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1277A - 축전지간 접속 장치 - Google Patents

축전지간 접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1277A
KR20070091277A KR1020077011482A KR20077011482A KR20070091277A KR 20070091277 A KR20070091277 A KR 20070091277A KR 1020077011482 A KR1020077011482 A KR 1020077011482A KR 20077011482 A KR20077011482 A KR 20077011482A KR 20070091277 A KR20070091277 A KR 20070091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clamp
connecting member
fix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1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2962B1 (ko
Inventor
브리아 알랭
필립 레브레통
장 프레데릭 사르고
Original Assignee
세미크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FR0412385A external-priority patent/FR2878368B1/fr
Priority claimed from FR0502282A external-priority patent/FR2882858B1/fr
Application filed by 세미크론 filed Critical 세미크론
Publication of KR20070091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1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2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2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28Fixed electrical connections, i.e. not intended for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2/00Details of capacitor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1G4/00-H01G11/00
    • H01G2/02Mountings
    • H01G2/04Mounting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a chassi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004Details
    • H01G9/08Housing; Encap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004Details
    • H01G9/14Structural combinations or circuits for modifying, or compensating for, electric characteristics of electrolytic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 Inverter Devices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버터 유형의 회로에 연결되어 있는 축전지(4) 간 또는 축전지(4) 뱅크 사이의 접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축전지들은, 절연층에 의해 분리되며 상이한 극성을 갖고 적층되어 있는 두개의 얇은 바아로 구성되는 버스바(5)에 의해 연결된다. 각각의 버스바(5)는, 두개의 축전지 또는 인접 축전지들의 뱅크로 부터 돌출된 두개의 돌기들 사이에서 링크 부재와 협력작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6,6')를 구비한다. 상기 링크 부재는 동일 극성을 갖는 두개의 대향되는 돌기들의 바와 접촉되도록 형성된 두개의 전도성 스트립(9'10; 9',10')을 구비한다. 상기 전도성 스트립은 절연층(7,7')의 일 측면에 배열된다. 상기 돌기 중의 하나 또는 상기 링크부재의 돌기 중의 하나는 슬라이드를 형성하는 클램프를 구비한다. 따라서, 다른 하나의 돌기가 링크 축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클램핑/클램핑해제 수단(12,13,14)은 링크부재를 각각의 돌기에 고정시키며, 클램핑 해제시 독립적인 조립체로서 유지된다.
축전지, 전도성 스트립, 축전지 뱅크, 연결장치

Description

축전지간 접속 장치{CONNECTION SYSTEM BETWEEN CAPACITOR BATTERIES}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인버터(inverter) 유형의 회로에 결합된 축전지(condenser batteries) 또는 축전지 뱅크(bank of condenser batteries) 사이의 접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축전지들은, 적층되어 있고 절연층에 의해서 분리되어 있는 상이한 극성을 갖는 2개의 전도성 바아(bar) 또는 박판으로 이루어진 버스(bus)에 의해서 소위 버스 바(bus bar) 기법에 따라 연결된 다수의 축전지들로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축전지들은 기능이 많은 블록 박스(block box), 구체적으로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인버터의 블록 박스에 집적된다.
다수의 축전지 사이의 접속은 회로 구성 부분들을 첨가하여 한 회로를 구성하는 것과 같이 수행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유도(inductive) 회로인 형태, 구체적으로 연결부에서 유도 회로인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지들을 포함하는 블록들 사이의 접속에 의하면, 커패시터 부분들과 인덕터(inductor) 부분들이 교대하게 되므로, 축전지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고 그 수명을 감소시킬 수 있는 불필요한 고조파 전류(harmonic current)를 통해서 진행하는 발진 회로(oscillator circuit)가 구성된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조립법에 적용되는 접속 장치의 목적은, 주로 상기 고 조파 전류 및 경우에 따라 축전지내에서의 전류의 진동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종래 이용된 커패시터 뱅크(capacitor bank) 사이의 한 접속 유형은 금속 바아들을 사용하고, 이러한 금속 바아들의 절연은 바아 사이에 일정 거리를 유지함으로써 쉽게 달성할 수 있으므로, 바아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 이외에 다른 절연체에 대한 필요성이 배제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금속 바아들은 예를 들면 볼트(bolt)에 의해서 연결하고자 하는 축전지들 사이에 구비된 영역상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기술은 유도성이 강하고, 축전지의 지속 수명까지 예측 가능한 진동을 발생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전기적 속성에 관한 문제점 이외에도, 상기 유형의 접속을 실시하는데 있어서는 기계적인 양상도 중요하다. 또한, 전도성 바아에 흐르는 전류의 중요성을 고려해볼 때 주목할 사실은, 동일한 극성을 갖는 축전지들 사이의 접속 압력이 충분해야 하고, 정확하게 분포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적합한 고정(clamping) 수단이 존재해야 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고정 수단은, 한편으로는 구성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장치의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상기 고정 수단은 단시간내에, 또한 너무 쉽게 흩어지는 조각들을 이용하는 일 없이, 용이하게 고정/분해시킬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에서 언급한 압연 버스 바아 기법을 이용하는, 즉, 절연층에 의해서 분리된 상이한 극성을 갖는 2개의 바아형 축전지를 조합하는 종래 기술의 접속 장치에 있어서, 연결하고자 하는 부품들에 대한 결합은 지금까지 스크류/암나사 유형의 수단에 의해서 수행하였는데, 이러한 결합 방법은 신속하지 못하고 구성 요소의 손실이라는 위험도 수반하는 것으로 보인다.
본 발명의 접속 장치의 목적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여러 가지 단점들에 대응하여 전기적인 관점에서 일층 더 충족되는, 즉, 유도성이 낮은 기술적인 해결 수단을 제공하고, 또한 될 수 있는 한 작업자의 작업을 도모하도록 우수한 고정성/분해성을 갖는 기술적인 해결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이와 같은 해결 수단은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는 것으로서 경제적으로도 최상의 효과를 갖는 것이다.
압연 버스 바를 통해 접속된 축전지 또는 축전지 뱅크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본 발명의 접속 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 각각의 버스(5)는 인접한 2개의 축전지 또는 축전지 뱅크(4)로부터 돌출된 2개의 돌출부 사이의 연결 부재(C)와 협력하도록 제공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6)를 갖고;
- 상기 연결 부재는 대향하는 2개의 돌출부의 극성이 동일한 바아들과 각각 접촉할 수 있도록 제공된 2개의 전도성 스트립(strip)을 포함하고, 상기 스트립들은 절연층에 의해서 양측에서 분리되어 있으며;
- 상기 돌출부(6)중 하나, 또는 한 돌출부(6)과 상기 연결 부재(C)이 협력하는 각각의 영역중 하나는 연결축에 대하여 수직으로 활주함으로써 다른 한 돌출부 또는 영역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는 활주홈(sliding groove)를 형성하는 클램프(clamp)를 포함하고;
- 상기 고정/분리 수단(12,13,14)은 상기 연결 부재를 각 돌출부에 고정시킬 수 있고, 상기 고정/분리 수단은 분리시 하나의 어셈블리(aseembly)로 유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새로운 해결 수단은 압연 버스 바아 기법이 갖는 장점들을 제공한다. 즉, 인덕턴스(inductance)가 낮은 접속을 제공하고, 또한 블록들을 서로에 대하여 매우 신속하게 조립/분해할 수 있으며, 고정 수단을 단일의 어셈블리로서 보호 유지하는 동시에 간단한 분리 작업 이후에 본 발명의 장치를 삽입/탈착할 수 있는 활주홈이 존재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생산 비용이 낮은 구성 요소 부품들만을 사용하므로, 장치의 조립시 경제적 부담을 덜어준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하면, 각각의 돌출부는 버스 바들을 평행하게 유지시키면서 당해 돌출부의 단부에 대하여 버스 바들을 분리시킴으로써 얻어지는 클램프를 포함하며, 이와 같이 하여 구성된 활주홈은 절연된 평행 6면체 형태를 갖는 블록의 가장자리의 한 영역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를 갖게 되고, 이때 상기 가장자리의 다른 영역은 대향하는 동종의 돌출부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블록은 고정/분리 수단을 통해서 상기 클램프들의 외부 표면상에 존재하는 연결 부재의 2개의 스트립에 연결되고, 이때 상기 고정/분리 수단은 상기 클램프들사이에 편재되어 있다.
변형예로서, 상기 고정/분리 수단은 상기 연결 부재의 일부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2개의 스트립 및 절연된 중간 블록은 샌드위치형 구조물을 구성하여, 활주홈의 형성에 참여하고 우수한 접촉 압력을 달성하도록 도모한다.
이와 같은 가정하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분리 수단은 상기 스트립 및 절연 블록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스크류로 이루어지며, 절연 이중축(cannon)이 상기 스크류와 상기 연결 부재, 따라서 그것이 연결된 돌출부의 바아의 하나 이상의 스트립 사이에 개재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분리 수단의 스크류는 단락(short circuit)을 일으킬 가능성이 없다.
고정 수단으로 고정하는 작업은, 예컨대, 다른 한 스트립의 외부 표면상에 존재하는 볼트 수단에 의해서, 또는 다른 한 스트립의 나사부에 고정시킴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형의 고정 작업은, 상대적인 위치 설정 및 연결 부재의 부품들의 형태와 함께, 전기 접속을 확실하게 보장하는 동시에 조립/분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이러한 특징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2개의 스트립이 돌출부의 바아들과 접촉하는 표면상에 톱니 형태로 된 부분을 가질 때 더욱 향상된다.
중앙부가 가능한한 많이 한정되도록, 상기 고정/분리 수단이 연결 방향에 수직인 축을 따라서 배치된 2개의 스크류로 이루어지는 것이 유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하면, 한 돌출부 또는 클램프를 포함하지 않는 돌출부와 상기 연결 부재가 협력하는 영역은 연결축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인 횡방향 단부를 가지며, 상기 횡방향 단부에서 각각의 클램프에 결합된 고정/분리 수단이 활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고정 수단은 스크류와 볼트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스크류는 절연 이중축에 구비된 개구부를 통해서 상기 클램프의 컨덕터중 하나를 관통하고, 상기 볼트는 다른 한 컨덕터와 동축으로 일체화되며, 상기 절연 이중축은 그 이중축이 관통하는 클램프의 접촉 지점에 상기 컨덕터의 두께보다 큰 길이만큼 상기 클램프내에서 연장하는 부분을 갖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접속 장치의 클램프의 브랜치(branch)들을 관통하는 구성 요소는 스크류의 네크(neck) 부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네크 부분은 상기 절연 이중축에 의해서 상기 스트립의 내부 저장 위치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여져 있다.
상기 횡방향 단부에 의하면, 상기 스크류와 이중축을 통과시킬 수 있을뿐만 아니라 스크류를 분해한 후 상기 횡방향 단부에 유도되는 변화에 의해서 용이한 장착/탈착이 가능하다. 상기 볼트는 상기 스크류의 헤드상에 작용하는 힘으로 각각의 클램프의 브랜치중 하나와 일체화되어 있으므로, 정해진 지점에서 조이거나 분리시키는데 충분하다. 이들을 모두 한번에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매우 용이하고 매우 신속하게 장착/탈착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분리 어셈블리는 조립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제 1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부품의 손실은 방지된다.
상기 절연 이중축은 상기 클램프의 컨덕터를 통과시키는 개구부보다 직경이 큰 부분을 포함하며, 여기에 상기 스크류의 헤드부가 설치되므로, 고정 압력을 보다 큰 표면상에 분포시킬 수가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횡방향 단부는 상기 이중축이 그 폐쇄된 단부에 도달하는 동안에 상기 연결 부재가 축방향으로 각 버스의 돌출부상에 센터링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를 갖도록 제공된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횡방향 단부는 위치 설정의 기능도 제공하므로, 연결하고자 하는 커패시터 블록으로부터 돌출된 버스의 돌출부의 축에 연결용 고리를 즉시 센터링시킬 수 있다.
상기 횡방향 단부의 크기는 상기 연결 부재/돌출부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는 크기이어야 하므로, 상기 절연 이중축에서 그것이 차지하고 있는 부분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횡방향 단부의 안내 기능에 의해서 취급자는 특히 장착 과정에서 작업이 용이해지므로, 취급자의 참여 시간은 줄어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돌출부상에 존재할 수 있고, 상기 횡방향 단부는 상기 연결 부재의 단부를 따라서 배치된다. 그 반대 경우도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경우에 따라서, 상기 연결 부재는 평면 직선형 제1 스트립, 및 제2 스트립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트립의 단부들은 평행하고 상기 제 1 스트립에 연결된 중심부에 대하여 변위되어 평행 6면체 형태의 단부를 갖는 클램프를 형성하는 2개의 고정 위치를 한정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연결하고자 하는 인접한 축전지들을 넘어 돌출하는 버스의 돌출부들을 고정시켜서,상기 돌출부의 단면들과 상기 스트립들의 내측면들이 고정하기 전에도 실제로 접촉할 수가 있다. 앞에서 언급한 고정 수단은 이러한 단부들을 갖는 클램프의 2개의 브랜치를 연결시켜 준다.
전술한 바와 같은 2가지 실시예를 구성하는데 관여하는 구성 요소들은 모두 통상의 재료로부터 제작하기 용이한 것들이므로, 생산비가 크게 절감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의 입체 형태는 "+" 극성과 "-" 극성을 갖는 컨덕터들을 분리시키는 짧은 거리를 준수하는 형태로서, 회로의 일정 부분의 인덕턴스가 낮은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회로의 나머지 부분의 특성을 결정하는 압연 버스 바아 기법은, 사실상 본 발명의 장치의 착안에도 일반적으로 적용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2가지 실시예를 토대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전해 축전지함을 장착한 인버터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2가지 실시예중 제1 실시예에 의한 연결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연결 장치에 의하여 연결된 여러개의 모듈을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IGBT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모듈들(1,2)이 인버터를 구성하는 다른 소자들과 함께, 열을 방출할 수 있는 라디에이터(3)와 버스 바아(5)를 형성하는 평판에 용접 또는 조립된 전해 컨덴서(4)로 이루어진 상부 커패시터 블록 사이에 배치된 중간층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버스 바아는 상기 컨덴서의 2개의 상이한 극에 연결되고 절연층에 의해 분리된 얇은 두께의 2개의 전도성 바아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이폴라(bipolar) 버스는 그 4개의 측면상에 돌출부들(6)을 구비하며, 이 돌출부들에 의해서 커패시터 블록의 용적으로부터 돌출하여 한 인버터 모듈을 동일한 다른 모듈에 접속시킬 수 있다.
도 2는 상기 측면들로부터 돌출된 돌출부(6)의 형태를 더욱 명확하게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돌출부는 측면 활주홈(8)을 갖는 단면을 구비함으로써, 접속 장치를 모듈 사이에 배치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고(도 3 참조), 상기 장치의 고정 수단과 협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인버터 모듈에 있어서, 축전지는 12개의 컨덴서(4)로 이루어지며, 상기 컨덴서들은 본 발명에 의한 2개의 접속 장치를 통해 하나 이상의 측면상에서 12개의 전해 컨덴서(4)를 역시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다른 축전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접속 장치(C)는 도 3에 더욱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접속 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전도성 스트립(9,10)을 포함하고, 이들중 하나는 직선 평면형인 반면(스트립 9), 다른 하나는 (스트립 10) 중간의 공간을 포함하는 형태로서, 이러한 공간에 의해 상기 스트립의 단부들이 이동되어 본 발명의 접속 장치(C)는 최종적으로 버스(5)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6)에 대한 고정 위치(11,11')를 만드는 브랜치들 사이에서 서로 대향하는 2개의 클램프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절연층(7)은 그 중앙부에서 상기 스트립들(9,10)을 분리시킨다.
상기 고정 위치(11,11')에는 스크류(12), 볼트(13) 및 절연 이중축(14)으로 구성된 고정 수단이 통과되어 있다. 각각의 볼트(13)는 스트립(10)에 일체화되어 있고, 상기 스크류(12)를 고정시키면 각각의 클램프의 2개의 브랜치에 접근하게 된다. 상기 스크류(12)의 헤드부는 상기 절연 이중축(14)의 확대된 부분을 통해서 스트립(9)와 접촉하며, 이때 상기 절연 이중축은 스크류를 고정 및 안내할 수 있는 기능 이외에도 한편으로는 상기 2개의 버스 바아(5) 사이의 단락을 방지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본 발명의 접속 장치(C)의 2개의 스트립(9,10) 사이의 단락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접속 장치(C)에 의하면, 낮은 인덕턴스 수준을 유지시킬 수 있는 동시에 여러 개의 커패시터 블록들을 서로 접속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컨덕터에 있어서, 커패시터 블록의 내부에서 바아/버스에 사용되는 주요 구성 요소들을 채택한 기법을 활용하면 낮은 인덕턴스하에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안내용 이중축(14)의 직경이 큰 부분은 상기 스트립(9)와 그 스트립을 향하여 접촉하는 상기 돌출부(6) 사이에 접촉 압력을 일층 분산시킬 수 있다. 상기 스트립(10)의 경우에, 압력의 분배는 그것을 고정하는 볼트(13)의 존재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브랜치를 갖는 클램프과 나사 고정 수단은 2개의 극에 대하여 상기 돌출부(6)와의 양질의 표면 접촉을 가능하게 하는 작용을 겸한다.
기계적인 측면에서, 접속/분리는 수행하기 간단하고 매우 신속한 고정/분리 작업에 의해서 스크류(12)의 각 헤드상에 정해진 작용을 가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볼트로부터 결코 완전히 탈착되지 않은 스크류는 손상 위험이 없으므로, 본 발명의 추가의 장점을 제공한다.
도 4는 여러개(3개)의 인버터 블록을 2개의 스크류(12)에 의해서 각 블록에 고정된 본 발명의 접속 장치(C)를 사용하여 서로 접속시킨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블록의 네 측면상에 돌출부가 존재하는 것을 감안할때, 여러 가지의 조립 형태가 가능하다. 인버터 블록의 육면체 용적은 2개의 수직 평면에 대하여 이중 대칭성을 나타내므로, 당해 평면내에서 실시 가능한 입체 형태의 수를 일층 증가시킨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 경우에는 상기 스트립들이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 따라서 모듈로부터 돌출된 돌출부(6')의 단부에 배치된다.
이 경우에, 버스의 전도성 바아(19,20)들은 각각 계단식 평면을 이루어 절연 블록(7')이 활주할 수 있는 단부 홈을 구성한다. 상기 접속 장치(C')의 스트립(9',10')은 또한 고정 수단이 느슨해진 위치로 존재할때, 즉, 고정 수단이 분리되어 상기 스트립(9',10')이 각각 돌출부(6')의 상부(19) 및 하부(20) 외측면과 접촉한 상태로 유지될때는, 상기 활주 작용에도 참여한다.
상기 고정/분리 수단 역시 절연 이중축(14')을 이용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은 제 1 실시예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바, 더 이상의 설명은 불필요할 것이다. 상기 스크류(12) 및 도시되지 않은 볼트 역시 동일한 조건하에 사용된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버스의 바아(19,20)와 접촉된 스트립(9',10')의 표면에 톱니를 형성하여 정확한 접촉면을 보호 유지하는 동시에 양질이 연결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축전지간 접속 장치는 낮은 인덕턴스하에 축전지들을 접속시킬 수 있고, 작업자의 작업을 용이하게 하며,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는 것으로서 경제적이 장치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2가지 실시예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전술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지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예를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12)

  1. 인버터 형태의 회로와 같은 회로에 결합된 축전지(4) 또는 축전지 뱅크 사이의 접속 장치로서, 적층되어 있고 절연층에 의해서 분리되어 있는 상이한 극성을 갖는 2개의 전도성 바아로 이루어진 버스(5)에 의해서 상기 축전지(4)들을 연결하는 접속 장치에 있어서,
    - 각각의 버스(5)는 인접한 2개의 축전지 또는 축전지 뱅크(4)로부터 돌출한 2개의 돌출부(6,6') 사이의 연결 부재(C,C')와 협력하도록 제공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6,6')를 갖고;
    - 상기 연결 부재는 대향하는 2개의 돌출부(6,6')의 극성이 동일한 바아들과 각각 접촉할 수 있도록 제공된 2개의 전도성 스트립(9,10;9',10')을 포함하고, 상기 스트립들(9,10;9',10')은 절연층(7,7')에 의해서 양쪽에서 분리되어 있으며;
    - 상기 돌출부(6,6')중 하나, 또는 한 돌출부(6,6')와 상기 연결 부재(C,C')가 협력하는 각각의 영역중 하나는 연결축에 대하여 수직으로 활주함으로써 다른 한 돌출부 또는 영역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는 활주홈을 형성하는 클램프를 포함하고;
    - 상기 고정/분리 수단(12,13,14)은 상기 연결 부재(C,C')를 각 돌출부(6,6')에 고정시킬 수 있고, 상기 고정/분리 수단은 분리시 하나의 어셈블리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돌출부(6')는 버스 바(19,20)들을 평행하게 유지시키면서 당해 돌출부(6')의 단부에 대하여 버스 바들을 분리시킴으로써 얻어지는 클램프를 포함하고, 이때 형성되는 활주홈은 절연된 평행 6면체 형태를 갖는 블록(7)의 가장자리의 한 영역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가장자리의 다른 영역은 대향하는 동종의 돌출부(6')에 삽입되고, 상기 블록(7)은 고정/분리 수단을 통해서 상기 클램프들의 외부 표면상에 존재하는 연결 부재의 2개의 스트립(9',10')에 연결되고, 이때 상기 고정/분리 수단은 상기 클램프들사이에 편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분리 수단은 상기 스트립(9',10') 및 절연 블록(7')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스크류(12')로 이루어지며, 절연 이중축(14')가 상기 스크류(12')와 상기 연결 부재(C')에 연결된 돌출부(6')의 바아(19)의 하나 이상의 스트립(9')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으로 고정하는 작업은, 다른 한 스트립(20)의 외부 표면상에 존재하는 볼트 수단에 의해서, 또는 다른 한 스트립의 나사부에 고정시킴으로써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분리 수단은 상기 연결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축을 따라 배치된 2개의 스크류(1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장치.
  6. 제 2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스트립(9',10')이 상기 돌출부(6')의 바아(19,20)와 협력하는 표면상에 톱니모양으로 형성된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6) 또는 상기 클램프를 포함하지 않는 돌출부(6)와 상기 연결 부재(C)가 협력하는 영역은, 연결축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인 횡방향 단부(8)를 가지며, 그 횡방향 단부(8)에서 각각의 클램프에 결합된 고정/분리 수단(12,14)이 활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스크류(12)와 볼트(13)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크류(12)는 절연 이중축(14)에 구비된 개구부를 통해서 상기 클램프의 컨덕터중 하나(9)를 관통하고, 상기 볼트(13)는 다른 한 컨덕터(10)와 동축으로 일체화되며, 상기 절연 이중축(14)은 그 이중축이 관통하는 클램프의 접촉 지점에 상기 컨덕터의 두께보다 큰 길이만큼 상기 클램프내에서 연장하는 부분을 갖고, 상기 부분은 상기 횡방향 단부(8)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이중축(14)은 상기 클램프의 컨덕터를 통과시키는 개구부보다 직경이 큰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부분에 상기 스크류(12)의 헤드부가 설치되어, 고정 압력을 보다 큰 표면상에 분포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장치.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단부(8)는 상기 이중축(14)이 그 폐쇄된 단부에 도달하는 동안에 상기 연결 부재(C)를 축방향으로 각 버스(5)의 돌출부(6)상에 센터링시킬 수 있는 길이를 갖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장치.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단부의 크기는 상기 연결 부재(C)/돌출부(6)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는 크기이며, 상기 절연 이중축(14)에서 그것이 차지하고 있는 부분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장치
  12. 제 7 항 내지 제 1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C)는 평면 직선형 제 1 스트립(9), 및 제 2 스트립(10)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스트립(10)의 단부들은 평행하고 상기 제 1 스트립(9)에 연결된 중심부에 대하여 변위되어 평행 6면체 형태의 가장자리를 갖는 2개의 고정 위치(11,11')를 한정하며, 상기 고정 위치에 의해 연결하고자 하는 인접한 컨덕터들(4)의 전지를 넘어 돌출하는 버스(5)의 돌출부(6)들을 고정시켜서, 상기 돌출부(6)의 단면들과 상기 스트립(9,10)들의 내측면들이 고정하기 전에도 실제로 접촉할 수가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장치.
KR1020077011482A 2004-11-22 2005-11-21 축전지간 접속 장치 KR1010829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412385 2004-11-22
FR0412385A FR2878368B1 (fr) 2004-11-22 2004-11-22 Systeme de connexion entre batteries de condensateurs
FR0502282A FR2882858B1 (fr) 2005-03-07 2005-03-07 Systeme de connexion entre batteries de condensateurs
FR0502282 2005-03-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1277A true KR20070091277A (ko) 2007-09-10
KR101082962B1 KR101082962B1 (ko) 2011-11-11

Family

ID=36216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1482A KR101082962B1 (ko) 2004-11-22 2005-11-21 축전지간 접속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667952B2 (ko)
EP (1) EP1815486B1 (ko)
JP (1) JP4785863B2 (ko)
KR (1) KR101082962B1 (ko)
AT (1) ATE549727T1 (ko)
DK (1) DK1815486T3 (ko)
ES (1) ES2385379T3 (ko)
PL (1) PL1815486T3 (ko)
PT (1) PT1815486E (ko)
WO (1) WO2006053995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3351B1 (ko) * 2018-08-01 2019-03-04 주식회사 이테스 비용접식 배터리모듈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모듈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36556A1 (en) * 2006-08-10 2008-02-1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a feed through filter
US7826197B2 (en) * 2006-11-03 2010-11-02 EaglePicher Technologies Modular energy storage devic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5167893B2 (ja) * 2008-03-24 2013-03-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ケースモールド型コンデンサ
US7907385B2 (en) * 2008-07-14 2011-03-1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Low inductance interconnect device for a power capacitor component
DE102009043181A1 (de) * 2009-09-26 2011-04-07 Semikron Elektronik Gmbh & Co. Kg Stromrichteranordnung
DE202010008274U1 (de) 2010-08-12 2011-12-22 Sma Solar Technology Ag Elektrische Verbindung zwischen zwei Busbars aus ebenen Leitern und einer zwischen den Leitern angeordneten Isolationsschicht
CN103098519A (zh) * 2010-09-08 2013-05-08 日本电气株式会社 无线通信系统、相邻小区列表优化系统、基站以及相邻小区列表更新方法
DE202010008933U1 (de) * 2010-11-02 2010-12-23 Sma Solar Technology Ag Elektrische Verbindung zwischen zwei Busbars aus ebenen Leitern und einer zwischen den Leitern angeordneten Isolationsschicht
JP2012165611A (ja) * 2011-02-09 2012-08-30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ユニット及び電力変換装置
DE102011015620A1 (de) * 2011-03-31 2012-10-04 Audi Ag Batterie für ein Kraftfahrzeug und zugehöriges Herstellungsverfahren
US9017836B2 (en) 2011-07-06 2015-04-28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DE102011109609B3 (de) * 2011-08-05 2013-01-17 Peter Fischer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induktionsarmen Busbar
CN103065805B (zh) * 2013-01-08 2017-12-19 周旺龙 一种矩形方块状有散热面的铝电解电容器模组及结构
DE102013103866B3 (de) * 2013-04-17 2014-05-22 Semikron Elektronik Gmbh & Co. Kg Leistungshalbleitereinrichtung
EP2814308B1 (de) 2013-06-10 2019-06-26 SEMIKRON Elektronik GmbH & Co. KG 3-Level-Stromrichtereinrichtung
KR102073193B1 (ko) * 2013-09-23 2020-02-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DE102014201481B4 (de) * 2014-01-28 2022-03-10 Zf Friedrichshafen Ag Schwingungsdämpfer, sowie Kolbenventil für einen Schwingungsdämpfer
EP2986092B1 (de) 2014-08-12 2017-10-11 SEMIKRON Elektronik GmbH & Co. KG Schaltschrank
DE102016200451B4 (de) * 2016-01-15 2017-08-03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Berührgeschützte, verschraubbare elektrische Verbindung mit Toleranzausgleich
KR102236981B1 (ko) * 2016-03-16 2021-04-05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 모듈용 연결 구조체
CN112768229B (zh) * 2020-12-29 2022-04-29 南京华士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半悬空上下左右可组合的电容固定结构和方法
IT202200006839A1 (it) 2022-04-06 2023-10-06 Ferrari Spa Connettore elettrico per collegare tra loro i morsetti di due moduli batteria adiacenti in un sistema di accumulo di energia elettrica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81405A (ja) 1988-01-08 1989-07-19 Sumitomo Electric Ind Ltd コンデンサバンク
ATE127272T1 (de) * 1990-04-05 1995-09-15 Siemens Matsushita Components Kondensatorbatterie mit niederinduktiver verschaltung.
DE4439278A1 (de) * 1994-11-03 1996-05-09 Siemens Matsushita Components Anschlußelement für elektrische Kondensatoren
DE19722910A1 (de) * 1997-05-31 1998-12-03 Bosch Gmbh Robert Kondensatoranschluß, insbesondere für einen Elektrolyt-Kondensator
DE19725844C1 (de) * 1997-06-18 1998-10-01 Siemens Matsushita Components Aluminium-Elektrolytkondensator mit Klemmverbindung der Anschlußelemente
JP4161589B2 (ja) 2002-02-20 2008-10-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低電圧用コンデンサ
US6983443B2 (en) * 2002-05-22 2006-01-03 Agilent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placing clock drivers in a standard cell block
US6845003B2 (en) * 2002-11-29 2005-01-18 Honda Motor Co., Ltd. Metal collector foil for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method of producing the metal collector foil, and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using the metal collector foil
US7307830B2 (en) * 2003-10-10 2007-12-11 Maxwell Technologies, Inc. Capacitor with battery form factor housing
EP1677322A1 (en) * 2003-10-21 2006-07-05 Asahi Glass Company Ltd.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JP2006313793A (ja) * 2005-05-06 2006-11-16 Asahi Glass Co Ltd 蓄電素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3351B1 (ko) * 2018-08-01 2019-03-04 주식회사 이테스 비용접식 배터리모듈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모듈 조립체
WO2020027447A1 (ko) * 2018-08-01 2020-02-06 주식회사 이테스 비용접식 배터리모듈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모듈 조립체
US11949126B2 (en) 2018-08-01 2024-04-02 E-Tess Co., Ltd. Non-welding type battery module and battery module assembly u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667952B2 (en) 2010-02-23
EP1815486B1 (fr) 2012-03-14
ES2385379T3 (es) 2012-07-24
JP4785863B2 (ja) 2011-10-05
EP1815486A2 (fr) 2007-08-08
WO2006053995A2 (fr) 2006-05-26
DK1815486T3 (da) 2012-07-09
WO2006053995A3 (fr) 2006-11-16
ATE549727T1 (de) 2012-03-15
PL1815486T3 (pl) 2013-03-29
PT1815486E (pt) 2012-06-25
KR101082962B1 (ko) 2011-11-11
US20080002328A1 (en) 2008-01-03
JP2008521382A (ja) 2008-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2962B1 (ko) 축전지간 접속 장치
KR102275029B1 (ko) 축전 장치
DE112013005868B4 (de) Modulares elektrisches Stromverteilungssystem
KR102236799B1 (ko) 축전 장치 및 축전 장치 유닛
DE102010013025A1 (de) Batteri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Batterie mit einer in einem Batteriegehäuse angeordneten Kühlplatte
DE102008059967A1 (de) Batteri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Batterie mit einer in einem Batteriegehäuse angeordneten Wärmeleitplatte
CN106684300B (zh) 一种电连接托盘及包含该电连接托盘的电芯模组结构
CN101107683B (zh) 电容电池之间的连接系统
DE102019217287A1 (de) Batterie -modul und batterie-packung
DE102013109808A1 (de) Batterieanordnung
BR102012004578A2 (pt) Condutor de corrente
DE102013021232A1 (de) Batterie
CN103474848A (zh) 用于联接不同尺寸的母线通道区段的方法及系统
JP6115812B2 (ja) 蓄電装置
JP6086314B2 (ja) 蓄電装置
US20220367980A1 (en) Battery module and electric device
JP6075688B2 (ja) 蓄電装置
US11949199B2 (en) Terminal block and air conditioner
DE102021125167B4 (de) Batteriemodul
CN213878743U (zh) 一种高绝缘度的智能变电柜结构
CN217214413U (zh) 一种干式变压器
CN215452068U (zh) 一种铜排连接结构
DE202010008274U1 (de) Elektrische Verbindung zwischen zwei Busbars aus ebenen Leitern und einer zwischen den Leitern angeordneten Isolationsschicht
DE102013204751A1 (de) Batterieanordnung mit einem Separator, ein Kraftfahrzeug mit der erfindungsgemäßen Batterieanordnung sowie ein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 Batterieanordnung
JP6452402B2 (ja) 蓄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