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5501A - 결제 및 잔액확인 기능을 갖는 손목시계 - Google Patents

결제 및 잔액확인 기능을 갖는 손목시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5501A
KR20070095501A KR1020050096628A KR20050096628A KR20070095501A KR 20070095501 A KR20070095501 A KR 20070095501A KR 1020050096628 A KR1020050096628 A KR 1020050096628A KR 20050096628 A KR20050096628 A KR 20050096628A KR 20070095501 A KR20070095501 A KR 20070095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ance
tag
case
displa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6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7014B1 (ko
Inventor
이재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씨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씨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씨글로벌
Priority to KR1020050096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7014B1/ko
Publication of KR20070095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5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7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7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4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using radio wav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9/00Indicating the time by visual means
    • G04B19/24Clocks or watches with date or week-day indicators, i.e. calendar clocks or watches; Clockwork calendar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04G17/02Component assemblies
    • G04G17/04Mounting of electronic components
    • G04G17/045Mounting of the display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9/00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 G04G9/0064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in which functions not related to time can be displayed
    • GPHYSICS
    • G04HOROLOGY
    • G04RRADIO-CONTROLLED TIME-PIECES
    • G04R60/00Constructional details
    • G04R60/06Antenna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clock or watch bodies
    • G04R60/08Antenna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clock or watch bodies inside bezels
    • GPHYSICS
    • G04HOROLOGY
    • G04RRADIO-CONTROLLED TIME-PIECES
    • G04R60/00Constructional details
    • G04R60/06Antenna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clock or watch bodies
    • G04R60/10Antenna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clock or watch bodies inside cas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7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interrog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제 및 잔액확인 기능을 갖는 손목시계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하가 개구된 케이스; 케이스의 상부 개구에 설치된 표시부;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시각 정보를 계산하는 시각 산출부와, 시각 산출부에서 산출된 시각이 표시부로 표시되게 하며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시계 제어용 모듈;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외부 판독기와 비접촉식으로 송수신하여 결제를 처리하는 것으로, 판독기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처리하여 판독기로 제공하고 저장하는 태그 칩과, 판독기와 무선으로 송수신하며 판독기로부터 수신된 전파신호에 의한 에너지를 태그 칩으로 공급하는 태그 안테나를 구비하는 알에프 태그;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알에프 태그로부터 잔액 정보를 읽어 들여 표시부로 잔액이 표시되도록 제어부로 공급하는 잔액 표시용 모듈; 및 케이스의 하부 개구에 결합되어 케이스를 밀봉하는 하부 커버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결제 및 잔액확인 기능을 갖는 손목시계{Watch having function of payment and balance check}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및 잔액확인 기능을 갖는 손목시계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손목시계를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손목시계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손목시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손목시계의 사용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제 및 잔액확인 기능을 갖는 손목시계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10..케이스 120..베젤
130..표시부 140..시계 제어용 모듈
150,250..알에프 태그 160..잔액 표시용 모듈
본 발명은 손목시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잔액 확인이 평상시에도 가능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결제 및 잔액확인 기능을 갖는 손목시계에 관한 것이다.
알에프아이디(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는 소형 반도체 칩을 이용해 사물의 정보를 처리하는 기술로서, 판독 및 해독 기능이 있는 판독기와, 고유 정보를 내장한 알에프 태그(RF tag), 운용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등으로 구성되며, 사물에 부착된 얇은 평면 형태의 알에프 태그를 식별함으로써 정보를 처리하는 것이다. 알에프 태그는 반도체로 제작된 트랜스폰더 칩과 안테나로 구성되며, 수동식과 능동식이 있다. 수동식이 내부 전원 없이 판독기의 전파신호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아 동작하는 데 비해, 능동식은 알에프 태그 전지가 내장되어 스스로 작동하게 된다. 이러한 알에프아이디 기술은 바코드처럼 직접 접촉하거나 가시대역 안에서 스캐닝할 필요가 없는 장점 때문에 바코드를 대체할 기술로 평가받고 있으며, 물류, 교통, 보안, 안전 등의 다양한 분야로 그 활용이 확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알에프아이디 기술을 적용한 각종 결제시스템 중 교통카드 결제시스템에 있어서는, 알에프 태그가 내장된 선불식 또는 후불식 교통카드를 단말기로 사용하며, 판독기는 지하철의 개찰구 또는 버스의 출입문에 설치된다. 선불식 교통카드를 예로 들어 교통카드 결제시스템의 결제 방법을 설명하면, 교통카드를 판독기에 근접시키게 되면 판독기는 전자파를 발생시키고, 이에 따라 교통카드 주위에 자장을 형성하여 자계유도 현상에 의해 교통카드의 알에프 태그에 마련된 안테나를 통하여 전원과 펄스 신호가 칩에 전달된다. 이와 동시에 판독기에서 저장데 이터 처리명령 신호를 발생시켜 교통카드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요금을 정산함으로써 결제가 이루어진다.
이처럼 교통카드를 사용할 경우, 사용자가 판독기를 통과할 때마다 카드를 꺼내어 판독기 근처에 위치시켜야 하므로 번거로움이 따르며, 사용을 위해 별도로 휴대하여야 하므로 불편한 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0648호에 기재된 예가 있다. 이에 따르면, 키홀더, 핸드폰 걸이와 같은 장식품은 물론 손목시계에 알에프 통신 모듈을 내장함으로써 교통카드를 대용하여 전자화폐를 결제 가능하게 한 것이다. 그런데, 전술한 예에 따르면, 휴대하는데 있어서는 편리한 점이 있으나, 현재 잔액을 사용 후 판독기나 전자화폐 충전소를 통해서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미리 전자화폐를 충전하지 않은 경우에는 지하철이나 버스를 바로 이용할 수 없게 되므로, 사용자에게 상당한 불편함을 가져다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알에프 태그 및 잔액 표시용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전자화폐 결제가 가능하며, 표시부를 통한 잔액 확인이 평상시에도 가능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해줄 수 있는 결제 및 잔액확인 기능을 갖는 손목시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결제 및 잔액확인 기능을 갖는 손목시계는, 상하가 개구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부 개구에 설치된 표시부; 상 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시각 정보를 계산하는 시각 산출부와, 상기 시각 산출부에서 산출된 시각이 상기 표시부로 표시되게 하며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시계 제어용 모듈;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외부 판독기와 비접촉식으로 송수신하여 결제를 처리하는 것으로, 상기 판독기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판독기로 제공하고 저장하는 태그 칩과, 상기 판독기와 무선으로 송수신하며 상기 판독기로부터 수신된 전파신호에 의한 에너지를 상기 태그 칩으로 공급하는 태그 안테나를 구비하는 알에프 태그;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상기 알에프 태그로부터 잔액 정보를 읽어 들여 상기 표시부로 잔액이 표시되도록 상기 제어부로 공급하는 잔액 표시용 모듈; 및 상기 케이스의 하부 개구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를 밀봉하는 하부 커버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잔액 표시용 모듈은, 상기 알에프 안테나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안테나; 상기 수신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복조하여 잔액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표시부로 제공하는 리딩부; 상기 리딩부로 제공된 잔액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구비하여 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및 잔액확인 기능을 갖는 손목시계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손목시계에 대한 단면도 및 분해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1의 손목시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및 잔액확인 기능을 갖는 손목시계(100)는 상하가 개구된 케이스(110)와, 케이스(110)의 상부 개구에 설치된 표시부(130)와, 케이스(110) 내에서 표시부(130)와 접속되게 설치된 시계 제어용 모듈(140)과, 케이스(110) 내에서 시계 제어용 모듈(140)과 접속되게 설치된 잔액 표시용 모듈(160)과, 케이스(110)의 하부 개구에 설치된 하부 커버(112)와, 케이스(110)의 상단 가장자리에 결합된 베젤(bezel, 120), 및 베젤(120) 내에 수용된 알에프 태그(RF tag, 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스(110)는 베젤(120) 및 하부 커버(112)와 함께 전체적인 외관을 이루어 그 내부에 수용된 시계 제어용 모듈(140) 및 잔액 표시용 모듈(160)을 보호한다. 이를 위해, 케이스(110)는 내구성을 높이는 한편 제조의 용이성을 위해 금속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스(110)의 양측에는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게 시계 줄(115)이 마련된다.
표시부(130)는 시각 정보와 더불어 잔액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것으로, 이러한 정보들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숫자 및/또는 문자로 표시할 수 있는 표시패널, 예컨대 액정표시패널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표시부(130)는 평상시에 시각 정보가 표시되는 시각 표시 영역(131)에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잔액 정보가 표시되도록 구성되거나,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시각 표시 영역(131)과 별개로 잔액 표시 영역이 마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130)로부터의 시각 표시는 표시부(130)의 하측에 통상적인 커넥팅 수단으로 접속된 시계 제어용 모듈(140)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시계 제어용 모듈(14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각 정보를 계산하는 시각 산출부(141)와, 시각 산출부(141)에서 산출된 시각이 표시부(130)로 표시되게 하며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부(142)를 구비한다. 제어부(141)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의 외측에 위치한 조작 버튼(170)이 연결될 수 있다. 조작 버튼(170)은 그 조작에 따라 표시부(130)의 시각 표시 영역(131)에 잔액 표시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지게 한다. 한편, 시계 제어용 모듈(140)에는 달력 정보를 계산하는 달력 산출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부(130)에는 시각 정보이외에 달력 정보도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달력 정보가 표시되는 달력 표시 영역(132, 도1 참조)에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잔액 정보가 표시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표시부(130)로부터의 잔액 표시는 시계 제어용 모듈(140)의 하측에 통상적인 커넥팅 수단으로 접속된 잔액 표시용 모듈(160)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잔액 표시용 모듈(16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에프 태그(150)에 마련된 태그 안테나(152)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안테나(163)와, 수신 안테나(163)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복조하여 잔액 정보를 추출하여 표시부(130)로 제공하는 리딩부(161), 및 리딩부(161)로 제공된 잔액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162)를 구비한다. 여기서, 리딩부(161)는 시계 제어용 모듈(140)에 구비된 제어부(142)와 상호 접속된다.
이처럼, 시계 제어용 모듈(140)과 잔액 표시용 모듈(160)에는 각각 전기 회로가 구성되므로, 상호간에 전기적인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 제어용 모듈(140)과 잔액 표시용 모듈(160) 사이에는 격벽 부재(113)가 개재된다. 또한, 잔액 표시용 모듈(160)과 하부 커버(112) 사이에는 지지 브래킷(114)이 설치된다. 지지 브래킷(114)은 잔액 표시용 모듈(160)의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잔액 표시용 모듈(160)의 하단을 감쌀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잔액 표시용 모듈(160)과 하부 커버(112) 사이에서 이들과 각각 밀착될 수 있는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잔액 표시용 모듈(160)과 시계 제어용 모듈(140) 사이의 접속된 상태가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격벽 부재(113)와 지지 브래킷(114)은 각각 절연 소재, 예컨대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부(130)의 상부에는 이를 보호하기 위한 투명 유리 또는 플라스틱 부재(111)가 결합되어 밀봉된다. 그리고, 이렇게 밀봉된 표시부(130)의 주위에는 케이스(110)의 상단 가장자리에 결합된 베젤(120)이 배치된다. 베젤(120)은 표시부(130)가 외부로 보이도록 중앙이 개구되고 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베젤(120)의 내부에는 태그 칩(151)과 태그 안테나(152)를 구비한 알에프 태그(150)가 수용된다. 이를 위해, 태그 안테나(152)는 코일 형상으로 감겨지되 베젤(120) 내에서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도록 감겨지며, 태그 칩(151)은 베젤(120) 내에서 일측에 배치될 수 있도록 태그 안테나(152)에 접속된다. 이와 함께, 베젤(120)은 태그 안테나(152) 및 태그 칩(151)이 충분히 삽입되도록 일측이 개구된 삽입 공간(122)을 갖는 본체(121)와, 삽입 공간(122)에 태그 안테나(152) 및 태그 칩(151)이 삽입된 상태에서 밀봉하도록 본체(121)와 결합되는 캡(123)을 구비한다. 이러한 베젤(120)은 전자파가 원활하게 관통할 수 있도록 플라스틱과 같은 절연 소재로 이루어지며, 케이스(110)에 대해 나사 결합 등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 직하다. 이는 알에프 태그(150)의 설치, 수리, 및 교환이 용이할뿐더러, 베젤(120)의 디자인을 다양화할 수 있어 손목시계(100)의 전체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부가적인 효과가 얻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베젤(120) 내에 수용된 알에프 태그(150)에 있어서, 태그 칩(151)은 외부 판독기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처리하여 외부 판독기로 제공하고 저장하며, 태그 안테나(152)는 외부 판독기와 무선으로 정보를 송수신하며 판독기로부터 수신된 전파신호에 의한 에너지를 태그 칩(151)으로 공급함으로써, 외부 판독기와 비접촉식으로 송수신하여 교통 요금과 같은 각종 결제를 처리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태그 안테나(152)는 베젤(120) 내에 수용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떠한 구조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그리고, 태그 칩(151)은 외부 판독기로부터의 전파신호에 의해 태그 안테나(152)에 발생된 유도전류를 저장하여 태그 칩(151)의 구동 전원으로 공급하는 정전 소자와, 태그 안테나(152)에 의해 수신된 전파신호로부터 처리명령 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부와, 추출된 처리명령 정보와 신분 인증에 사용되는 아이디를 포함한 고유 정보가 저장될 수 있는 칩 메모리와,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며 정보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처리명령 정보에 따라 해당 정보를 처리하고 처리한 결과를 칩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하는 칩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태그 칩(151)은 물리적으로 하나의 집적회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결제 및 잔액확인 기능을 갖는 손목시계(100)에 대한 작용을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손목시계(100)를 외부 판독기, 예컨대 교통요금 결제시스템을 위한 외부 판독기에 근접시키면, 알에프 태그(150)에서는 태그 안테나(152)가 외부 판독기로부터 전송된 전파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한다. 그러면, 태그 안테나(152)는 전파신호에 포함된 교통요금 결제를 위한 처리명령 정보와 함께, 전파신호에 의해 유도된 에너지를 태그 칩(151)으로 각각 공급한다. 그러면, 태그 칩(151)은 처리명령 정보에 따라 교통요금을 연산 처리하여 그 결과물인 잔액 정보를 저장하고, 그 잔액 정보를 태그 안테나(152)를 통해 외부 판독기로 전송되게 함과 동시에 잔액 표시용 모듈(160)로 전송되게 한다. 잔액 표시용 모듈(160)에서는 수신 안테나(163)가 태그 안테나(152)로부터의 잔액 정보가 포함된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고, 수신 안테나(163)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리딩부(161)에서 복조하여 잔액 정보를 추출하고 메모리부(162)로 제공하여 저장되게 함과 동시에 시계 제어용 모듈(140)에 마련된 제어부(142)로 전송되게 한다.
이렇게 잔액 정보가 제공된 제어부(142)에서는 케이스(110)의 외측에서 제어부(142)와 연결된 조작 버튼(170)의 조작에 따라 표시부(130)를 통해 잔액이 선택적으로 표시되게 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버튼(170)을 누르게 되면, 제어부(142)에서는 최소 8자리의 숫자 표시가 가능한 시각 표시 영역(131)에 잔액이 표시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잔액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잔액을 확인한 후 더 이상 확인이 필요가 없을 경우 조작 버튼(170)을 한 번 더 누르게 되면, 제어부(142)에서는 시각 산출부(141)에 의해 계산된 시각 정보를 시각 표시 영역(131)에 표시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시각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시각 표시 영역(131)에 잔액 표시가 선택적으로 이루지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표시부(130)를 통해 잔액이 표시되기만 하면 되므로, 달력 표시 영역(132)에 잔액이 선택적으로 표시되게 하거나, 시각 표시 영역(131)과 별개로 잔액 표시 영역이 구비되어 항상 또는 필요에 따라 잔액이 표시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제 및 잔액확인 기능을 갖는 손목시계를 도시한 분해 측면도이다. 여기서, 앞서 도시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번호를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기능을 하며,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작용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알에프 태그(150)가 베젤(120) 내에 수용된 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손목시계(200)에서는 알에프 태그(250)가 케이스(110) 내에 위치되되 하부 커버(112)의 내측면에 배치된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의 베젤(220)은 알에프 태그(250)를 수용하기 위한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삽입 공간(122)이 필요하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캡(123)도 필요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알에프 태그(250)는 지지 브래킷(214)과 하부 커버(112) 사이에 개재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가지며, 그 사이에서 유동하지 않고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 부재(215)에 의해 하부 커버(112)의 상면에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렇게 하부 커버(112)의 내측면에 배치되면 알에프 태그(250)의 설치, 수리, 및 교환이 용이해질 수 있어 많은 장점이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늘 소지하는 손목시계에다 알에프 태그와 함께 잔액 표시용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알에프 태그에 의해 교통요금 결제와 같은 다양한 결제가 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잔액 표시용 모듈에 의해 결제 이후의 잔액 확인이 표시부를 통해 평상시에도 가능해지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젤 내에 알에프 태그를 수용하거나, 하부 커버의 내측면에 알에프 태그를 고정 배치함에 따라, 알에프 태그의 설치가 용이할뿐더러 파손시 수리 및 교환이 용이해질 수 있으며, 베젤의 디자인을 다양화할 수 있어 손목시계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부가적인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상하가 개구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부 개구에 설치된 표시부;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시각 정보를 계산하는 시각 산출부와, 상기 시각 산출부에서 산출된 시각이 상기 표시부로 표시되게 하며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시계 제어용 모듈;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외부 판독기와 비접촉식으로 송수신하여 결제를 처리하는 것으로, 상기 판독기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판독기로 제공하고 저장하는 태그 칩과, 상기 판독기와 무선으로 송수신하며 상기 판독기로부터 수신된 전파신호에 의한 에너지를 상기 태그 칩으로 공급하는 태그 안테나를 구비하는 알에프 태그;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상기 알에프 태그로부터 잔액 정보를 읽어 들여 상기 표시부로 잔액이 표시되도록 상기 제어부로 공급하는 잔액 표시용 모듈; 및
    상기 케이스의 하부 개구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를 밀봉하는 하부 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및 잔액확인 기능을 갖는 손목시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잔액 표시용 모듈은,
    상기 알에프 안테나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안테나;
    상기 수신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복조하여 잔액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표시부로 제공하는 리딩부; 및
    상기 리딩부로 제공된 잔액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및 잔액확인 기능을 갖는 손목시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위치한 조작 버튼이 연결되며, 상기 조작 버튼의 조작에 따라 상기 표시부의 시각 표시 영역에 잔액 표시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및 잔액확인 기능을 갖는 손목시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는 상기 잔액 표시 영역이 상기 시각 표시 영역과 별개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및 잔액확인 기능을 갖는 손목시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 제어용 모듈은 달력 정보를 계산하는 달력 산출부가 더 구비되어 상기 표시부로 표시되며, 상기 표시부의 달력 표시 영역에 잔액 표시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및 잔액확인 기능을 갖는 손목시계.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알에프 태그는, 상기 케이스의 상단 가장자리에 마련된 베젤(bezel) 내에 수용된 것과, 상기 하부 커버의 내측면에 고정 배치된 것 중에서 어느 하나로서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및 잔액확인 기능을 갖는 손목시계.
KR1020050096628A 2005-10-13 2005-10-13 결제 및 잔액확인 기능을 갖는 손목시계 KR100827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6628A KR100827014B1 (ko) 2005-10-13 2005-10-13 결제 및 잔액확인 기능을 갖는 손목시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6628A KR100827014B1 (ko) 2005-10-13 2005-10-13 결제 및 잔액확인 기능을 갖는 손목시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5501A true KR20070095501A (ko) 2007-10-01
KR100827014B1 KR100827014B1 (ko) 2008-05-02

Family

ID=38802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6628A KR100827014B1 (ko) 2005-10-13 2005-10-13 결제 및 잔액확인 기능을 갖는 손목시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70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084B1 (ko) * 2011-02-23 2014-03-13 주식회사 플렉스엘시디 착용형 교통요금단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교통요금관리시스템
CN107092184A (zh) * 2017-05-24 2017-08-25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智能手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0280A (ko) 2015-07-17 2017-01-26 주식회사 이씨글로벌 블루투스 통신을 구비한 nfc 기반 액세서리형 결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2038A (ja) * 1992-01-07 1993-07-23 Nippon Signal Co Ltd:The 非接触型端末装置
KR100246023B1 (ko) * 1996-08-23 2000-03-02 이진성 교통카드가 부설된 시계
KR19980027401A (ko) * 1996-10-16 1998-07-15 안민구 시계에 구비된 카드의 잔액 확인 장치
KR200182003Y1 (ko) * 1999-11-30 2000-06-01 이일환 교통카드 겸용 휴대용시계
KR200386433Y1 (ko) * 2005-03-08 2005-06-13 윤여헌 손목시계의 전자결제 구동부 장착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084B1 (ko) * 2011-02-23 2014-03-13 주식회사 플렉스엘시디 착용형 교통요금단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교통요금관리시스템
CN107092184A (zh) * 2017-05-24 2017-08-25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智能手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7014B1 (ko) 2008-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25751B1 (en)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wristwatch type electronic device, and authentication system
TW494285B (en) Portable object, in particular a timepiece, including a sealed container mounted in a metallic case
US20020107054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6335906B1 (en) Portable object, in particular a watch, including multiple selectable electronic modules
US8245944B2 (en) Assembly consisting of a micro-module and a reproducing device which is equipped with contact-free near-communication means
US9064162B2 (en) Two-part reader for contactless cards
KR100827014B1 (ko) 결제 및 잔액확인 기능을 갖는 손목시계
JP4858599B2 (ja) 電子機器
JP2004214879A (ja) データ通信装置
JP2006227678A (ja) 2ウェイicカード用リーダライタ
JP4434197B2 (ja) 電子機器
KR19990064800A (ko) 교통카드 기능을 하는 비 접촉식 집적회로칩이 내장된 모듈
KR20020060923A (ko) 부착형 비접촉식 전자카드
JP2003066169A (ja) 非接触データ通信機能を備えた時計
KR20060083443A (ko) 잔여금액이 표시되는 알에프아이디 카드
KR20070035688A (ko) Rfid 태그가 구비된 카드의 위치추적 방법
JP2003067684A (ja) Icカード、及びicカード機能を具備した通信端末
JPH09311920A (ja) 非接触データキャリア
KR200270162Y1 (ko) 비접촉식 전자칩이 내장된 휴대폰 배터리
KR100486117B1 (ko) 근거리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서의 알에프 통신모듈을 갖는금속 장신구
JP2002245424A (ja) 非接触ic付き携帯可能電子媒体
KR100798858B1 (ko) 휴대용 교통카드 잔액 조회기 및 그 잔액 조회기가 일체로결합된 교통카드
KR200364301Y1 (ko) Rf 칩을 내장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액세서리
JP2000048137A (ja) 非接触icカードの携帯型読取装置
KR20030035265A (ko) 내장형 비접촉식 전자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0313

Effective date: 2008022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