료(S)를 분석한다.
한편, 충격자(W)의 낙하 높이를 높이거나 낮추기 위해서는 상부플레이트(122)의 모서리부분에 체결된 나비볼트(B)를 풀고, 상부플레이트(122)를 원하는 눈금(114)의 위치로 가변한 후, 다시 나비볼트(B)를 체결한다.
또한, 시료(S)의 크기, 즉 높이가 높은 시료(S)를 안치할 때는 가이드플레이 트(142)의 모서리부분에 체결된 나비볼트(B)를 풀어 시료(S)에 간섭되지 않는 위치로 가변한 후 다시 나비볼트(B)를 체결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부품용 내충격성 시험기(100)는 충격자(W)가 안치되는 상부플레이트(122)가 지지대(112)를 따라 가변되기 때문에 충격자(W)의 낙하높이를 용이하기 조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마찬가지로, 가이드관(148)이 장착된 가이드플레이트(142)가 지지대(112)를 따라 가변되기 때문에 시료(S)의 높이 상관없이 충격시험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충격자(W)를 안내하는 가이드관(148)을 구비함으로써, 시료(S)를 타격한 충격자(W)가 시험기(100)의 외부로 튕겨나가 작업자를 가해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적어도 3개 이상의 지지대를 갖는 높이조절부;
    상기 지지대의 상부 측에서 시험높이에 맞추어 상기 지지대를 따라 가변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장착되면서 구형상의 충격자가 안치됨과 아울러 상기 충격자를 낙하시키는 충격자안치플랜지를 갖는 상판부;
    상기 지지대의 중앙부분에 시료의 크기에 맞추어 상기 지지대를 따라 가변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이드플레이트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에 장착되면서 낙하하는 상기 충격자를 안내하는 가이드관을 갖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하부 지면상에 배치되고 상부면 상에는 낙하하는 상기 충격자에 타격되는 상기 시료가 안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를 갖는 베이스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부품용 내충격성 시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지지대는 지면에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며, 어느 하나의 상기 지지대의 외측에는 눈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부품용 내충격성 시험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각각의 모서리부분에는 상기 지지대에 끼워질 수 있도록 다수의 제 1 결합공이 수직하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중앙부분에는 상기 충격자가 안치되는 상기 충격자안치플랜지가 끼워지는 제 1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각각의 모서리 외측에는 상기 제 1 결합공에 끼워진 상기 지지대를 가압하는 통상의 나비볼트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부품용 내충격성 시험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자안치플랜지는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상부면 상에 거치되면서 내주면 상에 상기 충격자가 안치되는 제 1 안치링과, 상기 제 1 안치링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제 1 관통공을 관통하는 제 2 안치링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안치링에는 상기 제 1 안치링의 외주면 일측 외측에서부터 상기 제 1 안치링의 내주면을 지나 상기 제 1 안치링의 외주면 타측 까지 연장되면서 상기 제 1 안치링의 내주면 상에 상기 충격자가 안치되게 하는 작동레버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작동레버의 어느 하나의 단부에는 손잡이가 일체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부품용 내충격성 시험기.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각각의 모서리부분에는 상기 지지대에 끼워질 수 있도록 다수의 제 2 결합공이 수직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중앙부분에는 상기 제 1 안치링 및 상기 제 2 안치링의 내주면과 마주보면서 상기 가이드관이 끼워지는 제 2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각각의 모서리 외측에는 상기 제 2 결합공에 끼워진 상기 지지대를 가압하는 통상의 나비볼트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부품용 내충격성 시험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관의 상부는 상기 제 2 관통공에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관의 하부는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 인접한 위치까지 연장되며, 상기 가이드관은 투명한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부품용 내충격성 시험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부품용 내충격성 시험기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가이드관 사이에 배치되는 하부플레이트를 갖는 하판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부품용 내충격성 시험기.
  8.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각각의 모서리부분에는 상기 지지대에 끼워질 수 있도록 다수의 제 3 결합공이 수직하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중앙부분에는 상기 가이드관의 내주면과 마주보는 제 3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 3 관통공으로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안치된 상기 시료가 상기 가이드관 측으로 노출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각각의 모서리 외측에는 상기 제 3 결합공에 끼워진 상기 지지대를 가압하는 통상의 나비볼트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부품용 내충격성 시험기.
KR1020060046423A 2006-05-24 2006-05-24 자동차부품용 내충격성 시험기 KR200701134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6423A KR20070113491A (ko) 2006-05-24 2006-05-24 자동차부품용 내충격성 시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6423A KR20070113491A (ko) 2006-05-24 2006-05-24 자동차부품용 내충격성 시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3491A true KR20070113491A (ko) 2007-11-29

Family

ID=39091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6423A KR20070113491A (ko) 2006-05-24 2006-05-24 자동차부품용 내충격성 시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13491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270B1 (ko) * 2008-04-24 2010-08-23 주식회사 지유 이동형 낙하충격 시험장치
CN103542995A (zh) * 2013-10-31 2014-01-29 维尔斯电子(昆山)有限公司 球击测试机
CN104181058A (zh) * 2013-05-24 2014-12-03 深圳市海洋王照明工程有限公司 液力冲击试验装置
CN104568365A (zh) * 2015-01-26 2015-04-29 昆山市建设工程质量检测中心 烟道冲击试验用检测装置及烟道抗冲击检测方法
KR20220036769A (ko) * 2020-09-16 2022-03-23 국방기술품질원 방탄 시험용 시료 거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탄 시험 방법
KR20230048728A (ko) * 2021-10-05 2023-04-12 태양금속공업주식회사 숄더볼트의 패치 두께 검사지그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270B1 (ko) * 2008-04-24 2010-08-23 주식회사 지유 이동형 낙하충격 시험장치
CN104181058A (zh) * 2013-05-24 2014-12-03 深圳市海洋王照明工程有限公司 液力冲击试验装置
CN103542995A (zh) * 2013-10-31 2014-01-29 维尔斯电子(昆山)有限公司 球击测试机
CN104568365A (zh) * 2015-01-26 2015-04-29 昆山市建设工程质量检测中心 烟道冲击试验用检测装置及烟道抗冲击检测方法
KR20220036769A (ko) * 2020-09-16 2022-03-23 국방기술품질원 방탄 시험용 시료 거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탄 시험 방법
KR20230048728A (ko) * 2021-10-05 2023-04-12 태양금속공업주식회사 숄더볼트의 패치 두께 검사지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13491A (ko) 자동차부품용 내충격성 시험기
KR100986289B1 (ko) 충돌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안전모 충격 시험기
TWI309296B (en) Portable apparatus for measuring the flexibility of a golf club head and method teherof
US7243526B2 (en)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the impact properties of a sport field surface
KR101767531B1 (ko) 휴대폰 및 테블릿 화면 커버용 강화유리 강도 시험기
CN104897492A (zh) 一种测试混凝土落锤冲击性能的试验装置
CN105043707A (zh) 可集中控制的假人标定试验系统
KR20160138540A (ko) 충격 성능 테스트 안티 리바운드 장치 및 방법
US3266289A (en) Drop hammer impact tester
CN200952985Y (zh) 一种抗冲击测试装置
KR101850877B1 (ko) 낙하 충격 시험장치
CN108169039B (zh) 一种便携式小能量冲击试验装置及其使用方法
JPH0854329A (ja) バンパービームの強度試験方法及び装置
CN204882027U (zh) 可集中控制的假人标定试验系统
CN211122251U (zh) 一种用于测量薄膜冲击力学性能的落锤式试验设备
KR101755928B1 (ko) 자동차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시험 장치
KR100919359B1 (ko) 자동차용 강판의 충돌시험장치
CN208568502U (zh) 落重式冲击实验机
US20140345360A1 (en) Apparatus for evaluating dynamic forces
CN211576831U (zh) 高强度多点管式漆膜冲击测试仪
KR102279179B1 (ko) 베어링의 링 분리 장치
CN209559671U (zh) 一种具有缓冲功能的冲击试验机
CN218973783U (zh) 一种用于镜头撞击测试的钢球跌落治具
US4862746A (en) Vibration tester for screws
CN210571691U (zh) 一种玻璃抗冲击测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