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5588B1 - 휴대 단말기의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입력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45588B1 KR101245588B1 KR1020060089321A KR20060089321A KR101245588B1 KR 101245588 B1 KR101245588 B1 KR 101245588B1 KR 1020060089321 A KR1020060089321 A KR 1020060089321A KR 20060089321 A KR20060089321 A KR 20060089321A KR 101245588 B1 KR101245588 B1 KR 10124558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 input
- light emitting
- portable terminal
- light receiv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3—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legends, e.g. Braille, liquid crystal displays, light emitting or optical el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스크린을 갖는 단말기 바디와, 상기 단말기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입력스크린을 투과하도록 빛을 발산시키는 다수의 발광소자들과, 상기 발광소자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입력 스크린의 상측으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도구가 위치되면 상기 발광소자에서 발산되어 상기 입력도구의 표면에서 반사되는 빛을 수신하여 수신되는 빛의 주파수에 따른 인식신호를 발생시키는 수광소자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빛을 이용하여 물체의 움직임을 인식하고 각각의 움직임에 대해 휴대 단말기의 여러 기능들을 설정함으로써,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을 쉽게 이용하거나 설정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입력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선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II-II선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입력장치의 작동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1바디 110 : 마이크부
120 : 버튼 130 : 배터리
140 : 인쇄회로기판 200 : 제2바디
210 : 디스플레이부 220 : 스피커부
300 : 입력장치 310 : 발광소자
311 : 제1발광소자 312 : 제2발광소자
313 : 제3발광소자 314 : 제4발광소자
320 : 수광소자 330 : 입력스크린
340 : 신호처리모듈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빛을 이용하여 물체의 움직임을 인식하고 각각의 움직임에 대해 휴대 단말기의 여러 기능을 설정함으로써, 물체의 움직임만으로 휴대 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에는 상대방에게 전화를 걸거나 각종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버튼부와는 별도로 휴대 단말기 상의 메뉴 기능을 선택하고 제어하기 위한 메뉴버튼부가 형성되어 있다.
사용자는 상기 메뉴버튼부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 상의 여러 메뉴 기능을 제어하거나 각종 부가 기능을 이용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제1바디(10)와, 상기 제1바디(10)에 개폐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바디(20)로 구성된다.
상기 제1바디(10)는 전면에 음향을 전달하기 위한 마이크부(11)와, 각종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버튼부(12) 및 단말기 상의 여러 메뉴 기능들을 선택하거나 설정하기 위한 메뉴버튼부(13)가 구비되고, 후면에는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4)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제2바디(20)에는 각종 시각적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1)와, 음향을 전달하는 스피커부(22)가 장착된다.
상기 메뉴버튼부(13)는 휴대 단말기의 각종 메뉴 기능들을 선택하거나 설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버튼으로, 사용자는 상기 메뉴버튼부(13)를 이용해 해당 메뉴 목록으로 이동하여 원하는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휴대 단말기의 메뉴버튼부(13)만으로는 다양하고 복잡해지는 휴대 단말기의 컨텐츠를 실행하기에는 부족한 문제점이 있다.
만약 사용자가 상기 메뉴버튼부(13)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메뉴 기능들을 선택하거나 설정하기 위해서는 동일한 메뉴버튼을 여러 번 눌러 설정해야 한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의 메뉴 기능 중 하부 디렉토리에 있는 메뉴를 선택하여 이용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메뉴버튼을 여러 번 눌러 해당 메뉴 목록을 찾은 다음 다시 설정 버튼이나 확인 버튼을 눌러 이용하고자 했던 메뉴를 선택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된다.
더구나, 휴대 단말기의 경량화와 슬림화 추세에 따라 상기 메뉴버튼부(13)의 설치 영역이나 크기도 작아지게 되고, 휴대 단말기 바디의 한정된 영역에 상하좌우 방향 이동 버튼 및 확인 버튼들이 함께 설치되어 있어, 사용자에 따라서는 상기 메뉴버튼부(13)를 조작하기에 어려움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상기 메뉴버튼부(13)는 대부분 누름 동작되는 푸시 타입의 버튼으로 형성되므로, 휴대 단말기의 전체적인 두께가 두꺼워지고 시간에 따라 버튼이 노화되거나 버튼 사이에 이물질이나 먼지가 쌓이게 되어 접점불량과 같은 불량이 발생 되어 오작동되는 문제점도 있다.
이처럼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메뉴버튼부(13)에 대한 여러 문제점들이 발생되고 있어, 이에 따른 해결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기의 메뉴버튼부에 빛을 이용하는 센서를 적용하여 물체의 2차원적인 움직임뿐만 아니라 3차원적인 움직임도 인식하고, 각각의 움직임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여러 기능을 설정하고 제어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입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물리적인 누름 동작 방식이 아닌 빛을 이용한 방식이므로 단말기 바디의 두께를 줄이면서도 소형화와 디자인 설계 측면에서 용이한 휴대 단말기의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체의 움직임에 따라 반사되는 빛을 측정하고, 그 측정되는 빛의 주파수와 반사량에 따라 각각 다른 기능을 구현하도록 설정하여 각각의 움직임에 대해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입력장치는 정보를 입력하는 키들이 표시되는 입력스크린을 갖는 단말기 바디와, 상기 단말기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입력스크린을 투과하도록 빛을 발산시키는 다수의 발광 소자들과, 상기 발광소자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입력 스크린에 표시된 키의 상측으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도구가 위치되면 상기 발광소자에서 발산되어 상기 입력도구의 표면에서 반사되는 빛을 수신하고, 그 수신되는 빛의 주파수에 따른 인식신호를 발생시키는 수광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력스크린은 빛이 통과할 수 있는 투광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발광소자들은 각기 다른 주파수의 빛을 발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광소자는 수광소자의 주변에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광소자는 수신되는 빛에 따른 인식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광소자는 수신되는 빛의 반사량 및 빛의 세기에 비례하여 단계별로 각기 다른 인식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력장치는 상기 수광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수광소자에서 전송되는 인식신호에 따라 설정된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처리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입력장치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제1바디(100)와, 상기 제1바 디(100)가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바디(200)와, 상기 제1바디(100)와 제2바디(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장착되어 휴대 단말기의 기능을 선택하고 제어하기 위한 입력장치(30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폴더(Folder) 타입 이외에 바(Bar) 타입, 슬라이드(Slide) 타입, 스윙(Swing)힌지 타입 등 입력장치(300)가 적용되는 어떠한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제1바디(100)에는 전면에 음향을 전달하기 위한 마이크부(110)와, 각종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버튼(120)이 구비되고, 후면에는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30)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제2바디(200)에는 각종 시각적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10)와, 음향을 전달하는 스피커부(220)가 장착된다.
상기 입력장치(300)는 상기 제1바디(100)와 제2바디(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제1바디(100)에 설치되는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2의 I-I 선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II-II선의 단면도이다.
상기 입력장치(300)는 빛을 이용한 장치로서, 빛의 직진성과 장애물이 있으면 차단되어 반사되는 성질을 이용한다.
상기 입력장치(300)는 각기 다른 주파수의 빛을 발산하는 다수의 발광소자(310)와, 상기 발광소자(310)에서 발산되어 물체의 표면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빛의 주파수와 반사량을 인식하여 물체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수광소자(3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물체는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펜(pen)과 같이 사용자가 상기 입력장치를 이용하기 위해 사용하는 여러 입력도구가 될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310)는 상기 제1바디(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140)에 설치되고, 상기 제2바디(200)의 개폐동작에 연동되어 작동된다.
다시 말해, 상기 제1바디(100)에 대해 제2바디(200)가 개방(open)되면 이에 연동되어 상기 발광소자(310)에 전원이 인가되고, 이에 따라, 상기 발광소자(310)는 짧은 펄스(pulse)의 빛을 연속적으로 발산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제2바디(200)가 닫힌(close) 상태가 되면 상기 발광소자(310)의 작동도 멈추게 된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 사용자가 통화할 경우, 즉, 통화를 하기 위해 통화버튼을 누르거나 전화가 걸려와 사용자가 통화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입력장치(300)는 사용자의 원활한 통화를 위해 작동을 멈추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발광소자(310)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광소자(310)는 후술할 수광소자(320)의 둘레에 인접하는 영역마다 장착된다.
즉, 상기 수광소자(320)의 상,하측 영역에는 제1발광소자(311)와 제3발광소자(313)가 장착되고, 수광소자(320)의 좌측과 우측 영역으로는 각각 제2발광소 자(312)와 제4발광소자(314)가 장착되어, 각기 다른 주파수의 빛을 발산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수광소자(320)는 상기 발광소자(310)와 같은 인쇄회로기판(140)상에 설치되고, 상기 발광소자(310)에서 발산되어 상기 발광소자(310)의 상측에 위치한 물체의 표면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빛의 주파수와 반사량을 인식하여 그에 따른 인식신호를 발생시킨다.
다시 말해, 상기 발광소자(310)에서 발산된 빛이 물체의 표면에 반사되어 되돌아 오고, 수광소자(320)는 그 반사된 빛의 주파수와 반사량을 수신하여 인식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수광소자(320)는 상기 물체의 위치에 따라 반사되어 수신되는 빛의 세기를 인식하여 상기 물체와 떨어진 거리, 즉 상기 발광소자(310)와 물체 간의 이격된 거리(d)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물체와 발광소자(310)와의 떨어진 거리에 따라 빛이 반사되어 되돌아 오는 시간과 빛의 반사량 및 빛의 세기에 따라 측정되는 여러 값들이 다르므로, 상기 수광소자(320)는 수신되는 빛을 각각 다르게 받아들인다.
상기 입력장치(300)가 작동되면 상기 다수의 발광소자(310)에서는 각기 다른 주파수의 빛이 발산된다.
만약, 상기 물체가 제1발광소자(311)의 상측에 위치해 있다면, 상기 제1발광소자(311)에서 발산된 주파수의 빛이 다른 발광소자에서 발산된 빛보다 상대적으로 물체의 표면에서 많은 양이 반사되어 수광소자(320)로 되돌아 가게 된다.
그러면, 상기 수광소자(320)는 수신된 빛의 주파수와 반사량을 측정하여 어 떤 발광소자(310)에서 발산된 빛인지를 인식하게 되고, 상기 수광소자(320)는 수신되는 각각의 빛의 주파수와 반사량에 따라 각기 다른 인식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수광소자(320)는 상기 발광소자(310)에서 발산되는 빛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항상 수신이 가능한 액티브(Active) 상태이어야 한다.
즉, 상기 수광소자(320)는 상기 발광소자(310)에서 발산되어 물체의 표면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빛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상기 발광소자(310)의 작동과 더불어 항상 수신 가능한 상태로 대기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수광소자(320)는 빛을 수신할 수 있는 센서로 이루어진다.
만약, 상기 수광소자(320)의 빛을 인식하는 감도를 조절해야 한다면, 감도조절이 가능한 센서를 장착하여 감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도 3의 A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광소자(320)는 상기 발광소자(310)에서 발산되어 반사되는 빛을 원활하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상기 발광소자(310)와 같은 평면상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발광소자(310)는 상기 수광소자(320)의 둘레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더욱 정확하고 정밀한 측정이 가능하도록 더 많은 수의 발광소자(310)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발광소자(310)와 수광소자(320)가 장착된 영역의 상측으로는 상기 발광소자(310)에서 발산되는 빛을 투과시키고, 상기 발광소자(310)와 수광소자(32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입력스크린(330)이 장착된다.
상기 입력스크린(330)은 상기 발광소자(310)와 수광소자(320)의 장착위치에 대응되는 제1바디(100)의 전면에 설치된다.
상기 입력스크린(330)은 빛을 투과시킬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고, 그 표면에는 상하좌우 방향을 지시하기 위한 방향지시키(미도시)가 표시되거나 스크롤(scroll)과 같이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키(미도시)가 표시된다.
나아가, 상기 입력장치(300)는 상기 수광소자(3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수광소자(320)에서 발생시키는 인식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처리모듈(3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신호처리모듈(340)은 인쇄회로기판(140)에 장착되어 상기 수광소자(320)에서 전송되는 인식신호를 인식하고, 전송된 인식신호에 대응되게 설정된 휴대 단말기의 기능을 선택하여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입력장치(300)는 발광소자(310)에서 발산된 빛이 입력스크린(330)을 통과하여 상기 입력스크린(330)의 상측에 위치되는 물체의 표면에서 반사되고, 상기 수광소자(320)에서는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빛의 주파수와 반사량을 감지하여 물체의 유/무 및 위치와 이격된 거리 등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물체와의 이격된 거리와 위치에 따라 상기 수광소자(320)에서 발생되는 인식신호에 대해 휴대 단말기의 여러 기능들을 설정해줌으로써, 휴대 단말기의 다양한 기능들을 상기 물체의 움직임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입력장치의 작용에 대해 다음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입력장치의 작동도이다.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 상의 메뉴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 제1바디(100)에 대해 제2바디(200)를 개방하면, 이에 연동되어 상기 입력장치(300)에 전원이 인가된다.
그러면, 수광소자(320)의 4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발광소자(310)에서는 각기 다른 주파수의 빛을 연속적으로 입력스크린(330)의 방향으로 발산하게 되고, 발산된 빛은 상기 입력스크린(330)을 통과하여 상기 입력스크린(330)에 표시된 방향지시키의 표면이나 상측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다른 입력도구의 표면에서 반사된다.
이에 대해, 상기 수광소자(320)에서는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빛을 수신하게 되고, 수신된 빛의 주파수와 반사량을 인식하여 발생되는 인식신호를 신호처리모듈(340)로 전송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신호처리모듈(340)에서는 상기 수광소자(320)에서 전송되는 각각의 인식신호에 따라 설정된 기능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휴대 단말기의 여러 기능을 제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210)에 표시되는 정보를 보면서 버튼(120)의 누름 동작 없이 상기 입력장치(300)를 이용하여 입력도구의 움직임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여러 기능을 선택하거나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입력장치(300)는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빛의 주파수와 반사량에 따라 각각 다른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므로, 상기 입력스크린(330)과 접촉하는 입력도구의 위치뿐만 아니라 상기 입력스크린(330)과 떨어진 거리에 따라서도 각각 다른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입력도구가 상기 입력스크린(330)과 수직으로 떨어져 있는 상태에서 떨어진 거리나 움직임을 판단하여 각각의 움직임에 대해 다른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에 장착된 사진기를 이용하여 찍은 사진을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210)를 통해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보고자 할 때, 사용자는 입력장치(300)를 이용하여 단말기 메뉴 상의 줌 인아웃(zoom in&out) 기능을 찾아 선택한다.
그런 다음, 디스플레이되는 사진을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보고자 하면, 사용자는 상기 입력도구를 입력스크린(330)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천천히 이격시키고, 상기 입력장치(300)는 빛의 반사량을 측정하여 입력도구의 이격된 위치(d)를 각각 측정한다.
이 때, 상기 수광소자(320)는 빛이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시간과 빛의 주파수와 반사량 및 빛의 세기를 측정하여 이격된 위치(d)에 따른 인식신호들을 발생시키게 된다.
즉, 상기 입력도구가 입력스크린(330)에서 가까워질수록 상기 발광소자(310)에서 발산된 빛이 상기 수광소자(320)에 되돌아 오는 시간은 짧아지고, 또한 도달되는 빛의 반사량과 빛의 세기는 최대가 된다.
반대로 상기 입력도구가 입력스크린(330)에서 멀어질수록 빛이 되돌아오는 시간은 길어지고, 빛의 반사량과 빛의 세기는 점점 약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광소자(320)는 빛이 되돌아 오는 시간과 빛의 주파수와 반사 량 및 빛의 세기를 측정하고 이를 인식하여, 이에 대응되는 인식신호를 신호처리모듈(340)로 전송한다.
상기 신호처리모듈(340)에서는 전송되는 인식신호에 따라 줌인(zoom in)기능 또는 줌 아웃(zoom out)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입력도구를 입력스크린(330)과 수직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단계적으로 사진을 확대시키거나 축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입력장치(300)는 빛을 이용하여 2차원의 동작뿐만 아니라 3차원적인 동작도 인식가능함으로써, 입력도구의 정확한 움직임을 감지한다.
이에 따라, 상기 입력장치(300)는 물체의 다양한 움직임에 대해 각각 휴대 단말기의 다른 기능들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장치(300)는 빛의 주파수와 반사량을 이용하여 물리적인 누름 동작 없이 입력도구의 움직이는 방향성과 위치 및 이격된 거리도 인식 가능한 방식이므로, 푸시 타입의 메뉴버튼에 비해 다양한 기능들을 구현할 수 있다.
기존의 상하좌우 이동기능뿐만 아니라, 상기 입력장치(300)에서 물체의 여러 움직임이나 위치 등을 인식하고 각 움직임마다 기능들을 설정함으로써, 메뉴 선택의 확인기능이나 스크롤(scroll)기능 및 줌 인아웃(Zoom in&out) 기능과 같이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 상의 여러 기능들을 쉽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더구나, 버튼을 이용한 구조가 아닌 빛을 이용한 구조이므로, 접점의 접촉불량으로 인한 입력불량이나 오동작과 같은 불편함이 없고, 설치공간이 작아 상대적 으로 단말기의 전체적인 두께를 줄일 수 있어 제품의 디자인 설계 측면에서도 용이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입력장치(300)를 이용하여 누름 동작 없이 입력도구의 움직임만으로 휴대 단말기의 여러 기능들을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한 응용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은 물체의 움직임에 따라 반사되는 빛을 수신하고, 그 수신된 빛의 주파수 및 반사량에 따라 각각 다른 기능을 구현하도록 설정하여 각각의 움직임에 대해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입력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물리적인 누름 동작이 아닌 빛을 이용하여 물체의 2차원적인 움직임뿐만 아니라 3차원적인 움직임도 인식하여, 기존의 상하좌우 및 확인 기능뿐만 아니라 휴대 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입력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이점은 간단한 구조로 물체의 움직임을 인식함과 아울러 적은 설치공간과 따로 버튼을 장착할 필요가 없어 단말기 두께를 줄이면서도 소형화와 디자인 측면에서도 용이한 휴대 단말기의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8)
- 정보를 입력하는 키들이 표시되는 입력스크린을 갖는 단말기 바디와;상기 단말기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입력스크린을 투과하도록 빛을 발산시키는 다수의 발광소자들과;상기 발광소자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입력 스크린에 표시된 키의 상측으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도구가 위치되면, 상기 발광소자에서 발산되어 상기 입력도구의 표면에서 반사되는 빛을 수신하고, 수신된 빛의 주파수에 따른 인식신호를 발생시키는 수광소자를 포함하고,상기 수광소자는 상기 입력도구의 이격된 거리에 따라 다르게 수신되는 빛이 되돌아오는 시간과 빛의 반사량 및 빛의 세기에 비례하여 단계별로 각기 다른 인식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입력장치.휴대 단말기의 입력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입력스크린은 빛이 통과할 수 있는 투광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입력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발광소자들은 각기 다른 주파수의 빛을 발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입력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는 같은 평면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 대 단말기의 입력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발광소자는 수광소자의 주변에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입력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수광소자는 수신되는 빛의 주파수에 따라 각기 다른 인식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입력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수광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수광소자에서 전송되는 인식신호에 따라 설정된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처리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입력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89321A KR101245588B1 (ko) | 2006-09-14 | 2006-09-14 | 휴대 단말기의 입력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89321A KR101245588B1 (ko) | 2006-09-14 | 2006-09-14 | 휴대 단말기의 입력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24769A KR20080024769A (ko) | 2008-03-19 |
KR101245588B1 true KR101245588B1 (ko) | 2013-03-20 |
Family
ID=39412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89321A KR101245588B1 (ko) | 2006-09-14 | 2006-09-14 | 휴대 단말기의 입력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45588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71239A (ko) * | 1998-02-28 | 1999-09-15 | 전주범 | 터치형 리모트 콘트롤러 |
JP2003189008A (ja) * | 2001-12-19 | 2003-07-04 | Infini Entertainment Technology Inc | Pdma端末 |
KR20060090544A (ko) * | 2005-02-07 | 2006-08-11 | 이우석 | 키 입력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장치 및 그의 키 입력 방법 |
KR20070090290A (ko) * | 2006-03-02 | 2007-09-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터치 패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2006
- 2006-09-14 KR KR1020060089321A patent/KR10124558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71239A (ko) * | 1998-02-28 | 1999-09-15 | 전주범 | 터치형 리모트 콘트롤러 |
JP2003189008A (ja) * | 2001-12-19 | 2003-07-04 | Infini Entertainment Technology Inc | Pdma端末 |
KR20060090544A (ko) * | 2005-02-07 | 2006-08-11 | 이우석 | 키 입력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장치 및 그의 키 입력 방법 |
KR20070090290A (ko) * | 2006-03-02 | 2007-09-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터치 패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24769A (ko) | 2008-03-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849483B2 (ja) | 移動端末機 | |
JP5095811B2 (ja) | 移動通信装置及び該移動通信装置のための入力装置 | |
US20100214267A1 (en) | Mobile device with virtual keypad | |
KR20140042907A (ko) | 근접 센서 | |
CN106445242B (zh) | 压力触控装置和电子设备 | |
US9223350B2 (en) | Slidable display portable mobile device | |
KR101990452B1 (ko) | 전자 장치에서 회로 보드들의 장착 구조 | |
US7843433B2 (en) | Cordless pointing device and information terminal device | |
KR100715200B1 (ko) | 자기력 감지 센서를 이용한 데이터 입력 장치 및 이를이용한 3차원 좌표 산출 방법 | |
EP3893019A1 (en) | Radar antenna array, mobile user equipment, method and device for identifying gesture, and storage medium | |
JP5577919B2 (ja) | 電子機器及びその製造方法 | |
KR101245588B1 (ko) | 휴대 단말기의 입력 장치 | |
KR20070090290A (ko) |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터치 패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US20050190163A1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electronic device | |
CN110597448B (zh) |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 |
CA2792806C (en) | Touch tracking optical input device | |
KR101151230B1 (ko) | 초슬림 광 조이스틱 및 이를 갖는 휴대 단말기 | |
EP1876514A1 (en) |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2D displacement sensor | |
KR101092857B1 (ko) | 초슬림 광조이스틱 | |
KR101424519B1 (ko) | 이동 통신 단말기 | |
EP3926527A2 (en) | Optical fingerprint module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 |
JP5474594B2 (ja) | 携帯電子機器 | |
KR101615651B1 (ko) | 스마트 단말기의 입력 장치 및 방법 | |
KR20060062842A (ko) | 카메라 내장형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무선 마우스기능의 구현 방법 및 그 이동 통신 단말기 | |
US20110001716A1 (en) | Key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