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1073A - 잉크 리본 카트리지 및 프린터 장치 - Google Patents

잉크 리본 카트리지 및 프린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1073A
KR20070091073A KR1020070019647A KR20070019647A KR20070091073A KR 20070091073 A KR20070091073 A KR 20070091073A KR 1020070019647 A KR1020070019647 A KR 1020070019647A KR 20070019647 A KR20070019647 A KR 20070019647A KR 20070091073 A KR20070091073 A KR 200700910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ribbon
ribbon cartridge
gear
cartridge
chas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9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슈이치 오타
스나오 구시로
아츠시 얀베
히데키 요네오카
고이치 누마타
가즈요시 무라타
히로시 가츠노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91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10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7/00Mechanisms for manipulating page-width impression-transfer material, e.g. carbon paper
    • B41J17/32Detachable carriers or holders f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2/00Ink-ribbon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3/00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feeding ink ribbons or like character-size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33/02Ribbon arrangements
    • B41J33/12Ribbons carried by coaxially-mounted spools

Abstract

잉크 리본과 인쇄 매체를 밀착시켜 가열함으로써 상기 인쇄 매체에 화상을 인쇄하는 프린터 장치에 대해서 탈착가능한 잉크 리본 카트리지. 상기 잉크 리본 카트리지는, 상기 잉크 리본을 감기 위해, 그 사이에 공간을 가지며,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한 쌍의 스풀을 수납하는 한 쌍의 수납부가 설치된 카트리지 본체와, 상기 카트리지 본체의 삽입/분리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양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한 쌍의 가이드부로서,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에 형성되며, 거의 정사각형의 단면부를 가지는 가이드 지지부에 의한 지지를 통해 상기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에 대한 삽입 및 분리를 위한 가이드로서 동작하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잉크 리본 카트리지 및 프린터 장치{Ink ribbon cartridge and printer device}
도 1은, 천판(top plate)을 닫은 프린터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천판을 개방한 프린터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프린터 장치에 장착되는 잉크 리본 카트리지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4는, 프린터 장치에 장착되는 잉크 리본 카트리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잉크 리본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잉크 리본 카트리지의 하부 쉘(shell)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a와 도 7b는, 스풀에 설치된 돌기부의 첨단면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스풀의 지지부, 및 돌기부를 지지하는 지지벽 및 지지편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프린터 장치에 장착되는 잉크 리본 카트리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스풀 락에 의해서 스풀의 회전이 규제되는 잉크 리본 카트리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스풀 락에 의한 스풀의 회전 규제가 해제된 잉크 리본 카트리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잉크 리본 카트리지를 하부로부터 관찰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카트리지 지지 유니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a와 도 14b는, 잉크 리본 카트리지의 형태 판별을 실시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인화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상부 샤시가 윗쪽으로 회전하는 메인 샤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상부 샤시가 닫혀진 메인 샤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베이스 샤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베이스 샤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0은, 상부 샤시가 윗쪽으로 회전된 메인 샤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1은, 상부 샤시의 회전시에 잉크 리본을 꺼내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상부 샤시의 회전시에 잉크 리본을 꺼내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열 헤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4는, 상부 샤시가 윗쪽으로 회전되는 메인샤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5는, 상부 샤시가 닫혀진 메인 샤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6은, 플래튼(platen) 롤러가 하강되는 메인 샤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 다.
도 27은, 플래튼 롤러가 하강된 전환 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8은, 플래튼 롤러가 상승된 메인 샤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9는, 플래튼 롤러가 상승된 전환 기구(switch mechanism)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0a는, 플래튼 롤러와 열 헤드가 서로 멀어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0b는, 플래튼 롤러와 열 헤드가 서로 근접했을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1a와 도 31b는, 전환 기구 및 주행 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2는, 인화지를 공급하는 전송 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3은, 인화지를 공급하는 전송 기구를 나타내는 다른 측면도이다.
도 34는, 인화지를 반송하는 전송 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5는, 인화지를 분리하는 전송 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6은, 인화지가 공급되는 프린터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7은, 인화지가 공급되는 프린터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8은, 프린터 장치의 장치 본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9는, 인화지에 대해서 인화를 실시하는 프린터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0은, 다른 실시예와 관련되는 프린터 장치의 메인 샤시를 나타내는 사시 도이다.
도 41a와 도 41b는, 다른 실시예와 관련되는 프린터 장치의 개폐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2006년 3월 2일 일본 특허청에 제출된 일본특허 JP2006-0(57)011호에 기재된 주제와 관련되며, 그 전체 내용은 참조로서 여기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잉크 리본이 수납된 잉크 리본 카트리지 및, 이 잉크 리본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열 헤드를 이용하여, 잉크 리본의 색재(color material)를 인쇄 매체에 열전사하는 프린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쇄 매체에 화상과 문자를 인쇄하는 프린터 장치로서는, 열전사형의 프린터 장치가 대표적이다. 인쇄 매체에 화상과 문자를 인쇄하는 프린터 장치에서는, 잉크 리본의 한편의 면에 설치된 잉크층을 형성하는 색재를 승화시키고, 인쇄 매체에 색재를 열전사시켜 칼라 화상이나 문자를 인쇄하는 열전사형의 프린터 장치가 있다. 이런 종류의 프린터 장치는, 잉크 리본의 색재를 인쇄 매체에 열전사하는 열 헤드와, 이 열 헤드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잉크 리본 및 인쇄 매체를 지지하는 플래튼(platen)을 갖춘다.
프린터 장치에서는, 잉크 리본이 열 헤드측으로 이동하고, 인쇄 매체가 플래튼측으로 이동하도록, 잉크 리본과 인쇄 매체가 함께 배치된다. 잉크 리본과 인 쇄 매체를 플래튼으로 열 헤드에 가압하면서, 열 헤드와 플래튼 사이에 잉크 리본과 인쇄 매체를 주행시킨다. 이 때에, 프린터 장치는, 열 헤드와 플래튼 사이를 주행하는 잉크 리본에는, 이면측으로부터 잉크층으로 열에너지가 인가된다. 그 열에너지는 색재를 승화시키므로 색재가 인쇄 매체로 열전사된다. 그러므로, 칼라 화상이나 문자를 인쇄한다.
이러한 프린터 장치에서는, 장치 본체내에, 잉크 리본이 감겨진 한 쌍의 스풀이 수납된 잉크 리본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장착부를 갖춘다. 잉크 리본이 수납된 잉크 리본 카트리지는, 스풀의 한쪽에는 미사용의 잉크 리본이 감겨져 있으며, 다른 스풀에는 사용이 끝난 잉크 리본이 감겨진다.그리고 잉크 리본 카트리지는, 프린터 장치에 장착되면, 장치 본체내에 설치된 주행 기구에 의해 조작되므로, 잉크 리본이 한편의 스풀로부터 인출된다. 잉크 리본은 열 헤드에 의한 열전사 공정을 거친 후에, 한편의 스풀에 감겨진다. 참조를 위해, 특허 문헌 1(JP-A-5-309900)과 특허 문헌 2(JP-A-3-197070)를 참조하자.
잉크 리본 카트리지를 교환하는 경우나, 프린터 장치를 처음으로 사용하는 경우, 프린터 장치에 대해서, 잉크 리본 카트리지의 삽입과 분리를 위해 이용되는 구멍이 장치 본체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으면, 장치 본체의 측면에는 카트리지의 삽입과 분리를 위한 공간이 필요하다. 이러한 공간은, 이용자에게 있어서는 프린터 장치의 배치 장소에 제약이 있고 사용하기가 불편하다.
또, 장치 본체의 측면에 대해 잉크 리본 카트리지의 삽입과 분리가 이루어지 므로, 이러한 카트리지의 삽입과 분리에 의해, 잉크 리본 카트리지가 이동하기 위한 영역 또는 카트리지의 삽입 및 분리를 위한 구멍이 설치된 장치 본체의 측면에, 인쇄 매체나 잉크 리본과 같은 전송 기구를 설치하지 못하게 된다. 그러므로, 장치 본체의 소형화를 도모하지 못하고, 또 공간 절약면에서 설계의 자유도(flexibility)가 감소된다. 게다가, 장치 본체의 측면에 대해서 잉크 리본 카트리지의 삽입과 분리가 이루어지므로, 이용자는, 장치 본체의 정면을 향하면서 잉크 리본 카트리지를 측면에 설치된 삽입 및 분리용 구멍으로 삽입할 필요가 있으므로, 카트리지 삽입/분리 조작을 실행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에 대해서 삽입과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잉크 리본 카트리지 및 이 잉크 리본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프린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하면, 잉크 리본과 인쇄 매체를 밀착시켜 가열함으로써 상기 인쇄 매체에 화상을 인쇄하는 프린터 장치에 대해서 탈착가능한 잉크 리본 카트리지가 제공된다. 상기 잉크 리본 카트리지는,상기 잉크 리본을 감기 위해, 그 사이에 공간을 가지며,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한 쌍의 스풀을 수납하는 한 쌍의 수납부가 설치된 카트리지 본체와; 상기 카트리지 본체의 삽입/분리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양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한 쌍의 가이드부로서,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에 형성되며, 거의 정사가형의 단면부를 가지는 가이드 지지부에 의한 지지를 통해 상기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에 대한 삽입 및 분리를 위한 가이드로서 동작하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를 구비한다. 상기 잉크 리본 카트리지에 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 본체의 삽입 및 분리 방향에서 각각 형성되며, 상기 수납부의 아래쪽 면보다 높은 위치에서 팽창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잉크 리본과 인쇄 매체를 밀착시켜 가열함으로써 상기 인쇄 매체에서 화상을 인쇄하는 프린터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프린터 장치는, 전면측으로부터 상기 인쇄 매체를 수납 및 분리하는 베이스 샤시와;상기 베이스 샤시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개폐 가능하게 배치된 상부 샤시와;상기 상부 샤시에 장착되며, 상기 상부 샤시가 윗쪽으로 개방되어 있을 때에, 상기 잉크 리본 카트리지를 상기 전면측으로부터 수납하고 분리하는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와;상기 잉크 리본 카트리지에 수납된 잉크 리본을 주행시키는 주행 기구와;상기 인쇄 매체를 전송하는 전송 기구와;상기 잉크 리본을 가열하여 상기 인쇄 매체에 소정의 화상을 인쇄하는 열 헤드를 구비한다. 상기 프린터 장치에서는, 상기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에, 상기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의 삽입 및 분리 방향내에서 가이드부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잉크 리본 카트리지의 양측면으로부터 팽창하는, 거의 정사각형의 단면적을 가지는 가이드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잉크 리본 카트리지 및 잉크 리본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프린터 장치에 의하면, 잉크 리본 카트리지는,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에 대해서 삽입과 분리가 원만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것은, 잉크 리본 카트리지의 거의 정사각형과 같이 보이는 단면을 가지는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에 형성된 가이드 지지부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아래쪽 면, 측면 및 표면이 지지를 받게 되기 때문이다.
또, 가이드부는, 잉크 리본 카트리지에 형성된 한 쌍의 수납부의 아래쪽 면보다 높은 위치에서 팽창되도록 형성된다. 가이드부의 아래쪽 면은 단면이 거의 정사각형과 같이 보이는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에 의해 지지를 받으므로, 가이드부의 하부에는 프린터 장치측의 구성부품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 공간에 프린터 장치의 구성부품을 배치함으로써, 프린터 장치의 설계의 자유도 향상이나 소형화, 공간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적용된 잉크 리본 카트리지 및 이 잉크 리본 카트리지가 이용되는 프린터 장치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프린터 장치(1)는, 잉크 리본을 수납한 잉크 리본 카트리지(2)가 장착되어 있다. 프린터 장치(1)는, 열 헤드와 이 열 헤드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플래튼 롤러를 포함한다. 열 헤드와 플래튼 롤러와의 사이에는, 잉크 리본과 인화지가 주행되므로, 열 헤드로부터 나오는 열에너지를 잉크 리본이 수신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잉크 리본의 염료를 인화지에 열전사하므로, 인화지에 화상이 인쇄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터 장치(1)에는 실제로 직사각형이 되는 장치 본체(3)가 제공된다. 장치 본체(3)에는 잉크 리본 카트리지(2)가 장착되는 동시에 인화지를 내부 및 외부에 대해서 전송하여 인쇄를 실시한다.
이 프린터 장치(1)에서는, 장치 본체(3)의 전면(3a)에 인화지(4)가 수납된 인화지 트레이(5)가 장착되는 개구부(8)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개구 부(8)에서는, 전면(3a)측에서 장치 본체(3)에 대해서 인화지(4)의 삽입, 분리가 실행된다. 또, 프린터 장치(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장치 본체(3)의 표면(3b)을 구성하는 천판(top plate : 6)을 포함한다. 이 천판(6)이 윗쪽으로 회전되면, 천판(6)과 함께 윗쪽으로 회전되는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가 전면(3a)측으로부터 외부를 향하게 되므로, 전면(3a)측에 대해서 잉크 리본 카트리지(2)의 삽입 및 분리가 실행된다.
그리고, 프린터 장치(1)는, 장치 본체(3)에 설치된 기록 미디어용 슬롯에 장착된 기록 미디어 또는, USB 등을 통해 접속된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각종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 정보를 수신한다. 화상 정보에 근거하여, 열 헤드는 열에너지를 잉크 리본에 인가하며, 인화지 트레이(5)에 수납된 인화지(4)를 전송한다. 이와 같이, 소정의 화상을 인쇄해 나간다.
이러한 프린터 장치(1)는, 전면(3a)에 대해서 인화지(4)의 삽입 및 분리를 허용하는 동시에, 전면(3a)으로부터 잉크 리본 카트리지(2)의 삽입 및 분리를 허용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잉크 리본 카트리지가 장치 본체의 측면에 대해서 삽입 및 분리가 실행되는 프린터 장치에 비해, 장치 본체의 측면 측에 잉크 리본 카트리지(2)의 삽입 및 분리를 위한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고, 프린터 장치(1)의 배치 장소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하고, 이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이용자는, 장치 본체(3)의 정면을 향하면서, 장치 본체(3)의 전면(3a)측에 형성된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에 대해서 잉크 리본 카트리지(2)의 삽입 및 분리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용자들은 삽입 및 분리가 용이해진다.
게다가, 장치 본체의 측면에 대해서 잉크 리본 카트리지의 삽입 및 분리가 실시되는 프린터 장치에 비해, 프린터 장치(1)는, 장치 본체(3)의 측면부에 인화지(4)의 전송 기구(220), 잉크 리본(10)의 주행 기구(210) 등을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잉크 리본 카트리지(2)의 장착과 동시에 열 헤드(140)는 잉크 리본(10)과 마주볼 수 있도록 된다.
이하, 이러한 프린터 장치(1)에 수납되는 잉크 리본 카트리지(2)에 대해 설명되며, 그 다음에, 프린터 장치(1)의 구성에 대해 설명해 나간다.
이 잉크 리본 카트리지(2)는, 인화지(4)에 염료를 열전사함으로써 칼라 인쇄를 실시하는 열전사형의 프린터 장치(1)에 장착된다. 이 잉크 리본 카트리지(2)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화지(4)에 전사되는 염료층이 형성된 잉크 리본(10)이 감겨진 공급측 스풀(11), 잉크 리본 (10)을 감아 꺼내는 권취측 스풀(12)과, 잉크 리본(10)이 감겨진 공급측 스풀(11) 및 권취측 스풀(12)을 수납하는 카트리지 본체(13)를 갖추고 있다.
잉크 리본(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스티렌 필름과 같은 합성 수지 필름이 되는, 기재(base material : 10a)의 한편의 면에, 각 색의 염료와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된 염료층(10b, 10c, 10d) 및 염료층(10b, 10c, 10d)과 동일한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된 보호층 (10e)이 제공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색재(coloring material)는 화상을 형성하는 옐로우(yellow :Y), 진홍색(magenta : M), 시안(cyan : C)이 되며, 염료층(10b, 10c, 10d)과 보호층(10e)은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세로 방향에서 차례차례 반복되어 제공된다. 이와 같이, 기재(10a)는, 세로 방향에서 이러한 순서대로 배치된 염료층(10b, 10c, 10d) 및 보호층(10e)을 포함한다.
염료층(10b, 10c, 10d) 및 보호층(10e)은, 열 헤드(140)에 의해 인쇄되는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열에너지가 인가되면, 후술하는 인화지(4)의 수용층(4b)에 차례차례 열전사 된다.
이러한 잉크 리본(10)은, 옐로우(Y), 진홍색(M), 시안(C)의 염료층(10b, 10c, 10d) 및 보호층(10e)을 이용하여 1매의 화상을 인쇄하는데 이용된다. 잉크 리본(10)은, 일단부가 공급측 스풀(11)에 래치되어 있으며, 타단부가 권취측 스풀(12)에 감겨져 있다. 인쇄가 진행됨에 따라, 차례차례, 잉크 리본(10)이 공급측 스풀(11)로부터 공급되어, 권취측 스풀(12)의해 감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잉크 리본(10)은, 적어도 한 개의 염료층과 보호층을 가지고 있으면, 그 외의 구성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잉크 리본(10)은, 블랙(K)의 염료층과 보호층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는 옐로우(Y), 진홍색(M), 시안(C), 블랙(K)의 염료층과 보호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공급측 스풀(11) 및 권취측 스풀(12)은,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 리본(10)이 감겨지는 축부(14)를 가지며, 이 축부(14)의 양측으로 플랜지부(15, 15)가 형성되어 있다. 공급측 스풀(11)의 축부(14)에는, 잉크 리본(10)의 일단부가 접착제 또는 래칭부재(latching member)에 의해 래치되어 있다. 권취측 스풀(12)의 축부(14)에는, 잉크 리본 (10)의 타단부가 접착제 또는 래칭부 재에 의해서 래치된다. 플랜지부(15, 15)는, 축부(14)에 감겨지는 잉크 리본(10)의 축방향에서 권회 위치(winding position)의 규제를 한다.
또, 공급측 스풀(11) 및 권취측 스풀(12)의 각 축부(14)의 일단부(14 a)에는, 대응하는 플랜지부(15)의 외주에, 축부(14)를 중심으로 하는 지축부(spindle section : 16)를 통해 래칫 기어(ratchet gear : 17)가 형성되어 있다. 래칫 기어(17)는, 후술하는 스풀 락(61)에 래치되어 잇다. 그러므로, 공급측 스풀(11) 및 권취측 스풀(12)의 회전을 규제하는 것과 동시에, 프린터 장치(1)에 장착되면, 프린터 장치(1)에 배치된 잉크 리본 주행 기구(210)와 결합되어 권취측 스풀(12)을 회전시킨다. 또, 플랜지부 (15)의 끝에 설치된 지축부(16)는, 공급측 스풀 수납부(23) 및 권취측 스풀 수납부(24)에 설치된 베어링부(25, 26)에 회전이 자유롭게 되도록 지지를 받는 동시에, 베어링부(25, 26)와 인접해서 설치된 결합벽(abutting wall : 29)과 인접하게 배치된다. 공급측 스풀 수납부(23)는 공급측 스풀(11)을, 권취측 스풀 수납부(24)은 권취측 스풀(12)을 수납한다.
공급측 스풀(11)과 권취측 스풀(12)의 각 축부(14)의 타단부(14b)에는, 대응하는 플랜지부(15)의 끝에 돌기부(18)가 형성되어 있다. 축부(14)의 타단부(14b)에는, 래칫 기어(17)에 의해, 형성된 일단부와 대향하는 단부들이다. 이 돌기부(18)는, 공급측 스풀 수납부(23) 및 권취측 스풀 수납부(24)에 설치된 베어링부(27, 28)에 지지를 받는 동시에, 부세 부재 (biasing member : 20)에 의해 축부(14)의 축방향에서 항상 바이어스된다.
이 부세 부재(20)는, 얇은 금속판을 접어 구부려서 형성되며, 후술하는 카트 리지 본체(13)의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부(31)내에 배치되어 있다. 부세 부재(20)는, 길이가 길게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구부려진 형태이며, 세로 방향의 양단을 공급측 스풀(11) 및 권취측 스풀(12)의 축부(14)측으로 구부러져 있다. 부세 부재(20)의 첨단부가 원호상으로 만곡되어 있으므로, 축부(14)의 돌기부(18)와 인접하게 된다. 부세 부재(20)는, 양단부가 카트리지 본체(13)의 측면과 대응하는 돌기부(18)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그러므로, 항상 돌기부(18)를 축부(14)의 축방향으로 바이어스하게 된다.
여기서, 공급측 스풀(11) 및 권취측 스풀(12)을 지지하는 베어링부 (25-28)는, 각 플랜지부(15, 15)에 대한 구간 보다 약간 긴 구간들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공급측 스풀(11) 및 권취측 스풀(12)은, 플랜지부 (15, 15)가 베어링부(25-28)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면서 부드럽게 회전된다. 공급측 스풀(11) 및 권취측 스풀(12)은, 축방향에서 소음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지만, 부세 부재(20)에 의해서 항상 바이어스되는 돌기부(18)가 축방향으로 바이어스 되므로 이러한 가능성은 제거된다. 즉, 축부(14)의 일단부(14a)에 설치된 지축부(16)의 첨단이 결합벽(29)과 인접되게 할 수 있으므로, 공급측 스풀 수납부(23) 및 권취측 스풀 수납부(24)내에 소음없이 수납된다. 결합벽(29)은, 공급측 스풀(11) 및 권취측 스풀(12)의 래칫 기어(17)측의 지축부(16)와 인접함으로써, 카트리지 본체(13)내에 있어서의 공급측 스풀(11) 및 권취측 스풀(12)을 축방향에서 위치 결정을 할 때의 기준벽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공급측 스풀(11) 및 권취측 스풀(12)에 감겨지는 잉크 리본(10)은, 카트리지 본체(13)내에 있어서의 권회 위치면 에서, 안정되며, 잉크 리본 카트리지(2)가 장착 위치에 있을 때에 고정확도를 가지고 열 헤드(140) 및 플래튼 롤러(155)와 마주보도록 된다.
또, 부세 부재(20)에 인접되는 돌기부(18)는, 결합벽(29)과 인접되는 지축부(16)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 즉, 공급측 스풀(11) 및 권취측 스풀(12)은, 지름이 큰 돌기부(18)의 첨단에서 부세 부재(20)의 바이어스 힘을 받아 지름이 작은 지축부(16)의 첨단에서 결합벽(29)에 대해 가압된다. 이에 의해, 지축부(16)는 결합벽(29)과 저마찰로 접촉되며, 회전 구동에 수반하는 토크 손실과 토크 변동을 저감시키고, 또 소비 전력도 억제할 수 있다.
부세 부재(20)는, 얇은 금속판을 접어 구부려 형성하는 것 외에도, 코일 용수철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 지축부(16)는, 축부(14)를 중심으로 동심원 형태인 원주체(cylindrical body)이며, 결합벽(29)에 인접하는 첨단면(16a)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탄하게 되거나 또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모양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지축부(16)는 첨단면(16a)이 활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결합벽(29)과의 마찰이 작아져서, 부드러운 회전이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공급측 스풀(11) 및 권취측 스풀(12)이 회전이 자유롭게 되도록 카트리지 본체(13)내에 수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본체(13)는, 카트리지 본체(13)의 상부를 구성하는 상부 쉘(shell : 21)과, 회전이 자유로운 공급측 스풀(11) 및 권취측 스풀(12)을 수납하는 하부 쉘(22)을 구비한다. 상부 쉘(21)및 하부 쉘(22)은 결합 기구(30)에 의해서 결합되어 카트리지 본 체(13)가 형성된다.
이 카트리지 본체(13)는, 전체가 거의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세로 방향의 양측면에, 후술하는 프린터 장치(1)의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에대해서 삽입 및 분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31)가 형성되며, 전면부(13a)에는, 프린터 장치 (1)에 대해서 삽입과 분리시에 이용자에 의해서 지지되는 파지부(holding section : 32)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31)는, 카트리지 본체(13)의 양측면을 따라서 평행하게 형성되며, 카트리지 본체(13)의 공급측 스풀 수납부(23) 및 권취측 스풀 수납부(24)가 설치된 아래쪽 면보다 높은 위치에서 측방으로 팽창되어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31)는, 거의 직사각형의 단면과 같이 보이는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에 의해 지지를 받고 있으므로, 프린터 장치(1)에 대한 삽입과 분리가 가이드된다. 이 가이드부(31)는, 아래쪽 면이 거의 직사각형과 같은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에 의해 지지를 받는 것과 동시에, 가이드부(31)의 하부에는 프린터 장치(1)측의 구성부품이 배치 가능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즉, 가이드부(31)는, 카트리지 본체(13)의 아래쪽 면보다 높은 위치에서 측방으로 팽창되어 있기 때문에, 단면이 거의 직사각형과 같은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에 지지를 받으면, 하부에 공간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 공간에는 프린터 장치(1)의 구성부품을 배설할 수 있어 프린터 장치(1)의 설계의 자유도 향상이나 소형화, 공간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가이드부(31)에는, 아래쪽 면에 천설된(punched) 개구부(33)로부터, 후술하 는 스풀 락(61)이 대향하고 있다. 가이드부(31)가,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에 의해 지지를 받으면, 스풀 락(61)이 가압되어 공급측 스풀(11) 및 권취측 스풀(12)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된다(도 12, 도 10 등을 참조).
파지부(32)는, 카트리지 본체(13)의 전면부(13a)의 거의 중앙부에, 팽창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파지부(32)는, 잉크 리본 카트리지(2)를 프린터 장치(1)에 장착하고 분리할 때에, 이용자에 의해서 파지되는 손잡이이며, 전체가 거의 직사각형을 이루며, 카트리지 본체(13)의 아래쪽 면보다 높은 위치에서 전방으로 팽창되어 있다. 이러한 파지부(3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에 이용자의 엄지가 배치되는 오목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34)는, 카트리지 본체(13)의 배면측을 향해 하부로 만곡된 경사면(34a)을 가지며, 이 경사면(34a)에는 미끄럼방지가 되는 볼록부가 카트리지 본체(13)의 세로 방향에서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상부 쉘(21)은, 하부 쉘(22)과 인접되므로 카트리지 본체(13)의 표면 (13b)을 구성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의 직사각형 모양의 쉘 본체에, 상기 파지부(32)의 오목부(34)와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에 삽입될 때에 프린터 장치(1)내에 있어서의 잉크 리본 카트리지(2)의 위치 결정을 실시할 때의 가고정용(temporary positioning) 오목부(35)와 후술하는 하부 쉘(22)에 래치되는 래치 러그(latch lug : 51)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가고정용 오목부 (35)는,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에 설치된 가고정용 볼록부(131)에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을 통해, 잉크 리본 카트리지(2)의 프린터 장치(1)의 장치 본체(3)내에 있어서의 위치를 임시적으로 결정해 두는 것이다. 이에 의해, 잉크 리본 카트리지(2)는, 상부로 회전되는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내에 일시적으로 위치되며,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가 장치 본체(3)내에 회전되므로, 카트리지 본체(13)의 아래쪽 면부(13c)에 설치된 위치 결정구멍(72, 73)에, 장치 본체(3)내에 돌출 된 제 1, 제 2의 위치 결정 볼록부(162, 163)를 삽입하는 처리를 쉽게 할 수 있다.
래치 러그(51)에 대해서는 하부 쉘(22)의 래치구멍(52)과 함께 상술한다.
이러한 상부 쉘(21)과 인접하는 하부 쉘(22)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측 스풀(11)을 수납하는 공급측 스풀 수납부(23)가 권취측 스풀(12)을 수납하는 권취측 스풀 수납부(24)와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다. 각 스풀 수납부(23, 24)는, 단면이 거의 반원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공급측 스풀(11) 및 권취측 스풀(12)이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수납된다.
공급측 스풀 수납부(23)와 권취측 스풀 수납부(24)는, 세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로 단속적으로 복수의 리브(rib : 41)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리브(41)는 공급측 스풀 수납부(23)와 권취측 스풀 수납부(24)의 활 모양의 내주벽을 따라서 설치된 돌기체(protruding body)이다. 리브(41)는, 잉크 리본(10)이 감겨져 있는 공급측 스풀(11) 및 권취측 스풀(12)을 단속적으로 지지한다. 이에 의해, 리브(41)는 잉크 리본(10)을 공급측 스풀 수납부(23)와 권취측 스풀 수납부(24)의 내주벽과의 접촉으로부터 정전기에 의한 힘에 의해서 멀리 떨어지도록 유지한다. 잉크 리본(10) 니 내주벽과 접촉했을 경우에, 리본은 용이하게 박리되 므로, 공급측 스풀 (11) 및 권취측 스풀(12)의 부드러운 회전을 보장하게 된다.
공급측 스풀 수납부(23)는, 세로 방향의 일단에. 공급측 스풀(11)의 지축부(16)를 대응하는 플랜지부(15)의 외측에서 지지하는 베어링부(25)가 설치되며, 세로 방향의 타단에는 공급측 스풀(11)의 돌기부(18)를 대응하는 플랜지부(15)의 외측에서 지지하는 베어링부(27)가 설치되어 있다. 또, 권취측 스풀 수납부(24)는, 세로 방향의 일단에 권취측 스풀(12)의 지축부(16)를 대응하는 플랜지부(15)의 외측에서 지지하는 베어링부(26)가 설치되어 있으며, 세로 방향의 타단에는 권취측 스풀(12)의 돌기부(18)를 대응히는 플랜지부(15)의 외측에서 지지하는 베어링부(28)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베어링부(25-28)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측 스풀 수납부(23) 및 권취측 스풀 수납부(24)의 세로 방향의 양단부에 형성된 지지벽(42)을 상부 표면이 개방된 거의 오목 형태로 노치함으로써(notching) 형성된다. 이러한 베어링부(25-28)는, 각 지축부(16) 및 돌기부(18)의 하부 및 좌우 양측부의 3점을 지지하기 위해 형성된다. 각 베어링부(25-28)에 대해서는, 상부 쉘(21)과 하부 쉘(22)이 접촉할 때에, 지지벽(42)과 이 지지벽(42)과 대응하는 상부 쉘(21)측으로 돌출된 지지편(43-46)과 인접하게 되며, 개방된 상부 표면측이 지지편(43-46)에 의해 닫히게 된다. 결과적으로, 지축부(16) 및 돌기부(18)는, 지지편(43-46)에 의해서 위쪽의 1점에서 지지를 받는다. 따라서, 공급측 스풀(11) 및 권취측 스풀(12)은, 지축부(16) 및 돌기부(18)가, 각 베어링부(25-28) 및 지지편(43-46)에 의해서 모든 방향에서 지지를 받으므로, 공급측 스풀 수납부(23) 혹은 권취측 스풀 수납부 (24)내에서 각각 위치 결정이 된다.
공급측 스풀 수납부(23) 및 권취측 스풀 수납부(24)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측 스풀(11) 및 권취측 스풀(12)의 각 래칫 기어 (17)를 위해 제공되어 카트리지 본체(13)의 아래쪽 면측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대향하는 기어용 개구부(47, 48)가 형성되어 있다. 기어용 개구부 (47)로부터, 공급측 스풀(11)에 형성된 래칫 기어(17)가 관찰되며, 후술하는 상부 샤시(102)에 장착된 연결 부재(135)의 기어부(137)와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을 통해,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의 개방시에, 공급측 스풀 (11)은 잉크 리본(10)의 되감기 방향으로 회전된다. 또, 기어용 개구부 (48)로부터 권취측 스풀(12)에 형성된 래칫 기어(17)가 관찰되며, 잉크 리본 카트리지(2)가 프린터 장치(1)의 인쇄 위치에 전송되어 위치 결정이 되면, 프린터 장치(1)내에 설치된 리본 주행 기구(210)의 잉크 리본 주행 기어(212)에 결합되어, 권취측 스풀(12)이 잉크 리본(10)을 주행시키는 권취 방향으로 회전한다.
공급측 스풀 수납부(23) 및 권취측 스풀 수납부(24)에는, 각각, 상부 쉘(21)및 하부 쉘(22)과 인접하여 형성되며, 잉크 리본(10)의 인출구(pull-out aperture)가 되는 슬릿(49) 및 인입구(bring-in aperture)가 되는 슬릿(50)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잉크 리본(10)은, 공급측 스풀 수납부(23) 및 권취측 스풀 수납부(24)에 걸쳐 연장되도록 설치된다.
상부 쉘(21)과, 하부 쉘(22)의 공급측 스풀 수납부(23) 및 권취측 스풀 수납부(24) 사이에는, 개구부(40a, 40b)(이하, 단지 개구부(40)라고 한다.)가 형성되어 있다는 것을 주목하자. 상부 쉘(21)및 하부 쉘(22)이 인접해 있을 때에, 개구부(40a, 40b)에 의해 구성되는 개구부(40)는, 공급측 스풀 (11)과 권취측 스풀(12)에 걸쳐 배치되므로, 잉크 리본(10)은 외부를 향하게 된다. 여기에서, 잉크 리본(10)은, 공급측 스풀 수납부(23)의 슬릿(49)으로부터 권취측 스풀 수납부(24)의 슬릿(50)으로 연장된다. 개구부(40)는, 또한 프린터 장치(1)의 열 헤드(140)가 진입하여 잉크 리본(10)을 인화지(4)에 대해 가압하는 영역과, 프린터 장치(1)측으로 돌출된 리본 가이드(165)가 진입하여 리본 패스가 형성되는 영역이 된다.
여기서, 상부 쉘(21)과 하부 쉘(22)을 결합시키는 결합 기구(30)에 대해 설명한다. 결합 기구(30)는, 상부 쉘(21)의 측 테두리부로부터 돌출한 래치 러그(51)를 하부 쉘(22)의 측 테두리부에 형성된 래치구멍(52)에 래치시킴으로써, 상부 쉘(21)과 하부 쉘(22)을 결합시키는 것이다. 도 4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쉘(21)에는 래치 러그(51)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즉, 상부 쉘(21)의 전면(21a) 및 배면(21b)에 두 개씩, 그리고, 양측면(21c, 21d)에 각각 한 개씩 형성되어 있다. 각 래치 러그(51)는, 하부로 향하는 거의 직사각형의 본체부(53)와 본체부(53)의 첨단에 설치된 후크부(hook-shaped section : 54)를 가진다. 후크부(54)는, 본체부(53)의 첨단을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54a)을 가지며, 하부 쉘(22)에 형성된 래치구멍(52)과 용이하게 결합 가능하다. 하부 쉘(22)에 형성된 래치구멍(52)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쉘(22)의 전면(22a) 및 배면 (22b)에 각각 두 개씩, 양측면(22c, 22d)에는 각각 한 개씩 형성되어 있다. 각 래치구멍(52)에는, 래치 러그(51)의 후크부(54)가 래치되는 래치벽부 (55)와 후크 부(54)가 삽입되는 개구부(56)를 갖춘다. 상부 쉘(21)이 하부 쉘(22)과 인접할 때에, 후크부(54)가 래치벽부(55)를 슬라이드하도록 이동시키고, 개구부(56)에 삽입되도록 하므로, 래치 러그(51)가 래치벽부(55)에 래치된다.
상부 쉘(21)에는, 전면(21a)의 래치 러그(51, 51) 사이에서 돌출하고 있는 해제 규제편(control release pieces : 57 , 57)이 제공된다. 하부 쉘(22)에는 전면(22a)의 래치구멍(52, 52) 사이에 있으며, 해제 규제편(57, 57)과 인접하는 해제 규제벽(58, 58)이 제공된다. 이러한 해제 규제편 (57) 및 해제 규제벽(58)은, 도 9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본체(13)의 파지부(32)내에 설치되어 있다.
해제 규제편(57)은, 상부 쉘(21)의 전면(21a)측으로 팽창된 파지부 (32)의 세로 방향의 양측에서 하부로 향하고 있다. 상부 쉘(21)이 하부 쉘(22)과 인접하면, 해제 규제편(57)은 하부 쉘(22)측의 파지부(32)내에 삽입된다. 해제 규제벽(58)은, 이러한 해제 규제편(57)에 대응하여, 하부 쉘(22)의 전면(22a)으로 팽창된 파지부(32)의 세로 방향 양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해제 규제벽(58)은, 하부 쉘(22)의 전면(22a)으로 팽창된 전면벽과의 사이에서 해제 규제편(57)이 삽입되는 클리어런스(clearance)를 형성하고 있다.
상부 쉘(21)과 하부 쉘(22)이 인접하고, 각 래치 러그(51)는 후크부(54)가 이동하여 래치구멍(52)의 래치벽부(55)를 슬라이드하면서, 대응하는개구부(56)에 삽입된다. 해제 규제편(57)이 해제 규제벽(58)과 하부 쉘(22)의 전면벽 사이에 삽입된다. 이 때, 래치 러그(51)의 후크부(54)는 각각 경사면(54a)에 의해 형성 되므로, 후크부(54)의 첨단은 래치벽부(55)와 부드럽게 인접된다. 또한, 래치 러그(51)는, 본체부(53)의 형태가 변하는 동안에 슬라이드하면서 이동한다. 후크부(54)가 개구부(56)에 삽입되면본체부(53)의 탄성은 복귀되므로, 후크부(54)와 래치벽부(55)가 확실히 래치된다. 이러한 래칭에 의해, 해제 규제편(57)은, 하부 쉘(21)의 전면벽에 의해 전면측에서 지지를 받는 동시에, 해제 규제벽(58)에 의해 배면측에서 지지를 받게 된다. 그러므로, 상부 쉘(21)이 배면측으로 하강하는 것이 방지된다. 상부 쉘(21)의 전면(21a)에 돌출된 래치 러그(51, 51)는, 하부 쉘(22)의 전면(22a)에 설치된 래치구멍(52, 52)과의 결합이 해제되는 방향인 배면측을 향하여 경사지는 것이 방지되므로, 상부 쉘(21)과 하부 쉘(22)과의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부 쉘(21)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21b)의 래치 러그(51, 51)사이에는, 세로 방향에서 하부 쉘(22)의 배면벽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편(59)이 설치되어 있다. 결합편(59)은, 상부 쉘(21)의 배면(21b)으로부터 하부를 향해 만곡되어 있다. 하부 쉘(22)과 인접하게 되면, 하부 쉘(22)의 배면벽을 가리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에 의해, 결합편 (59)의 전면측은, 하부 쉘(22)의 배면벽측과 인접하므로, 상부 쉘(21)은 전면(21a)측으로 하강하지 않게 된다. 상부 쉘(21)의 배면(22b)으로부터 돌출된 래치 러그(51, 51)는, 하부 쉘(22)의 배면(22b)에 설치된 래치구멍 (52, 52)과의 결합이 해제되는 방향인 전면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되므로, 상부 쉘(21)과 하부 쉘(22)과의 결합이 해제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 기구(30)에서는, 해제 규제편(57) 및 해제 규제벽(58)을 상기 파지부(32)에 제공하는 것이 제한되어 있지 않으며, 상부 쉘(21) 및 하부 쉘(22)의 임의의 장소에 설치해도 좋다. 보기로서, 래치 러그(51) 및 해제 규제편(57)을 하부 쉘(22)에 설치하여도 좋으며, 래치구멍(52) 및 해제 규제벽(58)을 상부 쉘(21)에 설치하여도 괜찮다.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본체(13)를 구성하는 하부 쉘(22)에는, 결합벽(29)이 형성된 일단부 측에, 스풀 락(61)이 제공된다. 스풀 락(61)은,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수납된 공급측 스풀(11) 및 권취측 스풀(12)의 회전을 방지한다. 스풀 락(61)은, 공급측 스풀 수납부(23)와 권취측 스풀 수납부(24)의 사이의 하부 쉘(22)의 일단부 측에 설치된 연결부(62)에 배치되어 있다.
이 스풀 락(61)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62)에 배치된 거의 M자 모양의 탄성 지지부(63)와, 이 탄성 지지부(63)로부터 공급측 스풀 수납부(23)와 권취측 스풀 수납부(24)로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탄성 결합편(64a, 64b)이 제공된다. 탄성 결합편(64a, 64b)은, 상단 측에, 공급측 스풀(11) 및 권취측 스풀(12)의 래칫 기어(17, 17)에 결합하는 돌기 래칫부(latchet portions : 65a, 65b)가 형성된다. 이러한 랫치부(65a, 65b)는, 도 10의 화살표 A방향 및 A와는 반대의 화살표 A방향에서 변위하도록 형성되며, 즉, 탄성 지지부(63)를 기점으로 하여 래칫부(65a, 65b)가 공급측 스풀 (11) 및 권취측 스풀(12)의 래칫 기어(17, 17)에 대해서 결합 또는 해제된다.
탄성 결합편(64a, 64b)은, 하단 측에, 카트리지 본체(13)의 가이드부 (31)의 아래쪽 면에 천설된 개구부(33)로부터 가이드부 (31)의 하부에서 관찰된다. 그러므로,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의 가이드 지지부(125)에 의해서 가압되는 피가압부(66a, 66b)가 형성된다. 피가압부(66a, 66b)는, 가이드 지지부(125)에 가압될 때에, 래칫부(65a, 65b)를 공급측 스풀 (11) 및 권취측 스풀(12)의 래칫 기어(17, 17)와의 결합을 해제하는 방향, 즉, 도 4의 화살표 A방향에서 래칫부(65a, 65b)를 탄성 변위시킨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스풀 락(61)에서는, 하부 쉘(22)의 연결부(62)에 탄성 지지부(63)가 배치되며, 피가압부(66a, 66b)가 카트리지 본체(13)의 가이드부(31)의 아래쪽 면에 천설된 개구부(33)로부터 가이드부(31)의 하부쪽에서 관찰되므로,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의 가이드 지지부(125)에 의해 가압된다. 이 때, 스풀 락(61)은 래칫부(65a, 65b)가 래칫 기어(17, 17)와의 결합을 통해, 공급측 스풀 (11) 및 권취측 스풀(12)의 회전을 방지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스풀 락(61)의 각 래칫부(65a, 65b)는, 스풀(11, 12)의 래칫 기어(17, 17)와 각각 대향하는 면측의 대각선 상부에서 결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스풀 락(61)은, 공급측 스풀(11) 및 권취측 스풀(12)에 대해 잉크 리본(10)의 송출 방향에서의 회전을 규제하고, 권취 방향에서의 회전은 규제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스풀 락(61)은, 잉크 리본 카트리지(2)가 프린터 장치(1)에 장착되어 있지 않더라도, 송출방향에서 잘못 회전하는 스풀(11, 12)에 의해 새깅(sagging) 또는 인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풀 락(61)에서는, 카트리지 본체(13)가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에 장착되면, 가이드부(31)의 아래쪽 면으로부터 외부로 향하는 피가압부(66a, 66b)가 가이드 지지부(125)에 가압된다. 이것은, 가이드부(31)의 아래쪽 면이 가이드 지지부(125)와 접촉하면서 슬리이드하기 때문이다. 이에 의해, 스풀 락(61)에서는, 탄성 지지부(63)에 근거하여, 탄성 결합편(64a, 64b)이 상부쪽으로 변형되므로, 래칫부(65)와 스풀(11, 12)의 래칫 기어(17, 17)와의 결합이 해제된다. 따라서, 스풀 락(61)은, 잉크 리본 카트리지(2)가 프린터 장치(1)에 장착되면, 스풀 (11, 12)이 회전 가능하도록 하여, 잉크 리본(10)의 주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 다음에, 카트리지 본체(13)의 아래쪽 면에 설치되며, 잉크 리본 카트리지(2)의 프린터 장치(1)내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을 도모하는 기준면이 되는 배치면(70)에 대해 설명한다. 배치면(7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본체(13)의 전면부(13a)측에 설치된, 권취측 스풀 수납부(24)의 양단의 아래쪽 면부에 형성된다.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에 삽입된 카트리지 본체(13)가 프린터 장치(1)의 장치 본체(3)내에 전송되면, 배치면(70)은, 장치 본체(3)내에 배치된 카트리지 지지 유니트(160)에 의해 지지를 받아, 잉크 리본 카트리지(2)의 위치 결정을 도모하는 기준면으로 작용한다. 잉크 리본 카트리지(2)에서는, 배치면(70)이 카트리지 지지 유니트(160)에 의해 지지를 받으므로, 잉크 리본(10), 인화지(4) 및 열 헤드(140)가 인화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배치면(70)은, 권취측 스풀 수납부(24)의 일단측의 아래쪽 면부에 형성된 제 1의 배치면(70a)과, 타단측의 아래쪽 면부에 형성된 제 2의 배치 면(70b)을 가진다. 이러한 제 1 및 제 2의 배치면(70a, 70b)에는 각각, 제 1 및 제 2의 위치 결정구멍(72, 73)이 형성된다. 제 1 및 제 2의 위치 결정구멍(72, 73)은, 서로 거의 평행한 평탄면인 주면부(main surface sections : 71)에서 천설된 것이다. 제 1 및 제 2의 위치 결정구멍(72, 73)에는, 도 13에 도시된 장치 본체(3)의 카트리지 지지 유니트(160)로부터 돌출된 한 쌍의 위치 결정 볼록부 (162, 163)가 삽입된다.
제 1의 위치 결정구멍(72)은, 거의 원추형인 위치 결정 볼록부(162)에 따라 거의 원형으로 설치되어 있다. 제 2의 위치 결정구멍(73)은, 일단이 권취측 스풀 수납부(24)의 측벽까지 개방된 긴 구멍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 1 및 제 2의 위치 결정구멍(72, 73)에는, 배치면 (70)이 카트리지 지지 유니트(160)에 의해 지지되므로, 위치 결정 볼록부 (162, 163)가 삽입된다. 제 1 및 제 2의 위치 결정구멍(72, 73)에 대해서는, 제 2의 위치 결정구멍(73)이 긴 구멍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 2의 위치 결정구멍(73)이 제 2의 위치 결정 볼록부(163)와 정확하게 인접하고 있지 않더라도, 이러한 변위는 제 1의 위치 결정구멍(72)에 제 1의 위치 결정 볼록부(162)가 삽입됨으로써 보정된다. 이와 같이, 제 1의 위치 결정구멍(72)을 기준으로 이용하면, 확실히 잉크 리본 카트리지(2)의 장치 본체(3)내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제 2의 위치 결정구멍(73)의 근방에는, 잉크 리본 카트리지(2)의 형태를 식별하기 위한 ID홀(74)이 형성되어 있다. ID홀(ID hole : 74)은, 한 개 도는 복수개가 천공되며, 개방 또는 폐쇄에 대해 검출되므로, 잉크 리본 카트리지(2)의 형태 가 식별된다.
잉크 리본 카트리지(2)의 형태로서는, 예를 들면 잉크 리본(10)의 폭방향의 길이가, 이른바 우편 엽서 크기(폭 100mm정도)의 것이나, 또는 L 크기(폭 89mm 정도)의 것이 있다. 이러한 형태는 ID홀(74)을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기본으로서 사용된다.
이 ID홀(74)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해서, 카트리지 지지 유니트(160)로부터 돌출된 검출 스위치(164)에 의해서 개방 상태가 검출된다. 이 검출 스위치(164)는, ID홀(74)의 천공 위치에 따라 한 개 또는 복수개 형성되며, ID홀(74)이 닫혀 있으면, 검출 스위치(164)는 ID홀(74)의 밀폐부(closed portions)에 의해서 가압된다(도 13 참조). 이에 의해, 프린터 장치(1)는, 검출 스위치(164)의 가압 상태를 판별하고, 잉크 리본 카트리지(2)의 형태를 식별한다. 예를 들면, 프린터 장치(1)는, 우편 엽서 큭의 인화 용지를 인쇄하는 경우, 잉크 리본(10)이 우편 엽서 크기의 인쇄를 실시하는데 적합한 폭을 갖춘 잉크 리본 카트리지(2)가 장착되어 있는 지를, 검출 스위치(164)의 가압 상태를 검출하여 판별한다.
또, ID홀(74)은, 상기 제 2의 위치 결정구멍(73)의 근방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장치 본체(3)내에 있어서 위치 결정된 잉크 리본 카트리지(2)의 ID홀(74)은 검출 스위치(164)와 확실히 대향하도록 확실히 배치되어, 잉크 리본 카트리지(2)의 종류를 판별할 수 있다.
이러한 ID홀(74)은, 도 14a와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A6 크기나 우편 엽서 크기와 같은 폭이 되는 잉크 리본(10W)이 권취측 스풀(12)에 감겨졌을 때의 권회영역의 단부와 겹치는 동시에, L크기를 가지는 잉크 리본 (10W)보다 폭이 좁은 잉크 리본(10N)이 권취측 스풀(12)에 감겨졌을 때의 권회영역의 단부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된다. 한편, ID홀(74)은, 잉크 리본(10W)이 스풀에 감겨져 있는 경우에는, 닫히게 되며, 잉크 리본(10N)이 스풀 주위에 감겨지고 있는 경우에는 개방된다.
즉,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이 넓은 잉크 리본(10W)이 스풀에 감겨지고 있는 경우에는, ID홀(74)이 닫혀있으므로, 잉크 리본(10W)의 단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ID홀(74)이 형성되어 있어도, 권취측 스풀 수납부(24)내에 삽입된 검출 스위치(164)가 잉크 리본(10W)과 접촉하는 일이 결코 없게 된다. 한편, 폭이 좁은 잉크 리본(10N)이 감겨진 경우에는,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ID홀(74)은 잉크 리본(10N)과 대향하는 위치에서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ID홀(74)이 개방되고 검출 스위치(164)가 삽입되어도, 잉크 리본(10N)과 접촉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검출 스위치(164)에 의해 잉크 리본 카트리지(2)의 종류 판별이 가능하다. 즉, ID홀(74)이, 폭이 넓은 잉크 리본(10W)의 권회위치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폭이 좁은 잉크 리본(10N)의 권회위치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배치되지 않는다. 그리고, 한편 폭이 넓은 잉크 리본 (10W)이 감겨지고 있는 경우에는, ID홀(74)이 닫히게 되며, 폭이 좁은 잉크 리본(10N)이 감겨지고 있는 경우에는, ID홀(74)이 개방된다. 이에 의해, 검출 스위치(164)에 의해 잉크 리본 카트리지(2)의 종류 판별이 가능하다. ID홀(74)은 잉크 리본(10)의 권회위치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므로, 카트리지 본체(13)의 공간절약화, 설계의 자유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카트리지 본체(13)의 공간절약화에 따라, ID홀(74)에 대응하는 위치에 검출 스위치(164)가 배치되는 프린터 장치(1)에서도, 장치 본체(3)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잉크 리본 카트리지(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본체(13)의 전면부(13a)에 형성된 파지부(32)가 이용자에 의해서 파지되어, 카트리지 본체(13)의 배면측을 삽입단으로 하여, 도 2의 화살표 X방향에서 프린터 장치(1)에 삽입된다. 이 때, 프린터 장치(1)에서는, 천판(6)이 상부로 회전될 때에,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가 카트리지 삽입/분리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므로, 장치 본체(3)의 전면 (3a)측에 대해서 잉크 리본 카트리지(2)가 삽입 및 분리가 된다. 잉크 리본 카트리지(2)는, 가이드부(31)가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의 가이드 지지부(125)에 의해 가이드 되면서 삽입된다.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에 잉크 리본 카트리지(2)가 장착되면, 카트리지 본체(13)의 표면(13b)에 설치된 가고정용 오목부(35)에,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에 설치된 가고정용 볼록부(131)가 결합된다. 이에 의해, 잉크 리본 카트리지(2)는,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내에서 임시적으로 위치 결정이 된다.
동시에,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의 가이드 지지부(125)는, 하부 쉘(22)의 개구부(33)로부터 돌출한 탄성 결합편(64a, 64b)의 피가압부(66a, 66b)를 가압한다. 그러면, 래칫 기어(17, 17)에 래칫부(65a, 65b)가 결합하고 있는 탄성 결합편(64a, 64b)의 형태는, 탄성 지지부(63)를 기준점으로 하여도 10의 화살표 A의 반대 방향을 향해 탄성 변위한다. 래칫 기어(17, 17)와 래칫부(65a, 65b)사이의 결합 상태가 해제된다. 이에 의해, 공급측 스풀(11) 및 권취측 스풀(12)은, 프린터 장치(1)에 설치된 잉크 리본(10)의 주행 기구 2(10)에 의해서 원활히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에 잉크 리본 카트리지(2)가 삽입되어 프린터 장치(1)의 천판(6)이 닫혀지고, 잉크 리본 카트리지(2)가, 장치 본체(3)내의 인화지(4)에 인쇄를 실시하는 인쇄 위치로 이동되면, 천판(6)에 장착되어 있는 열 헤드(140)가 카트리지 본체(13)의 개구부(40)내에 삽입된다. 이에 의해, 개구부(40)로 연장된 잉크 리본(10)은, 열 헤드(140)와 인접되어 인화지(4)에 대해서 인쇄 가능한 상태로 되며, 잉크 리본 주행로가 되는 리본 경로가 형성된다.
잉크 리본 카트리지(2)가 인쇄 위치로 이동되면, 기어용 개구부(47, 48)로부터 외부로 대향하는 공급측 스풀(11) 및 권취측 스풀(12)의 플랜지부(15)에 형성된 래칫 기어(17)는 주행 기구(210)의 잉크 리본 잉크 리본 주행 기어(212)와 결합된다. 또, 잉크 리본 카트리지(2)는, 카트리지 지지 유니트(160)로부터 돌출한 한 쌍의 위치 결정 볼록부(162, 163)가 삽입된 제 1 및 제 2의 배치면(70a, 70b)에 제공된 제 1 및 제 2의 위치 결정구멍(72, 73)에 의해, 카트리지 본체(13)의 장치 본체(3)내에의 위치 결정된다. 여기서, 카트리지 본체(13)는, 미리 가고정용 오목부(35)가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에 설치된 가고정용 볼록부(131)와 결합되어, 어느 정도 위치 결정이 된다. 그러므로, 제 1 및 제 2의 위치 결정구멍(72, 73)으로 한 쌍의 위치 결정 볼록부(162, 163)가 부드럽게 결합되어 용이하게 위치 결정을 도모할 수 있다. 잉크 리본 카트리지(2)는, ID홀(74)이 카트리지 지지 유 니트(160)로부터 돌출한 검출 스위치(164)와 인접 혹은 그에 삽입되면, 형태가 판별된다.
그 후, 잉크 리본 카트리지(2)에서는, 공급측 스풀(11) 및 권취측 스풀(12)이 프린터 장치(1)의 주행 기구(210)에 의해서 회전되어 잉크 리본 (10)이 주행된다. 카트리지 본체(13)의 개구부(40)로부터 삽입된 열 헤드(140)는, 개구부(40)까지 연장된 잉크 리본(10)에 대해서 열에너지를 인가하여, 후술하는 전송 기구(220)에 의해서 전송되는 인화지(4)로 염료를 열전사 한다. 잉크 리본(10)의 주행시에, 탄성 결합편(64a, 64b)은, 래칫부(65a, 65b)가 래칫 기어(17, 17)와 비결합 상태에 있으므로, 작동음의 발생이 방지되어 있다.
이 잉크 리본 카트리지(2)는, 보관 또는 수송 등의 비사용시와 같이,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결합편(64a, 64b)이 도면의 화살표 A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바이어스되어, 래칫부(65a, 65b)가 래칫 기어(17, 17)에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잉크 리본이 주행되는 도 10의 화살표 B방향에서, 공급측 스풀(11)이, 진동 등에 의해서 회전력이 더해지는 경우를 고찰하자. 이 경우, 래칫 기어(17)에 탄성 결합편(64a)의 래칫부(65a)가 먹혀 들어가는(dig) 방향으로 힘이 더해지므로, B방향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 의해, 미사용의 잉크 리본(10)이, 잉크 리본 카트리지(2)가 미사용일 때에 개구부(40)까지 연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잉크 리본(10)을 감아 꺼내는 방향, 즉, 도 10의 화살표 C방향으로 공급측 스풀(11)을 회전하는 회전력이 인가되면, 탄성 결합편(64a)의 래칫 부(65a)는, 래칫 기어(17)의 상부로 이동하므로, 공급측 스풀(11)은, 도 10의 화살표 C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잉크 리본(10)이 개구부(40)로 가이드되어 느슨해짐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기어용 개구부(47)로부터 관찰되는 공급측 스풀 (11)의 플랜지부(15)를, 도 10의 화살표 C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느슨해진 잉크 리본(10)을 감아 꺼낼 수 있다.
또, 권취측 스풀(12)에, 진동 등에 의해서, 잉크 리본(10)을 감아 꺼내는 도 10의 화살표 D방향의 회전력이 더해졌을 때, 탄성 결합편(64b)의 래칫부(65b)가 래칫 기어(17)의 상부로 이동하므로, 권취측 스풀(12)은, 잉크 리본(10)을 감아 꺼내는 도 10의 화살표 D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권취측 스풀(12)에, 도 10의 화살표 E방향의 회전력이 더해졌을 때에는, 래칫 기어(17)에 탄성 결합편(64b)의 래칫부(65b)가 먹혀들어 가는 방향으로 힘이 더해지므로, E방향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이 끝난 잉크 리본(10)이, 잉크 리본 카트리지(2)가 미사용일 때에, 개구부(40)까지 연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사용이 끝난 잉크 리본 (10)이 개구부(40)까지 가이드되어, 느슨해짐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기어용 개구부(48)로부터 관찰되는 권취측 스풀(12)의 플랜지부(15)를 도 10의 화살표 D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느슨해진 잉크 리본(10)을 감아 꺼낼 수 있다.
즉, 스풀 락(61)은, 공급측 스풀(11)의 잉크 리본(10)을 개구부(40)까지 배송하는 방향 즉, 도 10의 화살표 B방향의 회전을 금지하는 동시에, 권취측 스풀(12)의 잉크 리본(10)의 권회방향과는 반대 방향, 즉 도 10의 화살표 E방향의 회전을 금지하여, 잉크 리본(0)의 느슨함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을 금 지함으로써, 잉크 리본(10)이 느슨해지는 것을 스풀 락(61)은 방지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서, 인화지(4)에 대해 설명한다. 인화지(4)는, 기재(4a)의 한 면에는 수용층(4b)이 형성되며, 기재(4a)의 다른 면에는, 후방층(4c)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기재(4a)는, 펄프등으로 형성된 기지(base paper : 4d)의 양면에 수지층(4e, 4f)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수지층(4e, 4f)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로 만들며, 미크로 보이드(microvoid) 구조를 가지며, 쿠션성(cushion effect)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특히, 수용층(4b)측의 상부의 수지층(4e)은, 기지(4d)와 수용층(4b)을 더욱 밀착시키고, 단열성(thermal insulation)을 향상시키고, 열 헤드(140)로부터의 열 트래킹을 향상시킨다. 또, 수지층(4e, 4f)은, 열 헤드(140)와 더욱 우수한 접촉을 하도록 작용한다. 또, 특히, 수용층(4b) 및 수지층(4e)은,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며, 열 헤드(140)로부터 나오는 열에너지에 의해서, 열변형되는 동시에, 열 헤드(140)에 의해 인가되는 소정의 압력에 의해 무너져 쿠션성을 잃는 특성을 가진다.
수용층(4b)은, 두께가 1μm-10μm정도이며, 잉크 리본(10)으로부터 전사되는 염료를 수용하고, 수용한 염료를 보관 유지하는 층이며,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스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염화비닐과 같은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후방층(4c)은, 인화지(4)가 안정적으로 주행할 수 있도록, 캡스탠 롤러(225)와 플래튼 롤러(155))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킨다. 인화지(4)는, 수용층(4b)과 수지층(4e)을 가지고 있으면, 그 외의 구성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다음에, 잉크 리본 카트리지(2)에 장착되는 프린터 장치(1)와 인화지(4)에 화상을 인쇄하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터 장치(1)는, 거의 직사각형 모양의 장치 본체(3)를 갖추며, 이 장치 본체(3)의 표면(3b)을 구성하는 천판(6)이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장치 본체(3)내에는, 메인 샤시(100)가 배치되어 있다. 메인 샤시(100)는,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샤시(101)와 천판(6)이 제공되며, 상부 샤시(102)는 천판(6)에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샤시(102)는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베이스 샤시(101)에 부착되어 있다.
또, 장치 본체(3)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3b)을 구성하는 천판(6)에는, 프린터 장치(1)의 조작 패널(104) 및 인쇄 화상 등을 표시하는 LCD 패널(105)이 설치되어 있다. 천판(6)에는, 후술하는 상부 샤시(102)에 부착되며, 이 상부 샤시(102)와 접속된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장치 본체(3)에는, 전면(3a)상에서, 인화지(4)가 수납된 인화지 트레이(5)가 장착되는 개구부(8)와, 각종 기록 미디어가 장착되는 기록 미디어용 슬롯(106)과, 천판(6)을 윗쪽으로 회전시키는 오픈 버튼(107)이 설치되어 있다. 개구부(8)는, 셔터(108)에 의해 개폐가 자유롭게 되도록 구성되며, 셔터(108)가 개방되면, 인화지 트레이(5)가 장착된다.
프린터 장치(1)는, 다음과 같이 인쇄 동작을 준비한다. 즉, 개구부(8)로부터 인화지 트레이가 장착되며, 오픈 버튼(107)이 조작되어 천판(6)이 윗쪽으로 회 전된다. 그러면, 전면(3a)측과 대향하도록 구성된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에 잉크 리본 카트리지(2)가 장착되어, 천판(6)이 장치 본체(3)측으로 이송된다. 프린터 장치(1)는, 인쇄 화상의 선택이나, 크기, 매수의 설정, 인쇄 개시, 정지와 같은 각종 조작을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조작들은 기록 미디어에 기록된 화상이나, USB 등을 통해 접속된 메모리 장치나 디지털 스틸 카메라와 같은 각종 기록 장치에 기록된 화상 즉, LCD 패널(105)에 표시된 화상을 가지고, 조작 패널(104)의 조작을 통해 실행된다.
그 다음에, 이러한 프린터 장치(1)의 장치 본체(3)내에 배치된 메인 샤시(100)에 대해 설명한다. 메인 샤시(100)에는,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샤시(101)와 상부 샤시(102)가 제공된다. 베이스 샤시(101)에는,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의 전송을 통해 잉크 리본 카트리지(2)가 배치되는 동시에, 잉크 리본(10)의 주행 기구(210)와 인화지(4)의 전송 기구(220)가 설치되며, 상부 샤시(102)에는,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 및 열 헤드(140)를 갖추는 동시에, 천판(6)으로 접속되며, 베이스 샤시(101)에 대해서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베이스 샤시(101)는, 도 18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면 (main surface : 110), 좌우 측벽(111, 112), 전면벽(113) 및 배면벽(114)에 의해 구성되며, 상부 표면측이 개방된 거의 상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베이스 샤시(101)에는, 전면벽(113)측에 인화지 트레이(5)가 장착되는 동시에, 상부 표면측으로부터 잉크 리본 카트리지(2)가 장착된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가 전송된 다. 베이스 샤시(101)는, 인화지(4)를 장치 본체(3)의 전면(3a)측으로부터 배면(3c)측으로 전송하는 전송 기구(220), 잉크 리본 카트리지(2)에 수납된 권취측 스풀(12)을 회전시킴으로써 잉크 리본(10)을 주행시키는 주행 기구(210), 주면(110)상에 상하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플래튼 롤러(155))와 상부 샤시(102)에 장착된 열 헤드(140)사이의 상대 적인 위치를 변화시키는 전환 기구(190)와, 주면(110)상에 배치되어 잉크 리본 카트리지(2)의 개구부(40)에 진입하여, 잉크 리본(10)의 주행로를 형성하는 카트리지 지지 유니트(160)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 상부 샤시(102)는, 거의 판 모양으로 형성되며, 베이스 샤시 (101)의 내부에 임하는 이면(102a)측에 열 헤드(140) 및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가 설치되어 있다. 이 상부 샤시(102)는, 배면측의 양단부에서, 베이스 샤시(101)의 좌우 측벽(111, 112)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를 받는 동시에, 상부 샤시(102)는 항상, 래치된 트위스트 코일 용수철(116)의 일단이 래치되어 장치 본체(3)의 전면(3a)측에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가 임하는 방향, 즉 윗쪽으로 회전하도록 바이어스된다(도 16참조). 트위스트 코일 용수철(116)의 타단은 베이스 샤시(101)의 배면측(114)에 래치되어 있다. 상기 오픈 버튼(107)이 조작되면, 상부 샤시(102)는 트위스트 코일 용수철(116)의 바이어스 힘을 받아, 천판(6)과 함께 장치 본체(3)의 윗쪽으로 회전된다.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도, 역시 베이스 샤시의 좌우 측벽(111, 112)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를 받고, 상부 샤시(102)의 이면(102a)으로부터 돌출된 연결 부재(135)에 의해 래치되어 있다. 이러한 래칭과 지지에 의해,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는, 상부 샤시(102)의 회전과 동기하여 윗쪽으로 회전되며, 장치 본체(3)의 전면으로부터 외부로 향하게 된다.
즉, 이 프린터 장치(1)에서는, 장치 본체(3) 또는 베이스 샤시(101)에 대해서 천판(6), 상부 샤시(102) 및 상부 샤시(102)에 접속된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의 3개의 부재가 윗쪽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부 샤시(102)를 통해 드위스트 코일 용수철(116)의 바이어스 힘을 받아, 상부 회전을 위해 바이어스가 인가된다. 또, 프린터 장치(1)에서는, 상부 샤시(102)가 베이스 샤시(101)에 래치되어, 상부 샤시(102), 천판(6) 및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가 베이스 샤시(101)를 밀폐하는 방향에서 보관 유지를 위해 하부 방향으로 회전된다.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는, 장치 본체(3)의 윗쪽으로 회전되면, 잉크 리본 카트리지(2)가 삽입 및 분리가 이루어지는 삽입/분리 위치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이동된 후에, 잉크 리본 카트리지(2)가 잉크 리본 (10)과 열 헤드(140)가 대향되는 인쇄 위치로 전송되도록,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가 장치 본체내부에서 회전된다.
구체적으로,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샤시(101)는, 좌우 측벽(111 , 112)의 배면 측에서 트위스트 코일 용수철(116)이 삽입되며, 이러한 베이스 샤시(101)로부터, 상부 샤시(102)와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가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를 하는 지지 돌기부(117, 117)가 돌출되어 있다.
이 지지 돌기부(117)에 지지를 받는 상부 샤시(102)는, 거의 직사각형의 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샤시(101)측을 향 해 돌출하는 열 헤드(140)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부 샤시(102)에는, 전면측에, 트위스트 코일 용수철(116)의 바이어스 힘에 대향하여 베이스 샤시(101)에 래치되는 제 1의 래치 돌기부(118)가 형성되어 있으며, 좌우 양측면에는, 후술하는 전환 기구(190)의 래치편(201)에 래치되는 제 2의 래치 돌기부(119)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샤시(102)에는, 좌우 양측면에, 베이스 샤시(101)의 좌우 측벽 (111, 112)의 지지 돌기부(117, 117)의 근방에 설치된 회전 규제편(120, 120)에 래치되는 래치편(121, 121)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샤시(102)는, 이 래치편(121, 121)이 회전 규제편(120, 120)에 래치되면, 베이스 샤시 (101)에 대한 회전 영역이 규제된다. 상부 샤시(102)의 회전 영역이 규제되는 것에 따라, 상부 샤시(102)와 함께 회전되는 천판(6) 및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의 회전 영역도 규제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부 샤시(102)의 회전 영역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샤시(101)에 대해서 예각에서 개방되도록 규제된다. 이것에 의해 상부 샤시(102)와 함께 회전되는 천판(6) 및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도 베이스 샤시(101)에 대해서 예각에서 개방되게 된다. 이 때,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는, 프린터 장치(1)의 장치 본체(3)의 전면(3a)측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대향해 있는 잉크 리본 카트리지(2)의 삽입/분리 위치로 전송된다. 이와 같이, 삽입/분리 위치로 전송된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는, 장치 본체(3)에 대해서 예각에서 개방되어 전면(3a)측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대향하므로, 잉크 리본 카트리지(2)의 삽입과 분리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부 샤시(102)가 베이스 샤시(101)를 밀 폐하는(closing) 위치까지 회전되면,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는, 장착된 잉크 리본 카트리지(2)를, 잉크 리본(10)이 열 헤드(140) 및 인화지(4)와 대향하는 인쇄 위치로 전송한다.
이 상부 샤시(102)에 결합되는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는, 금속판을 접어 구부려 형성되며, 상술한 잉크 리본 카트리지(2)의 양측면에 형성된 가이드부(31)를 지지하는 한 쌍의 가이드 지지부(125, 125)와 가이드 지지부(125, 125)사이에 걸쳐 있는 연결부(126)와, 가이드 지지부(125, 125)로부터 배면측으로 연장하여 설치되며, 베이스 샤시(101)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를 받는 지지편부(127, 127)를 갖춘다.
가이드 지지부(125)는, 잉크 리본 카트리지(2)의 양측면으로부터 팽창된 가이드부(31)를 지지하여, 잉크 리본 카트리지(2)의 삽입과 분리를 가이드하도록 제공되며, 카트리지 본체(13)를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내 에 보관 유지하는 것이다. 이 가이드 지지부(125)는, 각각 거의 정사각형과 같은 단면을 가지도록 어 자형에 형성되며, 가이드부(31)의 아래쪽 면, 측면 및 표면을 지지하면서 잉크 리본 카트리지(2)가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내에 진입하는 것을 가이드한다. 가이드 지지부(125)는, 아래쪽 면이 가이드부(31)의 아래쪽 면을 수납하는 수납부(125a)가 된다. 수납부(125a)는, 장치 본체(3)의 전면측 단부가 상부 표면(125b)보다 전방으로 배치되어 하부로 구부러지도록, 즉, 대응하는 가이드부(31)를 용이하게 수납하도록 구성된다. 가이드 지지부(125)에서는, 측면(125c)의 배면측 단부가 가이드부(31)의 진입 영역까지 구부러지며,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 더(7)의 안쪽까지 진입된 후에는, 잉크 리본 카트리지(2)의 가이드부(31)가 인접하게 된다.
이러한 가이드 지지부(125)는, 한 쌍의 가이드 지지부(125, 125)에 설치된 수납부(125a, 125a)간의 간격, 즉 측면(125c, 125c)간의 거리가, 카트리지 본체(13)의 가이드부(31, 31)의 사이의 거리와 거의 같거나 또는 약간 길게 설치되어 있다. 즉, 수납부(125a, 125a)간의 거리가 가이드부 (31, 31)간의 거리보다 짧으면, 카트리지 본체(13)를 진입시키지 못하기 때문이다. 수납부(125a, 125a)간의 거리가 가이드부(31, 31)간의 거리보다 길면, 카트리지 본체(13)는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내에서 래틀(rattle : 덜컹거림)을 발생시킨다. 수납부(125a)의 폭은 가이드부(31)의 폭보다 거의 같거나 도는 약간 짧게 설치되어 있다. 즉, 수납부(125a)의 폭이 가이드부(31)의 폭보다 길면, 가이드부(31)와 가이드 지지부(125)의 측면 (125c)과의 사이가 너무 커지며, 수납부(125a)의 폭이 가이드부(31)의 폭보다 너무 짧으면, 카트리지 본체(13)를 확실히 보관 유지하지 못하고, 가이드부(31)의 아래쪽 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피가압부(66)를 가압할 수 없기 때문이다.
가이드 지지부(125)가, 잉크 리본 카트리지(2)를 지지하면, 수납부 (125a)가 가이드부(31)의 아래쪽 면에 형성된 개구부(33)로부터 돌출된 스풀 락(61)의 피가압부(66)를 가압하게 된다(도 11참조). 따라서,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에 장착된 잉크 리본 카트리지(2)에서는, 공급측 스풀(11)및 권취측 스풀(12)이 회전된다.
가이드 지지부(125)는, 측면(125c)에, 베이스 샤시(101)의 좌우 양측벽(111, 112)에 래치되어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의 회전 영역을 규제하는 래치 돌기부(128)가 설치되어 있다. 래치 돌기부(128)는, 베이스 샤시(101)의 좌우 양측벽(111, 112)에 상하 방향에서 개방되도록 형성된 긴 구멍(129)이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래치 돌기부(128)는,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가 상부 샤시(102)와 함께 베이스 샤시(101)에 대해서 윗쪽으로 회전되면, 긴 구멍(129)의 상단에서 래치된다. 이것에 의해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는, 베이스 샤시(101)에 대해서 예각에서 회전된 후의 위치에서 회전이 규제되며, 장치 본체(3)의 전면(3a)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대향하는 삽입/분리 위치에서 중단된다.
한 쌍의 가이드 지지부(125, 125)에 배치된 연결부(126)는,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의 상부 표면을 구성하며, 중앙부에 상부 샤시(102)에 설치된 열 헤드(140)의 삽입을 위한 헤드용 개구부(130)가 설치되어 있다. 연결부(126)에는, 헤드용 개구부(130)보다 장치 본체(3)의 배면측에 대해 더욱 인접하며, 카트리지 본체(13)의 상부 표면(13b)에 설치된 가고정용 오목부(35)에 결합하는 가고정용 볼록부(131)가 형성되어 있다(도 24, 도 37 등 참조).
가고정용 볼록부(131)는, 가고정용 오목부(35)로 결합하여, 잉크 리본 카트리지(2)의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내에 있어서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다. 카트리지 본체(13)가, 가이드 지지부(125, 125)에 가이드 되면서, 가이드부(31)가 가이드 지지부(125)의 측면(125c)의 절곡부(bent portions)와 인접하게 되는 위치까지 진입되면, 가고정용 볼록부(131)는, 가고정용 오목부(35)와 결합된다. 이 에 의해 잉크 리본 카트리지(2)는, 장치 본체(3)내에 전송되었을 때, 카트리지 본체(13)의 아래쪽 면부(13c)에 설치된 제 1과 제 2의 위치 결정구멍(72, 73)으로, 제 1과 제 2의 위치 결정 볼록부(162, 163)가 용이하게 이동된다. 제 1과 제 2의 위치 결정 볼록부(162, 163)는, 장치 본체(3)내에 있어서의 잉크 리본 카트리지(2)의 위치 결정을 도모하는 데에 이용된다. 잉크 리본 카트리지(2)에 가고정용 볼록부를 형성하고,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의 연결부(126)에 가고정용 오목부를 형성하면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연결부(126)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용 개구부(130)보다 장치 본체(3)의 전면(3a)측으로 더욱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부 샤시(102)로부터 돌출된 열 헤드(140)를 가리는 보호판(132)이 설치되어 있다. 보호판(132)은, 열 헤드(140)에 대해 잘못 접촉하는 것, 즉 손상으로부터 이용자를 보호하며, 열 헤드(140)가 더럽게 되는 것으로부터 방지한다. 이것은, 상부 샤시(102) 및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가 장치 본체(3)의 윗쪽으로 회전되면, 전면(3a)측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천판 (6)의 개방시에, 상부 샤시(102)로부터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측으로 쳐지는 열 헤드(140)가 노출되기 때문이다.
이 보호판(132)은, 직사각형 판 모양으로 형성되며, 세로 방향의 양단부가 가이드 지지부(125)의 양측면(125c, 125c)에 의해 지지를 받는다. 이러한 지지에 의해, 연결부(126)상에서는, 양측면(125c, 125c)의 지지부 (132a)를 회전 기점으로 하여, 배면측의 측면부(132b)가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또 보호판(132)은, 연결부(126)를 가압하여, 수직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가압편(133)이 형성되어 있다. 가압편(133)은, 보호판(132)의 주면을 길게 노칭하고 아래쪽으로 구부러지게 함으로써, 가효성(flexibility)을 가지며, 이러한 가효성에 의해, 연결부(126)에 대해서 보호판(132)을 윗쪽으로 가압한다.
도 2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샤시(102)가 윗쪽으로 회전되면, 가압편(133)이 연결부(126)를 가압하는 동시에, 배면측의 측면부(132b)가 윗쪽으로 이동하는 열 헤드(140)에 접촉되어 보호판(132)은, 윗쪽으로 회전된다. 이에 의해, 보호판(132)은, 열 헤드(140)를 전면(3a)으로부터 가리며, 이용자의 눈에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프린터 장치(1)는, 상부 샤시(102)의 개방시에, 이용자의 손상과 사고 등, 즉 열 헤드(140)를 이용자가 우연히 접촉하지 않도록 방지한다.
상부 샤시(102)가 베이스 샤시(101)를 밀폐하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판(132)은, 상부 샤시(102)에 열 헤드(140) 설치용 개구부 (153)의 측 테두리와 접촉되어, 가압편(133)의 가압력에 대향하면서, 연결부(126)을 향해 회전된다. 이 때,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가, 반대 방향, 즉 상부 샤시(102)와 보호판(132)의 주면에 대해서 바이어스되도록,가압편(133)의 가압력에 대향하면서, 베이스 샤시(101)의 주면과 인접한다.가이드 지지부(125, 125)로부터 배면측으로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고, 베이스 샤시(101)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를 받는 지지편부(127, 127)는, 배면측의 단부에서 베이스 샤시(101)의 좌우 양측벽(111, 112)으로부터 돌출된 지지 돌기부(117, 117)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를 받는 지지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는 동시에, 아래 쪽면에 상부 샤시(102)와 연 결되는 연결 부재(135)가 래치된다.
상부 샤시(102)와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 (135)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가 활모양으로 만곡된 수지 부재이다. 연결 부재 (135)의 한 변은 상부 샤시(102)에 접속되며, 장치 본체(3)의 배면측으로 만곡한 암부(arm portion : 135a)가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다. 암부(135a)로부터는,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의 지지편부 (127)를 래치하기 위해 윗쪽에 회전시키는 회전 돌기부(136)가 돌출되어 있다. 회전 돌기부(136)는, 암부(135a)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부 샤시(102)가 윗쪽으로 회전되면,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의 지지편부 (127)의 하부로부터 인접된다. 이에 의해 연결 부재(135)는,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를 상부 샤시(102)에 연결시키고, 상부 샤시(102)의 회전에 따라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를 윗쪽으로 회전시킨다.
상술한 것처럼, 상부 샤시(102)는, 래치편(121)이 베이스 샤시(101)에 형성된 회전 규제편(120)에 래치됨으로써, 회전이 규제된다. 또한,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는, 가이드 지지부(125)의 측면(125c)에 설치된 래치 돌기부(128)를 베이스 샤시(101)의 좌우 양측벽(111, 112)에 설치된 긴 구멍(129)에 의해 래치시킴으로써, 회전이 규제된다. 이러한 래칭에 의해, 잉크 리본 카트리지(2)의 삽입 및 분리 위치에서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는 제지된다. 상부 샤시(102)와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에 대해서는, 상부 샤시(102)의 회전량이 더욱 크다. 연결 부재(135)의 회전 돌기부(136)는, 상부 샤시(102)가 베이스 샤시(101)를 밀폐하는 위치로부터 윗쪽으로 어느 정도 회전된 후에, 지지편부(127)에 래치하 여,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를 회전시킨다.
즉, 상부 샤시(102)는, 베이스 샤시(101)와의 결합이 해제되면, 소정량만큼 회전하고, 그 도중에 연결 부재(135)의 회전 돌기부(136)가 지지편부(127)의 아래쪽 면에 래치되어,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와 연결된다.따라서, 상부 샤시(102)는,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에 대해서 먼저 회전하므로, 회전 가능 영역까지 회전되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샤시(102)와 베이스 샤시(101)의 사이에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가 위치된다.
상부 샤시(102)는, 윗쪽으로부터 베이스 샤시(101)측으로 회전되면,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도 함께 하부로 회전된다.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가 장치 본체(3)내의 인쇄 위치까지 회전되면, 단지 상부 샤시 (102)만이 베이스 샤시(101)를 밀폐할 때까지 하부를 향해 회전된다.
연결 부재(135)의 암부(135a)에 기어부(137)가 형성되어 있다. 기어부(137)는, 베이스 샤시(101)내에 설치된 권취 기어(138)를 통해,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내에 장착된 잉크 리본 카트리지(2)의 기어용 개구부 (47)로부터 관찰되는 공급측 스풀(11)의 래칫 기어(17)와 결합하며, 잉크 리본 카트리지(2)가 인출될 때에, 잉크 리본(10)의 느슨해짐을 제거한다. 이러한 느슨함은, 상부 샤시(102)가 윗쪽으로 회전할 때에, 공급측 스풀(11)을 잉크 리본(10)이 되감기는 방향, 즉 도 21의 화살표 C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발생된다.
즉, 상술한 것처럼,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는, 잉크 리본 카트리지(2)를 인쇄 위치로부터 삽입 및 분리 위치에 도달하기까지 회전시킬 때에, 먼자 어느 정도 윗쪽으로 회전한 후, 회전 돌기부(136)가 지지편부 (127)에 래치된다. 이 때, 연결 부재(135)의 암부(135a)에 형성된 기어부(137)는, 권취 기어(138)를 통해 잉크 리본 카트리지(2)의 기어용 개구부 (47)로부터 관찰되는 공급측 스풀(11)의 래칫 기어(17)와 결합하며, 이러한 결합을 통해, 공급측 스풀(11)을 잉크 리본(10)의 되감기 방향에서 회전시킨다.
구체적으로, 기어부(137)가 윗쪽으로 회전되면, 베이스 샤시(101)내에 배치되어 있는 권취 기어(138)의 소경 기어(small-diameter gear:138a)가 기어부(137)와 결합되어 도 22의 화살표 G방향에서 회전된다. 그러면, 소경 기어(138a)와 함께 회전되는 대경 기어(a large-diameter gear: 138b)는 동일 방향에서 회전되며, 이 대경 기어(138b)와 결합되어 있는 래칫 기어(17)는, 잉크 리본(10)을 되감는 도 21의 화살표 C방향에서 회전된다. 이 때, 잉크 리본 카트리지(2)의 개구부(40)내에 진입하고, 잉크 리본(10)을 꺼내 리본 패스(ribbon path)를 형성하고 있던 열 헤드(140), 헤드 커버(148), 커버 부재(149)는, 상부 샤시(102)가 윗쪽으로 회전하면, 개구부(40)로부터 멀리 이동된다.
따라서,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에 대해서 착탈시킬 때, 잉크 리본 카트리지(2)는, 상부 샤시(102)를 개방하면,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인출된, 잉크 리본(10)이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즉시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상부 샤시(102)로부터 베이스 샤시(101)측으로 돌출된 열 헤드(140) 에 대해 설명한다. 이 열 헤드(140)에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색재를 열전사할 때 에, 열을 방열하는 방열 부재(141)와 잉크 리본(10)에 대해서 열에너지를 인가하는 헤드부(143)를 갖춘다.
방열 부재(141)는, 색재를 열전사할 때에 헤드부(143)로부터 발생한 열에너지를 방열한다. 이 방열 부재(141)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등의 높은 열전도성을 가지는 재료로 구성된다.
방열 부재(141)상에 설치되는 헤드부(143)는, 유리층, 유리층상에 설치되는 발열 저항체와, 이 발열 저항체의 양측에 설치되는 전원용 및 신호용의 한 쌍의 전극과, 발열 저항체상 및 발열 저항체의 주위에 설치되는 저항체 보호층을 갖추며, 각 전극은 헤드부(143)의 세로 방향에서 적은 간격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다. 헤드부(143)에는, 잉크 리본(10)과 대향하는 외측의 면에 거의 원호 형태의 돌기부(146)가 형성되며, 발열 저항체의 열에너지를 이 돌기부(146)로부터 잉크 리본(10)에 인가한다. 열 헤드(140)는, 헤드부(143)에 거의 원호 형태의 돌기부(146)를 형성함으로써, 잉크 리본(10)을 가열할 때에 잉크 리본(10)에 부드럽게 인접하게 된다.
이러한 열 헤드(140)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샤시(102)가 베이스 샤시(101)를 밀폐하면, 헤드부(143)의 돌기부(146)가 잉크 리본 (10)을 통해 베이스 샤시(101)내에 배치된 플래튼 롤러(155)와 대향하게 된다. 열 헤드(140)는, 인화지(4) 및 잉크 리본(10)이 헤드부(143)의 세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전송된 후에, 발열 저항체에 의해서 잉크 리본 (10)을 가열하고, 옐로우(Y), 진홍색(M), 시안(C)의 각 색의 염료를 인화지 (4)의 수용층(4b)에 차례차례 열전사해 나간다.
이 열 헤드(140)에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 헤드(140)가 잉크 리본 카트리지(2)의 개구부(40)에 삽입되면, 개구부(40)로 연장되어 설치된 잉크 리본(10)의 주행로가 되는 리본 패스를 형성하는 헤드 커버 (148)가 설치되어 있다. 헤드 커버(148)는, 세로 방향의 길이가 열 헤드 (140)의 세로 방향의 길이와 거의 동일한 합성 수지로 된 거의 직사각형 판형이다. 열 헤드(140)와 헤드 커버(148)를 세로 방향으로 정렬함으로써, 한편의 주면이 배면측으로부터 장착되어 있다. 헤드 커버(148)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 쪽면은, 첨단면이 배면측으로 향하도록 거의 L자 모양으로 만곡되어 있다. 그러므로, 첨단면이 활 모양으로 형성된 가이드부(148a)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148a)는, 열 헤드(140)의 헤드부 (143)와 거의 평행한 위치에 설치되며, 잉크 리본(10)을 헤드부(143)와 거의 평행한 방향에서 주행하도록 가이드 하는 것이다.
이러한 헤드 커버(148)는,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샤시 (102)가 베이스 샤시(101)를 밀폐하면, 열 헤드(140)와 함께 잉크 리본 카트리지(2)의 개구부(40)내에 진입된다. 이 때, 이와 같이 헤드 커버(148)가 진입하면, 가이드부(148a)는 개구부(40)에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는 잉크 리본(10)을 가압하여 리본 패스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헤드 커버 (148)는, 열 헤드(140)와 대향하는 플래튼 롤러(155)의 방향에 대해서 거의 직교하는 방향에서 잉크 리본(10)이 진행하도록 가이드한다. 이것은, 개구부(40)에의 진입단(entrance end)이 되는 가이드부(148a)가, 공급측 스풀 수납부(23) 및 권취측 스풀 수납부(24)에 걸쳐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는 잉크 리본(10)을 가압함으로써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프린터 장치(1)에 대해서는, 잉크 리본(10) 및 인화지(4)가 장치 본체(3)의 배면측으로부터 전면측으로 전송될 때에 열 헤드(140)에 의해서 가열된다. 따라서, 인쇄 동작전에, 잉크 리본(10)은, 플래튼 롤러(155) 및 열 헤드(140)가 대향하는 방향에 대해서 거의 직교하는 방향에서 주행하는 인화지(4)에 대해서 평행이 되도록 배치된다. 이에 의해, 잉크 리본(10)은 프린터 장치(1)가 인화 특성을 양호하게 가질 수 있도록, 인화지(4)에 잉크 리본(10)을 밀찰 시킬 수 있게 된다.
열 헤드(14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측에도 합성 수지제의 커버 부재(149)가 장착되어 있다. 커버 부재(149)는, 아래 쪽면이 거의 활 모양으로 형성되어 헤드 커버(148)와 비슷하며, 열 헤드(140)의 헤드부(143)와 거의 평행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 커버 부재(149)는, 열 헤드(140)의 상부를 지나는 잉크 리본(10)과 슬라이드 되도록 접촉되며, 후술하는 리본 가이드(165)에 의해서 권취측 스풀(12)에 가이드 된다. 커버 부재(149)는,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에 설치된 보호판(132)의 배면측의 측면부(132b)와 인접되어, 열 헤드(140)가 전면(3a)측으로부터 덮이게 된다.
열 헤드(140)는, 커버 부재(149)의 세로 방향의 양단부에는, 플래튼 롤러(155)를 지지하는 회전축(155a)에 설치된 플랜지부(156)와 슬라이드 접촉함으로써, 헤드부(143)와 플래튼 롤러(155)가 대치되도록 위치 결정하는 접동편(sliding piece : 150)이 형성되어 있다. 접동편(150)은, 길이가 긴 금속판이며, 도 16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첨단부가 열 헤드 (140)의 헤드부(143)보다 더욱 낮게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접동편 (150)의 첨단부는, 테이퍼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베이스 샤시(101)의 주면(110)에, 수직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는 플래튼 롤러(155)의 플랜지부(156)와 슬라이드(slide)를 통해 접촉되는 슬라이드 접촉부(151)로 작용한다.
이 접동편(150)은, 상부 샤시(102)의 개구부(153)의 좌우 양단부로부터 하부로 돌출되며, 이 접동편(150)에 대해 한 개의 부분으로 형성된 접속부(152)를 가진다. 이러한 접속부(152)는 열 헤드(140), 헤드 커버 (148) 및 커버 부재(149)와 접속되어, 이것들이 상부 샤시(102)와 일체화되어 있다. 그리고 접동편(150)은, 상부 샤시(102)가 밀폐되면, 열 헤드 (140)와 함께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에 장착된 잉크 리본 카트리지(2)의 개구부(40)내에 진입한다. 이 때, 접동편(150)은, 열 헤드(140)의 세로 방향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개구부(40)에 배치되어 있는 잉크 리본(10)과는 인접하지 않고, 잉크 리본(10)의 폭방향의 양측을 따라 삽입된다. 슬라이드 접촉부(151)는 플래튼 롤러(155)의 플랜지부(156)와 슬라이드 접촉 가능한 위치까지 회전된다.
그 다음에, 열 헤드(140)의 헤드부(143)와 대향하는 플래튼 롤러 (155)에 대해 설명한다. 플래튼 롤러(155)는, 탄성을 가지는 원주체가 금속제의 회전축(155a)에 대해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회전축(155a)의 양단부가 베이스 샤시(101)의 좌우 양측벽(111, 112)에 삽입되며, 후술하는 전환 기구(switching member : 190)에 의해서 지지를 받는다. 플래튼 롤러(155)는, 베이스 샤시(101)의 주면(110)을 세로 방향에서 이동시킨다. 회전축(155a)의 양단부에는, 도 1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샤시(102)에 열 헤드(140)와 일체적으로 설치된 접동편(150)과 슬라이드 접촉되기 위한플랜지부(156)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열 헤드(140) 및 플래튼 롤러(155)에서는, 상부 샤시(102)가 베이스 샤시(101)를 밀폐하고, 접동편(150)이 잉크 리본 카트리지(2)의 개구부 (40)에 삽입되어, 플래튼 롤러(155)의 플랜지부(156)와 대향된다. 열 헤드(140)는, 잉크 리본 카트리지(2)의 개구부(40)를 통해 진행하며, 개구부 (40)에 연장하여 설치된 잉크 리본(10)을 통해 플래튼 롤러(155)와 대향된다. 이 때, 플래튼 롤러(155)는, 도 26 및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환 기구(190)에 의해서 회전축(155a)이 베이스 샤시(101)의 주면(110)측으로 하강된다. 도 3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 헤드(140)의 헤드부 (143)와 플래튼 롤러(155)는, 약간의 클리어런스(clearance)를 가지고 대향된다. 도 28 및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환 기구(190)에 의해서 플래튼 롤러(155)가 상승되면, 접동편(150)의 슬라이드 접촉부(151)에 플래튼 롤러(155)의 회전축(155a)에 설치된 플랜지부(156)사 슬라이드 접촉된다. 이에 의해, 플랜지부(156)가 접동편(150)에 의해 가이드 되므로, 플래튼 롤러(155)는, 열 헤드(140)의 헤드부(143)와 고정확도를 가지고 대향하고 인접하게 된다.
그 후, 헤드부(143)와 플래튼 롤러(155)사이에는, 미리, 장치 본체(3)의 배면(3c)측에 전송되어 있던 인화지(4)가 전면(3a)측으로 전송되어 인쇄 동작을 한다. 인화지(4)를 장치 본체(3)의 배면(3c)측으로 전송할 때나, 또는 인쇄가 종료한 인화지(4)를 장치 본체(3)의 외부로 배출하고자 할 때에, 전환 기구(190)에 의해서 회전축(155a)이 하강되어, 헤드부(143)와 플래튼 롤러(155)가 서로 멀리 분리된다(도 30a).
그 다음에, 베이스 샤시(101)의 주면(110)에 배치되어, 인쇄 위치에 전송된 잉크 리본 카트리지(2)를 지지하는 카트리지 지지 유니트(160)에 대해 설명한다. 카트리지 지지 유니트(160)는,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내에 장착된 잉크 리본 카트리지(2)가 장치 본체(3)내에 전송되었을 때에, 카트리지 본체(13)를 지지하여 인쇄 위치에 위치 결정함과 동시에, 개구부(40)로 연장되어 설치된 잉크 리본(10)의 주행로가 되는 리본 패스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 카트리지 지지 유니트(160)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샤시(101)의 주면(110)상에 배치되어 있다. 카트리지 지지 유니트(160)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의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된 유니트 본체(161)와, 유니트 본체(161)의 세로 방향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카트리지 본체(13)의 위치 결정을 도모하는 제 1과 제 2의 위치 결정 볼록부(162, 163)와, 카트리지 본체(13)내에 수납되어 있는 잉크 리본(10)의 종류에 따라 잉크 리본 카트리지(2)의 종류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스위치(164)와, 카트리지 본체(13)의 개구부(40)내에 삽입되어 리본 패스를 형성하는 리본 가이드 (165)가 형성되어 있다.
유니트 본체(161)에는, 베이스 샤시(101)의 주면(110)에 배치되어 있으며, 장치 본체(3)의 전면(3a)측에 위치된다. 이 유니트 본체(161)는, 거의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세로 방향의 양단측에 카트리지 본체(13)의 배치면(70)을 지지하는 지지면부(166, 166)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면부 (166)로부터, 카트리지 본 체(13)의 배치면(70)에 천설된(punched) 제 1과 제 2의 위치 결정구멍(72, 73)에 삽입되는 제 1과 제 2의 위치 결정 볼록부(162, 163)가 돌출되어 있다. 각 지지면부(166)는, 카트리지 본체 (13)의 배치면(70)이 배치되므로, 인쇄 위치로 전송된 잉크 리본 카트리지(2)의 위치 결정의 기준면으로 사용된다.
제 1과 제 2의 위치 결정 볼록부(162, 163)는, 거의 원추 모양을 이루기 때문에, 제 1과 제 2의 위치 결정구멍(72, 73)과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제 1과 제 2의 위치 결정 볼록부(162, 163)는, 제 1과 제 2의 위치 결정구멍(72, 73)의 안쪽까지 삽입되므로, 카트리지 본체(13)의 위치 결정을 도모할 수 있다. 제 1과 제 2의 위치 결정 볼록부(162, 163)에서는, 제 2의 위치 결정구멍(73)이 긴 구멍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 2의 위치 결정구멍(73)이 제 2의 위치 결정 볼록부(163)와 고정확도를 가지고 인접하지 않더라도, 제 1의 위치 결정구멍(72)을 제 1의 위치 결정 볼록부(162)에 삽입시킴으로써, 이러한 위치 결정 차이는 보정될 수 있다.
또, 이러한 제 1과 제 2의 위치 결정 볼록부(162, 163)가, 제 1과 제 2의 위치 결정구멍(72, 73)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잉크 리본 카트리지(2)의 위치 결정을 하면, 프린터 장치(1)에 형성된 리본 주행 기구(210)의 잉크 리본 주행 기어(212)는 권취측 스풀(12)의 래칫 기어(17)와 결합되어, 잉크 리본 (10)의 주행이 가능해진다(도 26참조). 여기서, 래칫 기어(17)는, 잉크 리본 카트리지(2)의 기어용 개구부(48)로부터 외부로 향하는 기어이다.
제 2의 위치 결정 볼록부(163)의 근방에는, 잉크 리본 카트리지(2)의 종류의 식별을 실시하는 검출 스위치(164)가 설치되어 있다. 검출 스위치(164)에는, 카트리지 본체에 천설된 ID홀(74)내에 삽입되는 한 개 또는 복수의 돌출된 검출 핀(167)이 제공되어 있다. 검출 핀(167)은, 상술한 것처럼, 잉크 리본 카트리지(2)의 종류에 따라 개방되거나 또는 밀폐된 ID홀(74)에 인접하게 되며, 프린터 장치(1)에 가압 상태가 검출되어 잉크 리본 카트리지(2)의 종류 판별을 한다.
구체적으로, 검출 스위치(164)에서는, 검출 핀(167)은, 폭이 넓은 잉크 리본(10W)이 스풀에 감겨지고 있는지, 또는 폭이 좁은 잉크 리본(10N)이 감겨지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잉크 리본 카트리지(2)의 ID홀(74)에 대응해서 설치된다. 상술한 것처럼, ID홀(74)은, 폭이 좁은 잉크 리본(10N)이 감겨지고 있는 경우에는, 밀폐되며, 폭이 넓은 잉크 리본(10W)이 감겨지고 있는 경우에는,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잉크 리본 카트리지(2)가 인쇄 위치에 전송되었을 때에, 검출 핀(167)이 가압된 것을 검출하면, 검출 스위치(164)는, 폭이 넓은 잉크 리본(10W)이 감겨진 잉크 리본 카트리지(2)가 장착되어 있다는 것을 인식하며, 검출 핀(167)이 가압되지 않는 것을 검출하면, 폭이 좁은 잉크 리본(10N)이 감겨진 잉크 리본 카트리지(2)가 장착되어 있다는 것을 인식한다.
인쇄 위치에 전송된 잉크 리본 카트리지(2)의 잉크 리본(10)을 가이드 하는 리본 가이드(165)는, 잉크 리본(10)을 폭방향으로 지지하므로, 장치 본체(3)내에 있어서의 잉크 리본(10)의 리본 패스를 형성한다. 리본 가이드(165)는, 잉크 리본(10)의 주행 방향과 거의 직교하는 방향, 즉 베이스 샤시(101)의 윗쪽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잉크 리본 가이드(165)는, 카트리지 본 체(13)의 개구부(40)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잉크 리본 카트리지(2)가 인쇄 위치에 전송되면, 개구부(40)내에 삽입된다. 잉크 리본 가이드(165)는, 개구부(40)내에 삽입된 열 헤드(140)보다 장치 본체(3)의 전면(3a)측에 대해서 더욱 인접하게 배치되오 있다. 즉, 권취측 스풀 수납부(24)측에 위치되어 있다.
이러한 리본 가이드(165)에는, 상단부에, 잉크 리본(10)의 폭방향에 걸쳐 있는 가이드 롤러(168)가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롤러(168)는, 리본 가이드(165)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잉크 리본(10)의 리본 패스를 구성하는 동시에, 잉크 리본(10)의 부드러운 주행을 보장한다.
이 리본 가이드(165)는, 상부 샤시(102)가 닫혀지고, 잉크 리본 카트리지(2)가 장착된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가 인쇄 위치로 전송되면,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본체(13)의 개구부(40)내에 삽입되어 가이드 롤러(168)가, 개구부(40)에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는 잉크 리본(10)을 폭방향으로 지지한다. 이에 의해, 리본 가이드(165)는, 열 헤드(140)의 헤드 커버(148)에 가이드 되어 헤드부(143)와 플래튼 롤러(155)의 사이로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는 잉크 리본(10)을, 베이스 샤시(101)의 윗쪽으로 경사지게 배치하며, 권취측 스풀 수납부(24)로 가이드하는 슬릿(50)과 거의 동일한 높이까지 잉크 리본(10)을 가이드 한다.
잉크 리본 (10)은, 열 헤드(140)의 헤드부(143)를 통과한 후에, 리본 가이드(165)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윗쪽으로 가이드된다. 이와 같이, 헤드부(143) 및 플래튼 롤러(155)사이에 삽입되므로, 인화지(4)에 열압착된 후, 장치 본체(3)의 전면(3a)측에 전송되는 인화지(4)로부터 효율적으로 박리될 수 있다. 이 때 잉크 리본(10)은, 열 헤드(140)의 헤드부(143)에 의해 인화지(4)로 열압착된 후에, 커버 부재(149)의 거의 활모양의 아래쪽면에 의해 지지를 받으면서 인화지(4)와 함께 전면(3a)측으로 전송되어, 리본 가이드(165)에 의해서 인화지(4)로부터 박리 된다. 따라서, 잉크 리본(10)은, 헤드부(143)에 의한 가열로부터 박리될 때까지 냉각되므로, 인화지(4)로부터 박리하기 쉽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잉크 리본이 가열된 직후에, 인화지와의 박리성은 나쁘지만, 아래쪽 면에서, 잉크 리본(10)을 가이드하는 커버 부재(149)는, 헤드부(143)에 의한 가열 후에 인화지(4)에 밀착된 상태로 주행되도록 한다. 잠시 동안, 잉크 리본(10)이 냉각한 후에 박리되어, 효율적으로 박리된다.
커버 부재(149)의 아래 쪽면이 거의 활 모앙이므로, 잉크 리본(10)은, 부드럽게 설치되도록 가이드 되어, 리본 절단 등의 사고가 방지된다.
이와 같이, 베이스 샤시(101)의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는 상부 샤시 (102)에는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 및 열 헤드(140)가 설치되며, 잉크 리본 카트리지(2)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삽입 및 분리 위치로부터 위치 변경을 실행하며, 베이스 샤시(101)에는 리본 가이드(165)가 제공되며, 잉크 리본 카트리지(2)를 인쇄 위치로 전송하는 것만으로도, 열 헤드(140) 및 리본 가이드(165)가 장치 본체(3)내를 주행하는 잉크 리본(10)의 주행로가 되는 리본 패스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잉크 리본 카트리지(2)는, 프린터 장치(1)내에 장착되었을 때에 리본 패스를 형성하기 위한 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진다.
베이스 샤시(101)의 전면벽(113)에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화지(4) 를 장치 본체(3)의 전면측(3a)에 형성된 종이 배송/배출 롤러(170) 및 서브롤러(171)가 형성되어 있다. 종이 배송/배출 롤러(170)는, 장치 본체(3)의 전면(3a)으로부터 장착된 인화지 트레이(5)로부터 인화지(4)를 꺼냄과 동시에, 인화지(4)를 전면(3a)측으로부터 배면(3c)측으로 전송하고, 또 배면(3c)측으로부터 전면(3a)측으로 전송한다. 서브 롤러(171)는, 종이 배송/배출 롤러(170)와 함께 장치 본체(3)내의 인화지(4)를 장치 본체(3)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장치 본체(3)에서는, 종이 배송/배출 롤러(170)의 아래쪽에 인화지 트레이(5)가 장착되는 개구부(8)가 형성되며, 인화지 트레이(5)내에 수납된 인화지(4)가 종이 배송/배출 롤러(170)의 아래쪽에 위치된다.
종이 배송/배출 롤러(170)는, 인화지(4)와 인접되는 롤러부(170a)와 롤러부(170a)를 지지하는 축부(170b)를 가진다. 롤러부(170a)는, 고무 부재로 형성된, 중공 형상(hollow)의 원통체이다. 그리고 축부(170b)에 의해 삽입되어 지지를 받고 있다. 축부(170b)는, 양단에서, 회전이 자유로운 베이스 샤시(101)의 전면벽(113)에 의해 지지를 받는 동시에, 좌측벽 (111)측으로 돌출한 단부에는 종이 배송/배출 기어(17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종이 배송/배출 롤러(170)는, 후술하는 전송 기구(220)의 기어열(gear string : 227)에 의해 회전되면, 종이 배송/배출 롤러(170)가 구동된다.
전면벽(113)에는, 도 16, 도 24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화지 트레이(5)내에 수납된 인화지(4)를 종이 배송/배출 롤러(170)에 가압하는 가압 레버(173)가 형성되어 있다. 가압 레버(173)는, 인화지 트레이(5)가 개구부(8)에 장착되면 인화지 트레이(5)내에 삽입되며, 인화지(4)를 윗쪽으로 밀어 올려, 종이 배송/배출 롤러(170)에 가압한다. 그러므로, 인화지 트레이(5)로부터 인화지(4)를 장치 본체(3)로 인출하게 된다. 이 가압 레버(173)는, 거의 직사가형의 면 스와브(swab)이며, 축부(173b)는 가압부 (173a)를 지지한다. 가압부(173a)는, 장치 본체(3)의 전면(3a)으로 돌출하며, 인화지 트레이(5)내에 삽입된다. 축부(173b)에는, 면 스와브가 되는 가압부(173a)가 감겨지며, 베이스 샤시(101)의 주면(11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를 받고 있다. 축부(173b)에는 좌측벽(111)측으로 돌출한 단부에 결합 볼록부(174)가 형성되어, 전송 기구(220)의 캠 기어(226)와 결합되어 있다(도 32 및 도 34 참조). 축부(173b)는, 베이스 샤시(101)의 주면(110)에 타단이 래치되어 있는 코일 용수철(도시하지 않음)의 일단에 의해 래치되어, 가압부(173a)가 하부로 바이어스되어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가압 레버(173)에서는, 캠 기어(226)의 캠 모양은, 캠 기어가 구동되면, 캠 기어(226)에 형성된 캠 형상에 의해서 결합 볼록부(174)를 가이드하며, 축부(173b) 및 가압부(173a)가 상하 방향으로 회전된다.
전면벽(113)에는, 상부 샤시(102)의 전면측으로 돌출한 제 1의 래치 돌기부(118)를 래치하는 결합부재(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어 있다. 결합부재는, 베이스 샤시(101)의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되도록 배치되며, 바이어스 부재에 의해서 상부 샤시(102)의 제 1의 래치 돌기부 (118)를 래치하는 좌우 어느 한 방향으로 바이어스되어 있다. 결합 부재는, 장치 본체(3)의 오픈 버튼(107)과 결합되며, 오픈 버튼(107)이 슬라이드되도록 조작되며, 제 1의 래치 돌기 부(118)와의 결합이 해제되어 상부 샤시(102)가 윗쪽으로 회전한다.
베이스 샤시(101)의 배면벽(114)측에는,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래튼 롤러(155)를 수직 이동시키는 전환 기구(190) 및 잉크 리본(10)을 주행시키는 주행 기구(210)의 구동원이 되는 전환/주행 모터 (180)와, 인화지(4)를 전송하는 전송 기구(220)의 캡스턴 롤로(225)의 구동원이 되는 캡스턴 모터(181)가 배치되어 있다. 전환/주행 모터(180)에서는, 구동축(180a)을 베이스 샤시(101)의 우측벽(112)측을 향하도록 배치하며, 구동축(180a)의 첨단에는 모터 기어(180b)가 설치되어 있다. 캡스턴 모터(181)에서는, 구동축(181a)을 베이스 샤시(101)의 좌측벽(111)측을 향하여 배치하며, 구동축(181a)의 첨단에는 모터 기어(181b)가 설치되어 있다.
전환/주행 모터(180) 및 캡스턴 모터(181)는, 정방향 혹은 역방향에서 구동되므로 전환 기구(190) 및 주행 기구(210) 혹은 전송 기구(220)를 을 구동시킨다.
그 다음에, 전환/주행 모터(180)에 의해서 구동되어, 상술한 플래튼 롤러(155)를 열 헤드(140)에 대해서 수직 이동시키는 전환 기구(190)에 대해 설명한다. 전환 기구(190)는, 베이스 샤시(101)의 우측벽(112)에 형성되며, 도 27 및 도 3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환/주행 모터(180)의 구동축(180a)에 설치된 모터 기어(180b)와 결합되는 2단 기어(191), 2단 기어 (191)의 회전 방향에 따라 스윙하는 모드 전환 기어(192)와, 모드 전환 기어(192)와 결합하는 제 1과 제 2의 연결 기어(193, 194)와, 제 2의 연결 기어(194)와 결합하는 좌우 한 쌍의 캠 기어(195)와 캠 기어(195)와 결합하여 플래튼 롤러(155)를 수직 이동시키는 좌우 한 쌍의 승 강 플레이트(196)를 갖춘다.
2단 기어(191)는 모드 전환 기어(192)에 대해 같은 축에 설치되며, 모드 전환 기어(192)를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한다. 2단 기어(191)에서는, 대경 기어(191a)가 모터 기어(180b)와 결합하고, 소경 기어(191b)가 모드 전환 기어(192)와 결합한다. 모드 전환 기어(192)에는, 길이가 긴 플레이트(192b)의 일단에 기어부(192a)가 설치되며, 플레이트(192b)는 거의 중앙부에서 2단 기어(191)와 같은 축에 스윙(swing)이 자유롭도록 지지를 받고 있다. 이 모드 전환 기어(192)에서는, 기어부(192a)가, 제 1의 연결 기어(193)와 후술하는 잉크 리본(10)의 주행 기구(210)를 구성하는 제 3의 연결 기어(211)사이에서 스윙한다.
그리고, 2단 기어(191)가 전환/주행 모터 (180)의 회전 방향에 따라 도 27 및 도 31a의 H방향 및 H방향의 반대 방향에서 회전되면, 플레이트(192b)가 2단 기어(191)와 동일한 방향에서 스윙하기 위해 이동된다. 이에 의해, 모드 전환 기어(192)에서는, 기어부(192a)가 제 1의 연결 기어 (193) 또는 제 3의 연결 기어(211)의 어느 하나와 결합된다. 모드 전환 기어(192)가 제1의 연결 기어(193)와 결합되면, 제 2의 연결 기어(194) 및 캠 기어(195)를 통해 승강 플레이트(196)가 수직방향내에서 이동되도록 조작된다.
모드 전환 기어(192)와 결합되는 제 1의 연결 기어(193)는, 베이스 샤시(101)의 우측벽(11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를 받고 있다. 제 1의 연결 기어(193)와 결합되는 제 2의 연결 기어(194)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샤시(101)의 좌우 측벽(111, 112)사이에 배치된 축부(194a)를 가지며, 축부(194a) 의 양단에는, 우측벽(112)의 외측에 배치된 우측 기어부(194b)와 좌측벽(111)의 외측에 배치된 좌측 기어부(194c)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우측 기어부(194b) 및 좌측 기어부(194c)는, 각각 우측 캠 기어(195a) 및 좌측 캠 기어(195b)와 결합되어 있다.
승강 플레이트(196)를 승강시키는 좌우 한 쌍의 캠 기어(195)는, 제 2의 연결 기어(194)의 우측 기어부(194b)와 결합되는 우측 캠 기어(195a)와, 좌측 기어부(194c)와 결합되는 좌측 캠 기어(195b)내에 제공되며, 각각 베이스 샤시(101)의 좌우 측벽(111, 112)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를 받고 있다. 좌우측 캠 기어(195a, 195b)에는, 각각 베이스 샤시(101)의 대응하는 측벽과 대향하는 면위의 그루브가 형성되어, 각각 우측 승강 플레이트(196a), 좌측 승강 플레이트(left ascent/descent plate : 196b)와 결합되어 있다.
좌우 한 쌍의 승강 플레이트(196)는, 플래튼 롤러(155)의 회전축 (155a)의 양단을 지지하는 우측 승강 플레이트(196a)와 좌측 승강 플레이트 (196b)내에 제공되며, 각각 베이스 샤시(101)의 좌우 측벽(111, 112)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를 받고 있다. 각 승강 플레이트(196)에는, 캠 기어(195)에 형성된 캠 그루브에 결합되는 결합 암(197)이 형성된 결합판(1 98)과, 결합판(198)과 함께 회전되어 플래튼 롤러(155)의 회전축(155a)을 승강시키는 승강판(199)이 제공된다. 결합판(198)은, 배면 측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결합 암(197)이 캠 그루브에 결합되면, 캠 기어 (195)의 회전에 따라 좌우 측벽(111, 112)을 전후방향에서 회전된다. 결합판(198)에는, 윗쪽에서 상부 샤시(102)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제 2의 래치 돌 기부(119)에 래치되는 래치편(latching piece : 201)이 형성되어 있다.
승강판(199)은, 상기 결합판(198)과 용수철 부재(200)를 통해 결합판 (198)으로 연결되며, 결합판(198)과 함께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승강판(199)에는, 플래튼 롤러(155)의 회전축(155a)이 삽입을 통해 지지되는, 삽입부(202)가 형성되어 있다.
승강판(199)의 삽입부(202)내에 이와 같이 삽입되는 플래튼 롤러 (155)의 회전축(155a)은, 플래튼 롤러(155)를 열 헤드(140)의 헤드부(143)에 대해서 높은 정확도를 가지고 상승시키는 가압 부재(205)내에 삽입되어 있다. 가압 부재(205)는, 합성 수지의 성형품이며, 도 30a, 도 30b 및 도 3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55a)과 승강판(199)의 삽입부(202)에 삽입되는 원통부(205a)와, 원통부(205a)를 삽입부(202)에 가압하는 가압부(205b)와, 가압 부재(205)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205c)를 갖춘다. 지지부(205c)는 승강 플레이트(196)와 같은 축에 있으며, 베이스 샤시(101)의 우측벽(112)에 의해 지지를 받아 가압 부재(205)를 회전 가능하게 한다. 가압부(205b)는 원통부(205a)의 외주의 일부와 지지부(205c)와의 사이에 거의 S자 모양으로 만곡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가압부(205b)는 가효성을 가지며, 만곡되어(curved) 있으므로, 원통부(205a)를 삽입부(202)의 내주부에 대해서 도 31b의 화살표 F방향으로 가압한다.
승강판(199)에는, 이러한 가압 부재(205)를 통해 플래튼 롤러(155)의 회전축(155a)이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캠 기어(195)가 도 27의 화살표 I방향에서 회전되면, 결합판(198) 및 승강판 (199)이 캠 그루브에 의해 가이드 되어, 승강 플 레이트(196)가 도 27의 화살표 J방향 및 반화살표 J방향에서 왕복 회전된다. 따라서, 승강 플레이트(196)는, 승강판(199)의 삽입부(202)에 삽입되어 있는 회전축(155a)을 상하 방향으로 조작할 수 있다.이 때, 가압 부재(205)에 의해서 회전축(155a)이 승강판(199)의 삽입부 (202)의 내주부에 가압되어 있기 때문에, 플래튼 롤러(155)가, 회전축 (155a)의 삽입부(202)내에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의해, 열 헤드(140)의 헤드부(143)에 대한 플래튼 롤러(155)의 위치 정확도가 향상되어 플래튼 롤러(155)가 확실히 헤드부(143)와 대향하게 된다.
전환 기구(190)내에서는, 전환/주행 모터(180)가 정방향에서 회전되면, 모터 기어(180b)와 결합된 2단 기어(191)가 도 27 및 도 31a의 화살표 H방향으로 회전되며, 모드 전환 기어(192)의 플레이트가 동일한 방향으로 스윙되므로, 기어부(192a)가 제 1의 연결 기어(193)와 연결된다. 이에 의해 전환/주행 모터(180)의 구동력이 제 1의 연결 기어(193)로부터 제 2의 연결 기어(194) 및 우측 캠 기어(195a)로 전해져, 우측 캠 기어(195a)가 도 27의 화살표 I방향에서 회전된다. 제 2의 연결 기어(194)의 좌측 기어부(194c)와 결합되어 있는 좌측 캠 기어(195b)도 역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좌우의 캠 기어(195a, 195b)와 결합되어 있는 우측 승강 플레이트(196a) 및 좌측 승강 플레이트(196b)는, 각 결합판(198)의 결합 암(197)이 캠 기어(195)에 조작되므로, 승강판(199)이 도 27의 화살표 J방향 및 반화살표 J방향으로 왕복 회전되어, 플래튼 롤러(155)를 승강 조작할 수 있다.
이러한 플래튼 롤러(155)의 승강 상태는, 베이스 샤시(101)의 좌측벽 (111)에 장착된 리짓트 기판(rigid substrate)에 실장된 모드 검출 스위치가, 좌측 승강 플레이트(196b)에 의해서 온 또는 오프 되는 지에 따라 검출된다.
그 다음에 잉크 리본(10)을 주행시키는 주행 기구 (210)에 대해 설명한다. 주행 기구(210)는, 도 3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모드 전환 기어(192)에 결합되는 제 3의 연결 기어(211)와, 잉크 리본 카트리지(2)에 수납되어 있는 권취측 스풀(12)을 회전 구동하여 잉크 리본(10)을 주행시키는 잉크 리본 잉크 리본 주행 기어(212)와, 제 3의 연결 기어(211)와 잉크 리본 잉크 리본 주행 기어(212)를 연결하는 제 4의 연결 기어(213)를 갖춘다.
제 3의 연결 기어(211)는, 베이스 샤시(101)의 우측벽(112)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장착된 2단 기어이며, 대경 기어가 모드 전환 기어(192)로 결합되며, 소경 기어가 제 4의 연결 기어(213)와 결합된다. 제 4의 연결 기어 (213)도 베이스 샤시(101)의 우측벽(112)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장착되어 있다.
이 제 4의 연결 기어(213)에 의해서 회전되는 잉크 리본 주행 기어 (212)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샤시(101)의 우측벽(112)에 장착된 원통형의 지지부(212a)와, 지지부(212a)내를 관통하여 우측벽(112)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또는 외부에서 내부 연장되어 설치되는 축부(212b)와 축부(212b)의 일단에 설치되어 우측벽(112)의 외부를 향해 제 4의 연결 기어(213)와 결합하는 제 1의 기어부(212c)와, 축부(212b)의 타단에 설치되어 베이스 샤시(101)의 내부에서 잉크 리본 카트리지(2)의 권취측 스풀(12)과 결합하는 제 2의 기어부(212d)를 갖춘다(도 13 참조). 제 2의 기어부 (212d)는, 잉크 리본 카트리지(2)가 인쇄 위치로 전송되므로, 권취측 스풀 수납부(24)의 기어용 개구부(48)로부터 외부로 대향하는 래칫 기어(17) 와 결합되어 권취측 스풀(12)을 회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잉크 리본 주행 기구(210)에서는, 전환/주행 모터(180)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모터 기어(180b)와 결합된 2단 기어(191)가 도 31b의 반화살표 H방향으로 회전되며, 모드 전환 기어(192)도 플레이트가 동일한 방향으로 스윙되어, 기어부(192a)가 제 3의 연결 기어(211)와 연결된다. 이에 의해 전환/주행 모터(180)의 구동력이 제 3의 연결 기어(211)로부터 제 4의 연결 기어(213) 및 잉크 리본 주행 기어(212)로 전해져, 잉크 리본 주행 기어(212)의 제 1의 기어부(212c) 및 제 2의 기어부(212d)가 도 31b의 화살표 K방향에서 회전된다. 따라서, 잉크 리본 잉크 리본 주행 기어(212)는, 제 2의 기어부(212d)와 결합되어 있는 권취측 스풀(12)을, 잉크 리본(10)을 감아 꺼내는 화살표 D방향에서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잉크 리본(10)이 공급측 스풀(11)로부터 권취측 스풀(12)로 주행된다.
전환/주행 모터(180)가 정방향(forward direction)에서 회전되면, 2단 기어(191)가 화살표 H방향에서 회전되고, 모드 전환 기어(192)의 기어부 (192a)가 동일한 방향에서 스윙되므로, 잉크 리본 잉크 리본 주행 기어(212)는, 제 3의 연결 기어(211)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이에 의해, 전환/주행 모터 (180)와 잉크 리본 주행 기어(212)와의 연결이 끊어지며, 권취측 스풀(12)이 정지하고, 잉크 리본(10)의 주행이 정지된다.
그 다음에, 인화지(4)를 장치 본체(3)의 내부에서 외부로, 또는 외부에서 내부로 전송하는 전송 기구(220)에 대해 설명한다. 전송 기구 (220)는, 베이스 샤시(101)의 좌측벽(111)에 설치되어 있으며, 도 32 및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캡스턴 모터(181)의 모터 기어(181b)와 결합하는 2단 기어(221), 2단 기어(221)와 결합하는 제 5의 연결 기어(222), 제 5의 연결 기어(222)와 결합하는 제 6의 연결 기어(223)와, 제 6의 연결 기어(223)와 같은 축에 있으며, 제 6의 연결 기어(223)의 회전 방향에서 스윙하는 제 1의 스윙 기어(224)와, 제 1의 스윙 기어(224)와 결합되어 인화지(4)를 전송하는 캡스턴 롤러(225)와, 가압 레버(173)를 구동하여 인화지 트레이(5)에 수납된 인화지(4)에 가압하는 캠 기어(226)와, 종이 배송/배출 롤러(170)를 구동하는 기어 열(227)을 갖춘다.
2단 기어(221), 제 5의 연결 기어(222) 및 제 6의 연결 기어(223)는, 모두 베이스 샤시(101)의 좌측벽(111)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를 받고 있다. 제 6의 연결 기어(223)와 동축이며 그에 의해 지지되는 제 1의 스윙 기어(224)는, 거의 기다란 플레이트(224c)를 가지며, 이 플레이트(224c)의 세로 방향의 거의 중간부에서, 동축인 제 6의 연결 기어(223)에 의해 지지를 받아, 제 6의 연결 기어(223)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스윙된다.제 1의 스윙 기어(224)는, 플레이트(224c)의 일단 및 중간부에서 제 1의 기어부(224a)와 제 2의 기어부(224b)가 형성되어 있다. 제 1의 기어부(224a) 또는 제 2의 기어부(224b)중 어느 하나가 플레이트의 스윙 방향에 따라 캡스턴 롤러(225)와 결합되어, 이에 의해 캡스턴 롤러(225)의 회전 방향을 정방향 혹은 역방향으로 설정한다.
캡스턴 롤러(225)는, 베이스 샤시(101)의 좌측벽(111)과 우측벽(112_에 걸쳐 연장되어 설치되며, 그 회전 방향에 따라 인화지(4)를 장치 본체(3)의 내부에서 외부로, 또는 외부에서 내부로 전송하는 것이다. 캡스턴 롤러(225)는, 베이스 샤 시(101)의 주면(110)으로부터 돌출된 지지 부재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를 받은 롤러 본체(225a)를 가진다.
이 롤러 본체(225a)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샤시 (101)내서 평행하게 지지를 받고 있는 핀치 롤러(230)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핀치 롤러(230)는, 베이스 샤시(101)의 좌우 측벽(111, 112)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를 받으며, 용수철 부재에 의해서 캡스턴 롤러(225) 측으로 바이어스되는 암 부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지지되므로, 캡스턴 롤러(225)에 가압되어 있다. 전송 기구(220)가 구동되면, 캡스턴 롤러(225)는, 핀치 롤러(230)와 함께 회전되어, 인화지(4)를 협지하면서(sandwiching), 전송한다. 캡스턴 롤러(225)에는, 좌측벽(111)의 외측과 대향하는 단부에서 롤러 기어부(225b)가 설치되어 있다. 이 롤러 기어부 (225b)는, 제 1의 스윙 기어(224)의 제 1과 제 2의 기어부(224a, 224b)와 결합되어 켑스턴 모터(181)의 구동력을 전달받는다.
캡스턴 롤러(225)는, 또한, 같은 축으로 지지를 받는 캡스턴 롤러(225)의 회전 방향에에 따라 스윙하는 제 2의 스윙 기어(228)를 갖춘다. 제 2의 스윙 기어(228)는, 캡스턴 롤러(225)에 의해 동축으로 지지를 받는 암부(228a)와, 암부(228a)의 첨단에 설치된 기어부(228b)를 갖춘다. 암부 (228a)는, 캡스턴 롤러(225)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스윙하며, 기어부(228b)를 캠 기어(226)와 인접하게 또는 멀리 떨어지도록 이동시킨다. 기어부(228b)는, 항상 캡스턴 롤러(225)의 롤러 기어부(225b)와 결합되며, 캠 기어(226)와 결합되었을 때에는 캡스턴 롤러(225)의 회전력을 캠 기어 (226)에 전달한다. 이러한 제 2의 스윙 기 어(228)에서는, 캡스턴 롤러(225)가, 인화지(4)를 장치 본체(3)의 배면(3c)측으로 전송하는, 도 32의 화살표 L방향에서 회전되면, 암부(228a)가 윗쪽으로 회전되어 기어부(228b)와 캠 기어(226)가 결합된다. 제 2의 스윙 기어(228)에서는, 캡스턴 롤러(225)가, 인화지(4)를 장치 본체(3)의 전면(3a)측으로 전송하는, 도 34의 화살표 L방향에서 회전되면, 암부(228a)가 하부로 회전되어 기어부(228b)와 캠 기어(226)가 서로 멀어지도록 이동된다.
제 2의 스윙 기어(228)와 결합되는 캠 기어(226)는, 상기 가압 레버 (173)를 상하로 조작하여, 인화지 트레이(5)에 수납된 인화지(4)를 종이 배송/배출 롤러(170)측에 대해 가압한다. 캠 기어(226)는, 베이스 샤시(101)의 좌측벽(111)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를 받으며, 좌측벽(111)과 대향하는 측면으로 캠 그루브가 형성되어 가압 레버(173)의 축부(173b)에 형성된 결합 볼록부(174)와 결합된다.
캡스턴 롤러(225)가 인화지(4)를 장치 본체(3)내에 전송하는 도 32의 화살표 L방향에서 회전되면, 이러한 캠 기어(226)는, 제 2의 스윙 기어 (228)와 결합되어 회전된다. 이에 의해, 캠 기어(226)의 캠 그루브에 축부(173b)가 결합되어 있는 가압 레버(173)에서는, 가압부(173a)가 윗쪽으로 회전되어, 인화지 트레이(5)내에 수납되어 있는 인화지(4)를 종이 배송/배출 롤러(170)에 대해 가압한다. 이에 의해, 인화지 트레이(5)에 수납되어 있는 인화지(4)는 종이 배송/배출 롤러(170)와 인접하고 있는 맨 위의 인화지(4)만이 장치 본체(3)내에 공급된다.
캠 기어(226)는, 일부에 기어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 제 2의 스윙 기어(228)와의 결합이 해제된다. 이러한 결함에서는, 인화지(4)가 캡스턴 롤러(225) 및 핀치 롤러(230) 사이에 삽입되며, 가압 레버(173)의 가압부 (173a)가 종이 배송/배출 롤러(170)측으로 상승 이동된다. 그 후, 인화지(4)를 장치 본체(3)의 외부로 배출시킬 때에, 플래튼 롤러(155)가 하강되면, 좌측 승강 플레이트(196b)의 암부(196c)가 하부로 회전된다. 이에 의해, 캠 기어(226)는, 스토퍼 편(stopper piece : 229)을 통해 가압되어 약간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캠 기어(226)와 결합되어 있는 가압 레버(173)는, 캠 그루브에 가이드 되므로, 가압부(173a)가 하강된다(도 34). 이 때, 스토퍼편(229)에 가압되어 캠 기어(226)로부터 멀어지는 역방향에서, 캠 기어(226)가 회전되더라도, 제 2의 스윙 기어(228)는,역방향에서 회전하지 않게 된다. 이에 의해, 제 2의 스윙 기어(228)는 캠 기어(226)와 다시 결합 가능한 상태로 된다. 인화지(4)를 다시 장치 본체(3)내로 이송시키기 위해 캡스턴 롤러(225)가 도 32의 화살표 L방향에서 회전되면, 제 2의 스윙 기어(228) 및 캠 기어(226)가 회전되어 가압 레버(173)가 상승된다.
급배송/배출 롤러(170)를 구동하는 기어열(227)은, 도 33 및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스턴 롤러(225)의 롤러 기어부(225b)와 결합되는 제 7의 연결 기어(232)와 제 7의 연결 기어(232)와 같은 축으로 지지를 받고, 제 7의 연결 기어(232)의 회전 방향에 따라 스윙되는 제 3의 스윙 기어 (233)와, 제 3의 스윙 기어(233)와, 종이 배송/배출 롤러 (170)의 축부(170b)에 형성된 종이 배송/배출 기어(172)와 결합되는 제 8의 연결 기어(234)를 갖춘다.
제 7의 연결 기어(232)는, 베이스 샤시(101)의 좌측벽(111)에 장착된 지지벽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캠 기어(226)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제 7의 연결 기어(232)는, 2단 기어이며, 대경 기어가 캡스턴 롤러(225)의 롤러 기어부(225b)와 결합하고, 소경 기어가 제 3의 스윙 기어(233)와 결합되어 있다. 제 7의 연결 기어(232)와 결합되는 제 3의 스윙 기어(233)는, 제 7의 연결 기어(232)와 동축상에 배치되며, 스윙 가능하게 지지를 받은 스윙 플레이트(233a)와, 스윙 플레이트(233a)에서 회전이 자유롭도록 설치된 제 1의 기어부(233b)와 제 2의 기어부(233c)를 가진다. 스윙 플레이트(233a)는, 제 7의 연결 기어(232)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에서 스윙가능하며, 스윙 방향에 따라 제 1의 기어부(233b)를 종이 배송/배출 기어(172)와 인접 또는 멀어지도록 이동시키고, 제 2의 기어부 (233c)를 제 8의 연결 기어(234)와 인접 또는 멀어지도록 이동시킨다.
제 1의 기어부(233b)와 제 2의 기어부(233c) 항상 제 7의 연결 기어 (232)의 소경 기어와 결합되어, 제 7의 연결 기어(232)의 회전에 따라 회전된다. 제 8의 연결 기어(234)는, 제 3의 스윙 기어(233)의 제 2의 기어부(233c)가 제 7의 연결 기어(232)와 결합 가능한 위치에 도달되도록 스윙 하므로, 제 2의 기어부(233c)와 결합 또는 분리된다.
이러한 기어열(227)에서는, 캡스턴 롤러(225)가 인화지(4)를 장치 본체(3)내에 전송하는 도 35의 화살표 L방향에 회전되면, 제 7의 연결 기어 (232)가 도면의 화살표 M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의해, 제 3의 스윙 기어(233)에서는, 스윙 플레이트(233a)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어, 제 1의 기어부(233b)가 종이 배송/배출 롤러(170)의 종이 배송/배출 기어(172)와 결합되며, 제 2의 기어부(233c)는 제 8의 연결 기어(234)와 멀어지게 된다. 제 7의 연결 기어(232)가 도 35의 화살표 M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 종이 배송/배출 기어(172)는, 제 1의 기어부(233b)를 통해 종이 배송/배출 롤러(170)를 인화지 트레이(5)에 수납된 인화지(4)를 인출하는 방향, 즉 도면의 화살표 N방향에서 회전된다. 이 때, 인화지 트레이(5)에는 가압 레버(173)의 가압부(173a)가 삽입되어 상승된다. 따라서, 종이 배송/배출 롤러(170)는, 가압 레버(173)와의 사이에 삽입된 인화지(4)를 장치 본체(3)내에 전송할 수 있다.
기어열(227)에서는, 캡스턴 롤러(225)가 인화지(4)를 장치 본체(3)의 외부로 배출하는 방향, 즉, 도 35의 반화살표 L방향에서 회전되면, 제 7의 연결 기어(232)가 도면의 화살표 M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의해, 제 3의 스윙 기어(233)에서는, 스윙 플레이트(233a)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어, 제 2의 기어부(233c)가 종이 배송/배출 기어(172)와 결합되어 있는 제 8의 연결 기어(234)와 결합되어, 제 1의 기어부(233b)는 종이 배송/배출 기어(172)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제 7의 연결 기어(232)가 도 35의 화살표 M방향으로 회전되면, 제 2의 기어부(233c) 및 제 8의 연결 기어(234)를 통해 종이 배송/배출 기어(172)는, 종이 배송/배출 롤러(170)를 장치 본체(3)의 외부로 배출하는 방향, 즉 도면의 화살표 N방향에서 회전된다. 이 때, 인화지(4)는, 종이 배송/배출 롤러(170)와 서브 롤러(171)사이에서 전송되므로, 종이 배송/배출 롤러(170) 및 종이 배송/배출 기어(172)는, 인화지 트레이(5)로부터 인화지(4)를 인출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에서 회전된다.
전송 기구(220)를 구비한 프린터 장치(1)는, 전송 기구(220)에 의해 인화지(4)를 장치 본체(3)의 전면(3a)과 배면(3c)사이에서, 여러 차례 왕복시키면서 인 화를 실시하는 것이다. 전송 기구(220)는, 프린터 장치(1)의 인쇄 동작 동안에, 인화지(4)를 인화지 트레이(5)로부터 꺼내 장치 본체(3)내에 공급하는 공급 동작과, 장치 본체(3)의 배면(3c)측까지 전송한 인화지(4)를 전면(3a)측에 전송하면서 인쇄하는 인화 동작과, 전면(3a)측에 전송된 인화지(4)를 다시 인화하기 위해서 배면(3c)측에 전송하는 종이 반환 동작과, 인화가 종료된 인화지(4)를 장치 본체(3)의 전면(3a)으로 배출하는 종이 배출 동작과 같은 여러 가지 동작을 실시한다.
공급 동작에서는,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환/주행 모터(180)에 가 정방향으로 구동되어, 플래튼 롤러(155)가 상승된다. 캡스턴 모터(181)가 정방향에서 구동되어, 2단 기어(221)가 도 32의 화살표 O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면, 2단 기어(221)와 결합되어 있는 제 5의 연결 기어 (222)를 통해 제 6의 연결 기어(223)가 도 32의 화살표 P방향에서 회전되어, 제 6의 연결 기어(223)와 같은 축으로 지지를 받고 있는 제 1의 스윙 기어(224)가 동일한 방향에서 스윙된다. 이에 의해, 제 1의 스윙 기어 (224)의 제 1의 기어부(224a)가 캡스턴 롤러(225)와 결합되어, 캡스턴 롤러(225)의 롤러 본체(225a)가 인화지(4)를 장치 본체(3)의 배면(3c)측으로 전송하는 도 32의 화살표 L방향에서 회전된다. 캡스턴 롤러(225)와 같은 축에서 지지를 받고 있는 제 2의 스윙 기어(228)에서는, 롤러 본체(225a)가 도 32의 화살표 L방향에서 회전되면, 암부(228a)가 동일한 방향으로 스윙되어, 기어부(228b)가 캠 기어(226)와 결합된다. 캠 기어(226)는, 기어부 (228b)를 통해 구동력을 전달받게 되면, 도 32의 화살표 Q방향에서 회전된다. 캠 기어(226)와 결합되어 있는 가압 레버(173)는, 가압부(173a)가 윗쪽으로 회전되어, 인화지 트레이(5)내에 수납되어 있는 인화지(4)를 종이 배송/배출 롤러(170)에 대해 가압한다.
한편, 캡스턴 롤러(225)의 롤러 본체(225a)와 결합되어 있는 제 7의 연결 기어(232)는, 캡스턴 롤러(225)가 도 33의 화살표 L방향에서 회전되면, 화살표 M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의해 제 7의 연결 기어(232)와 같은 축에서 지지를 받고 있는 제 3의 스윙 기어(233)에서는, 스윙 플레이트(233a)가 동일 방향으로 스윙되어, 제 1의 기어부(232b)가 종이 배송/배출 롤러(170)의 종이 배송/배출 기어(172)와 결합된다. 종이 배송/배출 롤러 (170)에서는, 제 1의 기어부(232b)를 통해 구동력이 전달되면, 종이 배송/배출 기어(172) 및 롤러부(170a)가 도 33의 화살표 N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때, 인화지 트레이(5)에 수납되어 있는 인화지(4)는, 종이 배송/배출 롤러(170)의 아래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종이 배송/배출 롤러(170)가 도 33 중 화살표 N방향으로 회전되어, 장치 본체(3)의 배면(3c)측으로 전송된다.
이와 같이,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화지 트레이(5)에 수납된 인화지(4)는, 장치 본체(3)의 배면(3c)측으로 전송되면, 캡스턴 롤러(225)및 핀치 롤러(230)의 사이에 삽입된다. 처리과정은 종이 반환 동작으로 이동되며, 캡스턴 롤러(225)가 도면의 화살표 L방향으로 회전되며, 인화지(4)를 장치 본체(3)의 배면(3c)측을 향해 계속 전송해 나간다.
종이 반환 동작에서, 프린터 장치(1)내에서는, 전환/주행 모터(180)가 정방향에서 더욱 회전되므로, 좌우 한 쌍의 캠 기어(195)에 의해 가이드 된 승강 플레이트(196)가 회전되어 플래튼 롤러(155)가 하강된다. 이에 의해,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 헤드(140)와 플래튼 롤러(155)가 서로 멀아지므로, 인화지(4)의 전송 공간이 생긴다. 캡스턴 롤러(225)가 도 37의 화살표 L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인화지(4)는 장치 본체(3)의 배면(3c)측으로 전송되어 간다. 인화지(4)가 소정의 위치까지 전송되면, 인화지(4)의 엣지(edge)를 검출하는 포토 센서와 캡스턴 롤러(225)의 회전을 카운트 하는 엔코더에 의해서 제어되어, 캡스턴 롤러(225)가 정지된다.
프린터 장치(1)에서는,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샤시(100)가 장치 본체(3)보다 전후방향에서 작게 형성되며, 장치 본체(3)의 배면벽으로부터 소정의 클리어런스(C)만큼 떨어진 위치에, 배면측 단면이 배치되어 있다. 이 클리어런스(C)에는, 장치 본체(3)의 배면(3c)측으로 전송된 인화지(4)가 메인 샤시(100)의 배면으로부터 분리되었을 경우에, 이 인화지(4)를 장치 본체(3)의 윗쪽으로 가이드 하는 활 모양의 가이드벽(236)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벽(236)의 만곡된 안쪽의 면이 장치 본체(3)의 전면(3a)측을 대향하도록 배치되므로, 장치 본체(3)의 배면(3c)측으로 전송되는 인화지(4)가 슬라이드하면서 윗쪽으로 가이드 된다. 이에 의해, 인화지(4)가 장치 본체(3)의 배면(3c)측으로 전송되면, 가이드벽(236)에 가이드 되면서 인화지(4)가 만곡하고 장치 본체(3)의 배면과 메인 샤시(100)사이의 클리어런스(C)내에 수납된다. 따라서, 프린터 장치(1)는, 전후방향에서 인화지(4)가 전송되더라도, 장치 본체(3)가 전후방향에서 증대하는 일없이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인화지(4)가 장치 본체(3)의 배면(3c)측에 전송되어 있을 때에, 전환/주행 모터(180)가 역방향으로 구동되어 잉크 리본(10)의 헤드 엣지가 발견된다. 그 후에, 예를 들면, 옐로우(Y)의 염료층(10b)이 열 헤드(140)와 플래튼 롤러 (155)와의 사이에 위치된다.
인화 동작에서, 프린터 장치(1)내에서는, 전환/주행 모터(180)가 정방향에서 더욱 구동되므로, 좌우 한 쌍의 캠 기어(195)가 더욱 회전되어, 캠 기어(195)에 의해 가이드 되는 승강 플레이트(196)가 회전되어, 플래튼 롤러(155)가 상승된다. 이에 의해,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 헤드 (140)와 플래튼 롤러(155)에 의해서 인화지(4)와 잉크 리본(10)이 샌드위치된다.
캡스턴 모터(181)는 역방향에서 구동되어 2단 기어(221)가 반화살표 O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면, 2단 기어(221)와 결합되어 있는 제 5의 연결 기어(222)를 통해 제 6의 연결 기어(223)가 반화살표 P방향에서 회전되며, 제 6의 연결 기어(223)와 같은 축으로 지지를 받고 있는 제 1의 스윙 기어(224)가 동일한 방향에서 스윙된다. 이에 의해, 제 1의 스윙 기어 (224)의 제 1의 기어부(224a)가 캡스턴 롤러(225)로부터 멀어지는 동시에, 제 2의 기어부(224b)가, 캡스턴 롤러(225)와 결합되어 캡스턴 롤러(225)의 롤러 본체(225a)가 인화지(4)를 장치 본체(3)의 전면(3a)측으로 전송하는 반화살표 L방향에서 회전된다.
캡스턴 롤러(225)의 롤러 본체(225a)와 결합되어 있는 제 7의 연결 기어(232)는, 캡스턴 롤러(225)가 반화살표 L방향에서 회전되면, 반화살표 M방향으로 회전되며, 이에 의해, 제 7의 연결 기어(232)와 같은 축으로 지지를 받고 있는 제 3의 스윙 기어(233)에서는, 스윙 플레이트(233a)가 동일한 방향에서 스윙되어, 제 1의 기어부(232b)가 종이 배송/배출 기어(172)로부터 멀어지며, 제 2의 기어부(232c)가 제 8의 연결 기어(234)와 결합된다.제 8의 연결 기어(234)는 종이 배송/배출 기어(172)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캡스턴 롤러(225)가 구동되면, 제 7의 연결 기어(232) 및 제 8의 연결 기어(234)를 통해 종이 배송/배출 롤러(170)가 회전된다.
제 8의 연결 기어(234)를 통해 제 7의 연결 기어(232)와 종이 배송/배출 기어(172)에 대해서는, 제 7의 연결 기어(232)가 반화살표 M방향으로 회전되면, 종이 배송/배출 기어(172) 및 롤러부(170a)가 화살표 N방향으로 회전된다. 캡스턴 롤러 및 핀치 롤러(230)사이에 삽입된 장치 본체(3)의 전면(3a)측으로 전송되는 인화지(4)는, 베이스 샤시(101)의 주면(110)에 배치된 플래퍼(flapper : 237)에 의해서 종이 배송/배출 롤러(170) 및 서브 롤러(171)사이에서 전송되도록 가이드 된다(도 39 참조). 따라서, 인화지(4)는 종이 배송/배출 롤러(170)의 윗쪽으로 전송되므로, 종이 배송/배출 롤러(170)는 화살표 N방향으로 회전되며, 그에 의해 장치 본체(3)의 전면(3a)으로부터 외부로 첨단부가 향하게 된다.
캡스턴 롤러(225)와 같은 축에 지지를 받고 있는 제 2의 스윙 기어 (228)에서는, 롤러 본체(225a)가 반화살표 L방향에서 회전되면, 암부(228a)가 동일한 방향으로 스윙되어, 기어부(228b)가 캠 기어(226)로부터 멀어지게 된다(도 35).
이상과 같이, 프린터 장치(1)에서는, 장치 본체(3)의 배면(3c)으로부터 전면(3a)측으로 인화지(4)가 전송되는 처리에서, 열 헤드(140)에 의해서 열전사를 실시하므로, 화상이 인쇄된다. 이러한 인쇄공정도는, 잉크 리본(10), 즉 옐로 우(Y), 진홍색(M), 시안(C)의 염료층(10b-10d) 및 보호층 (10e)을 인화지(4)에 열전사 함으로써 행해진다. 인화지(4)가 배면(3c)으로부터 전면(3a)으로 1회 전송될 때마다, 한 개의 염료층 또는 보호층에 대해서 열전사를 한다. 하나의 화상을 인쇄하기 위해서, 인화지(4)는 장치 본체(3)의 전면(3a)과 배면(3c)의 사이에서 4차례 왕복된다.
배면(3c)으로부터 전면(3a)으로 인화지가 4번 왕복 이동되고, 보호층 (10e)의 열전사가 완료되면, 절차는 종이 배출 동작으로 진행된다. 종이 배출 동작에서는, 전환/주행 모터(180)가 정방향에서 구동되므로 플래튼 롤러(155)가 하강되며, 인화지(4) 및 잉크 리본(10)을 삽입하고 있는 플래튼 롤러(155)와 열 헤드(140)가 분리된다. 그 후에, 인화 동작과 같이, 캡스턴 모터(181)가 구동되므로, 캡스턴 롤러(225)가 반화살표 L방향에서 회전되며, 종이 배송/배출 롤러(170)가 화살표 N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므로, 화상이 인쇄된 인화지(4)는, 종이 배송/배출 롤러(170) 및 서브 롤러(171)로부터 인화지 트레이(5)로 배출된다. 인화지(4)의 엣지를 센서에 의해 검출하여 인화지(4)가 배출되었다는 것이 판정되면, 캡스턴 모터(181)의 구동이 정지된다.
그 다음에, 프린터 장치(1)의 동작, 즉 잉크 리본 카트리지(2)의 장착으로부터 인화 동작, 잉크 리본 카트리지(2)의 배출에 이르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인화 동작전의 대기 동안에, 프린터 장치(1)내에서는, 베이스 샤시(101)의 전면벽(113)에 설치된 결합 부재와 상부 샤시(102)에 돌출된 제 1의 래치 돌기부(118)가 결합되므로, 트위스트 코일 용수철(116)의 바이어스 힘과 대항하면서 천판(6) 및 상부 샤시(102)가 닫혀지고 있다. 또, 프린터 장치(1)에서는, 전환 기구(190)의 승강 플레이트(196)가 도 27 의 화살표 J방향으로 스윙되어 플래튼 롤러(155)를 하강시키고 있다. 승강 플레이트(196)에서는, 결합판(198)의 윗쪽에 설치된 래치편(201)과 상부 샤시 (102)의 좌우 양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 2의 래치 돌기부(119)와의 결합이 해제되어 있다.
잉크 리본 카트리지(2)를 장착하는 경우, 장치 본체(3)의 전면(3a)에 설치된 오픈 버튼(107)이 슬라이드하여, 천판(6)을 윗쪽으로 회전시킨다. 오픈 버튼(107)이 이와 같이 슬라이드함으로써, 베이스 샤시(101)의 결합 부재와 상부 샤시(102)의 제 1의 래치 돌기부(118)와의 결합이 해제된다. 이에 의해, 트위스트 코일 용수철(116)에 의해서 상부 샤시(102) 및 천판(6)이 윗쪽으로 회전되어 잉크 카트리지 홀더(7)가 장치 본체(3)의 전면 (3a)측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대향하게 된다(도 2).
잉크 리본 카트리지(2)는, 카트리지 본체(13)의 전면부(13a)에 형성된 파지부(holding section : 32)가 지지되면,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에 삽입된다(도 3). 잉크 리본 카트리지(2)가 이와 같이 삽입되면, 좌우 양측면에 팽창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부(31)의 단면이 거의 정사각형이 되는 가이드 지지부(125)에 의해 상하면 및 측면상에서 지지를 받는다. 잉크 리본 카트리지(2)에 형성된 파지부(32)에 대해서는, 파지부(32)의 상부 표면에 이용자의 엄지가 배치되고, 파지부(32)의 아래쪽 면에 이용자의 집게 손가락이 배치되어 지지되므로,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에 대한 삽입 방향이 명확하게 지시하게 된다. 잉크 리본 카트 리지 홀더(7)에서는, 가이드부(31)의 아래쪽 면에 천설된 개구부(33)의 아래쪽에 돌출된 스풀 락 (61)의 피가압부(66)가 가이드 지지부(125)의 수납부(125a)에 가압된다. 이에 의해, 스풀 락(61)은, 탄성 결합편(64a, 64b)의 래칫부(65a, 65b)와 공급측 스풀(11) 및 권취측 스풀(12)의 각 래칫 기어(17, 17)와의 결합이 해제되어, 공급측 스풀(11) 및 권취측 스풀(12)이 회전 가능하게 된다. 잉크 리본 카트리지(2)에서는, 카트리지 본체(13)의 상부 표면(13b)에 설치된 가고정용 오목부(35)에,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의 연결부(126)보다 하부에 돌출된 가고정용 볼록부(131)가 결합된다. 이에 의해, 잉크 리본 카트리지(2)는,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내부에 임시적으로 배치된다. 이와 같이, 상부 샤시(102)가 베이스 샤시(101)측으로 밀폐되고, 잉크 리본 카트리지(2)가 인쇄 위치에 전송되었을 때에, 카트리지 본체(13)의 아래쪽 면부(13c)에 설치된 위치 결정구멍(72, 73)내에, 장치 본체(3)내에서 돌출된 제 1과 제 2의 위치 결정 볼록부(162, 163)를 삽입하는 것이 용이해 진다. 그러므로, 잉크 리본 카트리지(2)의 위치 결정을 쉽게 할 수 있다.
이 때,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의 연결부(126)에 형성되어 있는 보호판(132)이 윗쪽으로 회전하므로, 상부 샤시(102)에 설치되어 있는 열 헤드(140)가 가려지며, 전면(3a)으로부터 이용자의 눈에는 보이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인화 직후에, 보호판(132)은, 열 헤드(140)의 헤드부(143)가 이용자의 실수에 의한 접촉에 의해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하거나, 또는 이용자를 헤드부(143)에 우연히 접촉하여 발생되는 손상으로부터 보호한다(도 2).
이와 같이, 프린터 장치(1)는, 장치 본체(3)의 전면(3a)측으로부터 잉크 리본 카트리지(2)를 장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잉크 리본 카트리지가 장치 본체(3)의 측면으로부터 장착 및 분리되는 프린터 장치에 비해, 잉크 리본 카트리지(2)의 삽입 및 분리를위한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고, 설치 장소의 공간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장치 본체(3)의 좌우 양측면에 잉크 리본 카트리지(2)의 삽입 및 분리 포트가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프린터 장치(1)에서는, 좌우 양측면부에 잉크 리본(10)의 주행 기구(210)와 인화지(4)의 전송 기구(220)를 배치할 수 있으므로, 장치 본체(3)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천판(6)을 닫으면,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에 장착된 잉크 리본 카트리지(2)는, 장치 본체(3)의 인쇄 위치로 전송된다. 잉크 리본 카트리지(2)는, 카트리지 본체(13)의 배치면(70)에 천설된 위치 결정구멍(72, 73)내에, 장치 본체(3)내에 배치된 카트리지 지지 유니트(160)로부터 돌출된 제 1과 제 2의 위치 결정 볼록부(162, 163)가 삽입되어 인쇄 위치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이 도모된다.
구체적으로, 천판(6)이 닫혀지면, 톱 커버(102)의 전면측에 설치된 제 1의 래치 돌기부(118)가, 베이스 샤시(101)의 전면벽(113)에 배치된 래치부재에 의해 래치되므로, 트위스트 코일 용수철(116)의 바이어스 힘에 대항하면서 장치 본체(3)가 닫혀진다. 이 때, 상부 샤시(102)에 장착된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에서는, 연결부(126)에 설치된 보호판(132)이 상부 샤시(102)와 연결부(126)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가압편(133)이 항상 연결부(126)에 대해서 보호판(132)을 윗쪽으 로 회전시키는 바이어스 힘을 가지므로, 보호판(132)은, 상부 샤시(102)에 의해서 가압편(133)에 의한 바이어스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가압된다. 이 때문에 가압편(133)의 바이어스 힘은 반대 방향에서 작용하며, 즉,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 및 잉크 리본 카트리지(2)에 대해서 하부 방향으로 작용하며, 카트리지 본체 (13)를 장치 본체(3)내의 카트리지 지지 유니트(160)에 가압한다. 카트리지 본체(13)내에서는, 배치면(70)이 카트리지 지지 유니트(160)의 지지면부 (166)에 의해 확실히 지지를 받아, 장치 본체(3)내에서 위치 결정이 실행된다. 동시에, 카트리지 본체(13)를 구성하는 상부 쉘(21)과 하부 쉘(22)이 서로 인접하는 방향에서 바이어스된다. 그러므로, 하부 쉘(22)에 형성되어, 공급측 스풀(11) 및 권취측 스풀(12)의 각 지축부(16) 및 돌기부(18)를 지지하는 베어링부(25-28)의 지지벽(42)은, 지지벽(42)에 대응하는 상부 쉘(21)에 형성된 지지편(43-46)에 밀착되어 있다. 이러한 인접 구성에 의해, 공급측 스풀(11) 및 권취측 스풀(12)의 각 지축부(spindle sections : 16) 및 돌기부(18)는, 각 베어링부(25-28) 및 지지편(43-46)에 의해 모든 방향에서 지지를 받으므로, 공급측 스풀 수납부(23) 혹은 권취측 스풀 수납부(24)의 크기가 정확하게 될 수 있다(도 8).
잉크 리본 카트리지(2)는, 배치면(70)에 천설된 ID홀(74)의 상태, 즉, 카트리지 지지 유니트(160)에 설치된 검출 스위치(164)에 의해서 개방 또는 밀폐되었는 지를 검출하여, 형태 판별을 한다. 예를 들면 폭이 넓은 잉크 리본(10W)이 감겨져 있는지, 혹은 폭이 좁은 잉크 리본(10N)이 감겨져 있는 지를 검출하여 형태 판별을 한다.
잉크 리본 카트리지(2)가 장치 본체(3)의 인쇄 위치로 전송되면, 상부 샤시(102)도 천판(6)과 함께 베이스 샤시(101)측으로 회전되며, 카트리지 본체(13)의 공급측 스풀 수납부(23)와 권취측 스풀 수납부(24)와의 사이에 설치된 개구부(40)에, 상부 샤시(102)에 설치된 열 헤드(140)와 베이스 샤시(101)의 주면(110)으로부터 돌출된 리본 가이드(165)가 삽입된다. 따라서 공급측 스풀(11)과 권취측 스풀(12)에서 개구부(40)까지 연장되어 배치된 잉크 리본(10)에 대해서는, 열 헤드(140) 및 리본 가이드(165)의 가이드 롤러(168)에 의해서, 장치 본체(3)내에 있어서의 주행로가 되는 리본 패스가 형성된다. 즉, 잉크 리본 카트리지(2)는,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에 장착되어 인쇄 위치로 전송되면, 리본 패스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잉크 리본 카트리지(2)는, 미리 장치 본체(3)내에 있어서의 리본 패스를 구성해 둘 필요가 없고, 또 인쇄 위치에 장착된 후에, 리본 패스를 형성하는 동작이나 이 동작을 담당하는 부재를 마련할 필요가 없다.
구체적으로, 잉크 리본(10)은, 열 헤드(140)가 개구부(40)에 삽입되면, 헤드부(143)의 배면측에 형성된 헤드 커버(148)와 헤드부(143)의 전면 측에 형성된 커버 부재(149)에 의해 가이드 된다. 이와 같이 가이드되어, 잉크 리본(10)은, 헤드부(143)와 거의 동일한 높이에서 지지되며, 수평 방향으로 주행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잉크 리본(10)은, 전송 기구 (220)에 의해서 배면(3c)측으로부터 전면(3a)측으로 전송되는 인화지(4)와 거의 평행하게 배치된다. 그러므로, 잉크 리본(10)은 인화지(4)에 밀착되어, 인화 특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 베이스 샤시(101)의 주면 (110)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리본 가이드(165)가 열 헤 드(140)가 배치된 반대 방향으로부터 개구부(40)에 삽입되므로, 잉크 리본(10)은, 리본 가이드(165)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롤러(168)에 의해서 헤드부(143)와 거의 동일한 높이로부터 권취측 스풀 수납부(24)의 슬릿(50)과 거의 동일한 높이까지 가파르게 배치된다. 따라서, 잉크 리본(10)은 인화지(4)로부터 효율적으로 박리될 수 있다. 즉, 헤드부(143)에 가열되어 인화지(4)에 열전사된 후에, 커버 부재(149)에 가이드 되면서 냉각된 후, 가파르게 배치된다.
이 때, 열 헤드(140)와 플래튼 롤러(155)는 소정의 거리를 가지고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열 헤드(140)의 양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접동편 (150)에서는, 슬라이드 접촉부(151)가, 플래튼 롤러(155)의 세로 방향의 양단부에 설치된 플랜지부(156)와 소정의 거리를 가지고 대향되어 있다(도 30a).
잉크 리본 카트리지(2)가 인쇄 위치에 장착되면, 장치 본체(3)내에 설치되어 있는 잉크 리본 주행 기어(212)의 제 2의 기어부(212d)가, 권취측 스풀 수납부(24)에 형성된 기어용 개구부(48)로부터 외부로 대향되어 있는 래칫 기어 (17)와 결합되므로, 권취측 스풀(12)이 자유롭게 회전된다(도 26). 이 때, 장치 본체(3)내에 설치된 권취 기어(138)가, 공급측 스풀 수납부(23)에 형성된 기어용 개구부(47)로부터 외부로 대향하는 래칫 기어(17)와 결합된다(도 22).
잉크 리본 카트리지(2)에서는,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의 가이드 지지부(125)에 의해 지지를 받는 가이드부(31)사, 카트리지 본체(13)의 측면보다 더 높은 위치에서, 카트리지 본체(13)의 측면을 향하여 팽창된다. 이에 의해, 가이드부(31) 및 이것을 지지하는 가이드 지지부(125)의 하부에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프린터 장치(1)에서는, 이러한 가이드 지지부 (125)의 하부에, 잉크 리본 주행 기어(212)의 제 2의 기어부(212d), 캡스턴 롤러(225)의 롤러 본체(225a) 및 핀치 롤러(230)의 양단부가 위치되어 있다. 이러한 공간을 활용함으로써, 장치 본체(3)의 소형화가 실현된다.
그 다음에, 화상의 인쇄 동작으로 이동된다. 인쇄 동작에서는, 먼저 인화지 트레이(5)가 장치 본체(3)의 전면(3a)측에 형성된 개구부(8)에 장착된다. 이 때 인화지 트레이(5)내에는, 트레이 저면에 가압 레버 (173)의 가압부(173a)가 삽입된다(도 38). 그 다음에, 조작 패널(104)을 조작하여, 각종 기록 미디어나 PC 등으로부터 전송된 화상이 표시되는 LCD 패널(105)로부터, 인쇄 화상이나 크기, 매수, 화질 등을 선택하여, 인쇄를 개시한다.
인쇄 개시의 조작이 실행되면, 먼저 인화지 트레이(5)에 수납되어 있는 인화지(4)의 공급 동작을 실행한다. 공급 동작에서는,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환/주행 모터(180)가 정방향으로 구동되며, 플래튼 롤러 (155)가 상승시키는 방향에서 승강 플레이트(196)가 회전된다. 이에 의해, 캡스턴 롤러(225)와 같은 축으로 지지를 받으며, 캠 기어(226)와 결합되어 있는 제 2의 스윙 기어(228)에서는, 암부(228a)가 윗쪽으로 스윙가능하며, 기어부(228b)가 캠 기어(226)와 결합된다.
그 다음에, 캡스턴 모터(181)가 정방향으로 구동되므로, 캡스턴 롤러(225)가 도 32의 화살표 L방향에서 회전되며, 종이 배송/배출 롤러(170)가 도 33의 화살표 N방향에서 회전된다. 또, 캡스턴 롤러(225)가 화살표 L방향에 회전되므로, 제 2의 스윙 기어(228)의 암부(228a)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어, 기어부(228b)가 캠 기어(226)와 결합된다. 캠 기어(226)가 도 32의 화살표 Q방향에서 회전되므로, 캠 기어(226)의 캠 그루브와 결합되어 있는 가압 레버(173)에서는, 가압부(173a)가 윗쪽으로 회전되며, 인화지 트레이(5)내에 수납되어 있는 인화지(4)를 종이 배송/배출 롤러(170)에 가압한다.
따라서, 인화지 트레이(5)에 수납된 인화지(4)가운데, 맨 위의 인화지(4)가 종이 배송/배출 롤러(170)의 롤러부(170a)에 의해서 장치 본체(3)내에 공급되어, 캡스턴 롤러(225) 및 핀치 롤러(230)로 전송된다. 이 때, 인화지(4)는, 베이스 샤시(101)의 주면(110)에 배치된 플래퍼(237)의 아래쪽으로 전송된다.
공급 동작 후에, 종이 반환 동작으로 이동된다. 종이 반환 동작에서는, 전환/주행 모터(180)가 정방향에서 구동되므로, 플래튼 롤러(155)가 하강되며, 열 헤드(140)와의 사이에 인화지(4)의 전송 공간을 형성한다(도 30a). 그리고 캡스턴 롤러(225)가 도 37의 화살표 L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인화지(4)는 장치 본체(3)의 배면(3c)측으로 전송된다. 인화지(4)가 소정의 위치까지 전송되면, 인화지(4)의 엣지를 검출하는 포토 센서와 캡스턴 롤러(225)의 회전을 카운트하는 엔코더에 의해서 제어되어 캡스턴 롤러(225)가 정지된다.
인화지(4)가 장치 본체(3)의 배면(3c)측으로 전송되어 있을 때에, 전환/주행 모터(180)가 역방향에서 구동되므로, 잉크 리본(10)의 헤드 엣지가 발견된다. 그리고, 예를 들면 옐로우(Y)의 염료층(10b)이 열 헤드(140)와 플래튼 롤러(155) 사이에 위치된다.
캠 기어(226)는, 제 2의 스윙 기어(228)의 기어부(228b)에 의해서 회전되므 로, 기어부(228b)와 결합되지 않는 부분으로 회전되면, 회전이 정지한다. 이 때, 가압 레버(173)의 가압부(173a)가 윗쪽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종이 반환 동작에서, 좌측 승강 플레이트(196b)의 암부(196c)가 하부로 회전되면, 캠 기어(226)는 스토퍼편(229)를 통해 가압되어, 역방향에서 약간 회전된다. 제 2의 스윙 기어(228)에서는, 암부(228a)가 하부로 회전되므로, 캠 기어(226)와 기어부(228b)가 다시 캠 기어(226)와 결합 가능한 상태로 된다. 캠 기어(226)가 역방향에서 회전하므로, 가압 레버 (173)는, 캠 기어(226)의 캠 그루브와의 결합이 일단 해제되어 코일 용수철의 바이어스 힘에 의해 가압부(173a)가 하부로 회전된다.
종이 반환 동작 이후에, 인화 동작으로 이동된다. 인화 동작에서는, 전환/주행 모터(180)가가 정방향에서 더욱 구동되므로, 플래튼 롤러 (155)가 상승되어 열 헤드(140)의 헤드부(143)와 함께 잉크 리본(10) 및 인화지(4)의 첨단부를 고정하게 된다. 이 때, 열 헤드(140)의 양측에 설치된 접동편(sliding pieces : 150)의 슬라이드 접촉부(151)에 플래튼 롤러 (155)의 회전축(155a)에 설치된 플랜지부(156)가 슬라이드 접촉된다. 이에 의해, 플래튼 롤러(155)는, 플랜지부(156)가 접동편(150)에 의해 가이드 되므로, 열 헤드(140)의 헤드부(143)와 높은 정확도를 가지고 대향하고 인접할 수 있다(도 30b).
다음에, 캡스턴 모터(181)가 역방향에서 구동되어, 캡스턴 롤러(225)의 롤러 본체(225a)가 인화지(4)를 장치 본체(3)의 전면(3a)측으로 전송하는 반화살표 L방향에서 회전하며, 인화지(4)를 전면(3a)측으로 전송하면서 열 헤드(140)에 의해서 옐로우(Y)의 염료층(10b)의 열전사를 실시한다. 잉크 리본(10)에 대해서는, 전환 /주행 모터(180)가 역방향에서 구동되고, 주행 기어(212)가 구동되므로 권취측 스풀이 도 1의 화살표 D방향으로 회전되어 잉크 리본(10)이 주행된다.
잉크 리본(10)은, 공급측 스풀 수납부(23) 및 권취측 스풀 수납부 (24)에 간헐적으로 형성된 복수의 리브(41)에 의해서 지지를 받고 있으므로, 카트리지 본체(13)내에서 부드럽게 주행할 수 있다.
인화 동작 이후에, 종이 반환 동작으로 이동되며, 인화지(4)를 배면 (3c)측으로 전송한다. 이 때, 전환/주행 모터(180)가 정방향에서 구동되고 플래튼 롤러(155)가 하강되어 열 헤드(140)와의 사이에 인화지(4)의 전송 공간을 형성한다. 캡스턴 롤러(225)가 도 37의 화살표 L방향으로 회전되면, 인화지(4)가 장치 본체(3)의 배면(3c)측으로 전송된다. 종이 반환 동작중에, 잉크 리본 (10)의 헤드 엣지가 발견되며, 진홍색(M)의 염료층 (10c)이 열 헤드(140)와 플래튼 롤러(155) 사이에 위치된다.
절차는 인화 동작으로 이동하며, 플래튼 롤러(155)가 상승되어, 인화지(4)가 전면(3a)측으로 전송되면서 진홍색(M)의 염료층의 열전사를 한다. 진홍색(M)의 인화가 종료하면, 종이 반환 동작으로 이동하고, 플래튼 롤러 (155)가 하강되어 인화지(4)가 배면(3c)측으로 전송되며 동시에, 잉크 리본 (10)이 주행되어 시안(C)의 염료층(10d)의 헤드 엣지가 발견된다. 이와 같이, 플래튼 롤러(155)가 상승되어 인화지(4)가 전면(3a)측으로 전송되면서 시안(C)의 염료층의 열전사를 한다. 시안(C)의 인화가 종료하면, 종이 반환 동작으로 이동하고, 플래튼 롤러(155)가 하강되어 인화지(4)가 배면 (3c)측으로 전송되며 동시에, 잉크 리본(10)이 주행되어 보 호층(10e)의 헤드 엣지가 발견된다. 보호층(10e)으로의 전사 동작이 종료하면, 처리는 배출동작으로 이동한다. 종이 배출 동작에서는, 플래튼 롤러(155)가 하강되어 열 헤드(140)와 플래튼 롤러(155)가 인화지(4)의 삽입을 중지한다. 캡스턴 롤러(225)의 롤러 본체(225a)가, 인화지(4)를 장치 본체(3)의 전면 (3a)측으로 전송하는 방향, 즉 반화살표 L방향에서 회전하는 동시에, 종이 배송/배출 기어(172)가 종이 배송/배출 롤러(170)를 장치 본체(3)의 외부로 배출하는 방향, 즉 도면의 화살표 N방향에서 회전한다. 캡스턴 롤러(225)에 의해서 장치 본체(3)의 전면(3a)측으로 전송되는 인화지(4)는, 베이스 샤시(101)의 주면(110)에 배치된 플래퍼(237)에 의해서 종이 배송/배출 롤러(170) 및 서브 롤러(171) 사이에서 전송되도록 가이드 된다(도 39).따라서, 인화지(4)는 종이 배송/배출 롤러(170)의 윗쪽으로 전송되므로, 종이 배송/배출 롤러(170)는 화살표 N방향으로 회전되어, 장치 본체(3)의 전면(3a)으로부터 외부를 향하게 되며, 인화지 트레이(5)로 배츨된다. 인화지(4)가 이와 같이 배출되면, 캡스턴 모터(181)의 구동이 정지되어 다음의 인쇄 개시의 조작을 기다린다.
이와 같이, 프린터 장치(1)에 의하면, 열 헤드(140)에 대해서 플래튼 롤러(155)를 인접 또는 멀어지도록 배치하며, 캡스턴 롤러(225)의 회전 방향으로 따라 인화지(4)를 배면 방향 및 전면 방향으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플래튼 롤러(155)의 승강 및 캡스턴 롤러(225)의 회전 방향의 조합에 따라, 종이 공급 동작, 종이 반환 동작, 인화 동작, 배출 동작의 각 모드를 실현하고 있다.
잉크 리본(10)을 완전히 사용한 후에, 교환하기 위해, 잉크 리본 카트리 지(2)를 장치 본체(3)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 장치 본체(3)의 전면(3a)에 설치된 오픈 버튼(107)을 슬라이드시킨다. 오픈 버튼(107)은, 상부 샤시 (102)의 제 1의 래치 돌기부(118)와 결합되어 있는 래치부재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오픈 버튼을 슬라이드 조작하면, 래치부재와 제 1의 래치 돌기부(118)의 결합이 해제된다. 따라서, 상부 샤시(102)는, 트위스트 코일 용수철(116)의 바이어스 힘을 받을 때에 베이스 샤시(101)의 윗쪽으로 회전된다(도 16).
이 때, 프린터 장치(1)에서는, 인화 동작이 종료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인화지(4)를 배출하기 위해 플래튼 롤러(155)가 하강되어 있다. 이것은, 플래튼 롤러(155)를 승강조작하는 승강 플레이트(196)에서는, 결합판 (198)에 설치된 래치편(201)과 상부 샤시(102)의 좌우 양측면에 형성된 제 2의 래치 돌기부(119)와의 결합은 해제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부 샤시(102)가 베이스 샤시(101)의 윗쪽으로 회전되면,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는, 상부 샤시(102)에 설치된 연결 부재(135)의 암부 (135a)로부터 돌출된 회전 돌기부(136)에 래치되어 윗쪽으로 회전되어, 장치 본체(3)의 전면(3a)측으로부터 외부로 대향하게 된다. 연결 부재 (135)의 회전 돌기부(136)는, 상부 샤시(102)가 베이스 샤시(101)를 밀폐 한 위치로부터 윗쪽으로 어느 정도 회전된 후에 지지편부(127)에 래치되어,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를 회전시킨다. 상부 샤시(102)가 윗쪽으로 회전하기 시작하고 나서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가 윗쪽으로 회전되기 시작할 때까지, 연결 부재(135)의 암부(135a)에 형성된 기어부(137)는, 베이스 샤시(101)내에 설치된 권취 기어(138)를 도 21의 화살표 C방향으로 회 전시킨다. 권취 기어(138)가 이와 같은 방향에서 회전되므로, 권취 기어 (138)의 대경 기어(138b)와 결합되어 있는 공급측 스풀(11)의 래칫 기어 (17)는, 도 21의 화살표 C방향에서 회전된다. 이것은, 공급측 스풀(11)이, 잉크 리본(10)을 인출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며, 권취측 스풀(12)로 가는 경로상에서 느슨해진 잉크 리본(10)을 꺼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의해, 잉크 리본 카트리지(2)는, 천판(6)이 개방된 후에, 즉시 배출될 수 있다.
잉크 리본 카트리지(2)는, 장착시와 같이 지지되어 있는 파지부(32)에 의해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로부터 인출된다.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로부터 인출된 잉크 리본 카트리지(2)는, 스풀 락(61)의 탄성 결합편(64)에 형성된 래칫부(65)가 공급측 스풀(11) 및 권취측 스풀(12)의 각 래칫 기어(17)에 결합하기 때문에, 리사이클용(recycling) 또는 폐기시에 잉크 리본(10)을 인출하는 방향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제어되어 잉크 리본 (10)의 느슨해짐이 방지된다.
이상, 본 발명이 적용된 프린터 장치에 대해 설명해 왔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것처럼,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 및 상부 샤시(102)가 각각 지지 돌기부(117)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를 받으며,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가 상부 샤시(102)와, 연결 부재(135)의 회전 돌기부(136)를 통해 연결되므로, 베이스 샤시(101)의 윗쪽으로 회전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구성으로서는,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또는 비디오 카메라에 이용되는 팝업식(pop-up)의 비디오 카세트 홀더와 같이, 팬터그래프(pantograph) 기구나 링크(link)기구를 포함하는 승강기구가,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 또는 상부 샤시(102) 또는 양쪽 모두를 베 이스 샤시(101)에 대해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가 연결 부재 (135)에, 회전 돌기부(136)를 통해 연결되며, 상부 샤시(102)가 윗쪽으로 이동하면,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도 윗쪽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구성만이 단지 가능한 구성은 아니며, 상부 샤시(102)와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가 연결되는 일없이, 따로 따로 이동하도록 해도 괜찮다. 이러한 프린터 장치에서는, 상부 샤시(102)가 윗쪽으로 이동하면,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의 이동 공간이 생겨 윗쪽으로 이동 가능해진다. 상부 샤시 (102)를 눌러 내리면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도 간접적으로 눌러 내릴 수 있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며 그 자세한 것은 생략한다.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프린터 장치(1)의 메인 샤시(240)는, 베이스 샤시(241)와 천판(6)에 접속되어, 베이스 샤시(241)에 대해서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상부 샤시(242)를 갖춘다.
상부 샤시(242)는, 상기 연결 부재(135)를 가지지 않고,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246)로부터 개별적으로 베이스 샤시(101)에 대해서 윗쪽으로 회전되도록 바이어스된다. 이러한 바이어스는 지지 돌기부 (117)를 기준으로 하여 트위스트 코일 용수철(116)에 의해 인가된다. 상부 샤시(242)의전면(242a)측에는 제 1의 락편(first lock piece : 243)이 설치되어 있다.제 1의 락편(243)은, 트위스트 코일 용수철(116)의 바이어스 힘에 대항하면서, 상부 샤시(102)를 베이스 샤시(241)에 대해서 밀폐시키는 것이다. 상부 샤시(102)는, 제 1의 락편(243)에 대응하여 베이스 샤시(241)에 형성된 상부 샤시 로크부(244)에 래치되므로, 제 1의 락편(243)에 의해 밀폐된다. 제 1의 락편(243) 혹은 상부 샤시 로크부(244)가 슬라이드 조작되면, 제 1의 락편(243)과 상부 샤시 로크부(244)의 결합이 해제되어, 상부 샤시(102)는 윗쪽으로 회전 가능해진다. 상부 샤시(242)의 회전 영역은, 상부 샤시 (102)와 같이, 베이스 샤시(241)에 형성된 회전 규제편(120)에 래치편 (121)이 래치되어 규제된다. 상부 샤시(242)는,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단이 베이스 샤시(241)에 래치된 회전 규제 암(245)의 일단과 결합되므로, 회전 영역을 규제할 수도 있다.
베이스 샤시(241) 및 상부 샤시(242)의 사이에 배치된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246)는, 베이스 샤시(241)로 가는 경로상에 설치된 승강기구 (247)에 의해 베이스 샤시(241)에 대해서 승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승강기구(247)은, 도 40 및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좌우 측면상에서 한 쌍의 승강 암이 교차해서 설치되는 이른바 팬터그래프 구조이다. 구체적으로, 승강기구(247)에는, 좌우 측면상에, 각각 제 1의 승강 암(248)과 제 2의 승강 암(249)이 장착되어 있다.
제 1의 승강 암(248)의 일단은 베이스 샤시 241)에 설치된 지지판 (250)의 배면 측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래치되며, 타단은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246)의 측면에 천설된 슬릿(251)에 래치되어 있다. 지지판(250)은, 베이스 샤시(241)의 양측면 근방에 배치된 거의 직사각형 판이며, 세로 방향에서 베이스 샤시(241)의 측벽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슬릿(251)은,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246)의 측면 부에 잉크 리본 카트리지(2)의 삽입 및 분리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제 1의 승강 암(248)의 타단에는,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지 않는 샤프트 및 이 샤프트를 수납하는 롤러 베어링이 설치되므로, 슬릿(251)을 부드럽게 이동시킬 수 있다.
제 2의 승강 암(249)의 일단은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246)의 측면의 배면 측에서 회전이 자유롭도록 래치되며, 타단은 상기 지지판(250)의 슬릿(252)에 래치되어 있다. 제 2의 승강 암(249)의 타단에는,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지 않는 샤프트 및 이 샤프트를 수납하는 롤러 베어링이 설치되므로, 슬릿(252)을 부드럽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 슬릿(252)은, 지지판 (250)의 세로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지지판(250)에는, 슬릿(252)의 근방에서 돌출하는 돌기부(253)가 설치되며, 용수철 부재(254)가 제 2의 승강 암의 타단과 돌기부(253)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 2의 승강 암(249)의 타단부가 항상 베이스 샤시(241)의 배면 측을 향해 바이어스되어 있다.
제 1과 제 2의 승강 암(248, 249)은, 각각 세로 방향의 거의 중간부에서 교차하며 동시에 회전 가능하게 래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용수철 부재(254)의 바이어스 힘을 전달받은 제 2의 승강 암(249)의 타단이 베이스 샤시(241)의 배면측으로 슬라이드되면, 승강기구 (247)는 잉크 리본 카트리지(7)를 윗쪽으로 이동시킨다. 용수철 부재(254)의 바이어스 힘과 대향하면서 제 2의 승강 암(249)의 타단이 베이스 샤시(241)의 전면측으로 슬라이드되면, 승강기구(247)는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246)를 베이스 샤시 (241)의 내부로 하강시킨다.
승강기구(247)에 의해서 승강 조작되는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 (246)에는, 전면부에 제 2의 락편(255)이 설치되어 있다. 제 2의 락편 (255)은, 베이스 샤시(241)에 제 2의 락편(255)에 대응하여 형성된 홀더 락부(256)에 래치되므로, 용수철 부재(254)의 바이어스 힘에 대항하면서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246)를 베이스 샤시(241)측으로 하강시킨 상태로 보관 유지하는 것이다. 제 2의 락편(255) 혹은 홀더 락부(256)의 슬라이드 조작에 대응하여 제 2의 락편(255)과 홀더 락부(256)의 결합이 해제되면,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246)는, 윗쪽으로 이동 가능해진다.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246)의 상승 영역은, 베이스 샤시(241)에 대해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제어에 의해 규제된다. 이러한 규제는, 상술한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와 같이, 래치 돌기부(128)가 긴 구멍(129)과 결합되어 자유롭게 이동하며, 래치 돌기부(128)가 긴 구멍(129)의 상단에 래치되는 인가된다.
이러한 프린터 장치(1)에서는, 도 4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의 락편(243)과 상부 샤시 로크부(244)와의 결합이 해제되면, 상부 샤시(242)가 트위스트 코일 용수철(116)의 바이어스 힘에 의해 윗쪽으로 회전된다. 제 2의 락편(255)과 홀더 락부(holder lock section : 256)의 결합이 해제되면, 용수철 부재(254)의 바이어스 힘을 전달받은 승강기구(247)에 의해서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246)가 상승된다. 이 때, 상부 샤시(242)에서는, 래치편(121)이 회전 규제편(120)에 의해 래치되며,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246)에서는, 래치 돌기부(128)가 긴 구멍(129)의 상단에 래치된다. 따라서, 도 4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샤시(241)에 대해서 상부 샤시 (242)가 예각에서 회전되며, 베이스 샤시 (241) 및 상부 샤시(242)의 사이에서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246)가 전면측으로부터 외부로 대향하게 된다.
프린터 장치(1)에서는, 상부 샤시(242)의 락 해제와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246)의 락 해제가 관련되어 있으므로, 상부 샤시(242)가 회전되면, 동시에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246)가 상승한다. 예를 들면, 장치 본체(3)에 설치된 오픈 버튼(107)이 제 1의 락편(243)과 연결되어 상부 샤시 로크부(24)에 결합되며, 플런저(plunger) 기구에 의해서 제 2의 락편 (255)이 홀더 락부(256)에 결합된다. 오픈 버튼(107)을 조작하면, 제 1의 락편(243)이 슬라이드되어, 상부 샤시 로크부(244)와의 결합을 해제한다. 동시에, 플런저 기구에 의해 전력 공급이 이루어져, 제 2의 락편(255)의 보관 유지력을 제거하며, 제 2의 락편(255)과 홀더 락부(256)의 결합을 해제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프린터 장치(1)에서는, 상부 샤시(242)의 락 해제와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246)의 락 해제를 연동시키지 않고, 각각 락 해제 버튼을 제공하여 별개의 조작에 의해 락 해제를 실시하도록 해도 괜찮다.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246)내에 잉크 리본 카트리지(2)가 장착되면, 도 4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샤시(242)가 베이스 샤시(241)측을 향하여 가압된다.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246)도 상부 샤시(242)에 가압되어 하강되며, 잉크 리본 카트리지(2)가 인쇄 위치로 이동된다. 상부 샤시(242)가 베이스 샤시(241)측으로 가압되므로, 제 1의 락편(243)은 상부 샤시 로크부(244)와 결합되며, 상부 샤시(242)가 트위스트 코일 용수철 (116)의 바이어스 힘에 대항하면서 베 이스 샤시(241)를 밀폐시킨다. 상부 샤시(242)에 의해서 하강된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246)에서는, 제 2의 락편(255)과 홀더 락부(256)의 결합에 의해, 용수철 부재(254)의 바이어스 힘에 대항하면서 제 2의 승강 암(249)의 타단이 슬릿(252)의 전면측으로 이동된다. 이에 의해,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246)는, 잉크 리본 카트리지(2)를 인쇄 위치로 전송한다.
프린터 장치(1)에서는, 잉크 리본 카트리지(2)가 상부 샤시(242)에 의해서 베이스 샤시(241)측으로 가압되지 않는다. 즉, 잉크 리본 카트리지(2)가 장착되면, 이용자에 의해서 먼저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246)는 베이스 샤시(241)측으로 눌려지며, 그 다음에 상부 샤시(242)를 베이스 샤시 (241)측으로 눌러 밀폐한다.
이와 같이, 상부 샤시(242)와는 별도로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 (246)의 승강기구(247)가 제공되며, 상부 샤시(242)를 로크하는 제 1의 락편(243) 및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246)를 로크하는 제 2의 락편(255)이 제공된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확실히 로크할 수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246)를 로크하는 플런저 기구가 프린터 장치(1)의 동작중에 락 해제를 할 수 없게 제어하여, 프린트 동작중에 잘못하여 상부 샤시(242)가 윗쪽으로 회전되었을 경우에도, 상부 샤시(242)와 함께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246)도 상승하지 않으며, 주행중의 잉크 리본(10)의 방해 전파나, 전송중의 인화지(4)의 종이 걸림(jamming)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메인 샤시(240)는, 상기 메인 샤시(100)와 같이, 구성된다. 즉, 상부 샤 시(102) 및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가, 모두 베이스 샤시(101)로부터 돌출된 지지 돌기부(117)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그러나, 팬터그래프 기구와 같은 승강기구(247)에 의해서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246)가 승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잉크 리본 카트리지(2)의 삽입 및 분리 위치에서, 메인 샤시(241)에 대한 경사 각도를 크게 취할 필요가 없다. 즉, 메인 샤시(100)에는, 상부 샤시(102) 및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가, 모두 지지 돌기부(117)에 의해서 같은 축에서 회전되어 승강 조작된다. 그러므로, 베이스 샤시(101)에 대해서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를 잉크 리본 카트리지(2)가 삽입 및 분리되는 위치까지 회전시키면, 상부 샤시(102)의 회전량은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의 회전량보다 크게 취할 필요가 있으므로, 메인 샤시(101)에 대한 회전량이 커진다. 한편,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246)가 승강기구(247)에 의해서 승강되는 경우에, 잉크 리본 카트리지(2)의 삽입 및 분리가 가능한 높이까지 상승시켰을 때에도 상부 샤시 (242)의 회전량을 크게 취하는 일없이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프린터 장치(1)는, 상부에서 천판(6) 및 상부 샤시(242)의 회전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는 소형의 구성으로 설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와 같이 형성된 구조내의 한 위치 즉, 선반의 중간 또는 하단에 최종 프린터 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 샤시(100)를 갖춘 프린터 장치(1)는 승강 기구를 갖추지 않고, 상부 샤시(102) 및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는 지지 돌기부 (117)주위에서 같은 축상에 회전되며, 연결 부재(135)를 이용해 상부 샤시 (102)의 회전에 따라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7)를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부품 점수도 적고, 또 심플한 구성으로 상승 조작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된 프린터 장치에는, 상술한 것처럼, 상부 샤시(102, 242)측에 열 헤드(140)가 설치되며, 베이스 샤시(101, 241)측에는, 리본 가이드(165)가 설치된다. 이것은 한정된 사실이 아니며, 상부 샤시(102, 242)측에 리본 가이드(165)가 제공될 수 있으며, 베이스 샤시(101, 241)측에 열 헤드(140)가 제공될 수 있다. 어느 구성에서도, 잉크 리본 카트리지(2)가 장치 본체(3)내의 인쇄 위치에 이동되며, 카트리지 본체 (13)에 설치된 개구부(40)내에 열 헤드(140) 및 리본 가이드(165)가 삽입되므로, 리본 패스가 형성된다.
게다가, 본 발명이 적용된 프린터 장치는, 인화지(4)가 복수 수납된 인화지 트레이(5)가 장착되어, 전송 기구에 의해 자동적으로 장치 본체내에 전송하는 상술한 구성 이외에도,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할 때마다 인화지(4)를 한 장씩 장치 본체내에 삽입해 나가도록 해도 괜찮다.
본 발명의 첨부된 청구항과 그와 동등한 것들의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수정과 결합, 소결합 및 변경들이 설계요구 및 다른 인자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들이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잉크 리본 카트리지 및 잉크 리본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프린터 장치에 의하면, 잉크 리본 카트리지는,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에 대해서 삽입과 분리가 원만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것은, 잉크 리본 카트리지의 거의 정사각형과 같이 보이는 단면을 가지는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에 형성된 가이드 지지부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아래쪽 면, 측면 및 표면이 지지를 받게 되기 때문이다.
또, 가이드부는, 잉크 리본 카트리지에 형성된 한 쌍의 수납부의 아래쪽 면보다 높은 위치에서 팽창되도록 형성된다. 가이드부의 아래쪽 면은 단면이 거의 정사각형과 같이 보이는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에 의해 지지를 받으므로, 가이드부의 하부에는 프린터 장치측의 구성부품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 공간에 프린터 장치의 구성부품을 배치함으로써, 프린터 장치의 설계의 자유도 향상이나 소형화, 공간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14)

  1. 잉크 리본으로 인쇄 매체를 밀착시켜 가열함으로써 상기 인쇄 매체에 화상을 인쇄하는 프린터 장치에 대해서 탈착가능한 잉크 리본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잉크 리본 카트리지는,
    상기 잉크 리본을 감기 위해, 그 사이에 공간을 가지며,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한 쌍의 스풀을 수납하는 한 쌍의 수납부가 설치된 카트리지 본체와,
    상기 카트리지 본체의 삽입/분리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에서 양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한 쌍의 가이드부로서,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에 형성되며, 거의 정사가형의 단면부를 가지는 가이드 지지부에 의한 지지를 통해 상기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에 대한 삽입 및 분리를 위한 가이드로서 동작하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를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 본체의 삽입 및 분리 방향에서 각각 형성되며, 상기 수납부의 아래쪽 면보다 높은 위치에서 팽창하는 잉크 리본 카트리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내부에 상기 각 스풀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리본 카트리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본체에는, 상기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에 대한 삽입 단면으로 반대측인 분리 단면에, 상기 분리 단면으로부터 돌출한 상부 표면에 위치한 엄지와, 하부의 아래쪽 면에 위치한 집게손가락의 상부 또는 중간 관절들에 의해 상기 엄지 및 집게손가락으로 지지되는 파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리본 카트리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에는, 상기 스풀의 회전을 규제하는 스풀 락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스풀 락에서는, 상기 가이드부의 아래쪽 면에 제공된 개구부로부터 외부를 향하도록 되어 있는 피가압부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카트리지 본체가 상기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에 장착되면, 상기 피가압부가 상기 가이드부를 지지하는 상기 가이드 지지부에 대해 가압되어 상기 스풀은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되는 잉크 리본 카트리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본체 또는 상기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중에서, 한 편에는, 결합 볼록부가 설치되며, 다른 한 편에는 상기 결합 볼록부에 결합되는 결합 오복부가 설치되어 상기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내에서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리본 카트리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본체의 아래쪽 면에는, 상기 프린터 장치내에 있어서의 상기 카트리지 본체의 배치 위치의 기준면이 되는 배치면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배치면에는 상기 배치 위치에 설치된 위치 결정 볼록부가 결합되는 위치 결정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리본 카트리지.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면에는, 상기 배치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잉크 리본 카트리지의 형태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에 의해 사용되는 식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리본 카트리지.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의 수납부에는, 세로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에서 단속적인 구간에서(intermittent interval) 상기 잉크 리본을 지지하는 리브(rib)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리본 카트리지.
  9. 잉크 리본으로 인쇄 매체를 밀착시켜 가열함으로써 상기 인쇄 매체에서 화상을 인쇄하는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린터 장치는,
    전면측으로부터 상기 인쇄 매체를 수납 및 분리하는 베이스 샤시와,
    상기 베이스 샤시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개폐 가능하게 배치된 상부 샤시와,
    상기 상부 샤시에 장착되며, 상기 상부 샤시가 윗쪽으로 개방되어 있을 때에, 상기 잉크 리본 카트리지를 상기 전면측으로부터 수납하고 분리하는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와
    상기 잉크 리본 카트리지에 수납된 잉크 리본을 주행시키는 주행 기구와,
    상기 인쇄 매체를 전송하는 전송 기구와,
    상기 잉크 리본을 가열하여 상기 인쇄 매체에 소정의 화상을 인쇄하는 열 헤드를 구비하며,
    상기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에는, 상기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의 삽입 및 분리 방향내에서 가이드부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잉크 리본 카트리지의 양측면으로부터 팽창하는, 거의 정사각형의 단면적을 가지는 가이드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프린터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지지부에는, 상기 잉크 리본 카트리지의 가이드부의 아래쪽 면을 지지하는 수납부가, 상기 가이드부의 팽창폭보다 약간 작거나 또는 거의 동일한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리본 카트리지에는, 상기 잉크 리본이 감겨진 한 쌍의 스풀으로 상기 한 쌍의 스풀의 회전을 규제하는 스풀 락이 설치되어 있으며, 스풀 락의 락 해제를 위한 피가압부가 상기 가이드부의 아래쪽 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 지지부는, 상기 잉크 리본 카트리지가 삽입될 때에, 상기 가이드부를 지지하는 수납부에 의해 상기 피가압부를 가압하여 상기 스풀이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 및 잉크 리본 카트리지중, 한 편에는, 결합 볼록부가 설치되며, 다른 한편에 상기 결합 볼록부에 결합되는 결합 오복부가 설치되며,
    상기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는, 상기 잉크 리본 카트리지가 삽입되면, 상기 결합 볼록부가 상기 결합 오복부에 결합하여, 상기 잉크 리본 카트리지의 위치를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장치.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샤시가 수직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상기 잉크 리본 카트리지 홀더는, 상기 잉크 리본 카트리지를 삽입/분리 위 치와 인쇄 위치 사이에서 회전시키고,
    상기 인쇄 위치에는, 상기 잉크 리본 카트리지의 아래쪽 면에 설치되어, 상기 인쇄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잉크 리본 카트리지의 배치 위치의 기준면이 되는 배치면의 배치를 위한 지지면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면부에는, 상기 배치면에 형성된 위치 결정구멍에 결합하여, 상기 잉크 리본 카트리지의 위치 결정을 도모하는 위치 결정 볼록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부에는, 상기 배치면에 형성된 식별부에 대응하는 상기 잉크 리본 카트리지의 형태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장치.
KR1020070019647A 2006-03-02 2007-02-27 잉크 리본 카트리지 및 프린터 장치 KR200700910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57011 2006-03-02
JP2006057011A JP2007230155A (ja) 2006-03-02 2006-03-02 インクリボンカートリッジ及びプリンタ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1073A true KR20070091073A (ko) 2007-09-07

Family

ID=38055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9647A KR20070091073A (ko) 2006-03-02 2007-02-27 잉크 리본 카트리지 및 프린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70212149A1 (ko)
EP (1) EP1829696A3 (ko)
JP (1) JP2007230155A (ko)
KR (1) KR20070091073A (ko)
CN (1) CN101028771A (ko)
TW (1) TW200744867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2294B1 (ko) * 2013-02-14 2013-07-10 최병현 카트리지 정면방향 수평 삽입형 카드 프린터
US9346296B2 (en) 2009-03-31 2016-05-24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 cassette
US9409425B2 (en) 2009-03-31 2016-08-09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 cassette
US9427988B2 (en) 2009-03-31 2016-08-30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 cassette
US9493016B2 (en) 2008-12-25 2016-11-15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 cassette
US9498997B2 (en) 2008-12-25 2016-11-22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 cassette
US9539837B2 (en) 2009-12-16 2017-01-10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 cassette
US9573401B2 (en) 2009-06-30 2017-02-21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 cassette
US9656495B2 (en) 2009-12-28 2017-05-2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 cassett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53977A (zh) 2008-06-19 2014-04-30 Zih公司 便携式打印机
US8839718B2 (en) * 2009-03-25 2014-09-2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Error correction in printing systems
WO2010113780A1 (ja) 2009-03-31 2010-10-0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テープカセット
GB0907281D0 (en) * 2009-04-28 2009-06-10 Dymo Nv Cassettes
US9102180B2 (en) * 2010-07-29 2015-08-11 Brady Worldwide, Inc. Cartridge assembly with ribbon lock
JP6184260B2 (ja) * 2013-09-05 2017-08-23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リボンカセット
US9550380B2 (en) 2013-12-16 2017-01-24 Zih Corp. Media processing device with enhanced media and ribbon loading and unloading features
US9211744B2 (en) * 2013-12-16 2015-12-15 Zih Corp. Media processing device with enhanced media and ribbon loading and unloading features
TWI555649B (zh) 2014-12-09 2016-11-01 誠研科技股份有限公司 印表機
US10534138B2 (en) 2015-12-22 2020-01-14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Module board coupling
DE102016101137A1 (de) * 2016-01-22 2017-07-27 Phoenix Contact Gmbh & Co. Kg Drucker zur Bedruckung von Bedruckungsobjekten und Farbbandkassette zur Verwendung bei einem Drucker
US9836096B1 (en) * 2016-09-30 2017-12-05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Alignment members
WO2019013809A1 (en) * 2017-07-14 2019-01-1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ING DEVICE LOCATED IN A SCREEN BASE
CN113858837B (zh) * 2021-10-23 2023-12-29 深圳市君派伟业有限公司 色带盒及带有该色带盒的热转印打印机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2668A (ja) * 1984-03-14 1985-10-01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JPH061823Y2 (ja) * 1986-04-11 1994-01-19 三菱電機株式会社 印字装置
JP3613917B2 (ja) * 1997-01-06 2005-01-2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リボンカートリッジ
EP1000765A3 (en) * 1998-01-06 2000-08-02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 ribbon cartridge
ES2286353T3 (es) * 2000-03-31 2007-12-01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Dispositivo para formar imagen y cartucho de lamina de tinta montado en el dispositivo para formar imagenes.
EP1577106A1 (en) * 2004-03-15 2005-09-21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 ribbon cartridge

Cited B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66812B2 (en) 2008-12-25 2017-02-14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 cassette
US11479053B2 (en) 2008-12-25 2022-10-25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 cassette
US10744798B2 (en) 2008-12-25 2020-08-18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 cassette
US10189284B2 (en) 2008-12-25 2019-01-29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 cassette
US9855779B2 (en) 2008-12-25 2018-01-02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 cassette
US9493016B2 (en) 2008-12-25 2016-11-15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 cassette
US9682584B2 (en) 2008-12-25 2017-06-20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 cassette
US9498997B2 (en) 2008-12-25 2016-11-22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 cassette
US9498998B2 (en) 2008-12-25 2016-11-22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 cassette
US9656497B2 (en) 2008-12-25 2017-05-2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 cassette
US9511610B2 (en) 2008-12-25 2016-12-06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 cassette
US9511609B2 (en) 2008-12-25 2016-12-06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 cassette
US9511611B2 (en) 2008-12-25 2016-12-06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 cassette
US9533522B2 (en) 2008-12-25 2017-01-0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 cassette
US9656496B2 (en) 2008-12-25 2017-05-2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 cassette
US9539838B2 (en) 2008-12-25 2017-01-10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 Cassette
US9592692B2 (en) 2009-03-31 2017-03-14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 cassette
US11052685B2 (en) 2009-03-31 2021-07-06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 cassette
US11707938B2 (en) 2009-03-31 2023-07-25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 cassette
US9346296B2 (en) 2009-03-31 2016-05-24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 cassette
US9403389B2 (en) 2009-03-31 2016-08-02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 cassette
US9498987B2 (en) 2009-03-31 2016-11-22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 cassette
US10675894B2 (en) 2009-03-31 2020-06-09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 cassette
US9498988B2 (en) 2009-03-31 2016-11-22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 cassette
US10226949B2 (en) 2009-03-31 2019-03-12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 cassette
US9427988B2 (en) 2009-03-31 2016-08-30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 cassette
US9409425B2 (en) 2009-03-31 2016-08-09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 cassette
US10201988B2 (en) 2009-03-31 2019-02-12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 cassette
US9802432B2 (en) 2009-06-30 2017-10-31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 cassette
US9676217B2 (en) 2009-06-30 2017-06-1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 cassette
US9573401B2 (en) 2009-06-30 2017-02-21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 cassette
US11225099B2 (en) 2009-06-30 2022-01-18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 cassette
US9539837B2 (en) 2009-12-16 2017-01-10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 cassette
US10265982B2 (en) 2009-12-28 2019-04-2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 cassette
US9656495B2 (en) 2009-12-28 2017-05-2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 cassette
US11135862B2 (en) 2009-12-28 2021-10-05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 cassette with indicator portion having pressing and non-pressing portion for indentifying tape type
KR101282294B1 (ko) * 2013-02-14 2013-07-10 최병현 카트리지 정면방향 수평 삽입형 카드 프린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29696A2 (en) 2007-09-05
TW200744867A (en) 2007-12-16
EP1829696A3 (en) 2009-11-11
CN101028771A (zh) 2007-09-05
JP2007230155A (ja) 2007-09-13
US20070212149A1 (en) 2007-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91073A (ko) 잉크 리본 카트리지 및 프린터 장치
KR20070090760A (ko) 프린터 장치
KR101079371B1 (ko) Id 카드 프린터용 리본 카트리지
EP1502756B1 (en) Tape cassette
JP2007268815A (ja) プリンタ装置
US5248207A (en) Thermal printer provided with detachable head unit having built-in thermal head unit
US6997548B2 (en) Tank holder, liquid tank and tank attaching and detaching method
KR101921213B1 (ko) 테이프 카트리지
CN110254057B (zh) 带盒
JP2010253846A (ja) インクリボンカートリッジ
JP2007268816A (ja) プリンタ装置及びその印画紙
JP2007069541A (ja) 記録装置
JP2002234179A (ja) 液体噴射装置
JP7056211B2 (ja) 媒体アダプタ
JP2007230158A (ja) インクリボンカートリッジ
JP2007230156A (ja) プリンタ装置
JP2007230153A (ja) インクリボンカートリッジ及びプリンタ装置
JP2007230154A (ja) インクリボンカートリッジ
CN110171212B (zh) 印刷装置
JP2007268813A (ja) プリンタ装置及び印刷制御方法
US20080181704A1 (en) Extractable ribbon tray and printer utilizing the same
JP2007313682A (ja) プリンタ
JP3574567B2 (ja) 熱転写記録装置
JP2007268812A (ja) プリンタ装置
JP2007274225A (ja) プリン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