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2009A - 화재 경보 시스템, 화재 경보 방법 및 센서 노드 - Google Patents

화재 경보 시스템, 화재 경보 방법 및 센서 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2009A
KR20070102009A KR1020060033591A KR20060033591A KR20070102009A KR 20070102009 A KR20070102009 A KR 20070102009A KR 1020060033591 A KR1020060033591 A KR 1020060033591A KR 20060033591 A KR20060033591 A KR 20060033591A KR 20070102009 A KR20070102009 A KR 200701020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ent
sensor node
node
data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3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9853B1 (ko
Inventor
심종태
신한철
장덕진
강정원
황안규
김상도
이명창
윤주현
Original Assignee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3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9853B1/ko
Publication of KR20070102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2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9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9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54Details concerning communication with a camera
    • G08B13/19656Network used to communicate with a camera, e.g. WAN, LAN, Interne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 경보 시스템, 화재 경보 방법 및 센서 노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송 설비에 대한 화재 경보를 수행할 때, a)상기 이송 설비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마련된 복수의 센서 노드가 설치 장소의 소정 영역에서 연기, 불꽃 및 온도 중 하나 이상을 감지하여 각각의 센싱 데이터를 전송하고, 센싱 데이터 값이 소정 기준치 이상인 경우 모니터링 서버가 화재 발생 알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컨베이어 벨트와 같은 이송 설비의 화재 발생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대체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재 경보 시스템, 화재 경보 방법 및 센서 노드{SYSTEM AND METHOD FOR FIRE WARNING, SENSOR NODE FOR THAT SYSTEM}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경보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경보 시스템의 센서 노드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경보 시스템의 센서 노드의 검지 영역에 대한 그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경보 시스템의 싱크 노드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경보 시스템의 모니터링 서버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노드의 센싱 및 데이터 전송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노드의 통신 상태에 따른 데이터 전송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노드의 데이터 조건에 따른 전송 흐름 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싱크 노드의 데이터 송수신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화재 경보 시스템, 화재 경보 방법 및 센서 노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송 설비에 대한 화재 경보 시스템, 화재 경보 방법 및 센서 노드에 관한 것이다.
화재 경보 시스템이란, 일반적으로 설비가 마련된 장소의 화재사고 발생 가능성을 조기에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시스템으로, 화재 발생의 각 진행단계를 감지하고 각 단계에 따라 적절한 경보 장치를 작동시켜 사용자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다.
화재발생의 초기에는 불꽃이 발생하지 않고 연기만 발생하며, 이 때 연기 감지기가 작동하여 화재 경보를 발할 수 있다. 화재 발생 단계가 좀 더 진행되면 불꽃 발화단계로 불리는데, 실제 불이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불꽃과 연기는 보이게 되고 높은 온도가 짧은 시간에 감지될 수 있으며, 이 때 적외선 감지기가 작동하여 불꽃에서 나오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경보를 발할 수 있다. 다음 진행 단계는 열단계로서, 강렬하고 고온의 열이 감지되어 계속적으로 불이 외부로 확장된다. 이 때 공기는 가열되어 위험할 정도로 팽창되며, 열 감지기가 적용된다. 이 경우에는 일 정온도 이상으로 내부 온도가 상승한 경우 화재 경보를 울리거나 급격한 상승온도를 감지한 경우 이를 비상경보로 울리는 두 가지 방식이 가능하다.
한편, 종래 석탄등을 이송하는 컨베이어 벨트와 같은 이송장치들은 발생되는 화재를 감지하기 위해 소정의 공간에 마련된 화재 감지 센서를 통해 빛의 세기를 감지하고, 감지된 빛의 세기가 일정 편차 이상인 경우 화재 발생으로 인식하게 하거나, 화재발생을 감지하는 감지장치부와 화재 발생을 경보하는 경보장치부, 화재를 소화하는 살수장치부를 포함하여, 화재감지시 중앙에서 경보를 발령하면 컨베이어 벨트 부위별로 마련된 살수장치를 통해 화재를 원격에서 소화시켰다.
그러나, 이 경우 화재가 발생하는 장소와 화재 감지 장치 등이 설치된 장소와의 거리 차이로 인해 화재 발생의 초기 단계부터 정보가 정확하게 전달되지 못하고, 화재가 상당히 진행된 후에야 감지 장치가 작동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소정의 공간에 마련된 화재 감지기 혹은 경보 장치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화재 경보 시스템 전체가 제대로 동작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컨베이어 벨트와 같은 이송설비에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화재 발생 초기 단계부터 신속하게 화재 관련 경보가 전달되도록 하는데 있다.
또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이송 설비 어느 한 부분에 설치된 화재 감지를 위한 센서에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화재 감지 시스템 전체의 동작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화재 경보 시스템은, 이송 설비에 대한 화재 경보 시스템으로서, 상기 이송 설비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주변 영역의 연기, 불꽃 및 온도 중 하나 이상을 감지하여 센싱 데이터를 제공하는 센서 노드; 및 상기 센싱 데이터 값이 소정 기준치 이상인 경우, 화재 알림 정보를 제공하는 모니터링 서버를 포함한다.
또,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화재 경보 방법은, 이송 설비에 대한 화재 경보 방법으로서, a)상기 이송 설비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마련된 복수의 센서 노드가 설치 장소의 소정 영역에서 연기, 불꽃 및 온도 중 하나 이상을 감지하여 각각의 센싱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b)센싱 데이터 값이 소정 기준치 이상인 경우 모니터링 서버가 화재 발생 알림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센서 노드는, 소정 길이를 형성하는 이송 설비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주변 영역의 연기, 불꽃 및 온도 중 하나 이상을 감지하여 원격 설치된 모니터링 서버에 센싱 데이터를 제공하고, 상기 센싱 데이터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이벤트 데이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경보 시스템 및 화재 경보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화재 경보 시스템은, 석탄이송설비와 같은 컨베이어 벨트에 소정 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센서 노드(100), 상기 센서 노드(100)로부터 전송받은 센싱값 혹은 이벤트 정보를 모니터링 서버(300)에 전송하거나, 모니터링 서버(300)로부터의 명령을 해당 노드에 전송하는 싱크 노드(200), 센서 노드(100) 혹은 싱크 노드(200)로부터 전송받은 센싱값 혹은 이벤트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화재 경보 정보를 제공하는 모니터링 서버(300)를 포함한다.
이 때 각 센서 노드(100)는 컨베이어 벨트에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로 마련되어, 설치된 장소에서의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며 관련 데이터를 통신 가능한 인접 센서 노드(100) 혹은 싱크 노드(200)에 전송한다.
싱크 노드(200)는 각 노드간의 통신 상태를 체크하며 센서 노드(100)와 모니터링 서버(300)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중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센서 노드(100)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모니터링 서버(300)에 전송하거나, 모니터링 서버(300)로부터 전송받은 각 센서 노드(100)에 대한 명령을 센서 노드(100)에 전송하여, 해당 명령이 실행되도록 한다.
모니터링 서버(300)는 싱크 노드(200)로부터 전송받은 센싱값 혹은 이벤트 정보를 기초로 현재 장치의 상태를 시각화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필요한 명령을 싱크 노드(200)에 전송하여, 각 명령이 해당 센서 노드(100)에 의해 실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간격으로 컨베이어 벨트에 마련된 각 센서 노드(100)들은 연기 센서(111), 열 센서(113) 및 정밀 화재 센 서(115)를 포함하여, 각각의 설치구간에서 측정된 센싱값들을 싱크 노드(200)에 전송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화재 발생 여부는 불꽃, 열, 연기 3요소를 통해 판단될 수 있다. 화재 발생의 초기에는 불꽃 내지 열보다는 연기가 주로 발생하는데, 연기 센서(111)는 화재 발생의 초기 혹은 불꽃 내지 열 감지보다 연기만 발생하는 화재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화재가 좀 더 진행된 발화단계로서 불꽃이 발생하기 시작하면 불꽃으로부터 특정 자외선이 발생하는데, 정밀 화재 센서(115)는 불꽃으로부터 발생하는 특정 자외선을 감지하여, 화재 발생의 초기단계에서부터 화재발생여부를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다.
다음 화재가 계속 진행되어 불꽃 발생이후 높은 온도가 감지되면서 강렬하고 고온의 열이 감지되며 계속적으로 불이 외부로 확장되는데, 이 때 열 센서(113)는 발생되는 특정 적외선을 감지하여 화재발생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센서 노드(100)는 연기 센서(111), 정밀 화재 센서(115) 및 열 센서(113)의 각각의 측정값이 소정의 기준값 이상인 경우 각각 제1이벤트, 제2이벤트 및 제3 이벤트를 발생하여 타 센서 노드(100) 혹은 싱크 노드(200)에 전송할 수 있다.
싱크 노드(200)는 센서 노드(100)로부터 전송받은 센싱값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 서버(300)에 전달할 수 있고, 모니터링 서버(300)는 각 센서 노드(100)들을 통해 확인된 상태를 표시하고, 화재발생이 감지된 경우 화재발생알람기능을 실행할 수도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노드(10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센서 노드(100)는 센서(Sensors, 110), 시그널 컨디셔너(Signal Conditioner, 120), 시그널 프로세서(Signal Processor, 130) 및 통신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연기 센서(111), 정밀 화재 센서(115) 및 열 센서(113)를 포함하여 각 센서 노드(100)가 설치된 구간에서의 연기, 불꽃 및 열을 감지하여 센싱값을 전송할 수 있다. 연기 센서(111), 정밀 화재 센서(115) 및 열 센서(113)에 대한 구체적은 내용은 이미 상술하였으므로 생략한다.
시그널 컨디셔너(120)는 센서의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며, 시그널 프로세서(130)는 시그널 컨디셔너(120)로부터 전달받은 센싱값을 소정의 기준값과 비교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시그널 프로세서(130)는 전달받은 센싱값을 저장하면서 센싱값이 후술할 통신부에 의해 주기적으로 싱크 노드(200) 혹은 타 센서 노드(100)에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시그널 프로세서(130)는 센싱값이 소정의 기준값보다 큰 경우, 제1이벤트, 제2이벤트 혹은 제3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으며, 각 이벤트가 센싱값과 함께 타 노드 혹은 싱크 노드(200)에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이벤트, 제2 이벤트, 제3 이벤트 혹은 센싱값은 싱크 노드(200)에 직접 전송되어 싱크 노드(200)에 의해 모니터링 서버(300)에 전송될 수 있고, 혹은 각 센서 노드(100) 혹은 싱크 노드(200)와의 통신 상태에 따라 통신 가능한 인접한 타 센서 노드(100) 에 전송될 수도 있다.
통신부(140)는 무선 네트워크 망을 형성하여, 센서(110)의 센싱값 혹은 발생한 이벤트를 타 센서 노드(100) 혹은 싱크 노드(200)에 전송하는데, 예를 들어 IEEE802.15.4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 발생으로 생성되는 연기가 공기 흐름을 따라 일정 방향으로 확산될 때, 센서 노드(100)는 컨베이어 벨트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연기 센서(111)를 통해 설치된 위치로부터 소정 영역의 연기 발생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센서 노드(100)는 정밀 화재 센서(115)를 통해 설치된 위치로부터 소정 영역에서의 불꽃 발생여부를 감지할 수 있고 열 센서(113)를 통해 소정 영역의 온도를 감지하여 화재발생여부에 대한 정보를 타 센서 노드(100) 혹은 싱크 노드(200)에 전달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 노드(200)는 데이터 프로세서(210) 및 통신부(220)를 포함하여, 센서 노드(100)와 모니터링 서버(300)간의 통신을 중개하고, 각 노드간의 통신상태를 체크할 수 있다.
우선, 통신부(220)는 무선 네트워크 망을 형성하여 센서 노드(100)의 센서(110)가 감지한 센싱값 혹은 발생한 이벤트를 전송받을 수 있으며, 또한 모니터링 서버(300)에 센싱값 혹은 이벤트 발생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통신부(220)는 센서 노드(100)와의 물리적 통신은 IEEE 802.15.4 규격을 따르고, 모니터링 서버(300)와 통신은 이더넷이나 무선 랜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 프로세서(210)는 각 센서 노드(100)의 통신상태를 체크하여, 싱크 노드(200)로부터의 회신 요청에 응답이 없는 경우, 통신 에러 이벤트를 발생하여 통신부를 통해 모니터링 서버(300)에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프로세서(210)는 각 센서 노드(100)로부터 전송받은 센싱값 혹은 이벤트 정보를 통신부(220)를 통해 모니터링 서버(300)에 전달할 수 있는 형태로 처리한다. 예를 들어 싱크 노드(200)가 센서 노드(100)와는 무선랜 통신을 수행하고 모니터링 서버(300)와는 유선랜 통신을 하는 경우, 데이터 프로세서(210)는 무선랜을 통해 전송받은 센싱값 혹은 이벤트 정보를 유선랜통신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 반대로, 데이터 프로세서(210)는 모니터링 서버(300)로부터 전송되는 각 센서 노드(100)에 대한 명령을, 싱크 노드(200)와 센서 노드(100)간의 통신방식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
또, 데이터 프로세서(210)는 각 센서 노드(100)로부터 전송되는 센싱값 혹은 이벤트 정보에 기초하여 화재 발생여부 혹은 화재 진행단계를 판단하여, 모니터링 서버(300)에 화재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링 서버(300)는, 싱크 노드(200)로부터 각 센서 노드(100)의 센싱값 정보를 전송받고 각 센서 노드(100)가 체크한 센싱값 현황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모니터링 서버(300)는 각 센서 노드(100)의 리스트를 표시하고, 각 센서 노드(100)의 센싱값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각 센서 노드(100)의 설치위치, 각 센서 노드(100)에 포함되는 센서(110)의 종류 및 센서(110)의 스펙등에 대한 정보도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고, 센싱값 데이터를 그래프등으로 시각화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는 각 센서 노드(100)로부터 발생한 제1 이벤트, 제2 이벤트 혹은 제3 이벤트를 전송받은 경우, 해당 이벤트 발생을 기초로 연기 발생, 불꽃감지 혹은 온도 상승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또는 모니터링 서버(300)는 전송받은 제1 이벤트, 제2 이벤트 혹은 제3 이벤트 발생 정보를 기초로 화재발생여부에 대한 정보 및 화재진행단계에 대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경보 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노드(100)의 센싱 및 데이터 전송 흐름도이다.
센서 노드(100)는 컨베이어 벨트의 각 구간에 설치되어, 설치된 장소를 기초로 소정 공간에서의 화재발생여부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센서 노드(100)는 연기 센서(111), 정밀 화재 센서(115) 및 열 센서(113)를 포함하여, 화재 발생의 3요소인 연기, 불꽃 및 온도에 대한 센싱값을 읽고 저장하면서 화재 발생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S100, S101). 그리고, 센서 노드(100)는 각 센싱값을 주기적으로 싱크 노드(200) 혹은 타 센서 노드(100)에 전송할 수 있다(S107, S109).
이 때, 센서 노드(100)는 센싱값이 소정의 기준값을 초과한 경우, 제1 이벤트, 제2 이벤트 혹은 제3 이벤트를 발생하여, 화재발생여부 혹은 화재진행단계에 대한 정보를 센싱값과 함께 싱크 노드(200) 혹은 타 센서 노드(100)에 전송할 수 있다(S103, S105).
센서 노드(100)의 싱크 노드(200) 혹은 타 센서 노드(100)와의 통신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행된다.
즉, 센서 노드(100)는 싱크 노드(200)와 통신 가능 상태이면 센싱값 혹은 이벤트를 싱크 노드(200)로 전송한다(S200, S201, S203). 그리고, 센서 노드(100)의 통신부가 싱크 노드(200)의 통신부(220)와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 센서 노드(100)는 인접한 타 센서 노드(100)로 센싱값 혹은 이벤트를 전송할 수 있다(S200, S201, S205). 따라서, 해당 센서 노드(100)가 싱크 노드(200)와 통신 불능 상태인 경우에도, 타 인접 센서 노드(100)에 의해 해당 센싱값 혹은 이벤트는 싱크 노드(200)로 전송될 수 있고 최종적으로 모니터링 서버(300)에 전달될 수 있다.
도 9는 센서 노드(100)가 타 센서 노드(100) 혹은 싱크 노드(2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의 처리 흐름도이다.
우선 센서 노드(100)는 데이터를 수신한 때, 싱크 노드(20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인지 타 센서 노드(10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인지 판단한다(S300, S301).
이 때, 수신된 데이터가 싱크 노드(200)로부터 각 센서 노드(100)에 전송되는 명령 데이터로서 타 센서 노드(100)에 대한 명령 데이터인 경우, 명령 데이터는 싱크 노드(2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 센서 노드(100)로부터 명령 대상 센서 노드(100)에 전송된다(S303, S305, S307).
이 때, 데이터 수신 센서 노드(100)와 명령 대상 센서 노드(100)간의 통신 상태가 불능인 경우, 통신 가능하고 데이터 수신 센서 노드(100)에 인접한 타 센서 노드(100)로 해당 명령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S305, S309).
또, 수신된 데이터가 싱크 노드(200)로부터 센서 노드(100)에 대한 명령 데이터로서, 데이터를 수신한 센서 노드(100)에 대한 명령 데이터인 경우에는, 해당 센서서 노드(100)가 명령 데이터를 처리한다(S303, S310). 그리고 명령 데이터를 처리한 센서 노드(100)는 응답이 요구되는 경우에 싱크 노드(200)에게 결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318, S319).
예를 들어, 모니터링 서버(300)가 제1 센서 노드에 대해 소정의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경우로서, 제1 센서 노드가 해당 명령 데이터를 싱크 노드(200)로부터 직접 전송받은 경우, 제1 센서 노드는 해당 명령을 직접 처리할 수 있다.
또, 제2 센서 노드가 제1 센서 노드에 대한 제어 명령을 싱크 노드(200)로부터 전송받은 경우, 제2 센서 노드는 해당 명령 데이터를 제1 센서 노드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제2 센서 노드(100)와 제1 센서 노드(100)간의 통신 상태가 불능인 경우에는 제2 센서 노드는 인접한 통신 가능 상태의 제3 센서 노드에 제1 센서 노드에 대한 명령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센서 노드(100)의 수신 데이터가 싱크 노드(200)로부터의 명령 데이터가 아니라 타 센서 노드(100)로부터의 데이터일 때, 센서 노드(100)는 수신 데이터를 싱크 노드(200)로 전송할 수 있다(S301, S313, S315). 이 때, 센서 노드(100)와 싱크 노드(200)와의 통신상태가 불능인 경우, 센서 노드(100)는 통신 가능한 인접 타 센서 노드(100)로 수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S313, S317).
예를 들어, 제1 센서 노드가 제2 센서 노드의 센싱값 혹은 이벤트 데이터를 전송받은 경우, 제1 센서 노드는 수신 데이터를 싱크 노드(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제1 센서 노드와 싱크 노드(200)와의 통신 상태가 불능인 경우, 제1 센서 노드는 통신 가능한 인접한 제3 센서 노드에 수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즉, 각각의 센서 노드(100)는 모니터링 서버(300)로부터의 명령 데이터를 싱크 노드(200)를 통해 전송받고, 자신의 센싱값 혹은 이벤트 데이터를 싱크 노드(200)를 통해 모니터링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으며, 각각의 센서 노드(100)가 싱크 노드(200) 혹은 타 센서 노드(100)와 통신 불능 상태인 경우, 각각의 센서 노드(100)는 통신 가능한 인접한 타 센서 노드(100)를 통해 최종 목표 센서 노드(100) 혹은 싱크 노드(200)와 통신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싱크 노드(200)가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의 통신 흐름도이다.
싱크 노드(200)는 센서 노드(1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 때, 수신 데이터를 모니터링 서버(300)와의 통신 방식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 처리하여 모니터링 서버(300)로 전송한다(S400, S401, S403).
예를 들어, 싱크 노드(200)가 센서 노드(100)로부터 무선 랜을 통해 센싱값 혹은 이벤트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싱크 노드(200)는 모니터링 서버(300)와의 유선랜 통신에 적합한 형태로 센싱값 혹은 이벤트 데이터를 변환 처리하여, 해당 데이터를 모니터링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모니터링 서버(300)에서 싱크 노드(200)를 통해 각 센서 노드(100)에 대한 명령 데이터를 전송한 때의 통신 흐름도이다.
싱크 노드(200)는 모니터링 서버(300)로부터 각 센서 노드(100)에 대한 명령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한 명령 데이터를 해당 센서 노드(100)에 전송한다(S500, S501, S503).
이 때, 모니터링 서버(300)의 명령 대상 센서 노드(100) 중 싱크 노드(200)와의 통신 상태가 불능인 센서 노드(100)가 존재 하는 경우, 싱크 노드(200)는 인접한 타 센서 노드(100)에 해당 명령 데이터를 전송한다(S501, S505).
예를 들어, 모니터링 서버(300)로부터 제1 센서 노드 및 제2 센서 노드에 대한 명령 데이터가 전송된 경우, 싱크 노드(200)는 해당 명령 데이터를 제1 센서 노드 및 제2 센서 노드에 각각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제2 센서 노드와 싱크 노드(200)와의 통신 상태가 불능인 경우, 싱크 노드(200)는 제2 센서에 대한 명령 데이터는 인접한 제3 센서 노드에 전송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할 특허청구범위 기재사항 및 그 균등 사항으로 인정되는 모든 기술적 구성요소를 포함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컨베이어 벨트와 같은 이송 설비의 화재 발생에 효과적으로 대체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의 구간마다 센서 노드를 설치하여 이송 설비의 각 구간에 대한 현황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연기, 불꽃 및 온도 등에 대한 센싱값을 기초로 화재 징후를 조기에 판단할 수 있으므로, 화재 발생의 초기 단계에서 신속한 대응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이송 설비의 각 구간에 마련된 센서 노드중 어느 하나의 센서 노드에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인접 센서 노드에 의한 데이터 전송 혹은 센싱이 가능하므로 화재 경보 시스템에 대한 신뢰도 및 안전성이 높아진다.

Claims (23)

  1. 이송 설비에 대한 화재 경보 방법에 있어서,
    a)상기 이송 설비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마련된 복수의 센서 노드가 설치 장소의 소정 영역에서 연기, 불꽃 및 온도 중 하나 이상을 감지하여 각각의 센싱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b)센싱 데이터 값이 소정 기준치 이상인 경우 모니터링 서버가 화재 발생 알림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재 경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데이터는 상기 연기에 대한 센싱 데이터인 제1 센싱 데이터, 상기 불꽃에 대한 센싱 데이터인 제2 센싱 데이터 및 상기 온도에 대한 센싱 데이터인 제3 센싱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화재 경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b-1) 제1 센싱 데이터 값이 제1 기준치 이상인 경우 제1 이벤트를 생성하고, 제2 센싱 데이터 값이 제2 기준치 이상인 경우 제2 이벤트를 생성하고, 제3 센싱 데이터 값이 제3 기준치 이상인 경우 제3 이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화재 경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b-1)단계이후,
    제1 이벤트가 생성된 경우 제1 화재 발생 알림 정보를 제공하고, 제2 이벤트가 생성된 경우 제2 화재 발생 알림 정보를 제공하며, 제3 이벤트가 생성된 경우 제3 화재 발생 알림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화재 경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b-1) 단계 이후,
    제1 이벤트, 제2 이벤트 및 제3 이벤트 중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화재 발생 알림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화재 경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센서 노드가 각각의 센싱 데이터를 상기 센서 노드와 상기 모니터링 서버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싱크 노드에 전송하고, 상기 싱크 노드가 상기 센싱 데이 터를 상기 모니터링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인
    화재 경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센서 노드 중 하나 이상이 상기 싱크 노드와 통신 불능 상태로 센싱 데이터를 상기 싱크 노드에 직접 전송할 수 없는 경우, 통신 가능한 인접 타 센서 노드로 센싱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화재 경보 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b-1) 단계는,
    상기 센서 노드가 상기 제1 이벤트, 상기 제2 이벤트 및 상기 제3 이벤트 중 하나 이상을 생성하여 상기 센서 노드와 상기 모니터링 서버를 중계하는 싱크 노드에 전송하고, 상기 싱크 노드가 상기 모니터링 서버에 상기 제1 이벤트, 상기 제2 이벤트 및 상기 제3 이벤트 중 하나 이상을 전송하는 단계인
    화재 경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b-1) 단계는,
    상기 센서 노드 중 하나 이상이 상기 싱크 노드와 통신 불능 상태로 상기 제1 이벤트, 상기 제2 이벤트 또는 상기 제3 이벤트를 상기 싱크 노드에 직접 전송할 수 없는 경우, 통신 가능한 인접 타 센서 노드로 상기 제1 이벤트, 상기 제2 이벤트 또는 제3 이벤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화재 경보 방법.
  10. 이송 설비에 대한 화재 경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송 설비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주변 영역의 연기, 불꽃 및 온도 중 하나 이상을 감지하여 센싱 데이터를 제공하는 센서 노드; 및
    상기 센싱 데이터 값이 소정 기준치 이상인 경우, 화재 알림 정보를 제공하는 모니터링 서버를 포함하는
    화재 경보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노드는 주변 영역의 연기를 감지하여 제1 센싱 데이터를 제공하는 연기 센서, 불꽃을 감지하여 제2 센싱 데이터를 제공하는 정밀 화재 센서 및 온도를 감지하여 제3 센싱 데이터를 제공하는 온도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화재 경보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노드는 제1 센싱 데이터가 제1 기준치 이상인 경우 제1 이벤트를 생성하고, 제2 센싱 데이터가 제2 기준치 이상인 경우 제2 이벤트를 생성하며, 제3 센싱 데이터가 제3 기준치 이상인 경우 제3 이벤트를 생성하는
    화재 경보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서버는,
    상기 센서 노드로부터 제1 이벤트 데이터가 전송된 경우 제1 화재 알림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센서 노드로부터 제2 이벤트 데이터가 전송된 경우 제2 화재 알림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센서 노드로터 제3 이벤트 데이터가 전송된 경우 제3 화재 알림 정보를 제공하는
    화재 경보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서버는,
    상기 센서 노드로부터 전송되는 제1 이벤트 데이터, 제2 이벤트 데이터 및 제3 이벤트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화재 알림 정보를 제공하는
    화재 경보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서버는 각 센서 노드에 대한 제어 명령 데이터를 해당 센서 노드에 전송하는
    화재 경보 시스템.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노드와 상기 모니터링 서버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싱크 노드를 더 포함하여,
    상기 센싱 노드는 상기 센싱 데이터를 상기 싱크 노드에 전송하고
    상기 싱크 노드는 상기 센싱 데이터를 상기 모니터링 서버에 전송하는
    화재 경보 시스템.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노드와 상기 모니터링 서버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싱크 노드를 더 포함하여,
    상기 센싱 노드는 상기 제1 이벤트 데이터, 상기 제2 이벤트 데이터 또는 상기 제3 이벤트 데이터를 상기 싱크 노드에 전송하고,
    상기 싱크 노드는 상기 제1 이벤트 데이터, 상기 제2 이벤트 데이터 또는 상기 제3 이벤트 데이터를 상기 모니터링 서버에 전송하는
    화재 경보 시스템.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노드와 상기 모니터링 서버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싱크 노드를 더 포함하여,
    상기 모니터링 서버는 상기 제어 명령 데이터를 상기 싱크 노드에 전송하고,
    상기 싱크 노드는 상기 제어 명령 데이터를 상기 센서 노드에 전송하는
    화재 경보 시스템.
  19. 제16항 내지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노드와 상기 싱크 노드가 통신 불능 상태인 경우, 상기 센서 노드 또는 상기 싱크 노드는 통신 가능한 인접 타 센서 노드에 해당 데이터를 전송하는
    화재 경보 시스템.
  20. 소정 길이를 형성하는 이송 설비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주변 영역의 연기, 불꽃 및 온도 중 하나 이상을 감지하여 원격 설치된 모니터링 서버에 센싱 데이터를 제공하고, 상기 센싱 데이터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이벤트 데이터를 제공하는 센서 노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노드는,
    주변 영역의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 센서, 주변 영역의 불꽃을 감지하는 정밀 화재 센서, 및 주변 영역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센서 노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노드는,
    상기 연기 센서의 제1 센싱 데이터가 제1 기준치 이상인 경우 제1 이벤트 데이타를 생성하거나, 상기 정밀 화재 센서의 제2 센싱 데이터가 제2 기준치 이상인 경우 제2 이벤트 데이타를 생성하거나, 상기 온도 센서의 제3 센싱 데이터가 제3 기준치 이상인 경우 제3 이벤트 데이타를 생성하는 데이터 프로세서; 및
    상기 센싱 데이터 또는 상기 이벤트 데이터를 해당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센서 노드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프로세서는
    상기 센싱 데이터 또는 상기 이벤트 데이터가 상기 센서 노드와 상기 모니터링 서버 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싱크 노드에 전송되도록 하고,
    상기 센서 노드와 상기 싱크 노드간의 통신 상태가 불능인 경우, 통신 가능한 인접 타 센서 노드로 상기 센싱 데이터 또는 상기 이벤트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하는
    센서 노드.
KR1020060033591A 2006-04-13 2006-04-13 화재 경보 시스템, 화재 경보 방법 및 센서 노드 KR100909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3591A KR100909853B1 (ko) 2006-04-13 2006-04-13 화재 경보 시스템, 화재 경보 방법 및 센서 노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3591A KR100909853B1 (ko) 2006-04-13 2006-04-13 화재 경보 시스템, 화재 경보 방법 및 센서 노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9941U Division KR200425903Y1 (ko) 2006-04-13 2006-04-13 화재 경보 시스템 및 센서 노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2009A true KR20070102009A (ko) 2007-10-18
KR100909853B1 KR100909853B1 (ko) 2009-08-05

Family

ID=38817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3591A KR100909853B1 (ko) 2006-04-13 2006-04-13 화재 경보 시스템, 화재 경보 방법 및 센서 노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985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234B1 (ko) * 2014-09-11 2015-07-09 한병삼 농가용 최적 환경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65217A (ko) * 2015-12-03 2017-06-13 (주)이공감 복합 화재 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CN109741565A (zh) * 2019-01-28 2019-05-10 北京工业职业技术学院 煤矿火灾识别系统及方法
CN111669414A (zh) * 2019-03-06 2020-09-15 苏州宝川物业管理有限公司 一种消防安全检测系统
KR102525068B1 (ko) * 2022-03-08 2023-04-24 최성우 다중 벨트 감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6692B1 (ko) * 2016-05-03 2016-11-30 주식회사 현대콘트롤전기 스파크 검출기를 이용한 전기설비의 화재발생 감시장치
KR101734155B1 (ko) * 2017-01-02 2017-05-24 주식회사 현대콘트롤전기 다분할 포인트(64 픽셀포인트)의 온도를 측정하는 비접촉식 온도센서를 이용한 전기설비의 화재발생 감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8109B2 (ja) * 1994-07-29 2001-07-1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ベルトコンベヤの高温部検知装置
JP2006052039A (ja) * 2004-08-10 2006-02-23 Bridgestone Corp コンベアベルトの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KR100633023B1 (ko) * 2004-12-23 2006-10-12 전자부품연구원 센서 네트워크 및 케이블 방송망을 이용한 화재 경보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234B1 (ko) * 2014-09-11 2015-07-09 한병삼 농가용 최적 환경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65217A (ko) * 2015-12-03 2017-06-13 (주)이공감 복합 화재 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CN109741565A (zh) * 2019-01-28 2019-05-10 北京工业职业技术学院 煤矿火灾识别系统及方法
CN109741565B (zh) * 2019-01-28 2024-03-29 北京工业职业技术学院 煤矿火灾识别系统及方法
CN111669414A (zh) * 2019-03-06 2020-09-15 苏州宝川物业管理有限公司 一种消防安全检测系统
KR102525068B1 (ko) * 2022-03-08 2023-04-24 최성우 다중 벨트 감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9853B1 (ko) 2009-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9853B1 (ko) 화재 경보 시스템, 화재 경보 방법 및 센서 노드
KR101842500B1 (ko) 지능형 화재 감지 시스템
KR101914554B1 (ko) 소물인터넷 기반 화재감지장치를 이용한 관제시스템
KR101811393B1 (ko) 자동 화재 탐지 설비의 원격 제어 시스템
JP2006277138A (ja) 火災警報器又は火災検知装置
KR101624867B1 (ko) 센서 일체형 led 조명등을 이용한 감시 및 대응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08091800A2 (en) Fire detectors with environmental data input
US11694532B2 (en) Fire alarm equipment
KR200425903Y1 (ko) 화재 경보 시스템 및 센서 노드
EP3286609A1 (en) Identifying a temperature anomaly
KR20190019469A (ko) 메쉬 네트워크로 연동되는 화재감지기 및 화재감지기를 설치하는 방법
KR20090125582A (ko) 유무선망을 이용한 건축물 방재 및 안전관리 통보시스템
KR100628837B1 (ko) 무선 화재 경보 시스템 및 방법
KR101736048B1 (ko) 주택용 화재감지기
KR101514897B1 (ko) 전력선 통신 및 보조 통신수단을 수반한 자동 소화 시스템
JP7265666B2 (ja) 火災報知設備
KR101750747B1 (ko) 블루투스 아이비콘을 이용한 전자식 화재감지기 및 수신시스템
KR101120114B1 (ko) 화재 감지기 무선 연동 시스템
KR101676692B1 (ko) 스파크 검출기를 이용한 전기설비의 화재발생 감시장치
EP3936196A1 (en)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having fire prediction function
KR101357869B1 (ko) 열감지기 원격 점검 시스템 및 그를 위한 장치
KR101627111B1 (ko) 화재 감지 시스템 및 이에 의한 화재 감지 방법
JP7066402B2 (ja) 火災報知設備
JP5478316B2 (ja) 警報器及び警報システム
KR20190069354A (ko) 메쉬 네트워크로 연동되는 화재감지기 및 화재감지기를 설치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