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5465A -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 - Google Patents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5465A
KR20070105465A KR1020060037608A KR20060037608A KR20070105465A KR 20070105465 A KR20070105465 A KR 20070105465A KR 1020060037608 A KR1020060037608 A KR 1020060037608A KR 20060037608 A KR20060037608 A KR 20060037608A KR 20070105465 A KR20070105465 A KR 200701054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ma display
display panel
exhaust pipe
protrusion
exha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7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정석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7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05465A/ko
Publication of KR20070105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54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54Means for exhausting the g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 Manufacture Of Electron Tubes, Discharge Lamp Vessels, Lead-In Wir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널과 배기관을 결합시키는 프릿글래스가 챔버 내부의 고온다습한 환경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과 봉착되어 그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공간과 연통되는 배기구가 형성되며, 상기 배기구의 주위를 따라 돌출부가 형성되는 배면판과, 상기 배면판 외측에서 상기 돌출부를 덮으면서 상기 배기구와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배기관과, 상기 배기관 내주면과 상기 돌출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배기관을 상기 배면판 외주면에 결합시키는 부착용 조성물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부착용 조성물이 배기관 내측에 위치하게 되므로 고온다습한 환경에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부착용 조성물이 많은 양의 수분을 흡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부피팽창에 따른 파손가능성이 억제되는 효과가 있다.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 배면판, 돌출부, 배기관, 프릿글래스

Description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선에 따른 결합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참조 부호의 설명>
100, 200, 300 :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 110 : 전면기판
120 : 배면기판 120b : 배기구
130 : 돌출부 130b, 330b : 중공부
140 : 격벽 150 : 방전셀
170, 270, 370 : 프릿글래스 190, 290, 390 : 배기관
본 발명은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기관 및 상기 배기관을 패널에 결합시키는 부착용 조성물의 파손을 방지할 있도록 개선된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이다.
정보처리 시스템의 발전과 보급 증가에 따라 시각정보 전달 수단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음극선관(Cathod Ray Tube)은 사이즈가 크고 동작전압이 높으며 표시 일그러짐이 발생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화면의 대형화 및 평면화를 목표로 하는 최근의 추세에 적합하지 않았다.
따라서 최근에는 매트릭스 타입의 격벽 및 전극구조를 가지는 각종 평면디스플레이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예컨대, 액정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와 전계방출디스플레이(Field Emission Display, FED) 및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등의 평면디스플레이가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이 중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네온(Ne) 및 제논(Xe)과 같은 불활성 혼합가스의 방전시 발생하는 약 147㎚의 자외선에 의해 형광체를 발광시킨다. 이로 인해 문자 또는 그래픽을 포함한 화상이 구현된다. 이러한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박막화와 대형화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구조가 단순해 제작이 용이하다. 아울러 상기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다른 평면디스플레이에 비하여 휘도 및 발광효율이 높다는 이점을 가진다.
이러한 이점들로 인하여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크게 교류형(AC type), 직류 형(DC type) 및 혼합형(Hybrid type)으로 나누어지는데, 특히 교류형(AC type)은 방전시 표면에 벽전하가 축적되며 방전에 의해 발생되는 스퍼터링으로부터 전극들을 보호하기 때문에 저전압 구동과 장수명의 장점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공정은, 원하는 화면 크기로 가공된 한 쌍의 전면기판과 배면기판에 전극 및 형광체 등을 형성하여 전면판 및 배면판을 제조하는 전(前)공정과, 상기 전 공정에 의해 제조된 전면판과 배면판을 합착하고 고진공 상태에서 방전가스를 주입하는 후(後)공정과, 그 합판 형태의 패널 표면상에 회로를 실장하는 모듈(module)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이 중 방전가스를 주입하기 전에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 내부를 고진공 상태로 만들기 위한 공정을 배기공정이라 한다. 이러한 배기공정은 배면기판에 형성된 배기구와, 이 배기구에 연결되는 배기관 및 상기 배기관에 연결된 진공펌프에 의해 수행된다. 즉, 배기구와 배기관은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통로 역할을 맡고 있다.
한편, 배기관은 부착용 조성물에 의하여 배면기판에 결합된다. 즉, 배면기판의 일면 중 배기구가 형성된 주변부에 부착용 조성물이 공급되고, 상기 배기관의 일단이 놓여짐으로써 결합이 완성된다. 이로 인해 배기구와 배기관 내부가 연결되어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통로가 완성된다. 다만, 상기 배기관은 방전가스 주입 완료 후에 밀봉되며, 이로써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 내부가 외부와 격리된다. 여기서, 상기 부착용 조성물은 통상 프릿글래스(frit glass)가 사용된다.
그런데, 상술한 종래기술에서는, 배기관을 배면기판에 결합시키는 프릿글래스가 챔버 내부의 고온다습한 환경에 노출되어 있었다. 이와 같이 프릿글래스가 고온다습한 환경에 놓이게 되는 경우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 데, 이하 살펴본다.
프릿글래스는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많은 양의 수분을 흡수한다. 일정량 이상의 수분을 흡수하게 되면, 상기 프릿글래스의 부피가 허용범위를 넘게 되고, 그 결과 프릿글래스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나아가, 프릿글래스의 파손에 의해 유리재질의 배기관도 함께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는 결국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배면기판과 배기관을 결합시키는 프릿글래스가 고온다습한 환경에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된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릿글래스의 파손을 방지하여 배기관이 파손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은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과 봉착되어 그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공간과 연통되는 배기구가 형성되며, 상기 배기구의 주위를 따라 돌출부가 형 성되는 배면판과; 상기 배면판 외측에서 상기 돌출부를 덮으면서 상기 배기구와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배기관과; 상기 배기관 내주면과 상기 돌출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배기관을 상기 배면판 외주면에 결합시키는 부착용 조성물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배기구와 연통되는 중공부를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배기관은 상기 원기둥 형상인 돌출부의 외주면과 상부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연결 관부와, 상기 연결 관부로부터 이어지며 상기 연결 관부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연장 관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착용 조성물은 상기 돌출부의 상부면과 상기 배기관의 연결 관부 내부면 사이에 개재될 수 있으며, 상기 부착용 조성물은 상기 돌출부의 외주면과 상기 연결 관부의 내부면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배기구와 연통되는 중공부를 갖는 원뿔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배기관은 상기 원뿔대 형상의 돌출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배기관 축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연결 관부와, 상기 연결 관부로부터 이어지는 연장 관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착용 조성물은 상기 돌출부의 경사진 외주면과 상기 연결 관부의 경사진 내부면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착용 조성물은 프릿글래스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공정은, 원하는 화면 크기로 가공된 한 쌍의 전면기판과 배면기판에 전극 및 형광체 등을 형성하여 전면판 및 배면판을 제조하는 전(前)공정과, 상기 전 공정에 의해 제조된 전면판과 배면판을 합착하고 고진공 상태에서 방전가스를 주입하는 후(後)공정과, 그 합판 형태의 패널 표면상에 회로를 실장하는 모듈(module)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의 후공정에 있어서, 방전가스 주입공정을 진행하기 전에 전면판과 배면판의 내부에 남아있는 가스를 제거하여 고진공 상태로 만드는 공정, 즉 배기공정은 완성된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특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공정 중 하나이다.
이를 위해 배면판의 일 구성요소인 배면기판에는 배기구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배기구의 주위를 따라 돌출부가 형성된다. 배기관은 상기 배면판 외측에서 상기 돌출부를 덮으면서 상기 배기구와 연결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배기관은 부착용 조성물에 의해 배면기판에 결합되는데, 부착용 조성물로는 통상 프릿글래스가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프릿글래스는 배기관 내측면과 돌출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배기관을 배면판에 결합시키므로, 고온다습한 외부환경에 노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부피팽창에 따른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비록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지만, 이는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써, 다양한 형태, 크기 등으로 대체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한편,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공지기술의 경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부분 확대도이며, 도 3은 도 2의 Ⅲ-Ⅲ선에 따른 결합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크게 전면판과 배면판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전면판은 전면기판(110)과, 그 내주면에 표시전극인 유지전극(미도시) 및 주사전극(미도시)을 구비한다. 이들 표시전극은 유전층(미도시)과 보호막(미도시)의 적층구조에 의해 덮여진다.
배면판은 배면기판(120)과, 그 내주면에 어드레스전극(미도시)을 구비한다. 상기 어드레스전극은 유전층(미도시)에 의해 덮여진다. 상기 유전층의 상부에는 격벽(140)이 형성되고, 이에 의해 방전셀(150)이 형성된다. 상기 방전셀(150)에는 형광체(미도시)가 인쇄된다. 이러한 배면기판(120)은 부착용 조성물(160)에 의해 전면기판(110)과 봉착된다.
배면기판(120)과 전면기판(120)의 봉착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을 고진공 상태로 만들기 위하여, 배면기판(120)에는 배기구(120b)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기구(120b)의 주위를 따라 돌출부(130)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30)는 상기 배기구(120b)와 연통되는 중공부(130b)를 가지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배기관(190)은 상기 돌출부(13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연결 관부(190a)와, 상기 연결 관부(190a)와 이어지는 연장 관부(190b)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장 관부(190b)는 배기구(120b) 및 중공부(130b)와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 관부(190a) 및 연장 관부(190b)는 서로 다른 지름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을 가진다. 제1 실시예에서는 연결 관부(190a)가 연장 관부(190b)보다 큰 직경을 가진다.
이러한 배기관(190)은 일반적으로 유리물질로 제조된다. 제조된 배기관(190)은 부착용 조성물, 예컨대 프릿글래스(170)에 의해 배면기판(120)에 형성된 돌출부(130)에 결합된다.
상기 배기관(190)이 돌출부(130)에 결합되는 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돌출부(130)의 상부면에 프릿글래스(170)가 공급되고, 여기에 배기관(190)의 연결 관부(190a) 내부 상측면이 놓이게 된다. 이로써, 연결 관부(190a)의 상측면과 돌출부(130) 상부면의 부착이 완료된다.
상기 돌출부(130)에 배기관(190)의 결합이 완성되고, 돌출부(130)의 중공부(130b)와 배기관(190) 내부가 연결되면,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통로가 완성된다. 이 통로는 배기공정과 방전가스 주입공정 진행 시 이용된다. 상기 공정들이 완료되면 상기 배기관(190)은 밀봉되며, 이로써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100) 내부가 외부와 격리된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배면판에 배기관(190)을 결합시키는 프릿글래스(170)가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100) 제조 챔버 내부의 고온다습한 환경에 노출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프릿글래스(170)가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100) 내부공간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있는 바, 방전가스 주입 시 상기 프릿글래스(170)에 서 발생되는 불순가스 유입 가능성이 최소화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소정간격은 배면기판(120)의 돌출부(130) 높이에 따라 결정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단면도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크게 전면기판(110)과 그 내주면에 표시전극인 유지전극(미도시) 및 주사전극(미도시) 등을 구비하는 전면판과, 배면기판(120)과 그 내주면에 어드레스전극(미도시) 등을 구비하는 배면판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배기관(290)은 돌출부(13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연결 관부(290a)와, 상기 연결 관부(290a)와 이어지는 연장 관부(290b)로 이루어진다.
본 제2 실시예서는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와 달리, 프릿글래스(270)가 돌출부(130) 상부면이 아니라 그 외주면에 공급된다는 특징이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프릿글래스(270)는 돌출부(130) 외주면과 배기관(290)의 연결 관부(290a) 내부 측면을 부착시키는 데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배면판과 배기관(190)을 결합시키는 프릿글래스(270)가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200) 제조 챔버 내부의 고온다습한 환경에 노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프릿글래스(270)가 돌출부(130) 외주면과 배기관(290)의 연결 관부(290a) 내부 측면에 의해 한정된 공간에 위치하는 바, 상기 프릿글래스(270)에서 발생될 수 있는 불순가스가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200) 내부공간에 유입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300)의 단면도이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이를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에서와 마찬가지로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300)은 크게 전면기판(110)과 그 내주면에 표시전극인 유지전극(미도시) 및 주사전극(미도시) 등을 구비하는 전면판과, 배면기판(120)과 그 내주면에 어드레스전극(미도시) 등을 구비하는 배면판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제3 실시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제1 및 제2 실시예들과 달리, 배면기판(120)의 상부에 형성된 돌출부(330)가 원뿔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돌출부(330)의 중공부(330b)는 상기 배면기판(120)의 배기구(120b)와 연통된다.
배기관(390)의 연결 관부(390a)는 상기 돌출부(33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배기관(390)의 축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연장 관부(390b)는 상기 연결 관부(390a)로부터 이어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프릿글래스(370)는 돌출부(330)의 경사진 외주면과, 연결 관부(390a)의 경사진 내부 측면에 공급되어 이들을 부착시킨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배면판과 배기관(390)을 결합시키는 프릿글래스(370)가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300) 제조 챔버 내부의 고온다습한 환경에 노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프릿글래스(370)가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300) 내부공간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있는 바, 방전가스 주입 시 상기 프릿글래스(370)에서 발생되는 불순가스 유입 가능성이 최소화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소정간격은 배면기판(120)의 돌출부(330) 높이에 따라 결정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배면판에 형성된 돌출부와 배기관을 결합시키는 프릿글래스가 고온다습한 환경에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되므로, 상기 프릿글래스가 많은 양의 수분을 흡수하여 부피가 팽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피팽창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프릿글래스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부피팽창에 따른 프릿글래스의 파손을 방지하여, 배기관이 파손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프릿글래스에서 발생되는 불순가스가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전면판;
    상기 전면판과 봉착되어 그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공간과 연통되는 배기구가 형성되며, 상기 배기구의 주위를 따라 돌출부가 형성되는 배면판;
    상기 배면판 외측에서 상기 돌출부를 덮으면서 상기 배기구와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배기관; 및
    상기 배기관 내주면과 상기 돌출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배기관을 상기 배면판 외주면에 결합시키는 부착용 조성물
    을 포함하는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배기구와 연통되는 중공부를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은 상기 원기둥 형상인 돌출부의 외주면과 상부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연결 관부와, 상기 연결 관부로부터 이어지며 상기 연결 관부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연장 관부로 이루어지는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용 조성물은 상기 돌출부의 상부면과 상기 배기관의 연결 관부 내부면 사이에 개재되는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용 조성물은 상기 돌출부의 외주면과 상기 연결 관부의 내부면 사이에 개재되는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배기구와 연통되는 중공부를 갖는 원뿔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은 상기 원뿔대 형상의 돌출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배기관 축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연결 관부와, 상기 연결 관부로부터 이어지는 연장 관부로 이루어지는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용 조성물은 상기 돌출부의 경사진 외주면과 상기 연결 관부의 경사진 내부면 사이에 개재되는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용 조성물은 프릿글래스인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20060037608A 2006-04-26 2006-04-26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701054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7608A KR20070105465A (ko) 2006-04-26 2006-04-26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7608A KR20070105465A (ko) 2006-04-26 2006-04-26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5465A true KR20070105465A (ko) 2007-10-31

Family

ID=38818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7608A KR20070105465A (ko) 2006-04-26 2006-04-26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0546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28952A1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US7235923B2 (en) Plasma display apparatus
US20070046205A1 (en) Plasma display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060082307A1 (en) Plasma display panel
JP2006120617A (ja) プラズマ表示装置の組立体と、その製造方法
KR20070105465A (ko)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0884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20070040507A1 (en) Plasma display panel (PDP)
US20060087239A1 (en) Plasma display panel
US20060076888A1 (en) Plasma display panel
JP2006210338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それを備えた平板表示装置
EP1445787A2 (en) Plasma display panel
US20070216304A1 (en) Plasma display panel
KR20070105466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20080048549A1 (en) Plasma display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7019023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US20020030434A1 (en) Plasma display
KR20040063766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소음 저감방법 및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
KR10063751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20060197448A1 (en) Plasma display panel
US20060232184A1 (en) Flat fluorescent lamp and a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050598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31610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2006128065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4764955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