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3896A - 배터리 전원 접속구조 - Google Patents

배터리 전원 접속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3896A
KR20070103896A KR1020060035811A KR20060035811A KR20070103896A KR 20070103896 A KR20070103896 A KR 20070103896A KR 1020060035811 A KR1020060035811 A KR 1020060035811A KR 20060035811 A KR20060035811 A KR 20060035811A KR 20070103896 A KR20070103896 A KR 200701038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electrode terminal
battery
cap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5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훈
김찬석
김인중
Original Assignee
현대에너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에너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에너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5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03896A/ko
Publication of KR20070103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38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의 전극단자와 전원케이블의 접속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전극단자에 형성되는 접속캡결합부와; 상기 접속캡결합부에 대응하는 전극단자결합부를 갖는 캡형상의 접속캡과, 상기 접속캡 내측에 마련되며 상기 전원케이블과 연결된 접속단자와, 상기 접속캡과 상기 접속단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접속단자를 상기 전극단자측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갖는 접속캡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배터리의 전극단자와 전원케이블의 접속을 위한 부품을 절감할 수 있고, 접속구조 및 접속작업이 간단한 배터리 전원 접속구조가 제공된다.
또한, 배터리의 전극단자와 전원케이블의 접속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전원 접속구조가 제공된다.
배터리, 전극단자, 케이블, 접속캡, 탄성부재

Description

배터리 전원 접속구조{Cable coupling formation of battery}
도 1은 종래 배터리 전원 접속구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접속구조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전원 접속구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접속영역의 확대사시도,
도 5 및 도 6는 각각 도 3 및 도 4의 배터리 전원 접속 전후의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전원 접속 구조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배터리 3 : 전원케이블
10 : 전극단자 11 : 접속캡결합부
20 : 접속캡조립체 21 : 접속캡
31 : 접속단자 41 : 탄성부재
본 발명은, 배터리 전원 접속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 의 전극단자와 전원케이블의 상호 접속 및 착탈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 전원 접속구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배터리 등을 포함한 각종 산업용 배터리 및 농업용 배터리는 배터리본체에 전극단자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전극단자에 전원 공급 대상기기로 향하는 전원케이블을 통전 가능하게 접속함으로써, 배터리의 전원이 전원공급대상 기기로 공급된다.
종래 배터리 전원 접속구조의 일 예가 도 1 및 도 2에 각각 사시도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배터리 전원 접속구조는 전원케이블(103) 말단에 결합된 접속링(120)과 배터리(101)의 전극단자(110)를 상호 삽입 결합한 상태에서 스프링와셔(130) 및 고정너트(140)를 차례로 전극단자(110)에 결합 체결함으로써, 배터리(101)의 전극단자(110)에 전원케이블(103)을 통전 가능하게 접속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고정너트(140) 상부영역에는 안전을 고려하여 전열캡(150)을 씌워 마감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배터리 전원 접속구조에 있어서는, 전극단자와 전원케이블의 상호 접속을 위한 결합과정이 접속링과 전극단자의 결합과, 스프링와셔와 고정너트의 결합, 그리고, 전열캡의 결합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접속을 위한 부품 소모가 많고 접속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접속작업이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배터리 전극단자에 고정너트의 체결이 미비하게 이루어지면, 접속링과 전극단자 간의 접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서 접속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 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의 전극단자와 전원케이블의 접속을 위한 부품을 절감할 수 있고, 접속구조 및 접속작업이 간단한 배터리 전원 접속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배터리의 전극단자와 전원케이블의 접속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전원 접속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배터리의 전극단자와 전원케이블의 접속구조에 있어서, 상기 전극단자에 형성되는 접속캡결합부와; 상기 접속캡결합부에 대응하는 전극단자결합부를 갖는 캡형상의 접속캡과, 상기 접속캡 내측에 마련되며 상기 전원케이블과 연결된 접속단자와, 상기 접속캡과 상기 접속단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접속단자를 상기 전극단자측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갖는 접속캡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전원 접속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 접속캡을 관통한 전원케이블이 결합되는 케이블고정부와, 상기 전극단자에 접하는 전극단자접속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접속단자의 상기 전극단자접속부 하부와 상기 배터리의 상기 전극단자 상부면 중 어느 일측에는 접속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상기 접속돌출부에 대응하는 접속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접속캡과 접속단자 사이에서 상기 전원케이블 과 상기 케이블고정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속캡결합부와 상기 전극단자결합부는 상기 전극단자의 외주면과 상기 접속캡의 내주면에 나사결합방식 또는 후크결합방식 또는 결합돌기와 결함홈의 방식 중 어느 하나의 결합방식으로 마련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전원 접속구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접속영역의 확대사시도, 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전원 접속구조는 전원케이블(3)에 마련되어 배터리(1)의 전극단자(10)에 착탈 결합되는 접속캡조립체(20)와, 배터리(1)의 전극단자(10)에 마련되는 접속캡결합부(11)에 의해 이루어진다.
접속캡조립체(20)는 배터리(1)의 전극단자(10)를 덮는 캡형상의 접속캡(21)과, 접속캡(21) 내측에 마련되어 배터리(1)의 전극단자(10)에 접속되는 접속단자(31)와, 접속단자(31)를 배터리(1)의 전극단자(10)로 가압하는 탄성부재(41)를 가지고 있다.
접속캡(21)은 플라스틱 등의 절연재질로 마련되며, 그 상부에는 전원케이블(3)이 통과할 수 있도록 케이블통과공(23)이 형성되어 있고, 그 내주면에는 배터리(1) 전극단자(10)의 접속캡결합부(11)에 대응하는 전극단자결합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접속캡(21)은 외관 디자인 향상을 위해 원형 또는 다각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외측면에 +,- 등의 전극패턴이나 생산자 정보 등의 다양한 심볼을 형성할 수 있다.
접속단자(31)는 전원케이블(3)의 고정을 위한 케이블고정부(33)와, 전극단자(10)에 접하는 전극단자접속부(34)를 갖는 금속재로 마련된다. 케이블고정부(33)에 전원케이블(3)을 연결할 때는 전원케이블(3)이 견고하게 고정되는 범위에서 용접이나 클램핑 등의 다양한 방법을 연결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전극단자접속부(34)는 배터리(1) 전극단자(10)와의 상호 접촉면적을 최대로 할 수 있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러한 접속단자(31)는 케이블고정부(33)를 마련하지 않고 전극단자접속부(34)만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이때에는 전원케이블(3)을 전극단자접속부(34)에 직접 고정 연결한다.
탄성부재(41)는 접속캡(21)과 접속단자(31) 사이에서 전원케이블(3)과 케이블고정부(33)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스프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탄성부재(41)는 접속단자(31)를 탄성적으로 하향 가압함으로써, 접속단자(31)의 전극단자접속부(34)가 배터리(1)의 전극단자(10)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에 의해, 전원케이블(3)에 연결된 접속단자(31)와 배터리(1)의 전극단자(10)간의 접촉이 극대화되어 접속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배터리(1)의 전극단자(10)에 마련되는 접속캡결합부(11)는 접속캡(21)의 내주면에 마련되는 전극단자결합부(24)에 대응하는 결합구조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접속캡결합부(11)와 전극단자결합부(24)는 상호 착탈 가능한 결합구 조로서 도면에 일예로 도시된 바와 같은 나사결합구조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접속캡조립체(20)와 전극단자(10)의 상호 결합 상태에서 임의로 결합 해제되지 않는 범위에서 후크나 후크홈의 결합구조나 결합돌기와 결함홈 등의 다양한 결합구조로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전원 접속구조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케이블(3)의 말단에 마련된 접속캡조립체(20)를 배터리(1)의 전극단자(10) 상부에 위치시킨후 접속캡(21)을 회전시키는 등의 간단한 방법으로 접속캡조립체(20)가 전극단자(10)에 결합된다.
이때, 접속캡(21) 내부에 마련된 접속단자(31)는 도 6과 같이, 전극단자(10) 상부에 접하면서 탄성부재(41)를 압축시키게 되고, 압축된 탄성부재(41)는 그 반발력으로 접속단자(31)를 탄성적으로 하향 가압한다. 이에 의해, 접속단자(31)는 전극단자(10)에 밀착 접속되고 탄성부재(41)의 지속적인 하향 가압에 의해 접속단자(31)와 전극단자(10)의 접속력이 극대화됨으로써, 접속불량을 방지함과 동시에 배터리(1) 전원이 전원케이블(3)을 통해 전원공급대상 기기로 원활이 공급된다. 또한, 탄성부재(41)의 탄성력에 의해 접속캡(21)이 전극단자(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향 가압됨으로써, 접속캡(21)과 전극단자(10)간의 결합상태가 임의로 해제될 염려가 없다.
한편, 전극단자(10)와 전원케이블(3)의 접속상태를 해제할 때는 접속캡(21)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5와 같이, 접속캡조립체(20)가 전극단자(10)로부 터 이격됨으로써, 전극단자(10)와 전원케이블(3)의 접속이 간단하게 해제된다.
한편, 도 7 및 도 8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전원 접속구조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접속구조는 전술한 배터리 전원 접속구조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접속단자(31)의 전극단자접속부(34) 하부에 하향 돌출된 접속돌출부(37)와, 이에 대응하는 배터리(1)의 전극단자(10)에 상부면에 형성되는 접속홈(15)을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전원 접속구조는 도 8과 같이, 접속단자(31)가 배터리(1)의 전극단자(10)에 접속될 때, 접속이 정확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접촉면적이 보다 증대된다.
여기서, 접속돌출부(37)와 접속홈(15)은 평면투영시 원형 또는 다각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접속돌출부를 배터리(1)의 전극단자(10) 상부면에 돌출 형성하고, 접속홈을 접속단자(31)의 전극단자접속부(34) 하부면에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실시예에 따른 접속 작용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전원 접속구조는, 전극단자와 전원케이블의 상호 접속을 위한 구조가 간단하므로, 부품 절감은 물론이며 접속작업이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접속캡조립체와 전극단자 간의 상호 결합상태가 임의로 결합해제될 염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접속단자와 전극단자 간의 접촉력이 극대화되어 접속불량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의 전극단자와 전원케이블의 접속을 위한 부품을 절감할 수 있고, 접속구조 및 접속작업이 간단한 배터리 전원 접속구조가 제공된다.
또한, 배터리의 전극단자와 전원케이블의 접속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전원 접속구조가 제공된다.

Claims (5)

  1. 배터리의 전극단자와 전원케이블의 접속구조에 있어서,
    상기 전극단자에 형성되는 접속캡결합부와;
    상기 접속캡결합부에 대응하는 전극단자결합부를 갖는 캡형상의 접속캡과, 상기 접속캡 내측에 마련되며 상기 전원케이블과 연결된 접속단자와, 상기 접속캡과 상기 접속단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접속단자를 상기 전극단자측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갖는 접속캡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전원 접속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 접속캡을 관통한 전원케이블이 결합되는 케이블고정부와,
    상기 전극단자에 접하는 전극단자접속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전원 접속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의 상기 전극단자접속부 하부와 상기 배터리의 상기 전극단자 상부면 중 어느 일측에는 접속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상기 접속돌출부에 대응하는 접속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전원 접속구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접속캡과 접속단자 사이에서 상기 전원케이블과 상기 케이블고정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전원 접속구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캡결합부와 상기 전극단자결합부는 상기 전극단자의 외주면과 상기 접속캡의 내주면에 나사결합방식 또는 후크결합방식 또는 결합돌기와 결함홈의 방식 중 어느 하나의 결합방식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전원 접속구조.
KR1020060035811A 2006-04-20 2006-04-20 배터리 전원 접속구조 KR200701038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5811A KR20070103896A (ko) 2006-04-20 2006-04-20 배터리 전원 접속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5811A KR20070103896A (ko) 2006-04-20 2006-04-20 배터리 전원 접속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3896A true KR20070103896A (ko) 2007-10-25

Family

ID=38818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5811A KR20070103896A (ko) 2006-04-20 2006-04-20 배터리 전원 접속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0389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240B1 (ko) * 2012-04-18 2013-12-10 주식회사 이랜텍 비엠에스 피시비모듈 연결구조가 개선된 배터리팩
KR101448252B1 (ko) * 2013-07-02 2014-10-13 주식회사 이아이지 배터리 홀더 시스템 및 배터리 단자 커버를 포함하는 배터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240B1 (ko) * 2012-04-18 2013-12-10 주식회사 이랜텍 비엠에스 피시비모듈 연결구조가 개선된 배터리팩
KR101448252B1 (ko) * 2013-07-02 2014-10-13 주식회사 이아이지 배터리 홀더 시스템 및 배터리 단자 커버를 포함하는 배터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4220887A (ja) 端子化電線
KR20070103896A (ko) 배터리 전원 접속구조
KR20180091338A (ko) 어스매트
CN207409421U (zh) 一种联体跷板开关
CN212941000U (zh) 颈部按摩仪
TW200632462A (en) Lamp clamping and electrically connecting device and method of assembling lamp
JP3130164U (ja) 電源ソケットの防塵及び安全装置
JP2013235764A (ja) 接続部材及びそれを備えた接続構造体
JP2001069589A (ja) マイクホルダ
CN209947707U (zh) 防水微动开关
KR20230009972A (ko) 배터리 플러그 단자
CN208794357U (zh) 新型电路结构及采用该新型电路结构的光源
CN202617573U (zh) 电机控制器及采用这种电机控制器的运输装置
CN108054037B (zh) 一种内置可贴片式可更换功能元件的开关按键
CN112494805A (zh) 颈部按摩仪
CN208911269U (zh) 一种快拆式导入仪
KR101046444B1 (ko) 배터리 접속 케이블용 연결유닛
CN216591632U (zh) 一种灯头快速锁线装置
CN217740382U (zh) 高防水性的电控开关
CN211715246U (zh) 带套装孔的喷油器压板
CN204348566U (zh) 一种电动车喇叭开关
CN205543325U (zh) 高可靠性的充电器插头
CN210928321U (zh) 一种驱动电源
CN210805577U (zh) 一种驱动电源
JP3061297U (ja) 高圧ランプ用ソケ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