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3119A - 차량용 송풍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송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3119A
KR20070103119A KR1020060034814A KR20060034814A KR20070103119A KR 20070103119 A KR20070103119 A KR 20070103119A KR 1020060034814 A KR1020060034814 A KR 1020060034814A KR 20060034814 A KR20060034814 A KR 20060034814A KR 20070103119 A KR20070103119 A KR 200701031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internal
auxiliary
door
outsid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4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수
변상철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4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03119A/ko
Publication of KR20070103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31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0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 B60H1/08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 B60H1/1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the other radiator being situated in a duct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tmosphere outside vehicle
    • B60H1/1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the other radiator being situated in a duct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tmosphere outside vehicle using an air bl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49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for selectively commanding the induction of outside or inside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 B60H2001/00092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of air deflecting or air directing means inside the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송풍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돔형 내외기전환도어에 내기유입공을 형성하고 상기 내기유입공을 개폐할 수 있도록 내외기전환도어와 동일 중심선상에서 회전하는 돔형 보조도어를 설치함으로써, 돔형 내외기전환도어에서도 외기유입모드시 내기가 일부 유입되어 난방성능을 향상할 수 있고, 아울러 설치 및 구성이 간단하여 생산성 향상 및 제조비용을 절감한 차량용 송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내,외기유입구(111)(112)가 형성된 인테이크 덕트(110); 상기 인테이크 덕트(11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116)과, 상기 회전축(116)을 중심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돔플레이트(117)와, 상기 돔플레이트(117)를 회전축(116)에 연결하는 측면판(118)으로 구성된 내외기전환도어(115); 상기 인테이크 덕트(110)의 하부에 결합됨과 아울러 인테이크 덕트(110)의 내부로 유입된 내,외기를 공조케이스(40)측으로 강제 송풍하기 위한 송풍팬(123)이 설치된 스크롤케이스(120); 상기 내외기전환도어(115)에 구비되어 외기유입모드시 내기를 일부 유입하여 난방성능을 향상시키는 내기유입수단(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송풍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기유입수단(140)은 상기 돔플레이트(117)에 관통 형성되는 내기유입공(117a)과, 상기 내외기전환도어(115)의 내측에 위치함과 아울러 내외기전환도어(115)와 동일 중심선상에서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내기유입공(117a)을 개폐하는 보조도어(14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조장치, 송풍장치, 내외기전환도어, 내기유입공, 보조도어

Description

차량용 송풍장치{Blower for Vehicles}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일반적인 차량용 송풍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차량용 송풍장치의 다른예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의 내외기전환도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송풍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송풍장치가 외기유입모드인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송풍장치가 내기유입모드인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송풍장치 110: 인테이크 덕트
111: 내기유입구 112: 외기유입구
115: 내외기전환도어 116: 회전축
117: 돔플레이트 117a: 내기유입공
117b: 돌출부 118: 측면판
120: 스크롤케이스
122: 출구 123: 송풍팬
124: 모터 125: 인렛링
126: 벨마우스 127: 수납실
130: 에어필터 131: 필터부
132: 프레임부 133: 필터커버
140: 내기유입수단 141: 보조도어
142: 보조회전축 143: 보조돔플레이트
144: 보조측면판 145: 가이드부
본 발명은 차량용 송풍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돔형 내외기전환도어에 내기유입공을 형성하고 상기 내기유입공을 개폐할 수 있도록 내외기전환도어와 동일 중심선상에서 회전하는 돔형 보조도어를 설치함으로써, 돔형 내외기전환도어에서도 외기유입모드시 내기가 일부 유입되어 난방성능을 향상할 수 있고, 아울러 설치 및 구성이 간단하여 생산성 향상 및 제조비용을 절감한 차량용 송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장치는 차량 실내/외 공기를 도입하여 이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하여 차량의 실내로 송풍함으로써 차량 실내를 냉방하거나 난방하는 장치로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기유입구(21)와 외기유입구(22)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내,외기유입구(21)(2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내외기전환도어(23)가 설치되며, 내,외기를 공조케이스(40)의 입구측(43)으로 강제 송풍하기 위한 송풍팬(3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송풍장치(10)와, 상기 송풍장치(10)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측(43)과 이 공기가 토출되는 출구측(44)이 구비되며 내부에 순차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증발기(41) 및 히터코어(42)가 설치된 공조케이스(4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내외기전환도어(23)는 목적에 따라 판(Plate)형, 공기의 압력을 적게 받는 돔(Dome)형, 원통형, 반구형 등 여러가지 형태가 사용되고 있으며,
도 2는 판형 내외기전환도어가 적용된 일반적인 차량용 송풍장치를 나타낸 단면도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송풍장치(10)는 내,외기가 각각 유입될 수 있도록 내기유입구(21)와 외기유입구(22)가 형성되고 상기 내,외기유입구(21)(2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내외기전환도어(23)가 내부에 설치된 인테이크 덕트(20)와, 상기 인테이크 덕트(20)의 하부에 결합되며 내,외기를 공조케이스(40)의 내부로 강제송풍하도록 송풍팬(35)이 설치된 스크롤케이스(30)와, 상기 인테이크 덕트(20)와 스크롤케이스(30)의 사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필터부(26)와 프레임부(27)로 구성되어 유입되는 공기중의 불순물을 여과하는 에어필터(25)와, 상기 송풍팬(35)을 구동시키도록 상기 스크롤케이스(30)의 하부에 설치되는 모터(36)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내외기전환도어(23)는 별도의 케이블(미도시) 및 액츄에이터(미도시) 등에 의해 구동된다.
따라서, 내기유입모드시에는 상기 내외기전환도어(23)가 내기유입구(21)를 개방하고 외기유입구(22)는 밀폐하게 되며, 이때 상기 송풍팬(35)의 작동으로 상기 내기유입구(21)를 통해 유입된 내기는 상기 벨마우스(31)를 통과하여 스크롤케이스(30)로 이동한 후 상기 공조케이스(40)의 내부로 강제 송풍된다.
또한, 외기유입모드시에는 반대로 상기 내외기전환도어(23)가 내기유입구(21)를 밀폐하고 외기유입구(22)는 개방하게 되며, 이때 상기 송풍팬(35)의 작동으로 상기 외기유입구(22)를 통해 유입된 외기는 상기 벨마우스(31)를 통과하여 스크롤케이스(30)로 이동한 후 상기 공조케이스(40)의 내부로 강제 송풍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송풍장치(10)는 겨울철 등의 추운날씨에 히터를 가동하는 경우, 난방성능을 높이는데 있어 필요한 동력이 많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겨울철 등의 추운날씨에는 차량 실내를 난방상태로 유지하면서 통상적으로 창유리에 서리가 생기지 않도록 외기유입모드로 설정하게 되는데, 이에따라 외기유입구(22)를 통하여 차량 외부의 찬 공기만이 유입됨으로써 차량 실내를 난방시키는데 필요한 동력이 많이 요구됨과 아울러 난방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일례로, 일본실용신안공개 소57-76120호에는, 내외기전환도어의 구조를 변경하여 외기유입모드시 내기를 일부 유입하여 난방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한 송풍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도 3은 상기 종래기술에 의한 송풍장치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의 내외기전환도어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써, 상기 송풍장치는 내기유입구(61)와 외기유입구(62)의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내기유입구(61)와 외기유입 구(6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판형 내외기전환도어(63)의 상측에 보조통로(71)를 형성하고, 상단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구동되면서 상기 보조통로(71)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내외기전환도어(63)의 회동축(63a)에 보조도어(70)를 장착한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상기 보조도어(70)는 통상시에는 자중에 의해 상기 보조통로(71)를 폐쇄하는 상태에 있고, 외기유입모드시에는 도시되지 않은 송풍팬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부압(압력차)에 의해 상기 보조통로(71)를 개방하도록 구동된다. 따라서, 히터 가동시에, 외기유입구(62)를 통하여 유입되는 외기와 보조통로(71)를 통하여 유입되는 내기가 혼합되어 공조케이스내로 유입됨에 따라 난방에 필요한 동력 절감과 함께 난방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송풍장치는, 상기 내외기전환도어(63)와 보조도어(70)가 개별적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보조도어(70)를 상기 내외기전환도어(63)의 회동축(63a)에 플랩(Flap)형태로 조립한 후, 상기 내외기전환도어(63)의 상단부를 별도의 고정나사(64)를 이용하여 회동축(63a)에 고정하여야 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부품수의 증가와 함께 조립작업에 따른 번거로움이 수반되고 그로 인해 제조원가의 상승으로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외기유입모드시 상기 보조도어(70)를 이용한 내기유입구조는 내외기전환도어(63)가 판형일 경우에만 적용이 가능하고, 돔형일 경우에는 보조도어(70)를 설치할 수 없기 때문에 결국 외기유입모드시 내기를 유입할 수가 없게 되어 난방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여전히 발생하고 있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돔형 내외기전환도어에 내기유입공을 형성하고 상기 내기유입공을 개폐할 수 있도록 내외기전환도어와 동일 중심선상에서 회전하는 돔형 보조도어를 설치함으로써, 돔형 내외기전환도어에서도 외기유입모드시 내기가 일부 유입되어 난방성능을 향상할 수 있고, 아울러 설치 및 구성이 간단하여 생산성 향상 및 제조비용을 절감한 차량용 송풍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외기유입구가 형성된 인테이크 덕트; 상기 인테이크 덕트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돔플레이트와, 상기 돔플레이트를 회전축에 연결하는 측면판으로 구성된 내외기전환도어; 상기 인테이크 덕트의 하부에 결합됨과 아울러 인테이크 덕트의 내부로 유입된 내,외기를 공조케이스측으로 강제 송풍하기 위한 송풍팬이 설치된 스크롤케이스; 상기 내외기전환도어에 구비되어 외기유입모드시 내기를 일부 유입하여 난방성능을 향상시키는 내기유입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송풍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기유입수단은 상기 돔플레이트에 관통 형성되는 내기유입공과, 상기 내외기전환도어의 내측에 위치함과 아울러 내외기전환도어와 동일 중심선상에서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내기유입공을 개폐하는 보조도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에 있어서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송풍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송풍장치가 외기유입모드인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송풍장치가 내기유입모드인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송풍장치(100)는 상부측에 내기유입구(111)와 외기유입구(112)가 형성된 인테이크 덕트(110)와, 상기 인테이크 덕트(11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내,외기유입구(111)(11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내외기전환도어(115)와, 상기 인테이크 덕트(110)의 하부에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인테이크 덕트(110)의 내부로 유입된 내,외기를 공조케이스(40:종래)의 입구측(43:종래)으로 강제 송풍하기 위한 송풍팬(123)이 설치된 스크롤케이스(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내외기전환도어(115)는 돔형구조로써, 상기 인테이크 덕트(11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116)과, 상기 회전축(116)을 중심으로 하여 반경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내,외기유입구(111)(112)를 개폐하는 돔플레이트(117)와, 상기 돔플레이트(117)의 양측을 회전축(116)에 연결하는 측면판(118)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장치(100)에는 공조케이스(40:종래)의 입구측(43:종래)과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스크롤케이스(120)의 일측으로는 출구(122)가 연장되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인테이크 덕트(110)와 스크롤케이스(120)의 사이에는 상기 내,외기유입구(111)(112)를 통해 유입된 내,외기를 상기 송풍팬(123)의 상부측으로 안내하도록 벨마우스(126)가 관통형성된 인렛링(125)이 구비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인렛링(125)을 스크롤케이스(120)의 상측에 일체로 형성하였다.
또한, 상기 스크롤케이스(120)의 하부에는 상기 송풍팬(123)을 구동시키도록 모터(124)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인테이크 덕트(110)와 스크롤케이스(120)의 사이에 형성된 수납실(127)에는 유입되는 공기중의 불순물을 여과할 수 있도록 에어필터(130)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에어필터(130)는 지그재그 형태로 접히도록 형성되어 공기를 여과시키는 필터부(131)와, 상기 필터부(131)가 안착됨과 아울러 필터부(131)의 둘레를 감싸는 프레임부(13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수납실(127)의 입구에는 필터커버(133)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납실(127)을 밀폐하게 된다.
상기 필터커버(133)의 상,하단에는 상기 수납실(127)의 입구에 결합시 탄력적으로 고정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탄성리브(133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내기유입모드시에는, 상기 내외기전환도어(115)가 내기유입구(111)를 개방하고 외기유입구(112)는 밀폐하게 되며, 이때 상기 송풍팬(123)의 작동으로 상기 내기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내기는 상기 벨마우스(126)를 통과하여 스크롤케이스(120)로 이동한 후 상기 공조케이스(40:종래)의 내부로 강제 송풍된다.
또한, 외기유입모드시에는, 반대로 상기 내외기전환도어(115)가 내기유입 구(111)를 밀폐하고 외기유입구(112)는 개방하게 되며, 이때 상기 송풍팬(123)의 작동으로 상기 외기유입구(112)를 통해 유입된 외기는 상기 벨마우스(126)를 통과하여 스크롤케이스(120)로 이동한 후 상기 공조케이스(40:종래)의 내부로 강제 송풍된다.
상기한 송풍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내외기전환도어(115)에는 외기유입모드시 내기를 일부 유입하여 난방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내기유입수단(140)이 설치된다.
상기 내기유입수단(140)은 상기 돔플레이트(117)에 관통 형성되는 내기유입공(117a)과, 상기 내외기전환도어(115)의 내측에 위치함과 아울러 내외기전환도어(115)와 동일 중심선상에서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내기유입공(117a)을 개폐하는 보조도어(141)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조도어(141)는 상기 내외기전환도어(115)와 같이 돔형구조로 이루어지며, 즉, 상기 보조도어(141)는 상기 내외기전환도어(115)의 양 측면판(118)에 형성된 회전축(116)의 내부를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회전축(142)과, 상기 보조회전축(142)을 중심으로 하여 반경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내기유입공(117a)을 개폐하는 보조돔플레이트(143)와, 상기 보조돔플레이트(143)를 보조회전축(142)에 연결하는 보조측면판(144)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내외기전환도어(115)의 회전축(116)과 보조도어(141)의 보조회전축(142)은 모두 상기 인테이크 덕트(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이때 상기 내외기전환도어(115)와 보조도어(141)를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 작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인테이크 덕트(110)의 외측면에는 상기 회전축(116) 및 보조회전축(142)을 각각 회전시키는 액츄에이터(미도시)가 설치된다.
물론, 상기 회전축(116) 및 보조회전축(142)을 각각 회전시키기 위해서 두 개의 액츄에이터를 설치하여도 되고, 또는 캠(미도시) 등을 이용할 경우에는 하나의 액츄에이터만 설치하여도 내외기전환도어(115)와 보조도어(141)를 각각 회전 작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기외기전환도어(115)의 돔플레이트(117)의 내측면에는 내기유입공(117a)의 둘레에 돌출부(117b)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도어(141)의 보조돔플레이트(143)의 양측에는 보조도어(141)의 회전시 상기 돌출부(117b)의 양측면을 따라 가이드 되도록 가이드부(145)가 형성된다.
즉, 상기 보조도어(141)의 회전 작동시 가이드부(145)가 상기 내외기전환도어(115)의 돌출부(117b)를 따라 가이드 되면서 회전 작동하기 때문에 상기 내외기전환도어(115)의 내측에서 보조도어(141)의 위치가 틀어지지 않아 내기유입공(117a)을 정확하고 원활하게 개폐할 수 있고 아울러 상기 내기유입공(117a)을 보조도어(141)가 폐쇄할 때 상기 가이드부(145)에 의해 공기의 리크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송풍장치(100)는, 상기 돔형 내외기전환도어(115)의 돔플레이트(117)에 내기유입공(117a)을 형성하고, 상기 내외기전환도어(115)의 내측에는 내외기전환도어(115)와 동일 중심선상에서 회전하면서 상기 내기유입공(117a)을 개폐하는 돔형 보조도어(141)를 설치한 것이다.
따라서, 운전자가 공조 컨트롤러의 송풍모드 전환스위치를 조작하여 외기유입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액츄에이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내외기전환도어(115)가 회전축(116)을 중심으로 내기유입구(111)측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상기 내기유입구(111)를 폐쇄하고 외기유입구(112)는 개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보조도어(141)는 액츄에이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 작동하여 상기 내외기전환도어(115)의 돔플레이트(117)에 형성된 내기유입공(117a)을 개방하게 됨으로써 이 개방된 내기유입공(117a)을 통해 내기의 일부가 인테이크 덕트(110)내로 유입된다. 물론, 상기 보조도어(141)를 조절할 경우 상기 내기유입공(117a)을 통해 유입되는 내기의 양을 조절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인테이크 덕트(110)의 내부에는 상기 외기유입구(112)를 통해 외기가 유입됨과 동시에 상기 내기유입공(117a)을 통해 내기의 일부도 함께 유입됨으로써 겨울철 등의 추운 날씨에 히터를 가동할 때, 온도가 낮은 자동차 실외의 공기와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실내의 공기가 혼합된 상태로 송풍장치(100)내로 유입되어 공조케이스(40:종래)쪽으로 송풍됨으로써 공조장치(1:종래)의 난방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종래에는 외기유입모드시 내기를 일부 유입하기 위한 구조를 판형 내외기전환도어에만 구성할 수 있었고 돔형 내외기전환도어에는 구성이 불가능하였지만, 본 발명은 외기유입모드시 내기를 일부 유입하도록 하는 내기유입수단(140)을 상기 돔형 내외기전환도어(115)에 설치함으로써 돔형 내외기전환도어(115)에서 도 외기유입모드시 내기를 일부 유입할 수 있게 되어 난방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내기유입모드시에는 상기 내외기전환도어(115)가 상기 외기유입구(112)측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상기 외기유입구(112)를 폐쇄하고 내기유입구(111)는 개방함으로써 상기 개방된 내기유입구(111)를 통해 내기를 유입하게 되며, 이때 상기 보조도어(141)는 상기 내기유입공(117a)을 폐쇄하도록 회전 작동하여 내기유입공(117a)을 통해 외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돔형 내외기전환도어의 돔플레이트에 내기유입공을 형성하고 상기 내외기전환도어의 내측에는 상기 내기유입공을 개폐할 수 있도록 내외기전환도어와 동일 중심선상에서 회전하는 돔형 보조도어를 설치함으로써, 돔형 내외기전환도어에서도 외기유입모드시 내기가 일부 유입되어 난방성능이 향상되고, 아울러 설치 및 구성이 간단하여 생산성 향상 및 제조비용이 절감된다.

Claims (3)

  1. 내,외기유입구(111)(112)가 형성된 인테이크 덕트(110);
    상기 인테이크 덕트(11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116)과, 상기 회전축(116)을 중심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돔플레이트(117)와, 상기 돔플레이트(117)를 회전축(116)에 연결하는 측면판(118)으로 구성된 내외기전환도어(115);
    상기 인테이크 덕트(110)의 하부에 결합됨과 아울러 인테이크 덕트(110)의 내부로 유입된 내,외기를 공조케이스(40)측으로 강제 송풍하기 위한 송풍팬(123)이 설치된 스크롤케이스(120);
    상기 내외기전환도어(115)에 구비되어 외기유입모드시 내기를 일부 유입하여 난방성능을 향상시키는 내기유입수단(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송풍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기유입수단(140)은 상기 돔플레이트(117)에 관통 형성되는 내기유입공(117a)과,
    상기 내외기전환도어(115)의 내측에 위치함과 아울러 내외기전환도어(115)와 동일 중심선상에서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내기유입공(117a)을 개폐하는 보조도어(14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송풍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도어(141)는 상기 내외기전환도어(115)의 회전축(116)의 내부를 관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회전축(142)과, 상기 보조회전축(142)을 중심으로 하여 반경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내기유입공(117a)을 개폐하는 보조돔플레이트(143)와, 상기 보조돔플레이트(143)를 보조회전축(142)에 연결하는 보조측면판(144)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송풍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돔플레이트(117)의 내측면에는 내기유입공(117a)의 둘레에 돌출부(117b)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돔플레이트(143)의 양측에는 보조도어(141)의 회전시 상기 돌출부(117b)의 양측면을 따라 가이드 되도록 가이드부(14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송풍장치.
KR1020060034814A 2006-04-18 2006-04-18 차량용 송풍장치 KR200701031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4814A KR20070103119A (ko) 2006-04-18 2006-04-18 차량용 송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4814A KR20070103119A (ko) 2006-04-18 2006-04-18 차량용 송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3119A true KR20070103119A (ko) 2007-10-23

Family

ID=38817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4814A KR20070103119A (ko) 2006-04-18 2006-04-18 차량용 송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0311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5128B1 (ko) 차량용 송풍장치
US8002615B2 (en) Blower for vehicle
KR20110136257A (ko) 차량용 송풍장치
KR10159048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199795B1 (ko) 차량용 송풍장치
KR101278892B1 (ko) 차량용 송풍장치
KR101288466B1 (ko) 차량용 송풍장치
KR20070103119A (ko) 차량용 송풍장치
KR20080006994A (ko) 차량용 송풍장치
KR20010108769A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101474821B1 (ko) 차량용 송풍장치
KR20080023909A (ko) 차량용 송풍장치
KR200358419Y1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송풍기의 도어 구조
KR20070101617A (ko) 차량용 송풍장치
KR20070101615A (ko) 차량용 송풍장치
KR20070101016A (ko) 차량용 송풍장치
KR20070101614A (ko) 차량용 송풍장치
KR101190738B1 (ko) 차량용 송풍장치
KR101603594B1 (ko) 차량용 송풍장치
KR101313566B1 (ko) 차량용 송풍장치
KR101313584B1 (ko) 차량용 송풍장치
KR101266050B1 (ko) 차량용 송풍장치
KR20080059938A (ko) 차량용 송풍장치
KR20050103798A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송풍장치
KR101309192B1 (ko) 차량용 송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