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9867A - 화상 처리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화상 처리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9867A
KR20070109867A KR1020070044461A KR20070044461A KR20070109867A KR 20070109867 A KR20070109867 A KR 20070109867A KR 1020070044461 A KR1020070044461 A KR 1020070044461A KR 20070044461 A KR20070044461 A KR 20070044461A KR 20070109867 A KR20070109867 A KR 200701098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tting
recording
image
setting inform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4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0611B1 (ko
Inventor
케이 히라이즈미
테츠지로 콘도
카츠타카 안도
야스노부 노데
미치마사 오바나
마사노리 마치무라
마사토 아카오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09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9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0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0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147Scene chang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해, 화상의 편집에 관한 값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일이 없도록 하는 것으로, 설정정보 결정부(46)는, 조작정보 인식부(45)로부터의 조작정보를 설정정보로 변환하고 축적 블록(43)에 공급한다. 사용자에 의해 조작의 종료가 지시되면, 설정정보 결정부(46)로부터의 설정정보는, 원활종료 제어부(201)에 의해, 기준치까지 서서히 변화하는 설정정보로 변환되고 축적 블록(43)에 공급되어 축적된다. 설정정보는, 특징량 추출부(41)에 의해, 입력된 화상으로부터 추출된 특징량과 함께 축적된다. 본 발명은, 영상을 편집하는 비디오 카메라 등에 적용할 수 있다.
기록 미디어, 화상 재생부, 화상 처리 장치, 리모트 컨트롤러

Description

화상 처리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STORAGE MEDIUM, AND PROGRAM}
도 1은 종래의 편집에 관한 설정치의 변화에 관해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편집에 관한 설정치의 변화에 관해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화상 처리 장치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화상 처리 장치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을 적용한 화상 처리 장치의 한 실시의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6은 화상 처리 장치의 다른 실시의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7은 특징량 추출부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8은 화상 신호의 구성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동기 검출부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0은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한 화상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11은 특징량 추출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12는 동기에 관한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13은 동기 검출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14는 조작시의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15는 동기 검출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
도 16은 특징량 추출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
도 17은 원활종료에 관한 설정치의 변화에 관해 설명하는 도면.
도 18은 화상 처리 장치의 다른 실시의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9는 화상 처리 장치의 다른 실시의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0은 화상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21은 동기에 관한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22는 원활종료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23은 조작시의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24는 원활종료에 관해 설명하는 도면.
도 25는 조작 자동종료에 관한 설정치의 변화에 관해 설명하는 도면.
도 26은 화상 처리 장치의 다른 실시의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7은 화상 처리 장치의 다른 실시의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8은 화상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29는 동기에 관한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30은 조작시의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31은 가산 처리에 관해 설명하는 도면.
도 32는 가산 처리에 관해 설명하는 도면.
도 33은 화상 처리 장치의 다른 실시의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4는 화상 처리 장치의 다른 실시의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5는 조작시의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36은 범위 지정에 관해 설명하는 도면.
도 37은 화상 처리 장치의 다른 실시의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8은 화상 처리 장치의 다른 실시의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9는 범위 지정의 처리에 관해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40은 화상 처리에 관해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41은 트리거 처리에 관해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42는 조작시의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43은 화상 처리 장치의 다른 실시의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44는 화상 처리 장치의 다른 실시의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45는 범위 지정의 처리에 관해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46은 신 체인지(scene change) 검출에 관해 설명하는 도면.
도 47은 화상 처리 장치의 다른 실시의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48은 화상 처리 장치의 다른 실시의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49는 화상 처리에 관해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50은 신 체인지에 관한 처리에 관해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51은 키포인트에 관해 설명하는 도면.
도 52는 화상 처리 장치의 다른 실시의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53은 화상 처리 장치의 다른 실시의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54는 키포인트 기록 처리에 관해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55는 화상 처리에 관해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56은 키포인트 기록 처리에 관해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57은 매체에 관해 설명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기록 미디어 12 : 화상 재생부
13 : 화상 처리 장치 14 : 리모트 컨트롤러
15 : 표시부 41 : 특징량 추출부
42 : 동기 검출부 43 : 축적 블록
44 : 수광부 45 : 조작정보 인식부
46 : 설정정보 결정부 47 : 선택부
48 : 지연부 49 : 반영부
61 : 특징량 설정정보 기록부
62 :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
63 : 특징량 설정정보 판독부
151 : 축적 블록 152 : 선택부
153 : 설정정보 결정부
161 : 특징량 조작정보 기록부
162 : 특징량 조작정보 축적부
163 : 특징량 조작정보 판독부
201 : 원활종료 제어부
211 : 원활종료 제어부
301 : 조작 자동종료 제어부
311 : 조작 자동종료 제어부
401 : 설정치 가산부 411 : 설정정보 결정부
501 : 범위 지정부 502 : 범위 기록부
503 : 트리거부 511 : 범위 지정부
512 : 범위 기록부 513 : 트리거부
601 : 범위 지정부 602 : 트리거부
603 : 일시축적 블록
611 : 특징량 설정정보 기록부
612 :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
613 : 특징량 설정정보 판독부
641 : 범위 지정부 642 : 트리거부
643 : 일시축적 블록 644 : 동기 검출부
651 : 특징량 설정정보 기록부 652 :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
653 : 특징량 설정정보 판독부 701 : 시작 조작 입력부
702 : 신 체인지 검출부 703 : 트리거부
711 : 시작 조작 입력부 712 : 신 체인지 검출부
713 : 트리거부 801 : 키포인트 지정부
802 : 키포인트 축적부 803 : 설정정보 보간부
804 : 일시축적 블록 805 : 동기 검출부
811 : 특징량 설정정보 기억부
812 :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
813 : 특징량 설정정보 판독부
841 : 키포인트 지정부 842 : 키포인트 축적부
843 : 설정정보 보간부 844 : 일시축적 블록
845 : 동기 검출부
851 : 특징량 설정정보 기억부
852 :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
853 : 특징량 설정정보 판독부
본 발명은, 화상 처리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상에 가하는 처리와, 화상의 특징량을 대응시켜서 기억 시킴으로써, 화상을 재생시키는 때마다, 소정의 처리를 가한 화상을 재현할 수 있도록 한 화상 처리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배경 기술)
근래, 화상을 간단하게 처리하기 위한 기술이 보급되어 있다.
종래, 비디오 카메라 등으로 촬상된 화상을 편집하는데는, 오리지널의 화상 데이터를 재생시키면서, 각종의 처리를 가하는 조작을 실행하고, 처리 결과가 되는 화상을 다른 기록 매체에 기록시킨다는 리니어 편집이 주류였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리니어 편집의 경우, 오리지널의 화상 데이터가 COPY ONCE인 경우, 한번 VTR(Video Tape Recorder)에 기록한 것을 재생하고, 다시 편집한 영상에 관해서는 기록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화상을 편집시키기 위한 처리를 지시하는 조작을 기억시키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여기서,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종래 방법의 기록, 수정의 개요에 관해 설명한다. 도 1에서 횡축은, 기록하는 컨텐츠의 타임 코드를 나타내는 「시간」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의 종축은, 기록, 재생되는 설정치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설정치란, 예를 들면, 줌에서의 줌 율, 줌 중심의 좌표, 화상 설정 파라미터(밝기, 콘트라스트, 픽처 등) 등이다.
도 1에서 1단째는, 소정의 컨텐츠가 재생되는 부분을 사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사선으로 도시한 부분이 편집 대상이 되는 것을 나타내고, 도 1에 도시한 예에서는, 컨텐츠의 같은 부분을 3회 이상 재생하여, 그 컨텐츠에 동기한 조작의 기록과 재생을 행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의 2단째는, 1회째의 조작에 의한 설정치의 기록을 나타내고 있다. 1회째의 설정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이 시작되면 기록이 시작되고, 조작 이 종료되면 기록도 종료된다. 기록의 시작 시점(T1)은, 즉 기록의 선두 부분은, 반드시 표준 상태로부터 시작된다. 또한, 조작 종료 시점(T2)에는 조작 종료 버튼이 조작됨에 의해 조작이 종료되어지고, 그에 따라, 기록도 종료되기 때문에, 도 1의 2단째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비연속적으로 표준 상태로 되돌아오는 기록으로 되는 일이 많다.
도 1의 3단째는, 2회째의 조작에 의한 설정치의 기록을 도시하고 있다. 2회째의 조작에서는, 컨텐츠의 처리 대상(조작 시작 시점(T1)부터 조작 종료 시점(T2)까지의 컨텐츠)으로 되어 있는 부분중, 수정 시작 시점(T3)부터 수정이 시작되고, 수정 종료 시점(T4)에서 수정이 종료된 것이 나타나고 있다. 즉, 2회째의 조작에서는, 1회째의 조작과 동일한 컨텐츠의 부분이 재생되고 나서, 수정 시작 시점(T3)부터 수정 종료 시점(T4)까지의 개소가, 1회째의 조작과는 다른 조작이 된 것을, 도 1의 3단째의 도면에서는 도시하고 있다.
도 1의 3단째의 도면에서, 점선으로 도시한 선은, 1회째의 조작시에 기록된 설정치의 선이다.
사용자는, 1회째의 조작을 행한 후(1회째의 조작의 기록이 행하여진 후), 2회째의 조작을 행하기 전에, 컨텐츠 자체를 조작 시작 시점(T1)까지 「되감기」 위한 조작을 행할 필요가 있다. 2회째의 조작의 기록 후, 재차 「되감기」하여, 재생한 경우, 도 1의 4 단째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태로 설정치가 재생된다. 2회째 이후의 기록시에는, 기록 내용이 재기록되기 때문에, 특히 재기록의 종료시에 편집 데이터가 불연속으로 되기 쉽다.
도 2A 내지 도 2C에 실제의 조작의 양상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다. 도 2A는 1회째의 조작과 그 조작으로 기록되는 설정치와의 관계를 도시하고, 도 2B는 2회째의 조작과 그 조작으로 기록되는 설정치와의 관계를 도시하고, 도 2C는 2회째의 조작의 결과, 기록되는 설정치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2A와 도 2B에 도시한 테두리 내의 도면에서, 각 테두리 내의 1단째는, 설정치를 나타내고, 2단째는, 조작 결과를 나타낸다.
1회째의 조작은, 사용자로부터의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컨트롤러로부터, 도 2A의 2단째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조작 신호가 나온 경우, 도 2A의 1단째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설정치의 기록이 행하여진다. 설정치는, 컨트롤러에서의 조작량을 적분(積分)한 값으로 된다. 또한, 도 2A나 도 2B에서, 플러스 조작이란, 예를 들면, 화상의 확대를 지시하는 조작이고, 마이너스 조작이란, 화상의 축소를 지시하는 조작이다.
예를 들면, 조작 시작 시점(T1)부터 시점(T11)까지는 플러스의 조작이 행하여졌기 때문에(2단째 참조), 그 값이 적분된 값이 설정치로서 기록되기 때문에, 기록되는 설정치는, 서서히 값이 커지는 그래프로 된다(1단째 참조). 그 후, 시점(T11)부터 시점(T12)까지는, 마이너스 조작이 행하여졌기 때문에, 그 설정치는, 서서히 작아지는 그래프로 된다. 시점(T12)의 후도 플러스 조작과 마이너스 조작이 행하여지고, 그 조작에 응한 설정치가 기록된다.
그리고, 시점(T2)에서, 컨트롤러의 조작 종료 버튼(기록 종료의 기능을 갖는 버튼)가 조작되면, 설정치의 기록도 종료된다. 기록이 종료되면, 설정치는, 표준치 로 되돌아온다. 이와 같은 조작이 행하여진 결과, 도 2A의 1단째에 도시한 바와 같은 설정치가 기록된다.
다음에, 도 2B의 2단째에 도시한 바와 같이, 1회째의 조작이 행하여진 컨텐츠에 대해, 시점(T3)부터 시점(T21)까지 플러스 조작이 행하여지고, 시점(T21)부터 시점(T4)까지, 마이너스 조작이 행하여진 경우, 시점(T3)부터 시점(T4)까지의 사이에 기록되는 설정치는, 도 2B의 1단째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된다.
2회째의 조작인 경우, 1회째의 조작의 시점(T3)인 때에 기록되어 있던 설정치로부터, 조작량에 응한 설정치가 순차로 적분된 값이 가산된다. 또한, 시점(T4)에서, 조작이 종료되면, 1회째의 조작의 시점(T4)인 때에 기록되어 있던 설정치까지, 설정치가 되돌아온다.
이와 같은 수정이 행하여지면, 도 2B의 1단째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은 설정치가 기억되게 된다(실선으로 도시한 설정치로 기록이 수정된 것이 된다). 즉, 2회째의 조작이 행하여진 결과, 설정으로서 기록된 파형은,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은 파형으로 된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2003-202944호 공보
도 2C에 도시한 파형을 참조하면, 시점(T4)에서, 설정치가 급격하게 작아지고, 시점(T2)에서도, 설정치가 급격하게 작아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설정치의 급격한 변화는, 예를 들면, 설정치가 화상의 확대나 축소에 관한 값인 경 우, 급격하게 화상이 커지거나 작아지거나 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급격한 화상의 변화는, 사용자에게 잘 보이지 않는 화상(영상)를 제공하여 버리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 2C에 도시한 파형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정치의 기록의 선두 부분은 반드시 표준치로부터 시작되고, 설정치의 기록의 종료 부분은, 표준치로 종료된다. 이와 같은 것은, 기록의 시작시와 종료시는, 기록 시작, 종료의 포인트를 자유롭게 설정하기 어렵고, 비연속적으로 표준 상태로 되돌아오는 것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고, 상기한 바와 같은 급격한 화상의 변화가 일어나기 쉬운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복수회(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여 설명한 예로는 2회)의 편집이 행하여지는 경우, 2회째 이후의 편집에 의한 설정치의 기록은, 전회의 기록에 재기록되기 때문에, 그 재기록의 종료시(상기한 예에서는, 시점(T4))에는, 설정치의 데이터가 불연속으로 되기 쉽고, 상기한 바와 같은 것이 발생하기 쉬운 상황이다.
즉, 종래의 기록 방식에서는, 조작이 그대로 기록되기 때문에, 설정치가 원활하게 변화되는 기록이 행하여지지 않고, 화상이 급격하게 변화하여 버리는 것을 막을 수가 없었다.
또한, 조작 이력의 재기록은, 예를 들면, 손떨림 보정 기능 등, 자동으로(사용자의 손을 번거롭게 하지 않고) 기록된 이력에 대해, 수동으로 편집을 가하고 싶은 때 등에 손떨림 보정 후의 데이터에 대한 편집을 할 수가 없는 자동 조작을 기록할 때도, 자동 조작의 스테터스와 연휴하지 않는다는 기록 방식이였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급격한 화상의 변화 등을 막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한 측면의 제 1의 화상 처리 장치는, 화상으로부터 특징량을 추출하는 특징량 추출 수단과, 상기 화상에 대해 처리를 가하기 위한 설정정보를 설정하는 설정 수단과,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상기 설정정보를 편집하는 편집 수단과, 상기 화상의 특징량에 대응시켜서 상기 편집 수단에 의해 편집된 상기 설정정보를 데이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편집 수단은,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한 설정이 종료될 때,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상기 제 1의 설정정보로부터, 설정정보의 표준이 되어 있는 제 2의 설정정보까지 서서히 변화하도록, 상기 제 1의 설정정보로부터 상기 제 2의 설정정보 사이의 설정정보를 편집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편집 수단은,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한 설정이 종료될 때, 그 시점에서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제 1의 설정정보로부터, 상기 제 1의 설정정보가 설정된 화상보다 후의 시점의 화상의 설정정보이고, 상기 데이터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제 2의 설정정보로, 서서히 변화하도록, 상기 제 1의 설정정보로부터 상기 제 2의 설정정보 사이의 설정정보를 편집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편집 수단은, 상기 제 1의 설정정보로부터 소정의 값을 감산 또는 가산한 제 3의 설정정보를, 상기 제 1의 설정정보에 대응하는 화상의 다음 시점에서의 화상의 설정정보로 하고, 상기 제 3의 설정정보가 상기 제 2의 설정정보와 소정의 범위 내의 설정정보가 아닐 때, 상기 제 3의 설정정보로부터 다시 상기 소정의 값을 감산 또는 가산한 제 3의 설정정보를 다시 다음 시점에서의 화상의 설정정보로 하고, 상기 제 3의 설정정보가 상기 제 2의 설정정보와 소정의 범위 내의 설정정보로 되었을 때, 상기 제 3의 설정정보를 상기 제 2의 설정정보로 할 수가 있다.
상기 편집 수단은,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상기 설정정보 와, 그 설정정보가 설정된 화상과 동일한 화상으로 설정되고, 상기 데이터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설정정보를 가산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편집 수단에 의한 편집의 대상이 되는 기간의 시작 또는 종료를 지정하는 키포인트를 설정하는 키포인트 설정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편집 수단은, 상기 키포인트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상기 키포인트 중, 인접하는 키포인트 사이에서, 한쪽의 키포인트의 설정정보로부터 다른쪽의 키포인트의 설정정보로 서서히 변화하도록 편집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키포인트 설정 수단은,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한 기록이 행하여지기 전의 시점에서 상기 키포인트를 설정하거나, 또는,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한 기록이 행하여진 후의 시점에서 상기 키포인트를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의 제 1의 화상 처리 방법은, 화상으로부터 특징량을 추출하는 특징량 추출 스텝과, 상기 화상에 대해 처리를 가하기 위한 설정정보를 설정하는 설정 스텝과, 상기 설정 스텝의 처리에서 설정된 상기 설정정보를 편집하는 편집 스텝과, 상기 화상의 특징량에 대응시켜서 상기 편집 스텝의 처리에서 편집된 상기 설정정보의 데이터 기록 매체에의 기록을 제어하는 기록 제어 스텝을 포함한 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의 제 1의 기록 매체는, 화상으로부터 특징량을 추출하는 특징량 추출 스텝과, 상기 화상에 대해 처리를 가하기 위한 설정정보를 설정하는 설정 스텝과, 상기 설정 스텝의 처리에서 설정된 상기 설정정보를 편집하는 편집 스텝과, 상기 화상의 특징량에 대응시켜서 상기 편집 스텝의 처리에서 편집된 상기 설정정보의 데이터 기록 매체에의 기록을 제어하는 기록 제어 스텝을 포함하는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하고 있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의 제 1의 프로그램은, 화상으로부터 특징량을 추출하는 특징량 추출 스텝과, 상기 화상에 대해 처리를 가하기 위한 설정정보를 설정하는 설정 스텝과, 상기 설정 스텝의 처리에서 설정된 상기 설정정보를 편집하는 편집 스텝과, 상기 화상의 특징량에 대응시켜서 상기 편집 스텝의 처리에서 편집된 상기 설정정보의 데이터 기록 매체에의 기록을 제어하는 기록 제어 스텝을 포함하는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킨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의 제 1의 화상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에서는, 화상으로부터 특징량이 추출되고, 화상에 대해 처리를 가하기 위한 설정정보가 설정되고, 설정된 설정정보가 편집되고, 화상의 특징량에 대응시켜서 편집된 설정정보가 데이터 기록 매체에 기록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의 제 2의 화상 처리 장치는, 화상으로부터 특징량을 추출하는 특징량 추출 수단과, 상기 화상에 대해 처리를 가하기 위한 설정정보를 설정하는 설정 수단과, 상기 화상의 특징량에 대응시켜서 상기 설정정보를 데이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과,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해 상기 설정정보를 상기 데이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에 의거하여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한 기록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되는 상기 설정정보가 연속하여 동일한 경우,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되는 상기 설정정보가 상기 데이터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대응하는 설정정보에 근사한 경우, 또는,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되는 상기 설정정보가 설정정보의 표준이 되어 있는 설정정보에 근사한 경우,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해 상기 설정정보를 상기 데이터 기록 매체에 기록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한 기록을 시작시키는 시작점과, 종료시키는 종료점을 지정하는 지정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지정 수단에 의해 지정된 시작점부터,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해 상기 설정정보를 상기 데이터 기록 매체에 기록한다고 판단하고, 상기 지정 수단에 의해 지정된 종료점으로부터,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해 상기 설정정보를 상기 데이터 기록 매체에 기록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지정 수단은,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한 기록이 행하여지기 전의 시점에서 상기 시작점과 상기 종료점을 지정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기록 수단은, 일시적으로, 상기 데이터 기록 매체에 상기 설정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지정 수단은,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한 기록이 행하여진 후, 상기 시작점과 상기 종료점을 지정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일시적으로 상기 데이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상기 설정정보를, 상기 시작점부터 상기 데이터 기록 매체에 재기록하고, 상기 종료점에서 상기 데이터 기록 매체의 재기록을 종료 하도록 할 수 있다.
신 체인지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신 체인지가 검출된 경우,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해 상기 설정정보가 상기 데이터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지 않은 때에는 기록을 시작시킨다고 판단하고,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해 상기 설정정보가 상기 데이터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을 때에는 기록을 종료시킨다고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의 제 2의 화상 처리 방법은, 화상으로부터 특징량을 추출하는 특징량 추출 스텝과, 상기 화상에 대해 처리를 가하기 위한 설정정보를 설정하는 설정 스텝과, 상기 화상의 특징량에 대응시킨 상기 설정정보의 데이터 기록 매체에의 기록을 제어할 때, 상기 설정정보를 상기 데이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에 의거하여 기록을 제어하는 기록 제어 스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의 제 2의 기록 매체는, 화상으로부터 특징량을 추출하는 특징량 추출 스텝과, 상기 화상에 대해 처리를 가하기 위한 설정정보를 설정하는 설정 스텝과, 상기 화상의 특징량에 대응시킨 상기 설정정보의 데이터 기록 매체에의 기록을 제어할 때, 상기 설정정보를 상기 데이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에 의거하여 기록을 제어하는 기록 제어 스텝을 포함하는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하고 있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의 제 2의 프로그램은, 화상으로부터 특징량을 추출하는 특징량 추출 스텝과, 상기 화상에 대해 처리를 가하기 위한 설정정보를 설정하는 설정 스텝과, 상기 화상의 특징량에 대응시킨 상기 설정정보의 데이터 기록 매체에의 기록을 제어할 때, 상기 설정정보를 상기 데이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에 의거하여 기록을 제어하는 기록 제어 스텝을 포함하는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킨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의 제 2의 화상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에서는, 화상으로부터 특징량이 추출되고, 화상에 대해 처리를 가하기 위한 설정정보가 설정되고, 화상의 특징량에 대응시켜서 설정정보가 데이터 기록 매체에 기록되고, 설정정보가 데이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지의 여부가 판단되고, 그 판단에 의거한 기록의 제어가 행하여진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의 제 3의 화상 처리 장치는, 화상으로부터 특징량을 추출하는 특징량 추출 수단과, 상기 화상에 대한 처리를 지정하기 위한 조작을 하는 조작 수단과, 상기 조작 수단의 조작 내용에 의해, 상기 화상에 대해 처리를 가하기 위한 설정정보를 설정하는 설정 수단과, 상기 조작정보를 편집하는 편집 수단과, 상기 화상의 특징량에 대응시켜서 상기 편집 수단에 의해 편집된 상기 조작정보를 데이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편집 수단은, 상기 조작 수단에 의한 조작이 종료될 때, 그 시점에서의 제 1의 조작정보로부터, 조작정보의 표준이 되어 있는 제 2의 조작정보까지 서서히 변화하도록, 상기 제 1의 조작정보로부터 상기 제 2의 조작정보 사이의 조작정보를 편집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편집 수단은, 상기 조작 수단에 의한 조작이 종료될 때, 그 시점에서의 제 1의 조작정보로부터, 후의 시점의 조작정보이고, 상기 데이터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제 2의 조작정보로, 서서히 변화하도록, 상기 제 1의 조작정보로부터 상기 제 2의 조작정보 사이의 조작정보를 편집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편집 수단은, 상기 제 1의 조작정보로부터 소정의 값을 감산 또는 가산한 제 3의 조작정보를, 상기 제 1의 조작정보에 대응하는 화상의 다음 시점에서의 화상의 조작정보로 하고, 상기 제 3의 조작정보가 상기 제 2의 조작정보와 소정의 범위 내의 조작정보가 아닌 때, 상기 제 3의 조작정보로부터 다시 상기 소정의 값을 감산 또는 가산한 제 3의 조작정보를 다시 다음 시점에서의 화상의 조작정보로 하고, 상기 제 3의 조작정보가 상기 제 2의 조작정보와 소정의 범위 내의 조작정보가 되었을 때, 상기 제 3의 조작정보를 상기 제 2의 조작정보로 할 수 있다.
상기 편집 수단은, 상기 조작정보와, 그 조작정보가 취득된 때의 화상과 동일한 화상으로부터 취득되고, 상기 데이터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조작정보를 가산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편집 수단에 의한 편집의 대상이 되는 기간의 시작 또는 종료를 지정하는 키포인트를 설정하는 키포인트 설정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편집 수단은, 상기 키포인트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상기 키포인트 중, 인접하는 키포인트 사이에서, 한쪽의 키포인트의 조작정보로부터 다른쪽의 키포인트의 조작정보로 서서히 변화하도록 편집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키포인트 설정 수단은,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한 기록이 행하여지기 전의 시점에서 상기 키포인트를 설정하거나, 또는,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한 기록이 행하여진 후의 시점에서 상기 키포인트를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의 제 3의 화상 처리 방법은, 화상으로부터 특징량을 추출하는 특징량 추출 스텝과, 상기 화상에 대한 처리를 지정하기 위한 조작을 하는 조작 스텝과, 상기 조작 스텝의 처리에서의 조작 내용에 의해, 상기 화상에 대해 처리를 가하기 위한 설정정보를 설정하는 설정 스텝과, 상기 조작정보를 편집하는 편집 스텝과, 상기 화상의 특징량에 대응시켜서 상기 편집 스텝의 처리에 의해 편집된 상기 조작정보의 데이터 기록 매체에의 기록을 제어하는 기록 제어 스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의 제 3의 기록 매체는, 화상으로부터 특징량을 추출하는 특징량 추출 스텝과, 상기 화상에 대한 처리를 지정하기 위한 조작을 하는 조작 스텝과, 상기 조작 스텝의 처리에서의 조작 내용에 의해, 상기 화상에 대해 처리를 가하기 위한 설정정보를 설정하는 설정 스텝과, 상기 조작정보를 편집하는 편집 스텝과, 상기 화상의 특징량에 대응시켜서 상기 편집 스텝의 처리에 의해 편집된 상기 조작정보의 데이터 기록 매체에의 기록을 제어하는 기록 제어 스텝을 포함하는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하고 있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의 제 3의 프로그램은, 화상으로부터 특징량을 추출하는 특징량 추출 스텝과, 상기 화상에 대한 처리를 지정하기 위한 조작을 하는 조작 스텝과, 상기 조작 스텝의 처리에서의 조작 내용에 의해, 상기 화상에 대해 처리를 가하기 위한 설정정보를 설정하는 설정 스텝과, 상기 조작정보를 편집하는 편집 스텝과, 상기 화상의 특징량에 대응시켜서 상기 편집 스텝의 처리에 의해 편집된 상기 조작정보의 데이터 기록 매체에의 기록을 제어하는 기록 제어 스텝을 포함하는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킨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의 제 3의 화상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에서는, 화상으로부터 특징량이 추출되고, 화상에 대한 처리를 지정하기 위한 조작이 행하여지고, 그 조작 내용에 의해, 화상에 대해 처리를 가하기 위한 설정정보가 설정되고, 조작정보가 편집되고, 화상의 특징량에 대응시켜서 편집된 조작정보가 데이터 기록 매체에 기록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의 제 4의 화상 처리 장치는, 화상으로부터 특징량을 추출하는 특징량 추출 수단과, 상기 화상에 대한 처리를 지정하기 위한 조작을 하는 조작 수단과, 상기 조작 수단의 조작 내용에 의해, 상기 화상에 대해 처리를 가하기 위한 설정정보를 설정하는 설정 수단과, 상기 화상의 특징량에 대응시켜서 상기 조작정보를 데이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과,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해 상기 조작정보를 상기 데이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에 의거하여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한 기록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조작 수단으로부터의 신호가 취득되지 않는 기간이 일정 시간 이상이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조작정보가 상기 데이터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대응하는 조작정보에 근사한 경우, 또는, 상기 조작정보가 조작정보의 표준이 되어 있는 조작정보에 근사한 경우,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해 상기 조작정보 를 상기 데이터 기록 매체에 기록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한 기록을 시작시키는 시작점과, 종료시키는 종료점을 지정하는 지정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지정 수단에 의해 지정된 시작점부터,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해 상기 조작정보를 상기 데이터 기록 매체에 기록한다고 판단하고, 상기 지정 수단에 의해 지정된 종료점으로부터,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해 상기 조작정보를 상기 데이터 기록 매체에 기록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지정 수단은,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한 기록이 행하여지기 전의 시점에서 상기 시작점과 상기 종료점을 지정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기록 수단은, 일시적으로, 상기 데이터 기록 매체에 상기 조작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지정 수단은,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한 기록이 행하여진 후, 상기 시작점과 상기 종료점을 지정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일시적으로 상기 데이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상기 조작정보를, 상기 시작점부터 상기 데이터 기록 매체에 재기록하고, 상기 종료점에서 상기 데이터 기록 매체의 재기록을 종료 하도록 할 수 있다.
신 체인지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신 체인지가 검출된 경우,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해 상기 조작정보가 상기 데이터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지 않은 때에는 기록을 시작시킨다고 판단하고,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해 상기 조작정보가 상기 데이터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을 때에는 기록을 종료시킨다고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의 제 4의 화상 처리 방법은, 화상으로부터 특징량을 추출하는 특징량 추출 스텝과, 상기 화상에 대한 처리를 지정하기 위한 조작을 하는 조작 스텝과, 상기 조작 스텝의 조작 내용에 의해, 상기 화상에 대해 처리를 가하기 위한 설정정보를 설정하는 설정 스텝과, 상기 조작정보를 상기 데이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에 의거하여 기록을 제어하는 기록 제어 스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의 제 4의 기록 매체는, 화상으로부터 특징량을 추출하는 특징량 추출 스텝과, 상기 화상에 대한 처리를 지정하기 위한 조작을 하는 조작 스텝과, 상기 조작 스텝의 조작 내용에 의해, 상기 화상에 대해 처리를 가하기 위한 설정정보를 설정하는 설정 스텝과, 상기 조작정보를 상기 데이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에 의거하여 기록을 제어하는 기록 제어 스텝을 포함하는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하고 있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의 제 4의 프로그램은, 화상으로부터 특징량을 추출하는 특징량 추출 스텝과, 상기 화상에 대한 처리를 지정하기 위한 조작을 하는 조작 스텝과, 상기 조작 스텝의 조작 내용에 의해, 상기 화상에 대해 처리를 가하기 위한 설정정보를 설정하는 설정 스텝과, 상기 조작정보를 상기 데이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에 의거하여 기록을 제어하는 기록 제어 스텝을 포함하는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킨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의 제 4의 화상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에서는, 화상으로부터 특징량이 추출되고, 화상에 대한 처리를 지정하기 위한 조작이 행하여 지고, 그 조작의 조작 내용에 의해, 화상에 대해 처리를 가하기 위한 설정정보가 설정되고, 화상의 특징량에 대응시켜서 조작정보가 데이터 기록 매체에 기록되고, 조작정보를 데이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지의 여부의 판단이 행하여지고, 그 판단에 의거하여 기록이 제어된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설명하는데, 본 발명의 구성요건과, 명세서 또는 도면에 기재된 실시의 형태와의 대응 관계를 예시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이 기재는, 본 발명을 서포트하는 실시의 형태가, 명세서 또는 도면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명세서 또는 도면 중에는 기재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구성요건에 대응하는 실시의 형태로서, 여기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은 실시의 형태가 있었다고 하더라도, 그 것은, 그 실시의 형태가, 그 구성요건에 대응하는 것이 아닌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역으로, 실시의 형태가 구성요건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여기에 기재되어 있다면 하여도, 그 것은, 그 실시의 형태가, 그 구성요건 이외의 구성요건에는 대응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는 것도 아니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의 제 1의 화상 처리 장치(예를 들면, 도 18의 화상 처리 장치(13))는, 화상으로부터 특징량을 추출하는 특징량 추출 수단(예를 들면, 도 18의 특징량 추출부(41))과, 상기 화상에 대해 처리를 가하기 위한 설정정보를 설정하는 설정 수단(예를 들면, 도 18의 설정정보 결정부(46))과,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상기 설정정보를 편집하는 편집 수단(예를 들면, 도 18이 원활종료 제어 부(201))과, 상기 화상의 특징량에 대응시켜서 상기 편집 수단에 의해 편집된 상기 설정정보를 데이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예를 들면, 도 18의 축적 블록(43))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의 제 2의 화상 처리 장치(예를 들면, 도 37의 화상 처리 장치(13))는, 화상으로부터 특징량을 추출하는 특징량 추출 수단(예를 들면, 도 37의 특징량 추출부(41))과, 상기 화상에 대해 처리를 가하기 위한 설정정보를 설정하는 설정 수단(예를 들면, 도 37의 설정정보 결정부(46))과, 상기 화상의 특징량에 대응시켜서 상기 설정정보를 데이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예를 들면, 도 37의 축적 블록(43))과,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해 상기 설정정보를 상기 데이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에 의거하여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한 기록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예를 들면, 도 37의 트리거부(503))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의 제 3의 화상 처리 장치(예를 들면, 도 19의 화상 처리 장치(13))는, 화상으로부터 특징량을 추출하는 특징량 추출 수단(예를 들면, 도 19의 특징량 추출부(41))과, 상기 화상에 대한 처리를 지정하기 위한 조작을 하는 조작 수단(예를 들면, 도 19의 조작정보 인식부(45))과, 상기 조작 수단의 조작 내용에 의해, 상기 화상에 대해 처리를 가하기 위한 설정정보를 설정하는 설정 수단(예를 들면, 도 19의 설정정보 결정부(153))과, 상기 조작정보를 편집하는 편집 수단(예를 들면, 도 19의 원활종료 제어부(211))과, 상기 화상의 특징량에 대응시켜서 상기 편집 수단에 의해 편집된 상기 조작정보를 데이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예를 들면, 도 19의 축적 블록(151))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의 제 4의 화상 처리 장치(예를 들면, 도 38의 화상 처리 장치(13))는, 화상으로부터 특징량을 추출하는 특징량 추출 수단(예를 들면, 도 38의 특징량 추출부(41))과, 상기 화상에 대한 처리를 지정하기 위한 조작을 하는 조작 수단(예를 들면, 도 38의 조작정보 인식부(45))과, 상기 조작 수단의 조작 내용에 의해, 상기 화상에 대해 처리를 가하기 위한 설정정보를 설정하는 설정 수단(예를 들면, 도 38의 설정정보 결정부(153))과, 상기 화상의 특징량에 대응시켜서 상기 조작정보를 데이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예를 들면, 도 38의 축적 블록(121))과,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해 상기 조작정보를 상기 데이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에 의거하여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한 기록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예를 들면, 도 38의 트리거부(513))을 구비한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3,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적용한 화상 처리 장치의 개념에 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을 적용한 화상 처리 장치는, 미리 기록된 화상에 대해, 사용자에 의해 지시된 처리를 시행하여 표시한다. 이 때, 화상 처리 장치는, 화상의 특징량을 추출하여, 특징량에 대응시켜서 처리 내용의 정보를 축적시킨다. 또한, 화상 처리 장치는, 미리 기록된 화상을 재생할 때, 이 축적된 처리 내용의 정보를 판독하고, 화상에 처리를 시행하여 표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처리 장치(2)의 동작은, 크게 나누어 기록 모드와 재생 모드의 2개의 모드로 이루어진다.
기록 모드에서는, 도 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화상 처리 장치(2)는, 예를 들면, DVD(Digital Versatile Disc) 등의 동화상을 포함하는 컨텐츠가 미리 기록되어 있는 기록 미디어(1)로부터 DVD 플레이어 등에 의해 재생되는 화상을 표시부(3)에 표시시킨다. 이 상태에서, 리모트 컨트롤러 등이 사용자 등에 의해 조작됨에 의해, 소망하는 화상에의 처리로서, 예를 들면, 줌, 팬, 틸트 등이 지시되면, 화상 처리 장치(2)는, 조작 내용에 대응하는 설정정보를 생성함과 함께, 설정정보에 대응시켜진 처리를 화상에 시행하여 표시부(3)에 표시시킨다. 또한, 화상 처리 장치(2)는, 화상으로부터 특징량을 추출하고, 추출한 특징량에 대응시켜서 설정정보를 조작 이력 격납부(4)에 축적시킨다.
다음에, 재생 모드에서는, 도 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화상 처리 장치(2)는, 동화상을 포함하는 컨텐츠이 미리 기록되어 있는 기록 미디어(1)로부터 DVD 플레이어 등에 의해 재생되는 화상을 판독함과 함께, 특징량을 추출한다. 이 때, 화상 처리 장치(2)는, 조작 이력 격납부(4)에 특징량에 대응시켜져서 기록되어 있는 설정정보를, 기록 미디어(1)로부터 판독한 화상의 특징량에 동기하여 판독함과 함께, 판독한 설정정보에 의거하여, 화상에 처리를 시행하고, 표시부(3)에 표시시킨다.
이상과 같은 동작에 의해, 화상 처리 장치(2)는, 미리 기록된 화상에 대한 처리 내용만을 축적하여, 처리 결과인 화상을 기록하는 일 없이, 처리 결과인 화상을 반복 재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결과로서, 미리 기록된 화상에 대해, 다양한 화상 처리를 가한다는 가공 처리를 반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도 3,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화상 처리 장치(2)에 관해 상세를 설명한다.
도 5는, 도 3, 도 4의 화상 처리 장치(2)에 대응하는 화상 처리 장치(13)의 한 실시의 형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화상 재생부(12)는, 도 3, 도 4의 기록 미디어(1)에 대응하는 기록 미디어(11)에 미리 소정의 형식으로 인코드된 상태에서 기록된 화상을 디코드하고, 순차로 화상으로서 특징량 추출부(41) 및 지연부(48)에 공급한다.
특징량 추출부(41)는, 화상 재생부(12)로부터 순차로 공급되어 오는 화상의 특징량을 추출하여, 동기 검출부(42) 및 축적 블록(43)의 특징량 설정정보 기록부(61)에 공급한다. 그리고, 특징량 추출부(41)의 구성에 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상세를 후술한다.
리모트 컨트롤러(14)는, 키나 버튼 등으로 구성되고, 도 3, 도 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소망하는 화상에 대한 처리의 내용을 지시할 때 조작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응하여 조작 신호를 발생함과 함께, 발생한 조작 신호에 응하여 적외선 등으로 된 발광 패턴을 생성하고, 화상 처리 장치(13)의 수광부(44)에 발광한다.
수광부(44)는, 리모트 컨트롤러(14)의 발광 패턴에 의거하여, 리모트 컨트롤러(14)의 조작 신호로 변환하고, 조작정보 인식부(45)에 공급한다. 조작정보 인식부(45)는, 수광부(44)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조작 신호에 의거하여, 사용자가 소망하는 화상에의 처리에 대응시켜져 있는 조작정보를 인식하고, 인식 결과인 조작 신 호를 설정정보 결정부(46)에 공급한다.
설정정보 결정부(46)는, 조작정보 인식부(45)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조작정보에 의거하여, 후술하는 반영부(49)에 대해 화상에의 처리 내용을 지시하기 위한 설정정보를 결정하고, 특징량 설정정보 기록부(61) 및 선택부(47)에 공급한다.
축적 블록(43)의 특징량 설정정보 기록부(61)는, 특징량 추출부(41)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특징량과, 설정정보 결정부(46)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설정정보를 대응시켜서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도 3, 도 4의 조작 이력 격납부(4)에 대응하는 것)에 축적시킨다.
동기 검출부(42)는,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에 축적되어 있는 특징량(후술하는 검색 위치 특징량)중, 특징량 추출부(41)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화상 재생부(12)에 의해 재생되고 있는 화상의 특징량(후술하는 재생 위치 특징량)를 검색하고, 동일한 특징량이 검출된 때, 화상의 동기 위치로서 검출 결과를 특징량 설정정보 판독부(63)에 공급한다. 그리고, 동기 검출부(42)의 구성에 관해서는, 도 9를 참조하여 상세를 후술한다.
특징량 설정정보 판독부(63)는, 동기 검출부(42)로부터 동기 위치로서 검출된 특징량(검색 위치 특징량)를 취득하면, 그 특징량에 대응시켜져서,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에 기억되어 있는 설정정보를 판독하고, 선택부(47)에 공급한다. 선택부(47)는, 설정정보 결정부(46)로부터 설정정보가 공급되어 온 경우, 가령, 동일한 타이밍에서 특징량 설정정보 판독부(63)로부터 설정정보가 공급되는 것이 있어도, 설정정보 결정부(46)로부터의 설정정보를 반영부(49)에 공급한다. 또한, 선 택부(47)는, 설정정보 결정부(46)로부터 설정정보의 공급이 없고, 특징량 설정정보 판독부(63)로부터 설정정보가 공급된 경우, 특징량 설정정보 판독부(63)로부터 공급된 설정정보를 반영부(49)에 공급한다. 또한, 어느것으로부터도 설정정보가 공급되어 오지 않은 경우, 선택부(47)는, 설정정보를 반영부(49)에 공급하지 않는다.
지연부(48)는, 특징량 추출부(41), 동기 검출부(42), 축적 블록(43) 및, 선택부(47)의 처리에서의 지연 시간만큼, 화상 재생부(12)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화상을 일시적으로 기억하고, 반영부(49)에 출력한다. 반영부(49)는, 선택부(47)로부터 설정정보가 공급되어 오는 경우, 지연부(48)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화상에 대한 처리를 반영하여, 표시부(15)에 표시한다. 또한, 반영부(49)는, 선택부(47)로부터 설정정보가 공급되어 오지 않은 경우, 지연부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화상을, 그대로 표시부(15)에 표시시킨다.
도 6은, 화상 처리 장치(13)의 다른 실시의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는, 조작정보를 설정정보 대신으로, 특징량에 대응시켜서 기록하도록 한 경우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6에서, 도 5와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고 그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즉, 특징량 추출부(41), 동기 검출부(42), 수광부(44), 조작정보 인식부(45), 지연부(48) 및 반영부(49)에 관해서는, 도 5의 화상 처리 장치(13)와 마찬가지이다. 도 6의 화상 처리 장치(13)에서, 도 5의 화상 처리 장치(13)와 다른 것은, 축적 블록(43), 설정정보 결정부(46) 및 선택부(47)에 대신하여 축적 블 록(151), 설정정보 결정부(153) 및 선택부(152)가 마련되어 있는 점이다.
축적 블록(151)은, 조작정보 인식부(45)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조작정보를 특징량에 대응시켜서 축적함과 함께, 축적된 조작정보를 재생중의 화상의 특징량에 대응시켜서 판독하고, 선택부(152)에 공급한다.
축적 블록(151)의 특징량 조작정보 기록부(161)는, 특징량 추출부(41)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특징량과, 조작정보 인식부(45)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조작정보를 대응시켜서 특징량 조작정보 축적부(162)에 축적시킨다.
특징량 조작정보 판독부(163)는, 동기 검출부(42)로부터 동기 위치로서 검출된 특징량, 즉, 검색 위치 특징량을 취득하면, 그 특징량에 대응시켜져서 기억되어 있는 조작정보를 판독하고 선택부(152)에 공급한다. 선택부(152)는, 조작정보 인식부(45)로부터 조작정보가 공급되어 온 경우, 가령, 특징량 조작정보 판독부(163)로부터 조작정보가 공급되어 와도, 조작정보 인식부(45)로부터 공급되어 온 조작정보를 설정정보 결정부(153)에 공급한다. 또한, 선택부(152)는, 조작정보 인식부(45)로부터 조작정보의 공급이 없고, 특징량 조작정보 판독부(163)로부터 조작정보가 공급된 경우, 특징량 조작정보 판독부(163)로부터 공급된 조작정보를 설정정보 결정부(153)에 공급한다. 또한, 어느 것으로부터도 조작정보가 공급되어 오지 않은 경우, 선택부(152)는, 조작정보를 설정정보 결정부(153)에 공급하지 않는다.
설정정보 결정부(153)는, 선택부(152)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조작정보에 의거하여, 반영부(49)에 대한 화상에의 처리 내용을 지시하기 위한 설정정보를 결정하고, 반영부(49)에 공급한다.
도 5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와 도 6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에서, 특징량 추출부(41)와 동기 검출부(42)는, 각각 동일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특징량 추출부(41)와 동기 검출부(42)에 관해 설명을 가한다.
우선 도 7을 참조하여, 특징량 추출부(41)의 상세한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DFF(D형 플립플롭)(81)는, 직전의 입력 신호를 기억하여, 도시하지 않은 클록 신호 발생기로부터의 클록 신호(clk)가 입력되는 타이밍에서 가산기(82)에 출력한다. 또한, DFF(81)는, 입력 신호가 화상의 신호중 화상 데이터 영역 외의 것인 때, 리셋 신호가 입력되고 입력 신호가 소거되어 출력된다. 즉, 화상 신호는, 도 8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동기 데이터 영역과 화상 데이터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면 중의 수평 방향의 샘플과 수직 방향의 라인의 둥근 표시의 원점(原點)인 프레임 시작점(S)부터 순차로 입력되어 오는 위치의 정보에 응하여, 화상 데이터 영역 외의 동기 데이터인 경우, 리셋 신호가 입력되고, 동기 데이터를 구성하는 신호가, 가산기(82)에 출력되지 않는다. 즉, DFF(81)는, 화상을 구성하는 입력 신호중, 화상 데이터 영역의 데이터만을 클록 신호에 동기하여 가산기(82)에 공급한다.
가산기(82)는, DFF(81)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신호와, DFF(83)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신호를 가산하여 DFF(83)에 출력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산기(82)는, DFF(81)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신호와, DFF(83)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신호와의 가산 결과중, 하위 8비트를 추출하여 DFF(83)에 공급한다.
DFF(83)는, 가산기(82)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신호를 도시하지 않은 클록 발 생기로부터 발생되는 클록 신호(clk)가 입력되는 타이밍에서 가산기(82) 및 출력부(84)에 공급한다. 또한, DFF(83)는, 프레임 시작점(도면중의 수평 방향의 샘플과 수직 방향의 라인의 둥근표시의 원점)(S)의 신호가 입력될 때, 리셋 신호가 입력되고 입력 신호가 소거되어 출력된다. 즉, DFF(83)는, 화상을 구성하는 입력 신호중, 화상 데이터 영역의 데이터만이 가산기(82)에 의해 누적적으로 가산된 값을 출력부(84)에 공급한다.
출력부(84)는, 1프레임(또는, 1필드)의 값이 DFF(83)로부터 공급되어 온 때, 그 값을 프레임(또는, 그 필드)분의 화상의 특징량으로서 출력한다. 즉, 출력부(84)는, 화상 데이터 영역의 데이터만이 가산기(82)에 의해 누적적으로 가산된 값의 하위 8비트를 그 프레임(또는, 그 필드)의 특징량으로서 출력한다. 또한, 특징량은, 화상을 1프레임 단위로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이면 좋기 때문에, 화상 데이터 영역의 데이터(화소치만)만이 누적적으로 가산된 값의 하위 8비트로 한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화상 데이터 영역의 중앙 부근의 소정 영역 내의 화소치만의 가산 결과를 그대로 사용하여도 좋다.
다음에, 도 9를 참조하여, 동기 검출부(42)의 상세한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특징량 버퍼(101-1 내지 101-3)는, 공급되어 온 특징량을 일시적으로 기억함과 함께, 그때까지 기억하고 있던 특징량을 재생 위치 특징량 생성부(102) 및 후단의 특징량 버퍼(101-2, 101-3)에 순차로 출력한다. 또한, 특징량 버퍼(101-3)는, 후단의 특징량 버퍼(101)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재생 위치 특징량 생성부(102)에만 출력한다. 재생 위치 특징량 생성부(102)는, 특징량 버퍼(101-1 내지 101-3) 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최신의 특징량을 포함하는 과거 3프레임분의 특징량을 순차로 취득하고, 이것을 종합하여 재생 위치 정보(재생 위치 특징량)로서 생성하고, 비교부(103)에 출력한다. 즉, 재생 위치 특징량 생성부(102)는, 재생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특징량으로서 최신의 프레임부터 3프레임 전까지의 합계 4개의 특징량을 사용하여, 재생 위치 특징량을 생성한다.
검색 위치 특징량 판독부(104)는,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에 축적되어 있는 특징량을 연속하는 4개씩을 순차로 판독하고, 검색 위치 특징량으로서 비교부(103) 및 검출부(105)에 공급한다. 비교부(103)는, 재생 위치 특징량 생성부(102)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재생 위치 특징량과, 검색 위치 특징량 판독부(104)로부터 순차로 공급되어 오는 검색 위치 특징량을 비교한다. 비교부(103)는, 재생 위치 특징량이라고 일치하는 검색 위치 특징량을 검색한 경우, 동기가 검출되었다고 간주하고, 검출 결과로서 동기가 검출된 것을 검출부(105)에 통지한다. 검출부(105)는, 비교부(103)로부터 동기가 검출되었다고 간주된 타이밍에서, 검색 위치 특징량 판독부(104)로부터 공급되어 온 검색 위치 특징량을 동기 검출 결과로서 출력한다.
다음에, 도 5, 도 6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의 동작에 관해, 도 10 내지 도 14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와 도 6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는, 기본적으로 같은 동작이기 때문에, 도 10 내지 도 14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한 설명에서는, 도 5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의 동작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화상 처리 장치(13)는, 입력된 화상을 처리하는데, 그 처리 대상이 되는 화상은, 예를 들면, 기록 미디어(11)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이다. 예를 들면, 화상 재생부(12)(도 5)가 기록 미디어(11)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을 판독하고, 지연부(48)는, 공급되어 온 화상을 1프레임분 일시적으로 지연시키기 위해 기억한다. 또한, 이후에서는, 화상을 1프레임 단위로 처리한 것으로 하여 설명을 진행하지만, 당연한 일이지만, 화상은, 1프레임 단위로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1필드 단위로 처리하도록 하여도 좋다.
스텝 S11에서, 특징량 추출부(41)는, 특징량 추출 처리를 실행하고, 화상 재생부(12)로부터 공급되어 온 1프레임분의 화상의 특징량을 추출한다. 즉, 지연부(48)가, 새로운 화상을 1프레임분 지연시키기 위해 일시적으로 기억할 때, 마찬가지로, 1프레임분의 화상이 특징량 추출부(41)에도 공급되어 있기 때문에, 동일한 타이밍에서, 동일한 화상이, 한편으로는 지연을 위해 일시적으로 기억되고, 또한편으로는 특징량이 추출된다.
도 11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스텝 S11에서 특징량 추출부(41)에 의해 실행되는 특징량 추출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스텝 S31에서, DFF(83)는, 프레임 시작점(S)(도 8)에 의해 리셋된다.
스텝 S32에서, 미처리의 화소가 선택되고, 스텝 S33에서, 화상 데이터 영역 외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예를 들면, 래스터 스캔 순서로 1프레임분의 화상으로부터 미처리의 화소가 순차로 판독되고, 화상 데이터 영역 외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도 8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최초의 화소(프레임 시작점(S)의 화소)인 경우, 동기 데이터에 포함되기 때문에 화상 데이터 영역 외여서, 스텝 S35에서, DFF(81)는 리셋되고, 0을 화소치로서 출력한다. 한편, 래스터 스캔 순서로 처리 대상이 되는 화소가 선택되고, 예를 들면, 화상 데이터 영역 내인 경우, 스텝 S34에서, DFF(81)는, 클록 신호의 발생 타이밍에서 화소치를 가산기(82)에 공급한다.
스텝 S36에서, 가산기(82)는, 입력된 화소치와, DFF(83)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신호를 가산하여 DFF(83)에 공급한다. 스텝 S37에서, DFF(83)는, 클록 신호의 발생 타이밍에서 가산기(82)로부터 공급되어 온 가산 결과의 하위 8비트를 가산기(82)로 되돌린다. 이 때, DFF(83)는, 가산 결과를 출력부(84)에도 공급하지만, 출력부(84)는, 가산 결과를 출력하지 않는다.
스텝 S38에서, 미처리의 화소가 있는가 여부가 판정되고, 미처리의 화소가 있는 경우, 그 처리는, 스텝 S32로 되돌아온다. 즉, 1프레임분의 화소가 전부 처리될 때까지, 스텝 S32 내지 S38의 처리가 반복된다. 그리고, 1프레임분의 화소의 전부가 처리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39에서, 출력부(84)는, DFF(83)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가산 결과, 즉, 화상 데이터 영역에 속하는 화소치의 누적 가산 결과의 하위 8비트를 1프레임의 화상의 특징량으로서 출력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1프레임분의 화상 신호로부터 화상 데이터 영역의 모든 화소치의 누적 가산 결과의 하위 8비트가, 그 프레임의 특징량으로서 추출되게 된다.
여기서, 도 10의 플로우 차트의 설명으로 되돌아온다.
스텝 S11에서 특징량 추출부(41)에 의해 특징량 추출 처리가 실행되면, 스텝 S12에서, 기록중 플래그가 서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기록중 플래그란, 조작정보나 설정정보(설정치)를 기록하기 위한 처리가 실행되고 있을 때에 세워지는 플래그이다.
기록중 플래그가 서 있는지의 여부의 판단은, 특징량 설정정보 기록부(61)가 판단한다. 스텝 S12에서, 기록중 플래그가 서 있다고 판단된 경우, 스텝 S16으로 처리가 진행되고, 기록중 플래그는 서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스텝 S13으로 처리가 진행된다.
스텝 S13에서, 동기에 관한 처리가 실행된다. 여기서, 도 12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동기에 관한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동기에 관한 처리로서는, 동기의 검출에 관한 처리(동기 검출 처리)와, 동기 검출 처리 결과에 의존하는 설정치의 설정에 관한 처리로 나누어진다. 스텝 S51이 동기 검출 처리이고, 스텝 S52 내지 S56이 설정치의 설정에 관한 처리이다.
스텝 S51에서 동기 검출부(42)(도 9)에서 실행되는 동기 검출 처리에 관해, 도 13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동기 검출부(42)는, 스텝 S51에서의 동기 검출 처리를 실행함에 의해, 재생중의 화상의 특징량과, 화상에 처리를 가하기 위한 설정정보가 대응시켜져 있는 특징량과의 동기를 검출한다.
스텝 S71에서, 동기 검출부(42)의 재생 위치 특징량 생성부(102)는, 특징량 추출부(41)로부터 특징량이 공급되어 왔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공급되어 올 때까지 그 처리를 반복한다. 예를 들면, 스텝 S3의 특징량 추출 처리에 의해 특징량이 추출되고, 특징량 추출부(41)로부터 지금 현재 재생중의 화상의 특징량이 공급되어 온 경우, 그 처리는, 스텝 S72로 진행한다.
스텝 S72에서, 검색 위치 특징량 판독부(104)는, 검색 위치의 특징량을 카운트하기 위한 카운터(i)를 0으로 초기화한다.
스텝 S73에서, 재생 위치 특징량 생성부(102)는, 공급되어 온 특징량을 취득함과 함께, 특징량 버퍼(101-1 내지 101-3)에 그때까지 기억하고 있던 특징량을 취득한다. 즉, 특징량 버퍼(101-1)는, 새롭게 특징량이 공급되어 오면, 그때까지 기억하고 있던 특징량을, 재생 위치 특징량 생성부(102) 및 특징량 버퍼(101-2)에 공급한다.
마찬가지로, 특징량 버퍼(101-2)는, 공급되어 온 특징량을 기억함과 함께, 그때까지 기억하고 있던 특징량을, 재생 위치 특징량 생성부(102) 및 특징량 버퍼(101-3)에 공급한다. 또한, 특징량 버퍼(101-3)는, 특징량 버퍼(101-2)로부터 공급되어 온 특징량을 기억함과 함께, 그때까지 기억하고 있던 특징량을, 재생 위치 특징량 생성부(102)에 공급한다. 결과로서, 재생 위치 특징량 생성부(102)에는, 최신의 프레임의 특징량과, 특징량 버퍼(101-1 내지 101-3)에 각각 기억되어 있던 과거 3프레임분의 특징량이 공급되어 오게 된다. 그래서, 재생 위치 특징량 생성부(102)는, 재생중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4프레임분의 특징량을 재생 위치 특징량으로서 비교부(103)에 공급한다.
스텝 S74에서, 검색 위치 특징량 판독부(104)는,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에 축적되어 있는 특징량의 선두 위치부터 i번째부터 연속하는 4프레임의 특 징량을 검색 위치 특징량으로서 판독 비교부(103) 및 검출부(105)에 공급한다.
스텝 S75에서, 비교부(103)는, 재생 위치 특징량 생성부(102)로부터 공급되어 온 재생중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과거 3프레임분의 합계 4개의 특징량으로 이루어지는 재생 위치 특징량과, 검색 위치 특징량 판독부(104)로부터 공급되어 온,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에 축적되어 있는 특징량의 선두 위치부터 i번째부터 연속하는 4프레임의 특징량으로 이루어지는 검색 위치 특징량을 비교한다.
스텝 S76에서, 비교부(103)는, 비교 결과에 의거하여 일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76에서, 예를 들면,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78에서, 검색 위치 특징량 판독부(104)는,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에 축적되어 있는 모든 특징량에 관해, 재생 위치 특징량과 비교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스텝 S78에서, 모든 특징량과 비교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79에서, 검색 위치 특징량 판독부(104)는, 카운터(i)를 1 잉크리먼트하고, 그 처리는, 스텝 S74로 되돌아온다. 즉, 이 처리에 의해, 재생 위치 특징량과, 검색 위치 특징량이 일치하지 않고, 또한, 축적되어 있는 모든 특징량과 비교될 때까지, 스텝 S74 내지 S76, S78, S79의 처리가 반복되고, 순차로 1프레임 간격으로 어긋나면서, 연속하는 4프레임분의 특징량으로 이루어지는 검색 위치 특징량과, 재생 위치 특징량의 비교가 반복된다.
즉, 검색 위치 특징량이란, 예를 들면, 도 15의 우측상부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특징량 추출부(41)로부터 순차로 축적되어 있는 특징량중, 지금의 경우, 연속하는 4개의 특징량의 덩어리이다. 또한, 도 15에서는, 도면중의 세로가 길다란 직사각형 형상의 매스는, 1프레임분의 특징량을 나타내고 있고, 사선부의 G1, G2는 동일한 연속한 특징량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재생 위치 특징량이란, 도 15의 우하부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특징량 추출부(41)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재생중의 특징량을 포함하는 연속하는 4프레임분의 특징량의 덩어리이다.
예를 들면, 도 15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재생 위치 특징량(G2)으로 나타내여지는 경우, 검색 위치 특징량(G0)과 비교하는 경우, 동일하지가 않기 때문에, 동기 위치로서는 검출되지 않는다. 또한, 축적되어 있는 모든 특징량과의 비교가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카운터(i)가 1 잉크리먼트되고, 검색 위치 특징량(G0')과 재생 위치 특징량(G2)이 비교된다. 이와 같이, 검색 위치 특징량이 도면중의 오른쪽 방향으로 1프레임 간격으로 어긋나면서, 재생 위치 특징량(G2)과의 비교가 반복된다.
스텝 S76에서, 예를 들면, 재생 위치 특징량(G2)과 검색 위치 특징량(G1)이 비교되는 경우, 검색 위치 특징량(G1)이 재생 위치 특징량(G2)과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일치하였다고 판정되고, 스텝 S77에서, 비교부(103)는, 일치한 것을 검출부(105)에 통지한다. 검출부(105)는, 이 통지에 의거하여, 지금 현재 검색 위치 특징량 판독부(104)로부터 공급되고 있는 검색 위치 특징량의 선두 위치, 즉, 선두 위치부터 i번째의 특징량을 동기 위치 정보로서 특징량 설정정보 판독부(63)에 공급한다.
한편, 스텝 S78에서, 축적되어 있는 모든 검색 위치 특징량과의 비교가 종료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80에서, 검출부(105)는, 재생 위치 특징량과 일치하 는 검색 위치 특징량이 존재하지 않고, 동기하지 않는 것을 출력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에 축적되어 있는 특징량과, 재생중의 화상의 특징량을 동기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동기 검출부(42)는, 재생중의 프레임의 특징량만을,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에 축적되어 있는 특징량과 비교함으로써, 우연히 특징량이 일치하여 버려서, 틀린 위치에서 동기가 검출될 가능성을 저감시키기 위해, 현재 재생되고 있는 프레임의 특징량뿐만 아니라, 재생되고 있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과거 3프레임분의 4프레임으로 비교함에 의해 정확하게 동기 검출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특징량을 사용함에 의해, 각 프레임 단위로의 타임 코드 대신에 특징량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타임 코드를 사용한 일 없이, 프레임 단위로의 동기 검출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2의 동기에 관한 처리의 플로우 차트의 설명으로 되돌아와, 스텝 S51에서, 동기 검출 처리가 실행되면, 스텝 S52에서, 특징량 설정정보 판독부(63)는, 재생중의 프레임의 재생 위치 특징량과, 일치하는 특징량이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에 축적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도 13의 플로우 차트의 스텝 S77의 처리에 의해 동기 위치 정보가 공급되어 온 경우, 재생중의 프레임의 재생 위치 특징량과, 일치하는 특징량이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에 축적되어 있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그 처리는, 스텝 S53으로 진행한다.
스텝 S53에서, 특징량 설정정보 판독부(63)는, 동기한 특징량에 대응시켜진 설정정보가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에 축적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즉, 특징량은, 설정정보가 없는 상태에서도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에 축적하 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 처리에 의해, 특징량에 대응시켜진 설정정보의 유무가 판정된다.
스텝 S53에서, 예를 들면, 특징량에 대응시켜진 설정정보가 축적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54에서, 표준치가 설정치로 설정된다. 표준치란, 어떤 조작도 되어 있지 않은 때에 설정되는 값이고, 기준이 되는 값이다.
스텝 S54에서, 표준치가 설정치로서 설정되면, 스텝 S55에서, 설정된 설정치를, 화상에 반영시키기 위한 처리가 실행된다. 이와 같이, 표준치가 설정치(설정정보)로 설정될 때에는, 특징량 설정정보 판독부(63)는, 선택부(47)에 대해 설정정보를 공급하지 않는 상황이다. 이 처리에 의해, 선택부(47)는, 설정정보 결정부(46) 및 특징량 설정정보 판독부(63)의 어느것으로부터도 설정정보의 공급이 없는 상태로 되기 때문에, 반영부(49)에 대해 처리를 지정하는 설정정보가 공급되지 않게 된다. 결과로서, 반영부(49)는, 지연부(48)에 일시적으로 기억된 1프레임분의 화상을, 그대로의 상태로 표시부(15)에 표시시킨다.
한편, 스텝 S53에서, 예를 들면, 특징량에 대응시켜진 설정정보가 축적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56에서, 축적되어 있다고 판단되어 있는 설정정보, 즉 설정치가 판독된다.
이와 같이, 설정치가 판독된 때도, 그 설정치를 화상에 반영시키기 위한 처리가 스텝 S55에서 행하여진다. 즉, 이와 같은 경우, 특징량 설정정보 판독부(63)는,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로부터, 동기 위치 정보의 특징량에 대응시켜서 축적되어 있는 설정정보를 판독하고 선택부(47)에 공급한다. 그리고, 지금의 경우, 선택부(47)에는, 설정정보 결정부(46)로부터는 설정정보가 없고, 특징량 설정정보 판독부(63)로부터 설정정보가 공급되기 때문에, 특징량 설정정보 판독부(63)로부터의 설정정보가 반영부(49)에 공급되고, 그 설정정보에 의거하여 지연부(48)에 축적되어 있던 1프레임분의 화상에 처리가 반영되어, 표시부(15)에 표시된다.
이와 같이, 동기가 행하여진 때에는, 설정치가 반영된 화상을, 사용자측에 제공하기 위한 처리가 실행된다.
여기서, 도 10의 플로우 차트로 설명을 되돌린다.
스텝 S13에서, 상기한 바와 같은 동기에 관한 처리가 실행되면, 스텝 S14에서, 조작정보 인식부(45)는, 리모트 컨트롤러(14)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화상의 처리가 지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표시부(15)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을 보면서, 사용자가, 2배의 줌 처리를 지시한 경우, 리모트 컨트롤러(14)의 발광 패턴이 수광부(44)에 의해 수광되고, 수광부(44)로부터 수광한 발광 패턴에 의거한 신호가, 조작정보 인식부(45)에 공급됨에 의해, 조작정보 인식부(45)는, 조작이 이루어졌다고 판정하고, 그 처리는, 스텝 S15로 진행한다.
스텝 S15에서, 기록중 플래그가 세워진다. 스텝 S15에 처리가 올 때에는, 스텝 S12에서, 기록중 플래그는 서 있지 않다고 판단되어 있고, 또한, 스텝 S14에서, 사용자에 의한 조작이 되었다고 판단된 때이기 때문에, 조작정보나 설정정보의 기록을 시작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스텝 S15에서, 기록중 플래그가 세워진다.
스텝 S15에서, 기록중 플래그가 세워지면, 스텝 S16으로 처리가 진행되고, 조작시의 처리가 실행된다. 스텝 S16에는, 스텝 S12에서, 기록중 플래그가 서 있다 고 판단된 때에도 온다. 즉, 스텝 S16의 처리는, 기록중 플래그가 서 있을 때에 행하여지는 처리이다. 따라서, 스텝 S12에서, 기록중 플래그는 서 있지 않다고 판단되고, 스텝 S14에서, 사용자에 의해 조작은 되어 있지 않는다고 판단된 때에는, 조작정보나 설정정보를 기록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스텝 S16의 처리는 실행되지 않는다.
스텝 S16에서 실행되는 조작시의 처리에 관해, 도 14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텝 S91에서, 조작정보 인식부(45)는, 수광부(44)로부터 공급된 신호에 의거하여, 조작정보를 인식하고, 인식 결과를 설정정보 결정부(46)에 공급한다.
스텝 S92에서, 기록이 종료되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스텝 S91에서 취득된 조작정보가, 기록의 종료를 나타내는 것인 경우가 있다. 환언하면, 사용자에 의한 조작이 종료되고, 사용자가 종료 버튼을 조작함에 의해 생성된 신호가, 수광부(44)에 의해 수신되면, 조작정보로서, 기록의 종료(조작의 종료)가 지시되었다고 인식된다.
스텝 S92에서, 기록은 종료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스텝 S93으로 처리가 진행된다. 즉, 계속해서 기록이 행하여지고 있다(계속해서 조작이 행하여지고 있다)고 판단된 경우, 스텝 S93에서, 설정 내용을 설정치에 반영하기 위한 처리가 실행된다.
설정정보 결정부(46)는, 스텝 S93에서, 조작정보에 의거하여, 반영부(49)에 대해 화상에 처리를 시행하기 위한 설정정보를 결정하고, 특징량 설정정보 기록 부(61) 및 선택부(47)에 공급한다. 즉, 예를 들면 2배의 줌 처리를 화상에 시행하는 것이 지시된 경우, 반영부(49)에 대해 2배의 줌 처리를 시행하는 지시를 내리기 위한 설정정보가 결정되고, 특징량 설정정보 기록부(61) 및 선택부(47)에 공급된다.
스텝 S94에서, 특징량 설정정보 기록부(61)는, 특징량 추출부(41)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특징량을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에 기록시킴과 함께, 그 특징량에 대응시켜서, 설정정보 결정부(46)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설정정보를,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에 기록시킴으로써, 특징량과 설정정보를 축적시킨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6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특징량(C1)을 소정의 어드레스(A)에 기록시킨 경우, 그 m배의 어드레스, 즉, 어드레스(m×A)에, 특징량(C1)에 대응시켜진 설정정보(E1)를 기억시킨다. 또한, 도 16에서는,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의 내부에서의 특징량과 설정정보가 기억되는 어드레스의 배치가 도시되어 있다.
이후, 특징량 설정정보 기록부(61)는, 마찬가지로 하여, 특징량(C2)을 어드레스(B)에 기억시킬 때, 대응하는 설정정보(E2)를 m×B에 기억시키고, 또한, 특징량(C3)을 어드레스(C)에 기억시킬 때, 대응하는 설정정보(E3)를 m×C에 기억시킨다. 이와 같이 특징량에 대응시켜서 설정정보를 기억시킴에 의해, 특징량이 정해지면, 특징량의 어드레스로부터 설정정보의 어드레스가 특정할 수 있기 때문에, 설정정보 축적부(62) 내에서의 특징량마다의 설정정보의 검색을 스무스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특징량 및 설정정보는, 동일한 처리가 연속하여 지정되어 있는 기간에 관해 연속하여 기록된다. 즉, 예를 들면, 도 16에서의 특징량(C1 내지 C3) 은, 모두 1프레임분의 특징량으로 한하는 것이 아니고, 연속하여 처리가 지정되어 있는 기간의 프레임 수의 특징량이 연속적으로 기록되어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하여, 설정정보에 관해서도, 예를 들면, 도 16에서의 설정정보(E1 내지 E3)는, 특징량(C1 내지 C3)에 대응시켜진 어드레스로부터, 모두 1프레임분의 특징량으로 한하는 것이 아니고, 연속하여 처리가 지정되어 있는 기간의 프레임 수의 설정정보가 연속적으로 기록되어 있다.
스텝 S95에서, 선택부(47)는, 설정정보 결정부(46)로부터 설정정보가 공급되고 오고 있기 때문에, 설정정보 결정부(46)로부터 공급되어 온 설정정보를 반영부(49)에 공급한다. 반영부(49)는, 지연부(48)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에 대해, 선택부(47)로부터 공급되어 온 설정정보에 의거하여, 처리를 가하여, 사용자로부터의 지시 내용에 응한 처리를 반영시켜서 표시부(15)에 표시시킨다.
한편, 스텝 S92에서, 기록이 종료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스텝 S96으로 처리가 진행된다. 스텝 S96에서, 표준치가 설정치로 설정된다. 그리고, 스텝 S97에서, 설정된 설정치를 반영하기 위한 처리가 실행된다. 즉 이 경우, 설정치가 표준치이기 때문에, 특징량 설정정보 판독부(63)는, 선택부(47)에 대해 설정정보를 공급하지 않는 상황이다. 이 처리에 의해, 선택부(47)는, 설정정보 결정부(46) 및 특징량 설정정보 판독부(63)의 어느것으로부터도 설정정보의 공급이 없는 상태로 되기 때문에, 반영부(49)에 대해 처리를 지정하는 설정정보가 공급되지 않게 된다. 결과로서, 반영부(49)는, 지연부(48)에 일시적으로 기억된 1프레임분의 화상을, 그대로의 상태로 표시부(15)에 표시시킨다.
스텝 S98에서, 기록중 플래그가 내려진다. 기록중 플래그가 내려짐에 의해, 설정의 기록이 종료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리모트 컨트롤러(14)가 조작되어, 화상에 대해 처리를 시행하는 지시가 계속 나오는 한, 스텝 S91 내지 S95의 처리가 반복되어, 특징량과 함께, 특징량에 대응시켜져서, 처리 내용에 수반한 설정정보가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에 축적되어 간다. 이 스텝 S91 내지 S95가 반복되는 동작 상태가, 도 1,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기록 모드에 대응하는 동작이다.
도 10의 플로우 차트의 설명으로 되돌아온다. 스텝 S16에서, 조작시의 처리가 종료되면, 화상 처리는 종료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 10에 도시한 플로우 차트의 처리는, 입력되는 프레임마다 행하여진다. 따라서, 새로운 프레임이 입력되면, 그 프레임에 대해, 도 10에 도시한 플로우 차트의 처리가 실행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리모트 컨트롤러(14)가 조작되어, 화상에 대해 처리를 시행하는 지시가 계속 나오는 한, 특징량과 함께, 특징량에 대응시켜서, 처리 내용에 수반한 설정정보가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에 축적된다.
[원활종료 기능]
도 5 또는 도 6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에서, 상기한 바와 같은 처리가 행하여짐에 의해, 기록 미디어(11)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영상)에 대해 편집을 복수회 가하여, 기록할 수가 있고, 또한, 기록 미디어(11)에 기록되어 있는 편집이 복수회 가하여져 있는 화상(영상)를 재생할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면, 도 1이나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기록의 종 료시점에서, 편집의 내용에 의해 설정치가 급격하게 변화하는 같은 경우가 있는데, 그와 같은 경우에는, 예를 들면, 갑자기 줌 비율이 변화하는 등의 재생이 행하여지게 되고, 사용자에게 보기 어려운 영상이 제공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설정치가 급격하게 변화하는 일이 없는 기록을 행하는 화상 처리 장치(13)에 관해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정치가 급격하게 변화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제어를 행하는 기능을, 원활종료 기능이라고 기술한다.
여기서, 원활종료 기능에 관해, 도 17A 내지 도 17C를 참조하여 설명을 가한다. 도 17A는 1회째의 조작과 그 조작으로 기록되는 설정치와의 관계를 도시하고, 도 17B는 2회째의 조작과 그 조작으로 기록되는 설정치와의 관계를 도시하고, 도 17C는 2회째의 조작의 결과, 기록되는 설정치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17A와 도 17B에 도시한 테두리 내의 도면에서, 각 테두리 내의 1단째는, 설정치를 나타내고, 2단째는, 조작 결과를 나타낸다. 또한, 도 17A 내지 도 17C의 기재는, 도 2A 내지 도 2C의 기재와 맞추고 있고, 종래의 기록의 방법과, 원활종료 기능에 의한 기록의 방법의 차이를 알 수 있도록 기재하고 있다.
1회째의 조작은, 리모트 컨트롤러(14)로부터, 도 17A의 2단째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조작 신호가 나온 경우, 도 17A의 1단째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설정치의 기록이 행하여진다. 설정치는, 리모트 컨트롤러(14)에서의 조작량을 적분한 값으로 된다. 또한, 도 17A나 도 17B에서, 플러스 조작이란, 예를 들면, 화상의 확대를 지시하는 조작이고, 마이너스 조작이란 화상의 축소를 지시하는 조작이다.
예를 들면, 조작 시작 시점(T1)부터 시점(T11)까지는 플러스의 조작이 행하 여졌기 때문에(2단째 참조), 그 값이 적분된 값이 설정치로서 기록되기 때문에, 기록되는 설정치는, 서서히 값이 커지는 그래프로 된다(1단째 참조). 그 후, 시점(T11)부터 시점(T12)까지는, 마이너스 조작이 행하여졌기 때문에, 그 설정치는, 서서히 작아지는 그래프로 된다. 시점(T12)의 후도 플러스 조작과 마이너스 조작이 행하여지고, 그 조작에 응한 설정치가 기록된다.
그리고, 시점(T14)에서, 컨트롤러의 조작 종료 버튼(기록 종료의 기능을 갖는 버튼)이 조작되면, 설정치의 기록도 종료되지만, 설정치가 표준치로 곧바로 되돌아오는 것은 아니라, 시점(T2)까지, 서서히 설정치가 작아지도록 원활종료 기능에 의해 제어되고, 기록된다. 이와 같이 조작이 행하여져서, 서서히 표준치로 설정치가 되돌아 가도록 제어된 결과, 도 17A의 1단째에 도시한 바와 같은 설정치가 기록된다.
그리고, 표준치란, 설정치의 기준이 되는 값이고, 표준치를 포함하는 설정정보를, 적절히, 표준이 되는 설정정보로 기재한다.
다음에, 도 17B의 2단째에 도시한 바와 같이, 1회째의 조작이 행하여진 컨텐츠에 대해, 시점(T3)부터 시점(T21)까지 플러스 조작이 행하여지고, 시점(T21)부터 시점(T4)까지, 마이너스 조작이 행하여진 경우, 시점(T3)부터 시점(T4)까지의 사이에 기록되는 설정치는, 도 17B의 1단째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된다.
2회째의 조작인 경우, 1회째의 조작의 시점(T3)인 때에 기록되어 있던 설정치로부터, 조작량에 응한 설정치가 순차로 적분된 값이 가산된다. 또한, 시점(T4)에서, 조작이 종료되면, 1회째의 조작의 시점(T4)인 때에 기록되어 있던 설정치(설 정치(A)라고 하다)까지, 설정치가 되돌아오지만, 설치치(A)로 되돌아올 때, 원활종료 기능에 의해, 시점(T4)부터 시점(T22) 사이에서 서서히 설정치(A)로 되돌아온다.
이와 같은 수정이 행하여지면, 도 17B의 1단째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은 설정치가 기억되게 된다(실선으로 도시한 설정치로 기록이 수정되게 된다). 즉, 2회째의 조작이 행하여진 결과, 설정치로서 기록되는 파형은, 도 17C에 도시한 바와 같은 파형으로 된다.
도 2C와 도 17C를 참조하면, 도 2C에서, 시점(T4)이나 시점(T2)에서, 급격하게 설정치가 변화하고 있는 것에 대하여, 도 17C에서는, 시점(T4)부터 시점(T22), 시점(T14)부터 시점(T2)까지 서서히 설정치가 변화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원활종료 기능에 의하면, 수정이 종료된 후, 서서히 설정치가 변경되고, 설정치가 급격하게 변화한 일이 없도록 제어된다.
도 18은 도 5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에, 원활종료 기능을 추가한 구성예를 도시하고, 도 19는 도 6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에 원활종료 기능을 추가한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8에서, 도 5와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고 그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도 18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는, 원활 기능에 관한 처리를 실행하는 원활종료 제어부(201)를, 도 5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에 추가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원활종료 제어부(201)는, 설정정보 결정부(46)와 설정정보의 수수를 행한다. 또한, 원활종료 제어부(201)로부터의 정보는, 특징량 설정정보 기록부(61)와 선택부(47)에 각각 공급된다.
입력 조작을 설정정보 결정부(46)에서 설정정보로 변환한 결과는, 원활종료 제어부(201)에 입력된다. 입력 조작이 종료를 지시하는 이외인 때에는, 원활종료 제어부(201)는, 설정정보 결정부(46)로부터의 입력을 그대로 출력하지만, 입력 조작이 종료를 지시할 때에는,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에 축적되어 있는 일련의 입력 조작의 최후의 값과,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로부터의 출력을 보간한 설정정보를 생성한다. 그 생성된 설정정보는, 선택부(47)를 통하여 반영부(49)에 공급되고, 반영부(49)에 의해 영상 출력에 반영됨과 함께, 특징량 설정정보 기록부(61)에 입력되어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에 기록된다.
또한, 원활종료 제어부(201)는,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로부터 출력되는 설정정보가 전환될 때, 예를 들면, 도 17A 내지 C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2회째의 조작이 종료되고, 1회째의 조작에 의해 설정치로 설정정보가 되돌아올 때에도, 그 기록되어 있는 설정정보끼리를 원활하게 연결하는 처리를 행한다.
도 19에서, 도 6과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고 그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도 19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는, 원활 기능에 관한 처리를 실행하는 원활종료 제어부(211)를, 도 6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에 추가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원활종료 제어부(211)는, 설정정보 결정부(153)와 설정정보를 수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원활종료 제어부(211)는, 설정정보 결정부(153)에 의한 설정정보가 불연속으 로 될 때에, 설정정보를 보간하고, 설정치가 원활하게 변화하도록 제어한다.
다음에, 도 18, 도 19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의 동작에 관해, 도 20 내지 도 23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8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와 도 19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는, 기본적으로 같은 동작이기 때문에, 도 20 내지 도 23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한 설명에서는, 도 18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의 동작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20을 참조하여 도 18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가 행하는 화상 처리에 관해 설명하지만, 기본적으로, 도 5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와 같은 처리의 흐름이고, 도 10에 도시한 플로우 차트의 처리에 의거하여 행하여진다. 즉, 스텝 S201 내지 S206의 각 스텝에서의 처리는, 도 10에 도시한 플로우 차트의 스텝 S11 내지 S16과 기본적으로 마찬가지로 행하여진다. 따라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이미 하였기 때문에 생략하고, 다른 처리를 포함하는 스텝에 관해 설명을 가한다.
스텝 S201에서, 특징량 추출부(41)에서 특징량 추출 처리가 행하여지는데, 이 특징량 추출 처리는, 도 11에 도시한 플로우 차트에 의거하여 행하여진다.
스텝 S202에서, 기록중 플래그가 서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되고, 기록중 플래그는 서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스텝 S203으로 처리가 진행된다. 스텝 S203에서, 동기에 관한 처리가 실행된다. 스텝 S203에서의 동기에 관한 처리에 관해 도 21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1의 플로우 차트의 처리는, 도 12의 플로우 차트의 처리와 기본적으로 같지만, 스텝 S235에서의 처리가 추가된 흐름으로 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즉, 스텝 S234에서, 표준치가 설정치로 설정된 후, 또는, 스텝 S237에서,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에 축적되어 있는 설정정보(설정치)가 판독된 후, 스텝 S235에서, 원활종료 처리가 실행되고, 스텝 S236에서, 원활종료 처리가 시행된 설정치를 반영하기 위한 처리가 실행된다.
스텝 S235에서 실행되는 원활종료 처리에 관해, 도 22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2의 플로우 차트의 처리는, 원활종료 제어부(201)에서 행하여진다. 스텝 S251에서, 원활종료 플래그가 서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원활종료 플래그란, 원활종료 기능을 실행하여야 할 때, 즉, 이 경우, 사용자로부터 편집의 종료가 지시된 때에 세워지는 플래그이다.
스텝 S251에서, 원활종료 플래그는 서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원활종료 처리를 실행할 필요는 없기 때문에, 원활종료 처리는 종료된다.
한편, 스텝 S251에서, 원활종료 플래그가 서 있다고 판단된 경우, 스텝 S252로 처리가 진행된다. 스텝 S252에서, 앞(前)프레임의 설정치와 새로운 설정치 사이의 값이, 설정치로서 설정된다. 앞프레임의 설정치란, 이 처리가 실행되어 있는 프레임에 대해, 앞의 시점에서, 도 20의 처리가 실행된 프레임이고, 특징량이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에 축적되어 있는 프레임이다. 또한, 새로운 설정치란, 현재의 처리 대상으로 되어 있는 프레임에 관한 것이고, 그 프레임의 설정치는, 스텝 S234 또는 스텝 S237(도 21)에서 설정된 값이다.
스텝 S252에서의 처리는, 앞의 프레임의 설정치와 현재의 프레임의 설정치 사이의 수치로 설정되고, 예를 들면, 앞의 프레임의 설정치의 쪽이 현재의 프레임의 설정치보다도 큰 값인 경우, 앞의 프레임의 설정치로부터 소정의 값을 감산한 값이 설정치로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앞의 프레임의 설정치의 쪽이 현재의 프레임의 설정치보다도 작은 값인 경우, 앞의 프레임의 설정치에 소정의 값을 가산한 값이 설정치로 된다. 이와 같이, 앞의 프레임의 설정치에 소정의 값을 가산 또는 감산함에 의해, 현프레임의 설정치가 설정된다.
스텝 S253에서, 앞프레임의 설정치와 현프레임의 설정치가 일치하였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또한, 앞프레임의 설정치와 현프레임의 설정치가, 완전하게 일치하였는지의 여부가 아니고, 앞프레임의 설정치와 현프레임의 설정치의 차분이, 소정의 범위 내인지의 여부가 판단되도록 하여도 좋다.
스텝 S253에서, 앞프레임의 설정치와 현프레임의 설정치는 일치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스텝 S254의 처리는 스킵되고, 처리 대상으로 되어 있는 프레임에 대한 원활종료 처리는 종료된다. 한편, 스텝 S253에서, 앞프레임의 설정치와 현프레임의 설정치가 일치하고 있다고 판단된 경우, 스텝 S254에서, 원활종료 플래그가 내려진다.
원활종료 플래그가 서 있는 동안은, 스텝 S252의 처리가 프레임마다 실행되기 때문에, 프레임마다 서서히 값이, 앞의 조작일 때에 기록된 설정치에 근접하여 가기 때문에, 급격하게 설정치가 변화하는 것을 막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을, 도 2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프레임(F1)일 때 조작이 종료되고, 그 때에 설정된 프레임(F1)의 설정치가 설정치(R1)인 경우, 다음 프레임(F2)에서는, 종래에는, 프레임(F2)의 설정치로서 기록되어 있던 설정치(R12)로 설정치가 되돌아오게 된다. 그러나, 원활종료 처리(특히, 스텝 S252)의 처리에 의해, 프레임(F2)의 설정치는, 설정치(R1)와 설정치(R12) 사이에 있는 설정치(R2)로 설정된다. 이 설정치(R2)는, 설정치(R1)로부터 소정의 값만큼, 감산된 값이다.
프레임(F3)의 설정치는, 설정치(R2)로부터 소정의 값만큼 감산된 값인 설정치(R3)가 설정된다. 마찬가지로 하여 프레임(F4)의 설정치는, 설정치(R4)로 설정되고, 프레임(F5)의 설정치는, 설정치(R5)로 설정된다.
프레임(F5)의 설정치로서 설정된 설정치(R5)와 기록되어 있던 설정치(R15)의 차분은, 소정의 범위 내로 되었기 때문에, 다음 프레임(F6)의 설정치(R6)는, 프레임(F6)의 설정치로서 기록되어 있던 설정치(R16)가 된다. 이와 같이, 서서히 설정치가 기록되어 있던 값(앞의 조작에서 설정된 값)에 접근되기 때문에, 급격하게 설정치가 변화하는 것을 막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21의 플로우 차트의 설명으로 되돌아와, 스텝 S235에서, 상기한 바와 같은 원활종료 처리가 실행되면, 스텝 S236에서, 설정치를 반영하는 처리가 실행된다. 이와 같이 하여, 동기에 관한 처리가 종료되면, 스텝 S204(도 20)로 처리가 진행된다.
스텝 S204에서, 사용자에 의해 조작(편집)되었는지의 여부가 판단되고, 조작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스텝 S205에서, 기록중 플래그가 세워진다. 그리고, 스텝 S206에서, 조작시의 처리가 실행된다. 스텝 S206에서 실행되는 조작시의 처리에 관 해, 도 23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3의 스텝 S271 내지 S278의 처리는, 도 14의 스텝 S91 내지 S98의 처리와 같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스텝 S279에서, 원활종료 플래그가 세워진다. 스텝 S279로 처리가 진행되는 것은, 스텝 S272에서, 기록이 종료되었다고 판단된 때이다. 또한, 기록이 종료되었다고 판단되는 것은, 사용자에 의해 조작 종료 버튼 등의 조작의 종료를 지시하기 위한 버튼이 조작된 때이다.
사용자에 의해 조작의 종료(편집의 종료)가 지시된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라면, 이미 기록되어 있는 설정치로 되돌아오지만, 그와 같이 하면, 설정치가 급격하게 변화하하는 일이 있고, 급격하게 화상이 변화하는 일이 있다. 그와 같은 것을 막기 위해, 원활종료 처리가 실행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다. 그리고, 원활종료 처리는, 원활종료 플래그가 세워져 있을 때에 행하여진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조작의 종료가 지시된 때에는, 스텝 S279의 처리로서, 원활종료 플래그가 세워진다.
원활종료 플래그가 세워짐에 의해, 상기한 바와 같이, 스텝 S251(도 22)의 처리에서 원활종료 플래그가 서 있다고 판단되고, 스텝 S252, S253의 처리가 실행되고, 서서히 설정치가 이미 기록되어 있던 설정치에 근접하는 처리가 실행된다.
이와 같이, 원활종료 처리가 실행됨에 의해, 복수회의 편집 등에 의해, 설정치가 급격하게 변화하여 버리고, 화상에 급격한 변화가 나타나는 것을 막는 것이 가능해진다.
[조작의 자동종료 기능에 관해]
다음에, 조작의 자동종료 기능에 관해 설명한다. 그리고 "조작의 자동종료"의 "자동"란, 사용자의 손을 번거롭게 하는 일 없이, 환언하면, 사용자가 조작(편집)의 종료를 지시하지 않아도, 종료에 관한 처리가 실행되는 것을 의미한다.
도 25A 내지 C를 참조하여, 조작의 자동종료 기능에 관해 설명한다. 도 25A는 1회째의 조작과 그 조작으로 기록되는 설정치와의 관계를 도시하고, 도 25B는 2회째의 조작과 그 조작으로 기록되는 설정치와의 관계를 도시하고, 도 25C는 2회째의 조작의 결과, 기록되는 설정치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25A와 도 25B에 도시한 테두리 내의 도면에서, 각 테두리 내의 1단째는, 설정치를 나타내고, 2단째는, 조작 결과를 나타낸다.
1회째의 조작에서, 시점(T1)부터 시점(T2)까지의 컨텐츠에 대해 조작이 가하여진 경우, 시점(T1)부터 시점(T2)까지의 설정치가 기록된다. 시점(T1)부터 시점(T11)까지는 플러스 조작이 행하여지고, 시점(T11)부터 시점(T12)까지는 마이너스 조작이 행하여지고, 시점(T12)로부터 시점(T13)까지는 플러스 조작이 행하여지고, 시점(T13)부터 시점(T14)까지는 마이너스 조작이 행하여진 결과, 도 25A의 상단에 도시한 바와 같은 설정치가 기록된다.
그리고, 시점(T14)로부터 시점(T2)까지, 사용자로부터의 조작이 없은 경우, 즉, 무 조작 기간이 시점(T14)로부터 시점(T2)까지 있고, 그무 조작 기간이 소정의 시간 이상인 경우, 사용자의 종료의 지시에 의하지 않고, 설정치가 표준치로 서서히 되돌아온다.
1회째의 조작에서, 이와 같은 설정치가 기록된 후, 도 2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2회째의 조작이 행하여진 경우, 도 25C에 도시한 바와 같은 설정치가 기록된다. 즉, 2회째의 조작으로서, 도 25B의 하단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점(T3)부터 시점(T21)까지 플러스 조작이 행하여지고, 시점(T21)부터 시점(T4)까지 마이너스 조작이 행하여지고, 그 후, 조작이 행하여지지 않았다. 그리고, 시점(T4)부터 시점(T22)까지의 무조작 기간이 소정의 시간 이상인 경우, 사용자의 종료의 지시에 의하지 않고, 기록되어 있던 설정치에 서서히 되돌리는 처리가 실행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종료의 지시가 없는 때라도, 사용자로부터의 조작이, 소정의 기간만큼 없은 경우, 설정치가 서서히 설정하여야 할 값으로 되돌아온다.
이와 같이, 조작의 자동종료 기능에 의하면, 수정이 종료되었다고 판단된 때, 사용자의 지시가 없어도, 서서히 설정치가 변경되어, 설정치가 급격하게 변화하는 일이 없도록 제어된다.
도 26은 도 5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에, 조작의 자동종료 기능을 추가한 구성예를 도시하고, 도 27은 도 6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에, 조작의 자동 기능을 추가한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6에서, 도 5와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고 그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도 26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는, 조작의 자동종료 기능에 관한 처리를 실행하는 조작 자동종료 제어부(301)를, 도 5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에 추가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조작 자동종료 제어부(301)는, 설정정보 결정부(46), 축적 블록(43) 및, 선택부(47)와, 각각 데이터의 수수를 행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된다.
도 27에서, 도 6과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고 그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도 27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는, 조작의 자동종료 기능에 관한 처리를 실행하는 조작 자동종료 제어부(311)를, 도 6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에 추가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조작 자동종료 제어부(311)는, 축적 블록(151) 및 선택부(152)와, 각각 데이터의 수수를 행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된다.
다음에, 도 26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가 행하는 화상 처리에 관해, 도 28 내지 도 30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텝 S301에서, 특징량 추출 처리가 행하여진다. 이 스텝 S301에서 실행된 특징량 추출 처리는, 도 11의 플로우 차트에 의거한 처리이고, 도 11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한 설명은 이미 하였기 때문에,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스텝 S302에서, 동기에 관한 처리가 실행된다. 이 스텝 S302에서 실행되는 동기에 관한 처리에 관해, 도 29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텝 S321 내지 S325의 처리는, 도 12의 플로우 차트의 스텝 S51 내지 S54, S56의 처리와 같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즉 이 경우, 설정을 반영한다는 처리가 동기에 관한 처리에 포함되지 않는 처리의 흐름으로 되어 있다.
동기가 행하여진 후, 설정치가 반영되기 전에, 도 28의 플로우 차트의 스텝 S303으로 처리가 진행되고, 스텝 S303에서, 기록중 플래그가 서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상술한, 예를 들면, 원활종료 기능에 관한 설명에서 참조한 도 20의 플로우 차트를, 재차 참조하면, 스텝 S202에서, 기록중 플래그가 서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되고, 스텝 S203에서 동기에 관한 처리가 실행되었다.
도 28에 도시한 플로우 차트의 처리의 흐름과, 이미 설명한 도 20의 플로우 차트의 처리의 흐름을 비교하면, 기록중 플래그가 서 있는지의 여부, 환언하면, 설정치의 기록이 행하여지고 있는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처리와, 동기에 관한 처리와의 순서가 교체된 처리의 흐름으로 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이와 같이, 동기에 관한 처리를 기록중 플래그가 서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전에 행함으로써, 환언하면, 기록중 플래그가 서 있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동기에 관한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기록을 행하지 않고 재생을 행한 경우의 설정치를 취득한 것이 가능해진다.
스텝 S303에서, 기록중 플래그는 서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스텝 S304로 처리가 진행되고, 판독한 설정치를 반영하기 위한 처리가 실행된다. 이 경우, 기록중 플래그가 서 있지 않아도, 동기에 관한 처리가 스텝 S302에서 실행되어 있기 때문에, 스텝 S324 또는 스텝 S325(도 29)에서 설정치가 설정되어 있다. 그 설정되어 있는 설정치를 화상에 반영하기 위한 처리가 실행된다.
그리고, 스텝 S305에서, 사용자에 의한 조작이 되었는지의 여부가 판단되고, 조작이 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스텝 S306에서, 기록중 플래그가 세워지고, 스텝 S307에서, 조작시의 처리가 실행된다. 도 30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스텝 S307에서 조작시의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스텝 S341에서, 조작정보 인식부(45)는, 수광부(44)로부터 공급된 신호에 의거하여, 조작정보를 인식하고, 인식 결과로서 설정정보 결정부(46)에 공급한다. 스 텝 S342에서, 스텝 S341에서 취득된 조작정보가, 기록의 종료를 나타내는 커맨드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스텝 S342에서, 조작정보는, 기록 종료 커맨드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 스텝 S343으로 처리가 진행되고, 기록 종료 커맨드라고 판단된 경우, 스텝 S347로 처리가 진행된다.
스텝 S343에서, 자동종료 조건이 충족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자동종료 조건이란, 예를 들면, 도 25A 내지 도 25C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의 조작이 없었던 기간(무조작 기간)이, 소정의 기간 이상이 되었다는 조건이다. 이와 같은 조건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조작 자동종료 제어부(301)(도 26)는, 설정정보 결정부(46)로부터 공급되는 설정치가, 동일한 시간을 계측하고, 그 계측 시간이 무조작 기간으로 설정되어 있는 시간 이상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동일한 설정정보가 소정의 시간만큼 계속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함에 의해, 자동종료 조건을 충족시키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사용자의 조작중에 그 조작에 대응하는 설정치와 기록되어 있는 설정치의 차가 소정의 범위 내인 때 등을 조건으로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조건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조작 자동종료 제어부(301)(도 26)는, 설정정보 결정부(46)로부터 공급되는 설정치와,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로부터 판독되는 설정치와의 차분이 소정의 범위 내일 때, 자동종료 조건을 충족시키고 있다고 판단한다.
물론, 복수의 자동종료 조건을 설정하고, 설정된 복수의 조건의 전부나, 복수의 조건중의 몇개의 조건이 충족된 때에, 자동종료 조건이 충족되었다고 판단되 도록 하여도 좋다.
조작 자동종료 제어부(311)(도 27)도 기본적으로 마찬가지로 자동종료 조건이 충족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지만, 그 판단은, 조작정보 인식부(45)로부터 공급되는 사용자로부터의 조작정보와, 특징량 조작정보 축적부(162)에 축적되어 있는 조작정보가 이용되어 행하여진다.
이와 같이 하여, 스텝 S343에서, 자동종료 조건이 충족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스텝 S347로 처리가 진행되고, 자동종료 조건은 충족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스텝 S344로 처리가 진행된다.
즉 이 경우, 사용자에 의해 기록의 종료가 지시된 경우, 또는 자동종료 조건이 충족된 경우는, 스텝 S347로 처리가 진행되고, 동일한 처리가 행하여지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종료의 지시를 하지 않아도, 종료의 지시를 한 경우와 같은 처리가 행하여지게 되고, 사용자의 손을 번거로게 하는 일 없이, 조작의 종료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스텝 S344 내지 S349의 각 처리는, 도 14의 플로우 차트의 스텝 S93 내지 S98과 같은 처리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하여, 자동적으로, 처리가 종료된다.
또한, 설정치는, 하나의 설정치뿐만 아니라, 복수의 설정치가 관련되어 하나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 있지만, 복수의 설정치가 관련되는 경우, 관련되어 있는 모든 설정치가 기존의 조작 이력, 또는 표준치에 근접한 때만, 자동종료 조건이 충족되었다고 판단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줌의 경우, 줌 율, 줌 중심의 수평 좌표, 수직 좌표의 3개의 파라미터가 전부 기존의 조작 이력의 설정치 또는 표준치에 근접한 때만, 자동종료 조건이 충족되었다고 판단된다.
[가산 편집 기능에 관해]
그런데, 편집으로서는, 다양한 편집이 있다. 예를 들면, 줌에 관한 편집이나 손떨림 보정에 관한 편집 등, 편집의 목적이 다르면, 편집 대상도 다르다. 이와 같이, 다양한 편집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1회째의 편집에서는 손떨림 보정에 관한 편집을 행하고, 2회째의 편집에서는 줌에 관한 편집을 행한다는 상황도 생각된다.
이와 같이, 1회째의 편집과 2회째의 편집에서 편집 목적이 다를 경우,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문제점에 관해, 도 31A, 도 31B와 도 32A, 도 32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1A, 도 31B는, 종래의 기록 방식에 의해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2A, 도 32B는, 종래의 기록 방식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록 방식(본 실시의 형태)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1A에는, 1회째의 조작, 예를 들면, 손떨림 보정에 관한 조작에 의해 기록된 설정치의 변화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설정치가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에 대해, 도 31B의 상단에 도시한 바와 같은 조작, 예를 들면, 사용자가 좋아하는 줌 포인트로 다시 줌하는 조작이 행하여지면, 그 조작에 의한 설정치로, 1회째의 조작에서 기록된 설정치가, 재기록된다. 즉, 도 31B의 하단의 점선으로 도시한 설정치가, 실선으로 도시한 설정치에 재기록된다.
이와 같이, 설정치가 재기록된다는 것은, 원래의 설정치가 캔슬되어 버리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1회째의 손떨림 보정에 관한 조작의 결과는, 2회째의 줌에 관한 조작의 결과에 의해, 캔슬되어 버리게 된다.
그래서, 이하에 설명하는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도 32A, 도 3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설정치가 설정되고, 기록되도록 한다. 도 32A는, 도 31A와 같이 1회째의 조작, 예를 들면, 손떨림 보정에 관한 조작에 의해 기록된 설정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32B는 2회째의 조작과, 그 2회째의 조작에 의한 설정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32B의 상단은, 도 31B의 상단과 같이, 2회째의 조작, 예를 들면, 사용자가 좋아하는 줌 포인트로 다시 줌하는 조작이 행하여진 경우의 조작정보를 도시하고 있다. 도 32B의 하단은, 이하에 설명하는 가산 편집 기능에 의한 처리가 실행된 결과 기록되는 설정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32B의 하단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산 편집 기능에 의해, 1회째의 설정치에 2회째의 조작에 대응하는 설정치가 가산된 값이, 새로운 설정치로서 기록된다. 도 32B의 하단의 점선으로 도시한 1회째의 조작에 의한 설정치에, 2회째의 조작의 설정치가 가산됨에 의해, 도 32B의 하단의 실선으로 도시한 설정치가 기록된다.
이와 같이, 전회의 설정치에 다음의 설정치를 가산함으로써, 전회의 설정치가 캔슬되는 일 없이, 전회의 조작에 의한 효과를 계속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가산 편집 기능을 갖는 화상 처리 장치(13)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도 33은 도 5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에, 가산 편집 기능을 추가한 구성예를 도시하고, 도 34는 도 6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에, 가산 편집 기능을 추가한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33에서, 도 5와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고 그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도 33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는, 가산 편집 기능에 관한 처리를 실행하는 설정치 가산부(401)를, 도 5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에 추가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설정치 가산부(401)는, 설정정보 결정부(46)에 의해 결정된, 그 시점에서의 설정치와, 이미 기록되어 있는 설정치를 가산하고, 새로운 설정치를 생성한다. 설정치 가산부(401)에 의해 생성된 설정치는,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에 축적됨과 함께, 선택부(47)에도 공급된다.
도 34에서, 도 6과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고 그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도 34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는, 도 6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와 비교하면, 가산 편집 기능에 관한 처리를 설정정보 결정부(411)가 행하는 구성으로 되고, 선택부(152)가 삭제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설정정보 결정부(411)는, 조작정보 인식부(45)에 의해 인식된, 그 시점에서의 조작정보와, 이미 기록되어 있는 조작정보를 가산하고, 새로운 조작정보를 생성한다. 설정정보 결정부(411)에 의해 생성되는 설정정보는, 특징량 조작정보 축적부(162)에 축적됨과 함께, 반영부(49)에도 공급된다.
다음에, 도 33, 도 34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의 동작에 관해, 도 35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3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와 도 34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는, 기본적으로 같은 동작이기 때문에, 도 35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한 설명에서는, 도 13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의 동작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33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가 행하는 화상 처리는, 도 10에 도시한 플로우 차트에 의거하여 행하여진다. 도 10에 도시한 플로우 차트의 처리에 관해서는 이미 설명하였기 때문에, 다른 처리를 포함하는 처리만 설명을 가한다.
다른 처리를 포함하는 스텝은, 스텝 S16의 조작시의 처리이다. 도 35를 참조하여, 조작시의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스텝 S411에서, 조작정보 인식부(45)는, 수광부(44)로부터 공급된 신호에 의거하여, 조작정보를 인식하고, 인식 결과로서 설정정보 결정부(46)에 공급한다. 스텝 S412에서, 스텝 S411에서 취득된 조작정보가, 기록의 종료를 나타내는 커맨드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스텝 S412에서, 조작정보는, 기록 종료 커맨드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 스텝 S413으로 처리가 진행되고, 기록 종료 커맨드라고 판단된 경우, 스텝 S416으로 처리가 진행된다.
스텝 S413에서, 판독된 설정치에,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대응하는 설정치가 가산된다. 특징 설정정보 판독부(63)는,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에 축적되어 있는 설정치를 판독하고, 설정치 가산부(401)에 공급한다. 설정정보 결정부(46)는, 조작정보 인식부(45)로부터 공급되는 조작정보에 의거한 설정치를 생성하고, 설정치 가산부(401)에 공급한다.
이와 같은 처리가 행하여짐에 의해, 설정치 가산부(401)에는,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에 축적되어 있던 설정치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새로운 설정치가 공급된다. 설정치 가산부(401)는, 공급된 2개의 설정치를 가산하고, 새로운 설정치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하여 생성된 설정치는, 스텝 S14에서, 동기 정보와 함께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에 기록된다.
또한, 설정치 가산부(401)로부터의 설정치는, 선택부(47)에도 공급되고, 선택부(47)를 통하여 반영부(49)에도 공급된다. 스텝 S415에서, 반영부(49)는, 공급된 설정치를 화상에 반영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스텝 S412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지시 내용은, 기록 종료 커맨드라고 판단된 경우, 스텝 S416에서, 판독된 설정치를 설정치로서 설정한다. 즉, 이 경우,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에 축적되어 있는 설정치가 판독되고, 처리 대상으로 되어 있는 프레임의 설정치로 된다. 설정된 설정치를 화상에 반영하는 처리가, 스텝 S417에서 행하여진다.
그리고, 스텝 S418에서, 기록중 플래그가 내려짐에 의해, 설정치의 기록의 처리가 종료된다.
이와 같은 처리는, 기본적으로, 도 14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 조작시의 처리와 마찬가지이지만, 스텝 S413에서 설정된 설정치가, 이미 기록되어 있는 설정치에 가산되는 점이 다르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대응하는 새로운 설정치가, 기존의 설정치에 가산됨에 의해 생성된 설정치를 기록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설정치에 의한 화상에의 효과가 캔슬되는 일 없이, 새로운 효과를 추가한 것이 가능해진다.
[범위 지정(선지정) 기록에 관해]
다음에, 설정치를 기록하는 컨텐츠의 범위를 미리 설정하고, 그 설정된 범위 내에서 행하여진 조작에 대응하는 설정치가 기록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또는, 컨텐츠에 대해 조작이 행하여지고, 그 조작에 대응하는 설정치가 기록된 후, 실제로 설정치를 기록한 범위를 설정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우선, 도 36A 내지 도 36C를 참조하여, 설정치를 기록하는 범위의 설정과, 그 설정된 범위 내에서의 설정치의 기록에 관해 설명한다.
도 3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1회째의 조작으로서 사용자에 의해, 기록을 시작하는 시작점(T1)이 설정되고, 기록을 종료하는 종료점(T2)이 설정된다.
도 36B의 하단에 도시한 바와 같은 조작이, 2회째의 조작으로서 행하여짐에 의해, 도 36B의 상단에 도시한 바와 같은 설정치가 기록된다. 즉, 이 경우, 시점(T11)부터 시점(T1)(시작점(T1))까지는, 플러스의 조작이 행하여지고, 시점(T1)부터 시점(T12)까지는 마이너스의 조작이 행하여지고, 시점(T12)부터 시점(T13)까지는 플러스의 조작이 행하여지고, 시점(T13)부터 시점(T2)(종료점(T2))까지는 마이너스의 조작이 된 경우, 도 36B의 상단에 도시한 바와 같은 설정치가 기록된다. 단, 이 기록은, 일시적인 기록이고, 최종적으로 기록되는 설정치는 아니다.
최종적으로 기록되는 설정치는, 도 3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된다. 즉, 시점(T11)부터 시작점(T1)까지 사이의 설정치는, 기록되지 않고, 시작점(T1)부터 종료점(T2)까지 사이의 설정치만이 기록된다.
도 36A 내지 도 36C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은, 조작을 행하기 전에 범위가 설정되는 경우이다. 조작이 행하여진 후, 범위가 설정되는 경우, 도 36B에 도시한 조 작이 1회째의 조작으로서 행하여지고, 그 후, 도 36A에 도시한 조작이 2회째의 조작으로서 행하여진다.
이와 같이, 설정된 범위 내의 설정치만이 기록됨에 의해, 이하와 같은 이점이 있다. 즉, 종래의 설정의 기록 방식에서는, 도 1이나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조작 시작점부터 기록이 시작되어 버리기 때문에, 기록의 선두 설정치는 표준치로 설정되어 버리고, 그 후의 조작에 관계없이, 표준치로부터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설정치밖에 설정할 수가 없었다. 그러나, 본 실시의 형태와 같이, 시작점을 설정함에 의해, 도 3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록의 시작 시점의 설정치를 표준치 이외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그 표준치가 아닌 설정치로부터, 연속적으로 설정치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된다.
또한, 종래의 기록 방식에서는, 설정치의 기록을 종료시킬 때, 사용자는, 조작하면서 기록을 종료시키는 기능을 갖는 종료 버튼을 조작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에, 사용자가 기록을 종료시키고 싶은 위치에서 조작을 멈추는 것이 어려웠다. 그러나, 본 실시의 형태와 같이, 종료점을 설정함에 의해, 사용자는 소망하는 종료 포인트를, 조작하면서 종료 버튼을 조작한다는 일 없이 설정할 수 있게 되어, 확실하게 소망하는 종료점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기록 범위의 설정을 행하는 화상 처리 장치(13)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우선, 조작 전에 기록의 범위를 설정하는 화상 처리 장치(13)에 관해 설명을 가한다.
도 37은 도 5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에 기록 범위 지정 기능을 추가한 구성예를 도시하고, 도 38은 도 6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에 기록 범위 지정 기능을 추가한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37에서, 도 5와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고 그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도 37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는, 기록 범위 지정 기능에 관한 처리를 실행하는 범위 지정부(501), 범위 기록부(502) 및 트리거부(503)를 도 5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에 추가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범위 지정부(501)는, 조작정보 인식부(45)로부터의 조작정보에 의거하여, 즉, 사용자의 지시에 의거하여, 설정치의 기록을 시작하는 시작점과, 설정치의 기록을 종료하는 종료점의 지정(설정)에 관한 처리를 실행한다.
범위 기록부(502)는, 범위 지정부(501)에 의해 지정된 시작점과 종료점의, 각각의 동기용 특징량을, 축적 블록(43)의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로부터 판독하고, 기록한다. 트리거부(503)는, 범위 기록부(502)에 기록되어 있는 동기용 특징량과,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에 축적되어 있는 동기용 특징량을 비교하고, 축적 블록(43)에 대해, 동기용 특징량이나 설정정보의 기록의 시작과 종료를 지시한다.
도 38에서, 도 6과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고 그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도 38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는, 도 6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와 비교하면, 기록 범위 지정 기능에 관한 처리를 실행하는 범위 지정부(511), 범위 기록부(512) 및 트리거부(513)를 도 6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에 추가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38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의 구성에서는, 조작정보 인식부(45)로부터의 조작정보는, 직접, 범위 지정부(511)에 입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범위 지정부(511)는, 입력된 조작정보를 해석하고, 설정치의 기록을 시작하는 시작점과, 설정치의 기록을 종료하는 종료점의 지정(설정)에 관한 처리를 실행한다.
범위 기록부(512)는, 범위 지정부(511)에 의해 지정된 시작점과 종료점의, 각각의 동기용 특징량을, 축적 블록(151)의 특징량 조작정보 축적부(162)로부터 판독하고, 기록한다. 트리거부(513)는, 범위 기록부(512)에 기록되어 있는 동기용 특징량과, 특징량 조작정보 축적부(162)에 축적되어 있는 동기용 특징량을 비교하고, 축적 블록(151)에 대해, 동기용 특징량이나 조작정보의 기록의 시작과 종료를 지시한다.
다음에, 도 37, 도 38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의 동작에 관해, 도 39 내지 도 42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7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와 도 38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는, 기본적으로 같은 동작이기 때문에, 도 39 내지 도 42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한 설명에서는, 도 37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의 동작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39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정치를 기록하는 범위를 지정할 때의 처리를 설명한다.
스텝 S501에서 특징량 추출 처리가 실행된다. 이 스텝 S501에서의 특징량 추출 처리는 이미 설명한 도 11의 플로우 차트의 처리의 흐름에 의거하여 행하여지기 때문에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스텝 S502에서 시작점이 지정되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범위 지정부(501)는, 조작정보 인식부(45)에 의해 인식된 조작정보를 해석하고, 사용자의 조작은, 시작점을 지정한 조작이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시작점은, 동화상을 구성하는 프레임중의, 사용자가 지시한 프레임(또는 필드)이다. 따라서, 스텝 S502에서의 처리는 설정치의 기록을 시작하는 프레임이 지시되었는지의 여부가 판단되는 처리이다.
스텝 S502에서 시작점이 지시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스텝 S503으로 처리가 진행되고, 시작점의 특징량이 기록된다. 범위 지정부(501)는, 시작점이 지시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그 시점에서의 프레임으로부터 추출된 특징량(동기용 특징량)(스텝 S501에서 추출된 특징량)을, 범위 기록부(502)에 기록시킨다. 범위 기록부(502)에 시작점의 특징량이 기록되면, 스텝 S501로 처리가 되돌아오고, 다음 프레임에 대해, 같은 처리가 반복된다.
한편, 스텝 S502에서, 시작점은 지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스텝 S504로 처리가 진행되고, 종료점이 지정되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범위 지정부(501)는, 조작정보 인식부(45)에 의해 인식된 조작정보를 해석하고, 사용자의 조작은, 종료점을 지정하는 조작이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종료점도, 시작점과 마찬가지로, 소정의 프레임 또는 필드이다.
스텝 S504에서, 종료가 지정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스텝 S505에서, 종료점의 특징량이 기록된다. 범위 지정부(501)는, 종료점이 지시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그 시점에서의 프레임으로부터 추출된 특징량(동기용 특징량)(스텝 S501에서 추출된 특징량)을, 범위 기록부(502)에 기록시킨다. 범위 기록부(502)에 종료점의 특징량이 기록되면, 스텝 S501로 처리가 되돌아오고, 다음 프레임에 대해, 같은 처리가 반복된다.
한편, 스텝 S504에서, 종료점은 지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스텝 S506으로 처리가 진행된다. 스텝 S506에서, 범위 지정의 설정이 종료되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스텝 S506에서, 범위 지정의 설정은 종료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스텝 S501로 처리가 되돌아오고, 다음 프레임에 대해, 같은 처리가 반복된다.
또한, 스텝 S506에서, 설정이 종료되었는지의 여부의 판단은, 사용자에 의한 설정 종료의 지시가 있었는지의 여부가 판단됨에 의해 행하여지도록 하여도 좋고, 종료점의 지정이 행하여진 시점에서, 설정의 종료도 지시되었다고 판단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컨텐츠의 최후의 프레임까지 처리가 행하여진 때에는, 그 최후의 프레임이 종료점으로서 지정되도록 하고, 설정이 종료되었다고 판단되도록 하여도 좋다.
한편, 스텝 S506에서, 기록 범위의 설정은 종료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스텝 S507로 처리가 진행된다. 스텝 S507에서, 시작점과 종료점이 지정 완료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이 판단은, 범위 기록부(502)에, 시작점의 특징량과 종료점의 특징량이 기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함에 의해 행하여진다.
스텝 S507에서, 시작점과 종료점은 지정 완료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 스텝 S501로 처리가 되돌아오고, 다음 프레임에 대해 같은 처리가 반복된다. 또한 이 경 우, 스텝 S506에서, 설정은 종료되었다고 판단된 때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는, 시작점과 종료점은 지정 완료이다. 그러나, 예를 들면, 사용자의 조작 미스 등에 의해, 종료점이 지정되지 않았는데도, 설정이 종료되었다고 판단될 때가 있는 것을 상정하고, 그와 같은 때에는, 그와 같은 것을 사용자에게 인식시키기 위한, 예를 들면, "종료점의 지정이 되어 있지 않습니다"라는 메시지가, 사용자에게 제시되는 처리가 행하여지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여, 설정정보를 기록한 범위의 설정이 행하여진다. 다음에, 기록 범위의 설정이 종료된 후에, 그 범위 내에서 설정치가 기록되도록 하기 위한 처리에 관해, 도 40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텝 S521에서, 특징량 추출 처리가 실행된다. 이 스텝 S521에서의 특징량 추출 처리는, 이미 설명한 도 11의 플로우 차트의 처리의 흐름에 의거하여 행하여지기 때문에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스텝 S522에서, 트리거 처리가 행하여진다. 스텝 S522에서 실행되는 트리거 처리에 관해, 도 41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트리거 처리는, 트리거부(503)에 의해 행하여진다.
스텝 S541에서, 트리거부(503)는, 시작점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트리거부(503)는, 범위 기록부(502)에 기록되어 있는 시작점의 특징량과, 그 시점에서 처리되고 있는 프레임의 특징량을 비교하고, 일치하면, 시작점이라고 판단한다. 스텝 S541에서, 시작점이라고 판단된 경우, 스텝 S542로 처리가 진행된다. 스텝 S542에서, 설정치의 기록을 지시하기 위한 기록중 플래그가 세워진다. 이 기록중 플래그 가 세워져 있는 동안은,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에, 특징량이나 설정치가 기록(축적)된다. 기록중 플래그가 세워지면, 트리거 처리는 종료되고, 스텝 S523(도 40)으로 처리가 진행된다.
한편, 스텝 S543에서, 시작점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 스텝 S543으로 처리가 진행되고, 종료점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스텝 S543에서의 종료점인지의 여부의 판단도, 시작점인지의 여부의 판단과 마찬가지로 행하여진다. 스텝 S543에서, 종료점이라고 판단되면, 스텝 S544로 처리가 진행된다. 스텝 S544에서, 설정치의 기록을 지시하기 위해 세워져 있던 기록중 플래그가 내려진다. 이 기록중 플래그가 내려짐에 의해,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에의 설정치의 기록(축적)가 종료된다. 기록중 플래그가 내려지면, 트리거 처리는 종료되고, 스텝 S523(도 40)으로 처리가 진행된다.
한편, 스텝 S543에서, 종료점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 트리거 처리는 종료되고, 스텝 S523(도 40)으로 처리가 진행된다.
이와 같이, 트리거부(503)는, 시작점으로 지정된 프레임으로부터, 설정치의 기록을 시작하도록, 축적 블록(43)에 지시를 내리고, 종료점으로 지정된 프레임에서, 설정치의 기록이 종료되도록, 축적 블록(43)에 지시를 내린다.
도 40의 플로우 차트의 설명으로 되돌아와, 스텝 S523에서, 조작시의 처리가 실행된다. 도 42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스텝 S523에서 실행되는 조작시의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스텝 S561에서, 조작정보가 취득된다. 스텝 S562에서, 취득된 조작정보가 설 정치에 반영된다. 스텝 S563에서, 기록중 플래그가 서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기록중 플래그가 서 있을 때는, 설정치의 기록이 행하여지기 때문에, 스텝 S563에서, 기록중 플래그가 서 있다고 판단된 경우, 스텝 S564로 처리가 진행되고, 설정치와 동기 정보가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에 기록된다.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에 설정치와 동기 정보가 기록됨과 함께, 스텝 S565에서, 화상에의 설정치의 반영의 처리가 행하여진다.
한편, 스텝 S563에서, 기록중 플래그는 서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스텝 S564의 처리는 스킵되고, 스텝 S565로 처리가 진행된다. 스텝 S565에서, 설정치가 반영된다. 스텝 S563부터 스텝 S565로 처리가 진행된 때에는, 설정치의 기록은 행하여지지 않지만, 화상에의 설정치의 반영은 행하여진다.
이와 같이, 미리 설정된 시작점부터 종료점까지, 설정치 등이 기록된다.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조작 전에 기록 범위를 설정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조작의 후에 기록 범위를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고, 그와 같은 경우에 관해 다음에 설명한다.
[범위 지정(후지정) 기록에 관해]
도 43은 도 5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에 기록 범위 지정 기능을 추가한 구성예를 도시하고, 도 44는 도 6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에 기록 범위 지정 기능을 추가한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43에서, 도 5와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고 그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도 43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는, 기록 범위 지정 기능에 관한 처리를 실행하는 범위 지정부(601), 트리거부(602), 일시축적 블록(603) 및 동기 검출부(604)를 도 5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에 추가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일시축적 블록(603)은, 특징량 설정정보 기록부(611),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12) 및 특징량 설정정보 판독부(613)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일시축적 블록(603)은, 축적 블록(43)과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일단 조작이 행하여지고, 설정치(동기 정보)가 기록된 후, 기록 범위가 지정되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설정정보를 기록하여 둘 필요가 있고, 그 기록을, 일시축적 블록(603)이 행한다.
범위 지정부(601)는, 조작정보 인식부(45)로부터의 조작정보에 의거하여, 즉, 사용자의 지시에 의거하여, 설정치의 기록을 시작하는 시작점과, 설정치의 기록을 종료하는 종료점의 지정(설정)에 관한 처리를 실행한다. 트리거부(602)는, 범위 지정부(601)에 의해 지정된 시작점, 또는, 종료점에 응하여, 축적 블록(43)에 대해, 동기용 특징량의 기록의 시작과 종료를 지시한다.
일시축적 블록(603)의 각 부분은, 축적 블록(43)과 같은 구성으로 되고, 기록의 범위가 지정되기 전에 행하여진 설정치나 동기 정보의 기록에 관한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동기 검출부(604)는, 동기 검출부(42)와 마찬가지로, 동기를 검출하고, 그 동기에 관한 정보를 특징량 설정정보 판독부(613)에 공급하고,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12)로부터 동기하는데 필요한 설정정보의 공급을 받는다.
도 44에서, 도 6과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고 그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도 44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는, 도 6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에, 기록 범위 지정 기능에 관한 처리를 실행하는 범위 지정부(641), 트리거부(642), 일시축적 블록(643) 및 동기 검출부(644)를 추가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일시축적 블록(643)은, 특징량 조작정보 기록부(651), 특징량 조작정보 축적부(652) 및 특징량 조작정보 판독부(653)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일시축적 블록(643)은, 축적 블록(151)과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일단 조작이 행하여지고, 조작정보가 기록된 후, 기록 범위가 지정되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조작정보를 기록하여 둘 필요가 있고, 그 기록을 일시축적 블록(643)이 행한다.
범위 지정부(641)는, 조작정보 인식부(45)로부터의 조작정보에 의거하여, 즉, 사용자의 지시에 의거하여, 설정치의 기록을 시작하는 시작점과, 조작정보의 기록을 종료하는 종료점의 지정(설정)에 관한 처리를 실행한다. 트리거부(642)는, 범위 지정부(641)에 의해 지정된 시작점, 또는, 종료점에 응하여, 축적 블록(151)에 대해, 동기용 조작정보의 기록의 시작과 종료를 지시한다.
일시축적 블록(643)의 각 부분은, 축적 블록(151)과 같은 구성으로 되고, 기록의 범위를 지정되기 전에 행하여진 조작정보의 기록에 관한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동기 검출부(644)는, 동기 검출부(42)와 마찬가지로, 동기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동기에 관한 정보를 특징량 조작정보 판독부(653)에 공급하고, 동기를 검출하기 위해 특징량 조작정보 축적부(652)로부터 조작정보의 공급을 받는다.
다음에, 도 43, 도 44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의 동작에 관해, 도 45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3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와 도 44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는, 기본적으로 같은 동작이기 때문에, 도 45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한 설명에서는, 도 43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의 동작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45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정정보(설정치)를 기록하는 범위를 지정할 때의 처리에 설명한다. 이 경우, 기록의 범위가 설정되기 전의 시점에서, 사용자에 의한 편집이 종료되어 있고, 설정정보가 일시축적 블록(603)에 기록되어 있는 상태이다. 설정정보의 기록은, 상기한 다른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설정정보는, 도 10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 처리의 흐름에 의거하여 기록된다. 여기서는, 설정정보의 기록에 관해서는 이미 설명하였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하고, 설정정보가 기록된 후에 행하여지는, 기록의 범위의 지정에 관한 처리에 관해, 도 45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텝 S601에서, 특징량 추출 처리가 실행된다. 사용자는, 기록하는 범위를 설정하기 위해, 조작을 가한 컨텐츠를 재차 재생한다. 재생된 컨텐츠(프레임)로부터 특징량이, 특징량 추출부(41)에 의해 추출되고, 동기 검출부(604)에 공급된다. 스텝 S601에서 실행되는 특징량 추출 처리는 도 11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 경우와 같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스텝 S602에서, 동기 검출부(604)는, 동기에 관한 처리를 실행한다. 이 스텝 S602에서 실행되는 동기에 관한 처리는, 도 12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행하여지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단, 동기 검출부(604)는, 특징량 추출부(41)에 의해 추출된 특징량과,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12)에 축적되어 있는 특징량을 비교함에 의해 동기를 검출한다.
스텝 S603에서, 사용자가 기록 시작의 조작을 하였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범위 지정부(601)는, 조작정보 인식부(45)로부터의 조작정보를 해석하고, 기록의 시작을 지시하는 조작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603에서, 기록의 시작을 지시하는 조작이라고 판단된 경우, 스텝 S604로 처리가 진행되고, 기록중 플래그가 세워진다.
기록중 플래그가 세워져 있는 동안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12)에 축적되어 있는 설정치 등의 설정정보가, 축적 블록(43)에 공급되고,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에 축적된다. 환언하면, 사용자의 조작이 행하여짐에 의해, 일시축적 블록(603)에 축적되어 있던 설정정보가, 축적 블록(43)에 카피된다.
스텝 S604에서 기록중 플래그가 세워지거나, 또는, 스텝 S603에서, 기록 시작의 조작은 되어 있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 스텝 S605로 처리가 진행된다.
스텝 S605에서, 기록중 플래그는 서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스텝 S605에서, 기록중 플래그가 서 있다고 판단된 경우, 스텝 S606으로 처리가 진행되고, 기록중 플래그는 서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스텝 S601로 처리가 되돌아오고,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스텝 S606에서, 사용자가 기록 종료의 조작을 하였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범위 지정부(601)는, 기록 시작의 지시가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 때와 마찬가지로, 조작정보 인식부(45)로부터의 조작정보를 해석하고, 기록의 종료를 지시하는 조작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606에서, 기록의 종료를 지시하는 조작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 스텝 S607로 처리가 진행된다.
스텝 S607에서, 설정정보가 기록된다. 이 기록은, 상기한 바와 같이, 일시축적 블록(603)의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12)에, 일시적으로 축적된 설정정보가 판독되고, 축적 블록(43)의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62)에 카피됨에 의해 행하여진다. 스텝 S607에서의 처리가 종료되면, 스텝 S601로 처리가 되돌아오고,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한편, 스텝 S606에서, 기록 종료의 조작이 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스텝 S608로 처리가 진행되고, 세워져 있던 기록중 플래그가 내려진다. 기록중 플래그가 내려짐에 의해, 설정정보 등의 기록(카피)이 종료된다.
이와 같이, 조작(편집)이 행하여진 컨텐츠중, 편집을 남겨두는 부분, 즉, 설정정보를 기록하는 범위를 지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설정정보 등을 기록하는 범위를 지정함으로써, 기록의 시작시에는, 설정치를 표준치 이외로도 설정할 수 있고, 보다 효과적인 자유도가 높은 편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기록의 종료시도, 사용자는 기록을 종료시키기 위한 조작을, 편집을 위한 조작과 함께 행하지 않아도 좋기 때문에, 보다 정확하게, 종료시키고 싶은 포인트(프레임)에서 종료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신 체인지 검출에 의한 기록에 관해]
다음에, 컨텐츠의 내용의 변화, 즉, 신의 변화를 검출하고, 신에 변화가 있은 때에, 설정정보 등이 기록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우선, 도 46A 내지 C를 참조하여, 신 체인지의 검출과 검출된 때의 설정치의 기록에 관해 설명한다.
도 4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 체인지 검출부(도 47, 도 48에 기재)에 의해, 검출 점(T1 내지 T4)이, 신 체인지가 있은 시점으로서 검출되었다고 한다. 신 체인지란, 예를 들면, 본편으로부터 광고로 들어간 때라든가, 본편 중에서도 밤의 장면으로부터 낮의 장면으로 전환된 때이라든가, 신(장면)이 대폭적으로 변한 때이고, 컨텐츠의 단락이다.
도 46B의 하단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점(T11)부터 시점(T13)까지 플러스의 조작이 되고, 시점(T13)부터 시점(T14)까지 마이너스의 조작이 되고, 시점(T14)부터 시점(T15)까지 플러스의 조작이 되고, 시점(T15)부터 시점(T16)까지 마이너스의 조작이 된 때, 설정치로서는, 도 46B의 상단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된다.
설정정보 등의 기록을 지시하기 위한 기록 시작 버튼이, 시점(T12)에서 조작되면, 그 시점(T12) 이후부터 기록이 시작된다. 그러나, 신 체인지가 있은 때에, 기록이 행하여진다는 제어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 시점(T12)에서 기록 시작 버튼이 조작되어도, 실제의 기록은, 시점(T12)의 후에 신 체인지가 검출된 시점(T2)부터 시작된다. 따라서, 실시에 기록되는 것은, 도 4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점(T2)부터 시점(T3)까지 사이의 설정치이다.
이와 같이, 신 체인지를 검출하고, 검출된 신 체인지 사이에서 설정정보가 기록됨에 의해, 이하와 같은 이점이 있다. 즉, 종래의 설정의 기록 방식에서는, 도 1이나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조작 시작점부터 기록이 시작되어 버리기 때문에, 기록의 선두의 설정치는 표준치로 설정되어 버리고, 그 후의 조작에 관계없이, 표준치로부터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설정치밖에 설정할 수가 없었다. 그러나, 본 실시의 형태와 같이, 시작점을 설정함에 의해, 도 4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록의 시작 시점의 설정치를 표준치 이외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그 표준치가 아닌 설정치로부터, 연속적으로 설정치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된다.
또한, 종래의 기록 방식에서는, 설정치의 기록을 종료시킬 때, 사용자는, 조작하면서 기록을 종료시키는 기능을 갖는 종료 버튼을 조작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기록을 종료시키고 싶은 위치에서 조작을 멈추는 것이 어려웠다. 그러나, 본 실시의 형태와 같이, 종료점을 설정함에 의해, 사용자는 소망하는 종료 포인트를, 조작하면서 종료 버튼을 조작한다는 일 없이 설정할 수 있게 되어, 확실하게 소망하는 종료점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신 체인지가 있은 때부터 다음의 신 체인지까지의 사이, 환언하면, 1신의 사이에서, 설정정보 등을 기록하도록 하면, 신 내에서는 연속적으로 설정치를 변화시킬 수 있고, 다른 신 사이에서는 불연속으로 설정치를 변화시키는 것이, 사용자의 특별한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고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사용자는, 신마다, 소망하는 조작을, 신의 전환를 걱정하지 않고(신의 전환를 지시한다는 조작을 행하는 일 없이),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신 체인지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신 체인지 내에서 설정정보의 기록을 행하는 화상 처리 장치(13)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도 47은 도 5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에 기록 범위 지정 기능을 추가한 구성예를 도시하고, 도 48은 도 6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에 기록 범위 지정 기능을 추가한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47에서, 도 5와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고 그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도 47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는, 시작 조작 입력부(701), 신 체인지 검출부(702) 및 트리거부(703)를 도 5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에 추가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시작 조작 입력부(701)는, 조작정보 인식부(45)로부터의 조작정보를 해석하고, 사용자로부터 설정정보의 기록의 시작이 지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기록의 시작이 지시되었다고 판단된 때, 트리거부(703)를 준비 상태로 한다.
신 체인지 검출부(702)는, 화상 재생부(12)로부터 공급되는 화상을 해석하고, 신 체인지를 검출하고, 그 결과를 트리거부(703)에 공급한다. 트리거부(703)는 시작 조작 입력부(701)에 의해 준비 상태로 되어 있을 때에, 신 체인지 검출부(702)로부터 신 체인지를 검출하였다는 결과가 공급되면, 축적 블록(43)에 대해, 설정정보의 축적을 시작하도록 지시를 내리던지, 또는, 축적을 종료하도록 지시를 내린다.
도 48에서, 도 6과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고 그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도 48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는, 시작 조작 입력부(711), 신 체인지 검출부(712) 및 트리거부(713)를 도 6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에 추가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시작 조작 입력부(711)는, 조작정보 인식부(45)로부터의 조작정보를 해석하고, 사용자로부터 조작정보의 기록의 시작이 지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기록의 시작이 지시되었다고 판단된 때, 트리거부(713)를 준비 상태로 한다.
신 체인지 검출부(712)는, 화상 재생부(12)로부터 공급되는 화상을 해석하고, 신 체인지를 검출하고, 그 결과를 트리거부(713)에 공급한다. 트리거부(713)는, 시작 조작 입력부(711)에 의해 준비 상태로 되어 있을 때에, 신 체인지 검출부(712)로부터 신 체인지를 검출하였다는 결과가 공급되면, 축적 블록(151)에 대해 조작정보의 축적을 시작하도록 지시를 내리던지 또는 축적을 종료하도록 지시를 내린다.
다음에, 도 47, 도 48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의 동작에 관해, 도 49, 50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7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와 도 48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는 기본적으로 같은 동작이기 때문에, 도 49, 50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한 설명에서는 도 47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의 동작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49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신 체인지를 검출하고, 신 체인지에 응하여 기록을 시작 또는 종료하는 화상 처리 장치(13)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도 49에 도시한 플로우 차트의 처리는, 기본적으로 도 40의 플로우 차트와 같은 흐름이지만, 스텝 S702에서, 스텝 S522에서 실행되고 있던 트리거 처리 대신에 신 체인지에 관한 처리가 실행되는 점이 다르다.
앞서 설명한 스텝 S522에서 실행되는 트리거 처리는, 기록을 시작하는 시작 점과 기록을 종료하는 종료점이 사용자에 의해 지시되어 있고, 그 시작점과 종료점을 트리거로 하여, 설정정보 등의 기록이 제어되는 처리였지만, 스텝 S702로 실행되는 신 체인지에 관한 처리는, 트리거 처리에서의 시작점과 종료점이, 신 체인지가 검출된 시점이고, 신 체인지가 검출된 시점을 트리거로 하여, 설정정보 등의 기록이 제어되는 처리이다. 따라서, 스텝 S702 이외의 처리는, 도 40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행하여지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행하여지는 처리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스텝 S702에서 실행되는 신 체인지에 관한 처리에 관해 도 50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텝 S731에서, 기록 시작의 지시가 있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기록 시작의 지시란, 도 46B를 참조하여, 시점(T12)에서 내려지는 지시로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지시한 후의 신 체인지가 있은 시점부터 설정정보 등의 기록을 시작하는 것을 소망한 때에 내려지는 지시이다. 이 기록 시작의 지시는, 예를 들면, 리모트 컨트롤러(14)의 소정의 버튼이 조작됨에 의해 행하여진다.
시작 조작 입력부(701)는, 조작정보 인식부(45)로부터의 조작정보를 해석하고, 기록의 시작을 지시하는 조작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731에서, 기록의 시작을 지시하는 조작이라고 판단된 경우, 스텝 S732로 처리가 진행되고, 신 체인지 검출 플래그가 세워진다. 이 신 체인지 검출 플래그가 세워져 있는 동안은, 신 체인지 검출부(702)에 의해 신 체인지가 검출된다.
스텝 S732에서, 신 체인지 검출 플래그가 세워지면, 스텝 S733으로 처리가 진행된다. 스텝 S733에의 처리에는, 스텝 S731에서, 기록 시작의 지시는 없다고 판 단된 때에도 온다. 스텝 S733에서, 신 체인지 검출 플래그가 서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스텝 S733에서, 신 체인지 검출 플래그가 서 있다고 판단된 경우, 스텝 S734로 처리가 진행된다. 스텝 S734에서, 신 체인지가 있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신 체인지 검출부(702)는, 신 체인지 검출 플래그가 서 있을 때에는, 화상 재생부(12)로부터 공급되는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신 체인지가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734에서, 신 체인지는 없다고 판단된 경우, 신 체인지에 관한 처리가 종료되고, 스텝 S703(도 49)로 처리가 진행되고, 그 이후의 처리가 실행된다.
한편, 스텝 S734에서, 신 체인지가 있다고 판단된 경우, 스텝 S735로 처리가 진행되고, 기록중 플래그가 서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스텝 S735에서, 기록중 플래그는 서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스텝 S736으로 처리가 진행되고, 기록중 플래그가 세워진다. 그리고, 신 체인지에 관한 처리가 종료되고, 스텝 S703(도 49)으로 처리가 진행되고, 그 이후의 처리가 실행된다. 기록중 플래그가 세워짐으로서, 사용자에 의한 조작(편집)에 의한 설정정보 등의 기록이 시작된 상태로 된다.
한편, 스텝 S735에서, 기록중 플래그는 서 있다고 판단된 경우, 스텝 S737로 처리가 진행되고, 기록중 플래그가 내려진다. 이 경우, 기록중 플래그가 서 있다는 것은, 사용자에 의해 기록의 시작이 지시된 후, 신 체인지가 있고(1번째의 신 체인지가 있고), 기록이 시작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2번째의 신 체인지가 검출된 때에는, 기록을 종료시키기 위해, 세워져 있는 기록중 플래그가 내려진다.
이와 같이 기록중 플래그가 제어됨에 의해, 1번째의 신 체인지인 때에 기록이 시작되고, 2번째의 신 체인지인의 때에 기록이 종료되도록 제어된다.
스텝 S738에서, 신 체인지 검출 플래그가 내려진다. 그리고, 신 체인지에 관한 처리가 종료되어지고, 스텝 S703(도 49)으로 처리가 진행되고, 그 이후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와 같이, 신 체인지 검출 플래그가 제어됨에 의해, 사용자가 기록 시작의 지시를 한 후의 시점에서의 1신에서의 설정정보의 기록을 행한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설정정보 등의 기록을, 신 체인지를 검출함에 의해 제어함으로써, 기록의 시작시에는, 설정치를 표준치 이외로도 설정할 수 있고, 보다 효과적인 자유도가 높은 편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기록의 종료시도, 사용자는 기록을 종료시키기 위한 조작을, 편집을 위한 조작과 함께 행하지 않아도 좋기 때문에, 신의 전환기라는 컨텐츠의 단락에서, 정확하게 종료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키포인트의 지정에 의한 기록에 관해]
다음에, 키포인트이라는 개념을 도입한 편집에 관해 설명을 가한다. 키포인트란, 사용자가 편집의 전 또는 후에서 설정된 포인트이고, 그 설정된 키포인트 사이에서, 원활하게 설정치가 변화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포인트이다. 우선, 도 50A 내지 C를 참조하여, 키포인트의 설정과 설정된 키포인트 사이에서의 설정치의 기록에 관해 설명한다.
도 5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회째의 조작에서, 시점(T1)부터 컨텐츠에 대해 조작이 가하여진 경우, 시점(T1)부터 설정치가 기록된다. 설정치가 기록되기 전 또는 기록된 후(도 51A, B에서는, 후의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고 있다)의 시점에서, 도 51B에 도시한 바와 같은 키포인트가 지정된다.
키포인트로서는, 시점(T1)보다 후의 시점인 시점(T2), 시점(T4) 및 시점(T5)의 3개의 포인트가 지정된다. 이와 같이, 키포인트가 지정된 경우, 1회째의 조작에 관계없이, 도 5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정된 키포인트 사이에서, 원활하게 설정치가 변화하도록 설정치가 보간(補間)되고 기억된다.
시점(T1)부터 시점(T2)(키포인트)까지는, 서서히 설정치가 커지도록 보간되고 기억된다. 또한 시점(T2)부터 시점(T4)까지의 키포인트 사이도, 서서히 설정치가 커지도록 보간되고 기억된다. 도 51A의 상단을 참조하면, 시점(T1)보다 시점(T4)의 쪽이, 큰 설정치가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도 5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점(T1)부터 시점(T4)까지의 설정치로서는, 서서히 설정치가 상승하는 설정치가 기록된다.
키포인트로서 설정된 시점(T4)부터 시점(T5)까지는, 도 51A를 참조하면, 시점(T4)보다 시점(T5)의 쪽이, 작은 설정치가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도 5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점(T4)부터 시점(T5)까지의 설정치로서는, 서서히 설정치가 감소하는 설정치가 기록된다.
이와 같이, 키포인트가 설정되고, 그 설정된 키포인트 사이에서, 설정치가 서서히 변화하는 설정치가, 이미 기록되어 있는 또는 후에 기록되는 키포인트의 시점에서의 설정치에 의거하여 재설정되고 기억된다. 이와 같은 처리가 행하여짐으로써, 원활하게 변화한 설정치를 기록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설정된 키포인트 사이에서 원활하게 설정치가 변화하는 설정정보의 기록을 행하는 화상 처리 장치(13)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도 52는 도 5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에 키포인트에 의한 기록 범위 지정 기능을 추가한 구성예를 도시하고, 도 53은 도 6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에 키포인트에 의한 기록 범위 지정 기능을 추가한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2에서, 도 5와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고 그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도 52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는, 키포인트에 관한 처리를 실행하는 키포인트 지정부(801), 키포인트 축적부(802), 설정정보 보간부(803), 일시축적 블록(804) 및 동기 검출부(805)를 도 5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에 추가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일시축적 블록(804)은, 특징량 설정정보 기록부(811),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812) 및 특징량 설정정보 판독부(813)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일시축적 블록(804)은 축적 블록(43)과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키포인트가 설정된 후, 조작이 행하여지고, 그 후, 키포인트 사이의 설정정보가 보간되기 때문에, 조작이 행하여진 때의 설정치(동기 정보)가 일시적으로 기록된 후, 설정정보의 보간의 처리를 행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설정정보를 기록하여 둘 필요가 있고, 그 기록을, 일시축적 블록(804)이 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키포인트 지정부(801)는, 조작정보 인식부(45)로부터의 조작정보에 의거하여, 즉, 사용자의 지시에 의거하여, 키포인트의 지정(설정)에 관한 처리를 실행한다. 키포인트 축적부(802)는, 키포인트 지정부(801)에 의해 지정된 키포인트를 축 적한다. 설정정보 보간부(803)는, 키포인트 축적부(802)에 축적된 키포인트과, 일시축적 블록(804)에 축적된 설정정보를 참조하여, 키포인트 사이의 설정정보를 보간한다.
일시축적 블록(804)의 각 부분은, 축적 블록(43)과 같은 구성으로 되고, 설정정보를 보간할 때에 필요하게 되는 키포인트시의 설정정보 등을 일시적으로 축적한다. 또한, 동기 검출부(805)는, 동기 검출부(42)와 마찬가지로 동기를 검출한다.
도 53에서, 도 6과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고 그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도 53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는, 키포인트에 관한 처리를 실행하는 키포인트 지정부(841), 키포인트 축적부(842), 조작정보 보간부(843), 일시축적 블록(844) 및 동기 검출부(845)를 도 6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에 추가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일시축적 블록(844)은, 특징량 조작정보 기록부 851, 특징량 조작정보 축적부(852) 및 특징량 조작정보 판독부(853)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일시축적 블록(844)은, 축적 블록(151)과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키포인트가 설정된 후, 조작이 행하여지고, 그 후, 키포인트 사이의 조작정보가 보간되기 때문에, 조작이 행하여진 때의 동기 정보 등이 일시적으로 기록하여 둘 필요가 있고, 그 기록을, 일시축적 블록(844)이 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키포인트 지정부(841)는, 조작정보 인식부(45)로부터의 조작정보에 의거하여, 즉, 사용자의 지시에 의거하여, 키포인트의 지정(설정)에 관한 처리를 실행한다. 키포인트 축적부(842)는, 키포인트 지정부(841)에 의해 지정된 키포인트를 축 적한다. 조작정보 보간부(843)는, 키포인트 축적부(842)에 축적된 키포인트와, 일시축적 블록(844)에 축적된 조작정보를 참조하여, 키포인트 사이의 조작정보를 보간한다.
일시축적 블록(844)의 각 부분은, 축적 블록(151)과 같은 구성으로 되고, 조작정보를 보간할 때에 필요하게 되는 키포인트시의 조작정보 등을 일시적으로 축적한다. 또한, 동기 검출부(845)는 동기 검출부(42)와 마찬가지로 동기를 검출한다.
다음에, 도 52, 도 53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의 동작에 관해, 도 54, 55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2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와 도 53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는 기본적으로 같은 동작이기 때문에, 도 54, 55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한 설명에서는, 도 52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의 동작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경우, 키포인트가 설정된 후의 시점에서, 사용자에 의해 조작이 되고, 설정치가 기록되기 때문에, 우선, 도 54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키포인트의 설정과 기록에 관한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스텝 S801에서, 화상 재생부(12)로부터 입력되는 영상(프레임)에 대해, 특징량 추출 처리가 행하여진다. 스텝 S801에서 실행되는 특징량 추출 처리는, 도 11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 특징량 추출 처리와 마찬가지로 행하여지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스텝 S801의 처리에서 추출된 특징량은, 스텝 S802에서, 특징량 설정정보 축적부(812)에 기록된다.
스텝 S803에서, 키포인트가 지정되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키포인트 지정 부(801)는, 조작정보 인식부(45)에 의해 인식된 조작정보를 해석하고, 사용자의 조작은, 키포인트를 지정하는 조작이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키포인트는, 동화상을 구성하는 프레임중의, 사용자가 지시한 프레임에 설정된다.
스텝 S803에서, 키포인트가 지시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스텝 S804에서, 키포인트가 설정된 때의 화상으로부터 추출된 특징량이 기록된다. 키포인트 지정부(801)는, 키포인트가 지시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그 시점에서의 화상으로부터 추출된 특징량(동기용 특징량)(스텝 S801에서 추출된 특징량)을, 키포인트와 관련시켜서, 키포인트 축적부(802)에 축적시킨다. 또한, 이 때, 특징량 자체는, 일시축적 블록(804)에도 축적된다.
키포인트와 관련시켜져서 키포인트시의 특징량이 기록되면, 스텝 S805로 처리가 진행된다. 스텝 S805에의 처리는, 스텝 S803에서, 키포인트는 지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때에도 온다.
스텝 S805에서, 키포인트의 설정이 종료되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스텝 S805에서, 키포인트의 설정은 종료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스텝 S801로 처리가 되돌아오고, 다음 프레임에 대해, 같은 처리가 반복된다. 한편, 스텝 S805에서, 키포인트 설정의 종료가 지시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키포인트 기록의 처리는 종료된다.
또한, 스텝 S805에서, 키포인트의 설정이 종료되었는지의 여부의 판단은, 사용자에 의한 설정 종료의 지시가 있었는지의 여부가 판단됨에 의해 행하여지도록 하여도 좋고, 컨텐츠의 최후의 프레임까지 처리가 행하여진 때에는, 설정이 종료되 었다고 판단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여, 키포인트가 지시된 후에, 그 키포인트 사이에서 설정치가 원활하게 변화하도록 설정치의 기록이 제어될 때의 처리에 관해, 도 55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텝 S821에서, 특징량 추출 처리가 실행된다. 스텝 S821에서 실행되는 특징량 추출 처리는, 도 11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 특징량 추출 처리와 마찬가지로 행하여지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스텝 S822에서, 동기 검출 처리가 실행된다. 스텝 S822에서 실행되는 동기 검출 처리는, 도 13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 동기 검출 처리와 마찬가지로 행하여지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스텝 S823에서 키포인트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키포인트 축적부(802)에 축적되어 있는 키포인트(키포인트가 지시된 때의 동기용의 특징량)가 참조되고, 스텝 S823에서의 판단이 행하여진다. 스텝 S823에서 키포인트이라고 판단된 경우, 스텝 S824로 처리가 진행된다.
스텝 S824에서 설정치가 기록된다. 이 설정치는, 일시축적 블록(804)에, 키포인트이라고 관련시켜져서 기록된다. 후의 처리(스텝 S829의 처리)에서, 이 키포인트에 관련시켜진 설정치를 기준으로 하여 설정치의 보간이 행하여지기 때문에, 스텝 S824에서, 설정치가 키포인트와 관련시켜져서 일시축적 블록(804)에 기억된다.
스텝 S824의 처리가 종료되면, 또는 스텝 S823에서 키포인트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 스텝 S825로 처리가 진행된다. 스텝 S8245에서 조작정보가 취득되고, 스텝 S826에서 취득된 조작 내용이 설정치에 반영된다.
스텝 S828에서, 기록이 종료되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스텝 S828에서, 기록은 종료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스텝 S821로 처리가 되돌아오고,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한편, 스텝 S827에서, 기록이 종료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스텝 S828로 처리가 진행된다.
즉, 스텝 S821 내지 S827의 처리가 반복됨에 의해, 설정된 복수의 키포인트에서의 설정치가 기록되고, 그와 같은 설정치의 기록이 종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스텝 S828 이후의 처리가 행하여진다.
스텝 S828에서 설정치의 보간이 행하여진다. 설정정보 보간부(803)는, 일시축적 블록(804)에 축적되어 있는 설정치중, 키포인트이라고 관련시켜져 있는 설정치를 판독한다. 설정정보 보간부(803)는, 시간적으로 이웃하는 2개의 키포인트를 판독하고(필요에 응하여, 키포인트 축적부(802)에 축적되어 있는 키포인트의 특징량을 참조하여), 시간적으로 이웃하는 2개의 키포인트 사이의 설정정보를 보간함에 의해, 설정정보의 보간을 행한다.
예를 들면, 도 51C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키포인트하여 설정된 시점(T2)인 때의 설정정보와, 시점(T2)의 다음 시점에서 키포인트가 설정된 시점(T3)인 때의 설정정보가 이용되어, 시점(T2)과 시점(T3) 사이의 설정정보가 보간된다.
보간의 방법은, 어떤 방법을 적용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2개의 키포인트의 설정치를 직선으로 연결하는 보간, 다항식 근사, 스플라인, 베지에 등의 매끈한 곡선을 생성한 함수를 이용하여 2점을 곡선으로 연결하는 보간 등이 적용되고, 설정 정보의 보간이 행하여진다.
또한, 예를 들면, 이웃하는 키포인트의 간격이 긴 경우(소정의 임계치을 넘는 간격인 경우), 키포인트의 설정정보뿐만 아니라, 키포인트의 사이의 설정정보도 이용하여, 키포인트 사이의 설정정보가 보간되도록 하여도 좋다. 도 52나 도 5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 처리 장치(13)는, 일시축적 블록(804)(844)을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 일시축적 블록(804)(844)에 축적되어 있는 설정정보를 이용하여, 키포인트 이외의 설정정보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한다.
또한, 키포인트의 간격에 의해, 이용한 함수를 바꾸는 등으로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여, 스텝 S828에서의 처리에서 보간된 설정정보는, 스텝 S829에서, 축적 블록(43)에 공급되고 기록된다.
이와 같이, 키포인트를 설정하고, 설정된 키포인트 사이에서, 원활하게 설정정보가 변화하도록, 설정정보가 보간(생성)됨에 의해, 또한, 보간된 설정정보가 기록됨에 의해, 사용자는, 간편한 조작만으로, 원활하게 변화하는 조작 이력을 작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키포인트가 사용자의 조작의 후에 설정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에 의해, 우선, 영상에 대해 편집이 가하여지고, 편집의 후에, 키포인트가 설정되고, 키포인트가 설정된 후에, 설정정보의 보간이 행하여진다.
이와 같이 편집의 후에 키포인트가 기록되는 경우라도, 화상 처리 장치(13)의 구성은, 도 52나 도 53에 도시한 구성과 마찬가지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한다. 즉, 편집시의 설정정보(조작정보)는, 일시축적 블록(804)(844)에 축적된다. 일시축적 블록(804)(844)에 축적이 종료된 후에, 키포인트 축적부(802)(842)에 키포인트가 축적된다. 키포인트 축적부(802)(842)에의 키포인트의 축적이 종료된 후에, 설정정보 보간부(803)(조작정보 보간부(843))에 의해, 설정정보(조작정보)의 보간이 행하여지고 축적 블록(43)(151)에 설정정보(조작정보)가 축적된다.
따라서, 화상 처리 장치(13)는, 키포인트를 편집한 후에 설정하는 경우라도, 키포인트를 편집 전에 설정하는 경우와 같은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다음에, 도 52, 도 53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도 52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와 도 53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는 기본적으로 같은 동작이기 때문에, 도 52에 도시한 화상 처리 장치(13)의 동작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키포인트가 설정되기 전의 시점에서, 편집(조작)이 행하여지고, 일시축적 블록(804)에는 설정정보가 축적된다. 이 일시축적 블록(804)에 설정정보가 축적되기 까지의, 화상 처리 장치(13)의 동작은, 도 10의 플로우 차트의 처리와 마찬가지로 행하여지기 때문에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일시축적 블록(804)에 설정정보가 축적된 후의 시점에서 행하여지는 키포인트의 설정에 관한 처리에 관해, 도 56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텝 S901에서 특징량 추출 처리가 실행된다. 스텝 S901에서 실행되는 특징량 추출 처리는, 도 11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 특징량 추출 처리와 마찬가지로 행하여지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스텝 S902에서, 동기 검출 처리가 실행된다. 스텝 S902에서 실행되는 동기 검출 처리는, 도 13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 동기 검출 처리와 마찬가지로 행하여지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스텝 S903에서, 동기하였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스텝 S903에서, 동기하였다고 판단된 경우, 스텝 S904로 처리가 진행된다. 스텝 S904에서, 일시축적 블록(804)에 축적되어 있는 설정정보가 반영되고, 그 설정정보가 반영된 화상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스텝 S905에서, 키포인트가 지정되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이 판단은, 키포인트 지정부(801)에서, 도 54의 스텝 S803의 처리와 마찬가지로 판단된다.
스텝 S905에서, 키포인트가 지정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스텝 S906으로 처리가 진행된다. 스텝 S906에서 설정치가 기록된다. 이 스텝 S906의 처리는, 도 55의 스텝 S824의 처리와 마찬가지로 행하여진다. 즉, 지정된 키포인트인 때의 설정정보가, 키포인트와 관련시켜져서 일시축적 블록(804)에 기록된다(이 경우, 일시축적 블록(804)에 축적되어 있는 설정정보가, 키포인트와 관련시켜짐에 의해 갱신된다).
스텝 S903에서 동기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스텝 S905에서, 키포인트의 지정은 되어 있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 또는 스텝 S906에서 처리가 종료된 경우, 스텝 S907로 처리가 진행된다. 스텝 S907에서 기록이 종료되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스텝 S907에서, 기록은 종료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스텝 S901로 처리가 되돌아오고,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한편, 스텝 S907에서, 기록이 종료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스텝 S908로 처리가 진행된다.
기록이 종료되었다고 판단되는 것은, 사용자에 의해 지시된 때, 일시축적 블록(804)에 축적되어 있는 설정정보가 없어진 때 등이다.
스텝 S908에서 설정정보의 보간이 행하여지고, 스텝 S909에서 보간된 설정정보의 기록이 행하여진다. 이 스텝 S908과 스텝 S909의 처리는, 도 55의 스텝 S828과 스텝 S829의 처리와 마찬가지로 행하여지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키포인트를 편집의 후에 설정되도록 하였다고 하여도, 편집 전에 설정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키포인트 사이에서 설정정보를 원활하게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급격하게 변화하여 버리는 화상을 제공하는 것을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사용자에 의한 편집(조작)이 행하여진 때에, 설정치가 급격하게 변화하는 일이 없도록 제어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자유도가 높은 기록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그 기록은, 급격하게 화상이 변화하는 시청자에서 눈에 거슬리는 변화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기록 매체에 관해]
상술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지만,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키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전용의 하드웨어에 조립되어 있는 컴퓨터, 또는, 각종의 프로그램을 인스톨함으로써, 각종의 기능을 실행시키는 것이 가 능한, 예를 들면 범용의 퍼스널 컴퓨터 등에 기록 매체로부터 인스톨된다.
도 57은 화상 처리 장치(13)의 전기적인 내부 구성을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하는 경우의 퍼스널 컴퓨터의 한 실시의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퍼스널 컴퓨터의 CPU(1001)는, 퍼스널 컴퓨터의 전체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CPU(1001)는, 버스(1004)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1005)를 통하여 유저로부터 키보드나 마우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입력부(1006)로부터 지령이 입력되면, 그것에 대응하여 ROM(Read Only Memory)(1002)에 격납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또는 또한, CPU(1001)는, 드라이브(1010)에 접속된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또는 반도체 메모리를 포함하는 리무버블 디스크(1021)로부터 판독되고, 기억부(1008)에 인스톨된 프로그램을, RAM(Random Access Memory)(1003)에 로드하여 실행한다. 이로써, 상술한 화상 처리 장치(13)의 기능이,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어 있다. 또한, CPU(1001)는, 통신부(1009)를 제어하여, 외부와 통신하고, 데이터의 수수를 실행한다.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는, 도 5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컴퓨터와는 별도로, 유저에게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 배포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자기 디스크(플렉시블 디스크를 포함한다), 광디스크(CD-ROM(Compact Disc-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k)를 포함한다), 광자기 디스크(MD(Mini-Disc)를 포함한다), 또는 반도체 메모리를 포함하는 리무버블 미디어(1021) 등으로 이루어지는 패키지 미디어에 의해 구성될 뿐만 아니라, 컴퓨터에 미리 조립된 상태로 유저에게 제공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ROM(1002)나, 기억부(1008)에 포함되는 하드 디스크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을 기술하는 스텝은, 기재된 순서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행하여지는 처리는, 물론, 반드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지 않더라도, 병렬적 또는 개별적으로 실행되는 처리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 의하면, 화상에 효과를 주는 설정치가 급격하게 변화하는 일이 없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그와 같은 제어된 설정을 기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38)

  1. 화상으로부터 특징량을 추출하는 특징량 추출 수단과,
    상기 화상에 대해 처리를 가하기 위한 설정정보를 설정하는 설정 수단과,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상기 설정정보를 편집하는 편집 수단과,
    상기 화상의 특징량에 대응시켜서 상기 편집 수단에 의해 편집된 상기 설정정보를 데이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수단은,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한 설정이 종료될 때,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상기 제 1의 설정정보로부터, 설정정보의 표준이 되어 있는 제 2의 설정정보까지 서서히 변화하도록, 상기 제 1의 설정정보로부터 상기 제 2의 설정정보 사이의 설정정보를 편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수단은,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한 설정이 종료될 때, 그 시점에서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제 1의 설정정보로부터, 상기 제 1의 설정정보가 설정된 화상보다 후의 시점의 화상의 설정정보이고, 상기 데이터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제 2의 설정정보로, 서서히 변화하도록, 상기 제 1의 설정정보로부터 상기 제 2의 설정정보 사이의 설정정보를 편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수단은, 상기 제 1의 설정정보로부터 소정의 값을 감산 또는 가산한 제 3의 설정정보를, 상기 제 1의 설정정보에 대응하는 화상의 다음 시점에서의 화상의 설정정보로 하고,
    상기 제 3의 설정정보가 상기 제 2의 설정정보와 소정의 범위 내의 설정정보가 아닐 때, 상기 제 3의 설정정보로부터 다시 상기 소정의 값을 감산 또는 가산한 제 3의 설정정보를 다시 다음 시점에서의 화상의 설정정보로 하고,
    상기 제 3의 설정정보가 상기 제 2의 설정정보와 소정의 범위 내의 설정정보로 되었을 때, 상기 제 3의 설정정보를 상기 제 2의 설정정보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수단은,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상기 설정정보와, 그 설정정보가 설정된 화상과 동일한 화상으로 설정되고, 상기 데이터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설정정보를 가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수단에 의한 편집의 대상이 되는 기간의 시작 또는 종료를 지정하 는 키포인트를 설정하는 키포인트 설정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편집 수단은, 상기 키포인트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상기 키포인트 중, 인접하는 키포인트 사이에서, 한쪽의 키포인트의 설정정보로부터 다른쪽의 키포인트의 설정정보로 서서히 변화하도록 편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키포인트 설정 수단은,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한 기록이 행하여지기 전의 시점에서 상기 키포인트를 설정하거나, 또는,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한 기록이 행하여진 후의 시점에서 상기 키포인트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8. 화상으로부터 특징량을 추출하는 특징량 추출 스텝과,
    상기 화상에 대해 처리를 가하기 위한 설정정보를 설정하는 설정 스텝과,
    상기 설정 스텝의 처리에서 설정된 상기 설정정보를 편집하는 편집 스텝과,
    상기 화상의 특징량에 대응시켜서 상기 편집 스텝의 처리에서 편집된 상기 설정정보의 데이터 기록 매체에의 기록을 제어하는 기록 제어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9. 화상으로부터 특징량을 추출하는 특징량 추출 스텝과,
    상기 화상에 대해 처리를 가하기 위한 설정정보를 설정하는 설정 스텝과,
    상기 설정 스텝의 처리에서 설정된 상기 설정정보를 편집하는 편집 스텝과,
    상기 화상의 특징량에 대응시켜서 상기 편집 스텝의 처리에서 편집된 상기 설정정보의 데이터 기록 매체에의 기록을 제어하는 기록 제어 스텝을 포함하는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하고 있는 기록 매체.
  10. 화상으로부터 특징량을 추출하는 특징량 추출 스텝과,
    상기 화상에 대해 처리를 가하기 위한 설정정보를 설정하는 설정 스텝과,
    상기 설정 스텝의 처리에서 설정된 상기 설정정보를 편집하는 편집 스텝과,
    상기 화상의 특징량에 대응시켜서 상기 편집 스텝의 처리에서 편집된 상기 설정정보의 데이터 기록 매체에의 기록을 제어하는 기록 제어 스텝을 포함하는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11. 화상으로부터 특징량을 추출하는 특징량 추출 수단과,
    상기 화상에 대해 처리를 가하기 위한 설정정보를 설정하는 설정 수단과,
    상기 화상의 특징량에 대응시켜서 상기 설정정보를 데이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과,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해 상기 설정정보를 상기 데이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에 의거하여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한 기록을 제어하 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되는 상기 설정정보가 연속하여 동일한 경우,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되는 상기 설정정보가 상기 데이터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대응하는 설정정보에 근사한 경우, 또는,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되는 상기 설정정보가 설정정보의 표준이 되어 있는 설정정보에 근사한 경우,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해 상기 설정정보를 상기 데이터 기록 매체에 기록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한 기록을 시작시키는 시작점과, 종료시키는 종료점을 지정하는 지정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지정 수단에 의해 지정된 시작점부터,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해 상기 설정정보를 상기 데이터 기록 매체에 기록한다고 판단하고, 상기 지정 수단에 의해 지정된 종료점으로부터,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해 상기 설정정보를 상기 데이터 기록 매체에 기록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 수단은,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한 기록이 행하여지기 전의 시점에서 상기 시작점과 상기 종료점을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수단은, 일시적으로, 상기 데이터 기록 매체에 상기 설정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지정 수단은,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한 기록이 행하여진 후, 상기 시작점과 상기 종료점을 지정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일시적으로 상기 데이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상기 설정정보를, 상기 시작점부터 상기 데이터 기록 매체에 재기록하고, 상기 종료점에서 상기 데이터 기록 매체의 재기록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신 체인지(scene change)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신 체인지가 검출된 경우,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해 상기 설정정보가 상기 데이터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지 않은 때에는 기록을 시작시킨다고 판단하고,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해 상기 설정정보가 상기 데이터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을 때에는 기록을 종료시킨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17. 화상으로부터 특징량을 추출하는 특징량 추출 스텝과,
    상기 화상에 대해 처리를 가하기 위한 설정정보를 설정하는 설정 스텝과,
    상기 화상의 특징량에 대응시킨 상기 설정정보의 데이터 기록 매체에의 기록을 제어할 때, 상기 설정정보를 상기 데이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에 의거하여 기록을 제어하는 기록 제어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18. 화상으로부터 특징량을 추출하는 특징량 추출 스텝과,
    상기 화상에 대해 처리를 가하기 위한 설정정보를 설정하는 설정 스텝과,
    상기 화상의 특징량에 대응시킨 상기 설정정보의 데이터 기록 매체에의 기록을 제어할 때, 상기 설정정보를 상기 데이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에 의거하여 기록을 제어하는 기록 제어 스텝을 포함하는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하고 있는 기록 매체.
  19. 화상으로부터 특징량을 추출하는 특징량 추출 스텝과,
    상기 화상에 대해 처리를 가하기 위한 설정정보를 설정하는 설정 스텝과,
    상기 화상의 특징량에 대응시킨 상기 설정정보의 데이터 기록 매체에의 기록을 제어할 때, 상기 설정정보를 상기 데이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에 의거하여 기록을 제어하는 기록 제어 스텝을 포함하는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20. 화상으로부터 특징량을 추출하는 특징량 추출 수단과,
    상기 화상에 대한 처리를 지정하기 위한 조작을 하는 조작 수단과,
    상기 조작 수단의 조작 내용에 의해, 상기 화상에 대해 처리를 가하기 위한 설정정보를 설정하는 설정 수단과,
    상기 조작정보를 편집하는 편집 수단과,
    상기 화상의 특징량에 대응시켜서 상기 편집 수단에 의해 편집된 상기 조작정보를 데이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수단은, 상기 조작 수단에 의한 조작이 종료될 때, 그 시점에서의 제 1의 조작정보로부터, 조작정보의 표준이 되어 있는 제 2의 조작정보까지 서서히 변화하도록, 상기 제 1의 조작정보로부터 상기 제 2의 조작정보 사이의 조작정보를 편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수단은, 상기 조작 수단에 의한 조작이 종료될 때, 그 시점에서의 제 1의 조작정보로부터, 후의 시점의 조작정보이고, 상기 데이터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제 2의 조작정보로, 서서히 변화하도록, 상기 제 1의 조작정보로부터 상 기 제 2의 조작정보 사이의 조작정보를 편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수단은, 상기 제 1의 조작정보로부터 소정의 값을 감산 또는 가산한 제 3의 조작정보를, 상기 제 1의 조작정보에 대응하는 화상의 다음 시점에서의 화상의 조작정보로 하고,
    상기 제 3의 조작정보가 상기 제 2의 조작정보와 소정의 범위 내의 조작정보가 아닌 때, 상기 제 3의 조작정보로부터 다시 상기 소정의 값을 감산 또는 가산한 제 3의 조작정보를 다시 다음 시점에서의 화상의 조작정보로 하고,
    상기 제 3의 조작정보가 상기 제 2의 조작정보와 소정의 범위 내의 조작정보가 되었을 때, 상기 제 3의 조작정보를 상기 제 2의 조작정보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24.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수단은, 상기 조작정보와, 그 조작정보가 취득된 때의 화상과 동일한 화상으로부터 취득되고, 상기 데이터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조작정보를 가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25.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수단에 의한 편집의 대상이 되는 기간의 시작 또는 종료를 지정하는 키포인트를 설정하는 키포인트 설정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편집 수단은, 상기 키포인트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상기 키포인트 중, 인접하는 키포인트 사이에서, 한쪽의 키포인트의 조작정보로부터 다른쪽의 키포인트의 조작정보로 서서히 변화하도록 편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키포인트 설정 수단은,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한 기록이 행하여지기 전의 시점에서 상기 키포인트를 설정하거나, 또는,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한 기록이 행하여진 후의 시점에서 상기 키포인트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27. 화상으로부터 특징량을 추출하는 특징량 추출 스텝과,
    상기 화상에 대한 처리를 지정하기 위한 조작을 하는 조작 스텝과,
    상기 조작 스텝의 처리에서의 조작 내용에 의해, 상기 화상에 대해 처리를 가하기 위한 설정정보를 설정하는 설정 스텝과,
    상기 조작정보를 편집하는 편집 스텝과,
    상기 화상의 특징량에 대응시켜서 상기 편집 스텝의 처리에 의해 편집된 상기 조작정보의 데이터 기록 매체에의 기록을 제어하는 기록 제어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28. 화상으로부터 특징량을 추출하는 특징량 추출 스텝과,
    상기 화상에 대한 처리를 지정하기 위한 조작을 하는 조작 스텝과,
    상기 조작 스텝의 처리에서의 조작 내용에 의해, 상기 화상에 대해 처리를 가하기 위한 설정정보를 설정하는 설정 스텝과,
    상기 조작정보를 편집하는 편집 스텝과,
    상기 화상의 특징량에 대응시켜서 상기 편집 스텝의 처리에 의해 편집된 상기 조작정보의 데이터 기록 매체에의 기록을 제어하는 기록 제어 스텝을 포함하는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하고 있는 기록 매체.
  29. 화상으로부터 특징량을 추출하는 특징량 추출 스텝과,
    상기 화상에 대한 처리를 지정하기 위한 조작을 하는 조작 스텝과,
    상기 조작 스텝의 처리에서의 조작 내용에 의해, 상기 화상에 대해 처리를 가하기 위한 설정정보를 설정하는 설정 스텝과,
    상기 조작정보를 편집하는 편집 스텝과,
    상기 화상의 특징량에 대응시켜서 상기 편집 스텝의 처리에 의해 편집된 상기 조작정보의 데이터 기록 매체에의 기록을 제어하는 기록 제어 스텝을 포함하는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30. 화상으로부터 특징량을 추출하는 특징량 추출 수단과,
    상기 화상에 대한 처리를 지정하기 위한 조작을 하는 조작 수단과,
    상기 조작 수단의 조작 내용에 의해, 상기 화상에 대해 처리를 가하기 위한 설정정보를 설정하는 설정 수단과,
    상기 화상의 특징량에 대응시켜서 상기 조작정보를 데이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과,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해 상기 조작정보를 상기 데이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에 의거하여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한 기록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31.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조작 수단으로부터의 신호가 취득되지 않는 기간이 일정 시간 이상이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조작정보가 상기 데이터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대응하는 조작정보에 근사한 경우, 또는, 상기 조작정보가 조작정보의 표준이 되어 있는 조작정보에 근사한 경우,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해 상기 조작정보를 상기 데이터 기록 매체에 기록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32.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한 기록을 시작시키는 시작점과, 종료시키는 종료점을 지정하는 지정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지정 수단에 의해 지정된 시작점부터,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해 상기 조작정보를 상기 데이터 기록 매체에 기록한다고 판단하고, 상기 지정 수단에 의해 지정된 종료점으로부터,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해 상기 조작정보를 상기 데이터 기록 매체에 기록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33.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 수단은,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한 기록이 행하여지기 전의 시점에서 상기 시작점과 상기 종료점을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34.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수단은, 일시적으로, 상기 데이터 기록 매체에 상기 조작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지정 수단은,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한 기록이 행하여진 후, 상기 시작점과 상기 종료점을 지정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일시적으로 상기 데이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상기 조작정보를, 상기 시작점부터 상기 데이터 기록 매체에 재기록하고, 상기 종료점에서 상기 데이터 기록 매체의 재기록을 종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35. 제 34항에 있어서,
    신 체인지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신 체인지가 검출된 경우,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해 상기 조작정보가 상기 데이터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지 않은 때에는 기록을 시작시킨다고 판단하고,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해 상기 조작정보가 상기 데이터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을 때에는 기록을 종료시킨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36. 화상으로부터 특징량을 추출하는 특징량 추출 스텝과,
    상기 화상에 대한 처리를 지정하기 위한 조작을 하는 조작 스텝과,
    상기 조작 스텝의 조작 내용에 의해, 상기 화상에 대해 처리를 가하기 위한 설정정보를 설정하는 설정 스텝과,
    상기 조작정보를 상기 데이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에 의거하여 기록을 제어하는 기록 제어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37. 화상으로부터 특징량을 추출하는 특징량 추출 스텝과,
    상기 화상에 대한 처리를 지정하기 위한 조작을 하는 조작 스텝과,
    상기 조작 스텝의 조작 내용에 의해, 상기 화상에 대해 처리를 가하기 위한 설정정보를 설정하는 설정 스텝과,
    상기 조작정보를 상기 데이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에 의거하여 기록을 제어하는 기록 제어 스텝을 포함하는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하고 있는 기록 매체.
  38. 화상으로부터 특징량을 추출하는 특징량 추출 스텝과,
    상기 화상에 대한 처리를 지정하기 위한 조작을 하는 조작 스텝과,
    상기 조작 스텝의 조작 내용에 의해, 상기 화상에 대해 처리를 가하기 위한 설정정보를 설정하는 설정 스텝과,
    상기 조작정보를 상기 데이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에 의거하여 기록을 제어하는 기록 제어 스텝을 포함하는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KR1020070044461A 2006-05-11 2007-05-08 화상 처리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 KR1014106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32713A JP4826333B2 (ja) 2006-05-11 2006-05-11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JP-P-2006-00132713 2006-05-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9867A true KR20070109867A (ko) 2007-11-15
KR101410611B1 KR101410611B1 (ko) 2014-06-20

Family

ID=38434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4461A KR101410611B1 (ko) 2006-05-11 2007-05-08 화상 처리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073274B2 (ko)
EP (1) EP1855487A2 (ko)
JP (1) JP4826333B2 (ko)
KR (1) KR101410611B1 (ko)
CN (1) CN10107159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91506B2 (ja) * 2007-12-07 2012-08-0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編集装置及び画像編集方法
JP2010057017A (ja) * 2008-08-29 2010-03-11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US9141859B2 (en) 2008-11-17 2015-09-22 Liveclips Llc Method and system for segmenting and transmitting on-demand live-action video in real-time
US9141860B2 (en) * 2008-11-17 2015-09-22 Liveclips Llc Method and system for segmenting and transmitting on-demand live-action video in real-time
KR101643602B1 (ko) * 2009-06-24 2016-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구도 가이드 방법 및 장치, 및 디지털 촬영 장치
US9367745B2 (en) 2012-04-24 2016-06-14 Liveclips Llc System for annotating media content for automatic content understanding
US20130283143A1 (en) 2012-04-24 2013-10-24 Eric David Petajan System for Annotating Media Content for Automatic Content Understanding
CN103531216A (zh) * 2012-07-04 2014-01-22 瀚宇彩晶股份有限公司 影音播放装置以及方法
JP2014075680A (ja) * 2012-10-03 2014-04-24 Sony Corp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3945134B (zh) * 2014-05-16 2017-08-01 深圳市东方拓宇科技有限公司 一种照片的拍摄和查看方法及其终端
CN109615309B (zh) * 2018-09-25 2022-11-01 创新先进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录制方法及装置、一种计算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99322A (en) * 1990-02-27 1992-03-2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cene change detection system and method
US5404316A (en) * 1992-08-03 1995-04-04 Spectra Group Ltd., Inc. Desktop digital video processing system
JP4227241B2 (ja) * 1999-04-13 2009-02-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
US6424789B1 (en) * 1999-08-17 2002-07-2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fast forward and slow motion speed changes in a video stream based on video content
WO2001015459A1 (en) * 1999-08-24 2001-03-01 Fujitsu Limited Time-varying image processor, its method, and recorded medium
US7020381B1 (en) * 1999-11-05 2006-03-2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Video editing apparatus and editing method for combining a plurality of image data to generate a series of edited motion video image data
GB2374748A (en) * 2001-04-20 2002-10-23 Discreet Logic Inc Image data editing for transitions between sequences
JP2003202944A (ja) 2001-10-31 2003-07-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動作指示装置
US20040240562A1 (en) * 2003-05-28 2004-12-02 Microsoft Corporation Process and system for identifying a position in video using content-based video timelines
US7725828B1 (en) * 2003-10-15 2010-05-25 Apple Inc. Application of speed effects to a video presentation
JP2006109005A (ja) * 2004-10-04 2006-04-20 Canon Inc 画像出力装置および撮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71599A (zh) 2007-11-14
KR101410611B1 (ko) 2014-06-20
EP1855487A2 (en) 2007-11-14
CN101071599B (zh) 2012-09-26
US20080019594A1 (en) 2008-01-24
JP2007306313A (ja) 2007-11-22
US8073274B2 (en) 2011-12-06
JP4826333B2 (ja) 2011-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26333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670683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データ記録媒体、プログラム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4816140B2 (ja) 画像処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撮像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US8036470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4735388B2 (ja) 再生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309021B1 (ko) 화상 처리 장치 및 방법과 프로그램 기록 매체
US8401302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7194191B2 (en)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JP2007096675A (ja) 情報記録再生装置
US2006005674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diting moving image data
JP2008167256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973935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7974514B2 (en) Image data processing device and image data processing method
JP2007243259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6339720A (ja) 動画像処理装置
JP2004208172A (ja) 映像情報処理装置及び映像情報処理方法
JP2007174185A (ja) ダビング装置
JP2003289501A (ja) 動画取り込み装置、方法及び記憶媒体
JP2006253803A (ja) 情報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