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5134A - 포장박스 조립용 연결부재 - Google Patents

포장박스 조립용 연결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5134A
KR20070095134A KR1020060025442A KR20060025442A KR20070095134A KR 20070095134 A KR20070095134 A KR 20070095134A KR 1020060025442 A KR1020060025442 A KR 1020060025442A KR 20060025442 A KR20060025442 A KR 20060025442A KR 20070095134 A KR20070095134 A KR 200700951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angle
packaging box
box
fix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5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4587B1 (ko
Inventor
강창석
Original Assignee
(주)우성지엔드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성지엔드피 filed Critical (주)우성지엔드피
Priority to KR1020060025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4587B1/ko
Publication of KR20070095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5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4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4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3/00Counters with additional facilities
    • G06M3/06Counters with additional facilities for printing or separately displaying result of cou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7/00Counting of objects carried by a conveyor
    • G06M7/02Counting of objects carried by a conveyor wherein objects ahead of the sensing element are separated to produce a distinct gap between successive objects
    • G06M7/06Counting of flat articles, e.g. of sheets of pap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박스 조립용 연결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장용 나무박스(Wood Box)를 대체하여 골판지로 제작되는 포장박스의 조립 및 해체 작업이 간단하게 이루어지면서 포장박스의 외벽으로 조립되는 판재를 견고하게 지지하여 결속시키는 포장박스 연결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판재의 각 모서리 부분과 끼움 고정되는 수평 고정부와; 상기 수평 고정부의 평면상에 서로 직교하여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그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판재의 모서리 부분이 끼움 고정되는 수직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포장박스의 조립 및 해체 작업이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져 작업의 효율성 향상과 함께 포장박스의 재활용이 가능하게 되어 자재의 구입감소와 조립 및 해체로 폐기되는 자재의 발생이 감소하게 되어 포장박스의 사용 및 회수율이 증대되는 효과를 가진다.
포장박스, 허니컴 보드, 삽입홈, 결속, 앵글, 연결부재

Description

포장박스 조립용 연결부재{A Union Member For Assembling Package Box}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의 조립과정을 보인 것으로,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에 앵글이 삽입된 상태를 보인 상태도.
도 4b는 도 4a에 판재가 삽입된 상태를 보인 상태도.
도 4c는 도 4b에 덮개가 구비되는 것을 보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종래의 조립용 포장박스의 코너부재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연결부재
10 : 수평 고정부 11/21a/21b : 삽입홈
20 : 수직 고정부 21/22 : 앵글삽입홈
30 : 앵글
40 : 포장박스 41 : 하부판
42 : 측면판 43 : 상부판
B : 제품박스 P : 판재
본 발명은 포장박스 조립용 연결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장용 나무박스(Wood Box)를 대체하여 골판지로 제작되는 포장박스의 조립 및 해체작업이 간단하게 이루어지면서 상기 포장박스의 외벽으로 조립되는 판재를 견고하게 지지하여 결속시키는 포장박스 연결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용 나무박스(Wood Box)는 내부에 포장된 제품을 수납하도록 다수의 나무판을 덧대어 못으로 고정한 채로 둘레를 랩핑하고 하부에 지게차와 같은 운송차량의 포크가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파레트를 설치하여 이송차량으로 운반되거나 이송용 컨테이너로 수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나무박스(Wood Box)는 다수의 나무판을 주재료로 사용하기 때문에 방수기능이 미비하여 내부에 수납되는 제품박스를 내습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특히 전자제품을 포장한 제품박스의 경우에는 못질에 따른 진동으로 상기 제품박스 내부에 수납된 전자제품이 손상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나무의 높은 단가와 함께 재활용이 용이하지 않아 나무박스의 생산 및 유지비용 발생이 높으며, 나무를 재료로 하기 때문에 환경문제를 고려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내습기능과 제품박스로 전달되는 충격의 완화 및 환경문제를 해결하 고자 종래에는 두텁게 압착된 종이제품이나 내부에 벌집 형상의 종이부재가 구비되는 허니컴 보드(Honey Comb Board)를 스테이플러로 고정하거나 접착제로 접착하여 포장박스를 형성하였다.
그에 따라, 상기와 같은 포장박스를 효율적으로 제작하고자 등록특허 제10-0553960호(2006.2.14) "조립이 용이한 골판지 포장 박스"에 기재된 바와 같이 포장박스를 구성하는 상부판과 하부판의 각 코너 내·외측에 앵글을 접합시켜 내부 둘레에 판재를 삽입하도록 하는 포장박스에 관한 공지된 기술이 있으나 상기 앵글이 접착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해체 및 재활용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한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등록실용신안 제20-0398289호(2005.10.5) "포장박스용 코너부재"는 삼벽체(110)(120)(130)에 3개의 앵글이 삽입되는 끼움홈(140)(150)(160)을 갖는 코너부재가 포장박스의 각 코너를 구성하고 판재를 내부에 삽입하여 조립용 포장박스를 형성하는 공지된 기술이 제공되었으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내부에 상기 판재가 구비되면서 외부는 지지되지만 상기 판재의 내측을 지지하는 별도의 지지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상기 판재가 견고하게 지탱되지 못하고, 그로 인하여 상기 판재의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내부에 구비되는 제품박스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상기 판재와 이격되어 포장박스의 외부 랩핑만으로 상기 판재가 지탱됨으로써 상기 판재의 지지 상태가 불량해질 뿐만 아니라 원활한 방수 및 내습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여 내부에 수납된 제품박스 및 제품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포장용 나무박스(Wood Box)를 대체하여 골판지로 제작되는 포장박스의 조립 및 해체 작업이 간단하게 이루어지면서 포장박스의 외벽으로 조립되는 판재를 견고하게 지지하여 결속시키는 포장박스 연결부재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수직으로 삽입되어 결속되는 판재를 더 보강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수평으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판재가 모서리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하면서 삽입이 더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판재의 각 모서리 부분과 끼움 고정되는 수평 고정부와; 상기 수평 고정부의 평면상에 서로 직교하여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그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판재의 모서리 부분이 끼움 고정되는 수직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 고정부와 수직 고정부는 상호 직교하는 삼축벽체로 형성되고, 상기 삼축벽체의 각각 외측으로 노출되는 모서리가 연통 되면서 내측으로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 고정부는 직교하는 상부면 상에 수직 방향으로 앵글이 삽입 및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앵글삽입홈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 고정부는 상기 삽입홈이 형성되는 모서리가 라운드 가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으로 구성되는 연결부재(1)는 판재가 수평으로 삽입되는 삽입홈(11)(21a)(21b)을 갖도록 형성되는 수평 고정부(10)와 상기 수평 고정부(10)에 판재(P)가 수직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수평 고정부(10)에 직교하여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 고정부(20a)(2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평 고정부(10)와 수직 고정부(20a)(20b)는 판재(P)의 모서리 부분이 삽입 및 분리될 수 있도록 소정의 폭과 높이를 갖는 판재형상으로 형성되어 3개의 중심축으로 직교하는 삼축벽체를 이루며, 상기 판재(P)가 내부에 수평으로 슬라이딩 되어 삽입 및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외부측으로 노출되는 일측 모서리를 포함하는 내측으로 상기 삽입홈(11)(21a)(21b)이 형성된다.
상기 수직 고정부(20a)(20b)는 판재형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삽입홈(11)이 형성되는 상기 수평 고정부(10)의 평면상에 수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수평 고정부의 삽입홈(11)이 형성되는 일측 모서리 대각선상의 타측 모서리를 기점으로 인접하는 둘레를 따라 앵글형상을 갖도록 직각으로 교차됨으로써 형성되고,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일측 모서리를 연통하여 상기 삽입홈(21a)(21b)이 형성된다.
즉, 앵글형상으로 직교하여 형성되는 상기 수직 고정부(20a)(20b)는 상기 삽입홈(21a)(21b)으로 인하여 내부측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게 되며, 상기 공간으로 판재(P)가 상기 수평 고정부(10)에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삽입되면서 결속되게 된다.
또한, 상기 수직 고정부(20a)(20b)의 상부면 상에는 수직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앵글(30)이 절곡된 상기 수직 고정부(20a)(20b) 외부 모서리와 내부 모서리 부분에 삽입되도록 내측으로 상기 앵글(3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각각 앵글삽입홈(22)(23)이 형성된다.
상기 앵글삽입홈(22)(23)으로 삽입되는 상기 앵글(30)은 상기 수직 고정부(20a)(20b)의 삽입홈(21a)(21b)으로 삽입되어 결속되는 상기 판재(P)로 이루어지는 모서리의 외부와 내부를 길이방향으로 각각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상기 수직 고정부(20a)(20b)는 특징적인 일 실시예로서 상기 삽입홈(21a)(21b)을 연통하여 상기 판재(P)가 두 방향에서 삽입되어 접하도록 형성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를 보인 분해 사시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포장박스(40)의 하부판(41)을 구성하는 판재(P)의 각 모서리가 상기 수평 고정부(10)의 삽입홈(11)으로 슬라이딩 삽입되어 결속되고, 상기 수직 고정부(20a)(20b)의 앵글삽입홈(22)(23)으로 상기 앵글(30)이 삽입되어 상기 포장박스(40)를 이루는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그 상태에서 상기 포장박스(40)의 측면판(42)을 구성하는 판재(P)가 상기 앵 글삽입홈(22)(23)에 삽입된 앵글의 사이로 삽입되게 되면 상기 삽입홈(21a)(21b)으로 상기 판재(P)의 슬라이딩 삽입이 이루어져 상기 삽입홈(21a)(21a)이 상기 판재(P)를 지지하면서 결속하게 된다.
그 이후에 상기 포장박스(40)의 하부판(41)과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되는 상부판(43)을 형성하고, 상기 앵글(30)과 상기 판재(P)의 상부측이 상기 상부판(43)의 연결부재(1)로 삽입됨으로써 내부에 제품박스(미도시)를 수납할 수 있는 상기 포장박스(40)의 조립을 완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1)는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특징적인 일 실시예로서 방수기능과 내구성이 우수한 합성수지 소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앵글(30) 또한 일 실시예로서 다수의 종이부재를 압착하여 형성되는 앵글(30)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내습 기능을 가지는 합성수지 소재나 탄성 소재를 사용하여 상기 앵글(30)을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판재(P) 또한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내습기능과 외부에서 발생되는 충격의 전달을 완충하는 소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내부가 벌집 형상으로 형성되는 허니컴 보드(Honey Comb Board)를 특징적인 일 실시예로서 적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의 조립과정을 보인 것으로,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에 앵글이 삽입된 상태를 보인 상태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판재(P)가 삽입된 상태를 보인 상태도이며, 도 4c는 도 4b에 덮개가 구비되는 것을 보인 상태도이다.
도 4a 내지 4c를 참고로 상기 포장박스(40)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재(P)의 각 모서리를 상기 수평 고정부(10)의 삽입홈(11)으로 삽입하여 상기 연결부재(1)를 장착하고, 상기 판재(P)의 상부측으로 제품박스(B)를 수납하면, 상기 수직 고정부(20a)(20b)에 형성된 상기 앵글삽입홈(22)(23)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상기 앵글(30)을 각 모서리의 따라 모두 8개를 삽입하여 결속시킨다.
그리고 도 4b와 같이 상기 포장박스(40)의 측면판(42)을 구성하는 판재(P)를 삽입된 2개의 상기 앵글(30) 사이를 지나 상기 삽입홈(21a)(21b)에 삽입시키면, 상기 판재(P)는 상기 삽입홈(21a)(21b)에 의해 결속되는 동시에 상기 앵글(30)에 의해 상기 판재(P)의 외측 모서리와 내측 모서리가 보강되어 지지되게 된다.
그 이후에,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포장박스(40)의 하부판(41)과 동일한 구조로 판재(P)의 각 모서리에 상기 연결부재(1)를 장착하여 상부판(43)을 형성하고, 이를 상부에서 직하부로 덮으면 상기 연결부재(1)의 앵글삽입홈(22)(23)으로 상기 앵글(30)의 상부측이 삽입되게 되고, 상기 측면판(42)을 구성하는 판재(P)가 상기 수직 고정부(20a)(20b)의 삽입홈(21a)(21b)으로 삽입되어 내부에 상기 제품박스(B)를 수납하는 상기 포장박스(40)의 조립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이를 역순으로 하여 삽입된 상기 앵글(30)과 판재(P)를 분리하게 되면 상기 포장박스(40)의 해체를 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삽입홈(11)이 형성되는 상기 수평 고정부(10)의 일측 모서리를 라운드 가공한 것으 로 라운드 가공된 상기 삽입홈(11)을 통하여 상기 판재(미도시)의 수평방향으로의 삽입이 더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판재(P)가 수평으로 삽입되도록 삽입홈(11)(21a)(21b)을 갖는 판재형의 수평 고정부(10)와 수직 고정부(20a)(20b)를 삼축벽체로 구성하고, 상기 수직 고정부(20a)(20b)에 앵글삽입홈(22)(23)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삽입홈(11)(21a)(21b)에 의해서 상기 판재(P)가 수평으로 견고하면서 원활한 삽입 및 분리가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앵글삽입홈(22)(23)으로 삽입되는 앵글(30)을 통하여 상기 판재(P)의 모서리가 더욱 보강되어 지지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포장박스의 간단한 조립 및 해체와 삽입 및 인출되는 판재의 견고한 결속이 이루어지도록 삽입홈을 갖는 판재형의 수평 고정부와, 상기 수평 고정부에 직교하여 수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수직 고정부로 구성됨으로써, 포장박스의 조립 및 해체 작업이 상기 수평 고정부와 수직 고정부를 통하여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포장박스를 다수 회 재사용할 수 있게 되어 포장박스 자재구입의 감소와 함께 상기 포장박스의 조립 및 해체과정에서 소모되어 폐기되는 자재의 발생이 감소하여 상기 포장박스의 사용 및 회수율이 증대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직 고정부에 앵글이 수직으로 삽입되는 앵글삽입홈을 형성하여 상기 앵글이 상기 포장박스의 외부형틀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포장박스의 측면을 구성하도록 삽입되는 판재의 모서리를 길이방향으로 보강 지지하여 포장박스의 조립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평으로 삽입되는 상기 판재의 삽입이 더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수평 고정부의 삽입홈이 형성되는 모서리가 라운드 가공으로 형성되게 함으로써, 상기 판재와 수평 고정부가 걸림이 방지되는 원활한 삽입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수평 고정부의 직각으로 절곡된 모서리로 인하여 판재에 발생되는 손괴 및 작업자의 부상 방지를 기대하게 된다.

Claims (4)

  1. 판재의 각 모서리 부분과 끼움 고정되는 수평 고정부(10)와;
    상기 수평 고정부(10)의 평면상에 서로 직교하여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그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판재의 모서리 부분이 끼움 고정되는 수직 고정부(20a)(20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조립용 연결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고정부(10)와 수직 고정부(20a)(20b)는,
    상호 직교하는 삼축벽체로 형성되고,
    상기 삼축벽체의 각각 외측으로 노출되는 모서리가 연통 되면서 내측으로 삽입홈(11)(21a)(21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조립용 연결부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고정부(20a)(20b)는
    직교하는 상부면 상에 수직 방향으로 앵글(30)이 삽입 및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앵글삽입홈(22)(23)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조립용 연결부재.
  4. 제 2항에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고정부(10)는,
    상기 삽입홈(11)이 형성되는 모서리가 라운드 가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조립용 연결부재.
KR1020060025442A 2006-03-20 2006-03-20 포장박스 조립용 연결부재 KR100774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5442A KR100774587B1 (ko) 2006-03-20 2006-03-20 포장박스 조립용 연결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5442A KR100774587B1 (ko) 2006-03-20 2006-03-20 포장박스 조립용 연결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5134A true KR20070095134A (ko) 2007-09-28
KR100774587B1 KR100774587B1 (ko) 2007-11-09

Family

ID=38688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5442A KR100774587B1 (ko) 2006-03-20 2006-03-20 포장박스 조립용 연결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45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3207B1 (ko) * 2012-10-15 2014-05-08 주식회사 우일팩 중량물 포장용 조립식 박스
KR101631903B1 (ko) * 2013-12-06 2016-07-01 주식회사 광동 물품포장용 파레트
KR101481638B1 (ko) 2013-12-12 2015-01-14 이용찬 현장 조립이 가능한 포장박스
KR200497248Y1 (ko) * 2021-10-12 2023-09-08 박우종 곤충 표본 상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860654A (fi) * 1985-02-21 1986-08-22 Sekisui Plastics Laodabildande hoernelement och en laoda innehaollande ett saodant.
JP3298831B2 (ja) 1998-02-02 2002-07-08 株式会社山口紙器工業所 組立式コンテナ
KR200345356Y1 (ko) 1999-03-18 2004-03-19 김강철 포장용 박스 적층용 받침대
KR20020074982A (ko) 2001-03-23 2002-10-04 엘지전자주식회사 적재 화물의 모서리 보강부용 3-축 보강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4587B1 (ko) 2007-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4587B1 (ko) 포장박스 조립용 연결부재
KR101211934B1 (ko) 완충케이스를 구비한 포장상자
KR20180070855A (ko) 내구성을 향상시킨 접이식 포장 및 수송용 박스형 팔레트
KR101055325B1 (ko) 제품을 지지하기 위한 개선된 베이스
KR20140047794A (ko) 벽체용 앵글
CN2682009Y (zh) 可拆卸式包装箱
JP2010208666A (ja) パネル梱包体
JP2010064762A (ja) パレット及び箱体
CN215098910U (zh) 纸木结构快速折叠箱
CA2881759A1 (en) Collapsible box
JP3905072B2 (ja) 梱包箱
KR101631903B1 (ko) 물품포장용 파레트
JP3905061B2 (ja) 梱包箱
KR101546842B1 (ko) 분해 조립이 가능한 포장용박스
JP2019123535A (ja) 梱包箱と梱包方法
CN214690708U (zh) 重型包装箱
CN219407541U (zh) 一种包装箱用木塑复合底座
JP2010076825A (ja) 室外機の梱包装置
KR200428526Y1 (ko) 친환경 경량 파렛트
KR20080001444U (ko) 친환경 에어컨 실외기의 완충 포장재
KR200464053Y1 (ko) 패널제품용 포장박스
KR200290378Y1 (ko) 콘테이너 적재물 지지구
KR101933071B1 (ko) 조립식 포장용 상자
KR20070111290A (ko) 종이 앵글을 포함한 포장용 종이박스와 그 조립방법
KR20080002306U (ko) 에어컨 실외기의 친환경 완충포장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