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5412A - 일회용 착용 물품 - Google Patents

일회용 착용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5412A
KR20070095412A KR1020077018624A KR20077018624A KR20070095412A KR 20070095412 A KR20070095412 A KR 20070095412A KR 1020077018624 A KR1020077018624 A KR 1020077018624A KR 20077018624 A KR20077018624 A KR 20077018624A KR 20070095412 A KR20070095412 A KR 20070095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r
passage
chassis
longitudinal direction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8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이요 나카지마
나오코 다카다
히로나오 미나토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95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54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5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with faecal cav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9473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having a continuous closed form, e.g. circle, ellipse, rectang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5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with faecal cavity
    • A61F2013/4958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with faecal cavity with a faecal management lay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으로 착용자의 외성기가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일회용 착용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착용 물품(10)이 가요성 새시(11)와, 새시(11)의 내면에 배치된 반강성 흡수체(16)를 포함하며 새시(11)의 최내층(11a)을 구성하는 라이너(17)가 가랑이 영역(13)에 위치하는 고정부(19)에서 흡수체(16)와 접합하고 있고, 고정부(19)보다 뒤 몸통 둘레 영역(14) 쪽에 형성된 변을 통과시키는 것이 가능한 통로(26)와, 통로(26)의 주연부를 따라 신축 가능한 상태로 배치된 제1 탄성 부재(27)와, 통로(26)의 폭 방향의 양측에 배치되고 통로(26)의 근방에서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한 쌍의 제2 및 제3 탄성 부재(28, 29)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일회용 착용 물품{DISPOSABLE WEARlNG ARTICLE}
본 발명은 일회용 착용 물품에 관하며, 보다 자세하게는 배설물이 착용자의 신체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는 일회용 착용 물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 표면 시트의 가랑이 구역에서, 전방부를 향해 치우쳐진 위치에 개구를 설치하고, 또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 밴드를 부착한 일회용 기저귀는 주지 되어 있었다(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라이너의 길이 방향의 후방부를 향해 치우쳐친 위치에 개구를 설치하고, 그 개구에 길이 방향에 인접하지 않도록 수축 수단을 배치시킨 일회용 기저귀도 주지되어 있었다(특허 문헌 2 참조). 이들 일회용 기저귀는 표 시트 혹은 라이너가 그 아래에 가로놓인 흡수성 패드와 떨어지도록 들려 올라가 착용자의 외성기에 밀착하므로, 개구의 속에 배설물을 유도하여 넣을 수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제2 572744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제2 880191호 공보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일회용 기저귀는 개구가 표면 시트의 후방부에 머무르지 않고 전방부에까지 미치고 있으므로, 배변 시에, 착용자의 항문 주변 뿐만 아니라 외성기까지도 변으로 더러워져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일회용 기저귀는 라이너의 전면이 들려 올라가 개구가 설치되지 않는 전방부에 있어서도 라이너가 착용자의 외성기에 직접 밀착한다. 그 결과, 장착감이 나빠지거나, 외성기 부근에서 피부가 짓무르거나, 한번에 다량의 뇨가 배출된 때에, 일회용 기저귀가 뇨를 수용하지 못하고 누설이 생기거나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뇨 수용력을 저하시키지 않고, 또한, 장착감을 손상하지 않으며, 변으로 착용자의 외성기가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일회용 착용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착용 물품은 길이 방향, 폭 방향, 앞 몸통 둘레 영역, 뒤 몸통 둘레 영역 및 이들 몸통 둘레 영역 사이에 개재하는 가랑이 영역을 구비한 가요성 새시와, 이 새시의 내면에 배치된 반강성 흡수체를 포함하는 일회용 착용 물품에 있어서, 새시가 최외층 및 최내층을 갖는 동시에, 최외층을 구성하는 백 시트(back seat)와, 최내층을 구성하는 라이너를 포함하여, 라이너가 폭 방향에 있어서의 가랑이 영역의 거의 중앙 영역에 상기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부에서 흡수체에 고정되어 있고, 고정부보다 뒤 몸통 둘레 영역 쪽으로 형성된 변을 통과시키는 것이 가능한 통로와, 통로의 주연부를 따라 신축 가능한 상태로 배치된 제1 탄성 부재와, 통로의 폭 방향의 양측에 배치되어 통로의 근방에서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한 쌍의 제2 및 제3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제2 및 제3 탄성 부재가 수축한 상태에 있을 때, 라이너가 고정부보다 뒤 몸통 둘레 영역 쪽에 있어서 흡수체로부터 떨어지도록 들려 올라가는 동시에, 고정부를 따라 기립하는 장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라이너가 고정부보다 뒤 몸통 둘레 영역 쪽에 있어서 흡수체로부터 떨어지도록 들려 올라감으로써, 통로가 항문에 근접하여, 통로 내로 변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라이너가 고정부를 따라 기립하는 장벽을 형성함으로써, 착용 시, 장벽의 꼭대기부가 착용자의 회음에 접촉하여 거기서 변을 막고, 그 결과, 변으로 착용자의 외성기가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또한, 라이너가 가랑이 영역에 위치하는 고정부를 따라 흡수체에 고정되어 있음으로써, 착용 시에, 새시가 앞 몸통 둘레 영역에서는 착용자의 신체에 밀착하지 않고, 그 결과, 착용자가 불쾌감을 느끼거나, 착용자의 피부가 짓무르거나 하는 일이 없고, 한번에 다량의 뇨가 배출된 때에도 뇨 누설이 생기지 않는다.
변을 통과시키는 것이 가능한 한에 있어서, 통로의 형상 및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통로는 길이 방향 혹은 폭 방향으로 설치된 슬릿이라도 좋고, 라이너의 일부가 절취된 개공이라도 좋다. 통로의 위치는 라이너가 흡수체와 떨어지도록 들려 올라간 때에 그것이 착용자의 항문의 위치와 일치하기 쉽도록 적절하게 결정하면 좋지만, 새시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거의 중앙에서 가랑이 영역으로부터 뒤 몸통 둘레 영역에 걸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라이너가 통로의 주연부를 따라 신축 가능한 상태로 배치된 제1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면, 통로의 주연부가 보강되어 통로의 개구 상태가 유지되기 쉽게 된다. 또한, 제1 탄성 부재가 착용자의 움직임에 맞춰 신축함으로써, 통로가 항상 착용자의 항문를 향해 개방된 상태로 유지된다. 제1 탄성 부재는 통로의 전체 둘레를 둘러싸도록 연속하여 배치되더라도 좋고, 단속적으로 배치되더라도 좋다.
라이너가 통로의 폭 방향의 양측에 배치되어 통로의 근방에서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한 쌍의 제2 및 제3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면, 제2 및 제3 탄성 부재가 수축한 때에, 라이너가 흡수체로부터 떨어지도록 들려 올라가, 그에 따라 통로가 항문에 접근한다. 그 결과, 변을 통로 내로 유도할 수 있다. 그와 함께, 라이너가 고정부를 따라 기립하는 장벽을 형성하여, 그 장벽의 꼭대기부가 착용자의 회음에 접촉하므로, 만일, 변이 피부를 따라 전방으로 흘렀더라도, 변을 거기서 막을 수 있다.
제2 및 제3 탄성 부재의 전단 및 후단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이들 탄성 부재의 후단이 적어도 통로의 길이 방향의 중심보다도 후방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통로의 가장 뒤쪽 가장자리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통로 전체를 확실하게 착용자의 항문에 접근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및 제3 탄성 부재가 적어도 통로의 가장 앞쪽 가장자리까지 신축 가능한 상태로 길이 방향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2 및 제3 탄성 부재가, 적어도 고정부까지 신축 가능한 상태로 길이 방향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기립한 장벽의 꼭대기부가 두드러져 착용자의 회음에 보다 접촉하기 쉽게 되어, 그래서 변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제2 및 제3 탄성 부재가 통로의 측에 볼록하게 되도록 신축 가능한 상태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2 및 제3 탄성 부재가 수축함으로써, 폭 방향의 통로의 개구 폭이 작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보다 확실하게 통로 내에 변을 유도할 수 있다.
라이너는 액체 투과성을 갖고 있더라도 좋고, 액체 저항성을 갖고 있더라도 좋지만, 착용자의 배뇨구에 면하는 새시의 거의 앞쪽 절반 영역에 있어서는 액체 투과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착용자의 항문에 면하는 새시의 거의 뒤쪽 절반 영역에 있어서는 액체 저항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라이너의 가요성이 제2 라이너의 그것보다도 낮은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라이너는 새시의 거의 앞쪽 절반 영역에 위치하는 제1 라이너와, 이 제1 라이너와는 별개의 부재로서, 새시의 거의 뒤쪽 절반 영역에 위치하는 제2 라이너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전술된 바와 같이 앞쪽 절반 영역과 뒤쪽 절반 영역으로 새시의 성질을 상이하게 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배리어 커프가 새시의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있으면, 배리어 커프가 배설물에 대한 장벽이 되어 바람직하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착용 물품에 의하면, 라이너에 형성된 통로가 착용자의 항문에 접근하여, 기립한 장벽의 꼭대기부가 착용자의 회음에 접촉한다. 그에 따라, 변을 통로 내로 유도할 수 있는 동시에, 착용자의 외성기가 변으로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보다 앞 몸통 둘레 영역쪽에 있어서는, 새시와 착용자 신체 사이에 여유의 공간이 유지되므로, 장착감이 좋고, 또한, 한번에 다량의 뇨가 배출된 때에도 누설이 생기지 않는다.
본 발명의 그 외의 구성, 재료 등에 대해서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술이 여기에 원용된다. 다만, 본 발명은 실시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를 도시하는 부분 파단평면도.
도 2는 도 1의 2-2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를 도시한 도 1에 상당하는 부분 파단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일회용 기저귀의 부분 파단 사시도.
도 6은 새시의 앞뒤 몸통 둘레 영역을 양측 가장자리에서 분리한 상태에 있는 도 4에 도시된 일회용 기저귀의 부분 파단 전개 평면도.
도 7은 도 6의 7-7선 단면도.
도 8은 다른 형태의 몸통 둘레용 보조 탄성 부재를 도시한 도 4에 상당하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일회용 기저귀
11: 새시
11a: 최내층
11b: 최외층
12: 앞 몸통 둘레 영역
13: 가랑이 영역
13a: 양측 가장자리
14: 뒤 몸통 둘레 영역
16: 흡수체
17: 라이너
17a: 제1 라이너
17b: 제2 라이너
18: 백 시트
19: 고정부
22: 배리어 커프
26: 통로
26a: 가장 앞쪽 가장자리
27: 제1 탄성 부재
28: 제2 탄성 부재
29: 제3 탄성 부재
30: 장벽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착용 물품으로서 일회용 기저귀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오픈형의 일회용 기저귀(10)의 부분 파단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2-2선 단면도이다.
일회용 기저귀(10)는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을 가지고, 길이 방향의 중심선(2)에 관해 대칭이며, 도 1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만곡하고 있다. 일회용 기저귀(10)는 앞 몸통 둘레 영역(12), 뒤 몸통 둘레 영역(14) 및 이들 몸통 둘레 영역 사이(12, 14)에 개재하는 가랑이 영역(13)을 갖는 가요성 새시(11)와, 이 새시(11)의 내면에 배치된 반강성 흡수체(16)를 포함한다.
새시(11)는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이 만곡된 모래시계 형태로서, 최내층(11a) 및 최외층(11b)을 갖는 동시에, 최내층(11a)을 구성하는 라이너(17)와, 최외층(11b)을 구성하는 백 시트(18)를 포함하고 있다.
라이너(17)는 새시(11)의 거의 앞쪽 절반 영역에 위치하여 1장의 시트로 이루어지는 제1 라이너(17a)와 새시(11)의 거의 뒤쪽 절반 영역에 위치하여 2장의 시트로 이루어지는 제2 라이너(17b)로 이루어진다. 라이너(17)는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백 시트(18)와 접합하고 있다. 또한, 라이너(17)는 폭 방향에 있어서의 가랑이 영역(13)의 거의 중앙 영역에서 상기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부(19)에서 흡수체(16)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2 라이너(17b)는 고정부(19)에 있어서, 흡수체(16)와 직접 접합하지 않더라도 좋고, 제1 라이너(17a)를 통해 흡수체(16)에 고정되어 있더라도 좋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10)에서는, 제1 라이너(17a)와 제2 라이너(17b)가 가랑이 영역(13)에 있어서 제2 라이너(17b)를 위로 하여 중첩되고, 그 중첩된 부분에 있어서 상호 접합 하고 있다. 제1 라이너(17a)의 가요성은 제2 라이너(17b)보다도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라이너(17a)는 액체 투과성을 가지고, 공지의 열가소성 합성 섬유 부직포로 형성된다. 제2 라이너(17b)는 액체 저항성과 통기성을 가지고, 공지의 열가소성 합성 섬유 부직포로 형성된다. 열가소성 합성 섬유로서는, 예컨대, 폴리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등의 합성 수지로부터 제조되어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백 시트(18)는 공지의 소수성 열가소성 합성 섬유 부직포 혹은 공지의 액체 저항성 열가소성 플라스틱 필름으로 형성되어 있다. 필름의 재료로서는, 예컨대 폴리올레핀계 플라스틱 등을 들 수 있지만, 탄산칼슘이나 황산바륨 등의 무기물미세입자를 함유하는 합성 수지필름을 일축 또는 이축 연신하여 얻어지는 투습성이면서 또한 액체 불투과성의 플라스틱 필름이 보다 바람직하다.
흡수체(16)는 플러프 펄프와, 초흡수성 폴리머 입자와, 경우에 따라서는, 열가소성 합성 섬유의 혼합 압축물로 형성되고, 그러므로 가요성 새시에 비교하여 반강성을 갖는다. 혼합 압축물은 적절하게 압축되어 있고, 티슈 페이퍼, 부직포 등 액체 확산성 시트(도시하지 않음)로 피복되어 있는 것이, 그 보형성, 흡수성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흡수체(16)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이더라도 좋고, 새시(11)와 같이,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에서 만곡된 모래시계 형태이더라도 좋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10)에서는, 흡수체(16)가 전체에 걸쳐 동일한 두께를 갖고 있다. 그러나, 흡수체(16)는 뒤 몸통 둘 레 영역(14)에 위치하는 부분에 있어서, 백 시트(18)측으로 오목한 두께가 얇은 부분을 포함하고 있더라도 좋고, 일부분이 절취되어 있으면, 많은 변을 수용할 수 있어 보다 바람직하다.
앞뒤 몸통 둘레 영역(12, 14)의 전후 양단 가장자리(12a, 14a)에서는, 새시(11)의 내면에, 몸통 둘레용 탄성 부재(20, 20)가 신축 가능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가랑이 영역(13)의 양측 가장자리(13a)에 있어서는, 새시(11)의 내면에, 다리 둘레용 탄성 부재(21, 21)가 신축 가능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가스켓 커프(11c, 11c)가 형성되어 있다. 가스켓 커프(11c)의 상면에는 배리어 커프(22)가 배치되어 있다. 배리어 커프(22)는 백 시트(18)의 외측 가장자리까지 연장되어 이에 중첩되어 있다. 배리어 커프(22)는 가스켓 커프(11c)를 형성하는 기초부(22a)와 선단부(22b)를 가지고, 선단부(22b)가 폭 방향 외측으로 쓰러뜨려진 상태로 양단부(22c, 22c)가 가스켓 커프(11c, 11c)에 고정되어 있다. 배리어 커프(22)에는,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커프용 탄성 부재(23)가 부착되어 있다. 커프용 탄성 부재(23)가 수축함으로써, 배리어 커프(22)는 새시(11)의 표면에 대해 거의 수직으로 기립되고, 가스켓 커프(11c)와 함께 배설물에 대한 장벽이 된다. 배리어 커프(22)는 공지의 액체 저항성 열가소성 합성 섬유 부직포로 형성된다. 열가소성 합성 섬유로서는, 예컨대, 폴리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등의 합성 수지로 제조되어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뒤 몸통 둘레 영역(14)에 있어서의 새시(11)의 양측 가장자리(15b, 15b)에는, 앞뒤 몸통 둘레 영역(12, 14)을 연결하는 수단인 한 쌍의 테이프 파스너(24, 24)가 부착되어 있다. 테이프 파스너(24)의 기초부는 박리하지 않도록 새시(11)에 접합되어 있다. 테이프 파스너(24)의 선단부에는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다. 새시(11)의 앞 몸통 둘레 영역(12)에는 테이프 파스너(24)가 걸리는 타겟 테이프(25)가 부착되어 있다(도 2를 참조). 또한, 일회용 기저귀(10)는 앞뒤 몸통 둘레 영역(12, 14)의 대향하는 측 가장자리(15a)와 측 가장자리(15b)가 미리 접합된 팬츠(풀온)형으로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라이너(17)는 고정부(19)보다 뒤 몸통 둘레 영역(14) 쪽에 형성된 변을 통과시키는 것이 가능한 통로(26)와, 통로(26)의 주연부를 따라 신축 가능한 상태로 배치된 제1 탄성 부재(27)와, 통로(26)의 폭 방향의 양측 내면에 배치되어 통로(26)의 근방에서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한 쌍의 제2 및 제3 탄성 부재(28, 29)를 구비하고 있다. 제2 및 제3 탄성 부재(28, 29)가 수축한 상태에 있을 때, 라이너(17)는 고정부(19)보다 뒤 몸통 둘레 영역(14) 쪽에 있어서 흡수체(16)로부터 떨어지도록 들려 올라가는 동시에, 고정부(19)를 따라 기립하는 장벽(30)을 형성한다 (도 2를 참조). 기립한 장벽(30)의 꼭대기부(30a)는 착용자의 회음에 접촉한다. 이러한 일회용 기저귀(10)는 라이너(17)에 형성된 통로(26)가 착용자의 항문에 근접하여 변을 통로(26) 내로 유도할 수 있다. 만일, 변이 피부를 따라 전방으로 흘렀더라도, 장벽(30)의 꼭대기부(30a)가 착용자의 회음에 접촉하고 있으므로, 거기서 변이 막아지고, 착용자의 외성기가 변으로 더러워지지 않는다.
탄성 부재가 신장하지 않는 상태에 있을 때, 통로(26)의 가장 앞쪽 가장자리(26a)에서 가장 뒤쪽 가장자리(26 b)까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 치수(Ma) 는 새시(11)의 길이 방향의 치수 L의 대략 8∼40%(치수 L이 475 ㎜일 때 대개 38∼190 ㎜)인 것이 바람직하다. 개구 치수(Ma)가 치수 L의 8%보다 작으면, 변을 통로(26)내에 유도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개구 치수(Ma)가 치수 L의 40%보다 크면, 통로(26)가 착용자의 외성기에 대향 배치하여, 변이 착용자의 외성기에 부착하기 쉽게 된다.
동일하게, 탄성 부재가 신장하지 않는 상태에 있을 때, 통로(26)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통로의 개구 치수(Mb)는 대개 5∼70 ㎜인 것이 바람직하다. 개구 치수(Mb)가 5 ㎜보다 작으면, 변을 통로(26) 내로 유도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개구 치수(Mb)가 70 ㎜보다 크면, 통로(26) 내에 수용된 변이 착용자의 피부에 부착되기 쉽게 되어, 착용자의 외성기가 변으로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어럽게 된다.
통로(26)의 가장 앞쪽 가장자리(26a)에서 새시(11)의 전단 가장자리(12a)까지의 이격 치수(P1)는 치수 L의 대략 37∼57%(치수 L이 475 ㎜일 때 대략 180∼27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격 치수(P1)가 치수 L의 대략 37%보다 작으면, 통로(26)가 착용자의 외성기에 대향 배치하여, 변이 착용자의 외성기에 부착되기 쉽게 된다. 이격 치수(P1)가 치수 L의 대략 57%보다 크면, 통로(26)가 착용자의 항문에 대향 배치하기 어렵게 되어, 변을 통로(26) 내로 유도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통로(26)의 가장 뒤쪽 가장자리(26b)에서 새시(11)의 후단 가장자리(14a)까지의 이격 치수(P2)는 치수(L)의 대략 13∼33%(치수 L이 475 ㎜일 때 대개 60∼15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격 치수(P2)가 치수 L의 대개 13%보다 작으면, 통 로(26)의 가장 뒤쪽 가장자리(26b)가 착용자의 배면측에 지나치게 치우쳐, 변이 배면측으로 넓어져 새기 쉽게 되어 버린다. 이격 치수(P2)가 치수 L의 대개 33%보다 크면, 통로(26)가 착용자의 항문에 대향 배치하기 어렵게 되어, 변을 통로(26) 내로 유도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일회용 기저귀(10)가 이러한 통로(26)를 구비하고 있음으로써, 착용자의 외성기가 변으로 더러워지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고정부(19)에서, 라이너(17)와 흡수체(16)는 공지의 핫멜트 접착제(31)에 의해 접합하고 있다(도 2를 참조). 고정부(19)는 새시(11)의 폭 방향 거의 중앙에 위치하고, 폭 방향의 치수(N)가 통로(26)의 폭 방향의 개구 치수(Mb)의 75% 이상 인 것이 바람직하다. 치수(N)가 치수(Mb)의 75%보다 작으면, 장벽(30)의 폭 치수가 작아지고, 장벽(30)이 장벽으로서 기능하기 어렵게 된다. 라이너(17)가 형성하는 장벽(30)의 높이 치수가 되는 고정부(19)로부터 통로(26)의 가장 앞쪽 가장자리(26a)까지의 이격 치수(P3)는 20∼6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격 치수(P3)가 20 ㎜보다 작으면, 장벽(30)이 장벽으로서 기능하기 어렵게 된다. 이격 치수(P3)가 60 ㎜보다 크면, 장벽(30)이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한 때에, 착용자가 위화감을 느낄 우려가 있다.
제1 탄성 부재(27)는 2장의 시트로 이루어지는 제2 라이너(17b)에 둘러싸여, 통로(26)의 전체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2 및 제3 탄성 부재(28, 29)는 제1 탄성 부재(27)보다도 측 가장자리쪽으로 2장의 시트로 이루어지는 제2 라이너(17b) 사이에 끼워져, 통로(26)의 가장 뒤 쪽 가장자리(26b)보다 후방의 위치로부터 가장 앞쪽 가장자리(26a)까지 신축 가능한 상태로 길이 방향으로 거의 병행하여 연장되고 있다. 제2 및 제3 탄성 부재(28, 29)는 폭 방향에서 통로(26)의 주연부로부터 5∼30 ㎜ 떨어저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통로(26)의 길이 방향의 중심을 통과하여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과 교차하도록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및 제3 탄성 부재(28, 29)가 폭 방향에서 통로(26)의 주연부로부터 30 ㎜보다 더 떨어져 위치하고 있으면, 제2 및 제3 탄성 부재(28, 29)의 응력이 통로(26)의 주연부에 전해지기 어렵고, 통로(26)의 개구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제2 및 제3 탄성 부재(28, 29)의 길이 방향의 치수(S)는 통로(26)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 치수(Ma)의 50∼1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치수(S)가 개구 치수(Ma)의 50%보다 작으면, 라이너(17)가 흡수체로부터 떨어지도록 들려 올라가기 어렵게 된다.
제1, 제2 및 3탄성 부재(27, 28, 29)로서는, 천연 고무, 합성 고무, 우레탄 발포체 등 공지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실고무나 평고무 등을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는 통로의 주연부를 따라 배치된 제1 탄성 부재에 의해, 통로의 주연부가 보강되어 통로의 개구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통로의 폭 방향 양측으로 배치된 한 쌍의 제2 및 제3 탄성 부재에 의해, 통로를 착용자의 항문에 접근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및 제3 탄성 부재가 적어도 통로의 가장 앞쪽 가장자리까지 신축 가능한 상태로 길이 방향 전방으로 연장되고 있음으로써, 라이너가 흡수체로부터 떨어지도록 들려 올라간 때에, 가장 앞쪽 가장자리를 포함 하는 통로 전체가 착용자의 항문에 접근하여, 변을 확실하게 통로 내로 유도할 수 있다. 만일, 변이 피부를 타고 전방으로 흐르는 경우가 있더라도, 라이너가 형성하는 장벽의 꼭대기부가 착용자의 회음에 접촉하고 있어, 그래서 변을 막으므로, 착용자의 외성기가 변으로 더러워지지 않는다. 또한 게다가, 라이너가 가랑이 영역에 위치하는 고정부에서 흡수체와 접합함으로써, 고정부보다 앞 몸통 둘레 영역쪽의 부분에 있어서는 새시가 착용자의 신체에 밀착하지 않으므로, 착용자가 불쾌감을 느끼는 일이 없고, 한번에 다량의 뇨가 배출되더라도 누설이 생기지 않는다.
(제2 실시형태)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의 도 1 상당 부분 파단 사시도이다.
이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기저기와 동일한 주요한 부재, 부위에는 각각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하고 있다.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기저기와 다른 점은 제2 및 제3 탄성 부재(28, 29)가 통로(26)의 가장 앞쪽 가장자리(26a)를 넘어 고정부(19)까지 길이 방향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점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에서는, 제2 및 제3 탄성 부재의 길이 치수가 긴 만큼, 라이너가 보다 들려 올라가기 쉽게 되는 동시에, 제2 및 제3 탄성 부재가 고정부를 넘어서 신축 가능한 상태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음으로써, 제2 및 제3 탄성 부재가 수축한 때에, 라이너가 형성하는 장벽의 꼭대기부가 두드 러져, 그래서 변을 한층 더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팬츠(풀온)형의 일회용 기저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표시된 일회용 기저귀의 부분 파단 사시도이다. 도 6은 새시의 앞뒤 몸통 둘레 영역을 양측 가장자리에서 분리한 상태인 도 4에 도시된 일회용 기저귀의 부분 파단 전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7-7선 단면도이다.
이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기저기와 동일한 주요한 부재, 부위에는 각각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하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에서는, 앞뒤 몸통 둘레 영역(12, 14)의 대향하는 측 가장자리(15a)와 측 가장자리(15b)가 합장형으로 중첩되어 단속적으로 접합하고 있다(도 4를 참조). 그 결과, 일회용 기저귀(10)는 몸통 둘레 개구(34)와 한 쌍의 다리 둘레 개구(35, 35)를 갖고 있다. 몸통 둘레 개구(34)를 구획하고 있는 새시(11)의 전후 양단 가장자리(12a, 14a)에는, 복수의 몸통 둘레용 탄성 부재(20)가 몸통 둘레 개구(34)의 전체 둘레에 걸쳐 신축 가능한 상태로 배치되고, 핫멜트 접착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새시(11)의 내측에 고정되어 있다. 다리 둘레 개구(35)의 상측 절반 둘레를 구획하고 있는 새시(11)의 측 가장자리(15c)와 측 가장자리(15d)에는 복수의 다리 둘레용 탄성 부재(21)가 신축 가능한 상태로 배치되고, 핫멜트 접착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새시(11)의 내측에 고정되어 있다.
앞뒤 몸통 둘레 영역(12, 14)에 있어서의 새시(11)의 내측에는, 복수의 몸통 둘레용 보조 탄성 부재(36)가 폭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상태로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몸통 둘레용 보조 탄성 부재(36)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가장자리(15a, 15b)의 하단보다 양단 가장자리(12a, 14a) 측(도 4의 상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통 둘레용 보조 탄성 부재(36)에서는 일회용 기저귀에 관용되어 있는 공지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실고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새시(11)의 양측 가장자리(13a, 13a)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배리어 커프(22, 22)가 배치되어 있다. 배리어 커프(22)는 기초부(22a)와 선단부(22b)와 양단부(22c, 22c)를 갖는다. 기초부(22a)는 흡수체(16)의 폭 방향 양측에서 핫멜트 접착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새시(11)에 고정되어 있다. 양단부(22c, 22c)는 선단부(22b)가 폭 방향 내측으로 쓰러진 상태로 핫멜트 접착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새시(11)에 고정되어 있다. 배리어 커프(22)에는,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커프용 탄성 부재(23)가 부착되어 있다. 커프용 탄성 부재(23)가 수축함으로써, 배리어 커프(22)는 새시(11)의 표면에 대해 거의 수직으로 기립하여 배설물에 대한 장벽이 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10)에서는, 백 시트(18)가 앞뒤 몸통 둘레 영역(12, 14)의 전후 양단 가장자리(12a, 14a)에서 새시(11)의 내측으로 절첩되고 있다(도 7를 참조). 백 시트(18)는 1장 혹은 복수매의 소수성을 갖는 열가소성합성 섬유 부직포로 형성된다. 백 시트(18)와 흡수체(16) 사이에는, 액체 저항성의 열가소성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중간 시트(38)가 개재하고 있다. 중간 시트(38)는 흡수체(16)와 거의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고정부(19)는 코어(16)의 폭 방향의 전폭에 걸쳐 설치되어 있고, 고정부에서 제1 라이너(17a)와 제2 라이너(17b)가 접합하고 있다(도 6 및 7을 참조). 이러한 고정부(19)를 형성함으로써, 접합 강도가 향상된다.
흡수체(16)는 제2 라이너(17b)에 형성되어 있는 통로(26)와 대향하는 위치에, 도려내어진 구멍을 포함하고 있다. 흡수체(16)의 구멍과 그 주변을 커버 시트(37)가 덮고 있다(도 7을 참조). 커버 시트(37)는 흡수체(16)의 구멍의 내측에서 백 시트(18)와 밀착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일회용 기저귀(10)는 통로(26) 내에 넓어지는 내부 공간의 깊이가 길어, 비교적 긴변이더라도 수용할 수 있다. 커버 시트(37)로서는, 티슈 페이퍼, 부직포 등의 공지의 친수성 시트를 이용할 수 있다. 커버 시트(37) 대신에, 제1 라이너(17a)가 고정부(19)보다 후방으로 연장되어 흡수체(16)를 덮고 있더라도 좋다.
제2 라이너(17b)는 전단 가장자리에서 제1 라이너(17a)와 접합하고, 후단 가장자리에서 커버 시트(37)와 접합하며, 양측 가장자리에서 커버 시트(37)와 접합하고 있다. 제2 라이너(17b)는 적어도 전후단 가장자리에 있어서 제1 라이너(17a) 혹은 커버 시트(37)와 접합되어 있으면 좋고, 양측 가장자리에 있어서는 반드시 커버 시트(37)와 접합하지 않더라도 좋다. 제2 라이너(17b)의 전단 가장자리는 고정부(19)에 위치하고 있다. 제2 라이너(17b)의 후단 가장자리는 흡수체(16)의 후단 가장자리와 새시(11)의 후단 가장자리(14a) 사이에 위치하고 있지만, 새시(11)의 후단 가장자리(14a)와 일치하고 있더라도 좋고, 흡수체(16)의 후단 가장자리보다도 앞쪽에 위치하고 있더라도 좋다. 제2 라이너(17b)의 후단 가장자리가 흡수체(16)의 후단 가장자리보다도 앞쪽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뇨 등의 체액이 친수성 커버 시트(37)의 제2 라이너(17b)에 덮여 있지 않은 부분을 통해 흡수체(16)에 흡수되므로, 체액이 보다 효율적으로 흡수된다. 제2 라이너(17b)의 양측 가장자리는 한 쌍의 배리어 커프(22)의 기초부(22a)보다도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2 라이너(17b)는 흡수체(16)보다 약간 작은 폭 치수를 가지고, 커버 시트(37)는 흡수체(16)보다 약간 큰 폭 치수를 갖는다. 즉, 제2 라이너(17b)의 폭 치수는 커버 시트(37)의 폭 치수보다도 작다. 이러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10)는 제2 라이너(17b)가 액체 저항성을 갖는 시트 재료로 형성되어 있더라도, 뇨 등의 체액이 친수성 커버 시트(37)의 제2 라이너(17b)에 덮어여 있지 않은 부분을 통해 흡수체(16)에 흡수될 수 있으므로, 체액이 보다 효율적으로 흡수된다.
제1, 제2 및 3 탄성 부재(27, 28, 29)는 어느 것이나, 새시(11)의 반강성 흡수체(16)가 개재하고 있는 영역에 위치하고 있다(도 5를 참조). 이러한 일회용 기저귀(10)에서는, 새시(11)의 앞뒤 몸통 둘레 영역(12, 14)에 있어서의 몸통 둘레용 보조 탄성 부재(36)가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신축을 반복하였더라도, 반강성의 흡수체(16)까지 오그라드는 일은 거의 없다. 그렇기 때문에, 반강성의 흡수체(16)가 개재하고 있는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제1, 제2 및 3 탄성 부재(27, 28, 29)가 그에 따라 폭 방향으로 신축하는 일은 없다. 그 때문에, 일회용 기저귀(10)의 착용 중, 통로(26)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 치수(Mb)는 거의 일정하게 유지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2 및 제3 탄성 부재(28, 29)는 통로(26)의 측에 볼록하게 되도록 신축 가능한 상태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있다. 이러한 형상의 제2 및 제3 탄성 부재(28, 29)를 구비하고 있는 일회용 기저귀(10)에서는, 통로(26)의 개구 주연부가 제2 및 제3 탄성 부재(28, 29)에 의해 폭 방향외측으로 인장되기 위해, 착용 중에 통로(26)의 폭 방향의 개구폭이 좁아지는 일이 없고, 보다 확실하게 변을 통로(26) 내로 유도할 수 있다. 도 6에 있어서, 제2 및 제3 탄성 부재(28, 29)는 고정부(19)까지 연장되고 있지만, 고정부(19)를 넘어서 길이 방향 전방으로까지 더 연장되고 있더라도 좋다. 이와 같이 제2 및 제3 탄성 부재(28, 29)가 적어도 고정부(19)까지 신축 가능한 상태로 길이 방향 전방으로 연장됨으로써, 기립하는 장벽(30)의 꼭대기부(30a)가 도드라져 착용자의 회음에 의해 접촉하기 쉽게 된다. 그 결과, 만일, 변이 피부를 타고 전방으로 흘렀더라도, 장벽(30)으로 변을 확실하게 막을 수 있다.
제2 및 제3 탄성 부재(28, 29)는 길이 방향으로 거의 병행인 중간의 직선 부분(28a, 29a)과, 직선 부분(28a, 29a)의 양단으로부터 새시(11)를 폭 방향으로 횡단하도록 연장되는 트래버스 부분(28b, 29b)을 포함하고 있다. 직선 부분(28a, 29a)은 폭 방향에서 통로(26)의 주연부로부터 5∼30 ㎜ 떨어져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통로(26)의 길이 방향의 중심을 통해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과 교차하도록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직선 부분(28a, 29a)의 길이 치수는 통로의 길이 방향의 개구 치수(Ma)의 50∼150%인 것이 바람직하다.
라이너(17)는 또한, 통로(26)의 폭 방향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제4 및 제 5 탄성 부재(32, 33)를 구비하고 있다. 제4 및 제5 탄성 부재(32, 33)는 제2 및 제3 탄성 부재(28, 29)보다도 폭 방향의 측 가장자리쪽에서 2장의 시트로 이루어지는 제2 라이너(17b) 사이에 끼워져, 신축 가능한 상태로 길이 방향으로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일회용 기저귀(10)가 이러한 제4 및 제5 탄성 부재(32, 33)를 구비하고 있음으로써, 라이너(17)가 보다 들려 올라가기 쉽게 되는 동시에 폭 방향에 있어서의 통로(26)의 위치가 안정된다. 제4 및 제5 탄성 부재(32, 33)는 폭 방향에 있어서 통로(26)의 주연부로부터 10∼40 ㎜ 떨어져, 통로(26)의 길이 방향의 중심을 통해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과 교차하도록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 및 제5 탄성 부재(32, 33)로서는, 제1, 제2 및 3 탄성 부재(27, 28, 29)와 같이, 천연 고무, 합성 고무, 우레탄 발포체 등 공지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실고무나 평고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10)는 전술한 바와 같은 몸통 둘레용 보조 탄성 부재(36)를 구비함으로써, 착용자의 몸통 둘레에 대한 피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몸통 둘레용 보조 탄성 부재(36)는 흡수체(16)가 개재하고 있는 새시(11)의 폭 방향의 중앙 영역에서는 그 탄성 신축성을 발현하지 않지만, 흡수체(16)가 개재하지 않는 새시(11)의 양측 영역에서는 그 탄성 신축성을 발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새시(11)의 폭 방향의 중앙 영역에서 몸통 둘레용 보조 탄성 부재(36)의 탄성 신축성을 발현시키지 않도록 하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중앙 영역에서 몸통 둘레용 보조 탄성 부재(36)를 절단하는 방법이나 중앙 영역에서만 몸통 둘레용 보조 탄성 부재(36)를 가열 처리하여 가소화한다고 하는 방법 외에, 도 8에 도 시한 바와 같이, 중앙 영역에는 몸통 둘레용 보조 탄성 부재(36)를 배치하지 않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중앙 영역에서의 일회용 기저귀(10)의 강성을 양측 영역에 있어서의 강성보다도 높게 한다고 하는 방법에 의해서도, 중앙 영역에서 몸통 둘레용 보조 탄성 부재(36)의 탄성 신축성을 발현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새시(11)의 폭 방향의 중앙 영역에서 몸통 둘레용 보조 탄성 부재(36)의 탄성 신축성이 발현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통로(26)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 치수(Mb)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된다. 그에 따라, 착용자가 배설 시에 어떠한 자세를 취하더라도, 일회용 기저귀(10)의 통로(26)의 개구가 착용자의 항문에 피트하므로, 변의 수용율이 높아져, 누설의 가능성이 저감한다.

Claims (8)

  1. 길이 방향, 폭 방향, 앞 몸통 둘레 영역, 뒤 몸통 둘레 영역 및 이들 몸통 둘레 영역 사이에 개재하는 가랑이 영역을 구비하는 가요성 새시와, 이 새시의 내면에 배치된 반강성 흡수체를 포함하는 일회용 착용 물품에 있어서,
    상기 새시가 최외층 및 최내층을 갖는 동시에, 상기 최외층을 구성하는 백 시트와, 상기 최내층을 구성하는 라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라이너가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가랑이 영역의 중앙 영역에서 상기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부에서 상기 흡수체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보다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 쪽에 형성된 변을 통과시키는 것이 가능한 통로와, 상기 통로의 주연부를 따라 신축 가능한 상태로 배치된 제1 탄성 부재와, 상기 통로의 상기 폭 방향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통로의 근방에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한 쌍의 제2 및 제3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2 및 제3 탄성 부재가 수축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라이너가 상기 고정부보다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 쪽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로부터 떨어지도록 들려 올라가는 동시에, 상기 고정부를 따라 기립하는 장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3 탄성 부재가 상기 통로의 가장 앞쪽 가장자리까지 신축 가능한 상태로 길이 방향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착용 물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3 탄성 부재가, 상기 고정부까지 신축 가능한 상태로 길이 방향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 물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3 탄성 부재가 상기 통로 측에 볼록하게 되도록 신축 가능한 상태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 물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가 상기 새시의 앞쪽 절반 영역에 위치하는 제1 라이너와, 상기 새시의 뒤쪽 절반 영역에 위치하는 제2 라이너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 물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라이너가 액체 저항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 물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라이너의 가요성이 상기 제2 라이너의 가요성보다도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 물품.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배리어 커프가 상기 새시의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 물품.
KR1020077018624A 2005-01-28 2006-01-27 일회용 착용 물품 KR200700954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21890 2005-01-28
JP2005021890A JP4766654B2 (ja) 2005-01-28 2005-01-28 使い捨て着用物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5412A true KR20070095412A (ko) 2007-09-28

Family

ID=36740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8624A KR20070095412A (ko) 2005-01-28 2006-01-27 일회용 착용 물품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942859B2 (ko)
EP (1) EP1842515A4 (ko)
JP (1) JP4766654B2 (ko)
KR (1) KR20070095412A (ko)
CN (1) CN101128175B (ko)
BR (1) BRPI0606243A2 (ko)
MY (1) MY140527A (ko)
RU (1) RU2389458C2 (ko)
TW (1) TWI305143B (ko)
WO (1) WO20060804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7326551B2 (en) 2006-11-27 2013-01-31 Uni-Charm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and composite sheet
WO2008066006A1 (fr) 2006-11-27 2008-06-05 Uni-Charm Corporation Article absorbant
KR20090123950A (ko) * 2007-03-19 2009-12-02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일회용 기저귀
JP5140295B2 (ja) * 2007-03-19 2013-02-0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おむつ
JP2009017931A (ja) * 2007-07-10 2009-01-29 Oji Nepia Kk 使い捨ておむつ
JP5280653B2 (ja) * 2007-07-10 2013-09-04 王子ネピア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4964693B2 (ja) * 2007-07-10 2012-07-04 王子ネピア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5140374B2 (ja) * 2007-10-09 2013-02-0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着用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405761B2 (ja) * 2008-03-27 2014-02-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着用物品
JP5102106B2 (ja) 2008-05-19 2012-12-19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吸収性物品
JP2009285196A (ja) * 2008-05-29 2009-12-10 Uni Charm Corp 吸収性物品
JP5566594B2 (ja) 2008-11-11 2014-08-06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吸収性物品
JP5378071B2 (ja) * 2009-06-04 2013-12-25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吸収性物品
US8506544B2 (en) 2010-06-21 2013-08-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pant with efficient design and convenient single-section side stretch panels
JP2012157596A (ja) * 2011-02-01 2012-08-23 Livedo Corporation 排泄物収容物品
DE102011081985A1 (de) * 2011-09-01 2013-03-07 Paul Hartmann Ag Inkontinenzartikel in Höschenform
DE102011081984A1 (de) * 2011-09-01 2013-03-07 Paul Hartmann Ag Inkontinenzartikel in Höschenform
US9820894B2 (en) 2013-03-22 2017-11-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JP2015058163A (ja) * 2013-09-19 2015-03-30 光都子 古江 快適おむつ
CN106264888A (zh) * 2016-08-26 2017-01-04 重庆百亚卫生用品股份有限公司 婴幼儿纸尿裤及其制作工艺
RU2736455C1 (ru) * 2017-12-27 2020-11-17 Као Корпорейшн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68944B2 (en) 1984-08-02 1988-01-14 Johnson & Johnson Diaper with facing raised above absorbent pad
US4743241A (en) * 1986-04-15 1988-05-10 Uni-Charm Corporation Disposable absorbent underpants
US4990147A (en) * 1988-09-02 1991-02-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elastic liner for waste material isolation
US4892536A (en) 1988-09-02 1990-01-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elastic strands
US5207663A (en) * 1991-05-03 1993-05-04 Mcneil-Ppc, Inc. Urinary and bowel incontinency control undergarment
JP3139161B2 (ja) * 1992-09-02 2001-02-26 王子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とその製造法
US6010490A (en) * 1992-12-18 2000-01-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an upstanding transverse partition
JP2757931B2 (ja) * 1993-05-26 1998-05-25 株式会社日本吸収体技術研究所 テープレス形吸収体製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746730A (en) * 1993-06-03 1998-05-05 Paragon Trade Brands, Inc.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rticle
FR2707482B1 (fr) * 1993-07-12 1995-09-29 Peaudouce Article d'hygiène absorbant jetable à double barrière d'étanchéité et procédé de fabrication.
SE502419C2 (sv) * 1993-12-13 1995-10-16 Moelnlycke Ab Blöja
SE508261C2 (sv) * 1993-12-13 1998-09-21 Moelnlycke Ab Blöja
SE502549C2 (sv) * 1994-03-18 1995-11-13 Moelnlycke Ab Absorberande artikel, såsom en blöja, innefattande ett öppningsförsett toppskikt
US5830203A (en) * 1994-05-24 1998-11-03 Paragon Trade Brands, Inc.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5576091A (en) * 1994-08-16 1996-11-19 Paragon Trade Brands, Inc. Raised elasticized barrier for absorbent article
SE503781C2 (sv) * 1994-12-30 1996-09-02 Moelnlycke Ab Absorberande alster med en främre urinuppsamlande del och en bakre del för avföring
SE503780C2 (sv) * 1994-12-30 1996-09-02 Moelnlycke Ab Absorberande alster med läckagebarriär i alstrets bakparti
SE508283C2 (sv) * 1995-02-02 1998-09-21 Moelnlycke Ab Absorberande byxa
SE508631C2 (sv) * 1995-02-02 1998-10-19 Sca Hygiene Prod Ab Absorberande byxprodukt
SE508632C2 (sv) * 1995-02-02 1998-10-19 Sca Hygiene Prod Ab Sätt att elastifiera ett underlagsämne
US5716351A (en) * 1996-07-25 1998-02-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aper having adjustable absorbent assemblies
SE512762C2 (sv) * 1997-02-28 2000-05-08 Sca Hygiene Prod Ab Absorberande artikel, såsom en blöja eller ett inkontinensskydd
US5957907A (en) * 1997-08-13 1999-09-2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a close to the body liner
JPH11342156A (ja) * 1998-05-30 1999-12-14 Uni Charm Corp 使い捨ておむつ
US7037299B2 (en) * 1998-06-12 2006-05-02 First Quality Products, Inc. Disposable elastic absorbent article having retaining enclosures
US6716204B1 (en) * 1998-10-28 2004-04-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improved feces containment characteristics
JP2000271168A (ja) * 1999-03-29 2000-10-03 Crecia Corp 横漏れし難く装着感の良い吸収性物品
JP3527435B2 (ja) * 1999-05-21 2004-05-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EP1064899A1 (en) * 1999-07-02 2001-01-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barrier means, and method of its manufacture
JP3557133B2 (ja) 1999-09-03 2004-08-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3541157B2 (ja) * 2000-02-18 2004-07-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CN1301697C (zh) * 2000-09-21 2007-02-28 株式会社日本吸收体技术研究所 具有可除去吸收体的吸收性制品
JP3816012B2 (ja) * 2001-02-27 2006-08-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MY130246A (en) 2001-02-27 2007-06-29 Uni Charm Corp Disposable diaper.
JP3934943B2 (ja) * 2002-01-11 2007-06-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排泄処理物品
EP1788998A1 (en) * 2004-09-13 2007-05-30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urine-permeable covershe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389458C2 (ru) 2010-05-20
WO2006080458A1 (ja) 2006-08-03
EP1842515A4 (en) 2011-10-05
RU2007132267A (ru) 2009-03-10
JP4766654B2 (ja) 2011-09-07
EP1842515A1 (en) 2007-10-10
WO2006080458A8 (ja) 2009-08-27
CN101128175A (zh) 2008-02-20
US20060173435A1 (en) 2006-08-03
TWI305143B (en) 2009-01-11
TW200642673A (en) 2006-12-16
CN101128175B (zh) 2010-10-13
BRPI0606243A2 (pt) 2009-06-09
JP2007300940A (ja) 2007-11-22
MY140527A (en) 2009-12-31
US7942859B2 (en) 2011-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95412A (ko) 일회용 착용 물품
KR100791870B1 (ko) 일회용 기저귀
KR100821816B1 (ko) 일회용 기저귀
KR100661887B1 (ko) 일회용 기저귀
US7326192B2 (en) Disposable diaper
KR101170732B1 (ko) 흡수성 물품
KR20120121400A (ko) 흡수성 물품
KR100833632B1 (ko) 일회용 착용 물품
KR102179940B1 (ko) 착용 물품
JP2002172135A (ja) 使い捨て着用物品
KR20020040651A (ko) 일회용 착용 물품
JP2005058272A (ja) 使い捨ておむつ
KR20020018581A (ko) 일회용 착용 물품
JP2003038556A (ja)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KR20010070412A (ko) 일회용 기저귀
WO2003096950A1 (fr) Couche-culotte de type culotte
JP5102106B2 (ja) 吸収性物品
KR101228686B1 (ko) 일회용 배설물 처리 용품
JP5340696B2 (ja) 吸収性物品
KR100706053B1 (ko) 일회용 기저귀
JP6270439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2018114131A (ja) 使い捨ておむつ
JP4791245B2 (ja) 吸収性物品
JP2005218674A (ja) 使い捨ておむつ
US6758838B2 (en) Disposable undergar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