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1730A - 스테핑 모터 - Google Patents

스테핑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1730A
KR20070101730A KR1020060033252A KR20060033252A KR20070101730A KR 20070101730 A KR20070101730 A KR 20070101730A KR 1020060033252 A KR1020060033252 A KR 1020060033252A KR 20060033252 A KR20060033252 A KR 20060033252A KR 20070101730 A KR20070101730 A KR 200701017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screw
side plate
coupled
stepping motor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3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3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01730A/ko
Publication of KR20070101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17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7/00Motors with rotor rotating step by step and without interrupter or commutator driven by the rotor, e.g. stepping motors
    • H02K37/10Motors with rotor rotating step by step and without interrupter or commutator driven by the rotor, e.g. stepping motors of permanent magnet type
    • H02K37/12Motors with rotor rotating step by step and without interrupter or commutator driven by the rotor, e.g. stepping motors of permanent magnet type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 H02K37/14Motors with rotor rotating step by step and without interrupter or commutator driven by the rotor, e.g. stepping motors of permanent magnet type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with magnets rotating within the arma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8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magnetic stationary parts on to, or to, the stator structures
    • H02K1/185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magnetic stationary parts on to, or to, the stator structures to outer st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8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rotating magnetic parts on to, or to, the roto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5Mounting arrangements for bearing-shields or end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하우징과 브라켓을 일체로 형성한 스테핑 모터가 개시된다. 상기 스테핑 모터는 브라켓에 보빈, 코일 및 투스요크를 포함하는 고정자가 본딩되어 결합된다. 그러므로, 조립공정이 간단하여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조립 공정이 간단하므로, 부품들 간의 조립 공차가 줄어들어,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스테핑 모터 {STEPPING MOTOR}
도 1a는 종래의 스테핑 모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하우징의 외관을 보인 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핑 모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브라켓의 전개도.
도 3b는 도 2a에 도시된 브라켓의 접은 상태의 정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브라켓 120 : 리드스크류
130 : 고정자 140 : 회전자
161 : 스러스트홀더 171 : 피봇베어링
165,175 : 제 1,2 볼 181 : 엔드커버
185 : 탄성부재
본 발명은 하우징과 브라켓을 일체로 형성한 스테핑 모터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종래의 스테핑 모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 시된 하우징의 외관을 보인 도로서, 이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판(11), 제 1 및 제 2 측판(13,15)을 가지는 브라켓(11)이 마련된다. 제 1 측판(13)에는 제 1 하우징(21)이 용접으로 결합되고, 제 1 하우징(21)에는 제 2 하우징(24)이 용접으로 결합되며, 제 2 하우징(24)에는 엔드커버(28)가 용접으로 결합된다. 제 1 및 제 2 하우징(21,24)의 내주면에는 코일(31)이 권선된 보빈(33)이 각각 설치되고, 각 보빈(33)의 내주면에는 투스요크(35)가 각각 결합된다.
그리고, 브라켓(11)에는 리드스크류(40)가 지지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제 1 측판(13) 외측에 위치된 리드스크류(40)의 부위에는 상호 소정 거리 이격된 한쌍의 마그네트(45)가 설치된다. 이때, 각 마그네트(45)는 각 투스요크(35)의 내부에 대응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엔드커버(24)의 내측에는 볼(51), 스러스트홀더(53) 및 스프링(55)이 설치되고, 브라켓(10)의 제 2 측판(15)에는 피봇베어링(61) 및 볼(63)이 설치되어 리드스크류(40)가 원활하도록 지지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테핑 모터는 제 1 하우징(21)과 브라켓(10), 제 2 하우징(24)과 엔드커버(28), 제 1 하우징(21)과 제 2 하우징(24)을 각각 용접으로 결합된다. 즉, 종래의 스테핑 모터는 용접 공정이 많으므로 생산성이 저하되고, 용접 공정 도중의 오차로 인하여 신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 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생산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테핑 모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테핑 모터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지지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리드스크류; 상기 리드스크류의 일단부측 외주면에 소정 간격을 가지면서 고정된 제 1 및 제 2 마그네트를 가지는 회전자; 상기 제 1 및 제 2 마그네트를 감싸는 형태로 각각 설치된 제 1 및 제 2 보빈, 상기 제 1 및 제 2 보빈의 외주면에 각각 권선된 제 1 및 제 2 코일, 상기 제 1 및 제 2 보빈의 내주면에 각각 결합된 제 1 및 제 2 투스요크를 가지며, 상기 브라켓에 결합된 고정자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핑 모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핑 모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브라켓의 전개도이며, 도 3b는 도 2a에 도시된 브라켓의 접은 상태의 정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테핑 모터는 브라켓(110)을 가지며, 브라켓(110)에는 리드스크류(120)가 지지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리드스크류(120)에는 리드스크류(120)가 정/역회전함에 따라 리드스크류(120)를 따라서 직선왕복운동하는 광픽업장치(미도시)가 설치된다. 그리고, 브라켓(110)에는 고정자(130)가 결합되고, 고정자(130)와 대응되게 회전자(140)가 리드스크류(120)의 일 단부측에 고정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110)은 판형상의 받침판(111)을 가진다. 받침판(111)의 길이방향 일단부측, 중앙부측 및 타단부측에는 상호 각각 대향하는 제 1,2 및 3 측판(113,114,115)이 형성되고, 제 1 측판(113)과 제 2 측판(114) 사이의 받침판(111)의 폭방향 측면에는 제 4 및 5 측판(116,117)이 형성된다. 그리하여, 제 1 측판(113)과 제 2 측판(114)과 제 4 측판(116)과 제 5 측판(117) 사이에는 공간(119)이 형성된다.
제 1,2,3,4 및 5 측판(113,114,116,117)은 받침판(111)에서 벤딩 형성된다. 이때, 제 2 측판(114)은 받침판(111)의 중앙부를 ⊃ 형태로 절개한 후, 벤딩 형성한다.
리드스크류(120)의 일단부 및 타단부는 제 1 및 제 3 측판(113,115)측에 지지되고, 제 2 측판(114)에는 리드스크류(120)가 관통하는 관통홈(114a)이 형성된다. 그리고, 공간(119)에 위치되는 리드스크류(120)의 외주면에는 회전자(140)가 고정되는데, 회전자(140)는 상호 소정 간격을 가지는 제 1 및 제 2 마그네트(141,143)로 마련된다.
고정자(130)는 공간(119)에 설치되어 제 1,2,4 및 5 측판(113,114,116,117)에 결합되며, 제 1 및 제 2 고정자(131,136)를 가진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 1 고정자(131)는 제 1 마그네트(141)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된 제 1 보빈(132), 제 1 보빈(132)의 외주면에 권선된 제 1 코일(133) 및 제 1 보빈(132)의 내주면에 일부가 삽입된 제 1 투스요크(134)를 가진다. 이때, 제 1 투스요크(134)는 한쌍으로 마련되어, 제 1 보빈(132)의 양측에 결합됨과 동시에 제 1,2,4 및 5 측판(113,114,116,117)에 결합된다. 제 2 고정자(136)는 제 2 마그네트(143)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된 제 2 보빈(137), 제 2 보빈(137)의 외주면에 권선된 제 2 코일(138) 및 제 2 보빈(137)의 내주면에 일부가 삽입된 제 2 투스요크(139)를 가진다. 이때, 제 2 투스요크(139)는 한쌍으로 마련되어 제 2 보빈(137)의 양측에 결합됨과 동시에 제 1,2,4 및 5 측판(113,114,116,117)에 결합된다.
제 1 및 제 2 고정자(131,136)는 각각 본딩되어 결합될 수도 있고, 조립완료후 브라켓(110)을 코킹하여 결합할 수도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스테핑 모터는, 받침판(111)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에 형성된 제 1,2,3,4 및 5 측판(113,114,115,116,117)을 벤딩하고, 제 1,2,4 및 5 측판(113,114,116,117)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119)에 고정자(130)가 본딩되어 결합된다. 그러므로, 고정자(130)를 브라켓(110)에 결합하기 위한 공정이 간단하다.
브라켓(110)의 제 1 및 제 3 측판(113,115)에는 결합관(113a) 및 결합공(115a)이 형성되는데, 결합관(113a)과 관통홈(114a) 및 결합공(115a)은 상호 대향되게 형성된다. 이때, 결합관(113a)은 제 1 측판(113)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결합관(113a)의 내주면에는 스러스트홀더(161)가 결합되고, 스러스트홀더(161)와 리드스크류(120)의 일단면(一端面) 사이에는 스러스트홀더(161) 및 리드스크류(120)의 일단면과 접촉하는 제 1 볼(165)이 마련된다. 그리고, 결합공(115a)에는 피봇베어링(171)이 결합되고, 피봇베어링(171)과 리드스크류(120)의 타단면 (他端面) 사이에는 피봇베어링(171)과 리드스크류(120)의 타단면과 접촉하는 제 2 볼(175)이 마련된다. 제 1 및 제 2 볼(165,175)은 리드스크류(120)가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지지한다.
그리고, 결합관(113a)의 외주면에는 스러스트홀더(161)가 제 1 측판(113)의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엔드커버(181)가 본딩되어 결합되고, 엔드커버(181)와 스러스트홀더(161) 사이에는 탄성부재(185)가 마련된다. 탄성부재(185)는 리드스크류(120)를 탄성 지지하여 리드스크류(120)가 부하측 및 반부하측의 축방향으로 유동하는 엔드 플레이(End-Play)를 허용한다.
스러스트홀더(161)는 결합관(113a)의 내주면에 삽입되는 캡(161a)과 캡(161a)의 내부에 형성되어 캡(161a)의 내주면과 소정 간격을 가지는 지지돌기(161b)를 가진다. 그리고, 탄성부재(175)는 코일스프링으로 마련되며 지지돌기(161b)가 삽입된다. 즉, 탄성부재(175)는 캡(161a)과 지지돌기(161b) 사이에 위치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스테핑 모터는, 제 1 및 제 3 측판(113,115)의 결합관(113a) 및 결합공(115a)에 스러스트홀더(161) 및 피봇베어링(171)을 결합하고, 스러스트홀더(161) 및 피봇베어링(171)측에 리드스크류(120)의 일단부 및 타단부가 지지되도록 리드스크류(120)를 결합하면, 리드스크류(120)가 정해진 위치에 결합된다. 그러므로, 리드스크류(120)를 간편하고도 정확하게 조립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하듯이, 본 발명에 따른 스테핑 모터는 브라켓에 보빈, 코일 및 투스요크를 포함하는 고정자가 본딩되어 결합된다. 그러므로, 조립공정이 간단하여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조립 공정이 간단하므로, 부품들 간의 조립 공차가 줄어들어,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

Claims (8)

  1.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지지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리드스크류;
    상기 리드스크류의 일단부측 외주면에 소정 간격을 가지면서 고정된 제 1 및 제 2 마그네트를 가지는 회전자;
    상기 제 1 및 제 2 마그네트를 감싸는 형태로 각각 설치된 제 1 및 제 2 보빈, 상기 제 1 및 제 2 보빈의 외주면에 각각 권선된 제 1 및 제 2 코일, 상기 제 1 및 제 2 보빈의 내주면에 각각 결합된 제 1 및 제 2 투스요크를 가지며, 상기 브라켓에 감싸여 지지된 고정자를 포함하는 스테핑 모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받침판; 상기 받침판의 일단부측, 중앙부측 및 타단부측에 각각 형성되어 대향하는 제 1,2 및 3 측판; 상기 제 1 측판과 제 2 측판 사이의 상기 받침판의 측면에 각각 형성된 제 4 및 5 측판을 가지고,
    상기 리드스크류는 상기 제 2 측판을 관통하여 일단부 및 타단부가 상기 제 1 측판측 및 제 3 측판측에 지지되며,
    상기 회전자는 상기 제 1 측판과 제 2 측판 사이의 상기 리드스크류의 부위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자는 제 1,2,4 및 5 측판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핑 모 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투스요크는 상기 제 1,2,4 및 5 측판에 본딩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핑 모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3,4 및 5 측판은 벤딩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핑 모터.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판에는 스러스트홀더가 결합되고, 상기 스러스트홀더와 상기 리드스크류의 일단부 사이에는 상기 스러스트홀더 및 상기 리드스크류와 접촉하는 제 1 볼이 마련되고,
    상기 제 2 측판에는 상기 스러스트홀더와 대향되게 피봇베어링이 결합되고, 상기 피봇베어링과 상기 리드스크류의 타단부 사이에는 상기 피봇베어링 및 상기 리드스크류와 접촉하는 제 2 볼이 마련되며,
    상기 제 1 측판에는 상기 스러스트홀더의 이탈을 방지하는 엔드커버가 결합되고,
    상기 엔드커버와 상기 스러스트홀더 사이에는 상기 리드스크류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핑 모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판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결합관이 형성되고, 상기 제 3 측판에는 상기 결합관과 대향하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측판에는 상기 리드스크류가 관통하는 관통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러스트홀더 및 상기 엔드커버는 상기 결합관 내주면 및 외주면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피봇베어링은 상기 결합공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핑 모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커버는 상기 결합관에 본딩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핑 모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러스트홀더는 상기 결합관에 삽입되는 캡, 상기 캡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캡의 내주면과 소정 간격을 가지며 코일스프링 형태로 마련된 상기 탄성부재가 삽입되는 지지돌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핑 모터.
KR1020060033252A 2006-04-12 2006-04-12 스테핑 모터 KR200701017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3252A KR20070101730A (ko) 2006-04-12 2006-04-12 스테핑 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3252A KR20070101730A (ko) 2006-04-12 2006-04-12 스테핑 모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1730A true KR20070101730A (ko) 2007-10-17

Family

ID=38816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3252A KR20070101730A (ko) 2006-04-12 2006-04-12 스테핑 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0173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05259B2 (en) 2009-10-08 2013-03-26 Lg Innotek Co., Ltd. Step mo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05259B2 (en) 2009-10-08 2013-03-26 Lg Innotek Co., Ltd. Step mo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03192B2 (ja) ステッピングモータ
JP7033810B2 (ja) ブラシ付き永久磁石マイクロモータ及びその組立方法
US20120212081A1 (en) Step mo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JP2013132127A (ja) 回転電機の固定子
KR20070101730A (ko) 스테핑 모터
US20150318771A1 (en) Step mo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KR101028241B1 (ko) 스텝 모터
JP5952678B2 (ja) 電動モータ
KR101480324B1 (ko) 스테핑 모터
JP2014057446A (ja) 燃料ポンプ
JP4901257B2 (ja) ステッピングモータ
KR20070113570A (ko) 스테핑 모터
JPH11275848A (ja) スクリュー付きモータ
KR101174066B1 (ko) 스테핑 모터
KR20070030382A (ko) 스테핑 모터
JP2019205261A (ja) モータ
JP2012147627A (ja) リニアモ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134598B1 (ko) 스테핑 모터
KR100999483B1 (ko) 스테핑 모터
WO2022054168A1 (ja) 回転電機及び回転電機の製造方法
WO2020158327A1 (ja) モータ
JP4679114B2 (ja) ステッピングモータ。
JP2007143253A (ja) ステッピングモータ
JP6181220B2 (ja) ステッピングモータ
KR101015000B1 (ko) 스텝 모터 및 그 조립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