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3779A -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3779A
KR20070093779A KR1020060073265A KR20060073265A KR20070093779A KR 20070093779 A KR20070093779 A KR 20070093779A KR 1020060073265 A KR1020060073265 A KR 1020060073265A KR 20060073265 A KR20060073265 A KR 20060073265A KR 20070093779 A KR20070093779 A KR 200700937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information
channel
data
control
e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3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4265B1 (ko
Inventor
고따로 시이자끼
히로유끼 세끼
겐지 스다
다이스께 지쯔가와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93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3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4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4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76Pilot transmitters or receivers for control of transmission or for equal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8Forma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05Control of transmission; Equal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8Formatting
    • H04L1/0031Multiple signaling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36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 H04L1/0038Blind format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78Avoidance of errors by organising the transmitted data in a format specifically designed to deal with errors, e.g. location
    • H04L1/0079Formats for contro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78Avoidance of errors by organising the transmitted data in a format specifically designed to deal with errors, e.g. location
    • H04L1/0086Unequal error protection
    • H04L1/0088Unequal error protection in control pa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04L1/000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9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channel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프레임의 오버헤드를 증가시키지 않고, 스루풋을 향상시키는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을 포함하는 무선 프레임을 이용하여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에서, 무선 프레임의 오버헤드를 증가시키지 않고 스루풋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다른 무선 통신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 무선 프레임에 관하여, 통신 제어에 이용되는 제어 정보의 일부를 제2 제어 정보로서 데이터 채널에 배치하는 구성 수단을 구비한다.
파일롯 생성부, 송신 안테나, 상향 송신 프레임 복호부, 레이트 결정부

Description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도 1은 본 실시예에서의 프레임 포맷의 예 1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실시예에서의 프레임 포맷의 예 2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실시예에서의 송수신 상황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제1 실시예에서의 프레임 포맷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제1 실시예에서의 기지국의 장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MCS 테이블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제1 실시예에서의 이동국의 장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제1 실시예에서의 이동국의 수신 동작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제2 실시예에서의 프레임 포맷(인밴드하지 않는 경우)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제2 실시예에서의 프레임 포맷(인밴드하는 경우)을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제2 실시예에서의 기지국의 장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제2 실시예에서의 이동국의 장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제2 실시예에서의 이동국(501 및 502)의 수신 동작예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14는 종래의 프레임 포맷을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종래의 셀 위치에 따른 부호화 절환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종래 기술에서의 송수신 상항을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파일롯 생성부
102 : 제어 정보 파트 1 생성부
103 : 제어 정보 파트 2 생성부
104 : 데이터 생성부
105 : 데이터 구성부
106, 108, 172 : 변조부
107 : 제어 정보 구성부
109 : 다중부
110 : 송신부
115, 150 : 송신 안테나
120 : 수신 안테나
121 : 수신부
122 : 상향 송신 프레임 복호부
123 : 레이트 결정부
130 : 수신 안테나
132 : 분리부
133, 136, 181 : 복조부
134 : 데이터 복호부
135 : 오류 검출부
137 : 제어 정보 복호부
138 : 제어 정보 선택부
139 : 오류 검출부
141, 124 : 채널 추정부
142 : 제어 정보 추정부
143, 125 : CQI 정보 생성부
148 : 상향 송신 프레임 생성부
149 : 송신부
171 : 헤더 생성부
182 : 헤더 복호부
[비특허 문헌 1]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wer rate extension of channel coding to the rate <1/3", 3GPP TSG RAN WG1 meeting #42bis(Rl-051082), 2005-10, Agenda Item 8.7.
본 발명은,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을 포함하는 무선 프레임을 이용하여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셀룰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각 기지국이 커버하는 통신 에리어로서의 셀이 인접 혹은 부분적으로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각 기지국은, 대응하는 각 셀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이동국과 무선 통신함으로써 각 이동국을 이동 통신 시스템에 접속한다. 이러한 셀룰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셀단 부근에 위치하는 이동국에서의 스루풋의 향상이 중요한 과제로 된다. 셀단 부근에서는, 그 셀을 커버하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 전력이 감쇠되며, 또한, 주변의 다른 셀에 배치되어 있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간섭을 받기 쉽기 때문에, 오류율 특성이 나빠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 방법으로서, 셀단 부근의 이동국에의 송신 신호에 대해서는, 다른 이동국에의 송신 신호보다 데이터의 용장도를 증가시킨다고 하는 방법이 있다. 셀단 부근의 이동국 앞으로의 송신 신호에는, 동일한 내용의 정보를 반복해서 삽입한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송신 프레임이 비대화되어, 송신 프레임의 오버헤드가 증가하게 된다. 또한, 송신 프레임 길이를 고정으로 하였다고 해도 실질적인 데이터 전송량은 저하하게 된다.
다른 방법으로서, 셀단 부근의 이동국에의 송신 데이터에는 다른 이동국에의 송신 데이터보다 용장도가 높은 오류 정정 부호화를 실시한다고 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에 대해서는, 기지국 근변의 이동국에의 송신 데이터에 대해서는 부호화율 3분의 1(1/3)의 터보 부호화를 이용하고, 셀단 부근의 이동국에의 송신 데이터에 대해서는 1/5, 1/9와 같은 부호화율 1/3 이하의 저 레이트 터보 부호화를 실시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비특허 문헌 1 참조). 이에 의해, 열악한 전반 환경에 있는 셀단 부근에 위치하는 이동국에의 통신이어도, 용장도를 증가시킨 저 레이트의 터보 부호화를 이용함으로써, 오류율 특성의 저하 및 스루풋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고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 기술에서는, 셀단 부근에 위치하는 이동국에 송신하는 데이터 채널에 대해서는 스루풋 저하를 개선할 수 있지만, 제어 채널의 전송에 관하여 문제가 남는다. 이하, 이 문제점에 대해서 도 14, 도 15 및 도 1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종래의 셀룰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프레임 포맷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종래 기술에서의 셀 위치에 따른 부호화 절환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종래 기술에서의 송수신 상황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의 통신에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프레임 포맷이 이용되고 있다. 당해 무선 프레임은, 파일롯 채널(PICH), 제어 채널(CCH), 데이터 채널(DCH)에 의해 구성된다. 전술한 종래 기술에서 제안되어 있는 부호화 절환 방법은, 당해 무선 프레이 중 데이터 채널을 대상으로 한 기술이다. 제어 채널에 대해서는 각 이동국에 대하여 공통으로 부호화율 1/3의 컨볼루션 부호화가 이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5는, 셀(510)을 커버하는 기지국(500)이 그 기지국(500)의 근변에 위치 하는 이동국(501) 및 셀단 부근에 위치하는 이동국(502)과 통신하고 있는 경우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기지국(500)의 근변에 위치하는 이동국(501)에 대한 신호 중 데이터 채널에는 16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의 변조 방식 및 부호화율 1/3의 터보 부호화가 이용되며, 제어 채널에는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의 변조 방식 및 부호화율 1/3의 컨볼루션 부호화가 이용된다. 기지국(500) 근변에서는, 제어 채널의 전송이 데이터 채널의 전송보다도 토털로서 오류율 특성이 양호하게 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한편, 셀단 부근에 위치하는 이동국(502)에 대한 통신에 관해서는, 데이터 채널에는 QPSK의 변조 방식 및 부호화율 1/3 이하의 저 레이트 터보 부호화가 이용되도록 변경되며, 제어 채널에는 그대로 QPSK의 변조 방식 및 부호화율 1/3의 컨볼루션 부호화가 이용된다. 즉, 셀단 부근의 이동국에 대해서는 제어 채널보다도 데이터 채널 쪽이 보다 용장도가 큰 코딩이 이용되고 있기 때문에, 셀단 부근에서는, 데이터 채널의 오류율 특성보다도 제어 채널의 오류율 특성 쪽이 저하한다고 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제어 채널에는 데이터 채널에 배치되는 유저 데이터를 올바르게 복조 및 복호하기 위한 제어 정보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 채널에 오류가 발생하고 있는 것을 이동국(502)이 검지한 경우에는, 이동국(502)은 기지국(500)에 재송을 재촉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는, 제어 채널에 오류가 빈발하면 재송이 반복되게 되어, 시스템 전체적인 전송 효율의 저하를 야기시키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제어 채널에 이용하는 부호화의 용장도를 데이터 채널의 용장도보다도 크게 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제어 채널은 일반적으로 전체 이동국에 공통된 포맷이 이용되기 때문에, 제어 채널의 용장도를 높여 제어 채널의 사이즈가 커지면 송신 프레임 전체의 사이즈가 비대화된다. 또한, 송신 프레임 길이를 고정시켰다고 해도, 제어 채널의 오버헤드 증가에 의해 실질적인 데이터 전송량은 저하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방법에서는 송신 프레임의 오버헤드가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프레임의 오버헤드를 증가시키지 않고, 스루풋을 향상시키는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하의 구성을 채용한다. 즉, 본 발명은,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을 포함하는 무선 프레임을 이용하여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에서, 다른 무선 통신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 무선 프레임에 관하여, 통신 제어에 이용되는 제어 정보의 일부를 제2 제어 정보로서 데이터 채널에 배치하는 구성 수단을 구비하는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한 것이다.
여기에서, 통신 제어에 이용되는 제어 정보에는, 예를 들면, 상기 송신하는 무선 프레임에 대한 변조 방식, 부호화율 등의 정보, 송신처의 다른 무선 통신 장치가 본 장치에 송신하는 무선 프레임에 대해서 이용될 CQI(Channel Quality Information), 변조 방식, 부호화율 등의 정보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들 제어 정보 중 일부가 제2 제어 정보로서 데이터 채널에 배치된 무선 프레임이 송신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당해 송신 무선 프레임을 수신한 무선 통신 장치에서, 수신한 제어 채널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도, 재송 요구하지 않고, 오류가 발생하지 않으면 이용되었을 제어 정보를 추정하고, 그 추정된 제어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유저 데이터를 복조 및 복호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프레임의 오버헤드를 증가시키지 않고, 셀단 부근 등과 같이 채널 상태가 나쁜 이동국에 대하여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도, 제어 채널만의 오류 발생에 의한 재송을 저감할 수 있어, 스루풋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송신 무선 프레임에 관한 데이터 채널의 용장도를 송신처의 무선 통신 장치와의 사이의 채널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레이트 결정 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구성 수단이, 당해 결정된 데이터 채널의 용장도가 제어 채널의 용장도보다도 높아진 경우에, 상기 제2 제어 정보를 데이터 채널에 배치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서는, 송신 무선 프레임의 데이터 채널의 용장도가 송신처의 무선 통신 장치와의 사이의 채널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변경된다. 그리고, 변경된 결과, 데이터 채널의 용장도가 제어 채널의 용장도보다도 높아진 경우에, 제2 제어 정보가 데이터 채널에 배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통신 상대로 되는 다른 무선 통신 장치와의 사이의 채널 상태가 나빠 데이터 채널의 용장도가 올라간 경우에, 제2 제어 정보가 데이터 채널에 배치되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 제2 제어 정보가 종래와 같 이 제어 채널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재송을 저감시켜 스루풋을 향상시키면서도, 채널 상태에 따라서 적절한 무선 프레임을 이용할 수 있어, 필요없는 무선 프레임의 오버헤드를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구성 수단이, 상기 제2 제어 정보를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에 중복해서 배치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구성 수단이, 상기 제어 정보 중, 상기 송신 무선 프레임을 수신한 무선 통신 장치에서의 복조 처리 및 복호 처리에 이용되는 정보를 제1 제어 정보로서 제어 채널에 배치하고, 그 밖의 정보를 제2 제어 정보로 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송신 무선 프레임을 수신한 무선 통신 장치에서 추정하기 쉬운 정보가 제어 채널에 배치되고, 그 밖의 추정하기 어려운 정보가 데이터 채널에 배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수신측의 무선 통신 장치에서, 제어 채널에만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는, 추정되는 제어 정보에 의해 데이터 채널에 배치되는 데이터의 복조 및 복호가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재송의 발생을 더욱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구성 수단이, 상기 송신 무선 프레임에 관하여, 상기 제어 정보 중 수신 무선 프레임에 관한 제어 정보를 상기 제2 제어 정보로 하도록 해도 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 정보 중 상기 다른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무 선 프레임을 위한 제어 정보란, 예를 들면, CQI이며, 자(自)장치가 다른 무선 통신 장치에 지시하는 변조 방식 등이다. 이들 정보는, 당해 무선 프레임을 수신한 무선 통신 장치에서 추정하기 어려운 정보로서, 데이터 채널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 채널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도, 다른 무선 통신 장치는, 데이터 채널에 배치되는 제2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송신 무선 프레임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재송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을 포함하는 무선 프레임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에서, 수신된 제어 채널에 배치되어 있는 데이터의 오류를 검출하는 오류 검출 수단과, 수신된 제어 채널에 배치될 제어 정보를 추정하는 추정 수단과, 상기 오류 검출 수단에 의해 오류가 검출된 경우에, 상기 추정 수단에 의해 추정된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된 데이터 채널에 배치되어 있는 데이터를 복조 및 복호하는 복조 복호 수단을 구비하는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한 것이기도 하다.
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는, 전술한 무선 통신 장치에서 송신된 무선 프레임을 수신한 측의 무선 통신 장치의 구성을 특정하는 것이다. 즉, 제어 채널에 배치되어 있는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제어 채널에 배치된 데이터를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추정 수단에 의해 추정된 제어 정보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 채널에 배치되어 있는 데이터가 복조 및 복호된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복조 복호 수단에 의해 복조 및 복호된 데이터에 포함되는 제어 정보를 추출하고, 그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송 신할 무선 프레임에 관하여 제어 채널에 배치되는 데이터 및 데이터 채널에 배치되는 데이터를 각각 생성하는 생성 수단을 더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 채널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도, 데이터 채널 중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송신 무선 프레임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재송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상의 어느 하나의 기능을 실현시키는 프로그램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그러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이어도 된다.
[발명의 실시예의 개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개요에 대해서 도 1 및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용하는 송신 프레임 포맷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4에 도시하는 프레임 포맷에서의 제어 채널에 배치되는 제어 정보를 2개의 부분(제어 정보 파트 1과 제어 정보 파트 2)으로 나누고, 그 중 제어 정보 파트 2를 데이터 채널에 배치한다는 것이다.
제어 정보의 분류 방법으로서는, 송신 시마다 변경되며, 수신측 장치에서 용이하게 추정할 수 없는 정보를 제어 정보 파트 2에 포함시키고, 그 이외의 수신측 장치에서 용이하게 추정할 수 있는 정보를 제어 정보 파트 1에 포함시키는 방법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변조 방식, 부호화율 등의 정보가 제어 정보 파트 1에 포함되며, 채널 상태를 나타내는 CQI(Channel Quality Information) 정보 등의 정보가 제어 정보 파트 2에 포함되는 방법이 고려된다. 이것은, 변조 방식이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16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과 같이 어느 정도 시스템에서 대응하는 변조 방식이 고정되고, 변경된다고 해도 그 고정된 범위에 들어가는 데이터이기 때문에, 수신측 장치에서 추정하기 쉬운 데이터라고 고려되며, 한편, CQI와 같은 정보가 시시각각 변화하여 그 변화의 폭도 미정의 데이터이기 때문에, 수신측 장치에서 용이하게 추정할 수 있는 데이터가 아니라고 고려되기 때문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나누어진 제어 정보 파트 1 및 제어 정보 파트 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치하는 예가 고려된다. 도 1은, 제어 정보 파트 2를 제어 채널과 데이터 채널에 중복해서 배치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2는, 제어 채널에 제어 정보 파트 1만을 포함시키고, 제어 정보 파트 2를 데이터 채널에 배치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제어 채널의 길이는 도 14에 도시하는 종래의 제어 채널의 길이보다 짧은 것으로 된다.
도 3은, 전술한 바와 같은 프레임 포맷을 이용한 본 실시예에서의 송수신 상황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에 도시하는 종래 기술의 경우의 송수신 상황에서는, 제어 정보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수신측 장치는 유저 데이터의 복호를 행하지 않고, 송신측 장치에 재송을 요구한 결과, 도 3에 도시하는 본 실시예의 송수신 상황에서는, 비록 제어 정보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도, 제어 정보 파트 1의 추정을 행함으로써, 유저 데이터를 올바르게 복조, 복호할 가능성이 향상된다.
단, 기지국의 근변에 이동국이 위치하는 경우 등, 제어 채널 쪽이 데이터 채 널보다도 오류율 특성이 양호하게 되는 환경에서는, 제어 채널의 일부를 데이터 채널에 배치하는 메리트가 없기 때문에, 도 14에 도시하는 종래의 메시지 포맷을 이용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채널과 제어 채널에서 이용되는 각 부호화율에 따라서, 프레임 포맷이 절환된다. 구체적으로는, 데이터 채널의 부호화율이 제어 채널의 부호화율보다도 용장도가 높으면, 제어 정보 파트 2를 데이터 채널에 배치하고, 데이터 채널의 부호화율이 제어 채널의 부호화율보다도 용장도가 낮으면, 종래의 프레임 포맷을 이용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어 정보 파트 2를 데이터 채널에 배치하는 것을 「인밴드한다」라고도 표기한다.
[제1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 기재하는 실시예의 구성은 예시이며, 본 발명은 실시예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시스템 구성]
제1 실시예에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은,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지국 장치(이후, 기지국으로 표기함)(500), 이동국 장치(이후, 이동국으로 표기함)(501 및 502)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 한다. 도 15에 도시하는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채용한 일례에 불과하며, 기지국 및 이동국이 각각 복수 존재하도록 하고, 도시되어 있지 않은 제어 장치 등을 더 갖도록 해도 된다. 이하,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셀(510)을 커버하는 기지국(500)이 그 기지국(500)의 근변에 위치하는 이동국(501) 및 셀단 부근에 위치하는 이동국(502)과 각각 통신하는 경우의 예를 따라서 설명한다.
[프레임 포맷]
제1 실시예에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용하는 프레임 포맷에 대해서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서의 프레임 포맷을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기지국(500)으로부터 이동국(501 혹은 502)에 송신되는 프레임(다운 링크의 프레임)의 포맷을 나타낸다. 제1 실시예에서의 프레임 포맷은, 발명의 실시예의 개요의 항에서 설명한 도 1에 도시하는 예에 상당하는 것으로, 제어 정보 파트 2를 중복해서 제어 채널(CCH)과 데이터 채널(DCH)에 배치하는 구성을 갖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향 제어 정보를 제어 정보 파트 1(PART1)로 하고, 상향 제어 정보를 제어 정보 파트 2(PART2)로 하여 제어 정보를 나눈다. 하향 제어 정보에는, 당해 프레임에서 송신되는 데이터에 관한, 변조 방식, 부호화율 및 데이터 길이 등이 포함된다. 한편, 상향 제어 정보에는, 기지국이 추정한 CQI, 기지국이 이동국에 대하여 지시하는 변조 방식 및 부호화율, 이동국으로부터 기지국으로의 송신 메시지의 순회 용장 검사(이후, CRC(Cyclic Redundancy Check)로 표기함) 결과가 포함된다.
제어 정보 파트 2로서 나누어진 상향 제어 정보는 데이터 채널에도 배치되게 된다. 데이터 채널에는, 인밴드 정보(IN-BAND)가 더 배치되어 있다. 데이터 채널에 이 인밴드 정보를 배치시킨 이유는, 제어 채널의 사이즈를 변화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데이터 채널의 사이즈는, 하향 제어 정보에 포함되는 데이터 길이에 의해 판단 가능하기 때문에, 이와 같이 인밴드 정보를 배치해도 문제없다.
인밴드 정보는, 제어 정보 파트 2가 데이터 채널에 배치되어 있는지의 여부(인밴드의 유무)를 나타내는 유무 정보 및 데이터 채널 중 제어 정보 파트 2가 배치되어 있는 위치를 나타내는 배치 정보를 포함한다. 당해 유무 정보 필드에는, 예를 들면 수치로 표현되는 식별 정보가 설정되도록 해도 되며, 「0」이면 제어 정보 파트 2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고, 「1」이면 제어 정보 파트 2가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도 된다. 당해 배치 정보 필드에는, 예를 들면 데이터 채널의 선두로부터의 오프셋 어드레스가 설정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 정보 파트 1 및 제어 정보 파트 2에 포함시키는 데이터를 전술한 데이터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이들 데이터 구성은 시스템에 따라서 변화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에서는, 확산율, 코드 다중수 등이 하향 제어 정보로서 포함될 수 있으며, MIMO(Multi Input Multi Output) 시스템에서는, 안테나 개수 등이 하향 제어 정보로서 포함될 수 있으며, OFDM(0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시스템에서는, 가드 인터벌 길이 등이 하향 제어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향 제어 정보로서는, 송신측 장치에서 각 수신기 장치로부터의 신호의 수신 타이밍을 계측하고, 그것에 따라서 수신측 장치의 송신 타이밍을 지시하는 시스템의 경우에는 이것을 실현하기 위한 타이밍 조정 통지 비트와 같은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기지국]
이하, 제1 실시예에서의 기지국(500)의 장치 구성에 대해서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서의 기지국(500)의 송신 기능에 관련되는 장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기지국(500)은, 송신 기능으로서, 파일롯 생성부(101), 제어 정보 파트 1 생성부(102), 제어 정보 파트 2 생성부(103), 데이터 생성부(104), 데이터 구성부(105), 변조부(106), 제어 정보 구성부(107), 변조부(108), 다중부(109), 송신부(110), 송신 안테나(115), 수신 안테나(120), 수신부(121), 상향 송신 프레임 복호부(122), 레이트 결정부(123), 채널 추정부(124), CQI 정보 생성부(125) 등을 갖는다. 이 중, 수신 안테나(120), 수신부(121) 및 상향 송신 프레임 복호부(122)는, 수신 기능을 담당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지만, 여기에서는 상기 송신 기능을 담당하는 기능부에서 이용되기 위한 정보를 취득하는 기능부로서 채택되어 있다.
수신부(121)는, 수신 안테나(120)에서 수신된 이동국으로부터의 신호를 받으면, 당해 수신 신호를 주파수 변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복조 등의 처리를 실시한다. 수신부(121)는, 이들 소정의 처리가 실시된 신호를 상향 송신 프레임 복호부(122)에 보낸다. 또한, 수신부(121)는, 수신 신호 중 파일롯 신호를 채널 추정부(124)에 보낸다.
채널 추정부(124)는, 수신부(121)로부터 전달되는 파일롯 신호와 기지의 파일롯 신호를 비교함으로써, 송신원으로 되는 이동국으로부터 기지국으로의 업 링크에 관한 채널 추정값을 구한다. 이 채널 추정값은, 예를 들면 최소 제곱법 연산에 의해 구해지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은 이 채널 추정 방법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 채널 추정값은, 상향 송신 프레임 복호부(122) 및 CQI 정보 생성부(125)에 전달된다.
상향 송신 프레임 복호부(122)는, 수신부(121)로부터 받은 신호를 채널 추정부(124)로부터 받은 채널 추정값을 이용하여 복조 및 복호하고, 당해 신호의 송신원으로 되는 이동국에 의해 보내진 CQI를 그 복호된 신호로부터 취득한다. 취득된 CQI는 레이트 결정부(123)에 전달된다.
CQI 정보 생성부(125)는, 채널 추정부(124)로부터 전달되는 채널 추정값 등에 기초하여 업 링크에 관한 CQI를 생성한다. 이 CQI의 생성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SINR(Signal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에 대해서, 각 심볼의 희망 전력(S) 및 간섭 잡음 전력(I)에 의해 S를 I로 제산함으로써 구해지도록 해도 된다. 각 심볼의 희망 전력은, 예를 들면 채널 추정값의 절대값을 제곱함으로써 구해지며, 간섭 잡음 전력은, 예를 들면 수신 신호와 파일롯 신호의 상관을 취함으로써 구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이들 CQI의 산출 방법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CQI 정보 생성부(125)에 의해 생성된 업 링크에 관한 CQI는, 레이트 결정부(123)에 전달된다.
레이트 결정부(123)는, 상향 송신 프레임 복호부(122)로부터 전달되는 CQI, 즉, 이동국에서 생성된 다운 링크에 관한 CQI와, CQI 정보 생성부(125)로부터 전달되는 CQI, 즉, 기지국에서 생성된 업 링크에 관한 CQI를 받아, 그들 CQI에 기초하여, 소정의 부호화율 및 변조 방식을 결정한다. 레이트 결정부(123)는, 예를 들면, 다운 링크에 관한 CQI에 포함되는 SINR에 기초하여, 송신되는 데이터 채널의 부호화율 및 변조 방식을 결정하고, 업 링크에 관한 CQI에 포함되는 SINR에 기초하여, 상향 제어 정보에 포함시킬 부호화율 및 변조 방식을 결정한다.
레이트 결정부(123)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MCS(Modulation Coding Scheme) 테이블을 미리 유지하고, 이 MCS 테이블을 참조함으로써 데이터 채널의 부호화율 및 변조 방식을 결정한다. 도 6은 MCS 테이블의 예를 도시하고 있고, 이 MCS 테이블은 SINR과 MCS를 대응지은 것으로 되어 있다. 이것은, 각 이동국으로부터 보내져 오는 CQI가 SINR인 경우의 테이블예이다. MCS 필드에는, 변조 방식과 부호화율과의 조합에 관계되는 식별 번호가 설정된다.
레이트 결정부(123)는, 상향 송신 프레임 복호부(122)로부터 CQI로서 SINR이 보내져 오면, MCS 테이블을 참조하여, 이 SINR에 대응하는 MCS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SINR이 3.5 데시벨(㏈)이었던 경우에는, 레이트 결정부(123)는 MCS=2를 선택한다. 이에 의해, 데이터 채널의 변조 방식이 QPSK이고, 부호화율이 3/4으로 결정된다. 결정된 데이터 채널의 변조 방식 및 부호화율은, 데이터 구성부(105) 및 제어 정보 파트 1 생성부(102)에 보내진다.
레이트 결정부(123)는, 마찬가지로, CQI 정보 생성부(125)로부터 전달되는 업 링크에 관한 CQI에 기초하여, MCS 테이블을 참조하여, 이동국에 지시할 변조 방식 및 부호화율을 결정한다. 결정된 변조 방식 및 부호화율은, CQI 정보 생성부(125)로부터 전달된 CQI와 함께 제어 정보 파트 2 생성부(103)에 전달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CQI에 포함되는 SINR에 기초하여 변조 방식 등을 결정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그 이외의 CQI에 의해 결정하도록 해도 된다.
파일롯 생성부(101), 제어 정보 파트 1 생성부(102), 제어 정보 파트 2 생성부(103) 및 데이터 생성부(104)는, 본 실시예에서 이용하는 프레임 포맷에 대응하 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 담당하는 데이터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정보 파트 1 생성부(102)는, 레이트 결정부(123)로부터 전달된 다운 링크에 관한 변조 방식 및 복호 방식에 기초하여 하향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제어 정보 파트 2 생성부(103)는, 레이트 결정부(123)로부터 전달된 업 링크에 관한 변조 방식 및 복호 방식, CQI 정보 생성부(125)로부터 전달된 업 링크에 관한 CQI에 기초하여 상향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에서, 제어 정보 파트 2 생성부(103)에 의해 생성되는 상향 제어 정보에 포함되는 CQI는, CQI 정보 생성부(125)에 의해 생성된 업 링크에 관한 CQI가 포함된다. 또한, 이 상향 제어 정보에 포함되는 CQI는, 상향 송신 프레임 복호부(122)가 추출하는 이동국에 의해 생성된 것을 포함하도록 해도 된다.
파일롯 생성부(101)에서 생성된 파일롯 데이터는 다중부(109)에 전달되며, 제어 정보 파트 1 생성부(102)에서 생성된 제어 정보 파트 1(하향 제어 정보)은 제어 정보 구성부(107)에 전달되고, 제어 정보 파트 2 생성부(103)에서 생성된 제어 정보 파트 2(상향 제어 정보)는 제어 정보 구성부(107) 및 데이터 구성부(105)에 각각 전달되며, 데이터 생성부(104)에서 생성된 유저 데이터는 데이터 구성부(105)에 전달된다.
제어 정보 구성부(107)는, 제어 정보 파트 1 및 제어 정보 파트 2를 합하여, 도 4에 도시하는 프레임 포맷 중 제어 채널에 배치하는 제어 정보 데이터를 생성한다. 제어 정보 구성부(107)는 이 제어 정보 데이터를 소정의 부호화율로 부호화한다. 이 제어 정보 구성부(107)에서 실시되는 부호화율 및 부호화 방식에는, 시스템에서 고정된 부호화율 및 부호화 방식이 이용되며, 예를 들면 부호화율 1/3의 컨 볼루션 부호화가 이용된다. 부호화된 제어 정보 데이터는, 변조부(108)에 의해 소정의 변조 처리가 실시되어, 다중부(109)에 전달된다. 변조부(108)에서 실시되는 변조 방식에 대해서도, 시스템에서 고정된 방식이 이용되며, 예를 들면 QPSK가 이용된다. 또한, 이러한 제어 채널에 관한 부호화율, 부호화 방식 및 변조 방식은, 시스템에서 고정된 방식이 이용되지만, 이들은 조정 가능하게 테이블 등에 유지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제어 채널에 관한 부호화율, 부호화 방식 및 변조 방식을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데이터 구성부(105)는 도 4에 도시하는 프레임 포맷 중 데이터 채널에 배치하는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 때, 데이터 구성부(105)는 레이트 결정부(123)로부터 받은 데이터 채널의 부호화율과 시스템에서 고정된 제어 채널의 부호화율을 비교하여, 제어 정보 파트 2 생성부(103)로부터 받은 제어 정보 파트 2를 데이터 채널에 배치할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데이터 구성부(105)는, 데이터 채널의 부호화율이 제어 채널의 부호화율보다도 작은 경우에는, 제어 정보 파트 2를 데이터 채널 중 소정의 위치에 배치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제어 정보 파트 2를 데이터 채널 내에 배치하지 않는다.
데이터 구성부(105)는, 제어 정보 파트 2를 데이터 채널 내에 배치하는 경우에는, 유무 정보 필드에 「있음」을 설정하고 배치 정보 필드에 제어 정보 파트 2의 위치를 설정한 인밴드 정보를 데이터 채널에 배치하는 데이터의 선두에 부가한다. 데이터 구성부(105)는, 제어 정보 파트 2를 데이터 채널 내에 배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유무 정보 필드에 「없음」을 설정하고 배치 정보 필드를 초기화한 인밴 드 정보를 부가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데이터는, 레이트 결정부(123)로부터 전달되는 부호화율에 의해 부호화되어, 변조부(106)에 전달된다. 데이터 구성부(105)에서 실시되는 부호화 방식은, 시스템에서 고정된 방식이 이용되며, 통상, 터보 부호화가 이용된다. 부호화된 데이터는, 변조부(106)에 의해 레이트 결정부(123)에서 결정된 변조 방식에 의해 변조되어, 다중부(109)에 전달된다.
다리부(109)는, 각각 변조된 파일롯 신호, 제어 정보 신호, 데이터 신호를 각각 다중화하여, 송신부(110)에 전달된다. 송신부(110)에 전달된 다중화 신호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주파수 변환 등의 처리가 실시되어, 송신 안테나(115)로부터 송출된다.
[이동국]
이하, 제1 실시예에서의 이동국(501 및 502)의 장치 구성에 대해서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제1 실시예에서의 이동국(501 및 502)의 수신 기능에 관련되는 장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또한, 이동국(501 및 502)은 각각 동일한 장치이기 때문에, 이하의 설명은 이동국(501)에 대해서 행하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이동국(501)은, 수신 기능으로서, 수신 안테나(130), 분리부(132), 복조부(133), 데이터 복호부(134), 오류 검출부(135), 복조부(136), 제어 정보 복호부(137), 제어 정보 선택부(138), 오류 검출부(139), 채널 추정부(141), 제어 정보 추정부(142), CQI 정보 생성부(143), 상향 송신 프레임 생성부(148), 송신부(149), 송신 안테나(150) 등을 갖는다. 이 중, 송신 안테나(150), 송신부(149) 및 상향 송신 프레임 생성부(148)는, 송신 기능을 담당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지만, 여기에서는 기지국(500)에 CQI를 통지하기 위한 기능부로서 채택되어 있다.
수신부(131)는, 수신 안테나(130)에서 수신된 기지국(500)으로부터의 신호를 받으면, 당해 수신 신호를 주파수 변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등의 처리를 실시한다. 이들 소정의 처리가 실시된 신호는, 분리부(132)에 의해 파일롯 신호, 제어 정보 신호, 데이터 신호로 분리된다. 당해 파일롯 신호는 채널 추정부(141)에 전달되며, 당해 제어 정보 신호는 복조부(136)에 전달되고, 당해 데이터 신호는 복조부(133)에 전달된다.
채널 추정부(141)는, 분리부(132)로부터 전달되는 파일롯 신호와 기지의 파일롯 신호를 비교함으로써, 기지국(500)으로부터 이동국(501)에의 다운 링크에 관한 채널 추정값을 구한다. 본 발명은 이 채널 추정 방법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최소 제곱법 연산에 의해 구하도록 해도 된다. 이 채널 추정값은, 복조부(133 및 136), CQI 정보 생성부(143)에 전달된다.
CQI 정보 생성부(143)는, 채널 추정부(141)로부터 전달되는 채널 추정값 등에 기초하여 CQI를 생성한다. 이 CQI 정보 생성부(143)에 의한 생성 방법은, 기지국 장치에서의 CQI 정보 생성부(125)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복조부(136)는, 채널 추정부(141)로부터 전달된 채널 추정값에 기초하여, 분리부(132)로부터 전달되는 제어 정보 신호를 복조한다. 또한, 복조부(136)는, 당해 제어 정보 신호에 관하여 기지국(500)에 의해 실시된 변조 방식(QPSK)에 대응하 는 복조 방식에 의해 당해 제어 정보 신호를 복조한다. 이 복조 방식은, 대응하는 변조 방식이 기지국(500)에서 시스템 고정의 방식으로서 유지되고 있는 바와 같이, 시스템에서 고정된 방식이 이용된다. 복조된 제어 정보 신호는, 제어 정보 복호부(137)에 전달된다.
제어 정보 복호부(137)는, 당해 제어 정보 신호에 관하여 기지국(500)에 의해 실시된 부호화율(1/3) 및 부호화 방식(컨볼루션 부호화)에 대응하는 복호화 방식에 의해, 복조부(136)로부터 전달된 제어 정보 신호를 복호한다. 이 복호화 방식은, 대응하는 부호화율 및 부호화 방식이 기지국(500)에서 시스템 고정의 방식으로서 유지되고 있는 바와 같이, 시스템에서 고정된 방식이 이용된다. 복호된 제어 정보 데이터는 오류 검출부(139) 및 제어 정보 선택부(138)에 보내진다.
오류 검출부(139)는, 제어 채널에 배치되는 CRC를 검사함으로써 오류 검출을 행한다. 오류 검출부(139)는, 검출 결과를 제어 정보 선택부(138)에 보낸다,
제어 정보 선택부(138)는, 오류 검출부(139)로부터 보내지는 검출 결과에 따라서 데이터 채널의 복조에 이용되는 제어 정보를 선택한다. 제어 정보 선택부(138)는, 당해 검출 결과가 오류 없음(정상)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제어 정보 복호부(137)로부터 보내져 오는 제어 정보 데이터 중 제어 정보 파트 1 및 제어 정보 파트 2를 각각 취득한다. 제어 정보 파트 1 중 변조 방식에 대해서는 복조부(133)에 전달되고, 부호화율에 대해서는 데이터 복호부(134)에 전달된다. 제어 정보 파트 2는 그대로 데이터 복호부(134)에 전달된다. 한편, 당해 검출 결과가 오류 발생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제어 정보 선택부(138)는, 제어 정보 추정부(142)에서 추 정된 제어 정보 파트 1을 복조부(133) 및 데이터 복호부(134)에 각각 보내며, 또한, 오류의 발생을 데이터 복호부(134)에 통지한다.
제어 정보 추정부(142)는, CQI 정보 생성부(143)로부터의 CQI에 포함되는 SINR에 기초하여, 제어 정보 파트 1을 추정한다. 제어 정보 파트 1은, 전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500)에서 이동국(501)으로부터 피드백된 SINR에 기초하여 생성된 정보이기 때문에, 이동국(501)에서도 생성이 가능하다. 즉, 제어 정보 추정부(142)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MCS 테이블을 미리 유지하고, 이 MCS 테이블을 참조함으로써 부호화율 및 변조 방식을 결정한다. 이 결정된 부호화율 및 변조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제어 정보 파트 1로 한다. 이와 같이 추정된 제어 정보 파트 1은 제어 정보 선택부(138)에 보내진다
복조부(133)는, 분리부(132)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 신호를 채널 추정부(141)로부터 전달되는 채널 추정값에 기초하여 복조한다. 또한, 복조부(133)는, 이 복조된 데이터 신호를 제어 정보 선택부(138)로부터 받은 변조 방식에 대응하는 복조 방식에 의해 복조한다. 복조된 데이터는 데이터 복호부(134)에 보내진다.
데이터 복호부(134)는, 복조된 데이터를 제어 정보 선택부(138)로부터 받은 부호화율 및 부호화 방식에 기초하여 복호한다. 복호된 데이터는 오류 검출부(135)에 전달된다. 또한, 데이터 복호부(134)는, 복호된 데이터의 선두에 배치되어 있는 인밴드 정보를 추출한다. 데이터 복호부(134)는, 이 인밴드 정보의 유무 정보 필드에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동일 위치 정보 필드에 설정되어 있는 위치(어드레스) 정보에 기초하여, 당해 복호된 데이터 로부터 제어 정보 파트 2를 추출한다. 데이터 복호부(134)는, 오류 검출부(135)로부터 통지된 오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당해 검출 결과가 오류 없음(정상)이었던 경우에는, 복호된 유저 데이터를 다른 기능부(도시 생략)에 출력하고, 제어 정보 파트 2를 상향 송신 프레임 생성부(148)에 보낸다.
또한, 이 제어 정보 파트 2에 대해서는, 인밴드 정보의 유무 정보 필드에 「없음」을 나타내는 정보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어 정보 선택부(138)로부터 받은 제어 정보 파트 2가 상향 송신 프레임 생성부(148)에 보내지도록 해도 되며, 인밴드 정보의 유무 정보 필드에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데이터 복호부(134)에 의해 추출된 제어 정보 파트 2가 보내지도록 해도 된다.
오류 검출부(135)는, 복호된 데이터에 관하여 CRC를 검사함으로써 오류 검출을 한다. 이 오류 검출 결과는, 데이터 복호부(134)에 피드백된다.
상향 송신 프레임 생성부(148)는, 데이터 복호부(134)로부터 받은 제어 정보 파트 2 및 CQI 정보 생성부(143)로부터 받은 CQI 정보를 제어 정보로 하고, 다른 기능부(도시 생략)로부터 받은 유저 데이터로부터 송신 프레임을 생성한다. 이 때, 상향 송신 프레임 생성부(148)는, 제어 정보를 소정의 부호화율(1/3) 및 부호화 방식(컨볼루션 부호화)으로 부호화하여, 시스템 고정의 변조 방식(QPSK)으로 변조한다. 또한, 유저 데이터는, 데이터 복호부(134)로부터 받은 제어 정보 파트 2에 포함되는 부호화율로 소정의 부호화가 실시되어, 상기 제어 정보 파트 2에 포함되는 변조 방식으로 변조된다. 이와 같이 생성된 상향 송신 프레임은, 디지털/아 날로그 변환, 주파수 변환 등의 처리가 실시되어, 송신 안테나(150)로부터 송출된다.
<동작예>
이하, 제1 실시예에서의 기지국(500) 및 이동국(501 및 502)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제1 실시예에서의 기지국(500)의 송신 동작에 대해서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기지국(500)은, 이동국(501)에의 데이터를 송신할 때에는, 제어 정보 파트 2를 인밴드하지 않고 당해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것은, 데이터 구성부(105)에서, 레이트 결정부(123)에 의해 결정되는 송신 무선 프레임에 관한 데이터 채널의 부호화율이 시스템에서 고정된 제어 채널의 부호화율보다 작아지지 않기 때문에 제어 정보 파트 2를 데이터 채널 내에 배치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기 때문이다.
한편, 기지국(500)은, 이동국(502)에의 데이터를 송신할 때에는, 제어 정보 파트 2를 인밴드하여 당해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 경우에는, 이동국(502)으로부터 통지되는 CQI의 값이 열악하여, 레이트 결정부(123)에 의해 결정되는 데이터 채널의 부호화율이 시스템에서 고정된 제어 채널의 부호화율보다도 작아진다. 이에 의해, 데이터 구성부(105)는 제어 정보 파트 2를 데이터 채널 내에 배치한다.
다음으로, 제1 실시예에서의 이동국(501 및 502)의 수신 동작에 대해서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제1 실시예에서의 이동국(501 및 502)의 수신 동작예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분리부(132)는, 수신부(131)로부터 수신 신호를 받으면, 이 수신 신호를 파 일롯 신호, 제어 정보 신호, 데이터 신호로 분리시킨다. 채널 추정부(141)는, 이 분리된 파일롯 신호로부터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의 채널의 추정을 행한다(S801). 추정된 채널 추정값은, 제어 정보 신호에 관한 복조부(136)에 보내져, 복조부(136)에 의해 제어 정보 신호가 당해 채널 추정값에 기초하여 복조된다. 또한, 복조부(136)는, 기지국(500)에서 실시된 변조 방식(QPSK)에 대응하는 복조 방식에 의해 이 제어 정보 신호를 복조한다(S802). 또한, 제어 정보 복호부(137)가 이 복조된 제어 정보 데이터를 기지국(500)에서 실시된 부호화율(1/3) 및 부호화 방식(컨볼루션 부호화)에 대응하는 복호 방식에 의해 복호한다(S802).
복호된 제어 정보 데이터는 오류 검출부(139)에 보내져, 오류 검출부(139)에 의해 CRC 검사된다. 그 결과 오류 없음으로 판정된 경우(S803;"예"), 제어 정보 선택부(138)는, 제어 정보 데이터에 포함되는 제어 정보 파트 1을 복조부(133) 및 데이터 복호부(134)에 전달한다. 복조부(133)는, 분리부(132)로부터의 데이터 신호를 채널 추정부(141)로부터의 채널 추정값에 의해 복조하고, 또한, 제어 정보 선택부(138)로부터 받은 제어 정보 파트 1에 포함되는 변조 방식에 대응하는 복조 방식에 의해 복조한다(S804). 또한, 이 때, 제어 정보 선택부(138)는, 제어 정보 파트 2가 제어 채널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제어 정보 파트 2를 추출하여, 데이터 복호부(134)에 전달한다.
한편, 오류 검출부(139)에 의해 오류 있음으로 판정된 경우(S803:"아니오"), 제어 정보 추정부(142)는, CQI 정보 생성부(143)로부터의 CQI(SINR)에 의해 변조 방식 및 부호화율을 추정한다(S805). 이 제어 정보 추정부(142)에 의한 추정 방법 은, 기지국(500)의 레이트 결정부(123)의 변조 방식 및 부호화율의 결정 방법과 마찬가지이다. 이 추정된 변조 방식은 복조부(133)에 보내지고, 부호화율은 데이터 복호부(134)에 보내진다. 이에 의해서, 제어 채널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는, 복조부(133)는, 제어 정보 추정부(142)에 의해 추정된 변조 방식에 의해 데이터를 복조한다(S806).
데이터 복호부(134)는, 제어 채널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는, 제어 정보 추정부(142)에 의해 추정된 부호화율에 따라서 소정의 복호를 행하고, 제어 채널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제어 채널의 제어 정보 파트 1에 설정되어 있던 부호화율에 따라서 소정의 복호를 행한다(S807). 복호된 CRC가 오류 검출부(135)에 의해 검사됨으로써, 데이터 채널에 배치된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하고 있는지의 여부가 체크된다. 그래서, 데이터에 오류가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S808;"아니오"), 재송 요구가 이루어진다.
데이터 복호부(134)는, 제어 정보 선택부(138)로부터 통지되어 있는 제어 채널에 오류가 발생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정보에 의해, 오류가 없는 경우에는(S809;"예"), 제어 채널 내의 제어 정보 파트 2를 상향 송신 프레임 생성부(148)에 보낸다. 한편, 오류가 있는 경우이며(S809;"아니오") 또한 인밴드되어 경우에는 (S810;"예"), 데이터 복호부(134)는, 데이터 채널 내에 인밴드된 제어 정보 파트 2를 상향 송신 프레임 생성부(148)에 보낸다(S811). 또한, 제어 채널에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이며(S809;"아니오") 또한 인밴드되어 있지 않은 경우(S810;"아니오")에는, 재송 요구가 이루어진다.
<실시예의 작용 효과>
제1 실시예에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본래 제어 채널에서 전송될 제어 정보가, 하향 제어 정보로 이루어지는 제어 정보 파트 1과 상향 제어 정보로 이루어지는 제어 정보 파트 2로 나누어지고, 당해 제어 정보 파트 2가 중복해서 제어 채널과 데이터 채널에 배치된 프레임 포맷이 이용된다.
기지국(500)에서는, 데이터 구성부(105)가, 레이트 결정부(123)에 의해 결정되는 데이터 채널의 부호화율과 시스템에서 고정된 제어 채널의 부호화율을 비교하여, 제어 정보 파트 2를 데이터 채널에 인밴드할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레이트 결정부(123)에서는, 송신처로 되는 이동국과의 채널 상태(CQI)에 따라서 데이터 채널의 부호화율 등이 결정된다. 그리고, 이동국(501)과 같이 기지국(500)의 근변에 위치하여 채널 상태가 양호한 이동국에 대하여 송신하는 경우에는, 제어 정보 파트 2를 인밴드하지 않는 무선 프레임 포맷이 이용된다. 한편, 이동국(502)과 같이 셀단 부근에 위치하여 채널 상태가 열악한 이동국에 대하여 송신하는 경우에는, 제어 정보 파트 2를 인밴드한 무선 프레임 포맷이 이용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송신처로 되는 이동국과의 채널 상태에 따라서, 당해 채널 상태가 양호한 경우(데이터 채널의 부호화율이 제어 채널의 부호화율보다 작아지지 않는 경우)에 인밴드되지 않고, 당해 채널 상태가 나쁜 경우(데이터 채널의 부호화율이 제어 채널의 부호화율보다 작아지는 경우)에 인밴드되도록 결정된다.
이러한 프레임 포맷을 이용함으로써,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채널의 사이 즈를 크게 할 필요가 없어, 송신 프레임의 오버헤드가 극단적으로 증가하지도 않는다.
이동국에서는, 제어 채널 중 제어 정보 신호가 시스템 고정의 복조 방식, 부호화율 및 복호 방식에 의해 복조 및 복호된다. 복조 및 복호된 제어 정보 데이터는, 오류 검출부(139)에 의해 CRC 검사되어, 당해 제어 정보 데이터에 오류가 있는지의 여부가 체크된다. 여기서, 오류가 있다고 판정된 경우, 제어 정보 데이터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제어 정보 추정부(142)가 CQI 정보 생성부(143)에 의해 생성된 CQI에 기초하여 변조 방식 및 부호화율을 추정한다. 이후, 데이터 채널 중 데이터는, 제어 채널에 오류가 없는 경우에는 제어 채널 중 제어 정보에 의해 복조 및 복호되며, 제어 채널에 오류가 있는 경우에는 제어 정보 추정부(142)에 의해 추정된 변조 방식, 부호화율 및 복호 방식에 의해 복조 및 복호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 채널 중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도, 당해 제어 채널 내에 배치될 제어 정보가 그 생성원으로 되는 기지국(500)의 생성 방법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추정되며, 그 추정된 제어 정보가 이용되어 데이터 채널이 복조 및 복호된다.
따라서, 본래, 제어 채널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는 재송을 재촉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동등한 제어 정보에 의해 데이터 채널을 복조 및 복호할 수 있어, 재송을 재촉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에 의해, 셀단 부근에 위치하는 이동국과의 통신에서 제어 채널에 오류가 빈발하는 경우에도, 재송이 반복됨으로써 시스템 전체적인 전송 효율의 저하를 야기시키는 현상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이동국에서는, 제어 채널에 오류가 발생하고 있어 제어 정보 파트 2가 데이터 채널에 인밴드되어 있는 경우에는, 데이터 채널 내의 제어 정보 파트 2에 의해 상향 송신 프레임이 생성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본래, 제어 정보에 포함되는 상향 제어 정보를 제어 채널에 오류가 발생함으로써 취득할 수 없는 경우에도, 당해 정보가 데이터 채널에 인밴드되어 있기 때문에, 그 인밴드된 상향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상향 송신을 위한 프레임이 생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재송을 요구하는 빈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시스템 전체적인 스루풋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은, 발명의 실시예의 개요의 항에서 설명한 도 1에 도시하는 예에 상당하는 프레임 포맷, 즉, 제어 정보 파트 2를 중복해서 제어 채널(CCH)과 데이터 채널(DCH)에 배치하는 구성을 갖는 프레임 포맷을 이용한 것이었다. 제2 실시예에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은, 발명의 실시예의 개요의 항에서 설명한 도 2에 도시하는 예에 상당하는 프레임 포맷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하, 제2 실시예에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기지국(500), 이동국(501 및 502)에 관하여, 제1 실시예와는 상이한 기능부를 중심으로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제2 실시예의 구성은 예시이며,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시스템 구성에 대해서는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프레임 포맷]
제2 실시예에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용하는 프레임 포맷에 대해서 도 9 및 도 1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은, 제2 실시예에서의 프레임 포맷을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기지국(500)으로부터 이동국(501 혹은 502)에 송신되는 프레임(다운 링크의 프레임)의 포맷을 도시한다. 제2 실시예에서의 프레임 포맷은, 발명의 실시예의 개요의 항에서 설명한 도 2에 도시하는 예에 상당하는 것으로, 제어 정보 파트 2를 데이터 채널(DCH)에만 배치하는 구성을 갖는 것이다. 도 9는, 인밴드하지 않는 경우의 프레임 포맷을 나타내며, 도 10은, 인밴드하는 경우의 프레임 포맷을 나타낸다.
제2 실시예에서의 제어 정보의 분류 방법에 대해서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한다. 즉, 하향 제어 정보를 제어 정보 파트 1(PART1)로 하고, 상향 제어 정보를 제어 정보 파트 2(PART2)로 한다. 또한, 상향 제어 정보에 포함되는 상세 정보 및 하향 제어 정보에 포함되는 상세 정보에 대해서도 제1 실시예와 다르지 않다.
제2 실시예에서의 프레임 포맷에서는, 헤더 채널(HCH)이 부가되어 있다. 헤더 채널은 인밴드 정보와 CRC를 포함하고 있다. 인밴드 정보는, 제어 정보 파트 2가 데이터 채널에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유무 정보 및 데이터 채널 중 제어 정보 파트 2가 배치되어 있는 위치를 나타내는 배치 정보를 포함한다. 유무 정보 필드에는, 인밴드되는 경우에는 「있음」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가 설정되며, 인밴드되지 않는 경우에는 「없음」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가 설정된다. 배치 정보 필드에는, 인밴드되는 경우의 데이터 채널 중 제어 정보 파트 2에 관하여, 그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가 설정된다. CRC에는, 헤더 채널에 포함되는 데이터에 관한 CRC 비트가 설정된다.
도 9에 도시하는 인밴드되지 않는 경우의 프레임 포맷에서는, 제어 정보 파트 1 및 제어 정보 파트 2가 함께 제어 채널에 배치되며, 데이터 채널에는 유저 데이터만이 배치된다. 한편, 도 10에 도시하는 인밴드된 경우의 프레임 포맷에서는, 제어 정보 파트 1이 제어 채널에 배치되며, 제어 정보 파트 2가 데이터 채널에 배치된다. 이 경우의 데이터 채널에는 유저 데이터와 제어 정보 파트 2가 각각 배치된다.
[기지국]
이하, 제2 실시예에서의 기지국(500)의 장치 구성에 대해서 도 1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제2 실시예에서의 기지국(500)의 송신 기능에 관련되는 장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제2 실시예에서의 기지국(500)은, 송신 기능으로서, 제1 실시예의 구성에 외에, 헤더 생성부(171) 및 변조부(172)를 갖는다. 그 이외의 기능부로서는, 데이터 구성부(105) 및 다중부(109)에 관한 기능이 변화되기 때문에 이들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나머지의 기능부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데이터 구성부(105)는, 도 9 또는 도 10에 도시하는 프레임 포맷 중 데이터 채널에 배치하는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 때, 데이터 구성부(105)는, 레이트 결정부(123)로부터 받은 데이터 채널의 부호화율과 시스템에서 고정된 제어 채널의 부 호화율을 비교하여, 제어 정보 파트 2 생성부(103)로부터 받은 제어 정보 파트 2를 인밴드할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데이터 구성부(105)는, 데이터 채널의 부호화율이 제어 채널의 부호화율보다도 작은 경우에는, 제어 정보 파트 2를 데이터 채널 중 소정의 위치에 배치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제어 정보 파트 2를 데이터 채널 내에 배치하지 않는다. 데이터 구성부(105)는, 제어 정보 파트 2를 인밴드하는 경우에는, 인밴드하는 취지 및 제어 정보 파트 2의 위치(오프셋 어드레스 등)를 헤더 생성부(171)에 통지한다.
헤더 생성부(171)는, 데이터 구성부(105)로부터의 통지에 기초하여, 헤더 채널에 배치하는 인밴드 정보 데이터 및 CRC 데이터를 생성한다. 헤더 생성부(171)는, 인밴드 정보 데이터에 대해서는, 데이터 구성부(105)로부터 통지된 인밴드의 유무를 유무 정보 필드에 설정하고, 마찬가지로 통지된 제어 정보 파트 2의 위치를 배치 정보 필드에 설정함으로써 생성한다. 그리고, 헤더 생성부(171)는, 생성된 인밴드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CRC 비트를 생성한다.
헤더 생성부(171)는, 이와 같이 생성된 데이터를 소정의 부호화율로 부호화한다. 이 헤더 생성부(171)에서 실시되는 부호화율 및 부호화 방식에는, 시스템에서 고정된 부호화율 및 부호화 방식이 이용되며, 예를 들면 부호화율 1/3의 컨볼루션 부호화가 이용된다. 부호화된 데이터는, 변조부(172)에 의해 소정의 변조 처리가 실시되어, 다중부(109)에 전달된다. 변조부(172)에서 실시되는 변조 방식에 대해서도, 시스템에서 고정된 방식이 이용되며, 예를 들면 QPSK가 이용된다. 또한, 이러한 헤더 채널에 관한 부호화율, 부호화 방식 및 변조 방식은, 시스템에서 고정 된 방식이 이용되지만, 이들은 조정 가능하게 테이블 등에 유지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헤더 채널에 관한 부호화율, 부호화 방식 및 변조 방식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중부(109)는, 각각 변조된 파일롯 신호, 제어 정보 신호, 데이터 신호 및 헤더 신호를 각각 다중화하여, 송신부(110)에 전달한다. 송신부(110)에 전달된 다중화 신호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주파수 변환 등의 처리가 실시되어, 송신 안테나(115)로부터 송출된다.
[이동국]
이하, 제2 실시예에서의 이동국(501 및 502)의 장치 구성에 대해서 도 1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제2 실시예에서의 이동국(501 및 502)의 수신 기능에 관련되는 장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또한, 이동국(501 및 502)은 각각 동일한 장치이기 때문에, 이하의 설명은 이동국(501)에 대해서 행하는 것으로 한다. 제2 실시예에서의 이동국(501)은, 수신 기능으로서, 제1 실시예의 구성에 부가하여, 복조부(181) 및 헤더 복호부(182)를 갖는다. 그 이외의 기능부로서는, 분리부(132), 제어 정보 선택부(138) 및 데이터 복호부(134)에 관한 기능이 변화되기 때문에 이것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나머지의 기능부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분리부(132)는, 수신부(131)로부터 수신 신호를 받으면, 우선, 헤더 신호, 파일롯 신호를 분리한다. 분리된 파일롯 신호는 채널 추정부(141)에 전달된다. 헤더 신호는 복조부(181)에 전달된다. 분리부(132)는, 헤더 복호부(182)로부터 복 호된 데이터를 받으면, 그 데이터 중 인밴드 정보를 참조하여, 인밴드의 유무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분리부(132)는, 인밴드 정보 중 유무 정보 필드에 「있음」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인밴드 있음으로 판단하고, 또한, 위치 정보 필드에 설정되어 있는 제어 정보 파트 2의 위치 정보를 취득한다. 반대로, 분리부(132)는, 인밴드 정보 중 유무 정보 필드에 「없음」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인밴드 없음으로 판단한다.
제2 실시예에서는 인밴드 유무에 의해서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의 사이즈가 변화되기 때문에(도 9 및 도 10 참조), 분리부(132)는, 이 인밴드 유무의 판단 결과에 따라서, 제어 채널과 데이터 채널을 분리한다. 분리된 제어 정보 신호는, 인밴드 정보와 함께 복조부(136)에 보내진다. 마찬가지로, 분리된 데이터 신호는, 인밴드 정보와 함께 복조부(133)에 보내진다.
복조부(181)는, 채널 추정부(141)로부터 전달된 채널 추정값에 기초하여, 분리부(132)로부터 전달되는 헤더 신호를 복조한다. 또한, 복조부(181)는, 기지국(500)에 의해 실시된 변조 방식(QPSK)에 대응하는 복조 방식에 의해 당해 헤더 신호를 복조한다. 이 복조 방식은, 대응하는 변조 방식이 기지국(500)에서 시스템 고정의 방식으로서 유지되고 있는 바와 같이, 시스템에서 고정된 방식이 이용된다. 복조된 헤더 신호는, 헤더 복호부(182)에 전달된다.
헤더 복호부(182)는, 당해 헤더 신호에 관하여, 기지국(500)에 의해 실시된 부호화율(1/3) 및 부호화 방식(컨볼루션 부호화)에 대응하는 복호화 방식에 의해, 복조부(181)로부터 전달된 헤더 신호를 복호한다. 이 복호화 방식은, 대응하는 부 호화율 및 부호화 방식이 기지국(500)에서 시스템 고정의 방식으로서 유지되고 있는 바와 같이, 시스템에서 고정된 방식이 이용된다. 복호된 데이터, 즉 인밴드 정보와 CRC는 분리부(132)에 보내진다.
분리부(132)로부터 복조부(136) 및 제어 정보 복호부(137)를 경유하여 인밴드 정보를 받은 제어 정보 선택부(138)는, 이 인밴드 정보와 오류 검출부(139)로부터 보내지는 검출 결과에 따라서 데이터 채널의 복조에 이용되는 제어 정보를 선택한다. 제어 정보 선택부(138)는, 당해 인밴드 정보 중 유무 정보 필드에 「있음」이 설정되어 있고, 또한 당해 검출 결과가 오류 없음(정상)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제어 정보 복호부(137)로부터 보내져 오는 제어 정보 파트 1 중 변조 방식을 복조부(133)에 보내고, 부호화율을 데이터 복호부(134)에 보낸다. 제어 정보 선택부(138)는, 당해 인밴드 정보 중 유무 정보 필드에 「없음」이 설정되어 있고, 또한 당해 검출 결과가 오류 없음(정상)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제어 정보 복호부(137)로부터 보내져 오는 제어 정보 데이터 중 제어 정보 파트 1 및 제어 정보 파트 2를 각각 취득한다. 제어 정보 파트 1 중 변조 방식에 대해서는 복조부(133)에 보내지고, 부호화율에 대해서는 데이터 복호부(134)에 보내지며, 제어 정보 파트 2는 그대로 데이터 복호부(134)에 보내진다. 또한, 당해 인밴드 정보 중 유무 정보 필드에 「있음」이 설정되어 있고, 또한 당해 검출 결과가 오류 발생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제어 정보 선택부(138)는, 제어 정보 추정부(142)에서 추정된 제어 정보 파트 1을 복조부(133) 및 데이터 복호부(134)에 각각 보낸다. 당해 인밴드 정보 중 유무 정보 필드에 「없음」이 설정되어 있고, 또한 당해 검출 결과가 오류 발생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제어 정보 선택부(138)는, 재송 요구 처리(도시 생략)를 의뢰한다.
데이터 복호부(134)는, 복조된 데이터를 제어 정보 선택부(138)로부터 받은 부호화율 및 부호화 방식에 기초하여 복호한다. 복호된 데이터는 오류 검출부(135)에 전달된다. 또한, 데이터 복호부(134)는, 분리부(132)로부터 복조부(133)를 경유하여 전달된 인밴드 정보에 기초하여, 복호된 데이터로부터 제어 정보 파트 2를 추출한다. 구체적으로는, 데이터 복호부(134)는, 당해 인밴드 정보 중 유무 정보 필드에 「있음」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동일 위치 정보 필드에 설정되어 있는 위치(어드레스) 정보에 기초하여, 당해 복호된 데이터로부터 제어 정보 파트 2를 추출한다. 데이터 복호부(134)는, 오류 검출부(135)로부터 통지된 오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당해 검출 결과가 오류 없음(정상)이었던 경우에는, 복호된 유저 데이터를 다른 기능부(도시 생략)에 출력하고, 제어 정보 파트 2를 상향 송신 프레임 생성부(148)에 보낸다. 또한, 데이터 복호부(134)는, 당해 인밴드 정보 중 유무 정보 필드에 「없음」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가 설정되어 있고, 또한 오류 검출부(135)로부터 통지된 오류 검출 결과가 오류 없음(정상)이었던 경우에는, 복호된 유저 데이터를 다른 기능부(도시 생략)에 출력하고, 제어 정보 선택부(138)로부터 보내져 오는 제어 정보 파트 2를 상향 송신 프레임 생성부(148)에 보낸다.
<동작예>
이하, 제2 실시예에서의 기지국(500) 및 이동국(501 및 502)의 동작에 대해 서 설명한다. 우선, 제2 실시예에서의 기지국(500)의 송신 동작에 대해서 도1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기지국(500)은, 이동국(501)에의 데이터를 송신할 때에는, 제어 정보 파트 2를 인밴드하지 않고 당해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것은, 데이터 구성부(105)에서, 레이트 결정부(123)에 의해 결정되는 송신 무선 프레임에 관한 데이터 채널의 부호화율이 시스템에서 고정된 제어 채널의 부호화율보다 작아지지 않기 때문에 제어 정보 파트 2를 데이터 채널 내에 배치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기 때문이다. 이 경우에는, 헤더 생성부(171)에서 생성되는 인밴드 정보에는, 유무 정보 필드에 「없음」을 나타내는 정보가 설정된다.
한편, 기지국(500)은, 이동국(502)에의 데이터를 송신할 때에는, 제어 정보 파트 2를 인밴드해서 당해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 경우에는, 이동국(502)으로부터 통지되는 CQI의 값이 열악하여, 레이트 결정부(123)에 의해 결정되는 데이터 채널의 부호화율이 시스템에서 고정된 제어 채널의 부호화율보다도 낮아진다. 이에 의해, 데이터 구성부(105)는 제어 정보 파트 2를 데이터 채널 내에 배치한다. 이 경우에는, 헤더 생성부(171)에서 생성되는 인밴드 정보에는, 유무 정보 필드에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가 설정되고, 위치 정보 필드에 데이터 채널 내의 제어 정보 파트 2의 위치 정보가 설정된다.
다음으로, 제2 실시예에서의 이동국(501 및 502)의 수신 동작에 대해서 도 12 및 도 1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제2 실시예에서의 이동국(501 및 502)의 수신 동작예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분리부(132)는, 수신부(131)로부터 수신 신호를 받으면, 이 수신 신호로부터 파일롯 신호 및 헤더 신호를 분리시킨다. 채널 추정부(141)는, 이 분리된 파일롯 신호로부터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의 채널의 추정을 행한다(S1301). 추정된 채널 추정값은, 헤더 신호에 관한 복조부(181)에 보내져, 복조부(181)에 의해 헤더 신호가 당해 채널 추정값에 기초하여 복조된다. 또한, 복조부(181)는, 기지국(500)에서 실시된 변조 방식(QPSK)에 대응하는 복조 방식에 의해 이 헤더 신호를 복조한다(S1302). 또한, 헤더 복호부(182)가 이 복조된 헤더 데이터를 기지국(500)에서 실시된 부호화율(1/3) 및 부호화 방식(컨볼루션 부호화)에 대응하는 복호 방식에 의해 복호한다(S1302).
분리부(132)는, 이 복호된 헤더 채널에 배치되는 CRC를 검사하여, 헤더 채널에 오류가 발생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헤더 채널에 오류가 있는 경우에는(S1303;"아니오"), 처리가 종료된다. 한편, 헤더 채널에 오류가 없는 경우에는(S1303;"예"), 분리부(132)는, 헤더 복호부(182)로부터 전달된 인밴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정보 파트 2가 인밴드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파악하여, 제어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수신 신호로부터 분리한다.
복조부(136)는, 분리된 제어 신호를 당해 채널 추정값에 기초하여 복조한다. 또한, 복조부(136)는, 기지국(500)에서 실시된 변조 방식(QPSK)에 대응하는 복조 방식에 의해 이 제어 정보 신호를 복조한다(S1304). 또한, 제어 정보 복호부(137)가 이 복조된 제어 정보 데이터를 기지국(500)에서 실시된 부호화율(1/3) 및 부호화 방식(컨볼루션 부호화)에 대응하는 복호 방식에 의해 복호한다(S1304).
복호된 제어 정보 데이터는 오류 검출부(139)에 보내져, 오류 검출부(139)에 의해 CRC 검사된다. 그 결과 오류 없음으로 판정된 경우(S1305;"예"), 제어 정보 선택부(138)는, 제어 정보 데이터에 포함되는 제어 정보 파트 1을 복조부(133) 및 데이터 복호부(134)에 전달한다. 복조부(133)는, 분리부(132)로부터의 데이터 신호를 채널 추정부(141)로부터의 채널 추정값에 의해 복조하고, 또한, 제어 정보 선택부(138)로부터 받은 제어 정보 파트 1에 포함되는 변조 방식에 대응하는 복조 방식에 의해 복조한다(S1306). 또한, 이 때, 제어 정보 선택부(138)는, 제어 정보 파트 2가 제어 채널에 있는 경우에는, 그 제어 정보 파트 2를 추출하여, 데이터 복호부(134)에 전달한다.
한편, 오류 검출부(139)에 의해 오류 있음으로 판정된 경우(S1305;"아니오"), 제어 정보 추정부(142)는, CQI 정보 생성부(143)로부터의 CQI(SINR)에 의해 변조 방식 및 부호화율을 추정한다(S1307). 이 제어 정보 추정부(142)에 의한 추정 방법은, 기지국(500)의 레이트 결정부(123)의 변조 방식 및 부호화율의 결정 방법과 마찬가지이다. 이 추정된 변조 방식은 복조부(133)에 보내지고, 부호화율은 데이터 복호부(134)에 보내진다. 이에 의해, 제어 채널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는, 복호부(133)는, 제어 정보 추정부(142)에 의해 추정된 변조 방식에 의해 데이터를 복조한다(S1308).
데이터 복호부(134)는, 제어 채널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는, 제어 정보 추정부(142)에 의해 추정된 부호화율에 따라서 소정의 복호를 행하고, 제어 채널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제어 채널의 제어 정보 파트 1에 설정되어 있던 부호화율에 따라서 소정의 복호를 행한다(S1309). 복호된 CRC가 오류 검출부(135)에 의해 검사됨으로써, 데이터 채널에 배치된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하고 있는지의 여부가 체크된다. 그래서, 데이터에 오류가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S1310;"아니오"), 재송 요구가 이루어진다.
데이터 복호부(134)는, 제어 정보 선택부(138)로부터 통지되어 있는 제어 채널에 오류가 발생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정보에 의해, 오류가 없는 경우에는 (S1311;"예"), 제어 채널 내의 제어 정보 파트 2를 상향 송신 프레임 생성부(148)에 보낸다. 한편, 오류가 있는 경우이며(S1311;"아니오") 또한 인밴드되어 있는 경우에는(S1312;"예"), 데이터 복호부(134)는, 데이터 채널 내에 인밴드된 제어 정보 파트 2를 상향 송신 프레임 생성부(148)에 보낸다(S1313). 또한, 제어 채널에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이며(S1311;"아니오") 또한 인밴드되어 있지 않은 경우(S1312;"아니오")에는, 재송 요구가 이루어진다.
<실시예의 작용 효과>
제2 실시예에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인밴드되는 경우에는, 당해 제어 정보 파트 2가 데이터 채널에만 배치되는 프레임 포맷이 이용된다. 이에 따라서, 제2 실시예에서의 프레임에서는 인밴드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 채널이 부가된다. 이것은, 이 프레임 포맷에서는 제어 채널의 사이즈가 인밴드되는 경우와 인밴드되지 않는 경우에 가변으로 되기 때문이다.
이에 의해, 당해 프레임을 수신한 이동국은, 이 헤더 채널의 인밴드 정보를 참조하면, 인밴드의 유무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부가된 인밴드 정보에는, 결국, 유무 정보 및 위치 정보가 포함되는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송신 프레임의 오버헤드가 극단적으로 증가하지도 않는다.
또한, 인밴드할 필요가 있는 채널 상태가 나쁜 이동국에의 송신 시에는, 상향 제어 정보가 데이터 채널에 배치되기 때문에, 제어 채널의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송신 프레임의 오버헤드를 경감시킬 수 있다.
[기타]
본 실시예는 다음의 발명을 개시한다. 각 항에 개시되는 발명은, 필요에 따라서 가능한 한 조합할 수 있다.
(부기 1)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을 포함하는 무선 프레임을 이용하여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
송신 무선 프레임에 관하여, 통신 제어에 이용되는 제어 정보의 일부를 제2 제어 정보로 하여 상기 데이터 채널에 배치하는 구성 수단을 구비하는 무선 통신 장치.(1)
(부기 2)
상기 송신 무선 프레임에 관한 데이터 채널의 용장도를 송신 상대의 무선 통신 장치와의 사이의 채널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레이트 결정 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구성 수단은, 상기 결정된 데이터 채널의 용장도가 상기 제어 채널의 용장도보다도 높아진 경우에, 상기 제2 제어 정보를 상기 데이터 채널에 배치하는 부기 1에 기재된 무선 통신 장치.(2)
(부기 3)
상기 구성 수단은, 상기 제2 제어 정보를 상기 제어 채널 및 상기 데이터 채널에 중복해서 배치하는 부기 1 또는 2에 기재된 무선 통신 장치.(3)
(부기 4)
상기 구성 수단은, 상기 송신 무선 프레임을 수신한 무선 통신 장치에서의 복조 처리 및 복호 처리에 이용되는 정보를 제1 제어 정보로 하여 상기 제어 채널에 배치하고, 그 밖의 정보를 상기 제2 제어 정보로 하는 부기 1 또는 2에 기재된 무선 통신 장치.(4)
(부기 5)
상기 구성 수단은, 상기 송신 무선 프레임에 관하여, 상기 제어 정보 중, 수신 무선 프레임에 관한 제어 정보를 상기 제2 제어 정보로 하는 부기 1 또는 2에 기재된 무선 통신 장치.(5)
(부기 6)
수신된 제어 채널에 배치되어 있는 데이터의 오류를 검출하는 오류 검출 수단과,
상기 수신된 제어 채널에 배치될 제어 정보를 추정하는 추정 수단과,
상기 오류 검출 수단에 의해 오류가 검출된 경우에, 상기 추정 수단에 의해 추정된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된 데이터 채널에 배치되어 있는 데이터를 복조 및 복호하는 복조 복호 수단
을 더 구비하는 부기 1 또는 2에 기재된 무선 통신 장치.
(부기 7)
상기 복조 복호 수단에 의해 복조 및 복호된 데이터에 포함되는 제어 정보를 추출하고, 그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송신할 상기 제어 채널 및 상기 데이터 채널을 생성하는 생성 수단을 더 구비하는 부기 6에 기재된 무선 통신 장치.
(부기 8)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을 포함하는 무선 프레임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
수신된 제어 채널에 배치되어 있는 데이터의 오류를 검출하는 오류 검출 수단과,
상기 수신된 제어 채널에 배치될 제어 정보를 추정하는 추정 수단과,
상기 오류 검출 수단에 의해 오류가 검출된 경우에, 상기 추정 수단에 의해 추정된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된 데이터 채널에 배치되어 있는 데이터를 복조 및 복호하는 복조 복호 수단
을 구비하는 무선 통신 장치.(6)
(부기 9)
상기 복조 복호 수단에 의해 복조 및 복호된 데이터에 포함되는 제어 정보를 추출하고, 그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송신 무선 프레임에 관한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에 배치되는 데이터를 각각 생성하는 생성 수단을 더 구비하는 부기 8에 기 재된 무선 통신 장치.(7)
(부기 10)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을 포함하는 무선 프레임을 이용한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송신 무선 프레임에 관하여, 통신 제어에 이용되는 제어 정보의 일부를 제2 제어 정보로 하여 상기 데이터 채널에 배치하는 구성 단계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방법.(8)
(부기 11)
상기 송신 무선 프레임에 관한 데이터 채널의 용장도를 송신 상대의 무선 통신 장치와의 사이의 채널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레이트 결정 단계를 더 구비하며,
상기 구성 단계는, 상기 결정된 데이터 채널의 용장도가 상기 제어 채널의 용장도보다도 높아진 경우에, 상기 제2 제어 정보를 상기 데이터 채널에 배치하는 부가 10에 기재된 무선 통신 방법.(9)
(부기 12)
상기 구성 단계는, 상기 제2 제어 정보를 상기 제어 채널 및 상기 데이터 채널에 중복해서 배치하는 부기 10에 기재된 무선 통신 방법.
(부기 13)
상기 구성 단계는, 상기 제어 정보 중, 상기 송신 무선 프레임을 수신한 무선 통신 장치에서의 복조 처리 및 복호 처리에 이용되는 정보를 제1 제어 정보로 하여 상기 제어 채널에 배치하고, 그 밖의 정보를 상기 제2 제어 정보로 하는 부기 10에 기재된 무선 통신 방법.
(부기 14)
상기 구성 단계는, 상기 송신 무선 프레임에 관하여, 상기 제어 정보 중 수신 무선 프레임에 관한 제어 정보를 상기 제2 제어 정보로 하는 부기 10에 기재된 무선 통신 방법.
(부기 15)
수신된 제어 채널에 배치되어 있는 데이터의 오류를 검출하는 오류 검출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제어 채널에 배치될 제어 정보를 추정하는 추정 단계와,
상기 오류 검출 단계에 의해 오류가 검출된 경우에, 상기 추정 단계에 의해 추정된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된 데이터 채널에 배치되어 있는 데이터를 복조 및 복호하는 복조 복호 단계
을 더 구비하는 부기 1O에 기재된 무선 통신 방법.
(부기 16)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을 포함하는 무선 프레임을 이용한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수신된 제어 채널에 배치되어 있는 데이터의 오류를 검출하는 오류 검출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제어 채널에 배치될 제어 정보를 추정하는 추정 단계와,
상기 오류 검출 단계에 의해 오류가 검출된 경우에, 상기 추정 단계에 의해 추정된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된 데이터 채널에 배치되어 있는 데이터를 복조 및 복호하는 복조 복호 단계
을 더 구비하는 무선 통신 방법.(10)
(부기 17)
상기 복조 복호 단계에 의해 복조 및 복호된 데이터에 포함되는 제어 정보를 추출하고, 그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송신 무선 프레임에 관하여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에 배치되는 데이터를 각각 생성하는 생성 단계를 더 구비하는 부기 15 또는 16에 기재된 무선 통신 방법.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프레임의 오버헤드를 증가시키지 않고, 스루풋을 향상시키는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Claims (17)

  1.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을 포함하는 무선 프레임을 이용하여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
    송신 무선 프레임에 관하여, 통신 제어에 이용되는 제어 정보의 일부를 제2 제어 정보로 하여 상기 데이터 채널에 배치하는 구성 수단
    을 구비하는 무선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무선 프레임에 관한 데이터 채널의 용장도를 송신 상대의 무선 통신 장치와의 사이의 채널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레이트 결정 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구성 수단은, 상기 결정된 데이터 채널의 용장도가 상기 제어 채널의 용장도보다도 높아진 경우에, 상기 제2 제어 정보를 상기 데이터 채널에 배치하는 무선 통신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수단은, 상기 제2 제어 정보를 상기 제어 채널 및 상기 데이터 채널에 중복해서 배치하는 무선 통신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수단은, 상기 송신 무선 프레임을 수신한 무선 통신 장치에서의 복조 처리 및 복호 처리에 이용되는 정보를 제1 제어 정보로 하여 상기 제어 채널에 배치하고, 그 밖의 정보를 상기 제2 제어 정보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수단은, 상기 송신 무선 프레임에 관하여, 상기 제어 정보 중, 수신 무선 프레임에 관한 제어 정보를 상기 제2 제어 정보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수신된 제어 채널에 배치되어 있는 데이터의 오류를 검출하는 오류 검출 수단과,
    상기 수신된 제어 채널에 배치될 제어 정보를 추정하는 추정 수단과,
    상기 오류 검출 수단에 의해 오류가 검출된 경우에, 상기 추정 수단에 의해 추정된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된 데이터 채널에 배치되어 있는 데이터를 복조 및 복호하는 복조 복호 수단
    을 더 구비하는 무선 통신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조 복호 수단에 의해 복조 및 복호된 데이터에 포함되는 제어 정보를 추출하고, 그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송신할 상기 제어 채널 및 상기 데이터 채널을 생성하는 생성 수단을 더 구비하는 무선 통신 장치.
  8.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을 포함하는 무선 프레임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
    수신된 제어 채널에 배치되어 있는 데이터의 오류를 검출하는 오류 검출 수단과,
    상기 수신된 제어 채널에 배치될 제어 정보를 추정하는 추정 수단과,
    상기 오류 검출 수단에 의해 오류가 검출된 경우에, 상기 추정 수단에 의해 추정된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된 데이터 채널에 배치되어 있는 데이터를 복조 및 복호하는 복조 복호 수단
    을 구비하는 무선 통신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조 복호 수단에 의해 복조 및 복호된 데이터에 포함되는 제어 정보를 추출하고, 그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송신 무선 프레임에 관한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에 배치되는 데이터를 각각 생성하는 생성 수단을 더 구비하는 무선 통신 장치.
  10.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을 포함하는 무선 프레임을 이용한 무선 통신 방법 에 있어서,
    송신 무선 프레임에 관하여, 통신 제어에 이용되는 제어 정보의 일부를 제2 제어 정보로 하여 상기 데이터 채널에 배치하는 구성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무선 프레임에 관한 데이터 채널의 용장도를 송신 상대의 무선 통신 장치와의 사이의 채널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레이트 결정 단계를 더 구비하며,
    상기 구성 단계는, 상기 결정된 데이터 채널의 용장도가 상기 제어 채널의 용장도보다도 높아진 경우에, 상기 제2 제어 정보를 상기 데이터 채널에 배치하는 무선 통신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단계는, 상기 제2 제어 정보를 상기 제어 채널 및 상기 데이터 채널에 중복해서 배치하는 무선 통신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단계는, 상기 제어 정보 중, 상기 송신 무선 프레임을 수신한 무선 통신 장치에서의 복조 처리 및 복호 처리에 이용되는 정보를 제1 제어 정보로 하여 상기 제어 채널에 배치하고, 그 밖의 정보를 상기 제2 제어 정보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단계는, 상기 송신 무선 프레임에 관하여, 상기 제어 정보 중 수신 무선 프레임에 관한 제어 정보를 상기 제2 제어 정보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수신된 제어 채널에 배치되어 있는 데이터의 오류를 검출하는 오류 검출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제어 채널에 배치될 제어 정보를 추정하는 추정 단계와,
    상기 오류 검출 단계에 의해 오류가 검출된 경우에, 상기 추정 단계에 의해 추정된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된 데이터 채널에 배치되어 있는 데이터를 복조 및 복호하는 복조 복호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6.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을 포함하는 무선 프레임을 이용한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수신된 제어 채널에 배치되어 있는 데이터의 오류를 검출하는 오류 검출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제어 채널에 배치될 제어 정보를 추정하는 추정 단계와,
    상기 오류 검출 단계에 의해 오류가 검출된 경우에, 상기 추정 단계에 의해 추정된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된 데이터 채널에 배치되어 있는 데이터를 복조 및 복호하는 복조 복호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조 복호 단계에 의해 복조 및 복호된 데이터에 포함되는 제어 정보를 추출하고, 그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송신 무선 프레임에 관하여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에 배치되는 데이터를 각각 생성하는 생성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KR1020060073265A 2006-03-14 2006-08-03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KR1008342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69037 2006-03-14
JP2006069037A JP4642679B2 (ja) 2006-03-14 2006-03-14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3779A true KR20070093779A (ko) 2007-09-19
KR100834265B1 KR100834265B1 (ko) 2008-05-30

Family

ID=37397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3265A KR100834265B1 (ko) 2006-03-14 2006-08-03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20070217388A1 (ko)
EP (3) EP2523384A1 (ko)
JP (1) JP4642679B2 (ko)
KR (1) KR100834265B1 (ko)
CN (2) CN10103916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89711B2 (ja) * 2004-12-14 2010-12-01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装置
JP4642679B2 (ja) * 2006-03-14 2011-03-02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US7702029B2 (en) * 2006-10-02 2010-04-20 Freescale Semiconductor, Inc. MIMO precoding enabling spatial multiplexing, power allocation and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US8102896B2 (en) * 2006-10-04 2012-01-24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exing control and data channel
EP2088693B1 (en) * 2006-11-30 2015-05-13 Fujitsu Limited Base station device and mobile terminal
JP2008193414A (ja) * 2007-02-05 2008-08-21 Nec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その上りリンクにおけるデータ送信方法、基地局装置及び移動局装置
US8886245B2 (en) * 2007-03-09 2014-11-11 Qualcomm Incorporated Messaging scheme for controlling uplink transmit power of a wireless device
US8798183B2 (en) * 2007-08-13 2014-08-05 Qualcomm Incorporated Feedback and rate adaptation for MIMO transmission in a time division duplexed (TDD) communication system
KR101397341B1 (ko) * 2007-08-21 2014-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안테나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JP4659804B2 (ja) * 2007-10-01 2011-03-3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ユーザ装置、送信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KR20130079597A (ko) * 2007-10-29 2013-07-10 파나소닉 주식회사 기지국 장치, 집적 회로 및 제어 채널 할당 방법
KR100932555B1 (ko) * 2007-12-03 2009-12-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통신 시스템의 자원할당 방법
JP2009207079A (ja) * 2008-02-29 2009-09-10 Mitsubishi Electric Corp 誤り訂正符号化装置、誤り訂正符号化方法および誤り訂正復号装置、誤り訂正復号方法
KR101455393B1 (ko) 2008-03-03 2014-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099902B1 (ko) * 2008-03-06 2011-12-28 쿄세라 코포레이션 통신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기지국 장치
US9107239B2 (en) 2008-04-07 2015-08-1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to define control channels using reserved resource blocks
KR101065706B1 (ko) * 2008-11-23 2011-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US8005039B2 (en) 2008-12-30 2011-08-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robust transmission of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JP2011023942A (ja) * 2009-07-15 2011-02-03 Ntt Docomo Inc 無線基地局装置及び変調・符号化方式選択方法
KR101552274B1 (ko) * 2009-08-14 2015-09-10 삼성전자주식회사 릴레이를 위한 백홀 서브프레임의 기준 신호 구성 방법 및 장치
US8311013B2 (en) 2009-10-28 2012-11-13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for efficiently increasing hand-off and access reliability
RU2526719C2 (ru) 2010-01-05 2014-08-27 Нек Корпорейшн Сетевая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избыточности сети
US20110222491A1 (en) * 2010-03-09 2011-09-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control information with enhanced coverage in a wireless network
US8768263B2 (en) * 2010-12-01 2014-07-01 Qualcomm Incorporated Determining an uplink control path with blind decoding
WO2013134950A1 (en) * 2012-03-16 2013-09-19 Nec (China)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d2d communication
US9537640B2 (en) * 2012-08-27 2017-01-03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Transmission adaptation
US9544888B2 (en) * 2013-11-05 2017-01-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 wireless device, a radio network node for managing a control block
CN105228078B (zh) 2014-05-29 2018-12-1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及基站和用户设备
EP3355540B1 (en) * 2015-10-30 2023-05-03 Huawei Technologies Co., Ltd. Signal transmission method, device and system
US11096246B2 (en) * 2016-11-11 2021-08-17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US10278181B2 (en) * 2017-02-16 2019-04-30 Hall Labs Llc Intermediate-range multi-channel wireless device with adaptive redundancy for variable interference environments
WO2019077839A1 (ja) * 2017-10-16 2019-04-25 Necネットワーク・センサ株式会社 無線通信局、システム、方法及び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US11239919B2 (en) * 2018-12-20 2022-02-01 Acacia Communications, Inc. Side channel communication for an optical coherent transceiver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05565B2 (ja) * 1992-09-21 1998-09-30 エヌ・ティ・ティ移動通信網株式会社 移動局における制御チャネル選択方法
JPH0965411A (ja) * 1995-08-29 1997-03-07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チャネル構成方法
US5729557A (en) * 1995-10-12 1998-03-17 Pacific Communication Systems, Inc.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with multiple code rates
JPH09139980A (ja) 1995-11-15 1997-05-27 Sony Corp 受信装置
KR100258146B1 (ko) * 1998-01-17 2000-06-01 윤종용 부호분할다중접속 시스템의 제어정보 통신장치 및 방법
JPH11261644A (ja) 1998-03-13 1999-09-24 Sony Corp 送信方法及び送信装置
JP2000201373A (ja) 1999-01-06 2000-07-18 Hitachi Ltd 通信装置および音声・デ―タ同時通信方法
US6363257B1 (en) * 1999-02-05 2002-03-26 Agere Systems Guardian Corp. Method, apparatus, and communication protocol for transmitting control data with an improved error correction capability in a digital cordless telephone system
US6717934B1 (en) * 1999-10-22 2004-04-06 Nokia Corporation Wireless telecommunication system having improved recognition of modulation type in GPRS
SE518028C2 (sv) * 2000-04-17 2002-08-20 Ericsson Telefon Ab L M Förfarande och metod för att undvika överbelastning i ett cellulärt radiosystem med makrodiversitet
JP2003259439A (ja) 2002-03-05 2003-09-12 Sony Corp 携帯移動端末装置及び通信方法
KR100606008B1 (ko) * 2003-01-04 2006-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부호 분할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데이터재전송 요청 송수신 장치 및 방법
MXPA05008085A (es) * 2003-02-12 2005-09-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parato de recepcion y metodo de recepcion.
US20040179493A1 (en) * 2003-03-14 2004-09-16 Khan Farooq Ullah Methods of transmitting channel quality information and power allo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7013143B2 (en) * 2003-04-30 2006-03-14 Motorola, Inc. HARQ ACK/NAK coding for a communication device during soft handoff
US7158796B2 (en) * 2003-06-16 2007-01-02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utonomously managing reverse link communication resources in a distributed communication system
JP2005033426A (ja) 2003-07-10 2005-02-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小電力無線通信装置
US8018911B2 (en) * 2004-02-02 2011-09-1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itiute Method for requesting and reporting channel quality information in wireless portable internet system
WO2005078960A1 (ja) * 2004-02-12 2005-08-25 Nec Corporation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方法
KR100819256B1 (ko) * 2004-05-06 2008-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향상된 상향링크 전용 채널을 통해 시그널링 정보를전송하기 위한 전력의 설정 방법 및 장치
WO2005120116A1 (fr) * 2004-05-26 2005-12-15 Nortel Networks Limited Procede de radiocommunication avec protection de canaux de trafic et de canaux de signalisation, emetteurs et recepteurs pour la mise en oeuvre du procede
US20050265373A1 (en) * 2004-05-28 2005-12-01 Khan Farooq U Method of reducing overhead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JP2005348336A (ja) 2004-06-07 2005-12-15 Mitsubishi Electric Corp 無線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US7272190B2 (en) * 2004-07-07 2007-09-18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channel quality and performing adaptive modulation/coding within a multicarrier communication system
JP4503383B2 (ja) * 2004-07-27 2010-07-14 京セラ株式会社 通信装置、送信電力決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60209970A1 (en) * 2005-01-11 2006-09-21 Emmanuel Kanterakis Adaptive transmission rate communication system
JP2006303894A (ja) * 2005-04-20 2006-11-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JP5063883B2 (ja) * 2005-09-29 2012-10-31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送信方法、送信装置、データ伝送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伝送方法
JP4642679B2 (ja) * 2006-03-14 2011-03-02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281605A1 (en) 2011-11-17
US8514739B2 (en) 2013-08-20
JP4642679B2 (ja) 2011-03-02
US20130182646A1 (en) 2013-07-18
EP3032770A1 (en) 2016-06-15
EP1835649B1 (en) 2012-06-13
US20070217388A1 (en) 2007-09-20
EP1835649A1 (en) 2007-09-19
KR100834265B1 (ko) 2008-05-30
JP2007251344A (ja) 2007-09-27
CN101039166B (zh) 2012-07-25
EP2523384A1 (en) 2012-11-14
CN101039166A (zh) 2007-09-19
CN102045135A (zh) 2011-05-04
US9408088B2 (en) 2016-08-02
CN102045135B (zh) 2016-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4265B1 (ko)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JP4589711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装置
US8755755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US8208435B2 (en) Base station apparatus, user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9614598B2 (en) Uplink MIMO transmission from mobile communications devices
KR101571580B1 (ko) 공간 멀티플렉싱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서비스(mbms)
CN102386956A (zh) 针对采用harq的mimo scw设计的秩步降
WO2006049282A1 (ja) 無線送信装置およびパイロット信号挿入方法
JP2012507888A (ja) 協調マルチポイント送受信のための無線通信クラスタ化方法及びシステム
WO2006080507A1 (ja) 無線送信装置および無線送信方法
JP4541368B2 (ja) 無線基地局装置および無線端末装置
JP2004248275A (ja) 無線送受信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CN107431686B (zh) 传输数据的方法、发送端设备、接收端设备和中继设备
JP6659455B2 (ja) 基地局、通信システムおよびmcs選択方法
JP5379298B2 (ja) 中継局における結合処理の方法および機器ならびに基地局における対応する処理の方法および機器
JP5310694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CN101686101A (zh) 多用户联合映射配置信息的传输方法及装置
JP5187358B2 (ja) 無線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