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1297A - 전송 장치 및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전송 장치 및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1297A
KR20070111297A KR1020060092349A KR20060092349A KR20070111297A KR 20070111297 A KR20070111297 A KR 20070111297A KR 1020060092349 A KR1020060092349 A KR 1020060092349A KR 20060092349 A KR20060092349 A KR 20060092349A KR 20070111297 A KR20070111297 A KR 200701112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handwriting
handwritten
patterns
charac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2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칭-춘 창
Original Assignee
유니윌 컴퓨터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윌 컴퓨터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유니윌 컴퓨터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70111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12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06V10/17Image acquisition using hand-held instru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Character Discrimination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전송 장치 및 전송 방법이 개시된다. 전송 장치는 필기 입력 유닛, 프로세싱 유닛 및 실행 유닛을 포함한다. 필기 입력 유닛은 다수의 필기 문자 또는 하나 이상의 필기 패턴을 연속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필기 스크린을 구비한다. 이어서, 프로세싱 유닛은 필기 문자를 일련의 다수의 문자 패턴으로 변환시킨다. 문자 패턴은 축소되고 일련의 연속적인 다수의 마이크로-패턴으로 변형된다. 그 대신에, 전술한 필기 패턴들이 명령어로 변환된다. 이어서, 실행 유닛은 마이크로-패턴을 외부 수신단으로 전송한다. 그 대신에, 명령어를 기초로 대응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Description

전송 장치 및 전송 방법{TRANSMISSION APPARATUS AND TRANSMISSION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전송 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송 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다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전송 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또 다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송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종래 기술과 본 발명을 비교한 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전송 장치 및 전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필기 문자(handwritten scripts)를 전송하거나 필기 패턴을 변환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현재, 다양한 휴대용 장치가 때와 장소에 관계없이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예를 들어, 위성 위치확인 시스템(GPS) 및 개인휴대정보단말기(PDA)가 여행 네비게이션, 이동 전화 통신, 메모(memorandum) 및 데이터 기록 운용, 이-메일 발신 및 수신, 단문 메시지 전송, 또는 Microsoft의 MSN 이나 Yahoo의 QQ 인스턴트 메시지 소프트웨어와 같은 인스턴트 메시지 통신에 이용되고 있다. 전술한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음성 인식, 필기체 인식, 또는 터치 스크린이나 키보드상의 기능 키 터치를 통해 원하는 기능을 클릭하거나 단문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빠른 속도로 이동하고 있거나 차량내에 있을 때 또는 흔들림 또는 소음 환경에 노출된 상황에 있을 때, 또는 사용자가 바쁘거나 필기체 인식을 실행할 시간이 없고 입력 문자의 선택을 위해 작은 스크린을 주시할 시간이 없을 때, 사용자는 음성 인식 또는 필기체 인식을 이용하여 단문 메시지 또는 MSN 인스턴트 메시지에 입력을 할 것이다. 그러나, 사용자의 명확하지 못한 발음, 휘갈겨 쓴 필기 문자, 흔들림 또는 소음 환경, 또는 적절하지 못한 사용 시점으로 인해 가변적인 인식 퍼센티지 또는 불편한 입력 및 전송이 초래될 수 있다.
종래 기술의 단점들을 고려할 때, 편리한 전송 장치 및 전송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사용자가 빠른 속도로 또는 차량내에서 이동하는 동안에 또는 흔들림 및 소음 환경에 있는 동안에, 사용자가 제스처(gesture)에 의해 명령어의 실행을 제어하거나 단문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게 하는, 전송 장치 및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사용자가 바빠서 필기체 인식을 실행하고 입력 문자를 선택하기 위해 작은 스크린을 주시할 시간이 없을 때, 사용자가 제스처에 의해 명령어의 실행을 제어하거나 단문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게 하는, 전송 장치 및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컴퓨터에 의한 음성 인식 및 필기체 인식의 처리 없이, 음성 인식 비율(rate) 및 필기체 인식 비율의 편차를 고려하지 않고 단순한 입력 제스처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가 단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게 하고 또는 명령어의 실행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전송 장치 및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네 번째 목적은, 사용자가 단문 메시지 통신 또는 MSN 인스턴트 메지시 통신을 실행할 때, 사용자가 그들의 인성(personality) 또는 개인적 스타일과 함께 텍스처(textual) 메시지를 전송에 이용할 수 있도록, 그리고 언어를 전환하거나 제한할 필요가 없도록 전송 장치 및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섯 번째 목적은, 사용자가 단문 메시지 통신 또는 MSN 인스턴트 메지시 통신을 실행할 때, 인식 오류를 피하기 위해 또는 입력 문자의 선택이나 교정에 시간을 낭비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사용자가 손으로 쓴 그래픽 파일을 직접 전송할 수 있도록, 전송 장치 및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섯 번째 목적을 기초로 하는 본 발명의 여섯 번째 목적은, 단문 메시지 또는 MSN 인스턴트 메지시를 실행할 때, 사용자가 손으로 쓴 그래픽 파일을 직접 전송할 수 있도록, 전송 장치 및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각각의 그래픽 파일은 문자 패턴을 포함하며, 문자 패턴은 텍스트 파일의 편집과 같이 사용자가 특정 문자 패턴을 수정(modify)할 수 있도록 특정 블록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곱 번째 목적은, 사용자가 스크린상의 작은 문자를 더 이상 주시할 필요가 없이 그리고 스크린의 클릭을 위해 스타일러스를 이용할 할 필요가 없 이, 전송 장치의 모든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스처 입력을 이용함으로써 여러 가지 필기 패턴을 간단히 생성할 수 있는, 전송 장치 및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전송 장치는 필기 입력 유닛, 프로세싱 유닛 및 실행 유닛을 포함한다. 필기 입력 유닛은 필기 스크린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손가락을 통해 필기 문자 또는 필기 패턴을 필기 스크린상에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프로세싱 유닛은 필기 문자를 문자 패턴으로 변환하고 그러한 문자 패턴을 마이크로-패턴(micro-pattern)으로 축소(shrink)시킨다. 그 대신에, 프로세싱 유닛은 필기 패턴을 명령어로 변환시킨다. 이어서, 실행 유닛은 마이크로-패턴을 외부 수신단(receiving end)으로 전송하거나 또는 명령어에 따라 대응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또한, 전송 장치의 필기 스크린은 사용자가 다수의 필기 문자 또는 다수의 필기 패턴을 연속적으로 입력할 수 있게 허용한다. 프로세싱 유닛은 다수의 필기 문자를 다수의 연속적인 일련의 문자 패턴으로 변환시키고, 이어서 상기 문자 패턴들을 연속적인 일련의 마이크로-패턴으로 축소시킨다. 그 대신에, 프로세싱 유닛은 필기 패턴을 다수의 명령어로 각각 변환시킨다. 실행 유닛은 마이크로-패턴을 외부 수신단으로 연속 전송하거나 명령어에 따른 대응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전송 장치는 예를 들어, 개인휴대정보단말기 또는 위성 위치확인 시스템(GPS) 장치를 구비한 개인휴대정보단말기와 같은 휴대 장치일 수 있으며, 필기 스크린은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 각각의 문자 패턴 및 각각의 마이크로-패턴은 하나의 그래픽 파일로서 각각 간주된다.
전술한 전송 장치에 따라,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하는 전송 방법을 포함한다. 즉:
(a) 다수의 필기 문자 또는 하나 이상의 필기 패턴을 연속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필기 스크린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필기 문자들을 다수의 연속적인 일련의 문자 패턴으로 변환시키고, 이어서 상기 문자 패턴들을 연속적인 일련의 마이크로-패턴으로 축소시키는 단계, 또는 필기 패턴을 명령어로 변환시키는 단계; 및
(c) 마이크로-패턴을 외부 수신단으로 연속 전송하거나 명령어를 기초로 대응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전송 장치에서와 같이, 다수의 필기 문자 또는 다수의 필기 패턴은 또한 사용자에 의해 필기 스크린상에 연속적으로 입력될 수 있다. 이어서, 필기 문자들이 다수의 연속적인 일련의 문자 패턴으로 변환되고, 이어서 상기 문자 패턴들이 연속적인 일련의 다수 마이크로-패턴으로 축소되어, 외부 수신단으로 전송될 수 있다. 그 대신에, 필기 패턴들이 대응 프로그램의 실행을 위한 대응 명령어로 개별적으로 변환된다. 전송 방법은 개인휴대정보단말기 또는 위성 위치확인 시스템(GPS) 장치를 구비한 개인휴대정보단말기와 같은 휴대 장치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필기 스크린은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 각각의 필기 패턴 및 각각의 마이크로-패턴이 하나의 그래픽 파일로서 독립적으로 간주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본원 발 명을 보다 완전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송 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전송 장치(1)는 필기 입력 유닛(10), 프로세싱 유닛(11) 및 실행 유닛(12)을 포함한다. 필기 입력 유닛(10)은 필기 스크린(101)을 포함하며, 사용자는 손가락을 이용하여 상기 필기 스크린(101)상에 필기 문자(1011)를 입력한다. 이어서, 프로세싱 유닛(11)은 필기 문자(1011)를 문자 패턴의 문자 트랙킹(tracking) 파일(도면에 도시 안 됨) 또는 그래픽 파일로 변환시키고, 이어서 문자 패턴의 문자 트랙킹 파일 또는 그래픽 파일을 축소시켜 필기 스크린(101)의 바닥 위치(102)에 도시된 마이크로-패턴(111)을 형성한다. 이어서, 마이크로-패턴(111)은 실행 유닛(12)을 통해 전송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언제든지 프로세싱 유닛(11)을 통해 삭제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송 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다른 개략도이다. 전송 장치(1)의 필기 스크린(101)이 제공되어,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필기 스크린(101)상에 필기 패턴(20)을 입력할 수 있게, 예를 들어 손가락을 이용하여 필기 스크린(101)상에 원 또는 십자가 또는 여러 가지 미리 규정된(predetermined) 도안(figure)을 그릴 수 있게 한다. 이어서, 프로세싱 유닛(11)이 필기 패턴(20)을 명령어로 변환시킨다. 이어서, 명령어를 기초로, 실행 유닛(12)은 대응 프로그램을 실행, 예를 들어 마이크로-패턴의 삭제 또는 마이크로-패턴의 부가 등을 실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전송 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또 다른 개략도이다. 다수의 필기 문자(1011)들이 전송 장치(1)의 필기 스크린(101)상에 연속적으로 입력되어, 다수의 필기 문자(1011)의 입력 순서를 기초로 필기 스크린(101)의 바닥 위치(102)에 연속적으로 디스플레이되고 정렬되는 다수의 마이크로-패턴(111)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송 방법이 도시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송 방법은:
단계 (40): 사용자가 필기 방식을 이용하여 필기 스크린상에 필기 문자를 생성한다.
단계 (41): 0.5초와 같은 소정 시간 내에 필기 스크린에 대해 더 이상의 작용이 없는 경우에, 사용자가 필기 문자 입력을 완료한 것으로 결정한다.
단계 (42): 필기 문자의 입력 좌표를 저장한다.
단계 (43): 패턴 및 필기 문자를 64x64 픽셀의 마이크로-패턴으로 축소한다.
단계 (44): 마이크로-패턴을 데이터 폴더에 임시로 저장한다.
단계 (45): 이어서, 사용자가 다른 필기 문자를 입력한다.
단계 (46): 사용자에 의해 주어진 명령어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로서, 수신되지 않았다면 단계(40)로; 만약 수신되었다면 단계(47)로 간다.
단계 (47): 사용자에 의해 전송된 모든 마이크로-패턴들이 수신된 후에, 상기 데이터 폴더에 임시로 저장된 마이크로-패턴의 모든 그래픽 파일이 배치식(batch)으로 판독된다.
단계 (48): 전송 제어 프로토콜/인터넷 프로토콜(TCP/IP)과 같은 미리 규정된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마이크로-패턴의 그래픽 파일을 사용자가 지정한 외부 수신단으로 전송한다.
단계 (49): 전송이 성공적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로서; 성공적이지 못하다면 단계(50)로; 그리고 성공적이라면 단계(52)로 간다.
단계 (50): 네트워크 전송을 다시 시도하고; 전송이 실패하였다면, 단계(51)로 간다.
단계 (51): 네트워크 전송이 연속하여 3차례 실패하였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로서; 만약 그렇다면 이러한 전송 방법을 종료하고(이는 사용자의 네트워크 전송의 실패를 나타낸다); 그렇지 않다면, 단계(50)로 되돌아 간다.
단계 (52): 단계(49)에 기재된 바에 따라 데이터 폴더내의 관련 마이크로-패턴의 그래픽 파일이 성공적으로 전송된 후에, 데이터 폴더내의 그래픽 파일을 삭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송 장치 및 전송 방법에서의 필기 문자 패턴과 종래 기술의 필기 인식을 비교한 표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필기 문자 패턴은 인식을 필요로 하지 않는데 반해, 종래의 필기 인식은 인식 레벨의 정확도 확인을 위해 여러 가지 비교 알고리즘에 의존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필기 문자의 출력 포맷은 그래픽 파일 또는 문자 트랙킹 파일인 반면, 종래 필기 인식의 출력 포맷은 컴퓨터를 통한 비교 및 인식 후에 생성된 Unicode/Big-5 포맷과 같은 표준 문자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필기 입력 문자들의 경우에, 사용자가 입력 문자를 선택하거나 인식 및 비교를 실행할 필요가 없으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은 종래의 필기 인식보다 더 신속한 입력 및 연산을 제공한다. 본 발명과 비교하면, 종 래의 필기 인식의 부정확한 인식이 발생하기 쉬울 것인데, 이는 통상의 필기 인식이 비교된 후에 사용자가 입력된 문자를 선택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고, 또는 다양한 사용자가 고유의 필기 습관 또는 획순(order of strokes)을 가지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러한 내용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소위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내에서 상기 실시예들에 대해 다양한 변화를 가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필기 문자를 전송하거나 필기된 패턴을 변환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편리한 전송 장치 및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Claims (20)

  1. 전송 장치로서:
    필기 문자 또는 필기 패턴의 입력을 위한 필기 스크린을 구비한 필기 입력 유닛;
    상기 필기 문자를 문자 패턴으로 변환하고, 상기 문자 패턴을 마이크로-패턴으로 축소시키거나, 또는 상기 필기 패턴을 명령어로 변환하기 위한, 프로세싱 유닛; 및
    상기 마이크로-패턴을 외부 수신단으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명령어에 따라 대응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실행 유닛을 포함하는, 전송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장치는 휴대 장치인, 전송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 스크린은 터치 스크린인, 전송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 문자 또는 상기 필기 패턴은 손가락에 의해 입력되는, 전송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 패턴 및 상기 마이크로-패턴은 그래픽 파일인, 전송 장치.
  6. 전송 장치로서:
    다수의 필기 문자 또는 하나 이상의 필기 패턴의 연속적인 입력을 위한 필기 스크린을 구비한 필기 입력 유닛;
    상기 필기 문자를 다수의 연속적인 일련의 문자 패턴으로 변환하고, 상기 문자 패턴을 다수의 연속적인 일련의 마이크로-패턴으로 축소시키거나, 또는 상기 필기 패턴을 명령어로 변환하기 위한, 프로세싱 유닛; 및
    상기 마이크로-패턴을 외부 수신단으로 연속하여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명령어에 따라 대응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실행 유닛을 포함하는, 전송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장치는 휴대 장치인, 전송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 스크린은 터치 스크린인, 전송 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 문자 또는 상기 필기 패턴은 손가락에 의해 입력되는, 전송 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 패턴 및 상기 마이크로-패턴은 다수의 그래픽 파일인, 전송 장치.
  11. 전송 방법으로서:
    필기 문자 또는 필기 패턴을 입력하기 위한 필기 스크린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필기 문자를 문자 패턴으로 변환시키고, 이어서 상기 문자 패턴을 마이크로-패턴으로 축소시키거나, 또는 상기 필기 패턴을 명령어로 변환시키는 단계; 및
    상기 마이크로-패턴을 외부 수신단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명령어에 따른 대응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송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방법은 휴대 장치에 의해 실시되는, 전송 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 스크린은 터치 스크린인, 전송 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 문자 또는 상기 필기 패턴은 손가락에 의해 입력되는, 전송 방법.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 패턴 및 상기 마이크로-패턴은 그래픽 파일인, 전송 방법.
  16. 전송 방법으로서:
    다수의 필기 문자 또는 하나 이상의 필기 패턴을 연속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필기 스크린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필기 문자를 다수의 연속적인 일련의 문자 패턴으로 변환시키고 상기 문자 패턴을 다수의 연속적인 일련의 마이크로-패턴으로 축소시키거나, 또는 필기 패턴을 명령어로 변환시키는 단계; 및
    상기 마이크로-패턴을 외부 수신단으로 연속적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명령어에 따른 대응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송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방법은 휴대 장치에 의해 실시되는, 전송 방법.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 스크린은 터치 스크린인, 전송 방법.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 문자 또는 상기 필기 패턴은 손가락에 의해 입력되는, 전송 방법.
  20.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 패턴 및 상기 마이크로-패턴은 다수의 그래픽 파일인, 전송 방법.
KR1020060092349A 2006-05-16 2006-09-22 전송 장치 및 전송 방법 KR200701112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095117396A TW200744018A (en) 2006-05-16 2006-05-16 Transmission apparatus and transmission method thereof
TW095117396 2006-05-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1297A true KR20070111297A (ko) 2007-11-21

Family

ID=37232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2349A KR20070111297A (ko) 2006-05-16 2006-09-22 전송 장치 및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70268267A1 (ko)
JP (1) JP2007312381A (ko)
KR (1) KR20070111297A (ko)
FR (1) FR2901377A1 (ko)
GB (1) GB2444969A (ko)
TW (1) TW20074401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615B1 (ko) * 2009-12-23 2012-03-20 주식회사 디오텍 필기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47161B (zh) 2008-03-28 2012-09-26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文件夹传输系统、文件夹传输装置及文件夹传输方法
US8174503B2 (en) 2008-05-17 2012-05-08 David H. Cain Touch-based authentication of a mobile device through user generated pattern creation
CN102025515A (zh) 2009-09-14 2011-04-20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基于文件目录的文件传输方法及其装置和系统
EP2640043B1 (en) * 2012-03-13 2017-08-16 BlackBerry Limited Device cover with drawing pad input device
US8866769B2 (en) 2012-03-13 2014-10-21 Blackberry Limited Device cover with drawing pad input device
JP2015001751A (ja) * 2013-06-13 2015-01-0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手書き入力装置及び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822B2 (ja) * 1986-04-30 1996-02-1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命令入力装置
JPH0648491B2 (ja) * 1986-09-20 1994-06-22 富士通株式会社 手書き編集装置
JPH0769765B2 (ja) * 1989-11-08 1995-07-3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命令入力装置
US5502803A (en) * 1993-01-18 1996-03-26 Sharp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 gesture editing function
US5500937A (en) * 1993-09-08 1996-03-19 Apple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an inked object while simultaneously displaying its recognized object
JP3486459B2 (ja) * 1994-06-21 2004-01-13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情報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US5544260A (en) * 1994-07-12 1996-08-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ilent training by error correction for on-line handwritting recognition systems
DE4428836A1 (de) * 1994-08-01 1996-02-15 Gfai Ges Zur Foerderung Angewa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lektronischen Erfassung von Informationen
JPH08171455A (ja) * 1994-12-20 1996-07-02 Tec Corp 電子ボードシステム
US5926567A (en) * 1995-03-01 1999-07-20 Compaq Compute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and rapidly displaying graphic data
JPH08279860A (ja) * 1995-04-05 1996-10-22 Mitsubishi Electric Corp 携帯電話機
JPH08286807A (ja) * 1995-04-18 1996-11-01 Canon Inc データ処理装置及びそのジェスチャ認識方法
US5682439A (en) * 1995-08-07 1997-10-28 Apple Computer, Inc. Boxed input correction system and method for pen based computer systems
JPH10164301A (ja) * 1996-11-28 1998-06-19 Matsushita Graphic Commun Syst Inc 双方向対話通信装置
JP3585357B2 (ja) * 1997-11-19 2004-11-04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並びに情報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6333994B1 (en) * 1999-03-31 2001-12-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patial sorting and formatting for handwriting recognition
SE0000939L (sv) * 2000-02-18 2001-08-19 Anoto Ab Inenhetsarrangemang
US7003308B1 (en) * 2000-09-12 2006-02-21 At&T Corp. Method and system for handwritten electronic messaging
US6741749B2 (en) * 2001-01-24 2004-05-25 Advanced Digital Systems, Inc. System, device,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method for representing a plurality of electronic ink data points
JPWO2004095361A1 (ja) * 2003-04-24 2006-07-13 富士通株式会社 オンライン手書き文字入力装置及び方法
US7606421B2 (en) * 2004-12-08 2009-10-20 Ctb/Mcgraw-Hill Llc Data extraction from temporal image data
US7567711B2 (en) * 2005-08-01 2009-07-28 Microsoft Corporation Cleaning up of handwriting intra-stroke and inter-stroke overtrac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615B1 (ko) * 2009-12-23 2012-03-20 주식회사 디오텍 필기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744018A (en) 2007-12-01
US20070268267A1 (en) 2007-11-22
FR2901377A1 (fr) 2007-11-23
GB2444969A (en) 2008-06-25
JP2007312381A (ja) 2007-11-29
GB0617749D0 (en) 2006-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95064B2 (en) Canned answers in messages
US10089056B2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llaborative editing in documents
US11488406B2 (en) Text detection using global geometry estimators
KR101996578B1 (ko) 언어 입력의 동적 구문 확장
JP6062548B2 (ja) 文字を入力するためのデバイス、方法、及び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
KR100861861B1 (ko) 음성 입력 방법 편집기용 아키텍처, 음성 입력 방법편집기, 음성 입력 편집 방법 및 머신 판독 가능 저장 장치
US20230017201A1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nnotating Content
JP2021064380A (ja) 画面用の手書きキーボード
KR20070111297A (ko) 전송 장치 및 전송 방법
JP2013516689A (ja) ソフトボタンを条件付きで使用可能または使用不可に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US11362983B2 (en) Electronic messaging platform that allows users to change the content and attachments of messages after sending
CN114415847A (zh) 文本信息删除方法、装置及电子设备
EP3115864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keyboard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CN113342241A (zh) 目标字符的选择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190072177A (ko) 채팅 리스트 제공 사용자 단말
CN100462907C (zh) 传输装置及其传输方法
CN112699644A (zh) 信息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20230059615A (ko) 광고를 위한 인공지능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플랫폼 개발 방법
KR20230001414A (ko) 광고를 위한 인공지능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플랫폼 개발 방법
WO2017083876A1 (en) Free hand messaging and ink cluster editor
KR20070009489A (ko) 무선 단말에서 빠른 타자 수단을 제공하는 시스템, 장치 및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