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4045A - 슬라이드식 창문용 개폐기 - Google Patents
슬라이드식 창문용 개폐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104045A KR20070104045A KR1020060036159A KR20060036159A KR20070104045A KR 20070104045 A KR20070104045 A KR 20070104045A KR 1020060036159 A KR1020060036159 A KR 1020060036159A KR 20060036159 A KR20060036159 A KR 20060036159A KR 20070104045 A KR20070104045 A KR 2007010404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cking
- window
- slider
- guide base
- open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vertical plan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6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holding sliding wings open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02—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one sliding bar for fastening when moved in one direction and unfastening when moved in opposite direction;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the same direction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10—Actuating mechanisms for ba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2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horizontal plane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vertical planes
- E05D15/44—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vertical planes with pivoted arms and vertically-sliding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문을 임의의 개방 위치에서 고정 유지할 수 있고, 따라서 비가 내리거나 바람이 불 때에, 창문의 개방량을 조정할 수 있고, 또는 장난 등에 의한 추락 사고가 발생될 위험이 없는 상태에서 실내를 환기시키고, 안전성이 우수한 슬라이드식 창문용 개폐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가이드 베이스(5), 슬라이더(7), 주 링크바(8), 부 링크바(9), 견제 링크바(10) 등으로 접이식 링크 구조의 개폐기를 구성하고, 가이드 베이스(5)에 슬라이더(7)의 이동을 규제하는 개폐 잠금 구조를 설치한다. 개폐 잠금 구조는, 슬라이더(7)와 함께 이동하는 나사 축(23)과, 나사 축(23)과 걸리거나 분리되는 잠금 블록(24)과, 잠금 스프링(25), 및 잠금 해제 레버(26)를 포함한다. 닫힌 위치와 전개방 위치 사이의 창문 개방 위치에서, 잠금 블록(24)을 나사 축(23)에 걸어맞추어서, 창문(2)을 개폐 불가능하도록 고정 유지한다.
슬라이드, 개폐기, 링크바, 스톱 기능, 스프링, 잠금 기구, 안전성, 조작성
Description
도 1은 도 5에서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2는 슬라이드식 창문의 정면도이다.
도 3은 개폐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개폐기의 평면도이다.
도 5는 개폐 잠금 기구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7은 전환 기구의 순환 동작을 나타낸 종단 측면도이다.
도 8은 개폐 잠금 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횡단 평면도이다.
도 9는 개폐 잠금 기구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10은 잠금 상태의 개폐 잠금 기구를 나타낸 종단 측면도이다.
도 11은 개폐 잠금 기구의 횡단 평면도이다.
도 12은 도 10에서의 C-C선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개구 프레임 2: 창문
5: 가이드 베이스 7: 슬라이더
8: 주 링크바 9: 부 링크바
10: 견제 링크바 23: 나사 축
24: 잠금 블록 25: 잠금 스프링
26: 잠금 해제 레버 29: 나사 산
40: 걸어맞춤편 41, 42: 걸림편
55: 잠금 바 56: 잠금 블록
57: 잠금 스프링 59: 일방향 스프링
62: 잠금 오목부 63: 걸어맞춤 돌기
68: 가로 조작면 69: 세로 조작면
[특허 문헌 1] 일본국 실공평 6-25587호 공보(2페이지 12행 ~ 3페이지 7행, 도 4)
[특허 문헌 2] 일본국 실공평 5-9411호 공보(7페이지 13 ~ 19행, 도 4)
본 발명은, 창문을 복수의 개방 위치에서 유지 고정하기 위한 스톱 기능을 가지는 슬라이드식 창문용 개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 링크식 개폐기의 기본 구조는, 예를 들면 일본국 실공평 6-25587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상기 특허 문헌 1 참조). 상기 문헌 1에 따르 면, 개구 프레임에 고정되는 가로가 긴 가이드 베이스와, 창문에 고정되는 장착 베이스와, 가이드 베이스에서 왕복 슬라이드 가능하게 안내 지지되는 슬라이더와, 가이드 베이스의 측단과 장착 베이스의 도중 부분을 연결하는 주 링크바와, 그 일단이 슬라이더에 연결되고 그 타단이 장착 베이스가 폐단(閉端)에 연결되는 부 링크바와, 그 일단이 슬라이더에 연결되고 그 타단이 주 링크바의 도중 부분에 연결되는 견제 링크바 등으로 개폐기를 구성하고 있다.
본 발명의 개폐기는, 창문을 복수의 개방 위치에서 유지 고정시키기 위한 스톱 기능을 구비하고 있지만, 이러한 종류의 개폐기는 특허 문헌 2에 공지되어 있다. 상기 문헌 2에는, 슬라이더에 조립 노치(notch)가, 가이드 베이스에 설치한 잠금 구멍과 걸어맞춤으로써, 창문을 반개방 위치와 전개방 위치에서 개폐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노치는 스프링으로 가압되어서 자동적으로 잠금 구멍으로 진입되어 걸어 맞출 수 있다. 그러므로, 가이드 베이스에 압 버튼을 내장하여, 압 버튼을 밀어 넣는 조작을 행하면, 노치가 스프링의 탄성력에 반발하여 잠금 해제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스톱 기능을 가지는 특허 문헌 2의 개폐기는, 창문을 반개방 위치와 전개방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창문을 반개방 상태에서 환기를 할 경우에, 비가 실내에 들어올 우려가 있다. 반개방 상태의 창문은, 개구 프레임의 개구 면에 대해서 약 45°의 각도로 개방되어 있어, 창문의 개방 전단 부분과 개구 프레임의 개구 면의 간격이 커진다. 그러므로, 아이들의 장난이나 과실에 의한 추락 사고의 위험이 높고, 안전성의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특허 문헌 2의 개폐기는, 창문을 반개방 위치까지 개방 조작하면 슬라이더에 설치한 노치가 자동적으로 잠금 구멍과 걸어맞추어진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창문을 전개방 위치로부터 닫힌 위치로 조작하는 경우에는, 한쪽 손으로 압 버튼을 밀어넣어서 노치를 잠금 해제 상태로 계속 유지시키거나 , 또는 노치가 잠금 구멍과 걸어맞추어질 때마다, 압 버튼을 밀어넣어서 노치를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 조작할 필요가 있어서, 창문의 개폐가 번거로워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번거로움을 없앨려면, 예를 들면, 노치를 수동으로 잠금 상태와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 조작 가능하도록 하면 된다. 그러나, 그럴 경우에는 노치의 자동 잠금 기능이 없어지기 때문에, 개방된 창문이 바람에 의하여 급격하게 전개방 위치까지 개방될 우려가 있다.
특히, 접이 링크식의 개폐기는, 대형이며 중량이 큰 창문에 적용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창문이 바람에 의하여 급격하게 개방될 때에는, 사용자가 창 밖으로 끌려나갈 우려가 있어, 안전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창문을 임의의 개방 위치에서 고정 유지할 수 있고, 따라서 비가 내리거나, 바람 등에 대응하여 창문의 개방량을 조정할 수 있고, 또는 장난 등에 의한 추락 사고의 위험이 없는 상태에서 실내를 환기시키고, 안전성이 뛰어난 슬라이드식 창문용 개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폐 잠금 기구의 자동 잠금 기능을 유지한 채 창문을 간단하게 닫을 수 있고, 따라서 종래의 스톱 기능을 구비한 개폐기에 비하여, 안전성과 조작성을 양립시킬 수 있는 슬라이드식 창문용 개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개폐기는, 개구 프레임(1)에 장착되는 가이드 베이스(5)와, 가이드 베이스(5)에서 왕복 슬라이드 가능하게 안내되는 슬라이더(7)와, 그 일단이 가이드 베이스(5)에 연결되고 그 타단이 창문(2)에 연결되는 주 링크바(8)와, 그 일단이 슬라이더(7)에 연결되고 그 타단이 창문(2)의 폐단에 연결되는 부 링크바(9)와, 그 일단이 슬라이더(7)에 연결되고 그 타단이 주 링크바(8)의 중도부에 연결되는 견제 링크바(10)와, 슬라이더(7)의 이동을 저지하여 창문(2)을 복수의 개방 위치에서 유지 고정시키는 개폐 잠금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개폐 잠금 기구는, 일단이 슬라이더(7)에 고정되어 가이드 베이스(5) 내를 왕복 이동하는 나사 축(23)과, 상기 나사 축(23)과 걸리거나 분리되는 나사 산(29)을 구비한 잠금 블록(24)과, 상기 잠금 블록(24)을 나사 축(23) 방향으로 이동 가압하는 잠금 스프링(25)과, 가이드 베이스(5)의 외부에 설치되어 잠금 스프링(25)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잠금 블록(24)을 나사 축(23)으로부터 분리 조작하는 잠금 해제 레버(26)를 포함한다.
따라서, 닫힌 위치와 전개방 위치 사이의 창문 개방 위치에서, 잠금 블록(24)이 나사 축(23)과 걸어맞추어져서, 창문(2)을 고정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기에서, 잠금 해제 레버(26)와 가이드 베이스(5) 사이에, 잠금 블록(24) 및 잠금 해제 레버(26)를 작동 위치와 대기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를 유 지시키는 전환 기구(switching mechanism)를 설치한다. 전환 기구는, 잠금 블록(24)과 병행 가능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 되는 걸어맞춤편(40)과, 가이드 베이스(5)에 대향 배치되어 걸어맞춤편(40)의 자세를 전환시키는 한쌍의 걸림편(41, 42)을 포함한다. 상기 전환 기구는, 작동 위치와 대기 위치 사이를 왕복하는 잠금 블록(24)의 이동 동작에 연동하여, 걸어맞춤편(40)이 나사 축(23) 측의 걸림편(41)과 걸어맞추어져 잠금 블록(24)을 대기 위치로 유지하는 대기 상태와 걸어맞춤편(40)과 걸림편(41)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잠금 블록(24)이 나사 축(23)과 걸어맞추어지는 작동 상태로, 순환적으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개폐기는, 개구 프레임(1)에 장착되는 가이드 베이스(5)와, 가이드 베이스(5)에서 왕복 슬라이드 가능하게 안내되는 슬라이더(7)와, 일단이 가이드 베이스(5)에 연결되고 타단이 창문(2)에 연결되는 주 링크바(8)와, 일단이 슬라이더(7)에 연결되고 타단이 창문(2)의 폐단에 연결되는 부 링크바(9)와, 일단이 슬라이더(7)에 연결되고 타단이 주 링크바(8)의 중도부에 연결되는 견제 링크바(10)와, 슬라이더(7)의 이동을 저지하여 창문(2)을 복수의 개방 위치로 유지 고정시키는 개폐 잠금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개폐 잠금 기구는, 일단이 슬라이더(7)에 고정되고,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잠금 오목부(62)가 형성되어 있는 잠금 바(55)와, 가이드 베이스(5)에서 전후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잠금 오목부(62)와 걸리거나 분리되는 잠금 블록(56)과, 상기 잠금 블록(56)을 잠금 바(55)의 방향으로 이동 가압하는 잠금 스프링(57)과, 상기 잠금 바(55)에 장착되어 잠금 오목부(62)의 걸어맞춤 개구면으로부터 잠금 블록(56) 측에 돌출하는 일방향 스프 링(59)을 포함한다. 잠금 오목부(62)에 걸어맞추어지는 잠금 블록(56)의 걸어맞춤 돌기(63)의 상하 두께는, 잠금 오목부(62)의 상하 치수를 초과하도록 설정된다. 일방향 스프링(59)과 걸어맞춤 돌기(63) 중 어느 한쪽에, 일방향 스프링(59)을 잠금 바(55)로부터 부유(floating)되어 이격되는 방향으로 변위 조작하는 세로 조작면(68)과, 잠금 블록(56)을 잠금 스프링(57)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잠금 해제 방향으로 이동 조작하는 세로 조작면(69)을 설치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개폐기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2에 있어서, 부호 1은 개구 프레임, 2는 창문을 나타낸다. 개구 프레임(1)의 상하 범위와 창문(2)의 상하 범위 내에, 각각 접이 링크 방식의 개폐기를 배치하여, 창문(2)을 폐 상태와 전개방 상태 사이에서 개폐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전개방 상태에서의 창문(2)은, 도 3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창문의 개구 면에 대해서 직교하게 된다. 상하의 개폐기의 접이식 링크 기구는 서로 동일하며, 하측의 개폐기만 개폐 잠금 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하측의 개폐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접이식 링크 기구는, 개구 프레임(1)에 나사로 고정되는 가이드 베이스(5)와, 창문(2)의 하단면에 나사로 고정되는 창문용 브래킷(6, bracket)과, 가이드 베이스(5)에서 왕복 슬라이드 가능하게 안내되는 슬라이더(7)와, 일단이 가이드 베이스(5)의 개방 개시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창문용 브래킷(6)에 연결되는 주 링크바(8)와, 일단이 슬라이더(7)에 연결되고 타단이 창문용 브래킷(6)의 폐단의 네일(nail)부(6a)에 연결되는 부 링크바(9)와, 일단이 슬라이더(7)에 연결되고 타단이 주 링크바(8)의 중도부에 연결되는 견제 링크바(1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견 제 링크바(10)는, 주 링크바(8)의 최대 요동각(搖動角)을 제한한다.
가이드 베이스(5)는, 하측으로 개구된 햇(hat)형 단면을 가지는 상 프레임(5a)과, 상 프레임(5a)의 하면 개구를 막는 하 프레임(5b)을 스폿 용접에 의하여 설치되어 있고, 상 프레임(5a)의 상면 벽에 좌우로 길게 가이드 홈(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베이스(5)의 우측단에는 가이드 편(14)이 설치되어 있고, 창문(2)을 닫으면, 창문용 브래킷(6)의 폐단에 설치한 끝이 좁아진 상태의 네일부(6a)가 가이드 편(14)의 수납 위치로 안내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더(7)는 가로로 긴 직사각형의 플라스틱 블록으로 이루어지고, 가이드 베이스(5)의 상 프레임(5a)의 내외 벽에서 좌우 슬라이드 만 가능하게 안내 지지되어 있다. 슬라이더(7)의 일측에, 후술하는 나사 축(23)의 일단이 나사로 고정되어 있다.
창문(2)은, 상하 한쌍의 주 링크바(8)와 짧은 길이의 부 링크바(9)에 의하여 지지되어 개폐 이동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창문(2)이 닫힌 위치로부터 열리면, 주 링크바(8)는 가이드 베이스(5) 측의 핀(15)을 지점(支點)으로 하여 밖으로 향하여 요동하고, 창문(2)을 외면으로 밀어낸다. 주 링크바(8)의 요동 변위에 따라, 슬라이더(7)가 견제 링크바(10)를 주 링크바(8) 측으로 끌어들일 수 있다. 이 때, 부 링크바(9)는, 슬라이더(7)와 병행 이동하면서, 슬라이더(7) 측의 핀(16)을 지점으로 하여 바깥쪽으로 요동한다. 그 결과, 창문용 브래킷(6)과 주 링크바(8)의 돌출단을 연결하는 핀(17)을 중심으로 하여 창문(2)이 시계 방향으로 개방 회동한다.
견제 링크바(10)의 기단은 핀(19)을 통하여 슬라이더(7)에 연결되고, 견제 링크바(10)의 돌출단은 주 링크바(8)의 중도부에서 핀(20)으로 연결된다. 부호 18은 부 링크바(9)의 돌출단과 네일부(6a)를 연결하는 핀이다.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창문(2)을 전개방 조작한 상태에서는, 기단에 설치한 핀(19)이 가이드 홈(13)의 단부에서 수용하며, 주 링크바(8) 및 부 링크바(9)가 더 이상 밖으로 요동되는 것을 저지한다. 그리고, 부 링크바(9)의 최대 요동각은 주 링크바(8)와 비교하여 크지만, 최대 90°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설정된다.
창문(2)을 닫힌 위치와 전개방 위치 사이의 임의의 개방 위치에서 고정 유지하기 위해, 가이드 베이스(5)에 형성된 가이드 홈(13) 근방의 한군데에, 슬라이더(7)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개폐 잠금 기구를 설치하고 있다. 도 1에서 개폐 잠금 기구는, 일단이 슬라이더(7)에 나사로 고정되는 나사 축(23)과, 나사 축(23)과 걸리거나 분리되는 잠금 블록(24)과, 잠금 블록(24)을 나사 축(23)으로 이동 가압하는 잠금 스프링(25)과, 잠금 블록(24)을 잠금 스프링(25)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나사 축(23)으로부터 분리 조작하는 잠금 해제 레버(26)와, 잠금 블록(24) 및 잠금 해제 레버(26)를 작동 위치와 대기 위치로 전환시키는 전환 기구 등으로 구성된다. 나사 축(23)의 주위면에는, 나사 산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잠금 블록(24)은 내외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금속 블록으로 이루어지고, 그 일측에 나사 축(23)에 외접하는 반원형의 오목 원호면을 가지고, 오목 원호면에 나사 축(23)이 맞물리는 나사 산(29)이 형성되어 있다. 오목 원호면과 대향하는 벽면의 좌우 단에는,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잠금 스프링(25)을 수용하는 스프링 구멍(30)(도 1참조)을 형성하고, 상기 스프링 구멍(30)의 내측에 한쌍의 베어링암(31)을 돌출되게 설치한다. 잠금 블록(24)은, 베어링암(31)이 개구(32)를 통하여 베이스 밖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가이드 베이스(5)의 내부에 내장되며, 가이드 베이스(5)의 내면에 고정된 한쌍의 가이드체(33)에서 전후진 슬라이드 가능하게 안내된다. 잠금 스프링(25)은 스프링 구멍(30)과 상기 개구(32)가 형성되는 벽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도 5에 있어서, 잠금 해제 레버(26)는 가이드 베이스(5)의 상면에 덮이는 커버 벽(35)과 조작 노브(36)를 일체로 구비한 플라스틱 성형체로 이루어진다. 조작 노브(36)의 아래쪽 부분은 도려내어 지고, 이렇게 도려낸 부분에 잠금 블록(24)의 베어링암(31)을 접합시키고, 잠금 해제 레버(26)와 베어링암(31)을 나사(37)로 체결함으로써 양쪽(24, 26)을 일체로 형성한다. 사용 시에는 잠금 해제 레버(26)의 조작 노브(36)를, 개구 프레임(1)의 하 프레임보다 실내 측으로 돌출시킨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개폐 잠금 기구에 의하면, 잠금 블록(24)의 나사 산(29)이 나사 축(23)의 일부와 걸어맞추어져서, 임의의 개방 위치에서 창문(2)을 개폐 불가능하게 고정 유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나사 축(23)의 좌우 치수는 슬라이더(7)의 이동 스트로크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잠금 해제 레버(26)를 잠금 스프링(25)에 대항하여 잡아당기면, 나사 산(29)이 나사 축(23)으로부터 멀어지므로, 잠금 블록(24)을 잠금 해제하고, 창문(2)를 자유롭게 개폐할 수 있다.
잠금 블록(24) 및 잠금 해제 레버(26)를 작동 위치와 대기 위치 중 어느 한쪽의 위치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잠금 해제 레버(26)와 가이드 베이스(5) 사이에 전환 기구를 설치한다. 도 1 및 도 5에서 전환 기구는 잠금 블록(24)의 베어링암(31) 사이에 배치되는 걸어맞춤편(40)과 걸어맞춤편(40)의 자세를 전환 조작하는 한쌍의 걸림편(41, 42)으로 이루어지고, 잠금 해제 레버(26)의 왕복 동작을 이용하여 걸어맞춤편(40)의 자세를 순환적으로 전환시킨다.
도 5에서 걸어맞춤편(40)은, 길이 방향 양단에 V자형의 걸어맞춤부(43)를 형성한 장구형의 금속 블록으로 이루어지고, 블록 중앙의 일측에 핀(44)이 설치되고 타측에 핀구멍(45)이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핀(44)을 한쪽 베어링암(31)에 형성된 베어링구멍(47)이 지지하고, 다른 쪽 베어링암(31)의 베어링구멍(47)에 삽입하여 끼운 고정핀(48)으로 핀구멍(45)을 지지함으로써, 걸어맞춤편(40) 전체를 베어링암(31)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핀구멍(45)의 깊숙한 단과 고정핀(48) 사이에는,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규제 스프링(49)를 배치한다. 규제 스프링(49)을 배치함으로써, 걸어맞춤편(40)이 자유롭게 회전 변위되는 것을 규제하여, 자세 변경 동작을 필요 시에만 행할 수 있다.
옥외 측의 걸림편(41)은, 가이드 베이스(5)에 형성된 개구(32)보다 하측의 입벽부를 이용하여 형성한다. 옥내 측의 걸림편(42)은, 가이드 베이스(5)에 고정되는 베이스 벽과 그 단부로부터 기립되는 역 L자형의 걸림암(52)을 구비하고 있다. 걸어맞춤편(40)을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그 자세를 순환적으로 바꾸기 때문에, 한쌍의 걸림편(41, 42)은 걸어맞춤편(40)의 회전 중심을 통과하는 수평면을 상하로 끼운 상태에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하에서, 개폐 잠금 기구의 동작을 설명한다. 창문(2)을 완전히 닫은 상태 에서는, 가이드 베이스(5) 상에 각각의 링크바(8 ~ 10)가 접혀져 있다. 도 7a는 잠금 블록(24)이 대기 상태로 전환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7d는 잠금 블록(24)이 작동 상태로 전환되어, 나사 산(29)이 나사 축(23)과 걸어맞추어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전자의 상태에서는, 걸어맞춤편(40)의 걸어맞춤부(43)가 걸림편(41)과 걸어맞추어지고, 이렇게 걸어맞추어진 위치보다 실내 측으로 걸어맞춤편(40)의 중심이 위치하므로, 걸어맞춤부(43)가 걸림편(41)의 상단면에 당접된 후에는, 걸어맞춤편(40)은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하고, 잠금 스프링(25)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잠금 블록(24)을 나사 축(23)으로부터 멀어진 대기 위치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창문(2)을 개폐할 수 있다.
잠금 블록(24)을 록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잠금 해제 레버(26)를 잠금 스프링(25)에 저항하여 슬라이드 한계까지 잡아당긴다. 그러면, 걸어맞춤편(40)의 상반부 측면이 걸림편(42)의 걸림암(52)의 돌출단에 당접하고, 걸어맞춤편(40) 전체가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다음에 잠금 해제 레버(26)의 조작력을 해제하면, 잠금 블록(24) 및 잠금 해제 레버(26)는 잠금 스프링(25)에 밀려서 나사 축(23) 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도 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어맞춤편(40)의 하반부 측면이 걸림편(41)에 닿아서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더 회전한다.
이 상태에서는, 걸어맞춤편(40)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하방의 부분이 걸림편(41)에 당접하고 있으므로, 걸어맞춤편(40)은 더 회전하여 가로로 긴 자세가 되어, 도 7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림편(41)을 타고넘어 개구(32) 내에 들어간다. 이로써 잠금 블록(24)의 나사 산(29)이 나사 축(23)과 서로 맞물려서 잠금 상태로 전환된다.
다시 대기 상태로 되돌릴 때는, 도 7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잠금 해제 레버(26)를 다시 슬라이드 한계까지 잡아당긴다. 그러면, 그때까지 가로로 긴 수평 자세로 있던 걸어맞춤편(40)의 걸어맞춤부(43)가 걸림편(42)의 암부(46)와 당접하기 때문에, 걸어맞춤편(40)은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회전에 의해 옥외 측의 걸어맞춤부(43)의 하단은, 개구(32) 측의 걸림편(41)의 상단보다 하방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잠금 해제 레버(26)의 조작력을 해제하여, 잠금 블록(24)을 나사 축(23)의 측으로 이동시키면, 옥외 측의 걸어맞춤부(43)의 하단이 걸림편(41)과 당접하고, 걸어맞춤편(40) 전체가 기립 형상으로 회전하여 도 7a에서 나타낸 상태로 전환된다.
이상과 같이, 개폐 잠금 기구는 잠금 해제 레버(26)를 실내 측으로 잡아당긴 후에, 그 조작력을 해제하기만 하면, 작동 상태와 대기 상태가 전환되어, 각각의 전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개폐 잠금 기구를 대기 상태로부터 작동 상태로 전환 조작하기만 하면, 임의의 개방 위치에서 창문(2)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개폐 잠금 기구를 작동 상태로부터 대기 상태로 전환 조작하면, 개폐 잠금 기구 때문에 번거로울 것도 없고 자유롭게 창문(2)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걸어맞춤편(40)을 수평축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였지만 꼭 그렇게 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베어링암(31)을 하측으로 조금 이동하여 설치하고, 베어링암(31)과 커버 벽(35) 사이에 걸어맞춤편(40)을 배치하 여 수직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도 된다. 개구(32) 측의 걸림편(41)은 가이드 베이스(5)와는 다른 부재로 형성할 수 있으며, 필요하면 내외의 걸림편(41, 42)을 하나의 부품으로서 함께 형성할 수도 있다.
나사 축(23)의 주위면에 형성되는 나사 산은, 연속적으로 형성할 필요는 없고, 단속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럴 경우에는, 나사 산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서 만, 잠금 블록(24)을 나사 축(23)에 걸어맞추어서 창문(2)을 고정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는 접이 링크식 개폐기는, 주 링크바(8)와 부 링크바(9)의 각각에 제어 링크를 접속할 수도 있다. 또한, 주 링크바(8)의 핀(15)을 가이드 홈을 통하여 슬라이더에 연결할 수도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세로로 슬라이드되는 창문을 나타냈으나, 본 발명은 가로로 슬라이드되는 창문이나 라운딩 창문의 슬라이드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2는, 개폐 잠금 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의 접이식 링크 기구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접이식 링크 기구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에 따르면, 가이드 베이스(5)의 내부에 내장된 잠금 바(55), 잠금 블록(56), 자동 록용 압축 코일 형태의 잠금 스프링(57), 잠금 블록(56)을 조작하는 잠금 해제 레버(58), 및 일방향 스프링(59) 등으로 개폐 잠금 기구를 구성한다.
잠금 바(55)는 단면이 사각형인 금속 봉으로 형성되어 있고, 봉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일측면에 3개의 잠금 오목부(62)를 설치하고, 그 일단을 슬라이더(7)에 체결 고정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잠금 블록(56)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크랭크형의 금속 블록으로 이루어지고, 잠금 바(55)와 대향되는 단면에 잠금 오목부(62)와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 돌기(63)를 설치하고, 금속 블록의 하면 중앙에 잠금 스프링(57)을 수용하는 스프링 구멍(64)을 형성한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잠금 블록(56)은 가이드 베이스(5)의 개구(32)에 내면 측으로부터 내장되며, 상기 스프링 구멍(64)과 실내 측의 입벽부 사이에 개재한 잠금 스프링(57)에 의하여 잠금 바(55)의 방향으로 이동 가압한다. 잠금 블록(56)을 잠금 스프링(57)에 저항하여 잠금 해제 조작하기 위해, 플라스틱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잠금 해제 레버(58)를 가이드 베이스(5)의 돌출단에 접합하고, 이것을 잠금 블록(56)에 나사로 고정시킨다. 잠금 블록(56)은, 가이드 베이스(5)의 내면에 고정한 한쌍의 가이드체(65)에서 전후진 가능하게 안내된다(도 8 참조).
일방향 스프링(59)은 판스프링재로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잠금 오목부(62)의 상면을 막은 상태에서 잠금 바(55)에 나사(60)로 고정시킨다. 이러한 고정 상태에서 일방향 스프링(59)의 돌출 에지(59a)는 잠금 오목부(62)의 걸어맞춤 개구면으로부터 잠금 블록(56) 측에 돌출되어 있다. 그 이유는 창문(2)을 열면, 돌출 에지(59a)에서 잠금 해제된 상태의 걸어맞춤 돌기(63)를 수용하여, 걸어맞춤 돌기(63)가 잠금 오목부(62) 내에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방향 스프링(59)은 나사(60)에 의한 체결 부분을 기단으로 하여 상측으로 굴곡 변형할 수 있지만, 폭 방향으로는 이동도 변형도 할 수 없다.
걸어맞춤 돌기(63)의 상하 두께는 잠금 오목부(62)의 상하 치수, 즉 잠금 바(55)의 두께보다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걸어맞춤 돌기(63)의 상하 두께를 잠금 바(55)의 두께보다 크게 설정하고, 또한 각각의 잠금 오목부(62)의 상면이 일방향 스프링(59)에 의하여 막히면, 창문(2)을 개폐할 때, 잠금 해제 조작한 상태의 걸어맞춤 돌기(63)가 잠금 오목부(62)에 다시 끼워지거나 걸어 맞추어질 수 없다. 이것을 이용하여, 창문 개방 시에 한해서 자동적으로 걸어맞춤 돌기(63)를 잠금 오목부(62)와 걸어맞추어서 잠그고, 창문(2)을 닫을 때는, 걸어맞춤 돌기(63)가 잠금 오목부(62)와 걸어맞추어져서 잠금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잠금 블록(56)의 걸어맞춤 돌기(63)에 세로 조작면(68)과 가로 조작면(69)을 설치한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로 조작면(68)은 걸어맞춤 돌기(63)의 상면의 일측 모서리부에서 둥근 원호면으로 이루어지고, 원호면의 하단이 일방향 스프링(59)의 하면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된다. 즉, 세로 조작면(68)에 의해, 걸어맞춤 돌기(63)가 일방향 스프링(59)의 하면 측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하고, 창문(2)을 개방할 때에 걸어맞춤 돌기(63)가 잠금 오목부(62)와 걸어맞춤에 의하여 잠금 상태가 되도록 하고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로 조작면(69)은, 세로 조작면(68)에 인접하는 걸어맞춤 돌기(63)의 앞면 상부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 원호형으로 둥글게 형성하고 있다. 창문(2)을 닫으면, 일방향 스프링(59)의 돌출 에지(59a)는 가로 조작면(69)을 수용하여, 걸어맞춤 돌기(63)를 잠금 스프링(57)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되 밀어낸다. 따라서, 창문을 닫을 때에 걸어맞춤 돌기(63)가 잠금 오목부(62)와 자동적으로 걸어맞춤에 의하여 잠금 상태가 되지 않는다.
다음에, 개폐 잠금 기구의 동작을 설명한다. 창문(2)을 완전히 닫은 상태에서는, 가이드 베이스(5) 상에 각각의 링크바(8 ~ 10)가 작게 접어지고, 걸어맞춤 돌기(63)는 잠금 바(55)의 돌출된 단면에 인접하여, 잠금 바(55)의 이동을 저지하고, 창문(2)이 개방되는 것을 규제하고 있다.
상기 상태로부터 잠금 블록(56)을 잠금 스프링(57)에 저항하여 실내측으로 잡아당기면, 창문(2)을 열 수 있다. 창문(2)이 열림과 동시에, 잠금 블록(56)을 잠금 스프링(57)의 압력이 가해진 상태로 이동시키면, 일방향 스프링(59)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로 조작면(68)으로 안내되어 걸어맞춤 돌기(63)의 상면으로 올라가서, 잠금 오목부(62)가 걸어맞춤 돌기(63)와 정면으로 대향함과 동시에, 양측(62, 63)은 서로 걸어맞추어지고 자동적으로 잠금 상태가 된다. 이러한 잠금 상태를 도 10 및 도 12에서 나타내고 있다. 창문(2)을 더 개방하는 경우는, 다시 잠금 블록(56)을 잠금 스프링(57)에 대항하여 잡아당기는 조작을 행한다. 그리고, 3개의 잠금 오목부(62)는, 창문(2)이 닫힌 상태로부터 30°, 60°, 90°로 개방되는 상태와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다.
창문(2)을 닫을 때는, 잠금 블록(56)을 잠금 스프링(57)에 대항하여 잡아당겨, 걸어맞춤 돌기(63)의 돌출단을 일방향 스프링(59)의 돌출 에지(59a)에 지지시킨다. 이 상태에서 창문(2)을 닫으면, 돌출 에지(59a)와 걸어맞춤 돌기(63)는 상대적으로 이동하고, 걸어맞춤 돌기(63)는 잠금 바(55)에서 수용된다. 계속하여 창 문(2)을 닫으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로 조작면(69)에 일방향 스프링(59)의 돌출 에지(59a)의 모서리 부분이 당접하고, 잠금 블록(56) 전체를 잠금 스프링(57)에 대항하여 실내 측으로 되밀어낸다. 따라서, 각각의 잠금 오목부(62)는 창문(2)을 다 닫을 때까지 걸어맞춤 돌기(63)의 돌출된 단면측을 계속적 그냥 지나치게 하여, 도중 잠금 블록(56)의 걸어맞춤 돌기(63)와 걸어맞추어지지 않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일방향 스프링(59)을 2개의 부재로 형성하였지만, 꼭 2개로 형성할 필요는 없으며 1개의 부재로 형성하고, 각각의 잠금 오목부(62)와 대응하는 곳에 돌출 에지(59a)를 형성할 수 있다. 일방향 스프링(59)은 와이어 스프링이나 플라스틱 제의 판스프링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세로 조작면(68) 및 가로 조작면(69)은, 각각 일방향 스프링(59)의 측에 형성될 수도 있고, 부분적으로 원호면을 형성할 수도 있고 직선형 경사면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잠금 바(55)와 일방향 스프링(59)은 상하 반대로 배치할 수 있다. 잠금 바(55)에서의 잠금 오목부(62)의 형성 개수는 3개 이상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폐기에서는, 가이드 베이스(5)의 내부에 나사 축(23) 및 잠금 블록(24)을 내장하고, 이들 양측(23, 24)을 기계적으로 걸어맞추어서 슬라이더(7)의 이동을 저지하고, 창문(2)의 개방 정도를 조정하므로, 나사 산의 형성 범위의 임의 위치에서 슬라이더(7)를 이동 불가능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비가 내리거나, 바람이 불 때 창문(2)의 개방량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거나, 또는 장난 등에 의한 추락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상태에서 창문(2)을 개방하여 실내를 환기 시킬 수 있는 등, 안전성이 뛰어난 슬라이드식 창문용 개폐기를 제공할 수 있다.
개폐기의 슬라이더(7)를 잠금 대상으로 하여, 가이드 베이스(5)의 내부에 나사 축(23)에서 잠금 블록(24)을 수용하므로, 개폐 잠금 기구의 전체 구조를 간소화하고, 그 만큼 개폐기의 구성이 간단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장치와 마찬가지로 상하 간극에 개폐기를 조립하여 장착할 수 있는데다가 개폐기의 전체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개폐기의 외관을 보기 좋게 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걸어맞춤편(40)과 한쌍의 걸림편(41, 42) 등으로 전환 기구를 구성하고, 잠금 해제 레버(26)를 조작함으로써 걸어맞춤편(40) 상태를 작동 상태와 대기 상태로 순환적으로 전환하는 개폐기는, 잠금 해제 레버(26)를 잠금 스프링(25)에 대항하여 조작하는 간단한 동작에 의하여, 슬라이더(7)를 잠금 블록(24)이 이동 불가능하게 잠그거나, 또는 잠금 블록(24)에 의한 잠금 작용을 해제할 수 있으므로, 개폐 잠금 기구를 의식하지 않고 창문(2)의 개폐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잠금 해제 레버(26)를 다시 조작함으로써, 원하는 개방 위치에서 창문(2)을 고정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조작성이 우수한 개폐기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개폐기에서는, 잠금 바(55), 잠금 블록(56), 잠금 스프링(57), 및 일방향 스프링(59) 등으로 개폐 잠금 기구를 구성하고, 창문(2)을 닫을 때에는, 잠금 오목부(62)와 정면으로 대향할 때마다, 잠금 블록(56)의 걸어맞춤 돌기(63)가 잠금 오목부(62)에 빠져서 걸어맞추어지는 것을 일방향 스프링(59)에 의하여 규제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창문(2)을 개방할 때는, 걸어맞춤 돌기(63)에 설치한 세로 조작면(68)에서 일방향 스프링(59)을 밀어 올리도록 조작하여, 잠금 블록(56)의 걸어맞춤 돌기(63)를 각각의 잠금 오목부(62)와 정면으로 대향할 때마다 떨어지게 걸어맞추어져서, 자동적으로 걸어맞춤에 의하여 잠금 상태가 되도록 했다. 따라서, 개방 도중에 창문(2)이 바람에 흔들려서 급격하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 시의 안전성을 유지하고, 창을 닫는 도중의 잠금 블록(56)의 해제 조작이 불필요하므로, 간단하게 창문(2)을 닫을 수 있고, 안전성과 조작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고기능의 개폐기를 얻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걸어맞춤 돌기(63)의 잠금 오목부(62)에 대한 걸어맞춤에 의한 잠금 동작을 창문을 닫을 때에 한하여 규제하고, 창문 개방 시에는 유효하게 하기 때문에, 걸어맞춤 돌기(63)의 상하 두께를 잠금 오목부(62)의 상하 치수보다 크게 설정하고, 일방향 스프링(59)에 돌출 에지(59a)를 형성하고, 또한 세로 조작면(68)과 가로 조작면(69)을 설치하고 있다. 세로 조작면(68)은 일방향 스프링(59)을 걸어맞춤 돌기(63)의 상면 측으로 올려서, 창문 개방 시에 자동적으로 잠기는 것을 보증한다. 일방향 스프링(59)은 그 돌출 에지(59a)에 의해 걸어맞춤 돌기(63)를 수용하여 걸어맞춤 돌기(63)가 잠금 오목부(62)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지만, 이러한 떨어지는 것을 규제하는 작용을 창문을 닫을 때에만 유효하게 하고, 또한 걸어맞춤 돌기(63)와 일방향 스프링(59)의 상대적인 이동을 스무스하게 하기 위하여 가로 조작면(69)을 설치하고 있다.
Claims (3)
- 개구 프레임(1)에 장착되는 가이드 베이스(5)와, 상기 가이드 베이스(5)에서 왕복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안내되는 슬라이더(7)와, 그 일단이 상기 가이드 베이스(5)에 연결되고 그 타단이 창문(2)에 연결되는 주 링크바(8)와, 그 일단이 슬라이더(7)에 연결되고 그 타단이 창문(2)의 폐단(閉端)에 연결되는 부 링크바(9)와, 그 일단이 슬라이더(7)에 연결되고 그 타단이 주 링크바(8)의 중도부에 연결되는 견제 링크바(10)와, 슬라이더(7)의 이동을 저지하여 상기 창문(2)을 복수의 개방 위치에서 유지 고정하는 개폐 잠금 기구를 구비하고,상기 개폐 잠금 기구는, 그 일단이 슬라이더(7)에 고정되어 가이드 베이스(5) 내를 왕복 이동하는 나사축(23)과, 상기 나사축(23)과 걸리거나 분리되는 나사산(29)을 구비한 잠금 블록(24)과, 상기 잠금 블록(24)을 나사 축(23) 방향으로 이동 가압하는 잠금 스프링(25)과, 상기 가이드 베이스(5)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잠금 블록(24)을 상기 잠금 스프링(25)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나사 축(23)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조작하는 잠금 해제 레버(26)를 포함하고,단힌 위치와 전개방 위치 사이의 창문 개방 위치에서, 상기 잠금 블록(24)이 상기 나사 축(23)과 걸어맞추어져서 창문(2)이 고정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창문용 개폐기.
- 제1항에 있어서,잠금 해제 레버(26)와 가이드 베이스(5) 사이에, 잠금 블록(24) 및 잠금 해제 레버(26)를 작동 위치와 대기 위치 중 어느 한쪽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전환 기구(switching mechanism)가 설치되고,상기 전환 기구가, 상기 잠금 블록(24)과 함께 이동 가능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 되는 걸어맞춤편(40)과, 상기 가이드 베이스(5)에 대향 배치되어 걸어맞춤편(40)의 자세를 전환하는 한쌍의 걸림편(41, 42)을 포함하고,상기 전환 기구는, 작동 위치와 대기 위치 사이를 왕복하는 잠금 블록(24)의 이동 동작과 연동하여, 걸어맞춤편(40)이 나사 축(23) 측의 걸림편(41)과 걸어맞추어져서 잠금 블록(24)을 대기 위치로 유지하는 대기 상태와, 걸어맞춤편(40)과 걸림편(41)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잠금 블록(24)이 나사 축(23)과 걸어맞추어지는 작동 상태로, 순환적으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창문용 개폐기.
- 개구 프레임(1)에 장착되는 가이드 베이스(5)와, 상기 가이드 베이스(5)에서 왕복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안내되는 슬라이더(7)와, 그 일단이 상기 가이드 베이스(5)에 연결되고 그 타단이 창문(2)에 연결되는 주 링크바(8)와, 그 일단이 슬라이더(7)에 연결되고 그 타단이 창문(2)의 폐단에 연결되는 부 링크바(9)와, 그 일단이 슬라이더(7)에 연결되고 그 타단이 주 링크바(8)의 중도부에 연결되는 견제 링크바(10)와, 슬라이더(7)의 이동을 저지하여 창문(2)을 복수의 개방 위치에서 유지 고정하는 개폐 잠금 기구를 구비하고,상기 개폐 잠금 기구는, 그 일단이 슬라이더(7)에 고정되고, 그 길이 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잠금 오목부(62)가 형성되어 있는 잠금 바(55)와, 상기 가이드 베이스(5)에서 전후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잠금 오목부(62)와 걸리거나 분리되는 잠금 블록(56)과, 상기 잠금 블록(56)을 잠금 바(55) 방향으로 이동 가압하는 잠금 스프링(57)과, 상기 잠금 바(55)에 장착되어 잠금 오목부(62)의 걸어맞춤 개구면으로부터 잠금 블록(56) 측으로 돌출되는 일방향 스프링(59)을 포함하고,잠금 오목부(62)에 걸어맞추어지는 잠금 블록(56)의 걸어맞춤 돌기(63)의 상하 두께는, 잠금 오목부(62)의 상하 치수를 초과하도록 설정되어 있고,일방향 스프링(59)과 걸어맞춤 돌기(63) 중 어느 한쪽에, 일방향 스프링(59)을 잠금 바(55)로부터 부유(floating)되어 이격하는 방향으로 변위 조작하는 세로 조작면(68)과, 상기 잠금 블록(56)을 잠금 스프링(57)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잠금 해제 방향으로 이동 조작하는 가로 조작면(69)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창문용 개폐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36159A KR101242448B1 (ko) | 2006-04-21 | 2006-04-21 | 슬라이드식 창문용 개폐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36159A KR101242448B1 (ko) | 2006-04-21 | 2006-04-21 | 슬라이드식 창문용 개폐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104045A true KR20070104045A (ko) | 2007-10-25 |
KR101242448B1 KR101242448B1 (ko) | 2013-03-12 |
Family
ID=38818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36159A KR101242448B1 (ko) | 2006-04-21 | 2006-04-21 | 슬라이드식 창문용 개폐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42448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557684A (en) * | 2016-12-15 | 2018-06-27 | Laporta Giovanni | A restrictor for a friction hinge |
CN110230444A (zh) * | 2019-07-19 | 2019-09-13 | 广东合和建筑五金制品有限公司 | 一种用于防火门窗的多角度限位机构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27614Y2 (ko) * | 1988-02-02 | 1993-07-14 | ||
JPH02113636U (ko) * | 1989-02-28 | 1990-09-11 | ||
KR960003674Y1 (ko) * | 1993-01-27 | 1996-05-04 |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 창문용 호차 |
KR0118472Y1 (ko) * | 1994-03-19 | 1998-07-15 | 김창규 | 무소음 창호레일의 미끄럼 발판(슬라이드 판) |
-
2006
- 2006-04-21 KR KR1020060036159A patent/KR101242448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557684A (en) * | 2016-12-15 | 2018-06-27 | Laporta Giovanni | A restrictor for a friction hinge |
GB2557684B (en) * | 2016-12-15 | 2022-02-16 | Laporta Giovanni | A restrictor for a friction hinge |
CN110230444A (zh) * | 2019-07-19 | 2019-09-13 | 广东合和建筑五金制品有限公司 | 一种用于防火门窗的多角度限位机构 |
CN110230444B (zh) * | 2019-07-19 | 2024-05-07 | 广东合和建筑五金制品有限公司 | 一种用于防火门窗的多角度限位机构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42448B1 (ko) | 2013-03-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O2017199188A1 (en) | System for the rotatable coupling of a closing element and stationary support structure | |
CA2337989C (en) | Sliding element unit | |
KR101242448B1 (ko) | 슬라이드식 창문용 개폐기 | |
KR100908685B1 (ko) | 이중 구조의 안전 도어록 | |
JP4192074B2 (ja) | 内倒し窓の換気ステー | |
JP6697189B2 (ja) | 窓用の開閉装置 | |
JP4426477B2 (ja) | 開放支援機構付き鎌錠および建具 | |
JP6941360B2 (ja) | 倒れ窓の障子倒れ角ロック機構 | |
KR102083056B1 (ko) | 미서기 창호용 안전감속장치 | |
JP6375090B2 (ja) | 開き扉の施解錠機構 | |
KR20100024649A (ko) | 창호용 잠금장치 | |
JP5100147B2 (ja) | 窓換気用のステー | |
CA2559613A1 (en) | Anti-panic control device for doors | |
JP4074462B2 (ja) | 窓換気用ステー | |
WO2016153351A2 (en) | System comprising a stationary support structure, and an movable panel, as well as a casement stay | |
JPH0750539Y2 (ja) | すべり出し窓のスイング装置 | |
RU75418U1 (ru) | Поворотно-откидная фурнитура (варианты) | |
KR102352291B1 (ko) | 멀티 포인트 잠금 드라이브가 있는 자체 잠금식 잠금 장치 | |
JPH11210303A (ja) | 窓換気用のステー | |
JP4208698B2 (ja) | 内倒し窓の換気ステー | |
JP5384266B2 (ja) | 開放角度規制装置および建具 | |
EP2796656B1 (en) | Ventilation assembly for a ventilating window | |
PL210917B1 (pl) | Dwufunkcyjne okno dachowe uchylno-obrotowe | |
JP2004257177A (ja) | シャッターの錠装置及びその錠装置を備えたシャッター | |
US20230323714A1 (en) | Friction hinge for outward opening top hung window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