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8575A - 액체 용기 - Google Patents

액체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8575A
KR20070108575A KR1020060040798A KR20060040798A KR20070108575A KR 20070108575 A KR20070108575 A KR 20070108575A KR 1020060040798 A KR1020060040798 A KR 1020060040798A KR 20060040798 A KR20060040798 A KR 20060040798A KR 20070108575 A KR20070108575 A KR 200701085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hole
contents
primary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0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봄
국해랑
국해다
Original Assignee
김봄
국해다
국해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봄, 국해다, 국해랑 filed Critical 김봄
Priority to KR1020060040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08575A/ko
Publication of KR20070108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85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4Rigid discs or spherical members adapted to be held in sealing engagement with mouth of container, e.g. closure plates for preserving j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45Internal membrane, floating cover or the like isolating the contents from the ambient atmosphe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20Sea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수, 식초 , 간장, 참기름과 같이 일상생활에서 꼭 필요한 액체를 공기에 있는 오염원으로부터 접촉을 시키지 않고 보관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풍선, 또는 콘돔 과 같은 모양으로 내부에 액체를 담을 수 있고 또한 액체를 담으면 잘 늘어나는 성질을 가지면서도 인체에는 해롭지 않고 화학적으로 안정한 실리콘이나 천연 고무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하여 플라스틱 용기 내에 풍선과 같은 탄성을 가진 용기를 집어놓고 그 내부에 내용물을 저장하는 것으로 하며 내용물이 공기에 접촉하지 않고 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액체용기이다.
화장품용기, 음료수용기, 액체용기

Description

액체 용기 {liquid container}
도1은 기밀마개수단(10)과 고정배출관(24)의 구성에서 기밀마개수단(10)의 단면도.
도2는 도1에서 기밀마개수단(10)의 확대도면.
도3은 도2에서 기밀마개수단(10)을 절단하지 않고 보인 도면.
도4는 1차용기전체구성(100)에서 2차용기머리부(31)를 고정하지 않고 보인 도면.
도5는 도4에서 2차용기머리부(31)를 확대하여 자세히 보인도면.
도6은 도5에서 2차용기머리부(31)를 고정매듭수단(37)으로 고정하여 보인 도면.
도7은 1차용기수단(40)절단하여 보인도면.
도8은 도7에서 1차용기머리부(41)를 확대하여 자세히 보인도면.
도9는 1차용기수단(40)의 1차용기내부(48)에 1차용기전체구성(100)을 조립하여 구성한 액체안전용기수단(200)보인 도면.
도10은 도9에서 액체안전용기수단(200)의 중요부분을 확대하여 보인도면.
도11은 액체안전용기수단(200)의 1차용기전체구성(100)의 2차용기수단(30)에 내용물을 채워 보인 도면.
도12는 도11에 서 액체안전용기수단(200)의 중요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도면.
도13은 도12에서 1차용기전체구성(100)의 공기구멍(17)과 내용물배출구멍(20)을 투시 도시하여 보인 도면.
도14는 도13에서 공기흡입구(16), 내용물배출구(19)를 기밀마개수단(10)상단 부 끝보다 더 높게 돌출 시켜 보인도면.
도15는 1차용기수단(40)의 1차용기구멍암나선수단(46)을 확대하여 보인도면.
도16은 1차용기전체구성(100)의 고정숫나선수단(39)을 확대하여 보인도면.
도17은 액체안전용기수단(200)의 나선방식조립수단부(b)를 확대하여 보인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기밀마개수단(10),(10b) 기밀마개테이퍼부(11)
오링홈(12) 2차용기고정부(13)
요철돌출부(14) 요철홈부위(15)
공기흡입구(16) 공기구멍(17)
공기출구(18) 내용물배출구(19)
내용물배출구멍(20) 내용물배출구입구(21)
내용물배출구연결부(22) 고정배출관고정부(23)
고정배출관(24) 고정배출관구멍(25)
2차용기보호구구성부위(26)
2차용기보호구(27) 2차용기보호구내부구멍(28)
내용물유도흡입구멍(29) 2차용기수단(30)
2차용기머리부(31) 2차용기머리끝부위(32)
2차용기바닥끝부위(33) 기밀오링수단(36)
고정매듭수단(37) 고정숫나선수단(39)
1차용기수단(40) 1차용기머리부(41)
1차용기구멍입구(42) 1차용기구멍테이퍼부위(43)
1차용기구멍오링홈(44) 1차용기뚜껑나선수단(45)
1차용기구멍암나선수단(46) 1차용기목부위내부(47)
1차용기내부(48) 1차용기바닥부(49)
뚜껑수단(50) 경첩수단(51)
보조마개수단(52) 직접공기구멍(60)
1차용기전체구성(100) 액체안전용기수단(200)
테이퍼조립수단부(a) 나선방식조립수단부(b)
종래의 액체를 보관하면서 사용하는 용기는 매우 단순한 형태로 내부가 마련되고 손으로 잡기 편하게 하기 위하여 약간 길쭉하게 구성한 플라스틱, 또는 유리질 의 용기에 마개가 부착된 형태의 것이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다. 그러다 보니 내부에 있는 내용물이 상용함에 있어 점차 줄어들 때 그 빈 공간을 용기 외부에 있던 공기가 채우게 되는데 사용하는 곳의 환경에 따라 오염도의 수치가 다르기는 하지만 오염된 공기가 내부에 들어가서 귀중한 내용물과 접촉을 하기 때문에 쉬이 내용물이 부패하거나 또는 유통기한이 짧은 원인이기도 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또는 유리질의 용기내부에 간단한 방법으로 인체에 해롭지 않은 실리콘, 또는 천연고무질의 풍선, 또는 콘돔의 구성과 같이 내부에 내용물을 담을 수 있고 또 내용물을 담으면 늘어나도록 하는 2차 용기를 구성하여 많은 양의 내용물을 효과적으로 담을 수 있으며 내용물이 줄어들 때 용기 외부에 있던 공기는 2차 용기 내부에는 침투하지 못하며 그 외부에 공기가 채워지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과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기밀마개수단(10)과 고정배출관(24)의 구성에서 기밀마개수단(10)의 단면도이다. 기밀마개수단(10)의 구성은 원기둥 모양이지만 외부가 기밀마개테이퍼부(11)로 상단부에서 하단 부 방향으로 좁아지는 원뿔 각이 져서 상단 부는 넓고 하단 부는 조금 좁은 원기둥 형태를 취하며 2차용기고정부(13)쪽에서 다시 원기둥 모양으로 되고 2차용기고정부(13)쪽의 외부에는 원 둘레로 요철홈부위(15)를 다수 구성하여 상대적으로 요철돌출부(14)가 돌출되어 요철을 이루고 있으며 기밀마개테이퍼부(11)에는 둘레로 오링홈(12)을 구성하였고 2차용기고정부(13)의 하단부의 고정배출관고정부(23)에서 고정배출관(24)이 고정수단, 또는 일체화된 성형으로 구비되어 하단 부 쪽으로 길게 구성되며 고정배출관(24)은 내부가 유체가 흐를 수 있는 구멍인 고정배출관구멍(25)이 있고 고정배출관(24)의 직경은 액체용기의 크기에 따라 다르게 만들지만 보통 사용하는 빨대 크기로 만들 수도 있고 또는 손가락 굵기로 만들 수도 있다. 고정배출관(24)하단 부 끝에 2차용기보호구구성부위(26)에는 2차용기보호구(27)가 외관이 둥근 모양으로 구비되어 각이 진 곳이 없어 날카롭지 않게 되어있고 역시 그 내부에도 2차용기보호구내부구멍(28)이 구성되어있고 외부와 내용물유도흡입구멍(29)으로 관통되어있다. 기밀마개수단(10)의 내부에는 공기구멍(17)이 기밀마개테이퍼부(11)의 상단 부 공기흡입구(16)에서 하단 면 쪽으로 뚫려 중간부위인 빠져나가 공기출구(18)를 구비하였다. 또한 내용물배출구멍(20)이 기밀마개테이퍼부(11)상단부에 내용물배출구(19)에서 2차용기고정부(13)하단부의 내용물배출구입구(21)까지 관통되어 있고 내용물배출구연결부(22)에서 고정배출관구멍(25)과 서로 도통되어 있다. 그러나 때에 따라서는 고정배출관(24)의 내부에 고정배출관구멍(25)과 2차용기보호구(27)에 있는 2차용기보호구내부구멍(28), 내용물유도흡입구멍(29)은 구성하지 않을 수도 있는 것으로 한다. 도2는 도1에서 기밀마개수단(10)의 확대도면이며, 도3은 도2에서 기밀마개수단(10)을 절단하지 않고 보인 도면이다. 도4는 1차용기전체구성(100)에서 2차용기머리부(31)를 고정하지 않고 보인 도면이며 도5는 도4에서 2차용기머리부(31)를 확대하여 자세히 보인도면이고 도6은 도5에서 2차용기머리부(31)를 고정매듭수단(37)으로 고정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3, 도4, 도5, 도6에서 기밀마개수단(10)의 기밀마개테이퍼부(11)의 외부에 있는 오링홈(12)에는 기밀오링수단(36)을 끼워 조립하고 2차용기고정부(13)의 요철돌출부(14), 요철홈부위(15)의 외부에 2차용기수단(30)의 2차용기머리부(31)를 집어넣고 그 외부에서 고정매듭수단(37)으로 요철홈부위(15)에 압착이 되도록 압박하여 고정하여 1차용기전체구성(100)을 완성한다. 고정매듭수단(37)은 탄력성이 좋은 고무나, 실리콘과 같은 재질로 된 링으로 맞게 끼워도 되고 또는 동여매어도 되며 또는 끈으로 매듭을 지어도 되고 부식이 되지 않은 연한 금속으로 동여 맬 수도 있다. 2차용기수단(30)은 인체에 전혀 해롭지 않은 실리콘, 이나 고무등과 같이 늘어날 수 있는 탄성을 가진 물질로 만들 수 있으며 또한 질겨서 잘 찢겨지지 않아야 하고 그 모양은 고무풍선이나 콘돔과 같이 한 쪽이 개방이 되어 있고 약간 길쭉한 형태로 그 내부에 유채를 담을 수 있는 용기수단이다. 도7은 1차용기수단(40)절단하여 보인도면이며 도8은 도7에서 1차용기머리부(41)를 확대하여 자세히 보인도면이다. 종래의 페트병과 같은 종류이며 1차용기머리부(41)에 내부에 1차용기구멍입구(42)에서 통하는 구멍을 기밀마개테이퍼부(11)와 같이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역시 테이퍼로 되어있고 또한 1차용기구멍오링홈(44)이 있어 1차용기전체구성(100)의 기밀마개테이퍼부(11)에 있는 기밀오링수단(36)이 들어가 조립이 되어 압착하여 기밀이 되고 또한 고정하는데 일조를 하게 된다. 도9는 1차용기수단(40)의 1차용기내부(48)에 1차용기전체구성(100)을 조립하여 구성한 액체안전용기수단(200)보인 도면이며 도10은 도9에서 액체안전용기수단(200)의 중요부분을 확대하여 보인도면이다. 도8, 도9, 도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1차용기전체구성(100)을 2차용기바닥끝부위(33)부터 1차용기구멍입구(42)로 집어넣어 기밀마개테이퍼부(11)와 1차용기구멍테이퍼부위(43)가 맞닿는 테이퍼조립수단부(a)가 맞닿도록 밀어 넣어 압력을 가하면 기밀오링수단(36)이 1차용기구멍오링홈(44)에 들어가면서 고정이 되고 또한 기밀성을 가지게 되는 액체안전용기수단(200)이 구성된다. 공기출구(18)는 1차용기내부(48)의 1차용기목부위내부(47)에 위치하여 공기흡입구(16)와 공기구멍(17)과 공기출구(18)의 경로를 통하여 액체안전용기수단(200)의 외부공기가 1차용기내부(48)로 들어오게 되고 또는 나갈 수 있는 통로이다. 도11은 액체안전용기수단(200)의 1차용기전체구성(100)의 2차용기수단(30)에 내용물을 채워 보인 도면이며 도12는 도11에 서 액체안전용기수단(200)의 중요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도면이고 도13은 도12에서 1차용기전체구성(100)의 공기구멍(17)과 내용물배출구멍(20)을 투시 도시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11, 도12, 도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액체안전용기수단(200)의 내용물배출구(19)로 내용물을 집어넣어 2차용기수단(30)에 가득 채울 수 있으며 이때 2차용기수단(30)은 부피가 늘어나면서 체척을 늘려 내용물을 많이 수용하게 된다. 또한 2차용기수단(30)의 내부에 내용물이 빠지면 2차용기수단(30)의 탄성 때문에 외부 공기는 2차용기수단(30)에 머무를 수 없고 대신 1차용기목부위내부(47)에 위치한 공기출구(18)로 들어온 공기가 1차용기내부(48)에 위치하여 배출된 내용물의 빈자리를 채운다. 따라서 2차용기수단(30)안의 내용물에는 공기는 접촉을 할 수 없어 내용물이 모두 소진 될 때까지 오염이 되지 않는다. 도14는 도13에서 공기흡입구(16), 내용물배출구(19)를 기밀마개(10)상단 부 끝보다 더 높게 돌출 시켜 보인도면이다. 공기흡입구(16)와 내용물배출구(19)의 입구를 돌출시켜 내용물의 잔여물이 깨끗하게 마무리 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으로 한다. 도15는 1차용기수단(40)의 1차용기구멍암나선수단(46)을 확대하여 보인도면이며 도16은 1차용기전체구성(100)의 고정숫나선수단(39)을 확대하여 보인도면이고 도17은 액체안전용기수단(200)의 나선방식조립수단부(b)를 확대하여 보인도면이다. 또 다른 조립방식으로 1차용기수단(40)의 1차용기머리부(41)내부에는 1차용기구멍암나선수단(46)으로 구성하고 1차용기전체구성(100)의 기밀마개수단(10b)의 외부에는 고정숫나선수단(39)으로 구성을 하여 나선방식조립수단부(b)와 같이 서로 조립체결 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한다. 그리고 1차용기수단(40)의 1차용기목부위내부(47)쪽에서 직접공기구멍(60)을 뚫어 구성하여 공기흡입구(16), 공기구멍(17), 공기출구(18)를 대신 할 수 있는 것으로도 한다.
본 발명의 액체 용기는 내용물에 공기의 완벽한 차단을 하면서도 내용물을 쉽게 밖으로 원하는 양만큼 배출할 수 있으며 그 효과로 인해 내용물을 다 소모 할 때까지 오염 없이 깨끗하게 사용할 수 있어 제품의 유통기한을 늘일 수 있으면서도 무엇보다 그 구조가 간단하여 유통에 경제적으로 걸림돌이 되지 않기 때문에 타사와의 경쟁력에서 보다 앞설 수 있는 강점을 가지게 되며 산업경제이 이바지 할 수 있는 경쟁력 있는 상품이 될 수 있어 국가 경제에도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Claims (11)

  1. 기밀마개수단(10)의 구성은 원기둥 모양이지만 외부가 기밀마개테이퍼부(11)로 상단부에서 하단 부 방향으로 좁아지는 원뿔 각이 져서 상단 부는 넓고 하단 부는 조금 좁은 원기둥 형태를 취하며 2차용기고정부(13)쪽에서 다시 원기둥 모양으로 되고 2차용기고정부(13)쪽의 외부에는 원 둘레로 요철홈부위(15)를 다수 구성하여 상대적으로 요철돌출부(14)가 돌출되어 요철을 이루고 있으며 기밀마개테이퍼부(11)에는 둘레로 오링홈(12)을 구성하였고 2차용기고정부(13)의 하단부의 고정배출관고정부(23)에서 고정배출관(24)이 고정수단, 또는 일체화된 성형으로 구비되어 하단 부 쪽으로 길게 구성되며 고정배출관(24)은 내부가 유체가 흐를 수 있는 구멍인 고정배출관구멍(25)이 있고 고정배출관(24)하단 부 끝에 2차용기보호구구성부위(26)에는 2차용기보호구(27)가 외관이 둥근 모양으로 구비되어 각이 진 곳이 없어 날카롭지 않게 되어있고 역시 그 내부에도 2차용기보호구내부구멍(28)이 구성되어있고 외부와 내용물유도흡입구멍(29)으로 관통되어있으며 기밀마개수단(10)의 내부에는 공기구멍(17)이 기밀마개테이퍼부(11) 상단 부 공기흡입구(16)에서 하단 면 쪽으로 뚫려 중간부위인 빠져나가 공기출구(18)가 구비되었고 또한 내용물배출구멍(20)이 기밀마개테이퍼부(11)상단부에 내용물배출구(19)에서 2차용기고정부(13)하단부의 내용물배출구입구(21)까지 관통되어 있고 내용물배출구연결부(22)에서 고정배출관구멍(25)과 서로 도통되어 있으며 기밀마개수단(10)의 기밀마개테이퍼부(11)의 외부에 있는 오링홈(12)에는 기밀오링수단(36)을 끼워 조립하고 2차용기고정부(13)의 요철돌출부(14), 요철홈부위(15)의 외부에 2차용기수단(30)의 2차용기머리부(31)를 집어넣고 그 외부에서 고정매듭수단(37)으로 요철홈부위(15)에 압착이 되도록 압박하여 고정하여 1차용기전체구성(100)을 구성하는 것으로 한 액체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고정배출관(24)의 내부에 고정배출관구멍(25)과 2차용기보호구(27)에 있는 2차용기보호구내부구멍(28), 내용물유도흡입구멍(29)은 구성하지 않을 수도 있는 것으로 한 액체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고정매듭수단(37)은 탄력성이 좋은 고무나, 실리콘과 같은 재질로 된 링으로 맞게 끼워도 되고 또는 동여매어도 되며 또는 끈으로 매듭을 지어도 되고 부식이 되지 않은 연한 금속으로 동여 맬 수도 있는 것으로 한 액체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2차용기수단(30)은 인체에 전혀 해롭지 않은 실리콘, 이나 고무등과 같이 늘어날 수 있는 탄성을 가진 물질로 만들 수 있으며 또한 질겨서 잘 찢겨지지 않아야 하고 그 모양은 고무풍선이나 콘돔과 같이 한 쪽이 개방이 되어 있고 약간 길쭉한 형태로 그 내부에 유채를 담을 수 있는 용기수단 인 것으로 한 액체용기.
  5. 1차용기머리부(41)에 내부에 1차용기구멍입구(42)에서 통하는 구멍을 기밀마개테이퍼부(11)와 같이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역시 테이퍼로 되어있고 또한 1차용기구멍오링홈(44)이 있어 1차용기전체구성(100)의 기밀마개테이퍼부(11)에 있는 기밀오링수단(36)이 들어가 조립이 되어 압착하여 고정이 되는 것으로 한 액체용기.
  6. 기밀마개수단(10b)의 외부에는 고정숫나선수단(39)으로 구성을 하며 1차용기수단(40)의 1차용기머리부(41)내부에는 1차용기구멍암나선수단(46)으로 구성하고 나선방식조립수단부(b)와 같이 서로 조립체결 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한 액체용기.
  7. 1차용기전체구성(100)을 2차용기바닥끝부위(33)부터 1차용기구멍입구(42)로 집어넣어 기밀마개테이퍼부(11)와 1차용기구멍테이퍼부위(43)가 맞닿는 테이퍼조립수단부(a)가 맞닿도록 밀어 넣어 압력을 가하면 기밀오링수단(36)이 1차용기구멍오링홈(44)에 들어가면서 고정이 되고 또한 기밀성을 가지게 되는 액체안전용기수단(200)이 구성되는 것으로 한 액체용기.
  8. 공기출구(18)는 1차용기내부(48)의 1차용기목부위내부(47)에 위치하여 공기흡입구(16)와 공기구멍(17)과 공기출구(18)의 경로를 통하여 액체안전용기수단(200)의 외부공기가 1차용기내부(48)로 들어오게 되고 또는 나갈 수 있는 통로가 구성되는 것으로 한 액체용기.
  9. 1차용기수단(40)의 1차용기목부위내부(47)쪽에서 직접공기구멍(60)을 뚫어 구성하여 공기흡입구(16), 공기구멍(17), 공기출구(18)를 대신 할 수 있는 것으로 한 액체용기.
  10. 액체안전용기수단(200)의 내용물배출구(19)로 내용물을 집어넣어 2차용기수단(30)에 가득 채울 수 있으며 이때 2차용기수단(30)은 부피가 늘어나면서 체척을 늘려 내용물을 많이 수용하게 되며 또한 2차용기수단(30)의 내부에 내용물이 빠지면 2차용기수단(30)의 탄성 때문에 외부 공기는 2차용기수단(30)에 머무를 수 없고 대신 1차용기목부위내부(47)에 위치한 공기출구(18)로 들어온 공기가 1차용기내부(48)에 위치하여 배출된 내용물의 빈자리를 채우게 되며 따라서 2차용기수단(30)안의 내용물에는 공기는 접촉을 할 수 없어 내용물이 모두 소진 될 때까지 오염이 되지 않는 것으로 한 액체용기.
  11. 공기흡입구(16), 내용물배출구(19)를 기밀마개(10)상단 부 끝보다 더 높게 돌출 시켜 내용물의 잔여물이 깨끗하게 마무리 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 한 액체용기.
KR1020060040798A 2006-05-08 2006-05-08 액체 용기 KR200701085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0798A KR20070108575A (ko) 2006-05-08 2006-05-08 액체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0798A KR20070108575A (ko) 2006-05-08 2006-05-08 액체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8575A true KR20070108575A (ko) 2007-11-13

Family

ID=39063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0798A KR20070108575A (ko) 2006-05-08 2006-05-08 액체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0857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2176A (ko) * 2016-12-29 2019-09-03 브라코 이미징 에스.피.에이. 회전에 의해 조작되는 컨테이너 마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2176A (ko) * 2016-12-29 2019-09-03 브라코 이미징 에스.피.에이. 회전에 의해 조작되는 컨테이너 마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12881C2 (ru) Бутылка для текучих сред,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х продуктов или тому подобного
ES2660088T3 (es) Recipiente con cierre irreversible para facilitar la dispensación de contenidos
ES2279878T3 (es) Recipiente dispensador.
EP2653171A1 (en) Fragrance bottle
US2969161A (en) Bung for beer barrels and the like
MXPA01003192A (es) Dispositivo de inyeccion desechable disenado para prellenarse.
KR20190137111A (ko) 액체용 용기
ES2126274T3 (es) Tapa de recipiente y aparato dispensador.
KR20070108575A (ko) 액체 용기
ES2280744T3 (es) Deposito para fuente de distribucion de liquido.
US20090139884A1 (en) Tube-type container
BRPI1102554B1 (pt) Pulverizador portátil seguro
KR101415854B1 (ko) 공기유입 차단 기능을 갖는 액상용기
JP2019107435A (ja) 化粧液保管用アンプル
JP7142423B2 (ja) 積層剥離容器
JP7455349B2 (ja) 薬液収容容器、薬液供給部材、薬液供給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265447Y1 (ko) 착탈식 보관용기
EP3661474B1 (en) Device at an eyewash and a method for use of the device
KR100891939B1 (ko) 액상용기
KR102641385B1 (ko) 펌프 용기용 실캡 및 소진피스톤
KR20220102388A (ko) 이종 액체 혼합용기
JP6599405B2 (ja) 液体容器用蓋体及び液体容器
KR20180085158A (ko) 탄산음료용기의 탄산누출방지용 마개
JP2005153950A (ja) スリット式逆止弁付き容器
KR200307299Y1 (ko) 약액 흘러넘침 방지를 위한 스포이트 일체형 시약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