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4937A - 압축 유체 실린더 - Google Patents

압축 유체 실린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4937A
KR20070094937A KR1020077017065A KR20077017065A KR20070094937A KR 20070094937 A KR20070094937 A KR 20070094937A KR 1020077017065 A KR1020077017065 A KR 1020077017065A KR 20077017065 A KR20077017065 A KR 20077017065A KR 20070094937 A KR20070094937 A KR 200700949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cylinder
fluid cylinder
compressed fluid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7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3189B1 (ko
Inventor
니겔 죤 헨리 홀로이드
프란치스 자비에르 카이
Original Assignee
럭스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럭스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럭스퍼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70094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4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3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3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ure containers
    • F16K1/301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ure containers only shut-off valves, i.e. valves without additional means
    • F16K1/303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ure containers only shut-off valves, i.e. valves without additional means with a valve member, e.g. stem or shaft, passing through the s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ure containers
    • F16K1/304Shut-off valves with additional means
    • F16K1/306Shut-off valves with additional means with a valve member, e.g. stem or shaft, passing through the s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ure containers
    • F16K1/308Connec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4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with a fracturing member, e.g. fracturing diaphragm, glass, fusible joi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4Arrangement or mounting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1Shape
    • F17C2201/0104Shape cylindrical
    • F17C2201/0109Shape cylindrical with exteriorly curved end-pie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1Shape
    • F17C2201/0104Shape cylindrical
    • F17C2201/0114Shape cylindrical with interiorly curved end-pie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3Orientation
    • F17C2201/032Orientation with substantially vertical main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5Size
    • F17C2201/056Small (<1 m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5Size
    • F17C2201/058Size portable (<30 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6Materials for walls or layers thereof; Properties or structures of walls or their materials
    • F17C2203/0602Wall structures; Special features thereof
    • F17C2203/0612Wall structures
    • F17C2203/0614Single wall
    • F17C2203/0619Single wall with two lay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6Materials for walls or layers thereof; Properties or structures of walls or their materials
    • F17C2203/0634Materials for walls or layers thereof
    • F17C2203/0636Metals
    • F17C2203/0646Alumini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6Materials for walls or layers thereof; Properties or structures of walls or their materials
    • F17C2203/0634Materials for walls or layers thereof
    • F17C2203/0658Synthetics
    • F17C2203/0663Synthetics in form of fibers or fila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1Mounting arrangements
    • F17C2205/0153Details of mounting arrangements
    • F17C2205/0169Details of mounting arrangements stack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08Protective c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23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1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3/0107Single phase
    • F17C2223/0123Single phase gaseous, e.g. CNG, GN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3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ressure level
    • F17C2223/036Very high pressure (>80 b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4Methods for emptying or filling
    • F17C2227/048Methods for emptying or filling by maintaining residual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50/00Accessories; Control means;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of parameters
    • F17C2250/06Controlling or regulating of parameters as output values
    • F17C2250/0605Parameters
    • F17C2250/0636Flow or movement of cont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0/00Purposes of gas storage and gas handling
    • F17C2260/01Improving mechanical properties or manufacturing
    • F17C2260/011Improving streng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Check Valves (AREA)

Abstract

본원은, 밸런스 밸브(26)가 설치된 목부(20)가 있는 기체 실린더(100)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밸브는 실린더의 배출구에 설치되고 그리고 밸브 출력은 실린더의 상부 면(23)으로 개방된 오목부(22)로 빠져 나간다. 따라서, 상기 밸브는 물리적인 손상으로부터 보호를 받게 된다. 구멍에 있는 나사부(27)는 실린더로부터 또는 실린더로 지나가는 유입 또는 유출 기체의 통로를 제어하기 위해 밸브(26)와 협력 동작하는 조절장치 또는 충전장치(도시 않음)와 같은 피팅의 부착이 이루어지게 한다.
밸런스 밸브, 목부, 기체 실린더, 조절장치, 피팅, 마개, 배분 밸브, 0-링.

Description

압축 유체 실린더{PRESSURISED FLUID CYLINDERS}
본 발명은 압축 유체 실린더에 관한 것이다.
고압 유체, 특정하게는 기체 저장용 실린더의 이용은, 통상적으로 임의적인 형태의 배분 밸브(dispensing valve)가 설치된 암 나사부를 가진 실린더 목부(neck)를 갖추고 행해진다. 이때, 상기 밸브는 실린더 내에서 고압 기체의 충전 상태를 유지하고 그리고 핸들 또는 유사부분을 조작하여 필요에 따른 충전 기체를 분배하게 작동되는 것이다. 그러한 실린더 작동 성질로서, 상기 배분 밸브는, 안전하게 실린더 내의 고압을 함유하도록, 튼튼해야만 된다. 또한, 그러한 튼튼함은, 설치된 밸브를 가진 실린더가 조작 중에, 특히 이송 및 재충전 동작 중에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물리적 악영향을 확실하게 견딜수 있게 하는 것이 특히 중요한 것이다. 밸브가 과도하게 거칠게 다루어져서, 전단변형되거나 파손되어져서 발생하는 고압 저장된 기체의 급작스런 방출은, 그에 따른 모든 부대 위험, 예를 들면, 실린더가 새어나오는 기체에 의해 추진되는 고속도 추진체가 될 수 있는 사태를 일으킬 수도 있다.
그러한 위험은 알루미늄과 같은 경량 물질(light materials)로 고압 기체 실린더를 제조하는데, 탄소섬유 필라멘트와 같은 근래 현대의 랩핑 재료를 사용하면 서 더욱 중대한 문제가 되었다. 이러한 상황의 결과로서, 상기 상태는, "탑 햄퍼(top hamper)"(임의적인 보호 기구와 함께 설치된 임의적인 조절장치인 배분 밸브를 구비한 실린더에 설치된 기체 제어장치를 구비한 것으로 이해함)가, 실린더가 기체로 채워져 있을 때에도, 실린더 자체보다 무겁게 되어서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탑 햄퍼의 크기는 때때로 소형 크기의 실린더의 경우에 실린더 자체의 크기에 상당히 필적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는데, 이러한 사실은 조작, 저장 및 이송 중에 실린더가 손상 받기 쉽게 만드는 것이다. 예를 들어, 많은 배분 밸브의 설계가 때때로 밸브가 실린더 자체의 목부 위로 상당히 연장되어 돌출된 긴 길이이어서, 특정적으로 손상을 받기 쉽게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는 일 방식은, 밸브의 정상 부분이 파손 당하게 되면, 자체 폐쇄 정지 밸브가 동작하여 실린더 내에 압력 기체를 보유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그러한 장비의 일 예로 안전한 고장시 차단 장치(a fail safe shut-off device)를 개재한 US-B-4077422호에 기술된 것이 있다. 상기 장치에서는, 밸브 스플이 코일 스프링과 실린더 내부에 저장된 압축 기체의 합성 작용으로 제공된 압력에 대하여 실린더의 목부 위로 연장된 챔버에 위치한 액체에서의 압력으로 평형 상태에서 유지된다. 협폭 구역은 배분 밸브의 전단동작이 사고 발생 시에 양호하게 일어나는 취약 지대를 제공하고 그리고, 이러한 지점에서의 파괴 시에, 액체 내의 압력을 손실하고, 그리고 밸브 스플은 밸브 시트쪽으로 이동하여 실린더를 봉쇄한다. 이러한 정렬구조의 특정한 결점은 취약 지대가 실린더 강하하거나 상부 부분이 부딪치는 경우와 같이 잘못 처리되는 일이 발생할 때에 파괴되는 것과 같이 탑 햄퍼를 만들기 때문에 그 자체가 위험 을 초래할 수 있는 것이다.
US-B-6230737호는 실린더의 나사식 마우스에 영구 나사 결합되고 그리고 배분 밸브가 그 위에 장착되는 체크 밸브를 사용하는 다른 예를 기술하고 있다. 상기 배분 밸브는, 배분 밸브를 제위치에서 유지시키면서 체크 밸브에서 동작하여 밸브 개방을 유지하는 스템을 포함하는 것이다. 배분 밸브에 설치되지 않았을 때에 실린더의 하부 외형상은 손상 또는 파손 기회를 감소하면서, 체크 밸브 자체가 실린더 목부 위에서 상당히 연장 형성되어 공격을 받기 용이한 상태로 있는 것이다.
배분 밸브와 스탑 밸브의 유사한 정렬 구조가 US-B-5144973호, US-B-5894859호, 및 US-B-4907617호와 같은 다른 특허에서 발견되어 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탑 밸브는 GB-A-2298026호와 WO 2004/051388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밸런스 밸브로 대체된다. 상기 밸브는, 실린더 내에서 잠재적 고압력용 스탑 밸브로서 동작할 수 있는 것이지만, 상대적으로 낮은 작동력을 필요로 하여, 밸브가 실린더에 장착된 조절장치 내에서 상관 반응 피스톤 또는 다이어프램에 직접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한 정렬 구조는 종래 기술의 정렬 구조에 비해서 보다 용도가 넓어진 것이며, 배분 밸브, 조절장치 또는 충전장치(filling devices)와 같은 다양한 다른 피팅(fittings)이, 상기 피팅의 제거 또는 손상을 받게되어, 밸런스 밸브가 실린더를 안전하게 하기 위해 폐쇄된다는 기술정보로 실린더를 안전하게 조립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조절장치와 관련하여 조절장치 밸브로서 사용될 때에, 밸런스 밸브는 유체로서 전체적으로 압축된 실린더와 거의 비워진 실린더와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밸브를 횡단하는 큰 차이가 나는 압축비에 보다 관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논-밸런스 밸브에서는, 조절된 압력이, 사실상 유용하지 않은 기체가 완전 충전되게 실린더를 실질적으로 비우기 전에 장시간 유용하지 않은 수준으로 떨어지는 성질이 있다. 이러한 일이 있기 전에도, 또한 실린더가 비워짐으로서 조절 압력이 작지만 현저하게 떨어지기도 한다.
더우기, 조절장치와 관련하여 사용될 때에, 밸런스 밸브는 본질적으로 실린더 내의 유체가 대체로 완전하게 방출되도록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밸런스 밸브를 사용하지 않는 상업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조절장치는 실린더를 완전하게 비우는데 이용할 수 없으며 실린더 내의 압력이 약 100psi까지 떨어지면 흐름을 중지할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서는 실린더를 완전하게 방출하기를 희망할 때가 있다. 예를 들어, 다이빙 실린더에서는, 실린더에 있는 전체 유체를 이용할 수 있게 만들어질 필요가 있는 상태에 있다.
도1은 GB-A-2298026호와 WO 2004/051388호에 기재된 밸런스 밸브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밸브는 외부 나사부(2)를 가진 중공 원통형 몸체(1)와, 밀봉 목적의 0-링(3)을 포함한다. 몸체(1)의 하단부에 오목부에 설치되고 원형 클립(6)에 의해 제 위치에 고정된 지지부재(5)에 부착되는 피스톤(4)은 몸체(1)의 중공 실내부 내부에 장착된다. 밸브부재 또는 포펫(7)은 피스톤(4)위에 활주식으로 장착된다. 환형상 시일(12)은 밸브부재(7)에 대해 피스톤(4)의 하측부를 밀봉한다. 밸브부재(7)의 봉쇄된 상단부와 피스톤(4) 사이에서 작동하는 스프링(8)은, 밸브몸체(1)에 대한 상방향으로 밸브부재(7)를 가압하는 동작을 한다. 상기 밸브 부재(7)에는 협폭 상부부분과 광폭 하부부분이 형성되고, 그 사이에 탄성 밀봉재료의 층(9)을 가진 원추형 부분이 있다. 상기 스프링(8)의 동작은 몸체(1)의 실내에 형성된 환형상 견부(10)의 엣지에 대하여 밀봉 층(9)을 가압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몸체(1)의 상부부분은 도시한 바와 같이 그로부터 기체가 횡방향으로 빠져나오는 상부 챔버(13)를 형성하는 측판(11)으로 형성된다. 사용 시에, 고압 기체가 지지부재(5)를 통해 유입구 통로(14)를 경유하여 하측으로부터 밸브에 들어와서, 거기서부터 밸브 개방 시에, 밸브 시트(9/10)를 경유하여, 밸브부재(7)의 실외부 주위에 밸브 몸체(1)의 실내를 관통하여 지나가서, 밸브의 저압측에 챔버(13) 안을 지나간다. 밸브부재(7)의 상부부분에 있는 구멍(15)은 피스톤(4)위에 밸브부재(7)의 실내와 챔버(13)와의 사이에 소통이 이루어지게 하여, 피스톤(4)의 상부측이 밸브의 저압력측에 노출되게 한다.
도시된 정렬 구조에서는, 밸브부재(7)의 하부(광폭부)의 직경(16)이 밸브 시트(9/10)의 내부직경(17)과 대체로 동일하여서, 밸브가 폐쇄위치(도시된 위치)에 있으면, 밸브의 저압력측에 기체압력은 밸브부재에 무정량 힘을 생성하고 그리고 유사하게, 한정된 밸브 시트의 폭과 상관없이, 밸브의 고압력측에 기체 압력은 밸브 부재에 무정량 힘을 생성한다. 따라서, 상기 밸브는 평형하게 된다. 상기 밸브의 구조와 동작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상기 특허 명세서에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알 수 있다.
평형동작에 더하여, 이러한 타입 밸브의 부가적인 이점은 논-밸런스 밸브에서 실시할 수 있는 것보다 대체로 더 큰 기체 흐름율을 허용하는 밸브 시트를 제공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밸브는 실린더의 저장 용량부로 연장되지 않으며, 따라서 유용한 저장 용적을 소비하지 않는다. 이러한 구조는 유용한 저장 용적이 밸브 및 그 상관 장비에 의해 점유되는 US-B-5894859호에 기술된 타입의 많은 종래기술의 밸브 정렬 구조와 대비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문제는 특히 용적이 150리터 밑에서 0.6리터 정도의 소량 용적까지의 범위에 있는 소형 크기의 실린더에서 민감한 기술내용이 된다.
더우기, 이러한 타입의 밸브의 피팅 방식과 상대적으로 소형인 크기는 손상 당하기 쉽지 않게 이루어진 웅크려진 탑 햄퍼(squatter top hamper)를 허용한다.
본 발명에 의거, 저장 유체용 배출구와 일체로 이루어진 목부를 가진 압축유체 실린더가 제공되며, 상기 배출구는 실린더 내용물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게 동작하는 밸런스 밸브가 설치된 구멍과 일체적으로 이루어진다.
양호하게, 상기 밸런스 밸브는 GB-A-2298026호와 WO 2004/051388호에 기술된 타입의 것이다. 광의적인 상태에서, 상기 밸브는 밸브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는 챔버를 제공하는 밸브 하우징과, 상기 챔버에서 상기 밸브의 제2 또는 저압측으로 이어진 통로와, 상기 통로에 있는 밸브 시트와, 상기 밸브부재를 제2방향으로 편향시키는 편향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챔버는 상기 밸브의 제1 또는 고압측의 적어도 일 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밸브부재는 밸브 시트와 함께 동작하는 시트 면을 갖고 그리고 상기 밸브부재는, 각각 (a)제1방향으로, 상기 밸브를 개방하도록 상기 시트 면을 상기 챔버쪽으로 그리고 상기 밸브 시트에서 이격지게 이동하고 그리고 (b)제2반대방향으로, 상기 밸브를 폐쇄하도록 상기 시트 면을 상기 밸브 시트 쪽으로 이동하게 위치 변환성(displaceable)이 있는 것이다. 실시예에서, 상기 밸브 하우징은 밸브의 저압력측에, 상기 통로에서 나온 기체가 편향되게 상기 통로에서 이격지고 그리고 밸브 축에 대해서 횡단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측판(shroud)을 산출하고, 상기 밸브 하우징은 상기 측판으로 한정되고, 1개 이상의 횡방향 통로는 상기 통로에서 나온 기체를 통과시키기 위한 밸브 하우징의 측부에 있는 1개 이상의 구멍으로 이어진다. 양호하게, 상기 측판은 중앙 구멍을 갖고, 상기 구멍을 통해서 활주 끼움으로 상기 밸브부재의 중앙 축선 연장부가 연장 형성되어, 밸브부재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는데 신뢰성있게 안내를 받게된다. 따라서, 이러한 연장부는 상기 측판 위로 돌출되어서, 실린더 내용물이 분배되거나 또는 실린더가 채워질 때에 밸브를 개방하게 동작하는 외부 작동식 부재를 제공한다.
밸런스 밸브가 설치되는 구멍은 실린더 내에 직접적으로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구멍은 실린더 배출구에서 직접적으로 설치된 어댑터에 형성될 수 있다. 어느 방법이 사용되었던지, 본 발명의 목적은, 밸런스 밸브와 어댑터(사용된 경우)가 실린더 배출구에 반-영구적으로 설치되어, 조작, 보관 및 이송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누설에 대해 안전하고 그리고 작동에 필요한 최소 탑 햄퍼를 가진 실린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밸런스 밸브 만이 실린더 내용물을 안전하게 지킬 수 있기 때문에 실린더와 관련된 많은 동작을 하는 중에 외부 밸브, 조절장치 또는 기타 다른 다루기 곤란하고 중량인 피팅을 설치할 필요가 있지 않음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피팅은 필요 시에만 설치될 뿐이고, 설치 시에도, 후술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렬 구조는 사고 발생 시에 "안전-고장" 작용을 하게 한다. 피팅이 사용되면, 대량 유체를 흐르게 할 수 있는 밸런스 밸브가 실린더를 비우게 하거나 채우게 하는 동작과 관련한 정상적인 활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양호하게, 밸런스 밸브(그리고 설치된 경우에는 어댑터)는 통상적인 실린더 목부 위로 돌출하지 않게 하는 방식으로 배출구 내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사실은 가능한 낮게 실린더의 중력중심이 지켜지게 하는데 협조하고, 동시에 부품이 실린더 위로 상당하게 돌출하였을 때에 일어날 수 있는 손상 가능성을 절감시킨 것이다. 모든 실린더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일지도, 특히 중요한 것은 실린더 자체가 경량 재료로 제조되었을 때이고, 그리고 그러한 것은 용이하게, 만일 요소가 실린더의 주 몸체 위로 돌출한다면 상부를 중량이게 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특별하게는, 어댑터를 사용하는 경우에, 피팅 관점에서 보았을 때에, 실린더 배출구의 실외부와 맞닿을 수 있는 어댑터상에 소형 견부를 형성하여, 고정 위치를 형성하는 것이, 특히 나사체결식 연결이 사용된 경우에, 바람직하다. 상기 견부는 실린더의 마우스 위로 소량 연장된 연장부를 생성하지만, 실린더의 평형 또는 손상 받기 쉬운 성질에 상당한 영향을 주기에는 충분하지 않은 플랜지로 형성된다.
양호한 구조에서, 밸런스 밸브가 설치된 구멍은 외부 단부에서 광폭부와 그 내부 단부에서 상대적으로 협폭인 부분을 형성하게 단차진 것이다. 따라서, 상기 광폭부는 구멍의 마우스에서 내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오목부를 유효하게 형성한다. 밸런스 밸브는 예를 들어 나사 연결체로 구멍의 협폭부분에 설치되고 그리고, 실린더 상부 위로 돌출하는 정도가 아닌 범위로, 광폭부 또는 오목부 안으로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밸런스 밸브는 양호하게 운송 및 저장으로 활동을 하는 중에 받게되는 손상의 위험성을 없애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린더를 상부 중량이게 하고 그리고/또는 손상을 받게되는 모든 피팅을 제거하여, 손상을 받기 쉬운 밸런스 밸브를 가능한 남기는 것이다.
밸런스 밸브를 보호하는 오목부가 또한 배분 밸브, 조절장치 또는 충전장치와 같은 피팅을 장착하기 위한 면을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오목부의 벽에는 피팅을 보호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상기 보호 수단은 피팅 또는 임의적인 형태의 급 방출 피팅에 대응 수 나사부와 함계 동작하는 암 나사를 포함한다. 양호하게, 오목부도 0-링 시일과 같은 시일이 실린더 배출구와 임의 설치된 피팅과의 사이에 연결부를 밀봉하도록 대항하여 있는 원할한 면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수단은 실린더 내의 과-압력을 경감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한 과-압력 수단은 밸런스 밸브를 우회하고 그리고 임의 형태의 압력 경감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임의 수준의 초과 압력에서는 파괴되는 파열 디스크, 상승된 온도에서 용융되는 가용성 요소 또는 상기 2개의 임의적인 조합물을 구비한다. 상기 통기 통로는 일반적으로 실린더에서 과도한 유체가 분출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협폭 구멍이다.
상기 파열 디스크는 일반적으로, 통로로 이어지는 하우징에 장착되고, 하우징과 통로가 함께 밸런스 밸브의 상류 위치에서 밸럼스 밸브의 하류 위치로 이어져서, 과-압력이 발생하는 경우에 밸런스 밸브를 우회하게 된다. 실질적으로, 하류 연결부는 일반적으로 대기로 간단하게 기체가 빠져나가게 형성되거나 또는, 만일 오목부가 제공된 경우에, 상기 하류 연결부는 오목부 쪽으로 개방된다. 하우징과 통로는 실린더 몸체 밖에 기계가공되거나 또는 만일 어댑터가 사용되었으면, 어댑터 몸체 밖에 기계가공되거나 또는 실린더와 어댑터 밖에 부분적으로 기계가공 된다. 파열 디스크 하우징은 일반적으로 주변 상황에 맞추어서 통로의 일 단부에 또는 타 단부에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은 밸런스 밸브가 설치될 수 있게 개조된 출력부를 가질 수 있는 압축유체 실린더에 이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저압력 실린더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지만, 본 발명의 목적은 500psi 내지 5000psi 또는 그보다 큰 압력범위에 최대 압력에서도 동작하는 고압력 실린더에 본 발명을 사용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보다 용이한 이해를 위해서, 다수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로 이하에 기술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린더에 사용하기에 적절한 공지된 밸런스 밸브의 횡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개조된 압축유체 실린더의 횡단면도이다.
도3은 도2의 실린더의 목부분을 확대도시한 도면이다.
도4는 실린더의 과-압력 정렬 구조를 나타낸 도2 및 도3의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개조된 부분을 나타낸, 압축유체 실린 더의 상부부분의 횡단면도이다.
도6은 조절장치가 설치된, 도5의 실시예의 횡단면도이다.
도7 및 도8은 충전장치가 설치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횡단면도이다.
도2는 도1에 도시된 타입의 밸런스 밸브(26)가 안에 설치된 협폭 목부(20)를 가진 전형적인 압축기체 실린더(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정상 상태에서, 밸런스 밸브는 폐쇄 상태로 있어서, 실린더의 압축 내용물을 안전하게 보유하고 있다. 도3은 상기 목부(20)의 상부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 실린더를 직립한 상태에서, 목부는 수평면으로 원형이며 그리고 외부 피팅(도시 않음)을 부착하기 위한 외부 나사부(21)가 있음을 볼 수 있다.
실린더(100)의 기체 배출구 포트는, 실린더 목부의 상부면(23) 밖으로 개방되는 오목부(22) 형태의 광폭 상부 부분과, 협폭 내부 부분(24)을 생성하는 단차진 구멍(stepped bore)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내부 부분(24)은, 내부 부분(24)에 형성된 내부 나사부(25)와 밸런스 밸브의 외부 나사부(2)와의 사이에 협력동작하여 밸런스 밸브(26)에 설치된다. 내부 부분(24)이 오목부(22) 안으로 유입하여, 내부 부분(24)의 마우스에 형성된 소형 환형상 오목부에서 작용하는 0-링(3)이 밀봉동작을 한다.
오목부(22)의 수직한 벽에는 배분 밸브, 조절 장치 또는 충전 장치와 같은 피팅(도시 않음)을 부착하기 위한 내부 나사부(27)가 형성되며; 급-설치 부착 부(quick-fit attachments)와 같은 그외 다른 부착 수단이 오목부에 제공될 수 있다. 오목부의 실내를, 특히 이송 중에 보호하기 위해서, 플러그(도시 않음)가 오목부의 개방 단부를 개방하는 캡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는 내부 나사부(27)를 활용하여 부착될 수 있는 것이다.
도4는 도3의 도면과 유사한 본원 구성의 배열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 과-압력 장치가 실린더 내의 초과 압력에 대한 실린더 보호를 위해 설치된 것이다. 상기 과-압력 장치는 목부(20)에 형성된 통로(28)를 포함하며, 상기 통로는 실린더 내부의 고압력이 나타나게 밸런스 밸브(26)의 상류 일 지점(도시 않음)에 연결된다. 상기 통로(28)는 밸브(26)를 통과하여 측관으로 이어져, 취약(frangible) 요소(30)를 함유한 하우징(29)에서 마감된다. 상기 하우징(29)은 오목부(22) 내부 쪽으로 개방되어 있다. 상기 정렬구조는, 취약 요소가 정상상태에선 통로(28) 끝을 봉쇄하고 따라서 측관이 작용하지 않는 구조이다. 그런데, 실린더 내에서 사전 결정된 과-압력이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취약 요소가 부서져서, 초과 압력이 상기 통로(28)와 하우징(29)을 경유하여 오목부(22) 안으로 방출된다. 상기 하우징은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하여, 동일한 동작을 발휘하면서 초과 온도의 발생 시에 이를 탐지하기도 하는 취약 요소를 가질 수도 있다.
도1에 명료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밸런스 밸브는 정상적으론, 견부(10)의 엣지에 의해 형성된 밸브 시트에 대하여 탄성 층(9)이 있을 수 있게 하는 방향으로 밸브 부재(7)를 편향시키는 스프링(8) 동작으로 인해서, 폐쇄 상태로 있다. 따라서, 상기 밸브가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방식으로 설치되면, 실린더 배출구 의 협폭 부분(24)이 밀봉되어, 실린더의 압축 내용물이 안전하게 보유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밸브 부재(7)의 연장부는 유용하게 밸브(26)의 상부 덮개를 형성하는 측관(shroud) 위로 연장 형성되고 그리고, 이러한 사실은 도3 및 도4에서 도면번호 '31'로 나타내었다. 이러한 연장부는 실질적으로 후술되는 바와 같이 다양한 피팅과 관련하여 밸브 부재로서 작동하는 원추형 돌출부(32)까지 이어진다.
상기 돌출부(32)상에서의 하방향 추력(推力)은 밸브 부재(7)가 스프링(8)의 추력에 대한 동작으로 밸브를 개방시킬 것임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일이 발생하는 분위기에 대한 설명은 후술되어지지만, 발생하면, 밸런스 밸브(26)의 저압 챔버(13) 내의 기체가 복수의 이격진 측부 오리피스(33)에서 오목부(22) 안으로 빠져 나올것이다. 정상적인 상황 하에서, 상기 방식의 밸브(26) 개방은 피팅이 부착되었을 때에만 일어날 것이고 그리고, 후술되는 바와 같이, 밸브에서 오목부로 들어오는 저압 기체는 피팅으로 향하게 될 것이다.
도3과 도4는 실린더(100)에 직접 형성된 나사 구멍에 밸런스 밸브(26)를 설치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때로는 여러가지 이유로 해서, 밸런스 밸브와 실린더 사이에 어댑터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때도 있으며, 도5는 그러한 정렬 구조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경우에서, 단차 구멍은 예를 들어 황동 또는 스테인레스강으로 제조된 어댑터(40)에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어댑터(40)는 실린더(100)의 배출구에 나사 결합 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실린더 목부의 상부 부분(20)에는, 어댑터(40)의 외측면에 대응 외부 나사부와 '42'에서 결합하는 내부 나사부를 가진 원형 구멍(41)이 형성된다. 상기 구멍(41)의 외부 부분(43)은 반반하게 형성 되어 어댑터 외부면과 정밀한 끼움 설치를 제공하고 그리고 어댑터 외부면에 형성된 환형상 슬롯에 위치한 0-링 시일(44)과 결합하는 면(面)도 제공한다.
밸런스 밸브용으로 단차진 포트 구멍은 도3과 도4를 참고로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어댑터에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번호는 등가의 부분을 지시하는데 사용되었다. 상이함은, 오목부(22)의 외부 단부가 피팅(도시 않음)용 밀봉 면과 정밀한 장소를 제공하도록, 이전과 같이 오목부의 마우스까지 나사부(27)가 연장하는 대신에, 반반한 벽(45)으로 형성된 것이다.
어댑터(40)는, 상술된 과-압력 장치와 같은 다른 특징을 가진 장치에 유익한 성분을 제공한다. 도5의 구성은, 압력방출 장치(47)를 가진 하우징(46)이 밸런스 밸브와 평행항게 연결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4에 기술된 것과 유사한 것이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은, 밸런스 밸브 밑에 또는 밸런스 밸브 위에 물리적으로 있을 수 있으며, 그리고 실린더 외부에서 접근성이 있는 것이다. 상기 통로(48)는 실린더에서부터 어댑터(40)의 상부면까지 이어져 있으며, 상기 상부면에서 기체는 대기로 방출된다. 상기 어댑터의 상부면은 상부면의 나머지 환형상 부분(50)보다 약간 더 높게 있는 림(49)을 제공하며, 단차(step)져 있는 것이다. 상기 림(49)은 피팅(도시 않음)을 정확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접합면을 형성하고 그리고, 상기 피팅이 제 위치에 있을 때에도 소 공간이 어댑터 상부면의 부분(50)과 하부면과의 사이에 남아서 디스크(47)가 파열될 때에 기체가 빠져나가도록 보장한다.
실린더의 상부면(23) 약간 위로 림(49)에 의해 형성된 접합면이 연장 형성되더라도, 그 량은 매우 작으며 그리고, 실린더의 중력중심을 현저하게 상승시키기에 충분하지 않거나 또는 손상 당하기 쉽게 있는 실린더 상부면 위에 돌출부로서 작용하기에는 충분하지 않은 량이다.
도6과 도7은 본 발명의 실린더와 관련하여 전형적인 피팅 사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6을 참고로 설명하면, 도6은 도5에 설명된 타입의 실린더에 설치되고 그리고, 실린더의 목부(20)에서 어댑터(40)에 장착된 밸런스 밸브(26)가 합체된 조절 장치 작동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조절장치 작동기는, 2개 조합체가 조절된 저압 출력을 출력 포트(60, 61)로 제공하는 1개 조절장치를 구성하도록 밸런스 밸브(26)에서 동작한다.
상기 조절장치 작동기는, 오목부(22)의 내부 나사부(27)에 부착되고 그에 따라서 실린더(100)에 부착이 이루어지게 하는 외부 나사식 마개(63)를 가진 주 몸체(62)를 포함한다. 안으로 완전하게 나사결합이 되면, 주 몸체(62)의 하부가 어댑터의 림(49)에 대하여 받쳐져 있게 되어서(도5를 참고), 릴리프 갭(76)을 형성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초과-압력 방출 장치(46/48)에서 나온 출력을 수용한다. 0-링(64)은 표면(45)에 대하여 작용하여, 조절장치 작동기의 주 몸체(62)와 어댑터(40) 사이에 연결부를 밀봉한다. 상기 포트(60, 61)는 주 몸체(62)에 형성되고 그리고 부가적인 피팅 및/또는 연결 호스의 부착이 가능하게 나사식으로 형성된다. 상기 포트(60, 61)는 오목부(22)로 하단부에서 개방되는 저압 챔버(65)에 연결되어, 밸런스 밸브(26)에서 나온 저압 기체를 수용한다.
주 몸체(62)의 상부부분에는 내부 나사식으로 이루어진 광폭 상부부분(66)과 협폭부분(67)을 가진 단차진 원통형 구멍이 형성된다. 협폭부분(67)은 챔버(65)와 소통하는 원통형 챔버를 형성하고, 그리고 피스톤 형태의 반응부재(68)가 기밀하게 활주 가능하게 있다. 반응부재의 스템은 중공이고 그리고 반응부재의 위(도면번호 69)와 아래(도면번호 70) 양쪽으로 연장 형성된다. 스템(70)의 하부 단부(74)는, 정상적 상태에서 스템의 중공 실내의 하부 단부를 봉쇄하는 방식으로 밸런스 밸브(26)의 밸브 부재(7)의 원추 돌출부(32)와 결합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스프링(71)이 구멍의 광폭부(66) 내에 장착된 압력조정 휠(72)과, 반응부재(68)의 상부면과의 사이에서 동작하여, 반응부재(68)를 편향시키고, 그에 따라서 원추형 돌출부(32)와 결합하여 하방향으로 스템(70)을 치우치게 한다. 이러한 구조는 차례로, 밸런스 밸브(26)의 밸브부재(7)(도1을 참고함)를 낮추어서, 상기 밸브를 개방하여 실린더에서 나온 압축 기체가 챔버(65, 67)에 들어가게 한다. 따라서, 상기 챔버 내의 압력이 상승하여, 상방향으로 반응부재(68)에 가해진 합성 추력이 스프링(71)으로 인해서 하방향 추력에 의해 균형 잡히게 된다. 따라서, 기체가 배출구 포트(60, 61)를 통해 챔버(65)에서 제거됨으로서, 압력이 스프링(71)의 적용된 추력에 따라서 유지된다. 이러한 압력은, 스프링(71) 추력이 변화도록 반응부재의 상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격지게 휠이 이동하게 회전하는 압력 조정기 휠(72)에 의해서 조정을 받게된다.
예를 들어, 상기 스프링(71)은 코일 스프링이지만, 상술된 실시예에서는 개별 쌍의 원추형 스프링 와셔의 스택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스프링 구조는 필요한 스프링 강도를 전체적으로 더 짧은 길이에서 이루어지게 하여, 전체적으로 피 팅의 바람직한 낮은 외형상이 이루어지게 한다.
스프링을 변경하기 위해서, 조정기 휠(72)의 추력은 외부 나사로 되고 그리고 밸브 너브(73)에 형성된 오목부에 이루어진 내부 나사부와 외부 나사 체결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밸브 너브(73)는 자체가 외부 나사식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주 몸체(62)에서 단차진 구멍의 나사 광폭부(66)에서 결합한다. 밸브 너브(73)의 작동 위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단차진 구멍의 광폭부와 협폭부 사이에 형성된 견부와 결합하도록 내부방향으로 완전하게 나사 결합하게 된다. 너브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너브를 상승시키고,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압력 조정기 휠(72)이 스프링(71)의 추력을 감소시키어서 밸브 스템(69/70)을 상승하여, 밸런스 밸브(6)를 폐쇄한다.
상기 너브(73)는 공구가 통해 지나가는 소형의 중앙 구멍(74)을 갖고, 상기 공구는 압력 조정 휠(72)에서 대응하는 적절한 형태의 구멍(75)과 결합하게 삽입되어서 상기 휠(72)은 출력 기체압력을 조정하도록 회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정상 동작의 조절장치에서는, 스템(69/70)의 하부 단부(74)가 돌출부(32)에 대하여 받쳐져 있어서, 스템의 중공 실내부의 하단부를 기밀하게 봉쇄한다. 그런데, 챔버(65) 내의 압력 강화를 일으키는 기능부전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기 반응부재(68)가, 스템의 하부 단부(74)가 돌출부(32)에서 분활되는 범위까지 구멍(67)에서 상방향으로 힘을 받게되어서, 챔버(65)가 스템(69/70)의 중공 실내를 통한 대기로의 배기와, 휠(72)과 너브(73)에 있는 구멍(74, 75)을 통한 대기로의 배기가 이루어지게 한다.
상기 조절장치는 실린더의 탑 햄퍼에서 효과 면에서는 감소하는 상당히 움크린 구조를 가짐에 주의한다. 또한, 경량 재료가 가능한, 조절장치 작동기가 높은 압력을 받지 않는 곳에서 그리고 만일 상해 또는 퇴출되더라도, 밸브(26)의 밸브 부재(7)가 추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스템(69/70)으로부터 나온 추력이 임의적인 이유로 방출되어 폐쇄되기 때문에 안전을 그릇칠 것임을 고려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벌크 유닛의 최대부분을 고려한 조절장치 작동기의 주 몸체(62)는 황동, 청동 또는 스테인레스강과 같은 종래 중금속에 더하여, 알루미늄 또는 폴리머성 재료(even polymeric material)와 같은 경량 재료로 제조된다.
도7은 빈 실린더에 외부원(도시 않음)에서 기체를 채울 수 있는 충전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충전장치는 선택적인 형태의 어댑터(40)에 장착되어 나타내었지만, 세부 부분은 도5에서 설명된 바와 동일한 것으로서, 적절한 지점에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여 나타내었다.
상기 어댑터(40)에서의 큰 차이는 플랜지(80)가 실린더(100)의 배출구 구멍 넘어로 연장되어 제공된 것이며, 구멍에 끼워지면, 실린더의 상부면(23)에 대하여 플랜지가 받쳐져 있는 것이다. 어댑터(40)가 실린더의 상부 위로 연장 형성되는 구조일지라도, 상기 구조는 실린더의 탑 햄퍼에 주요하게 작용하기에 또는 상해를 용이하게 받을 수 있는 돌출부를 제공하기에 충분하지 않은 작은 범위로만 연장 형성되는 것이다.
충전장치는 도6의 실시예에서의 마개(63)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린더(100)의 어댑터(40)에 부착되는, 외부 나사진 마개(95)를 가진, 황동 또는 스테인레스강과 같은 것으로 제조된 주 몸체(81)를 갖고 있다. 상기 주 몸체(81)에는 중앙 구멍이 형성되고, 그 상부부분(82)은 예를 들어 황동 또는 스테인레스강으로 제조되고, 중공 밸브 스핀들(83)을 수용하도록 나사져 있으며, 그 하부단부는 협폭이며, 광폭부와 협폭부와의 사이에는 원추형 견부가 있다. 밸브 스핀들(83)은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1쌍의 토미 바 또는 핸드(84)로 회전된다. 밸브 스핀들이 내부 방향으로 완전하게 나사 체결되면, 원추형 견부가 구멍의 상부부분(82)과 하부 협폭부분(86)과의 사이에 대응 원추형 견부를 형성한 밸브 시트(85)와 결합한다. 밸브 스핀들(83)의 상부 단부는 '87'에서 외부 나사체결되어 상관 기체원에 연결되어 실린더를 채우게 할 수 있다.
밸브 스핀들(83)의 하부단부는 밸런스 밸브(26)의 밸브 부재(7)의 돌출부(32)와 결합하는 프로브(88)에 끼워진다. 상기 프로브(88)는 구멍(89)을 가지어서, 밸브 스핀들(83)의 중공 실내가 어댑터(40) 내의 챔버(22)와 소통하여, 밸런스 밸브(26)에 구멍(33)과 소통하게 된다.
밸브 스핀들의 중공 실내는 프로브(88)와 볼 사이에서 동작하는 스프링(92)에 의해 볼(91)을 치우치게 하는 원추형 견부(90)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견부(90)는 밸브 시트를 형성한다. 밸브 스핀들 내에서 기체가 하방향으로 통과하게 볼에 의해 폐쇄되는 상기 밸브 시트는, 스프링(92)의 힘을 극복하기에 충분한 압력으로 있으면서 역방향으로의 유체 흐름을 허용하지 않는 것이다.
상기 장치의 사용으로, 손잡이(84)를 전환하여 밸브 시트(85) 하방향으로 밸브 스핀들을 긴밀하게 회전한다. 밸브 스핀들의 하강으로, 프로브(88)는 돌출 부(32)를 밀고, 따라서 밸런스 밸브(26)의 밸브 부재(7)가 하방향으로 이동하여(도1을 참고), 밸브를 개방한다. 실린더 내의 압력은 볼 밸브(90/91)로 인하여 안에 내재되어 있다.
기체원이 연결됨으로서 기체가 상기 장치로 공급되어 실린더를 채우게 된다. 기체원에서 나온 압축 기체는 밸브 스핀들의 상부로 들어가서, 구멍(89)을 통해 볼 밸브(90/91)를 통과하여 중공 실내 아래로 챔버(22) 안으로 이동하여, 배출구 구멍(33)을 통해 밸런스 밸브(26)에 들어간다. 다음, 상기 기체는 개방 밸브(26)를 통해 지속적으로 흘러가 실린더(100)를 채운다.
실린더가 채워졌으면, 상기 기체원은 폐쇄되고 연결이 분리되고 그리고 손잡이(84)를 사용하여 밸브 스핀들(83)의 나사를 돌려서 밸브 시트를 개방시킨다. 이러한 작업은 프로브(88)가 상승됨으로 인해서 밸런스 밸브(26)를 폐쇄하고 그리고 동시에 챔버(22)와 인접 구역 내의 잔류 압력이 블리드(bleed) 포트(93)를 통해 서행으로 안전하게 대기로 빠져나갈 수 있게 한다. 끝으로, 상기 잔류 기체가 안전하게 배기되어졌으면, 토미 바아 또는 손잡이(94)를 사용하여 주 몸체(81)를 회전시키어 실린더에서 제거될 수 있게 한다.
도8은 빈 실린더를 기체로 채우는데 사용되는 충전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8은 또한 도7의 것과 유사하지만, 플랜지(80)가 압력 경감 장치(47)용 하우징(46)을 수용하도록 실린더 상부면(23) 위로 부가로 연장되는, 어댑터(40)의 부가적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장치는 상술된 도5의 것과 유사한 것이지만, 이러한 경우에, 실린더의 목부(20) 내에 제한 공간은 하우징이 통 로(48)의 외부 단부에 위치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어댑터(40)가 이전 실시예에 비해서 더 많은 범위로 실린더의 상부 위로 연장 형성되었기는 하지만, 여전히 실린더의 탑 햄퍼에 상당한 작용을 하기에는 충분하지 않은 것이다.
상기 충전장치는 외부 나사진 마개(96)를 가진, 예를 들어 황동 또는 스테인레스강으로 제조된 주 몸체(97)를 포함하며, 도5의 실시예에서의 마개(63)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린더(100)의 어댑터(40)에 부착된 것이다. 주 몸체에는 나사진 입력 포트(98)가 형성되고, 외부 기체원(도시 않음)은 상기 포트에 의해 연결된다. 통로(99)는 어댑터(40)에 있는 오목부(22)와 소통하는 마개(96)에 형성된 챔버(101)로 입력 포트(98)에서부터 통해 있다.
상기 주 몸체(97)에는, 그 하단부에서 챔버(101)에 개방된 중앙 구멍이 형성된다. 중앙 구멍의 상단부는 내부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어서 작동기 너브(103)의 외부 나사진 스핀들(102)을 수용한다. 중앙 구멍의 나사 부분 밑에는, 통기 통로(105)가 실외로 챔버로부터 연장 형성된 상기 확장 챔버(104)가 있다. 상기 챔버(101, 104)사이에는, 중앙 구멍이 밀봉 링(107)을 가진 피스톤(106)용 원통형 면이 형성된다. 피스톤(106)의 하단부는 밸런스 밸브(26)의 돌출부(32)와 결합하고 반면에 그 상단부는 스핀들(102)과 결합한다.
필터 유닛(108)이 내부 부분(24)의 내단부에 설치되어 실린더(100)를 떠나거나 들어오는 기체를 여과한다.
상기 장치를 사용하여, 주 몸체(97)가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100)의 목부 안으로 긴밀하게 나사 체결한다. 다음, 외부 기체원이 포트(98)에 연결된다. 이제, 상기 너브(103)를 회전하여 스핀들(102)을 낮게하고 따라서, 차례로 밸런스 밸브(26)의 밸브부재(7)가 낮게되는 피스톤(106)이 낮아져서, 상기 밸브를 개방한다. 이제, 상기 기체원은 개방되어, 기체가 입력 포트(98)를 통해 들어와서, 통로(99), 챔버(101)를 통해 밸런스 밸브(26)의 배출구 구멍(33)쪽으로 흘러간다. 다음, 상기 기체는 개방 밸브(26)를 통해 지속적으로 흘러서 실린더(100)를 채운다.
상기 실린더가 채워졌으면, 기체원이 폐쇄되고, 그리고 너브(103)가 나사를 풀어서 피스톤(106)을 상승시키어, 차례로 밸브부재(7)를 상승시키어 밸런스 밸브(26)를 폐쇄한다. 스핀들(102)의 상승으로, 피스톤(106)의 상부부분은 광폭 챔버(104)에 들어와서, 밀봉부(107)를 파괴하여, 챔버(101)와 인접 구역에 잔류 압력이 피스톤(106)의 실외와 통로(105)를 경유하여 서행으로 안전하게 대기로 빠져나가게 한다. 잔류 기체가 완전하게 배기되어 졌으면, 충전장치가 제거되고 그리고 기체원이 연결 해제된다.

Claims (16)

  1. 압축유체 실린더는 저장 유체용 배출구가 합체된 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실린더의 내용물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게 동작하는 밸런스 밸브가 안에 설치된 구멍과 합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유체 실린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상기 실린더에 직접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유체 실린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상기 실린더의 배출구에 설치된 어댑터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유체 실린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설치 시에, 실린더에 대해 상기 어댑터가 위치하도록 목부의 상부 면에 대하여 받쳐져 있는 외부 플랜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유체 실린더.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실린더 내의 초과 압력을 방출하게 동작하는 초과 압력 장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유체 실린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의 외부 림은 직립 림을 갖고, 그리고 상기 초과 압력장치는, 피팅이 실린더에 부착되면, 일 구역이 초과 압력이 방출될 수 있게 방출 구멍을 형성하도록 림 너머 구역에 어댑터의 외부면에 위치한 통기 배출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유체 실린더.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외부 단부에 광폭부와 내부 단부에 협폭부를 가진 단차진 구멍이고 그리고, 상기 밸런스 밸브는 협폭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유체 실린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 밸브는 상기 구멍 내에 전체적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유체 실린더.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 밸브는 밸브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는 챔버를 제공하는 밸브 하우징과, 상기 챔버에서 상기 밸브의 제2 또는 저압측으로 이어진 통로와, 상기 통로에 있는 밸브 시트와, 상기 밸브부재를 제2방향으로 편향시키는 편향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챔버는 상기 밸브의 제1 또는 고압측의 적어도 일 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밸브부재는 밸브 시트와 함께 동작하는 시트 면을 갖고 그리고 상기 밸브부재는, 각각 (a)제1방향으로, 상기 밸브를 개방하도록 상기 시트 면을 상기 챔버쪽으로 그리고 상기 밸브 시트에서 이격지게 이동하고 그리고 (b)제2반대방향으로, 상기 밸브를 폐쇄하도록 상기 시트 면을 상기 밸브 시트 쪽으로 이동하는, 위치 변환성이 있으며; 그리고 상기 밸브 하우징은 밸브의 저압력측에서, 상기 통로에서 나온 기체가 편향되게 상기 통로에서 이격지고 그리고 밸브 축에 대해서 횡단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측판(shroud)을 산출하고; 상기 밸브 하우징은 상기 측판으로 한정되고, 1개 이상의 횡방향 통로는 상기 통로에서 나온 기체를 통과시키기 위한, 밸브 하우징의 측부에 있는 1개 이상의 구멍으로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유체 실린더.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하우징은 상기 구멍이 광폭부 쪽으로 개방될 수 있는 정도로 상기 구멍의 광폭부쪽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유체 실린더.
  11.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shroud)은, 밸브부재가 축선방향으로의 이동을 신뢰성 있게 안내하도록 밸브 부재의 중앙 축선 연장부를 활주 끼움으로 구멍을 통해 연장 형성하는 중앙 구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유체 실린더.
  12.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진 구멍의 광폭부는 실린더에 피팅을 부착하는 수단과 일체로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유체 실린더.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수단은 구멍의 광폭부의 벽에 형성된 내부 나사 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유체 실린더.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수단은 급속설치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유체 실린더.
  15. 피팅이 부착된,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청구된 압축유체 실린더를 포함하는 압축유체 실린더 조립체에서, 상기 피팅은 상기 단차진 구멍의 광폭부에 부착수단과 협력동작하는 부착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유체 실린더 조립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피팅은 스프링 적재 반응부재를 가진 조절장치 작동기를 포함하고, 상기 밸런스 밸브에 상기 반응부재를 기계적으로 연결하는 수단은, 상기 밸런스 밸브에 의해 공급된 출력 압력이 상기 스프링에 의해 가해진 추력에 의해 압력 설정 값으로 조절되는 방식으로 동일하게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유체 실린더 조립체.
KR1020077017065A 2004-12-24 2005-12-21 압력 유체 실린더 KR1014031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428219.0 2004-12-24
GBGB0428219.0A GB0428219D0 (en) 2004-12-24 2004-12-24 Pressurised fluid cylinders
PCT/GB2005/050256 WO2006067527A1 (en) 2004-12-24 2005-12-21 Pressurised fluid cylind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4937A true KR20070094937A (ko) 2007-09-27
KR101403189B1 KR101403189B1 (ko) 2014-06-02

Family

ID=34113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7065A KR101403189B1 (ko) 2004-12-24 2005-12-21 압력 유체 실린더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371914B2 (ko)
EP (1) EP1828649B1 (ko)
JP (1) JP5030230B2 (ko)
KR (1) KR101403189B1 (ko)
DK (1) DK1828649T3 (ko)
GB (2) GB0428219D0 (ko)
WO (1) WO200606752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592B1 (ko) * 2013-05-03 2014-08-14 국방과학연구소 셀프 기밀 형성 압력 배출 유닛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28959B2 (ja) * 2007-01-25 2012-05-09 株式会社ケーヒン ガス用減圧弁
JP5257746B2 (ja) * 2008-03-25 2013-08-07 新富士バーナー株式会社 バーナー
WO2010124722A1 (en) * 2009-04-28 2010-11-04 Inventum Group B.V. A pressure regulator
BR112012004547A2 (pt) * 2009-09-03 2020-08-25 Kms Consulting Llc. "munição de cartucho"
DE102009040179A1 (de) * 2009-09-04 2011-03-17 Hydac Process Technology Gmbh Behälter, insbesondere Druckbehälter
DE102010018700B4 (de) * 2010-04-29 2019-05-09 Magna Steyr Fahrzeugtechnik Ag & Co. Kg Druckbehälter
JP6830601B2 (ja) * 2017-04-13 2021-02-17 サムテック株式会社 高圧容器のシール構造
US11274793B2 (en) * 2019-11-27 2022-03-15 Amtrol Licensing, Inc. Composite tank
US11692671B2 (en) * 2020-05-07 2023-07-04 Numat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nsing gas from a storage vessel
NL2027812B1 (en) * 2021-03-23 2022-10-07 Folat B V Balloon gas tank filling piece
US20240159362A1 (en) * 2021-03-23 2024-05-16 Folat B.V. Balloon gas tank filling piece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65201A (en) * 1963-04-05 1967-04-12 Reynolds Tube Company Ltd Containers for pressurised fluids
US3419180A (en) * 1966-12-07 1968-12-31 Halliburton Co Closure assembly for high-pressure, high-temperature vessels
JPS49134317U (ko) * 1973-03-15 1974-11-19
US3930517A (en) 1974-06-11 1976-01-06 Gagala Jerome W Safety valve
US4077422A (en) 1975-11-17 1978-03-07 Said Robie G. Brinkley, By Said Gerry D. Welton Flow control means for compressed gas cylinders
JPS5769000U (ko) * 1980-10-13 1982-04-24
US4907617A (en) 1988-11-09 1990-03-13 Whalen Paul S Safety valve for a compression gas cylinder
JPH05600U (ja) 1991-06-24 1993-01-08 日本電気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人工衛星の電力制御装置
US5144973A (en) 1991-11-29 1992-09-08 Safety Assurance Corporation Safety valve for compressed gas cylinders
JPH0731607U (ja) 1993-11-22 1995-06-13 謙夫 松留 液化ガス貯蔵容器の出入口
GB9502922D0 (en) * 1995-02-15 1995-04-05 Kay Francis X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valves
LU88659A1 (de) * 1995-09-18 1996-02-01 Luxembourg Patent Co Elektromagnetisch betaetigbares Ventil
US6230737B1 (en) 1995-11-06 2001-05-15 Praxair Technology, Inc. Cylinder valve assembly
JPH1113995A (ja) * 1997-06-23 1999-01-22 Kobe Steel Ltd プラスチックライナーfrp圧力容器の口金構造
US5894859A (en) 1997-11-07 1999-04-20 Pavlicek; Melvin W. Compressed gas emergency shutoff valve
JP2003090499A (ja) * 2001-09-19 2003-03-28 Samtec Kk 高圧タンク装置
US20030075700A1 (en) * 2001-10-24 2003-04-24 Erick Girouard Tank valve
US6857667B2 (en) * 2002-06-25 2005-02-22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High pressure fluid quick connect
GB0228294D0 (en) 2002-12-04 2003-01-08 F X K Patents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valves
US6932238B2 (en) 2003-01-28 2005-08-23 Air Liquide Advanced Technologies U.S. Llc Non-refillable valve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592B1 (ko) * 2013-05-03 2014-08-14 국방과학연구소 셀프 기밀 형성 압력 배출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1828649T3 (da) 2013-07-22
GB2435593A (en) 2007-08-29
EP1828649A1 (en) 2007-09-05
JP5030230B2 (ja) 2012-09-19
KR101403189B1 (ko) 2014-06-02
GB2435593B (en) 2010-04-28
JP2008525734A (ja) 2008-07-17
GB0711727D0 (en) 2007-07-25
US20090266816A1 (en) 2009-10-29
WO2006067527A1 (en) 2006-06-29
US9371914B2 (en) 2016-06-21
GB0428219D0 (en) 2005-01-26
EP1828649B1 (en) 2013-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94937A (ko) 압축 유체 실린더
US8408247B2 (en) Element for controlling filling and/or drawing of a pressurized gas, tank and circuit provided with such an element
JP6661833B2 (ja) 流体制御用ソレノイドバルブ
KR101407015B1 (ko) 유체 제어용 밸브 어셈블리
CA2378206C (en) Valve for high pressure gas cylinders
US20050211940A1 (en) Safety valve
JPH01141285A (ja) 高圧調整弁
US20120152571A1 (en) A high pressure gas discharge valve for a fire-extinguishing or explosion-preventing system
US4168015A (en) Tire inflation device
CN110573788A (zh) 气体输送阀及其使用方法
US8079567B2 (en) Regulated valve assembly for fire extinguishing systems
US5022423A (en) Safety valve
EP0768484A1 (en) A safety device for a gaseous fluid cock for cylinders and similar containers
EP1363052B1 (en) Fast-flow discharge valve for a high-pressure inert gas fire extinguisher system
US10702728B2 (en) Constant flow valve for fire protection facilities
JPH10339383A (ja) 急速開放調圧弁
US7025083B2 (en) Quick closing shut-off valve
US11547887B2 (en) Valves for fire suppression systems
CA3028776C (en) Apparatus for capping a cylinder valve
CA3028761C (en) Method for capping a cylinder valve
EP0807226B1 (en) Discharge and fill device for a gas cylinder
EP2389533B1 (en) A valve unit for pressure vess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