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2606A -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 - Google Patents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2606A
KR20070112606A KR1020060045722A KR20060045722A KR20070112606A KR 20070112606 A KR20070112606 A KR 20070112606A KR 1020060045722 A KR1020060045722 A KR 1020060045722A KR 20060045722 A KR20060045722 A KR 20060045722A KR 20070112606 A KR20070112606 A KR 200701126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assembly
building
assembly box
box
building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5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3876B1 (ko
Inventor
남태수
Original Assignee
남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태수 filed Critical 남태수
Priority to KR1020060045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3876B1/ko
Publication of KR20070112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2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3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3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covered by H02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복수의 배선기구 유닛들을 통합적으로 수납하기 위한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가 개시된다.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는 몸체부, 박스 커버부 및 체결부를 포함한다. 몸체부는 바닥부와, 바닥부에서 돌출되어 배선기구 유닛 몸체를 수납하기 위해 일정 공간을 정의하는 복수의 측벽부들과, 전선 어셈블리와의 체결을 위해 측벽부들에서 돌출 형성된 전선관 체결부를 포함한다. 박스 커버부는 측벽부들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을 밀봉하는 측벽부 위에 배치된다. 체결부는 박스 커버부와 몸체부를 결합한다. 이에 따라, 복수의 배선기구 유닛들을 통합적으로 수납하여 각종 전선 어셈블리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도록 통합형으로 구현하므로써, 전기 공사에 소요되는 자재를 간소화하여 자재비 및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다.
전선 어셈블리 박스, 콘센트 모듈, 일체형

Description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ELECTRICAL WIRING ASSEMBLY BOX FOR A BUILD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를 라인 I-I'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를 라인 II-II'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c는 도 1에 도시된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를 라인 III-III'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에 도시된 몸체부를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1에 도시된 박스 커버부를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를 이용한 바람직한 전선시공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에 전원 콘센트 모듈, 유선전화 콘센트 모듈, 케이블 TV 연결 모듈들이 채용되는 예를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박스 커버부들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는 평면도들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몸체부 110 : 바닥부
120 : 측벽부들 130 : 전선관 체결부
140 : 제1 스크류 체결홈 142 : 돌출부
144 : 전선관 고정부 146 : 유입 방지부
150 : 수평계 160 : 수평계
200 : 박스 커버부 210 : 플랫부
212 : 윈도우부 214 : 제3 스크류 체결홈
220 : 제2 스크류 체결홈 300 : 체결부
400 : 윈도우 커버
본 발명은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배선기구 유닛들을 통합적으로 수납하기 위한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벽체 또는 슬라브에는 각종 전기기기 및 제어기기 등이 설치된다. 상기한 전기기기 및 제어기기들과 별도의 전원공급부를 전기적으로 연결 하기 위해 상기 벽체 또는 슬라브 구축후, 전선 시공이 이루어진다.
상기 전선시공에 사용되는 전선장치는 박스 형상의 모듈박스와, 상기 모듈박스와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른 모듈박스 또는 별도의 전원공급부에 연결되기 위한 전선관 등을 포함한다.
상기한 종래의 전선장치를 이용한 일반적인 전선시공 공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벽체 또는 슬라브 구축을 위한 철근구조물에 전선장치를 설치하는 전선장치 설치공정과, 상기 철근구조물의 양측면에서 이격되어 설치되는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소정의 기간동안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벽체 양생공정과, 양생된 벽체내에 설치된 전선관에 전선을 삽입하는 전선 삽입공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선관에 삽입되는 전선은 모듈박스에 설치되는 각종 전기기기 및 제어기기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하지만, 일반적인 모듈박스는 하나의 콘센트 모듈에 대응하여 벽체 또는 슬라브 구축시 철근 구조물에 배치된다. 따라서, 여러 개의 콘센트 모듈들을 근접 배치시키는 경우, 별개의 모듈박스들을 상기 철근 구조물에 각각 배치시킨 후 벽체 양생공정을 진행하거나, 별개의 모듈박스들을 조립한 후 상기 철근 구조물에 배치시킨 후 벽체 양생공정을 진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철근 구조물에 여러 개의 콘센트 모듈들에 대응되는 모듈박스를 조립하는데 시간 및 인건비 등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각 콘센트 모듈의 특성에 맞는 모듈박스를 정확히 선별해야하는 번거 로움이 있다. 즉, 콘센트 모듈의 특성에 따라 모듈박스의 상부에서 제공되는 전선들의 수와 하부에서 제공되는 전선들의 수가 상이하므로 상부 및 하부 각각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전선들의 수에 매칭되는 모듈박스를 선택하여 벽체 양성공정 이전에 조립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모듈박스를 철근 구조물에 배치한 후 벽체 양생공정이 종료된 모듈박스 간의 간격이나 수평 등이 매칭되지 않아 미관상 에러가 발생된 경우 양생된 콘크리트물을 제거하여 재시공하여야 한다. 이때에도 역시, 별도의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 공사에 소요되는 자재를 간소화하여 자재비 및 인건비를 절감하기 위한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는 건축물의 벽체 등에 배치되어, 상기 벽체내에 시공된 각종 전선 어셈블리와 배선기구 유닛 몸체를 연결한다. 상기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는 몸체부, 박스 커버부 및 체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배선기구 유닛 몸체를 수납하기 위해 일정 공간을 정의하는 복수의 측벽부들과, 상기 전선 어셈블리와의 체결을 위해 상기 측벽부들에서 돌출 형성된 전선관 체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박스 커버부는 상기 측벽부들에 의해 정의되 는 공간을 밀봉하는 상기 측벽부 위에 배치된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박스 커버부와 상기 몸체부를 결합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부의 바닥부는 상기 측벽부들의 돌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돌출되어 격벽부를 정의하는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는 상기 측벽부들중 하나에 배치되어 수평 확인을 위한 수평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는 상기 측벽부들중 상기 수평계가 배치된 측벽부에 인접하는 측벽부들에 배치된 눈금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박스 커버부는 하나 이상의 윈도우부를 갖고, 상기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는 상기 윈도우부를 커버하는 윈도우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윈도우의 수는 상기 몸체부에 수납되는 콘센트 모듈의 수에 대응한다.
또한, 상기 윈도우는 사각형상을 갖고, 상기 박스 커버부에는 상기 사각 형상의 서로 마주하는 변들에 대응하여 스크류 체결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선관 체결부는 상대적으로 긴 길이의 측벽부들중 하나에 8개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 8개 형성된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에 의하면, 복수의 배선기구 유닛들을 통합적으로 수납하여 각종 전선 어셈블리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도록 통합형으로 구현하므로써, 전기 공사에 소요되는 자재를 간소화하여 자재비 및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를 라인 I-I'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를 라인 II-II'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c는 도 1에 도시된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를 라인 III-III'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에 도시된 몸체부를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1에 도시된 박스 커버부를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특히, 도 3a는 몸체부의 평면도, 도 3b는 몸체부의 우측면도, 도 3c는 몸체부의 상측면도이다. 도 4a는 박스 커버부의 평면도, 도 4b는 박스 커버부의 우측면도, 도 4c는 박스 커버부의 상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는 몸체부(100), 박스 커버부(200), 체결부(300) 및 윈도우 커버(400)를 포함하고, 건축물의 벽체 등에 배치되어, 상기 벽체내에 시공된 각종 전선 어셈블리와 배선기구 유닛 몸체를 연결한다.
상기 배선기구 유닛 몸체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원을 온/오프하는 스위치, 각종 전기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나 또는 복수의 플러그가 삽입되는 콘센트, 선택적으로 기상시간이나 취침시간 등에 맞추어 조명을 조정하는 다기능 리모 콘 스위치, 핸즈프리 스피커폰, 케이블 TV(CATV)나 공중파 TV의 연결을 위한 유닛 등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100)는 바닥부(110), 측벽부들(120), 격벽부(130), 전선관 체결부(140), 제1 스크류 체결홈(150), 수평계(160) 및 수평계(170)를 포함한다.
상기 바닥부(110)는 사각 형상을 갖고서, X-Y 좌표 평면상에 배치된다.
상기 측벽부들(120)은 사각 형상을 갖는 바닥부(110)의 에지 영역에서 -Z-축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배선기구 유닛 몸체를 수납하기 위해 사각 박스 형상을 정의한다.
상기 격벽부(130)는 상기 몸체부(100)의 바닥부(110)가 상기 측벽부들(120)의 돌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돌출되어 정의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바닥부(110)에는 상기 격벽부(130)의 수에 연동되는 홈들이 형성된다.
향후,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가 건축물의 벽체 등에 시공되는 경우, 상기 바닥부(110)에 형성됨 홈들에는 콘크리트물이 충진된다. 이에 따라, 상기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에 미치는 하중의 영향을 줄일 수 있다. 만일,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 특히 상기 몸체부(100)가 콘크리트물의 하중을 견디기에 충분한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하중에 대한 고려를 무시할 수 있다면, 상기한 격벽부(130)는 생략되어질 수도 있다.
상기 전선관 체결부(140)는 돌출부(142), 전선관 고정부(144) 및 유입 방지부(146)를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142)는 전선 어셈블리와의 체결을 위해 상기 측벽부들(120)중 상대적으로 긴 측벽들에서 +X-축 방향 및 -X-축 방향을 향해 각각 돌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돌출부(142)는 상대적으로 긴 변의 하나의 측벽에서 +X-축 방향을 향해 8개가 돌출 형성되고, 상대적으로 긴 변의 나머지 하나의 측벽에서 -X-축 방향을 향해 8개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42)의 외피 영역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전선관 고정부(144)는 상기 돌출부(142)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향후 전선 어셈블리의 외피에 물리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유입 방지부(146)는 상기 측벽부들(120)의 형성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콘크리트 타설시 유입되는 콘크리트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전선관 체결부(140)에 전선 어셈블리가 체결되는 경우, 상기 전선 어셈블리의 인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유입 방지부(146)는 제거된다.
상기 제1 스크류 체결홈(150)은 상기 격벽부(130)의 모서리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상기 체결부(300)에 의해 상기 박스 커버부(200)와 결합된다.
상기 수평계(160)는 상기 측벽부들(120)중 하나의 측벽에 배치되어 상기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의 상하좌우의 수평 확인을 위해 이용된다. 이에 따라, 시공후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에 각종 배선기구 유닛 몸체가 체결된 후, 상하좌우의 수평이 맞지 않아 발생되는 미관상의 오류가 제거된다.
상기 눈금자(170)는 상기 측벽부들(120) 중 상대적으로 작은 외측벽부들 각각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가 건축물의 벽체 등에 시공되는 경우, 상기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의 높이 확인을 위해 이용된 다.
상기 박스 커버부(200)는 사각 형상의 플랫부(210)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들(120)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을 밀봉하는 상기 측벽부들(120) 위에 배치된다. 상기 플랫부(210)의 에지 영역에는 제2 스크류 체결홈(220)이 형성된다.
상기 플랫부(210)에는 윈도우부(212) 및 제3 스크류 체결홈(214)이 형성된다. 상기 윈도우부(212)의 수는 상기 몸체부(100)에 수납되는 배선기구 유닛 몸체의 수에 대응된다. 예를들어, 상기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내에 2개의 배선기구 유닛 몸체들이 배치되는 경우, 2개의 윈도우부들이 형성된 박스 커버부가 배치되고, 4개의 배선기구 유닛 몸체들이 배치되는 경우, 4개의 윈도우부들이 형성된 박스 커버부가 배치된다.
향후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벽체에 숨겨지는 상기 플랫부(210)의 표면에는 복수의 엠보싱부가 형성되어 상기 콘크리트물과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콘크리트물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윈도우부(212)는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2)의 플랫부(210)에 형성되어, 상기 윈도우 커버(400)가 결합된다. 상기 윈도우부(212)의 테두리에는 폐루프 형상의 단턱이 형성된다.
상기 제3 스크류 체결홈(214)은 향후 수납되는 스위치 또는 콘셋 등과의 결합을 위해 윈도우부(212)의 가장자리 영역에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300)는 상기 박스 커버부(200)에 형성된 상기 제2 스크류 체결홈(220)을 경유하여 상기 몸체부(100)에 형성된 상기 제1 스크류 체결홈(150)에 체 결되어 상기 박스 커버부(200)와 상기 몸체부(100)를 결합한다.
상기 윈도우 커버(400)는 윈도우부(212)를 커버하여 상기 측벽부들(120)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을 일시적으로 밀폐 또는 개방시킨다. 즉,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윈도우 커버(400)는 콘크리트물이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내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윈도우 커버(400)는 벽체에서 노출되도록 시공된다. 상기 윈도우 커버는 상기 배선기구 유닛 몸체 등이 상기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에 수납되어 각종 전선 어셈블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조립 공정시 제거된다.
상기 윈도우 커버(400)의 재질은 밀폐력이 양호한 연질의 합성수지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본 발명의 목적을 만족하는 윈도우 커버(400)의 재질은 다양하게 적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의 후면부에는 상기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가 철근구조물에 일정한 자세를 유지하며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철근구조물의 철근 외주면에 대응하는 형상의 홈을 갖는 고정클립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박스 커버부에 4개의 윈도우부들이 형성되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내에 4개의 배선기구 유닛 몸체들이 수납되는 것을 설명하였다. 이처럼, 4개의 배선기구 유닛 몸체들의 수납을 위해 형성된 박스 커버부는 스위치 4구형 박스로 칭한다.
당업자라면 스위치 3구형 박스, 스위치 좌3구형 박스, 스위치 우3구형 박스, 혼합형 4구형 박스 등을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에 채용할 수 있다. 상기 혼합형 4구형 박스를 포함하는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내에는 예를들어, 3개의 배선기구 유닛 몸체들 및 1개의 멀티미디어용 배선기구 유닛 몸체가 수납된다. 상기 멀티미디어용 배선기구 유닛 몸체는 PDP나 LCD TV와 같이 홈씨어터 시스템을 채용하는 경우 고객의 요청에 따라 수납된다.
그러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가 건축물의 벽체에 채용되어 시공되는 예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를 이용한 바람직한 전선시공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BX)에 콘센트 모듈(CM)이 설치되는 것을 일예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BX)는 벽체 철근구조물(D)에 설치된다. 상기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BX)의 내부 일측면에는 단자대(미도시)가 설치된다.
전선 어셈블리(EW)는 상기 단자대에 연결되는 전선을 구비하고, 상기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BX) 또는 전원공급부(미도시)에 연결된다. 상기 단자대는 복수의 접지단자들을 구비하여 상기 전선과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BX)의 수납 공간에 설치되는 스위치 또는 콘셋의 전선(미도시)들을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용이하게 전기가 인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우선, 양생된 바닥 슬라브(34)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철근구조물(D)의 일측에 전선장치를 설치하게 되는데, 그 설치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BX)를 상기 철근구조물(D)의 일측에 설치하여 상기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BX)가 상기 철근구조물(D)의 일측에서 안정적인 자세로 거치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이때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BX)의 좌우 수평 조정을 위해 양측에 형성된 2개의 눈금자(170)를 이용하고, 이에 부가하여 수평계(160)를 이용한다.
상기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BX)는 구축되는 건축물에 요구되는 전기배선의 사양에 따라 다양한 위치 및 높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BX)의 상측 및 하측에 형성된 전선관 체결부(140)에 형성된 전선관 고정부(144)를 이용하여 전선 어셈블리(EW)를 설치하게 되는데, 상기한 설치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BX)의 돌출부(142)에 전선관 고정부(144)를 설치한 다음, 상기 전선관 고정부(144)에 전선관의 선단부에 결합된 결합구를 결합시킨다.
따라서, 상기의 결합과정에 의해 상기 전선관의 내측에 배치되는 전선의 일측에 결합된 접지커넥터(미도시)를 상기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BX)의 내측에 설치된 단자대의 접지단자에 고정나사를 이용하여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전선관에 배치된 전선의 길이가 상기 전선관의 선단부에서 더욱 연장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BX)에 설치된 단자대의 접지단자에 더욱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BX)에 전선 어셈블리(EW)를 연결한 다음, 상기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BX)의 윈도우부(212)는 윈도우 커버(400)와의 결합을 통해 외부로부터 밀폐되도록 한다.
상기한 과정에 의해 벽체 구축을 위한 철근구조물(D)에 전선장치를 설치하는 전선장치 설치 공정이 완료되면,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벽체를 구축하는 양생공정을 행한다.
상기 양생공정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상기 철근구조물(D)의 외측 및 내측에 벽체 거푸집을 각각 설치한 다음, 그 사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일정한 양생기간을 거쳐서 벽체를 구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과정에서 콘크리트 타설시에 상기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BX)의 윈도우부(212)는 윈도우 커버(400)에 의해 완전 밀폐시킴으로써, 타설되는 콘크리트 또는 이물질 등이 유입되지 않게 된다.
상기 벽체 양생공정은 철근구조물(D)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상기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을 행하는 일반적인 양생공정으로써,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상기 벽체 양생공정에 의해 구축된 벽체에 일체로 결합된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BX)는 윈도우 커버(400)만 외부에 개방된 상태가 된다.
상기의 벽체 양생공정 후 벽체에 설치된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BX)에 콘센트 모듈(CM)을 결합하려면, 상기 윈도우 커버(400)를 분리하여 상기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BX)의 내측 공간부가 개방되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BX)에 설치된 단자대의 접 지단자에 콘센트 모듈(CM)의 접지 커넥터를 결합한 후, 상기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BX)의 전면부에 배치된 커버부(200)에 형성된 제3 스크류 체결홈(214)에 별도의 체결부를 체결하여 콘센트 모듈(CM)을 결합하면 된다.
그리하여, 상기 전선관의 내측에 삽입된 전선에 의해 전원공급부(미도시) 또는, 또 다른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에서 인가되는 전기가 단자대를 통해 콘센트 모듈(CM)에 인가되어 상기 콘센트 모듈(CM)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기기 들을 용이하게 동작시키거나 제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는 상기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BX)에 콘센트 모듈(CM)이 결합되는 것을 일예로 설명하고 도면에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다기능 리모콘 스위치류, 스위치, 핸즈프리 스피커폰, 전기계량기, 조명기기, 화재발신기, 인터폰 등 건축물에 요구되는 전기기기 및 제어기기 들은 모두 설치가 가능하고 그 설치방법은 상기 스위치의 설치방법과 동일 또는 유사하다.
한편, 상기 윈도우 커버(400)는 상기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BX)에 스위치 등을 설치하는 마감공정 이전에 행해지는 모든 공정에서 상기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BX)의 윈도우 커버(400)가 밀폐될 수 있도록 결합된 상태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BX)의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충격에 의해 파손이 방지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에 전원 콘센트 모듈, 유선전화 콘센트 모듈, 케이블 TV 연결 모듈들이 채용되는 예를 설명하는 분해 사시 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에서 윈도우 커버(400)가 제거된 상태에서 제1 콘센트 모듈(CM1), 제2 콘센트 모듈(CM2), 제3 콘센트 모듈(CM3) 및 제4 콘센트 모듈(CM4)이 배치된다. 따라서, 도 6에서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서는 제1 내지 제4 콘센트 모듈들(CM1~CM4) 각각은 모듈 본체와, 상기 모듈 본체의 일부를 커버하는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전기 시공시, 상기 모듈 본체는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내에 수납되어 전선 어셈블리의 전선에 연결된 후, 커버부(200)의 제3 스크류 체결홈(214)에 체결되는 별도의 스크류에 의해 고정된다. 이어, 상기 커버 플레이트가 상기 모듈 본체의 일부를 커버하면서 사용자측에 노출되도록 체결된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박스 커버부들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는 평면도들이다.
특히, 도 7a는 세 개의 콘센트 모듈들을 탑재하는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에 대응되는 좌3구형 박스 커버부를 도시한다. 물론, 상기한 좌3구형 박스 커버부를 180도 회전시키면 우3구형 박스 커버부로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도 7b는 하나의 4각 멀티미디어 콘센트 모듈과 세 개의 콘센트 모듈들을 탑재하는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에 대응되는 4구형 박스 커버부를 도시한다.
특히, 도 7b에 도시된 4구형 박스 커버부에는 콘센트 모듈보다 상대적으로 큰 사이즈의 4각 멀티미디어 콘센트 모듈을 탑재하기 위한 윈도우부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박스 커버부에 대응하는 몸체부에 형성되는 격벽부들간의 간격은 조정되어짐은 자명하다.
한편, 도 7c는 하나의 4각 멀티미디어 콘센트 모듈을 탑재하는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에 대응되는 1구형 박스 커버부를 도시한다.
특히, 도 7c에 도시된 1구형 박스 커버부에는 중앙에 4각 멀티미디어 콘센트 모듈을 탑재하기 위한 윈도우부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박스 커버부에 대응하는 몸체부에 형성되는 격벽부의 위치는 조정되어짐은 자명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에 따르면, 여러 개의 모듈박스들을 설치하는 전기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어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단일 모듈박스에는 한정된 인출구(배관고정 부분)로 인해 별도의 모듈박스들을 병렬로 연결시켜 조립해야 하는 작업이 불필요하다.
또한, 여러 개의 모듈박스들을 병렬로 연결시켜 조립하고, 이를 고정하기 위해 필요한 별도의 고정지지물이 불필요하다.
또한,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 자체의 중앙에 수평계가 배치되고, 좌우 양쪽에 눈금자가 배치되므로 필요한 개소에 수직, 수평 방향 및 높이에 맞추어 보다 용이하게 고정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건축물의 벽체 등에 배치되어, 상기 벽체내에 시공된 각종 전선 어셈블리와 콘센트 모듈을 연결하는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에서,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콘센트 모듈을 복수개 수납하기 위해 일정 공간을 정의하는 복수의 측벽부들과, 상기 전선 어셈블리와의 체결을 위해 상기 측벽부들에서 돌출 형성된 전선관 체결부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측벽부들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을 밀봉하는 상기 측벽부 위에 배치된 박스 커버부; 및
    상기 박스 커버부와 상기 몸체부를 결합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바닥부는 상기 측벽부들의 돌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돌출되어 격벽부를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들중 하나에 배치되어 수평 확인을 위한 수평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들중 상기 수평계가 배치된 측벽부에 인접하는 측벽부들에 배치된 눈금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커버부는 하나 이상의 윈도우부를 갖고, 상기 윈도우부를 커버하는 윈도우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의 수는 상기 몸체부에 수납되는 콘센트 모듈의 수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사각형상을 갖고, 상기 박스 커버부에는 상기 사각 형상의 서로 마주하는 변들에 대응하여 스크류 체결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관 체결부는 상대적으로 긴 길이의 측벽부들중 하나에 8개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 8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
KR1020060045722A 2006-05-22 2006-05-22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 KR100833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5722A KR100833876B1 (ko) 2006-05-22 2006-05-22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5722A KR100833876B1 (ko) 2006-05-22 2006-05-22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2606A true KR20070112606A (ko) 2007-11-27
KR100833876B1 KR100833876B1 (ko) 2008-06-02

Family

ID=39090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5722A KR100833876B1 (ko) 2006-05-22 2006-05-22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387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08376A (zh) * 2017-11-21 2018-02-16 广州市科迅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机柜综合理线单元
WO2018221947A1 (ko) * 2017-05-31 2018-12-06 (주)상건 접속점을 측벽에 배치시킨 전기 배선 구조 및 건축물 시공 방법
KR102090902B1 (ko) * 2019-07-29 2020-03-18 (주)미래이앤지 건축물 전기수직 배선구조
KR20210051308A (ko) * 2019-10-30 2021-05-10 (주)조인에프에스 측뢰 피뢰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7312B1 (ko) * 2023-04-12 2023-10-12 이준성 배선박스용 케이블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9754Y1 (ko) * 1993-06-30 1995-11-22 박지성 매입용 전기박스
KR200171322Y1 (ko) 1999-09-09 2000-03-15 조추희 수평조절기능을 갖는 옥내배관용 월아웃렛박스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21947A1 (ko) * 2017-05-31 2018-12-06 (주)상건 접속점을 측벽에 배치시킨 전기 배선 구조 및 건축물 시공 방법
US11381068B2 (en) 2017-05-31 2022-07-05 Sang Gun Co., Ltd. Electrical wiring structure with connection points arranged on side walls and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CN107708376A (zh) * 2017-11-21 2018-02-16 广州市科迅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机柜综合理线单元
KR102090902B1 (ko) * 2019-07-29 2020-03-18 (주)미래이앤지 건축물 전기수직 배선구조
KR20210051308A (ko) * 2019-10-30 2021-05-10 (주)조인에프에스 측뢰 피뢰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3876B1 (ko) 2008-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3876B1 (ko)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
US20080179087A1 (en) Support Frame For Wall Mounting an Electrical Apparatus
KR20080017036A (ko) 적어도 하나의 단편의 전기설비를 위한 보조 지지 프레임
JPH01160309A (ja) 建築物用配線盤および配線盤群による配線法
JPS62104417A (ja) フロアパネルの配線装置
KR200485071Y1 (ko) 조립식 멀티 콘센트 박스
KR200460707Y1 (ko) 홈 오토메이션 제어기용 수납박스
WO2022013558A1 (en) Docking unit, charging system, and method of installation
KR101049047B1 (ko) 벽 매설형 콘센트 박스
KR101110760B1 (ko) 벽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전선 보호덕트
KR102178100B1 (ko) 공동주택 전기의 벽체 설치형 케이블 연결소켓장치
US20230097409A1 (en) Wire distributor-combined tumbler switch device
JPH01138916A (ja) コンセント類を内蔵した床パネル支持装置
KR200288513Y1 (ko) 배전함
KR100356702B1 (ko) 벽부용 아웃렛 박스
WO2012074444A1 (en) Installation box with docking devices
EP4350914A1 (en) A support group for electric modules
CA2231859A1 (en) Plastic junction box with receptable boxes
KR200450661Y1 (ko) 매립형 단자블록 고정장치
CN220107009U (zh) 一种开关插座
JP7503874B1 (ja) フロアコンセントボックスを有するログハウスの床構造
CN214753596U (zh) 一种保护计量磁通一体的断路器
KR102181307B1 (ko) 공동주택 배전선로 보호기능을 갖는 전선연결장치
JP2023044817A (ja) フロアコンセントの固定構造
WO2008102103A1 (en) Distribution box for raised flo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