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8344A - 카드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카드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8344A
KR20070088344A KR1020070010002A KR20070010002A KR20070088344A KR 20070088344 A KR20070088344 A KR 20070088344A KR 1020070010002 A KR1020070010002 A KR 1020070010002A KR 20070010002 A KR20070010002 A KR 20070010002A KR 20070088344 A KR20070088344 A KR 200700883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connector
housing
inclined surfac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0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지 니시와키
오사무 미야모토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88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83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by mechanical pressure, e.g. spring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bstract

본 발명은, 카드의 오삽입의 방지, 나아가서는, 카드와 커넥터의 측벽이 간섭하여 커넥터가 파괴되어 버리는 위험이 적어지도록, 카드 오삽입에 대한 내력을 높인 카드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후방이 개방되어 카드 삽입구를 형성하고, 내부에 카드를 삽입 발출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는, 대략 상자 형상으로 형성된 카드용 커넥터로서, 카드가 수용되었을 때에 카드와 접촉할 수 있는 단자를 배열하는 하우징과, 적어도 상면 및 양측면을 덮는 금속제의 커버를 갖는다. 하우징은, 카드의 삽입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쌍의 측벽부를 갖고, 커버는, 적어도 일방의 측벽부의 후단부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부재를, 측벽부의 후방에서, 또한, 카드 삽입구측에 노출된 상태로 갖는다.

Description

카드용 커넥터{CONNECTOR FOR CARD}
도 1 은,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커넥터의 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은, 커넥터에서 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는, 카드 삽입시에 있어서의 커넥터의 내부 상태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5 는, 카드가 오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제 1 보호 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은, 제 2 보호 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은, 제 1 보호 부재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는, 제 1 보호 부재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은, 종래의 카드용 커넥터의 일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 카드용 커넥터
3 카드
10 절연 하우징
12 측벽부
13 단면
14 내벽
20 단자
30 커버
32 제 1 누름 스프링
34 제 2 누름 스프링
35 측면 납땜부
36 측면 납땜부
37 기판
42 상면
43 측면
50 이젝터
56 로크 스프링
58 스프링 맞닿음부
59 카드 맞닿음부
68 스프링
70 제 1 보호 부재
71 제 2 보호 부재
72 측부
73 측부
74 고정부
75 고정부
76 간극
77 절결
78 절곡부
79 연장부
80 걸어맞춤 돌기
81 걸어맞춤 구멍
82 절곡부
83 단부
84 측부 에지
87 측면
88 측면
89 경사면
일본 공개특허공보2003-109694호
본 발명은, 카드용 커넥터, 특히, 카드의 오삽입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카드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도 10 에, 종래의 카드용 커넥터의 일반 구성을 나타낸다. 이 카드용 커넥터 (9) 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109694호 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동일하다. 이 카드용 커넥터 (9) 에는, 복수의 단자 (5) 가 배열된 하우징 (7) 과, 카드 삽입측 (15) 을 제외한 하우징 (7) 의 상면과 측면을 덮는 금속제의 커버 (8) 가 포함된다.
이 종래의 커넥터 (9) 에, 카드 (도시되지 않음) 가 올바르지 않은 방향으로 오삽입되었을 경우, 예를 들어, 카드의 표리를 반대로 하여 오삽입되었을 경우에는, 카드는 커넥터 (9) 의 측벽 (4a, 4b) 을 따라 어느 정도 삽입되지만, 도중에서 삽입이 저지되게 된다. 그 삽입이 저지된 상태에서 더욱 밀어 넣으면, 커넥터의 컨택트나 슬라이더가 파손되어 버리는 위험이 있었다.
최근의 시장의 요구에 따라, 커넥터나 카드가 소형화되자, 카드 자체의 구별이 곤란하게 되어, 이 위험성이 한층 높다. 특히 소형의 카드를 휴대전화 등의 모바일 기기에 삽입하는 경우에는 기기측도 표리가 반대로 되는 경우가 있어, 이 위험성이 높다.
또, 카드를 처음부터 기울여 오삽입했을 경우, 또은, 오삽입하여 도중에서 멈춘 카드에 비집어 넣는 힘을 가했을 경우 등에는, 하우징 (7) 의 측벽 (4a, 4b) 이 파손되어 버리는 위험성이 있었다. 강도에 관해서, 도 10 에 나타낸 종래의 커넥터 (9) 에서는, 카드의 삽입 방향을 따라 커버 (8) 의 상면으로부터 카드 삽입구 (15) 측으로 연장된 부분 (6) 을, 단면 (5a) 을 따라 상방으로부터 저면을 향하 여 절곡함으로써 단면 (5a) 의 일부를 금속제 커버 (8) 의 일부에서 덮도록 하고 있지만, 이 연장 부분 (6) 은, 카드의 오삽입에 의해 하우징 (7) 의 측벽 (4a, 4b) 의 후단부 (5a, 5b) 를 파손시키는 힘이 가해지는 것은 고려하고 있지 않으며, 하우징 (7) 에 커버 (8) 을 장착하는 것만을 의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카드용 커넥터에서는, 카드 오삽입에 대해서 적절한 대응이 이루어져 있지 않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카드의 오삽입의 방지, 나아가서는, 카드와 커넥터의 측벽이 간섭하여 커넥터가 파괴되어 버리는 위험이 적어지도록, 카드 오삽입에 대한 내력을 높인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후방이 개방되어 카드 삽입구를 형성하고, 내부에 카드를 삽입 발출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는, 대략 상자 형상으로 형성된 카드용 커넥터로서, 카드가 수용되었을 때 이 카드와 접촉할 수 있는 단자를 배열하는 하우징과, 적어도 상면 및 양측면을 덮는 금속제의 커버를 갖는 카드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카드의 삽입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쌍의 측벽부를 갖고, 상기 커버는, 적어도 일방의 상기 측벽부의 후단부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부재를, 이 측벽부의 후방에서, 또한, 상기 카드 삽입구측에 노출시킨 상태에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카드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보호 부재는, 상기 카드의 삽입 방향을 따라, 상기 커버의 상면으로부터 카드의 삽입측으로 연장된 부분을 저면을 향해 절곡하도록 하여 설편(舌片)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 상기 카드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보호 부재는, 상기 카드의 삽입 방향을 따라, 상기 커버의 측면으로부터 카드의 삽입측으로 연장된 부분을 상기 삽입구를 향하여 측방에서 절곡하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추가로 또, 상기 카드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보호 부재는, 적어도 그 일부가 다른 부재에 대해서, 고정 또는 걸어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된다.
또, 상기 카드용 커넥터로 이용하는 카드에 있어서, 상기 카드의 일방의 측면의 중간 부근에, 상기 카드의 삽입 발출 방향을 따라 상기 카드의 삽입측으로부터 상기 카드의 발출측을 향하여 폭이 넓어지는 경사면을 형성하고, 이 경사면을 사이에 두고, 상기 카드의 삽입측에 폭이 좁은 부분을, 상기 카드의 발출측에 폭이 넓은 부분을, 각각 형성하며, 상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카드용 커넥터는 추가로, 상기 하우징 내를 카드의 삽입 발출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형성됨과 함께, 상기 카드 삽입구의 근방에 위치지어지도록 상기 카드의 발출측에 상시 탄성지지된 카드 탑재용 이젝트 부재를 갖고 있고, 이 이젝트 부재에는, 상기 카드의 경사면에 대응하여, 상기 카드의 삽입측으로부터 상기 카드의 발출측을 향하여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된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카드가 적정하게 삽입되었을 때에는, 상기 이젝트 부재의 경사면과 상기 카드의 경사면이 적합한 상태에서, 상기 카드는 그대로의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되고; 상기 카드의 표리가 반대로 삽입되었을 때는, 상기 이젝트 부재의 경사면이 상기 카드의 일방의 측면의 대향측의 타방의 측면과 충돌하여, 상기 카드를 경사시켜 상기 카드의 오삽입을 방지하는 것이어도 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도 1 내지 도 4 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의한 카드용 커넥터 (1) 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 카드용 커넥터 (1) 는, 자신에게 설치한 이젝트 기구를 이용하여 카드 (3) 를 커넥터 (1) 에 압압함으로써 카드를 자유롭게 삽입 발출할 수 있는, 이른바 푸쉬ㆍ푸쉬형의 커넥터이다.
도 1 은, 커넥터 (1) 의 사시도, 도 2 는, 커넥터 (1) 의 커버 (30) 를 도 1 과는 방향을 바꾸어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커넥터 (1) 에서 커버 (30) 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 는, 카드 삽입시에 있어서의 커넥터 (1) 의 내부 상태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본 커넥터 (1) 에서 사용하는 카드 (3) 는, 예를 들어, miniSD, microSD 등의 소형인 것이다. 카드 (3) 의 크기에 맞추어 커넥터 (1) 도 소형으로 설계되어 있다. 이러한 커넥터 (1) 의 하우징 (10) 에 사용되는 몰드는 매우 얇은 것이고, 이 결과, 하우징 (10) 의 강도가 문제가 되기 쉽다.
예를 들어, 카드 (3) 의 표리면을 반대로 하여 커넥터 (1) 에 삽입했을 경우,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드 (3) 의 측면 (88) 이 스프링 맞닿음부 (58) 나 카드 맞닿음부 (59) 의 경사면으로 안내됨으로써 카드 (3) 는 비스듬하게 경사진 상태에서 커넥터 (1) 에 삽입되고, 이 결과, 카드 (3) 의 측면 (88, 89) 이 카드 삽입구 부근에서 커넥터 (1) 의 하우징 (10) 과 충돌한다. 이와 같이, 카드 의 표리면을 반대로 하여 삽입하려고 했을 경우에도, 카드 (3) 의 양측면 (87, 88) 은 하우징 (10) 의 도중까지밖에 삽입되지 않고, 따라서, 오삽입은 방지된다. 이 때, 경사진 카드 (3) 의 측면 (87, 88) 에 의해 하우징 (10) 의 삽입 부근을 파손시킬 위험성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경우에도, 카드 (3) 에 의해 측벽부 (12a) 가 파손되는 일이 없도록, 커버 (30) 의 일부에 의해 측벽부 (12a) 를 보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커넥터 (1) 는, 이러한 카드의 오삽입 자체를 방지한다. 이하, 본커넥터 (1) 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커넥터 (1) 는, 주로, 수지 등의 절연재로 제조된 하우징 (10) 과, 이 하우징 (10) 에 수용되는 단자 (20), 이젝터 (50), 핀 (60), 스프링 (68), 그리고, 금속제의 커버 (30) 로 이루어진다. 소요 부품을 하우징 (10) 에 장착한 후, 하우징 (10) 의 적어도 상면 및 양측면을 덮도록, 커버 (30) 를 하우징 (10) 의 상부로부터 부착함으로써, 후방의 카드 삽입측만을 실질적으로 개방 상태로 한 대략 상자 형상의 커넥터 (1) 가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 (10) 과 커버 (30) 는, 예를 들어, 하우징 (10) 의 구멍 (16) 에 커버 (30) 의 측벽에 형성한 압입부 (44) 를 압입하는 것, 또는, 커버 (30) 의 측부에 형성한 걸어맞춤 구멍 (31) 에 하우징 (10) 의 측벽에 형성한 걸어맞춤 돌기 (11) 를 걸어맞춤시키는 것 등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다.
하우징 (10) 의 전면(前面)에 단자 (20) 를 배열시키는 단자 고정 구멍 (27) 이 복수 병렬 형성되어 있다. 단자 (20) 는, 카드의 삽입 방향을 따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쌍의 측벽부 (12a, 12b)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우징 (10) 의 전 측에서 장치되고, 그들 각 단부에 있어서 단자 고정 구멍 (27) 에 압입 고정된다. 이 결과, 단자 (20) 는, 측벽부 (12a, 12b) 에 대해서 서로 대략 평행하게 배열된다. 측벽부 (12a, 12b) 를 따라 카드가 커넥터 (1) 의 내부에 안내되었을 때, 단자 (20) 는, 그들 선단부 부근에 형성된 만곡된 단자 접점 (22) 에 있어서, 카드 (3) 의 저면측에 설치한 대응하는 단자부 (도시되지 않음) 와 각각 접촉할 수 있다. 단자 접점 (22) 은, 이들의 접촉 상태에 응답하여, 단자 홈 (24) 을 통해서 소정량만 하방으로 탄성 변위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10) 의 측벽부 (12a, 12b) 는, 하우징 본체와 일체가 아니어도 되고, 또, 절연재에 한정되지 않고 얇은 금속판을 사용해도 된다.
하우징 (10) 의 후방 내부에 금속제의 이젝터 (50) 가 설치되어 있다. 이젝터 (50) 는 카드 삽입구의 근방에 위치지어지도록, 스프링 (68) 의 작용에 의해 카드 (3) 의 발출측에 항상 탄성지지 되어 있고, 카드 (3) 를 상부에 탑재 상태에서, 카드의 삽입 발출 방향을 따라 하우징 (10) 내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이젝터 (50) 는, 예를 들어, 도 4 의 (a) 에 나타내는 위치 (삽입전 위치) 와 도 4 의 (b) 에 나타내는 위치 (로크 위치) 의 사이에서 순환한다. 도 4 의 (a) 는, 카드 (3) 를 이젝터 (50) 에 단순히 탑재한 상태, 또는, 카드 (3) 를 하우징 (10) 에서 발출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이 때 카드 (3) 와 단자 (20) 의 접촉은 해제된 상태에 있다. 한편, 도 4 의 (b) 는, 카드 (3) 를 하우징 (10) 내에 힘을 가해 밀어넣은 후에 힘을 빼서 약간 돌아오고, 소정 위치에 로크된 상태를 나타내고, 이 때 카드 (3) 와 단자 (20) 는 접촉된 상태에 있다. 또한, 카 드 (3) 를 오삽입했을 때, 그것이 경사지지 않은 경우에는, 카드 측면 (87, 88) 이 측벽부 (12a, 12b) 를 따라 하우징 (10) 의 내부에 안내되고 카드 (3) 는 도 4 의 (b) 에 나타내는 위치까지 삽입된다.
이젝터 (50) 는, 주로, 플레이트부 (90) 와, 플레이트부 (90) 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 측면으로부터 하우징 (10) 의 저면 (21) 에 대해서 수직 형성된 한쌍의 측벽 (51, 92) 으로 이루어진다. 측벽 (92) 은, 카드 맞닿음부 (59) 와, 또한, 이 카드 맞닿음부 (59) 로부터 카드의 삽입 발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방 연출면 (94) 과 후방 연출면 (판벽부) (95) 으로 이루어진다.
커넥터 (1) 에 카드 (3) 를 적정하게 삽입했을 때, 카드 (3) 는 이젝터 (50) 의 플레이트부 (90) 상을 슬라이드하고, 카드 (3) 는 그 대략 중앙 부근에서 이젝터 (50) 에 위치결정되고 또한 걸어맞춰진다.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카드 (3) 의 일방의 측면 (87) 중간 부근에, 카드 (3) 의 삽입 발출 방향을 따라 앞측 (삽입측) 으로부터 후방 (발출측) 을 향해 폭이 넓어지는 경사면 (89) 이 형성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여, 이젝터 (50) 의 카드 맞닿음부 (59) 에도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 (89) 을 형성함으로써, 카드 (3) 는, 경사면 (89) 을 사이에 두고, 카드의 앞측 (삽입측) 에 폭이 좁은 부분을, 카드의 뒤측 (발출측) 에 폭이 넓은 부분을, 각각 갖는다. 또, 카드 (3) 의 경사면 (89) 보다도 더욱 카드 삽입측에 가까운 측에는, 폭 방향에 있어서 내측으로 움푹 들어간 오목부 (26) 가 형성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여, 이젝터 (50) 에는, 이 오목부 (26) 에 걸어맞춰지는 로크 스프링 (56) 이 형성되어 있다. 로크 스프링 (56) 은, 예를 들어, 카드의 삽입 발출 방향을 따른 카드의 발출측에서, 이젝터 (50) 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일방측의 플레이트부 (90) 를 수직 형성하고, 그 꼭대기부를 절곡함으로써,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카드의 발출측으로부터 카드의 삽입측을 향해), 급경사를 갖는 대략 수직 삼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젝터 (50) 의 저면의 하방으로 들어갈 수 있는 상태에서 하우징의 내부에 탄성 돌출되어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드 (3) 를 올바른 방향으로 삽입했을 경우, 카드 (3) 에는 경사면 (89) 을 설치함으로써 발생한 폭이 좁은 스페이스 부분이 전방 측면에 존재하므로, 처음에는 카드 (3) 와, 이젝터 (50) 의 로크 스프링 (56) 의 충돌이 방지되고, 카드 (3) 는, 카드 맞닿음부 (59) 에 의해 규제되는 일 없이, 적정한 방향인 채로 스무스하게 커넥터 (1) 에 삽입된다. 카드 (3) 가 더욱 삽입되면, 카드 (3) 의 카드 맞닿음부 (59) 와, 로크 스프링 (56) 이 충돌하지만, 카드 (3) 의 양측면 (87, 88) 은 이미 한쌍의 측벽부 (12a, 12b) 로 안내되어 있으므로, 카드 (3) 가 경사지지는 않는다. 그 후, 카드 (3) 는, 로크 스프링 (56) 을 하방으로 (카드의 삽입 발출 방향과 카드의 폭 방향의 쌍방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위시키면서 삽입된다. 로크 스프링 (56) 이 카드 (3) 의 오목부 (26) 에 도달했을 때, 카드 (3) 의 경사면 (89) 과, 이젝터 (50) 의 카드 맞닿음부 (59) 의 경사면이 맞닿고, 또, 로크 스프링 (56) 은 탄성력에 의해 탄성 변위 전의 위치로 돌아와 오목부 (26) 에 소리를 내면서 끼워져 거기에 걸어맞춰진다. 이 때, 측벽 (51) 의 탄성에 의해 카드 (3) 의 경사면 (89) 과 카드 맞닿음부 (59) 는 완전히 적합된 상태에 있고, 카드 (3) 는 이젝터 (50) 의 플레이트부 (90) 상에 가 볍게 걸림과 함께 위치결정된다. 로크 스프링 (56) 에 의한 이 카드 (3) 의 걸림은, 카드 (3) 를 커넥터 (1) 의 후방측으로 소정의 힘에 의해 떼어 놓도록 당김으로써 간단하게 해제할 수 있다. 로크 스프링 (56) 의 변위가 보다 순조롭게 실시되도록, 로크 스프링 (56) 의 횡측에 이젝터 (50) 의 슬라이드 방향을 따라 플레이트부 (90) 에 보조용의 절결 (54) 을 형성하고, 로크 스프링 (56) 이 플레이트부 (90) 의 주변 부분을 포함하여 변위되도록 해도 된다.
이젝터 (50) 의 측면 전방으로, 이젝터 (50) 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일방측으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핀 고정 구멍 (48) 을 형성하고 있다. 핀 (60) 은, 이 핀 고정 구멍 (48) 에, 그 이젝트 고정부 (62) 를 건 상태에서 가볍게 걸린다. 핀 (60) 은 이젝터 (50) 에 걸려져 있으므로, 이젝터 (50) 에 연동하여 하우징 (10) 내를 전후로 이동하고, 이 결과, 핀 (60) 의 선단부를 직교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한 하트 캠 걸림부 (61) 는, 카드의 삽입 발출 방향에 따라 형성된 하트 캠 기구 (64) 의 캠홈 (66) 위를 슬라이드한다. 캠홈 (66) 은, 중앙의 하트형 도부(島部) (67) 의 주위에 하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트 캠 기구 자체의 구조는,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과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커버 (30) 는, 한장의 얇은 금속판을 펀칭, 절곡 등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된다. 카드 (3) 를 이젝트할 때, 카드 (3) 가 커넥터 (1) 에서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커버 (30) 의 상면에 2 개의 누름 스프링 (40)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캠홈 (66) 위를 슬라이드하는 핀 (60) 의 들뜸을 방지하여 핀 (60) 을 캠홈 위에 유지하고, 그 동작을 컨트롤하기 위해, 커버 (30) 의 상면에 제 1 누름 스프링 (32) 과 제 2 누름 스프링 (34) 도 형성되어 있다.
카드의 오삽입시에, 경사진 카드 (3) 의 측면 (88) 이 측벽부 (12a) 와 충돌하여 측벽부 (12a) 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카드 (3) 의 삽입 방향을 따라 (측벽부 (12a) 를 따라) 커버 (30) 의 상면 (42) 으로부터 카드의 삽입측으로 연장된 부분을 카드의 삽입 방향에 대면하는 측벽부 (12a) 의 단면 (13a) 을 따라 상방에서 절곡되도록 하여, 단면 (13a) 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설편 형상의 제 1 보호 부재 (70)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 보호 부재 (70) 를 형성함으로써, 카드가 경사지게 기운 상태에서 삽입된 경우에도, 하우징 (10) 이 아니라, 금속으로 만들어진 단단한 제 1 보호 부재 (70) 가 카드의 측벽 (88) 과 충돌하게 되기 때문에, 하우징 (10) 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보호 부재 (70) 는, 카드 (3) 에서의 힘을 실질적으로 판두께 방향 (도 1 에 나타난 화살표 「가」방향) 에서 받게 되기 때문에, 바꾸어 말하면, 커버 (30) 에 대한 제 1 보호 부재 (70) 의 휨 방향에 대해서 수직 방향에서 받게 되기 때문에, 두께 방향에서, 바꾸어 말하면, 금속판의 판면이 변형되는 방향에서 힘을 받는 경우보다도, 더욱 큰 내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카드 (3) 의 측벽 (88) 이, 하우징 (10) 이 아니라 제 1 보호 부재 (70) 와 충돌하는 것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 제 1 보호 부재 (70) 의 카드 삽입측에 있어서의 측부 (72) 는, 적어도 측벽부 (12a) 의 단면 (13a) 에 있어서, 측벽부 (12a) 의 단면 (13a) (내벽 (14a)) 과 동일한 정도로까지 카드 삽입구측에 노출된 상태에서, 바람직하게는, 이것보다도 카드 삽입구 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형성해도 된다. 돌출의 경우, 측벽부 (12a) 의 후단에 경사면이나 단부 (도시하지 않음) 를 형성하여 내벽 (14a) 을 패이게 하여 상대적으로 제 1 보호 부재 (70) 를 돌출시켜도 된다. 또, 제 1 보호 부재 (70) 가 노출된 에지부에서 카드 (3) 의 측면 (88) 의 힘을 받는다면, 카드가 미끄러져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도 발휘할 수 있다.
동일한 목적으로, 삽입 방향을 따라 (측벽부 (12a) 을 따라) 커버 (30) 의 측면 (43) 에서 카드의 삽입측으로 연장된 부분을 카드의 삽입 방향에 대면하는 측벽부 (12b) 의 단면 (13b) 을 따라 측방으로부터 절곡되도록 하여, 단면 (13b) 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제 2 보호 부재 (71)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 2 보호 부재 (71) 를 형성함으로써, 카드가 비스듬하게 경사진 상태에서 삽입된 경우에도, 하우징 (10) 이 아니라, 금속으로 만들어진 단단한 제 2 보호 부재 (71) 가 카드 (3) 의 측벽 (87) 과 충돌하게 되기 때문에, 하우징 (10) 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카드의 측벽 (87) 이, 제 2 보호 부재 (71) 와 충돌하는 것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 제 2 보호 부재 (71) 의 카드 삽입측에 있어서의 측부 (73) 는, 적어도 측벽부 (12b) 의 단면 (13b) 에 있어서, 측벽부 (12b) 의 단면 (13b) (의 내벽 (14b)) 과 동일한 정도로까지 카드 삽입구측에 노출된 상태에서, 바람직하게는, 이것보다도 카드 삽입구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설치해도 된다. 또한, 제 2 보호 부재 (71) 는 제 1 보호 부재 (70) 와 같이, 카드 (3) 에서의 힘을 두께 방향에서 받는 것이 아니지만, 도 5 에서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카드가 오삽입되어 경사진 경우에는, 제 2 보호 부재 (71) (점선으로 간략화해 나타 내고 있음) 부근에 있어서는, 카드 (3) 의, 특히 경사면 (89) 에서의 힘을, 절곡 방향 (도시 화살표「나」방향) 에서 받게 되기 때문에, 바꾸어 말하면, 단순히 제 2 보호 부재 (71) 의 절곡을 강화하는 힘을 받을 뿐이기 때문에, 이러한 구성이어도, 카드 (3) 에서의 힘에 대해서 충분한 내력을 발휘할 수 있다.
도 6, 도 7 에, 제 1 보호 부재 (70) 와 제 2 보호 부재 (71) 의 변형예를 각각 나타낸다. 위의 실시예에서는, 제 1 보호 부재 (70) 나 제 2 보호 부재 (71) 는, 기판측에 단순히 절곡된 상태로 되어 있고, 그들 선단은 자유단으로서 형성되어 있었다. 도 6, 도 7 에 나타내는 변형예에서는, 그들의 일부를 다른 부재에 대해서 고정 혹은 걸어맞춤 가능하게 함으로써 강도를 높여, 판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휨에 대한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고정 수단 (74, 75) 을 형성하고 있다. 즉, 도 6, 도 7 의 제 1 보호 부재 (70A) 나 제 2 보호 부재 (71A) 에서는, 그들 자유단의 일부 (74, 75) 를 기판면까지 연장시켜, 커버 (30) 의 측면 납땜부 (35, 36) 와 함께 기판 (37) 에 땜납 고정할 수 있도록 했다. 이로써, 예를 들어, 카드 (3) 의 표리면을 반대로 하여 삽입했을 때의 변형, 파손을 방지하고, 그러한 경우에 있어서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보호 부재 (70A) 에서의 고정 수단 (74) 에 있어서, 카드 삽입측의 선단측의 일부 (77) 를 절결하기로 한 것은, 고정부 (74) 를 기판 (37) 에 납땜했을 때에, 이젝터 (50) 의 슬라이드 운동을 방해하는 것과 같은 위치에까지 땜납이 도달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 특히 제 1 보호 부재 (70A) 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카드 삽입구와는 반대측의 제 1 보호 부재 (70A) 의 측부 에지 (84) 와, 카드의 삽입 방 향으로 연장되는 커버 (30) 의 일부, 예를 들어, 카드 삽입측 (38) 의 커버 (30) 의 측부 내벽과의 사이의 간극 (76) 을 적게하거나 없앰으로써, 제 1 보호 부재 (70A) 가 커버 (30) 측으로 변형된 경우이어도, 제 1 보호 부재 (70A) 의 측부 에지 (84) 와, 커버 (30) 의 선단측 (38) 의 내벽과의 접촉을 통해서 제 1 보호 부재 (70A) 에 있어서의 고정력을 보강하여, 그러한 힘에도 견딜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 1 보호 부재의 다른 변형예를 도 8, 도 9 에 나타낸다. 이들 도면은, 제 1 보호 부재의 주변 부분만을 도 6 과 동일한 방향에서 간략화한 형태로 나타낸 것이다. 카드는 도시 화살표「라」방향에서 삽입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도 8 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제 1 보호 부재 (70B) 에서는, 제 2 보호 부재 (71, 71A) 와 마찬가지로, 삽입 방향을 따라 (측벽부를 따라) 커버 (30) 의 측면 (43) 으로부터 카드의 삽입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이 형성되고, 이것을 카드의 삽입 방향에 대면하는 측벽부의 단면을 따라 측방으로부터 절곡되도록 하여,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절곡부 (78) 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이 절곡부 (78) 의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삽입 방향을 따라 (측벽부를 따라) 커버 (30) 의 상면 (42) 으로부터 카드의 삽입측으로 연장된 연장부 (79) 가 형성되어, 절곡부 (78) 의 상방에 일부 돌출시킨 걸어맞춤 돌기 (80) 를 이것에 대응하여 연장부 (79) 에 뚫린 걸어맞춤 구멍 (81) 에 걸어맞춤시킴으로써 절곡부 (78) 의 강도를 보강한 것이다.
또, 도 9 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제 1 보호 부재 (70C) 는, 제 2 보호 부재 (71, 71A) 와 마찬가지로, 삽입 방향을 따라 (측벽부를 따라) 커버 (30) 의 측면 (43) 으로부터 카드의 삽입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형성하고, 이것을 카드의 삽입 방향에 대면하는 측벽부의 단면을 따라 측방으로부터 절곡되도록 하여,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절곡부 (82) 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이 절곡부 (82) 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커버 (30) 의 측면 납땜부 (35) 와 함께 기판 (37) 에 땜납 고정할 수 있도록, 절곡부 (82) 의 일부 (74C) 를 기판면까지 연장시켜 형성한 고정부 (74C) 를 갖는다. 고정부 (74C) 는, 납땜 등을 이용하여 기판에 완전히 고정될 수 있다. 이들 변형예와 같이 측면에서 보호 부재가 연장되고 있다고 해도, 커버 (30) 와의 연장부 외에도 고정부나 걸어맞춤부를 형성하여 강도를 보강함으로써, 경사진 카드의 압압력을 크게 받는 부재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드 (3) 를 표리 반대로 하여 삽입하려고 했을 경우에는, 카드 (3) 에는 스페이스 부분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삽입의 처음보다, 카드 (3) 의 선단이 이젝터 (50) 의 로크 스프링 (56) 과 충돌하게 되고, 또한 그 후, 카드 (3) 의 스페이스 부분이 존재하지 않는 쪽의 측면 (88) 이, 스프링 (68) 과 걸어맞춤하는 스프링 맞닿음부 (58) 나 경사진 카드 맞닿음부 (59) 에 충돌하여, 결과적으로, 카드 (3) 는 비스듬하게 경사지게 된다. 이 때, 제 1 보호 부재 (70) 는, 그 측부 (72) 에 있어서, 카드 (3) 의 측면 (88) 과 충돌하고, 한편, 제 2 보호 부재 (71) 는, 그 측부 (73) 에 있어서, 카드 (3) 의 측면 (87), 특히, 경사면 (89) 부분과 충돌하게 되어, 조작자는 카드 오삽입의 처음 단계에서 오삽입을 알아차릴 수가 있고, 이 결과, 카드의 오삽입은 방지되게 된다. 이와 같이, 카드의 표리면을 반대로 하여 삽입하려고 했을 경우에는, 특히, 제 2 보호 부재 (71) 의 측에 있어서는, 그 측부 (72) 부근과 카드의 경사면 (89) 이 맞닿고, 이 맞닿음부를 중심으로 카드 (3) 에 회전 방향의 힘이 작용하게 되므로, 제 1 보호 부재 (70) 에 비해 강도가 비교적 약한 제 2 보호 부재 (71) 측에 있어서는, 카드 (3) 에서의 충격이 완화되고, 한편, 제 2 보호 부재 (71) 에 비해 강도가 비교적 강한 제 1 보호 부재 (70) 측에 있어서는, 카드 (3) 의 직선 형상의 측면 (88) 을 충돌시키도록 하여, 커넥터의 파손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즉, 보호 부재는 적어도 경사 수단이 형성된 측의 측벽 (12a) 을 보호함으로써 파손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커넥터 (1) 는, 카드 표리 후 삽입시의 카드 경사 기능을 갖고 있고, 이것이 오삽입 방지 기능을 발휘한다.
또한, 위의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보호 부재 (70) 와 제 2 보호 부재 (71) 의 2 종류를 형성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예를 들어, 제 1 보호 부재 (70) 만을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은, 카드용 커넥터에 폭넓게 적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르면, 카드의 오삽입의 방지, 나아가서는, 카드와 커넥터의 측벽이 간섭하여 커넥터가 파괴되어 버리는 위험이 적어지도록, 카드 오삽입에 대한 내력을 높인 카드용 커넥터가 제공된다.

Claims (5)

  1. 후방이 개방되어 카드 삽입구를 형성하고, 내부에 카드를 삽입 발출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는, 대략 상자 형상으로 형성된 카드용 커넥터로서, 카드가 수용되었을 때에 이 카드와 접촉할 수 있는 단자를 배열하는 하우징과, 적어도 상면 및 양측면을 덮는 금속제의 커버를 갖는 카드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카드의 삽입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쌍의 측벽부를 갖고, 상기 커버는, 적어도 일방의 상기 측벽부의 후단부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부재를, 이 측벽부의 후방에서, 또한, 상기 카드 삽입구측에 노출된 상태에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부재는, 상기 카드의 삽입 방향을 따라, 상기 커버의 상면으로부터 카드의 삽입측으로 연장된 부분을 저면을 향해 절곡되도록 하여 설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카드용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부재는, 상기 카드의 삽입 방향을 따라, 상기 커버의 측면으로부터 카드의 삽입측으로 연장된 부분을 상기 삽입구를 향하여 측방으로부터 절곡되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는 카드용 커넥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부재는, 적어도 그 일부가 다른 부재에 대해서, 고정 또는 걸어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는 카드용 커넥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의 일방의 측면의 중간 부근에, 상기 카드의 삽입 발출 방향을 따라 상기 카드의 삽입측으로부터 상기 카드의 발출측을 향하여 폭이 넓어지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이 경사면을 사이에 두고, 상기 카드의 삽입측에 폭이 좁아지는 부분이, 상기 카드의 발출측에 폭이 넓어지는 부분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카드용 커넥터는 추가로, 상기 하우징 내를 카드의 삽입 발출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과 함께, 상기 카드 삽입구의 근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카드의 발출측으로 상시 탄성지지된 카드 탑재용 이젝트 부재를 갖고 있고, 이 이젝트 부재에는, 상기 카드의 경사면에 대응하여, 상기 카드의 삽입측으로부터 상기 카드의 발출측을 향하여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된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카드가 적정하게 삽입되었을 때에는, 상기 이젝트 부재의 경사면과 상기 카드의 경사면이 적합한 상태에서, 상기 카드는 그대로의 방향에서 하우징 내에 삽입되고,
    상기 카드의 표리가 반대로 삽입되었을 때에는, 상기 이젝트 부재의 경사면 이 상기 카드의 일방의 측면의 대향측인 타방의 측면과 충돌하고, 상기 카드를 경사시켜 상기 카드의 오삽입을 방지하는 카드용 커넥터.
KR1020070010002A 2006-02-24 2007-01-31 카드용 커넥터 KR200700883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48089 2006-02-24
JP2006048089A JP4532420B2 (ja) 2006-02-24 2006-02-24 カード用コネク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8344A true KR20070088344A (ko) 2007-08-29

Family

ID=38444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0002A KR20070088344A (ko) 2006-02-24 2007-01-31 카드용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70202750A1 (ko)
JP (1) JP4532420B2 (ko)
KR (1) KR20070088344A (ko)
CN (1) CN101071910B (ko)
TW (1) TW20074654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511B1 (ko) * 2008-04-18 2010-08-27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카드용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76075B2 (ja) * 2004-01-26 2009-12-02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カード用コネクタ
JP4789654B2 (ja) * 2006-03-02 2011-10-12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カード用コネクタ
JP5044347B2 (ja) * 2007-09-25 2012-10-10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カード用コネクタ
JP4779096B2 (ja) 2007-10-01 2011-09-2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記録媒体駆動装置
JP5118985B2 (ja) * 2008-01-30 2013-01-16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カード用コネクタ
TWM392455U (en) * 2009-03-05 2010-11-11 Molex Inc Card connector
JP2010251319A (ja) 2009-04-15 2010-11-04 Chou Hsien Tsai 双方向電気的連接が可能なソケット構造
JP2011113712A (ja) * 2009-11-25 2011-06-09 Alps Electric Co Ltd カード用コネクタ
CN108963665A (zh) * 2017-05-26 2018-12-07 阿尔卑斯电气株式会社 卡用连接器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11986A (en) * 1994-02-23 1996-04-30 Molex Incorporated IC pack connector with detect switch
JP3713428B2 (ja) * 2000-09-27 2005-11-0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カード用コネクタ
CN2490722Y (zh) * 2001-06-28 2002-05-0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
CN2490729Y (zh) * 2001-06-28 2002-05-0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
TW532533U (en) * 2001-07-20 2003-05-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onic card connector
TW534397U (en) * 2001-07-20 2003-05-2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onic card connector
JP2003059557A (ja) * 2001-08-08 2003-02-2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小型カード用コネクタ
JP2003109694A (ja) * 2001-09-28 2003-04-11 Yamaichi Electronics Co Ltd カードコネクタ
JP2003115354A (ja) * 2001-10-04 2003-04-18 Yamaichi Electronics Co Ltd カード用コネクタ
US6805566B2 (en) * 2003-01-28 2004-10-19 Molex Incorporated Memory card connector
CN2699527Y (zh) * 2004-02-20 2005-05-11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及其退卡机构
JP2006024543A (ja) * 2004-06-10 2006-01-26 Hosiden Corp 記録媒体用コネクタ及び記録媒体の挿入確認方法
JP4596825B2 (ja) * 2004-06-14 2010-12-15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メモリカード用ソケット
US6976860B1 (en) * 2005-02-18 2005-12-20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Card connector with two-stage ejection mechanism and card-retaining mechanism
TWI294198B (en) * 2005-06-17 2008-03-0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ard connector
JP4539497B2 (ja) * 2005-08-30 2010-09-08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メモリカード保持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511B1 (ko) * 2008-04-18 2010-08-27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카드용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202750A1 (en) 2007-08-30
CN101071910B (zh) 2010-05-26
TW200746549A (en) 2007-12-16
JP2007227215A (ja) 2007-09-06
JP4532420B2 (ja) 2010-08-25
CN101071910A (zh) 2007-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88344A (ko) 카드용 커넥터
KR101110383B1 (ko) 카드용 커넥터
EP1557781B1 (en) A card connector for an electronic device and a contact used therein
EP2000948A1 (en) Card connector
JP4331703B2 (ja) ハートカムを用いたイジェクト機構付きのカード用コネクタ
US6520783B2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having polarization mechanism
JP4576354B2 (ja) カードコネクタ
JP4717359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JP4619132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EP1679769B1 (en) Card connector
KR100580739B1 (ko) 카드커넥터
EP1548897B1 (en) Card connector that can prevent both leaping-out and ejection failure of a card
JP4417305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US7658638B2 (en) Connector
JP2007287589A (ja) 電気コネクタ
JP5027622B2 (ja) メモリカード用ソケット
JP2012142130A (ja) コネクタ
KR101012911B1 (ko) 메모리 카드용 소켓
JP4676525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組立体
JP4057489B2 (ja) カードコネクタ組立体
JP2006294637A (ja) カード用コネクタ
EP1394731B1 (en) Memory Card Connector
JP4442164B2 (ja) カード保持機構
CN115241697A (zh) 连接器组件
JP2006100210A (ja) メモリーカード用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