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9807A - 현수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기구 - Google Patents

현수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9807A
KR20070109807A KR1020070026144A KR20070026144A KR20070109807A KR 20070109807 A KR20070109807 A KR 20070109807A KR 1020070026144 A KR1020070026144 A KR 1020070026144A KR 20070026144 A KR20070026144 A KR 20070026144A KR 20070109807 A KR20070109807 A KR 200701098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lide packing
opening
sl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6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아키 가메자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디케이 플라스틱
김성종
비에스 도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디케이 플라스틱, 김성종, 비에스 도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디케이 플라스틱
Publication of KR20070109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98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5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 E05D15/565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for raising wings before sli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Abstract

(과제)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일본국 특허출원 2005-304446호의 "현수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기구"에 있어서, 마루면에 밀착시켜서 출입구를 밀봉한 상태로 하기 위해서 도어의 하단부에 구비한 슬라이드 패킹에 대해서 그 밀봉기능에 과제가 있었다.
(해결수단) 현수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기구에 있어서, 볼트(25)를 슬라이드 패킹용 브래킷(21)의 정면판(22)에 설정길이로 형성한 세로 장공(24)을 통해서 도어(3)에 고착함에 의해서, 좁고 긴 저판(23)의 하면에 그 길이방향으로 좁고 긴 판형상의 슬라이드 패킹(19)이 부착되는 상기 슬라이드 패킹용 브래킷(21)을 상기 세로 장공(24)의 안내에 따라서 설정길이만큼 상하이동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상기 슬라이드 패킹(19)을 상기 도어(3)의 하단부의 하면에 위치시키도록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 패킹용 브래킷(21)이 상기 도어(3)의 개폐이동에 따른 상하이동에 연동하여 자중에 의해서 하상이동되도록 함으로써, 항상 상기 슬라이드 패킹(19)이 마루면(20)에 밀착되어 출입구(2)를 밀봉한 상태로 하도록 한 현수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기구에 의해서 과제를 해결하였다.

Description

현수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기구{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OF SUSPENDED SLIDING TYPE DOOR}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한 벽체 및 도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을 우측면에서 본 도면으로서, (a)는 도어의 개방상태를 (b)는 도어의 폐쇄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도 1을 평면에서 본 도면으로서, 도어의 개방과 폐쇄의 작용 설명도
도 4는 평행사변형 힌지의 정면도
도 5는 도 4의 측면도
도 6은 도 1의 양 평행사변형 힌지를 연결판으로 연결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정면도
도 7은 도 6을 우측면에서 본 도면으로서, (a)는 도어의 개방상태를 (b)는 도어의 폐쇄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A - 평행사변형 힌지 1 - 벽체
2 - 출입구 3 - 도어
4 - 하판 5 - 상판
6 - 브래킷 7 - 롤러
8 - 레일 9 - 가이드 레일
10 - 벽체의 전면 11 - 브래킷
12 - 가이드 롤러 13 - 전판(前板)
14 - 후판 15 - 연결판
16 - 상부 회전축 17 - 하부 회전축
18 - 패킹 19 - 슬라이드 패킹
20 - 마루면 21 - 슬라이드 패킹용 브래킷
22 - 정면판 23 - 저판
24 - 세로 장공 25 - 볼트
26 - L형 가이드 플레이트
특허문헌 1 : 일본국 공개특허 평5-52072호
특허문헌 2 : 일본국 공개특허 평7-224570호
특허문헌 3 : 일본국 특허출원 2005-304446호
본 발명은 조립식 건물, 그 외 각종 냉동ㆍ냉장고, 냉동ㆍ냉장창고, 클린룸 등의 출입구에 사용되는 현수(懸垂) 미닫이식 도어(이른바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어의 하단부에, 도어의 개폐이동에 따른 이 도어의 상하이동에 연동하여 하상이동함에 의해서 항상 슬라이드 패킹을 마루면에 밀착시켜서 출입구를 밀봉한 상태로 하는 슬라이드 패킹용 브래킷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기구에 관한 것이다.
현재 조립식 건물, 그 외 각종 냉동ㆍ냉장고, 냉동ㆍ냉장창고, 클린룸 등의 벽체의 출입구에 현수 미닫이식 도어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현수 미닫이식 도어는, 도어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롤러를 벽체 측에 수평 설치한 레일에 걸어서 도어를 개폐이동 가능하게 현수한 것이기 때문에, 통상의 이동위치에서는 대형ㆍ중량의 도어라 하더라도 작은 힘으로 용이하게 개폐이동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런데, 상기 현수 미닫이식 도어에서는 도어의 폐쇄시에 벽체의 출입구를 밀봉되게 폐색하기 위해서, 도어의 후면의 주연부(周緣部)에 부착한 패킹을 벽체의 출입구의 주연부에 밀착시킴과 아울러 도어의 하단부에 부착한 슬라이드 패킹을 마루면에 밀착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는 도어의 개방시에 도어를 그대로 개방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 특히 대형ㆍ중량의 도어를 이동시킬 경우에는 벽체의 전면 및 마루면과 각 패킹의 마찰에 의해서 용이하게 이동시키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도어의 개방시에는 도어를 벽체의 전면에서 약간 떨어뜨림과 동시에 도어의 하단부를 마루면에서 약간 끌어올리도록 하면서 이동시키도록 구성할 필요가 있었으며, 이 점이 과제로 되어 왔었다.
그래서, 본 출원인은 본 발명에 앞서 출원한 일본국 특허출원 2005-304446호 "현수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기구"에 의해서 상기한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였다.
그런데, 상기 일본국 특허출원 2005-304446호의 "현수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기구"에 있어서는, 마루면에 밀착시켜서 출입구를 밀봉한 상태로 하기 위해서 도어의 하단부에 구비한 슬라이드 패킹에 대해서 그 밀봉기능에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다음과 같은 본 발명의 기구에 의해서 유효하게 해결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각종 벽체(1)의 출입구(2)에 장착하는 현수 미닫이식 도어(3)의 개폐기구로서,
상하ㆍ전후로 평행한 상하전후판(5,4,13,14)을 2개의 상부 회전축(16,16)과 2개의 하부 회전축(17,17)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부착하여 사각형에서 평행사변형(마름모꼴)으로 변형 가능하게 한 평행사변형 힌지(A)를 도어(3)의 상단부에 그 하판(4)을 고착함에 의해서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평행사변형 힌지(A)의 상판(5) 상에 고착된 브래킷(6)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롤러(7)를 벽체(1)의 출입구(2)의 상측 위치에서 도어의 개방방향으로 수평하게 설치한 레일(8)에 걸음으로써, 상기 도어(3)를 평행사변형 힌지(A)를 통해서 레일(8)에 현수함과 아울러 레일(8) 상의 롤러(7)의 전동에 의해서 개폐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출입구(2)의 상연부(上緣部)와 상기 레일(8)의 중간위치에 상기 레일과 평행한 가이드 레일(9)을 설치하되, 상기 가이드 레일(9)에 있어서의 상기 출입구(2)에 대응하는 부분은 벽체(1)의 전면(10)에서 직각방향으로 낮게 되도록 형성함과 아울러 도어의 개방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은 벽체(1)의 전면(10)에서 직각방향으로 높게 되도록 형성하는 한편, 상기 도어(3)의 상단부에 고착된 브래킷(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가이드 롤러(12)가 상기 가이드 레일(9) 상을 밀접하게 전동하도록 구성하고,
도어(3)를 출입구(2)의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이동시키면, 도어(3)와 일체로 된 가이드 롤러(12)가 가이드 레일(9) 상의 낮은 위치에서 높은 위치로 점차 타고 올라가도록 전동함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 롤러(12)의 상기 타고 올라가는 상승력에 의해서 상기 평행사변형 힌지(A)의 전후판(13,14)을 상하부 회전축(16,17)을 지지점으로 하여 설정각도만큼 평행하게 요동시킴으로써, 도어(3)를 직각방향으로 밀어내어 벽체(1)의 전면(10)에서 설정치수만큼 떨어뜨림과 동시에 하판(4)과 일체로 되어 있는 도어(3)를 설정치수만큼 상승시키는 개방상태로 하고, 반대로 도어(3)를 출입구(2)의 개방위치에서 폐쇄위치로 이동시키면, 도어(3)와 일체로 된 가이드 롤러(12)가 가이드 레일(9) 상의 높은 위치에서 낮은 위치로 타고 내려오도록 전동함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 롤러(12)의 상기 타고 내려오는 하강력에 의해서 상기 상승력이 해제되어 상기 평행사변형 힌지(A)의 전후판(13,14)이 상하부 회전축(16,17)을 지지점으로 하여 복원되도록 요동함으로써, 도어(3)가 자중(自重)에 의해서 벽체(1)의 전면(10)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하판(4)과 일체로 되어 있는 도어(3)가 설정치수만큼 복원되도록 하강하고, 이것에 의해서 도어(3)의 후면의 주연부에 부착된 패킹(18)이 벽체(1)의 출입구(2)의 주연부에 밀착되어 출입구(2)를 밀봉하는 폐쇄상태로 하는 현수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기구에 있어서,
상기 도어(3)의 하단부의 길이와 같은 길이로 된 폭이 좁은 정면판(22)과 저판(23)에 의해서 단면 L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저판(23)의 하면에 그 길이방향으로 1장 이상의 폭이 좁고 긴 판형상의 유연한 슬라이드 패킹(19)을 착탈 교환 가능하게 부착한 슬라이드 패킹용 브래킷(21)을 구비하되,
상기 슬라이드 패킹용 브래킷(21)의 정면판(22)의 좌우단부 부근에 세로 장공(24)을 설정길이로 형성하고, 볼트(25)를 상기 세로 장공(24)을 통해서 도어(3)의 정면측 하단부에 고착함에 의해서, 상기 슬라이드 패킹용 브래킷(21)을 세로 장공(24)의 안내에 따라서 설정길이만큼 상하이동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상기 슬라이드 패킹(19)이 상기 도어(3)의 하단부의 하면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도어(3)를 출입구(2)의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이동시킴에 따라서 상기 평행사변형 힌지(A)가 설정각도만큼 평행하게 요동하여 상기 도어(3)를 설정치수만큼 상승시키면, 상기 슬라이드 패킹용 브래킷(21)이 상기 도어(3)의 설정치수만큼 상승함에 연동하여 같은 치수만큼 하강이동되게 하고,
반대로 상기 도어(3)를 출입구(2)의 개방위치에서 폐쇄위치로 이동시킴에 따 라서 상기 평행사변형 힌지(A)가 설정각도만큼 평행하게 요동하여 상기 도어(3)를 설정치수만큼 하강시키면, 상기 슬라이드 패킹용 브래킷(21)이 상기 도어(3)의 설정치수만큼 하강함에 연동하여 같은 치수만큼 상승이동되게 하고,
이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 패킹용 브래킷(21)이 상기 도어(3)의 개폐이동에 따른 상하이동에 연동하여 하상이동되게 함으로써, 항상 상기 슬라이드 패킹(19)이 마루면(20)에 밀착되어 출입구(2)를 밀봉한 상태로 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기구』에 의해서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현수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기구에 있어서, 상기 도어(3)의 하단부의 길이와 같은 길이로 된 폭이 좁은 정면판(22)과 저판(23)에 의해서 단면 L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저판(23)의 하면에 그 길이방향으로 2장의 폭이 좁고 긴 판형상의 유연한 슬라이드 패킹(19)을 전후 평행하게 착탈 교환 가능하게 부착한 슬라이드 패킹용 브래킷(21)을 구비하되, 상기 슬라이드 패킹용 브래킷(21)의 정면판(22)의 좌우단부 부근에 세로 장공(24)을 설정길이로 형성하고, 볼트(25)를 상기 세로 장공(24)을 통해서 도어(3)의 정면측 하단부에 고착함에 의해서, 상기 슬라이드 패킹용 브래킷(21)을 세로 장공(24)의 안내에 따라서 설정길이만큼 상하이동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상기 슬라이드 패킹(19)이 상기 도어(3)의 하단부의 하면에 위치하도록 한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한 벽체 및 도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 도, 도 2는 도 1을 우측면에서 본 도면으로서 (a)는 도어의 개방상태를 (b)는 도어의 폐쇄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도 1을 평면에서 본 도면으로서 도어의 개방과 폐쇄의 작용 설명도, 도 4는 평행사변형 힌지의 정면도, 도 5는 도 4의 측면도, 도 6은 도 1의 양 평행사변형 힌지를 연결판으로 연결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정면도, 도 7은 도 6을 우측면에서 본 도면으로서 (a)는 도어의 개방상태를 (b)는 도어의 폐쇄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A는 평행사변형 힌지, 1은 벽체, 2는 출입구, 3은 도어, 4는 하판, 5는 상판, 6은 브래킷, 7은 롤러, 8은 레일, 9는 가이드 레일, 10은 벽체의 전면, 11은 브래킷, 12는 가이드 롤러, 13은 전판, 14는 후판, 15는 연결판, 16은 상부 회전축, 17은 하부 회전축, 18은 패킹, 19는 슬라이드 패킹, 20은 마루면, 21은 슬라이드 패킹용 브래킷, 22는 정면판, 23은 저판, 24는 세로 장공, 25는 볼트, 26은 L형 가이드 플레이트이다.
본 실시형태의 현수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기구는, 도 1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3)의 상단부의 좌우단부 부근에 평행사변형 힌지(A)를 그 하판(4)을 도어(3)의 상단부에 고착함에 의해서 각각 설치하고, 그 상판(5) 상에 고착한 브래킷(6)에 롤러(7)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각 롤러(7)를 벽체(1)의 출입구(2)의 상측 위치에 도어의 개방방향으로 수평하게 설치한 레일(8)에 걸어서 상기 도어(3)를 양 평행사변형 힌지(A)를 통해서 레일(8)에 현수함과 아울러 레일(8) 상의 롤러(7)의 전동에 의해서 개폐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고,
상기 출입구(2)의 상연부와 상기 레일(8)의 대략 중간위치에 상기 레일(8)과 평행한 가이드 레일(9)를 설치하되, 이 가이드 레일(9)에 있어서의 상기 출입구(2)에 대응하는 부분은 벽체(1)의 전면(10)에서 직각방향으로 낮게 되도록 형성함과 아울러 도어의 개방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은 벽체(1)의 전면(10)에서 직각방향으로 높게 되도록 형성하는 한편(도 3 참조), 상기 도어(3)의 상단부의 양 평행사변형 힌지(A,A)의 중간위치에 고착한 브래킷(11)에 상기 가이드 레일(9) 상을 밀접하게 전동하는 가이드 롤러(12)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또, 양 평행사변형 힌지(A,A)의 각 전판(13,13) 및 각 상판(5,5)을 연결판(15,15)으로 각각 연결 고정하여(도 6, 도 7 참조) 구성한 것으로서,
도어(3)를 출입구(2)의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이동시키면, 도어(3)와 일체로 된 가이드 롤러(12)가 가이드 레일(9) 상의 낮은 위치에서 높은 위치로 점차 타고 올라가도록 전동함과 동시에, 이 가이드 롤러(12)의 상기 타고 올라가는 상승력에 의해서 평행사변형 힌지(A)의 전후판(13,14)을 상부 회전축(16,16)과 하부 회전축(17,17)을 지지점으로 하여 설정각도만큼 평행하게 요동시킴으로써, 도어(3)를 직각방향으로 밀어내어 벽체(1)의 전면(10)에서 설정치수만큼 떨어뜨림과 동시에 하판(4)과 일체로 되어 있는 도어(3)를 설정치수만큼 상승시키는 개방상태로 하고,
반대로, 도어(3)를 출입구(2)의 개방위치에서 폐쇄위치로 이동시키면, 가이드 롤러(12)가 가이드 레일(9) 상의 높은 위치에서 낮은 위치로 타고 내려오도록 전동함과 동시에, 이 가이드 롤러(12)의 상기 타고 내려오는 하강력에 의해서 상기 상승력이 해방되어 평행사변형 힌지(A)의 전후판(13,14)이 상부 회전축(16,16)과 하부 회전축(17,17)을 지지점으로 하여 복원되도록 요동함으로써, 도어(3)는 자중 (自重)에 의해서 벽체(1)의 전면(10)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하판(4)과 일체로 되어 있는 도어(3)가 설정치수만큼 복원되도록 하강하고, 이것에 의해서 도어(3)의 후면의 주연부에 부착된 패킹(18)이 벽체(1)의 출입구(2)의 주연부에 밀착되어 출입구(2)를 밀봉하는 폐쇄상태로 한 것이다.
즉, 도어(3)의 상단부의 좌우단부 부근에 평행사변형 힌지(A,A)를 각각 설치함과 아울러 양 평행사변형 힌지(A,A)의 각 전판(13,13) 및 각 상판(5,5)을 연결판(15,15)으로 각각 연결 고정함으로써, 도어(3)를 개폐이동시킬 때에 가이드 롤러(12)가 가이드 레일(9) 상의 고저위치를 상승ㆍ하강하도록 전동되고, 이것에 의해서 도어(3)가 벽체(1)의 전면(10)에서 직각방향으로 이격(離隔)ㆍ접근하도록 이동할 때에 양 평행사변형 힌지(A,A)의 전후판(13,13,14,14)을 동시에 평행하게 요동ㆍ복원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도어(3)의 좌우단부가 뒤틀리는 일 없이, 도어(3)가 벽체(1)의 전면(10)에 대해서 항상 평행하게 개폐이동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현수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기구에 있어서는, 도어(3)의 하단부의 길이와 거의 같은 길이로 된 폭이 좁은 정면판(22)과 저판(23)에 의해서 단면 L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저판(23)의 하면에 그 길이방향으로 2장의 폭이 좁고 긴 판형상의 유연한 슬라이드 패킹(19)을 전후 평행하게 착탈 교환 가능하게 부착한 슬라이드 패킹용 브래킷(21)을 구비하되, 상기 슬라이드 패킹용 브래킷(21)의 정면판(22)의 좌우단부 부근에 세로 장공(24)을 설정길이로 형성하고, 볼트(25)를 상기 세로 장공(24)을 통해서 도어(3)의 정면측 하단부에 고착함에 의해서, 상기 슬라이드 패킹용 브래킷(21)을 세로 장공(24)의 안내에 따라서 설정 길이만큼 상하이동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상기 슬라이드 패킹(19)이 상기 도어(3)의 하단부의 하면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도어(3)를 출입구(2)의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이동시킴에 따라서 상기 평행사변형 힌지(A)가 설정각도만큼 평행하게 요동하여 상기 도어(3)를 설정치수만큼 상승시키면, 상기 슬라이드 패킹용 브래킷(21)이 상기 도어(3)의 설정치수만큼 상승함에 연동하여 자중(또는 스프링의 탄지력 등)에 의해서 같은 치수만큼 하강이동되게 하고, 반대로 상기 도어(3)를 출입구(2)의 개방위치에서 폐쇄위치로 이동시킴에 따라서 상기 평행사변형 힌지(A)가 설정각도만큼 평행하게 요동하여 상기 도어(3)를 설정치수만큼 하강시키면, 상기 슬라이드 패킹용 브래킷(21)이 상기 도어(3)의 설정치수만큼 하강함에 연동하여 자중(또는 스프링의 탄지력 등)에 의해서 같은 치수만큼 상승이동되게 한 것이다.
즉, 상기 슬라이드 패킹용 브래킷(21)이 상기 도어(3)의 개폐이동에 따른 상하이동에 연동하여 자중(또는 스프링의 탄지력 등)에 의해서 하상이동되게 함으로써, 항상 상기 슬라이드 패킹(19)이 마루면(20)에 밀착되어 출입구(2)를 밀봉한 상태로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부호 26은 브래킷(21) 및 슬라이드 패킹(19)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L형 가이드 플레이트이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조립식 건물, 그 외 각종 냉동ㆍ냉장고, 냉동ㆍ냉장창고, 클린룸 등의 출입구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현수 미닫이식 도어(슬라이딩 도어)에 있어서, 특히 대형 ㆍ중량의 도어에서부터 소형ㆍ경량의 도어에 이르기까지 모든 현수 미닫이식 도어용 개폐기구의 슬라이드 패킹용 브래킷으로서 범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슬라이드 패킹용 브래킷은 현수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이동에 따른 상기 도어의 상하이동에 연동하여 하상이동함에 의해서 항상 상기 슬라이드 패킹을 마루면에 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따라서 항시 출입구를 극히 유효하게 밀봉한 상태로 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각종 벽체의 출입구에 장착하는 현수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기구로서,
    상하ㆍ전후로 평행한 상하전후판을 2개의 상부 회전축과 2개의 하부 회전축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부착하여 사각형에서 평행사변형(마름모꼴)으로 변형 가능하게 한 평행사변형 힌지를 도어의 상단부에 그 하판을 고착함에 의해서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평행사변형 힌지의 상판 상에 고착된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롤러를 벽체의 출입구의 상측 위치에서 도어의 개방방향으로 수평하게 설치한 레일에 걸음으로써, 상기 도어를 평행사변형 힌지를 통해서 레일에 현수함과 아울러 레일 상의 롤러의 전동에 의해서 개폐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출입구의 상연부와 상기 레일의 중간위치에 상기 레일과 평행한 가이드 레일을 설치하되, 상기 가이드 레일에 있어서의 상기 출입구에 대응하는 부분은 벽체의 전면에서 직각방향으로 낮게 되도록 형성함과 아울러 도어의 개방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은 벽체의 전면에서 직각방향으로 높게 되도록 형성하는 한편, 상기 도어의 상단부에 고착된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가이드 롤러가 상기 가이드 레일 상을 밀접하게 전동하도록 구성하고,
    도어를 출입구의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이동시키면, 도어와 일체로 된 가이드 롤러가 가이드 레일 상의 낮은 위치에서 높은 위치로 점차 타고 올라가도록 전동함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 롤러의 상기 타고 올라가는 상승력에 의해서 상기 평행사변형 힌지의 전후판을 상하부 회전축을 지지점으로 하여 설정각도만큼 평행 하게 요동시킴으로써, 도어를 직각방향으로 밀어내어 벽체의 전면에서 설정치수만큼 떨어뜨림과 동시에 하판과 일체로 되어 있는 도어를 설정치수만큼 상승시키는 개방상태로 하고,
    반대로, 도어를 출입구의 개방위치에서 폐쇄위치로 이동시키면, 도어와 일체로 된 가이드 롤러가 가이드 레일 상의 높은 위치에서 낮은 위치로 타고 내려오도록 전동함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 롤러의 상기 타고 내려오는 하강력에 의해서 상기 상승력이 해제되어 상기 평행사변형 힌지의 전후판이 상하부 회전축을 지지점으로 하여 복원되도록 요동함으로써, 도어가 자중에 의해서 벽체의 전면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하판과 일체로 되어 있는 도어가 설정치수만큼 복원되도록 하강하고, 이것에 의해서 도어의 후면의 주연부에 부착된 패킹이 벽체의 출입구의 주연부에 밀착되어 출입구를 밀봉하는 폐쇄상태로 하는 현수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기구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하단부의 길이와 같은 길이로 된 폭이 좁은 정면판과 저판에 의해서 단면 L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저판의 하면에 그 길이방향으로 1장 이상의 폭이 좁고 긴 판형상의 유연한 슬라이드 패킹을 착탈 교환 가능하게 부착한 슬라이드 패킹용 브래킷을 구비하되,
    상기 슬라이드 패킹용 브래킷의 정면판의 좌우단부 부근에 세로 장공을 설정길이로 형성하고, 볼트를 상기 세로 장공을 통해서 도어의 정면측 하단부에 고착함에 의해서, 상기 슬라이드 패킹용 브래킷을 세로 장공의 안내에 따라서 설정길이만큼 상하이동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상기 슬라이드 패킹이 상기 도어의 하단부의 하 면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도어를 출입구의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이동시킴에 따라서 상기 평행사변형 힌지가 설정각도만큼 평행하게 요동하여 상기 도어를 설정치수만큼 상승시키면, 상기 슬라이드 패킹용 브래킷이 상기 도어의 설정치수만큼 상승함에 연동하여 같은 치수만큼 하강이동되게 하고,
    반대로 상기 도어를 출입구의 개방위치에서 폐쇄위치로 이동시킴에 따라서 상기 평행사변형 힌지가 설정각도만큼 평행하게 요동하여 상기 도어를 설정치수만큼 하강시키면, 상기 슬라이드 패킹용 브래킷이 상기 도어의 설정치수만큼 하강함에 연동하여 같은 치수만큼 상승이동되게 하고,
    이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 패킹용 브래킷이 상기 도어의 개폐이동에 따른 상하이동에 연동하여 하상이동되게 함으로써, 항상 상기 슬라이드 패킹이 마루면에 밀착되어 출입구를 밀봉한 상태로 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기구.
  2. 청구한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패킹용 브래킷을, 상기 도어의 하단부의 길이와 같은 길이로 된 폭이 좁은 정면판과 저판에 의해서 단면 L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저판의 하면에 그 길이방향으로 2장의 폭이 좁고 긴 판형상의 유연한 슬라이드 패킹을 전후 평행하게 착탈 교환 가능하게 부착한 것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미닫 이식 도어의 개폐기구.
KR1020070026144A 2006-05-10 2007-03-16 현수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기구 KR200701098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30938A JP2007303109A (ja) 2006-05-10 2006-05-10 懸垂引戸式ドアの開閉機構
JPJP-P-2006-00130938 2006-05-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9807A true KR20070109807A (ko) 2007-11-15

Family

ID=38837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6144A KR20070109807A (ko) 2006-05-10 2007-03-16 현수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7303109A (ko)
KR (1) KR2007010980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579B1 (ko) * 2008-07-30 2009-02-12 정백성 냉동창고용 슬라이딩 도어
CN105113963A (zh) * 2015-09-15 2015-12-02 厦门合道工程设计集团有限公司 门底缝隙密封装置及其在防火门与避难小间中的应用
DE102019124473A1 (de) * 2019-09-11 2021-03-11 Hörmann Kg Ichtershausen Befestigungsprofil Bodendichtung einer Torblattlamelle, Torblattbodenlamelle sowie damit ausgestattetes 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11708B2 (en) 2007-11-22 2011-03-22 Nikon Corporation Zoom lens and optical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EP2829679B1 (de) 2013-07-22 2017-02-01 Roto Frank Ag Beschlag zum Anpressen eines Schiebeflügels an eine feste Einfassung
CN112524874B (zh) * 2015-11-04 2022-12-30 Lg 电子株式会社 冰箱
CN109186169B (zh) * 2018-08-29 2021-03-02 南京创维家用电器有限公司 一种冰箱密封门的防漏冷密封结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579B1 (ko) * 2008-07-30 2009-02-12 정백성 냉동창고용 슬라이딩 도어
CN105113963A (zh) * 2015-09-15 2015-12-02 厦门合道工程设计集团有限公司 门底缝隙密封装置及其在防火门与避难小间中的应用
DE102019124473A1 (de) * 2019-09-11 2021-03-11 Hörmann Kg Ichtershausen Befestigungsprofil Bodendichtung einer Torblattlamelle, Torblattbodenlamelle sowie damit ausgestattetes 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303109A (ja) 2007-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09807A (ko) 현수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기구
JP4970473B2 (ja) プラットフォーム遮蔽ドア装置
BR112012021385B1 (pt) guia para um portão de elevação, quadro para um portão de elevação, portão de elevação e processo para fechar um vão em um portão de elevação
EA025661B1 (ru) Подъемные ворота с подвижной направляющей полотна ворот
KR100761035B1 (ko) 디펜스 도어용 도어패널 가이드장치
CN204941132U (zh) 一种磁悬浮式电磁推拉窗
JP2007063901A (ja) 自然換気窓
US20110036015A1 (en) Multi-fold door
CA2597181C (en) A panel structure equipped with a seal, and a panel system
KR20130048330A (ko) 세척건조실의 도어
JP2013245094A (ja) エレベータ
US3436863A (en) Door operating means
JPH08143256A (ja) エレベータ
JP4660850B2 (ja) 懸垂引戸式ドアの開閉機構
US700956A (en) Window.
WO2018173224A1 (ja) エレベータの出入口装置
CN219689798U (zh) 大型卧式热处理炉炉门装置
CN210558804U (zh) 一种电梯门辅助关门装置
JP3785410B2 (ja) 吊り引戸の戸口密閉装置
RU190911U1 (ru) Устройство закрытия архитектурного проёма
US1248756A (en) Counterweighted sectional door.
US1114854A (en) Automatic door-closing device.
JP2017132566A (ja) エレベーターにおける搬器扉の開閉装置
KR200486404Y1 (ko) 도어 링크 꺽임 방지 구조를 갖는 디펜스 도어 개폐장치
KR101533557B1 (ko) 상/하개폐식 엘리베이터의 승강장도어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