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7302A -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97302A KR20070097302A KR1020070002610A KR20070002610A KR20070097302A KR 20070097302 A KR20070097302 A KR 20070097302A KR 1020070002610 A KR1020070002610 A KR 1020070002610A KR 20070002610 A KR20070002610 A KR 20070002610A KR 20070097302 A KR20070097302 A KR 2007009730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shaft
- headrest
- binding
- gear teeth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88—Head-rests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ng against abnormal g-forces, e.g. by displacement of the head-rest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60N2/82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adjusting mechanisms, e.g. electric mo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65—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providing a fore-and-aft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occupant's hea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002/899—Head-res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or mechanic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수동으로 높낮이와 전후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충돌(추돌)사고의 발생시에는 머리가 급격하게 뒤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위치로 즉시 자동·이동되게 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스테이로드의 수평부에 고정되며 일측판의 상단부에 복수의 기어치가 형성된 기판부재와, 상기 기판부재에 서로 평행하게 하부가 축 결합되는 제1,2 회동부재와, 발톱이 기어치중 어느 하나에 걸어져도 상기 제1 회동부재가 역 회동하지 못하게 하는 멈춤부재와, 상기 발톱이 선단의 기어치에 걸어지면 제1 회동부재가 더 이상 전방으로 회동하지 못하게 제동하는 제동부재와, 상기 멈춤부재의 회동을 제어하게 설치되는 전환스프링과, 상기 제1,2 회동부재의 각 상단부 양측에 각각 축 결합되는 힌지판과 직교되게 연장된 결속판으로 되는 결속부재와, 내면에 상기 결속판이 고정된 내피체를 장착하는 받침부재와, 상기 멈춤부재를 역 회동시켜 제동상태를 해제시켜 주는 해제부재 및 제동상태가 해제되면 받침부재를 원위치로 후진 이동시켜 주는 리턴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헤드레스트,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Description
도 1a, 1b는 종래의 평형이동 헤드레스트의 일 예의 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일부 절취 측면도
도 2a는 종래 가변이동 헤드레스트의 일예를 보인 사시도
도 2b는 동 가변이동 헤드레스트의 동작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 제1 실시예에 의한 헤드레스트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4는 도 3에서 요부를 발췌하여 확대한 정면도
도 5는 도 4의 사시도
도 6a는 도 4의 분해 사시도
도 6b는 도 4에서 핸들과 이음재를 발췌하여 보인 확대 단면도
도 7a-e는 도 4의 동작상태를 보인 확대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 제2 실시예에 의한 헤드레스트의 요부를 발췌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정면도
도 10은 도 8의 분해 사시도
도 11a-e는 도 8의 동작상태를 보인 확대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 제3 실시예에 의한 헤드레스트의 요부를 발췌한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정면도
도 14는 도 12의 분해 사시도
도 15a-e는 도 12의 동작상태를 보인 확대 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 제4 실시예에 의한 헤드레스트의 요부를 발췌한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정면도
도 18은 도 16의 분해 사시도
도 19a-e는 도 16의 동작상태를 보인 확대 측면도
도 20a-c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리벳관축을 장축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한 경우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21a-c는 발명 실시예에서 장축을 리벳관축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한 경우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22는 본 발명 제1-4 실시예에 의한 헤드레스트를 일반적인 시트의 등받이에 설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측면도
도 23은 본 발명 제1-4 실시예에 의한 헤드레스트를 제1 가변이동장치가 장착된 시트의 등받이에 설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측면도
도 24는 본 발명 제1-4 실시예에 의한 헤드레스트를 제2 가변이동장치가 장착된 시트의 등받이에 설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측면도
도 25a는 본 발명 제1-4 실시예에 의한 헤드레스트를 제3 가변이동장치가 장착된 시트의 등받이에 설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측면도
도 25b는 동 제3 가변이동장치의 동작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25c는 동 제3 가변이동장치를 발췌하여 분해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테이로드
20 : 기판부재
20' : 기판 21,21' : 양측판
22 : 기어치 20A : 레버래칫
24 : 받침부 22a : 걸이부
22b : 후단턱
30 : 제1 회동부재
31, 31' : 양면판 32 : 전면판
331 : 받침턱
30' : 제2 회동부재 30a,30b :주축
31a,31b : 양측편 32a : 후면판
33a : 축공 35 : 축결합공
40 : 멈춤부재
41 : 발톱 42 : 걸림부
40' : 제동부재
50 : 전환스프링
60,60' : 결속부재
61 : 힌지판 62 : 결속판
60a : 리벳관축 60a' : 리벳축
70 : 받침부재
71 : 내피체
80 : 해제부재
81 : 핸들 82 : 가동장축
83 : 가압레버 84 : 코일스프링
85 : 이음재 86 : 지지관체
90 : 리턴스프링
100 : 등받이
101 : 프레임 102 : 힌지축
103 : 관통구 110 : 가동판
111 : 결속공 120 : 소켓관
130 : 스프링 140 : 스토퍼
본 발명은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평상시에는 머리를 받쳐주는 받침부재의 높낮이 및 전후위치를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함은 물론 충돌(추돌)사고의 발생시에는 머리가 급격하게 뒤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한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는 시트의 등받이 상단에 설치하여 탑승자의 머리를 받쳐주는 것으로서, 종래에는 탑승자의 필요에 따라 받침부재의 높낮이 및 전후위치 조절을 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헤드레스트와, 충돌(추돌)사고가 발생하면 받침부재가 즉시 전방으로 이동되어 탑승자의 머리가 급격히 뒤로 젖혀지지 않게 받쳐주므로 목 부상 등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헤드레스트가 있었다.
전자의 승강 및 전후이동 기능을 갖는 헤드레스트로는 도 1a, 1b에서 보는 바와 같은 본원 출원인의 선등록 발명인 자동차용 헤드레스트(특허등록 제510152호) 등이 있는데, 이 헤드레스트는 받침부재의 높낮이를 조절할 때에는 스테이로드(1)를 이용하여 수직방향으로 승강시켜 주면 되고, 전후위치를 조절할 때에는 전방으로 당기는 정도에 따라 위치가 이동됨과 동시에 내부에 장착된 기판부재(2)와 발톱(3a)이 상기 기판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기어치(2a)중에서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걸어지게 축 결합설치되는 멈춤부재(3)의 작동에 의해 이동된 위치에서 정지되어 머리를 받쳐주게 하였다.
그리고, 받침부재를 전방으로 당겨서 이동시켜 발톱(3a)이 기어치(2a)중에서 선단의 기어치에 걸어진 다음에도 더 당겨주면 상기 발톱의 전측에 구비되어 있는 받침돌기(3b)가 상기 선단 기어치의 전단에 구비된 해제턱에 받쳐져서 상향되게 하므로 멈춤부재(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발톱이 상향되면서 선단의 기어치로부터 벗어나 걸림상태가 해제되게 함과 동시에 상기 발톱이 기어치에 걸어져 있도록 멈춤부재의 후단측을 하향시켜주는 힘으로 작용하던 전환스프링의 탄력이 작용하던 방향이 반대로 바뀌어 선단측을 하향시켜 주는 힘으로 작용하여 해제상태가 유지되 게 하며, 이러한 상태에서 헤드레스트를 놓아주면 받침부재를 항상 후방으로 탄발시켜 주도록 장착되어 있는 리턴스프링의 탄력이 작용하여 받침부재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원위치시켜 주고, 이때는 상기 멈춤부재의 전단에 하향연장된 걸림부(3d)가 상기 해제턱에 받쳐지면서 상향되기 때문에 멈춤부재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하강하는 발톱이 기판부재의 후단 기어치에 걸어짐과 동시에 전환스프링의 탄력이 하강한 후단을 하향시켜주는 힘으로 작용하게 전환되어 받침부재는 원위치에 정지되어 있게 하였다.
따라서, 전자의 헤드레스트는 평상시에는 탑승자의 필요에 따라 받침부재의 높낮이와 전후위치조절은 가능하지만, 충돌(추돌)사고가 발생하였을 때에는 헤드레스트가 임의로 후진하여 원위치 되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머리가 뒤로 젖혀지지 않게 받쳐주는 작용을 하지 못하므로 목 부상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정면 충돌사고가 발생하면 관성에 의해 탑승자의 상체가 전방으로 숙여졌다가 후방으로 젖혀지면서 등판이 시트의 등받이에 부딪히게 되어 등판은 더 이상 뒤로 젖혀지지 않고 멈추게 되는데, 이때 받침부재가 머리를 받쳐주지 못하면 상체가 뒤로 젖혀질 때의 가속도에 의한 관성으로 머리가 순간적으로 뒤로 젖혀지므로 목이 뒤로 꺾이게 되어 심각한 목 부상을 당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전자의 헤드레스트는 정면 충돌시 탑승자의 상체가 전방으로 숙여질 때 시트의 등받이는 앞으로 숙여지지 않게 되는데, 이때 등받이에 가해지는 충격이 헤드레스트를 항상 후진방향으로 탄발시켜 주게 장착되어 있는 리턴스프링의 탄력 보다 강하면 그 충격에 비례하는 반동에 의해 헤드레스트는 어느 위치에 있어도 전방으로 완전히 이동하게 되어 멈춤부재(3)의 발톱(3a)이 기판부재(2)의 선단 기어치(2a)를 넘어가게 되며, 이렇게 되면 걸림상태가 해제됨과 동시에 리턴스프링(4)의 탄력이 작용하여 받침부재를 즉시 후방으로 원위치시켜 주므로 탑승자의 등판이 등받이에 부딪힐 때 받침부재는 이미 후진하여 있기 때문에 뒤로 급격하게 젖혀지는 머리를 받쳐주지 못하게 되어 심각한 목 부상이 발생하는 것을 전혀 방지할 수 없게 되었다.
한편, 후자의 헤드레스트로는 도 2a,b에서 보는 바와 같은 가변이동 헤드레스트장치(2002.1.28. 미국특허출원 10/184,675)가 있는데, 이 가변이동 헤드레스트는 충돌(추돌)사고의 발생시 탑승자의 등판이 등받이에 부딪혀 그 내부에 힌지축으로 회동하게 장착되어 있는 타격판(1A)을 타격하게 되며, 이때 그 힘이 상기 타격판을 전방으로 당겨주고 있는 스프링(1B)의 탄력보다 크면 타격판이 뒤로 밀리게 되므로 상부에 로드(2A)로 연결된 헤드레스트(3A)가 전방으로 기울어져서 뒤로 젖혀지려는 머리를 받쳐주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후자의 헤드레스트(3A)는 등판이 타격판(1A)을 타격하여 뒤로 밀리게 하는 순간에는 전방으로 이동되어 머리를 받쳐주는 위치에 도달하게 되고 그 순간이 지나면 스프링(1B)의 탄력이 작용하여 타격판을 즉시 전방으로 원위치시켜 주기 때문에 헤드레스트가 후방으로 이동되는 현상이 발생하므로, 등판이 타격판을 타격한 이후에 머리가 조금이라도 늦게 뒤로 젖혀지게 되면 헤드레스트는 후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에 있거나 또는 이미 이동되어 있게 되므로 머리를 적시에 받쳐주지 못하게 되는 등 그 효율성이 극히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머리가 뒤로 젖혀져 목 부상을 당하게 되는 사고의 발생 빈도는 그리 높지 않기 때문에 평상시에는 높낮이나 전후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야 탑승자의 편의에 따라 헤드레스트를 활용하는 것이 가능한데 그러하지 못하므로 활용도가 한정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헤드레스트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평상시에는 탑승자의 편의에 따라 높낮이와 전후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충돌(추돌)사고가 발생하면 받침부재가 자동으로 전방으로 이동하여 최적의 위치에서 머리를 받쳐주어 뒤로 급격하게 젖혀지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방으로 이동하여 정지되어 있는 받침부재의 정지상태를 간단히 해제시켜 평상시의 사용상태로 전환할 수 있게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들은, 평상시에는 받침부재를 전방으로 당기면 당겨지는 정도에 따라 전진하여 그 전후위치가 조절되게 하고 계속 당겨주거나 또는 충돌(추돌)사고의 발생시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한 반동으로 전진하여 머리를 뒤로 젖혀지지 않게 받쳐주는 최상의 위치에 도달하면 그 위치에서 정지되어 있게 함과 동시에 이러한 정지상태를 간단히 해제시켜 줄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데, 상기 헤드레스트는 평상시 높낮이를 조절할 때에는 스테이로드를 이용하여 수직방향으로 승강시켜 주면 되고 전방으로 당기면 당겨지는 정도에 따라 전후위치가 이동 조절되게 함과 동시에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기판부재에 형성된 복수의 기어치중에서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발톱이 걸어지게 축 결합된 멈춤부재의 작용에 의해 조절된 위치에서 정지되어 머리를 받쳐주게 하고 완전히 전진 이동시켜 주면 그 위치에서 정지되어 더 이상 전후로 이동하지 않게 하여 충돌(추돌)사고의 발생시에는 최적의 위치에서 머리가 뒤로 젖혀지지 않도록 받쳐주어 머리가 급격하게 뒤로 젖혀져 발생하던 목 부상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토록 함은 물론 정지상태를 간단히 해제시켜 평상시의 사용상태로 전환되게 하는 해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 제1 실시예에 의한 헤드레스트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요부를 발췌하여 확대한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사시도이고, 도 6a는 도 4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b는 도 4에서 핸들과 이음재를 발췌하여 보인 확대 단면도이고, 도 7a-e는 도 4의 동작상태를 보인 확대 측면도이다.
본 발명 제1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는, 수평부(11)와 그 양단에 서로 평행하게 하향연장된 양 수직부(12)로 이루어지게 강 봉 또는 강 파이프로 제작되는 스테이로드(10)와, 상기 스테이로드의 수평부 중간부에 기판(20')이 고정 착설되며 상기 기판의 양단에 서로 평행하게 상향연장된 양측판(21)(21')들 중 일 측판(21)의 후단에서 전단을 향해 상향경사진 상단부에는 기어치(22)가 형성된 기판부재(20)와, 전면판(32)과 상기 전면판의 양단에 서로 평행하게 후방으로 연장되는 양면판(31)(31')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양면판의 하단부를 기판부재의 양측판들 전측부에 각각 축 결합하여 직립설치되는 제1 회동부재(30)와, 후면판(32a)과 상기 후면판의 양단에 서로 평행하게 전방으로 연장되는 양측편(31a)(31b)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양측편의 하단부를 상기 기판부재의 양측판들 후측부에 각각 축 결합하여 제1 회동부재의 직 후방에 서로 평행하게 직립설치되는 제2 회동부재(30')와, 상기 제1 회동부재의 일면판(31)의 내면에 축 결합 설치되며 후단에 는 발톱(41)이 전단에는 걸림부(42)가 하향 연장된 멈춤부재(40)와, 상기 기판부재에 부설되며 제1 회동부재가 전방으로 완전히 회동하여 멈춤부재의 발톱이 기어치들 중 선단의 기어치에 걸어지면 제1 회동부재가 더 이상 전방으로 회동하지 못하게 제동하는 제동부재(40')와, 일단(51)은 상기 일면판에 걸어주고 타단(52)은 상기 멈춤부재에 걸어주어 설치되며 상기 발톱이 기어치에 걸어질 때에는 탄력이 발톱을 하강시키는 힘으로 작용하고 발톱이 완전히 상승하여 기어치로부터 벗어나면 상승시키는 힘으로 작용하게 그 작용방향이 전환되는 전환스프링(50)과, 각 전단부는 상기 제1 회동부재의 양면판들 상단부에 각각 축 결합하고 각 후단부는 제2 회동부재의 양측편들 상단부에 각각 축 결합하여 상기 제1,2 회동부재가 함께 회동하게 결속하는 힌지판(61)과 상기 힌지판의 후단에 직교하게 연장되며 받침부재(70)의 내부에 장착되는 내피체(71)의 내면에 고정되는 결속판(6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2 회동부재가 전후 회동하면 내피체가 평형상태로 전후 이동하게 결속하는 결속부재(60)(60') 와, 상기 받침부재의 일측면에 노출되게 부설되어 있는 핸들(81)을 조작하여 상기 멈춤부재를 역 회동시켜서 발톱이 상승하여 기어치로부터 상향 이탈되게 하면 제1 회동부재의 정지상태가 해제되게 하는 해제부재(80)와, 일단(91)은 상기 기판부재에 걸어주고 타단(92)은 상기 제1,2 회동부재 중 어느 하나에 걸어주어 설치되며 해제부재에 의해 정지상태가 해제되면 탄력이 제1,2 회동부재를 즉시 후방으로 역 회동시켜 받침부재가 원위치로 후진 이동되게 작용하는 리턴스프링(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테이로드(10)의 수평부(11)는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내피체(71)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수평부의 양단에 하향연장된 양 수직부(12)는 상기 내피체의 저면 양쪽에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 장공을 통해 받침부재(70)의 하부로 노출되게 하여 시트 등받이(100)의 상단부에 결합한다.
따라서, 양 수직부(12)를 이용하여 받침부재(70)의 높낮이를 수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조절된 위치는 일 수직부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노치(13)를 선택적으로 걸어주게 등받이(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스토퍼(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정지된다.
강판으로 제작되는 기판부재(20)는 기판(20')을 수평부(11)에 용접하여 고정 착설하는 것으로서, 양측에 직교되게 상향연장된 양측판(21)(21')의 하측부의 전후 동일선상에 각각 형성된 축공을 관통하게 결합하는 주축(30a)(30b)의 양단부에는 제1,2 회동부재(30)(30')의 하부를 각각 축 결합하여 전후로 회동하게 설치한다.
그리고, 일측판(21)의 상단부는 후단에서 전단을 향해 상향경사지게 하여 기 어치(22)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제1 회동부재(30)의 하부는 기판부재(20)의 전측부에 주축(30a)으로 축 결합되어 전후로 회동하게 설치되는 반면에 멈춤부재(40)는 상기 제1 회동부재의 일면판(31)의 내면 상측에 힌지축(40a)으로 축 결합되어 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선상에서 전후 이동하게 설치되는 것이므로 발톱(41)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어느 위치에서도 상기 기어치중 어느 하나에 더욱 확실하게 걸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강판으로 제작되는 제1 회동부재(30)의 양면판(31)(31')은 전면판(32)의 양측에 후방으로 직교되게 연장되고 제2 회동부재(30')의 양측편(31a)(31b)은 후면판(32a)의 양측에 전방으로 직교되게 연장되는 것으로서, 상기 양면판의 간격은 기판부재(20)의 양측판(21)(21')의 간격보다 크고 상기 양측편의 간격은 양측판의 간격보다 작게 함과 동시에 상기 양면판의 하부는 양측판의 전측의 외면에 또 양측편의 하부는 양측판의 후측 내면에 위치하게 각각 축 결합 함으로써 상기 제1,2 회동부재는 서로 접촉하지 않게 격리 설치되어 전후 회동이 간섭없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제1 회동부재(30)의 전면판(32)에는, 일면판(31)의 내면에 축 결합 설치된 멈춤부재(40)가 위치하는 부분에 관통구(33)를 형성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멈춤부재의 발톱(41)이 선단의 기어치(22)에 걸어져 있을 때 그 상태를 전방에서 해제부재(80)로 해제시켜 줄 수 있도록 한다.
강재로 제작되는 멈춤부재(40)는 중간부가 힌지축(40a)으로 일면판(31)의 내면 상측부에 축 결합되어 정·역 회동하게 설치되며, 전단에는 발톱(41)이 하강하 여 기어치(22)에 걸어져 있을 때에는 상승되어 있고 반대로 해제부재(80)를 조작하여 멈춤부재(40)를 역 회동시켜서 상기 발톱이 상승하여 기어치로부터 벗어나게 하면 반대로 하강되는 걸림부(42)가 하향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일면판(31)의 후측 상단에는 걸이편(34)을 일체로 부설하여 멈춤부재(40)의 역 회동으로 발톱(41)이 상승하여 기어치(22)로부터 완전히 벗어나게 되면 더 이상 상승하지 않도록 후단부의 상면을 받쳐주게 한다.
이러한 멈춤부재(40)는 발톱(41)이 선단의 기어치(22)에 걸어져 있는 상태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해제부재(80)를 조작하여 상승되어 있는 걸림부(42)를 관통구(33)를 통해 전방에서 가압하여 하강시켜 주면 역 회동하게 되며, 이렇게 되면 상기 발톱이 상승되어 선단의 기어치로부터 상향 이탈되므로 제1 회동부재(30)는 상기 멈춤부재에 의한 정지상태가 해제된다.
이와 같이 정지상태가 해제되면, 리턴스프링(90)의 탄력이 작용하여 제1 회동부재(30)를 즉시 후방으로 회동시켜 주므로 제2 회동부재(30')도 함께 후방으로 회동하며, 이러한 과정에서 상승된 상태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는 상기 발톱이 기어치중에서 후단의 기어치 직 상부에 근접하게 될 때에는 하강하여 있는 걸림부(42)가 일측판(21)에서 후단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전단턱(23)에 걸어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도 제1,2 회동부재(30)(30')는 후방으로 더 회동하므로 걸림부(42)가 전단턱(23)을 넘어가는 과정에서 상향 젖혀지게 되어 멈춤부재(40)는 정 회전하고, 이에 따라 발톱(41)이 하강하여 후단의 기어치에 걸어지게 됨으로써 상기 제1,2 회동부재는 후방으로 완전히 회동한 원위치에서 정지된다.
제동부재(40')는 제1,2 회동부재(30)(30')가 전방으로 회동하여 멈춤부재(40)의 발톱(41)이 기어치(22)중에서 선단의 기어치에 걸어지면 더 이상 전방으로 회동하지 못하게 제동하여 상기 발톱이 선단의 기어치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서, 별도로 제작하여 기판(20')의 전단부 또는 타측판(21')의 전단면 하측부 중 어느 한 곳에 착설하면 된다.
그러나, 이렇게 하는 경우에는 부품 및 조립공수 등이 증가하기 때문에 기판부재(20)에 일체로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는 제동부재(40')를, 제1,2 회동부재(30)(30')가 전방으로 회동하여 멈춤부재(40)의 발톱(41)이 기어치(22)중에서 선단의 기어치에 걸어지면 전면판(32)의 하단을 받쳐주어 더 이상 전방으로 회동하지 못하게 할 수 있도록 기판부재(20)의 일측판(21)의 전단면 하측부에 돌출하여 일체로 설치하면 된다.
그리고, 제동부재(40')는 제1,2 회동부재(30)(30')가 전방으로 회동하여 멈춤부재(40)의 발톱(41)이 기어치(22)중에서 선단의 기어치에 걸어지면 즉시 전면판(32)의 하단을 받쳐주게 설치하여도 되지만, 이렇게 하는 경우에는 상기 발톱과 선단의 기어치가 맞물려 있는 상태에서 해제부재(80)를 조작하여 제동상태를 해제시켜 줄 때 발톱이 기어치에서 순조롭게 이탈되지 않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큰 힘을 들여 이탈시켜 주어야된다.
이런 점을 감안하여 제동부재(40')는, 발톱(41)이 선단의 기어치(22)에 걸어졌을 때 제1 회동부재(30)의 전면판(32)의 하단과 상기 제동부재의 상단 사이에 소정의 간격(t)이 유지되는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의 간격(t)은 그 범위내에서 제1 회동부재(30)가 전방으로 더 회동하여도 발톱(41)이 선단의 기어치(22)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되는 정도면 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해제부재(80)를 조작하여 제동상태를 해제시킬 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회동부재가 간격의 범위내에서 조금 더 전방으로 회동되게 하여 발톱(41)이 선단의 기어치로부터 적절히 상향된 상태에서 멈춤부재(40)를 역 회동시켜 주면 되기 때문에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해제시켜 줄 수 있게 된다.
전환스프링(50)은 강선을 원호형태로 구부려서 되는 것으로서, 일단(51)은 일면판(31)의 상측부의 결속공에 걸어주고 타단(52)은 멈춤부재(40)의 후단부측의 결속공에 걸어주어 설치함으로써 발톱(41)이 기어치(22)에 걸어져 있을 때에는 탄력이 상기 멈춤부재의 후단부를 하강시키는 힘으로 작용하여 발톱이 임의로 기어치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므로 제1,2 회동부재(30)(30')의 정지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며, 상기 후단부가 상승하여 발톱이 기어치로부터 벗어나면 탄력이 작용하는 방향이 반대로 전환되어 발톱이 임의로 하강하지 못하게 상승시켜줌으로써 제1,2 회동부재가 역 회동하여 받침부재(70)를 후방으로 원위치시켜주는 과정에서는 상기 발톱이 기어치(22)에 걸어지지 않게 된다.
이렇게 하는 것은, 제1,2 회동부재(30)(30')가 역 회동하는 과정에서 발톱(41)이 임의로 하강하게 되면 받침부재(70)가 원위치로 완전히 후진 이동되기 전에 상기 발톱이 중도의 기어치(22)중 어느 하나에 걸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상기 받침부재의 후진이동이 중도에서 멈추게 됨은 물론 이에 따라 받침부재의 위치 조절범위가 제한되는 것 등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제1 회동부재(30)의 양면판(31)(31')의 각 상단부는 강판으로 제작되는 결속부재(60)(60')의 각 힌지판(61)의 전단부와 각각의 리벳관축(60a)으로 축 결합하여 회동되게 하고, 제2 회동부재(30')의 양측편(31a)(31b)의 각 상단부는 상기 각 힌지판의 후단부를 관통하게 착설하는 장축(60b)으로 축 결합하여 회동되게 한다.
그리고, 리벳관축(60a)은 장축(60b)과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게 착설하고 또 제1,2 회동부재(30)(30')의 하부를 각각 기판부재(20)에 축 결합하는 주축(30a)은 주축(30b)과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게 착설하여, 상기 제1,2 회동부재의 각 상단부는 각각의 주축을 축으로 하는 원호선상에서 나란히 전후 회동하게 하였기 때문에 상기 리벳관축과 장축에 전후단부가 각각 축 결합된 결속부재(60)(60')는 평형상태로 전후 이동하게 된다.
받침부재(70)의 내부에 수용되는 내피체(71)는 합성수지로 성형되는 것으로서, 상기 받침부재의 외피와 내피체의 사이에는 발포액을 주입하여 발포시켜 되는 쿠션재가 충진되기 때문에 상기 내피체는 쿠션재에 의해 외피와 한 몸체로 됨과 동시에 상기 내피체의 내면에는 결속부재(60)의 결속판(62)이 착설하여 서로 결속하므로, 제1,2 회동부재(30)(30')가 전후 회동하면 상기 받침부재는 결속부재와 함께 평형상태로 전후 이동하게 된다.
해제부재(80)는, 외단에는 핸들(81)이 직교되게 축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며 내단은 제1 회동부재(30)의 양면판(31)(31')의 각 상부와 결속부재(60)(60')의 각 전단부를 축 결합하는 각각의 리벳관축(60a)을 관통하게 결합하여 축 방향으로 이 동하지 않게 설치되는 가동장축(82)과, 하단부가 멈춤부재(40)의 걸림부(42)의 직 전방에 위치하게 상단부가 상기 가동장축에 착설되어 함께 회동하게 설치되는 가압레버(83)와, 상기 가동장축에 결합되며 일단(841)은 상기 가압레버에 결속하고 타단(842)은 제1 회동부재(30)의 상단부에 형성하는 결속홈(36)에 결속하여 그 탄력이 상기 가동장축을 정 회전시켜 주는 힘으로 작용하는 코일스프링(8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핸들(81)은 합성수지로 성형하며, 하부의 내측부 중앙에 형성되는 결합공(811)에 가동장축(82)의 외단부를 결합하고 외측에서 고정나사(812)를 체결하여 함께 회전하게 연결한다.
가동장축(82)은 강봉으로 되는 것으로서, 외주면의 일부를 축 방향으로 절삭하여 되는 평면상의 결속면(821)가 구비되고, 내단측에는 고정링(823)을 결착하는 체결홈(822)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장축(82)의 외단부에 고정나사(812)를 직접 체결할 때에는 외단부에 나사체결공을 형성하면 되지만, 상기 가동장축의 직경이 체결할 고정나사의 체결공을 형성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에는 가동장축의 외단부와 결합공(811)의 사이에 이음재(85)를 개재시켜 연결하여도 된다.
이음재(85)는 합성수지로 성형하는 것으로서, 중앙의 내측부에는 가동장축(82)의 외단부를 결착하는 결착공(851)을 소정 깊이로 형성하고, 외측부에는 고정나사(812)의 체결공(852)을 형성하며, 아울러 핸들(81)의 결합공(811)의 내경은 상기 이음재의 외경에 비례하게 형성한다.
또한, 이음재(85)의 외주면과 결합공(811)의 내주면의 서로 대응하는 부위에는 각각 축 방향으로 복수의 결착돌기(853)와 결착홈(813)을 형성함과 동시에 결착공(851)은 가동장축(82)의 외주면과 동일한 형태로 되게 형성함으로써 서로 결합하여 조립하는 것만으로도 함께 회전하게 연결된다.
가압레버(83)는 강판으로 제작되는 것으로서, 상단부에는 가동장축(82)의 외주면과 동일한 형태의 결속축공(831)을 형성하여 결합하는 것만으로도 함께 회전되게 하며, 후단면의 중간부위에는 코일스프링(84)의 일단(841)을 걸어주는 걸이돌기(832)를 구비하여 된다.
이와 같은 가압레버(83)는, 제1,2 회동부재(30)(30')가 전방으로 회동하여 멈춤부재(40)의 발톱(41)이 기어치(22)중에서 선단의 기어치에 걸어지면 제동부재(40')의 작용에 의해 더 이상 전방으로 회동하지 못하게 정지되어 상기 발톱이 선단의 기어치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된 제동상태에서 제동을 해제시켜 주기 위해 핸들(81)을 전방으로 당겨서 가동장축(82)을 역 회동시켜 주면 하향 회동되면서 그 하단부가 상향되어 있는 상기 멈춤부재의 걸림부(42)의 전단부를 가압하여 하강시켜 주는 동작을 하며, 이렇게 되면 상기 걸림부가 하향됨에 따라 멈춤부재가 역 회동하므로 발톱이 상승하여 선단의 기어치로부터 이탈되기 때문에 제동상태가 해제되게 한다.
코일스프링(84)은 전방으로 당겨주었던 핸들(81)을 놓아주면 탄력이 작용하여 가압레버(83)를 상향 회동시켜 주므로 가동장축(82)과 상기 핸들을 원위치로 역 회동시켜 줌과 동시에 원위치 된 상기 가동장축이 임의로 정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작용을 하며, 아울러 상기 가압레버를 일면판(31)의 내면측으로 밀어서 멈춤부재(40)의 직 상부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지지하는 작용도 한다.
그리고, 가압레버(83)가 코일스프링(84)에 의해 일면판(31)의 내면측으로 밀리게 되어도 가동장축(82)은 그 내단측에 결착되어 타면판(31')의 외면에 걸어지는 고정링(823)에 의해 상기 코일스프링이 가압레버를 밀어주는 방향으로는 밀리지 않게 되지만, 상기 코일스프링의 전장이 타단(842)측과 타면판(31')의 내면 사이의 거리에 비해 짧으면서 상기 타단이 전면판(32)의 상단에 형성된 결속홈(36)에 걸어지는 상태에서는 상기 가동장축을 타단측으로 밀게 되는 경우 그 힘이 상기 코일스프링의 탄력보다 크면 상기 가압레버가 함께 타면판측으로 밀려서 멈춤부재(40)의 직 상부에서 벗어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에 가동장축에서 일면판(31)의 외면측에 해당하는 부위에도 체결홈(822)을 형성하여 고정링(823)을 결착함으로써 상기 가동장축이 어느 측으로도 밀리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에서는 가압레버(83)가 코일스프링(84)에 의해 지지되어 그 위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한 것으로 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코일스프링의 타단(842)과 제1 회동부재(30)의 타면판(31')의 내면 사이의 간격에 비례하는 길이로 되게 합성수지로 성형한 지지관체(86)를 가동장축(82)에 결합하고, 상기 코일스프링의 타단은 지지관체의 일측부에 형성한 걸이홈(861)에 걸어주면 된다.
물론, 이렇게 할 때에는 지지관체(86)는 가동장축(82)과 함께 회동하지 않아야 코일스프링(84)의 탄력이 작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므로, 상기 지지관체의 축 공(862)은 원형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외주면에는 회전방지턱(863)을 돌출 형성하여 상기 가동축관이 정 회전될 때 회전방지턱이 제1 회동부재(30)의 전면판(32)의 상단면에 받쳐져서 함께 회전하지 못하게 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지지관체(86)를 사용하지 않고 가압레버(83)와 타면판(31')의 내면 사이의 간격에 비례하는 길이의 코일스프링(84)을 가동장축(82)에 결합하거나 타단(842)을 상기 타면판측으로 길게 연장하고, 타면판 또는 전면판(32)의 해당부위에 결속홈을 형성하여 상기 타단을 결속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제1 실시예에 의한 헤드레스트는 시트 등받이(100)의 상단부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평상시 받침부재(70)의 높낮이를 조절할 때에는 양 수직부(12)를 이용하여 수직으로 승강시켜 주면 되고, 조절된 위치는 일 수직부에 상하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노치(13)를 선택적으로 걸어주게 등받이(100)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스토퍼(도시하지 않음)의 작용에 의해 정지되어 있게 된다.
또한, 평상시에 받침부재(70)의 위치를 전후로 조절하는 것은 멈춤부재(40)의 발톱(41)이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기어치(22)의 개수 범위내에서 이루어지는데, 상기 받침부재는 도 7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발톱이 후단의 기어치에 걸어져 있을 때 제일 후방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받침부재를 전방으로 당겨주면 제1,2 회동부재(30)(30')가 전방으로 회동하게 되므로 상기 발톱은 기어치를 차례로 넘어가게 되고, 필요한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더 당기지 않고 놓아주면 리턴스프링(90)의 탄력이 작용하여 상기 회동부재를 후방으로 회동시켜 주게 되는데, 이때는 발톱(41)이 해당 위치의 기어치(22)에 걸어지고 전환스프링(50)의 탄력은 상기 발톱이 기어치로부터 상향 이탈되지 않도록 하강시켜 주는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받침부재(70)는 조절된 위치에서 정지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받침부재(70)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기어치(22)의 개수 범위내에서 다단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전방으로 이동된 상기 받침부재의 위치를 후방으로 완전히 이동시켜 줄 때에는 발톱(41)이 어느 위치의 기어치(22)에 걸어져 있던지 핸들(81)을 전방으로 당겨서 가동장축(82)을 역 회전시켜 가압레버(83)를 하향회전시켜 주면 된다.
이렇게 하면, 도 7d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압레버(83)는 멈춤부재(40)의 전단측을 가압하여 하강시켜 주므로 발톱(41)이 상승하여 해당 기어치(22)로부터 이탈됨과 동시에 전환스프링(50)의 탄력은 상기 발톱을 하강하지 않게 작용하는 방향으로 전환되고, 이 상태에서 당겨주었던 상기 핸들을 놓으면 리턴스프링(90)의 탄력이 작용하여 제1,2 회동부재(30)(30')를 후방으로 회동시켜 주므로 받침부재(70)는 후방으로 이동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발톱이 후단의 기어치에 근접하면 도 7e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걸림부(42)가 전단턱(23)에 걸어져 넘어가면서 상승하는 동작에 의해 상기 발톱이 하강하여 도 7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후단의 기어치에 걸어지므로 받침부재는 후방으로 이동하여 원위치 된 상태에서 정지된다.
이에 따라, 평상시에는 그 높낮이나 전후 위치를 편의에 따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충돌(추돌)사고의 발생으로 등받이(100)에 가해지는 충격이 리턴스프링(90)의 탄력보다 큰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그 반동에 의해 즉시 제1,2 회동부재(30)(30')가 완전히 전방으로 회동하기 때문에 받침부재(70)도 동시에 전방으로 완전히 이동됨과 동시에 도 7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회동부재(30)의 전면판(32)의 하단이 제동부재(40')에 받쳐지게 되어 더 이상 전방으로 회동하지 않게 제동되며, 이 상태에서 리턴스프링(90)의 탄력은 상기 제1,2 회동부재를 후방으로 회동시켜 주게 작용하지만 이때 멈춤부재(40)의 발톱(41)은 도 7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선단의 기어치(22)에 즉시 걸어지게 되므로 상기 받침부재는 전방으로 완전히 이동된 위치에서 정지되고, 이 후에 탑승자의 머리가 뒤로 젖혀지기 때문에 상기 받침부재는 최적의 위치에서 뒤로 젖혀지려는 머리를 받쳐줌에 따라 목이 뒤로 꺾이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심각한 목 부상이 유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 제2 실시예에 의한 헤드레스트의 요부를 발췌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정면도이며, 도 10은 도 8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a-e는 도 8의 동작상태를 보인 확대 측면도이다.
본 발명 제2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는, 제1 회동부재(30)의 일면판(31)의 상측부에 수평으로 착설하는 래버레칫(20A)의 저면에 기어치(22)를 형성하고, 상기 기어치에 걸어지는 발톱(41)이 상단에 형성된 멈춤부재(40)는 하단부를 기판부재(20)의 일측판(21)에 축 결합하여 설치하며, 해제부재(80)의 가동장축(82)은 제2 회동부재(30')의 후면판(32a)의 양측에서 전방으로 직교된 부분에 각각 형성한 축공(33a)을 관통하게 축 결합하여 설치함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 제2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는, 강봉 또는 강파 이프로 제작되는 스테이로드(10)와, 상기 스테이로드의 수평부에 착설되는 기판부재(20)와, 하부가 상기 기판부재의 전측부에 축 결합되어 전후로 회동하게 설치되는 제1 회동부재(30)와, 상기 제1 회동부재의 일면판(31)의 내면에 착설되며 하단에는 기어치(22)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레버래칫(20A)과, 상기 제1 회동부재와 평행하게 하부가 상기 기판부재의 후측부에 축 결합되어 전후로 회동하게 설치되는 제2 회동부재(30')와, 상기 기판부재의 일측판(21)의 내면에 회동하게 축 결합 설치되며 상단에 구비된 발톱(41)이 상기 기어치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걸어져도 제1 회동부재가 후방으로 역 회동하지 못하게 작용하는 멈춤부재(40)와, 상기 기판부재에 부설되며 제1 회동부재가 전방으로 회동하여 멈춤부재의 발톱이 기어치중에서 후단의 기어치에 걸어지면 더 이상 전방으로 회동하지 못하게 제1 회동부재를 제동하여 발톱이 후단의 기어치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작용하는 제동부재(40')와, 일단(51)은 일측판(21)에 결속하고 타단(52)은 상기 멈춤부재에 결속하여 설치되며 상기 발톱이 기어치중 어느 하나에 걸어져 있을 때에는 탄력이 멈춤부재를 상방으로 밀어주는 힘으로 작용하고 발톱을 하강시켜 기어치로부터 벗어나게 하면 임의로 상향하지 못하게 작용하는 전환스프링(50)과, 힌지판(61)의 전단부는 상기 제1 회동부재의 양면판(31)(31')의 상단부에 축 결합하고 후단부는 제2 회동부재의 양측편(31a)(31b)의 상단부에 축 결합하여 상기 제1,2 회동부재가 함께 회동하게 결속하며 상기 힌지판과 직교되게 연장된 결속판(62)은 받침부재(70)의 내부에 장착되는 내피체(71)의 내면에 결착시켜 상기 제1,2 회동부재가 전후 회동하면 받침부재가 평형상태로 전후 이동하게 하는 결속부재(60)(60')와, 상기 받침부재의 일측면 의 외부에 부설된 핸들(81)을 조작하여 상기 멈춤부재를 역 회동시켜서 발톱이 후단의 기어치로부터 하강 이탈되게 하여 제1 회동부재의 정지상태를 해제시켜 주게 설치되는 해제부재(80)와, 일단(92)은 상기 기판부재에 결속하고 타단(91)은 상기 제2 회동부재에 결속하여 설치되며 해제부재의 조작으로 정지상태가 해제되면 제1,2 회동부재를 즉시 역 회동시켜 결속부재 및 내피체를 매개로 제1,2 회동부재와 한 몸체로 되게 결속된 받침부재가 원위치로 후진 이동되게 하는 리턴스프링(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테이로드(10)의 수평부(11)는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내피체(71)의 내부에 수용되며, 양 수직부(12)는 상기 내피체의 저면 양쪽에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 장공을 통해 받침부재(70)의 하부로 노출되게 하여 시트 등받이(100)의 상단부에 결합한다.
따라서, 양 수직부(12)를 이용하여 받침부재(70)의 높낮이를 수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조절된 위치는 일 수직부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노치(13)를 선택적으로 걸어주게 등받이(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스토퍼(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정지된다.
강판으로 제작되는 기판부재(20)는 수평부(11)에 용접하여 고정되는 것으로서, 양측에 직교되게 상향연장된 양측판(21)(21')의 하측부 전후 동일선상에 각각 형성된 축공을 관통하게 결합하는 주축(30a)(30b)의 양단부에는 제1,2 회동부재(30)(30')의 하부를 각각 축 결합하여 전후로 회동하게 설치한다.
강판으로 제작되는 제1 회동부재(30)의 양면판(31)(31')은 전면판(32)의 양 측에서 후방으로 직교되어 하향하게 연장되고 제2 회동부재(30')의 양측편(31a)(31b)은 후면판(32a)의 양측에서 전방으로 직교되어 하향연장되는 것으로서, 상기 양면판과 양측편의 간격은 기판부재(20)의 양측판(21)(21')의 간격보다 크게 하여 각각의 하단부를 양측판의 외면 전후측에서 주축(30a)(30b)에 각각 축 결합하여도 서로 접촉하지 않게 격리되어 전후 회동이 간섭없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일면판(31)의 상측부에는 브래킷(311)을 주축(30a)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태로 부설하고, 그 내측면에는 동일한 원호형태로 되게 강판으로 제작하는 레버래칫(20A)을 리벳으로 고정 착설한다,
레버래칫(20A)을 원호형으로 제작하는 것은, 상기 레버래칫이 기판부재(20)의 전측에 하단부가 주축(30a)으로 축 결합되어 상기 주축을 축으로 하여 전후 회동하는 제1 회동부재(30)에 착설되어 원호선상에서 전후 이동하게 되는 반면에 멈춤부재(40)는 기판부재(20)의 일면판(21)의 내면 상측에 힌지축(40a)으로 축 결합되어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레버래칫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어느 위치에 있어도 발톱(41)이 기어치(22)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걸어지게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레버래칫(20A)의 선단에는 걸이부(22a)을 하향 연장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발톱(41)이 하강한 상태에서 받침부재(70)가 후방으로 완전히 이동되었을 때 하강하여 있는 상기 발톱을 걸어서 상승시켜 선단의 기어치(22)에 다시 걸어지게 하는 작용을 하도록 한다.
강재로 제작되는 멈춤부재(40)는 하단부가 힌지축(40a)으로 일측판(21)의 내면 상측부에 축 결합되어 정·역 회동하게 설치되며, 상기 일측판의 전단면 상측부에는 걸이편(23a)을 일체로 부설하여 상기 멈춤부재의 역 회동으로 발톱(41)이 하강하여 기어치(22)로부터 완전히 벗어나면 더 이상 역 회동하지 않도록 그 전단부를 받쳐주게 한다.
이러한 멈춤부재(40)는, 발톱(41)이 후단의 기어치(22)에 걸어져 있는 상태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해제부재(80)를 조작하여 상기 멈춤부재를 가압하여 역 회동시켜 주면 발톱이 하강하여 후단의 기어치로부터 이탈되므로 제1 회동부재(30)는 상기 멈춤부재에 의한 정지상태가 해제된다.
이와 같이 정지상태가 해제되면 리턴스프링(90)의 탄력이 작용하여 제1 회동부재(30)를 즉시 후방으로 회동시켜 주므로 제2 회동부재(30')도 함께 후방으로 회동하며, 이러한 과정에서 하강된 발톱(41)이 선단의 기어치(22)의 직 하방에 도달하면 상기 발톱이 걸이부(22a)에 걸어지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1 회동부재는 조금 더 후방으로 이동하므로 발톱이 밀어 올려지고 멈춤부재(40)가 정 회동하게 됨에 따라 발톱이 상승하여 선단의 기어치에 걸어지게 됨으로써 상기 제1,2 회동부재는 후방으로 완전히 회동한 원위치에서 정지된다.
제동부재(40')는 제1,2 회동부재(30)(30')가 전방으로 회동하여 멈춤부재(40)의 발톱(41)이 기어치(22)중에서 후단의 기어치에 걸어지면 더 이상 전방으로 회동하지 못하게 제동하여 상기 발톱이 후단의 기어치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서, 별도로 제작하여 설치하여도 되지만 이렇게 하면 부품 및 조립공수 등이 증가하기 때문에 기판부재(20)에 일체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제동부재(40')는, 제1,2 회동부재(30)(30')가 전방으로 회동하여 멈춤부재(40)의 발톱(41)이 기어치(22)중에서 후단의 기어치에 걸어지면 상기 제1 회동부재의 일면판(31)의 하측부분을 받쳐주어 더 이상 전방으로 회동하지 못하게 하도록 기판부재(20)의 일측판(21)의 전단면 하측에 외측으로 절곡 하여 일체로 설치하면 된다.
그런데, 제동부재(40')는 상기에서와 같이 멈춤부재(40)의 발톱(41)이 기어치(22)중에서 후단의 기어치에 걸어지면 즉시 일면판(31)의 하측부분을 받쳐주게 설치하여도 되지만, 이렇게 하는 경우에는 상기 발톱과 후단의 기어치가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제1 회동부재와 제동부재는 각각 어느 방향으로도 회동하지 못하게 제동되기 때문에 해제부재(80)를 조작하여 상기 멈춤부재를 역 회전시킬 때 발톱이 기어치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하므로 조작시 큰 힘을 들여야 한다.
따라서, 이런 점을 감안하여 제1 회동부재(30)의 일면판(31)의 전단면 하측에는 받침턱(331)을 돌출 형성하고 발톱(41)이 후단의 기어치(22)에 걸어졌을 때 제동부재(40')은 그 상단과 상기 받침턱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t)이 유지되는 위치에 상기 제동부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의 간격(t)은 그 범위내에서 제1 회동부재(30)가 전방으로 더 회동하여도 발톱(41)이 후단의 기어치(22)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되는 정도면 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해제부재(80)를 조작하여 제동상태를 해제시킬 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회동부재가 간격의 범위내에서 조금 더 전방으로 회동되게 하여 상기 발톱이 선단의 기어치로부터 적절히 이탈된 상태에서 멈춤부재(40)를 역 회동시켜 주므로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해제시켜 줄 수 있게 된다.
전환스프링(50)은 강선을 원호형태로 구부려서 되는 것으로서, 일단(51)은 일측판(21)의 상측부의 결속공에 결속하고 타단(52)은 멈춤부재(40)의 전단부 중간측의 결속공에 결속하여 설치함으로써 발톱(41)이 기어치(22)에 걸어져 있을 때에는 탄력이 상기 멈춤부재를 후방으로 회전시키는 힘으로 작용하여 발톱이 임의로 기어치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므로 제1,2 회동부재(30)(30')의 정지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며, 상기 멈춤부재가 전방으로 회동하여 발톱이 기어치로부터 벗어나면 탄력이 작용하는 방향이 반대로 전환되어 발톱이 기어치에 걸어지지 않도록 하므로 제1,2 회동부재가 역 회동하여 받침부재(70)를 후방으로 원위치시켜주는 과정에서는 상기 발톱이 임의로 상승하여 기어치(22)에 걸어지지 못하게 한다.
이렇게 하는 것은, 제1,2 회동부재(30)(30')가 역 회동하는 과정에서 발톱(41)이 임의로 상승하게 되면 받침부재(70)가 원위치로 완전히 후진 이동되기 전에 상기 발톱이 중도의 기어치(22)중 어느 하나에 걸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상기 받침부재의 후진이동이 중도에서 멈추게 됨은 물론 이에 따라 받침부재의 위치 조절범위가 제한되는 것 등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제1 회동부재(30)의 양면판(31)(31')의 각 상부에는 강판으로 제작되는 결속부재(60)(60')의 각 힌지판(61)의 전단부를, 제2 회동부재(30')의 양측 편(31a)(31b)의 각 상부에는 상기 각 힌지판의 후단부를 각각의 장축(60b)으로 축 결합하여 회동하게 착설한다.
그리고, 장축(60b)들은 서로 동일선상에 또 제1,2 회동부재(30)(30')의 하부를 각각 기판부재(20)에 축 결합하는 주축(30a)은 주축(30b)과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착설하는 것이므로, 상기 제1,2 회동부재의 각 상단은 각각의 주축을 축으로 하는 원호선상에서 나란히 전후 회동하기 때문에 상기 장축들에 전후 측이 축 결합된 결속부재(60)(60')는 평형상태로 전후 이동하게 된다.
받침부재(70)의 내부에 수용되는 내피체(71)는 합성수지로 성형되는 것으로서, 상기 받침부재의 외피와 내피체의 사이에는 발포액을 주입·발포시켜 되는 쿠션재가 충진되기 때문에 상기 내피체는 쿠션재에 의해 외피와 한 몸체로 됨과 동시에 상기 내피체의 내면에는 결속부재(60)의 결속판(62)이 결착되어 서로 결속되므로, 제1,2 회동부재(30)(30')가 전후 회동하면 상기 받침부재는 결속부재와 함께 평형상태로 전후 이동하게 된다.
해제부재(80)는, 외단에는 핸들(81)이 직교되게 축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며 내단은 제2 회동부재(30')의 후면판(32a)의 양측에서 전방으로 직교된 부분에 각각 형성된 축공(33a)을 관통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게 결합·설치되는 가동장축(82)과, 멈춤부재(40)의 발톱(41)이 후단의 기어치(22)에 걸어졌을 때 하단에 하단부가 상기 멈춤부재의 상측부 직 후방에 위치하게 상단부가 상기 가동장축에 착설되어 함께 회동하게 설치되는 가압레버(83)와, 상기 가동장축에 결합되며 일단(841)은 상기 가압레버를 후방으로 밀어주게 결속하고 타단(842)은 제2 회동부 재(30')의 후면판(32a)에 결속하여 그 탄력이 가압레버(83)를 제2 회동부재(30')의 일면판의 내면에 밀착시켜 주는 작용과 가동장축(82)과 함께 정 회전시켜주는 작용을 하는 코일스프링(8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핸들(81)은 합성수지로 성형하며, 결합공(811)에 가동장축(82)의 외단부를 결합하고 외측에서 고정나사(812)를 체결하여 함께 회전하게 연결한다.
가동장축(82)은 강봉으로 되는 것으로서, 외주면의 일부를 축 방향으로 절삭하여 되는 평면상의 결속면(821)이 구비되고, 내단측에는 고정링(823)을 결착하는 체결홈(822)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장축(82)의 외단부에 고정나사(812)를 직접 체결할 때에는 외단부에 나사체결공을 형성하면 되지만, 상기 가동장축의 직경이 체결할 고정나사의 체결공을 형성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에는 가동장축의 외단부와 결합공(811)의 사이에 이음재(85)를 개재시켜 연결하여도 된다.
이음재(85)는 합성수지로 성형하는 것으로서, 중앙의 내측부에는 가동장축(82)의 외단부를 결착하는 결착공(851)을 소정 깊이로 형성하고, 외측부에는 고정나사(812)의 체결공(852)을 형성하며, 아울러 핸들(81)의 결합공(811)의 내경은 상기 이음재의 외경에 비례하게 형성한다.
또한, 이음재(85)의 외주면과 결합공(811)의 내주면의 서로 대응하는 부위에는 각각 축 방향으로 복수의 결착돌기(853)와 결착홈(813)을 형성함과 동시에 결착공(851)은 가동장축(82)의 외주면과 동일한 형태로 되게 형성함으로써 서로 결합하여 조립하는 것만으로도 함께 회전하게 연결된다.
가압레버(83)는 강판으로 제작되는 것으로서, 상단부에는 가동장축(82)의 외주면과 동일한 형태의 결속축공(831)을 형성하여 결합하는 것만으로도 함께 회전되게 하며, 하단부(83a)는 전방으로 만곡되게 연장한다.
이와 같은 가압레버(83)는, 제1,2 회동부재(30)(30')가 전방으로 회동하여 멈춤부재(40)의 발톱(41)이 기어치(22)중에서 후단의 기어치에 걸어지면 제동부재(40')의 작용에 의해 더 이상 전방으로 회동하지 못하게 정지되어 상기 발톱이 후단의 기어치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된 제동상태에서 제동을 해제시켜 주기 위해 핸들(81)을 전방으로 당겨서 가동장축(82)을 역 회동시켜 주면 만곡되게 연장된 하단부(83a)가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멈춤부재의 상측부 후단면을 전방으로 밀어주는 동작을 하며, 이렇게 되면 상기 멈춤부재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발톱이 후단의 기어치로부터 이탈되기 때문에 제동상태가 해제되게 한다.
코일스프링(84)은 전방으로 당겨주었던 핸들(81)을 놓아주면 탄력이 작용하여 가압레버(83)를 반 시계방향으로 밀어주므로 가동장축(82)과 상기 핸들을 역 회동시켜 줌과 동시에 원위치 된 상기 가동장축이 임의로 정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작용을 하며, 아울러 상기 가압레버를 일측편(31a)의 내면측으로 밀어서 멈춤부재(40)의 직 상부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지지하는 작용도 한다.
그리고, 가압레버(83)가 코일스프링(84)에 의해 일측편(31a)의 내면측으로 밀리게 되어도 가동장축(82)은 그 내단측에 결착되어 타측편(31b)의 외면에 걸어지는 고정링(823)에 의해 상기 코일스프링이 가압레버를 밀어주는 방향으로는 밀리지 않게 되지만, 상기 코일스프링의 전장이 타단(842)측과 타측편(31b)의 내면 사이의 거리에 비해 짧으면서 상기 타단이 후면판(32a)의 상단에 걸어지는 상태에서는 상기 가동장축을 타단측으로 밀게 되는 경우 그 힘이 상기 코일스프링의 탄력보다 크면 상기 가압레버가 함께 타측편측으로 밀려서 멈춤부재(40)의 직 상부에서 벗어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가동장축에서 일측편(31a)의 외면에 해당하는 부위에도 체결홈(822)을 형성하여 고정링(823)을 결착함으로써 가동장축이 어느 측으로도 밀리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제2 실시예에 의한 헤드레스트는 시트 등받이(100)의 상단부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평상시 받침부재(70)의 높낮이를 조절할 때에는 양 수직부(12)를 이용하여 수직으로 승강시켜 주면 되고, 조절된 위치는 일 수직부에 상하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노치(13)를 선택적으로 걸어주게 등받이(100)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스토퍼(도시하지 않음)의 작용에 의해 정지되어 있게 된다.
또한, 평상시에 받침부재(70)의 위치를 전후로 조절하는 것은 멈춤부재(40)의 발톱(41)이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기어치(22)의 개수 범위내에서 이루어지는데, 도 11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발톱이 선단의 기어치에 걸어져 있을 때 상기 받침부재는 제일 후방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받침부재를 전방으로 당겨주면 제1,2 회동부재(30)(30')가 전방으로 회동하게 되므로 상기 발톱은 기어치를 차례로 넘어가게 되고, 필요한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더 당기지 않고 놓아주면 리턴스프링(90)의 탄력이 작용하여 상기 제1,2 회동부재를 후방으로 회동시켜 주려고 하지만, 이때는 전환스프링(50)의 탄력이 해당 위치의 기어치에 걸어진 발톱을 기어치로부터 하향 이탈되지 않도록 상향시켜 주는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힘을 가하여 받침부재를 전방으로 당겨주지 않으면 조절된 위치에서 정지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받침부재(70)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기어치(22)의 개수 범위내에서 다단으로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전방으로 이동된 상기 받침부재의 위치를 후방으로 완전히 이동시켜 줄 때에는 발톱(41)이 어느 위치의 기어치(22)에 걸어져 있던지 상기 받침부재를 전방으로 완전히 당겨서 발톱이 후단의 기어치에 걸어져 더 이상 당겨지지 않게 되었을 때 핸들(81)을 전방으로 당겨주면 된다.
이렇게 하면, 가압레버(83)의 하단부(83a)가 멈춤부재(40)의 상측부 후단면을 전방으로 밀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므로 발톱(41)이 하향하여 후단의 기어치(22)로부터 이탈됨과 동시에 전환스프링(50)의 탄력은 상기 발톱이 상승하지 않게 작용하는 방향으로 전환되고, 이 상태에서 당겨주었던 상기 핸들을 놓으면 리턴스프링(90)의 탄력이 작용하여 제1,2 회동부재(30)(30')를 후방으로 회동시켜 주므로 받침부재(70)는 후방으로 이동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하향된 상기 발톱이 레버래칫(20A)의 전단에 하향연장된 걸이부(22a)에 걸어져 상승하여 선단의 기어치(22)에 걸어지므로 상기 받침부재는 후방으로 완전히 이동되어 원위치 된 상태에서 정지된다.
이에 따라, 평상시에는 그 높낮이나 전후 위치를 편의에 따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충돌(추돌)사고의 발생으로 등받이(100)에 가해지는 충격 이 리턴스프링(90)의 탄력보다 큰 경우에는 그 반동에 의해 즉시 회동부재(30)(30')가 완전히 전방으로 회동하기 때문에 받침부재(70)도 동시에 전방으로 완전히 이동됨과 동시에 제1 회동부재(30)의 받침턱(331)이 제동부재(40')에 받쳐지게 되어 더 이상 전방으로 회동하지 못하게 제동되고, 이때 멈춤부재(40)의 발톱(41)은 후단의 기어치(22)에 걸어지게 되므로 상기 받침부재는 전방으로 완전히 이동된 위치에서 정지되며, 이 후에 탑승자의 머리가 뒤로 젖혀지기 때문에 상기 받침부재는 최적의 위치에서 뒤로 젖혀지려는 머리를 받쳐줌에 따라 목이 뒤로 꺾이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심각한 목 부상이 유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 제3 실시예에 의한 헤드레스트의 요부를 발췌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정면도이며, 도 14는 도 12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5a-e는 도 12의 동작상태를 보인 확대 측면도이다.
본 발명 제3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는 상기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수평부(11)와 상기 수평부의 양단에 서로 평행하게 하향연장되어 시트 등받이의 상단부에 결합하는 양 수직부(12)로 이루어지는 스테이로드(10)와, 상기 수평부의 상면에 고정 착설하는 기판(20')과 상기 기판의 양단에 서로 평행하게 상향연장되는 양측판(21)(21')으로 이루어지며 일측판(21)의 상단부에는 복수의 기어치(22)가 형성된 기판부재(20)와, 전면판(32)과 상기 전면판의 의 양단에 서로 평행하게 후방으로 연장되며 하단부는 양측판(21)(21')의 전측부에 각각 축 결합하는 양면판(31)(31')으로 이루어지는 제1 회동부재(30)와, 후면판(32a)과 상기 후면판 의 양단에 서로 평행하게 전방으로 연장되며 하단부는 상기 양측판들의 각 후측부에 각각 축 결합하는 양측편(31a)(31b)으로 이루어지는 제2 회동부재(30')와, 상기 일면판(31)의 내면에 축 결합 설치되며 전단에는 걸림부(42)가 후단에는 상기 기어치(22)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발톱(41)이 각각 하향 연장된 멈춤부재(40)와, 상기 제1 회동부재가 전방으로 회동하여 발톱이 기어치들 중 선단의 기어치에 걸어지면 전면판(32)의 하단을 받쳐주게 기판부재(20)에 설치되는 제동부재(40')와, 일단과 타단을 일면판(31)과 상기 멈춤부재에 각각 걸어주어 설치되며 발톱이 기어치에 걸어질 때는 탄력이 멈춤부재의 후단부를 하강시키는 힘으로 작용하고 발톱이 상승하여 기어치에서 벗어나면 후단부를 상승시키는 힘으로 작용하는 전환스프링(50)과, 각 전단부는 양면판(31)(31')의 각 상단부에 각 후단부는 양측편(31a)(31b)의 각 상단부에 각각 축 결합하는 힌지판(61)과 상기 힌지판의 후단에 직교하게 연장된 결속판(62)으로 이루어지는 결속부재(60)(60')와, 상기 결속판(62)이 내면에 고정되는 내피체(71)를 내부에 한 몸체로 되게 장착하여 되는 받침부재(70)와, 상기 받침부재의 외면 일측에 부설되며 멈춤부재를 역 회동시켜 주면 발톱이 상승하여 기어치로부터 이탈되게 하는 핸들(81)을 구비하는 해제부재(80) 및 일단은 상기 기판부재에 타단은 상기 제1,2 회동부재 중 어느 하나에 각각 걸어주어 설치되며 탄력이 제1,2 회동부재를 함께 후방으로 회동시켜 주는 힘으로 작용하는 리턴스프링(9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다만, 해제부재(80)의 가동장축(82)을 상기 제1 회동부재의 양면판의 상단측에 각각 형성한 축결합공(35)을 관통하게 축 결합하여 설치함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제1 회동부재(30)의 상하길이는 상단측에 형성한 축결합공(35)이 점유하는 부분에 비례하여 제2 회동부재(30')의 상하길이보다 길게 하며, 결속부재(60)(60')의 각 힌지판(61)의 전단부 상측은 상기 축결합공에 결합하는 가동장축(82)이 간섭을 받지 않도록 후단부 상측보다 낮게 형성하고, 상기 각 힌지판의 전단부와 양면판(31)(31')의 상기 축결합공 직하방의 상측부는 리벳축(60a')으로 각각 축 결합한다.
물론, 해제부재(80)는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외단에는 핸들(81)이 직교되게 축 결합되고, 가동장축(82)에 상단부가 축 결합되는 가압레버(83)는 상기 가동장축에 결합되어 일단(841)은 상기 가압레버에 걸어주고 타단(842)은 제1 회동부재(30)의 상단부에 형성하는 결속홈에 걸어준 코일스프링(84)의 탄력에 의해 역 회동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양면판(31)(31')의 각 상측부를 결속부재(60)(60')의 각 힌지판(61)의 전단부와 각각 축 결합하는 리벳축(60a')과 양측편(31a)(31b)의 각 상단부를 상기 각 힌지판의 후단부를 관통하게 축 결합하는 장축(60b)은 서로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게 하고, 또 제1,2 회동부재(30)(30')의 하단부를 각각 기판부재(20)의 양측판(21)(21')의 전후측에 축 결합하는 주축(30a)(30b)들은 서로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게 함으로써 상기 제1,2 회동부재의 각 상단부는 각각의 주축을 축으로 하는 원호선상에서 나란히 전후 회동하게 하였기 때문에 상기 리벳축과 장축에 전후단부가 각각 축 결합된 결속부재는 평형상태로 전후 이동하게 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 제3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는, 평상시 받침부 재(70)의 높낮이를 조절할 때에는 양 수직부(12)를 이용하여 수직으로 승강시켜 주면 되고, 조절된 위치는 일 수직부에 상하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노치(13)를 선택적으로 걸어주게 등받이(100)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스토퍼(도시하지 않음)의 작용에 의해 정지되어 있게 된다.
또한, 평상시에 받침부재(70)의 위치를 전후로 조절하는 것은 멈춤부재(40)의 발톱(41)이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기어치(22)의 개수 범위내에서 이루어지는데, 상기 받침부재는 도 15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발톱이 후단의 기어치에 걸어져 있을 때 제일 후방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받침부재를 전방으로 당겨주면 제1,2 회동부재(30)(30')가 전방으로 함께 회동하게 되므로 상기 발톱은 기어치를 차례로 넘어가게 되고, 필요한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더 당기지 않고 놓아주면 리턴스프링(90)의 탄력이 작용하여 상기 회동부재를 후방으로 회동시켜 주게 되는데, 이때는 발톱(41)이 해당 위치의 기어치(22)에 걸어지고 전환스프링(50)의 탄력은 상기 발톱이 기어치로부터 상향 이탈되지 않도록 하강시켜 주는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받침부재(70)는 조절된 위치에서 정지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받침부재(70)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기어치(22)의 개수 범위내에서 다단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전방으로 이동된 상기 받침부재의 위치를 후방으로 완전히 이동시켜 줄 때에는 발톱(41)이 어느 위치의 기어치(22)에 걸어져 있던지 핸들(81)을 전방으로 당겨서 양면판(31)(31')의 상단측에 형성된 축결합공(35)을 관통하게 축 결합되어 있는 가동장축(82)을 역 회동시켜 가압레버(83)를 하향회전시켜 주면 된다.
이렇게 하면, 도 15d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압레버(83)는 멈춤부재(40)의 전단측을 가압하여 하강시켜 주므로 발톱(41)이 상승하여 해당 기어치(22)로부터 이탈됨과 동시에 전환스프링(50)의 탄력은 상기 발톱을 하강하지 않게 작용하는 방향으로 전환되고, 이 상태에서 당겨주었던 상기 핸들을 놓으면 리턴스프링(90)의 탄력이 작용하여 제1,2 회동부재(30)(30')를 후방으로 회동시켜 주므로 받침부재(70)는 후방으로 이동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발톱이 후단의 기어치에 근접하면 도 15e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걸림부(42)가 전단턱(23)에 걸어져 넘어가면서 상승하는 동작에 의해 상기 발톱이 하강하여 도 15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후단의 기어치에 걸어지므로 받침부재는 후방으로 이동하여 원위치 된 상태에서 정지된다.
이에 따라, 평상시에는 그 높낮이나 전후 위치를 편의에 따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충돌(추돌)사고의 발생으로 등받이(100)에 가해지는 충격이 리턴스프링(90)의 탄력보다 큰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그 반동에 의해 즉시 제1,2 회동부재(30)(30')가 완전히 전방으로 회동하기 때문에 받침부재(70)도 동시에 전방으로 완전히 이동됨과 동시에 도 15c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동부재(30)의 전면판(32)의 하단이 제동부재(40')에 받쳐지게 되어 더 이상 전방으로 회동하지 못하게 제동되며, 이 후 리턴스프링(90)의 탄력에 의해 상기 제1,2 회동부재가 후방으로 회동하게 되지만 이때 멈춤부재(40)의 발톱(41)은 선단의 기어치(22)에 즉시 걸어지게 되므로 상기 받침부재는 전방으로 완전히 이동된 위치에서 정지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탑승자의 머리가 뒤로 젖혀지기 때문에 상기 받침부재가 최적의 위치에서 머리를 받쳐주어 목이 뒤로 꺾이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함으로써 심각 한 목 부상이 유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작동하는 본 발명 제3 실시에에 의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는, 가동장축(82)을 양면판(31)(31')의 상단측에 형성된 축결합공(35)에 축 결합하여 설치함에 따라 상기 제1 실시예에서의 리벳관축(60a)을 사용하던 것에 비하면 제작 및 조립 등이 매우 간편하고도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도 16은 본 발명 제4 실시예에 의한 헤드레스트의 요부를 발췌한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정면도이며, 도 18은 도 16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9a-e는 도 16의 동작상태를 보인 확대 측면도이다.
본 발명 제4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기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수평부(11)와 상기 수평부의 양단에 서로 평행하게 하향연장되어 시트 등받이의 상단부에 결합하는 양 수직부(12)로 이루어지는 스테이로드(10)와, 상기 수평부의 상면에 고정 착설하는 기판(20')과 상기 기판의 양단에 서로 평행하게 상향연장되는 양측판(21)(21')으로 이루어지며 일측판(21)의 상단부에는 복수의 기어치(22)가 형성된 기판부재(20)와, 전면판(32)과 상기 전면판의 양단에 서로 평행하게 후방으로 연장되며 하단부는 양측판들의 전측부의 내면에 각각 축 결합하는 양면판(31)(31')으로 이루어지는 제1 회동부재(30)와, 후면판(32a)과 상기 후면판의 양단에 서로 평행하게 전방으로 연장되며 하단부는 양측판들의 후측부 외면에 각각 축 결합하는 양측편(31a)(31b)으로 이루어지는 제2 회동부재(30')와, 하단에는 상기 기어치(22)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발톱(41)이 하향 연장된 멈춤부재(40)와, 일단을 상기 멈춤부재의 하측부에 걸어주어 발톱이 기 어치에 걸어질 때는 탄력이 멈춤부재의 하부를 하강시키는 힘으로 작용하고 발톱이 상승하여 기어치에서 벗어나면 하부를 상승시키는 힘으로 작용하는 전환스프링(50)과, 전단부는 일면판(31)의 상단부에 후단부는 일측편(31a)의 상단부에 각각 축 결합하며 하측부에는 멈춤부재(40)의 상단부는 축 결합하고 전환스프링(50)의 타단은 걸어주는 힌지판(61)과 상기 힌지판의 전단에 직교하게 연장되는 결속판(62)으로 이루어지는 결속부재(60)와, 전단부는 타면판(31')의 상단부에 후단부는 타측편(31b)의 상단부에 각각 축 결합하는 힌지판(61)과 상기 힌지판의 전단에 직교하게 연장되는 결속판(62)으로 이루어지는 결속부재(60')와, 상기 결속판(62)이 내면에 고정되는 내피체(71)가 내부에 한 몸체로 되게 장착되는 받침부재(70)와, 상기 받침부재의 외면 일측에 부설되며 멈춤부재를 역 회동시켜 주면 발톱이 상승하여 기어치로부터 이탈되게 하는 핸들(81)을 구비하는 해제부재(80) 및 일단은 상기 기판부재에 타단은 상기 제1,2 회동부재 중 어느 하나에 각각 걸어주어 설치되며 탄력이 제1,2 회동부재를 함께 후방으로 회동시켜 주는 힘으로 작용하는 리턴스프링(9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다만, 기판부재(20)의 일측판(21)의 상단면에 형성하는 기어치(22)의 후단측에는 발톱(41)을 받쳐주는 받침부(24)를 상향 연장하고, 상기 멈춤부재는 상단부를 결속부재의 힌지판의 하측부에 힌지축(40a)으로 축 결합하며, 해제부재(80)의 가동장축(82)은 상기 결속부재의 각 힌지판들 상단측에 형성한 힌지축공(63)을 각각 관통하게 축 결합하고, 가압레버(83)는 반 원호형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상단부를 상기 가동장축에 함께 회전하게 축 결합함과 동시에 소정길이의 지지관체(86)를 상기 가동장축의 타측부에 결합하여 좌우로 유동하 지 않도록 지지하며, 상기 가동장축에 결합하는 코일스프링(84)의 일단(841)은 가압레버에 걸어주고 타단은 결속부재(60)의 힌지판(61)의 상단부에 걸어주어 그 탄력이 가압레버를 항상 정 회전시켜 주는 힘으로 작용토록 하고,상기 결속부재의 힌지판의 후측 상부에는 가압레버의 상단 후측부의 하단면을 받쳐주는 받침편(64)을 하부에는 상기 멈춤부재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정도를 제어하는 제어편(65)을 각각 설치함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그리고, 제1 회동부재(30)의 양면판(31)(31')의 각 상단부와 제2 회동부재(30')의 양측편(31a)(31b)의 각 상단부는 결속부재(60)(60')의 각 힌지판(61)의 전후단부에 각각의 장축(60c)과 리벳축(60b')으로 서로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게 축 결합하고, 또한, 상기 양면판과 양측편의 각 하단부는 각각의 주축(30a)(30b)으로 서로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게 기판부재(20)의 양측판(21)(21')의 전후측 내외면에 축 결합설치함으로써, 상기 제1,2 회동부재의 각 상단부는 각각의 주축을 축으로 하는 원호선상에서 나란히 전후로 회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장축과 리벳축으로 힌지판의 전후단부가 각각 양면판과 양측편의 상단부에 축 결합된 결속부재는 평형상태로 전후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 제4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는, 평상시 받침부재(70)의 높낮이를 조절할 때에는 양 수직부(12)를 이용하여 수직으로 승강시켜 주면 되고, 조절된 위치는 일 수직부에 상하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노치(13)를 선택적으로 걸어주게 등받이(100)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스토퍼(도시하지 않음)의 작용에 의해 정지되어 있게 된다.
또한, 평상시에 받침부재(70)의 위치를 전후로 조절하는 것은 멈춤부재(40)의 발톱(41)이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기어치(22)의 개수 범위내에서 이루어지는데, 상기 받침부재는 도 19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발톱이 후단의 기어치에 걸어져 있을 때 제일 후방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받침부재를 전방으로 당겨주면 제1,2 회동부재(30)(30')가 전방으로 함께 회동하게 되므로 상기 발톱은 기어치를 차례로 넘어가게 되고, 필요한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더 당기지 않고 놓아주면 리턴스프링(90)의 탄력이 작용하여 상기 회동부재를 후방으로 회동시켜 주게 되는데, 이때는 발톱(41)이 해당 위치의 기어치(22)에 걸어지고 전환스프링(50)의 탄력은 상기 발톱이 기어치로부터 상향 이탈되지 않도록 하강시켜 주는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받침부재(70)는 조절된 위치에서 정지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받침부재(70)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기어치(22)의 개수 범위내에서 다단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전방으로 이동된 상기 받침부재의 위치를 후방으로 완전히 이동시켜 줄 때에는 발톱(41)이 어느 위치의 기어치(22)에 걸어져 있던지 핸들(81)을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각 힌지판(61)의 상단측에 형성된 힌지축공(63)을 관통하게 축 결합되어 있는 가동장축(82)을 역 회동시켜 주면 된다.
이렇게 하면, 도 19d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압레버(83)의 하단은 멈춤부재(40)의 전단부를 후방으로 밀어 회전시켜 주므로 발톱(41)이 상승하여 기어치(22)로부터 상향이탈됨과 동시에 전환스프링(50)의 탄력은 상기 발톱이 하강하지 않게 작용하는 방향으로 전환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핸들을 놓아주면 리턴스프 링(90)의 탄력이 작용하여 제1,2 회동부재(30)(30')를 후방으로 회동시켜 주므로 받침부재(70)는 후방으로 이동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발톱이 후단의 기어치에 근접하면 도 19e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발톱이 받침부(24)에 받쳐져서 하강하므로 도 19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후단의 기어치에 걸어지게 되어 받침부재는 후방으로 이동하여 원위치 된 상태에서 정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평상시에는 그 높낮이나 전후 위치를 편의에 따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충돌(추돌)사고의 발생으로 등받이(100)에 가해지는 충격이 리턴스프링(90)의 탄력보다 큰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그 반동에 의해 즉시 제1,2 회동부재(30)(30')가 완전히 전방으로 회동하기 때문에 받침부재(70)도 동시에 전방으로 완전히 이동됨과 동시에 도 19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회동부재(30)의 전면판(32)의 하단이 기판부재(20)의 기판(20')의 전단에 받쳐지게 되어 더 이상 전방으로 회동하지 못하게 제동되며, 이 후 리턴스프링(90)의 탄력에 의해 상기 제1,2 회동부재가 후방으로 회동하게 되지만 이때 멈춤부재(40)의 발톱(41)은 도 19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선단의 기어치(22)에 즉시 걸어지게 되므로 상기 받침부재는 전방으로 완전히 이동된 위치에서 정지되고, 이 후에 탑승자의 머리가 뒤로 젖혀지기 때문에 상기 받침부재는 최적의 위치에서 뒤로 젖혀지려는 머리를 받쳐줌에 따라 목이 뒤로 꺾이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심각한 목 부상이 유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의 제1 실시예에서는 주축(30a)은 주축(30b)과 또 리벳관축(60a)은 장축(60b)과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게 각각 설치하고 제2 실시예에서는 주 축(30a)은 주축(30b)과 또 각각의 장축(60b)은 서로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게 각각 설치하며 제3 실시예에서는 주축(30a)은 주축(30b)과 또 리벳축(60a')은 장축(60b)과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게 각각 설치하고 제4 실시예에서는 주축(30a)은 주축(30b)과 또 장축(60c)은 리벳축(60b')과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게 각각 설치하여 제1,2 회동부재(30)(30')가 전후 회동하면 받침부재(70)가 평형상태로 전후 이동되게 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4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의 경우에는 도 20a-c 및 도 21a-c에서와 같이 주축(30a)은 주축(30b)과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게 설치하는 반면에 리벳관축(60a)의 위치를 장축(60b)보다 높게 설치하거나 또는 리벳관축(60a) 보다 장축(60b)의 위치를 높게 설치하여도 된다.
즉, 도20a-c에서와 같이 리벳관축(60a)의 위치를 장축(60b)보다 높게 설치하면 받침부재(70)가 완전히 후진하여 후방에 있을 때에는 평형상태로 있게 되지만, 제1,2 회동부재(30)(30')가 전방으로 회동하게 되면 상기 리벳관축과 장축이 설치된 높이의 차이에 따라 이들이 각각의 주축(30a)(30b)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는 궤도가 다르기 때문에 결속부재(60)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므로 상기 받침부재는 전면이 상향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또한, 도 21a-c에서와 같이 리벳관축(60a)보다 장축(60b)의 위치를 높게 설치하면 받침부재(70)가 완전히 후진하여 후방에 있을 때에는 평형상태로 있게 되지만, 제1,2 회동부재(30)(30')가 전방으로 회동하게 되면 상기 리벳관축과 장축이 설치된 높이의 차이에 따라 이들이 각각의 주축(30a)(30b)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 는 궤도가 다르기 때문에 결속부재(60)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므로 상기 받침부재는 이동하면서 전면이 하향하게 된다.
물론, 리벳관축(60a)의 위치를 장축(60b)보다 높게 설치할 때에는 제1 회동부재(30)의 상하 길이를 제2 회동부재(30')보다 길게 하고, 반대로 리벳관축(60a)보다 장축(60b)의 위치를 높게 설치할 때에는 제1 회동부재(30)보다 제2 회동부재(30')의 길이를 길게 하면 된다.
이와 같이, 리벳관축(60a)과 장축(60b)의 위치를 서로 다르게 하면 받침부재(70)는 위치의 이동시 머리를 받쳐주는 각도도 조절되기 때문에 그 사용범위가 더욱 넓어지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구성은 본 발명의 제2-4 실시예에도 모두 적용되는 것이다.
도 22는 본 발명 제1-4 실시예에 의한 헤드레스트를 일반적인 시트의 등받이에 설치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이 설치상태에서의 시트 등받이(100)는 일반적인 구조로 된 것으로서, 전방 충돌사고의 발생으로 리턴스프링(90)의 탄력보다 큰 충격이 등받이(100)에 가해지면 그 충격이 스테이로드를 통해 헤드레스트의 받침부재(70)에 그대로 전달되므로 제1,2 회동부재(30)(30')가 어느 위치에 있던지 완전히 전방으로 회동하기 때문에 상기 받침부재도 전방으로 완전히 이동됨과 동시에 제동부재(40')에 의해 제동되어 더 이상 전방으로 회동하지 못하게 제동되고, 멈춤부재(40)의 발톱(41)은 기어치(22)에 걸어지므로 상기 제1,2 회동부재가 어느 방향으로도 회동되지 않게 되어 받침부재는 전방으로 완전히 이동된 위치에서 정지되며, 이후에 탑승자의 머리가 뒤로 젖혀지기 때문에 상기 받침부재는 최적의 위치에서 뒤로 젖혀지려는 머리를 받쳐주어 목이 뒤로 꺾이지 않도록 하므로 심각한 목 부상이 유발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 제1-4 실시예에 의한 헤드레스트가 설치되는 시트 등받이(100)의 내부에는, 충돌 또는 추돌사고의 발생시 받침부재(70)가 더욱 신속하게 전방으로 완전히 이동하도록 작동하는 가변이동장치를 장착한다.
도 23은 본 발명 제1-4 실시예에 의한 헤드레스트를 제1 가변이동장치가 장착된 시트의 등받이(100)에 설치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상기 제1 가변이동장치는, 등받이(100)의 내부에 장착되는 프레임(101)의 내측에 위치하게 상부가 힌지축(102)으로 상기 프레임에 축 결합 설치되어 전후로 회동하는 가동판(110)과, 상기 프레임의 상단부 양쪽에 전후로 길게 형성되는 관통구(103)와, 상기 가동판의 상단면 양쪽에 수직으로 부설되며 관통구를 통해 삽입되는 스테이로드(10)의 양 수직부(12)를 각각 결합하는 한 쌍의 소켓관(120)과, 각 일단은 상기 가동판의 양측 하부에 걸어주고 각 타단은 프레임의 양측 하부의 전단부에 걸어주어 평상시에는 탄력이 가동판의 하부를 전방으로 당겨서 수직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힘으로 작용하게 설치되는 스프링(13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가동판(110)이 수직상태를 유지하고 있을 때 소켓관(120)에 결합된 양 수직부(12)는 각 관통구(103)의 내주면 후단에 접지되어 있게 한다.
이와 같은 가동판(110)은 스프링(130)의 탄력보다 크지 않은 힘이 가해지는 평상시에는 상기 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평형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으로서, 받침 부재(70)의 높낮이나 전후위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충돌(추돌)사고의 발생으로 탑승자의 등판이 등받이(100)에 부딪혀 스프링(130)의 탄력보다 큰 힘이 가동판(110)에 가해지면 즉시 후방으로 밀리기 때문에 상기 가동판이 힌지(102)를 축으로 하여 순간적으로 역 회동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소켓관(120)이 전방으로 회동하므로 이에 결합된 양 수직부(12)가 관통구(103)의 내주면 전단에 순간적으로 부딪히게 되며, 이때 발생하는 충격이 스테이로드(10)를 통해 전달됨에 따라 제1,2 회동부재(30)(30')가 즉시 전방으로 완전히 회동하므로 받침부재(70)도 동시에 전방으로 완전히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제1 회동부재가 제동부재(40')에 받쳐지면 더 이상 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제동된다.
이렇게 되면, 멈춤부재(40)의 발톱(41)은 기어치(22)에 걸어져 이탈하지 않게 되므로 받침부재(70)는 전방으로 완전히 이동된 위치에서 정지되며, 이후에 탑승자의 머리가 뒤로 젖혀지기 때문에 상기 받침부재가 최적의 위치에서 머리를 받쳐주어 목이 뒤로 꺾이지 않게 하므로 심각한 목 부상이 유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관통구(103)의 내주면 전단은 전방으로 회동되는 양 수직부(12)가 부딪히면 더 이상 회동하지 못하게 제동하는 스토퍼의 작용도 하는 것으로서, 이후, 충격이 해소되면 가동판(110)이 역 회동할 때 늘어난 스프링(130)의 수축력에 의해 전방으로 당겨져서 정 회동하여 원위치로 복귀하므로 상기 양 수직 부는 다시 관통구의 내주면 후단에 접지됨과 동시에 상기 가동판은 수직상태를 유지하게 되지만, 이때도 받침부재(70)는 전방으로 완전히 이동된 상태로 있게 된다.
도 24는 본 발명 제1-4 실시예에 의한 헤드레스트를 제2 가변이동장치가 장착된 시트의 등받이(100)에 설치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상기 제2 가변이동장치는, 등받이(100)의 내부에 장착되는 프레임(101)의 내측에 위치하게 상부가 힌지축(102)으로 상기 프레임에 축 결합 설치되어 전후로 회동하는 가동판(110)과, 상기 프레임의 상단부 양쪽에 전후로 길게 형성되는 관통구(103)와, 상기 가동판의 상단면 양쪽에 수직으로 부설되며 관통구를 통해 삽입되는 스테이로드(10)의 양 수직부(12)를 각각 결합하는 한 쌍의 소켓관(120)과, 각 일단은 상기 가동판의 양측 상부에 걸어주고 각 타단은 프레임의 양측 상부의 후단부에 걸어주어 평상시에는 탄력이 가동판의 상부를 후방으로 당겨서 수직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힘으로 작용하게 설치되는 스프링(13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가동판(110)이 수직상태를 유지하고 있을 때 소켓관(120)에 결합된 양 수직부(12)는 각 관통구(103)의 내주면 후단에 접지되어 있게 한다.
이와 같은 가동판(110)은 스프링(130)의 탄력보다 크지 않은 힘이 가해지는 평상시에는 상기 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평형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으로서, 받침부재(70)의 높낮이나 전후위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충돌(추돌)사고의 발생으로 탑승자의 등판이 등받이(100)에 부딪혀 스프링(130)의 탄력보다 큰 힘이 가동판(110)에 가해지면 즉시 후방으로 밀리기 때문에 힌지(102)를 축으로 하여 순간적으로 역 회동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소켓관(120)이 전방으로 회동되므로 이에 결합된 양 수직부(12)가 관통구(103)의 내주면 전단에 순간적으로 부딪히게 되며, 이때 발생하는 충격이 스테이로드(10)를 통해 전달됨에 따라 제1,2 회동부재(30)(30')가 즉시 전방으로 완전히 회동하므로 받침부재(70)가 동시에 전방으로 완전히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제1 회동부재가 제동부재(40')에 받쳐지면 더 이상 전방으로 회동하지 못하게 제동된다.
이때, 멈춤부재(40)의 발톱(41)은 기어치(22)에 걸어져 이탈하지 않게 되므로 받침부재(70)는 전방으로 완전히 이동된 위치에서 정지되며, 이후에 탑승자의 머리가 뒤로 젖혀지기 때문에 상기 받침부재가 최적의 위치에서 머리를 받쳐주어 목이 뒤로 꺾이지 않게 하므로 심각한 목 부상이 유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관통구(103)의 내주면 전단은 전방으로 회동되는 양 수직부(12)가 부딪히면 더 이상 회동하지 못하게 제동하는 스토퍼의 작용도 하는 것으로서, 이후, 충격이 해소되면 가동판(110)이 역 회동할 때 늘어난 스프링(130)의 수축력에 의해 상기 가동판의 상부가 후방으로 당겨져서 정 회동되어 원위치로 복귀하므로 양 수직부는 다시 관통구의 내주면 후단에 접지됨과 동시에 상기 가동판은 수직상태를 유지하게 되지만, 이때도 받침부재(70)는 전방으로 완전히 이동된 상태로 있게 된다.
도 25a는 본 발명 제1-4 실시예에 의한 헤드레스트를 제3 가변이동장치가 장착된 시트의 등받이에 설치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25b는 동 제3 가변이동 장치의 동작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며, 도 25c는 동 제3 가변이동장치를 발췌하여 분해한 사시도이다.
상기 제3 가변이동장치는, 등받이(100)의 내부에 장착하는 프레임(101)의 내측 상부를 좌우로 가로지르게 설치되는 힌지축(102)과, 상기 프레임의 상단부 양쪽에 전후로 길게 형성되는 관통구(103)와, 상기 힌지축에 직교하게 착설되며 관통구를 관통하여 상부로 노출되는 각 상단에는 스테이로드(10)의 양 수직부(12)를 결합하는 한 쌍의 소켓관(120)과, 상기 힌지축에 의해 전후로 회동하게 소켓관의 하단에 착설되는 가동판(110)과, 각 일단은 상기 가동판의 양측 상단부에 걸어주고 각 타단은 프레임의 양측 전면부에 걸어주어 평상시에는 탄력이 가동판과 소켓관이 수직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힘으로 작용하게 설치되는 스프링(130)과, 상기 가동판이 후방으로 역 회동하는 정도를 제어하게 프레임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는 스토퍼(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동판(110)은 중량감소를 위해 강판보다는 합성수지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서, 상부의 양쪽에는 결속공(111)을 수직으로 형성하여 각 소켓관(120)의 하단부를 강제 끼워 맞춤하고, 하부는 전방을 향해 적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하여 탑승자의 등판이 등받이(100)에 부딪힐 때 가해지는 힘이 즉시 전달되어 후방으로 밀리게 한다.
그리고, 소켓관(120)은 가동판(110)이 수직상태를 유지하고 있을 때에는 각 관통구(103)의 내주면 후단에 접지되어 있게 한다.
이와 같은 가동판(110)은 스프링(130)의 탄력보다 크지 않은 힘이 가해지는 평상시에는 상기 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평형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으로서, 받침부재(70)의 높낮이나 전후위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충돌(추돌)사고의 발생으로 탑승자의 등판이 등받이(100)에 부딪혀 스프링(130)의 탄력보다 큰 힘이 가동판(110)에 가해지면 즉시 후방으로 밀려 스토퍼(140)에 의해 제동될 때까지 힌지축(102)을 축으로 하여 역 회동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가동판(110)이 역 회동하는 정도에 비례하여 소켓관(120)은 전방으로 회동하게 됨과 동시에 탑승자의 등판이 부딪힐 때 가동판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한 반동으로 제1,2 회동부재(30)(30')와 받침부재(70)가 동시에 전방으로 완전히 이동되며, 제동부재(40')에 의해 더 이상 전방으로 회동하지 못하게 제동되면 멈춤부재(40)의 발톱(41)은 기어치(22)에 걸어져 이탈되지 않게 걸어지므로 상기 받침부재는 전방으로 완전히 이동된 위치에서 정지되고, 이후에 탑승자의 머리가 뒤로 젖혀지기 때문에 상기 받침부재는 최적의 위치에서 머리를 받쳐주어 목이 뒤로 꺾이지 않게 하므로 심각한 목부상이 유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이후, 충격이 해소되면 스프링(130)의 탄성이 작용하여 가동판(110)을 전 방으로 정 회동시켜서 원위치로 복귀시켜 주므로 소켓관(120)은 다시 관통구(103)의 내주면 후단에 접지됨과 동시에 상기 가동판은 다시 수직상태를 유지하게 되지만, 이때도 받침부재(70)는 전방으로 완전히 이동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시트 등받이(100)의 내부에 가동판(110)을 설치하면, 충돌사고시에는 물론 특히 추돌사고가 발생하였을 때에도 그 충격이 신속하게 헤드레스트에 전달되기 때문에 비교적 심한 충돌(추돌)사고가 아니라도 받침부재(70)가 즉시 전방으로 이동되어 머리가 뒤로 젖혀지지 않도록 받쳐주는 특징이 있다.
한편, 상기의 각 실시예에서는 평상시 가동판(110)이 수직상태를 유지토록 하기 위해서 양측 하부 또는 상부에 스프링(130)을 걸어주어 전방 또는 후방으로 당겨주도록 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가동판의 하부를 전방으로 밀어주어 수직상태를 유지토록 하여도 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스프링 또는 스프링을 대체하는 탄성부재를 이용하여 수직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경우에도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임은 물론 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헤드레스트는, 평상시에는 받침부재의 높낮이와 전후위치를 탑승자의 편의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임은 물론 특히 충돌 또는 추돌사고가 발생하면 그 충격에 의해 받침부재가 즉시 전방으로 완전히 이동되어 최적의 위치에서 머리가 뒤로 젖혀지지 않도록 받쳐줌과 동시에 머리가 부딪혀도 뒤로 밀리지 않고 정지되어 있게 됨으로써 머리가 뒤로 젖혀지지 않도록 받쳐주는 특징이 있으며, 이에 따라 충돌 또는 추돌사고의 발생시 머리가 뒤로 젖혀져서 유발되던 심각한 목 부상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헤드레스트를 설치하는 시트의 등받이 내부에는 가변이동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충돌 또는 추돌사고의 발생시 그 충격이 즉시 스테이로드에 전달되어 받침부재가 보다 신속히 전방으로 완전히 이동하여 탑승자의 머리를 더욱더 안전하게 받쳐주도록 한 특징도 있다.
Claims (29)
- 수평부(11)와, 상기 수평부(11)의 양단에 서로 평행하게 하향연장되어 시트 등받이의 상단부에 결합하는 양 수직부(12)로 이루어지는 스테이로드(10)와;상기 수평부(11)의 상면에 고정 착설하는 기판(20')과, 상기 기판(20')의 양단에 서로 평행하게 상향연장된 양측판(21)(21')으로 이루어지며, 일측판(21)의 상단에는 복수의 기어치(22)가 형성된 기판부재(20)와;전면판(32)과, 상기 전면판(32)의 양단에 서로 평행하게 후방으로 연장되며 하단부는 양측판(21)(21')의 전측부에 각각 축 결합하는 양면판(31)(31')으로 이루어지는 제1 회동부재(30)와;후면판(32a)과, 상기 후면판(32a)의 양단에 서로 평행하게 전방으로 연장되며 하단부는 양측판(21)(21')의 후측부에 각각 축 결합하는 양측편(31a)(31b)으로 이루어지는 제2 회동부재(30')와;상기 일면판(31)의 내면에 축 결합 설치되며, 전단에는 걸림부(42)가 후단에는 상기 기어치(22)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발톱(41)이 각각 하향 연장된 멈춤부재(40)와;상기 제1 회동부재(30)가 전방으로 회동하여 발톱(41)이 기어치(22) 중 선단의 기어치에 걸어지면 전면판(32)의 하단을 받쳐주게 기판부재(20)에 설치되는 제동부재(40')와;일단과 타단을 상기 일면판(31)과 멈춤부재(40)에 각각 걸어주어 설치되며, 상기 발톱(41)이 기어치(22)에 걸어질 때는 탄력이 멈춤부재(40)의 후단부를 하강시키는 힘으로 작용하고 발톱(41)이 상승하여 기어치에서 벗어나면 후단부를 상승시키는 힘으로 작용하는 전환스프링(50)과;각 전단부는 상기 양면판(31)(31')의 각 상단부에 각 후단부는 양측편(31a)(31b)의 각 상단부에 각각 축 결합하는 힌지판(61)과, 상기 힌지판(61)의 후단에 직교하게 연장된 결속판(62)으로 이루어지는 결속부재(60)(60')와;상기 결속판(62)이 내면에 고정되는 내피체(71)를 내부에 한 몸체로 되게 장착하여 되는 받침부재(70)와;상기 받침부재(70)의 외면 일측에 부설되어 멈춤부재(40)를 역 회동시켜 발톱(41)이 기어치(22)로부터 이탈되게 하는 핸들(81)을 갖는 해제부재(80); 및일단은 상기 기판부재(20)에 타단은 상기 제1,2 회동부재(30)(30') 중 어느 하나에 각각 걸어주어 설치되며, 탄력이 상기 제1,2 회동부재(30)(30')를 함께 후방으로 회동시켜 주는 힘으로 작용하는 리턴스프링(9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 회동부재(30)의 양면판(31)(31')의 하단부는 양측판(21)(21')의 전측부 외면에 주축(30a)으로 각각 축 결합하여 설치하고;상기 제2 회동부재(30')의 양측편(31a)(31b)의 하단부는 양측판(21)(21')의 후측부 내면에 주축(30b)으로 각각 축 결합하여 설치하며;상기 결속부재(60)(60')의 각 힌지판(61)의 전단부는 각각의 리벳관축(60a)으로 상기 양면판(31)(31')의 각 상단부 외면에, 각 후단부는 장축(60b)으로 상기 양측편(31a)(31b)의 각 상단부 외면에 각각 축 결합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주축(30a)은 주축(30b)과 동일한 수평선상에, 상기 리벳관축(60a)은 장축(60b)과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게 각각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주축(30a)은 주축(30b)과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게 설치하고, 리벳관축(60a)은 장축(60b)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주축(30a)은 주축(30b)과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게 설치하고, 상기 장축(60b)은 리벳관축(60a)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제동부재(40')는, 상기 발톱(41)이 선단의 기어치(22)에 걸어지면 전면판(32)의 하단을 받쳐주어 제1 회동부재(30)가 전방으로 회동하지 못하게 하도록 기판(20')의 전단부 또는 타측판(21')의 전단면 하단부 중 어느 하나에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제동부재(40')는, 상기 발톱(41)이 선단의 기어치(22)에 걸어진 다음 발톱(41)이 선단의 기어치(22)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되는 범위내에서 상기 제1 회동부재(30)가 전방으로 더 회동할 수 있도록 전면판(32)의 하단과 소정간격(t)을 유지하게 타측판(21')의 전단면 하단부에 전방으로 연장되게 일체로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해제부재(80)는,외단에는 상기 핸들(81)이 착설되며, 상기 양면판(31)(31')의 각 상부와 각 힌지판(61)의 전단부를 축 결합하는 각각의 리벳관축(60a)을 관통하게 결합하여 설치되는 가동장축(82)과;하단부는 상기 걸림부(42)의 직 전방에 위치하고, 상단부는 상기 가동장축(82)에 축 결합하여 함께 회전하게 설치되는 가압레버(83); 및상기 가동장축(82)에 축 결합하여 일단은 가압레버(83)에 걸어주고 타단은 제1 회동부재(30)의 상단부에 걸어주어 설치되며, 탄력이 상기 가압레버(83)를 가동장축(82)과 함께 정 회전시켜 주는 힘으로 작용을 하는 코일스프링(84)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 제8항에 있어서,상기 코일스프링(84)의 전장은, 상기 가압레버(83)와 제1 회동부재(30)의 타면판(31')과의 사이보다는 짧게 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코일스프링(84)의 타단과 타면판(31')의 사이에는 이들의 간격에 비례하는 길이의 지지관체(86)를 가동장축(82)에 결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 수평부(11)와, 상기 수평부(11)의 양단에 서로 평행하게 하향연장되어 시트 등받이의 상단부에 결합하는 양 수직부(12)로 이루어지는 스테이로드(10)와;상기 수평부(11)의 상면에 고정 착설하는 기판(20')과, 상기 기판(20')의 양단에 서로 평행하게 상향연장된 양측판(21)(21')으로 이루어지는 기판부재(20)와;전면판(32)과, 상기 전면판(32)의 양단에 서로 평행하게 후방으로 직교되어 하향연장되며 하단부는 양측판(21)(21')의 전측부에 각각 축 결합하는 양면판(31)(31')으로 이루어지는 제1 회동부재(30)와;상기 일면판(31)의 상측부에 수평으로 착설되며, 전단과 후단에는 걸이부(22a)와 후단턱(22b)이 하향연장되고 이들 사이의 하단면에는 복수의 기어치(22) 가 형성된 레버래칫(20A)과;후면판(32a)과, 상기 후면판(32a)의 양단에 서로 평행하게 전방으로 직교하여 하향연장되며 각 하단부는 양측판(21)(21')의 후측부에 각각 축 결합하는 양측편(31a)(31b)으로 이루어지는 제2 회동부재(30')와;상기 일측판(21)의 내면 상측부에 회동하게 축 결합 설치되며, 상단에는 상기 기어치(22)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발톱(41)을 구비하여 되는 멈춤부재(40)와;상기 제1 회동부재(30)가 전방으로 회동하여 발톱(41)이 기어치(22)중 후단의 기어치에 걸어지면 전면판(32)의 하단을 받쳐주게 기판부재(20)에 설치되는 제동부재(40')와;일단과 타단을 상기 일측판(21)과 멈춤부재(40)에 각각 걸어주어 설치되며, 상기 발톱(41)이 기어치(22)중 어느 하나에 걸어질 때에는 탄력이 멈춤부재(40)를 상승시키는 힘으로 작용하고, 발톱(41)이 하향하여 기어치(22)로부터 벗어나면 하강시키는 힘으로 작용하는 전환스프링(50)과;각 전단부는 상기 제1 회동부재(30)의 상단부 양측에 각 후단부는 제2 회동부재(30')의 상단부 양측에 각각 축 결합하는 힌지판(61)과, 상기 힌지판(61)의 후단에 직교하게 연장한 결속판(62)을 구비하는 결속부재(60)(60')와;상기 결속판(62)이 내면에 고정되는 내피체(71)를 내부에 한 몸체로 되게 장착하여 되는 받침부재(70)와;상기 받침부재(70)의 외면 일측에 부설되어 멈춤부재(40)를 역 회동시켜 발 톱(41)이 기어치(22)로부터 이탈되게 하는 핸들(81)을 갖는 해제부재(80); 및일단은 상기 기판부재(20)에 타단은 상기 제1,2 회동부재(30)(30') 중 어느 하나에 각각 걸어주어 설치되며, 탄력이 상기 제1,2 회동부재(30)(30')를 함께 후방으로 회동시켜 주는 힘으로 작용하는 리턴스프링(9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제1 회동부재(30)의 양면판(31)(31')의 하단부는 양측판(21)(21')의 전측부 외면에 주축(30a)으로 각각 축 결합하여 설치하고;상기 제2 회동부재(30')의 양측편(31a)(31b)의 하단부는 양측판(21)(21')의 후측부 외면에 주축(30b)으로 각각 축 결합하여 설치하며;상기 결속부재(60)(60')의 각 힌지판(61)의 전단부는 양면판(31)(31')의 각 상단부 외면에, 각 후단부는 양측편(31a)(31b)의 각 상단부 외면에 각각의 장축(60b)으로 축 결합하여 설치하고;상기 주축(30a)은 주축(30b)과 동일한 수평선상에, 상기 각각의 장축(60b)은 서로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게 각각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상기 제동부재(40')는, 상기 발톱(41)이 후단의 기어치(22)에 걸어지면 상기 일면판(31)의 전단면 하측부를 받쳐주어 제1 회동부재(30)가 전방으로 회동하지 못하게 하도록 일측판(21)의 전단면 하측에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상기 제동부재(40')는, 상기 발톱(41)이 후단의 기어치(22)에 걸어진 다음 발톱(41)이 후단의 기어치(22)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되는 범위내에서 제1 회동부재(30)가 전방으로 더 회동할 수 있도록 일면판(31)의 전단면 하측부와 소정의 간격(t)을 유지하게 일측판(21)의 전단면 하측에 측방으로 연장되게 일체로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해제부재(80)는,외단에는 상기 핸들(81)이 착설되며, 상기 후면판(32a)의 양측에서 전방으로 직교된 부분에 각각 형성된 축공(33a)을 관통하게 결합하여 설치되는 가동장축(82)과;상단부에는 상기 가동장축(82)에 축 결합하는 결속축공(831)이 형성되고, 하단부는 상기 멈춤부재(40)의 상측부 직 후방에 위치하게 설치되는 가압레버(83); 및상기 가동장축(82)에 축 결합하여 일단은 가압레버(83)에 걸어주고 타단은 제2 회동부재(30')에 걸어주어 설치되며, 탄력이 상기 가압레버(83)를 가동장축(82)과 함께 역 회전시켜 주는 힘으로 작용을 하는 코일스프링(84)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 제8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상기 가동장축(82)의 외주면 일부분에는 축 방향으로 절삭하여 평면상의 결속면(821)을 형성하고, 상기 결속축공(831)은 결속면(821)이 형성된 부분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되게 형성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 제8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상기 핸들(81)과 가동장축(82)은, 외측부에는 상기 핸들(81)의 외측에서 나사를 체결하여 결속하는 체결공(852)이 형성되고 내측부에는 상기 가동장축(82)의 외단부가 결착되는 결착공(851)을 형성된 이음재(85)를 매개로 연결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 제16항에 있어서,상기 핸들(81)의 내측부에는, 내주면에 축 방향으로 복수의 결착홈(813)이 구비된 결합공(811)을 형성하고 상기 이음재(85)의 외주면에는 결착홈(813)이결착되는 결착돌기(853)를 형성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 트.
- 수평부(11)와, 상기 수평부(11)의 양단에 서로 평행하게 하향연장되어 시트 등받이의 상단부에 결합하는 양 수직부(12)로 이루어지는 스테이로드(10)와;상기 수평부(11)의 상면에 고정 착설하는 기판(20')과, 상기 기판(20')의 양단에 서로 평행하게 상향연장되는 양측판(21)(21')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일측판(21)의 상단부에는 복수의 기어치(22)가 형성된 기판부재(20)와:전면판(32)과, 상기 전면판(32)의 양단에 서로 평행하게 후방으로 연장되며 각 하단부는 양측판(21)(21')의 전측부의 외면에 각각 축 결합하는 양면판(31)(31')으로 이루어지는 제1 회동부재(30)와;후면판(32a)과, 상기 후면판(32a)의 양단에 서로 평행하게 전방으로 연장되며 각 하단부는 양측판(21)(21')의 후측부의 내면에 각각 축 결합하는 양측편(31a)(31b)으로 이루어지는 제2 회동부재(30')와;상기 일면판(31)의 내면에 축 결합 설치되며, 전단에는 걸림부(42)가 후단에는 상기 기어치(22)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발톱(41)이 각각 하향 연장된 멈춤부재(40)와;상기 제1 회동부재(30)가 전방으로 회동하여 발톱(41)이 선단의 기어치(22)에 걸어지면 전면판(32)의 하단을 받쳐주게 상기 타측판(21)의 전단면의 하측부에 일체로 설치되는 제동부재(40')와;일단과 타단을 상기 일면판(31)과 멈춤부재(40)에 각각 걸어주어 설치되며, 상기 발톱(41)이 기어치(22)에 걸어질 때는 탄력이 멈춤부재(40)의 후단부를 하강시키는 힘으로 작용하고 발톱(41)이 상승하여 기어치(22)에서 벗어나면 후단부를 상향시키는 힘으로 작용하는 전환스프링(50)과;각 전단부는 상기 양면판(31)(31')의 각 상측부에 각 후단부는 양측편(31a)(31b)의 각 상단부에 각각 축 결합하는 힌지판(61)과, 상기 힌지판(61)의 후단에 직교하게 연장된 결속판(62)으로 이루어지는 결속부재(60)(60')와;상기 결속판(62)이 내면에 고정되는 내피체(71)가 내부에 한 몸체로 되게 장착되는 받침부재(70)와;상기 받침부재(70)의 외면 일측에 부설되어 멈춤부재(40)를 역 회동시켜 발톱(41)이 기어치(22)로부터 이탈되게 하는 핸들(81)을 갖는 해제부재(80); 및일단은 상기 기판부재(20)에 타단은 상기 제1,2 회동부재(30)(30') 중 어느 하나에 각각 걸어주어 설치되며, 탄력이 상기 제1,2 회동부재(30)(30')를 함께 후방으로 회동시켜 주는 힘으로 작용하는 리턴스프링(9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 제18항에 있어서,상기 제1 회동부재(30)의 양면판(31)(31')의 하단부는 양측판(21)(21')의 전측부 외면에 주축(30a)으로 각각 축 결합하여 설치하고;상기 제2 회동부재(30')의 양측편(31a)(31b)의 하단부는 양측판(21)(21')의 후측부 내면에 주축(30b)으로 각각 축 결합하여 설치하며;상기 결속부재(60)(60')의 각 힌지판(61)의 전단부는 양면판(31)(31')의 상측부 외면에 리벳축(60a')으로, 각 후단부는 양측편(31a)(31b)의 상단부 외면에 각각의 장축(60b)으로 축 결합하여 설치하고;상기 주축(30a)은 주축(30b)과 동일한 수평선상에, 상기 리벳축(60a')은 장축(60b)과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게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 제18항에 있어서,상기 해제부재(80)는,외단에는 상기 핸들(81)이 착설되며, 상기 양면판(31)(31')의 각 상측부에 축 결합하는 리벳축(60a')의 직 상부인 상단부에 형성된 축결합공(35)을 관통하게 축 결합하여 설치되는 가동장축(82)과;하단부는 상기 걸림부(42)의 직 전방에 위치하고, 상단부는 상기 가동장축(82)에 축 결합하여 함께 회전하게 설치되는 가압레버(83); 및상기 가동장축(82)에 축 결합하여 일단은 가압레버(83)에 걸어주고 타단은 제1 회동부재(30)의 상단부에 걸어주어 설치되며, 탄력이 상기 가압레버(83)를 가동장축(82)과 함께 정 회전시켜 주는 힘으로 작용을 하는 코일스프링(84)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 수평부(11)와, 상기 수평부(11)의 양단에 서로 평행하게 하향연장되어 시트 등받이의 상단부에 결합하는 양 수직부(12)로 이루어지는 스테이로드(10)와;상기 수평부(11)의 상면에 고정 착설하는 기판(20')과, 상기 기판(20')의 양단에 서로 평행하게 상향연장되는 양측판(21)(21')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일측판(21)의 상단부에는 복수의 기어치(22)가 형성되고, 그 후단에는 받침부(24)이 상향 연장된 기판부재(20)와:전면판(32)과, 상기 전면판(32)의 양단에 서로 평행하게 후방으로 연장되며 각 하단부는 양측판(21)(21')의 전측부의 내면에 각각 축 결합하는 양면판(31)(31')으로 이루어지는 제1 회동부재(30)와;후면판(32a)과, 상기 후면판(32a)의 양단에 서로 평행하게 전방으로 연장되며 각 하단부는 양측판(21)(21')의 후측부의 외면에 각각 축 결합하는 양측편(31a)(31b)으로 이루어지는 제2 회동부재(30')와;하단에는 상기 기어치(22)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발톱(41)이 하향 연장된 멈춤부재(40)와;일단을 상기 멈춤부재(40)의 하측부에 걸어주어 발톱(41)이 기어치(22)에 걸어질 때는 탄력이 멈춤부재(40)의 하부를 하강시키는 힘으로 작용하고 발톱(41)이 상승하여 기어치(22)에서 벗어나면 하부를 상승시키는 힘으로 작용하는 전환스프링(50)과;전단부는 일면판(31)의 상단부에 후단부는 일측편(31a)의 상단부에 각각 축 결합하며 하측부에는 멈춤부재(40)의 상단부는 축 결합하고 전환스프링(50)의 일단은 걸어주는 힌지판(61)과, 상기 힌지판(61)의 전단에 직교하게 연장되는 결속 판(62)으로 이루어지는 결속부재(60)와:전단부는 타면판(31')의 상단부에 후단부는 타측편(31b)의 상단부에 각각 축 결합하는 힌지판(61)과, 상기 힌지판(61)의 전단에 직교하게 연장되는 결속판(62)으로 이루어지는 결속부재(60')와;상기 결속판(62)들이 내면에 고정되는 내피체(71)를 내부에 한 몸체로 되게 장착하여 되는 받침부재(70)와;상기 받침부재(70)의 외면 일측에 부설되어 멈춤부재(40)를 역 회동시켜 발톱(41)이 기어치(22)로부터 이탈되게 하는 핸들(81)을 갖는 해제부재(80); 및일단은 상기 기판부재에 타단은 상기 제1,2 회동부재 중 어느 하나에 각각 걸어주어 설치되며 탄력이 제1,2 회동부재를 함께 후방으로 회동시켜 주는 힘으로 작용하는 리턴스프링(9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 제21항에 있어서,상기 제1 회동부재(30)의 양면판(31)(31')의 각 상단부와 제2 회동부재(30')의 양측편(31a)(31b)의 각 상단부는 결속부재(60)(60')의 각 힌지판(61)의 전후측부에 각각의 장축(60c)과 리벳축(60b')으로 서로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게 축 결합 설치하고, 상기 양면판(31)(31')의 각 하단부는 기판부재(20)의 양측판(21)(21')의 전측부 내면에 양측편(31a)(31b)의 각 하단부는 후측부 외면에 각각의 주축(30a)(30b)으로 서로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게 축 결합 설치하여 구성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 제21항에 있어서,상기 해제부재(80)는,외단에는 상기 핸들(81)이 착설되며, 상기 힌지판(61)들의 상단측에 형성한 힌지축공(63)을 각각 관통하게 축 결합 설치되는 가동장축(82)과;하단부는 상기 멈춤부재(40)의 직 전방에 위치하고, 상단부는 상기 가동장축(82)에 축 결합하여 함께 회전하게 설치되는 반 원호형의 가압레버(83); 및상기 가동장축(82)에 축 결합하여 일단은 가압레버(83)에 걸어주고 타단은 결속부재(60)의 힌지판(61)의 상단부에 걸어주어 설치되며, 탄력이 상기 가압레버(83)를 가동장축(82)과 함께 정 회전시켜 주는 힘으로 작용을 하는 코일스프링(84)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 제1항, 제10항, 제18항, 또는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스테이로드(10)의 양 수직부(12)가 결합되는 시트 등받이(100)의 내부에는, 충돌 또는 추돌사고의 발생시 그 충격이 신속하게 상기 스테이로드(10)에 전달되어 받침부재(70)가 즉시 전방으로 완전히 이동하게 작용하는 가변이동장치를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 제24항에 있어서,상기 가변이동장치는,상기 시트 등받이(100)의 내부에 장착되는 프레임(101)의 내측에 위치하게 상부가 힌지축(102)으로 프레임(101)에 축 결합 설치되는 가동판(110)과;상기 프레임(101)의 상단부 양쪽에 전후로 길게 형성되는 관통구(103)와;상기 가동판(110)의 상단면 양쪽에 수직으로 부설되며, 각 관통구(103)를 통해 삽입되는 양 수직부(12)를 각각 결합하는 한 쌍의 소켓관(120)과;각 일단은 상기 가동판(110)의 하부 양측에 걸어주고 각 타단은 프레임(101)의 하부 양측의 전단부에 걸어주어 탄력이 가동판(110)의 하부를 전방으로 당겨서 수직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힘으로 작용하게 설치되는 스프링(1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 제24항에 있어서,상기 가변이동장치는,상기 등받이(100)의 내부에 장착되는 프레임(101)의 내측에 위치하게 상부가 힌지축(102)으로 프레임(101)에 축 결합 설치되는 가동판(110)과;상기 프레임(101)의 상단부 양쪽에 전후로 길게 형성되는 관통구(103)와;상기 가동판(110)의 상단면 양쪽에 수직으로 부설되며, 각 관통구(103)를 통해 삽입되는 양 수직부(12)를 각각 결합하는 한 쌍의 소켓관(120)과;각 일단은 상기 가동판(110)의 양측 상부에 걸어주고 각 타단은 프레임의 양측 상부의 후단부에 걸어주어 평상시에는 탄력이 가동판(110)의 상부를 후방으로 당겨서 수직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힘으로 작용하게 설치되는 스프링(1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 제24항에 있어서,상기 가변이동장치는,상기 등받이(100)의 내부에 장착하는 프레임(101)의 내측 상부를 좌우로 가로지르게 설치되는 힌지축(102)과;상기 프레임(101)의 상단부 양쪽에 전후로 길게 형성되는 관통구(103)와;상기 힌지축(102)에 직교하게 착설되며, 각 관통구(103)를 관통하여 상부로 노출되는 각 상단에는 양 수직부(12)를 결합하는 한 쌍의 소켓관(120)과;상기 힌지축(102)에 의해 전후로 회동하게 소켓관(120)의 하단에 착설하는 가동판(110)과;각 일단은 상기 가동판(110)의 양측 상단부에 걸어주고 각 타단은 프레임(101)의 양측 전면부에 걸어주어 평상시에는 탄력이 가동판(110)과 소켓관(120)이 수직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힘으로 작용하게 설치되는 스프링(1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 제27항에 있어서,상기 가변이동장치는,상기 프레임(101)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어 각 가동판(110)이 후방으로 역 회 동하는 정도를 제어하는 스토퍼(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 제27항에 있어서,상기 가동판(110)은 합성수지로 되며, 상부 양쪽에는 각 소켓관(120)의 하단부를 끼워 고정하는 결속공(111)이 수직으로 형성되고, 하부는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60027898 | 2006-03-28 | ||
KR1020060027898 | 2006-03-28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97302A true KR20070097302A (ko) | 2007-10-04 |
KR100868787B1 KR100868787B1 (ko) | 2008-11-17 |
Family
ID=38803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02610A KR100868787B1 (ko) | 2006-03-28 | 2007-01-09 |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68787B1 (ko)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88173B1 (ko) * | 2008-08-20 | 2010-10-18 | 우성테크(주) | 차량용 헤드레스트 위치조절기구 |
KR101044067B1 (ko) * | 2009-09-16 | 2011-06-23 | 주식회사 우보테크 |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
US7988234B2 (en) | 2007-12-14 | 2011-08-02 | Hyundai Motor Company | Headrest for vehicle |
KR101144870B1 (ko) * | 2009-06-02 | 2012-05-16 | 주식회사 우보테크 | 헤드레스트 슬라이딩장치 |
KR101300484B1 (ko) * | 2012-03-27 | 2013-09-02 | 허인영 | 차량용 헤드레스트 |
WO2015158666A1 (en) * | 2014-04-14 | 2015-10-22 |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 Folding head restraint mechanism |
KR101578072B1 (ko) * | 2014-07-11 | 2015-12-16 | 주식회사 우보테크 |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
WO2016006822A1 (en) * | 2014-07-11 | 2016-01-14 | Woobo Tech Co., Ltd. | Headrest moving device |
WO2018070673A1 (en) * | 2016-10-13 | 2018-04-19 | Woobo Tech Co., Ltd. | Headrest moving devi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70344B1 (ko) * | 2016-10-28 | 2018-06-22 | 주식회사 우보테크 |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39910B1 (ko) | 2001-06-21 | 2004-07-12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용 헤드 레스트 |
JP2004106647A (ja) | 2002-09-17 | 2004-04-08 | Shigeru Co Ltd | むち打ち防止構造 |
KR100510152B1 (ko) | 2003-04-14 | 2005-08-26 | 주식회사 우보테크 |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
KR200361737Y1 (ko) | 2004-06-23 | 2004-09-13 | 정해일 | 헤드레스트의 틸팅장치 |
KR200406574Y1 (ko) | 2005-10-26 | 2006-01-23 | 주식회사 우보테크 | 헤드레스트의 수평이동장치 |
-
2007
- 2007-01-09 KR KR1020070002610A patent/KR100868787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988234B2 (en) | 2007-12-14 | 2011-08-02 | Hyundai Motor Company | Headrest for vehicle |
KR100988173B1 (ko) * | 2008-08-20 | 2010-10-18 | 우성테크(주) | 차량용 헤드레스트 위치조절기구 |
KR101144870B1 (ko) * | 2009-06-02 | 2012-05-16 | 주식회사 우보테크 | 헤드레스트 슬라이딩장치 |
KR101044067B1 (ko) * | 2009-09-16 | 2011-06-23 | 주식회사 우보테크 |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
KR101300484B1 (ko) * | 2012-03-27 | 2013-09-02 | 허인영 | 차량용 헤드레스트 |
WO2013147454A1 (ko) * | 2012-03-27 | 2013-10-03 | Heo Chi Yeong | 차량용 헤드레스트 |
WO2015158666A1 (en) * | 2014-04-14 | 2015-10-22 |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 Folding head restraint mechanism |
US10377286B2 (en) | 2014-04-14 | 2019-08-13 |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 R.L. | Folding head restraint mechanism |
KR101578072B1 (ko) * | 2014-07-11 | 2015-12-16 | 주식회사 우보테크 |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
WO2016006822A1 (en) * | 2014-07-11 | 2016-01-14 | Woobo Tech Co., Ltd. | Headrest moving device |
CN106029442A (zh) * | 2014-07-11 | 2016-10-12 | 牛步科技有限公司 | 头枕移动装置 |
US10308153B2 (en) | 2014-07-11 | 2019-06-04 | Woobo Tech Co., Ltd. | Headrest moving device |
WO2018070673A1 (en) * | 2016-10-13 | 2018-04-19 | Woobo Tech Co., Ltd. | Headrest moving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68787B1 (ko) | 2008-11-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68787B1 (ko) |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 |
US8708411B2 (en) | Vehicle seat | |
JP5049790B2 (ja) | シートの背もたれ支持機構 | |
KR101071580B1 (ko) |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 |
JP6615596B2 (ja) | 自動車用シートクッションエクステンション装置 | |
JP5642264B2 (ja) | 自動車シート用調整装置、特に高さ調整装置 | |
JP2004520223A (ja) | 自動車用シート | |
JP2004533963A (ja) | ヘッドレストの構成 | |
JP4008820B2 (ja) | 自動車用安全ヘッドレスト | |
JP6870472B2 (ja) | スライド装置 | |
US6840560B2 (en) | Vehicular seat assembly having a movable headrest and a vehicle which incorporates the vehicular seat assembly | |
JP5153794B2 (ja) | バックレスト支持機構 | |
JP2002502336A (ja) | シートおよびこのシートを備えた車両 | |
JPH10138813A (ja) | 乗物用ヘッドレスト装置 | |
JP2007521179A (ja) | 車両シート | |
WO2009091300A1 (en) | A seat comprising an anti- whiplash mechanism and a method for fitting such a mechanism to a seat | |
KR101144870B1 (ko) | 헤드레스트 슬라이딩장치 | |
KR20070105210A (ko) |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 |
JP6040832B2 (ja) | 乗物用シート | |
KR20150063697A (ko) | 차량시트의 후방추돌 충격완화 장치 | |
KR100792212B1 (ko) | 충격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 |
JP4431480B2 (ja) | ヘッドレスト | |
KR100823200B1 (ko) | 차량용 헤드레스트 각도 조절장치 | |
JP5766621B2 (ja) | 自動車用衝撃吸収シート | |
GB2363323A (en) | Head-res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17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17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