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1564A - 멀티미디어 메시징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메시징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1564A
KR20070111564A KR20060044499A KR20060044499A KR20070111564A KR 20070111564 A KR20070111564 A KR 20070111564A KR 20060044499 A KR20060044499 A KR 20060044499A KR 20060044499 A KR20060044499 A KR 20060044499A KR 20070111564 A KR20070111564 A KR 200701115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emotion
information
multimedia messaging
multimed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044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6424B1 (ko
Inventor
이재용
Original Assignee
(주)피엑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피엑스디 filed Critical (주)피엑스디
Priority to KR1020060044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6424B1/ko
Publication of KR20070111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1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6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6424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서비스 및 PC에서 제공 가능한 감성 전달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글자 색상, 글자의 위치와 크기, 배경의 색상 및 배경 음악 등의 멀티미디어 요소를 메시지 발송자가 지정한 감정에 따라 RSVP(Rapid Serial Visual Presentation)방법에 의하여 표현함으로써 손쉽게 감성적인 메시지를 저작, 전송, 수신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및 그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메시지를 입력받는 메시지 입력부와, 언어적 요소와, 비언어적 요소로 구성된 멀티미디어 요소에 대해 입력된 메시지의 각 단어에 대해 사용자의 감정 선택을 입력하는 감정입력부와, 상기 메시지입력부에 작성된 메시지를 분석하고, 상기 감정입력부에서 사용자에 의한 언어적 요소, 비언어적 요소를 고려하여 지정된 감정에 따른 움직임이나 각 요소를 결합시키는 규칙 엔진부와, 상기 규칙엔진부에서 분석된 메시지와 감정에 따른 움직임, 결합된 내용의 메시지를 단말기 상에 출력하는 출력부와, 상기 출력부에 표시된 멀티미디어 메시징을 사용자의 선택신호에 따라 수신자 단말기로 해당 정보를 송출하는 송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멀티미디어 메시징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MULTIMEDIA MESSAGING SYSTEM AND THAT OF USING SERVICE METHOD}
도 1은 본원발명의 멀티미디어 메시징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원발명에 따라 발신사용자단말기에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의 구성도
도 3은 본원발명에 따라 수신사용자단말기에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의 구성도
도 4는 도 1의 멀티미디어 메시징 시스템을 구동하는 내부 키네틱 메시징 시스템(KMS)의 구성도
도 5는 본원발명의 어플리케이션 구성을 컴퓨터단말기 형태로 구현한 상태도
도 6은 본원발명의 어플리케이션 구성을 발신자이동통신단말기에 적용한 도면
도 7은 본원발명의 어플리케이션 구성을 수신자이동통신단말기에 수신시 적용한 도면
도 8은 본원발명의 어플리케이션 구성을 인스턴트 메신저에 적용한 상태도
도 9은 본원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각종 포맷 변환 절차를 표시한 도면
도 10은 본원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중 SMS 절차를 표시한 흐름도
도 11은 본원발명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구성하여 SMS 서버를 이용한 통신절차를 표시한 일 실시예
도 12는 본원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중 MMS 절차를 표시한 흐름도
도 13은 본원발명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구성하여 응용 서버를 이용한 MMS 통신절차를 표시한 일 실시예
도 14는 본원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중 SMS, MMS, 플래시 절차를 표시한 흐름도
도 15은 본원발명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구성하여 응용서버를 통한 SMS, MMS, 플래시 통신절차를 표시한 일 실시예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통신망 20 : 발신자이동통신단말기
21 : 메시지입력부 22 : 감정입력부
23 : 규칙엔진 24 : 출력부
25 : 타임라인조작부 26 : 변환부
27 : 송신부 29 : 발신자컴퓨터단말기
30 : 수신자이동통신단말기 31 : 수신부
33 : 규칙엔진부 35 : 수신함
37 : 출력부 39 : 수신자컴퓨터단말기
40 : 운영서버 42 : 응용(Application) 서버
44 : SMS 서버 48 : MMS 서버
50 : 가입자데이터베이스 60 : 운영자단말기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메시징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단순히 단어를 연속적으로 보여주는 것에 그치지 않고, 글자의 색상, 위치, 크기 등을 다양하게 변화시켜 글자로 전하려고 했던 의미 이외의 또 다른 감정을 전달할 수 있고, 메시지를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이미지로 표현하고, 메시지의 언어적 구성에 대하여 감정을 전달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메시징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키네틱 타이포그래피(Kinetic Typography)란 스크린, 영상 등 동적인 요소를 시간에 따라 변화가 가능한 매체에 글자, 이미지 등의 시각적 표현과 청각적 사운드 등 멀티미디어를 통해 표현하는 수단을 말한다.
즉, 어떤 표현 대상의 움직임을 통해 주목성을 강화하여 정보의 전달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한마디로 키네틱 타이포그래피는 이전까지의 타이포그래피 가 가지는 규칙이나 원리를 의식하여 활자를 언어나 이미지만을 전달하는 수단으로 사용하지 않고, 소리와 함께 이미지를 전달하는 새로운 시각 전달 매체로 사용하고 있다.
타이포그래피(typography)란 용어는 '타이포스(Typose)'라는 그리스 말에서 비롯되었다. 초기 타이포그래피의 의미는 인쇄로서 문자의 의미를 전달하는 것을 지칭하였으며, 산업혁명을 통해 다양한 디자인 관련 학문이 새롭게 탄생하면서 그 의미도 현대적 의미로 변화하게 되었다. 즉, 인쇄술뿐만 아니라 전달의 한 수단으로써 '활자를 기능적, 미적 면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운용하는 기술이나 학문'이라는 보다 적극적인 디자인 개념으로 바뀌게 된 것이다. 한마디로 타입(Type)을 가지고 디자인을 하는 모든 행동 즉, 색상을 부여거나, 형태를 변형하거나, 크기에 변화를 준다거나, 기타 디자인 행위를 타이포그래피로 지칭한다.
근대에 와서 타이포그래피(typography)가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으로 해석되어 사용되고 있다.
기존의 정적인 타이포그래피에 시간 요소를 추가함으로 시각적 이미지와 청각적 이미지를 동시에 표현할 수 있게 하였다. 즉, '타입(Type)'에 크기, 중량, 간격 등을 혼합되어 '타이포그래피'가 이루어졌고, 공간과 시간, 스피드, 소리. 테크놀러지 등이 혼합되어 '키네틱 타이포그래피'가 만들어지게 된것이다.
타이포그래피(typography)와 키네틱 타이포그래피(Kinetic Typography)의 양자는 '의미'를 전달한다는 목표에서는 공통적으로 사용되지만, 그 표현방식에 있어서는, 타이포그래피(typography)는 2차원인 평면에서 인쇄라는 방법을 이용하고, 시각적 효과만을 활용한 단일 미디어, 정지된 이미지들을 나열하거나 하나의 이미지로 의미를 전달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키네틱 타이포그래피(Kinetic Typography)는 스크린, 영상이미지 등의 동적인 요소를 시간에 따라 변화가 가능한 매체에 글자, 이미지 등의 시각적 표현과 청각적 사운드 등 멀티미디어를 통해 표현되므로 어떤 표현 대상의 움직임을 통해 주목성을 강화하여 정보의 전달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한마디로 키네틱 타이포그래피(Kinetic Typography)는 이전까지의 타이포그래피가 가지는 규칙이나 원리를 의식하여 활자를 언어나 이미지만을 전달하는 수단으로 사용하지 않고, 소리와 함께 이미지를 전달하는 새로운 시각 전달 매체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연속적으로 급변하는 시각적인 프리젠테이션(RSVP:Rapid Serial Visual Presentation)는 일련의 텍스트와 이미지를 연속적으로 빠르게 보여줌으로서 의미를 전달할 수 있는 방법으로 좁은 공간에서 효과적으로 메시지를 빠르게 전달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위의 키네틱 타이포그래피(Kinetic Typography)로 풍부한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도록 활용되고 있다.
상기의 타이포그래피(typography)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서비스 및 PC에서 문자를 이용한 메시지 전달시 문자메시지(SMS), 멀티미디어메시지(MMS) 서비스에 활용되고 있지만 평면적 구조를 가진 특징에 의해 단순히 작성된 문자, 이미지 즉, 이모티콘을 합성하여 상대방에게 전달하는 형태로 진행되고 있다.
이동통신 서비스 및 PC에서 문자를 이용한 메시지 전달 시 단순한 문자에 의 한 전달은 보내는 사람의 감정을 적절히 전달하지 못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멀티미디어메시지서비스(MMS)가 등장하였으나, 멀티미디어의 각각의 요소를 지정해야 하는 방식이므로 일반인들이 쉽게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만들 수 없었다.
선출원된 특허 10-2002-0035212 "배경화면이 있는 문자메시지의 송/수신 방법"에는 단문 메시지 전송시 배경화면을 함께 전송하여 수신자의 무선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순 텍스트 문자메시지가 가지고 있는 한계를 극복하여 보다 세련되고 다양한 방법으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사진이나 이모티콘, 그래픽과 같은 이미지를 텍스트의 배경화면으로 함께 디스플레이시키는 방법도 기존과 달리 보다 다양한 표현을 가능하게 하지만, 이는 주로 정적인 표현에 국한되어 역동적인 표현을 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자기야 사랑해'라는 말과 '사랑'이라는 감정을 전달하기 위하여 글자색도 바꾸고, 배경 이미지도 선택하고, 배경 음악도 고르는 등, 멀티미디어 각 요소를 지정해야 하므로 시간도 오래 걸리고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이 적절히 그 감정을 표현하는 것도 쉽지 않았다.
상기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선등록특허 제10-0474014호 '이모티콘 메시지 변환시스템 및 그 방법'에서는 이모티콘을 보낼 때,'태그'를 이용하여 보낸 뒤, 그 태그를 이용하여 임의로 이모티콘으로 꾸며주는 기능을 보완하였다.
즉, 전술한 가입자 메세지와 추출된 이모티콘을 결합하는 과정에서 가입자 메세지를 이모티콘으로 치환하여 이 치환된 이모티콘과 추출한 이모티콘을 하나의 이모티콘으로 합성하거나, 가입자 메세지의 앞 부분 또는 뒤 부분에 이모티콘을 삽입하여 사용하거나, 단문메세지 전송 제한값 만큼의 크기를 갖고 공백 문자를 다수 포함하고 있는 이모티콘에 가입자 메세지를 삽입하여 사용한다.
즉, 가입자가 작성한 단문메세지에 "{사랑}"이라는 태그가 삽입되어 있으면 꽃다발과 하트 형태를 갖는 80 바이트 크기의 템플릿 이모티콘을 추출한 후에 이 템플릿 이모티콘의 공백에 "사랑"이라는 가입자 메세지를 삽입하여 이모티콘 메세지로 변환함으로써, 작은 크기의 단문메세지에 발신자의 감정을 효율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발명이다.
그러나 상기의 태그를 이용하여 임의로 이모티콘을 꾸며 주어 그 내용을 서버에서 변환하는 방식으로 전달된 이모티콘의 내용을 알 수가 없기 때문에 사용상 불편한 점이 있다.
또한, MMS를 이용한 메시지의 경우, 설령 적절한 멀티미디어 요소를 선택한다고 하더라도, 글자 색, 배경 이미지, 배경 음악 등으로 단순하게 이루어져, 메시지 전달자가 전하려는 감정을 풍부하게 전달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이는 언어적 감정 전달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전개되는데 반해 기존 MMS의 메시지는 한 번에 보여지고, 배경 그림 등이 애니메이션되는 형태로서 메시지의 초반부, 후반부에서 강조하고자 하는 감정의 변화를 표현할 수 없었다. 예를 들면, "나는 너를 사랑해"라고 언어적으로 표현할 때, "나는"을 말할 때의 느낌과 "너를", "사랑해"를 말할 때의 각각의 느낌이 달라질 수 있는데도 불구하고 기존의 MMS 메시지는 세 단어(한 문장)을 한 번에 다른 그림이나 음악과 표현해 버려, 언어가 가지고 있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감정의 변화를 보여주기에 적절하지 않은 면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서비스에서 MMS를 이용하거나, PC 인터넷에서 Flash 등을 이용한 e-Card, 인스턴트 메시징에서의 이모티콘이나 플래시 이모티콘 등은 전문가가 멀티미디어의 각 요소를 완전히 저작하여 제공하므로 위와 같이 사용자가 모든 요소를 직접 지정해야 하는 불편은 없으나, 멀티미디어 부분(카드)과 내가 전달하려는 메시지(글자) 부분이 분리되어 있고 상호 연동되지 않음으로서 감정 전달의 한계가 있어 e-Card 활용 영역이 단순한 부분에 극한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플래시 방식은 기존의 애니메이션 저작 시스템 (플래시, 모바일 플래시, SIS, animation-GIF 등)은 연속적인 그림(이미지)를 보여주는데 적합하게 만들어졌을 뿐, 언어적 메시지를 전달함에 있어서 효과적으로 비언어적 표현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지 않아서 고도의 훈련받은 전문가만이 이러한 메시지를 만들 수 있을 뿐, 일반인은 사용하기가 어려울뿐 아니라 전문가가 제작한다 하더라도 매우 비효율적으로 만들 수 밖에 없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상기에서 제시된 타이포그래피(Typography)을 이용한 평면구조의 문자메시지(SMS), 멀티미디어메시지(MMS) 서비스의 문제점 및 한계를 극복하고자, 스크린, 영상이미지 등의 동적인 요소를 시간에 따라 변화가 가능하도록 표현한 키네틱 타이포그래피(Kinetic Typography)는 멀티미디어, 동적인 이미지를 표현하도록 대두되고 있으며, 플래시 방식의 메시지 전송으로 인해 사용자의 감성적인 메시지를 저작, 전송, 수신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감정이 풍부하게 담긴 복잡한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쉽게 저작하도록 하기 위하여 지정된 감정에 대해 최적의 감성 데이터를 추출하여 제공하고, 이를 이동 통신 전송 경로를 통해 쉽게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데이터를 압축/전송하고, 다시 수신자의 단말기에서 발신자가 의도했던 풍부한 감정이 그대로 재현되도록 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징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제한된 공간에 정보를 조각으로 나누어 연속적으로 보여주는 RSVP (Rapid Serial Visual Presentation) 기법을 사용함으로 문자메시지를 각 단어별로 쪼개어 빠르게 보여주고 이에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각 단어별로 필요한 감성정보를 추가할 수 있어 시간에 따른 표현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메시징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따르면, 이동통신단말기, 컴퓨터단말기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메시징 시스템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작성되고 수신되는 메시지를 입력받는 메시지입력부와, 등장시간, 지속시간, 화면상의 좌표 또는 서체, 크기, 색상, 투명도, 장식요소에 대해 글자체로 부여되는 언어적 요소와, 등장시간, 지속시간, 화면상의 좌표, 요소의 종류 또는 요소의 종류에 따른 색상, 투명도에 부여되는 비언어적 요소로 구성된 멀티미디어 요소에 대해 상기 메시지입력부에서 입력된 메시지의 각 단어에 대해 사용자의 감정을 선택 입력하거나, 상기 메시지입력부에서 입력된 메시지의 전체 메시지에 대해 사용자의 감정을 선택 입력하는 감정입력부와, 상기 메시지입력부에 작성된 메시지를 분석하고, 상기 감정입력부에서 사용자에 의한 언어적 요소, 비언어적 요소를 고려하여 지정된 감정에 따른 움직임이나 각 요소를 결합시키는 규칙 엔진부와, 상기 사용자가 작성한 메시지와 감정입력에 따라 상기 규칙엔진부에서 분석된 메시지와 감정에 따른 움직임, 각 요소가 결합된 내용의 메시지를 단말기 상에 출력하여 표시하는 출력부와, 상기 출력부에 표시된 멀티미디어 메시징을 사용자의 선택신호에 따라 수신자이동통신단말기, 수신자컴퓨터단말기로 해당 정보를 송출하는 송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멀티미디어 메시징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감정입력부의 비언어적 요소의 종류사각형, 삼각형 등 벡터 그래픽과, 정지된 래스터 이미지, 애니메이션 이미지, 사운드 정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감정입력부에서 저작된 움직임이나 부가적인 멀티미디어 요소를 세밀하게 조정하거나 추가할 수 있는 타임라인조작부를 더 부가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단문메시지서비스(SMS), 멀티미디어메시지서비스(MMS), 키네틱메시지서비스(Kinetic Message Service)의 출력 포맷을 선택하거나, SIS, Flash, Mobile-Flash, animation-GIF의 각종의 포맷을 변환시키는 변환부를 더 부가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SMS 혹은 MMS를 이 용할 경우, 혹은 Flash 등으로 자동 변환하는 변환부를 추가할 경우, 본 특허를 지원하지 않는 단말기에서도 쉽게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특징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하는 발신자이동통신단말기, 발신자컴퓨터단말기와, 상기 발신자이동통신단말기, 발신자컴퓨터단말기를 통해 필요한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를 수신하는 수신자이동통신단말기, 수신자컴퓨터단말기와, 일반적인 유무선 통신망과 연결되어 상기 발신자이동통신단말기, 발신자컴퓨터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의 요청신호에 따라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반적인 정보가 포함되고, 통상의 단문메시지서비스를 제공하는 SMS서버, 일반적인 멀티미디어메시지서비스를 제공하는 MMS 서버, 전송된 멀티미디어 메시징 정보에 따라 해당 문자에 감정정보를 실어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필요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에 따라 수신자이동통신단말기, 수신자컴퓨터단말기로 단문메시지서비스(SMS), 멀티미디어메시지서비스(MMS), 플래시 정보를 송출하여 표시되도록 하는 전송서버, 필요에 따라 해당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응용(Application)서버로 구성된 운영서버와, 상기 운영서버의 요청에 따라 상기 단문메시지서비스(SMS), 멀티미디어메시지서비스(MMS), 플래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가입자 정보가 저장된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된 멀티미디어 메시징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응용(Application)서버는 상기 발신자이동통신단말기, 발신자컴퓨터단말기, 수신자이동통신단말기 또는 수신자컴퓨터단말기의 요청신호에 따라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제공을 위해 해당 프로그램 정보의 다운로드/업그레이드 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의 발신자이동통신단말기, 발신자컴퓨터단말기에서 수신된 문자정보에 대해 해당 문자에 감정을 입력하는 감정입력부, 수신된 문자정보와 입력된 감정정보에 대해 문자 메시지 해석, 감정을 합성하는 규칙 엔진부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징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응용(Application)서버의 감정입력부는 등장시간, 지속시간, 화면상의 좌표 또는 서체, 크기, 색상, 투명도, 장식요소에 대해 글자체로 부여되는 언어적 요소와, 등장시간, 지속시간, 화면상의 좌표, 요소의 종류 또는 요소의 종류에 따른 색상, 투명도에 부여되는 비언어적 요소로 구성된 멀티미디어 요소가 구성되고 상기 발신자이동통신단말기, 발신자컴퓨터단말기에서 수신된 해당 문자에 대해 감정을 선택 입력하거나, 입력된 메시지의 전체 메시지에 대해 감정을 선택 입력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감정입력부의 비언어적 요소의 종류사각형, 삼각형 등 벡터 그래픽과, 정지된 래스트 이미지, 애니메이션 이미지, 사운드 정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특징에 따르면,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컴퓨터단말기의 사용자는 상기 통신망을 통해 응용(Application)서버에 접속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응용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거나, 프로그램 버젼정보를 확인하여 업그레이드 절차를 진행하는 제 1 과정; 발신자이동통신단말기, 발신자컴퓨터단말기의 발신자가 전송할 문자 정보를 메시지입력 부를 이용하여 문자 정보 메시지를 작성하고, 상기 감정입력부에서 상기의 절차에 의해 작성된 문자 정보 메시지에 필요한 감정과 세부 감정 선택의 감정정보를 선택하는 제 2 과정; 입력된 문자 정보 메시지와 감정정보를 상기 규칙엔진부에서 메시지 해석, 감정 합성 절차를 진행하는 제 3 과정; 송신부를 통해 메시지 해석, 감정이 합성된 정보와 멀티미디어의 이미지 요소를 운영서버로 전송되면, 전송된 정보를 전송서버를 통해 수신자이동통신단말기 또는 수신자컴퓨터단말기로 전송하여 표시하는 제 4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제 2 과정이 이루어진 후, 타임라인 조작부를 이용하여 직접 각 멀티미디어 요소를 조작하여 원하는 움직임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제 3 과정이 이루어진 후, 어플리케이션 변환부에서 플래시 포맷 변환을 실시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 변환부에서 포맷 변환을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원발명의 멀티미디어 메시징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원발명에 따라 발신사용자단말기에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본원발명에 따라 수신사용자단말기에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4는 도 1의 멀티미디어 메시징 시스템을 구동하는 내부 키네틱 메시징 시스템(KMS)의 구성도를 나타내고, 도 5는 본원발명의 어플리케이션 구성을 컴퓨터단말기 형태로 구현한 상태도이며, 도 6은 본원발명의 어플리케이션 구성을 발신자이동통신단말기에 적용한 도면이다.
도 7은 본원발명의 어플리케이션 구성을 수신자이동통신단말기에 수신시 적용한 도면이며, 도 8은 본원발명의 어플리케이션 구성을 인스턴트 메신저에 적용한 상태도이고, 도 9은 본원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각종 포맷 변환 절차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원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중 SMS 절차를 표시한 흐름도이고, 도 11은 본원발명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구성하여 SMS 서버를 이용한 통신절차를 표시한 일 실시예이며, 도 12는 본원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중 MMS 절차를 표시한 흐름도이고, 도 13은 본원발명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구성하여 응용서버을 이용한 MMS 통신절차를 표시한 일 실시예이며, 도 14는 본원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중 SMS, MMS, 플래시 절차를 표시한 흐름도이고, 도 15은 본원발명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구성하여 응용서버를 통한 SMS, MMS, 플래시 통신절차를 표시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상기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참조번호 10은 통신망을 나타내는데, 유무선 인터넷망, 유무선 전화망 등 통상적인 통신망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20은 본원발명의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을 이용하는 발신자이동통 신달말기를 나타내며, 29은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하는 발신자컴퓨터단말기를 나타낸다.
또한, 참조번호 30은 상기 통신망(10)을 통해 상기 발신자이동통신단말기(20) 또는 발신자컴퓨터단말기(29)에 전송된 본원발명의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수신자이동통신단말기를 나타내며, 39은 상기 통신망(10)을 통해 상기 발신자이동통신단말기(20) 또는 발신자컴퓨터단말기(29)에 전송된 본원발명의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수신자컴퓨터단말기를 나타낸다.
또한, 참조번호 40은 일반적인 운영서버를 나타내며, 본원발명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제반적인 정보가 포함되며, SMS 서버, MMS 서버, 전송서버, 응용(Application)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42는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언어적표현과 비언어적 표현을 효과적으로 저작할 수 있도록 해당 프로그램, 정보,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발신자이동통신단말기(20), 발신자컴퓨터단말기(29), 수신자이동통신단말기(30) 또는 수신자컴퓨터단말기(39)에 요청신호에 따라 해당 정보를 제공하는 응용(Application) 서버를 나타내는데, 해당정보의 다운로드/업그레이드 정보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의 응용(Application) 서버(42)는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를 위해 상기 발신자이동통신단말기(20), 발신자컴퓨터단말기(29)에서 전송된 문자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 수신된 문자정보에 대해 해당 문자에 감정을 입력하는 감정입력부, 수신된 문자정보와 입력된 감정정보에 대해 문자 메시지 해석, 감정을 합성하는 규칙엔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참조번호 44는 상기 통신망(10)을 통해 상기 발신자이동통신단말기(20), 발신자컴퓨터단말기(29)에서 전송된 문자 정보, 멀티미디어 메시징 정보에 따라 해당 요청신호를 상기 수신자이동통신단말기(30)로 전송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SMS 서버를 나타내고, 46은 상기 통신망(10)을 통해 상기 발신자이동통신단말기(20), 발신자컴퓨터단말기(29)에서 전송된 멀티미디어 메시징 정보에 따라 해당 문자에 따라 감정정보를 실어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필요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에 따라 상기 수신자이동통신단말기(30), 수신자컴퓨터단말기(39)로 멀티미디어 SMS, MMS, 플래시 정보를 송출하여 표시되도록 하는 전송서버를 나타낸다.
또한, 참조번호 48은 상기 통신망(10)을 통해 상기 발신자이동통신단말기(20), 발신자컴퓨터단말기(29)에서 전송된 멀티미디어 정보, 멀티미디어 메시징 정보에 따라 해당 요청신호를 상기 수신자이동통신단말기(30)로 전송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MMS 서버를 나타내며, 50은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를 나타내는데, 이는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SMS, MMS, 플래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가입자 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도 2를 참조하여 도 1의 시스템 구성에 따라 본원발명에 대해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발신자단말기에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의 구성을 살펴보면, 참조번호 21은 메시지 입력부를 나타내는데, 이는 본원발명에 따라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작성되고 수신되는 메시지를 입력받는 메시지입력부를 나타낸다.
또한, 참조번호 22는 상기 메시지입력부(21)에 입력된 사용자의 입력메시지에 따라, 사용자의 감정 선택을 입력받는 감정입력부를 나타내는데, 이는 멀티미디어의 언어적요소(각 단어) 즉, 등장시간, 지속시간, 화면상의 좌표 또는 서체, 크기, 색상, 투명도, 장식요소 등의 글자체에 부여되는 멀티미디어 요소와, 비언어적 요소에 부여되는 등장시간, 지속시간, 화면상의 좌표, 요소의 종류 또는 요소의 종류에 따른 색상, 투명도에 부여되는 멀티미디어 요소가 포함된다.
이때, 상기 요소의 종류는 사각형, 삼각형 등 벡터 그래픽과, 정지된 래스터 이미지, 애니메이션 이미지, 사운드 정보로 구성된다.
또한, 참조번호 23은 상기 메시지입력부(21)에서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메시지를 분석하고, 상기 감정입력부(22)에서 사용자에 의해 언어적요소, 비언어적 요소를 고려하여 지정된 감정에 따른 움직임이나 기타 요소를 결합시키는 규칙 엔진부(Rule Engine)를 나타내며, 24는 사용자가 작성한 메시지와 감정입력에 따라 상기 규칙엔진부(23)에서 분석된 메시지와 감정에 따른 움직임, 기타 요소가 결합된 내용의 메시지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나타낸다.
또한, 참조번호 25는 상기 감정입력부(22) 외에서 만들어진 움직임이나, 부가적인 멀티미디어 요소를 세밀하게 조정하거나 추가할 수 있는 타임라인 조작부를 나타내며, 26은 SMS, MMS, KMS(Kinetic Message Service)의 출력 포맷을 선택하거나, SIS, Flash, Mobile-Flash, animation-GIF 등 각종의 포맷을 변환시키는 변환부를 나타내며, 27은 상기의 절차에 의해 출력부(24)에 표시된 멀티미디어 메시징을 사용자의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발신자이동통신단말기(20), 발신자컴퓨터단말 기(29)에서 해당 정보를 송출하는 송신부를 나타낸다.
상기 도 3을 참조하여 도 2의 구성에 의해 전송된 멀티미디어 메시징을 상기 수신자이동통신단말기(30) 또는 수신자컴퓨터단말기(39)에 착신시 수신자단말기에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의 구성을 살펴보면, 참조번호 31은 상기 발신자단말기에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의 구성중 상기 송신부(27)에서 송출한 멀티미디어 메시징 정보를 상기 SMS 서버(44), MMS 서버(48), 전송서버(46) 등을 통해 수신자이동통신단말기(30)로 수신되는 수신부를 나타낸다.
또한, 참조번호 33은 상기 발신자단말기에서 구성되는 어플리케이션의 규칙엔진부(23)와 같이, 상기 발신자이동통신단말기(20) 또는 발신자컴퓨터단말기(29)에서 전송된 멀티미디어 메시징 정보를 상기 수신자이동통신단말기(30) 또는 수신자컴퓨터단말기(39)로 전송하기 위해 멀티미디어 메시징의 메시지를 해석, 언어적요소, 비언어적 요소를 고려하여 지정된 감정에 따른 움직임이나 기타 요소를 결합시키는 규칙 엔진부(Rule Engine)를 나타내며, 37은 사용자가 작성한 메시지와 감정입력에 따라 상기 규칙엔진부(23)에서 분석된 메시지와 감정에 따른 움직임, 기타 요소가 결합된 내용의 메시지를 상기 수신자이동통신단말기(30) 또는 수신자컴퓨터단말기(39)에 표시하는 출력부를 나타낸다.
또한, 참조번호 35는 이동통신단말기내에 구성되어 전송된 멀티미디어 메시징을 저장하는 수신함을 표현하며, 상기 수신함(35)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메시징을 상기 출력부(37)에 표시하기 위해 상기 규칙엔진부(33)을 통해 메시지 해석, 감정에 따른 움직임, 기타 요소가 결합하는 절차를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 스가 제공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의 절차를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원발명의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는 스크린, 영상 등 동적인 요소를 시간에 따라 변화가 가능한 매체에 글자, 이미지 등의 시각적 표현과 청각적 사운드 등 멀티미디어를 통해 표현되므로 어떤 표현 대상의 움직임을 통해 주목성을 강화하여 정보의 전달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키네틱 타이포그래피(Kinetic Typography)을 기본으로 하여 구성된 것으로써, 연속적으로 급변하는 시각적인 프리젠테이션(RSVP:Rapid Serial Visual Presentation)를 발전시켜 키네틱 타오포 그래피 저작도구를 만들어 일반인들에게도 쉽게 키네틱 타이포그래피(Kinetic Typography)로 풍부한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도록 활용하여 타이포그래피(Typography)가 가지는 규칙이나 원리를 의식하여 활자를 언어나 이미지만을 전달하는 수단으로 사용하지 않고, 소리와 함께 이미지를 전달하는 새로운 시각 전달 매체로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도 4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의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를 위한 키네틱 메시지(Kinetic Message)의 데이터 구조와 구성의 동작을 살펴보면,
하나의 메시지(Kinetic Message)는 복수 개의 Kinetic Object(KO)로 구성된다. KO는 기본 데이터 단위이다. 모든 KO는 시작 시간(Start Time)과 지속 시간(Duration)을 갖는다.
Kinetic Object는 문장이 들어있는 Kinetic Typography String(KTString)과 각종의 소리가 들어있는 Kinetic Sound (KSound), Raster Graphic Image를 포함하는 Kinetic Image(KImage), Vector Graphic Image를 포함하는 Kinetic Shape(KShape) 등으로 나누어 진다.
KTString은 Kinetic Word (KTWord)로 이루어진다. 각 KTWord는 단어의 내용(글자)과 시작시간, 지속 시간 및 일련의 시간에 따른 변화(움직임이나 색상, 모양의 변화)를 기술하는 Kinetic Phrase(KPhrase)의 배열로 구성되어 있다. KPhrahse는 움직임, 폰트의 변화 등 시간상에서 변화할 수 있는 각 단위 요소별로 변화의 함수를 정의해 둔 것으로 이들을 복수 개 조합함으로써, 두 가지 이상의 요소를 한꺼번에 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KSound, KImage KShape도 각각 내용 자체를 규정하는 부분과 일련의 움직임을 묘사하는 복수 개의 KPhrase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테면 KPMotion은 현재의 위치에 대하여 움직여야 할 최종 위치를 상대 좌표로 표시하고, 상대 좌표의 크기를 해당 duration으로 나누어 선형적인 움직임을 구현하는 것을 기술하는 KPhrase이다.
또, KPSize는 KTWord인 경우에는 폰트의 크기, KImage의 경우에는 그림의 크기, KSound 같은 경우에는 사운드의 볼륨을 일정 크기로 바꾸는 데 있어서 해당 duration으로 선형적/비선형적인 변화를 구현하는 것을 기술하는 KPhrase이다.
또 KPColor는 KTWord의 경우에는 폰트의 컬러, KShape의 경우에는 내용물의 색상을 RGB 값으로 지정하여, 이를 해당 Duration 내에서 선형적/비선형적으로 변화하도록 하는 것을 기술하는 KPhrase이다.
이외에도 수평/수직의 위치를 사인함수에 의해 상하 혹은 좌우로 이동하는 것을 이용하여 흔드는 효과를 내는 KPVib, 임의의 좌표를 따라 직선, 혹은 베지어 곡선 상으로 이동하는 KPPath 등으로 이루어진다.
부가적으로, 이미 구성이 되어 있는 감정을 결합하여 전달하는 경우에는 문자 238byte에 버전(1 nibble) +감정(1 nibble) + 세부 버전(1 nibble) + 세부 감정(1 nibble)의 형식으로 구성된 simple-KMS 형식이 있다.
상기의 키네틱 메시지의 데이터 구조와 그 구성의 절차에 의해 생성된 어플리케이션의 구성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단말기(웹) 형태로 구현된다. 즉, 사용자에 의해 필요한 메시지 정보를 기재하는 메시지 입력부(21), 메시지 입력부(21)에 입력된 메시지 내용에 따라 필요한 감정을 입력하는 감정입력부(22)와 상기 메시지 입력부(21)의 정보와 감정입력부(22)의 정보를 상기 규칙엔지부(23)에 의해 메시지 해석, 감정 합성하여 상기 출력부(24)에 표시된다.
도 6은 본원발명의 키네틱 메시시의 데이터 구조와 그 절차에 의해 어플리케이션 구성을 발신자이동통신단말기에 적용하면, 먼저, 발신자이동통신단말기(20)의 사용자가 상기 통신망(10)을 통해 상기 응용(Application) 서버(42)에 접속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를 받기 위해 해당 프로그램을 내려받거나, 해당 프로그램의 버전정보를 확인하여 업그레이드 한 후, 상기 메시지 입력부(21)에 필요한 해당 메시지(예 "오늘도 즐거운 하")을 입력한 후, 상기 키네틱 메시지의 데이터 구조에 의해 형성된 저장된 정보를 활용하기 위해 상기 감정입력부(22)에 상기 입력된 메시지를 고려하여 필요한 감정정보를 입력한다.
이때, 감정정보는 멀티미디어의 언어적요소(각 단어) 즉, 등장시간, 지속시간, 화면상의 좌표 또는 서체, 크기, 색상, 투명도, 장식요소 등의 글자체에 부여되는 멀티미디어 요소와, 비언어적 요소에 부여되는 등장시간, 지속시간, 화면상의 좌표, 요소의 종류 또는 요소의 종류에 따른 색상, 투명도에 부여되는 멀티미디어 요소를 선택하여 입력한다.
이때, 상기 요소의 종류는 사각형, 삼각형 등 벡터 그래픽과, 정지된 래스트 이미지, 애니메이션 이미지, 사운드 정보로 구성된다.
이후, 상기 규칙엔진부(23)에서 메시지 해석, 감정을 합성하여 감정에 따른 움직임이나 기타 요소를 결합한다.
상기의 절차에 의해 상기 출력부(24)에 사용자가 작성한 메시지와 감정입력에 따라 상기 규칙엔진부(23)에서 분석된 메시지와 감정에 따른 움직임, 기타 요소가 결합된 내용을 메시지가 표시된다. 이후, 상기 송신부(27)을 통해 상기 출력부(24)에 표시된 멀티미디어 메시징을 사용자의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수신자이동통신단말기(30)로 전송된다.
상기의 절차에 의해 전송된 정보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자이동통신단말기에 수신되는데, 먼저, 전송된 멀티미디어 메시징 정보를 상기 SMS 서버(44), MMS 서버(48), 전송서버(46) 등을 통해 수신자이동통신단말기(30)의 수신부(31)을 통해 수신되면, 수신함(35)에 해당 정보가 저장되거나, 수신된 정보는 상기 출력부(37)에 해당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서 수신된 메시지는 상기 규칙엔진부(33)에서 메시지해석, 감정을 합성하여 상기 출력부(37)에 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단말기에서 인스턴트 메신저에 사용된다.
첨부도면 도 9은 본원발명의 발신자컴퓨터단말기(29)의 어플리케이션의 각종 포맷 변환 절차를 표시한 것으로 상기 타임라인 조작부(25)는 상기 감정입력부(22) 외에서 만들어진 움직임이나, 부가적인 멀티미디어 요소를 세밀하게 조정하거나 추가할 수 있으며, 상기 변환부(26)는 SMS, simple-KMS, KMS(Kinetic Message)의 출력 포맷을 선택하거나, SIS, Flash, Mobile-Flash, animation-GIF 등 각종의 포맷을 변환시킬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의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중 SMS 절차를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는 상기 통신망(10)을 통해 응용(Application)서버(42)에 접속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응용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거나, 프로그램 버젼정보를 확인하여 업그레이드 절차를 진행한다.(S10 단계참조) 이후, 발신자이동통신단말기(20)의 발신자가 전송할 문자 정보를 메시지입력부(21)를 이용하여 78 byte 이하의 문자 정보 메시지를 작성하고(S20 단계참조), 상기 감정입력부(22)에서 상기의 절차에 의해 작성된 문자 정보 메시지에 필요한 감정(예:사랑)과 세부 감정 선택(예:귀엽게) 등의 감정정보를 선택한다.(S30 단계참조)
상기의 절차에 의해 입력된 문자 정보 메시지와 감정정보를 상기 규칙엔진부(23)에서 메시지 해석, 감정 합성 절차를 진행하고(S40 단계참조) 상기 송신부(27)을 이용하여 SMS의 포맷에 문자 메시지(78byte) + 버전(1 nibble) +감정(1 nibble) + 세부 버전(1 nibble) + 세부 감정(1 nibble)의 형식으로 독자적인 Teleservice ID(TID)를 구성하여 SMS서버(44)로 전송하면(S50 단계참조), 상기 정보는 SMS서버(44)을 통해 수신자이동통신단말기(30)로 전송된다.(S60 단계 참조)
이때, 수신자이동통신단말기(30)에 본원발명의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응용프로그램 여부를 확인하여(S70 단계참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으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구동하여(S80 단계참조) 수신된 정보를 출력부(37)에 표시하기 위해 상기 규칙엔진부(33)에서 SMS 포맷에서 78 바이트의 문자 부분과 감정, 세부 감정을 분리하고(S90 단계참조)
상기 수신된 문자정보 부분에 해당하는 감정 정보에 대응하여 미리 정해 놓은 규칙에 의거, 각종 움직임과 이미지를 첨부하고(S100 단계참조), 상기 출력부(37)에 해당 내용을 표시한다.(S110 단계참조) 상기의 절차중 S80 단계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규칙엔진부(S90 단계 및 S100 단계)의 절차없이 상기 출력부(37)에 해당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만약, 어플리케이션 응용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일반적인 단문메시지서비스(SMS)로 상기 출력부(37)에 해당 문자정보를 표시한다.(S120 단계참조)
도 12를 참조하여 본원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중 simple-KMS 절차를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는 상기 통신망(10)을 통해 응용(Application)서버(42)에 접속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응용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거나, 프로그램 버젼정보를 확인하여 업그레이드 절차를 진행한다.(S200 단계참조) 이후, 발신자이동통신단말 기(20)의 발신자가 전송할 문자 정보를 메시지입력부(21)를 이용하여 238 byte 이하의 문자 정보 메시지를 작성하고(S210 단계참조), 상기 감정입력부(22)에서 상기의 절차에 의해 작성된 문자 정보 메시지에 필요한 감정(예:사랑)과 세부 감정 선택(예:귀엽게) 등의 감정정보를 선택한다.(S220 단계참조)
상기의 절차에 의해 입력된 문자 정보 메시지와 감정정보를 상기 규칙엔진부(23)에서 메시지 해석, 감정 합성 절차를 진행하고(S230 단계참조) 상기 송신부(27)을 이용하여 문자 메시지(238byte)에 버전(1 nibble) +감정(1 nibble) + 세부 버전(1 nibble) + 세부 감정(1 nibble)의 형식으로 구성된 simple-KMS를 구성하여 전송서버(46)로 전송하면(S240 단계참조), 상기 정보는 전송서버(46)을 통해 수신자이동통신단말기(30)로 전송된다.(S250 단계참조)
이때, 수신자이동통신단말기(30)에 본원발명의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응용프로그램 여부를 확인하여(S260 단계참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으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구동하여(S270 단계참조) 수신된 정보를 출력부(37)에 표시하기 위해 상기 규칙엔진부(33)에서 238 byte의 문자 부분과 감정, 세부 감정을 분리한다.(S280 단계참조)
상기 수신된 문자정보 부분에 해당하는 감정 정보에 대응하여 미리 정해 놓은 규칙에 의거, 각종 움직임과 이미지 사운드를 첨부하여 MMS로 구성하고(S290 단계참조), 상기 출력부(37)에 해당 내용을 표시한다.(S300 단계참조) 상기의 절차중 S270 단계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규칙엔진부(S290 단계 및 S300 단계)의 절차없이 상기 출력부(37)에 해당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만약, 어플리케이션 응용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일반적인 단순 멀티미디어메시지서비스(MMS)로 상기 출력부(37)에 해당 문자정보를 표시한다.(S310 단계참조)
상기의 절차중 당업자에 따라서 그 구성을 변경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송신부(27)에서 전송된 정보를 상기 전송서버(46)에서 수신하여, 수신자이동통신단말기(30)의 어플리케이션 설치여부를 확인하고,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고, 수신 가능한 버젼인 경우에는 역시 simple-KMS의 형태로 전송을 하면 당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어, 규칙 엔진부에서 문자 부분에 해당 감정-세부 감정에 대응하여 미리 정해 놓은 규칙에 의거, 각종 움직임과 이미지 사운드를 첨부하여, MMS로 구성한 뒤, 이를 출력부를 이용하여 출력하게 할 수도 있다.
도 14를 참좌여 본원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중 SMS, MMS, 플래시 통신절차를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컴퓨터단말기의 사용자는 상기 통신망(10)을 통해 응용(Application)서버(42)에 접속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응용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거나, 프로그램 버젼정보를 확인하여 업그레이드 절차를 진행한다.(S400 단계참조) 이후, 발신자이동통신단말기(20), 발신자컴퓨터단말기(29)의 발신자가 전송할 문자 정보를 메시지입력부(21)를 이용하여 문자 정보 메시지를 작성하고, 상기 감정입력부(22)에서 상기의 절차에 의해 작성된 문자 정보 메시지에 필요한 감정(예:사랑)과 세부 감정 선택(예:귀엽게) 등의 감정정보를 선택한다.(S410 단계참조)
타임라인 조작부를 이용하여 직접 각 멀티미디어 요소를 조작하여 원하는 움 직임을 설정하고(S420 단계참조),
상기의 절차에 의해 입력된 문자 정보 메시지와 감정정보를 상기 규칙엔진부(23)에서 메시지 해석, 감정 합성 절차를 진행하고(S430 단계참조) 어플리케이션 변환부에서 플래시 포맷 변환을 실시하고(S440 단계참조), 상기 송신부(27)을 이용하여 문자 메시지와 멀티미디어의 이미지 요소를 구성하여 전송서버(46)로 전송하면(S450 단계참조), 상기 정보는 전송서버(46)을 통해 수신자이동통신단말기(30)로 전송된다.(S460 단계참조)
이때, 수신자이동통신단말기(30)에 본원발명의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응용프로그램 여부를 확인하여(S470 단계참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으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구동하여(S270 단계참조) 수신된 정보를 출력부(37)에 표시하기 위해 상기 규칙엔진부(33)에서 문자 부분과 감정, 세부 감정을 분리하고(S490 단계참조)
상기 수신된 문자정보 부분에 해당하는 감정 정보에 대응하여 미리 정해 놓은 규칙에 의거, 각종 움직임과 이미지 사운드, 수신된 플래시를 첨부하여 KMS, MMS, 플래시로 구성하고(S500 단계참조), 상기 수신자단말기의 특색에 따라 KMS, MMS, 플래시를 상기 출력부(37)에 해당 내용을 표시한다.(S510 단계참조) 상기의 절차중 S270 단계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규칙엔진부(S290 단계 및 S300 단계)의 절차없이 상기 출력부(37)에 해당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만약, 어플리케이션 응용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일반적인 단순 멀티미디어메시지서비스(MMS), 단문메시지서비스(SMS), 이메일의 첨부되는 형식으 로 상기 출력부(37)에 해당 문자정보를 표시한다.(S520 단계참조)
상기의 절차중 해당 포맷의 상황에 따라 적절한 다른 포맷으로 변환하거나, 일부 요소를 생략하여 변환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메시징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은 멀티미디어 메시징에서 언어적 표현과 비언어적 표현을 효과적으로 저작하고, 전송, 표시하여 감정 전달을 용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한된 공간에 정보를 조각으로 나누어 연속적으로 보여주는 RSVP (Rapid Serial Visual Presentation) 기법을 사용함으로 문자메시지를 각 단어별로 쪼개어 빠르게 보여주고 이에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각 단어별로 필요한 감성정보를 추가할 수 있거나 전체 메시지에 단일한 감성을 주되 그 감성을 시간에 따라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시간에 따른 메시지의 변화를 컴퓨터의 언어적 요소에서 화면상의 좌표, 글자체(서체, 크기, 색상, 투명도, 장식요소)등과 비언어적 요소에서 화면상의 좌표, 요소의 종류 및 요소의 종류에 따른 색상, 투명도 등의 요소가 시간적으로 가변하기 위한 변화 함수 혹은 변화 배열을 지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순히 단어를 연속적으로 보여주는 것에 그치지 않고, 글자의 색상, 위치, 크기 등을 다양하게 변화시켜 글자로 전하려고 했던 의미 이외에 또 다른 감정을 전달할 수 있고, 메시지를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이미지로 표현하고, 메시지의 언어적 구성에 대하여 감정 전달이 함께 흐르도록 하여 비언어적 요소를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를 다른 사람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은 PC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verbal한 메시지를 입력하고, 이에 따라 전달하고자 하는 감정을 선택하면, 감정이 풍부하게 표현된 메시지를 저작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흥미를 유발할 수 있고, 통신사업자에게 부가서비스에 따른 매출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색상, 크기, 배경 등 요소를 세팅하는 방식이 아니라, '감정'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쉽게 감정을 포함한 메시지를 저작하여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직접 그 결과를 확인할 수 있어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0)

  1. 이동통신단말기, 컴퓨터단말기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메시징 시스템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작성되고 수신되는 메시지를 입력받는 메시지입력부와,
    등장시간, 지속시간, 화면상의 좌표 또는 서체, 크기, 색상, 투명도, 장식요소에 대해 글자체로 부여되는 언어적 요소와, 등장시간, 지속시간, 화면상의 좌표, 요소의 종류 또는 요소의 종류에 따른 색상, 투명도에 부여되는 비언어적 요소로 구성된 멀티미디어 요소에 대해 상기 메시지입력부에서 입력된 메시지의 각 단어에 대해 사용자의 감정을 선택 입력하거나, 상기 메시지입력부에서 입력된 메시지의 전체 메시지에 대해 사용자의 감정을 선택 입력하는 감정입력부와,
    상기 메시지입력부에 작성된 메시지를 분석하고, 상기 감정입력부에서 사용자에 의한 언어적 요소, 비언어적 요소를 고려하여 지정된 감정에 따른 움직임이나 각 요소를 결합시키는 규칙 엔진부와
    상기 사용자가 작성한 메시지와 감정입력에 따라 상기 규칙 엔진부에서 분석된 메시지와 감정에 따른 움직임, 각 요소가 결합된 내용의 메시지를 단말기 상에 출력하여 표시하는 출력부와,
    상기 출력부에 표시된 멀티미디어 메시징을 사용자의 선택신호에 따라 수신자이동통신단말기, 수신자컴퓨터단말기로 해당 정보를 송출하는 송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징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정입력부의 비언어적 요소의 종류사각형, 삼각형 등 벡터 그래픽과, 정지된 래스터 이미지, 애니메이션 이미지, 사운드 정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징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정입력부에서 저작된 움직임이나 부가적인 멀티미디어 요소를 세밀하게 조정하거나 추가할 수 있는 타임라인조작부를 더 부가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징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단문메시지서비스(SMS), 멀티미디어메시지서비스(MMS), 키네틱메시지서비스(Kinetic Message Service)의 출력 포맷을 선택하거나, SIS, Flash, Mobile-Flash, animation-GIF의 각종의 포맷을 변환시키는 변환부를 더 부가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징 시스템.
  5.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하는 발신자이동통신단말기, 발신자컴퓨터단말기와,
    상기 발신자이동통신단말기, 발신자컴퓨터단말기를 통해 필요한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를 수신하는 수신자이동통신단말기, 수신자컴퓨터단말기와,
    일반적인 유무선 통신망과 연결되어 상기 발신자이동통신단말기, 발신자컴퓨터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의 요청신호에 따라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반적인 정보가 포함되고, 통상의 단문메시지서비스를 제공하는 SMS서버, 일반적인 멀티미디어메시지서비스를 제공하는 MMS 서버, 전송된 멀티미디어 메시징 정보에 따라 해당 문자에 감정정보를 실어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필요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에 따라 수신자이동통신단말기, 수신자컴퓨터단말기로 단문메시지서비스(SMS), 멀티미디어메시지서비스(MMS), 플래시 정보를 송출하여 표시되도록 하는 전송서버, 필요에 따라 해당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응용(Application)서버로 구성된 운영서버와,
    상기 운영서버의 요청에 따라 상기 단문메시지서비스(SMS), 멀티미디어메시지서비스(MMS), 플래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가입자 정보가 저장된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된 멀티미디어 메시징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응용(Application)서버는 상기 발신자이동통신단말기, 발신자컴퓨터단말기, 수신자이동통신단말기 또는 수신자컴퓨터단말기의 요청신호에 따라 멀티미디 어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을 위한 해당 프로그램 정보의 다운로드/업그레이드 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의 발신자이동통신단말기, 발신자컴퓨터단말기에서 수신된 문자정보에 대해 해당 문자에 감정을 입력하는 감정 입력부, 수신된 문자정보와 입력된 감정정보에 대해 문자 메시지 해석, 감정을 합성하는 규칙 엔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징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응용(Application)서버의 감정 입력부는 등장시간, 지속시간, 화면상의 좌표 또는 서체, 크기, 색상, 투명도, 장식요소에 대해 글자체로 부여되는 언어적 요소와, 등장시간, 지속시간, 화면상의 좌표, 요소의 종류 또는 요소의 종류에 따른 색상, 투명도에 부여되는 비언어적 요소로 구성된 멀티미디어 요소가 구성되고 상기 발신자이동통신단말기, 발신자컴퓨터단말기에서 수신된 해당 문자에 대해 감정을 선택 입력하거나, 입력된 메시지의 전체 메시지에 대해 감정을 선택 입력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징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감정입력부의 비언어적 요소의 종류는 사각형, 삼각형 등 벡터 그래픽 과, 정지된 래스터 이미지, 애니메이션 이미지, 사운드 정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징 시스템.
  8.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컴퓨터단말기의 사용자는 상기 통신망을 통해 응용(Application)서버에 접속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응용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거나, 프로그램 버전정보를 확인하여 업그레이드 절차를 진행하는 제 1 과정;
    발신자이동통신단말기, 발신자컴퓨터단말기의 발신자가 전송할 문자 정보를 메시지입력부를 이용하여 문자 정보 메시지를 작성하고, 상기 감정입력부에서 상기의 절차에 의해 작성된 문자 정보 메시지에 필요한 감정과 세부 감정 선택의 감정정보를 선택하는 제 2 과정;
    입력된 문자 정보 메시지와 감정정보를 상기 규칙엔진부에서 메시지 해석, 감정 합성 절차를 진행하는 제 3 과정;
    송신부를 통해 메시지 해석, 감정이 합성된 정보와 멀티미디어의 이미지 요소를 운영서버로 전송되면, 전송된 정보를 전송서버를 통해 수신자이동통신단말기 또는 수신자컴퓨터단말기로 전송하여 표시하는 제 4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제 2 과정이 이루어진 후, 타임라인 조작부를 이용하여 직접 각 멀티미디어 요소를 조작하여 원하는 움직임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제 3 과정이 이루어진 후, 어플리케이션 변환부에서 플래시 포맷 변환을 실시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 변환부에서 포맷 변환을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방법.
KR1020060044499A 2006-05-18 2006-05-18 멀티미디어 메시징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KR100846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4499A KR100846424B1 (ko) 2006-05-18 2006-05-18 멀티미디어 메시징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4499A KR100846424B1 (ko) 2006-05-18 2006-05-18 멀티미디어 메시징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1564A true KR20070111564A (ko) 2007-11-22
KR100846424B1 KR100846424B1 (ko) 2008-07-16

Family

ID=39090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4499A KR100846424B1 (ko) 2006-05-18 2006-05-18 멀티미디어 메시징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642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9954B1 (ko) * 2007-12-17 2009-07-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용자기기를 이용한 감성 메시지 작성 및 표현 방법과이를 위한 사용자기기
KR20150054412A (ko) * 2013-11-12 2015-05-20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키네틱 타이포그래피를 이용한 모바일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및 그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628956B1 (ko) * 2015-03-09 2016-06-0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감정 표현이 가능한 문장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KR20170002918A (ko) * 2015-06-30 2017-01-09 주학진 감정 메시지 전달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CN113692733A (zh) * 2019-01-11 2021-11-23 社交媒体情感有限责任公司 改进的消息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220B1 (ko) * 2016-08-10 2020-02-25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출력 효과를 제공하는 메신저 서비스 방법, 시스템 및 기록 매체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85993B2 (ja) 1996-12-06 2011-05-18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プレゼンテーション用マルチメディア・メッセージを形成する方法及び装置
KR20030035249A (ko) * 2001-10-30 2003-05-09 주식회사 아이버스 단문 메시지를 멀티 미디어 메시지로 변환하는 시스템 및이를 구현하는 방법
KR100806578B1 (ko) * 2001-12-15 2008-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방법
KR20050014098A (ko) * 2003-07-30 2005-02-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메시지 작성방법
KR100558910B1 (ko) * 2003-08-13 2006-03-10 (주)에이치인포메이션 멀티미디어 메시지 컨텐츠 작성/전송 기능을 갖는 휴대용단말기
KR101004454B1 (ko) * 2003-11-14 2010-12-3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9954B1 (ko) * 2007-12-17 2009-07-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용자기기를 이용한 감성 메시지 작성 및 표현 방법과이를 위한 사용자기기
KR20150054412A (ko) * 2013-11-12 2015-05-20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키네틱 타이포그래피를 이용한 모바일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및 그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628956B1 (ko) * 2015-03-09 2016-06-0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감정 표현이 가능한 문장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KR20170002918A (ko) * 2015-06-30 2017-01-09 주학진 감정 메시지 전달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CN113692733A (zh) * 2019-01-11 2021-11-23 社交媒体情感有限责任公司 改进的消息系统
CN113692733B (zh) * 2019-01-11 2024-02-27 社交媒体情感有限责任公司 改进的消息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6424B1 (ko) 2008-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88232C2 (ru) Сеть связи и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преобразования текста в речь и текста в анимацию лица
US9042923B1 (en) Text message definition and control of multimedia
KR101058702B1 (ko) 송신자로부터의 텍스트 메시지를 포함하는 전자 메시지를수신하는 이동 장치 및 그 전자 메시지를 편집하는 방법
US7991401B2 (en) Apparatus, a method, and a system for animating a virtual scene
US8115772B2 (en) System and method of customizing animated entities for use in a multimedia communication application
US20160259502A1 (en) Diverse emojis/emoticons
KR100846424B1 (ko) 멀티미디어 메시징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JP2004198872A (ja) 端末装置およびサーバ
JPWO2009125710A1 (ja) メディア処理サーバ装置およびメディア処理方法
US20060019636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messages on telecommunications network and related sender terminal
US7671861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customizing animated entities for use in a multi-media communication application
FI113126B (fi) Menetelmä ja laitteisto viestien ja yksinkertaisten kuvioiden välittämiseksi kommunikaatioverkossa
JP2004023225A (ja) 情報通信装置およびその信号生成方法、ならびに情報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データ通信方法
KR100736541B1 (ko) 개인 캐릭터의 온라인 통합 시스템
Amin et al. The sensems: Enriching the SMS experience for teens by non-verbal means
JP4953009B2 (ja) 携帯電話機のデコレーションメール用のテンプレートの作成装置、作成方法、プログラム及び携帯電話機
KR100705165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메시지 작성방법
JP2006127371A (ja) アニメーション選択装置及び方法
KR20220130436A (ko) 레터 이모티콘 제공장치
JP2002229914A (ja) 電子メール用コミックメーカプログラム
KR20060125060A (ko) 휴대 전화에 단문입력을 위한 이모티콘 등록, 입력 및 방법
KR20220015869A (ko) 어학 교육용 이모티콘 및 시스템과 방법
GB2480173A (en) A data structure for representing an animated model of a head/face wherein hair overlies a flat peripheral region of a partial 3D map
JP2001350706A (ja) コミュニケーション方法および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
JP2006215801A (ja) 電子メール表示装置および電子データ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