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5406A - 공기정화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5406A
KR20070095406A KR1020077018493A KR20077018493A KR20070095406A KR 20070095406 A KR20070095406 A KR 20070095406A KR 1020077018493 A KR1020077018493 A KR 1020077018493A KR 20077018493 A KR20077018493 A KR 20077018493A KR 20070095406 A KR20070095406 A KR 200700954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electrode
air
insulating member
ion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8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간지 모테기
류지 아키야마
도시오 다나카
켄키치 가가와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95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54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2Transportable units, e.g. for cleaning room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1Ionising-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66Applications of electricity supply techniques
    • B03C3/70Applications of electricity supply techniques insulating in electric sepa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2201/00Details of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 B03C2201/10Ionising electrode has multiple serrated ends or pa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공기 중에 방전을 행하는 방전부를 구비한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방전부의 방전성능을 유지하면서 공기정화장치의 박형화를 도모한다.
공기 중의 먼지를 대전시키는 이온화부(30)에 있어서, 방전 기단인 이온화선(31)과 접지전극(33) 사이에 절연부재(60)가 배치된다. 그 결과, 이온화선(31)에서 접지전극(33)으로의 방전이 절연부재(60)에 의해 저지되는 한편, 이온화선(31)에서 제 1 전극판(32)으로의 코로나방전이 유지되어, 이온화선(31)과 접지전극(33)의 거리를 좁게 할 수 있다.
공기정화장치, 절연부재, 스트리머방전, 코로나방전, 접지전극

Description

공기정화장치{AIR CLEANER}
본 발명은, 피처리공기가 흐르는 공기 중에 방전하는 방전부를 구비한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가옥이나 점포 등의 실내공간 공기를 청정화하는 공기정화장치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나타낸 공기정화장치(80)는, 케이싱(81) 내에 피처리공기가 흐르는 공기통로(82)가 형성된다. 이 공기통로(82)에는, 공기흐름의 상류에서 하류를 향해 차례로, 프리필터(83), 이온화부(84), 정전필터(85), 스트리머방전부(86), 및 촉매필터(87)가 배치된다.
상기 프리필터(83)는, 케이싱(81) 내에 도입된 공기 중의 비교적 큰 먼지를 포집한다. 상기 이온화부(84)는, 전기집진용 방전극(84a) 및 대향극(84b)으로 구성된다. 상기 방전극(84a)은 복수의 선형전극으로 구성되며, 틀체 상하단에 걸쳐 팽팽하게 걸쳐진다. 한편, 이 방전극(84a) 주위에는, 상류 쪽이 개방된 단면 역디귿자형의 전극부재가 배치된다. 그리고 전극부재의 좌우측벽이 대향극(84b)을 구성한다. 이온화부(84)에서는, 양 전극(84a, 84b) 사이에 코로나방전이 이루어져 피처리공기 중의 먼지가 대전된다. 이온화부(84)에서 대전된 먼지는 정전필터(85) 에 의해 전기적으로 포집된다.
상기 스트리머방전부(86)는, 스트리머방전용 방전극(86a) 및 대향극(86b)으로 구성된다. 방전극(86a)은, 틀체의 상하단에 지지되는 판상부재로 형성되는 침상 내지 돌기형의 복수 전극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대향극(86b)은, 방전극(86a)과 대치하도록 지지부재 측방에 위치하는 복수의 판상전극으로 구성된다. 스트리머방전부(86)에서는, 양 전극(86a, 86b)에서 스트리머방전이 이루어져, 이른바 활성종(래디컬, 고속전자, 여기분자 등)이 생성된다. 이 활성종은, 상기 촉매필터(87)에서 더욱 활성화되어, 피처리공기 중의 유해성분이나 냄새성분을 분해한다(특허문헌 1)
[특허문헌 1 : 일특개 2004-329639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근래, 전술한 바와 같은 공기정화장치는, 특히 주거나 점포 등의 민생용도로서 널리 보급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민생용도의 공기정화장치는 최대한 소형으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공기정화장치의 박형화는, 주거공간 등을 유효하게 이용하는 면에서 효과적인 개선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방전부(이온화부나 스트리머방전부)를 구비하는 공기정화장치에 대해, 장치의 박형화를 도모하고자 하면 방전극과 다른 구성부품의 거리가 좁아지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의 공기정화장치(80)를 박형화하고자 할 경우, 상기 이온화부(84)의 방전극(84a)과 정전필터(85)의 거리가 좁아지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방전극(84a)에서 대향극(84b)으로의 방전 이외에, 방전극(84a)에서 정전필터(85)로의 방전이 일어날 수 있다. 그 결과, 방전극(84a)에서 정전필터(85)를 향해 스파크가 생길 우려가 있다. 또 이온화부(84)에서 소기의 코로나방전이 이루어지지 않아, 피처리공기의 집진성능이 저하돼버릴 우려도 있다.
마찬가지로, 공기정화장치(80)의 박형화를 도모할 경우, 상기 스트리머방전부(86)의 방전극(86a)과 다른 구성부품 등의 거리가 좁아지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방전극(84a)에서 다른 구성부품으로의 방전에 의해 소기의 스트리머방전이 이루어지지 않아, 피처리공기 중의 유해성분이나 냄새성분의 분해효율이 저하돼버릴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공기 중에서 방전을 행하는 방전부를 구비한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방전부의 방전성능을 유지하면서 공기정화장치의 박형화를 도모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제 1 발명은, 피처리공기가 흐르는 공기통로(15)와, 이 공기통로(15)를 흐르는 공기 중에 방전하는 방전부(30, 40)를 구비한 공기정화장치를 전제로 한다. 그리고 이 공기정화장치는, 상기 방전부(30, 40)와, 이 방전부(30, 40)에 인접하는 구성부품(16, 17, 33) 사이에 절연부재(60)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방전부"는, 피처리공기의 청정화를 실행하기 위해 전극간 방전을 하는 것이며, 코로나방전, 스트리머방전, 글로우방전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 상기 "구성부품"은, 공기통로(15)에 배치되는 방전부(30, 40) 이외의 부품이며, 특히 방전부(30, 40)에 인접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제 1 발명에서는, 절연부재(60)가 방전부(30, 40)와 구성부품(16, 17, 33)을 차단하도록 배치된다. 방전부(30, 40)의 방전 시에는, 절연부재(60)가 방전부(30, 40)에서 구성부품(16, 17, 33)으로 향하는 방전을 저지한다. 따라서 구성부품(16, 17, 33)과 방전부(30, 40)의 거리를 좁혀도, 방전부(30, 40)에서 소기의 방전을 행할 수 있다.
제 2 발명은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방전부(30, 40)는 공기 중의 먼지를 대전시키는 이온화부(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 2 발명에서는, 방전부로서의 이온화부(30)에서 코로나방전이 이루어져 공기 중의 먼지가 대전된다. 그리고 대전된 먼지는, 집진전극이나 정전필터 등에 의해 포집되어 공기 중의 먼지가 제거된다. 여기서 이온화부(30)의 코로나방전 시에는, 절연부재(60)가 이온화부(30)에서 구성부품(16, 17, 33)으로 향하는 방전을 저지한다. 따라서 구성부품(16, 17, 33)과 이온화부(30)의 거리를 좁혀도, 이온화부(30)에서 소기의 코로나방전을 행할 수 있다.
제 3 발명은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온화부(30)는, 방전 기단인 방전극(31)과 방전 종단인 대향극(32)이 공기흐름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열되어 구성되며, 상기 절연부재(60)는, 이온화부(30)의 상류측 또는 하류측에 인접하는 구성부품(16, 17, 33)과 방전극(31)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 3 발명에서는, 방전극(31)과 대향극(32) 사이에 코로나방전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코로나방전의 방전방향은, 공기의 흐름방향과 직교한다. 이로써, 방전으로 생기는 이온풍과 공기와의 접촉효율이 향상되어 집진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절연부재(60)는 방전극(31)에서 상류측 또는 하류측 구성부품(16, 17, 33)으로의 방전을 저지한다. 따라서, 구성부품(16, 17, 33)과 이온화부(30)의 거리를 좁게 해도, 이온화부(30)에서는 공기의 흐름과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코로나방전이 유지된다.
제 4 발명은 제 3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온화부(30) 하류측에는, 이 이온화부(30)에서 대전된 먼지를 포집하는 집진수단(17)이 배치되며, 상기 절연부재(60)는, 상기 구성부품으로서의 집진수단(17)과 방전극(31)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집진수단"은, 대전된 먼지를 전기적으로 유인하여 포집하는 집진판이나 집진전극, 혹은 정전필터 등을 의미하는 것이다.
제 4 발명에서는, 이온화부(30)에서 대전된 먼지가 이 이온화부(30)의 하류측을 흐르면, 이 먼지가 집진수단(17)에 포집된다. 여기서 절연부재(60)는, 방전극(31)에서 집진수단(17)으로의 공기흐름 방향 방전을 저지한다. 따라서 집진수단(17)과 이온화부(30)의 거리를 좁혀도, 이온화부(30)에서는 공기 흐름과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코로나방전이 유지된다.
제 5 발명은 제 3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온화부(30) 상류측에는, 공기 중의 먼지를 포집하는 프리필터(16)가 배치되며, 상기 절연부재(60)는, 상기 구성부품으로서의 프리필터(16)와 방전극(31)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 5 발명에서는 이온화부(30)의 상류측에서, 피처리공기 중의 비교적 큰 먼지가 프리필터(16)에 포집된다. 여기서 절연부재(60)는, 방전극(31)에서 프리필터(16)로의 공기흐름과 역방향의 방전을 저지한다. 따라서 프리필터(16)와 이온화부(30)의 거리를 좁혀도, 이온화부(30)에서는 공기 흐름과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코로나방전이 유지된다.
제 6 발명은 제 3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온화부(30) 하류측에는, 이 이온화부(30)에서 대전된 먼지를 포집하는 정전필터(17)와, 방전극(31)과 정전필터(17) 사이를 차단하는 접지전극(33)이 배치되며, 상기 절연부재(60)는, 상기 구성부품으로서의 접지전극(33)과 방전극(31)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 6 발명에서는, 이온화부(30)에서 대전된 먼지가 이 이온화부(30)의 하류측을 흐르면, 이 먼지는 쿨롱의 힘에 의해 정전필터(17)로 유인되어 포집된다. 여기서, 이온화부(30)와 정전필터(17)는 접지전극(33)으로 차단된다. 이로써 예를 들어 이온화부(30)에서 정전필터(17)로의 방향으로 방전이 발생해도, 이 방전은 접지전극(33)을 통해 접지 쪽으로 흘러간다. 즉, 접지전극(33)은, 이온화부(30)에서 정전필터(17)로 스파크 등의 방전을 확실하게 억지하여 정전필터(17)를 보호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이온화부(30)와 정전필터(17) 사이에 접지전극(33)을 배치하면, 이온화부(30)와 접지전극(33)이 인접하는 상태가 된다. 그 결과, 방전극(31)에서 접지전극(33)으로 방전이 집중하는 한편, 방전극(31)에서 대향극(32)으로의 거의 방전이 이루어지지 않아 먼지를 효과적으로 대전시킬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이온화부(30)와 접지전극(33) 사이에 절연부재(60)를 배치하도록 한다. 절연부재(60)는, 방전극(31)에서 접지전극(33)으로의 공기흐름 방향의 방전을 저지한다. 따라서 접지전극(33)과 이온화부(30)의 거리를 좁혀도, 이온화부(30)에서는 공기흐름과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코로나방전이 이루어진다.
제 7 발명은 제 6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60)가 상기 접지전극(33) 상류측 면의 일부를 피복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 7 발명에서는, 절연부재(60)가 방전극(31)에 대해 접지전극(33)의 일부를 피복하는 한편, 접지전극(33)의 나머지 부위는 방전극(31)에 대해 노출된다.
그런데, 가령 방전극(31)에 대해 절연부재(60)로 접지전극(33)을 완전히 피복해버리면, 방전극(31)의 방전은 실질적으로 모두 대향극(32)을 향해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방전극(31)에 인접하는 절연부재(60)가 대전되어버려, 방전극(31)에서 대향극(32)으로의 코로나방전 전기력선 밀도가 상승해버린다. 그 결과, 방전극(31)의 방전전압이 지나치게 상승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와 같은 방전전압의 상승은 공기정화장치의 절연설계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본 발명과 같이, 접지전극(33)의 소정 부위를 방전극(31)에 대해 노출시킴으로써, 방전극(31)에서 접지전극(33)으로 어느 정도의 방전이 허용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전기력선 밀도의 상승이 억제되며, 나아가 방전전압의 상승이 억제된다. 이때, 절연부재(60)는 방전극(31)과 접지전극(33) 일부 사이의 방전을 저지하므로, 접지전극(33)과 이온화부(30)의 거리를 좁혀도, 이온화부(30)에서는 공기흐름과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코로나방전이 유지된다.
제 8 발명은 제 6 또는 제 7 발명에 있어서, 방전극(31)이 선형 내지 막대형으로 형성되며, 대향극(32)은, 방전극(31) 외주면과 대치하는 판상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이 방전극(31) 양쪽에 배치되고, 상기 접지전극(33)이 복수의 개구를 갖는 판상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양 대향극(32)의 하류측 단부와 연속되어 형성되며, 상기 절연부재(60)는, 접지전극(33)의 상류측 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 8 발명에서는, 한 쌍의 판상 대향극(32)이 선형 내지 막대형의 방전극(31)을 사이에 개재시키며, 각 대향극(32) 및 방전극(31)이 공기 흐름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열된다. 따라서 이온화부(30)에서는, 방전극(31)의 외주면에서 대향극(32) 평면을 향해 코로나방전이 이루어진다.
또, 접지전극(33)은, 양 대향극(32)의 하류측 단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고, 이들 대향극(32)과 연속되어 형성된다. 즉, 양 대향극(32)과 접지전극(33)은 일체로 구성된다. 그리고 접지전극(33)은, 방전극(31)에서 전술한 정전필터(17)로의 방전을 억지한다.
또한, 절연부재(60)는, 상기 접지전극(33)의 상류측 면에 지지되어, 방전극(31)에서 접지전극(33)으로의 방전을 저지한다. 따라서, 접지전극(33)과 이온화부(30)의 거리를 좁혀도, 이온화부(30)에서는 공기흐름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코로나방전이 유지된다.
제 9 발명은 제 1 내지 제 8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60)는 절연성 수지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 9 발명에서는, 이온화부 등의 방전부(30, 40)에서 정전필터나 접지전극 등의 구성부품으로의 방전이 절연성 수지재료(60)에 의해 저지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방전부(30, 40)와, 이 방전부(30, 40)에 인접하는 다른 구성부품(16, 17, 33) 사이에 절연부재(60)를 배치함으로써, 구성부품(16, 17, 33)과 방전부(30, 40)가 근접해도, 방전부(30, 40)로부터 구성부품(16, 17, 33)으로의 방전을 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방전부(30, 40)와 다른 구성부품(16, 17, 33)의 거리를 좁혀도 공기정화장치의 소형화, 박형화를 도모하면서, 방전부(30, 40)의 방전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 발명에 의하면, 특히 전기집진용 이온화부(30)에 대해, 이온화부(30)에서 구성부품(16, 17, 33)으로의 방전을 상기 절연부재(60)로 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이온화부(30)와 다른 구성부품(16, 17, 33)의 거리를 좁혀도 공기정화장치의 소형화, 박형화를 도모하면서, 이온화부(30)에서 소기의 코로나방전을 행할 수 있다.
상기 제 3 발명에 의하면, 이온화부(30)에서 피처리공기의 흐름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코로나방전을 행하도록 한다. 이로써, 공기 중의 먼지를 효과적으로 대전시킬 수 있어, 이 공기정화장치의 집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절연부재(60)는 방전극(31)에서 공기흐름 방향 또는 공기흐름 역방향으로 배치된 구성부품(16, 17, 33)으로의 방전을 저지하도록 배치된다. 이로써 이 공기정화장치를 공기흐름 방향으로 박형화할 수 있음과 더불어, 이온화부(30)에서는 공기흐름과 직교하는 방향의 코로나방전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 4 발명에 의하면, 이온화부(30)에서 대전된 먼지를 집진수단(17)으로 포집함으로써, 이 공기정화장치의 집진효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절연부재(60)는 이온화부(30)에서 집진수단(17)으로의 방전을 저지하도록 구성되므로, 이 공기정화장치를 공기흐름 방향으로 박형화하면서, 이온화부(30)의 코로나방전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 5 발명에 의하면, 공기 중의 비교적 큰 먼지를 프리필터(16)로 포집한 후, 공기 중에 잔존하는 비교적 작은 먼지를 이온화부(30)에서 대전시켜 포집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방전극(31)이나 대향극(32)에 비교적 큰 먼지가 부착하는 것을 막아 이온화부(30)의 집진효율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절연부재(60)는 이온화부(30)에서 프리필터(16)로의 방전을 저지하도록 구성시키므로, 이 공기정화장치를 공기흐름 방향으로 박형화하면서, 이온화부(30)의 코로나방전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 6 발명에 의하면, 이온화부(30)에서 대전된 먼지를 정전필터(17)로 포집함으로써, 이 공기정화장치의 집진효율을 한층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방전극(31)과 정전필터(17) 사이에는 접지전극(33)이 배치되므로, 방전극(31)에서 정전필터(17)로의 스파크 등의 방전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정전필터(17)를 확실하게 보호하여, 이 공기정화장치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방전극(31) 근방에 접지전극(33)을 배치하면, 방전극(31)에서 접지전극(33)으로의 방전이 발생하기 쉬워지나, 본 발명에 의하면 절연부재(60)가 방전극(31)에서 접지전극(33)으로의 방전을 저지하도록 하므로, 이 공기정화장치를 공기흐름 방향으로 박형화하면서 이온화부(30)의 방전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 7 발명에 의하면, 방전극(31)에 대해 접지전극(33)의 일부를 피복하도록 절연부재(60)를 배치함으로써, 방전극(31)에서 대향극(32)으로의 코로나방전과 동시에 이 방전극(31)에서 접지전극(33) 노출부로의 방전을 허용하도록 한다. 이로써, 가령, 절연부재(60)가 방전극(31)에 대해 접지전극(33)을 완전히 피복해버리는 경우에는 이온화부(30)의 방전전압이 급격히 상승해버리는데 반해, 본 발명에서는 이 방전전압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즉, 방전극(31)에서 대향극(32)으로의 코로나방전과, 이 방전극(31)에서 접지전극(33)으로의 방전이 균형을 이루게 함으로써, 이온화부(30)의 집진성능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으며, 또 방전전압의 상승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정화장치의 절연설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 8 발명에 의하면, 선형 방전극(31)에 대해, 이 방전극(31) 양쪽에 대향극(32)을 배치한다. 따라서 방전극(31)을 기점으로 공기의 흐름방향과 직교하는 양 방향으로 코로나방전을 행할 수 있어 공기 중의 먼지를 효과적으로 대전시킬 수 있다.
또, 양 대향극(32) 사이에 접지전극(33)을 개재시켜 연결시킴으로써, 대향극(32)과 접지전극(33)을 일체 부재로 하여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대향극(32) 및 접지전극(33)의 가공이나 취급이 용이해진다. 또한 접지전극(33)에 복수의 개구를 형성함으로써, 공기 흐름에 따른 압력손실을 저감할 수 있으며, 또 공기를 난류화시킴으로써 공기 중의 먼지를 효과적으로 대전시킬 수 있다.
또한, 절연부재(60)를 접지전극(33)의 상류측 면에 지지시킴으로써 절연부재(60)의 설치가 용이해지며, 또 방전극(31)과 접지전극(33) 사이를 절연부재(60)로 확실하게 차단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선형 방전극(31)의 외주에서 대향극(32)으로 코로나방전을 행할 경우, 일반적으로는 방전극(31) 전체 둘레에 걸쳐 방전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선형 방전극(31)에 접지전극(33)을 근접시킬 경우, 특히 방전극(31)에서 접지전극(33)으로의 방전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절연부재(60)가 선형 방전극(31)에서 접지전극(33)으로의 방전을 저지하도록 구성하므로, 이온화부(30)의 방전성능을 손상시키는 일없이 공기정화장치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제 9 발명에 의하면, 절연부재(60)를 절연성 수지재료로 구성하므로, 절연부재(60)의 가공이나 취급이 용이해지며, 또 절연부재(60)를 저가로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의 공기정화장치 전체구성을 나타낸 개략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의 공기정화장치 내부를 위쪽에서 본 개략구성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의 스트리머방전부를 위쪽에서 본 개략구성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의 스트리머방전부의 개략사시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의 이온화부 수평단면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와 종래의 이온화부에 대해 집진성능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7은, 절연부재로 접지전극의 일부를 피복하는 경우와, 이 절연부재로 접지전극 전체를 피복하는 경우에 대해 방전전압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8은, 실시형태 변형예의 이온화부 수평단면도이다.
도 9는, 종래의 공기정화장치 전체구성을 나타낸 개략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 공기정화장치 15 : 공기통로
16 : 프리필터 17 : 정전필터(집진수단)
30 : 이온화부(방전부) 31 : 이온화선(방전극)
32 : 제 1 전극판(대향극) 33 : 접지전극
40 : 스트리머방전부(방전부) 60 : 절연부재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공기정화장치(10)는, 일반가정이나 소규모 점포 등에서 이용되는 민생용 공기정화장치이다. 이 공기정화장치(10)는, 피처리공기 중의 먼지, 알레르겐, 냄새성분, 및 유해성분 등을 제거하여 실내공간의 공기를 청정화한다.
<공기정화장치의 전체구성>
우선, 공기정화장치(10)의 전체구성에 대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공기정화장치(10)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공기정화장 치(10)의 내부를 위쪽에서 본 도이다.
공기정화장치(10)는, 한끝이 개방된 상자형의 케이싱(11)과, 이 케이싱(11)의 개방단면에 장착되는 전면(前面)커버(12)를 구비한다. 상기 케이싱(11)의 전면 쪽 좌우측면 및 상면, 그리고 상기 전면커버(12) 중앙부에는, 실내공기가 도입되는 공기흡입구(13)가 형성된다. 한편, 케이싱(11) 천정판의 배면 쪽으로는, 실내공기가 유출되는 공기토출구(14)가 형성된다.
케이싱(11) 내에는, 공기흡입구(13)에서 공기토출구(14)에 걸쳐 피처리공기인 실내공기가 흐르는 공기통로(15)가 형성된다. 이 공기통로(15)에는, 실내공기 흐름의 상류측에서 하류측을 향해 차례로, 프리필터(16), 이온화부(30), 스트리머방전부(40), 정전필터(17), 촉매필터(18), 및 원심송풍기(19)가 배치된다. 또 케이싱(11) 후부 아래쪽으로는, 이온화부(30) 및 스트리머방전부(40)의 전원수단(21)이 구성된다.
<프리필터 및 이온화부의 구성>
프리필터(16)는, 실내공기 중에 포함된 비교적 큰 먼지를 포집하는 필터이다. 이온화부(30)는, 프리필터(16)를 통과한 비교적 작은 먼지를 대전시키는 것이며, 본 발명의 방전부를 구성한다. 이 이온화부(30)는, 역디귿자형의 수평단면이 좌우방향으로 연이어지는 형상의 파형부재(50) 전면 쪽에 구성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공기통로(15)에 2개의 파형부재(50)가 좌우방향으로 배열된다.
상기 파형부재(50)의 전면 쪽에는, 파형부재(50)로 구획되는 복수의 대략 기둥형상의 공간이 형성되며, 이 공간이 앞쪽 개방부(51)를 구성한다. 그리고 각 앞 쪽 개방부(51)에는, 이온화선(31) 및 제 1 전극판(32)이 구성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이온화선(31) 및 각 제 1 전극판(32)은, 1개의 이온화선(31)에 대해 좌우 양쪽 2매의 제 1 전극판(32)이 대응하는 관계로 공기 흐름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열된다.
상기 이온화선(31)은, 각 앞쪽 개방부(51) 좌우방향의 거의 중심에 각각 배치된다. 각 이온화선(31)은, 선형 내지 막대형으로 형성되며, 파형부재(50)의 상단에서 하단에 걸쳐 팽팽히 걸쳐진다. 이 이온화선(31)은, 먼지를 대전시키는 코로나방전의 기단인 방전극을 구성한다.
상기 제 1 전극판(32)은, 각 앞쪽 개방부(51) 좌우측벽으로 구성되며, 대응하는 이온화선(31) 양쪽에 각각 배치된다. 이들 제 1 전극판(32)은 이온화선(31)의 외주면과 대치하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이온화선(31)과 대략 평행인 자세를 이룬다. 이 제 1 전극판(32)은 코로나방전의 종단인 대향극을 구성한다.
또, 파형부재(50)의 최하류측 각면은, 이온화선(31)과 인접하는 구성부품인 접지전극(33)을 구성한다. 이 접지전극(33)은, 이온화선(31)과 정전필터(17) 사이를 차단하도록 하여 이온화선(31)과 정전필터(17) 사이에 위치한다. 그리고 접지전극(33)은, 이온화선(31)에서 정전필터(17)로의 스파크 등의 방전을 억지하여 정전필터(17)를 보호한다. 또 각 접지전극(33)은, 망사형상, 그물망 형상, 펀칭메탈형상 등으로 형성된다. 즉, 접지전극(33)은, 복수의 개구를 갖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각 접지전극(33)은, 각 이온화선(31)에 대응하는 좌우 제 1 전극판(32)의 하류측 단부에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전극판(32)과 접지전극(33)은 일 체인 파형부재(50)를 구성한다. 또 이들 접지전극(33)의 상류측 면에는, 상세는 후술하는 절연부재(60)가 지지된다.
<스트리머방전부의 구성>
스트리머방전부(40)는, 파형부재(50)의 후면 쪽에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파형부재(50)의 후면 쪽에는, 이 파형부재(50)로 구획되는 복수의 대략 기둥형의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공간 중 수평단면적이 넓은 2개의 공간이 뒤쪽 개방부(52)를 구성한다. 스트리머방전부(40)는, 이들 2개의 뒤쪽 개방부(52)에 각각 구성된다. 또, 스트리머방전부(40)의 주요부를 위쪽에서 본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뒤쪽 개방부(52)에는 수평단면이 역디귿자형이고, 파형부재(50)의 상하방향에 걸쳐 연장되는 제 1 절연커버(53)가 배치된다. 이 제 1 절연커버(53)에는, 앞쪽으로 개방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스트리머방전부(40)는, 파형부재(50)의 후측면과 상기 제 1 절연커버(53)의 내측면에 내포된다. 여기서 제 1 절연커버(53)를 구성하는 3개의 벽면에는, 각각 복수의 공기유통구(54)가 형성되어 실내공기가 스트리머방전부(40) 근방을 유통 가능하게 구성된다.
스트리머방전부(40)에는, 복수의 전극 쌍(41, 42)이 배치된다. 각 전극 쌍(41, 42)은 스트리머방전의 기단인 복수의 방전침(41)과, 스트리머방전의 종단인 복수의 제 2 전극판(42)으로 구성된다.
방전침(41)은 도 4(방전침의 주요부 확대사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단면이 역디귿자형이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전극유지부재(43)에 지지된다. 구체적으로, 전극유지부재(43)의 소정 부위에는 전방을 향해 굴곡형성된 복수의 지지 판(44)이 형성된다. 그리고 선형 내지 막대형의 방전침(41)은, 이 방전침(41)이 끼워지도록 코킹처리 된 지지판(44)의 선단부로 지지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방전침(41)의 양단부는, 지지판(44)에서 상하방향으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방전침(41)은, 선 지름 약 0.2mm의 텅스텐선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2 전극판(42)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형부재(50)의 뒤쪽 개방부(52)를 형성하는 내벽 중, 상기 방전침(41) 전방에 위치하는 지지면(55)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지지면(55)에는 방전침(41)에 가까운 차례로, 상기 제 2 전극판(42), 고저항 수지시트(22), 및 통전판(23)이 적층된다. 제 2 전극판(42)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이 제 2 전극판(42)에는, 소정 위치에 제 2 절연커버(56)가 배치된다. 그리고 제 2 전극판(42)은, 방전침(41) 선단부와 대치하는 면이 노출된 상태로 구성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상기 방전침(41)과 제 2 전극판(42)은 실질적으로 평행인 자세가 된다. 그리고 방전침(41) 선단부에서 제 2 전극판(42) 사이의 거리가 일정 간격으로 유지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양 전극(41, 42)간 거리는 4.0±0.3mm이다.
<정전필터 및 촉매필터의 구성>
정전필터(17)는, 이온화부(30) 및 스트리머방전부(40)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본 발명의 집진수단을 구성한다. 이 정전필터(17)는, 상류측 면이 상기 이온화부(30)로 대전된 비교적 작은 먼지를 포집하는 집진면을 구성하는 한편, 하류측 면에는 광 촉매(광 반도체)가 담지된다. 이 광 촉매는, 스트리머방전부(40)에 의한 스트리머방전에 의해 생성되는 저온플라즈마 중의 반응성 높은 물질(전자, 이온, 수산화래디컬 등의 활성종)에 의해 더욱 활성화되어, 실내공기 중의 유해성분이나 냄새성분의 분해를 촉진한다. 여기서 이 광 촉매는 예를 들어, 이산화티티늄이나 산화아연, 혹은 텅스텐산화물이나 황화카드뮴 등이 이용된다. 또 정전필터(17)는, 수평단면이 파형으로 굴곡되어 형성된, 이른바 주름필터로 구성된다.
상기 촉매필터(18)는, 정전필터(17) 하류측에 배치된다. 이 촉매필터(18)는, 벌집구조의 기재 표면에 플라즈마촉매를 담지시킨 것이다. 이 플라즈마촉매는, 상기 광 촉매와 마찬가지로 스트리머방전부(40)의 방전에 의해 생성되는 저온플라즈마 중의 반응성 높은 물질(전자, 이온, 수산화래디컬 등의 활성종)에 의해 더욱 활성화되어, 실내공기 중의 유해물질이나 냄새물질의 분해를 촉진한다. 이 플라즈마촉매에는, 망간계 촉매나 귀금속계 촉매, 또는 이들 촉매에 활성탄 등의 흡착제를 첨가한 것이 이용된다.
<절연부재 및 이온화부의 상세구조>
다음으로, 상술한 절연부재(60) 및 이온화부(30)의 상세구조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절연부재(60)는 접지전극(33)의 상류측 면에 지지된다. 이 절연부재(60)는 절연성 수지재료로 구성된다. 또 절연부재(60)는, 상기 파형부재(50)의 상단에서 하단에 걸쳐 연장되는 판상 내지 직방체형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절연부재(60)의 두께(도 5의 상하방향 치수)가 약 3mm이고, 폭(도 5의 좌우방향 치수)이 약 6mm이다. 그리고 절연부재(60)는, 그 폭 방향 중심 이 한 쌍의 제 1 전극판(32, 32) 사이 거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양 제 1 전극판(32, 32) 사이의 거리는 약 24mm이다. 따라서, 절연부재(60)는 이온화선(31)에 대해 접지전극(33)의 중앙부 약 6mm를 피복하는 한편, 절연부재(60) 양쪽에 위치하는 약 9mm의 접지전극(33)은 이온화선(31)에 대해 각각 노출된 상태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이온화선(31)에서 상기 제 1 전극판(32)까지의 거리(D)가 약 12mm이고, 이온화선(31)에서 상기 접지전극(33)까지의 거리(L)는 약 10mm이다. 즉, 이온화부(30)는, 이온화선(31)과 제 1 전극판(32)의 거리(D)보다 이 이온화선(31)에서 접지전극(33)까지의 거리(L) 쪽이 짧은 거리로 설계된다.
-운전동작-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정화장치(10)의 운전 중은, 원심송풍기(19)가 운전되어, 실내공기가 케이싱(11) 내 공기통로(15)를 유통한다. 이 상태에서 이온화부(30) 및 스트리머방전부(40)로는, 전원수단(21)으로부터 각각 전압이 인가된다.
케이싱(11) 내로 도입된 실내공기는, 우선 프리필터(16)를 통과한다. 프리필터(16)에서는, 실내공기 중의 비교적 큰 먼지가 제거된다. 그 후, 실내공기는 이온화부(30) 및 스트리머방전부(40)로 흐른다.
이온화부(30)에서는, 각 이온화선(31)에서 이 이온화선(31) 양쪽의 제 1 전극판(32)을 향해 코로나방전이 이루어진다. 즉, 이온화부(30)에서는, 공기의 흐름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방전이 이루어진다. 그 결과, 실내공기 중의 비교적 작은 먼지가 대전된다. 이와 같이 하여 대전된 먼지는, 실내공기가 정전필터(17)를 통과할 때, 이 정전필터(17)의 상류측 집진면에 포집된다.
스트리머방전부(40)에서는, 방전침(41)과 제 2 전극판(42) 사이에서의 스트리머방전으로 저온플라즈마가 발생한다. 이 저온플라즈마에는, 오존 등의 반응성 높은 물질(활성종)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이 활성종은, 실내공기와 접촉하여 실내공기 중의 유해성분이나 냄새성분을 분해한다.
그 후, 실내공기는, 정전필터(17)를 통과한다. 정전필터(17)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그 집진면에서 먼지가 포집됨과 더불어, 그 하류측 면에 담지된 광 촉매에 의해 활성종이 더욱 활성화된다. 이로써 실내공기 중의 유해성분이나 냄새성분이 더욱 분해된다.
그 뒤, 실내공기는 촉매필터(18)를 통과한다. 촉매필터(18)에서는, 상기 활성종이 한층 활성화되어, 실내공기 중의 유해물질이나 냄새물질이 한층 분해된다. 또, 촉매필터(18)에서는, 실내공기 중에 잔존하는 냄새성분이나 유해성분 등이 흡착 처리된다. 이와 같이 하여 청정화된 실내공기는, 원심송풍기(19)로 도입되어 공기토출구(14)에서 실내로 토출된다.
-이온화부의 방전 검증-
그런데, 본 실시형태의 이온화부(30)에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온화선(31)과 제 1 전극선(32) 사이의 거리(D)보다 이온화선(31)과 접지전극(33) 사이의 거리(L)를 작게 설계하여 공기정화장치의 박형화를 도모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이온화선(31)과 접지전극(33)의 거리(L)를 좁게 하면(특히 L<D의 관계가 되 면), 이온화선(31)에서 접지전극(33)으로의 방전량이 증대해버리는 한편, 이온화선(31)에서 제 1 전극판(32)으로의 방전량이 감소해버려, 이온화부(30)에 의한 먼지 대전효과도 감소해버리게 된다.
여기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온화선(31)과 접지전극(33) 사이에 절연부재(60)를 배치하므로, 이 절연부재(60)에 의해 이온화선(31)에서 접지전극(33)으로의 공기흐름 방향 방전이 저지된다. 그 결과, 이온화부(30)에서는 이온화선(31)에서 제 1 전극판(32)으로의 코로나방전이 유지된다.
이 점에 대해 실험적으로 검증한 결과에 대해 도 6의 그래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6의 그래프는, 본 실시형태의 이온화부(30)와 종래의 이온화부에 의한 먼지의 대전효과, 즉 집진성능을 비교검증한 것이다. 도 6에서는, A선이 본 실시형태 이온화부(30)의 집진율과 방전전류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며, B선은 종래 이온화부(30)의 집진율과 방전전류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종래의 이온화부에서는, 이온화선에서 제 1 전극판까지의 거리(D)가 본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약 12mm인 것에 반해, 이온화선에서 접지전극까지의 거리(L)는 본 실시형태보다 긴 약 12mm(본 실시형태에서는 약 8mm)이다. 또 종래의 이온화부에는, 본 실시형태와 같은 절연부재가 배치되지 않고, 이온화선에 대해 접지전극이 완전히 노출 배치된다.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이온화부(30)에서는 이온화선(31)과 접지전극(33) 사이의 거리(L)가 종래 거리(L)의 약 2/3로 됐음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이온화부와 거의 마찬가지, 혹은 그 이상의 집진율을 얻을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온화부(30)의 박형화를 도모하면서 이온화부(30)의 집진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절연부재(60)가 접지전극(33)의 중앙 일부를 피복하도록 배치한다. 이로써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온화선(31)으로부터는 제 1 전극판(32)으로의 방전 이외에, 절연부재(60) 양쪽에 노출되는 접지전극(33)을 향해 방전이 이루어진다. 그 결과, 예를 들어 접지전극(33)을 절연부재(60)로 완전히 피복해버리는 경우에 비해, 이온화선(31)의 전기력선 밀도를 저감할 수 있어 이온화부(30)의 방전전압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이 점에 대해 실험적으로 검증한 결과에 대해 도 7의 그래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7의 그래프는, 접지전극(33)의 중앙 일부를 절연부재(60)로 피복한 본 실시형태의 이온화부(30)(도 7의 A선)와, 접지전극 전체를 절연부재로 피복한 이온화부(도 7의 C선)에 대해, 방전전류와 방전전압의 관계를 비교 검증한 것이다.
도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접지전극 전체를 피복한 이온화부와 비교하여, 본 실시형태의 이온화부(30)에서는, 방전전압을 전체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온화선(31)에서 접지전극(33)으로 어느 정도의 방전이 허용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이온화부(30)에서의 전기력선 밀도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접지전극을 절연부재로 완전히 피복하는 경우에 비해 방전전압의 상승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의 효과-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온화부(30)에서 피처리공기의 흐름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코로나방전을 행하도록 한다. 이로써 공기 중의 먼지를 효과적으로 대전시켜, 이 공기정화장치의 집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온화선(31)과 정전필터(17) 사이에 접지전극(33)을 배치한다. 이로써, 이온화선(31)에서 정전필터(17)로의 방전을 확실하게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정전필터(17)를 확실하게 보호하여 이 공기정화장치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이온화선(31) 근방에 접지전극(33)을 배치하면, 특히 이온화선(31)에서 접지전극(33)으로의 방전이 발생하기 쉬워지나,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절연부재(60)가 이온화선(31)에서 접지전극(33)으로의 방전을 저지하도록 구성한다. 이로써, 이온화부(30)에서의 공기흐름과 직교하는 방향의 코로나방전을 유지하면서, 이 공기정화장치를 공기흐름 방향으로 박형화할 수 있다. 또 이때, 절연부재(60)는 접지전극(33)의 중앙 일부를 피복하도록 배치하므로, 이온화부(30)에서의 방전전압 상승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공기정화장치의 절연설계가 용이해진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전극판(32)과 접지전극(33)을 일체의 파형부재(50)로서 구성한다. 따라서, 제 1 전극판(32) 및 접지전극(33)의 가공이나 취급이 용이해진다. 그리고 절연부재(60)를 접지전극(33)에서의 상류측 면에 지지시킴으로써 절연부재(60)의 설치가 용이해지며, 나아가 이온화선(31)과 접지전극(33) 사이를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 또 상기 접지전극(33)에는, 복수의 개구를 형성하므로, 공기 흐름에 따르는 압력손실이 저감되며, 또한 공기의 난류화에 의해 이온화부(30)에 의한 먼지의 대전효율, 혹은 스트리머방전부(40)에서 발생하는 활성종과 공기 중의 냄새성분 등과의 접촉효율을 높일 수 있다.
-실시형태의 변형예-
상기 실시형태의 공기정화장치에서는, 예를 들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온화부(30)와, 이 이온화부(30)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프리필터(16) 사이에 절연부재(60)를 배치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절연부재(60)에 의해 이온화선(31)에서 프리필터(16)로의 방전이 저지되므로, 공기흐름과 직교하는 방향의 코로나방전을 유지하면서 이온화선(31)과 프리필터(16)의 거리를 좁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도 8의 예에서는, 전술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이온화선(31)과 접지전극(33) 사이에도 절연부재(60)를 배치하나, 이온화선(31)과 프리필터(16) 사이에만 절연부재(60)를 배치하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접지전극(33)을 구성시키지 않을 경우에는, 이온화부(30)와, 이 이온화부(30)에 인접하는 구성부품으로서의 정전필터(17) 사이에 절연부재(60)를 배치해도 되며, 예를 들어 정전필터 대신 집진판이나 집진전극 등의 집진수단(17)을 구성시킬 경우에는, 이온화부(30)와, 이 이온화부(30)에 인접하는 구성부품으로서의 집진수단(17) 사이에 절연부재(60)를 배치할 수도 있다.
[그 밖의 실시형태]
상기 실시형태에 대해서는 이하와 같은 구성으로 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코로나방전을 행하는 이온화부(30)와, 이 이온화부(30)에 인접하는 구성부품(16, 17, 33)사이에 절연부재(60)를 배치하여, 이온화 부(30)에서 구성부품(16, 17, 33)으로의 방전을 저지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이온화부(30) 대신 스트리머방전부(40)와, 이 스트리머방전부(40)와 인접하는 구성부품 사이에 절연부재(60)를 배치하여, 스트리머방전부(40)에서 구성부품으로의 방전을 저지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도, 스트리머방전부(40)와 다른 구성부품과의 거리를 좁게 하여 공기정화장치의 박형화를 도모하면서, 스트리머방전부(40)의 방전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 글로우방전이나 다른 형태의 방전을 행하는 방전부에 대해, 마찬가지의 절연부재(60)를 적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이상의 실시형태는, 본질적으로 바람직한 예시이며, 본 발명, 그 적용물, 혹은 그 용도 범위의 제한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피처리공기가 흐르는 공기 중에 방전하는 방전부를 구비한 공기정화장치에 유용하다.

Claims (9)

  1. 피처리공기가 흐르는 공기통로(15)와, 이 공기통로(15)를 흐르는 공기 중에 방전하는 방전부(30, 40)를 구비한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전부(30, 40)와, 이 방전부(30, 40)에 인접하는 구성부품(16, 17, 33) 사이에는, 절연부재(60)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전부(30, 40)는, 공기 중의 먼지를 대전시키는 이온화부(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온화부(30)는, 방전 기단인 방전극(31)과 방전 종단인 대향극(32)이 공기흐름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열되어 구성되며,
    상기 절연부재(60)는, 이온화부(30)의 상류측 또는 하류측에 인접하는 구성부품(16, 17, 33)과 방전극(31)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이온화부(30) 하류측에는, 이 이온화부(30)에서 대전된 먼지를 포집하 는 집진수단(17)이 배치되며,
    상기 절연부재(60)는, 상기 구성부품으로서의 집진수단(17)과 방전극(31)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이온화부(30) 상류측에는, 공기 중의 먼지를 포집하는 프리필터(16)가 배치되며,
    상기 절연부재(60)는, 상기 구성부품으로서의 프리필터(16)와 방전극(31)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이온화부(30) 하류측에는, 이 이온화부(30)에서 대전된 먼지를 포집하는 정전필터(17)와, 방전극(31)과 정전필터(17) 사이를 차단하는 접지전극(33)이 배치되며,
    상기 절연부재(60)는, 상기 구성부품으로서의 접지전극(33)과 방전극(31)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60)는, 상기 접지전극(33)의 상류측 면 일부를 피복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방전극(31)은 선형 내지 막대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대향극(32)은, 방전극(31) 외주면과 대치하는 판상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이 방전극(31) 양쪽에 배치되고,
    상기 접지전극(33)은, 복수의 개구를 갖는 판상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양 대향극(32)의 하류측 단부와 연속되어 형성되며,
    상기 절연부재(60)는, 접지전극(33)의 상류측 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60)는, 절연성 수지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
KR1020077018493A 2005-02-14 2006-01-26 공기정화장치 KR200700954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36689 2005-02-14
JP2005036689A JP3832490B2 (ja) 2005-02-14 2005-02-14 空気浄化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5406A true KR20070095406A (ko) 2007-09-28

Family

ID=36793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8493A KR20070095406A (ko) 2005-02-14 2006-01-26 공기정화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90120781A1 (ko)
EP (1) EP1849523A1 (ko)
JP (1) JP3832490B2 (ko)
KR (1) KR20070095406A (ko)
CN (1) CN101115564A (ko)
AU (1) AU2006213409A1 (ko)
WO (1) WO20060854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40579B2 (ja) * 2005-02-25 2006-11-0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5056475B2 (ja) * 2008-02-27 2012-10-2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処理装置
EP3297446A2 (de) * 2015-05-19 2018-03-28 Egogold AG Elektrostatische räucheranlage und elektrostatisches räucherverfahren
CN105268554A (zh) * 2015-11-25 2016-01-2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电极结构、集尘方法及空气净化器
FR3087677B1 (fr) * 2018-10-25 2022-12-16 Airinspace Nouveau dispositif d’epuration d’air par plasma
CN109967240B (zh) * 2017-12-27 2023-11-17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基于电凝并技术的微颗粒净化装置
CN109967242B (zh) * 2017-12-27 2023-11-24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基于电凝并技术的微颗粒净化装置
WO2023019474A1 (zh) * 2021-08-18 2023-02-23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净化装置及冰箱
SE545994C2 (en) * 2022-08-26 2024-04-09 Cabinair Sweden Ab Air purifica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9206Y2 (ja) * 1989-12-22 1997-06-25 ミドリ安全工業株式会社 電気集塵器のアイオナイザ
JP2508654Y2 (ja) * 1990-10-22 1996-08-2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清浄機
JP3368444B2 (ja) * 1994-04-28 2003-01-20 株式会社ゼクセルヴァレオクライメートコントロール 空気清浄装置
JP3248465B2 (ja) * 1997-10-14 2002-01-2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清浄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832490B2 (ja) 2006-10-11
WO2006085439A1 (ja) 2006-08-17
US20090120781A1 (en) 2009-05-14
EP1849523A1 (en) 2007-10-31
AU2006213409A1 (en) 2006-08-17
JP2006218453A (ja) 2006-08-24
CN101115564A (zh) 2008-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95406A (ko) 공기정화장치
KR100711070B1 (ko) 공기정화장치
JP3852429B2 (ja) 空気清浄機
KR100745952B1 (ko) 가스처리장치
WO2007145330A1 (ja) 集塵装置
JP5494614B2 (ja) 集塵装置
JP4347837B2 (ja) 電気集塵デバイス及び該電気集塵デバイスを搭載した空気処理装置
JP2007007589A (ja) 電気集塵デバイス及びこれを組込んだ空気清浄装置
JP5696718B2 (ja) 放電ユニット及び空気清浄機
JP4415973B2 (ja) 空気浄化装置
JP3709449B1 (ja) ガス処理装置
JP2008023445A (ja) 集塵装置
JP4650304B2 (ja) 空気浄化装置
JP2005125070A (ja) 空気浄化装置
AU2005256106B8 (en) Air purifier
JP2006015282A (ja) 空気浄化装置
JP2008000719A (ja) 集塵装置
WO2008010458A1 (fr) Appareil collecteur de poussière
JP2015127031A (ja) 荷電装置及び空気処理装置
JPH0427452A (ja) 空気清浄装置
JP2006294510A (ja) 放電装置
JP2015016411A (ja) 空気清浄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