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1086A - 배터리 커버 록킹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배터리 커버 록킹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1086A
KR20070111086A KR1020060043975A KR20060043975A KR20070111086A KR 20070111086 A KR20070111086 A KR 20070111086A KR 1020060043975 A KR1020060043975 A KR 1020060043975A KR 20060043975 A KR20060043975 A KR 20060043975A KR 20070111086 A KR20070111086 A KR 200701110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attery cover
locking
uni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3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8936B1 (ko
Inventor
박상율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3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8936B1/ko
Priority to DE602006013605T priority patent/DE602006013605D1/de
Priority to EP06023841A priority patent/EP1858233B1/en
Priority to US11/600,128 priority patent/US20070270194A1/en
Priority to AT06023841T priority patent/ATE464735T1/de
Priority to CNA200610162421XA priority patent/CN101075819A/zh
Priority to JP2006352209A priority patent/JP2007312352A/ja
Publication of KR20070111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1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8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8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2Casings or frames around the primary casing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71Lids or covers for the racks or secondary cas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커버 록킹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배터리를 보호하는 배터리 커버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배터리 커버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 커버를 상기 본체에 결합시키는 록킹 유닛과; 상기 배터리 커버에 장착되어, 조작시 상기 록킹 유닛에 의한 잠금 상태를 해제시키는 록킹 해제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배터리 커버의 록킹 해제가 용이하고 배터리의 용량 변화에 따른 상기 배터리 커버와 본체 사이의 구조적인 불일치가 발생하지 않게 한다.

Description

배터리 커버 록킹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BATTERY COVER LOCKING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 실시예를 보인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배터리 커버 록킹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본체 록킹부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커버 록킹부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라인(Ⅵ-Ⅵ)을 따라 취한 단말기 본체와 배터리 커버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조작노브가 누름 조작되어 배터리 커버가 단말기 본체로부터 분리되려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단말기 본체 160: 배터리 수용부
200: 배터리 커버 210: 조작홀
300: 록킹 유닛 310: 본체 록킹부
320: 커버 록킹부 400: 록킹 해제 유닛
410: 조작노브 420: 결합부
본 발명은 배터리 커버 록킹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보호하도록 본체에 결합되는 배터리 커버를 본체에 결합시키거나 그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배터리 커버 록킹 장치와 그러한 록킹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배터리는 각종 전자기기의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전자기기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력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배터리는 그 사용 형태에 따라서 크게 두 가지 형태로 구분된다.
첫 번째 형태로서, 배터리(또는 충전셀)과 그를 감싸는 배터리 커버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의 단자가 상기 배터리 커버의 외부로 노출되는 형태의 배터리(이하, 하드팩 배터리라고도 한다)가 있다.
두 번째 형태로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를 감싸서 위의 전자기기의 본체에 결합시키는 배터리 커버가 독립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의 단자는 상기 배터리 커버와 무관하게 그 자체에 형성되는 형태의 배터리(이하, 소프트팩 배터리라고도 한다)가 있다.
하드팩 배터리는 위의 전자기기의 본체에 대한 착탈 등 사용 및 관리가 용이 하나 다른 종류나 모델의 전자기기에는 그 외형에 의해 호환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반면에, 소프팩 배터리는 별도의 배터리 커버가 필요함에 따라 상기 본체에 대한 착탈 등은 용이하지 않으나, 다른 종류나 모델의 전자기기에 호환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이러한 소프트팩 배터리의 배터리 커버를 전자기기의 본체에 결합시킴에 있어서는 크게 2가지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첫 번째 방식은 후크 방식으로서, 전자기기의 본체와 배터리 커버에 상호 대응되는 후크들을 각각 형성하여 이들을 결합시키는 방식이다. 이러한 결합의 해제를 위해서는 배터리 커버 전체를 눌러서 상기 후크들이 서로에 대하여 이격되게 하여야 한다.
두 번째 방식은 스프링을 이용하는 방식으로서, 전자기기의 본체에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락커를 형성하고 배터리 커버에는 상기 락커에 결합되는 후크를 형성하여 결합시키는 방식이다. 이러한 결합을 해제를 위해서는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상기 락커를 눌러서 상기 후크가 분리되게 하여야 한다.
첫 번째 방식에 있어서는 상기 후크들 사이의 분리를 위하여 사용자가 배터리 커버 전체를 눌러야 하기에 필요 이상의 힘이 요구되는 불편함이 있다.
두 번째 방식에 있어서는 스프링을 사용함에 따라 스프링의 스트로크(stroke)를 얻기 위하여 상기 스프링의 설치를 위한 최소 두께를 확보하여야 한다. 그에 따라 전자기기의 본체의 두께를 슬림화함에 있어서 한계가 있게 된다. 나아가, 배터리 커버는 배터리의 용량에 따라 상기 본체와의 간격이 달라지게 되나, 상기 락커는 상기 본체 측에 형성되며 그 형태가 달라질 수 없다. 그에 따라, 상기 락커가 일 용량의 배터리에 맞게 제작된 경우에는 다른 용량의 배터리의 장착시에 상기 락커와 상기 배터리 사이의 결합이 양자간의 차원(dimension)의 차이에 의해 정확히 매칭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 등의 대부분이 사출물로 제작됨에도 스프링은 그렇지 못하여, 스프링을 별도로 준비해야 함에 따른 재료비 및 관리비의 증대로 상기 전자기기 전체의 생산성이 저하되기도 한다. 나아가, 상기 락커는 상기 본체에 장착되기에, 한 손으로는 상기 락커를 조작하고 다른 한 손으로는 상기 배터리 커버를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하여야 하기에 그 조작에 번거로움이 있다.
상기와 같은 필요성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사용의 조작 편의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슬림화가 가능하면서도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터리 커버 록킹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배터리 커버 록킹 장치는 록킹 유닛과, 록킹 해제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록킹 유닛은 전자기기의 본체와 배터리 커버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 커버를 상기 본체에 결합시킨다. 상기 배터리 커버는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배터리를 외부로부터 보호한다. 록킹 해제 유닛은 상기 배터리 커버에 장착되고, 사용자의 조작시 상기 록킹 유닛에 의한 상기 배터리 커버와 본체 사이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킨다.
위와 같이, 상기 록킹 해제 유닛이 상기 배터리 커버에 장착됨에 따라, 한 손으로 상기 배터리 커버를 쥐고서 상기 록킹 해제 유닛을 조작하여 상기 배터리 커버를 상기 본체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되어, 사용의 조작 편리성이 향상된다.
나아가, 록킹 해제 유닛이 배터리 커버에 장착됨에 따라, 배터리의 용량에 따라 본체와 상이한 간격을 가지는 배터리 커버는 상기 간격에 대응하는 사이즈를 가지는 록킹 해제 유닛을 개별적으로 가질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배터리 커버의 사이즈가 달라짐에 따라 상기 배터리 커버와 상기 본체 사이의 결합시에 발생하는 록킹 장치에서의 구조적인 불일치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록킹 유닛은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본체 록킹부와, 상기 배터리 커버에 형성되는 커버 록킹부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 록킹부는 상기 본체 록킹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서, 상기 본체 록킹부에 걸리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배터리 커버는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록킹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 록킹부와 커버 록킹부는 각각 상기 본체 및 배터리 커버의 너비 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된 벽(wall)의 형태를 가진 것들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본체 및 배터리 커버에는, 예를 들어 서로 이격되게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리브로 구성되는 지지부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벽 들을 지지하여 그들의 강성을 보완해주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록킹 해제 유닛은 배터리 커버에 장착되는 조작노브를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조작노브는 결합부에 의하여 상기 배터리 커버에 결합된다.
상기 조작노브는 상기 배터리 커버에 형성된 조작홀을 통해 상기 배터리 커버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배터리 커버에 장착된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조작노브를 엄지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누름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조작노브와 배터리 커버 사이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조작노브에서 일단이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텐션부와, 상기 배터리 커버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텐션부의 타단이 각각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리브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텐션부의 타단에는 상기 결합리브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텐션부의 타단은 상기 결합리브에 삽입되어 그와 열용착(熱鎔着)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텐션부는 상기 본체 및 배터리 커버와 동일한 플라스틱 수지로 사출(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조작노브와 일체로 사출)할 수 있어서, 별도의 스프링을 구비하는 경우에 비하여 제조 비용이 절감되면 부품의 유지 관리가 용이한 이점을 가진다.
나아가, 상기 조작노브에는 상기 본체 록킹부를 향해 돌출하는 가압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압돌기는 사용자에 의한 상기 조작노브에 대한 누름 조작시에 상기 본체 록킹부를 가압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압돌기의 길이는 상기 본체 록킹부와 상기 조작노브 사이의 간격에 따라 결정된다. 다시 말해서, 대용량 배 터리를 위한 배터리 커버에 장착되는 조작노브의 가압돌기는 소용량 배터리를 위한 배터리 커버에 장착되는 조작노브의 가압돌기 보다 긴 길이를 가진다.
또한, 상기 조작노브의 누름조작 시에 상기 본체 록킹부가 상기 커버 록킹부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멀어지지는 운동을 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에는 상기 본체 록킹부를 둘러싸도록 변위슬릿을 형성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본체 록킹부는 상기 본체에 대하여 한 지점만이 연결되어 외팔보 운동(cantilever motion)을 하게 되어, 상기 멀어지는 운동이 보다 원활해진다.
본 명세서에서는 배터리 및 배터리가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자기기에 대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커버 록킹 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뿐만 아니라 다른 전자기기, 예를 들어 카메라, MP3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에도 적용 가능하다. 그에 따라,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말기 본체'라는 용어는 위와 같은 다른 전자기기들의 '본체'도 포함하는 것으로 본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커버 록키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 실시예를 보인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100)와, 그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 커버(200)를 포함한다.
단말기 본체(100)는 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그것으로서, 전면의 상부에는 디스플레이(110)를 구비하고 하부에는 입력유닛(120)을 구비한다. 상기 디스플레이(110)는 시각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LCD(Liquid Crystal Display)이다. 또한, 상기 입력유닛(120)은 각종 숫자나 문자 등을 단말기 본체(100)의 제어 유닛(미도시)에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누름 조작에 의해 신호를 발생시키는 키버튼들이다. 마이크(130)와 스피커(140)는 각각 소리를 입력하거나 출력하기 위하여 상기 단말기 본체(100)의 일정 위치에 장착된다. 나아가, 안테나(150)는 상기 단말기 본체(100)의 무선 통신을 위한 주파수의 송수신을 담당한다.
배터리 커버(200)는 상기 단말기 본체(100)의 배면에 절개되어 형성된 배터리수용부(160)에 안착되는 배터리(미도시)를 감싸서 보호하도록 상기 단말기 본체(1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배터리 커버(200)의 단말기 본체(100)에 대한 착탈 결합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배터리 커버 록킹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배터리 커버 록킹 장치의 일부를 이루는 조작노브(410)는,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 커버(200)의 조작홀(21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배터리 커버(200)에 장착된다. 나아가, 상기 조작노브(410)에는 사용자가 엄지손톱 등을 걸어서 상기 조작노브(410)를 누름과 동시에 끌어당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작그루브(411)가 형성된다.
이상과 같은 배터리 커버 록킹 장치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배터리 커버 록킹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커버 록킹 장치는 크게 록킹 유닛(300)과, 록킹 해제 유닛(400)을 포함한다. 나아가, 배터리(B)는 단말기 본체(100)의 배면에 절개된 배터리수용부(160)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단말기 본체(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단말기 본체(100)의 배터리수용부(160)를 한정하는 부분에 형성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홈(101)에는 상기 배터리 커버(200)에서 상기 체결홈(101)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돌기(201)가 결합되어, 상기 단말기 본체(100)에 대한 상기 배터리 커버(200)의 결합 상태의 유지를 보조한다.
상기 록킹 유닛(300)은 상기 단말기 본체(100)와 상기 배터리 커버(200)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록킹 유닛(300)은 상기 단말기 본체(100)에 형성되는 본체 록킹부(310)와, 상기 배터리 커버(200)에 형성되는 커버 록킹부(320)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본체 록킹부(310)와 커버 록킹부(320)는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서로에 대하여 걸리도록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 커버(200)가 상기 단말기 본체(100)에 대하여 결합된 상태(도 2의 상태 참조)가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록킹 해제 유닛(400)은 상기 단말기 본체(100)와 상기 배터리 커버(200) 사이의 결합 상태를 해제하여 이들의 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다. 상 기 록킹 해제 유닛(400)은 상기 배터리 커버(200)에 장착되며, 사용자의 누름조작시에 상기 본체 록킹부(310)를 가압하여 상기 본체 록킹부(310)를 상기 커버 록킹부(320)로부터 멀어지도록 변형시킨다. 그에 따라, 상기 록킹 해제 유닛(400)은 상기 본체 록킹부(310)와 커버 록킹부(320) 사이의 결합을 해제시켜, 상기 배터리 커버(200)가 상기 단말기 본체(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기 록킹 유닛(300) 및 록킹 해제 유닛(400)에 대해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도 3의 본체 록킹부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커버 록킹부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 록킹부(310)는 상기 단말기 본체(100)의 너비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돌출 형성된 본체돌출벽(311)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돌출벽(311)에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리브로 구성되어 상기 본체돌출벽(311)의 구조적인 강도를 보완하는 지지부(313)가 형성된다.
변위슬릿(315)은 상기 본체 록킹부(310)의 둘레를 감싸도록 개구되어, 상기 본체 록킹부(310)가 상기 단말기 본체(100)에 대하여 일 측에서만 연결되도록 한다. 이러한 변위슬릿(315)에 의하여, 상기 본체 록킹부(310)는 록킹 해제 유닛(400)이 조작노브(410)를 가압할 때 상기 본체 록킹부(310)에 대하여 캔틸레버 운동을 한다. 그에 따라, 상기 배터리 커버(200)의 커버 록킹부(320)로부터 상기 본체 록킹부(310)를 멀어지게 하기 위한 사용자의 상기 조작노브(410)에 누름 조작 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나아가, 상기 단말기 본체(100)와 본체 록킹부(310)가 연결되는 지점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돌기(317)가 형성되어, 상기 단말기 본체(100)와 상기 본체 록킹부(310)의 연결부의 강도를 보강한다. 또한, 상기 지지돌기(317)는 단말기 본체(100)에 결합되는 상기 배터리 커버(2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도 5(및 도4)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 록킹부(320)는 배터리 커버(200)의 일 단부의 체결돌기(201)가 형성된 모서리 부근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돌출벽(311)에 대응하도록 상기 배터리 커버(200)의 너비 방향을 따라서 돌출 형성되는 커버돌출벽(321)을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커버돌출벽(321)에 대체로 수직한 방향을 따라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리브를 포함하는 지지부(323)이 상기 배터리 커버(200)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커버돌출벽(321)을 구조적으로 지지한다.
상기 록킹 해제 유닛(400)은 조작노브(410)와, 결합부(420)를 포함한다.
상기 조작노브(410)는 상기 배터리 커버(200)의 조작홀(210)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며 사용자가 누름 조작 가능하게 상기 배터리 커버(200)에 장착된다. 이러한 조작노브(4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의해 상기 본체 록킹부(310)를 가압하여 상기 본체 록킹부(310)가 상기 커버 록킹부(320)로부터 이격되게 한다.
가압돌기(413)는 상기 조작노브(410)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와 같은 조작노브(410)에 대한 누름 조작시에 상기 본체 록킹부(310)를 가압한다. 여기서, 상기 가압돌기(413)는 상기 배터리 커버(200)와 상기 본체 록킹 부(310) 사이의 간격에 따라 결정된다. 그에 따라, 상기 간격의 장단{상기 배터리 커버(200)가 소용량 배터리를 위한 것인가, 대용량 배터리를 위한 것인가에 따른}에 구애받지 않고, 상기 조작노브(410)는 상기 본체 록킹부(310)에 구조적으로 최적의 배치 관계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가압돌기(413)는 상기 본체 록킹부(310)의 지지부(313)의 지지리브들 사이에 배치되도록 일정 간격을 가지고서 배열된다.
상기 결합부(420)는 상기 조작노브(410)를 상기 배터리 커버(200)에 누름 조작 가능하게 탄성 결합시키도록, 탄성 변형가능하게 배터리 커버에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부(420)는 크게 상기 조작노브(410)에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텐션부(421)와, 상기 텐션부(421)를 상기 배터리 커버(200)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리브(422)를 포함한다.
상기 텐션부(421)는 상기 조작노브(410)의 양 측에서 각각 연장하는 한 쌍으로 형성되고, 연장 중에는 그 연장 방향을 절곡시키는 절곡부(421a)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조작노브(410)의 누름 조작에 따라 상기 텐션부(421)부의 탄성 변형 및 원 상태로의 복귀가 용이하기 때문이다. 나아가, 상기 텐션부(421)의 단부에는 상기 결합리브(422)가 삽입될 수 있는 결합홈(421b)가 형성된다. 상기 텐션부(421)는 상기 결합홈(421b)에 상기 배터리 커버(200)의 결합리브(422)가 삽입되어 열용착에 의해 상기 결합리브(422)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배터리 커버(200)에 장착되게 된다.
이러한 록킹 해제 유닛(400)은 플라스틱 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상기 조작노브(410) 및 상기 결합부(420) 중 텐션부(421)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420) 중 결합리브(422)와 상기 배터리 커버(200)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그에 따라, 상기 텐션부(421)가 상기 조작노브(410)의 탄성적 변위를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기에 스프링과 같은 별도의 탄성 부재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상기 록킹 해제 유닛(400)이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부품 관리가 단순해지고 제조 공정이 간단해지는 이점도 있다. 또한, 별도의 스프링이 필요 없게 됨에 따라 스프링의 스트로크를 확보하기 위한 공간이 없어져서, 단말기 본체(100)의 슬림화가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위와 같은 배터리 커버 락킹 장치의 결합 및 이의 분리 방식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도 2의 라인(Ⅵ-Ⅵ)을 따라 취한 단말기 본체와 배터리 커버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조작노브가 누름 조작되어 배터리 커버가 단말기 본체로부터 분리되려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본체(100)에 대해 배터리 커버(200)를 결합하는 경우에 체결홈(101) 및 체결돌기(201)(이상, 도 3 참조)들이 서로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커버 록킹부(320)의 커버돌출벽(321)은 상기 본체 록킹부(310)의 지지부(313)를 타고 넘어서 상기 본체돌출벽(311)에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배터리 커버(200)의 커버 록킹부(320)가 상기 단말기 본체(100)의 본체 록킹부(310)에 걸리고 또한 상기 체결홈(101) 및 체결돌기(201)가 서로 결합함에 따라, 상기 배터리 커버(200)는 상기 단말기 본체(10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배터리 커버(200)를 상기 단말기 본체(100)에 대하여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는,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작노브(410)를 누름 방향(P)으로 누름 조작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 커버(200)를 상기 단말기 본체(100)로부터 끌어당겨서 분리시키면 된다. 이때는 상기 단말기 본체(100)를 한 손으로 쥐고서 상기 단말기 본체(100)를 쥔 손의 엄지손가락을 상기 조작노브(410)의 조작그루브(411)에 걸어서 상기 배터리 커버(200)를 잡아당기면 한 손으로도 상기 배터리 커버(200)를 상기 단말기 본체(1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위와 같은 상기 조작노브(410)에 대한 누름 조작에 의하여, 상기 조작노브(410)의 가압돌기(413)는 상기 본체 록킹부(310)의 지지부(313)를 이루는 지지리브들 사이에 정렬된 채로 상기 본체 록킹부(310)를 가압하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본체 록킹부(310)는 상기 단말기 본체(100)에 연결된 부분{다시 말해서, 지지돌기(317)가 형성된 부분}을 중심으로 캔틸레버 운동하여 상기 커버 록킹부(320)로부터 멀어지게 회전하도록 변위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커버돌출벽(321)이 상기 본체돌출벽(311)이 선회하면서 멀어짐에 따라 그와 더 이상 맞닿아 걸리는 부분이 없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배터리 커버(200)를 상기 단말기 본체(100)로부터 끌어당겨서 상기 배터리 커버(200)를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커버 록킹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 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는 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말기 본체를 예로 들었으나, 플립형, 폴더형, 슬라이드형 등 다른 형태의 이동통신 단말기에도 위와 같은 배터리 커버 록킹 장치가 적용 가능함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 록킹부(310)와 커버 록킹부(320)에는 각각 서로에 대응하는 본체돌출벽(311) 및 커버돌출벽(321)이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들이 형성되지 않고 상기 지지부들(313 및 323)이 직접적으로 걸리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상기 조작노브(410) 및 텐션부(421)는 플라스틱 사출에 의해 제한되지 않고 탄성을 가지는 소재라면 금속 등의 다른 소재로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배터리 커버 록킹 장치는 록킹 해제 유닛이 배터리 커버에 장착됨에 따라 한 손으로도 배터리 커버를 본체에서 분리할 수 있는 등의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을 제공한다.
또한, 록킹 해제 유닛이 배터리 커버에 장착됨에 따라 배터리의 용량에 따라 다른 사이즈를 가지는 배터리 커버 각각에 다른 사이즈의 록킹 해제 유닛이 구비되기에, 배터리 커버의 사이즈에 무관하게 본체와 배터리 커버 간의 구조적인 결합이 최적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조작노브와 텐션부가 플라스틱 수지로 사출되어 제작되는 등 별도의 스프링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서, 스프링의 스트로크 확보를 위한 공간 등이 필요하지 않아서 본체의 슬림화가 가능하면서도 텐션부에 의해 탄성력이 제공되어 조작노브의 조작 편의성도 저해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위와 같은 배터리 커버 록킹 장치를 구비함에 따라, 슬림화가 가능하고 조작의 편의성이 향상되며 그 외관의 정합성이 향상된다. 나아가, 생산 방식이 단순해지고 부품 관리가 용이 해져서 그 생산성이 향상된다.

Claims (26)

  1. 본체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배터리를 보호하는 배터리 커버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배터리 커버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 커버를 상기 본체에 결합시키는 록킹 유닛과;
    상기 배터리 커버에 장착되어, 조작시 상기 록킹 유닛에 의한 잠금 상태를 해제시키는 록킹 해제 유닛을 포함하는 배터리 커버 록킹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유닛은,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본체 록킹부;
    상기 본체 록킹부에 대응하여 상기 배터리 커버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 록킹부에 걸려서 상기 배터리 커버가 상기 본체에서 분리되지 않게 하는 커버 록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커버 록킹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록킹부는 상기 본체의 너비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본체돌출벽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록킹부는 상기 본체돌출벽에 대응하도록 상기 배터리 커버의 너비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커버돌출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커버 록킹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및 배터리 커버 중 적어도 하나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본체돌출벽 및 커버돌출벽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커버 록킹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서로 이격되게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리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커버 록킹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해제 유닛은,
    상기 배터리 커버의 조작홀을 통해 상기 배터리 커버의 외부로 노출되게 장착되어, 누름 조작시 상기 본체 록킹부를 가압하여 상기 커버 록킹부로부터 분리시키는 조작노브와;
    상기 조작노브와 배터리 커버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조작노브가 상기 배터리 커버에 대해 탄성적으로 변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커버 록킹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조작노브에서 일단이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텐션부와;
    상기 배터리 커버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텐션부의 타단이 각각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커버 록킹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텐션부의 타단에는 각각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합리브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텐션부의 타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합리브와 각각 열용착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커버 록킹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텐션부는 그 연장방향을 변경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커버 록킹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노브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텐션부는 일체로 사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커버 록킹 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노브에서 상기 본체 록킹부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누름 조작시 상기 상기 본체 록킹부를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커버 록킹 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서 상기 본체록킹 유닛의 둘레를 따라 개구되어, 상기 본체 록킹부가 상기 록킹 해제 유닛의 누름 조작에 따라 외팔보 운동을 하게 하는 변위슬릿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커버 록킹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본체 록킹부의 연결 부분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본체 록킹부 및 상기 배터리커버를 상기 본체에 대하여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돌기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커버 록킹 장치.
  14. 단말기 본체와; 상기 단말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단말기 본체에 장착되는 배터리를 보호하는 배터리 커버와; 상기 배터리 커버를 상기 단말기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배터리 커버 록킹 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배터리 커버 록킹 장치는,
    상기 단말기 본체와 상기 배터리 커버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 커버를 상기 단말기 본체에 결합시키는 록킹 유닛과;
    상기 배터리 커버에 장착되어, 조작시 상기 록킹 유닛에 의한 잠금 상태를 해제시키는 록킹 해제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유닛은,
    상기 단말기 본체에 형성되는 본체 록킹부;
    상기 본체 록킹부에 대응하여 상기 배터리 커버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 록킹부에 걸려서 상기 배터리 커버가 상기 단말기 본체에서 분리되지 않게 하는 커버 록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록킹부는 상기 단말기 본체의 너비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본체돌출벽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록킹부는 상기 본체돌출벽에 대응하도록 상기 배터리 커버의 너비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커버돌출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본체 및 배터리 커버 중 적어도 하나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본체돌출벽 및 커버돌출벽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서로 이격되게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리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해제 유닛은,
    상기 배터리 커버의 조작홀을 통해 상기 배터리 커버의 외부로 노출되게 장착되어, 누름 조작시 상기 본체 록킹부를 가압하여 상기 커버 록킹부로부터 분리시키는 조작노브와;
    상기 조작노브와 배터리 커버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조작노브가 상기 배터리 커버에 대해 탄성적으로 변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조작노브에서 일단이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텐션부와;
    상기 배터리 커버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텐션부의 타단이 각각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텐션부의 타단에는 각각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합리브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텐션부의 타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합리브와 각각 열용착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텐션부는 그 연장방향을 변경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노브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텐션부는 일체로 사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커버 록킹 장치.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노브에서 상기 본체 록킹부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누름 조작시 상기 상기 본체 록킹부를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5.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본체에서 상기 본체록킹 유닛의 둘레를 따라 개구되어, 상기 본체 록킹부가 상기 록킹 해제 유닛의 누름 조작에 따라 외팔보 운동을 하게 하는 변위슬릿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본체와 상기 본체 록킹부의 연결 부분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본체 록킹부 및 상기 배터리커버를 상기 단말기 본체에 대하여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돌기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60043975A 2006-05-16 2006-05-16 배터리 커버 록킹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1168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3975A KR101168936B1 (ko) 2006-05-16 2006-05-16 배터리 커버 록킹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DE602006013605T DE602006013605D1 (de) 2006-05-16 2006-11-16 Verschlussanordnung für eine Batterieeinheit eines Mobiltelefons, und Mobiltelefon
EP06023841A EP1858233B1 (en) 2006-05-16 2006-11-16 Battery cover locking devic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US11/600,128 US20070270194A1 (en) 2006-05-16 2006-11-16 Battery cover locking devic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AT06023841T ATE464735T1 (de) 2006-05-16 2006-11-16 Verschlussanordnung für eine batterieeinheit eines mobiltelefons, und mobiltelefon
CNA200610162421XA CN101075819A (zh) 2006-05-16 2006-11-22 电池盖锁定装置和具有该装置的移动终端
JP2006352209A JP2007312352A (ja) 2006-05-16 2006-12-27 バッテリカバーロック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移動通信端末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3975A KR101168936B1 (ko) 2006-05-16 2006-05-16 배터리 커버 록킹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1086A true KR20070111086A (ko) 2007-11-21
KR101168936B1 KR101168936B1 (ko) 2012-08-02

Family

ID=38481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3975A KR101168936B1 (ko) 2006-05-16 2006-05-16 배터리 커버 록킹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70270194A1 (ko)
EP (1) EP1858233B1 (ko)
JP (1) JP2007312352A (ko)
KR (1) KR101168936B1 (ko)
CN (1) CN101075819A (ko)
AT (1) ATE464735T1 (ko)
DE (1) DE602006013605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88686A (zh) * 2008-05-22 2009-11-2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手持式装置
TWI404397B (zh) * 2008-05-30 2013-08-01 Hon Hai Prec Ind Co Ltd 手持式裝置
EP2340596B1 (en) * 2008-10-17 2012-08-1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Power control in a medical ventilator
CN101754613A (zh) * 2008-12-22 2010-06-23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电子装置
JP5259558B2 (ja) * 2009-11-27 2013-08-07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
CN102651949B (zh) * 2011-02-25 2014-08-13 川湖科技股份有限公司 可携式电子产品的壳体锁定装置
US8774716B2 (en) * 2012-03-29 2014-07-08 Auden Techno Corp. Mobile terminal extension case
KR102226312B1 (ko) * 2014-03-28 2021-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CN106137530A (zh) * 2015-04-22 2016-11-23 泰克曼(南京)电子有限公司 自动变光焊接面罩的电动空气净化呼吸器的锁扣配合结构
KR20170028719A (ko) * 2015-09-04 2017-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05977421B (zh) * 2016-06-21 2019-03-12 深圳市高巨创新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飞行器电池的固定机构
JP2018168750A (ja) * 2017-03-30 2018-11-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発電機
US10278297B1 (en) * 2017-10-11 2019-04-30 Getac Technology Corporation Case with assembly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reof
KR20230070745A (ko) 2021-11-15 2023-05-23 주식회사 아이센스 안전 배터리 커버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74477B2 (ja) * 1993-07-29 1997-11-12 日本電気株式会社 バッテリのロック装置
US5586184A (en) * 1994-11-17 1996-12-17 Kelly Communications Group, Inc. Battery latch for cellular telephone
JP2674537B2 (ja) * 1994-11-30 1997-11-12 日本電気株式会社 電子機器筐体
US5895729A (en) * 1997-09-25 1999-04-20 Motorola, Inc. Battery latch assembly for two-way radio
JP3667982B2 (ja) * 1998-03-19 2005-07-06 Smk株式会社 小型電子機器の着脱装置
KR100469438B1 (ko) * 2003-03-25 2005-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의 배터리 커버 로킹장치
WO2005060116A2 (en) * 2003-12-18 2005-06-30 Thomson Licensing Housing assembly for an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75819A (zh) 2007-11-21
EP1858233B1 (en) 2010-04-14
EP1858233A1 (en) 2007-11-21
JP2007312352A (ja) 2007-11-29
US20070270194A1 (en) 2007-11-22
ATE464735T1 (de) 2010-04-15
DE602006013605D1 (de) 2010-05-27
KR101168936B1 (ko) 2012-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8936B1 (ko) 배터리 커버 록킹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US9735400B2 (en) Battery pack lock structure and electronic apparatus
EP1028574B1 (en) Radio telephone
US7072699B2 (en) Sliding cover
US8248812B2 (en) Cover latching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
CN103258674A (zh) 便携式终端的侧键
US20080193829A1 (en) Battery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employing the same
KR20140089754A (ko) 스타일러스 펜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JP2002057770A (ja) 無線電話機
US20100024304A1 (en) Battery cover latch mechanism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KR20100023188A (ko) 휴대용 통신 장치의 보스 보강 장치
JP6245565B1 (ja) 電子機器
JP2002009912A (ja) 携帯端末装置
JP2008251455A (ja) 小型電子機器
JP2004214969A (ja) 携帯電子機器
KR100672385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95873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잠금장치
JP2007335132A (ja) 携帯電子機器
KR100639381B1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슬라이딩모듈 고정구조
JP6023528B2 (ja) 携帯型通信機器
KR200429327Y1 (ko) 좌우 절곡형 휴대폰장치
KR20060068077A (ko) 외장형 스피커 모듈의 스피커 음 누설 방지 장치
KR20080072434A (ko) 휴대 단말기
TW201102522A (en) Battery cover assembly
JP2005033274A (ja) 携帯型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