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7615B1 - 연부조직지지를 위한 수술용 주사바늘과 수술실 - Google Patents

연부조직지지를 위한 수술용 주사바늘과 수술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7615B1
KR101277615B1 KR1020120104724A KR20120104724A KR101277615B1 KR 101277615 B1 KR101277615 B1 KR 101277615B1 KR 1020120104724 A KR1020120104724 A KR 1020120104724A KR 20120104724 A KR20120104724 A KR 20120104724A KR 101277615 B1 KR101277615 B1 KR 101277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operating room
support
soft tissue
n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4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인모
Original Assignee
윤인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인모 filed Critical 윤인모
Priority to KR1020120104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76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7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7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066Needles, e.g. needle tip configu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004Means for attaching suture to nee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2017/06052Needle-suture combinations in which a suture is extending inside a hollow tubular needle, e.g.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nee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066Needles, e.g. needle tip configurations
    • A61B2017/061Needles, e.g. needle tip configurations hollow or tubul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6Measuring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061Measuring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easuring dimensions, e.g. leng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수술실을 생체에 삽입하기 위한 수술용 주사바늘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수술용 주사바늘은 상기 주사바늘에는 상기 주사바늘의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측정할 수 있는 눈금이 새겨져 있고, 또한 상기 주사바늘의 입구에서부터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주사바늘을 사용하여 수술실을 생체의 연부조직, 예를 들어 코의 비주 또는 비익에 삽입하는 성형수술을 수행하게 되면, 절개술에 의하지 않으므로 수술후 회복이 빠르고, 종래의 다른 생체 삽입용 실에 비하여 부드러우면서 지지력을 발휘하므로 연부조직의 형상 유지 및 변형에 잘 대응하므로 성형수술의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부작용이 적다.

Description

연부조직지지를 위한 수술용 주사바늘과 수술실{Needle For Surgery To Support Soft Tissue and Thread as Internal splint for soft tissue support}
본 발명은 연부조직 수술시 연부조직 지지를 위해 필요한 실형태의 내부삽입물 및 그것을 삽입하기 위한 수술도구로서의 주사바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생체의 연부조직에 지지력을 수평 또는 수직으로 보강하기 위해서, 고안된 내부지지용 수술실을 삽입하기 위한 수술용 주사바늘 및 삽입되는 수술실에 관한 것이다.
미용적 개선을 위하여, 생체 내의 휘어지고 무른 조직 그리고 지지력이 부족한 조직에 힘을 보태야 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연부조직에 이러한 필요성이 있다.
예를 들어, 코를 높이는 성형수술의 경우에 코의 기둥(비주)을 단단하고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비주를 절개하여 비주의 내측에 접근하여 여기에 생체조직, 인공조직을 덧댐으로써 안정성을 확보하였다. 이를 위한 재료로는 비중격연골을 채취하거나, 귀연골, 갈비뼈(늑연골) 등을 채취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인체에 해가 없는 의료용 합성물질(예-Medpor(상품명)) 또는 인조연골(다른 사체의것을 채취하여 면역성을 제거하여 제품화한 것)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나서 그 위에 다른 연골이나 실리콘을 올려놓음으로써 코끝을 높이는 수술을 하였다. 즉, 비주의 견고하지 못한 물렁거림으로 인하여 코를 높이기 위해서는 먼저 견고성을 부여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몸의 다른 부위를 침습하고, 수여를 받는 부위도 절개를 가함으로써 이중으로 수술이 이루어졌다.
다른 예를 보면, 코의 비익이 넓거나 과도하게 휜 것을 살펴보면, 비익조직이 연하고, 조직의 지지력이 약한 경우를 볼 수 있다. 이 경우에 비익이 커지므로(즉 반경이 작아지고) 미용적으로 개선사항이 될 수 있다. 이를 교정하기 위해서 이개연골을 떼서 이식을 하여 비익이 과도하게 휜 것을 펴주는 성형수술도 절개방식으로 진행이 되었다.
그러나 이런 경우에 본 발명은 공여부와 수여부에 절개를 가하지 않아도 내측에 조직을 지지할 수 있는 것을 바늘구멍을 통해 삽입함으로써 수평지지력을 올려서 비익의 휘어진 정도, 즉 곡률을 크게 함으로서 넓게 보이는 콧볼을 축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존의 비주지지나 비익지지를 위한 수술은 붓기와 흉터 등의 불편함과 수여부, 또는 공여부에 절개상처가 남을 수 있으며, 수술시간이 상대적으로 길었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은 절개수술 대신에 실형태의 지지물을 삽입함으로써 이러한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761921호(2007. 09. 19. 등록)는 생체 연부조직 연장술을 위한 항압박 다중 섬유유착봉합법에 이용하는 생체 삽입용 실과 그것을 생체에 삽입하기 위한 도구를 개시한다. 이러한 생체 삽입용 실은 얼굴에서 코를 높이는 등 조직을 연장한 채로 그 길이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며, 이를 위하여 실의 몸체부에 서로 다른 방향성을 가지는 쐐기형태의 돌기를 가진다. 또한 생체 삽입용 실은 그것의 양 쪽 끝이 2가닥 또는 4가닥 등 여러 가닥으로 갈라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한 특허의 생체 삽입용 실을 사용하면 형성된 돌기에 의하여 달성되는 항압박에 의하여 코를 높이는 효과가 유지된다. 그러나 코의 비주는 그 돌기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자 하므로 비주를 움직일 때마다 돌기에 의한 내측 자극이 발생하게 될 뿐만 아니라 비주의 늘어난 조직을 효과적으로 유지하지 못할 경우에 끝부분이 코끝부분으로 노출이 되기도 한다. 또한 심한 경우에는 생체 삽입용 실의 돌기가 코의 점막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까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피부자극과 돌기의 노출로 인한 불편함이 있을 수 있지만, 조직의 지지가 아닌 항압박이 목적이므로, 조직의 돌기는 필수적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불편함이 없이 지지를 할 수 있는 수술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이러한 목적에 적합한 형태의 수술실을 개발하여 지지대로서 삽입함으로써 연부조직에 지지력을 제공하고 그 위에 실리콘 등의 보형물을 삽입한다면 종래의 절개방식의 성형수술을 충분히 대체할 수 있음을 인식하고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생체의 연부조직에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하여 수술실을 삽입하기 위한 수술도구로서의 수술용 주사바늘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그러한 수술용 주사바늘에 의하여 생체의 연부조직에 삽입되어 지지력을 보강하는 수술용 실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주사바늘은 수술실을 생체에 삽입하기 위한 수술용 주사바늘로서, 상기 주사바늘에는 상기 주사바늘의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측정할 수 있는 눈금이 새겨져 있고, 또한 상기 주사바늘의 입구에서부터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릿의 폭은 상기 주사바늘에 삽입되는 수술실의 직경보다 넓거나 같은 것이다. 상기 주사바늘의 입구부는 상기 주사바늘의 몸체부의 직경에서 시작하여 그것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형태로 테이퍼진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릿은 상기 주사바늘의 입구부에서 시작하여 팁부까지 관통하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서 몸체부의 중간까지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주사바늘에는 수술실이 내장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내장된 수술실은 상기 주사바늘에 내장되는 수술실의 말단부에 2가닥 이상의 발이 형성된 형상을 가지며 또한 다른 쪽 말단부는 상기 주사바늘 밖으로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술실의 몸체부의 표면에는 복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수술실은 유연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홈의 모양은 ㄷ, v, 반원의 모양이며 한측, 또는 양측, 삼각, 사각의 위치에서 만들어 질수 있으며, 깊이는 실의 두께에 2%-50%까지 다양하게 만들어질수 있다. 숫자는 단수에 수십개까지 가능하다. 간격은 1mm-50mm까지 다양하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술실은 생체에 삽입되는 수술실로서, 상기 수술실은 몸체부가 한 가닥의 실로 되어 있고, 한 쪽 말단에는 2가닥 이상의 발이 형성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수술실의 상기 몸체부에는 항압박기능을 제공하는 돌기는 형성되지 않은 것이다.
상기 수술실의 상기 몸체부의 표면에는 단수 이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수술실은 유연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주사바늘을 사용하여 수술실을 생체의 연부조직, 예를 들어 코의 비주 또는 비익에 삽입하는 성형수술을 수행하게 되면, 연부조직을 지지하는데 수혜부에 절개가 필요하지 않다. 이후 보형물 삽입을 위해 절개해야 하는 영역이 최소화되면서 수술후 회복이 빠르고, 종래의 다른 생체 삽입용 실에 비하여 부드러우면서 지지력을 발휘하므로 연부조직의 형상 유지 및 변형에 잘 대응하여 성형수술의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부작용이 적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주사바늘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주사바늘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는 도 1의 수술용 주사바늘에 수술실이 내장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수술실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술실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술실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주사바늘을 사용하여 수행하는 성형수술 중에 연부조직의 길이에 적합하게 내장된 수술실의 길이를 절단하는 것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8은 도 7을 코의 비주에 적용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주사바늘을 사용하여 수술실을 코의 비주에 삽입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수술 후에 지지대 위에 실리콘 볼을 삽입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술실을 코의 비익에 삽입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주사바늘은 수술실(60)을 생체에 삽입하기 위한 수술용, 특히 성형수술용 주사바늘(1)이다. 수술용 주사바늘(1)에 의하여 수술실(60)이 삽입되는 생체는 바람직하게는 인체로서, 연부조직, 특히 코의 비주와 비익이다. 이러한 인체의 연부조직은 휘어지고 무른 조직이어서 지지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지지력을 올리면 다양한 수술을 하기에 용이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그러한 연부조직에 삽입되어 연부조직의 지지력을 보강하면서 연부조직의 유연성을 해치지 않고 연부조직의 형상 유지 및 변형에 조화롭게 대응하는 수술실 그리고 그러한 수술실을 생체 내에 삽입하기 위한 도구인 수술용 주사바늘을 제공한다.
수술용 주사바늘(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중공을 가지는 가는 원통형의 몸체부(10), 수술실(60)이 삽입되는 입구부(20) 및 입구부(20)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끝이 뾰족한 팁부(30)로 구성된다.
입구부(20)는 주사바늘의 몸체부(10)의 직경에서 시작하여 그것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형태로 테이퍼진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형상에 의하여 수술용 주사바늘(1)은 수술실(60)을 그것 내에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게 된다.
주사바늘(1)에는 길이를 측정할 수 있는 눈금(50)이 그 길이방향으로 새겨져 있다. 이러한 눈금(50)은 주사바늘이 생체 내에 삽입될 때 삽입된 깊이를 알 수 있게 해준다. 눈금(50)은 주사바늘(1)의 몸체부(10)에 형성되어 있으면 족하지만, 경우에 따라 입구부(20)에도 연장하여 새겨질 수도 있다. 눈금은 1mm 간격 5mm 간격 또는 10mm 간격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주사바늘(1)에는 또한 입구부(20)에서부터 슬릿(40)이 형성되어 있다. 슬릿(40)의 폭은 주사바늘에 삽입되는 수술실(60)의 직경보다 넓거나 같다. 그래서 수술실(60)은 슬릿(40) 밖으로 노출될 수 있게 된다. 슬릿(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바늘의 팁부(30)까지 관통할 수도 있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지점까지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슬릿(40)은 주사바늘(1)에 삽입되는 수술실(60)을 수술 도중에 연부조직에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도 1은 표현을 위하여 수술용 주사바늘(1)의 형태가 다소 과장되어 있다. 실제로는 주사바늘은 매우 가늘고 긴 형상을 가지며, 주사바늘의 직경은 그것 내부에 내장되는 수술실의 직경보다 조금 큰 정도이며, 주사바늘에 형성된 슬릿도 수술실의 직경보다 크거나 같은 것이므로 슬릿은 주사바늘에서 상당한 부분을 차지한다.
수술실(60)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늘고 긴 원기둥 형상의 몸체부(61), 몸체부(61)의 한 말단부에 2가닥 이상으로 형성된 발(62) 그리고 몸체부의 표면에 복수개로 형성된 홈(63)을 가진다.
수술실(60)은 일반 봉합사뿐 아니라 인체내 삽입시 안전이 입증된 것이면 무엇이든 사용할 수 있다. 수술실(60)의 말단부에 형성된 발(62)은 수술실이 생체 내에 삽입되어 생체내에 정박하는 앵커 역할을 하는 것이다. 발(62)에 의하여 생체 내에 삽입된 수술실(60)은 더 이상 뒤로 밀리지 않게 된다. 발(62)은 2가닥 이상으로 형성되면 상기한 기능을 달성할 수 있고, 이론적으로는 발의 가닥수에는 제한이 없지만, 현실적으로는 너무 많은 가닥수는 제조하기에 불편하다. 따라서, 2~4 가닥 정도가 적당할 것이다. 발(62)은 1가닥의 몸체부(61)를 적당한 길이로 그 길이방향으로 절단함으로써 2가닥 내지 4가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61)의 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홈(63)에 의하여 수술실(60)은 유연성을 갖게 되는데, 이러한 유연성에 의하여 연부조직의 형상 변형에 잘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수술실(60)에 형성되는 홈(63)은 ㄷ, v, 반원 등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고, 실 표면 상에서 실 길이 방향으로 일렬, 2열, 3열, 4열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랜덤하게 배열될 수도 있다. 도 4에는 반원형 홈이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v형 홈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각 종 형태의 홈들이 하나의 실에 형성되어 있다. 도 6의 실은 형성되는 홈의 형태를 예시한 것이며, 반드시 그러한 다양한 홈들이 하나의 수술실에 형성될 필요는 없고, 하나의 실에는 다양한 형태의 홈들로부터 선택된 한 형태의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홈의 깊이는 실의 두께에 2%-50%까지 다양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홈의 갯수는 단수에 수십개까지 가능하다. 홈의 간격은 1 mm - 50 mm까지 다양하다. 홈(63)은 수술실 몸체부(61)의 표면 전체에 불규칙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서로 대칭되는 수술실 몸체부(61)의 표면에 대칭적으로 또는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한 쪽 방향에만 일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요구되는 유연성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그리고 다양한 배치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수술실(60)은 그 몸체부에 항압박기능을 제공하는 돌기는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항압박효과, 즉 연부조직의 연장효과는 발휘하지 못하며, 단지 연부조직의 지지력을 보강하는 역할을 하면서 연부조직의 유연성에 잘 대응한다.
수술실(6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바늘(1)에 내장된다. 수술실(60)은 발(62)이 주사바늘(1) 내에 위치하도록 삽입된다. 발(62)은 주사바늘(1)의 팁부(30)에 위치하게 된다. 그럼으로써 내장된 수술실(60)의 길이는 주사바늘(1)에 새겨진 눈금(50)에 대응하게 된다. 주사바늘의 길이는 수술이 요구되는 연부조직에 적합하게 선정되는데, 작게는 2 cm, 보통의 경우에는 5 cm 이상이다. 주사바늘이 너무 긴 것은 오히려 수술을 어렵게 하므로 주사바늘의 길이는 적절하게 선택되는 것이 좋다. 수술실은 한 쪽 말단이 주사바늘 밖으로 노출되는 것이기 때문에 주사바늘보다 길어야 하는데, 0.5~2 cm 정도 주사바늘보다 더 길면 적당하다.
이와 같은 수술실(60)이 내장된 주사바늘(1)을 사용하여 코를 높이는 성형수술을 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코끝에 마취를 한 후에 핀포인트(바늘구멍)을 내고 본 발명의 주사바늘(1)을 코의 비주에 삽입한다. 주사바늘(1)을 비주에 삽입한 후에는 수술실을 지지하기에 적합한 길이로 절단하여야 하는데, 본 발명의 주사바늘(1)에는 슬릿(4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하기로 결정된 부분을 슬릿밖으로 꺾어서 노출되도록 한 뒤에 수술용가위로 절단함으로서 요구되는 적합한 길이로 수술실을 비주로 삽입할수 있게 된다.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바늘(1)을 비주에 삽입한 상태에서 코 끝을 누르면, 코 끝은 점선으로 표시된 보통의 위치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눌려진 상태로 변화하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수술실(60)을 슬릿(40) 밖으로 꺾어서 노출시킨 다음 가위로 절단한다.
그러한 간단한 수술과정을 거치게 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의 비주(70)에 적합한 길이로 수술실이 삽입되어 비주의 지지력이 보강된다. 그 후에는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최소절개를 통한 코 끝에 보형물을 삽입함으로써 코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때, 보형물의 삽입은 코구멍을 통한 코 안쪽으로 약간의 절개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절개술에 비하여 간단한 수술로 코를 높일 수 있게 되어 편리하다. 도 9의 수술 후에 수술실로 형성된 지지대 위에 실리콘 볼을 삽입한 상태를 도 10에 도시하였다.
한편, 도 11에는 코의 비익에 수술실(60)을 삽입한 예를 도시하였는데, 이러한 수술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수행될 수 있다. 코의 비익(80)에 수술실(60)을 삽입하면, 수술실(60)은 홈(63)에 의하여 부여된 유연성으로 인하여 비익에 원래의 직선형태를 유지하려는 작용을 하여 결국 비익의 과도한 굴곡으로 인한 콧볼의 넓음과 콧구멍의 크기를 줄이는 작용을 하게 된다. 부족한 경우에 몇 개를 더 삽입할 수 있으며 이럴 경우에 복원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돌기가 없으므로 돌기로 인한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1: 수술용 주사바늘 10: 몸체부
20: 입구부 30: 팁부
40: 슬릿 50: 눈금
60: 수술실 61: 몸체부
62: 발 63: 홈
70: 비주 80: 비익

Claims (9)

  1. 수술실을 생체에 삽입하기 위한 수술용 주사바늘에 있어서,
    상기 주사바늘에는 상기 주사바늘의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측정할 수 있는 눈금이 새겨져 있고, 또한 상기 주사바늘의 입구에서부터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주사바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의 폭은 상기 주사바늘에 삽입되는 수술실의 직경보다 넓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주사바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바늘의 입구는 상기 주사바늘의 몸체부의 직경에서 시작하여 그것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형태로 테이퍼진 형상을 가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주사바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상기 주사바늘의 팁부까지 관통할수도 있고, 또는 관통하지 않고 상기 주사바늘의 몸체부의 한 지점까지만 형성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주사바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바늘에는 수술실이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주사바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된 수술실은 상기 주사바늘에 내장되는 수술실의 말단부에 2가닥 이상의 발이 형성된 형상을 가지며 또한 다른 쪽 말단부는 상기 주사바늘 밖으로 노출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주사바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술실의 몸체부의 표면에는 단수, 또는 복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수술실은 유연성을 가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주사바늘.
  8. 생체에 삽입되는 수술실에 있어서,
    상기 수술실은 몸체부가 한 가닥의 실로 되어 있고, 한 쪽 말단에는 2가닥 이상의 발이 형성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수술실의 상기 몸체부에는 항압박기능을 제공하는 돌기는 형성되지 않은 것이고,
    상기 수술실의 상기 몸체부의 표면에는 복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수술실은 유연성을 가지는 것이며,
    상기 수술실은 코의 비주 또는 비익에 삽입되어 지지력을 보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연부조직에 삽입되어 지지력을 제공하는 수술실.
  9. 삭제
KR1020120104724A 2012-09-20 2012-09-20 연부조직지지를 위한 수술용 주사바늘과 수술실 KR101277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4724A KR101277615B1 (ko) 2012-09-20 2012-09-20 연부조직지지를 위한 수술용 주사바늘과 수술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4724A KR101277615B1 (ko) 2012-09-20 2012-09-20 연부조직지지를 위한 수술용 주사바늘과 수술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7615B1 true KR101277615B1 (ko) 2013-06-21

Family

ID=48867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4724A KR101277615B1 (ko) 2012-09-20 2012-09-20 연부조직지지를 위한 수술용 주사바늘과 수술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761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4803A (ko) * 2014-11-07 2016-05-17 유성식 피부 주름 제거용 봉합사 삽입장치
KR101773774B1 (ko) * 2015-12-24 2017-09-01 유성식 피부 주름 제거를 위한 성형용 실
KR20220126495A (ko) * 2021-03-09 2022-09-16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인조혈관 크기 책정기 및 그 측정방법
KR20220144066A (ko) * 2021-04-19 2022-10-2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정위 수술을 위한 마취제 주입용 주사기
KR20220144108A (ko) * 2021-04-19 2022-10-2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길이측정기를 구비하는 주사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3256A (ko) * 2006-03-13 2007-09-18 양현진 생체 연부조직 연장술을 위한 항 압박 다중 섬유유착봉합법에 이용하는 생체 삽입용 실과 그것을 생체에삽입하기 위한 도구
KR101038073B1 (ko) * 2010-06-25 2011-06-01 양현진 의료용 튜브형 바늘 유닛 및 다수의 의료용 봉합사를 튜브형 바늘 내에 장착하는 방법
WO2011133367A1 (en) * 2010-04-19 2011-10-27 Gold Thread Llc Filament implant system and method
JP4912322B2 (ja) * 2005-01-07 2012-04-11 ペテール クンボ 外科用縫合針及びこの外科用縫合針とともに用いられる縫合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12322B2 (ja) * 2005-01-07 2012-04-11 ペテール クンボ 外科用縫合針及びこの外科用縫合針とともに用いられる縫合糸
KR20070093256A (ko) * 2006-03-13 2007-09-18 양현진 생체 연부조직 연장술을 위한 항 압박 다중 섬유유착봉합법에 이용하는 생체 삽입용 실과 그것을 생체에삽입하기 위한 도구
WO2011133367A1 (en) * 2010-04-19 2011-10-27 Gold Thread Llc Filament implant system and method
KR101038073B1 (ko) * 2010-06-25 2011-06-01 양현진 의료용 튜브형 바늘 유닛 및 다수의 의료용 봉합사를 튜브형 바늘 내에 장착하는 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4803A (ko) * 2014-11-07 2016-05-17 유성식 피부 주름 제거용 봉합사 삽입장치
KR101643904B1 (ko) * 2014-11-07 2016-07-29 유성식 피부 주름 제거용 봉합사 삽입장치
KR101773774B1 (ko) * 2015-12-24 2017-09-01 유성식 피부 주름 제거를 위한 성형용 실
KR20220126495A (ko) * 2021-03-09 2022-09-16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인조혈관 크기 책정기 및 그 측정방법
KR102555284B1 (ko) * 2021-03-09 2023-07-14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인조혈관 크기 책정기
KR20220144066A (ko) * 2021-04-19 2022-10-2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정위 수술을 위한 마취제 주입용 주사기
KR20220144108A (ko) * 2021-04-19 2022-10-2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길이측정기를 구비하는 주사기
KR102537138B1 (ko) 2021-04-19 2023-05-2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정위 수술을 위한 마취제 주입용 주사기
KR102537121B1 (ko) 2021-04-19 2023-05-2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길이측정기를 구비하는 주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7615B1 (ko) 연부조직지지를 위한 수술용 주사바늘과 수술실
KR101060722B1 (ko) 주름제거용 수술사가 장착된 성형용 주사바늘
ES2863905T3 (es) Microaguja que usa metal bioabsorbible
AU745505B2 (en) Fluid transfer and diagnostic system for treating the inner ear
CA2740877C (en) Inner ear drug delivery device and method
KR101391659B1 (ko) 의료용 실 및 의료용 실 삽입 장치
US20050049625A1 (en) Device and method for intradermal cell implantation
CN111432750B (zh) 包括加强锚定的植发以及医疗安全特征
KR101178871B1 (ko) 수술사가 장착된 성형용 주사바늘
BRPI0414021A (pt) dispositivo de injeção intradérmica
KR101532704B1 (ko) 봉합사 리프팅용 캐뉼라
ES2938442T3 (es) Una aguja para implante
KR101154376B1 (ko) 주름제거용 수술사가 장착된 성형용 주사바늘
JP2021074553A (ja) 軟組織内に埋め込み部位を提供する方法
ES2494040T3 (es) Vector de inyección de un producto en el cuerpo humano
US20040176856A1 (en) Lip implant, instrumentation and method for insertion
KR101273792B1 (ko) 생체 삽입용 부재 및 이를 생체 내에 주입하는 주입 기구
Mittmann et al. Electrode design and insertional depth-dependent intra-cochlear pressure changes: a model experiment
EA201000033A1 (ru) Временно имплантируемое медицин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160137102A (ko) 리프팅용 생체 삽입용 실
KR101496046B1 (ko) 모발 재건용 임플란트
US20040049289A1 (en) Implant, method for inserting a reinforcing element, and method for producing an implant
KR20090111035A (ko) 성형수술용 실
WO2013054216A1 (en) A medical implant
ES2263634T3 (es) Una disposicion y un metodo para interactuar con un organo interno del cuerp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