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0559A - 자동차 하부 프레임 회전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하부 프레임 회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0559A
KR20070100559A KR1020060031997A KR20060031997A KR20070100559A KR 20070100559 A KR20070100559 A KR 20070100559A KR 1020060031997 A KR1020060031997 A KR 1020060031997A KR 20060031997 A KR20060031997 A KR 20060031997A KR 20070100559 A KR20070100559 A KR 200701005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air
turn
clamp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1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0233B1 (ko
Inventor
김길호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1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0233B1/ko
Publication of KR20070100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0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0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0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8Latch-type fastening, e.g. with rotary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4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40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 공정을 단축시켜 생산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작비용, 시공비용 및 시공시간을 대폭 절감할 수 있고, 차량의 종류에 관계없이 적용 가능한 자동차 하부 프레임 회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자동차 하부 프레임 회전 장치는 설치 프레임의 하부에 다수개의 고정 지지대에 의해 고정된 고정 프레임의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상하 이동부; 상기 고정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양측 끝단부가 상기 한 쌍의 상하 이동부와 래크와 피니언 기어를 매개하여 연결됨으로써 상기 한 쌍의 상하 이동부를 동시에 상, 하부로 이동시키는 상하 작동부; 상기 고정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된 상하 이동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자동차 하부 프레임의 일측을 파지한 후 회동시키는 프론트 파지 회동부; 상기 고정 프레임의 타측에 설치된 상하 이송부의 하부에 설치된 좌우 이송부; 및 상기 좌우 이송부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프론트 파지 회동부가 작동됨과 동시에 상기 자동차 하부 프레임의 타측을 파지한 후 회동시키는 리어 파지 회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자동차 하부 프레임, 프론트 파지 회동부, 리어 파지 회동부, 회전 장치,좌우 이송부

Description

자동차 하부 프레임 회전 장치{Turning Unit for Floor Frame in Car}
도 1은 통상적인 자동차 하부 프레임 회전 장치의 대략 적인 전체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하부 프레임 회전 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3은 하부에 프론트 파지 회동부가 장착된 상하 이동부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4는 하부에 리어 파지 회동부가 장착된 상하 이동부의 또 다른 정면도 및 측면도
도 5는 프론트 파지 회동부의 정면도
도 6은 프론트 파지 회동부의 측면도
도 7은 좌우 이송부 및 리어 파지 회동부의 정면도
도 8은 좌우 이송부 및 리어 파지 회동부의 우측면도
도 9는 좌우 이송부 및 리어 파지 회동부의 좌측면도
도 10은 프론트 파지 회전부 및 리어 파지 회전부의 공압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a) : 상하 이동부 (11)(11a) : 에어탱크
(12)(12a) : 부스터 (13) : 플랫폼 콘베어
(14) : 지지대 (15) : 자동차 하부 프레임
(20) : 상하 작동부 (30) : 프론트 파지 회동부
(40) : 좌우 이송부 (50) : 리어 파지 회동부
(60) : 설치 프레임 (70) : 고정 지지대
(80) : 고정 프레임 (90)(90a) : 포스트
(91)(91a) : 행거 (93)(93a) : 웨이트
(94)(94a) : 체인 (95)(95a)(301')(404 ') : 롤러
(100)(100a) : 가이드 브래킷 (101)(101a) : 고정바
(102)(102a) : 상하 이동 프레임 (103)(103a) : 래크기어
(200) : 회전 모터 (201)(201a) : 유니버셜 조인트
(202)(202a) : 베벨기어 박스 (203)(203a) : 피니언 기어
(300)(500) : 클램프 프레임 (301)(404) :지지 브래킷
(302) : 힌지 브래킷 (303)(504a) : 모터 브래킷
(304)(504) : 터닝 모터 (305)(505) : 턴 샤프트
(306)(506) : 베어링 (307)(507) : 턴 프레임
(308)(308a)(308b)(308c)(508)(508a)(508b)(508c) : 클램프 실린더
(309)(309a)(509)(509a) : 클램프 블록
(310)(311)(510)(511) : 프론트 클램퍼
(312)(312a) : 프론트 어태취 (313)(513) : 환형 링
(313')(401)(401a)(513') : 가이드 레일
(400) : 가이드 플레이트 (402)(402a) : 사이드 무빙 플레이트
(403) : 무빙 프레임 (405) : 좌우 이송 실린더
(501) : 텐션 프레임 (502)(502a) : 스프링 브래킷
(503)(503a) : 동기 편차 흡수 장치 (512)(512a) : 리어 어태취
(5030)(5030a) : 스프링 엔드 블록 (5031)(5031a) : 스프링 샤프트
(5032)(5032a) : 탄성부재
본 발명은 자동차 하부 프레임 회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차종에 대응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단일 공정에서 자동차 하부 프레임의 상승, 하강, 회전 작업을 모두 할 수 있어 작업 공정을 대폭 단축시켜 생산성을 향상 시킬 수 있고, 별도의 사이드 리프터가 필요하지 않음으로 피트 공사를 할 필요가 없어 시공 공간의 확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시공비용 및 시공 기간이 대폭 절감되며, 전체 구성이 간단하여 장비의 가격이 저렴하고, 좌우 이동되지 않는 고정식임으로 고장률을 현저히 낮출 수 있도록 한 자동차 하부 프레임 회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하부 프레임은 뒤집힌 상태에서 하부 작업을 하게 된 다. 상기와 같이 뒤집힌 상태에서 하부 작업이 완료된 자동차 하부 프레임은 다음 작업 공정으로 이동되기 전에 정상적인 위치로 회전된 후 다음 작업 공정으로 이동되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자동차 하부 프레임은 중량물이므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회전시킬 수 없으므로 별도의 회전 장치를 필요로 한다.
상기 하부 작업이 완료된 자동차 하부 프레임을 회전시키는 통상적인 자동차 하부 프레임 회전 장치의 대략적인 구성 및 동작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통상적인 자동차 하부 프레임 회전 장치의 대략 적인 전체 구성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 프레임(1) 상부에 좌우로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 한 쌍의 트랜스퍼(2); 상기 한 쌍의 트랜스퍼(2) 하부에 설치된 지지대(3); 및 상기 지지대(3) 하부에 설치된 프론트 및 리어 파지 회동부(4)(5)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자동차 하부 프레임 회전 장치를 이용하여 하부 작업이 완료된 자동차 하부 프레임(6)을 정상적인 위치로 회전시키는 작업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 1 사이드 리프터(7)는 자동차 하부 프레임(6)이 적재된 상태로 제 1 슬랫 콘베어(Slat Conveyor)(8)와 동기 주행 하면서 자동차 하부 프레임(6)을 1차 상승시킨다. 상기 자동차 하부 프레임(6)이 자동차 하부 프레임 회전 장치의 하부로 이동된 후에는 상기 제 1 사이드 리프터(7)가 상기 자동차 하부 프레임(6)을 상기 자동차 하부 프레임 회전 장치에 싣기 위해 2차 상승시킨다. 상기 제 1 사이드 리프터(7)가 2차 상승한 후에는 상기 프론트 및 리어 파지 회동부(4)(5)가 상기 자동차 하부 프레임(6)을 클램핑 한 후 회전하여 상기 자동차 하 부 프레임(6)을 정상적인 위치로 복귀시킴과 동시에 자동차 하부 프레임 회전 장치의 트랜스퍼(2)가 작동되어 자동차 하부 프레임(6)을 제 2 사이드 리프터(7a)로 이송시킨다. 상기 자동차 하부 프레임(6)이 정상적인 위치로 복귀되어 제 2 사이드 리프터(7a)로 이송된 후에는 상기 제 2 사이드 리프터(7a)가 상승하여 상기 프론트 및 리어 파지 회동부(4)(5)에 클램핑 되어 있는 자동차 하부 프레임(6)을 언로딩 시킨다. 상기 자동차 하부 프레임(6)을 적재한 제 2 사이드 리프터(7a)는 제 2 슬랫 콘베어(8a)와 동기 주행하면서 상기 자동차 하부 프레임(6)을 상기 제 2 슬랫 콘베어(8a)에 언로딩 시킴과 동시에 상기 프론트 및 리어 파지 회동부(4)(5)는 원위치로 회전하면서 상기 트랜스퍼(2)가 작동되어 자동차 하부 프레임 회전 장치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자동차 하부 프레임 회전 장치는 상기 프론트 및 리어 파지 회동부가 상하 이동 할 수 없기 때문에 슬랫 콘베어에 의해 이송되는 자동차 하부 프레임을 상기 제 1, 2 슬랫 콘베어와 동기 주행하면서 상승 및 하강 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제 1, 2 사이드 리프터를 필요로 하여 시공시 상기 제 1, 2 사이드 리프터를 설치하기 위한 피트 공사를 하여야 함으로써 시공이 복잡하여 시공시간이 매우 오래 걸리고, 시공비용 및 제작비용이 매우 비쌀 뿐만 아니라 시공 공간의 확보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동기 주행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고장율이 매우 높으며, 작동이 다양하고 복잡하여 다양한 작업 공정을 거쳐야 함으로써 생산성 및 작업 능률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차종의 변경으로 인한 자동차 하부 프레임의 전장 길이에 대응하여 프론트 파지 회동부와 리어 파지 회동부 간의 거리 조정이 불가능함으로써 차종이 변경되어 자동차 하부 프레임의 전장 길이가 변경될 경우에는 시공된 자동차 하부 프레임 회전 장치를 전혀 사용할 수 없다는 매우 큰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종의 변경으로 인한 자동차 하부 프레임의 전장 및 중량의 변화에 상관없이 하부 작업을 마친 뒤집힌 상태의 자동차 하부 프레임을 정상적인 위치로 회전시켜 플랫폼 콘베어에 안전하게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하부 프레임 회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동차 프레임의 상승, 회전, 하강 및 플랫폼 콘베어의 적재 작업을 단일 공정에서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 공정을 대폭 단축하여 생산성을 대폭 향상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하부 프레임 회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사이드 리프터 필요 없이 자동차 하부 프레임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하여 시공 시 피트 공사를 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시공 공간의 확보가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시공 비용 및 시공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하부 프레임 회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체 구성이 간단하여 장비의 제작비용이 저렴하고, 좌우 이동되지 않는 고정식임으로 고장률을 현저히 낮출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차 하부 프레임 회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부 작업이 완료된 자동차 하부프레임을 정상적인 위치로 회전시키는 자동차 하부 프레임 회전 장치에 있어서, 설치 프레임의 하부에 다수개의 고정 지지대에 의해 고정된 고정 프레임의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상하 이동부; 상기 고정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양측 끝단부가 상기 한 쌍의 상하 이동부와 래크와 피니언 기어를 매개하여 연결됨으로써 상기 한 쌍의 상하 이동부를 동시에 상, 하부로 이동시키는 상하 작동부; 상기 고정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된 상하 이동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자동차 하부 프레임의 일측을 파지한 후 회동시키는 프론트 파지 회동부; 상기 고정 프레임의 타측에 설치된 상하 이송부의 하부에 설치된 좌우 이송부; 및 상기 좌우 이송부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프론트 파지 회동부가 작동됨과 동시에 상기 자동차 하부 프레임의 타측을 파지한 후 회동시키는 리어 파지 회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자동차 하부 프레임 회전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하부 프레임 회전 장치의 전체 구성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하부 프레임 회전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상하 이동부(10)(10a), 상하 작동부(20), 프 론트 파지 회동부(30), 좌우 이송부(40), 리어 파지 회동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하 이동부(10)(10a)는 설치 프레임(60)의 하부에 다수개의 고정 지지대(70)에 의해 고정된 고정 프레임(80)의 양측에 설치되어 자동차 하부 프레임을 파지하는 상기 프론트 및 리어 파지 회동부(30)(50)를 하강 및 상승시키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상하 작동부(20)는 고정 프레임(80)의 상부에 설치되어 양측 끝단부가 상기 한 쌍의 상하 이동부(10)(10a)와 래크기어(103)(103a)와 피니언 기어(203)(203a)를 매개하여 연결됨으로써 상기 한 쌍의 상하 이동부(10)(10a)를 동시에 상, 하부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프론트 파지 회동부(30)는 상기 고정 프레임(80)의 일측에 설치된 상하 이동부(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자동차 하부 프레임의 일측을 파지한 후 회동 시키는 기능을 하며, 상기 리어 파지 회동부(50)는 상기 좌우 이송부(40)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프론트 파지 회동부(30)가 작동됨과 동시에 상기 자동차 하부 프레임의 타측을 파지한 후 회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고정 프레임(80)의 타측에 설치된 상하 이동부(10a)의 하부에 설치된 좌우 이송부(40)는 자동차 하부 프레임의 전장 길이에 대응하여 리어 파지 회동부(50)를 좌우 이송시킴으로써 차종에 따른 자동차 하부 프레임의 길이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고정 프레임(80) 상부면 양단에는 다수개의 포스트(90)(90a)에 의해 지지되는 한 쌍의 행거(91)(91a)가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행거(91)(91a) 하부에는 웨이트 박스(92)(92a)가 설치되되, 상기 웨이트 박스(92)(92a) 내부에는 상기 웨이트 박스(92)(92a)를 따라 상, 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웨이트(93)(93a)가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웨이트 박스(92)(92a) 내부에 삽입된 웨이트(93)(93a)는 상기 프론트 파지 회동부(30)와 좌우 이송부(40)의 상부 일측과 체인(94)(94a)에 의해 연결되되, 상기 체인(94)(94a)은 상기 행거(91)(91a)의 하부면에 부착된 다수개의 롤러(95)(95a)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와 같이 프론트 파지 회동부(30) 및 좌우 이송부(40)와 웨이트(93)(93a)를 체인(94)(94a)에 의해 연결시킴으로써 상기 상하 작동부(20)에서 최소한의 힘으로 상기 한 쌍의 상하 이동부(10)(10a)를 상, 하부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하 이동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는 하부에 프론트 및 리어 파지 회동부가 장착된 상하 이동부의 정면도 및 측면도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하 이동부(10)(10a)는 가이드 브래킷(100)(100a), 고정 바(101)(101a), 상하 이동 프레임(102)(102a) 및 래크기어(103)(103a)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 브래킷(100)(100a)은 고정 프레임(80)의 상부에 장착되며, 상기 가이드 브래킷(100)(100a) 상단 양측과 하단 일측에는 고정 바(101)(101a)가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 브래킷(100)(100a)에는 상하 작동부(20)가 작동함에 따라 상기 가이드 브래 킷(100)(100a)에 의해 안내되어 상, 하부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하 이동 프레임(102)(102a)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상하 이동 프레임(102)(102a)의 일측면 양단에는 후술되는 상하 작동부(20)의 피니언 기어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상하 이동 프레임(102)(102a)을 상, 하부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래크기어(103)(103a)가 장착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상하 작동부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작동부(20)는 회전 모터(200), 유니버셜 조인트(201)(201a), 베벨기어 박스(202)(202a), 피니언 기어(203)(203a)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회전 모터(200)는 상기 고정 프레임(80) 상부면 중앙부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 모터(200)의 회전축 양단에는 한 쌍의 유니버셜 조인트(201)(201a)의 일측 끝단이 연결되며, 상기 각각의 유니버셜 조인트(201)(201a)의 타측 끝단부에는 베벨기어박스(202)(202a)가 연결되며, 상기 동력 방향 변환 장치(202)(202a)의 회전축 양측 끝단부에는 상기 상하 이동부(10)(10a)의 래크기어(103)(103a)와 연결되는 한 쌍의 피니언 기어(203)(203a)가 장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하 작동부(20)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상기 회전 모터(200)가 작동되면 상기 회전 모터(200)의 회전축 양단에 연결된 한 쌍의 유니버셜 조인트(201)(201a)가 동시에 회전을 하게 되고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201)(201a)와 연결된 동력 방향 변환 장치(202)(202a)는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201)(201a)의 회전력의 방향을 변환시켜 상기 피니언 기어(203)(203a)를 회전 시킨다. 상기와 같이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203)(203a)는 상기 상하 이동부(10)(10a)의 래크기어(103)(103a)와 맞물려 연결됨으로써 상기 래크기어(103)(103a)를 구비한 상하 이송부(10)(10a)의 상하 이동 프레임(102)(102a)을 상승 및 하강 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상하 이송부(10)(10a)의 하부에 장착된 프론트 및 리어 파지 회동부(30)(50)와 좌우 이송부(40)를 자유로이 상승 및 하강 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자동차 하부 프레임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종래에 사용되어 오던 사이드 리프터가 필요 없음으로 시공 시 피트 공사를 할 필요가 없어 시공이 간편하고 그 비용 또한 저렴할 뿐만 아니라 종래의 자동차 하부 프레임 회전 장치의 시공 공간 대비 상대적으로 작은 공간에도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여 시공 공간의 확보가 매우 용이 하도록 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프론트 파지 회동부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프론트 파지 회동부의 정면도이며, 도 6은 프론트 파지 회동부의 측면도로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 파지 회동부(30)는 클램프 프레임(300), 롤러(301')가 장착된 지지 브래킷(301), 힌지 브래킷(302), 모터 브래킷(303), 터닝 모터(304), 턴 샤프트(305), 다수개의 베어링(306), 턴 프레임(307), 클램프 실린더(308)(308a)(308b)(308c), 클램프 블록(309)(309a), 프론트 클램퍼(310)(311), 프론트 어태취(312)(312a), 가이드 레일(313')을 구비한 환형 링(313)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클램프 프레임(300)은 상기 고정 프레임(80)의 일측에 위치한 상하 이동부(1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클램프 프레임(300)의 일측면에는 지지 브래킷(301)이 장착되고, 상기 지지 브래킷(301)의 하부에는 롤러(301')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클램프 프레임(300)의 일측면 하부에는 힌지 브래킷(302)이 장착되며, 상기 힌지 브래킷(302)에는 모터 브래킷(303)이 힌지 연결되고, 상기 모터 브래킷(303)의 하부면에는 터닝 모터(304)가 장착된다. 즉 상기 터닝 모터(304)는 힌지 브래킷(302)과 모터 브래킷(303)에 의해 힌지 연결된다. 또한, 상기 터닝 모터(304) 회전축의 일측 끝단에는 턴 샤프트(305)의 일측 끝단이 연결되어 상기 터닝 모터(304)의 회전축과 연동되며, 상기 턴 샤프트(305)의 일측은 다수개의 베어링(306)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상기 턴 샤프트(305)의 타측단에는 턴 프레임(307)이 축설되며, 상기 턴 프레임(307) 상하부면 양측단에는 각각 별도로 작동 가능한 다수개의 클램프 실린더(308)(308a)(308b)(308c)가 설치되며, 상기 턴 프레임(307)의 일측면 양측 끝단에는 한 쌍의 클램프 블록(309)(309a)이 장착된다. 또한, 상기 각각의 클램프 블록(309)(309a)에는 상, 하부 한 쌍을 이루는 프론트 클램퍼(310)(311)가 힌지 연결된다. 즉 프론트 상부 클램퍼(310a)(311a)와 프론트 하부 클램퍼(310b)(311b) 한 쌍으로 형성된 프론트 클램퍼(310)(311) 한 쌍이 상기 각각의 클램프 블록(309)(309a)에 힌지 고정된다. 또한, 상기 프론트 클램퍼(310)(311)의 중앙부는 상기 클램프 실린더(308)(308a)(308b)(308c)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클램프 블록(309)(309a)의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된다. 즉 상기 프론트 상부 클램퍼(310a)(311a)는 상기 턴 프레임(307) 상부 양측에 설치된 클램프 실린 더(308)(308a)와 연결되고, 상기 프론트 하부 클램퍼(310a)(311a)는 상기 턴 프레임(307) 하부 양측에 설치된 클램프 실린더(308b)(308c)와 각각 연결됨으로써 상기 클램프 실린더(308)(308a)(308b)(308c)가 작동함에 따라 상기 클램프 블록(309)(309a)의 힌지를 중심으로 각각 별도로 회동된다. 상기 클램프 실린더(308)(308a)(308b)(308c)는 중간 정지가 가능한 셀-탑 실린더(Sel-Top Cylinder)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각의 프론트 클램퍼(310)(311)의 타측 끝단 즉, 프론트 상부 클램퍼(310a)(311a)와 프론트 하부 클램퍼(310b)(311b)의 타측 끝단에는 프론트 어태취(312)(312a)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턴 프레임(307) 전방부에는 환형 링(313)이 장착되며, 상기 환형 링(313)의 일측면에는 가이드 레일(313')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313')은 상기 지지 브래킷(301) 하부에 장착된 롤러(301')에 의해 지지된다. 즉 상기 턴 프레임(307) 전방부에 장착된 환형 링(313)의 가이드 레일(313')이 상기 지지 브래킷(301) 하부에 장착된 롤러(301')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턴 샤프트(305)가 다수개의 베어링(306)과 상기 환형 링(313)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상기 턴 샤프트(305)를 지지하고 있는 다수개의 베어링(306)의 수명을 연장 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프론트 파지 회동부(30)의 처짐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프론트 파지 회동부(30)가 회전을 하면 상기 환형 링(313) 또한 회전을 하되 상기 환형 링(313)의 가이드 레일(313')은 상기 지지 브래킷(301)의 하부에 장착된 롤러(301')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회전 시 마찰력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프론트 파지 회동부(30)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터닝 모터(304)가 작 동됨과 동시에 상기 터닝 모터(304)의 회전축에 연결된 턴 샤프트(305)가 회전을 하게 되고, 상기 턴 샤프트(305)가 회전을 함과 동시에 상기 턴 샤프트(305)에 축설된 턴 프레임(307)과 상기 턴 프레임(307)에 장착된 다수개의 클램프 실린더(308)(308a)(308b)(308c), 클램프 블록(309)(309a) 및 프론트 클램퍼(310)(311)가 회전되며, 상기 프론트 클램퍼(310)(311) 즉, 프론트 상부 클램퍼(310a)(311a)와 프론트 하부 클램퍼(310b)(311b)는 상기 턴 프레임(307)의 상하부면 양측에 설치된 각각의 클램프 실린더(308)(308a)(308b)(308c)가 작동함에 따라 각각 별도로 작동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좌우 이송부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좌우 이송부 및 리어 파지 회동부의 정면도이고, 도 8은 좌우 이송부 및 리어 파지 회동부의 우측면도로서, 도 7 및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이송부(40)는 가이드 플레이트(400), 가이드 레일(401)(401a), 사이드 무빙 플레이트(402)(402a), 무빙 프레임(403), 지지 브래킷(404), 좌우 이송 실린더(405)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00)는 고정 프레임(80)의 타측에 위치한 상하 이동부(10a)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00)의 양측면에는 가이드 레일(401)(401a)을 구비한다. 상기 각각의 가이드 레일(401)(401a)에는 가이드 레일(401)(401a)을 따라 좌우 이송 가능하도록 한 쌍의 사이드 무빙 플레이트(402)(402a)가 장착된다. 상기 한 쌍의 사이드 무빙 플레이트(402)(402a) 사이에는 무빙 프레임(403)이 위치하며, 상기 무빙 프레임(403)은 상기 한 쌍의 사이드 무빙 플레이트(402)(402a)의 일측면에 그 양측면이 부착 고정되고, 상기 무빙 프레임(403)의 전면 중앙부에는 롤러(404')를 구비한 지지 브래킷(404)이 장착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00) 일측 하부면에는 좌우 이송 실린더(405)의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좌우 이송 실린더(405)의 타측은 상기 무빙 프레임(403) 일측면 중앙부에 연결된다.
상기 좌우 이송부(40)는 자동차 하부 프레임의 길이가 프론트 파지 회동부(30)와 리어 파지 회동부(50) 사이의 거리에 비해 길거나 짧을 경우에 리어 파지 회동부(50)를 좌,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하며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상기 좌우 이송 실린더(405)가 작동하여 무빙 프레임(403)을 좌,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무빙 프레임(403)의 양측면에 장착된 사이드 무빙 플레이트(402)(402a)가 가이드 플레이트(400)의 가이드 레일(401)(401a)을 따라 좌, 우측으로 이송됨과 동시에 상기 무빙 프레임(403) 일측면에 장착된 리어 파지 회동부(50) 또한 좌, 우측으로 자동차 하부 프레임의 길이에 대응하여 이동하게 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리어 파지 회동부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좌우 이송부 및 리어 파지 회동부의 좌측면도로서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파지 회동부(50)는 클램프 프레임(500), 텐션 프레임(501), 스프링 브래킷(502)(502a), 동기 편차 흡수 장치(503)(503a), 터닝 모터(504), 턴 샤프트(505), 다수개의 베어링(506), 턴 프레임(507), 클램프 실린 더(508)(50a8)(508b)(508c), 클램프 블록(509)(509a), 리어 클램퍼(510)(511), 리어 어태취(512)(512a), 가이드 레일(513')을 구비한 환형 링(513)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클램프 프레임(500)은 상기 좌우 이송부(40) 일측 하부 즉, 상기 무빙 프레임(403) 일측면에 장착되며, 상기 클램프 프레임(500) 일측면에는 텐션 프레임(501)이 장착된다. 상기 텐션 프레임(501) 하부면 양단에는 한 쌍의 스프링 브래킷(502)(502a)이 장착되며, 상기 각각의 스프링 브래킷(502)(502a)에는 동기 편차 흡수 장치(503)(503a)의 일측 끝단이 연결되고, 상기 동기 편차 흡수 장치(503)(503a)의 타측 끝단에는 터닝 모터(504)가 장착된다. 상기 터닝 모터(504) 회전축에는 턴 샤프트(505)가 연결되며, 상기 턴 샤프트(505)의 일측은 다수개의 베어링(506)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턴 샤프트(505)의 타측단에는 턴 프레임(507)이 축설되며, 상기 턴 프레임(507) 상하부면 양측단에는 각각 별도로 작동 가능한 다수개의 클램프 실린더(508)(508a)(508b)(508c)가 설치되며, 상기 턴 프레임(507)의 일측면 양측 끝단에는 한 쌍의 클램프 블록(509)(509a)이 장착된다. 상기 클램프 실린더(508)(508a)(508b)(508c) 또한 상기 프론트 파지 회동부의 클램프 실린더와 같이 중간 정지가 가능한 셀-탑 실린더(Sel-Top Cylinder)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각의 클램프 블록(509)(509a)에는 상, 하부 한 쌍을 이루는 리어 클램퍼(510)(511)가 힌지 연결된다. 즉 리어 상부 클램퍼(510a)(511a)와 리어 하부 클램퍼(510b)(511b) 한 쌍으로 형성된 리어 클램퍼(510)(511) 한 쌍이 상기 각각의 클램프 블록(509)(509a)에 힌지 고정된다. 또한, 상기 리어 클램퍼(510)(511)의 중앙부는 상기 클램프 실린더(508)(508a)(508b)(508c)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클램프 블록(509)(509a)의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된다. 즉 상기 리어 상부 클램퍼(510a)(511a)는 상기 턴 프레임(507) 상부 양측에 설치된 클램프 실린더(508)(508a)와 연결되고, 상기 리어 하부 클램퍼(510b)(511b)는 상기 턴 프레임(507) 하부 양측에 설치된 클램프 실린더(508b)(508c)와 각각 연결됨으로써 상기 클램프 실린더(508)(508a)(508b)(508c)가 작동함에 따라 상기 클램프 블록(6509)(509a)의 힌지를 중심으로 각각 별도로 회동된다. 또한, 상기 각각의 리어 클램퍼(510)(511)의 타측 끝단 즉, 리어 상부 클램퍼(510a)(511a)와 리어 하부 클램퍼(510b)(511b)의 타측 끝단에는 리어 어태취(512)(512a)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턴 프레임(507) 전방부에는 환형 링(513)이 장착되며, 상기 환형 링(513)의 일측면에는 가이드 레일(513')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513')은 상기 지지 브래킷(404) 하부에 장착된 롤러(404')에 의해 지지된다. 즉 상기 턴 프레임(507) 전방부에 장착된 환형 링(513)의 가이드 레일(513')이 상기 지지 브래킷(404) 하부에 장착된 롤러(404')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턴 샤프트(505)가 다수개의 베어링(506)과 상기 환형 링(513)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상기 턴 샤프트(505)를 지지하고 있는 다수개의 베어링(506)의 수명을 연장 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리어 파지 회동부(50)의 처짐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리어 파지 회동부(50)가 회전을 하면 상기 환형 링(513) 또한 회전을 하되 상기 환형 링(513)의 가이드 레일(513')은 상기 지지 브래킷(404)의 하부에 장착된 롤러(404')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회전 시 마찰력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리어 파지 회동부(50)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프론트 파지 회동부의 터닝 모터가 작동됨과 동시에 상기 터닝 모터(504)가 작동되며, 상기 터닝 모터(504)가 작동됨과 동시에 상기 터닝 모터(504)의 회전축에 연결된 턴 샤프트(505)가 회전을 하게 되고, 상기 턴 샤프트(505)가 회전을 함과 동시에 상기 턴 샤프트(505)에 축설된 턴 프레임(507)과 상기 턴 프레임(507)에 장착된 다수개의 클램프 실린더(508)(508a)(508b)(508c), 클램프 블록(509)(509a) 및 리어 클램퍼(510)(511)가 회전되며, 상기 리어 클램퍼(510)(511) 즉, 리어 상부 클램퍼(510a)(511a)와 리어 하부 클램퍼(510b)(511b)는 상기 턴 프레임(507)의 상하부면 양측에 설치된 각각의 클램프 실린더(508)(508a)(508b)(508c)가 작동함에 따라 각각 별도로 작동된다.
다시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동기 편차 흡수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기 편차 흡수 장치(503)(503a)는 스프링 엔드 블록(5030)(5030a), 스프링 샤프트(5031)(5031a), 탄성부재(5032)(5032a), 와셔(5033)(5033a) 및 너트(5034)(5034a)로 구성되며, 상기 스프링 엔드 블록(5030)(5030a)은 상기 스프링 브래킷(502)(502a) 하단에 장착되고, 상기 스프링 샤프트(5031)(5031a)의 일측은 상기 스프링 엔드 블록(5030)(5030a) 중앙부에 관통 삽입되고 타측은 상기 터닝 모터(504)의 상부에 장착된 모터 브래킷(504a)과 힌지 고정되며, 상기 스프링 샤프트(5031)(5031a)에는 프론트 파지 회동부(30)와 리어 파지 회동부(50)의 회전 시 동기 편차에 의해 상기 터닝 모터(504)가 일측으로 회 동하게 되면 압축되어 회전편차를 흡수함과 동시에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스프링 샤프트(5031)(5031a)를 원상 복귀 시킬 수 있도록 탄성부재(5032)(5032a)가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재(5032)(5032a)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스프링 샤프트(5031)(5031a)의 양측에는 와셔(5033)(5033a)가 끼워지되 일측에 위치한 와셔(5033)는 너트(5034)(5034a)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된다. 상기 프론트 파지 회동부(30)와 리어 파지 회동부(50)에 터닝 모터(304)(504)가 개별 채용됨으로써 프론트 파지 회동부(30)와 리어 파지 회동부(50)가 회전되어 자동차 하부 프레임을 회전 시킬 시에는 동기 편차가 발생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동기 편차가 발생하면 터닝 모터(304)(504)가 파손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터닝 모터(304)(504)의 개별 채용으로 인해 발생되는 동기 편차는 상기 동기 편차 흡수 장치(503)(503a)에 의해 흡수됨으로써 터닝 모터(304)(504)를 보호하여 그 수명을 연장 시킬 수 있다.
즉 프론트 파지 회동부(30)와 리어 파지 회동부(50) 중 어느 한 쪽이 먼저 작동하게 되어 동기 편차가 발생되면 그 발생된 편차만큼 리어 파지 회동부(50)의 터닝 모터(504)가 회전을 하게 되고, 상기 터닝 모터(504)가 회전을 하게 됨으로써 상기 터닝 모터(504)의 양측에 힌지 연결된 스프링 샤프트(5031)(5031a)는 상기 터닝 모터(504)의 회전방향으로 이동되되, 상기 스프링 샤프트(5031)(5031a)가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스프링 샤프트(5031)(5031a)에 설치된 탄성부재(5032)(5032a)는 압축되어 동기 편차를 흡수하게 되며, 상기 스프링 샤프트(5031)(5031a)는 상기 탄성부재(5032)(5032a)의 탄성력에 의해 원상 복귀된다.
도 10은 프론트 파지 회전부 및 리어 파지 회전부의 공압 회로도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 파지 회전부와 리어 파지 회전부에는 별도의 에어탱크(11)(11a) 및 부스터(12)(12a)를 연결함으로써 자동차 하부 프레임의 중량의 증가 시에도 적정 공기압보다 높은 공기압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별도의 설비보완 없이도 무거운 제품을 들어 올릴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하부 프레임 회전 장치의 동작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폼 콘베어(13)가 작동함에 따라 상기 플랫폼 콘베어(13) 상부에 설치된 다수개의 지지대(14)에 의해 하부 작업을 마친 자동차 하부 프레임(15)이 지지되어 작업 위치로 이동된다.
상기와 같이 하부 작업을 마친 자동차 하부 프레임(15)이 플랫폼 콘베어(13)에 의해 작업 위치로 이동되면 상하 작동부(20)의 회전 모터(200)가 작동을 하고, 상기 회전 모터(200)가 작동함에 따라 유니버셜 조인트(201)(201a)에 의해 상기 회전 모터(200)의 회전력이 동력 방향 변환 장치(202)(202a)에 전달되며, 상기 동력 방향 변환 장치(202)(202a)에 의해 동력의 방향이 전환된 상기 회전 모터(200)의 회전력은 피니언 기어(203)(203a)를 회전시킨다. 상기와 같이 피니언 기어(203)(203a)가 회전을 함에 따라 상하 이동부(10)(10a)가 하강하게 된다. 즉 상기 상하 이동부(10)(10a)의 상하 이동 프레임(102)(102a)의 일측에는 상기 피니언 기어(203)(203a)와 맞물려 작동되는 래크 기어(103)(103a)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피 니언 기어(203)(203a)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상하 이동부(10)(10a)가 하강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래크기어(103)(103a)와 피니언 기어(203)(203a)를 매개로 하여 작업 위치까지 상기 상하 이동부(10)(10a)가 하강을 한 후에는 자동차 하부 프레임(15)의 길이에 대응 할 수 있도록 좌우 이송부(40)의 좌우 이송 실린더(405)가 작동되어 무빙 프레임(403)을 좌, 우로 이송시켜 리어 파지 회동부(50)를 좌, 우로 이송시켜 리어 파지 회동부(50)를 자동차 하부 프레임(15)의 길이에 따른 작업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무빙 프레임(403) 양측에 장착된 사이드 무빙 플레이트(402)(402a)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00)의 가이드 레일(401)(401a)을 따라 좌, 우로 이송된다.
상기와 같이 리어 파지 회동부(50)를 자동차 하부 프레임(15)의 길이에 따른 작업 위치로 이동 시킨 후에는 프론트 및 리어 파지 회동부(30)(50)의 턴 프레임(307)(507) 하부면 양측에 설치된 클램프 실린더(308b)(308c)(508b)(508c)가 작동되어 프론트 및 리어 클램퍼(310)(311)(510)(511) 중 프론트 하부 클램퍼(310b)(311b)와 리어 하부 클램퍼(510b)(511b)를 클램프 블록(309)(309a)(509)(509a)의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시켜 상기 프론트 하부 클램퍼(310b)(311b)와 리어 하부 클램퍼(510b)(511b)를 자동차 하부 프레임(15)과 수평이 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프론트 하부 클램퍼(310b)(311b)와 리어 하부 클램퍼(510b)(511b)가 자동차 하부 프레임(15)과 수평이 된 후에는 상기 상하 작동 부(20)의 회전모터(200)가 상하 이동 프레임(102)(102a)을 하강 시킬 때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상하 이동 프레임(102)(102a)이 상승됨과 동시에 프론트 파지 회동부(30)와 리어 파지 회동부(50)가 상승됨으로써 다수개의 지지대(14)에 지지되어 있는 자동차 하부 프레임(15)이 상기 프론트 및 리어 하부 클램퍼(310b)(311b)(510b)(511b)에 지지되어 소정 의 높이로 상승된 후에는 상기 상하 작동부(20)의 회전 모터(200)의 작동이 중지됨으로써 상하 이동 프레임(102)(102a)이 정지된다.
상기와 같이 상하 이동 프레임(102)(102a)이 정지된 후에는 프론트 및 리어 파지 회동부(30)(50)의 턴 프레임(307)(507) 상부면 양측에 설치된 클램프 실린더(308)(308a)(508)(508a)가 작동함으로써 프론트 및 리어 클램퍼(310)(311)(510)(511) 중 프론트 상부 클램퍼(310a)(311a)와 리어 상부 클램퍼(510a)(511a)를 클램프 블록(309)(309a)(509)(509a)의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상기 자동차 하부 프레임(15)을 상기 프론트 하부 클램퍼(310b)(311b)와 리어 상부 클램퍼(510b)(511b)와 함께 완전히 클램핑 한다.
상기와 같이 자동차 하부 프레임(15)을 클램핑 한 다음에는 다시 상하 작동부(20)의 회전 모터(200)가 작동을 하여 상하 이동 프레임(102)(102a)을 더 상승시켜 자동차 하부 프레임(15)의 회전 시 상기 자동차 하부 프레임(15)과 플랫폼 콘베어(13) 상부에 설치된 다수개의 지지대(14)가 서로 간섭이 생기지 않는 거리만큼 프론트 파지 회동부(30), 리어 파지 회동부(50) 및 자동차 하부 프레임(15)을 상승시킨다.
상기 자동차 하부 프레임(15)을 상기 지지대(14)와 간섭이 생기지 않는 거리만큼 상승 시킨 후에는 상기 상하 작동부(20)의 회전 모터(200)가 정지하여 상기 상부 이동 프레임(102)(102a)을 정지 시킨 후 프론트 및 리어 파지 회동부(30)(50)의 터닝 모터(304)(504)를 동시에 작동시켜 자동차 하부 프레임(15)을 회전시킨다. 즉 상기 프론트 및 리어 파지 회동부(30)(50)의 터닝 모터(304)(504)를 동시에 작동시키면 상기 터닝 모터(304)(504)의 회전축과 연결된 턴 샤프트(305)(505)가 회전을 하게 되고, 상기 턴 샤프트(305)(505)에 축설된 턴 프레임(307)(507) 및 상기 턴 프레임(307)(507)에 장착된 클램프 실린더(308)(308a)(308b)(308c)(508)(508a)
(508b)(508c)와 프론트 및 리어 클램퍼(310)(311)(510)(511)가 회전됨으로써 자동차 하부 프레임(15)을 180도 회전시킨 후 정지한다.
상기와 같이 자동차 하부 프레임(15)을 180도 회전시킨 후에는 다시 상하 작동부(20)의 회전 모터(200)가 작동되어 상하 이동 프레임(10)(10a)을 소정의 거리만큼 하강 시킨다.
상기 상하 이동 프레임(10)(10a)이 소정의 거리만큼 하강된 후에는 프론트 및 리어 파지 회동부(30)(50)의 턴 프레임(307)(507) 상부면 양측에 설치된 클램프 실린더(308)(308a)(5608)(508a)가 작동하여 프론트 및 리어 상부 클램퍼(310a)(311a)(510a)(511a)가 클램프 블록(309)(309a)(509)(509a)의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프론트 및 리어 상부 클램퍼(310a)(311a)(510a)(511a)는 열린 상태가 됨과 동시에 상기 자동차 하부 프레임(15)은 프론트 및 리어 하부 클램퍼(310b)(311b)(510b)(511b)로만 지지된다.
상기 프론트 및 리어 상부 클램퍼(310a)(311a)(510a)(511a)가 열린 상태에서 다시 상하 작동부(20)의 회전 모터(200)가 작동되어 상하 이동 프레임(102)(102a)이 하강됨과 동시에 상기 자동차 하부 프레임(15)은 플랫폼 콘베어(13)의 상부에 설치된 다수개의 지지대(14)에 의해 지지된다. 즉 프론트 및 리어 상부 클램퍼(310a)(311a)(510a)(511a)가 열린 상태에서 하강하여 지지대(14)에 자동차 하부 프레임(15)을 안착시킴으로써 안착 시 자동차 하부 프레임(15)의 프론트부와 리어부의 높이 편차를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자동차 하부 프레임(15)이 플랫폼 콘베어(13)의 상부에 설치된 다수개의 지지대(14)에 의해 지지된 후에는 턴 프레임(307)(507) 하부면 양측에 설치된 클램프 실린더(308b)(308c)(508b)(508c)가 작동되어 프론트 및 리어 하부 클램퍼(310b)(311b)(510b)(511b)가 클램프 블록(309)(309a)(509)(509a)의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열린 다음 상기 상하 작동부(20)의 회전 모터(200)가 작동되어 상하 이동 프레임(102)(102a)을 상승 시킨다.
상기 상하 이동 프레임(102)(102a)이 상승된 후에는 상기 플랫폼 콘베어(13)가 작동되어 상기 자동차 하부 프레임(15)을 다음 작업 위치로 이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하부 프레임 회전 장치는 프론트 및 리어 파지 회동부가 자유롭게 상승, 하강 할 수 있음으로써 플랫폼 콘베어에 의해 이송된 자동차 하부 프레임을 리프팅 시키기 위한 사이드 리프터가 필요 없으므로 시공 시 피트(Pit) 공사가 필요 없어 시공 공간의 확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시공비용 및 시공 기간이 대폭 절감되며, 전체 구성이 간단하여 장비의 가격이 저렴하고, 좌우 이동되지 않는 고정식임으로 고장률이 현저히 낮을 뿐만 아니라 작업 공정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여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하부 프레임 회전 장치는 리어 파지 회동부가 자동차의 하부 프레임의 전장 길이에 대응하여 좌, 우 이동될 수 있으며, 프론트 및 리어 파지 회동부에 별도의 에어탱크와 부스터를 적용함으로써 차종의 변경되어도 장비를 교체하지 않아도 되며, 자동차 프레임의 상승, 회전, 하강 및 슬랫 콘베어의 적재 작업을 단일 공정에서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 공정을 대폭 단축하여 생산성을 대폭 향상 시킬 수 있고, 별도의 사이드 리프터 필요 없이 자동차 하부 프레임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하여 시공 시 피트 공사를 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시공 공간의 확보가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시공 비용 및 시공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으며, 전체 구성이 간단하여 장비의 제작비용이 저렴하고, 좌우 이동되지 않는 고정식임으로 고장률을 현저히 낮출 수 있도록 하여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8)

  1. 하부 작업이 완료된 자동차 하부프레임을 정상적인 위치로 회전시키는 자동차 하부 프레임 회전 장치에 있어서,
    설치 프레임의 하부에 다수개의 고정 지지대에 의해 고정된 고정 프레임의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상하 이동부;
    상기 고정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양측 끝단부가 상기 한 쌍의 상하 이동부와 래크기어와 피니언 기어를 매개하여 연결됨으로써 상기 한 쌍의 상하 이동부를 동시에 상, 하부로 이동시키는 상하 작동부;
    상기 고정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된 상하 이동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자동차 하부 프레임의 일측을 파지한 후 회동시키는 프론트 파지 회동부;
    상기 고정 프레임의 타측에 설치된 상하 이송부의 하부에 설치된 좌우 이송부; 및
    상기 좌우 이송부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프론트 파지 회동부가 작동됨과 동시에 상기 자동차 하부 프레임의 타측을 파지한 후 회동시키는 리어 파지 회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하부 프레임 회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파지 회동부와 좌우 이송부의 상부 일측은 다수개의 롤러에 의 해 지지되는 로프에 의해 웨이트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상하 작동부에서 가장 적은 힘으로 상하 이동부를 상, 하부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하부 프레임 회전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이동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된 가이드 브래킷;
    상기 가이드 브래킷 상단 양측과 하단 일측에 장착된 고정 바;
    상기 가이드 브래킷에 삽입 설치되되 일측면 양측에 상기 상하 작동부와 연결되는 래크 기어를 구비함으로써 상하 작동부가 작동함에 따라 상기 가이드 브래킷에 의해 안내되어 상, 하부로 이동되는 상하 이동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하부 프레임 회전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작동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 상부면 중앙부에 설치된 회전 모터;
    상기 회전 모터와 유니버셜 조인트에 의해 연결된 한 쌍의 동력 방향 변환 장치; 및
    상기 동력 변환 장치의 회전축 양측 끝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상하 이동부의 래크기어와 연결되는 한 쌍의 피니언 기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하 부 프레임 회전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파지 회동부는 고정 프레임의 일측에 위치한 상하 이동부의 하부에 설치되되 일측면에 롤러를 구비한 지지 브래킷이 장착된 클램프 프레임;
    상기 클램프 프레임 일측면 하부에 힌지 고정된 터닝 모터;
    상기 터닝 모터 회전축과 일측 끝단이 연결되며, 일측이 다수개의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는 턴 샤프트;
    상기 턴 샤프트 타측단에 축설된 턴 프레임;
    상기 턴 프레임 상하부면 양측단에 설치된 다수개의 클램프 실린더;
    상기 턴 프레임 일측면에 양측 끝단에 장착된 한 쌍의 클램프 블록;
    상기 각각의 클램프 블록에 일측 끝단이 힌지 고정되며, 중앙부는 상기 클램프 실린더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한 쌍의 프론트 클램퍼;
    상기 턴 프레임 전방부에 장착되되 일측면에 상기 롤러에 의해 지지되는 가이드 레일을 구비한 환형 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하부 프레임 회전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이송부는 고정 프레임의 타측에 위치한 상하 이동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양측면에 가이드 레일을 구비한 가이드 플레이트;
    상기 가이드 레일에 장착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좌우 이송되는 한 쌍의 사이드 무빙 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사이드 무빙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사이드 무빙 플레이트에 양측면이 고정되되 전면 중앙부에 롤러를 구비한 지지 브래킷이 장착된 무빙 프레임;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 일측 하부면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무빙 프레임 일측면 중앙부에 고정된 좌우 이송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하부 프레임 회전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파지 회동부는 상기 좌우 이송부 일측 하부에 설치되되 일측면에 텐션 프레임이 장착된 클램프 프레임;
    상기 텐션 프레임 하부면 양단에 장착된 한 쌍의 스프링 브래킷;
    상기 각각의 스프링 브래킷과 한 쌍의 동기 편차 흡수 장치에 의해 연결된 터닝 모터;
    상기 터닝 모터 회전축과 일측 끝단이 연결되며, 일측이 다수개의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는 턴 샤프트;
    상기 턴 샤프트 타측단에 축설된 턴 프레임;
    상기 턴 프레임 상하부면 양측단에 설치된 다수개의 클램프 실린더;
    상기 턴 프레임 일측면에 양측 끝단에 장착된 한 쌍의 클램프 블록;
    상기 각각의 클램프 블록에 일측 끝단이 힌지 고정되며, 중앙부는 상기 클램프 실린더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한 쌍의 리어 클램퍼;
    상기 턴 프레임 전방부에 장착되되 일측면에 상기 롤러에 의해 지지되는 가이드 레일을 구비한 환형 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하부 프레임 회전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편차 흡수 장치는 상기 스프링 브래킷 하단에 장착된 스프링 엔드 블록;
    상기 스프링 엔드 블록 중앙부에 일측이 관통 삽입되고 타측은 상기 터닝 모터에 힌지 고정되는 스프링 샤프트;
    상기 스프링 샤프트에 설치되어 동기 편차에 의해 상기 터닝 모터가 일측으로 회동 되면 압축되어 그 편차를 흡수함과 동시에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스프링 샤프트를 원상 복귀 시키는 탄성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하부 프레임 회전 장치.
KR1020060031997A 2006-04-07 2006-04-07 자동차 하부 프레임 회전 장치 KR101120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1997A KR101120233B1 (ko) 2006-04-07 2006-04-07 자동차 하부 프레임 회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1997A KR101120233B1 (ko) 2006-04-07 2006-04-07 자동차 하부 프레임 회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0559A true KR20070100559A (ko) 2007-10-11
KR101120233B1 KR101120233B1 (ko) 2012-03-16

Family

ID=38805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1997A KR101120233B1 (ko) 2006-04-07 2006-04-07 자동차 하부 프레임 회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023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18585A (zh) * 2012-09-11 2012-12-12 江西洪都航空工业集团有限责任公司 双导引头挂飞验证试验支架
CN107283149A (zh) * 2017-08-15 2017-10-24 安徽航大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agv运送的多功能移动式工艺平台
KR20200005690A (ko) * 2018-07-05 2020-01-16 호 철 강 런닝소 자동 공급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0690A (ko) * 1997-08-30 1999-03-25 추호석 용접구조물의 터닝장치
KR20000015256U (ko) * 1998-12-31 2000-07-25 이구택 검사용 후강판 터닝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18585A (zh) * 2012-09-11 2012-12-12 江西洪都航空工业集团有限责任公司 双导引头挂飞验证试验支架
CN107283149A (zh) * 2017-08-15 2017-10-24 安徽航大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agv运送的多功能移动式工艺平台
KR20200005690A (ko) * 2018-07-05 2020-01-16 호 철 강 런닝소 자동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0233B1 (ko) 2012-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715174B (zh) 负荷提升装置
CN108673089B (zh) 一种涂装积放链直接用于装配的多工位装配系统
CN112678542B (zh) 一种链传动的并列分布式吸盘抓手自动拆垛机器人
KR20120049726A (ko) 자동차용 사이드패널 생산시스템
CN112591476B (zh) 一种链条传动的对置分布式吸盘抓手自动拆垛机器人
JP2012148836A (ja) 長尺物品用の搬送装置
CN215325537U (zh) 一种板材抓料机
KR101120233B1 (ko) 자동차 하부 프레임 회전 장치
CN102367109A (zh) 全接触180度翻板机
CN114394437A (zh) 一种机械型调式装载码垛机械手
CN209922839U (zh) 一种轨道高空作业车
US5020440A (en) Conveyor with pivotally damped workpiece carrier
CN210084356U (zh) 一种板材移载装置
CN108974939B (zh) 一种折叠式电梯门板自动化生产线
CN113697483B (zh) 一种轮胎装配线尾端机械手整理收集装置
CN110053955A (zh) 一种自动化升降输送系统
CN211902242U (zh) 一种毛巾布的堆叠升降机构
CN210504636U (zh) 一种双线共用上料的流水线
CN109399087B (zh) 一种用于层压机的剪叉升降式传送设备
KR20020095532A (ko) 차량조립을 위한 이송시스템 및 그 이송방법
CN209906231U (zh) 一种可移动的智能提升转载机构
CN212916382U (zh) 一种涂布机自动上下料平台
KR200368857Y1 (ko) 타이어 센터링 정렬장치
CN212222316U (zh) 一种机械剪刀叉式升降机
CN212173600U (zh) 一种应用于产品装配线的移栽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