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3654A - 내진 액세스플로어 지지구조 - Google Patents

내진 액세스플로어 지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3654A
KR20070093654A KR1020060023748A KR20060023748A KR20070093654A KR 20070093654 A KR20070093654 A KR 20070093654A KR 1020060023748 A KR1020060023748 A KR 1020060023748A KR 20060023748 A KR20060023748 A KR 20060023748A KR 20070093654 A KR20070093654 A KR 200700936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access floor
connection piece
vertical suppor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3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1955B1 (ko
Inventor
황기태
안태상
황동연
김경환
Original Assignee
황기태
(주)에코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기태, (주)에코닝 filed Critical 황기태
Priority to KR1020060023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1955B1/ko
Publication of KR20070093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3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1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1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42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with arrangement for propelling the support stands on wheels
    • F16M11/425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with arrangement for propelling the support stands on wheels along guiding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16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for photographing the track of moving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 슬래브의 상부에 이중바닥을 형성하는 액세스플로어의 상부패널을 지지하는 구조로서, 나사산이 구비된 수직지지대; 상기 수직지지대에 체결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한 상부연결편; 상기 수직지지대에 체결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상부연결편 아래에 이격되도록 위치하는 하부연결편; 일단은 상기 상부연결편에 결합되고 타단은 인접하는 수직지지대에 체결된 상부연결편에 결합되는 수평보강지지대; 및, 일단은 상기 하부연결편에 결합되고 타단은 수평보강지지대에 결합되는 경사보강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액세스플로어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수직지지대, 상부연결편, 하부연결편, 수평보강지지대, 경사보강지지대

Description

내진 액세스플로어 지지구조{Earthquake-proof Access floor Supporting structure}
도1은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2는 하부연결편, 상부연결편, 경사보강지지대, 및 수평보강지지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가 적용된 액세스플로어 단면구조이다.
도4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가 적용된 액세스플로어의 평면도이다.
도5는 액세스플로어의 상부패널의 구체적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액세스플로어의 상부패널
200:수직지지대
210:높이고정너트
220:지지대머리부
230:완충패드
240:하부지지판
300:상부연결편
400:하부연결편
500:수평보강지지대
600:경사보강지지대
기술분야
본 발명은 전산실, 교통통제실 등과 같이 컴퓨터, 모니터, 팩스, 복사기 등이 많이 쓰이는 사무실에서 이들 기기들을 연결하는 데이터선 및 전원선 등의 처리를 위해 설치되는 액세스플로어(Access floor)의 상부패널을 지지하는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액세스플로어란 액세스(ACCESS: 접근, 컴퓨터용어로는 컴퓨터 시스템에 정보를 넣거나 빼내는 일)와 플로어(FLOOR:마루, 바닥)의 합성어이다. 따라서, 이중마루, 이중바닥 또는 오에이 플로어(O/A floor)라고도 한다.
즉 액세스플로어는 컴퓨터의 활용이 증대되는 정보화시대에 보다 쾌적하고 효율적인 사무공간 확보를 위해 제안된 이중마루를 말한다.
과거 액세스플로어로 시공되지 않은 일반 건물에서는 작은 몰드(쫄대)를 이용해서 전화 또는 전기선을 보호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에는 한계가 있었고 컴퓨터의 활용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사무실은 케이블로 더 혼란스러워졌으므로 새로운 바닥구조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액세스플로어는 위와 같은 문제점의 해결을 위해 평탄한 바닥 위에 일정한 높이의 공간을 두어 바닥을 하나 더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그 공간에 케이블을 배치하고 케이블의 재배치를 위해 필요에 따라 바닥을 개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액세스플로어의 설치가 요구되는 곳은 다음과 같다.
- 전산실(관공서, 기업)
- 전화교환실(전화국)
- 반도체공장의 클린룸(clean room)
- 화학실험실(공기정화)
- 음향컨트롤 룸(녹음실,스튜디오의 케이블 보호,방진,방음)
- 강의실(컴퓨터교육,시청각교육)
- 회의실(화상회의실, 음향장비가 많은 회의실)
- 사무실(컴퓨터를 많이 활용하는 관공서, 기업)
- 기타 첨단설비공장(먼지,균 발생억제)
액세스플로어의 종류는 패널의 재료에 따라 스틸우드 복합형, 목재형, 철제형, 알루미늄형 등으로 분류되고 같은 재료를 사용하더라도 제작형태나 제작방법에 따라 종류가 나뉜다.
1) 목재형 (Wood Core Panel)
목재형은 목재 특유의 보행감각을 유지시켜 줄 뿐만 아니라 흡음성이 뛰어나 진동과 소음을 감소시켜 주는 특성이 있고 비용이 저렴하여 활용도가 높다. 방송실, 강의실, 회의실, 사무실, 연구실, 전화교환실, 금융기관이나 공공기관의 영업장, 전산실, 통신기계실, 컨트롤 룸 등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화재발생 위험을 없애기 위하여 고밀도 분자 보드(High Density Particle Board)를 채용하고 있다.
2) 철제형 (Steel Panel)
철제형은 상하 패널이 모두 강판(Steel)으로 되어 있으며 특히 아래쪽 패널은 역학적인 구조로 되어 있어 강도가 뛰어나다. 내하중성, 내구성, 견고성, 안전성, 내화성이 우수하여 중앙제어반(MDF)실, 기계실, 방제실 등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이와 같은 철제형 패널의 단점을 보완하고 방진, 방음의 효과를 높이고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상하 강판 사이에 콘크리트를 채운 철제 시멘트 패널(Steel Cement Panel)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3) 알루미늄형 (Aluminum Panel)
알루미늄형은 고순도의 알루미늄 합금으로 만든 패널로 내부식성, 내구성이 매우 우수한 경량형 패널이다. 특히 무균, 정전기에 대한 도전성 및 정밀성이 요구되는 반도체 공장이나 정밀측정기기실, 광학기기실, 시계조립실, 전자기기실 등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
4) 복합형 (Steel & Wood)
목재형과 철제형의 단점을 보완하고 장점을 최대한 살리기 위해 개발된 액세 스플로어이며 목재 특유의 보행성을 유지하면서 내하중성과 견고성을 충족시키고 있어 사용량이 급증하고 있다. 일반 목재형과 비교할때 하중성이 탁월하여(약30%이상) MDF실, 기계실, 전자교환실, 전산실(학교, 기업체, 공공기관), 영업장 등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액세스플로어의 설치는 보통 바닥에서 30~40cm 정도의 공간이 생기게 가로세로 약 50cm 정도 되는 정사각형 판에 발을 이중바닥을 형성하고 이 액세스플로어 밑의 공간에 데이터 선 등을 설치하는 방식으로 한다.
다만, 종래의 액세스플로어는 설치장소에서 수개의 지지대를 개별적으로 세워 고정시키고 이 위에 상부패널을 얹어 시공한다.이 경우 개별적으로 고정되는 지지대를 사용하는 액세스플로어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는다.
첫째, 각각의 지지대가 연결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지지하는데, 지지대들의 일부가 파손되는 경우에는 구조적 약점이 되어 국소부위 붕괴가 일어나고 결국 전체 액세스플로어의 붕괴위험이 있다.
둘째, 단독으로 고정됨으로 인해 지지대의 수평방향의 전단력에 대한 지지력이 약하다.
셋째, 마찬가지고 지지대의 수직방향의 압축력에 대한 지지력도 약하다.
즉, 종래의 액세스플로어에 수평으로 전단력(지진력) 이 작용할 때의 전도양상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액세스플로어는 단독 지지대 위에 상부패널을 올려놓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방식은 상기한 바와 같이 지지대에 작용하는 수평전단력에 약하다. 따라서, 건물 내부에서 수평력이 발생하여 액세스플로어에 전단되면 액세스플로어의 상부패널이 옆으로 밀려 올라가면서 전단력을 견디지 못한 지지대가 쓰러지고 결국 상부패널이 지지대에서 탈락하게 되어 액세스플로어 구조의 붕괴를 가져 온다. 이러한 이유로 종래의 액세스플로어는 시공 전후에 하자가 발생할 우려가 많고 실제로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액세스플로어 위에 과도한 하중이 국부적으로 발생하는 경우에도 개별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대의 지지력에 한계가 있으므로 국부적인 침하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액세스플로어는 지진 등에 의해서 발생되는 수평방향 전단력에 특히 취약하며, 수직방향의 압축력에도 효과적으로 버틸 수 없는 구조적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액세스플로어 지지구조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내진성능이 구비된 액세스플로어 지지구조를 제공함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둘째, 높이조절이 용이한 액세스플로어 지지구조를 제공함을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 한다.
셋째, 설치 및 해제 작업이 용이하여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액세스플로어 지지구조를 제공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바닥 슬래브의 상부에 이중바닥을 형성하는 액세스플로어의 상부패널을 지지하는 구조로서, 나사산이 구비된 수직지지대; 상기 수직지지대에 체결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한 상부연결편; 상기 수직지지대에 체결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상부 연결편 아래에 이격되도록 위치하는 하부연결편; 일단은 상기 상부연결편에 결합되고 타단은 인접하는 수직지지대에 체결된 상부연결편에 결합되는 수평보강지지대; 및, 일단은 상기 하부연결편에 결합되고 타단은 수평보강지지대에 결합되는 경사보강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수직지지대(20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세스플로어의 상부패널(100)에 걸리는 하중을 1차적으로 지탱하는 기둥역할을 한다.
수직지지대(200)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기둥형상이다, 또한, 수직지지대(200)는 그 하단부에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의 하부지지판(240)이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연결편(300)은 수직지지대(200)에 체결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며, 하부연결편(400)은 수직지지대(200)에 체결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며 상부연결편(300) 아래에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위치한다.
상부연결편(300) 및 하부연결편(400)은 십자(+) 형태의 판상구조로서 중심부 에는 암나사가 구비된 중공이 형성되어 있어, 십자(+) 형태의 판상구조에 수평보강지지대(500)와 경사보강지지대(600)가 각각 결합된다.
이러한 하부연결편(400) 및 상부연결편(300)은 각각 수직지지대(200)에 체결된 상태에서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인접하는 수직지지대(200)에 체결되는 하부연결편(400) 및 상부연결편(300) 각각의 높이를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다.
높이고정너트(210)는 하부연결편(400)의 아래에 체결되어 높이조절이 완료된 하부연결편(400)의 회동을 방지하여 하부연결편(400)의 체결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한다.
수평보강지지대(500)의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은 상부연결편(300)에 결합되고 타단은 인접하는 수직지지대(200)에 체결된 상부연결편(300)에 결합된다.
다시 말하면, 수평보강지지대(500)는 인접하는 수직지지대(20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수평보강지지대(500)를 통하여 수직지지대(200)는 그물망과 같이 짜여진 구조를 이루게 되어 지진 등으로 인한 수평방향 전단력이 작용하더라도 수직지지대(200)가 넘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경사보강지지대(600)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은 하부연결편(400)에 결합되고 타단은 수평보강지지대(500)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수평보강지지대(500)와 경사보강지지대(600)가 함께 구비되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입체적 구조를 형성함에 따라 수평방향의 전단력 뿐만 아니라 수직방향의 압축력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지지대머리부(22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지지대(200)의 상부에 체결되어 상하이동이 가능하며, 액세스플로어의 상부패널(100)을 직접적으로 지지한다.
지지대머리부(220)를 수직지지대(200)에 체결한 상태에서 지지대머리부(220)를 회전시키면 지지대머리부(2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대머리부(220)의 높이를 조절함에 따라 지지대머리부(220)의 상부에 거치되는 액세스플로어의 상부패널(100) 높이도 자동적으로 결정된다.
지지대머리부(220)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하는 액세스플로어의 상부패널(100) 4개의 모서리가 거치되며, 볼트 등을 이용하여 액세스플로어의 상부패널(100)과 지지대머리부(220)를 일체로 결합한다.
완충패드(230)는 지지대머리부(220)와 액세스플로어의 상부패널(100) 사이에 설치되어 액세스플로어의 상부패널(100)에 작용하는 충격을 완화시켜 지지대머리부(22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액세스플로어의 상부패널(100)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마감재(110), 패널몸통(120), 패널밑판(130)으로 구분할 수 있다.
패널마감재(110)는 사무실바닥이 되는 부분으로 설치되는 사무실의 용도에 따라 카펫타일, 비닐무석면타일, 전도성타일 등으로 설치할 수 있다.
패널몸통(120)은 상기한 바와 같이 목재, 철재, 알루미늄, 시멘트 등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서는 시멘트로 구성하여 내력을 확보하 였다.
패널밑판(130)은 지지대머리부(220)에 적접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지지대머리부(220)의 형태에 따라 적절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인 내진 액세스플로워 지지구조의 시공순서는 다음과 같다.
(1) 먼저 액세스플로어의 시공장소(사무실)를 먼지가 없도록 깨끗이 청소한다.
(2) 먹줄을 이용하여 수직지지대(200)가 설치되는 위치를 먹내기로 표시한다.
(3) 먹줄이 표시된 위치마다 수직지지대(200)를 놓고 바닥 슬래브에 앵커 또는 볼트로 고정한다.
(4) 수직지지대(200)에 체결된 하부연결편(400), 상부연결편(300), 및 지지대머리부(220)각각의 높이가 인접하는 수직지지대(200)에 체결된 하부연결편(400), 상부연결편(300), 및 지지대머리부(220)와 일치하도록 조절하고 높이고정너트(210)를 조여준다.
(5) 수평보강지지대(500)를 양측 단부에 상부연결편(300)을 결합하여 인접하는 수직지지대(200)를 일체로 연결한다.
(6) 경사보강지지대(600)의 일단을 하부연결편(400)에 결합하고 타단은 상부연결편(300)에 결합한다.
(7) 지지대머리부(220)에 액세스플로어의 상부패널(100)을 거치하고 볼트로 고정한다.
(8) 액세스플로어의 상부패널(100)의 위 또는 아래로 설치되는 각종 기기들의 연결을 위한 배선작업을 한다.
첫째, 내진성능이 구비된 액세스플로어 지지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하부연결편, 상부연결편, 수평보강지지대 및 경사보강지지대를 입체적으로 결합하여 수평방향의 전단력과 수직방향의 압축력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종래의 액세스플로어에 비하여 내진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높이조절이 용이한 액세스플로어 지지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액세스플로어의 상부패널이 거치되는 지지대머리부(220)가 수직지지대(200)에 체결된 상태에서 나사방식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이 가능한 바, 수직지지대(200)를 바닥 슬래브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지지대머리부(220)를 회전시켜 용이하게 액세서플로어의 상부패널의 평탄도를 확보할 수 있다.
셋째, 설치 및 해체 작업이 용이하여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수직지지대(200)를 바닥 슬래브에 설치하는 작업, 하부연결편, 상부연결편, 수평보강지지대 및 경사보강지지대를 입체적으로 결합하는 과정, 및 지지대머리부에 액세스플로어의 상부패널을 거치하는 모든 과정이 단순하여 비숙력공이라고 하더라도 짧은 시간 내에 설치 및 해체 작업을 수행하여 공기를 단축할 수 있다.

Claims (4)

  1. 바닥 슬래브의 상부에 이중바닥을 형성하는 액세스플로어의 상부패널을 지지하는 구조로서,
    나사산이 구비된 수직지지대;
    상기 수직지지대에 체결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한 상부연결편;
    상기 수직지지대에 체결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상부 연결편 아래에 이격되도록 위치하는 하부연결편;
    일단은 상기 상부연결편에 결합되고 타단은 인접하는 수직지지대에 체결된 상부연결편에 결합되는 수평보강지지대; 및,
    일단은 상기 하부연결편에 결합되고 타단은 수평보강지지대에 결합되는 경사보강지지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액세스플로어 지지구조.
  2. 제1항에서,
    상기 하부연결편의 아래에 체결되는 높이고정너트;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액세스플로어 지지구조.
  3. 제2항에서,
    상기 수직지지대의 상부에 체결되어 상하이동이 가능하며, 액세스플로어의 상부패널을 지지하는 지지대머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액세스플로어 지지구조.
  4. 제3항에서,
    상기 지지대머리부와 액세스플로어의 상부패널패널에 완충패드;
    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액세스플로어 지지구조.
KR1020060023748A 2006-03-14 2006-03-14 내진 액세스플로어 지지구조 KR100761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3748A KR100761955B1 (ko) 2006-03-14 2006-03-14 내진 액세스플로어 지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3748A KR100761955B1 (ko) 2006-03-14 2006-03-14 내진 액세스플로어 지지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6898U Division KR200418670Y1 (ko) 2006-03-14 2006-03-14 내진 액세스플로어 지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3654A true KR20070093654A (ko) 2007-09-19
KR100761955B1 KR100761955B1 (ko) 2007-10-05

Family

ID=38687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3748A KR100761955B1 (ko) 2006-03-14 2006-03-14 내진 액세스플로어 지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19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090B1 (ko) 2009-12-04 2010-06-28 (주)파워엔텍 내진성능을 갖춘 이중바닥 구조물
KR101023526B1 (ko) 2010-09-14 2011-03-21 (주)파워엔텍 이중바닥 내진 구조물
KR101530785B1 (ko) * 2013-12-23 2015-06-22 장성철 이중마루 지주 보강재
KR101677671B1 (ko) 2015-11-17 2016-11-18 (주)한국방재기술 내진 코어프레임을 갖는 군집 억세스 플로어
KR102485501B1 (ko) * 2016-05-19 2023-01-06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액세스 플로어 장치
KR102334074B1 (ko) 2020-07-29 2021-12-02 주식회사 안성테크 이중 마루 내진 보강장치
KR102450504B1 (ko) 2020-08-06 2022-10-05 (주)엘엑스하우시스 트러스 보강 구조를 가진 내진 이중마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6316B1 (ko) * 2001-01-20 2004-01-31 (주) 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 유리온돌을 이용한 악세스 플로어형 바닥구조 및 그시공방법
KR200299579Y1 (ko) * 2002-10-01 2002-12-31 김영분 악세스 플로어패널의 엣지 보강구조
KR200321667Y1 (ko) * 2003-05-07 2003-07-31 주식회사 진보 이중바닥재의 결합수단
KR20040010465A (ko) * 2003-12-17 2004-01-31 김용순 이중 바닥판 지지용 지지 바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1955B1 (ko) 2007-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1955B1 (ko) 내진 액세스플로어 지지구조
KR101111699B1 (ko) 내진헤드가 구비된 액세스플로어 지지구조
KR100778524B1 (ko) 수평보강지지대가 구비된 내진 액세스플로어 지지구조 및이를 이용한 액세스플로어 시공방법
KR100750338B1 (ko) 보강 액세스 플로어
KR200411712Y1 (ko) 보강 액세스 플로어
KR200423553Y1 (ko) 수평보강지지대가 구비된 내진 액세스플로어 지지구조
KR200418670Y1 (ko) 내진 액세스플로어 지지구조
KR100778525B1 (ko) 보강지지부가 구비된 내진 액세스플로어 지지구조
KR200423554Y1 (ko) 보강지지부가 구비된 내진 액세스플로어 지지구조
KR100923977B1 (ko) 내진헤드가 구비된 액세스플로어 지지구조
KR20090009452U (ko) 일체형 액세스 플로어
JP3911501B2 (ja) 床施工方法
KR101295932B1 (ko) 이중마루의 지주와 지주를 곡선 또는 다각형의 보강대로 연결하여 지주를 보강하기 위한 내진 보강장치
KR20130141999A (ko) 방진지지구조체
JPWO2006057087A1 (ja) 防振構造
JP2008127942A (ja) 建築物における床支持構造
CN219219651U (zh) 银行机房装配式地面
KR102214469B1 (ko) 변압기용 방진 및 방음장치
JP7208044B2 (ja) 耐震天井構造
JP3095409B2 (ja) システムフロア
KR100603726B1 (ko) 연결부재의 상대변위를 이용한 진동제어기
JPH0524755Y2 (ko)
KR101372216B1 (ko) 판넬 지지부재가 구비된 이중바닥재
JP2591641Y2 (ja) 根太ユニット
JP2022157404A (ja) 野縁取付部材及び吊り天井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