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5651B1 - 스마트 단말기의 입력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단말기의 입력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5651B1
KR101615651B1 KR1020150117470A KR20150117470A KR101615651B1 KR 101615651 B1 KR101615651 B1 KR 101615651B1 KR 1020150117470 A KR1020150117470 A KR 1020150117470A KR 20150117470 A KR20150117470 A KR 20150117470A KR 101615651 B1 KR101615651 B1 KR 101615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input
smart terminal
input pattern
touch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7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수
김완중
고진석
Original Assignee
(주)세미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미센스 filed Critical (주)세미센스
Priority to KR1020150117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56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5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5651B1/ko
Priority to PCT/KR2016/009176 priority patent/WO201703041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M1/72519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단말기의 입력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물객체 영역에 구비된 실물영역 터치센서와 상기 실물영역 터치센서에 출력된 터치 입력 정보를 분석하여 스마트 단말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실물영역 터치센서에서 출력된 터치 입력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터치 입력 패턴이 설정 입력 패턴과 동일한지 판단하는 입력패턴확인모듈과 상기 입력패턴확인모듈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 패턴이 설정 입력 패턴과 동일하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실물영역 터치센서에서 출력된 터치 입력 정보를 분석하여 실물객체와 연계된 터치입력의 위치 및 터치 입력 형태를 분석하는 입력패턴분석모듈을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직관적이고 신속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터치스크린을 통한 입력에서 발생하는 사용상 복잡하고 긴 시간이 걸리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스마트 단말기의 입력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 단말기의 입력 장치 및 방법{Inputting device and method of smart terminal}
본 발명은 스마트 단말기의 입력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물객체 영역에 구비된 실물영역 터치센서와 상기 실물영역 터치센서에 출력된 터치 입력 정보를 분석하여 스마트 단말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실물영역 터치센서에서 출력된 터치 입력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터치 입력 패턴이 설정 입력 패턴과 동일한지 판단하는 입력패턴확인모듈과 상기 입력패턴확인모듈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 패턴이 설정 입력 패턴과 동일하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실물영역 터치센서에서 출력된 터치 입력 정보를 분석하여 실물객체와 연계된 터치입력의 위치 및 터치 입력 형태를 분석하는 입력패턴분석모듈을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직관적이고 신속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터치스크린을 통한 입력에서 발생하는 사용상 복잡하고 긴 시간이 걸리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스마트 단말기의 입력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 단말기란 스마트폰, 태블릿 등과 같이 음성통화, 방송 수신, 인터넷 접속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성을 가진 전자기기를 말한다. 상기 스마트 단말기는 물리적 키보드 대신에 터치스크린이 사용되어, 화면(스크린)에 나타난 글자, 아이콘 등을 터치하면, 글자가 입력되거나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게 된다.
도 1 및 2는 각각 스마트 단말기의 일 예인 태블릿의 전면 및 후면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단말기(200)는 사용자 입력, 사용자 출력 및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근접 센서(210), 전면카메라(220), 스피커(230), 적외선 LED(240), 후면카메라(250), 플래시(260), 안테나(270) 등의 실물객체와, 상기 실물객체를 제어하기 위한 터치스크린(280) 등을 포함하고 있다. 하기의 특허문헌에 기재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을 조작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실물객체(예컨대, 전면카메라)를 실행한다.
<특허문헌>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36222호(2014. 11. 28. 공개) "어플리케이션의 운영을 위한 전자 장치"
하지만, 종래의 스마트 단말기에서 전면카메라(실물객체)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스마트 단말기의 전원버튼을 눌러 디스플레이가 작동되도록 한 상태에서 차례로 잠금 해제, 아이콘 검색, 카메라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터치의 동작을 수행하여야 카메라가 실행되어, 즉 카메라 실행까지 여러 단계를 거치게 되어 사용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카메라 실행까지 걸리는 시간도 길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보다 직관적이고 신속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 단말기의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물객체에 터치 센서를 구비하여 단말기의 입력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터치스크린을 통한 입력에서 발생하는 사용상 복잡하고 긴 시간이 걸리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스마트 단말기의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의 입력 장치는 실물객체 영역에 구비된 실물영역 터치센서와, 상기 실물영역 터치센서에서 출력된 터치 입력 정보를 분석하여 스마트 단말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의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실물영역 터치센서에서 출력된 터치 입력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터치 입력 패턴이 설정 입력 패턴과 동일한지 판단하는 입력패턴확인모듈과, 상기 입력패턴확인모듈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 패턴이 설정 입력 패턴과 동일하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실물영역 터치센서에서 출력된 터치 입력 정보를 분석하여 터치입력의 위치 및 터치 입력 형태를 분석하는 입력패턴분석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의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치입력의 위치는 실물객체와 연계되어, 상기 입력패턴분석모듈은 특정 실물객체들이 특정 형태로 터치되었음을 알리는 분석결과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의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입력패턴분석보듈에서 특정 실물객체들이 특정 형태로 터치되었음을 알리는 분석결과가 출력된 경우, 이에 해당하는 스마트 단말기의 특정 기능을 작동시키는 실행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의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물객체 영역은 상기 스마트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을 제외하며 실물객체가 위치하는 부분을 의미하며, 상기 실물객체 터치센서는 실물객체 혹은 그 주변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의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물영역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가 오프된 상태에서도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터치 입력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의 입력 방법에 있어서 터치입력인식부가 실물영역 터치센서로부터 출력된 터치 입력 정보를 수집하여 출력하는 실물객체터치정보 수집단계와, 실물영역처리부가 상기 실물객체터치정보 수집단계에서 출력된 터치 입력 정보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출력하는 실물영역처리단계와, 실행작동부가 상기 실물영역처리단계에서 전송된 분석결과에 따라 스마트 단말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실행작동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의 입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실물영역처리단계는 입력패턴확인모듈이 상기 실물객체터치정보 수집단계에서 출력된 터치 입력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터치 입력 패턴이 설정 입력 패턴과 동일한지 판단하는 입력패턴확인단계와, 입력패턴분석모듈이 상기 입력패턴확인단계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 패턴이 설정 입력 패턴과 동일하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실물객체터치정보 수집단계에서 출력된 터치 입력 정보를 분석하여 터치입력의 위치 및 터치 입력 형태를 파악하여 전달하는 입력패턴분석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입력의 위치는 실물객체와 연계되며, 상기 입력패턴분석단계에서는 터치 입력 정보를 분석하여 특정 실물객체들이 특정 형태로 터치되었음을 알리는 분석결과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보다 직관적이고 신속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물객체에 터치 센서를 구비하여 단말기의 입력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터치스크린을 통한 입력에서 발생하는 사용상 복잡하고 긴 시간이 걸리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마트 단말기의 일 예인 태블릿의 전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태블릿의 후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가 설치된 스마트 단말기의 일 예인 태블릿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에 사용되는 실물영역 터치센서의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에 사용되는 컨트롤러의 블럭도.
도 8 내지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의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의 입력 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에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가 설치된 스마트 단말기의 일 예인 태블릿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며,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에 사용되는 실물영역 터치센서의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에 사용되는 컨트롤러의 블럭도이며, 도 8 내지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의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의 입력 장치를 도 3 내지 11을 참조하면,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입력 장치는 실물객체 영역에 구비된 실물영역 터치센서(1)와, 상기 실물영역 터치센서(1)에 출력된 터치 입력 정보를 분석하여 스마트 단말기(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2) 등을 포함한다. 상기 입력 장치를 설명하기에 앞서 입력 장치가 설치되는 스마트 단말기(100)를 설명하면, 상기 스마트 단말기(100)는 물리적 키보드 대신에 터치스크린이 사용되어,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글자, 아이콘 등을 터치하면 글자가 입력되거나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게 되는 전자기기로, 음성통화, 방송 수신, 인터넷 접속 등의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예컨대 스마트폰, 태블릿 등이 있다.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 단말기(100)는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110)와, 전면에 설치되며 터치센서(이하, '터치스크린영역 터치센서(121)'라 함)를 가지는 터치스크린(120)과, 전면의 베젤, 측면 및 후면 등의 터치스크린(120) 이외의 부분에 설치되어 사용자 입력, 사용자 출력 및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근접 센서(131), 전면카메라(132), 스피커(133), 적외선 LED(134), 후면카메라(135), 플래시(136), 안테나(137) 등의 실물객체(130)와, 사용자의 터치스크린(130)의 터치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분석하여 스마트 단말기(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2) 등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10), 터치스크린(120), 실물객체(130) 등은 종래의 스마트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구성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실물영역 터치센서(1)는 실물객체 영역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다른 접촉 수단으로 접촉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사용자의 터치 입력 정보를 출력하여 컨트롤러(2)에 전송한다. 상기 실물영역 터치센서(1)는 종래의 터치스크린(120)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방식, 광센서 방식 등의 터치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본원발명은 실물영역 터치센서(1)를 실물객체 영역에 추가로 설치하여 상기 실물영역 터치센서(1)로부터 출력된 터치 입력 정보를 컨트롤러(2)가 분석하여 터치스크린(120)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스마트 단말기(100)의 작동의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실물객체 영역이라 함은 스마트 단말기(100)에서 터치스크린(120)이 위치하는 부분을 제외한 스마트 단말기(100)의 베젤, 측면, 후면 등의 부분으로, 상기 실물객체 영역에는 카메라 등의 실물객체(130)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실물영역 터치센서(1)는 각각의 실물객체(130) 혹은 그 주변에 인접하여 구비되게 된다. 도 3 및 4는 각각의 실물객체(130)에 인접하여 실물영역 터치센서(1)를 실물객체 영역에 설치한 일 예를 나타내는데(도 3 및 4에서는 터치센서가 색상으로 표시되나 이는 터치센서를 설치되는 위치를 명확히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실물영역 터치센서 역시 종래의 터치센서와 마찬가지로 투명 소재로 이루어진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상기 스마트 단말기(100)에서는 접근센서(131), 전면카메라(132), 스피커(133), 적외선 LED(134), 후면카메라(135), 플래시(136), 안테나(137)에 혹은 그 주변에 인접하여 실물영역 터치센서(1)가 설치되어 있다. 도 5 및 6은 다른 형태의 스마트 단말기에 실물영역 터치센서(1, 노란색으로 표시된 부분)를 디지인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상기 컨트롤러(2)는 터치스크린(120) 또는/및 실물영역 터치센서(1)로부터 출력된 터치 입력 정보를 분석하여 스마트 단말기(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터치입력인식부(21), 터치좌표처리부(22), 실물영역처리부(23), 실행작동부(24), 저장부(25), 제어부(26) 등을 포함한다.
상기 터치입력인식부(21)는 상기 터치스크린(120) 또는/및 실물영역 터치센서(1)로부터 출력된 터치 입력 정보를 수집하여 출력하는 구성이다.
상기 터치좌표처리부(22)는 상기 터치스크린(120)으로부터 전송되어 상기 터치입력인식부(21)에서 출력된 터치 입력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터치스크린(130)에서 터치 지점의 좌표를 산정하고 그 결과를 실행작동부(24)에 전달하는 구성이다.
상기 실물영역처리부(23)는 상기 실물영역 터치센서(1)로부터 전송되어 상기 터치입력인식부(21)에서 출력된 터치 입력 정보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실행작동부(24)에 전달하는 구성으로, 입력패턴확인모듈(231), 입력패턴분석모듈(232) 등을 포함한다.
상기 입력패턴확인모듈(231)은 상기 실물영역 터치센서(1)에서 출력된 터치 입력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터치 입력 패턴이 기설정된 터치 입력 패턴(이하, '설정 입력 패턴'이라 함)과 동일한지 판단하는 구성이다. 사용자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100)를 소지하기 때문에 상기 실물영역 터치센서(1)를 빈번하게 터치하게 되는데, 상기 입력패턴확인모듈(231)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 패턴이 기설정된 설정 입력 패턴과 동일한지 판단하여 사용자의 의도하지 않은 실물영역 터치센서(1)의 터치를 통한 스마트 단말기(100)의 오작동을 방지하게 된다. 예컨대, 설정 입력 패턴은 일정 시간 간격 동안 실물영역 터치센서가 일정 횟수 이상 터치되는 경우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입력패턴분석모듈(232)은 상기 입력패턴확인모듈(231)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 패턴이 설정 입력 패턴과 동일하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실물영역 터치센서(1)에서 출력된 터치 입력 정보를 분석하여 터치입력의 위치 및 터치 입력 형태를 파악하여 전달한다. 상기 터치입력의 위치는 실물객체와 연계되며, 예컨대 특정 지점의 실물영역 터치센서(1)가 터치된 경우 가장 가까운 실물객체(130)가 터치된 것으로 파악하여 그 결과를 전달하게 된다. 즉, 상기 입력패턴분석모듈(232)은 터치 입력 정보를 분석하여 특정 실물객체들이 특정 형태로 터치되었음을 알리는 분석결과를 출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전면카메라(132)와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실물영역 터치센서(1)가 2회 터치된 경우, 상기 전면카메라(132)가 2회 터치되었음을 알리는 분석결과가 전송되게 된다.
상기 실행작동부(24)는 상기 터치좌표처리부(22) 또는/및 실물영역처리부(23)에서 전송된 결과에 따라 스마트 단말기(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예컨대, 터치좌표처리부(22)에서 터치스크린(120)의 특정 좌표가 터치되었음을 알리는 분석결과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좌표에 위치하는 아이콘에 해당하는 앱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거나, 상기 실물영역처리부(23)에서 특정 실물객체들(130)이 특정 형태로 터치되었음을 알리는 분석결과가 출력된 경우 이에 해당하는 스마트 단말기(100)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저장부(25)는 입력 장치에서 사용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상기 입력패턴분석모듈(232)의 판단의 기초가 되는 설정 입력 패턴이 저장된 설정패턴저장모듈(251)과, 특정 실물객체들이 특정 형태로 터치되었을 경우 스마트 단말기의 특정 작동을 제어하는 정보가 저장된 작동정보모듈(252)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26)는 컨트롤러(2)의 전체적인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스마트 단말기의 입력 방법을 도 3 내지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입력 방법은 터치입력인식부(21)가 실물영역 터치센서(1)로부터 출력된 터치 입력 정보를 수집하여 출력하는 실물객체터치정보 수집단계(S1)와, 실물영역처리부(23)가 상기 실물객체터치정보 수집단계(S1)에서 출력된 터치 입력 정보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출력하는 실물영역처리단계(S2)와, 실행작동부(24)가 상기 실물영역처리단계(S2)에서 전송된 분석결과에 따라 스마트 단말기(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실행작동단계(S3) 등을 포함한다.
상기 실물영역처리단계(S2)는 실물영역처리부(23)가 상기 실물객체터치정보 수집단계(S1)에서 출력된 터치 입력 정보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로, 입력패턴확인단계(S21), 입력패턴분석단계(S22) 등을 포함한다.
상기 입력패턴확인단계(S21)은 입력패턴확인모듈(231)은 상기 실물객체터치정보 수집단계(S1)에서 출력된 터치 입력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터치 입력 패턴이 설정 입력 패턴과 동일한지 판단하는 단계이다.
상기 입력패턴분석단계(S22)는 입력패턴분석모듈(232)이 상기 입력패턴확인단계(S21)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 패턴이 설정 입력 패턴과 동일하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실물객체터치정보 수집단계(1)에서 출력된 터치 입력 정보를 분석하여 터치입력의 위치 및 터치 입력 형태를 파악하여 전달하는 단계이다. 상기 터치입력의 위치는 실물객체와 연계되며, 상기 입력패턴분석단계(S22)에서는 터치 입력 정보를 분석하여 특정 실물객체들이 특정 형태로 터치되었음을 알리는 분석결과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실행작동단계(S3)는 실행작동부(24)가 실물영역처단계(S2)에서 전송된 결과에 따라 스마트 단말기(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로, 실물영역처리단계(S2)에서 특정 실물객체들(130)이 특정 형태로 터치되었음을 알리는 분석결과가 출력된 경우 이에 해당하는 스마트 단말기(100)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입력 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단말기의 입력 방법은 실물 객체를 특정한 형태로 터치함으로써 스마트 단말기의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구체적인 예를 도 8 내지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가 off된 상태에서 스피커를 일정 시간 이내에 두 번 터치하는 경우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어플이 구동되게 되며,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가 off된 상태에서 전면카메라를 일정 시간 이내에 두 번 터치하는 경우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카메라가 구동되게 되며,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가 on된 상태에서 DMB안테나를 일정 시간 이내에 두 번 터치하는 경우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DMB가 구동되게 되며,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가 on된 상태에서 스피커를 일정 시간 이내에 두 번 터치하는 경우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리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위와 같이 상기 입력장치는 디스플레이가 온 또는 오프된 상태에서 특정 형태로 실물객체를 터치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시스템의 컨트롤 등이 가능하여, 신속하고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실물영역 터치센서 2: 컨트롤러 21: 터치입력인식부
22: 터치좌표처리부 23: 실물영역처리부 24: 실행작동부
25: 저장부 26: 제어부 231: 입력패턴확인모듈
232: 입력패턴분석모듈 251: 설정패턴저장모듈 252: 작동정보모듈
100: 스마트 단말기 110: 케이스 120: 터치스크린
121: 터치스크린영역 터치센서 130: 실물객체

Claims (8)

  1. 서로 이격되어 실물객체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실물객체를 가지는 스마트 단말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는 각각의 실물객체 혹은 그 주변에 인접하여 구비되는 실물영역 터치센서와, 상기 실물영역 터치센서에서 출력된 터치 입력 정보를 분석하여 스마트 단말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실물영역 터치센서에서 출력된 터치 입력 정보를 분석하여 특정 실물객체가 특정 형태로 터치되었음을 알리는 분석결과를 출력하는 입력패턴분석모듈과, 상기 입력패턴분석모듈에서 특정 실물객체가 특정 형태로 터치되었음을 알리는 분석결과가 출력된 경우 이에 해당하는 스마트 단말기의 특정 기능을 작동시키는 실행작동부와, 특정 실물객체가 특정 형태로 터치되었을 경우 스마트 단말기의 특정 작동을 제어하는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패턴분석모듈은 터치입력의 위치와 실물객체를 연계하여, 특정 지점의 실물영역 터치센서가 터치된 경우, 터치된 지점에서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특정 실물객체가 터치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기의 입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사용자의 의도하지 않은 실물영역 터치센서의 터치를 통한 스마트 단말기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실물영역 터치센서에서 출력된 터치 입력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터치 입력 패턴이 설정 입력 패턴과 동일한지 판단하는 입력패턴확인모듈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입력패턴분석모듈은 상기 입력패턴확인모듈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 패턴이 설정 입력 패턴과 동일하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실물영역 터치센서에서 출력된 터치 입력 정보를 분석하여 그 분석결과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기의 입력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물영역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가 오프된 상태에서도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터치 입력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기의 입력장치.
  7. 삭제
  8. 삭제
KR1020150117470A 2015-08-20 2015-08-20 스마트 단말기의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615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470A KR101615651B1 (ko) 2015-08-20 2015-08-20 스마트 단말기의 입력 장치 및 방법
PCT/KR2016/009176 WO2017030413A1 (ko) 2015-08-20 2016-08-19 스마트 단말기의 입력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470A KR101615651B1 (ko) 2015-08-20 2015-08-20 스마트 단말기의 입력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5651B1 true KR101615651B1 (ko) 2016-04-26

Family

ID=55919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7470A KR101615651B1 (ko) 2015-08-20 2015-08-20 스마트 단말기의 입력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15651B1 (ko)
WO (1) WO2017030413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205B1 (ko) * 2008-08-11 2015-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292719B1 (ko) * 2008-09-03 2013-08-0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측면 터치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KR101196759B1 (ko) * 2010-03-29 2012-11-0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휴대 단말 및 그의 소유자 모드 자동 전환 방법
KR102014273B1 (ko) * 2011-02-10 2019-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98815B1 (ko) * 2013-05-20 2020-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의 운영을 위한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30413A1 (ko) 2017-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8287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contents based on virtual keyboard, and touch device
RU2643460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ализации сенсорной кнопки и идентификации отпечатка пальца, а также термин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EP3525075B1 (en) Method for lighting up screen of double-screen terminal, and terminal
CN106095295B (zh) 一种基于指纹识别的处理方法和移动终端
EP3301551B1 (en) Electronic device for identifying touch
KR101978687B1 (ko) 터치스크린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190099386A (ko) 지문 잠금 해제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20160097228A (ko) 터치 버튼 및 지문 인식을 실현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그리고 터미널 디바이스
CN102662554B (zh) 信息处理设备及其密码输入方式切换方法
JP2019128961A (ja) 指紋認識のための方法、電子装置及び格納媒体
US20150177972A1 (en) Unlock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KR20140047515A (ko) 데이터 입력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US10078396B2 (en) Optical touch sensing device and touch signal determination method thereof
US20140300531A1 (en) Indicator input device with image recognition function
WO2012111227A1 (ja) タッチ式入力装置、電子機器および入力方法
US20140327631A1 (en) Touch screen panel display and touch key input system
KR101615651B1 (ko) 스마트 단말기의 입력 장치 및 방법
CN111506246A (zh) 指纹识别确定方法和指纹识别确定装置
TW201337640A (zh) 觸控指令整合方法及觸控系統
KR101013219B1 (ko) 터치 방식을 이용한 입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US9536526B2 (en) Electronic device with speaker identific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2086676B1 (ko)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한 입력 처리 장치 및 방법
US11941908B2 (en) Optical fingerprint module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KR20140028432A (ko)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정보입력방법
KR20130032598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화면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