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0290A -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터치 패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터치 패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0290A
KR20070090290A KR1020060019797A KR20060019797A KR20070090290A KR 20070090290 A KR20070090290 A KR 20070090290A KR 1020060019797 A KR1020060019797 A KR 1020060019797A KR 20060019797 A KR20060019797 A KR 20060019797A KR 20070090290 A KR20070090290 A KR 200700902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touch
touch pad
mod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9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9405B1 (ko
Inventor
이춘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9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9405B1/ko
Publication of KR20070090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0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9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9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패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발광 소자와, 상기 발광 소자에서 조사되는 광원을 격자 방식으로 수광하기 위해 해당 위치에 설치되는 다수의 수광 소자와, 상기 광원의 수광 여부를 검사하는 디텍터 및 상기 디텍터에 의해 검사된 수광 신호를 판별하여 해당 키입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 패드가 구동되었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터치 패드가 구동되었을 경우 모드를 확인하고, 해당 모드에 따른 기 설정된 보상값을 확인하는 과정과, 사용자에 의한 터치가 감지될 경우, 해당 터치값에 대한 보상을 수행하는 과정 및 보상된 터치값을 판별하여 해당 터치값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왼손 사용자와 오른손 사용자를 위한 별도의 입력 모드를 두고 이에 대한 보상값을 적용함으로써 항상 원활한 키 액션을 수행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단말기의 오동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 터치 패드, 발광 소자, 수광 소자, 보상값, 가중치, 입력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터치 패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TOUCH PAD FOR PORTABLE TERMINAL AND METOHD USING I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드 장치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드 장치의 요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드 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 수단인 터치 패드(touch pad)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왼손 또는 오른손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경우 사용되는 방향에 따라 키입력에 따른 해당 보상값을 설정하여 데이터의 오타 또는 미 입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터치 패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는 다른 단말기를 소유하고 있는 상대방과 무선으 로 음성 통신을 수행하거나, 무선 인터넷 서비스 사업자와 연결되어 인터넷 컨텐츠를 이용하거나 게임등 각종 부가 기능을 수행하는 복합 단말기로써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상술한 휴대용 단말기는 데이터 입력 수단으로 다수의 커버튼을 포함한다. 상기 키버튼은 기계적인 접점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메탈돔의 구조로 구성되는바, 단말기의 부피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터치 패드(touch pad) 장치를 종종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상술한 터치 패드는 메인 보드와의 거리가 거의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단말기의 전체 부피를 줄이는데 일조할 수 있으며, 해당 모드에 따른 다양한 키버튼이 디스플레이 됨으로써 다기능 키버튼으로써 활용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상기 터치 패드 장치는 저항막식, 정전용량식, 초음파식, 전자 유도식 및 광센서 방식이 있다. 특히, 광센서 방식은 터치 패널의 일측에 발광 소자를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고, 이와 대응하는 대상측에 수광 소자를 설치함으로써 격자 방식의 센싱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단말기의 해당 키버튼에 해당하는 터치 패드 부분을 터치하게 되면, 대상 격자 부분이 눌려짐으로써 발광소자에서 조사된 광원을 해당 수광 소자가 수광하지 못하는 상태를 소정의 디텍터로 인식함으로써 키 액션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일반적인 터치 패드 구성으로는 사용자의 왼손 또는 오른손을 이용해 터치하는 방식을 구별하지 못한다. 예를 들어, 오른손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오른손 엄지를 주로 사용하여 키 입력을 수행하고, 왼손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왼손 엄지를 주로 사용하여 키 입력을 수행하기 때문에 항상 일정한 터치값을 가지는 터치 패드로는 인식율이 현저히 낮아지고, 데이터 미 입력과 같은 터치 오류로 인한 단말기의 오동작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왼손 사용자와 오른손 사용자의 키입력 방식에 따라 항상 일정하고 정확한 키 입력이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패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설정 만으로 오른손 사용자와 왼손 사용자의 터치 방식에 따른 해당 보상치를 설정함으로써 인식률을 높이고, 결과적으로 단말기의 오동작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패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발광 소자와, 상기 발광 소자에서 조사되는 광원을 격자 방식으로 수광하기 위해 해당 위치에 설치되는 다수의 수광 소자와, 상기 광원의 수광 여부를 검사하는 디텍터 및 상기 디텍터에 의해 검사된 수광 신호를 판별하여 해당 키입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터치 패드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터치 패드가 구동되었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터치 패드가 구동되었을 경우 모드를 확인하고, 해당 모드에 따른 기 설정된 보상값을 확인하는 과정과, 사용자에 의한 터치가 감지될 경우, 해당 터치값에 대한 보상을 수행하는 과정 및 보상된 터치값을 판별하여 해당 터치값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하고, 이에 적용된 터치 패드 장치를 기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터치 패드 장치가 적용되는 다양한 방식의 단말기 또는 전자 제품에 적용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드 장치(10)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사시도로써, 메인 바디(110)와 상기 메인 바디(110)에서 단말기(100)의 길이 방향으로 활주(sliding)하는 슬라이드 바디(120)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드 바디(120)가 개방되었을 때 보이는 메인 바디(110)의 면상에는 데이터 입력 수단으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드(touch pad) 장치(10)가 설치된다. 상기 터치 패드 장치(10)의 하측으로는 마이크로폰 장치(111)가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드 바디(120)에는 전면에 걸쳐 디스플레이 장치(121)가 설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21)의 하측으로 다수의 키버튼을 포함하는 캐패드 어셈블리(122)가 설치된다. 상기 키패드 어셈블리(122) 역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드 장치로 대체가능하나, 항상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관계로, 기계식 키버튼을 사용하였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21)의 상부에는 스피커 장치(123)가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데이터를 입력할 경우, 상기 슬라이드 바디(120)를 도 1의 상태와 같이 메인 바디(110)에서 개방시킨 후 터치 패드 장치(10)의 디스플레이되는 해당 키버튼을 터치함으로써 키 액션이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드 장치의 요부 구성도로써, 다수의 발광 소자(12)와 이에 상응하는 위치에 다수의 수광 소자(14)가 설치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발광 소자(12)는 한 변과 이웃하는 변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발광부(11)를 구성하며, 상기 수광 소자(14)는 나머지 변과 그 이웃하는 변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수광부(13)를 구성한다. 상기 단위 발광 소자(12)는 단위 수광 소자(14)와 일대일 대응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발광 소자(12)에서 조사되는 광원이 상기 대응 수광 소자(14)에 수광하도록 배치되고 있다. 상기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들의 간격은 대체적으로 약 6mm의 간격이 적당할 것이다.
바람직하게도, 상기 발광 소자들은 대응 수광 소자들과 격자 형식으로 설치됨으로써 소정의 좌표값을 갖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터치 패드를 터치하는 위치는 발광 소자에서 조사되는 광원이 수광 소자에 수광되지 않는 좌표값을 소정의 디텍터(detector)가 인식하고 이를 제어부에 전송하여 키 액션을 취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도, 상기 발광 소자(12)로는 적외선 LED를 사용하며, 수광 소자(14)로는 포토 센서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모드 전환에 따라 오른손 입력 모드와 왼손 입력 모드로 선택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오른손으로 터치 패드의 대응 문자 영역을 터치하였을 때(도 2의 A영역)와, 왼손으로 터치 패드의 똑같은 대응 문자를 터치하였을 경우(도 2의 B영역) 발광 소자들에 의해 형성되는 감지용 좌표값이 다르게 나타난다.
예를 들어, 오른손으로 터치하였을 경우에 좌표값은 (L2, F2), (L2, F3), (L3, F2), (L3, F3), (L3, F4), (L4, F3), (L4, F4), (L4, F5), (L5, F4), (L5, F5)의 10개의 좌표값을 갖는다. 또한, 왼손으로 터치하였을 경우에 좌표값은 (L2, F4), (L2, F5), (L3, F3), (L3, F4), (L3, F5), (L4, F2), (L4, F3), (L4, F4), (L5, F2), (L5, F3)의 10개의 좌표값을 갖는다.
상술한 좌표값들 중 (L2, F2), (L2, F3), (L3, F2), (L4, F5), (L5, F4), (L5, F5)의 좌표값들은 오른손으로 터치하였을 경우에만 인식하는 영역으로써 왼손으로 입력하였을 때는 인식하지 못하는 값이다. 따라서, 오른손으로 입력하는 모드로 설정되었을 경우, 상술항 좌표값 (L2, F2), (L2, F3), (L3, F2), (L4, F5), (L5, F4), (L5, F5)에 가중치를 적용한 보상값을 설정함으로써 좀더 원활한 키 인식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상술한 좌표값들 중 (L2, F4), (L2, F5), (L3, F5), (L4, F2), (L5, F2), (L5, F3)의 좌표값들은 왼손으로 터치하였을 경우에만 인식하는 영역으로써 오른손으로 입력하였을 때는 인식하지 못하는 값이다. 따라서, 왼손으로 입력하는 모드로 설정되었을 경우, 상술항 좌표값 (L2, F4), (L2, F5), (L3, F5), (L4, F2), (L5, F2), (L5, F3)에 가중치를 적용한 보상값을 설정함으로써 좀더 원활한 키 인식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로써, 단말기(100)의 제어부(MPU : Micro-Processor Unit)(300)는 상기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이에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드 구동부(302)를 제어한다. 즉, 단말기에 설정된 입력 모드(왼손 모드 또는 오른손 모드)에 따라 해당 키 입력 영역의 보상값을 다르게 설정하고 이를 감지함으로써 원활하고 정확한 키 액션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RF 모듈(305), 모뎀부(306), 메모리(301) 및 표시부(303) 및 코덱(304)은 공지의 단말기 구성요소와 상응하고 같은 기능을 수행함으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드 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로써, 단말기의 터치 패드가 구동되었는지 검사하는 401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401단계후에 기 설정된 단말기의 문자 입력 모드를 확인하는 403단계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오른손 입력 모드인지 왼손 입력 모드 인지 확인하고, 이에 따른 모드에 따른 서로 다른 보상값을 확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왼손 입력 모드와 오른손 입력 모드에 따른 보상 좌표값은 서로 상이할 것이다.
그후, 사용자에 의한 키 액션이 발생하였는지 검사하는 405단계를 수행한다. 이 경우에 사용자는 해당 모드에 따라 왼손 또는 오른손을 이용하여 터치 패드 장치를 터치하는 동작을 수행할 것이다. 그후, 407단계에서 해당 터치값에 대한 모드에 따른 보상을 수행하는 407단계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오른손 모드일 경우 왼 손 모드일 때 터치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가중치를 부가한 보상값을 적용하여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을 것이다. 그후 보상된 터치값으로 판별하여(409 단계), 해당 동작을 수행하는 411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411단계는 예를 들어,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기 터치된 해당 문자/숫자를 디스플레이 하거나, 단말기의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전반적인 키 액션 동작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분명히, 청구항들의 범위내에 있으면서 이러한 실시예들을 변형할 수 있는 많은 방식들이 있다. 다시 말하면, 이하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많은 다른 방식들이 있을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왼손 사용자와 오른손 사용자를 위한 별도의 입력 모드를 두고 이에 대한 보상값을 적용함으로써 항상 원활한 키 액션을 수행할 수 있으며,결과적으로 단말기의 오동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적어도 한 변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광원을 조사하는 다수의 발광 소자;
    상기 발광 소자가 설치되는 변과 대응되는 변상에 설치되어 상기 발광 소자에서 조사되는 광원을 격자 방식으로 수광하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광 소자;
    터치에 따라, 상기 발광 소자에서 조사되는 광원을 수광 소자에서 수광하는지 검사하는 디텍터; 및
    왼손 또는 오른손 사용 모드 전환에 따라, 소정의 해당 영역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보상값이 적용된 상기 격자의 좌표를 이용하여 터치값을 판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는 적외선 LED이며, 수광 소자는 포토 센서임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값이 적용된 격자의 좌표는 상기 왼손과 오른손 사용 모드에 동시 에 적용되지 않는 좌표임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드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 입력 수단으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드 장치.
  5.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발광 소자와, 상기 발광 소자에서 조사되는 광원을 격자 방식으로 수광하기 위해 해당 위치에 설치되는 다수의 수광 소자와, 상기 광원의 수광 여부를 검사하는 디텍터 및 상기 디텍터에 의해 검사된 수광 신호를 판별하여 해당 키입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터치 패드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터치 패드가 구동되었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터치 패드가 구동되었을 경우 모드를 확인하고, 해당 모드에 따른 기 설정된 보상값을 확인하는 과정과;
    사용자에 의한 터치가 감지될 경우, 해당 터치값에 대한 보상을 수행하는 과정; 및
    보상된 터치값을 판별하여 해당 터치값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값은 상기 발광 소자에서 조사되는 광원을 수광 소자에서 수광하는 격자 방식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좌표값에 적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는 왼손 모드 또는 오른손 모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값이 적용되는 좌표값은 상기 왼손 모드와 오른손 모드일 경우 서로 일치하지 않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60019797A 2006-03-02 2006-03-02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터치 패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229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9797A KR101229405B1 (ko) 2006-03-02 2006-03-02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터치 패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9797A KR101229405B1 (ko) 2006-03-02 2006-03-02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터치 패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0290A true KR20070090290A (ko) 2007-09-06
KR101229405B1 KR101229405B1 (ko) 2013-02-05

Family

ID=38688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9797A KR101229405B1 (ko) 2006-03-02 2006-03-02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터치 패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940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834B1 (ko) * 2007-02-22 2007-12-27 (주)엠아이디티 정전용량식 입력장치
WO2010082760A3 (en) * 2009-01-14 2010-11-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Key input method and apparatus for portable apparatus
KR20110052961A (ko) * 2009-11-13 2011-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감지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101107632B1 (ko) * 2009-12-31 2012-01-2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광신호를 이용한 터치인식장치 및 터치인식방법
KR101135620B1 (ko) * 2009-11-06 2012-04-17 김용철 터치스크린 장치 및 그의 스캔 방법
KR101245588B1 (ko) * 2006-09-14 2013-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입력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8952B1 (ko) * 2002-12-23 2005-02-02 주식회사 팬택 광 센서를 이용한 키 입력장치 및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588B1 (ko) * 2006-09-14 2013-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입력 장치
KR100787834B1 (ko) * 2007-02-22 2007-12-27 (주)엠아이디티 정전용량식 입력장치
WO2010082760A3 (en) * 2009-01-14 2010-11-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Key input method and apparatus for portable apparatus
US8400403B2 (en) 2009-01-14 2013-03-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Key input method and apparatus for portable apparatus
KR101135620B1 (ko) * 2009-11-06 2012-04-17 김용철 터치스크린 장치 및 그의 스캔 방법
KR20110052961A (ko) * 2009-11-13 2011-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감지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101107632B1 (ko) * 2009-12-31 2012-01-2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광신호를 이용한 터치인식장치 및 터치인식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9405B1 (ko) 2013-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26213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multi-functional human interface
KR102136737B1 (ko) 비접촉식 버튼 입력 장치
US11586299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multi-functional human interface
US10268312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multi-functional human interface
US8619034B2 (en) Sensor-based display of virtual keyboard image and associated methodology
KR101229405B1 (ko)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터치 패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3195888U (ja) エレベーターキーパッドのタッチレス制御装置
US20020061217A1 (en) Electronic input device
US20170083159A1 (en) Electronic apparatus
JP2011162307A (ja) エレベーターの行先階登録装置
KR20100119936A (ko)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
US10126843B2 (en) Touch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20170170826A1 (en) Optical sensor based mechanical keyboard input system and method
US20150077351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touch on user terminal
CN114616538A (zh) 键盘
US20120026092A1 (en) Touch mouse operation method
KR100713720B1 (ko) 가상 키보드의 키패드
US10775853B2 (en) Secondary back surface touch sensor for handheld devices
US20120306804A1 (en) Touch device
TWI557634B (zh) 手持式裝置和其操作方法
KR101615651B1 (ko) 스마트 단말기의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2171400B1 (ko)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기기 및 그 제어 방법
JP2017186121A (ja) エレベータ用操作盤
JP3207398U (ja) 電子天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