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1447A - 담배 팩 - Google Patents

담배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1447A
KR20070101447A KR1020060032445A KR20060032445A KR20070101447A KR 20070101447 A KR20070101447 A KR 20070101447A KR 1020060032445 A KR1020060032445 A KR 1020060032445A KR 20060032445 A KR20060032445 A KR 20060032445A KR 20070101447 A KR20070101447 A KR 200701014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garette
partition member
odor blocking
blocking partition
cigarette 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2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6322B1 (ko
Inventor
함지연
Original Assignee
함지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지연 filed Critical 함지연
Priority to KR1020060032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6322B1/ko
Publication of KR20070101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1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6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6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5/00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 A24F15/12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for pocket use
    • A24F15/18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for pocket use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5/00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 A24F15/20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with separate compartments for each cigar or cigarette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9/00Ash-trays
    • A24F19/0064Ash-trays of the pocket type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9/00Ash-trays
    • A24F19/10Ash-tray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B65D85/1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for cigarettes
    • B65D85/1036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 B65D85/1045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having a cap-like lid hinged to an edge
    • B65D85/1054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having a cap-like lid hinged to an edge combined with an outer sleeve connected to the l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B65D85/1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for cigarettes
    • B65D85/1081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joined to the container, e.g. coins, pens, cards, spa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담배 팩에 관한 것으로서, 박스형상의 담배 수납부와, 상기 담배 수납부 상측 둘레의 3면이 절개되고, 나머지 1면이 힌지식 절첩이 이루어지도록 된 덮개부와, 상기 담배 수납부의 전면 개구부에 부착되어 덮개부의 정합을 안내하도록 된 칼라로 구성되는 담배 팩으로서, 상기 담배 수납부의 내부공간을 새 담배를 수납하기 위한 제1수납공간 및 담배꽁초를 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제2수납공간으로 구획시키기 위한 냄새차단 칸막이부재가 담배 수납부 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흡연 후에 발생되는 담배꽁초를 곧바로 담배 팩 내에 수거함으로써, 매번 쓰레기통을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게 되고, 거리에 버려지는 담배꽁초 수를 줄이게 되어 거리미화에 기여하게 되는 한편, 흡연자 개개인에 대한 올바른 질서의식을 함양시키는데 기여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담배 팩, 힌지식 절첩, 꽁초 수거

Description

담배 팩 {CIGARETTE PACKAGING}
도 1은 종래의 담배 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담배 팩의 덮개부 개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담배 팩의 칼라 및 냄새차단 칸막이부재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칼라 및 냄새차단 칸막이부재의 전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냄새차단 칸막이부재 내에 담배가 수납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냄새차단 칸막이부재 내에 담배꽁초가 수납되는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냄새차단 칸막이부재 내에 라이터가 수납된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담배 팩의 칼라 및 냄새차단 칸막이부재 분리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냄새차단 칸막이부재가 최소공간에 압축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냄새차단 칸막이부재가 펼쳐지면서 점진적 확장공간을 형성하는 상태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담배 팩의 냄새차단 칸막이부재 분리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냄새차단 칸막이부재가 최소공간에 압축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냄새차단 칸막이부재가 펼쳐지면서 점진적 확장공간을 형성하는 상태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담배 팩의 냄새차단 칸막이부재 분리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냄새차단 칸막이부재가 최초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16는 도 15의 냄새차단 칸막이부재가 일측으로 이동되면서 점진적 확장공간을 형성하는 상태의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확장공간 내에 라이터가 수납된 상태의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담배 팩의 냄새차단구조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담배 팩 110: 담배 수납부
111: 개구부 112: 제1수납공간
114: 제2수납공간 120: 덮개부
121: 패드층 130: 칼라
131: 전면 131a: 절개홈
133: 측면 133a: 절개홈
135: 전개영역 140: 냄새차단 칸막이부재
141: 기능성 코팅층
본 발명은 담배 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담배 팩 내에 냄새차단이 가능한 별도 수납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수납공간 내에 흡연 후에 발생되는 담배꽁초가 수거되도록 하는 담배 팩에 관한 것이다.
현재 흡연자들은 흡연 후 흡연장소 근처에 재떨이나 쓰레기통이 비치되어 있지 않았을 때, 저마다 다른 행동양식을 보이게 되는데, 이는 대략 세 가지 경우로 나뉠 수 있다.
첫 번째 경우는, 흡연가 자신이 피운 담배꽁초를 상의나 하의에 마련된 호주머니에 넣어 보관한 다음, 다른 장소로 이동하여 쓰레기통에 버리는 경우로서, 이 경우 옷에 담배꽁초의 악취가 배어서 주변사람에게 좋지 못한 이미지를 심어주게 되는 문제가 있고, 특히 호주머니에 떨어진 담배가루는 재봉 틈새에 끼어서 쉽게 제거되지 않아 매우 비위생적인 문제가 있다.
두 번째 경우는, 흡연가 자신이 피운 담배꽁초를 자신의 담배 팩 내부에 새 담배와 함께 보관하는 경우로서, 이 경우는 담배꽁초의 악취가 새 담배에 배어서, 새 담배 특유의 향을 즐길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실제 이러한 담배 특유의 향은 흡연자의 기호를 자극하게 되는 것으로서 담배 판매자측에서나 흡연자측에서 모두 중요하게 생각되는 문제이기도 하다.
세 번째 경우는, 첫 번째 및 두 번째 경우에 비해 매우 비양심적인 행동으로서 흡연가 자신이 피운 담배꽁초를 거리에 무단 투척하는 경우이다. 이는 문화시민으로서 매우 부끄러운 행동으로 여겨지고 있으나, 현재 대부분의 흡연가들이 이와 같은 무단투기의 방법을 택하게 됨으로써, 거리미화를 해치는 경범죄를 범하고 있는 실정이며, 스스로의 인격과 품위를 저해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담배 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동 도면에서 보는 바처럼 종래의 담배 팩(1)은 박스형상의 담배 수납부(10)와, 상기 담배 수납부(10) 상측 둘레의 3면이 절개되고, 나머지 1면이 힌지식 절첩이 이루어지도록 된 덮개부(2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담배 팩은 덮개부(20)를 힌지식으로 절첩함에 특징이 있는 것으로서, 현재 가장 널리 알려져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담배 포장기술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의 담배 팩은 견고한 구성이 가능한 보드지 등을 이용해 제작됨으로써, 외형 유지에 유리하도록 하여 내용물을 안전하게 보호하거나, 외장디자인을 미려하게 하여 제품의 이미지를 광고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개발된 것으로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은 흡연가 들이 겪는 애로사항에는 전혀 도움이 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공익에 이바지 하게 되는 담배 팩 구조에 대한 새로운 제안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담배 팩 내에 별도 수납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수납공간 내에 흡연 후에 발생되는 담배꽁초가 곧바로 수거되도록 함으로써, 거리미화 등의 공익에 기여하게 되는 담배 팩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냄새차단 칸막이부재에 의해 담배꽁초의 악취가 새 담배에 전파되는 것이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흡연자의 기호에 부응하는 담배의 특유 향을 지속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담배 팩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갖는 또 다른 목적은, 냄새차단 칸막이부재를 담배 팩의 외형 유지를 위한 보강재 역할을 수행하는 구조물로 사용되도록 하는 담배 팩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시되는 담배 팩의 구성은, 박스형상의 담배 수납부와, 상기 담배 수납부 상측 둘레의 3면이 절개되고, 나머지 1면이 힌지식 절첩이 이루어지도록 된 덮개부와, 상기 담배 수납부의 전면 개구부에 부착되어 덮개부의 정합을 안내하도록 된 칼라로 구성되는 담배 팩으로서,
상기 담배 수납부의 내부공간을 새 담배를 수납하기 위한 제1수납공간 및 담배꽁초를 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제2수납공간으로 구획시키기 위한 냄새차단 칸막이부재가 담배 수납부 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냄새차단 칸막이부재는 칼라의 일측 끝단에 일체로 연장되어 특정 형상으로 조립이 가능한 전개영역을 이용해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제조공정을 간소화 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냄새차단 칸막이부재를 접혀진 상태로 최소공간에 설치되고, 점진적 공간 확장이 가능한 절첩방식으로 제작하게 되면,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 시킬 수 있게 되는 이점과 더불어 냄새차단 칸막이부재에 의해 새 담배의 정렬이 유지되는 이점을 얻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냄새차단 칸막이부재는 그 내 표면에 항균 및 탈취기능이 가능한 기능성 코팅층을 형성하고, 상기 냄새차단 칸막이부재 상단과 맞닿는 덮개부 내면적부에 기밀유지를 위한 패드층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냄새차단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담배 팩의 덮개부 개방 사시도로서, 동 도면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담배 팩은 박스형상의 담배 수납부(110)와, 상기 담배 수납부(110) 상측 둘레의 3면이 절개되고, 나머지 1면이 힌지식 절첩이 이루어지도록 된 덮개부와, 상기 담배 수납부(110)의 전면 개구부(111)에 부착되어 덮개부(120)의 정합을 안내하도록 된 칼라(130; collar)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 담배 수납부(110)의 내부공간을 별도 구비되는 냄새차단 칸막이부재(140)를 이용해 새 담배를 수납하기 위한 제1수납공간(112)과 담배꽁초를 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제2수납공간(114)으로 구획하는데 가장 큰 특징이 있는 것으로서, 도 3내지 도 4는 이러한 냄새차단 칸막이부재(140)를 구현하기 위한 실시 예가 도시되고 있다.
다음,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담배 팩의 칼라 및 냄새차단 칸막이부재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칼라 및 냄새차단 칸막이부재의 전개도로서, 동 도면에서 도시된 본 발명의 냄새차단 칸막이부재(140)는 칼라(130)의 일측 끝단에 일체로 연장되는 전개영역(135)을 특정형상으로 조립시켜 제2수납공간(114)을 형성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칼라(130)는 그 전면(131)에 담배 인출을 돕기 위한 절개홈(131a)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131)의 좌우측으로 각각 연장되는 측면(133) 중 전개영역(135)이 연장되는 일 측면(133)에 역시 담배 인출을 돕기 위한 절개홈(133a)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전개영역(135)이 조립된 형상은 대략 담배 5개비 정도가 수납될 수 있는 다면체 형상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냄새차단 칸막이부재 내에 담배가 수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냄새차단 칸막이부재 내에 담배꽁초가 수납되는 상태의 사시도로서,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최초 담배 팩(100)의 제2수납공간(114)에 담배가 채워진 상태로 제품 출시가 이루어진 다음, 도 6에서와 같이 제2수납공간(114)에 수납된 5개비의 담배를 우선적으로 소진시켜 제2수납공간(114)에 담배꽁초 및 껌 종이, 휴지 등의 오물이 수거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냄새차단 칸막이부재 내에 라이터가 수납된 상태의 사시도로서, 동 도면에서와 같이 제2수납공간(114)을 이용해 라이터를 수납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와 같은 라이터는 일부 담배를 소진한 후, 그 빈 공간에 수납되도록 할 수 있고, 담배제품 출시 단계에서 부터 제2수납공간(114)에 수납된 채로 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라이터에는 특정기업의 로고나 선전문구 등을 기재시켜 선전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물론 상기와 같은 취지에서 볼 때, 제2수납공간(114)에는 라이터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념품이 수납될 수도 있다.
다음,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담배 팩의 칼라 및 냄새차단 칸막이부재 분리 사시도로서, 동 도면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담배 팩(100)은 담배 수납부(110) 및 덮개부(120), 칼라(130)의 기본 구성이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고 있고, 다만 냄새차단 칸막이부재(140)의 구성만이 변형된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냄새차단 칸막이부재(140)는 칼라(130)의 일측면(133)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고, 조립 완성된 형상은 아코디언의 주름관 형상과 유사한 구조를 갖게 되는데,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냄새차단 칸막이부재(140)는 제2수납공간(114)의 수축 및 확장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특징을 갖게 된다.
이에, 도 9는 상기 냄새차단 칸막이부재(140)가 담배 팩(100)의 최소공간에 압축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10은 상기 냄새차단 칸막이부재(140)가 펼쳐지면서 점진적으로 제2수납공간(114)이 확장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다음으로,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담배 팩의 냄새차단 칸막이부재 분리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동 도면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담배 팩(100)은 담배 수납부(110) 및 덮개부(120), 칼라(130)로 이루어진 기본 구성이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고, 다만 냄새차단 칸막이부재(140)가 별도 제작되어 칼라(130)의 일측면(133)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냄새차단 칸막이부재(140)의 형상 및 작용은 제2실시예에서의 주름관 형상 및 그 작용과 유사한데, 담배 수납부(110)의 제1수납공간(112) 일측에 좌우 이동 가능한 상태로 자유롭게 설치되거나, 칼라(130)의 일측면(133) 내벽에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도 12는 상기 냄새차단 칸막이부재(140)가 담배 팩(100)의 최소공간에 압축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13은 상기 냄새차단 칸막이부재(140)가 펼쳐지면서 점진적으로 제2수납공간(114)이 확장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다음으로,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담배 팩의 냄새차단 칸막이부재 분리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제1, 제2, 제3실시예의 구성과 구별되는 점은 냄새차단 칸막이부재(140)가 단일 벽체형상으로 제작됨에 따라, 제2수납공간(114)의 영역을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자유롭게 이동 및 확장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에 따른 도 15는 냄새차단 칸막이부재(140)가 칼라(130)의 일측면(133) 내측에 밀착 설치되는 최초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16은 담배가 점차 소진됨과 더불어 상기 냄새차단 칸막이부재(140)가 일측으로 이동되면서 점진적으로 제2수납공간(114)이 확장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다음, 도 17은 도 16의 확장된 제2수납공간(114) 내에 라이터가 수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때에도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라이터는 최초 제품출시 단계에서 일체로 포장되거나, 추후 사용도중에 수납 되는 것이 모두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도 18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담배 팩(100)의 냄새차단구조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로서, 동 도면에서 표현된 바와 같이 제2수납공간(114)에 수거된 담배꽁초의 악취가 제1수납공간(112) 또는 외부로 퍼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냄새차단 칸막이부재(140)의 내 표면에 항균 및 탈취기능이 가능한 기능성 코팅층(141)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능성 코팅층(141)의 탈취방식은 발생된 악취를 활성탄 등을 이용해 흡착시키거나, 탈취 입자를 연속 적으로 방출시켜 악취를 발생시키는 악취원을 감싸서 캡슬리징하여 탈취하는 방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냄새차단 칸막이부재(140) 상단과 맞닿는 덮개부(120) 내면적부에 기밀유지를 위한 패드층(121)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냄새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때의 패드층(121)은 실리콘이나 합성고무 재질을 이용해 제작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통해 예시된 바와 같은 기능성 코팅층(141) 및 패드층(121)은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를 통해서도 구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을 갖는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 예를 통한 당업자의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 이에,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흡연 후에 발생되는 담배꽁초를 곧바로 담배 팩 내에 수거함으로써, 매번 쓰레기통을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게 되고, 거리에 버려지는 담배꽁초 수를 줄이게 되어 거리미화에 기여하게 되는 한편, 흡연자 개개인에 대한 올바른 질서의식을 함양시키는데 기여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냄새차단 칸막이부재에 의해 담배꽁초의 악취가 새 담배에 전파되는 것이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흡연자의 기호에 부응하는 담배의 특유 향을 지속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냄새차단 칸막이부재는 담배 팩의 외형 유지를 위한 보강재 역할을 수행하는 구조물로 사용됨으로써, 내용물(담배)의 훼손을 방지하는 동시에, 제품의 고급화 이미지를 홍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박스형상의 담배 수납부(110)와,
    상기 담배 수납부(110) 상측 둘레의 3면이 절개되고, 나머지 1면이 힌지식 절첩이 이루어지도록 된 덮개부와,
    상기 담배 수납부(110)의 전면 개구부(111)에 부착되어 덮개부(120)의 정합을 안내하도록 된 칼라(130)로 구성되는 담배 팩으로서,
    상기 담배 수납부(110)의 내부공간을 새 담배를 수납하기 위한 제1수납공간(112) 및 담배꽁초를 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제2수납공간(114)으로 구획시키기 위한 냄새차단 칸막이부재(140)가 담배 수납부(110) 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 팩.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냄새차단 칸막이부재(140)는 칼라(130)의 일측 끝단에 특정 형상으로 조립이 가능한 전개영역(135)을 더 연장 형성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 팩.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냄새차단 칸막이부재(140)는 접혀진 상태로 최소공간에 설치되고, 점진적 공간 확장이 가능한 절첩방식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 팩.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냄새차단 칸막이부재(140)의 내 표면에 항균 및 탈취기능이 가능한 기능성 코팅층(141)을 형성하고, 상기 냄새차단 칸막이부재(140) 상단과 맞닿는 덮개부(120) 내면적부에 기밀유지를 위한 패드층(1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 팩.
KR1020060032445A 2006-04-10 2006-04-10 담배 팩 KR100816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2445A KR100816322B1 (ko) 2006-04-10 2006-04-10 담배 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2445A KR100816322B1 (ko) 2006-04-10 2006-04-10 담배 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1447A true KR20070101447A (ko) 2007-10-17
KR100816322B1 KR100816322B1 (ko) 2008-03-24

Family

ID=38816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2445A KR100816322B1 (ko) 2006-04-10 2006-04-10 담배 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63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09069A (zh) * 2010-07-07 2012-01-11 方嘉乐 一种香烟盒
KR200466560Y1 (ko) * 2012-08-24 2013-04-23 정봉길 담배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761Y1 (ko) * 2016-12-30 2019-03-15 양준호 재떨이를 내장한 담배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64093U (ko) 1976-06-05 1977-12-12
KR950013036U (ko) * 1993-11-05 1995-06-15 장성구 재털이를 내장한 담배갑
KR200154542Y1 (ko) 1996-11-11 1999-08-16 조재석 담배갑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09069A (zh) * 2010-07-07 2012-01-11 方嘉乐 一种香烟盒
KR200466560Y1 (ko) * 2012-08-24 2013-04-23 정봉길 담배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6322B1 (ko) 2008-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6322B1 (ko) 담배 팩
US20080302681A1 (en) Method of Discarding a Cigarette Butt
KR20120003745U (ko) 담뱃불 소화용 캡과 이를 수용하는 재떨이 및 담배꽁초 수거실이 내장된 담뱃갑
JP2649780B2 (ja) タバコケース
KR101464594B1 (ko) 내부에 보관된 담뱃갑의 뚜껑이 자동으로 열리도록 구성된 담뱃갑 케이스
US6138822A (en) Cigarette packaging system with an ashtray unit
JP2010528944A (ja) タバコ製品用パッケージ
JP2011188768A (ja) たばこ
US20020020640A1 (en) Packaging system with a receptacle for storing debris
KR200299016Y1 (ko) 담배갑
KR200154542Y1 (ko) 담배갑
KR20100072913A (ko) 담배 및 이를 위한 담배갑
KR200488761Y1 (ko) 재떨이를 내장한 담배케이스
KR200149252Y1 (ko) 재떨이가 부설된 담뱃갑
WO2006063398A1 (en) Cigarette packet with receptacle
KR200296338Y1 (ko) 일회용 재떨이
JP2001146228A (ja) 吸い殻入れ付たばこ容器
KR200309207Y1 (ko) 담뱃갑에 라이터를 결합시키기 위한 인장형 밴드.
KR20110073151A (ko) 재떨이겸용 담배케이스
JPH08228750A (ja) タバコケース
KR200321542Y1 (ko) 천공으로 마감된 담배
JP3198032B2 (ja) 煙草収納箱
KR960009542Y1 (ko) 재떨이가 내장된 담뱃갑
JP2004035108A (ja) ポイ捨て防止のチューインガムのパッケージ
KR900002722Y1 (ko) 재떨이가 부설된 휴대용 담배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