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3071B1 - 조립식 포장용 상자 - Google Patents

조립식 포장용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3071B1
KR101933071B1 KR1020160099843A KR20160099843A KR101933071B1 KR 101933071 B1 KR101933071 B1 KR 101933071B1 KR 1020160099843 A KR1020160099843 A KR 1020160099843A KR 20160099843 A KR20160099843 A KR 20160099843A KR 101933071 B1 KR101933071 B1 KR 101933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vertical plate
panel
fixed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9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6021A (ko
Inventor
김원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페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페이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페이지
Priority to KR1020160099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3071B1/ko
Publication of KR20180016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6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3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3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8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65D11/1866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with detachable components
    • B65D11/1873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with detachable components all walls are detached from each other to collapse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having bodies formed by folding and interconnecting two or more blanks each blank forming a body part, whereby each body part comprises at least one outside face of the box, carton or tr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2585/6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 B65D2585/68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specific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 B65D2585/683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specific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audio-visual devices
    • B65D2585/683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specific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audio-visual devices tv or compu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여러 개의 블록단위로 나누어진 제1프레임, 제2프레임 및 제3프레임을 이용하여 제작하여 사용함으로써, 제품의 크기와 상관없이 다양한 크기의 포장용 상자를 쉽고 편리하게 제작할 수 있고, 이로 인한 포장용 상자의 생산성 및 작업능률을 현저하게 향상시키며, 단시간 내에 조립 가능하면서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조립식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포장용 상자는 제품의 바닥면이 밀착되어 고정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전방 및 후방의 일부를 상측 방향으로 접어 형성된 수직부로 이루어진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의 양측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접착 고정되고, 제품의 측면을 지지하는 제2프레임; 및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일측 일부가 내측 방향으로 굴곡져 "ㄱ"자 형태로 이루어진 한 쌍의 제3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제2프레임은, 제품의 측면에 밀착되는 제1수직판과, 상기 제1수직판의 전방 및 후방의 일부를 내측 방향으로 접어 형성된 제2수직판으로 이루어진 측면지지부; 상기 제2수직판의 내측면 상부에 접착 고정되고, 상기 수직부의 상단면에 위치하며, 상기 제2수직판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상부보강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포장용 상자{PREFABRICATED PACKING BOXES}
본 발명은 조립식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여러 개의 블록단위로 나누어진 제1프레임, 제2프레임 및 제3프레임을 이용하여 제작하여 사용함으로써, 제품의 크기와 상관없이 다양한 크기의 포장용 상자를 쉽고 편리하게 제작할 수 있고, 이로 인한 포장용 상자의 생산성 및 작업능률을 현저하게 향상시키며, 단시간 내에 조립 가능하면서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조립식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패널 또는 TV 등 대형 제품이 공장에서 출하될 경우에는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포장용 상자에 수납된 상태로 출하 및 이송이 된다.
이러한 대형 포장용 상자는 하나의 판을 접어 제작할 시 넓은 공간이 필요하여 제조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특히, 내구성이 떨어져 운반시 발생하는 충격으로부터 내부에 포장된 제품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 국내등록특허 제10-1541130호(2015년 07월 27일 등록) (문헌 2) : 국내등록특허 제10-1568928호(2015년 11월 06일 등록)
본 발명은 여러 개의 블록단위로 나누어진 제1프레임, 제2프레임 및 제3프레임을 이용하여 제작하여 사용함으로써, 제품의 크기와 상관없이 다양한 크기의 포장용 상자를 쉽고 편리하게 제작할 수 있고, 특히, 대형의 제품을 포장하는 상자를 쉽고 편리하게 제작할 수 있고, 이로 인한 포장용 상자의 생산성 및 작업능률을 현저하게 향상시키며, 단시간 내에 조립 가능하면서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조립식 포장용 상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포장용 상자는 제품의 바닥면이 밀착되어 고정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전방 및 후방의 일부를 상측 방향으로 접어 형성된 수직부로 이루어진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의 양측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접착 고정되고, 제품의 측면을 지지하는 제2프레임; 및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일측 일부가 내측 방향으로 굴곡져 "ㄱ"자 형태로 이루어진 한 쌍의 제3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제2프레임은, 제품의 측면에 밀착되는 제1수직판과, 상기 제1수직판의 전방 및 후방의 일부를 내측 방향으로 접어 형성된 제2수직판으로 이루어진 측면지지부; 상기 제2수직판의 내측면 상부에 접착 고정되고, 상기 수직부의 상단면에 위치하며, 상기 제2수직판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상부보강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프레임은, 상기 제1수직판과 동일한 길이를 갖는 사각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수직판의 외측면에 접착제로 고정되며, 상기 제2프레임의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1수직판과 상기 제3프레임에 형성된 제2패널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보강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프레임은, 상기 측면지지부와 반대 측에 형성된 다른 하나의 측면지지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수직부의 외측면에 접착제로 접착 고정되며, 상기 제3프레임 접착시 상기 측면지지부와 다른 하나의 측면지지부 사이에 공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제1프레임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고정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포장용 상자는 여러 개의 블록단위로 나누어진 제1프레임, 제2프레임 및 제3프레임을 이용하여 제작하여 사용함으로써, 제품의 크기와 상관없이 다양한 크기의 포장용 상자를 쉽고 편리하게 제작할 수 있고, 특히, 대형의 제품을 포장하는 상자를 쉽고 편리하게 제작할 수 있고, 이로 인한 포장용 상자의 생산성 및 작업능률을 현저하게 향상시키며, 단시간 내에 조립 가능하면서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포장용 상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포장용 상자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포장용 상자에서 제1프레임 부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포장용 상자에서 제2프레임 부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포장용 상자의 조립 순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포장용 상자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포장용 상자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포장용 상자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포장용 상자에서 제1프레임 부분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포장용 상자에서 제2프레임 부분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포장용 상자의 조립 순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포장용 상자는 제1프레임(100), 제2프레임(200), 제3프레임(300) 및 고정패널(2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프레임(100)은 제품의 바닥면이 밀착되어 고정되는 바닥부(110)와, 바닥부(110)의 전방 및 후방의 일부를 상측 방향으로 접어 "ㄷ"자 형태가 이루어지도록 형성된 수직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프레임(100)은 종이 재질을 갖는 골판지로 이루어지고, 제품의 폭 또는 길이를 고려하여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바닥부(110)의 양측 끝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수직부(120)의 양측 끝단보다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제2프레임(200)의 바닥면이 지지되는 연장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수직부(120)는 바닥부(110)의 전방 및 후방의 일부가 접어져 형성되는 것으로, 바닥부(110)와 접하는 접음선을 따라 상측 방향으로 접어 형성되고, 제2프레임(200)을 고정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제2프레임(200)은 제1프레임(100)의 양측에 접착제 등으로 고정되고, 제품의 측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제2프레임(200)은 측면지지부(210), 보강블록(220), 상부보강패널(230) 및 고정패널(240)을 포함할 수 있다.
측면지지부(210)는 제품의 측면에 밀착되는 제1수직판(211)과, 제1수직판(211)의 전방 및 후방의 일부를 내측 방향으로 접어 "ㄷ"자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된 제2수직판(21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측면지지부(210)는 제1프레임(100)의 양측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한 쌍을 이루고, 수직부(120)와 접착제 등으로 체결 고정될 수 있다.
예로 들면, 제2수직부(120)의 길이 방향의 중간을 기준으로 하부의 내측면 영역에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제1프레임(100)에 형성된 수직부(120)의 외측면에 접착하여 고정되게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측면지지부(210)가 제1프레임(100)의 양측에 고정되게 한다.
보강블록(220)은 제1수직판(211)과 동일한 길이를 갖는 사각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고, 제1수직판(211)의 외측면에 접착제 등으로 고정되며, 제2프레임(2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제1수직판(211)과 제3프레임(300)에 형성된 제2패널(32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보강블록(220)은 제1수직판(211)의 외측면에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게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상부보강패널(230)은 제2수직판(212)의 내측면 상부에 접착제 등으로 고정되고, 제2수직판(212)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예로 들면, 제2수직판(212)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하부 부분은 수직부(120)와 접착제로 고정되고, 수직부(120)와 접착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상부 부분에는 상부보강패널(230)이 접착제 등으로 고정되는데, 이때, 상부보강패널(230)의 하단면이 수직부(120)의 상단면에 안착 되도록 한다.
즉, 상부보강패널(230)의 내측 면과 수직부(120)의 내측 면이 동일 선상에 일치하도록 하여 제품이 제1프레임(100)에 안착될 시, 제품의 전면 및 후면에 수직부(120)의 내측 면과 상부보강패널(230)의 내측 면이 밀착되게 하여 제2수직판(212)의 상부 일부가 외부 충격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고정패널(240)은 측면지지부(210)와 반대 측에 형성된 다른 하나의 측면지지부(210) 사이에 위치하고, 수직부(120)의 외측면에 접착제 등으로 접착 고정되며, 제3프레임(300) 접착시 측면지지부(210)와 다른 하나의 측면지지부(210) 사이에 공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여 제1프레임(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제3프레임(300)은 제1프레임(100) 및 제2프레임(200)을 감싸도록 한 쌍의 "ㄱ"자 형태의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제1프레임(100)의 전방 및 후방에 서로 엇갈리는 형태로 위치하며, 제1프레임(100) 및 제2프레임(200)을 보호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3프레임(300)은 제1프레임(100)과 제2프레임(200)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 접착제 등으로 고정되는 제1패널(310)과, 제1패널(310)의 일측에서 절곡되어 제2프레임(200)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에 접착제 등으로 고정되는 제2패널(32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 들면, 제1패널(310)의 내측 면에 고정패널(240) 및 제2수직판(212)과 밀착되는 부분에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고정패널(240) 및 제2수직판(212)의 외측면에 접착 고정하고, 제2패널(320)은 보강블록(220)과 접하는 부분에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보강블록(220)에 접착 고정되게 한다.
한편, 제2패널(320)은 상부 중간 부분이 타공되어 형성되고, 보강블록(22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하며, 작업자가 포장용 상자를 이동할 수 있도록 손잡이(32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손잡이(321)를 통해 보강블록(220)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작업자의 손가락이 충분히 삽입된 상태에서 포장용 상자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포장용 상자의 조립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일정 크기로 형성된 사각 형태를 이루는 골판지의 전방 및 후방 일부분을 상측 방향으로 접어 바닥부(110)와 수직부(120)로 이루어진 제1프레임(100)을 형성하여 준비한다.
다음, 일정 크기로 형성된 사각 형태로 이루어진 골판지의 전방 및 후방 일부분을 내측 방향으로 접어 제1수직판(211) 및 제2수직판(212)을 이루는 측면지지부(210)를 형성하고, 보강블록(220)에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제2수직판(212)의 외측면에 접착 고정하며, 상부보강패널(230)에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제1수직판(211)의 내측면 상부에 접착 고정하여 제2프레임(200)을 형성하여 준비한다.
위와 같이 제작된 제2프레임(200)이 제1프레임(100)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데, 이때, 제2수직판(212)의 내측 하부면 즉 상부보강패널(230)이 부착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제1프레임(100)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하여 수직부(120)의 외측면에 접착 고정되게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1프레임(100)의 양측에 각각 제2프레임(200)이 접착고정되게 한다.
그 다음, 고정패널(240)의 내측 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제2프레임(200)과 다른 하나의 제2프레임(200)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여 수직부(120)의 외측면에 접착 고정되게 한다. 이러한 고정패널(240)을 이용하여 제2수직판(212)의 외측면과 고정패널(240)의 외측면이 동일 선상에 일치하도록 한다.
다음, 일정 크기로 형성된 사각 형태로 이루어진 골판지의 일측 부분을 내측 방향으로 접어 제1패널(310)과 제2패널(320)로 이루어진 제3프레임(300)을 준비한다.
제1패널(310)과 제2패널(320)의 내측 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데, 이때, 제1패널(310)은 제2수직판(212)과 고정패널(240)이 접촉되는 부분에 접착제가 도포되고, 제2패널(320)에는 보강블록(220)과 접촉되는 부분에 접착제가 도포되도록 한다.
위와 같이 접착제가 도포된 제3프레임(300)은 제1프레임(100)과 제2프레임(200)의 외측면이 감싸지도록 접착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작된 포장용 상자에 제품을 삽입시킨 후 별도의 덮개(미도시)를 이용하여 포장하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제1프레임 110; 바닥부
111; 연장부 120; 수직부
200; 제2프레임 210; 측면지지부
211; 제1수직판 212; 제2수직판
220; 보강블록 230; 상부보강패널
240; 고정패널 300; 제3프레임
310; 제1패널 320; 제2패널
321; 손잡이

Claims (3)

  1. 제품의 바닥면이 밀착되어 고정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전방 및 후방의 일부를 상측 방향으로 접어 형성된 수직부로 이루어진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의 양측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접착 고정되고, 제품의 측면을 지지하는 제2프레임; 및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일측 일부가 내측 방향으로 굴곡져 "ㄱ"자 형태로 이루어진 한 쌍의 제3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제2프레임은,
    제품의 측면에 밀착되는 제1수직판과, 상기 제1수직판의 전방 및 후방의 일부를 내측 방향으로 접어 형성된 제2수직판으로 이루어진 측면지지부;
    상기 제2수직판의 내측면 상부에 접착 고정되고, 상기 수직부의 상단면에 위치하며, 상기 제2수직판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상부보강패널;
    상기 측면지지부와 반대 측에 형성된 다른 하나의 측면지지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수직부의 외측면에 접착제로 접착 고정되며, 상기 제3프레임 접착시 상기 측면지지부와 다른 하나의 측면지지부 사이에 공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제1프레임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고정패널; 및
    상기 제1수직판과 동일한 길이를 갖는 사각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수직판의 외측면에 접착제로 고정되며, 상기 제2프레임의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1수직판과 상기 제3프레임에 형성된 제2패널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보강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1프레임은 상기 바닥부의 양측 끝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의 양측 끝단보다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프레임의 바닥면이 지지되는 연장부가 구비하고,
    상기 수직부는 상기 바닥부의 전방 및 후방의 일부가 접어져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바닥부와 접하는 접음선을 따라 상측 방향으로 접어 형성되고, 상기 제2프레임을 고정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되고,
    상기 상부보강패널의 내측면과 상기 수직부의 내측면이 동일선상에 일치하도록 하여 제품이 상기 제1프레임에 안착될 시, 제품의 전면 및 후면에 상기 수직부의 내측면과 상기 상부보강패널의 내특면이 밀착되게 하여 상기 제2수직판의 상부 일부가 외부 충격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상기 제3프레임은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접착제로 고정되는 제1패널과, 상기 제1패널의 일측에서 절곡되어 상기 제2프레임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에 접착제로 고정되는 제2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3프레임은 상기 제1패널의 내측면에 상기 고정패널 및 상기 제2수직판과 밀착되는 부분에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상기 고정패널 및 상기 제2수직판의 외측면에 접착 고정하고, 상기 제2프레임은 상기 보강블록과 접하는 부분에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상기 보강블록과 접착 고정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포장용 상자.

  2. 삭제
  3. 삭제
KR1020160099843A 2016-08-05 2016-08-05 조립식 포장용 상자 KR101933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843A KR101933071B1 (ko) 2016-08-05 2016-08-05 조립식 포장용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843A KR101933071B1 (ko) 2016-08-05 2016-08-05 조립식 포장용 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6021A KR20180016021A (ko) 2018-02-14
KR101933071B1 true KR101933071B1 (ko) 2019-01-10

Family

ID=61229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9843A KR101933071B1 (ko) 2016-08-05 2016-08-05 조립식 포장용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307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5758A (ja) * 2000-04-28 2001-11-13 Sony Corp 包装箱
JP2009067456A (ja) * 2007-09-14 2009-04-02 Nippon Tokan Package Kk 梱包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5758A (ja) * 2000-04-28 2001-11-13 Sony Corp 包装箱
JP2009067456A (ja) * 2007-09-14 2009-04-02 Nippon Tokan Package Kk 梱包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6021A (ko) 2018-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16468B (zh) 包装外箱结构
US20090140034A1 (en) Method for packaging roll of paper and the packaging box to be applied therewith
KR101634308B1 (ko) 물품보호 기능이 강화된 포장상자
JP5600495B2 (ja) 包装部材
JP2019043598A (ja) 梱包ケース
KR101933071B1 (ko) 조립식 포장용 상자
KR101692832B1 (ko) 절첩이 용이한 포장박스
CN109178645B (zh) 一种m型吊床气柱装置
JP4732124B2 (ja) 緩衝材
US11661256B2 (en) Packaging system for an appliance
WO2009093775A1 (en) Shock-absorbing member for packing and paper sheet for forming the shock-absorbing member, packing unit and packing method for packing electronic products used the shock-absorbing member, and electronic product packed by the packing method
JP2009249003A (ja) 大型重量物の梱包装置
JP5573927B2 (ja) 梱包装置
CN108025829B (zh) 增强包装件,特别是用于瓷砖的增强包装件
JP2010116209A (ja) 梱包装置
KR200486052Y1 (ko) 포장상자
CN219970257U (zh) 一种折叠纸箱裁片及折叠纸箱
JP2011168298A (ja) 緩衝体
KR20180002404U (ko) 포장자동화시스템을 위한 포장상자
JP7413686B2 (ja) 包装体
JP6445269B2 (ja) 梱包具
JP5429420B2 (ja) 梱包装置
JP3235530U (ja) 箱用シート
JP2011111200A (ja) 自動販売機の梱包材
KR200415302Y1 (ko) 절첩식 음극선관용 판넬 포장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