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3256A - 생체 연부조직 연장술을 위한 항 압박 다중 섬유유착봉합법에 이용하는 생체 삽입용 실과 그것을 생체에삽입하기 위한 도구 - Google Patents

생체 연부조직 연장술을 위한 항 압박 다중 섬유유착봉합법에 이용하는 생체 삽입용 실과 그것을 생체에삽입하기 위한 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3256A
KR20070093256A KR1020060023190A KR20060023190A KR20070093256A KR 20070093256 A KR20070093256 A KR 20070093256A KR 1020060023190 A KR1020060023190 A KR 1020060023190A KR 20060023190 A KR20060023190 A KR 20060023190A KR 20070093256 A KR20070093256 A KR 200700932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ad
needle
soft tissue
tissue
fiber adhe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3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1921B1 (ko
Inventor
양현진
Original Assignee
양현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868759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70093256(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양현진 filed Critical 양현진
Priority to KR1020060023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1921B1/ko
Publication of KR20070093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32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1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1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64Surgical staples, i.e. penetrating the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92Plast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2017/06052Needle-suture combinations in which a suture is extending inside a hollow tubular needle, e.g.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nee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61B2017/06176Sutures with protrusions, e.g. barb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형된 생체 삽입용 실을 이용하여 얼굴에서 코를 높이는 등 조직을 연장한 채로 그 길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시술에 필요한 도구를 제시하기 위한 것으로, 쐐기형태 돌기의 형성 형태가 상기한 목적을 수행하도록 두 구간에서 서로 다른 방향성을 갖는 데에 특징이 있고, 주사바늘로 생체에 삽입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삽입용 실과, 상기한 생체삽입용 실의 주사기 장착을 위한 도구와, 상기한 생체삽입용 실의 생체 내 작용을 위한 실의 끝을 수직으로 가름하기 위한 도구, 주사바늘을 생체 내에 주입하여 전 후진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주사기를 포함하는 생체 연부조직 연장 또는 이격(융비술 또는 주름펴기)에 이용되는 항 압
박 다중 섬유 유착봉합법의 실시를 위한 도구를 제시한다.
생체 삽입용 실, 거상용 실, 생체 연부조직 연장, 다중 섬유 유착봉합법

Description

생체 연부조직 연장술을 위한 항 압박 다중 섬유 유착봉합법에 이용하는 생체 삽입용 실과 그것을 생체에 삽입하기 위한 도구{ Tools For Fiber Reinforced Anti-compressive Adherent Suture Metho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생체 삽입용 실의 기본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생체 삽입용 실의 생체 내 작용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생체 삽입용 실의 다른 실시 예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생체 삽입용 실의 다른 실시 예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생체 삽입용 실과 바늘을 일체로 구성한 실시 예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생체 삽입용 실을 롤 형태로 구성한 실시 예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생체 삽입용 실을 생체 연부조직 연장술에 적용한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생체 삽입용 실을 주사바늘에 삽입하기 위한 어댑터의 실시 예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생체 삽입용 실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주사바늘의 실시 예도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생체 삽입용 실의 끝을 분할할 수 있도 록 구성된 생체 삽입용 실 분할구의 실시 예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생체 삽입용 실을 생체에 삽입하기 위한 주사기의 실시 예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생체 삽입용 실을 사용하여 융비술에 적용한 상태도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생체 삽입용 실을 사용하여 주름을 펴는 시술에 적용한 상태도
도 17는 종래 거상용 실 및 그 사용 상태도
*. 주요 부호의 설명
10. 생체삽입용 실 11. 실축 12. 돌기
20. 주사바늘 21. 허브 22. 코어
30. 실 삽입용 어댑터 31. 측단 32. 내부테이퍼
40. 전용 주사바늘 41. 구멍 42. 테이퍼진 입구
50. 실 분할구 51. 54. 본체 52. 가이드
53. 칼날 55. 칼대
60. 70. 주사기
본 발명은 변형된 생체 삽입용 실을 이용하여 얼굴에서 코를 높이는 등 조직을 연장한 채로 그 길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시술에 필요한 도구를 제시하기 위한 것으로, 쐐기형태 돌기의 형성형태에 특징이 있는 생체삽입용 실과, 상기한 생체삽입용 실의 주사기 장착을 위한 도구와, 상기한 생체삽입용 실의 생체 내 작용을 위한 실의 끝을 변형하기 위한 도구, 주사바늘을 생체 내에 주입하여 전 후진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주사기를 포함하는 생체 연부조직 연장 또는 이격에 이용되는 항 압박 다중 섬유 유착봉합법의 실시를 위한 도구를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미용성형 수술이 점차 기술적으로 간소화되고 더욱 안전한 방법을 추구하는 현재의 추세에 맞도록 동양인에서 가장 많이 시행되는 융비술과 주름제거에서 실의장력을 이용해 당기는 역할만하거나 서로 당기기만 하던 주름제거를 반대의 원리를 이용해 쉽고 안전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기존의 코 성형은 실리콘 보형물이나 고어텍스, 자가연골, 자가 지방 등을 사용하여 코끝을 높이고 코의 길이를 연장하는 수술이며, 시술 당시 즉시 부착성이 없는 이런 물질들을 이용한 조직 연장은 특별히 많은 조작과 부작용을 내포하게 된다. 특히 실리콘은 유연성이나 지지력에서 다른 인공소재들보다 유리하나 조직 부착성이 아주 낮고 이물 반응 및 지연 염증 반응 등이 심각한 문제를 만들 수 있어 사용을 꺼리는 경우가 많고 고어텍스 역시 초기 부착성은 좋지 않아 조직연장을 할 수 없으며 압박에 대한 지지력이 약하여 코끝을 세워주기에 무리가 따른다. 자가 조직들은 비교적 다양한 특성이 있으나 일단 채취하는 데서 또 다른 희생을 감수해야 하며 물리학적 특성과 흡수율이 균일하게 예측되지 못해 사용이 어렵다.
또한 지방이식을 제외한 모든 방법은 수술 유무를 판단하는 방법으로 최근 일반인들 사이에서도 많이 이용되는 소위 "돼지코" 및 “좌우로 흔들기”를 자유롭게 하기 불가능하여 수술의 확증으로 여겨지는 단점이 있다. 반면 지방이식은 "돼지코"는 가능하나 흡수의 문제로 초기와는 많이 다른 모양을 갖게 되어 2차 수술이 필요하고 채취를 위해 배나 허벅지 등의 수술이 불가피 하다는 점에서 시간적으로나 경제적으로 불리하다.
또한 기존의 모든 수술들은 붓기가 많고 치료기간이 최소 일주일 정도 소요되므로 일상 생활에 지장이 많아 이용에 큰 제한이 따른다.
한편, 성형 수술 분야에서 실에 비늘과 같은 쐐기모양의 돌기(cog, scale)를 쐐기의 날개부분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한 구조의 생체 삽입용 실(도 15 )이 제시되어 피부견인을 통한 (suspension)주름제거용 또는 안면 거상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것은 쐐기의 날개부분이 서로 마주보는 두 구간으로 이루어지거나 쐐기의 날개 부분이 서로 마주 보는 두 구간 중간에 돌기가 없는 구간이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쐐기의 날개 부분이 서로 마주 보는 두 구간 중간에 돌기가 없는 구간을 갖는 구조를 사용단위로 하여 이를 반복하도록 제조하여 사용시에 사용단위로 절단 사용하도록 된 형태가 사용되고 있다.
이것은 기존의 봉합용 바늘을 이용하여 주름을 꿰는 형태로 사용하거나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가 없는 구간을 중심으로 한쪽을 주사바늘에 끼워 체내에 삽입한 후 다른 한쪽도 주사바늘에 끼워 체내에 삽입하는 형태로 사용하며, 실의 양쪽으로 형성된 쐐기형 돌기가 앵커 작용을 하여 전체적으로 쳐진 주름을 당겨 줌으로써 주름이 바르게 펴지는 원리를 이용한다. 주사바늘에 실을 끼울 때 어느 방향에서든지 쐐기 형태의 돌기가 접혀지면서 주사바늘에 끼워져 주사바늘을 이용한 시술이 용이하고, 실의 전 구간에는 인장력만이 작용함으로 하나의 가는 실을 이용하더라도 필요 장력을 확보할 수 있어 비교적 간편한 시술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기존의 생체 삽입용 실이나 봉합사 들은 장기간의 사용에 의해 그 안전성이 입증된 것들로써 기존의 생체삽입용 실을 이용한 생체 연부조직 연장술이 고려될 수 있으나 이것은 쐐기의 날개부분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항 압박에 사용할 수 없는 구조이고, 그러한 목적으로 사용되거나 사용하고자 하는 의도 또한 전혀 제시된바 없다.
기존의 생체삽입용 직경 0.25mm의 3-0 Prolene 봉합사의 경우 길이 방향으로 작용하는 장력에는 1200g의 힘을 견디지만 반대 방향의 힘 즉 길이방향의 압축력에는 0.1g 인 1만 분의 1 정도의 힘밖에는 견디지 못하고 휘어지고, 쐐기의 날개부분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구조상 인체에 삽입되었을 때 실에 압력이 작용하지 않고, 신체의 탄성에 의해서 실의 끝이 피부 밖으로 튀어나오기 때문에 현실적 적용이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기존의 생체 삽입용은 그 구조상 코끝을 들어올리는 융비술이나 주름을 밀어서 펴주는 등과 같은 생체 연부조직 연장술을 위한 항 압박 다중 섬유 유착봉합법에는 이용할 수 없다.
이와 같은 제반 이유로 기존의 코 성형은 많은 부작용과 문제점에도 실리콘 보형물이나 고어텍스, 자가연골, 자가 지방 등을 사용하는 수술방법이 적용되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실리콘 보형물이나 고어텍스, 자가연골, 자가 지방 등을 사용하는 기존 생체 연부 조직연장 수술의 제 문제를 일시에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수술방법을 제시하고, 그러한 수술이 가능할 수 있는 필요한 도구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봉합사라고 하는 생체 내 안정성이 이미 입증된 소재를 형태학적으로 변형하여 생체의 탄성에 의한 복원력의 작용에 의한 압박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체 연부조직을 연장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성형 방법으로써 어느 곳에서도 그 비슷한 유래를 찾아 볼 수 없으며 임상적으로는 어느 수술의 발전보다도 우수하고 특히 성형에 대한 인식문제에서 수술을 감출 수 있다는 특별한 장점을 가지므로 그 유용성이 뛰어난 생체 연부조직 연장 또는 이격에 이용되는 항 압박 다중 섬유 유착봉합법(이하 생체 연부조직 연장술이라 함)을 제시한다.
상기한 생체 연부조직 연장술은 돌기가 있는 봉합사를 이용한다는 측면에서는 기존의 생체 삽입용 실을 이용한 주름 제거술 또는 리프팅과 유사하나 사용 목 적이 전혀 다르고 실의 장력이 아닌 압박 저항력을 이용한 것으로 정 반대의 원리를 갖는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위해서는 돌기의 방향을 반대로 형성해야 하므로 이와 같은 수술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실의 끝단에 걸리는 압박력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고 이에 상응하는 특별한 구조가 필요하고, 특히 융비술에서는 코끝에는 통증에 예민한 신경이 특히 많고 동양인은 실 끝에 대한 압박력이 상대적으로 크므로 통증, 실의 노출과 이에 따른 염증 등 부작용을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해결하지 못하면 임상적인 적용이 불가능하며, 더블어 돌기가 형성된 가는 실을 주사 바늘을 사용하여 생체 내에 주입하여야 함으로 수술의 용이성과 안전성 등에 대한 제반 고려가 있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사항을 검토하였으며, 그 해결을 통하여 본 발명의 임상적 사용을 가능하게 하고자 한다.
첫째, 직경 0.25mm의 3-0 Prolene 봉합사의 경우 사용가능한 가장 짧은 길이인 2cm에서 길이 방향으로 작용하는 장력 즉 인장력에는 1200gram 의 힘을 견디지만 반대 방향의 힘 즉 길이방향의 압축력에는 0.1gram 정도 즉 1만분의 1정도의 힘밖에는 견디지 못하고 휘어지므로 이론적으로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생체 조직을 서로 묶어주기 위한 봉합용 또는 생체 삽입용 방향성을 갖는 쐐기모양의 비스듬한 흠집 또는 돌기를 조직을 잡아주는 힘의 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형성하여 ’실이 조직 내에서 조직을 서로 이격시키는 즉 길이를 늘이는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구성하고, 개개의 실이 갖는 미미한 압축강도를 고려하여 여러 가닥의 실을 함께 시술하여 상호 유착에 의한 압 축 강도의 향상을 도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생체 삽입용 실에 길이 방향의 압축력이 형성되도록 서로 마주보는 형태의 비늘 모양 돌기를 하나의 실 안에서 서로 다른 두 구간에 만들거나 또는 끝을 갈라서 벌려 그 끝단 방향으로의 이동을 막는 구조의 생체 삽입용 실을 제시하고, 상기한 생체 삽입용 실을 여러 가닥으로 함께 시술하여 실의 일정 구간에 작용하는 압박력을 최소화하고 여러 가닥의 실이 서로 가까운 곳에서 연부조직에 의해 유착되어 연결됨으로써 서로 상호지지 구조를 형성하도록 하는 생체 연부조직 연장술을 제시한다.
둘째, 쐐기 구조의 돌기가 한 방향으로만 존재하면 마치 강아지 풀과 같이 어떠한 작은 움직임에도 한쪽 방향으로만 움직이므로 실의 이동과 피부 밖 노출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실의 끝단을 여러 갈래로 가른 구조의 완성된 형태의 실을 제시하거나 시술과정에서 실의 끝단을 가를 수 있는 구조의 실을 제시한다.
셋째, 가는 실의 끝을 여러 갈래로 가르는 것이 쉽지 않으므로 이를 수월히 할 수 있도록 하는 도구를 제공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실의 끝단을 끼운 상태에서 칼날에 의해 실의 끝단을 정확히 가를 수 있는 실 분할구를 제시하여 시술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넷째, 실의 삽입은 바늘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밖에 없고 본 발명에 의한 생체 연부조직 연장술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여러 번의 삽입이 불가피하므로 가능한가 는 바늘을 사용하여야 하며 이 바늘은 일 회 시술시 최소 5회를 넘게 되며 눈에 잘 띄는 코끝에 이루어지므로 21G(외경 0.85mm)를 넘게 되면 큰 여러 개의 흉이 드러나 보여 실용화가 불가능하므로 실을 가는 바늘에 장착하기 수월하도록 하는 도구를 제공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기존 바늘에 실을 쉽게 삽입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실 삽입 어댑터와 실을 쉽게 끼울 수 있는 전용 바늘을 제시하고, 아울러 바늘과 실을 이미 장착한 상태의 구성을 제시한다.
다섯째,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된 비늘이 있는 상태에서는 비늘이 펼쳐 졌을 때 직경이 10배까지 될 수 있으므로 바늘에 삽입하려고 하는 방향과 다른 방향의 비늘은 삽입되면서 완전히 접혀질 수 있도록 하는 구조가 필요하거나 한 방향의 비늘만을 만든 상태에서 바늘에 삽입하고 그 반대방향의 비늘 또는 갈라진 끝을 바늘에 삽입된 상태에서 형성하는 방법을 사용하여야 하는데 이를 수월히 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실의 전 구간에 바늘에 삽입되면서 돌기가 접어지는 방향으로 돌기를 형성하고 바늘에 처음 삽입되는 실의 끝에만 상기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돌기를 형성하여 바늘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한 구조와 바늘에 처음 삽입되는 실의 끝은 돌기를 형성하지 않고 바늘에 삽입하여 그 끝을 돌출시킨 상태에서 방향이 다른 돌기를 형성하는 구조를 제시한다.
여섯째, 환자마다 또는 시술하는 의사마다 여러 길이의 실을 이용하여야 하는 경우는 의사가 수술 시에 쉽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여러 길이의 실을 바늘에 기 장착된 구조를 제시하고, 더 나아가 바늘 또는 실을 자유로이 삽입하거나 생체 삽입 깊이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는 구조의 주사기를 제시한다.
본 발명은 생체 삽입용 실을 체내에 삽입하여 조직을 연장한 채로 그 길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생체 연부조직 연장술을 가능하게 하는 생체삽입용 실과, 상기한 생체삽입용 실을 기존의 주사바늘에 장착하기 위한 어댑터와, 상기한 생체삽입용 실의 생체 내 작용을 위한 실의 끝을 변형하는 실 분할구와, 주사 바늘을 생체 내에 주입하여 전 후진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주사기를 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생체삽입용 실은 서로 마주보는 형태의 비늘 모양 돌기가 하나의 실 안에서 서로 다른 두 구간에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돌기는 쐐기나 비늘로 표현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이들 용어를 동일한 것으로 정의한다. 상기한 돌기는 실축으로부터 갈라지는 쐐기형의 날개와 홈으로 이루어지고, 미리 형성되거나 실축 상에 나중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는 실축 상의 한 기준점에 대하여 날개의 방향이 반대인 서로 마주보는 두 구간으로 구성되어 생체 삽입 상태에서 조직을 당겨 연장하면 상기 돌기가 이를 방해하지 않고 조직이 늘어나고, 당기는 힘을 제거하면 상기 돌기가 조직 탄성에 의해 다시 오므려지는 힘에 저항하도록 구성되며, 기준점의 위치에 따라 또는 바늘 삽입 전 후에 형성되는 순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생체 연부조직 연장술을 위한 항 압박 다중 섬유 유착봉합법은 본 발명에서 최초로 게시한 수술법으로 상기한 생체 삽입용 실을 여러 가닥으로 함께 시술하여 실의 일정 구간에 작용하는 압박력을 최소화하고 여러 가닥의 실이 서로 가까운 곳에서 연부조직에 의해 유착되어 연결됨으로써 서로 상호지지 구조를 형성하게 함으로써 인위적으로 연장한 생체조직이 자체의 탄력에 의해 복귀되지 않고 연장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수술방법이다.
상기한 수술을 위해 사용하는 생체 삽입용 실은 조직 내에서 조직을 서로 이격시켜 길이를 늘이는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실의 어느 부분에서나 길이 방향의 압축력만이 작용하여 실 삽입 후 조직을 늘리면 실에 의한 저항 없이 조직이 쉽게 늘어나면서도 다시 오므려지는 현상을 막도록 다양한 형태로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실의 기본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인체 삽입용 실(10)은 기존에 봉합사의 재질인 3-0 Prolene로 이루어지거나 기타 생체 안전성이 입증된 소재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실축(11)의 중심을 기준점(P)으로 하여 길이방향의 압축력이 형성되도록 서로 마주보는 형태의 비늘 모양 돌기(12)를 하나의 실 안에서 서로 다른 두 구간(10A)(10B)에 만든 구조를 갖는다.
상기한 돌기는 도시된 바와 같이 0.6mm 이하의 외경을 갖는 둥근 형태의 실 축(11)에 방향성을 갖는 홈(12a)이 패이게 날카로운 도구로 찍어냈을 때 얻어지는 형상과 유사한 형상으로써 전체적으로 쐐기 형태의 비늘 구조를 가지며, 상기 돌기는 뾰쪽하게 돌출되는 날개(12b)와 실축에서 갈라지는 홈(12a)으로 구분되며, 상기 돌기는 홈 부위에서 단면적의 지나친 감소를 방지하기 위해 실체(11)의 둘레에 가지 형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대략 전체 길이는 시술부위에 따라 규격 화하거나 60mm 내외로 하여 시술과정에서 적절한 길이로 잘라내고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조는 실의 장력을 이용하여 서로 당겨주던 역할을 하던 기존의 거상용 실과 달리 실의 길이 방향으로 가해지는 압박력을 견디어야 하므로 실의 인장 강도보다 실의 경도에 지지력이 비례하게 되며 돌기의 날개는 두 구간이 서로 마주보고 그 경계구간을 향해 조직을 밀어내게 된다. 이는 기존의 거상용 실을 이용한 경우가 서로 등을 지고 서로 당겨주는 것에 비하면 그 기전이 반대가 된다. 따라서 실에 비늘 모양의 돌기가 형성되고 이 돌기의 방향은 실이 생체 내에서 인장력 쪽으로는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형태학적 특성은 바늘 안에 삽입되었을 때 바늘을 통하여 전 후진이 가능한 구조이기도 하다.
상기 구조에 의한 인체 삽입용 실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을 사용하여 생체 내에 실을 삽입한 후 조직을 늘리면 실에 의한 저항 없이 쉽게 늘어나고, 늘리는 힘을 제거하면 조직의 탄력에 의해 압박력이 가해지더라도 다시 오므려지는 현상을 막아줌으로써 코를 높이거나 신체조직을 연장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한 효과는 실에 형성된 비늘과 같은 쐐기 모양의 돌기(또는 cog, scale) 가 주변 조직과의 상대적 이동이 한 방향으로만 가능하도록 작용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고, 한 가닥의 실에 형성되는 돌기가 서로 다른 방향성을 갖는 서로 다른 두 구간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실의 전 구간에 걸쳐 인장력이 아닌 압박력이 가해진다.
한편, 실의 전 구간에 걸쳐 인장력이 아닌 압박력이 가해지는 구조는 상기한 실시 예를 포함하여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실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a)는 길이방향의 압축력이 형성되도록 마주보는 형태의 비늘 모양 돌기를 하나의 실 안에서 서로 다른 두 구간(10A)(10B)에 만드는 대신에 상기한 실축에 형성되는 기준점(P)을 실의 한쪽 끝에 형성하여 긴 쪽에는 전 구간에 한쪽 방향만 갖는 돌기를 형성하고 짧은 쪽은 그 끝을 갈라서 벌려 놓은 구조이다.
상기 구조는 서로 다른 방향성을 갖는 돌기의 구간 중 체내 깊숙이 삽입되는 쪽의 돌기 구간을 생략하고 단지 실의 끝을 2가닥 또는 4가닥 등 여러 가닥으로 갈라주는 구조이며, 주사바늘에 삽입시 상기 갈라진 끝 부분만 접은 상태에서 삽입하면 나머지 돌기는 삽입방향과 반대로 돌기의 날개가 향함으로 접어지면서 삽입되어 용이한 삽입이 가능해진다.
(b)는 (a)와 같이 실축에 형성되는 기준점(P)을 실의 한쪽 끝에 형성하여 긴 쪽에는 전 구간에 한쪽 방향만 갖는 돌기를 형성하고 짧은 쪽은 그 끝을 갈라서 벌려 놓고, 긴 쪽의 끝도 2가닥 이상으로 가름한 구조이며, 상기 구조는 끝단 방향으로의 이동을 막아 피부로 노출되는 형상을 막아주고, 피부에 집중된 통각기관에 의한 통증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코끝 피부는 통증에 예민한 부분이고 자주 움직여지는 위치이며 코를 높이고 난 후 실의 끝이 피부에 가장 가까운 쪽에서 가장 큰 압력을 받게 되므로 코끝 피부를 찌르는 듯한 자극을 느껴서 문제가 되기 쉽고 때로는 실의 끝이 피부를 뚫고 나오게 되어 문제가 된다. 따라서 실이 코끝의 피부에 가장 가까운 끝단에서는 실 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시켜야 하는데 이때 돌기가 있는 실의 끝이 뾰쪽하게 돌출되어 있으면 이 가닥이 압력을 가장 많이 받게 되어 통증과 노출의 원인이 된다.
도시된 실시 예는 돌기의 형성 공정 외에 추가로 의도적으로 장축 방향 가닥을 구부려 실의 장축으로부터 벌어지도록 한 구조이며, 이와 같은 목적은 (c)와 같이 실의 끝을 돌기의 홈에 일치하도록 잘라 제거하는 구조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실의 끝단을 가르거나 자르는 변형은 시술과정에서 실시할 수 있고, 완성된 실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실의 끝을 짧게 형성하거나 여러 가닥으로 가른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실의 끝에 수직으로 받는 단축 압력을 최소화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바늘로 찌르는듯한 통증을 막고 압력의 분산을 통해 노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길이방향의 압축력이 형성되도록 마주보는 형태의 비늘 모양 돌기를 하나의 실 안에서 서로 다른 두 구간(10A)(10B)에 만드는 대신에 주사바늘 삽입시 방해받지 않는 한쪽 구간에만 돌기를 형성한 형태로써 나머지 구간은 주사바늘에 삽입한 후 별도의 칼날(K)을 사용하여 형성하도록 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구조는 21G이하의 가는 바늘에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도 형성된 돌기가 접어진 상태로 삽입되고, 나머지 돌기가 형성되지 않는 부위를 바늘끝으로 노출시킨 상태에서 칼날을 사용하여 반대 방향의 돌기를 형성하면서 바늘 속으로 끌어당기는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한 실을 바늘(20)에 미리 장착한 구 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에서 바늘은 다양한 길이와 규격을 가질 수 있으며, 미용목적으로 시술되는 특성을 고려하여 흉터 발생이 없는 21G이하의 바늘을 사용하고, 바늘의 내경과 실은 대략 0.1mm 내외의 유격을 갖도록 형성하여 바늘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바늘구멍을 통과할 수 있는 주사바늘구멍을 통과할 수 있는 별도의 코어(22)를 사용하여 내부의 실을 전방으로 밀어내면서 바늘을 뽑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6는 본 발명에 의한 실을 돌기의 날개가 서로 바라보는 방향으로 두 구간이 형성되는 사용단위가 반복되는 형태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 사용단위는 1-6cm 범위 내에서 반복 형성되는 구조로 다양하게 실시 될 수 있으며, 롤에 감긴 형태로 사용되어 의사의 필요에 의해 사용단위로 절단 사용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구조는 각 사용단위가 연속 형성되어 사용단위로 절단 후 시술부위의 길이에 맞게 양단을 잘라내는 방법으로 사용함으로써 시술부위에 맞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생체 연부조직 연장술의 기본 개념이 각각의 실에 압박력이 작용하도록 여러 가닥의 실을 집중 삽입하여 한 가닥으로만 구성할 때보다 각 돌기의 날개가 서로 얽히는 유착현상과 집속(集束)효과에 의해 현저히 강화된 저항강도를 갖도록 함으로써 생체 조직의 연장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임을 보인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실의 굵기와 시술간격은 연장부위의 탄력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일반적인 융비술의 경우에는 외부에 삽입 흔적이 드러나지 않는 21Gauge 바늘 을 사용하여 대략 0.4mm 내외 굵기의 실을 대략 5mm의 원경 내에 3~10개 정도 삽입함으로써 연장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실은 체내에 삽입을 위해서 바늘에 끼워 삽입할 수밖에 없고, 한 부위에 여러 번의 삽입이 불가피하므로 가능한가는 바늘을 사용하여야 하며 이 바늘은 일 회 시술시 최소 5회를 넘게 되며 눈에 잘 띄는 코끝에 이루어지므로 21G(외경 0.85mm)를 넘게 되면 흉이 보여 실용화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가능한 압박에 대한 저항 강도가 허락하는 범위 내에서 가능한가는 굵기 실과 바늘을 사용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실을 가는 바늘에 장착하기 수월하도록 하는 도구를 제공하거나 이미 장착된 상태로 제공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 중 현장에서 실을 바늘에 삽입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된 경우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된 비늘이 있는 상태에서는 처음 바늘에 삽입되는 돌기는 돌기가 펴지는 방향으로 삽입되어 그 외경이 대략 10배까지 확대됨으로 삽삽입이 매우 어렵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실을 바늘에 쉽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한 어댑터나 전용 주사 바늘을 제시한다.
도 8은 실 삽입용 어댑터(30)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 기존 바늘(20)의 허브(21) 내에 일 측단(31)이 삽입되고 중심에는 바늘의 구경과 같은 구경으로 시작하여 외 측단으로 향할수록 구경이 커지는 구조의 내부테이퍼(32)가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기존의 주사 바늘들은 실을 끼울 목적이 아니어서 허브의 내부 주사 바늘의 최소 내경에 이르는 구간이 급격한 테이퍼로 형성되어 있어 돌기가 달린 실을 끼울 때 돌기가 걸리거나 실 끝단의 거친 부분이 걸려 끼우기가 어렵다. 상기 구조는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 테이퍼가 보다 완만하게 형성되어 실의 진행에 따라 자연스럽게 돌기가 접히도록 유도되면서 거친 부분이 미끄러져 바늘의 내경과 같은 최소 내경에 들어갈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구조이고 외부는 기존 주사 바늘의 허브에 맞도록 구성되어 그 최소 내경의 중심이 주사바늘의 최소 내경 중심에 맞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실 삽입용 어댑터(30)는 기존 주사 바늘의 허브에 끼운 후 확대된 내부테이퍼에 실을 끼워 넣음으로써 시술자 또는 그 보조자에 의해 실과 바늘의 장착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삽입방향으로 돌기의 날개가 향하는 경우에도 별도의 핀셋 등을 사용하여 날개를 접어가면서 밀어 넣어줌으로써 돌기의 날개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생체삽입용 실을 무리 없이 바늘에 장착할 수 있다.
도 9는 생체 내 실 삽입용 전용바늘(40)을 도시한 것으로, 돌기가 형성된 실을 간편하게 끼울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기존의 주사바늘과 외형을 동일하게 구성하고, 중심에는 돌기를 갖는 실을 끼우기 위한 0.5mm 이하의 내경을 갖는 구멍(41)이 형성되며, 최소 내경(d1)의 위치에서 내경이 1mm가 되는 위치(d2)에 해당하는 내경을 갖는 부위까지의 최단 거리(ℓ)가 최소 4mm 를 넘는 완만한 나팔관 모양의 테이퍼진 입구(42)를 갖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구조는 바늘의 외경을 작게 구성하여 조직 손상과 흉터를 예방할 수 있고, 실에 형성된 돌기가 테이퍼진 입구에 의해 안내되어 자연스럽게 삽입될 수 있 어 여러 번의 짧은 가닥 시술에서 실을 바늘에 넣어 삽입하는 시간을 상당 부분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시술과정에서 실의 끝단을 정확하게 가를 수 있는 생체 삽입용 실 분할구를 아울러 제시한다.
상기 실 분할구(50)는 가는 실의 끝단을 가르기 위해 칼날이 정확히 실의 일정한 부위에 도달할 수 있도록 날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 또는 홈을 갖고 날이 그 공간을 따라 들어가면 실에 날이 닿도록 구성되며 이 가이드는 약간의 움직임이 가능하여 날이 실을 자르면서 들어갈 때 날이 들어갈 공간을 제공하며 이때 실이 움직이지 않도록 잡고 있는 실 고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실 분할구는 날이 실까지 이르는 과정에서 날이 직접 접촉되어 가이드 하지 않고 날은 특정 모양을 갖는 몸통에 장착되고 이 몸통은 이 몸통을 가이드 할 수 있도록 몸통의 외벽에 맞는 모양을 갖는 가이드가 실 고정구조의 주변에 형성되어 몸통을 가이드에 끼워 넣으면 몸통에 장착된 날이 실을 길이 방향으로 가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0 은 상기한 실 분할구(50)의 실시 예로써 본체(51)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가이드(52)와 실의 끝을 가를 수 있도록 된 얇은 칼날(53)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51) 상부 중심에 가이드(52)를 삽입하여 상하로 유동시킬 수 있도록 제한된 길이의 가이드삽입공간(51a)이 형성되도록 갭(51c)이 결합되며 여기에 가이드(52)가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의 중심에는 실(10)을 억지로 끼워 통과시킬 수 있는 관통공(52a)이 형성되고 가이드몸통의 전후에는 칼날을 안내하기 위한 쐐기 형상의 가이드홈(52b)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51)의 중심에는 실을 억지로 끼워 가이드의 관통공으로 안내하는 실삽입홈(51b)가 형성되는 구조이다.
상기 구조는 몸체의 하부 실삽입홈(51b)을 통하여 실을 끼우고 이를 가이드의 가이드홈 위치까지 인출시킨 상태에서 칼날을 가이드홈(52b)에 끼워 넣고 힘을 가하여 내부 실을 가르거나 가이드 홈에 칼을 댄 상태에서 가이드를 밀어 올려주는 방법으로 실의 끝을 가름으로써 실의 중심을 2등분 하거나 2등분 된 실을 다시 갈라 4등분 할 수 있고, 실의 돌출 높이나 가이드의 유동 거리를 사용하여 가르는 깊이를 임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실 분할구의 다른 실시 예로써, 본체(54)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삽입되고 중심을 가르도록 하단 내부에 칼날(55a)이 형성된 칼대(55)로 구성되고, 본체는 중심부에 실을 끼워 고정하는 실삽입구(54a)가 형성되고 그 상부에서 몸체 상단까지 유동홈(54b)과 가이드홈(54c)이 형성되고 유동홈의 실삽입구 연장선에는 실을 고정하여 잡아주기 위한 탄성 막대로 된 지지대(54d)가 형성되며, 상기 칼대(55)는 원통형으로써 하단내부에 칼날(55a)가 형성되고 외부에는 가이드(55b)가 형성되어 상기 유동홈에 결합되어 상하 유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조에 의해 본체(54)의 실고정구에 실을 끼워 지지대로 밀어 올리면 지지대가 자체 탄력에 의해 실을 감싸듯이 고정하며, 그 상태에서 상기 칼대를 유동홈에 밀어 넣어줌으로써 필요한 깊이로 실의 끝단을 가를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지지대는 4개의 막대로 구성하고, 칼대에 형성된 가이드와 가이드홈을 각기 짝을 이루도록 4개를 형성함으로써 칼대를 90° 회전시키면서 줄을 가르면 정확하게 4가닥으로 줄을 가를 수 있게 된다.
도 12 는 본 발명에 의한 실 분할구의 또 다른 실시 예로써 탄력성 있는 소재로 집게(56)를 구성하고, 상기 집게의 날은 맞춤턱(56a) 구조로 구성하며, 상기 집게의 날에는 실을 물리기 위한 내경의 크기가 다른 하나 이상의 홀더(56b)가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에서 홀더는 각 날에 속하는 반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내경은 상단부가 좁아지도록 약간 경사져 있어 실(10)을 끼우고 양날을 누르면 양 날이 맞춤 고정된 상태에서 상단부가 실을 압박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한다. 또한 실을 압박 고정한 상태에서 칼날(57)을 사용하여 가를 수 있도록 맞춤부에 틈(56c)이 형성된다.
상기 구조는 집게 구로로 이루어져 실의 고정이 용이하고, 맞춤턱에 의해 실이 정확히 고정되며, 틈에 의해 칼날이 안내되어 실의 끝을 정확히 가를 수 있게 된다.
이상에 의한 실 분할구는 실을 주사바늘에 끼우기 전 단계에서 표피 쪽에 위치할 실의 끝단을 분할하거나 주사바늘의 끝을 통과한 실의 끝단을 더욱 도출시킨 상태에서 그 끝단을 갈라 줌으로써 생체 내부 쪽으로 삽입된 실의 끝단에서 이동을 방지하고, 피부 밖 노출 및 이물감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실을 생체 내에 삽입하기 위해서는 바늘을 통해 실을 전진 후진 시킬 수 있거나 실과는 별개로 바늘을 전 후진할 수 있는 구조의 실 삽입용 주사기가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3는 실 삽입용 주사기(60)의 실시 예로써 손으로 쥘 수 있도록 된 주사 기 몸체(61) 내에 실이 통과될 수 있는 통로(61a)가 형성되고, 상기 통로에는 실을 압박하여 추진하기 위한 롤러(61b)가 형성되며, 상기 통로의 실인출부(61c)에 일체형 주사바늘(62)이 형성된 구조(a), 또는 실인출부(61c)에 기존 주사바늘(63)을 결합하는 구조이다.
전자는 일회용으로 사용되는 구조이고, 후자는 주사바늘을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써 실인출부를 주사바늘의 허브에 끼울 수 있도록 구성하며, 상기 실 인출부의 통로는 테이퍼를 형성하여 롤러에 의한 압출에 의해 실이 원활히 주사바늘로 인계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4은 주사 바늘 내에서 실이 이동할 수 있고, 주사기 몸체 내에서 주사바늘이 전후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실 삽입용 주사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주사기는 손으로 쥘 수 있도록 된 주사기 몸체(71) 내에 주사바늘이 통과할 수 있는 통로(71a)가 형성되고, 상기 통로에는 주사바늘(72)이 삽입되며, 상기 주사바늘(72)의 몸통부(72a)는 몸체 외 측으로 노출되어 몸체에 대하여 슬라이딩 구조로 결합되는 밀대(71b)에 결합됨으로써 밀대에 의해 전 후진이 이루어지고, 몸체에 위치하는 주사바늘의 몸통부분은 일부가 상부로 개방되어 삽입된 실이 몸체 내부에서 노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몸체 내부의 통로(71a)에는 그 축(73a)이 스프링(73b)에 의해 지지되어 누른 상태에서만 주사바늘의 개방부에 노출된 실에 접하여 압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롤러(73)가 결합 된 구조(a)를 갖는다.
상기 구조는 주사바늘을 일회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주사기와 주사바늘을 일체형으로 구성한 실시 예이며, 기존 주사바늘을 사용하여 주사바늘만 교체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실시될 수 있다.
(b)는 주사바늘을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구조의 실시 예로써 상기한 주사바늘의 몸체에 위치한 부분을 주사바늘로부터 분리하여 내부에 실을 끼울 수 있는 독립된 별도의 슬라이딩봉(74)로 구성하고, 상기 슬라이딩봉의 몸통부(74a)는 몸체 외측으로 노출되어 몸체에 대하여 슬라이딩 구조로 결합되는 밀대(71b)에 결합됨으로써 슬라이딩봉이 몸체 내에서 밀대에 의해 전 후진이 이루어지고, 슬라이딩봉의 몸통부(74a) 일부는 상부로 개방되어 삽입된 실이 몸체 내부에서 노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몸체 내부의 통로(71a)에는 그 축(73a)이 스프링(73b)에 의해 지지되어 누른 상태에서만 주사바늘의 개방부에 노출된 실에 접하여 압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롤러(73)가 결합 되고, 상기 슬라이딩봉의 선단부는 몸체로부터 돌출되고 주사바늘(75)의 허브를 끼울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조에 의한 실 삽입용 주사기는 실을 바늘에 삽입한 상태에서 바늘 내에서 실의 전 후진 움직임이 가능하고, 주사기로부터 바늘의 전후진도 가능하여 실을 체내에 삽입하는 시술에서 시술자의 의도에 맞게 실의 삽입 깊이나 위치 등을 선택하여 시술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각각의 도구는 융비술과 같은 인체 연장술의 시행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고, 시술 부위나 환자 등의 특성이 다른 다양한 경우에 시술자의 판단에 따른 시술법을 현장에서 적용 시술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실과 도구를 이용한 시술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주사바늘과 일체로 구성된 실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이 가장 수월하고 시술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수술로써 여러 형태로 구성되는 1-6cm 길이의 실이 21G 이하 두께의 전용주사바늘 또는 기존 주사바늘에 삽입된 형태로 공급된다.
상기한 바늘을 늘리고 싶은 조직에 삽입하고 실을 밀대로 밀면서 바늘을 빼내 실을 남겨 둔다. 그런 다음 조직을 손으로 충분히 늘린 후 손을 놓으면 실은 서로 마주 보도록 방향이 다른 두 구간의 돌기에 의해 늘어난 길이를 유지하려는 쪽으로 작용한다. 조직의 탄성이 강한 부위에는 삽입되는 실 역시 이를 이길 수 있는 정도로 여러 가닥으로 삽입한다.
상기한 시술은 이미 형태가 완성된 실을 사용하므로 사용시간이 크게 단축된다.
② 형태가 완성된 실을 주사바늘에 결합하여 시술하는 방법
여러 가지 형태와 길이가 정해진 완성된 형태의 실에서 필요한 길이의 실을 골라 전용바늘에 끼워 사용하거나 기존 주사바늘에 실 삽입용 어댑터를 사용하여 수술 현장에서 바늘에 장착 사용하며, 체내 삽입 과정은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된다.
상기한 방법은 바늘을 조직에 삽입한 후 실의 길이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선택이 수월하고 동일 환자에 대하여 주사바늘을 재사용할 수 있어 생산 단가가 낮아질 수 있다.
③ 단 방향 돌기만이 형성된 실을 사용하는 방법
실에 단방향의 돌기들만이 형성된 상태로 제공되므로 수술 현장에서 21G 이하 두께의 바늘에 쉽게 삽입 가능하여 원하는 바늘에 돌기들의 방향에 순행하도록 삽입한 후 끝이 바늘의 반대 입구를 통해 나오면 돌기가 나오기 전에 실을 더 나오지 않도록 실의 진행을 멈추고 노출된 실 끝에 칼날을 사용하여 돌기를 형성하거나, 실 분할구를 사용하여 여러 가닥으로 분할 한 후 다시 실을 후퇴시켜 바늘 안에 실이 감추어지면 조직에 바늘을 삽입하고 바늘만을 후퇴시켜 바늘을 제거한다. 이후 피부 밖으로 노출된 실을 수 mm 정도 남기고 자른 후 노출된 실 끝을 돌기의 홈 위치까지 잘라내는 변형을 가한 후 조직을 당기면 변형된 실의 끝은 피부 안으로 끌려 들어가듯 묻히게 된다. 이와 같이 실의 변형이 수술 현장에서 이루어지려면 실의 일부 구간에서 돌기가 미리 형성되어 있지 않아야 한다.
이와 같은 방법은 실의 생산 공정이 단순하므로 제조 단가가 낮아질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만큼 잘라 쓸 수 있으므로 길이 선택이 수월하고 실의 소모 측면에서 경제적일 수 있으나 수술 현장에서 의사가 직접 가는 실 끝의 변형을 하기가 어려워 시간이 많이 걸리는 단점이 있다.
도 15는 돌기가 단방향으로 형성되고, 양 단이 여러 가닥으로 가름된 구조의 실을 사용하여 이것을 주사기에 삽입하거나 미리 주사기에 삽입한 형태로 공급되는 실을 사용하여 융비술에 적용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주사바늘에 실이 삽입된 상태 또는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주사바늘을 연장하고자 하는 부위에 삽입하고, 코어를 사용하여 주사바늘 내부의 실을 밀어 내면서 끝이 피부 밖으로 노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바늘을 뽑아 본 발명에 의한 실을 삽입 한다. 이러한 과정을 수차례 반복한 후 이후 코끝을 잡아당기면 실의 끝은 피부 안으로 끌려 들어가듯 묻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실에 형성된 돌기의 방향성과 쐐기 작용에 의해 여러 가닥으로 삽입된 실이 서로 유착되어 코의 탄성에 의한 수축에 대항하여 늘어난 상태로 유지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시술 예로써 안면의 처진 주름을 늘려 펴주는 수술에 본 발명을 적용한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흔히 사용되고 안전성이 입증된 봉합사를 여러 가닥 이용하며 이들의 상호 유착에 의한 항 압박에 의해 생체 연부조직 연장에 필요한 지지력을 확보하는 기존의 봉합사를 이용하는 최초의 생체 연부조직 연장술이며, 본 발명에 의한 생체 삽입용 실은 생체 연부조직 연장술을 가능하게 하는 필수적인 요소이며, 본 발명에 의해 제시된 실 삽입용 어댑터나 전용 주시기 및 바늘 , 실 분활구는 생체 연부조직 연장술의 실시에 함께 구성되는 것으로 동일한 범주에 속하는 요소들이다.
본 발명은 실 하나에 반드시 다른 방향으로 작동하는 두 종류의 돌기가 존재하되 실이 삽입된 상태에서 생체를 피동적으로 늘리는 움직임에는 저항이 없고 이 들이 생체의 탄성에 의해 다시 오므려지는 힘에 대해서는 저항하여 실의 어느 부분에 서나 인장력이 가해지지 않고 생체 탄성에 의한 압축력이 작용하도록 돌기를 형 성한 최초의 구조이며, 상기 구조에 의해 생체 삽입용 실에 의한 생체 연부조직 연장술이 가능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되는 생체 연부조직 연장술은 봉합사 소재로 이루어져 안전성이 입증된 생체 삽입용 실을 주사바늘을 사용하여 연장이 요구되는 부위에 삽입함으로써 안전하고 신속하며, 기존의 실리콘 고어텍스등 이물질들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고 코의 모양을 바꾸고자 시도되는 이 방법은 어느 곳에서도 그 비슷한 유래를 찾아 볼 수 없는 수술이며, 임상적으로는 어느 수술의 발전보다도 우수하고 특히 성형에 대한 인식문제에서 수술을 감출 수 있다는 특별한 장점을 갖는다.

Claims (15)

  1. 인체의 일부를 연장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방향성을 갖는 돌기가 형성된 인체 삽입용 실로서, 상기 돌기는 실축으로부터 갈라지는 쐐기형의 날개와 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기는 실축 상의 한 기준점에 대하여 날개의 가늘어진 끝 방향이 반대인 서로 등을 지는 두 구간으로 구성되어 주사바늘에 의해 생체에 삽입되고, 생체 삽입 상태에서 조직을 당겨 연장하면 상기 돌기가 이를 방해하지 않고 조직이 늘어나고, 당기는 힘을 제거하면 상기 돌기가 조직 탄성에 의해 다시 오므려지는 힘에 저항하도록 구성되는 생체 연부조직 연장술을 위한 항 압박 다중 섬유 유착봉합법에 이용하는 생체 삽입용 실.
  2. 제 1항에 있어서, 실축 상의 기준점이 실축의 중심에 형성되어 하나의 실 축상에 돌기 날개의 가늘어진 쪽이 실 전체의 각 측의 끝단을 향하며 가늘어진 쪽의 방향은 서로 등을 지고 반대이며 반대로 쐐기 홈의 방향은 어느 한 구간에서 마주보는 형태의 두 구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연부조직 연장술을 위한 항 압박 다중 섬유 유착봉합법에 이용하는 생체 삽입용 실.
  3. 제 1항에 있어서, 실축 상의 기준점이 실축의 중심에 형성되어 하나의 실 축 상에 돌기의 날개 방향이 반대인 두 구간으로 이루어지되 한쪽 구간은 돌기 없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돌기 없는 구간은 바늘 삽입 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연부조직 연장술을 위한 항 압박 다중 섬유 유착봉합법에 이용하는 생체 삽입용 실.
  4. 제 1항에 있어서, 실축 상의 기준점이 실축의 한쪽 끝 부분에 형성되어 실 축의 전 길이에 걸쳐 같은 방향의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나머지 한쪽 끝 부분만 그와 반대 방향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연부조직 연장술을 위한 항 압박 다중 섬유 유착봉합법에 이용하는 생체 삽입용 실.
  5. 제 1항에 있어서, 실축의 일단 또는 양단은 2개 이상의 가닥으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연부조직 연장술을 위한 항 압박 다중 섬유 유착봉합법에 이용하는 생체 삽입용 실.
  6. 제 1항, 제2항, 제4항 또는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생체 연부조직 연장술을 위한 항 압박 다중 섬유 유착봉합법에 이용하는 생체 삽입용 실이 삽입된 형태로 구성되는 생체 연부조직 연장술을 위한 항 압박 다중 섬유 유착봉합법을 위 한 주사바늘.
  7. 기존 주사바늘의 허브 내에 일 측단이 삽입되고 중심에는 바늘의 구경과 같은 구경으로 시작하여 외 측단으로 향할수록 구경이 커지는 구조의 내부테이퍼가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생체 연부조직 연장술을 위한 항 압박 다중 섬유 유착봉합법에 이용하는 생체 삽입용 실을 기존에 생산되는 주사바늘에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 실 삽입용 어댑터.
  8. 기존 주사바늘과 같은 외형을 갖고, 허브의 중심에는 바늘의 구경과 같은 구경으로 시작하여 외 측단으로 향할수록 구경이 커지는 구조의 테이퍼진 입구가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생체 연부조직 연장술을 위한 항 압박 다중 섬유 유착봉합법에 이용하는 생체 삽입용 실을 끼워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생체 연부조직 연장술을 위한 생체삽입용 실을 삽입하기 위한 주사바늘.
  9. 본체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가이드와 실의 끝을 가를 수 있도록 된 얇은 칼날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 상부 중심에 가이드를 삽입하여 상하로 유동시킬 수 있도록 제한된 길이의 가이드삽입공간이 형성되어 여기에 가이드가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의 중심에는 실을 끼워 통과시킬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가이드몸통의 전후에는 칼날을 안내하기 위한 쐐기 형상의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중심에는 실을 끼워 가이드의 관통공으로 안내하는 실삽입홈이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생체 연부조직 연장술을 위한 생체삽입용 실의 끝 단을 분할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연부조직 연장술을 위한 항 압박 다중 섬유 유착봉합법에 이용하는 생체 삽입용 실 분할구.
  10.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삽입되고 중심을 가르도록 하단 내부에 칼날이 형성된 칼대로 구성되고,
    본체는 중심부에 실을 끼워 고정하는 실 삽입구가 형성되고, 그 상부에서 몸체 단까지 유동 홈과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유동 홈의 실 삽입구 연장선에는 실을 고정하여 잡아주기 위한 탄성 막대로 된 지지대가 형성되며,
    상기 칼대는 원통형으로써 하단내부에 칼날이 형성되고 외부에는 가이드가 형성되어 상기 유동홈에 결합되어 상하 유동하도록 구성되어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생체 연부조직 연장술을 위한 생체삽입용 실의 끝 단을 분할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연부조직 연장술을 위한 항 압박 다중 섬유 유착봉합법에 이용하는 생체 삽입용 실 분할구.
  11. 탄력성 있는 소재로 집게가 이루어지고, 상기 집게의 날은 맞춤턱 구조로 서로 맞물려지고 실을 물리기 위한 내경의 크기가 다른 하나 이상의 홀더가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홀더는 각 날에 속하는 반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내경은 상단부가 좁아지며 맞춤부에 틈이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생체 연부조직 연장술을 위한 생체삽입용 실의 끝 단을 분할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연부조직 연장술을 위한 항 압박 다중 섬유 유착봉합법에 이용하는 생체 삽입용 실 분할구.
  12. 손으로 쥘 수 있도록 된 주사기 몸체 내에 실이 통과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통로에는 실을 압박하여 추진하기 위한 롤러가 형성되며, 상기 통로의 실인출부에 일체형 주사바늘이 형성되는 청구항 1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생체 연부조직 연장술을 위한 항 압박 다중 섬유 유착봉합법에 이용하는 생체 삽입용 실을 생체 내에 주입하기 위한 주사기.
  13. 손으로 쥘 수 있도록 된 주사기 몸체 내에 실이 통과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통로에는 실을 압박하여 추진하기 위한 롤러가 형성되며, 상기 통로의 실인출부에 기존 주사바늘이 결합되는 청구항 1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 된 생체 연부조직 연장술을 위한 항 압박 다중 섬유 유착봉합법에 이용하는 생체 삽입용 실을 생체 내에 주입하기 위한 주사기.
  14. 손으로 쥘 수 있도록 된 주사기 몸체 내에 주사바늘이 통과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통로에는 주사바늘이 삽입되며, 상기 주사바늘의 몸통부는 몸체 외측으로 노출되어 몸체에 대하여 슬라이딩 구조로 결합되는 밀대에 결합됨으로써 밀대에 의해 전 후진이 이루어지고, 몸체에 위치하는 주사바늘의 몸통부분은 일부가 상부로 개방되어 삽입된 실이 몸체 내부에서 노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몸체 내부의 통로에는 그 축이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어 누른 상태에서만 주사바늘의 개방부에 노출된 실에 접하여 압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롤러가 결합 된 구조로 이루어진 청구항 1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생체 연부조직 연장술을 위한 항 압박 다중 섬유 유착봉합법에 이용하는 생체 삽입용 실을 생체 내에 주입하기 위한 주사기.
  15. 손으로 쥘 수 있도록 된 주사기 몸체 내에 주사바늘이 통과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통로에는 내부에 실을 끼울 수 있는 슬라이딩봉(74)이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딩봉의 몸통부는 몸체 외 측으로 노출되어 몸체에 대하여 슬라이딩 구조로 결합되는 밀대에 결합됨으로써 몸체 내에서 밀대에 의해 전 후진되고, 슬라 이딩봉의 몸통부 일부는 상부로 개방되어 삽입된 실이 몸체 내부에서 노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몸체 내부의 통로에는 그 축이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어 누른 상태에서만 주사바늘의 개방부에 노출된 실에 접하여 압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롤러가 결합 되고, 상기 슬라이딩봉의 선단부는 몸체로부터 돌출되어 주사바늘의 허브를 끼울 수 있도록 구성된 청구항 1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생체 연부조직 연장술을 위한 항 압박 다중 섬유 유착봉합법에 이용하는 생체 삽입용 실을 생체 내에 주입하기 위한 주사기.
KR1020060023190A 2006-03-13 2006-03-13 생체 연부조직 연장술을 위한 항 압박 다중 섬유유착봉합법에 이용하는 생체 삽입용 실과 그것을 생체에삽입하기 위한 도구 KR100761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3190A KR100761921B1 (ko) 2006-03-13 2006-03-13 생체 연부조직 연장술을 위한 항 압박 다중 섬유유착봉합법에 이용하는 생체 삽입용 실과 그것을 생체에삽입하기 위한 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3190A KR100761921B1 (ko) 2006-03-13 2006-03-13 생체 연부조직 연장술을 위한 항 압박 다중 섬유유착봉합법에 이용하는 생체 삽입용 실과 그것을 생체에삽입하기 위한 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3256A true KR20070093256A (ko) 2007-09-18
KR100761921B1 KR100761921B1 (ko) 2007-10-04

Family

ID=38687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3190A KR100761921B1 (ko) 2006-03-13 2006-03-13 생체 연부조직 연장술을 위한 항 압박 다중 섬유유착봉합법에 이용하는 생체 삽입용 실과 그것을 생체에삽입하기 위한 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1921B1 (ko)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36549A1 (en) * 2007-05-08 2008-11-13 Hyunjin Yang Tools for fiber reinforced anti-compressive adherent suture method
KR100939581B1 (ko) * 2007-05-01 2010-02-01 박재영 주름 제거용 리프팅 도구
KR101155817B1 (ko) * 2011-10-31 2012-06-12 김종우 조직거상용 이식물
WO2013058531A2 (ko) * 2011-10-17 2013-04-25 메디칸(주) 수술사 절개기구
KR101277409B1 (ko) * 2012-11-14 2013-06-20 강윤규 봉합사가 내장된 바늘
KR101277615B1 (ko) * 2012-09-20 2013-06-21 윤인모 연부조직지지를 위한 수술용 주사바늘과 수술실
WO2013109108A1 (ko) * 2012-01-19 2013-07-25 Ihm Khi-Pyo 고체 필러
KR101454659B1 (ko) * 2014-02-27 2014-10-27 주식회사 오브이월드 의료용실이 장착된 의료용실 삽입기구
KR101477778B1 (ko) * 2013-08-13 2014-12-31 홍유리 원터치 매선도구
JP2015083158A (ja) * 2009-04-02 2015-04-30 アルファ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コーポレイションAlpha Scientific Corporation 外科用縫合装置、方法およびそれと共に用いるツール
CN104994807A (zh) * 2012-10-16 2015-10-21 朴民宰 体内植入用部件的表面加工装置和方法,体内植入用部件及将其注入体内的注入装置
KR20160016225A (ko) 2014-08-04 2016-02-15 김동진 생체 삽입 또는 봉합용 자입 도구
KR20160039350A (ko) * 2014-10-01 2016-04-11 주식회사 오브이월드 의료용실이 장착된 의료용실 삽입기구
KR20160066386A (ko) * 2014-12-02 2016-06-10 김동진 인체 성형 시술용 도구 세트
KR20160066831A (ko) * 2014-12-03 2016-06-13 김근식 메쉬형 리프팅 부재
KR20160121055A (ko) * 2015-04-09 2016-10-19 21세기메디칼 주식회사 성형시술용 고체필러
US10299786B2 (en) 2013-03-15 2019-05-28 Alpha Scientific Corporation Surgical suturing device with transverse engagement
US11499148B2 (en) 2011-10-17 2022-11-15 Hee Young Lee Fatty material from which immunity is remove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841B1 (ko) 2011-03-07 2012-04-02 김영재 봉합사
KR101318309B1 (ko) * 2011-08-19 2013-10-15 윤인모 피부조직거상술용 수술도구
KR101346767B1 (ko) * 2011-10-17 2013-12-31 메디칸(주) 수술사 주입용 주사바늘
KR101185583B1 (ko) 2011-12-27 2012-09-24 김영재 매듭짓는 작업이 필요 없는 봉합사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KR101237399B1 (ko) * 2012-05-10 2013-02-27 (주)프레스티지 메디케어 주름 제거 임플란트
KR101465946B1 (ko) 2012-10-18 2014-11-26 (주)에스디이 생체 삽입용 부재를 생체 내에 주입할 수 있는 삽입 장치
US10178990B2 (en) 2012-12-05 2019-01-15 Y. Jacobs Medical Inc. Apparatus for inserting surgical thread, and surgical procedure kit for inserting surgical thread comprising same
US10010317B2 (en) 2012-12-05 2018-07-03 Young Jae Kim Method of improving elasticity of tissue of living body
CN106028983A (zh) 2013-12-06 2016-10-12 外雅各医疗有限公司 医疗用管插入装置及含有其的医疗用管插入手术套组
KR20160001003A (ko) 2014-06-26 2016-01-06 (주)에스디이 양단이 분할된 생체 삽입용 부재 및 이를 제조하는 생체 삽입용 부재 제조 장치
KR101715203B1 (ko) * 2015-03-12 2017-03-13 김동진 실 고정용 시술바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3217Y1 (ko) 2004-01-09 2004-06-22 황연희 다측면 다중밀도 주름제거용 봉합사

Cited B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581B1 (ko) * 2007-05-01 2010-02-01 박재영 주름 제거용 리프팅 도구
WO2008136549A1 (en) * 2007-05-08 2008-11-13 Hyunjin Yang Tools for fiber reinforced anti-compressive adherent suture method
JP2010527643A (ja) * 2007-05-08 2010-08-19 ヒョンジン ヤン, 抗圧迫・繊維強化癒着縫合法の道具
US10064617B2 (en) 2007-07-26 2018-09-04 Alpha Scientific Corporation Surgical suturing device, method and tools used therewith
JP2015083158A (ja) * 2009-04-02 2015-04-30 アルファ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コーポレイションAlpha Scientific Corporation 外科用縫合装置、方法およびそれと共に用いるツール
WO2013058531A2 (ko) * 2011-10-17 2013-04-25 메디칸(주) 수술사 절개기구
WO2013058531A3 (ko) * 2011-10-17 2013-07-04 메디칸(주) 수술사 절개기구
US11499148B2 (en) 2011-10-17 2022-11-15 Hee Young Lee Fatty material from which immunity is remove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WO2013065923A1 (ko) 2011-10-31 2013-05-10 Kim Jong Woo 조직거상용 이식물
KR101155817B1 (ko) * 2011-10-31 2012-06-12 김종우 조직거상용 이식물
US11045299B2 (en) 2011-10-31 2021-06-29 Jong Woo Kim Implant for tissue lifting
WO2013109108A1 (ko) * 2012-01-19 2013-07-25 Ihm Khi-Pyo 고체 필러
KR101277615B1 (ko) * 2012-09-20 2013-06-21 윤인모 연부조직지지를 위한 수술용 주사바늘과 수술실
CN104994807A (zh) * 2012-10-16 2015-10-21 朴民宰 体内植入用部件的表面加工装置和方法,体内植入用部件及将其注入体内的注入装置
KR101277409B1 (ko) * 2012-11-14 2013-06-20 강윤규 봉합사가 내장된 바늘
WO2014077498A1 (ko) * 2012-11-14 2014-05-22 Kang Yun Gyu 봉합사가 내장된 바늘
US10299786B2 (en) 2013-03-15 2019-05-28 Alpha Scientific Corporation Surgical suturing device with transverse engagement
KR101477778B1 (ko) * 2013-08-13 2014-12-31 홍유리 원터치 매선도구
WO2015130075A1 (ko) * 2014-02-27 2015-09-03 주식회사 에스케이엘 의료용 실 및 이를 포함하는 의료용실 삽입기구
KR101454659B1 (ko) * 2014-02-27 2014-10-27 주식회사 오브이월드 의료용실이 장착된 의료용실 삽입기구
KR20160016225A (ko) 2014-08-04 2016-02-15 김동진 생체 삽입 또는 봉합용 자입 도구
KR20160039350A (ko) * 2014-10-01 2016-04-11 주식회사 오브이월드 의료용실이 장착된 의료용실 삽입기구
KR20160066386A (ko) * 2014-12-02 2016-06-10 김동진 인체 성형 시술용 도구 세트
KR20160066831A (ko) * 2014-12-03 2016-06-13 김근식 메쉬형 리프팅 부재
KR20160121055A (ko) * 2015-04-09 2016-10-19 21세기메디칼 주식회사 성형시술용 고체필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1921B1 (ko) 2007-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1921B1 (ko) 생체 연부조직 연장술을 위한 항 압박 다중 섬유유착봉합법에 이용하는 생체 삽입용 실과 그것을 생체에삽입하기 위한 도구
JP5178821B2 (ja) 抗圧迫・繊維強化癒着縫合法の道具
CN102665579B (zh) 毛发植入锚和系统及其使用方法
KR101472943B1 (ko) 피부 주름 성형용 캐뉼라 및 그 제조 방법
US9017344B2 (en) Syringe for injecting surgical thread
AU2014374936B2 (en) An incising implant for the prostatic urethra
JP5490108B2 (ja) 内視鏡キャップ
KR101261175B1 (ko) 주름방지 성형용 실 삽입장치
US9993334B1 (en) Hair implants comprising enhanced anchoring and medical safety features
AU2016200461B2 (en) Tissue repair kit
US20200337696A1 (en) Thread insertion devices
US11224501B2 (en) Thread insertion devices
KR101237399B1 (ko) 주름 제거 임플란트
WO2007145614A3 (en) Suture instrument and method of suturing in cosmetic surgery
KR101773774B1 (ko) 피부 주름 제거를 위한 성형용 실
US20210045736A1 (en) Thread insertion devices
US8512373B2 (en) Suture device
KR20180120621A (ko) 성형 시술용 실 및 이를 이용한 시술도구
KR20140099698A (ko) 주름제거용 실 삽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름제거 시술방법
KR101358341B1 (ko) 주름제거용 리프팅 유닛
KR20160054803A (ko) 피부 주름 제거용 봉합사 삽입장치
KR101273792B1 (ko) 생체 삽입용 부재 및 이를 생체 내에 주입하는 주입 기구
KR101285831B1 (ko) 고체 필러
KR102013877B1 (ko) 리프팅 실, 리프팅 실 삽입기 및 리프팅 실 삽입 유니트
CN201920852U (zh) 一种修复移植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1

Year of fee payment: 12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13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