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2388A - 이종 액체 혼합용기 - Google Patents

이종 액체 혼합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2388A
KR20220102388A KR1020210004687A KR20210004687A KR20220102388A KR 20220102388 A KR20220102388 A KR 20220102388A KR 1020210004687 A KR1020210004687 A KR 1020210004687A KR 20210004687 A KR20210004687 A KR 20210004687A KR 20220102388 A KR20220102388 A KR 202201023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liquid
sealing cap
container body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4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효원
허경
Original Assignee
에프아이씨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아이씨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프아이씨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4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2388A/ko
Publication of KR20220102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23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5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displacing or remov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65D51/286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displacing or removing an element enclosing it the element being a plug or like element closing a passage between the auxiliary container and the main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3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brushes or rods for applying or stirring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 액체 혼합용기에 관한 것으로, 주입구(120)가 형성되어 액체를 담을 수 있게 되고, 상기 주입구(120)에 마개(200)가 착탈식으로 체결되는 용기몸체(100); 상기 마개(200) 내부에서 장착되고, 하단이 개방되어 액체를 담을 수 있게 되는 분리저장관(300); 상기 마개(200) 내부에서 상기 분리저장관(300)에 결합되되, 하단은 필름막(480)으로 막혀있는 반면 측벽에는 통공(460)이 형성되고, 하단 내부에는 상기 분리저장관(300) 하단이 끼워지는 결합홈(470)이 형성되며, 상기 마개(200)가 상기 주입구(120)에 결합될 때 상기 주입구(120)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는 밀봉캡(400)을 포함하여, 상기 분리저장관(300)에 액체를 투입하고 상기 밀봉캡(400)으로 밀봉한 상태에서 상기 마개(200)를 상기 주입구(120)에 체결하면 두 가지 액체를 분리하여 저장하게 되는 한편, 상기 마개(200)를 열면 상기 밀봉캡(400)은 상기 주입구(120)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분리저장관(300) 하단만이 상기 결합홈(470)에서 이탈되면서 내부에 수용된 액체가 배출되어 상기 통공(460)을 통해 용기몸체(100)로 투입되고, 상기 필름막(480)을 스포이드(500)로 파괴하며 상기 용기몸체(100) 내부로 진입시켜 상기 용기몸체(100) 내부에서 혼합된 액체를 뽑아 사용하게 되는 이종 액체 혼합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종 액체 혼합용기{Mixing container for tow liquid}
본 발명은 액체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로 다른 성질의 이종 액체를 분리하여 보관하고 사용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이종 액체 혼합용기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용기에 성질이 다른 두 가지 물질을 같이 담아서 보관하고, 사용시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용기의 필요성에 따라 다양한 용기가 제안되고 있다. 액체와 분말을 분리하여 보관하다고 사용시 혼합할 수 있도록 하는 용기, 서로 다른 성질의 두 가지 액체를 분리하여 보관하다가 사용시 혼합할 수 있도록 하는 용기등이 그것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2054호(2011.2.1.공고)
본 발명은 성질이 다른 두 가지 물질, 특히 두 가지 액체를 분리하여 안전하게 보관하다가 사용시 혼합할 수 있도록 하되, 스포이트를 이용해 용기에 담긴 액체를 뽑아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종 액체 혼합용기를 제안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액체를 담을 수 있게 되고, 상기 배출구에 마개가 착탈식으로 체결되는 용기몸체; 상기 마개 내부에서 장착되고, 하단이 개방되어 액체를 담을 수 있게 되는 분리저장관; 상기 마개 내부에서 상기 분리저장관에 결합되되, 하단은 필름막으로 막혀있는 반면 측벽에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 아래쪽으로 상기 분리저장관 하단이 끼워지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마개가 상기 배출구에 결합될 때 상기 배출구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는 밀봉캡;을 포함하는 이종 액체 혼합용기를 제안하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이종 액체 혼합용기에 따르면 이종의 액체를 안전하게 분리 보관하게 되고, 사용시 용이하게 혼합할 수 있게 되며, 스포이트를 이용해 혼합된 액체를 뽑아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종 액체 혼합용기의 분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종 액체 혼합용기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종 액체 혼합용기의 사용상태 예시도.
본 발명에서는 성질이 다른 두 가지 물질, 특히 두 가지 액체를 분리하여 안전하게 보관하다가 사용시 혼합할 수 있도록 하되, 스포이트를 이용해 용기에 담긴 액체를 뽑아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배출구가 형성되고 마개로 닫히는 구조로 되는 용기몸체와, 상기 마개 내부에 장착되어 액체를 담는 분리저장관, 그리고 상기 분리저장관을 밀봉하고 개방하는 밀봉캡을 포함하는 이종 액체 혼합용기를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종 액체 혼합용기의 분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종 액체 혼합용기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종 액체 혼합용기는 용기몸체(100), 마개(200), 분리저장관(300), 밀봉캡(400)을 포함한다.
용기몸체(100)는 위로 주입구(120)가 형성되어 주입구(120)로 액체를 내부에 담거나 내부에 담김 액체를 배출할 수 있게 형성된다. 유리나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마개(200)는 용기몸체(100)에서 주입구(120)에 체결되어 용기몸체(100)에 담긴 액체가 새 나오지 않도록 하게 된다. 착탈식으로 체결되는 것으로, 마개(200) 내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어 주입구(120)를 내포하며 나사결합 방식으로 체결된다.
분리저장관(300)은 관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일정 길이를 이루어 상단은 막혀 있고 하단은 개방된 구조를 이룬다. 관 형상을 이룸에 따라 내부에 액체를 담을 수 있게 되는데, 분리저장관(300)에는 용기몸체(100)에 담기는 액체와 서로 다른 성질을 가진 것이 채워지게 된다.
분리저장관(300)은 마개(200) 내부에서 천장에 상단이 고정되게 형성된다. 천장 중앙부분에 형성되는 것으로, 마개(200) 내부 천장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단이 막히게 될 수 있고, 달리 별도로 형성되어 마개(200) 내부 천장에 착탈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밀봉캡(400)은 내부가 비어 상단은 개방되고 하단은 막혀있는 구조를 이룬다. 하단이 개방된 상태에서 필름막(480)으로 막혀 있는 구조인데, 필름막(480)은 외력에 의해 파괴될 수 있는 얇은 합성수지 필름으로, 밀봉캡(400) 하단에 접착 또는 융착되어 밀봉캡(400) 하단을 막아주게 된다.
밀봉캡(400)은 용기몸체(100)의 주입구(120) 내부에 딱 맞는 형상을 이룬다. 밀봉캡(400)이 주입구(120)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끼워질 수 있는 규격을 이루는 것으로, 밀봉캡(400)이 주입구(120)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강한 힘으로 뽑아 내야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필요에 따라 밀봉캡(400)을 주입구(120)에 접착제로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밀봉캡(400)은 지름이 동일하게 형성되어 외주면이 주입구(120) 내주면에 접하는 접촉부(420)와 접촉부(420) 아래로 지름이 점차 줄어드는 비접촉 부(44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비접촉부(440)가 지름이 점차 줄어드는 형태임에 따라 주입구(120)로의 진입은 용이하면서도 진입 완료 후 접촉부(420)가 주입구(120) 내주면에 접함으로써 밀봉캡(400)이 주입구(120)에 견고하게 끼워지게 된다.
밀봉캡(400) 측벽에는 통공(460)이 형성된다. 통공(460)은 액체가 배출되는 통로역할을 하는 것으로, 밀봉캡(400) 하단부에 형성되게 되며, 비접촉부(440)가 형성되는 경우 비접촉부(440) 하단부에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통공(460)은 밀봉캡(400) 벽면을 따라 복수 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봉캡(400) 하단 내부에는 결합홈(470)이 형성된다. 결합홈(470)은 밀봉캡(400) 내주를 따라 링 형상을 이루며 돌출되는 구조로, 위로 입구가 개방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홈(470)에는 분리저장관(300) 하단이 일정 깊이로 끼워지게 되는바, 결합홈(470)의 입구는 분리저장관(300) 하단이 원활하게 진입될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되고, 분리저장관(300) 내벽이 결합홈(470) 내벽에 밀접하게 접하게 된다. 그 결과 분리저장관(300) 하단이 결합홈(470)에 끼워지게 되면 밀봉캡(400) 하단을 막아주는 필름막(480)이 분리저장관(300) 하단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면서 내부에 채워진 액체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된다.
한편, 밀봉캡(400) 상단에는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턱(410)이 형성된다. 밀봉캡(400)이 주입구(120)에 끼워지게 되면 이와 같이 형성된 턱(410)이 주입구(120) 상단에 걸리게 된다. 그 결과 밀봉캡(400)을 위에서 누르더라도 용기몸체(100)로 빠지지 않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이종 액체 혼합용기는 내부에 분리저장관(300)이 형성된 마개(200)를 구비하고, 분리저장관(300) 하단이 위로 향하게 마개(200)를 뒤집은 상태에서 분리저장관(300) 내부에 액체를 투입하여 채움 다음, 밀봉캡(400)을 뒤집어 분리저장관(300)에 씌워 압력을 가함으로써 분리저장관(300) 하단이 결합홈(470)에 완전히 끼워지게 하면 분리저장관(300)이 밀폐된다. 이와 같이 마개(200)에 분리저장관(300)과 밀봉캡(400)이 결합된 상태에서 마개(200)를 용기몸체(100)에 형성된 주입구(120)에 체결하게 되면 밀봉캡(400) 외주면이 주입구(120) 내주면에 접함과 용기몸체(100) 내부에 수용된다. 마찬가지로 분리저장관(300)도 용기몸체(100) 내부에 수용되게 되는데, 분리저장관(300)에 채워진 액체는 밀봉캡(400)에 의해 밀봉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용기몸체(100) 내부에 채워진 액체와 분리되어 저장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이종 액체 혼합용기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종 액체 혼합용기의 사용상태 예시도이다.
용기몸체(100) 내부에 액체가 채워지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마개(200)에 형성된 분리저장관(300)에 액체가 채워지고 밀봉캡(400)으로 밀봉을 한 상태에서 마개(200)는 용기몸체(100)에 형성된 주입구(120)에 체결되어 제공된다(도 3의 'a').
상기의 상태에서 마개(200)를 열면 밀봉캡(400)은 주입구(120)에 끼워져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마개(200)와 분리저장관(300)이 상승을 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분리저장관(300) 하단이 밀봉캡(400)에 형성된 결합홈(470)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그 결과 분리저장관(300) 내부에 수용된 액체가 배출되고, 그러한 액체는 밀봉캡(400)에 형성된 통공(460)을 통해 용기몸체(100)로 낙하하여 혼합된다(도 3의 'b').
상기에 따라 용기몸체(100) 내부에서 혼합된 이종의 액체는 스포이트로 뽑아내 사용하게 되는데, 스포이트(500)를 주입구(120)를 통해 용기몸체(100) 내부로 진입시키게 되면 스포이트(500) 하단이 밀봉캡(400) 하단에 형성된 필름막(480)에 이르러 필름막(480)을 파괴하면서 용기몸체(100) 내부로 진입하고, 이후 혼합된 이종이 액체를 스포이드에 담아 들어올려 뽑아내게 된다(도 3의 'c').
여기서, 스포이트(500)에는 보조마개(520)가 형성될 수 있는바, 보조마개(520)로 주입구(120)를 닫아줌으로써 마개(200)를 제거한 후 스포이트(500)를 용기몸체(100)와 함께 보관하면서 반복사용이 가능하고, 용기몸체(100)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막아주게 된다.
100 : 용기몸체, 120 : 주입구,
200 : 마개, 300 : 분리저장관,
400 : 밀봉캡, 410 : 턱,
420 : 접촉부, 440 : 비접촉부,
460 : 통공, 470 : 결합홈,
480 : 필름막, 500 : 스포이트,
520 : 보조마개.

Claims (5)

  1. 주입구(120)가 형성되어 액체를 담을 수 있게 되고, 상기 주입구(120)에 마개(200)가 착탈식으로 체결되는 용기몸체(100);
    상기 마개(200) 내부에서 장착되고, 하단이 개방되어 액체를 담을 수 있게 되는 분리저장관(300);
    상기 마개(200) 내부에서 상기 분리저장관(300)에 결합되되, 하단은 필름막(480)으로 막혀있는 반면 측벽에는 통공(460)이 형성되고, 하단 내부에는 상기 분리저장관(300) 하단이 끼워지는 결합홈(470)이 형성되며, 상기 마개(200)가 상기 주입구(120)에 결합될 때 상기 주입구(120)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는 밀봉캡(400)을 포함하여,
    상기 분리저장관(300)에 액체를 투입하고 상기 밀봉캡(400)으로 밀봉한 상태에서 상기 마개(200)를 상기 주입구(120)에 체결하면 두 가지 액체를 분리하여 저장하게 되는 한편,
    상기 마개(200)를 열면 상기 밀봉캡(400)은 상기 주입구(120)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분리저장관(300) 하단만이 상기 결합홈(470)에서 이탈되면서 내부에 수용된 액체가 배출되어 상기 통공(460)을 통해 용기몸체(100)로 투입되고,
    상기 필름막(480)을 스포이드(500)로 파괴하며 상기 용기몸체(100) 내부로 진입시켜 상기 용기몸체(100) 내부에서 혼합된 액체를 뽑아 사용하게 되는 이종 액체 혼합용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캡(400) 상단에는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턱(410)이 형성되어,
    상기 턱(410)이 주입구(120) 상단에 걸림으로써 상기 밀봉캡(400)이 상기 용기몸체(100)로 빠지지 않게 되는 이종 액체 혼합용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캡(400)은 지름이 동일한 지름으로 상기 주입구(120)에 접하는 접촉부(420)와, 상기 접촉부(420) 아래로 지름이 점차 줄어드는 비접촉 부(440)를 포함하는 이종 액체 혼합용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460)은 상기 밀봉캡(400) 벽면을 따라 복수 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이종 액체 혼합용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이트(500)에는 보조마개(520)가 형성되어,
    상기 마개(200)를 제거한 후 상기 보조마개(520)로 상기 주입구(120)를 닫아줄 수 있게 되는 이종 액체 혼합용기.
KR1020210004687A 2021-01-13 2021-01-13 이종 액체 혼합용기 KR202201023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687A KR20220102388A (ko) 2021-01-13 2021-01-13 이종 액체 혼합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687A KR20220102388A (ko) 2021-01-13 2021-01-13 이종 액체 혼합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2388A true KR20220102388A (ko) 2022-07-20

Family

ID=82609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4687A KR20220102388A (ko) 2021-01-13 2021-01-13 이종 액체 혼합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0238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054Y1 (ko) 2010-08-26 2011-02-01 (주)칠칠공사 2종 액체 개별 수납 및 혼합 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054Y1 (ko) 2010-08-26 2011-02-01 (주)칠칠공사 2종 액체 개별 수납 및 혼합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33647A (en) Value controlled squeezable fluid dispenser
US4620638A (en) Cap for opening and extracting the contents of a vessel
JP5204117B2 (ja) 蓋及び分注システム
JP6164937B2 (ja) エアレス容器
ES2908045T3 (es) Dispositivo de contención para muestras biológicas
RU2502655C2 (ru) Крышка
US5884810A (en) Dispenser having a breakable and replaceable membrane for a rigid container for liquids
US7434602B2 (en) Drip chamber dropper bottle
JP4954695B2 (ja) 詰め替え用容器
JP6501699B2 (ja) 注出容器
EP0666225A2 (en) A container set comprising at least two containers
KR20220102388A (ko) 이종 액체 혼합용기
JP6775873B2 (ja) 注出容器
KR102382964B1 (ko) 스포이드가 구비된 용기
CN215460210U (zh) 一种防漏液分量瓶
KR890002793B1 (ko) 유속제어관을 갖는 디스펜싱 패키지
KR200459145Y1 (ko) 안전마개가 부착된 주사기형 약품용기
JPH076140Y2 (ja) 2剤混合容器
JP4916667B2 (ja) 注出容器
JP2004026230A (ja) 液体排出補助具及び容器
KR20210000217U (ko) 이액 분리 저장이 가능한 앰플용기
KR101757393B1 (ko) 교체캡을 구비한 펌프용기
JP7455349B2 (ja) 薬液収容容器、薬液供給部材、薬液供給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929597B2 (ja) 注出容器
JP7330629B2 (ja) スポイト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