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8757A - 과산화수소 포말 처리 - Google Patents

과산화수소 포말 처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8757A
KR20070098757A KR1020070032546A KR20070032546A KR20070098757A KR 20070098757 A KR20070098757 A KR 20070098757A KR 1020070032546 A KR1020070032546 A KR 1020070032546A KR 20070032546 A KR20070032546 A KR 20070032546A KR 20070098757 A KR20070098757 A KR 20070098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instrument
hydrogen peroxide
pretreatment system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2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츄-민 린
로버트 씨. 플랫
춘-치에 제이. 쳉
로버트 에프. 모셔
Original Assignee
에디컨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1/396,186 external-priority patent/US20070231196A1/en
Priority claimed from US11/421,288 external-priority patent/US20070231200A1/en
Priority claimed from US11/565,160 external-priority patent/US20070228080A1/en
Priority claimed from US11/565,126 external-priority patent/US20070231198A1/en
Application filed by 에디컨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에디컨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70098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87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39Organic or inorganic per-compounds
    • C11D3/3947Liqui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3Solid substances, e.g. granules, powders, blocks, tablets
    • A61L2/232Solid substances, e.g. granules, powders, blocks, tablets layered or coa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16Fo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61L2/186Peroxide solu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03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foam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005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 C11D3/0094High foaming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 C11D3/370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1D3/37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silic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4Medical instruments, e.g. endoscopes, catheters, sharp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2111/00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objects to be cleaned; 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non-standard cleaning or washing processes
    • C11D2111/40Specific cleaning or washing processes
    • C11D2111/42Application of foam or a temporary coating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pidemi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Zo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Dent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Treatments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기구의 표면 오염 후 기구의 처리방법은 표면을 포말로 피복하는 단계 및 기구를 세척하기 전에 기구 위의 이물질이 건조되어 세척 동안에 제거하기가 더 어려워지지 않게 하기 위해 표면에 수분이 보유되도록 표면 위의 포말을 유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포말은 과산화수소를 함유하고, 혈액을 용해시키며 항미생물 효과를 제공한다.
포말, 과산화수소, 기구 전처리 시스템

Description

과산화수소 포말 처리{Hydrogen peroxide foam treatm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블록 다이아그램이다.
도 2는 도 1의 개량된 시스템의 블록 다이아그램이다.
도 3은 도 1의 시스템에 사용되는 포말 분배기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시스템에 사용되는 다른 포말 분배기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시스템에 사용되는 용기 횡단면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시스템에 사용되는 다른 용기 횡단면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시스템에 사용되는 또 다른 용기 횡단면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시스템에 사용되는 다성분 포말 분배기의 횡단면에 대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의료 기구의 재사용 전 처리, 더 상세하게는 과산화수소 포말을 이용한 기구의 전처리 및 과산화수소 포말의 소포(defoaming) 및 실활(deactivating) 처리에 관한 것이다.
의료 기구는 사용 후 통상 혈액 및 다른 신체 물질로 오염될 뿐만 아니라 감 염성 미생물로 오염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이후 의료 시술에 재사용하기 전에 기구는 세척 및 멸균해야 한다. 이러한 세척 및 멸균 공정은 혈액과 다른 물질이 기구 위에 건조되어 있을 때 복잡해진다. 특히 혈액은 건조되면 제거하기가 더욱 더 어려워진다.
이에, 사용 후 기구를 액체 충전된 용기에 넣어 수분을 유지하고 기구 위의 이물질이 건조되어 제거하기가 더욱 어려워지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용기는 다소 무거워서 이동하기가 어려울 수 있고, 그 안의 액체는 오염될 수 있으며 이 액체를 엎지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제안된 한가지 해결안은 사용 후 최종 멸균 전에 기구 위에 분무되는 효소 포말이다. 포말은 액체보다 가볍고, 포말이 기구 위에 위치할 때 초기 단계에서 어느 정도의 세척을 개시함으로써 세척 효과를 증강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포말은 항미생물 활성을 거의 또는 전혀 제공하지 않는다.
본 발명자들은 과산화수소 포말이 건조된 혈액에 대해서 우수한 세척능이 있고 상당한 정도의 항미생물 활성을 제공하여 오염제거 처리를 개시하여, 이로써 효과를 증강시키고 용기에서 회수될 때 기구 유래의 감염에 대하여 사람을 보호하는 효과를 약간 제공하는, 효소 포말에 비해 개선된 포말임을 발견했다.
본 발명은 효소 포말에 비해 건조된 혈액에 대한 세정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상당한 정도의 항미생물 활성을 제공하여 효소 포말의 개념을 개선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부 관점에 따르면, 포말은 포말 수명 연장을 제공하기도 한다. 항미생 물 활성은 사용된 기구를 최종적으로 세척 및 멸균하기 전에 그 기구와 접촉할 수 있는 사람에게 감염되지 않게 도움을 주는 바람직한 이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표면이 오염된 기구의 처리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오염된 기구의 표면에 과산화수소를 함유하는 포말을 피복(cover)하는 단계, 및 표면 위에 포말을 유지시켜 표면에 수분이 보유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포말은 표면 위의 혈액 침착물, 예컨대 건조된 모든 혈액 침착물을 용해시킨다.
기구는 포말을 부가하기 전에 용기에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포말을 부가한 후 투입해도 된다. 투입될 모든 용기가 용기 내에 있고 포말로 피복된 다음 용기 위에 뚜껑을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 일반적으로 용기 내의 기구 및 포말은 기구를 세척할 수 있는 다른 위치로 함께 이동된다. 기구가 세척되어야 하는 시기까지 포말이 표면 위에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말은 기구 위의 미생물을 죽이고 30분 동안, 바람직하게는 10분 내에 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Pseudomonas aeruginosa)를 5 log 감소시키기에 충분한 항미생물 작용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기구 안의 내강이 과산화수소를 함유하는 용액으로 처리된다.
포말은 가압식 포말 분배 용기로부터 적용되거나 수동 펌프식 포말 분배 용기로부터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포말로 표면을 피복하는 단계는 용기 내의 과 산화수소를 함유하는 발포성 용액을 통해 기체를 통과시켜 그 용액을 발포시켜 표면을 피복하는 것을 포함한다. 기체는 압력이 대기압보다 높을 수 있고 기체 투과성이지만 발포성 용액 불투과성인 반투과성 장벽(barrier)을 통해 발포성 용액 내를 통과할 수 있다. 또는, 용기에 진공을 형성시켜 공기가 발포성 용액에 포말을 형성하도록 하고, 바람직하게는 기체 투과성이고 발포성 용액 불투과성인 반투과성 장벽을 통해 발포성 용액으로 통과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용기 중에 과산화수소를 함유한 발포성 용액은 교반되어 용액이 발포되어 표면을 피복할 수 있다.
포말 중에 과산화수소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5%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 범위, 가장 바람직하게는 3% 내지 8% 범위이다. 포말은 추가로 과아세트산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포말은 d-리모넨 또는 글리콜 에테르와 같은 지질 용해제를 함유할 수도 있다. 지질 용해제는 포말 중의 함량이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약 1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가장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범위이다. 또한, 포말은 알칸올아미드, 규산나트륨 또는 트리아졸과 같은 부식 억제제를 함유할 수 있고, 이 부식 억제제는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약 10중량%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05 내지 약 2중량% 범위,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약 1.5중량% 범위의 함량으로 포말에 존재한다.
포말은 추가로 계면활성제 및 개질 실리콘을 함유하는 포말 발생 증진제(booster)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아크릴 중합체를 함유하는 증점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포말은 표면과 접촉한 후 1시간 넘게 그 부피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법은 또한 기체를 통과시켜 재발포시킴으로써 붕괴된 포말을 복 원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용기로부터 기구를 분리할 기회가 있으면 포말에 소포제를 적용하고(하거나) 과산화수소를 중화시키는 중화제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것은 기구를 용기 중에서 쉽게 관찰하고, 날카로운 기구에 상처를 입을 기회를 줄이며 사람이 과산화수소와 되도록 접촉하지 않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구 전처리 시스템은 기구의 세척 전에 의료 기구의 오염된 표면 위에 발포성 용액을 발포시키고 기구가 세척되어야 하는 시기까지 그 포말이 표면에 계속 접해 있게 하라는 지시서를 포함하는 사용 지시서와 함께 포장된 과산화수소를 함유하는 발포성 용액을 함유한다.
추가로, 기구의 세척 전에 기구의 내강으로 과산화수소 용액을 적용하는 지침서와 과산화수소 용액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으로서, 본 발명의 기구 전처리 시스템은 의료 기구의 세척 전에 그 기구의 오염된 표면 위에 발포성 용액을 발포시키고 기구가 세척되어야 하는 시기까지 그 포말이 표면에 계속 접해 있게 하라는 지시서를 포함하는 사용 지시서와 함께 포장된, 항미생물제 및 지질 용해제를 함유하는 발포성 용액을 함유할 수 있다. 항미생물제는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를 함유할 수 있다.
의료 시술 동안에 의료 기구는 하나 이상이 이용될 수 있다. 이 기구들은 혈액, 조직 및 잠재적으로 오염 미생물로 오염된다. 통상적으로, 기구들은 사용 후 방치되어 세척 및 멸균을 기다린다. 이 대기 시간은 수 시간 또는 그 이상일 수 잇 다. 이 대기 시간 동안 혈액 및 다른 물질은 기구 위에서 건조되어 이후 세정 절차 동안 제거하기가 더욱 어려워진다. 이것은 시술에 많은 시간이 걸리고 많은 여러 기구가 사용될 때, 또는 사람들의 시간이 제한적이어서 적시에 기구를 처리하기가 어려울 때 특히 문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면, 특히 도 1을 살펴보면, 사용 후 완전한 세척 및 멸균 절차 전에 기구(10)는 용기(12)에 투입되고 포말(14)로 피복된다. 포말은 과산화수소를 함유한다. 과산화수소 포말(14)은 혈액, 심지어 건조된 혈액을 용해하고 기구 위의 미생물에 대항하여 항미생물 활성을 개시시키는 작용을 한다. 포말(14)은 기구(10)에 피막을 형성시키고 기구 위의 혈액 및 다른 물질의 건조가 억제되도록 보습 상태를 유지시킨다. 혈액 및 다른 물질이 건조되지 않게 하면 이후 세척 및 멸균 처리 시의 세척성이 더욱 우수해진다.
과산화수소 포말(14)을 분배하는 1가지 방법은 발포 에어로졸 분무 캔(16)으로부터 포말(14)을 분무하는 방법이다. 이 캔은 분사제를 이용하는 것이 당해 기술분야에 숙련된 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또한, 용기(12)는 기구(10)의 세척을 용이하게 하고 용기(12)가 멸균 절차에 사용될 때 증기 멸균제가 기구(10)와 접촉하여 효율적으로 확산되게 하는 복수의 구멍을 보유한 인서트(insert) 또는 트레이(18)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뚜껑(20) 역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구(10)는 시술에 마지막으로 사용되었을 때 용기(12)에 투입된다. 이 기구(10) 위에 일정량의 포말(14)이 분무되어 기구가 습기를 보유하고 기구 위의 혈액이 건조되지 않게 하며, 그 혈액을 용해시키기 시작하여 기구를 소독한다. 포 말(14)은 과산화수소를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8중량% 함유한다. 이러한 농도는 환자에게 직접 재사용하기에 충분한 멸균 수준을 달성할 수는 없으나, 기구를 소독하기 위해 개별적인 취급, 특히 세정 동안의 개별적 취급의 기회를 최소화할 정도로, 기구 표면 위에 미생물의 적재를 실질적으로 감소시킬 것이다. 뚜껑(20)은 수술실과 같은 시술 위치에서 세척 위치로 기구를 이동시키기 전에 용기(12) 위에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구(10)의 세척이 준비되면, 인서트(18)는 들어올려질 수 있고 기구(10)가 인서트(18)에 남아있으면서 포말(14)은 제거될 수 있다. 그 다음, 정상적인 세척과 멸균이 수행될 수 있다. 세척은 효소 세정제, 세제 또는 다른 세정 제제로의 처리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기계적 스크러빙(scrubbing) 또는 교반, 예컨대 선택적으로 워터 제트, 초음파 등의 처리가 병행될 수 있다. 세척 후, 기구는 바람직하게는 용기(12) 내에서, 화학 증기 또는 스팀 오토클레이빙으로 멸균되어야 한다.
인서트(18)가 있는 용기(12)가 최종 멸균에 사용되도록 개조되어 있다면, 예컨대 STERRAD® 과산화수소/가스 플라즈마 시스템 또는 스팀 시스템이면 특히 편리하다. 액정 중합체와 같은 적당한 소재, 및 이러한 용기, 특히 스팀이나 과산화수소에 적당한 용기의 제작 세부사항에 대해서는 본원에 참고인용된 미국 특허 제6,379,631호 및 제6,692,693호(Wu)에 제시되어 있다. 이러한 용기는 일반적으로 CSR 랩에 싸여있거나 반투과성 막 필터가 병합되어 있어서, 용기 내의 기구가 증기 멸균제로 멸균되게 하는 한편 멸균 후 가능한 미생물 오염이 진입되지 못하게 한다.
이제 도 2를 살펴보면, 기구(10)의 외측 표면을 과산화수소 포말(14)로 피복하는 것 외에, 기구(10)가 내강(22)을 보유한다면 기구(10)를 용기(12)에 투입하여 기구(10)를 포말(14)로 피복하기 전에 과산화수소를 함유하는 액체 또는 미스트(24)를 내강(22) 내로 분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스트도 역시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분사제를 이용하여 가압 용기(26)로부터 분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제 도 3을 살펴보면,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분배기(28)는 발포 노즐(30) 및 미스팅 노즐(32)을 구비할 수 잇다. 발포성 과산화수소 용액 및 분사제는 분배기(28)에 제공되어 있고, 미스팅 노즐(32)을 통해 분배될 때 용액은 내강 내로 분출되기에 적당한 미스트(34)로서 나타나고, 발포 노즐(30)을 통해 분배될 때 용액은 기구의 외측 표면을 피복하기에 적당한 포말(36)로서 나타난다.
이제 도 4를 살펴보면, 과산화수소의 발포성 용액이 담겨 있는 분배기(38)는 분사제를 이용하기 보다 수동식 미스팅 노즐(40)과 발포 노즐(42)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유용한 발포 노즐(42)은 네덜란드 알카마르 소재의 에어스프레이 엔브이에서 입수할 수 있는 Airspray F2-L11이다.
이제 도 5를 살펴보면, 용기(44)는 망형 인서트(46)와 뚜껑(48)을 보유하고 있다. 용기의 하부에는 일정량의 발포성 과산화수소 용액(52)이 존재할 수 있는 웰(50)이 있다. 이 웰(50)에는 포트(54) 및 밸브(56)가 공기 버블러(58) 또는 소수성 막(58)을 통해 연결된다. 포트(54)에 부착된 가압 공기 또는 다른 가스 공급물은 버블러(58)를 통해 침투하여 과산화수소 용액(52)을 발포시키고 용기(44)를 과산화수소 포말로 충전시킨다. 뚜껑(48)은 포말이 용기에 충전되는 진행을 관찰하기 위한 투시 창(60)과 용기(44) 내의 기체를 배출시키고 포말을 용기(44)에 충전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배출구(62)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출구(62)는 단순한 개구부(opening)이거나 또는 반투과성 막이 피복되어 있거나 1방향 밸브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 6을 살펴보면, 용기(44)와 유사한 구조의 대안적 용기(64)는 인서트(66), 소수성 막(70) 보유 웰(68) 및 창(74) 보유 뚜껑(72)을 구비하고, 가압 공기 또는 가스용 포트보다는 용기(64)의 상부에 위치하고 밸브(78)와 추가 소수성 막(79)을 보유한 포트(76)를 구비한다. 포트(76)를 진공원에 부착시키고 기체를 용기(64)로부터 배출시키면, 공기는 소수성 막(70)을 통해 용기 내로 침투되어 웰(68) 내의 과산화수소 용액에 발포 작용을 한다. 이 용기(64)나 앞의 용기(44) 중 어느 용기에서든지, 포말이 없어지면 진공이나 가압 공기를 경우에 따라 이용하여 포말을 재형성시킬 수 있다.
이제 도 7을 살펴보면, 인서트(82) 및 창(86)이 있는 뚜껑(84)을 보유한 용기(80)는 웰(88)을 갖고 있다. 이 웰(88) 내에는 교반기(90)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교반기는 스위치(96)를 통해 조절되는 배터리(94)와 같은 전력원과 모터(92)에 부착되어 있다. 교반기(90)를 작동시켜 웰(88) 내의 과산화수소 용액(52)을 발포시킴으로써 용기(80)를 충전시킨다. 어떠한 포말 발생 형식도, 소정 간격마다 포말을 재구성하여 장기간 동안에도 기구와 양호하게 접촉되어 있을 수 있도록 교반기(90)와 같은 포말 발생 장치를 자동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타이머(95)가 도움이 될 수 있다.
실시예
배합물 1
포말 형태 무스형 농후한 포말
적용 방식 분무
성분 중량(g)
탈이온수 60.0
Carbopol Aqua SF-1 중합체 3.4
Tween 80 2.0
글리세롤 2.0
NaOH(1.0N) 필요한 만큼
H2O2 필요한 만큼
방부제 필요한 만큼
배합물 2
포말 형태 무스형 농후한 포말
적용 방식 분무
성분 중량(g)
탈이온수 120.0
Carbopol Aqua SF-1 중합체 6.8
Tween 80 4.0
글리세롤 1.0
NaOH(1.0N) 필요한 만큼
H2O2 필요한 만큼
방부제 필요한 만큼
배합물 3
포말 형태 고 발포형
적용 방식 폭기/진공/분무
성분 중량(g)
탈이온수 78.0
Fixate G-100 중합체 6.0
Tween 80 1.0
SilSense Copolyol-1 실리콘 1.0
글리세린 4.0
H2O2 필요한 만큼
방부제 필요한 만큼
배합물 4
포말 형태 고 발포형
적용 방식 폭기/진공/분무
성분 중량(g)
탈이온수 85.0
SilSense Q-Plus 실리콘 1.0
Tween 80 2.0
글리세롤 3.0
59% H2O2 5.0
방부제 필요한 만큼
배합물 5
포말 형태 고 발포형
적용 방식 폭기/진공/분무
성분 중량(g)
탈이온수 91.0
Fixate G-100 중합체 6.0
Tween 80 1.0
SilSense Q-Plus 실리콘 1.0
59% H2O2 5.0
방부제 필요한 만큼
배합물 6(약 6% 과산화물)
포말 형태 고 발포형
적용 방식 폭기/진공/분무
성분 중량(g)
탈이온수 150.0
Tween 80 8.0
SilSense Copolyol-1 실리콘 2.0
59% H2O2 18.0
배합물 7(약 3% 과산화물)
포말 형태 고 발포형
적용 방식 폭기/진공/분무
성분 중량(g)
탈이온수 150.0
Tween 80 8.0
SilSense Copolyol-1 실리콘 2.0
59% H2O2 9.0
배합물 8(소포 및 중화용 용액)
소포제(Rug Doctor 수계 실리콘 에멀젼) 1%
카탈라제 약1000 유닛/ml
잔여량
배합물 8과 같은 소포 용액은 수동 펌프식이거나 또는 분사제 기체를 보유한 분무 분배기에 제공되고 기구(10)를 피복하는 과산화수소 포말(14)을 제거하는 지침서와 함께 제공된다. 포말을 제거하기 전에 기구(10)는 과산화수소 포말(14)로 피복되어 사용자는 기구(10)를 관찰하기 어렵고, 용기(12)로부터 기구를 분리하기가 어렵다. 기구(10)가 날카로운 끝이나 모서리를 갖고 있다면 사용자는 기구(10)를 적당히 관찰할 수도 없이 포말(14) 안에 접근하여 부상을 당할 위험이 있을 수 있다. 소포 용액은 소포제와 과산화수소 실활제를 동시에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소포 용액을 포말(14) 위에 분무 시, 포말 부피는 감소하여 기구를 관찰할 수 있어 안전하게 분리할 수 있으며 포말(14)의 과산화수소 농도는 사용자가 접해 있어도 임의의 유해 효과를 최소화할 정도로 감소된다.
가장 일반적인 소포제 종류 2가지는 폴리프로필렌계 폴리에테르 분산액(Sigma antifoam 204) 및 지방산 에스테르(Sigma antifoam O-30)와 같은 유기계 소포제, 및 실록산 중합체(Sigma antifoams A, B, C, Y-30, SE-15)와 같은 실리콘계 소포제이다. 실리콘계 소포제는 유기계 소포제에 비해 기구로부터 세정될 수 있는 용이함 때문에 다소 더 바람직하다. 하지만, 어떠한 종류도 사용할 수 있다. 1가지 적당한 소포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유기) 및 디메티콘(실리콘) 코폴리올인 SILSENSE Copolyol-1 실리콘이다. 또 다른 적당한 소포제에는 카르복실레이트(유기계), 모노아미드(유기계), 인산 에스테르(유기계), 광유 블렌드(유기계), 장쇄 알콜(유기계), 플루오로계면활성제(유기계), 소수화된 실리콘/친수성 오일 혼합물(실리콘계), 실리카(예컨대, 실리카를 보유한 폴리디메틸실록산 중합체)(실리콘계), 디에틸렌 글리콜(유기계), 폴리디에틸렌메틸 실리콘(실리콘계)이 있다.
포말(14) 중의 과산화수소를 중화시키기 위해, 사용 용이성, 과산화수소에 대한 유효 작용, 제거 용이성 및 저독성 때문에 카탈라제가 바람직하다. 다른 제제에는 코발트 염, 요오다이드 염, 티타늄 염, 세륨염 및 과망간산염이 있다.
배합물 9(발포성 무스(3% H2O2))
성분 양(g) 중량% 기능 물질 종류
탈이온수 120 83.3 용매 수성 상
Carbopol AQUA SF-1(35%) 10 6.9 증점제 아크릴 중합체
Tween 80 4 2.8 발포제 계면활성제
SilSense Q-Plus 실리콘 1 0.7 포말 발생 증진제 점착 감소제 개질 실리콘 액체
과산화수소(59%) 9 6.3 소독제 오염제거제 산화제
수산화나트륨 (0.1N) 필요한 만큼 <1.0 pH 개선제 염기성 용액
구연산(50%) 필요한 만큼 <1.0 pH 개선제 산성 용액
최종 pH = 6.1
변형 배합물 7(pH 조정제 함유)
고발포성 (3% H2O2)
성분 양(g) 중량% 기능 물질 종류
탈이온수 150 88.8 용매 수성 상
Tween 80 8 4.7 발포제 계면활성제
SilSense Copolyol-1 실리콘 2 1.2 포말 발생 증진제 점착 감소제 개질 실리콘 액체
과산화수소 (59%) 9 5.3 소독제 오염제거제 산화제
수산화나트륨 (0.1N) 필요한 만큼 <1.0 pH 개선제 염기성 용액
구연산(50%) 필요한 만큼 <1.0 pH 개선제 산성 용액
최종 pH = 6.0
변성 배합물 6(pH 조정제 함유)
고발포성 (6% H2O2)
성분 양(g) 중량% 기능 물질 종류
탈이온수 150 84.3 용매 수성 상
Tween 80 8 4.5 발포제 계면활성제
SilSense Copolyol-1 실리콘 2 1.1 포말 발생 증진제 점착 감소제 개질 실리콘 액체
과산화수소(59%) 18 10.1 소독제 오염제거제 산화제
수산화나트륨 (0.1N) 필요한 만큼 <1.0 pH 개선제 염기성 용액
구연산(50%) 필요한 만큼 <1.0 pH 개선제 산성 용액
최종 pH = 5.6
바람직한 배합물
바람직한 함량 더욱 바람직한 함량 가장 바람직한 함량
과산화수소 0.1-15% 2-10% 3-8%
계면활성제 0.5-20% 1-10% 2-6%
포말 발생 증진제 (개질 실리콘) 0.1-10% 0.3-5% 0.5-3%
증점제 (아크릴계 중합체) 0.5-20% 1-10% 1.5-5%
pH 4.5-7.5 5-7 5.5-6.5
검사
(A) 새 혈액을 이용한 검사
새 혈액 1방울, 약 4mm 직경을 페트리 접시에 적용했다. 하나는 처리하지 않았고, 다른 하나는 Airspray F2-L11 Finger Pump Foamer로 발생시킨 배합물 7의 과산화물 포말로 처리했다. 10분 내에 미처리 혈액은 건조한 반면, 처리된 혈액은 반응하여 과산화물 포말에 용해되었다.
(B) 건조된 혈액을 이용한 검사
건조된 혈액 1방울을 10분 동안 실온 수돗물로 처리하고 다른 건조된 혈액 1방울은 Airspray F2-L11 Finger Pump Foamer로 발생시킨 배합물 7의 3% 과산화수소 포말로 처리했다. 10분 후, 과산화수소 포말로 처리된 건조된 혈액 방울은 용해되었다.
추가로, 시판되는 효소 포말인 Prepzyme XF 효소 포말(뉴욕 미네올라에 소재하는 루호프 코포레이션 제품)을 비교용으로 검사했다. 건조된 혈액 1방울은 Prepzyme XF로 처리하고 다른 건조된 혈액 1방울은 배합물 6의 6% 과산화수소 포말로 처리했다. 10분 후, Prepzyme XF로 처리된 혈액은 남아 있는 반면, 과산화수소 포말로 처리된 혈액은 5분 내에 용해되었다.
(C) 포말 안정성 검사
배합물 9에 따라 제조한 포말을 직경이 150mm이고 깊이가 15mm인 페트리 접시에 투입했다. 이와 유사한 페트리 접시에 Prepzyme XF를 투입했다. 포말은 검사한 후 1시간 동안 방치했다. 배합물 9의 포말은 1시간 동안에 거의 모든 부피를 유 지했다. Prepzyme 포말은 페트리 접시의 하부면 일부에 포말이 더 이상이 덮여 있지 않을 정도로 소멸되었다. 배합물 9의 포말은 4시간 후에도 페트리 접시의 바닥면을 덮고 있었다.
(D) 미생물에 대한 검사
미생물을 사멸시키는 효능 검사는 배합물 7에 따라 제조한 3% 과산화수소 포말과 배합물 6에 따라 제조한 6% 과산화수소 포말을 다음과 같은 검사 절차를 사용하여 Prepzyme XF 효소 포말과 비교하여 수행했다:
단계 1: 멸균 필터 위에 미생물 현탁액을 놓는다.
단계 2: 현탁액을 건조시킨다.
단계 3: 필터를 피복하도록 과산화물 포말 또는 효소 포말을 첨가한다.
단계 4: 포말을 소정 시간 동안 미생물 위에 방치한다.
단계 5: 10ml 멸균 중화/소포 용액(배합물 8)으로 필터를 헹군다.
단계 6: 필터를 100ml 멸균수로 3회 헹군다.
단계 7: 필터를 TSA 아가 위에 놓고, 32℃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한다.
단계 8: 생존균수를 측정한다(TNTC = 계수하기에 수가 너무 많다).
중복 시료의 효능 결과:
대조군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
TNTC & TNTC (평균: 1.64 x 105) TNTC & TNTC (평균: 2.49 x 105)
노출 시간(분) 포말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
5 카탈라제/소포제가 없는 포말(대조군) TNTC & TNTC TNTC & TNTC
효소 포말(Ruhof Prepzyme XF) TNTC & TNTC TNTC & TNTC
3% 과산화수소 포말 TNTC & TNTC 16 & 37
6% 과산화수소 포말 ~500 & ~500 0 & 0
10 효소 포말(Ruhof Prepzyme XF) TNTC & TNTC TNTC & TNTC
3% 과산화수소 포말 ~1000 & ~1000 0 & 1
6% 과산화수소 포말 46 & 22 0 & 0
본 발명의 과산화수소 포말은 간염 및 HIV와 같은 혈액계 병원균에 대해 상당히 효과적일 것이다. 따라서, 포말을 이용한 기구의 처리는 기구와 접촉하게 되는 의료진의 우발적인 감염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추가 보충물도 포말(14)에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구(10)가 부식되지 않게 하기 위해, 부식 억제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미국 특허 제6,585,933호("Method and composition for inhibiting corrosion in aqueous systems", 전문이 본원에 참고인용됨)은 많은 양호한 부식 억제제 참조 물질 및 실례를 제시한다. 부식 억제제는 금속 및 합금의 부식을 정지시키거나 지연시키는 화학적 화합물이다. 그 효과를 나타내는 일부 기전은 패시베이션 층을 형성시켜, 산화환원 부식 시스템의 산화 또는 환원 부를 억제하거나 용존 산소를 배기시키는 것이다. 몇가지 부식 억제제는 트리아졸(벤조트리아졸, 하이드로벤조트리아졸, 카르복시벤조트리아졸), 아졸, 몰리브데이트(나트륨 몰리브데이트), 바나데이트, 나트륨 글루코네이트, 벤조에이트(나트륨 벤조에이트), 텅스테이트, 아지미도벤젠, 벤젠 아미드, 산화아연, 헥사민, 페닐렌디아민, 디메틸에탄올아민, 나트륨 니트라이 트, 신남알데하이드, 알데하이드와 아민(이민)의 축합 산물, 알칸올아미드, 크로메이트, 디크로메이트, 보레이트, 니트라이트, 포스페이트, 하이드라진, 아스코르브산, 규산나트륨, 나트륨 레지네이트 및 이의 혼합물이 있다. 바람직한 부식 억제제에는 알칸올아미드, 규산나트륨 및 트리아졸이 있다. 부식 억제제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약 1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05 내지 약 2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약 1.5중량%이다.
종종 지방의 동의어로 사용되는 지질은 탄화수소 함유 유기 화합물 클래스이다. 지질은 비극성 용매에 용해성이고 물에 비교적 불용성이다. 기구 위의 생물학적 오염물은 보통 지질을 함유하는 바, 이러한 지질의 붕괴 및 제거를 촉진하기 위해 포말(14)에 지질 용매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일부 지질 용매에는 알콜(메탄올, 에탄올 및 1-프로판올), 에테르(디에틸 에테르 및 석유 에테르), 글리콜 에테르(프로필렌 글리콜 t-부틸 에테르 및 디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톤, 카본 테트라클로라이드, 클로로포름 및 d-리모넨을 함유하는 시트러스계 용액이 있다. 본 포말(14)의 목적상, 지질/지방은 처리 동안 의료 기구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되면 충분할 것이다. 지질/지방의 완전한 용해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바람직한 지질 용매에는 글리콜 에테르 및 d-리모넨이 있다. 지질/지방을 제거하는 용매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약 1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5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3중량% 범위이다.
과산화수소와 아세트산의 배합물은 과산화수소 단독물보다 증강된 멸균 효과 를 제공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과산화수소와 아세트산은 별도의 인접 용기에서 분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강에서와 같이 분무로 분배된다면, 별도의 분무기를 작동성 상태로 유지시킨다. 하지만, 포말인 경우에는 두 화합물의 일정한 혼합물을 단일 포말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과산화수소 함유 포말(14)과 아세트산 함유 포말을 동시에 분배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DUAL FOAMER(플로리다 폼파노 비치에 소재하는 에어스프레이 인터내셔날 인크. 제품)는 별개이지만 인접한 용기로부터 포말을 나란히 분배한다.
발포 직전에 두 성분을 혼합하는 것이 더 나을 수도 있다. 도 8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발포에 적당한 과산화수소 용액(104) 함유 제1 구획(102) 및 발포에 적당한 아세트산 용액(108) 함유 제2 구획(106)을 보유한 포말 분배 용기(100)를 도시한다. 아세트산 용액(108)은 배합물의 과산화수소 대신에 아세트산이 사용된 것을 제외하고는 과산화수소 용액과 유사하다(아세트산의 함량이 5중량%인 용액을 제공하는 경우). 각각 1방향 밸브(114) 및 (116)를 보유한 튜브(110) 및 (112)는 각각 제1 구획(102)과 제2 구획(106)으로부터, 포말 분배 노즐(120)이 연결되어 있는 혼합 챔버(118)로 유도한다. 제1 구획(102) 및 제2 구획(106)의 분사제는 기동력을 제공한다.
대안적인 수동식 성분 혼합 포말 분배기는 미국 특허 제5,918,771호("Aerosol Intended for Dispensing a Multi-Component Material", 전문이 본원에 참고인용됨)에 제시되어 있다. 대안적인 분사제 구동식 이원 성분 혼합 포말 분배기는 전문이 참고인용된 미국 특허 제6,305,578호에 개시되어 있다.
전지식 분무기도 편리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의 분무기 중 하나는 세인트-고베인 칼마, 인크.(미주리 그랜드뷰 소재)에서 입수할 수 있는 BOS-2 분무기이다. 이 분무기는 전지식 주입 헤드 및 다양한 시판 분무 노즐, 예컨대 포말을 배출구 부위에 트위스트(twist)를 통해 순환식 분무로 전환시키는 노즐을 구비한다. 이러한 분무기는 다량의 분사제 및 철회 수동식 구동화를 사용하지 않고도 다량의 포말을 제공할 수 있다.
실제, 기구(10)는 의료 시술 동안 최종적으로 사용되었을 때 용기(12)에 투입된다. 기구가 투입되는 시기 사이에 상당한 시간이 걸린다면, 용기(12)에 투입되는 각 기구(10) 위에 소량의 과산화수소 포말(14)이 첨가될 수 있다. 사용자는 모든 기구(10)가 용기에 투입될 때까지 기다린 후 포말(14)을 적용하여 기구(10)를 피복한 다음, 용기 위에 덮개를 덮을 수 있다. 포말(14)은 가벼워서 기구(10)와 포말(14)을 보유한 용기(12)를 시술 부위에서부터 최종 오염 제거 및 멸균이 실시될 부위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
사용자가 기구를 처리할 준비가 되면, 덮개를 열고, 소포 용액을 기구(10) 위에 덮인 포말(14) 위에 분무한다. 용액 중의 소포제는 포말(14)의 물리적 구조를 붕괴시키고 실활제는 과산화수소를, 바람직하게는 물과 산소로 붕괴한다. 필요하면, 기구는 용기 중에서 깨끗한 물이나 다른 용매로 헹굴 수도 있다. 그 다음, 사용자는 기구를 통상적인 방식으로 처리한다.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양태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을 숙지하면 변형과 개조가 수행될 수도 있음은 자명해진다. 본 발명은 이하 청구의 범위 또는 이의 등가물에 속하는 한 그러한 변형 및 개조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과산화수소 포말은 건조된 혈액에 대해서 우수한 세척능이 있고 상당한 정도의 항미생물 활성을 제공하여 오염제거 처리를 개시하여, 이로써 효과를 증강시키고 용기에서 회수될 때 기구 유래의 감염에 대하여 사람을 보호하는 효과를 약간 제공하는, 효소 포말에 비해 개선된 포말이다. 본 발명의 일부 관점에 따르면, 포말은 포말 수명 연장을 제공하기도 한다. 항미생물 활성은 사용된 기구를 최종적으로 세척 및 멸균하기 전에 그 기구와 접촉할 수 있는 사람에게 감염되지 않게 도움을 주는 바람직한 이점이다.

Claims (60)

  1. 기구의 표면을 과산화수소를 포함하는 포말로 피복하는 단계 및
    표면에 수분이 보유되도록 표면 위에 포말을 유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구의 표면이 오염된 이후의 기구의 처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표면 위의 혈액 침착물을 용해시키는 포말을 추가로 포함하는, 기구의 표면이 오염된 이후의 기구의 처리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혈액 침착물의 적어도 일부가 건조되어 있는, 기구의 표면이 오염된 이후의 기구의 처리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기구의 표면을 포말로 피복하기 전에 기구를 용기에 투입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기구의 표면이 오염된 이후의 기구의 처리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표면에 포말을 도포한 후에 용기를 밀폐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기구의 표면이 오염된 이후의 기구의 처리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기구와 포말이 내부에 투입된 용기를 기구가 세정되는 다른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기구의 표면이 오염된 이후의 기구의 처리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용기에 기구를 투입하기 전에 용기에 포말을 투입하는, 기구의 표면이 오염된 이후의 기구의 처리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용기에 기구를 투입한 후에 용기에 포말을 투입하는, 기구의 표면이 오염된 이후의 기구의 처리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기구가 세정될 때까지 표면에 포말을 유지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기구의 표면이 오염된 이후의 기구의 처리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포말과의 접촉을 통해 기구 위의 미생물을 사멸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기구의 표면이 오염된 이후의 기구의 처리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포말이 30분 동안에 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Pseudomonas aeruginosa)를 5 log 감소시키기에 충분한 항미생물 작용을 제공하는, 기구의 표면이 오염된 이후의 기구의 처리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포말이 10분 내에 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를 5 log 감소시키기에 충분한 항미생물 작용을 제공하는, 기구의 표면이 오염된 이후의 기구의 처리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기구 내의 내강을 과산화수소를 포함하는 용액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기구의 표면이 오염된 이후의 기구의 처리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포말이 가압식 포말 분배 용기로부터 적용되는, 기구의 표면이 오염된 이후의 기구의 처리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포말이 수동 펌프식 포말 분배 용기로부터 적용되는, 기구의 표면이 오염된 이후의 기구의 처리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기구의 표면을 포말로 피복하는 단계가 용기 내의 과산화수소를 함유하는 발포성 용액을 통해 기체를 통과시켜 용액을 발포시켜 표면을 피복하는, 기구의 표면이 오염된 이후의 기구의 처리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기체가 압력이 대기압보다 높고 기체 투과성이지만 발포성 용액 불투과성인 반투과성 장벽(barrier)을 통해 발포성 용액 내를 통과하는, 기구의 표면이 오염된 이후의 기구의 처리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용기에 진공을 형성시켜 공기가 발포성 용액을 발포하도록 유도하는, 기구의 표면이 오염된 이후의 기구의 처리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발포성 용액을 발포시키는 공기가 기체 투과성이고 발포성 용액 불투과성인 반투과성 장벽을 통해 발포성 용액으로 통과하는, 기구의 표면이 오염된 이후의 기구의 처리방법.
  20. 제1항에 있어서, 표면을 포말로 피복하는 단계가 용기 중에 과산화수소를 함유한 발포성 용액을 교반하여 용액을 발포시켜 표면을 피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구의 표면이 오염된 이후의 기구의 처리방법.
  21. 제1항에 있어서, 포말 속의 과산화수소의 비율이 0.1% 내지 15% 범위인, 기구의 표면이 오염된 이후의 기구의 처리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포말 속의 과산화수소의 비율이 2% 내지 10% 범위인, 기구의 표면이 오염된 이후의 기구의 처리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포말 속의 과산화수소의 비율이 3% 내지 8% 범위인, 기구의 표면이 오염된 이후의 기구의 처리방법.
  24. 제1항에 있어서, 포말이 계면활성제 및 개질 실리콘을 함유하는 포말 발생 증진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기구의 표면이 오염된 이후의 기구의 처리방법.
  25. 제1항에 있어서, 포말이 아크릴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증점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기구의 표면이 오염된 이후의 기구의 처리방법.
  26. 제1항에 있어서, 포말이 표면에 접촉한 후 1시간 넘게 부피의 50% 이상을 유지하는, 기구의 표면이 오염된 이후의 기구의 처리방법.
  27. 제1항에 있어서, 붕괴된 포말을 통해 기체를 통과시켜 재발포시킴으로써 붕괴된 포말을 복원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기구의 표면이 오염된 이후의 기구의 처리방법.
  28. 제1항에 있어서, 포말이 과아세트산을 추가로 포함하는, 기구의 표면이 오염된 이후의 기구의 처리방법.
  29. 제1항에 있어서, 포말에 소포제를 적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기구의 표면이 오염된 이후의 기구의 처리방법.
  30. 제1항에 있어서, 과산화수소를 중화시키는 중화제를 포말에 적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기구의 표면이 오염된 이후의 기구의 처리방법.
  31. 제1항에 있어서, 포말이 지질 용해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기구의 표면이 오염된 이후의 기구의 처리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지질 용해제가 글리콜 에테르를 포함하는, 기구의 표면이 오염된 이후의 기구의 처리방법.
  33. 제31항에 있어서, 지질 용해제가 d-리모넨을 포함하는, 기구의 표면이 오염된 이후의 기구의 처리방법.
  34. 기구의 세척 절차 전에 의료 기구의 오염된 표면 위에 발포성 용액을 발포시키라는 지시서를 포함하는 사용 지시서와 함께 포장된 과산화수소를 함유하는 발포성 용액을 함유한 기구 전처리 시스템.
  35. 제34항에 있어서, 세척 절차가 수행되어야 하는 시기까지 표면과 접한 상태로 포말을 유지시키고, 이에 의해 기구 위의 물질이 건조될 기회를 갖게 하라는 지시서를 추가로 포함하는, 기구 전처리 시스템.
  36. 제34항에 있어서, 발포성 용액이 가압식 포말 분배 용기 내에 제공되어 있는, 기구 전처리 시스템.
  37. 제34항에 있어서, 발포성 용액이 수동 펌프식 포말 분배 용기 내에 제공되어 있는, 기구 전처리 시스템.
  38. 제34항에 있어서, 포말 속의 과산화수소의 비율이 0.1% 내지 15% 범위인, 기구 전처리 시스템.
  39. 제38항에 있어서, 포말 속의 과산화수소의 비율이 2% 내지 10% 범위인, 기구 전처리 시스템.
  40. 제39항에 있어서, 포말 속의 과산화수소의 비율이 3% 내지 8% 범위인, 기구 전처리 시스템.
  41. 제34항에 있어서, 포말이 지질 용해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기구 전처리 시스템.
  42. 제41항에 있어서, 지질 용해제가 글리콜 에테르를 포함하는, 기구 전처리 시스템.
  43. 제41항에 있어서, 지질 용해제가 d-리모넨을 포함하는, 기구 전처리 시스템.
  44. 제43항에 있어서, d-리모넨이 약 0.01 내지 약 10중량%의 함량으로 포말에 존재하는, 기구 전처리 시스템.
  45. 제44항에 있어서, d-리모넨이 약 0.1 내지 약 5중량%의 함량으로 포말에 존재하는, 기구 전처리 시스템.
  46. 제45항에 있어서, d-리모넨이 1 내지 약 3중량%의 함량으로 포말에 존재하는, 기구 전처리 시스템.
  47. 제34항에 있어서, 포말이 부식 억제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기구 전처리 시스템.
  48. 제47항에 있어서, 부식 억제제가 알칸올아미드, 규산나트륨 및 트리아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기구 전처리 시스템.
  49. 제48항에 있어서, 부식 억제제가 약 0.01 내지 약 10중량% 범위의 함량으로 포말에 존재하는, 기구 전처리 시스템.
  50. 제49항에 있어서, 부식 억제제가 약 0.05 내지 약 2중량% 범위의 함량으로 포말에 존재하는, 기구 전처리 시스템.
  51. 제50항에 있어서, 부식 억제제가 0.1 내지 약 1.5중량% 범위의 함량으로 포말에 존재하는, 기구 전처리 시스템.
  52. 제34항에 있어서, 포말이 HIV 및 간염을 포함하는 혈액계 병원균에 대해 효과적인, 기구 전처리 시스템.
  53. 제34항에 있어서, 기구에 포말을 도포하는 용기를 추가로 포함하고, 당해 용기가 포말을 복원시키는 수단을 함유하는, 기구 전처리 시스템.
  54. 제53항에 있어서, 용기가 추가로 소정 시간 후 포말을 복원시키는 수단을 자동적으로 작동시키는 타이머를 내부에 포함하는, 기구 전처리 시스템.
  55. 의료 기구의 세척 전에 기구의 오염된 표면 위에 발포성 용액을 발포시키고 기구가 세척되어야 하는 시기까지 포말이 표면에 계속 접해 있게 하라는 지시서를 포함하는 사용 지시서와 함께 포장된, 항미생물제 및 지질 용해제를 포함하는 발포성 용액을 포함하는 기구 전처리 시스템.
  56. 제55항에 있어서, 항미생제가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를 포함하는, 기구 전처리 시스템.
  57. 제55항에 있어서, 지질 용해제가 d-리모넨을 포함하는, 기구 전처리 시스템.
  58. 제34항에 있어서, 과산화수소를 포함하는 발포성 용액의 제1 부분이 담겨 있는 제1 구획 및 아세트산을 포함하는 발포성 용액의 제2 부분이 담겨 있는 제2 구획을 보유한 분배기, 및 제1 부분의 발포성 용액과 제2 부분의 발포성 용액으로 구성된 전처리 포말을 분배하는 분배 헤드를 추가로 구비하는, 기구 전처리 시스템.
  59. 제58항에 있어서, 포말 형성 직후 전처리 포말 속의 아세트산의 비율이 3 내지 10중량% 범위인, 기구 전처리 시스템.
  60. 제59항에 있어서, 포말 형성 직후 전처리 포말 속의 아세트산의 비율이 5 내지 8중량% 범위인, 기구 전처리 시스템.
KR1020070032546A 2006-03-31 2007-04-02 과산화수소 포말 처리 KR200700987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396,186 US20070231196A1 (en) 2006-03-31 2006-03-31 Foam pretreatment for medical instruments
US11/396,186 2006-03-31
US11/421,288 US20070231200A1 (en) 2006-03-31 2006-05-31 Hydrogen peroxide foam treatment
US11/421,288 2006-05-31
US11/565,160 US20070228080A1 (en) 2006-03-31 2006-11-30 Hydrogen Peroxide Foam Treatment
US11/565,160 2006-11-30
US11/565,126 US20070231198A1 (en) 2006-03-31 2006-11-30 Hydrogen Peroxide Foam Treatment
US11/565,126 2006-11-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8757A true KR20070098757A (ko) 2007-10-05

Family

ID=38252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2546A KR20070098757A (ko) 2006-03-31 2007-04-02 과산화수소 포말 처리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1839681A1 (ko)
JP (1) JP2007268276A (ko)
KR (1) KR20070098757A (ko)
AR (1) AR060282A1 (ko)
AU (1) AU2007201416A1 (ko)
BR (1) BRPI0706323A2 (ko)
CA (1) CA2582981A1 (ko)
CO (1) CO5820215A1 (ko)
MX (1) MX2007003914A (ko)
TW (1) TW20080838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894603T3 (es) 2012-12-20 2022-02-15 Chemische Fabrik Dr Weigert Gmbh & Co Kg Aerosol para instrumento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79051A (en) * 1988-08-08 1989-11-07 Dow Corning Corporation Method of boosting foam in low sudsing detergents with zwitterionic polysiloxane
DE4331942C2 (de) * 1993-09-21 1996-02-22 Loeffler Karl Gmbh & Co Kg Verwendung einer Zusammensetzung zur Reinigung und Desinfektion von Gegenständen in der Brauindustrie
EP0744945A4 (en) * 1993-11-05 1998-09-09 Squibb & Sons Inc ANTIMICROBIAL SURFACE CLEANER CONTAINING CHLORHEXIDING GLUCONATE AND ALCOHOL
CA2219126A1 (en) * 1996-02-23 1997-08-28 Aram Garabedian Jr. Composition and apparatus for surface cleaning
DE19644653A1 (de) * 1996-10-26 1998-04-30 Diversey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Reinigung von mit Fett-, Stärke- und/oder Eiweißschmutz hochbelasteten Flächen, insbesondere in der Lebensmittelindustrie
US6187266B1 (en) * 1997-12-17 2001-02-13 Johnson & Johnson Medical, Inc. Integrated cleaning/sterilization process with lumen devices
US6566574B1 (en) * 1998-06-30 2003-05-20 Sandia Corporation Formulations for neutralization of chemical and biological toxants
EP1438380A4 (en) * 2001-08-07 2004-12-08 Fmc Corp HIGH RETENTION DISINFECTION SYSTEMS
US20050239675A1 (en) * 2002-04-01 2005-10-27 Munzer Makansi Carrier foam to enhance liquid functional performance
US6968982B1 (en) * 2002-09-18 2005-11-29 Burns Caleb E S Multiple-mist dispenser
NZ561741A (en) * 2005-03-07 2010-02-26 Deb Worldwide Healthcare Inc High Alcohol content foaming compositions with silicone-based surfacta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R060282A1 (es) 2008-06-04
EP1839681A1 (en) 2007-10-03
AU2007201416A1 (en) 2007-10-18
CA2582981A1 (en) 2007-09-30
JP2007268276A (ja) 2007-10-18
BRPI0706323A2 (pt) 2009-01-13
MX2007003914A (es) 2009-02-16
TW200808385A (en) 2008-02-16
CO5820215A1 (es) 2007-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98755A (ko) 의료 기구의 발포체 예비처리용 조성물
KR20070098756A (ko) 발포체 및 미스트 전달용 분배기
US6387858B1 (en) Safe transport gel for treating medical instruments
CA2335974C (en) Improved disinfection
JP7202660B2 (ja) 消毒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070231198A1 (en) Hydrogen Peroxide Foam Treatment
US20010053333A1 (en) Antimicrobial flash-dry disinfectant aerosol
US20070231199A1 (en) Hydrogen peroxide foam treatment
US20070231200A1 (en) Hydrogen peroxide foam treatment
EP1742672B1 (en) Decontamination system
US20070228080A1 (en) Hydrogen Peroxide Foam Treatment
ZA200702709B (en) Hydrogen peroxide foam treatment
ZA200702710B (en) Composition for a foam pretreatment for medical instruments
JP3650580B2 (ja) 多部の抗菌性滅菌組成物及び方法
KR20070098757A (ko) 과산화수소 포말 처리
AU2010200764B2 (en) Improved disinfection
IT202100025955A1 (it) Formulazione igienizzante e disinfettante
JP2022069327A (ja) 消毒剤の噴霧方法、噴霧消毒用薬剤及び噴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