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3337A - 반도체 박막의 결정화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박막의 결정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3337A
KR20070093337A KR1020070022519A KR20070022519A KR20070093337A KR 20070093337 A KR20070093337 A KR 20070093337A KR 1020070022519 A KR1020070022519 A KR 1020070022519A KR 20070022519 A KR20070022519 A KR 20070022519A KR 20070093337 A KR20070093337 A KR 200700933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film
semiconductor thin
scanning
energy beam
irradi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2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시오 후지노
아키오 마치다
타다히로 코노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93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33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656Special treatments
    • H01L21/02664Aftertreatments
    • H01L21/02667Crystallisation or recrystallisation of non-monocrystalline semiconductor materials, e.g. regrowth
    • H01L21/02675Crystallisation or recrystallisation of non-monocrystalline semiconductor materials, e.g. regrowth using laser bea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518Deposited layers
    • H01L21/02521Materials
    • H01L21/02524Group 14 semiconducting materials
    • H01L21/02532Silicon, silicon germanium, germaniu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656Special treatments
    • H01L21/02664Aftertreatments
    • H01L21/02667Crystallisation or recrystallisation of non-monocrystalline semiconductor materials, e.g. regrowth
    • H01L21/02691Scanning of a b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System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6Bombardment with radiation
    • H01L21/263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 H01L21/268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laser radi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03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the substrate comprising an insulating body on a semiconductor body, e.g. SOI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59Multistep manufacturing methods
    • H01L27/127Multistep manufacturing methods with a particular formation, treatment or patterning of the active layer specially adapted to the circuit arrangement
    • H01L27/1274Multistep manufacturing methods with a particular formation, treatment or patterning of the active layer specially adapted to the circuit arrangement using crystallisation of amorphous semiconductor or recrystallisation of crystalline semiconductor
    • H01L27/1285Multistep manufacturing methods with a particular formation, treatment or patterning of the active layer specially adapted to the circuit arrangement using crystallisation of amorphous semiconductor or recrystallisation of crystalline semiconductor using control of the annealing or irradiation parameters, e.g. using different scanning direction or intensity for different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59Multistep manufacturing methods
    • H01L27/1296Multistep manufacturing methods adapted to increase the uniformity of device parame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4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crystalline structure, e.g. polycrystalline, cubic or particular orientation of crystalline pla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742Thin film unipolar transistors
    • H01L29/6675Amorphous silicon or polysilicon transistors
    • H01L29/66757Lateral single gate single channel transistors with non-inverted structure, i.e. the channel layer is formed before the g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 H01L29/78651Silicon transistors
    • H01L29/7866Non-monocrystalline silicon transistors
    • H01L29/78672Polycrystalline or microcrystalline silicon transistor
    • H01L29/78675Polycrystalline or microcrystalline silicon transistor with normal-type structure, e.g. with top gate

Abstract

형상 정밀도(形狀精度)가 양호한 결정립(結晶粒; crystal grains)을 규칙적으로 배열시키는 것에 의해, 정밀도가 양호한 높은 캐리어 이동도(移動度)를 나타내는 결정 영역(結晶領域)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반도체 박막의 결정화(結晶化)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반도체 박막(3)에 대해서 레이저광(Lh)(에너지 빔)을 소정(所定; 미리 정해진) 속도로 주사(走査)시키면서 연속 조사(照射)하는 것에 의해, 반도체 박막(3)을 레이저광(Lh)의 주사에 따라서 결정화시키는 반도체 박막(3)의 결정화 방법에 있어서, 레이저광(Lh)의 조사 지름(徑)(r) 이하의 피치(p)를 유지(保; keeping)해서 레이저광(Lh)을 평행하게 주사시킴으로써, 레이저광(Lh)의 주사 방향(y)과 다른(異) 방향으로 띠모양(帶狀)의 결정립(b)을 성장(成長)시킨다.
반도체 박막, 띠모양의 결정립, 레이저광(에너지 빔), 피치, 조사 지름, 주사 방향.

Description

반도체 박막의 결정화 방법{METHOD FOR CRYSTALLIZING A SEMICONDUCTOR THIN FILM}
도 1은 본 발명의 결정화 방법을 설명하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결정화 방법을 이용한 박막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평면 공정도(그의 1),
도 3은 본 발명의 결정화 방법을 이용한 박막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평면 공정도(그의 2),
도 4는 도 3에서의 A부의 확대 평면도,
도 5는 복수의 활성 영역의 결정화를 설명하는 평면도,
도 6은 도 3에서의 X-X' 단면도,
도 7은 박막 반도체 장치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공정도.
[부호의 설명]
3…반도체 박막, b…띠모양의 결정립, Lh…레이저광(에너지 빔), p…피치, r…조사 지름, y…주사 방향.
본 발명은, 에너지 빔의 조사(照射)에 의해 반도체 박막을 결정화(結晶化)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정(液晶) 표시 장치나 유기 전계 발광 소자(有機電界發光素子)를 이용한 유기 EL 표시 장치와 같은 플랫형(型) 표시 장치에서는, 복수(複數) 화소의 액티브 매트릭스 표시를 행하기 위한 스위칭 소자로서,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를 이용하고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에는, 다결정 실리콘(poly-Si)을 활성(活性) 영역에 이용한 TFT(다결정 실리콘 TFT)와, 비정질(非晶質) 실리콘(아몰퍼스 Si)을 활성 영역에 이용한 TFT(비정질 실리콘 TFT)가 있다.
이 중, 다결정 실리콘 TFT는, 비정질 실리콘 TFT와 비교해서 캐리어의 이동도(移動度)가 10배(倍)∼100배 정도 크고, 온(on) 전류의 열화(劣化; degradation)도 작다고 하는 특징이 있다. 이 때문에, 다결정 실리콘 TFT는, 상기 표시 장치의 스위칭 소자로서 매우 뛰어난 특성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각종 논리 회로(예를 들면, 도미노 논리 회로, CMOS 트랜스미션 게이트 회로)나 이들을 이용한 멀티플렉서, EPROM, EEPROM, CCD, RAM을 구성하는 스위칭 소자로서도 주목받고 있다.
이와 같은 다결정 실리콘 TFT의 제조 기술로서, 대략 600℃ 이하의 저온 프로세스만을 이용하는, 이른바 저온 폴리실리콘 프로세스가 개발되고, 기판의 저코 스트화가 실현되고 있다. 저온 폴리 실리콘 프로세스에서는, 발진(發振) 시간이 극단시간인 펄스 레이저를 이용해서 비정질 실리콘막의 결정화를 행하는 펄스 레이저 결정화 기술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펄스 레이저 결정화 기술이라 함은, 기판 상(上)의 실리콘 박막에 고출력의 펄스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것에 의해서 순식간(瞬時)에 용융시키고, 이것이 응고하는 과정에서 결정화하는 성질을 이용하는 기술이다.
예를 들면, 엑시머 레이저를 이용한 저온 폴리 실리콘 프로세스에서는, 라인모양(狀)으로 정형(整形)된 레이저광을, 조금(僅)씩 이동시켜서 대부분을 중복(重複; overlap)시키면서 비정질 실리콘막에 대해서 펄스 조사하고, 동일(同一) 개소에 10∼20회(回)의 레이저 광조사를 행한다. 이것에 의해, 활성 영역의 전면(全面)에서 결정립(結晶粒; crystal grains) 지름(徑)이 균일화된 다결정이 얻어지도록 하고 있다. 또, SLS(Sequential Lasteral Solidification) 방식의 결정화에 의해 결정립의 위치 제어를 행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위상 시프트 마스크를 거쳐서 엑시머 레이저광의 위상을 공간적으로 변조함으로써, 조사하는 레이저광에 에너지 밀도 구배(句配; gradient)를 갖게 하고, 이것에 의해서 결정립의 위치 제어를 행하는 방법도 제안되어 있다(하기(下記) 비특허 문헌 1 참조).
또, 이상과 같은 라인모양의 레이저광을 이용한 방법 이외에도, Ar 가스 등의 스폿 빔 레이저를 이용해서, 폭발적(爆發的) 결정화시키는 것에 의해, 비교적 작은 입경(粒徑)의 결정을 배열시키는 방법도 제안되어 있다.
[비특허 문헌 1] 「표면 과학 21」, 2000년, vol.1, No. 5, p. 278-287
근년(近年; 최근)에, 상술한 플랫 패널형의 표시 장치에서는, 동화상(動畵; moving image) 특성이나 콘트라스트 특성을 더욱더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해서 하이프레임 레이트(high frame-rate)의 액정 디스플레이의 개발이 진행되고, 또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의 자발광형(自發光型; self-emitting) 디스플레이 등의 새로운 표시 장치의 개발도 진행되고 있다. 이것에 따라서, 이와 같은 표시 장치에 대응가능한 스위칭 소자로서, 급격하게 큰 전류를 흐르게 하더라도 특성 열화가 없고, 또 각 스위칭 소자의 특성 편차(variation)가 작은 TFT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그런데, 상술한 종래의 저온 폴리 실리콘 프로세스에 의해서 얻어진 다결정 실리콘 TFT는, 비교적 큰 전류를 흐르게 하기 쉬운 특성으로서 캐리어의 이동도도 크고 특성 열화도 작은 것이 매우 유리한 반면, 비정질 실리콘 TFT와 비교해서 소자 사이의 특성, 특히 초기의 임계값(threshold) 전압이나 온 전류의 편차가 크다. 그리고, 이와 같은 다결정 실리콘 TFT에서의 소자 사이의 특성 편차는, 다결정 실리콘 TFT를 스위칭 소자로 한 표시 장치에 대한 휘도 얼룩(輝度斑; uneven brightness)의 발생 요인으로 된다.
여기서, 이상과 같은 다결정 실리콘 TFT에서의 소자 사이의 특성 편차는, 다결정 실리콘 TFT의 채널부에서, 채널 방향(전자가 흐르는 방향)에 존재하는 결정립계의 수(數)의 편차에 의존한다. 이 때문에, 결정립계의 수가 적은 범위에서는, 결정립계의 얼마 안되는 수의 차이(違; difference)로도 큰 TFT 소자의 편차를 낳(生)는다. 한편, 결정립계의 수가 증가해 감에 따라서, 채널부의 결정립계 수가 다소(多少) 다르더라도 TFT 소자의 편차는 작게 억제된다. 따라서, 다결정 실리콘 TFT에서의 특성 편차를 작게 억제하기 위해서는, 형상(形狀)이 고른(uniform) 비교적 작은 사이즈의 결정을 규칙적으로 배치한 다결정 실리콘막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해진다.
그렇지만, 상술한 펄스 레이저 결정화 기술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엑시머 레이저는, 가스 레이저이기 때문에 펄스 사이의 에너지 안정성이 낮다. 이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 개소에 10∼20회의 레이저광 조사를 행함으로써, 결정립 지름이 균일화(均一化; uniform)된 다결정이 얻어지도록 하고 있지만, 얻어지는 결정립 지름의 균일성은 불충분하다. 또, 엑시머 레이저는 장치 단가(單價)가 비싸고, 레이저 튜브(발진기(發振器))의 교환에 의한 러닝 코스트(running costs)도 비싸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수십회 정도의 되풀이(繰返; 반복) 조사가 필요하기 때문에, 스루풋(throughput)도 낮으므로, 제품의 제조 코스트를 내릴 수 없다고 하는 문제를 안고(抱; 포함하고) 있다.
또, 결정립 지름의 균일화가 불충분하다고 하는 문제는, 상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위상 시프트 마스크를 이용한 방법이더라도 마찬가지이다. 게다가, 이와 같은 방법이라면, 위상 시프트 마스크의 제작에도 비싼 코스트를 요(要)하고, 기판의 대형화가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도 더(加; add)해진다.
또, Ar 가스 등의 스폿 빔 레이저를 이용한 폭발적 결정화 방법은, 고상 전 이(固相轉移)에 의한 재결정화법이기 때문에, 형성된 결정의 질이 나쁘고, 충분한 캐리어 이동도를 얻을 수가 없다.
그래서, 본 발명은, 형상 정밀도(精度)가 양호한 결정립을 규칙적으로 배열시키는 것에 의해, 정밀도가 양호한 높은 캐리어 이동도를 나타내는 결정 영역(結晶領域)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반도체 박막의 결정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반도체 박막에 대해서 에너지 빔을 소정 속도로 주사시키면서 연속 조사하는 것에 의해, 해당 반도체 박막을 결정화시키는 반도체 박막의 결정화 방법이다. 이 때, 에너지 빔의 조사 지름 이하의 피치를 유지(保; keeping)해서 해당 에너지 빔을 평행하게 주사시킴으로써, 해당 에너지 빔의 주사 방향과 다른(異) 방향으로 띠모양(帶狀)의 결정립을 성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반도체 박막의 결정화 방법에서는, 앞서(先)의 에너지 빔의 주사에 의해서 형성된 결정립의 결정성을 계승(引繼)하도록, 인접(隣接)하는 주사 위치에서 결정립의 결정 성장이 진행되고, 해당 에너지 빔의 주사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띠모양의 결정립이 연장설치(延設)된다. 이와 같은 띠모양의 결정립의 폭(幅)은, 에너지 빔의 주사 속도나 조사 에너지 등의 조사 조건에 의해서 양호하게 제어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형태에서는, 반도체 박막의 결정화 방법, 이 결정화 방법을 이용한 박막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이 순(順; order)으로 설명한다.
<반도체 박막의 결정화 방법>
먼저, 도 1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박막 반도체 장치를 형성하는 기판(1)을 준비한다. 이 기판(1)으로서는, 실리콘 기판을 비롯해서, 비정질 기판의 유리(glass)나 플라스틱 기판 등의 저융점 기판, 석영, 사파이어 기판, 또 알루미늄이나 스텐레스 등의 금속 기판 등을 이용한다. 또한, 이 기판(1)의 1주면(主面) 상에는, 여기서의 도시는 생략한, 산화막이나 질화막 등 절연막을 기판(1)에의 열전도(熱傳導)를 방지하기 위한 버퍼층으로서 설치(設; form, provide)해도 좋고, 또 각종 금속막 등을 설치해도 좋다.
다음에, 이 기판(1) 상에, 비정질의 반도체 박막(3)을 형성한다. 여기서는, 1예로서 PE-CVD(plasma enhancement-chemical vapor deposition) 법에 의한 비정질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반도체 박막(3)의 형성을 행한다.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진 반도체 박막(3)은, 다량의 수소가 함유(含有)된, 이른바 수소화 비정질 실리콘(a-Si:H)으로 이루어진다. 또, 여기서 형성하는 반도체 박막(3)의 막두께(膜厚)는, 예를 들면 막두께 20㎚∼100㎚인 것으로 한다.
또한, 반도체 박막(3)의 형성은, 성막(成膜) 온도를 낮게 억제할 수 있는 방법이면 상술한 PE-CVD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포법(塗布法; coating method) 에 의해서 행해도 좋다. 이 경우, 폴리실란 화합물을 용매에 섞은(混) 혼합물을, 기판(1) 상에 도포 성막하고, 그 후, 건조, 어닐(annealing)을 행하는 것에 의해 반도체 박막(3)을 형성한다. 그리고, 앞서의 PE-CVD법이나, 여기서 나타낸 도포법 등의 성막 온도가 낮게 억제된 성막 방법에서는, 어느 경우에도 성막 조건에 의해 다소의 변동은 있지만, 0. 5atoms%∼15atoms% 정도의 수소를 함유한 수소화 비정질 실리콘(a-Si:H)으로 이루어지는 반도체 박막(3)이 얻어진다.
그 후, 필요에 따라서 반도체 박막(3) 중의 과잉(過剩) 수소 이온을 이탈(脫離)시키기 위한, 이른바 수소빼기(水素拔; dehydrogenation; 탈수소화) 어닐 처리를 행한다. 이와 같은 수소빼기 어닐 처리로서는, 예를 들면 400℃∼600℃의 로(爐; furnace)어닐을 행한다. 다만, 다음에 행하는 결정화를 위한 어닐 처리가, 반도체 박막(3) 중에서 수소 이온을 가스화(化) 팽창시키는 일 없이 레이저광의 조사부로부터 잉여(餘剩; excess) 수소를 제거하도록, 조사 에너지를 조정해서 행해지는 경우에는, 수소빼기 어닐 처리를 생략해도 좋다.
이상의 이후(後)에, 반도체 박막(3)에 설정한 활성 영역에, 에너지 빔으로서 레이저광(Lh)을 조사하는 결정화 공정을 행한다.
레이저광(Lh)으로서는, 예를 들면 Ga-N 레이저(파장 405㎚), Kr 레이저(파장 413㎚), Ar 레이저(파장 488㎚, 514. 5㎚), Nd:YAG 레이저(파장 1.06㎛)의 제2 고조파(高調波)(532㎚)나 제3 고조파(355㎚), Nd:YLF 레이저(파장 1.05㎛)의 제2 고조파(524㎚)나 제3 고조파(349㎚), 혹은 Yb:YAG 레이저(파장 1.03㎛)의 제2 고조파(515㎚)나 제3 고조파(344㎚) 등을 이용할 수가 있다. 그 밖에도, Ti:Sapphire 레이저의 기본파(792㎚) 또는 제2 고조파(396㎚)를 이용해도 좋다.
여기서는, 반도체 박막(3)에 대해서 소정의 속도로 일정(一定) 주사 방향(y)에 레이저광(Lh)을 주사시키면서 조사한다. 그리고 특히 레이저광(Lh)의 조사에 의해서 반도체 박막(3)이 그의 깊이(深) 방향에서 완전 용융 되도록, 반도체 박막(3)의 막두께에 맞추어(合; conformity) 레이저광(Lh)의 조사 조건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반도체 박막(3)에 조사하는 레이저광(Lh)의 파장은, 반도체 박막(3)의 막두께와 그의 흡수 계수에 의거해서, 반도체 박막(3)의 표면층에서만 흡수되지 않고 깊이 방향 전역에 걸쳐서 흡수될 정도로, 비교적 흡수 계수가 작아지는 파장이 선택된다. 즉, 두께 50㎚의 비정질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반도체 박막(3)을,예를 들면 파장 350㎚∼470㎚의 레이저광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이와 같은 파장의 레이저광(Lh)의 발진원(發振源; oscillation source)으로서는, 예를 들면 GaN계의 화합물 반도체 레이저 발진기, 또 YAG 레이저 발진기가 대응한다.
이상과 같은 레이저광(Lh)의 파장 이외의 조사 조건으로서, 레이저광(Lh)을 조사하는 대물 렌즈의 개구수(NA), 레이저광(Lh)의 주사 속도나 조사 에너지 등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서도, 반도체 박막(3)을 깊이 방향에서 완전 용융시킨 결정화가 행해지도록 할 수가 있다. 그리고, 비정질의 반도체 박막(3)에 일정 강도(强度) 이상의 레이저광(Lh)을 조사하는 것에 의해 반도체 박막(3)을 완전하게 용융시키는 것이다.
또, 이 결정화 공정에서는, 이상과 같이 선택된 파장의 레이저광(Lh)을, 빔 프로파일이 가우시안 형상(Gaussian form)의 스폿 빔으로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레이저광(Lh)의 주사에 의해, 반도체 박막(3)이 완전 용융된 주사로(走査路; scanning path)에서는, 레이저광(Lh)의 통과에 따라서 응고가 진행되고, 레이저광(Lh)의 주사 중심(ψ)을 따라서 결정립(B)이 배열 형성된다. 이 때, 레이저광(Lh)의 빔 프로파일을 가우시안 형상으로 함으로써, 레이저광(Lh)의 조사 부분의 온도는, 레이저광(Lh)의 빔 프로파일(Beam Profile)의 가우시안 형상에 대응하고, 레이저광(Lh)의 주사 중심(ψ)에서 가장 높고, 양단(兩端)에서 가장 낮아진다. 그 때문에, 레이저광(Lh)을 주사 방향(y)으로 주사하면서 조사하는 것에 의해, 반도체 박막(3)이 완전 용융된 주사로에서, 주사 중심(ψ)과 떨어진(離) 먼 위치(레이저광의 주사로의 양측단)로부터 결정 응고가 개시되고, 주사로의 양측단에 일정수의 결정의 종(種)이 발생한다. 그리고, 더욱더 레이저광(Lh)의 주사를 진행시키는 것에 의해, 주사 중심(ψ) 측을 향해서 주사 방향(y)으로 응고가 진행되고, 결정의 종(B)이 주사 방향(y)을 향해서 주사 중심(ψ) 측으로 잡아당겨지는(引張; pulled) 상태에서 응고가 진행되고, 주사 중심(ψ)이 최후(最後; 마지막)에 결정화된다. 이 때, 주사 중심(ψ)에서 응고가 회합(會合; complete; 완료)하도록, 상술한 조사 조건의 범위에서 더욱더 레이저광(Lh)의 주사 속도 및 출력을 조정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주사 중심(ψ)으로부터 주사로의 양측을 향해서 끝이 넓게(末廣) 넓어지는 반초승달 모양(半三日月狀; semi-crescent form), 즉 초승달을 선대칭(線對稱)이 되는 선으로 2분할한 형상의 결정립(B)이 얻어진다.
또 이 경우, 상술한 레이저광(Lh)의 조사 조건에 의해, 레이저광(Lh)의 주사 방향(y)에서의 결정립(B)의 폭(W1)이 조정된다. 이 때문에, 상술한 레이저광(Lh)의 조사 조건, 즉 레이저광(Lh)의 파장, 레이저광(Lh)을 조사하는 대물 렌즈의 개구수(NA), 레이저광(Lh)의 주사 속도나 조사 에너지 등은, 레이저광(Lh)의 조사에 의해서 반도체 박막(3)이 그의 깊이 방향에서 완전 용융되는 범위에서, 또한 결정립(B)의 폭(W1)이 소정값으로 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중요하다.
다음에, 도 1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앞서(먼저) 조사된 레이저광(Lh)의 주사로에 대해서, 소정의 피치(p)로 주사로를 어긋나게 하고 2회째(回目)의 레이저광(Lh)의 주사를 행한다. 이 때, 레이저광(Lh)의 주사 방향(y)은, 1회째의 주사와 평행한 일정 방향인 것으로 한다. 그리고, 평행하게 주사되는 레이저광(Lh)의 피치(p)(주사로의 어긋남 폭(shifted width))은, 레이저광(Lh)의 직경(주사 방향(y)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의 조사 지름)(r) 이하인 것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인접하는 레이저광(Lh)의 주사 위치에 형성된 결정립(B)의 결정성을 계승하도록, 2회째의 레이저광(Lh)의 주사에서의 응고를 진행시키고, 레이저광(Lh)의 주사 방향(y)과 다른 방향(주사 방향(y)에 대해서 대략 수직으로 되는 방향)으로 결정립(B)을 성장시킨다.
또, 이 때, 평행하게 주사되는 레이저광(Lh)의 피치(p)는 레이저광(Lh)의 조사 반경(r/2)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결정립(B)의 성장 방향을 일정 방향으로 제어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이것은,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가우시안 형상의 레이저광(Lh)을 주사시킨 경우에는, 주사로의 양단으로부터 주사 중심(ψ) 측을 향해서 주사 방향(y)으로 응고가 진행되기 때문에, 주사 중심(ψ)에 대해서 선대칭인 형상의 결정립(B)이 형성된다. 이 때문에, 레이저광(Lh)의 피치(p)를, 레이저광(Lh)의 조사 반경(r/2)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주사로의 일단측으로부터 주사 중심(ψ) 측을 향해서 주사 방향(y)으로 응고가 진행된 결정립(B) 부분만을 남기고서 결정화가 진행된다. 이 때문에, 결정립(B)의 성장 방향을 일정 방향으로 제어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폭 W1=수 100㎚의 결정립(B)을, 그의 폭(W1)을 유지해서 성장시키는 경우에는, 조사 지름(r)=200㎚∼500㎚의 스폿 형상의 레이저광(Lh)을, 조사 반경(r/2) 이하의 좁은 피치(p)로 주사로를 어긋나게 해서 주사시킨다.
이후, 도 1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정의 피치(p)로 주사로를 어긋나게 하면서, 각각의 어긋난 위치에서 3회째 이후의 레이저광(Lh)의 주사를 순차(順次) 행한다. 이것에 의해, 레이저광(Lh)의 주사 방향(y)과 다른 방향으로의 결정립(B)의 성장을 더욱더 진행시키고, 주사 방향(y)에 대해서 대략 수직으로 되는 방향으로 띠모양으로 연장설치된 결정립(b)를 형성한다. 이 때, 각 위치에서의 레이저광(Lh)의 주사를, 1회째의 주사와 마찬가지 조사 조건으로 행하는 것에 의해, 띠모양의 결정립(b)의 주사 방향(y)의 폭(W1)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띠모양의 결정립(b)이, 주사방향(y)으로 배열됨으로써, 폭 W1에서 주기적으로 결정립계(a)가 설치된 결정 영역이 형성된다.
여기서, 띠모양의 결정립(b)의 폭(W1)(즉, 결정립계(a)의 피치)은, 다음에 설명하는 박막 반도체 장치의 채널부에 설치되는 결정립계(a)의 갯수(本數)를 규정 하는 중요한 팩터(factor; 요인)로 된다. 즉, 이후에 자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박막 반도체 장치의 채널부에 설치되는 결정립계(a)의 갯수(주기수)는, 캐리어 이동도를 유지할 수 있는 범위에서 트랜지스터 특성의 편차를 균일화할 수 있을 정도로 많이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게다가, 여기서는, 프로세스의 택트 타임(tact time)을 손상(損; impeding)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보다 많은 갯수의 결정립계(a)가 채널부에 설치되도록, 박막 반도체 장치의 설계에 맞추어 결정립(b)의 폭(W1)=수 100㎚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이후의 실시예에서도 설명하는 바와 같이, 채널부에는, 채널폭 방향으로 연장설치된 결정립계(a)가 50개 정도 설치되도록, 채널 길이(長)에 맞추어 띠모양의 결정립(b)의 폭(W1)이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술한 결정화 공정에서는, 레이저광(Lh)의 조사에 의해서 형성되는 결정립계(a)의 특성을 일정화시키는 것이 지극히 중요하다. 결정립계(a)의 특성을 일정화하는 요인(要因; factor)으로서는, 각 조사 위치에서의 레이저의 조사 에너지 밀도가 일정한 것, 주사 속도가 일정한 것, 레이저광(Lh)의 피치(p)가 일정한 것, 반도체 박막(3)의 막두께가 균일한 것 등이 요구된다.
또, 레이저광(Lh)의 조사 에너지 밀도를 일정하게 하기 위해서, 어도 활성 영역에 대해서 레이저광(Lh)을 조사하고 있는 동안에 있어서는, 레이저광(Lh)이 연속 발진된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연속 발진이라 함은, 반도체 박막(3)의 온도가 저하하지 않는 범위의 휴지(休止; pause)(예를 들면, 50㎱ 이하의 휴지)가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 레이저광(Lh)의 조사 에너 지 밀도를 일정하게 해서 상술한 조사를 행하기 위해서는, 에너지의 피드백 기능이나 포커스 서보 기능을 구비한 레이저광의 조사 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너지의 피드백 기능이나 포커스 서보 기능은 광디스크 등의 컷팅 머신(cutting machines) 등에서 사용되는 공지의 기술로 구축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반도체 박막(3)에 대한 레이저광(Lh)의 조사는, 레이저 조사의 주사 속도가 일정하게 되는 영역에서 설정한다.
그리고, 반도체 박막(3)에 대한 레이저광(Lh)의 조사 위치의 이동은 상대적으로 좋고, 고정된 레이저광의 조사 위치에 대해서 반도체 박막이 형성된 기판측을 이동시켜도 좋고, 고정된 기판에 대해서 레이저광의 조사 위치를 이동시켜도 좋다. 또, 기판(1)과 레이저광의 조사 위치와의 양쪽(良方; both)을 이동시켜도 좋다.
또, 상술한 결정화 공정에서의 레이저광(Lh)의 평행한 주사는, 하나의 레이저 발진기를 이용해서 순차 행해도 좋고, 복수의 레이저 발진기를 이용해서 행해도 좋다. 또, 표시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작을 생각한 경우, 복수의 활성 영역에 대해서 동시에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말해, 기판(1)의 표면 측에 설정 배열된 복수의 활성 영역에 대해서 레이저광(La)을 동시에 다점(多点) 조사하는 것에 의해, 복수의 활성 영역에 대해서 결정화 공정을 동시에 행할 수 있는 것이, 생산성을 고려한 경우에는 바람직한 방법이다.
이와 같은 레이저광(Lh)의 다점 조사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레이저광의 발진원으로서 반도체 레이저 발진기가 매우 적합(好適; appropriately)하게 이용된다. 반도체 레이저 발진기는, 엑시머 레이저나 YAG 레이저 등의 다른(他) 레이저 발진 기와 비교해서 매우 소형이기 때문에, 하나의 장치 내에 복수 배치가 가능하며, 또한 연속 조사로 정격(定格) 200㎽의 출력이 가능하다.
반도체 레이저 발진기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대면적화(大面積化)에 대응해서 반도체 레이저의 갯수를 늘림으로써 기판 사이즈에 대해서 유연하게 장치 설계가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대형 기판 상에 같은(同) 성능의 트랜지스터를 다수 늘어놓은 구조를 얻을 수 있고, 연구 레벨로 보고가 있는 바와 같은 마스크를 이용해서 입계(粒界)를 제어하는 방법에 비해 대면적으로 균일한 특성의 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것에 유리하다.
또, 이상의 결정화 공정은, 불활성 가스 분위기 중에 한정되지 않고, 대기 분위기 중에서 행해져도 좋다. 대기 분위기 중에서 행하는 것에 의해, 장치 전체의 대형화가 방지된다.
이상 설명한 결정화 방법에 의하면, 레이저광(Lh)의 주사 방향(y)과 다른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설치된 띠모양의 결정립(b)이, 주사 방향(y)으로 규칙적으로 배열된 다결정화가 행해진다. 그리고, 각 결정립(b)의 주사 방향(y)에서의 폭(W1)은, 레이저광(Lh)의 파장, 주사 속도, 조사 에너지 등의 조사 조건에 의해서 양호하게 제어할 수가 있다. 게다가, 결정립(b)은, 레이저광(Lh)의 조사에 의해서 반도체 박막(3)을 완전 용융시키고, 액상(液相) 성장에 의해서 재결정화(再結晶化)시켜서 얻어진 결정립이기 때문에, 결정의 질(質)도 양호하다.
따라서, 형상 정밀도가 양호한 띠모양의 결정립이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것에 의해, 띠모양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높은 캐리어 이동도가 고정밀도로 제어된 다 결정성 영역을 반도체 박막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박막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다음에, 이상과 같은 결정화 방법에 계속(繼)해서 행해지는 박막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여기서는, 동일한 기판(1) 상에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 TFT를 설치해서 이루어지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또한, 도면에서는, 주로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 형성 부분만을 도시한다.
먼저, 도 2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판(1) 상의 반도체 박막(3)에 설정한 각 활성 영역(3a)의 전면을, 상술한 결정화 방법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결정화한다. 그리고, 각각의 활성 영역(3a) 내에, 활성 영역(3a)을 가로지르는 상태에서 띠모양의 결정립(b)을 형성한다. 이것에 의해, 활성 영역(3a)을 가로지르는 상태에서, 폭 W1(=수 100㎚)에서 주기적으로 배열된 결정립계(a)를 배열시킨다. 이 때, 띠모양의 결정립(b)의 길이는, 박막 트랜지스터의 규격에 맞추어 수 ㎛∼수 100㎛ 정도로 한다.
다음에, 도 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결정화시킨 활성 영역(3a)을 남기는 바와 같은 소정 형상으로 반도체 박막(3)을 패턴 에칭하고, 각 활성 영역(3a)을 소정 형상의 섬 모양(島狀)으로 분할해서 소자 분리한다. 이 경우, 도시한 바와 같이, 활성 영역(3a) 주위에 결정화시키고 있지 않은 반도체 박막(3) 부분이 남지 않도록, 반도체 박막(3)을 패턴 에칭해도 좋다. 또, 활성 영역(3a) 주위에 결정화시키고 있지 않은 반도체 박막(3) 부분이 남도록, 반도체 박막(3)을 패턴 에칭해도 좋다. 이 경우, 섬 모양으로 패터닝된 영역내의 결정화된 영역 모두가 활성 영역으로 되고, 그 주위에 남겨진 비결정 영역은 분리 영역으로 된다. 또한, 이와 같은 반도체 박막(3)의 패턴 에칭은, 상술한 결정화 공정 전에 행해도 좋다. 이 경우, 활성 영역(3a)의 예정으로 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섬 모양으로 패터닝된 각 반도체 박막(3)에 대해서, 상술한 결정화 공정이 행해지게 된다.
다음에, 패터닝된 활성 영역(3a)을 덮는(覆; cover) 상태에서 기판(1)의 상부에 게이트 절연막(도시 생략)을 형성한다. 이 게이트 절연막은, 산화 실리콘이나 질화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좋고, 통상의 PE-CVD에 의한 공지의 방법으로 성막가능하며, 그 밖에도 도포형 절연층으로서 공지의 SOG 등의 성막을 행해도 좋다. 또한, 이 게이트 절연막의 형성은, 반도체 박막(3)을 패턴 에칭 하기 전에 행해도 좋다.
다음에,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섬 모양으로 분할한 각 활성 영역(3a)의 중앙부를 가로지르는 형상의 게이트 전극(5)을, 게이트 절연막 상에 형성한다. 여기서는, 결정립계(a)의 연장설치 방향(띠모양의 결정립(b)의 연장설치 방향)을 따라서, 게이트 전극(5)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 3에서의 A부의 확대도를 도 4에 도시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게이트 전극(5)은, 활성 영역(3a)에서 소정의 폭(W)으로 설계된 부분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있고, 게이트 전극(5)이 가로지르는 부분의 활성 영역(3a)의 폭이 채널폭(W)으로 된다. 다시말해, 결정립계(a)는, 게이트 전극(5) 하부의 채널부(C)를, 채널폭(W)의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상태로 설치되게 된다.
또, 게이트 전극(5)의 선폭(線幅)(즉, 채널 길이(L)에 대응한다)은, 여기서 형성하는 박막 트랜지스터의 규격에 의거해서 설계되어 있으며, 그의 하부에 소정 갯수의 결정립계(a)가 채널부(C)를 채널폭(W)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배치되어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동일 특성의 박막 트랜지스터이면, 채널부(C)에는, 대략 동일 갯수의 결정립계(a)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중요하다. 여기서, 대략 동일 개수라 함은, 소정 갯수에 대해서 ±1개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채널부(C)에 설치되는 결정립계(a)의 수는, 소정 갯수에 대한 실제의 갯수의 비율의 편차가 작을 수록, 박막 트랜지스터의 특성 편차를 균일화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채널부(C)에 설치되는 결정립계(a)의 갯수는 2개 이상으로 많은 쪽이 좋다. 구체적으로는, 이후의 실시예에서도 설명하는 바와 같이, 채널부(C)에는, 채널폭(W) 방향으로 연장설치된 결정립계(a)가 25개 정도 설치되도록, 채널 길이(L)에 맞추어 결정립(b)의 폭(W1)(즉, 결정립계의 피치)이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채널부(C)에서 채널 길이(L) 방향을 가로지르는 결정립계(a)가 많을 수록, 채널 길이(L) 방향에서의 캐리어 이동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캐리어 이동도가 어느 정도 높게 유지되는 범위에서 결정립계(a)의 갯수가 많을수록 좋다.
또 이상과 같이, 각 활성 영역(3a)에 설치된 결정립계(a)에 대해서 소정 상태로서 게이트 전극(5)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때문에, 앞서의 결정화 공정에서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게이트 전극(5)의 배선 방향에 맞추어 각각의 활성 영역(3a)에서의 레이저광(Lh)의 주사 방향을 설정하고, 띠모양의 결정립(b)과 그 결정립계(a)의 연장설치 방향을 게이트 전극(5)의 배선 방향에 일치시 키는 것으로 한다.
이상의 게이트 전극(5)을 형성하려면, 먼저 스퍼터법 또는 증착법에 의해, 예를 들면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전극 재료층을 성막하고, 다음에 리소그래피법에 의해서 이 전극 재료층 상에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한다. 그 후, 이 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이용해서 전극 재료층을 에칭하는 것에 의해, 게이트 전극(5)을 패턴 형성한다.
또한, 게이트 전극(5)의 형성은, 이와 같은 수순(手順; procedurre)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금속 미립자를 도포해서 인쇄하는 수법(手法)이어도 좋다. 또, 게이트 전극(5)을 형성할 때의 전극 재료층의 에칭에서는, 계속해서 게이트 절연막을 에칭해도 좋다.
다음에, 도 6의 단면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게이트 전극(5)을 마스크로 이용한 이온 임플란테이션(ion-implantation; 이온 주입)과 그 후의 어닐 처리에 의해, 활성 영역(3a)에 자기 정합적(自己整合的)으로 불순물이 도입된 소스·드레인(7)을 형성한다. 또한, 도 6은, 도 3에서의 X-X′방향의 단면에 대응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게이트 전극(5)의 하부에는 결정화된 활성 영역(3a)에서 불순물이 도입되지 않는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채널부(C)가 형성된다. 이들 소스·드레인(7) 및 게이트 전극(5)의 하부의 채널부(C)는, 반도체 박막(3)을 결정화시킨 다결정 실리콘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이상에 의해서 다결정 실리콘 박막을 이용한 탑 게이트(top gate)형(型)의 박막 트랜지스터 TFT(즉, 다결정 실리콘 TFT)가 동일 기 판(1) 상에 복수 설치된 박막 반도체 장치(10)가 얻어진다.
그리고, 이와 같은 박막 트랜지스터 TFT를 스위칭 소자로서 이용한 표시 장치로서, 예를 들면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하는 경우에는, 이하의 공정을 더 행한다.
먼저, 도 7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박막 반도체 장치(10)의 기판(1) 상에, 박막 트랜지스터 TFT를 덮는 상태에서 층간 절연막(21)을 형성한다. 다음에, 이 층간 절연막(21)에 박막 트랜지스터 TFT의 소스·드레인(7)에 도달하는 접속 구멍(21a)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 접속 구멍(21a)을 거쳐서 소스·드레인(7)에 접속된 배선(23)을, 층간 절연막(21) 상에 형성한다.
그 다음에, 배선(23)을 덮는 상태에서 평탄화 절연막(25)을 형성하고, 배선(23)에 도달하는 접속 구멍(25a)을 평탄화 절연막(25)에 형성한다. 다음에, 이 접속 구멍(25a)과 배선(23)을 거쳐서 소스·드레인(7)에 접속된 화소 전극(27)을, 평탄화 절연막(25) 상에 형성한다. 이 화소 전극(27)은,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 타입에 따라서 투명 전극 또는 반사 전극으로서 형성한다. 또한, 도면은 1화소의 요부 단면(要部斷面)으로 되어 있다.
그 후, 여기서의 도시는 생략했지만, 화소 전극(27)을 덮는 배향막(配向膜; orientation film)을 평탄화 절연막 상에 형성하고, 구동 기판(29)을 완성시킨다.
한편, 도 7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 기판(29)에 대향 배치시키는 대향 기판(31)을 준비한다. 이 대향 기판(31)은, 투명 기판(33) 상에 공통 전극(35)을 설치하고, 또 여기서의 도시를 생략한 배향막으로 공통 전극(35)을 덮어 서 이루어진다. 또한, 공통 전극(35)은 투명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구동 기판(29)과 대향 기판(31)을, 화소 전극(27)과 공통 전극(35)을 서로 마주보게(向合) 한 상태에서, 스페이서(37)를 거쳐서 대향(對向; face-to-face relation) 배치한다. 그리고, 스페이서(37)에 의해서 소정 간격으로 유지된 기판(29, 31) 사이에 액정상(液晶相)(LC)을 충전 봉지(充塡封止; sealedly packing)하고, 액정 표시 장치(41)를 완성시킨다.
또한, 상기 구성의 구동 기판(29)을 이용해서 유기 EL 표시 장치를 제작하는 경우에는, 구동 기판(29)에 설치된 화소 전극을 양극(陽極)(또는, 음극(陰極))으로 하고, 이 화소 전극 상에 정공 주입층(正孔注入層), 발광층, 전자 수송층(電子輸送層) 등의 필요 기능을 가지는 유기층을 적층시키고, 또 유기층 상에 공통 전극을 음극(또는, 양극)으로서 형성하는 것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형태의 결정화 방법을 이용해서 얻어진 박막 반도체 장치(10)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게이트 전극(5)을 따라서 연장설치된 결정립계(a)가, 채널부(C)를 가로지름과 동시에 채널 길이(L) 방향으로 주기적으로 배치된 구성으로 함으로써, 채널부(C)를 통과하는 캐리어는, 반드시 소정의 폭(W1)으로 배치된 결정립계(a)를 가로질러서 이동하게 된다. 이 때문에, 이 폭(즉, 띠모양의 결정립(b)의 폭(W1))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박막 반도체 장치(1)에서의 박막 트랜지스터 TFT의 트랜지스터 특성(캐리어 이동도)을 정밀도 양호하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시말해, 띠모양의 결정립(b)의 폭(W1)이나 채널부(C)에 배치되는 띠모양의 결정립(b)의 수(즉, 결정립계(a)의 수)를 일치시킴으로써, 복수의 소 자에 대한 캐리어 이동도의 편차가 억제된다.
게다가, 결정립계(a-a) 사이의 결정 상태는, 동일한 결정립(b)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비정질의 영역을 포함하지 않고 소자 특성의 열화가 억제됨과 동시에, 채널 길이(L) 방향의 캐리어 이동도가 높게 유지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박막 반도체 장치에 형성된 각 박막 트랜지스터 TFT를 화소의 스위칭 소자로서 이용해서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것에 의해, 표시부에서의 휘도 얼룩이나 색 얼룩(色斑; color shading)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다결정화 방법을 적용해서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박막 반도체 장치를 제작하는 방법을 설명했다. 그렇지만, 본 발명의 다결정화 방법은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에의 적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전자 소자의 제조 방법에도 적용가능하다. 어느 경우이더라도, 결정립계(a)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전류를 흐르게 하도록 설정하는 것에 의해, 특성 정밀도가 양호한 전자 소자를 얻을 수가 있다.
또, 이상의 실시형태에서 예시한 재료, 원료, 프로세스 및 수치 등은 어디까지나 1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서 이들과 다른 재료, 원료, 프로세스 및 수치를 이용해도 좋다.
[실시예]
<실시예 1>
먼저, 석영 유리 기판 상에, 플라즈마 CVD법에 의해서 막두께 120㎚의 산화 실리콘막을 성막해서 이것을 기판(1)으로 했다. 이 기판(1) 상에, 플라즈마 CVD법 에 의해서 막두께 50㎚의 비정질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반도체 박막(3)을 성막했다. 다음에, 반도체 박막(3) 중의 과잉 수소 이온을 이탈시키기 위해서, 진공중에서 500℃, 1시간의 어닐 처리(수소 빼기 어닐 처리)를 행했다.
그 후, 이 반도체 박막(3)에 대해서, 직경(r)=약 500㎚, 기판면에서의 조사 에너지 12㎽, 대물 렌즈의 실효 NA=0. 8의 GaN 스폿 빔 레이저광(Lh)을 일정 주사 방향(y)에 평행하게 주사시키면서 조사했다. 이 때, 실시예 1에서는, 이 레이저광(Lh)을, 피치(p)=100㎚의 간격을 두고 주사 방향(y)로 주사 속도v=1 m/s로 평행하게 주사시키면서 조사했다. 또한, 반도체 박막(3)에 대한 레이저광(Lh)의 조사는, 항상 포커스 서보를 가하고, 주사시에 초점이 벗어나지 않도록 했다. 또, 조사 에너지가 일정하게 되도록 조사 빔의 일부를 모니터해서 에너지의 변동이 없도록 했다.
이와 같은 레이저광(Lh)의 조사에 의한 결정화를 행한 영역을,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으로 관찰한 바, 주사 방향(y)과 대략 수직 방향으로 연장설치된 띠모양의 결정립(b)이 규칙적으로 배열된 결정 영역이 얻어지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들 띠모양의 결정립(b)의 폭(W1)=약 400㎚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의 레이저광(Lh)의 조사 조건을, 대물 렌즈의 실효 NA=0. 4, 피치(p)=200㎚, 주사 방향(y)으로의 주사 속도(v)=3m/s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행했다.
이와 같은 레이저광(Lh)의 조사에 의한 결정화를 행한 영역을,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으로 관찰한 바, 주사 방향(y)과 대략 수직 방향으로 연장설치된 띠모양의 결정립(b)이 규칙적으로 배열된 결정 영역이 얻어지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들 띠모양의 결정립(b)의 폭(W1)=약 200㎚였다.
<실시예 3-1, 실시예 3-2>
실시예 1과 같이 해서 다결정화한 영역을 이용해서, 하기(下記)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채널 길이(게이트 선폭)(L)=10㎛, 20㎛, 채널폭(W)=0. 5㎛의 각 박막 트랜지스터를 제작했다. 본 실시예 3의 각 박막 트랜지스터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정립계(a)와 평행하게 게이트 배선(5)을 설치했다. 또, 실시예 3-1, 실시예 3-2의 각 박막 트랜지스터에서의 채널부의 결정립계(a)의 갯수는, 약 25개, 약 50개로 된다.
[표 1]
Figure 112007018782951-PAT00001
이와 같이 해서 제작한 박막 트랜지스터에 대해서, 캐리어 이동도를 측정했다. 이 결과를 상기 표 1에 아울러(合; also) 나타냈다.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채널 길이(L)=10㎛의 트랜지스터에서는 캐리어 이동도=120㎠/Vs이며, 채널 길이(L)=20㎛의 트랜지스터에 관해서는 캐리어 이동도=155㎠/Vs였다. 또, 제작한 10개의 박막 트랜지스터에 대해서, 임계값(Vth) 편차를 측정했다. 각 박막트랜지스터는, 480㎛ 간격으로 인접시켜서 설치한 것이다. 이 결과로부터, 결정립계(a) 의 갯수가 많은 쪽이, 트랜지스터 사이의 임계값(Vth) 편차(σ)가 작고, 특성 정밀도가 양호한 박막 트랜지스터가 얻어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특히, 결정립계(a)의 갯수가 50개 이상이면, 임계값(Vth)의 편차(σ)가 0.2V 이내로 억제되고, 높은 이동도를 가지는 주변 회로 영역에 배치되는 스위칭 소자로서 극히 유익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4-1, 실시예 4-2>
실시예 2와 같이 해서 다결정화한 영역을 이용해서, 하기 표 2에 나타내는 채널 길이(게이트 선폭)(L)=10㎛, 20㎛, 채널폭(W)=50㎛의 각 박막 트랜지스터를 제작했다. 본 실시예 4의 각 박막 트랜지스터에서도,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정립계(a)와 평행하게 게이트 배선(5)을 설치했다. 또, 실시예 4-1, 4-2의 각 박막 트랜지스터에서의 채널부의 결정립계(a)의 갯수는, 약 50개, 약 100개로 된다. 또한, 온 오프(off) 특성 향상이 편차를 낮게 억제하기 위해서, 본 제4 실시예에서는 프로세스로 변경을 가하고 있다.
[표 2]
Figure 112007018782951-PAT00002
제작한 박막 트랜지스터에 대해서, 캐리어 이동도를 측정했다. 이 결과를 상기 표 2에 아울러 나타냈다. 표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채널 길이(L)=10㎛의 트랜지스터에서는 캐리어 이동도=200㎠/Vs이며, 채널 길이(L)=20㎛의 트랜지스터에 서는 캐리어 이동도=210㎠/Vs였다. 또, 제작한 각 30개의 박막 트랜지스터에 대해서, 임계값(Vth) 편차를 측정했다. 각 박막 트랜지스터는, 480㎛ 간격으로 인접시켜서 설치한 것이다. 이 결과로부터, 실시예 3(NA=0. 8)과 마찬가지로, 결정립계(a)의 갯수가 많은 쪽이, 트랜지스터 사이의 임계값(Vth) 편차(σ)가 작고, 특성 정밀도가 양호한 박막 트랜지스터가 얻어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특히, 결정립계(a)의 갯수가 50개 정도이덜라도, 임계값(Vth)의 편차(σ)가 0. 2V 이내로 억제되고, 높은 이동도를 가지는 주변 회로 영역에 배치되는 스위칭 소자로서, 극히 유익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비교예>
종래 구성의 엑시머 레이저를 이용한 결정화 공정을 적용해서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형성했다.
먼저, 실시예 1과 마찬가지 반도체 박막(3)을 성막한 후, KrF의 엑시머 레이저를, 광학적으로 짧은 축(短軸) 방향의 폭 400㎛, 긴 축(長軸) 방향의 길이 100㎜의 라인 빔으로 가공하고, 1펄스마다 단축 방향으로 8㎛의 피치로 조사 위치를 어긋나게 하고, 나머지 영역은 겹치도록 레이저를 조사했다. 이 때에 짧은 축에 평행한 단면에서 평가한 에너지 프로파일은, 톱 햇형(top hat form)(사다리꼴형(台形型; trapezoidal form)으로 조정되어 있다. 상기 조건으로 조사를 행한 경우, 같은 영역에는 약 50쇼트(shots)의 펄스 레이저가 조사되게 된다. 조사 레이저는 1펄스가 25㎱이고, 310mJ/㎠ 상당의 에너지 밀도로 되도록 아테네이터(attenuator; 감쇠기)를 이용해서 조정했다.
이와 같은 레이저광(Lh)의 조사에 의한 결정화를 행한 영역을,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으로 관찰한 바, 한 변이 약 250㎚인 사각형 모양(四角形狀; square-shaped)의 결정립이 격자모양으로 규칙 바르게(規則正; 규칙적으로) 배열된 다결정 영역이 얻어지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상기 다결정화한 영역을 이용해서, 하기 표 3에 나타내는 채널 길이(게이트 선폭)(L)=20㎛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제작했다. 또한, 각 박막 트랜지스터의 채널폭(W)=50㎛로 했다.
[표 3]
Figure 112007018782951-PAT00003
제작한 각 박막 트랜지스터에 대한 임계값(Vth)의 편차를 측정했다. 그 결과를 상기 표 3에 아울러 나타낸다. 또한, 표 3에는, 비교예와 동일 규격(채널 길이(L)=20㎛, 채널폭(W)=50㎛)의 각 실시예에 대한 결과를 아울러 나타냈다.
이 결과로부터, 본 발명을 적용해서 결정화시킨 반도체 박막을 이용한 실시예 3, 4의 박막 트랜지스터는, 본 발명을 적용하지 않고 엑시머 레이저에 의해서 결정화시킨 반도체 박막을 이용한 비교예의 박막 트랜지스터에 대해서, 캐리어 이동도가 같은(同) 정도이거나 그것 이상이면서도, 게다가 또 임계값(Vth)의 불균형 을 작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반도체 박막의 결정화 방법에 의하면, 형상 정밀도가 양호한 띠모양의 결정립이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것에 의해, 높은 캐리어 이동도가 고정밀도로 제어된 다결정성 영역을 반도체 박막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진 다결정성 영역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특성 편차가 효과적으로 억제된 화소 스위칭 소자에 적합한 박막 트랜지스터를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7)

  1. 반도체 박막에 대해서 에너지 빔을 소정(所定; 미리 정해진) 속도로 주사(走査)시키면서 연속 조사(照射)하는 것에 의해, 해당(當該) 반도체 박막을 결정화(結晶化)시키는 반도체 박막의 결정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빔의 조사 지름(照射徑) 이하의 피치를 유지(保; keeping)해서 해당(當該) 에너지 빔을 평행하게 주사시킴으로써, 해당 에너지 빔의 주사 방향과 다른(異) 방향으로 띠모양(帶狀)의 결정립(結晶粒; crystal grains)을 성장(成長)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박막의 결정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빔을 평행하게 주사시킬 때의 피치를, 해당 에너지 빔의 조사 반경(半徑) 이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박막의 결정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빔을 동일(同一) 방향으로 주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박막의 결정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치를 일정하게 해서 상기 에너지 빔을 평행하게 주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박막의 결정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빔의 연속 조사에 의해 상기 반도체 박막을 완전 용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박막의 결정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빔을 스폿 빔으로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박막의 결정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빔은, 반도체 레이저 발진기(發振器)로부터 발진되는 레이저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박막의 결정화 방법.
KR1020070022519A 2006-03-13 2007-03-07 반도체 박막의 결정화 방법 KR200700933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67271 2006-03-13
JPJP-P-2006-00067271 2006-03-13
JPJP-P-2006-00344130 2006-12-21
JP2006344130A JP2007281421A (ja) 2006-03-13 2006-12-21 半導体薄膜の結晶化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3337A true KR20070093337A (ko) 2007-09-18

Family

ID=38479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2519A KR20070093337A (ko) 2006-03-13 2007-03-07 반도체 박막의 결정화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651928B2 (ko)
JP (1) JP2007281421A (ko)
KR (1) KR20070093337A (ko)
CN (1) CN101038867B (ko)
TW (1) TW20074187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69073B2 (ja) * 2006-03-13 2008-10-22 ソニー株式会社 薄膜半導体装置および薄膜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7932139B2 (en) * 2007-05-02 2011-04-2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ology of improving the manufacturability of laser anneal
TWI528418B (zh) 2009-11-30 2016-04-01 應用材料股份有限公司 在半導體應用上的結晶處理
KR101097327B1 (ko) * 2010-01-07 2011-12-23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기판 밀봉에 사용되는 레이저 빔 조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250044B1 (ko) * 2014-07-04 2021-05-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트랜지스터 기판 제조방법,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방법, 박막트랜지스터 기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JP6471379B2 (ja) * 2014-11-25 2019-02-20 株式会社ブイ・テクノロジー 薄膜トランジスタ、薄膜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及びレーザアニール装置
JP6623078B2 (ja) * 2016-02-23 2019-12-18 株式会社ブイ・テクノロジー レーザアニール方法及びレーザアニー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9012A (ja) * 1981-08-31 1983-03-07 Fujitsu Ltd 非単結晶半導体層の単結晶化方法
JPS58162032A (ja) * 1982-03-20 1983-09-26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結晶化法
JPS61179524A (ja) * 1985-02-04 1986-08-12 Toshiba Corp 多結晶シリコン膜の単結晶方法
TW487959B (en) * 1999-08-13 2002-05-21 Semiconductor Energy Lab Laser apparatus, laser annealing method, and manufacturing method of a semiconductor device
JP2003077834A (ja) * 2001-09-05 2003-03-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結晶化半導体膜の形成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と薄膜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らを用いた表示装置
US6700096B2 (en) * 2001-10-30 2004-03-0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aser apparatus, laser irradiation method, manufacturing method for semiconductor device, semiconductor device, production system for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laser apparatus, and electronic equipment
JP2003332350A (ja) * 2002-05-17 2003-11-21 Hitachi Ltd 薄膜半導体装置
US6709910B1 (en) * 2002-10-18 2004-03-23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Method for reducing surface protrusions in the fabrication of lilac films
JP2005005323A (ja) * 2003-06-09 2005-01-06 Hitachi Cable Ltd 半導体加工方法および半導体加工装置
JP4534585B2 (ja) * 2004-05-11 2010-09-01 日立電線株式会社 薄膜半導体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TWI344210B (en) * 2006-04-17 2011-06-21 Au Optronics Corp Polysilicon film having smooth surfac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651928B2 (en) 2010-01-26
US20070212858A1 (en) 2007-09-13
CN101038867A (zh) 2007-09-19
TW200741879A (en) 2007-11-01
JP2007281421A (ja) 2007-10-25
TWI348194B (ko) 2011-09-01
CN101038867B (zh) 2011-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3022969A (ja) マスクを利用したシリコンの結晶化方法
KR100492152B1 (ko) 실리콘 결정화방법
KR20070093337A (ko) 반도체 박막의 결정화 방법
KR101360302B1 (ko) 박막 반도체 장치 및 박막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20070093371A (ko) 반도체 박막의 결정화 방법
US7541615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thin film transistors
US7723167B2 (en) Process and system for laser annealing and laser-annealed semiconductor film
US7682950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laterally crystallized semiconductor lay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in film transistor using the same method
JP4169072B2 (ja) 薄膜半導体装置および薄膜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660814B1 (ko) 박막트랜지스터의 반도체층 형성방법
KR101276150B1 (ko) 레이저 어닐링 방법, 레이저 어닐링 시스템, 반도체막,반도체 장치, 및 전기 광학 장치
JP2007281465A (ja) 多結晶膜の形成方法
KR100860007B1 (ko) 박막트랜지스터, 박막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이를 구비한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496138B1 (ko) 실리콘 결정화방법
KR100786293B1 (ko) 박막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KR20050022086A (ko) 다결정실리콘 박막트랜지스터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