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1465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1465A
KR20070091465A KR1020060021009A KR20060021009A KR20070091465A KR 20070091465 A KR20070091465 A KR 20070091465A KR 1020060021009 A KR1020060021009 A KR 1020060021009A KR 20060021009 A KR20060021009 A KR 20060021009A KR 20070091465 A KR20070091465 A KR 200700914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air
door
storage compartment
main body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1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상철
김병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1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91465A/ko
Priority to CNA2006101089408A priority patent/CN101033906A/zh
Publication of KR20070091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14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4Eye-masks ; Devices to be worn on the face, not intended for looking through; Eye-pads for sunbat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2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head or neck
    • A61F13/122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head or neck specially adapted for the face
    • A61F13/124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head or neck specially adapted for the face specially adapted for the e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497Plasters use eye pat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10/00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10/0095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radioact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supply
    • F25D2317/0665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supply from the to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실 내부의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도어의 개방 시에도 고온의 공기가 저장실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물을 수용하는 저장실이 마련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저장실 하부의 냉기를 유입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의 하부 측면에 마련된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냉기를 상기 저장실 상부에서 유출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의 상부 측면에 마련된 유출구를 포함하는 냉기유로와, 상기 냉기유로와 연통하여 상기 유출구를 통해 유출되는 냉기가 상기 저장실의 상부로 고르게 분사되도록 안내하는 냉기안내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냉장고를 분해한 후 후측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냉기안내유로를 형성하는 하부커버와 단열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에서 A부의 확대도.
도 5는 도 1의 냉장고에서 도어가 개방되었을 때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 외상 12: 내상
13: 저장실 15: 도어
20: 냉기유로 20a: 유입구
20b: 유출구 22: 냉기덕트
25: 실링부재 30: 냉기안내유로
40: 송풍수단 52a,b,c: 분사구
65: 냉각판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장실 내부에서 온도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저장실 내부의 온도 분포를 고르게 유지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그 내부에 냉동사이클의 구성요소가 설치되어 이로부터 발생되는 냉기를 고내로 공급하여 각종 식품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제품이다.
이러한 냉장고의 한 종류로 김치 또는 과일을 전용적으로 보관하기 위한 김치냉장고가 있다. 김치냉장고는 상면이 개방된 저장실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방부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를 구비한다.
본체는 김치 등의 저장물을 수용하기 위한 저장실을 형성하는 한쌍의 내상과 이들 내상을 단열재가 충전되는 발포공간을 사이에 두고 둘러싸는 외상을 갖는다.
내상의 외표면에는 저장실 내부를 냉각하기 위한 증발기가 권취되어 있다.
상기 증발기에서는 냉매가 증발하면서 주위의 열을 빼앗아 가게 되고 이에 따라 저장실 내부의 온도가 내려가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김치냉장고에 의하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냉기(저온의 공기)는 저장실 하부로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고온의 공기는 저장실 상부로 상승하는 자연적인 대류가 발생하게 되어 저장실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 온도차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도어를 개폐할 때 저장실 외부의 공기가 저장실 내부로 침투하고 이러한 고온의 공기는 주로 저장실의 상부에 머물기 때문에 저장실의 상부와 하부의 온도편차는 더 심해질 수 밖에 없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김치냉장고는 저장실 상부와 하부의 온도편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보관위치에 따라 김치맛이 달라지는 되고, 김치를 발효하기 위한 발효모드를 행함에 있어 온도제어를 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저장실 내부의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어의 개방 시에도 고온의 공기가 저장실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물을 수용하는 저장실이 마련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저장실 하부의 냉기를 유입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의 하부 측면에 마련된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냉기를 상기 저장실 상부에서 유출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의 상부 측면에 마련된 유출구를 포함하는 냉기유로와, 상기 냉기유로와 연통하여 상기 유출구를 통해 유출되는 냉기가 상기 저장실의 상부로 고르게 분사되도록 안내하는 냉기안내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입구는 상기 저장실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저장실 높이의 1/3지점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냉기유로 상에는 상기 유입구로 냉기를 흡입하여 상기 유출구로 냉기가 유출되도록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송풍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냉기유로는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며 상기 송풍수단이 설치되는 송풍덕트와 상기 송풍덕트와 연통되고 상하로 연장되는 냉기덕트와 상기 냉기덕트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유출구와 연통되는 연결덕트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송풍수단은 상기 도어가 닫혔을 때에는 냉매를 순환시키는 압축기와 연동하여 작동하고, 상기 도어가 열렸을 경우에는 항상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냉기안내유로는 상기 도어에 마련되며, 상기 도어에는 상기 도어가 닫혔을 때 상기 유출구와 접속되는 접속구와 상기 접속구로 유입된 냉기를 상기 저장실의 상부로 분사하는 하나 이상의 분사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가 닫혔을 때 상기 유출구로 유출되는 냉기가 상기 유출구와 상기 접속구 사이의 틈새로 새지 않도록 상기 유출구와 상기 접속구 중 적어도 일측에는 실링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는 외형을 형성하는 상부커버와, 상기 상부커버에 결합되며 상기 도어가 닫혔을 때 상기 본체에 밀착하는 하부커버와, 상기 상부커버와 하부커버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며, 상기 하부커버와 함께 상기 냉기안내유로를 형 성하도록 하부에 트렌치가 마련된 단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트렌치는 상기 도어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전후 트랜치와 상기 도어의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트랜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후 트랜치와 좌우 트랜치는 각각 중앙부에서 교차하여 교차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커버의 하측에는 상기 분사구로부터 분사되는 냉기에 의해 냉각된 후 서서히 냉기를 방출하는 냉각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출구의 단면적은 상기 유입구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물을 수용하는 저장실이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가 열렸을 때, 상기 저장실 하부의 냉기를 상기 본체의 하부 측면에서 유입하여 상기 본체의 상부 측면으로 유출되도록 안내하여 상기 저장실 외부의 공기가 상기 저장실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냉기유로와, 상기 도어가 닫혔을 때, 상기 냉기유로와 연통하여 상기 저장실 하부의 냉기가 상기 저장실의 상부로 고르게 분사되도록 안내하는 냉기안내유로와, 상기 유입구로 냉기를 흡입하여 상기 유출구로 냉기가 유출되도록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송풍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물을 수용하는 저장실이 마련된 본체와,상기 본체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저장실 하부의 냉기를 상기 본체의 하부 측면에서 유입하여 상기 본체의 상부 측면으로 유출되도록 안내하는 냉기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형을 형성하는 외상(11)과 외상(11) 내측에 마련되며 저장물을 수용하는 저장실(13)를 형성하는 내상(12)을 구비하는 본체(10)와, 본체(10)의 상부에 형성된 개방부를 개폐하는 도어(15)를 포함한다.
외상(11)과 내상(12)의 상단부는 내상(12)측이 단차진 캡(16)으로 덮여 있으며, 외상(11)과 내상(12) 사이에 형성된 발포공간(14)에는 단열재가 충전되어 저장실(13) 내부와 저장실(13) 외부를 단열하게 된다. 그리고, 내상(12)의 외표면에는 냉매관이 권취되어 저장실(13) 내부를 냉각하기 위한 증발기(17)를 형성한다.
내상(12)의 하부에는 기계실(18)이 마련되는데, 기계실(18)의 내부에는 압축기(19)와 응축기(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압축기(19), 응축기, 팽창밸브(미도시), 증발기(17)는 냉매관에 의해 연결되어 하나의 냉동사이클을 구성하게 되는데, 증발기(17)에서는 응축기를 통과하면서 액화된 냉매를 순간적으로 기화시킨다.
이때, 기화되는 냉매는 증발기(17) 주위의 열을 빼앗게 되는데, 증발기(17)가 내상(12)에 접촉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증발기(17)와 내상(12)이 직접 열교환하여 내상(12) 내측에 형성된 저장실(13)를 냉각하게 된다.
한편, 저장실(13) 내부에서 냉각된 공기, 즉 냉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저장실(13) 하부로 하강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저장실(13) 상부와 하부는 온도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저장실(13) 상부와 하부 사이에 발생하는 온도차를 없애기 위해서, 저장실(13) 하부의 냉기를 저장실(13) 상부로 이동시키는 냉기유로(20)와 냉기유로(20)와 연통되어 저장실(13) 상부에 냉기가 분사되도록 안내하는 냉기안내유로(30)가 형성된다.
냉기유로(20)는 외상(11)과 내상(12) 사이에 마련된 발포공간(14)에 형성되고, 발포공간(14)에 채워지는 단열재에 의해 단열된다.
냉기유로(20)의 유입구(20a)는 내상(12)의 하부 측면에 마련되고, 냉기유로(20)의 유출구(20b)는 내상(12)의 상부 측면에 마련된다. 이와 같이 냉기유로(20)의 유입구(20a)를 내상(12)의 측면에 마련한 이유는 저장실(13)에 저장되는 저장물에서 발생한 이물질(예를 들면 김치국물)이 유입구(20a)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냉기유로(20)의 유입구(20a)는 내상(12)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내상 높이의 1/3지점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냉기가 저장실(13)의 하부로 하강하게 되므로, 냉기를 저장실(13) 상부에 분사하기 위해서는 저장실(13) 하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분사하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이다.
냉기유로(20)의 유출구(20b)는 내상(12)의 상부 측면에 마련되는데, 유출구(20b)를 이와 같이 내상(12)의 측면에 마련한 이유는 도어(15)가 열렸을 때 유출구(20b)로 유출되는 냉기가 에어커튼과 같은 역할을 하여 저장실(13) 내부의 공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온인 저장실(13) 외부의 공기가 저장실(13)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저장실(13) 하부의 냉기를 저장실(13) 상부로 이동시키는 냉기유로(20) 상에는 내상(12) 하부의 냉기를 흡입하여, 내상(12) 상부로 송풍하기 위한 송풍수단(40)이 설치된다. 송풍수단(40)으로는 일반적인 송풍팬이 사용될 수 있다.
냉기유로(20)는 유입구(20a)와 연통되며 송풍수단(40)이 설치되는 송풍덕트(21)와 송풍덕트(21)와 연통되어 본체(10) 상부로 연장되는 냉기덕트(22)와 냉기덕트(22)로부터 연장되어 유출구(20b)와 연통되는 연결덕트(23)가 결합되어 형성된다.
냉기유로(20) 내측으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송풍수단(40)은 브라켓(41)에 의해 송풍덕트(21)에 고정되며, 송풍덕트(21)의 전방에는 송풍수단(40)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이 냉기유로(2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그릴(42)이 설치된다.
한편, 냉기유로(20)의 일단을 형성하는 유출구(20b)의 단면적을 냉기유로(20)의 타단을 형성하는 유입구(20a)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하여 냉기가 유출구(20b)를 통해 유출될 때 강하게 유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도어(15)가 열렸을 때 유출구(20b)로 유출되는 냉기가 에어커튼과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체(10) 상부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도어(15)에는 냉기유로(20)와 연통하여 냉기유로(20)를 통해 본체(10) 상부로 이동된 냉기가 저장실(13)의 상부로 분사되도록 안내하는 냉기안내유로(30)가 형성되어 있다.
냉기안내유로(30)가 형성된 도어(15)는 외형을 형성하는 상부커버(15a)와 상 부커버(15a)와 결합되어 도어(15)가 닫혔을 때 캡(16)에 밀착되어 저장실(13) 내부의 냉기가 외부로 새지 못하도록 하는 하부커버(15b)와 상부커버(15a)와 하부커버(15b)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며, 하부커버(15b)와 함께 냉기안내유로(30)를 형성하는 단열부재(15c)를 구비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5)의 하부커버(15b)에는 도어(15)가 닫혔을 때, 냉기유로(20)의 유출구(20b)와 접속되는 접속구(51)와 접속구(51)로부터 유입된 냉기를 저장실(13)의 상부로 분사하는 하나 이상의 분사구(52)가 형성되어 있다.
접속구(51)는 내상(12)의 상부 측면에 마련된 유출구(20b)에 접속할 수 있도록 측면 방향에 형성되어 있다. 분사구(52)는 저장실(13) 상부에 골고루 냉기를 분사하도록 전방에 형성된 전방분사구(52a)와 후방에 형성된 후방분사구(52b)와 양 측면에 형성된 측면분사구(52c)를 구비한다.
또한, 단열부재(15c)의 하부에는 단열부재(15c)가 하부커버(15b)와 결합되었을 때 두 부재 사이에 냉기안내유로(30)가 형성되도록 십자형의 트렌치(60)가 마련된다. 트렌치(60)는 도어(15)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전후 트랜치(61)와 도어(15)의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트랜치(62)를 구비한다. 전후 트랜치(61)와 좌우 트랜치(62)는 각각 중앙부에서 교차하여 교차부(63)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하부커버(15b)와 단열부재(15c)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도어(15)가 닫혔을 때, 냉기유로(20)의 유출구(20b)로부터 유출되는 냉기는 접속구(51)를 통해 냉기안내유로(30)로 유입되고, 냉기안내유로(30)로 유입된 냉기는 일부가 후 방분사구(52b)를 통해 분사되고 나머지는 교차부(63)에서 분기된 후 전후 트렌치(61) 및 좌우 트렌치(62)에 안내되어 전방분사구(52a) 및 측면분사구(52c)를 통해 분사된다.
한편, 하부커버(15b) 하부면에는 분사구(52)를 통해 분사되는 냉기를 집적하기 위한 냉각판(65)이 설치된다. 냉각판(65)은 금속판으로 마련되며 분사구(52)로부터 분사되는 냉기로부터 냉각된 후 서서히 냉기를 방출함으로써 저장실(13) 상부의 온도를 보상하게 된다.
도 4는 도 1에서 A부의 확대도로서 냉기유로(20)의 유출구(20b)와 냉기안내유로(30)의 접속구(51)가 접속되는 부분을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5)가 닫혔을 때 냉기유로(20)의 유출구(20b)로 유출되는 냉기가 유출구(20b)와 접속구(51) 사이의 틈새로 새어 나가지 않도록 유출구(20b)에는 실링부재(25)가 설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유출구(20b)에 실링부재(25)를 설치하였으나, 반드시 유출구(20b)에 실링부재(25)를 설치할 필요는 없으며, 유출구(20b)나 접속구(51) 중 적어도 일측에 실링부재(25)를 설치하면 된다.
다음으로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동작에 대하여 살펴본다.
우선, 도어(15)가 닫혔을 때의 동작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냉장고가 작동하여 압축기(19)가 동작되면, 증발기(17)는 냉매를 기화시키게 된다. 증발기(17)에서 기화되는 냉매는 내상(12)의 열을 빼앗게 되어, 저장실(13) 내부의 공기는 냉각되고, 저장실(13) 내부가 일정 온도 이하로 온도가 내려가면 압 축기(19)는 동작을 멈춘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저장실(13) 내부의 온도는 상승하고, 저장실(13) 내부의 냉기는 저장실(13) 하부로 하강하게 되어, 저장실(13) 상부와 하부 사이에 온도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압축기(19)와 송풍수단(40)은 동작한다.
압축기(19)가 동작하면, 증발기(17)는 다시 냉매를 기화시켜 저장실(13) 내부의 공기를 냉각하기 시작하고, 송풍수단(40)은 저장실(13) 하부에 집적된 냉기를 유입구(20a)를 통해 냉기유로(20)로 흡입한다. 즉, 송풍수단(40)은 압축기(19)와 연동하여 작동한다.
냉기유로(20)로 흡입된 냉기는 상승하여 냉기유로(20)와 연통된 냉기안내유로(30)로 안내된다. 냉기안내유로(30)로 안내된 냉기는 도어(15)의 하부에 형성된 분사구(52)를 통해 저장실(13) 상부로 분사된다. 이에 따라, 저장실(13) 상부의 온도를 보상하게 된다.
또한, 분사구(52)로부터 분사되는 냉기에 의해 냉각된 냉각판(65)은 저장실(13) 상부의 냉기가 저장실(13) 하부로 하강하여 저장실(13) 상부의 온도가 올라가면 냉기를 방출함으로써 저장실(13) 상부의 온도를 보상한다.
다음으로 도어(15)가 열렸을 때의 동작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5)가 열렸을 때에는 송풍수단(40)은 계속해서 작동하게 된다. 송풍수단(40)은 저장실(13) 하부에 집적된 냉기를 유입구(20a)를 통해 냉기유로(20)로 흡입하고, 냉기유로(20)로 흡입된 냉기는 유출구(20b)를 통해 유출된다. 이때, 유출구(20b)의 면적이 유입구(20a)의 면적보다 작기 때문에 유출구(20b)에서 유출되는 냉기는 강한 압력으로 분사된다. 따라서, 유출구(20b)로 유출되는 냉기는 에어커튼과 같은 역할을 하여 저장실(13) 외부의 공기가 저장실(13)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냉기유로가 본체 내부에 형성되는 실시 예 만을 설명하였으나, 냉기유로는 반드시 본체 내부에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본체 외부에 별도의 덕트 등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는 등 그 실시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에 의하면 저장실 하부로 하강하는 냉기를 저장실 상부로 분사함으로써 저장실 상부와 하부간에 온도분포가 불균일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도어의 개방 시에도 저장실 외부의 공기가 저장실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Claims (13)

  1. 저장물을 수용하는 저장실이 마련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저장실 하부의 냉기를 유입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의 하부 측면에 마련된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냉기를 상기 저장실 상부에서 유출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의 상부 측면에 마련된 유출구를 포함하는 냉기유로와,
    상기 냉기유로와 연통하여 상기 유출구를 통해 유출되는 냉기가 상기 저장실의 상부로 고르게 분사되도록 안내하는 냉기안내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상기 저장실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저장실 높이의 1/3지점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유로 상에는 상기 유입구로 냉기를 흡입하여 상기 유출구로 냉기가 유출되도록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송풍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유로는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며 상기 송풍수단이 설치되는 송풍덕트와 상기 송풍덕트와 연통되고 상하로 연장되는 냉기덕트와 상기 냉기덕트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유출구와 연통되는 연결덕트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수단은 상기 도어가 닫혔을 때에는 냉매를 순환시키는 압축기와 연동하여 작동하고, 상기 도어가 열렸을 경우에는 항상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안내유로는 상기 도어에 마련되며, 상기 도어에는 상기 도어가 닫혔을 때 상기 유출구와 접속되는 접속구와 상기 접속구로 유입된 냉기를 상기 저장실의 상부로 분사하는 하나 이상의 분사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닫혔을 때 상기 유출구로 유출되는 냉기가 상기 유출구와 상기 접속구 사이의 틈새로 새지 않도록 상기 유출구와 상기 접속구 중 적어도 일측에는 실링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외형을 형성하는 상부커버와, 상기 상부커버에 결합되며 상기 도어가 닫혔을 때 상기 본체에 밀착하는 하부커버와, 상기 상부커버와 하부커버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며, 상기 하부커버와 함께 상기 냉기안내유로를 형성하도록 하부에 트렌치가 마련된 단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는 상기 도어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전후 트랜치와 상기 도어의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트랜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후 트랜치와 좌우 트랜치는 각각 중앙부에서 교차하여 교차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커버의 하측에는 상기 분사구로부터 분사되는 냉기에 의해 냉각된 후 서서히 냉기를 방출하는 냉각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의 단면적은 상기 유입구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저장물을 수용하는 저장실이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가 열렸을 때, 상기 저장실 하부의 냉기를 상기 본체의 하부 측면에서 유입하여 상기 본체의 상부 측면으로 유출되도록 안내하여 상기 저장실 외부의 공기가 상기 저장실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냉기유로와,
    상기 도어가 닫혔을 때, 상기 냉기유로와 연통하여 상기 저장실 하부의 냉기가 상기 저장실의 상부로 고르게 분사되도록 안내하는 냉기안내유로와,
    상기 유입구로 냉기를 흡입하여 상기 유출구로 냉기가 유출되도록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송풍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저장물을 수용하는 저장실이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저장실 하부의 냉기를 상기 본체의 하부 측면에서 유입하여 상기 본체의 상부 측면으로 유출되도록 안내하는 냉기유로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0060021009A 2006-03-06 2006-03-06 냉장고 KR2007009146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1009A KR20070091465A (ko) 2006-03-06 2006-03-06 냉장고
CNA2006101089408A CN101033906A (zh) 2006-03-06 2006-07-28 冰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1009A KR20070091465A (ko) 2006-03-06 2006-03-06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1465A true KR20070091465A (ko) 2007-09-11

Family

ID=38689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1009A KR20070091465A (ko) 2006-03-06 2006-03-06 냉장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70091465A (ko)
CN (1) CN10103390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68307B (zh) * 2014-02-14 2016-02-24 澳柯玛股份有限公司 一种全方位制冷的冷柜
JP6437660B2 (ja) * 2015-08-26 2018-12-12 Ph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超低温フリー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33906A (zh) 2007-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86234B2 (en) Refrigerator
CN103975209B (zh) 冷藏库
KR101835336B1 (ko) 냉장고
KR101740333B1 (ko) 냉장고
KR20150010846A (ko) 냉장고
KR20190127027A (ko) 냉장고
JP6035510B2 (ja) 冷蔵庫
KR20070031721A (ko) 냉장고
KR102615061B1 (ko) 냉장고
KR20070091465A (ko) 냉장고
US11698217B2 (en) Refrigerator
KR20110019076A (ko) 냉장고
KR20100050350A (ko) 냉장고
KR100430378B1 (ko) 냉장고
US11796242B2 (en) Air vent for a refrigeration appliance
KR100455417B1 (ko) 냉장고의 냉기순환구조
KR20190010310A (ko) 냉장고
KR100414289B1 (ko) 냉장고의 냉기순환구조
JP2001280795A (ja) 冷蔵庫
KR200292004Y1 (ko) 냉장고
KR100404467B1 (ko) 냉장고의 냉기공급구조
KR20100028828A (ko) 냉장고
JP6489767B2 (ja) 冷蔵庫
KR100577428B1 (ko) 냉장고
JP2001349656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