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7750A - 대전 방지 광확산 필름 - Google Patents

대전 방지 광확산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7750A
KR20070087750A KR1020050096763A KR20050096763A KR20070087750A KR 20070087750 A KR20070087750 A KR 20070087750A KR 1020050096763 A KR1020050096763 A KR 1020050096763A KR 20050096763 A KR20050096763 A KR 20050096763A KR 20070087750 A KR20070087750 A KR 200700877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ayer
light diffusing
antistatic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6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6027B1 (ko
Inventor
광 석 서
Original Assignee
광 석 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 석 서 filed Critical 광 석 서
Priority to KR1020050096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6027B1/ko
Priority to PCT/KR2006/004157 priority patent/WO2007043847A1/en
Publication of KR20070087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7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6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6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4Diffusing, scattering, diffrac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3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 G02B5/024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by means of dispersed part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78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used in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전기 방지 처리된 액정 디스플레이용 광확산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광확산 필름이 정전기 방지 성능을 갖게 함으로서 이물 부착 및 정전기 발생을 방지함과 동시에 헤이즈, 전광선 투과율 등의 광학 특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확산필름, 대전방지, 코팅액, 전도성고분자

Description

대전 방지 광확산 필름{ANTISTATIC LIGHT DIFFUSION FIL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확산 필름의 광학적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확산 필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확산 필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확산 필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확산 필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투명 플라스틱 필름을 기재로 한 액정표시장치용 광확산 필름 또는 쉬트(이하 필름이라 함)에 관한 것으로서, 액정 표시장치의 후면에 위치하는 광원램프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통과시키면서 균일한 광확산을 유도하여 선명한 광화상을 얻을 수 있는 투명 플라스틱 필름을 기재로 한 액정표시장치용 광확산 필름에 관한 것이다.
종래 광확산 필름은 투명 플라스틱 필름을 기재로 한 쪽 면 또는 양 면에 광 확산 입자를 코팅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광확산 필름의 광학적 특성을 설명하는 도1을 참고하여 아래에서 광확산 필름의 광학 특성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광원램프로부터 조사되어 도광판을 통과한 빛을 손실없이 통과시키면서도 균일하게 확산시키는 기능을 가지는 광확산 필름이 가져야 할 중요한 특성으로는 2H 이상의 연필심 경도, 반점 또는 흑점이 없어야 하는 특성 외에도 높은 헤이즈나 전광선투과율 등의 광학적 특성을 요구한다. 이와 같은 광학적 특성은 ASTM-D1003 방법으로 측정하며, 아래와 같은 간단한 수식으로 계산되어 질 수 있다.(도1)
HZ(%) = 헤이즈 = DF / TT X 100
TT(%) = 전광선 투과율 = 전체 센서에서 측정된 광량 / 기준광량 X 100
DF(%) = 확산투과율 = 1,3 센서에서 측정된 광량 / 전체 센서에서 측정된 광량 X 100
PT(%) = 평행투과율 = 2 센서에서 측정된 광량 / 전체 센서에서 측정된 광량 X 100
헤이즈는 전체 투과되는 광량 중 확산된 광량을 측정하여 나타내는 값으로서 확산필름의 성능을 평가하는 항목 중 가장 많이 평가되는 항목이며, 전광선 투과율은 확산투과율과 평행 투과율이 합쳐진 값으로서 시료를 통과한 전체 빛의 광량을 나타내며, 광확산 필름에서는 일반적으로 90~98 %를 나타내는 것이 보통이다. 또한 확산투과율은 산란되는 빛의 광량을 측정하여 전광선 투과율로 나눈 값을 백분율로 취한다. 평행투과율은 반대로 확산되지 않은 빛의 광량을 측정하여 전광선 투과율로 나눈값을 백분율로 취한다. 그러므로 상기 광학적 특성들 중 헤이즈, 전광선 투 과율, 확산 투과율은 높을수록 우수한 확산 필름이라고 할 수 있으며, 평행투과율은 낮을수록 우수한 광확산 필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제조된 광확산 필름은 필름 컷팅 시 또는 백라이트 유닛의 적층 시에 정전기가 발생하고 필름에 이물이 부착되게 되는데, 이는 LCD 불량의 원인이 된다. 기존에 이러한 광확산 필름의 제조 시 대전방지 처리는 광확산 층에 금속 산화물이나 이온류의 투명 대전방지제를 일부 혼합하여 사용하였으나, 이러한 경우 대전방지 층이 두꺼우면 대전방지제가 다량 포함되므로 그만큼 가격적인 측면에서 불리함을 가지게 된다. 또한, 광확산 층에 다량의 금속산 산화물이나 이온류 등의 대전방지제가 섞이게 되면, 광확산 필름 특유의 광학적 성질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고, 너무 소량을 사용하면 표면 저항값이 너무 높아 대전방지 성능에 문제가 생기므로 기존의 방법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적절한 양의 대전방지제를 혼합하여 광확산 층을 도포한다고 하여도 그 표면저항이 1010-12 오움/면적으로 대전방지 성능을 내기에 다소 높기 때문에 문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광학 특성을 유지 또는 증가시키면서, 정전기 방지 성능을 가지는 확산 필름 또는 쉬트가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확산필름은 투명 플라스틱 기재의 한 면에 광확산층이 적층되고 반대면에 대전방지층 또는 대전방지층과 광확산 층이 결합된 층으로 이루어져 정전기 및 이물 발생의 방지와 동시에 헤이즈와 확산 투과율 등의 광학적 특성을 높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확산 필름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또는 폴리스티렌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한 수지로 이루어지는 투명 플라스틱 기재;
상기 기재의 일면에 형성된 광확산층; 및
상기 광확산층의 반대면 또는 상기 광확산층을 포함하는 기재의 양면에 대전방지 조성물로 형성되어 이물 부착 방지 성능을 갖는 대전방지층;
을 포함하며 상기 조성물이 전도성 고분자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광확산 층 및 대전 방지층을 도포한 후에는 바인더의 형태에 따라 열경화성 바인더의 경우 열풍, 적외선, 원적외선 등을 조사하고, 자외선 경화형 바인더의 경우 자외선을 조사하여 코팅층을 형성한다.
투명 플라스틱 기재로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필름, 폴리스티렌 등과 같은 것이 채용된다.
광확산층은 자외선 경화형 또는 열경화형 바인더 수지와 광확산 입자 등의 혼합층으로 이루어진다. 자외선 경화형 바인더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기재와의 접착력이 좋으며 광확산 입자들과 상용성이 좋은 수지를 사용하는데, 자외선 경화형 올리고머 1-15개의 관능기를 가지는 아크릴레이트/메타크릴레이트 및 모노머는 1-6개의 관능기를 가지는 아크릴레이트/메타아크릴레이트를 단독 또는 2가지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열경화형 바인더 수지 역시 상기 기재와의 접착력이 좋으며, 광확산 입자와의 분산성 및 상용성이 좋은 수지를 사용한다. 이러한 수지로는 불포화 폴리에스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노말부틸메타크릴레이트, 노말부틸메틸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드, 메티롤아크릴아미드,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노말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중합체, 공중합체 또는 삼원공중합체 등과 같은 아크릴계, 우레탄계, 에폭시계, 멜라민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 내열성, 내마모성, 접착성을 높이기 위하여 1액형 또는 2액형의 우레탄계, 아이소사이아네이트(isocyanate) 계의 경화제를 첨가하여 수지의 피막을 단단하게 하여 사용한다.
또한, 광확산제는 투명입자 또는 백색입자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입자로는 아크릴 입자, 스티렌 입자, 실리콘 입자 등의 유기입자와 합성실리카, 그라스비드, 다이아몬드 등의 무기입자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백색입자로는 산화티타늄, 산화아연, 황산바륨,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클레이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이들 투명입자 또는 백색입자의 광확산제를 단독 또는 두 종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광확산제의 크기는 1~50 ㎛ 정도가 적당하며 단독 또는 크기가 다른 두 종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용매는 상기 바인더를 용해시킬 수 있는 것이면 대부분 가능하며 톨루엔, 자일렌, 디클로로 메탄, 디클로로 에탄, 메틸에틸케톤, 에틸 아세테이트, 에탄올, 메탄올, 2-프로판올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도 가능하다.
또한, 대전방지층은 전도성 고분자외에도 도핑된 산화인듐, 산화주석 및 산 화티타늄 계열의 금속산화물, 이온성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타입 대전방지제, 또는 상기 성분들을 2가지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확산 필름은 전도성 고분자를 유효 성분으로 하여 대전방지층을 형성하는 경우도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 다른 성분을 포함시켜 유효성분으로 할 수도 있다.
전도성 고분자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경우, 상기 대전방지 조성물은 전도성 고분자 0.05-10 중량%, 고분자 바인더 5-40 중량% 및 분산 가능한 용매 50-94.95 중량%를 포함하여 열경화 방법으로 상기 층을 형성하거나, 또는 전도성 고분자 0.05-10 중량%, 자외선 경화형 올리고머 수지 5-20 중량%, 자외선 경화형 모노머 수지 0-5% 광개시제 0.01-0.5 중량%, 용매 15-94.94 중량%를 포함하여 광경화 방법으로 상기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전방지층에는 티오펜, 아닐린, 피롤 기 등을 가지는 전도성 고분자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폴리티오펜계 변성 전도성 고분자인 폴리(3,4-에틸렌디옥시싸이오펜)은 다른 고분자들보다 우수한 투명도를 가지고 있으므로, 폴리(3,4-에틸렌디옥시싸이오펜) 수분산 용액과 바인더 수지의 혼합층으로 이루어지는 조성물은 비교적 다른 전도성 고분자를 사용하는 것보다 우수한 광학적 특성을 나타낸다.
이 때 바인더는 상기 기재와의 접착력이 좋으며, 광확산 입자와의 분산성 및 상용성이 좋은 수지를 사용한다. 이러한 수지로는 불포화 폴리에스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노말부틸메타크릴레이트, 노말부틸메틸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드, 메티롤아크릴아미드,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노말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중합체, 공중합체 또는 삼원공중합체 등과 같은 아크릴계, 우레탄계, 에폭시계, 멜라민계 등의 열경화성 수지 또는 1-15개의 관능기를 가지는 아크릴레이트/메타크릴레이트 자외선 경화형 올리고머 및 모노머는 1-6개의 관능기를 가지는 아크릴레이트/메타아크릴레이트를 단독 또는 2가지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열경화형 바인더 수지를 사용할 경우 내열성, 내마모성, 접착성을 높이기 위하여 1액형 또는 2액형의 우레탄계, 아이소사이아네이트(isocyanate) 계의 경화제를 첨가하여 수지의 피막을 단단하게 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수분산 전도성 고분자의 전기 전도도를 높이기 위하여 에틸렌글리콜, 1-Methyl-2-pyrrolidone등을 첨가할 수도 있다.
또한, 개시제와 도펀트 또는 용매에 희석한 개시제와 도펀트를 코팅한 후, 전도성 고분자의 모노머 또는 용매에 희석한 모노머를 재차 코팅한 후 기상 중합을 하는 방법이나 모노머와 도펀트, 개시제를 용매에 희석시켜 한 번에 코팅하여 중합하는 방법으로 대전 방지 처리를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대전방지층의 내구성이 약하고 잔류물이 생기기 때문에 별도의 세척 공정을 필요로 하게 되므로 바람직한 방법이 아니다.
한편, 종래 광확산 필름의 경우 일반적으로 투명기재층에 광확산층을 도포하는 것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투명기재층과 광확산층 사이에서 빛의 반사 및 산란이 일어나 광확산필름의 헤이즈와 확산투과율을 떨어트릴 가능성이 있다. 또한, 광확 산 층 위에 대전방지 처리를 하는 경우 광확산 층의 불균일한 표면과 굴절율 차이 때문에 광학성능의 저해를 가져올 수도 있다. 그러므로 양면에 대전방지 처리를 하는 것은 대전방지 성능과 광학 성능을 고려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투명 플라스틱 기재의 한 면에 광확산층이 적층되고 그 반대면에 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한 대전방지층을 도포하는 것으로도 충분히 대전방지 성능을 나타냄과 동시에 헤이즈와 확산투과율 등의 광학적 특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광확산 필름의 기재로 사용되는 투명 플라스틱 기재(2)의 광투과율은 85~98%의 범위가 좋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95-98%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확산 필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광확산층(1)이 일정한 크기의 광확산제(11)를 포함하여 기재(2)의 일면에 형성되어 있다. 광확산층(1)에 사용되는 광경화형 또는 열경화형 바인더 수지는 투명하여야하며, 폴리메타크릴산메틸 또는 메타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등의 아크릴계, 우레탄계, 에폭시계, 비닐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등의 수지 중에서 단독 또는 두 종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광확산층(1)의 두께는 1~50 ㎛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광확산층(1)의 두께가 1㎛ 이하이면 광확산입자의 도포가 수월하지 않으며 헤이즈가 높지 않아 백 라이트 유니트에서 광의 높은 균일도를 얻기 어렵고, 50㎛ 이상이면, 광확산 필름의 광투과도를 떨어뜨리기 때문에 백 라이트 유니트에서 높은 휘도를 얻기 힘들다.
또한, 정해진 범위의 광학특성을 가지는 액정표시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광확산필름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바인더 수지와 광확산제의 비율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전광선 투과율이 90~100 %에 이르는 광확산필름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바인더 수지에 대한 광확산제의 비율이 20~300 중량%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인더 수지에 대한 광확산제의 비율이 20 중량% 이하이면 헤이즈가 낮아져 우수한 광확산성을 얻기 어려우며, 300 중량% 이상이면, 전광선투과율이 낮아져 높은 광투과율을 갖는 광확산 필름을 얻기 어렵다.
한편, 투명 플라스틱 기재(2)의 반대면에 도포되는 대전방지층(3)의 두께는 0.01~1 ㎛이하가 적당하다. 전도성 고분자와 바인더 수지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대전방지층의 두께가 1 ㎛ 이상이면 전도성 고분자 특유의 색깔을 띠기 때문에 백 라이트 유니트용 광확산 필름으로 사용할 수 없다.
도3은 도2와 그 형태는 다르지 않으나 광확산층(1) 제조 시, 크기가 다른 광확산제(12)를 적층시킨 그림이다. 중량비로 입자 크기가 큰 광확산제(11)가 작은 확산제(12)보다 작지 않은 일정한 비율(약 7:3)로 광확산제를 혼합하여 도포하면 단위 면적당 광확산제의 비율이 올라가기 때문에 광확산 능력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도4는 대전방지 층(3)에 입자 크기가 작은 소량의 광확산제(15)를 혼합한 그림이다. 도4와 같이 적층하면, 광원에서부터 광확산층을 두 번 거치기 때문에 좀 더 낳은 광확산 능력을 가지는 광확산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도5는 도3 및 도4를 합한 그림으로서, 광확산층(1)에 크기가 다른 광확산제(11,12)를 적층시켜 단위 면적당 광확산제의 비율을 증가시키고 대전방지층(3)에 확산제(15)를 소량 혼합하므로서 광원으로부터 2단계의 광확산을 꾀할 수 있다.
광확산층 및 대전방지층을 도포하는 방법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방법이라면 특별한 제약을 두지 않으며, 기재 필름의 재질 및 형상에 따라 에어 나이프 방식, 그라비아 방식, 리버스 롤 방식, 리버스 그라비아 방식, 스프레이 방식 또는 블레이드 방식 중에서 임의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들에서 투명 플라스틱 기재(2), 광확산층(1)과 상기 광확산층의 반대면에 적층되는 대전방지층(3)의 두께 비는 광학적 특성을 고려할 때 5000-20000 : 500-5000 : 0.1-10 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의 표 1은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6에 따른 광확산 필름과,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2에 따른 광확산필름에 대하여 각각 전광선 투과율, 헤이즈, 표면저항 및 내스크래치성을 비교하여 나타내는 것이다.
전광선 투과율 및 헤이즈는 ASTM D-1003에 의거하여 측정하였으며, 측정기기는 니폰덴쇼쿠(Nippon Denshoku)사의 NDH-2000을 이용하였다. 그리고, 표면저항은 ASTM D-257에 의거하여 측정하였으며 측정기기는 SRM-100을 이용하여 대전방지층을 측정하였다. 또한, 연필경도는 광확산층을 측정하였으며, 연필경도가 2H 이상이면 양호, 그 이하이면 불량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3M사의 718A를 이용하여 대전방지층의 마찰 정전기를 측정하였으며, 일반적으로는 100V 이하이면 양호, 100V 이상이면 불량으로 판단한다. 한편, MONROE ELECTRONICS사의 CPM288을 이용하여 decay time을 측정하였다. 측정은 1050V를 샘플에 charging 시킨 후, charging voltage가 100V 이하로 decay될 때까지 시간을 관찰하였으며, 일반적으로는 3초 이상이면 불량, 3초 이하이면 양호로 판단한다.
[표1]
전광선 투과율 (%) 헤이즈 (%) 표면저항 (Ω/□) 연필경도 마찰정전기 (V) decay time (sec)
비교예 1 94.9 89.7 절연 불량 > 1000 > 60
비교예 2 94.7 90.9 절연 양호 > 1000 > 60
실시예 1 96.8 93.0 106 불량 50 1.2
실시예 2 96.3 92.2 106 불량 35 0.3
실시예 3 95.8 92.9 106 양호 45 0.5
실시예 4 96.7 92.4 106 양호 45 0.3
실시예 5 95.9 92.8 106 불량 25 0.7
실시예 6 95.8 92.5 106 불량 20 1.0
실시예 7 95.5 92.5 106 양호 40 0.2
실시예 8 95.1 92.0 106 양호 50 0.8
실시예 9 94.4 93.4 106 불량 40 0.8
실시예 10 93.8 93.2 106 불량 20 0.4
실시예 11 93.0 92.1 106 양호 15 1.2
실시예 12 93.3 92.5 106 양호 20 1.5
실시예 13 93.8 93.1 106 불량 45 0.3
실시예 14 93.6 93.4 106 불량 50 0.1
실시예 15 93.2 92.2 106 양호 30 0.9
실시예 16 93.4 92.8 106 양호 35 1.2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실시예 1~16과 같이 투명 플라스틱 기재(2)의 한 면에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과 바인더로 구성된 대전방지층이 도포될 경우,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2보다 전광선 투과율과 헤이즈가 2 %정도 상승하는 효과를 보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자외선 경화형 바인더 수지를 사용할 경우, 우수한 경도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대전방지 코팅의 효과로서 낮은 마찰정전기 전압과 짧은 decay time을 가지는 광확산 필름을 제조할 수 있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포의 순서는 광확산층이나 대전방지층 중 어느 것을 먼저 하더라도 상관없다. 한편, 이들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비교예 1>
투명 플라스틱 기재(2)로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한 면에 자외선 경화형 6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바인더 수지 1g, 자외선 경화형 다이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바인더 수지 0.3g, 광확산제 (MX-1000, Soken) 1.75g, 광개시제 0.6g을 톨루엔 3g과 혼합하여 제조한 광확산층을 바코터를 이용하여 도포한 후 60℃에서 1분간 건조 후 자외선 경화하여 15 ㎛ 정도의 두께가 되도록 광확산층을 형성하였다.
<비교예 2>
투명 플라스틱 기재(2)로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한 면에 아크릴릭 폴리올 계의 열경화형 바인더 수지 1g, 광확산제 (MX-1000, Soken) 1.75g , 폴리아이소시아네이트 계 경화제 0.6g을 톨루엔 3g과 혼합한 광확산층 조성물을 바코터를 이용하여 도포한 후 80℃에서 2분간 건조 후 15 ㎛ 정도의 두께가 되도록 광확산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1>
투명 플라스틱 기재(2)로서 100 ㎛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한 면에 열경화형 아크릴릭 폴리올 계의 열경화형 바인더 수지 1g, 직경이 10 ㎛인 광확산제 (MX- 1000, Soken) 1.75g, 폴리아이소시아네이트 계 경화제 0.6g을 톨루엔 3g과 혼합한 광확산층 조성물을 바코터를 이용하여 도포한 후 80℃에서 2분간 건조 후 15 ㎛ 정도의 두께가 되도록 광확산층을 형성하였다. 한편,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 분산용액 1g, 수용성 우레탄계 바인더 0.3g, 우레탄 경화제 0.03g, Ethylene Glycol 0.3g, 1-Methyl-2-pyrrolidone 0.3g, 2-Propanol 5.5g, 물 3g을 혼합하여 대전방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대전방지 조성물을 광확산층의 반대면에 바코터를 이용하여 도포한 후 80℃에서 2분간 건조 후 0.1 ㎛ 정도의 두께가 되도록 대전 방지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2>
투명 플라스틱 기재(2)로서 100 ㎛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한 면에 열경화형 아크릴릭 폴리올 계의 열경화형 바인더 수지 1g, 직경이 10 ㎛인 광확산제 (MX-1000, Soken) 1.75g, 폴리아이소시아네이트 계 경화제 0.6g을 톨루엔 3g과 혼합한 광확산층 조성물을 바코터를 이용하여 80℃에서 2분간 건조 후 15 ㎛ 정도의 두께가 되도록 광확산층을 형성하였다. 반대면에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 분산용액 1g을 아이소프로필알콜 5g, 메틸셀루솔브 5g로 희석시킨 용액을 자외선 경화형 6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바인더 수지 1g, 자외선 경화형 다이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바인더 수지 0.35g, 광개시제 0.15g, 메틸셀루솔브 1.5g을 혼합한 대전방지 조성물을 광확산층의 반대면에 바코터를 이용하여 도포한 후 60℃에서 1분간 건조 후 자외선 경화하여 0.1 ㎛ 정도의 두께가 되도록 대전방지 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3>
투명 플라스틱 기재(2)로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한 면에 자외선 경화형 6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바인더 수지 1g, 자외선 경화형 다이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바인더 수지 0.3g, 광확산제 (MX-1000, Soken) 1.75g, 광개시제 0.6g을 톨루엔 3g과 혼합하여 제조한 광확산층을 바코터를 이용하여 도포한 후 60℃에서 1분간 건조 후 자외선 경화하여 15 ㎛ 정도의 두께가 되도록 광확산층을 형성하였다. 반대면에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 분산용액 1g을 아이소프로필알콜 5g, 메틸셀루솔브 5g로 희석시킨 용액을 자외선 경화형 6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바인더 수지 1g, 자외선 경화형 다이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바인더 수지 0.35g, 광개시제 0.15g, 메틸셀루솔브 1.5g을 혼합한 대전방지 조성물을 광확산층의 반대면에 바코터를 이용하여 도포한 후 60℃에서 1분간 건조 후 자외선 경화하여 0.1 ㎛ 정도의 두께가 되도록 대전방지 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4>
투명 플라스틱 기재(2)로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한 면에 자외선 경화형 6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바인더 수지 1g, 자외선 경화형 다이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바인더 수지 0.3g, 광확산제 (MX-1000, Soken) 1.75g, 광개시제 0.6g을 톨루엔 3g과 혼합하여 제조한 광확산층을 바코터를 이용하여 도포한 후 60℃에서 1분간 건조 후 자외선 경화하여 15 ㎛ 정도의 두께가 되도록 광확산층을 형성하였다. 한편,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 분산용액 1g, 수용성 우레탄계 바인더 0.3g, 우레탄 경화제 0.03g, Ethylene Glycol 0.3g, 1-Methyl-2-pyrrolidone 0.3g, 2-Propanol 5.5g, 물 3g을 혼합하여 대전방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대전방지 조성물을 광확산층의 반대면에 바코터를 이용하여 도포한 후 80℃에서 2 분간 건조 후 0.1 ㎛ 정도의 두께가 되도록 대전방지 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5>
투명 플라스틱 기재(2)로서 100 ㎛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한 면에 열경화형 아크릴릭 폴리올 계의 열경화형 바인더 수지 1g, 직경이 10 ㎛인 광확산제 (MX-1000, Soken)와 3 ㎛인 광확산제 (MX-300, Soken)를 7:3의 무게비로 1.75g, 폴리아이소시아네이트 계 경화제 0.6g을 톨루엔 3g과 혼합한 광확산층 조성물을 바코터를 이용하여 도포한 후 80℃에서 2분간 건조 후 15 ㎛ 정도의 두께가 되도록 광확산 층을 형성하였다. 한편,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 분산용액 1g, 수용성 우레탄계 바인더 0.3g, 우레탄 경화제 0.03g, Ethylene Glycol 0.3g, 1-Methyl-2-pyrrolidone 0.3g, 2-Propanol 5.5g, 물 3g을 혼합하여 대전방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대전방지 조성물을 광확산층의 반대면에 바코터를 이용하여 도포한 후 80℃에서 2분간 건조 후 0.1 ㎛ 정도의 두께가 되도록 대전방지 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5>
투명 플라스틱 기재(2)로서 100 ㎛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한 면에 열경화형 아크릴릭 폴리올 계의 열경화형 바인더 수지 1g, 직경이 10 ㎛인 광확산제 (MX-1000, Soken)와 3 ㎛인 광확산제 (MX-300, Soken)를 7:3의 무게비로 1.75g, 폴리아이소시아네이트 계 경화제 0.6g을 톨루엔 3g과 혼합한 광확산층 조성물을 바코터를 이용하여 도포한 후 80℃에서 2분간 건조 후 15 ㎛ 정도의 두께가 되도록 광확산 층을 형성하였다. 반대면에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 분산용액 1g을 아이소프로필알콜 5g, 메틸셀루솔브 5g로 희석시킨 용액을 자외선 경화형 6관능 우레탄 아 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바인더 수지 1g, 자외선 경화형 다이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바인더 수지 0.35g, 광개시제 0.15g, 메틸셀루솔브 1.5g을 혼합한 대전방지 조성물을 광확산층의 반대면에 바코터를 이용하여 도포한 후 60℃에서 1분간 건조 후 자외선 경화하여 0.1 ㎛ 정도의 두께가 되도록 대전방지 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7>
투명 플라스틱 기재(2)로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한 면에 자외선 경화형 6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바인더 수지 1g, 자외선 경화형 다이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바인더 수지 0.3g, 직경이 10 ㎛인 광확산제 (MX-1000, Soken)와 3 ㎛인 광확산제 (MX-300, Soken)를 7:3의 무게비로 1.75g, 광개시제 0.6g을 톨루엔 3g과 혼합하여 제조한 광확산층을 바코터를 이용하여 도포한 후 60℃에서 1분간 건조 후 자외선 경화하여 15 ㎛ 정도의 두께가 되도록 광확산층을 형성하였다. 반대면에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 분산용액 1g을 아이소프로필알콜 5g, 메틸셀루솔브 5g로 희석시킨 용액을 자외선 경화형 자외선 경화형 6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바인더 수지 1g, 자외선 경화형 다이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바인더 수지 0.35g, 광개시제 0.15g, 메틸셀루솔브 1.5g을 혼합한 대전방지 조성물을 광확산층의 반대면에 바코터를 이용하여 도포한 후 60℃에서 1분간 건조 후 자외선 경화하여 0.1 ㎛ 정도의 두께가 되도록 대전방지 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8>
투명 플라스틱 기재(2)로서 100 ㎛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한 면에 열경화형 아크릴릭 폴리올 계의 열경화형 바인더 수지 1g, 직경이 10 ㎛인 광확산제 (MX-1000, Soken)와 3 ㎛인 광확산제 (MX-300, Soken)를 7:3의 무게비로 1.75g, 폴리아 이소시아네이트 계 경화제 0.6g을 톨루엔 3g과 혼합한 광확산층 조성물을 바코터를 이용하여 도포한 후 80℃에서 2분간 건조 후 15 ㎛ 정도의 두께가 되도록 광확산 층을 형성하였다. 한편,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 분산용액 1g을 아이소프로필알콜 5g, 메틸셀루솔브 5g로 희석시킨 용액을 자외선 경화형 6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바인더 수지 1g, 자외선 경화형 다이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바인더 수지 0.35g, 광개시제 0.15g, 메틸셀루솔브 1.5g을 혼합한 대전방지 조성물을 광확산층의 반대면에 바코터를 이용하여 도포한 후 60℃에서 1분간 건조 후 자외선 경화하여 0.1 ㎛ 정도의 두께가 되도록 대전방지 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9>
투명 플라스틱 기재(2)로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한 면에 자외선 경화형 6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바인더 수지 1g, 자외선 경화형 다이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바인더 수지 0.3g, 광확산제 (MX-1000, Soken) 1.75g, 광개시제 (CP4, 미원상사) 0.6g을 톨루엔 3g과 혼합하여 제조한 광확산층을 바코터를 이용하여 도포한 후 60℃에서 1분간 건조 후 자외선 경화하여 15 ㎛ 정도의 두께가 되도록 광확산층을 형성하였다. 한편,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 분산용액 1g, 수용성 우레탄계 바인더 0.3g, 우레탄 경화제 0.03g, Ethylene Glycol 0.3g, 1-Methyl-2-pyrrolidone 0.3g, 2-Propanol 5.5g, 물 3g, 광확산제 (MX-150, Soken) 0.3g을 혼합하여 대전방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대전방지 조성물을 광확산층의 반대면에 바코터를 이용하여 도포한 후, 80℃에서 2분간 건조하여 0.1 ㎛ 정도의 두께가 되도록 대전방지 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10>
투명 플라스틱 기재(2)로서 100 ㎛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한 면에 열경화형 아크릴릭 폴리올 계의 열경화형 바인더 수지 1g, 직경이 10 ㎛인 광확산제 (MX-1000, Soken) 1.75g, 폴리아이소시아네이트 계 경화제 0.6g을 톨루엔 3g과 혼합한 광확산층 조성물을 바코터를 이용하여 80℃에서 2분간 건조 후 15 ㎛ 정도의 두께가 되도록 광확산층을 형성하였다. 반대면에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 분산용액 1g을 아이소프로필알콜 5g, 메틸셀루솔브 5g로 희석시킨 용액을 자외선 경화형 6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바인더 수지 1g, 자외선 경화형 다이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바인더 수지 0.35g, 광개시제 0.15g, 메틸셀루솔브 1.5g, 광확산제 (MX-150, Soken) 0.3g을 혼합한 대전방지 조성물을 광확산층의 반대면에 바코터를 이용하여 도포한 후 60℃에서 1분간 건조 후 자외선 경화하여 0.1 ㎛ 정도의 두께가 되도록 대전방지 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11>
투명 플라스틱 기재(2)로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한 면에 자외선 경화형 6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바인더 수지 1g, 자외선 경화형 다이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바인더 수지 0.3g, 광확산제 (MX-1000, Soken) 1.75g, 광개시제 0.6g을 톨루엔 3g과 혼합하여 제조한 광확산층을 바코터를 이용하여 도포한 후 60℃에서 1분간 건조 후 자외선 경화하여 15 ㎛ 정도의 두께가 되도록 광확산층을 형성하였다. 반대면에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 분산용액 1g을 아이소프로필알콜 5g, 메틸셀루솔브 5g로 희석시킨 용액을 자외선 경화형 6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바인더 수지 1g, 자외선 경화형 다이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바인더 수지 0.35g, 광개시제 0.15g, 메틸셀루솔브 1.5g, 광확산제 (MX-150, Soken) 0.3g을 혼합한 대전방지 조성물을 광확산층의 반대면에 바코터를 이용하여 도포한 후 60℃에서 1분간 건조 후 자외선 경화하여 0.1 ㎛ 정도의 두께가 되도록 대전방지 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12>
투명 플라스틱 기재(2)로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한 면에 자외선 경화형 알리파틱 6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바인더 수지 1g, 자외선 경화형 다이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바인더 수지 0.3g, 광확산제 (MX-1000, Soken) 1.75g, 광개시제 0.6g을 톨루엔 3g과 혼합하여 제조한 광확산층을 바코터를 이용하여 도포한 후 60℃에서 1분간 건조 후 자외선 경화하여 15 ㎛ 정도의 두께가 되도록 광확산층을 형성하였다. 한편,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 분산용액 1g, 수용성 우레탄계 바인더 0.3g, 우레탄 경화제 0.03g, Ethylene Glycol 0.3g, 1-Methyl-2-pyrrolidone 0.3g, 2-Propanol 5.5g, 물 3g, 광확산제 (MX-150, Soken) 0.3g을 혼합하여 대전방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대전방지 조성물을 광확산층의 반대면에 바코터를 이용하여 도포한 후 80℃에서 2분간 건조 후 0.1 ㎛ 정도의 두께가 되도록 대전방지 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13>
투명 플라스틱 기재(2)로서 100 ㎛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한 면에 열경화형 아크릴릭 폴리올 계의 열경화형 바인더 수지 1g, 직경이 10 ㎛인 광확산제 (MX-1000, Soken)와 3 ㎛인 광확산제 (MX-300, Soken)를 7:3의 무게비로 1.75g, 폴리아이소시아네이트 계 경화제 0.6g을 톨루엔 3g과 혼합한 광확산층 조성물을 바코터를 이용하여 도포한 후 80℃에서 2분간 건조 후 15 ㎛ 정도의 두께가 되도록 광확산 층을 형성하였다. 한편,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 분산용액 1g, 수용성 우레탄계 바인더 0.3g, 우레탄 경화제 0.03g, Ethylene Glycol 0.3g, 1-Methyl-2-pyrrolidone 0.3g, 2-Propanol 5.5g, 물 3g, 광확산제 (MX-150, Soken) 0.3g을 혼합하여 대전방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대전방지 조성물을 광확산층의 반대면에 바코터를 이용하여 도포한 후 80℃에서 2분간 건조 후 0.1 ㎛ 정도의 두께가 되도록 대전방지 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14>
투명 플라스틱 기재(2)로서 100 ㎛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한 면에 열경화형 아크릴릭 폴리올 계의 열경화형 바인더 수지 1g, 직경이 10 ㎛인 광확산제 (MX-1000, Soken)와 3 ㎛인 광확산제 (MX-300, Soken)를 7:3의 무게비로 1.75g, 폴리아이소시아네이트 계 경화제 0.6g을 톨루엔 3g과 혼합한 광확산층 조성물을 바코터를 이용하여 도포한 후 80℃에서 2분간 건조 후 15 ㎛ 정도의 두께가 되도록 광확산 층을 형성하였다. 반대면에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 분산용액 1g을 아이소프로필알콜 5g, 메틸셀루솔브 5g로 희석시킨 용액을 자외선 경화형 6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바인더 수지 1g, 자외선 경화형 다이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바인더 수지 0.35g, 광개시제 0.15g, 메틸셀루솔브 1.5g, 광확산제 (MX-150, Soken) 0.3g을 혼합한 대전방지 조성물을 광확산층의 반대면에 바코터를 이용하여 도포한 후 60℃에서 1분간 건조 후 자외선 경화하여 0.1 ㎛ 정도의 두께가 되도록 대전방지 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15>
투명 플라스틱 기재(2)로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한 면에 자외선 경화형 6관 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바인더 수지 1g, 자외선 경화형 다이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바인더 수지 0.3g, 직경이 10 ㎛인 광확산제 (MX-1000 Soken)와 3 ㎛인 광확산제 (MX-300, Soken)를 7:3의 무게비로 1.75g, 광개시제 0.6g을 톨루엔 3g과 혼합하여 제조한 광확산층을 바코터를 이용하여 도포한 후 60℃에서 1분간 건조 후 자외선 경화하여 15 ㎛ 정도의 두께가 되도록 광확산층을 형성하였다. 반대면에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 분산용액 1g을 아이소프로필알콜 5g, 메틸셀루솔브 5g로 희석시킨 용액을 자외선 경화형 6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바인더 수지 1g, 자외선 경화형 다이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바인더 수지 0.35g, 광개시제 0.15g, 메틸셀루솔브 1.5g, 광확산제 (MX-150, Soken) 0.3g을 혼합한 대전방지 조성물을 광확산층의 반대면에 바코터를 이용하여 도포한 후 60℃에서 1분간 건조 후 자외선 경화하여 0.1 ㎛ 정도의 두께가 되도록 대전방지 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16>
투명 플라스틱 기재(2)로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한 면에 자외선 경화형 6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바인더 수지 1g, 자외선 경화형 다이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바인더 수지 0.3g, 직경이 10 ㎛인 광확산제 (MX-1000, Soken)와 3 ㎛인 광확산제 (MX-300, Soken)를 7:3의 무게비로 1.75g, 광개시제 (CP4, 미원상사) 0.6g을 톨루엔 3g과 혼합하여 제조한 광확산층을 바코터를 이용하여 도포한 후 60℃에서 1분간 건조 후 자외선 경화하여 15 ㎛ 정도의 두께가 되도록 광확산층을 형성하였다. 한편,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 분산용액 1g, 수용성 우레탄계 바인더 0.3g, 우레탄 경화제 0.03g, Ethylene Glycol 0.3g, 1-Methyl-2-pyrrolidone 0.3g, 2-Propanol 5.5g, 물 3g, 광확산제 (MX-150, Soken) 0.3g을 혼 합하여 대전방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대전방지 조성물을 광확산층의 반대면에 바코터를 이용하여 도포한 후 80℃에서 2분간 건조 후 0.1 ㎛ 정도의 두께가 되도록 대전방지 층을 형성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투명 플라스틱 필름을 기재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용 광확산필름은 광확산층의 반대면에 전도성 고분자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대전방지층(3)을 형성함으로서 이물발생이 적고, 정전기 발생이 되지 않으며, 헤이즈가 우수한 광확산 필름을 얻을 수 있으므로 액정표시장치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광확산층에 대전방지 처리를 포함하는 것이 아니므로, 보다 낮은 가격으로 낮은 표면 저항값을 가지며, 대전방지 및 이물부착방지 성능을 가질 뿐만 아니라, 헤이즈 및 전광선투과율 등의 광학적 특성이 향상되는 광확산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Claims (15)

  1.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또는 폴리스티렌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한 수지로 이루어지는 투명 플라스틱 기재;
    상기 기재의 일면에 형성된 광확산층; 및
    상기 광확산층의 반대면 또는 상기 광확산층을 포함하는 기재의 양면에 대전방지 조성물로 형성되어 정전기 방지 및 이물 부착 방지 성능을 갖는 대전방지층;
    을 포함하며 상기 조성물이 전도성 고분자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전광선 투과율 및 헤이즈가 증가된 광확산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층이 2가지 이상의 서로 다른 크기의 확산제를 포함하여 광확산 능력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 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층이 확산제를 포함하여 광확산 능력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전도성 고분자; 및
    자외선 경화형 바인더, 열 경화형 바인더 또는 상기 두 가지 형태의 바인더를 혼합한 바인더;
    를 포함하여, 헤이즈를 포함한 광학적 특성이 높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 필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가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폴리티오펜 및 폴리 3,4 에틸렌디옥시티오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 필름.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자외선 경화형 바인더를 포함하며,
    상기 바인더는 상기 기재와의 접착력이 좋으며 광확산 입자들과 상용성이 좋은 수지 중, 1-15개의 관능기를 가지는 아크릴레이트/메타크릴레이트 자외선 경화형 올리고머 및 모노머는 1-6개의 관능기를 가지는 아크릴레이트/메타아크릴레이트를 단독 또는 2가지 이상 혼합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 필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전도성 고분자 0.05-10 중량%, 자외선 경화형 올리고머 수지 5-20 중량%, 자외선 경화형 모노머 수지 0-5 중량% 광개시제 0.01-0.5 중량%, 용매 15-94.94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조성물이 광경화 방법으로 상기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 필름.
  8.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전도성 고분자 0.05-10 중량%, 열경화형 바인더 5-40 중량% 및 분산 가능한 용매 50-94.95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조성물이 열경화 방법으로 상기 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 필 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불포화 폴리에스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노말부틸메타크릴레이트, 노말부틸메틸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드, 메티롤아크릴아미드,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노말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중합체, 공중합체 또는 삼원공중합체 아크릴계, 우레탄계, 에폭시계, 멜라민계를 하나 이상 혼합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 필름.
  10. 제1항 ,제2항, 제4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플라스틱 기재, 광확산층과 상기 광확산층의 반대면에 적층되는 대전방지층의 두께비가 5000-20000 : 500-5000 : 0.1-1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 필름.
  11. 제1항 ,제2항, 제4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플라스틱 기재에 광확산층과 이물 부착 방지 및 대전방지층을 코팅하는 방법이, 에어 나이프 방식, 그라비아 방식, 리버스 롤 방식, 리버스 그라비아 방식, 스프레이 방식 또는 블레이드 방식의 일면 코팅 후 반대면을 코팅하는 방법 또는 양면을 동시에 코팅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 필름.
  12. 제1항 ,제2항, 제4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기재에 코팅된 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대전방지층의 표면저항이 10E3 ~ 10E11 오움/면적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필름.
  13. 제1항 ,제2항, 제4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기재에 코팅된 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대전방지 층이 마찰전압 100V 미만의 정전기 방지 성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 필름.
  14. 제1항 ,제2항, 제4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층이 0.01~2 미크론의 두께로 적층되어 전광선 투과율 및 헤이즈가 증가된 광확산 필름.
  15. 제 1항에 있어서 대전 방지층이 전도성 고분자 외에 도핑된 산화인듐, 산화주석 및 산화티타늄 계열의 금속산화물, 이온성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타입 대전방지제, 또는 상기 성분들 중 2가지 이상을 혼합하여 대전방지 성능을 내거나 전광선 투과율 및 헤이즈가 증가된 광확산 필름.
KR1020050096763A 2005-10-13 2005-10-13 대전 방지 광확산 필름 KR100886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6763A KR100886027B1 (ko) 2005-10-13 2005-10-13 대전 방지 광확산 필름
PCT/KR2006/004157 WO2007043847A1 (en) 2005-10-13 2006-10-13 Antistatic light diffusion fil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6763A KR100886027B1 (ko) 2005-10-13 2005-10-13 대전 방지 광확산 필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6784A Division KR20070104304A (ko) 2007-08-28 2007-08-28 대전 방지 광확산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7750A true KR20070087750A (ko) 2007-08-29
KR100886027B1 KR100886027B1 (ko) 2009-02-26

Family

ID=37943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6763A KR100886027B1 (ko) 2005-10-13 2005-10-13 대전 방지 광확산 필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86027B1 (ko)
WO (1) WO2007043847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8547A (ko) * 2009-12-31 2011-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기능성 광학필름
KR101238998B1 (ko) * 2010-03-03 2013-03-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정전기 방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정전기 방지 필름
KR20180118202A (ko) * 2016-06-14 2018-10-30 코니카 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투명 도전 부재 및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센스 소자
CN111320923A (zh) * 2020-03-11 2020-06-23 宁波东旭成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水性自修复光固化扩散膜
WO2020231195A1 (en) * 2019-05-15 2020-11-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ght-diffuser, light diffusing adhesive, light diffusing hard coat member, light diffusion fil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light diffusion fil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10623B2 (ja) * 2010-09-21 2014-10-22 日東電工株式会社 有機elデバイス
CN103412356B (zh) * 2013-08-30 2016-01-20 浙江元泰特种膜有限公司 一种光学扩散膜及其制备方法
CN104035151B (zh) * 2014-07-02 2016-02-10 浙江大学宁波理工学院 一种柔性光学扩散膜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39526A (en) * 1990-04-16 1991-08-13 Colgate-Palmolive Company Buccal lozenge for fluoride ion medication
EP0602713B1 (en) * 1992-12-17 1998-10-14 Agfa-Gevaert N.V. Permanent antistatic primer layer
US5607764A (en) * 1994-10-27 1997-03-04 Fuji Photo Film Co., Ltd. Optical diffuser
US6117554A (en) * 1997-05-30 2000-09-12 Poly-Med, Inc. Modulated molecularly bonded inherently conductive polymers on substrates with conjugated multiple lamellae and shaped articles thereof
KR100573372B1 (ko) * 1999-03-09 2006-04-25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투명 플라스틱 필름을 기재로 한 액정표시장치용 광확산필름
KR100534009B1 (ko) * 1999-12-30 2005-12-06 제일모직주식회사 대전방지성 투명 하드코팅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플라스틱 표면의 코팅방법
KR100441054B1 (ko) * 2001-08-14 2004-07-21 주식회사 코오롱 액정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 유니트용 광확산 필름
KR100487727B1 (ko) * 2002-06-07 2005-05-03 엄원국 도전성 코팅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코팅방법
JP2004085626A (ja) * 2002-08-22 2004-03-18 Keiwa Inc 光学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KR20040020085A (ko) * 2002-08-29 2004-03-09 서광석 액정디스플레이용 투명 대전방지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즈필름
KR20050048343A (ko) * 2003-11-19 2005-05-24 서광석 대전방지 저반사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대전방지저반사 필름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8547A (ko) * 2009-12-31 2011-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기능성 광학필름
KR101238998B1 (ko) * 2010-03-03 2013-03-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정전기 방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정전기 방지 필름
KR20180118202A (ko) * 2016-06-14 2018-10-30 코니카 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투명 도전 부재 및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센스 소자
WO2020231195A1 (en) * 2019-05-15 2020-11-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ght-diffuser, light diffusing adhesive, light diffusing hard coat member, light diffusion fil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light diffusion film
US11513263B2 (en) 2019-05-15 2022-1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ght-diffuser, light diffusing adhesive, light diffusing hard coat member, light diffusion fil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light diffusion film
CN111320923A (zh) * 2020-03-11 2020-06-23 宁波东旭成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水性自修复光固化扩散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6027B1 (ko) 2009-02-26
WO2007043847A1 (en) 2007-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1011B1 (ko) 광학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100886027B1 (ko) 대전 방지 광확산 필름
CN101162275B (zh) 高精细显示器用的表面材以及具备此表面材的高精细显示器与高精细触摸屏
TWI491907B (zh) 光學膜
TW518424B (en) Anti-reflection material and its polarization film
US9568648B2 (en) Optical laminated body,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polarization plate and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using optical laminated body
US20090297773A1 (en) Optical film having non-spherical particles
KR101649015B1 (ko) 광학 적층체,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JP2002196117A (ja) 光拡散層、光拡散性シート及び光学素子
CN101111784A (zh) 防反射硬膜薄膜、光学元件和图像显示装置
TWI523760B (zh) 抗靜電性硬塗膜、偏光板及畫像顯示裝置
US20180016405A1 (en) Hard coat film
CN100538407C (zh) 用于显示装置的光扩散片
JP2002267818A (ja) 光拡散性シート及び光学素子
JP2012053178A (ja) 防眩性帯電防止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偏光板
KR20110126921A (ko) 편광판 및 표시 장치
CN103797385A (zh) 图像显示装置用防眩片及其制造方法以及使用该防眩片的适合于动态图像和静止图像的共用的图像显示装置的纯黑感及图像清晰度的改善方法
KR20150005562A (ko) 에지라이트형 백라이트장치 및 광확산성 부재
TWI519826B (zh) 防眩性硬被覆薄膜及使用其之偏光板
TW202044632A (zh) 防眩膜及具有此防眩膜之偏光板
KR101949558B1 (ko) 광학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
KR20070104304A (ko) 대전 방지 광확산 필름
JP2014235233A (ja) 防眩性反射防止フィルム
CN111117504A (zh) 一种防眩抗反射膜及其制备方法
KR20150009531A (ko) 에지라이트형 백라이트장치 및 광확산성 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