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5065A - 차량의 예방 안전 활성화 - Google Patents

차량의 예방 안전 활성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5065A
KR20070085065A KR1020067016531A KR20067016531A KR20070085065A KR 20070085065 A KR20070085065 A KR 20070085065A KR 1020067016531 A KR1020067016531 A KR 1020067016531A KR 20067016531 A KR20067016531 A KR 20067016531A KR 20070085065 A KR20070085065 A KR 200700850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edestrian
accident
wiper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6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9786B1 (ko
Inventor
요아킴 찜머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535569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70085065(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70085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5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9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9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60R21/38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using means for lifting bon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4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imminent contact with an obstacle, e.g. using rada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6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actual contact with an obstacle, e.g. to vehicle deformation, bumper displacement or bumper velocity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488Wiper arrangement for crash protection or impact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021/0131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monitoring the braking system, e.g. A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Air Bags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고 상대방의 수동적 안전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차량을 보행자 예방 안전 상태로 작동 및 전환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에서는 차량의 보행자 예방 안전 상태의 작동 조건이 적어도 하나의 차량 센서의 신호를 통해 발생되며, 이 센서는 바로 이후 시점에 발생할 수 있는 특히 보행자 또는 자전거 운전자와의 차량의 높은 사고 확률을 통보할 수 있으며, 보행자 예방 안전 상태의 긍정적 작동 조건이 존재하면, 차량과의 사고 시 사고 상대방에게 추가적인 신체적 상해를 가할 수 있는 차량의 부품 또는 부분이 사고 상대방과의 충돌이 예상되는 구역에서부터 이동되거나 및/또는 추가적으로 차폐되어, 이로서 차량이 적어도 부분적으로나마 보행자 예방 안전 상태로 전환된다.

Description

차량의 예방 안전 활성화{PREVENTIVE SAFETY ACTIVATION IN A VEHICLE}
본 발명은 사고 상대방 특히 보행자 또는 자전거 운전자의 수동적 안전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차량, 특히 엔진 차량을 예방 안전 상태로 작동 및 전환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WHO 통계에 따르면 매년 1백 26만 명이 교통 사고로 사망하며, 유럽에서는 매년 약 4만 명이 사망하고 1백 60만 명이 상해를 당한다. 교통 안전을 증대시키고 교통 사고로 인한 희생자의 수를 줄이기 위해 차량의 능동적 안전성과 수동적 안정성 사이의 인터페이스에서 동작하며 사고가 불가피한 경우에는 탑승자 및 차량을 그에 맞게 준비시키고 이로서 탑승객의 상해 정도를 경감시킬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이를 위해 소위 예방 안전 시스템은 사고 위험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차량이 편의 모드에서 안전 모드로 전환되도록 차량 사고 전 시간을 활용한다. 바람직하게도 안전 모드는 예를 들어 ABS 시스템 또는 ESP 시스템의 신호를 근거로 감지할 수 있는 위험한 주행 상태에서 활성화된다. 센서가 위험한 주행 상황을 통보하면, 예를 들어 안전 벨트가 더욱 팽팽하게 당겨지며, 시트가 차량의 충돌 시 더욱 안전한 위치로 이동하고 차량의 전복 시, 추가적으로 탑승자에 상해를 줄 수 있는 물체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선루프가 닫힌다.
또한 예를 들어 펜더(fender) 또는 범퍼(bumper)에 부착되어 있는 접촉식 센서를 통해 보행자 또는 자전거 운전자와의 차량 충돌 시 사고 상대방을 위한 예방 안전 조치가 실행되는 예방 안전 시스템이 공개되어 있다.
독일 특허 DE 103 05 857 A1에는 차량용 와이퍼 장치가 공개되어 있는데, 이 장치에서는 접촉식 센서에 의해 감지된 보행자와의 차량 충돌 시 와이퍼 레버가 차량 앞유리의 아래 위치로 이동된다. 이로서 와이퍼 아암이 보행자의 위험 구역에서 사라지고, 따라서 앞유리와의 충돌 시 보행자의 상해 위험이 최소화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앞유리 구역에서 추가적으로 엔진 후드가 상승하며, 이로서 한편으로는 와이퍼 레버를 감추기 위한 더 넓은 공간이 형성되며 다른 한편으로는 사고를 당한 보행자를 위한 더 많은 변형 공간이 제공되고, 보행자는 엔진 후드 아래에 있는 엔진의 딱딱한 부품과 더 이상 접촉하지 않게 되거나 또는 그렇게 심하게 접촉하지 않게 된다.
특히 접촉식 센서 장치의 사용은 엔진 후드가 긴 고급 사양의 차량에 적합하다. 특히 사고 상대방이 작은 경우(예: 어린이)에는, 짧은 엔진 후드를 구비한 컴팩트형 차량(예: 소형차 또는 밴)에 접촉식 센서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전술한 상황을 전제로 더 이상 적합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사고 상대방에 의한 접촉식 센서 장치의 작동과 사고 상대방의 머리 충돌 사이의 시간이 예를 들어 앞유리 와이퍼 장치의 와이퍼 레버를 하강시키기에는 너무 짧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고 상대방이 차량과 물리적 접촉을 하지 않았음에도 예방 안전 조치가 개시될 수 있도록 사고 상대방을 위한 차량의 예방 안전 조치가 확정되고 개시되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짧은 엔진 후드를 구비한 차량과 어린이 사이에서의 충돌 시에도 잔류 시간이 충분하며, 충돌 전에 예방 안전 조치를 완료하거나 또는 차량과 어린이 사이에 최초 접촉이 이루어지기 전에 예방 안전 조치를 개시하고, 차량과 어린이 사이의 최초 접촉 후에는 어린이와의 다른 충돌(앞유리, 엔진 후드)이 이루어지기 전에 예방 안전 조치가 완료되도록 충돌이 이루어지게 차량의 예방 안전 조치가 실행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까운 미래에 특정한 확률로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서 차량이 위험한 충돌에 대비하도록 함으로써 달성된다. 사고 바로 직전의 시간은 3초 이상일 수 있으며, 이 시간은 차량의 예방 안전 상태의 개시 및 사고 상태방을 위해 활용될 수 있다. 제3자와의 차량의 높은 사고 확률을 통보할 수 있는 차량의 센서 정보가 사용되며, 그를 통해 차량 예방 안전 상태의 작동 조건이 형성된다. 차량의 이런 소위 보행자 예방 안전 상태는 차량과 제3자의 최초 충돌 전에 수립되며, 예를 들어 차량의 부품 또는 부분이 사고 위험 구역으로부터 벗어나게 되거나 추가적으로 차폐되어, 제3자의 상해 위험이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
차량의 보행자 예방 안전 상태를 수용하기 위한 타임 윈도우(time window)를 연장함으로써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시간을 통해 차량에서 포괄적인 보행자 예방 안전 조치를 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예방 안전 조치에 따라서 비교적 느리게, 이로서 부드러운 저소음으로 예방 안전 조치를 개시할 수 있다. 또한 예방 안전 상태를 활성화하기 위해 이미 존재하는 예측성 센서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추가적으로 차량이 자동으로 작동되며 바람직하게도 자동으로 제어되는 완전 제동을 실행한다. 이로서 한편으로는 위험한 사고를 거의 완전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데, 그 이유는 신체적 반응 시간에 비해 차량 전자장치의 반응 시간이 현저하게 짧기 때문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방지할 수 없는 사고가 더 느린 속도로 발생하는데, 이는 제3자의 상해 위험을 현저하게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의 이러한 보행자 예방 안전 조치가 앞유리 와이퍼 장치의 하강이다. 여기에서는 바람직하게도 앞유리 와이퍼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와이퍼 레버가 와이퍼 레버의 일반적인 휴지 위치 아래의 구역으로 하강한다. 본 발명에서는 짧은 시간의 머리 충돌(차량과 사고 상대방의 충돌과 사고 상대방의 머리가 차량이 충돌하는 시간 사이의 기간) 시, 특히 프런트 후드가 짧은 차량과 어린이의 충돌 시 조기 와이퍼 레버 하강이 보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는, 예를 들어 와이퍼 레버를 오로지 예측성 센서 시스템으로 구동하고 상응하는 사고 기준이 존재할 경우 앞유리 와이퍼 장치의 와이퍼 레버가 예방적 차원에서 사고 상대방에 위험한 구역에서부터 제거되며, 이때 사고 상대방과의 접촉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 와이퍼 레버가 제3자에게 더 이상 위험하지 않게 된다. 보행자 보호를 위한 이러한 예방적 차원의 자동 와이퍼 레버 하강은 요즘에 사용되는 와이퍼 시스템 기술로 가능하다.
와이퍼 레버 하강을 위해 기계 전자식 시스템의 투입이 가능하다. 즉 전자 제어식 역회전 모터(싱글 모터 테크닉 또는 듀얼 모터 테크닉)를 구비한 와이퍼 로드 또는 직접 구동장치(전자 장치가 내장된 WDA)를 구비한 와이퍼 시스템의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의 프런트 후드가 보행자 예방 안전 조치의 활성화 조건에 따라 앞유리 근처의 구역에서 상승한다. 이는 사고 상대방을 위한 크럼플 존(crumple zone)의 확대를 가능하게 하며, 사고 상대방은 차량 내부에 있는 경질의 엔진 부품으로부터 더욱 양호하게 차폐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앞유리 와이퍼 장치, 바람직하게도 그 와이퍼 레버가 그 하강 동작에서 상승되는 프런트 후드 아래로 사라진다. 앞유리 와이퍼 장치의 하향 동작 및 프런트 후드의 상향 동작이 서로 맞게 조정되어, 프런트 후드와 앞유리 와이퍼 장치 사이의 충돌이 억제된다.
차량의 보행자 예방 안전 상태에 대한 작동 조건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예측성 센서에서부터 발생한다. 여기에서 예측성 센서는 특정한 확률로 차량의 위험한 사고를 통보할 수 있는 센서로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센서는 예를 들어 지연 측정 센서로서 이런 센서는 완전 제동의 감지 시 위험한 사고를 통보한다. 마찬가지로 ESP 시스템의 센서 또는 ABS 시스템의 센서도 차량의 위험한 상태를 통보할 수 있다. 이외에도 차량 주변의 감지에는 레이더 장치, 카메라 또는 적외선 센서가 적합하다. 레이더 장치를 감지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소위 단거리 레이더(Short-Range-Radar)가 적합한데, 이런 레이더는 차량으로부터 약 5-10m의 거리를 탐지한다.
특정한 사고 확률을 통보할 수 있는 복수의 센서를 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예를 들어 한편으로는 센서가 접근하는 보행자를 감지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브레이크 센서가 완전 제동을 감지할 경우 와이퍼 레버 하강이 이루어진다. 또한 ESP 센서를 통한 통보가 가능한 위험한 주행 상태와 관련하여 와이퍼 레버 하강이 실시될 수 있다. 이외에도 오로지 완전 제동만을 감지하는 경우에도 와이퍼 레버 하강이 가능한데, 그 이유는 바람직하게도 와이퍼 레버가 가변적으로 작동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의 예방 안전 활성화 시스템이 제3자 또는 물체의 충돌을 감지할 수 있는 접촉식 센서를 통해 지원된다. 이러한 접촉식 센서는 예를 들어 차량의 펜더 및 범퍼에 존재한다.
이러한 접촉식 센서의 사용을 통해 보행자 보호를 위한 예방 안전 활성화 전략을 더욱 완벽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험한 주행 상황에서 보행자를 감지할 경우, 차량의 예방 안전 활성화를 개시하고 예를 들어 와이퍼 레버의 하강을 시작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는 비교적 느리고 부드럽게 무소음으로 실시할 수 있다. 접촉식 센서를 통해 차량에서 보행자와의 충돌이 감지되면, 와이퍼 모터에 최대 전류가 흐르고, 이로서 와이퍼 레버가 가능한 한 신속하게 위험 구역에서 사라진다. 이때 바람직하게도 와이퍼 레버가 고정된 스톱퍼에 대항하여 이동한다. 이 과정은 한편으로 사고 상대방의 높은 수동적 안전성을 가능하게 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높은 수준의 액추에이터 가역성을 가능하게 한다. 접촉식 센서에 의한 감지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수동으로 복귀시키거나 또는 정비소를 방문할 필요 없이 와이퍼 레버를 그 본래의 휴지 위치로 다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한편으로 접촉식 센서가 충돌을 감지하는 경우에는, 와이퍼 레버가 최대 속도로 이격되게 동작한다.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차량의 프런트 후드에서도 동일한 과정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에는 접촉식 센서의 신호 없이 차량의 보행자 예방 안전 시스템의 활성화를 위해 작동용 스프링 및 프런트 후드 복귀용 서보 모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접촉식 센서의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프런트 후드를 작동시키기 위한 폭파약포가 사용될 수 있다.
보행자 예방 안전 시스템의 활성화를 위한 가변적 액추에이터로서 예를 들어 와이퍼 모터 구동장치가 적합하다. 가변적 와이퍼 레버 하강이 필수적인데, 그 이유는 보행자 예방 안전 시스템의 활성화 후에 매번 충돌이 발생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앞유리 와이퍼 장치의 하강 결정이 와이퍼 모터의 전자 제어장치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로서 차량 컴퓨터에서 이루어지는 종래 방식의 신호 처리장치와 비교하여 시간 절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는 기타 종속항에 명시된다.
본 발명은 첨부한 하기 도면을 통해 실시예를 근거로 상세히 설명된다. 도면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보행자 예방 안전 시스템의 활성화를 위한 방법의 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보행자 예방 안전 시스템의 활성화를 위한 방법의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한 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 형태에 대한 다른 다이어그램이다.
도 5는 와이퍼 레버가 하강하고 프런트 후드가 상승하는, 차량의 보행자 예방 안전 시스템의 활성화에 대한 실시예이다.
도 6은 와이퍼 모터의 전자 제어장치를 통한 와이퍼 레버의 위치 결정에 대한 블록도이다.
하기 실시는 주로 와이퍼 시스템의 와이퍼 레버(12)를 그 가장 낮은 휴지 위치 아래의 위치로 하강시키고 및/또는 차량의 보행자 예방 안전 시스템(protective safety system)의 활성화 시 차량 프런트 후드(front hood)(20)를 위로 리프팅하는 것, 즉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도 5에 따른 실시 형태로 적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통해 특히 보행자 및 자전거 운전자를 위한 다른 수동적 보호 조치가 가능하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보행자 예방 안전 상태로 차량을 전환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통해 예를 들어 차량 안테나, 미러 및 이와 유사한 돌출된 부분과 같은 차량의 다른 부품 또는 부분을 제3자에 대한 사고 상황에서 위험 구역으로부터 제거하거나 또는 차폐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차량의 앞 부분에 존재하는 접촉식 센서 장치를 통한 후드 리프팅 및 와이퍼 레버 하강에 관련된 종래 기술에 따른 방법에 대한 다이어그램을 나타낸다. 접촉식 센서 장치는 특정한 시점에 차량 앞부분에서의 보행자의 충돌을 감지하며, 바로 그 직후에 와이퍼 레버 하강 및 후드 리프팅에 대한 작동 결정이 이루어진다. 보행자 충돌 바로 직후에 일반적인 사고 상황(보행자와의 정면 충돌)에서는 보행자(40)의 머리와 엔진 후드(20) 또는 앞유리(30) 사이에서 충돌이 발생하며(도 5 참조), 어린이나 키가 작은 사람의 경우에는 머리 충돌이 성인의 머리 충돌보다 시간적으로 조기에 이루어진다.
긴 엔진 후드(20) 및 일반적인 키의 성인 보행자와의 충돌 시 접촉식 센서 장치의 작동과 머리 충돌 사이에 제공되는 기간은 겨우 와이퍼 레버(12)를 하강시키고 엔진 후드(20)를 충분히 위로 올리기에 충분하다. 짧은 수평 또는 수직 엔진 후드(20)를 구비한 차량(소형차, 밴, 트럭)에서 이러한 사고가 발생하거나 및/또는 어린이에게 이러한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는, 머리 충돌이 더 조기에 발생하며, 이로서 와이퍼 레버(12)를 하강시키거나 또는 후드를 충분히 위로 올리기 위해 제공되는 시간은 더 이상 충분하지 않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는 제3자(40)가 차량 앞부분에 충돌하기 전에 와이퍼 레버 하강 및/또는 후드 리프팅에 대한 작동 결정 또는 작동 조건(A)이 이루어진다. 이로서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시간은 제3자(40)와의 본래의 충돌 전에 와이퍼 레버(12) 또는 와이퍼 시스템 전체를 하강시키고 및/또는 앞유리(30)의 인접 구역에서 프런트 후드(20)를 위로 올리는데 사용된다. 어린이 또는 성인의 머리 충돌이 이루어지는 경우(특히 짧은 또는 수직 엔진 후드를 구비한 차량에서), 이미 와이퍼 레버가 위험 구역에서부터 이동되었거나 및/또는 후드가 완전히 올려진 상태이다.
이런 작동은 바람직하게도 예측성 센서 장치에 의해 구현되며, 이런 예측성 센서 장치를 통해 적합한 작동 결정을 내리는 것이 가능하다. 이런 작동 결정이 1회에 걸쳐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차량이 보행자 예방 안전 상태로 전환되며, 이런 예방 안전 상태에서는 차량이 외부에 있는 제3자(40)와의 사고에 대비하고 이 제3자(40)에 대한 상해 위험이 가능한 한 감소하도록 자체적으로 설정된다. 이러한 예를 들어 예측성 센서 장치는 차량 주위에서 보행자(40)를 감지할 수 있는 카메라, 레이더 또는 적외선 센서이다. 또한 ESP 센서(예를 들어 ESP 시스템의 제어 시작 시 차량의 위험 상태를 통보하는 센서) 및 예를 들어 ABS 시스템의 센서들의 센서 데이터가 적합하다. 마찬가지로 완전 제동(full brake)의 감지 또는 휠의 정지(예를 들어 스티어링이 완전히 회전된 경우 및 노면의 결빙 시)도 위험한 사고를 나타낼 수 있는 정보에 해당한다. 물론 이런 센서 신호의 조합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차량 둘레의 구역을 감시하는 보행자 보호용 예측성 시스템의 투입 시 및 갑자기 나타나는 보행자(40) 감지 시, 자동으로 완전 제동을 발생시키고 동시에 와이퍼(12)를 하강시키며 및/또는 후드(20)를 위로 올리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보드 컴퓨터로 인한 매우 짧은 반응 시간에 의한 완전 제동을 통한 사고를 방지하거나 또는 이것이 불가능한 경우, 이런 과정이 더 느린 속도로 실시될 수 있도록 하 는 것이 가능하며, 이로서 제3자에 대한 상해 위험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사고를 100%의 확률로 사전에 감지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에서는 해당 조치가 가변적 또는 역전성으로 실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해당 조치가 자동적으로 예를 들어 엔진 후드(20)를 위한 전동 모터를 통해 또는 와이퍼 레버 하강을 위한 와이퍼 모터를 통해 또는 공구의 사용 없이 적어도 손으로 가능하도록 해당 조치가 가변적이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도 와이퍼 장치에서는 와이퍼 모터(WSM 또는 WDA)가 가변적 액추에이터로서 구동된다. 즉 와이퍼 모터가 한편으로는 우천 시 통상적 와이핑 작동을 이행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와이퍼 레버(12)를 그 예방 안전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가변적 와이퍼 레버 하강이 고정된 스톱퍼에 대항하여 역방향으로 진행하지 않아야 하는데, 그 이유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황 감지 후에 매번 제3자와의 충돌이 발생하는 것이 아니며 고정된 스톱퍼에 대항하여 역방향으로 진행할 경우 와이퍼(12)가 손상될수도 있기 때문이다.
고정된 스톱퍼에 대항하여 역방향으로 진행하지 않는 가변적 와이퍼 레버 하강의 이러한 실시 형태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서는 바람직하게도 와이퍼(12)가 긍정적 작동 결정(A) 후에 서서히 하강하며, 그에 제공되는 시간은 머리 충돌이 발생하기 전에 완전히 하강하기에 충분하다. 이러한 실시 형태는 예를 들어 긍정적인 작동 결정(A)이 가능한 한 조기에 내려지는 경우에 적합하다. 하지만 이는 와이퍼 하강에 적은 시간이 제공되는 더 느린 작동 결정(A)보다 오류 발생의 빈도가 높다. 이 작동 결정(A)에 오류가 존재할 수 있으므로, 와이퍼 모터 를 가변적으로 구동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예측성 센서 장치가 접촉식 센서 장치과 조합된다. 본 발명의 이 실시 형태는 전술한 방식과 동일하게 기능하지만, 접촉식 센서 장치가 충돌을 통보하는 시점 이후부터, 즉 사고의 확률이 100%인 시점 이후부터 차량의 보행자 예방 안전 상태에서 실시되는 속도가 증가되거나 또는 최대가 되는 점이 상이하다. 이런 경우에는 와이퍼 모터에 완전한 전류가 흐르게 되며, 와이퍼(12)는 최대 속도로 하강하고 바람직하게도 고정된 스톱퍼에 대항하여 이동하게 된다. 프런트 후드(20)에 이와 유사한 작동이 이루어지는데, 충돌 감지 시 프런트 후드에서는 예를 들어 폭파약포(blasting cartridge)가 점화되며 이로서 프런트 후드(20)가 그 상단 위치로 빠르게 이동한다.
도 5는 차량과의 충돌 후 보행자(40)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최악의 경우 보행자(40)의 머리는 앞유리(30)에 충돌한다. 도시한 상황에서 차량은 그 보행자 예방 안전 상태에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통해 충돌 전에 엔진 후드(20)가 이미 상승되었고 와이퍼 장치(10)의 와이퍼 레버(12)가 앞유리(30)의 아래로 이동된 상태이다. 따라서 와이퍼 레버(12)로 인한 보행자(40) 머리의 상해가 더 이상 발생할 수 없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 형태에 대한 블록도를 나타내며, 와이퍼 모터의 전자 제어 장치는 스티어링 컬럼(steering column)의 와이퍼 정보 외에도 입력측의 차량 센서 정보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제어 장치는 와이퍼 레버 (12)가 그 보행자 예방 안전 위치로 하강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차량의 위험한 상태에 대한 예방 안전 감지는 특히 완전 제공의 감지이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와이퍼 모터가 가변적 액추에이터로서 구동되며, 센서 신호 또는 작동 신호의 처리가 와이퍼 모터 전자장치에서 이루어지며(도 6 참조), 이때 전자 제어식 역회전 모터(reversing motor)(WSM2M) 또는 와이퍼 직접 구동장치(WDA)를 구비한 와이퍼 로드에 존재하는 기존 와이퍼 시스템 기계 전자장치가 사용된다. 와이퍼 구동장치는 와이퍼 레버(12)를 더 낮은 위치로 하강시킨다. 중요한 요소는 작동 결정(A)를 발생시키기 위해 센서 시스템이 필요로 하는 시간이다. 이 시간이 길수록 액추에이터가 와이퍼 레버(12)의 하강과 관련하여 더 긴 시간을 갖는다. 감지(완전 제동)와 보행자와의 충돌(접촉식 센서 장치) 사이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긴 시간으로 인해 와이퍼 레버(12)가 적기에 하강할 수 있다. 이 와이퍼 하강은 개시 시점에서는 고정된 스톱퍼에 대항하여 진행하지 않으면서 비교적 천천히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런 하강은 가변적이며 소음 없이 진행된다. 이는 필수적인데, 그 이유는 상황 인식 시 보행자(40)와의 충돌이 매번 발생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접촉식 센서 장치를 통한 보행자 충돌의 감지 후에 와이퍼 모터에 완전한 전류가 흘러야 하며 와이퍼 레버(12)를 가능한 한 신속하게 그 최저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와이퍼 모터가 고정된 스톱퍼에 대항하여 이동해야 한다. 전술한 두 가지 사고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두 가지 경우를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통한 예방적 조치를 통해 제3자의 안전을 증대시키고 가능한 최대의 수동적 안정성을 보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도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하강은 와이퍼 레버(12)의 모든 상태에서 가능하다. 특히 이는 와이퍼의 휴지 상태에서 (확장된 주차 위치 또는 인터벌 주차 위치에서도) 가능해야 한다. 또한 차량의 보행자 예방 안전 시스템이 활성화될 경우 상황에 따라 가능한 와이퍼의 와이핑 동작을 억제하여, 보행자와의 충돌 시 와이퍼 레버가 앞유리에 있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으로, 차량 탑승자의 안전을 위협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예를 들어 강한 우천 시 와이퍼 하강에도 불구하고 와이퍼 블레이드의 지속적 와이핑을 보장하여, 운전자가 회피 동작을 위한 충분한 시야를 확보하고 접촉식 센서 장치의 작동 시에 비로소 바람직하게도 와이퍼 레버(12)의 휴지 위치에서 와이핑 모드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고 상대방 특히 보행자 또는 자전거 운전자의 수동적 안전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차량에 이용가능하다.

Claims (10)

  1. 사고 상대방의 수동적 안전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차량을 보행자 예방 안전 상태로 작동 및 전환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이 방법에서는 차량의 보행자 예방 안전 상태의 작동 조건(A)이 적어도 하나의 차량 센서의 신호를 통해 발생되며, 이 센서는 바로 이후 시점에 발생할 수 있는 특히 보행자 또는 자전거 운전자와의 차량의 높은 사고 확률을 통보할 수 있으며,
    보행자 예방 안전 상태의 긍정적 작동 조건(A = +)이 존재하면, 차량과의 사고 시 사고 상대방에게 추가적인 신체적 상해를 가할 수 있는 차량의 부품 또는 부분이 사고 상대방과의 충돌이 예상되는 구역에서부터 이동되거나 및/또는 추가적으로 차폐되어, 이로서 차량이 적어도 부분적으로나마 보행자 예방 안전 상태로 전환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차량이 완전 자동으로 작동되는 완전 제동을 추가적으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차량이 보행자 예방 안전 상태로 전환될 때, 와이퍼 장치(10), 바람직하게는 앞유리 와이퍼의 와이퍼 레버(12)가 적어도 부분적으로나마 그 기능 위치 아래의 구역으로 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고 상대방을 위한 추가적인 변형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차량이 보행자 예방 안전 상태로 전환될 때 차량의 프런트 후드(20)가 앞유리(30)에 인접한 구역에서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와이퍼 레버(12)가 그 하향 동작에서 상승하는 프런트 후드(20) 아래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라지며 바람직하게도 와이퍼 레버(12)와 프런트 후드(20) 사이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프런트 후드(20)의 상승 및 와이퍼 레버(12)의 하강이 서로 시간적으로 맞게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작동 조건(A)의 형성에 대한 정보가 시간적 예측성 센서의 적어도 하나의 신호로부터 오거나 또는 복수의 신호의 조합이 예측성 센서로부터 오며, 예측성 센서의 적어도 하나가 지연 측정 센서, 레이더 센서, ABS 시스템의 센서, 적외선 센서, ESP 센서, 카메라 시스템 또는 레이더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량의 보행자 예방 안전 상태의 작동에 대한 충분한 기준이 특히 완전 제동, 또는 차량 외부에서 사람의 감지가 이루어진 차량의 위험한 주행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또한 특히 보행자 충돌을 감지하기 위한 접촉식 센서의 신호가 차량이 보행자 예방 안전 상태로 전환될 때 고려되며, 접촉식 센서에 의해 충돌이 감지되면 차량과의 사고 시 사고 상대방에게 추가적 상해를 가할 수 있는 차량 부품 또는 부분, 바람직하게는 와이퍼 레버(12)가 최대 속도로 위험 구역에서부터 멀어지고 바람직하게는 고정된 스톱퍼에 대항하여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량에 대한 보행자 예방 안전 상태를 개시할 수 있는 조치가 특히 차량과 보행자 충돌의 인식 확률이 100% 미만일 때, 바람직하게도 거의 사고가 난 직후에 가변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3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행자 예방 안전 상태에서 와이퍼 레버(12)의 하강 결정이 와이퍼 모터의 전자 제어장치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67016531A 2004-12-02 2005-10-13 차량의 예방 안전 활성화 방법 KR1012497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58176A DE102004058176A1 (de) 2004-12-02 2004-12-02 Pre-Safe-Aktivierung eines Fahrzeugs
DE102004058176.2 2004-12-02
PCT/EP2005/055211 WO2006058804A1 (de) 2004-12-02 2005-10-13 Pre-safe-aktivierung eines fahrzeug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5065A true KR20070085065A (ko) 2007-08-27
KR101249786B1 KR101249786B1 (ko) 2013-04-03

Family

ID=35355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6531A KR101249786B1 (ko) 2004-12-02 2005-10-13 차량의 예방 안전 활성화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899596B2 (ko)
EP (1) EP1841628B1 (ko)
JP (1) JP5009806B2 (ko)
KR (1) KR101249786B1 (ko)
AT (1) ATE430675T1 (ko)
DE (2) DE102004058176A1 (ko)
WO (1) WO200605880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1781A (ko) * 2014-03-26 2015-10-06 평화정공 주식회사 액티브 후드 리프트 시스템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73167A1 (en) * 2006-05-25 2007-11-29 Gail Alexander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protecting a vehicle
USD706200S1 (en) 2010-09-22 2014-06-03 Pylon Manufacturing Corporation Windshield wiper cover
US9174609B2 (en) 2011-04-21 2015-11-03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with cover
US9457768B2 (en) 2011-04-21 2016-10-04 Pylon Manufacturing Corp. Vortex damping wiper blade
CA2843527C (en) 2011-07-28 2018-11-27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adapter, connector and assembly
US9108595B2 (en) 2011-07-29 2015-08-18 Pylon Manufacturing Corporation Windshield wiper connector
CA2843637C (en) 2011-07-29 2018-12-11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US8806700B2 (en) 2011-07-29 2014-08-19 Pylon Manufacturing Corporation Wiper blade connector
EP2562053B1 (en) * 2011-08-25 2016-04-27 Volvo Car Corporation Method,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system for determining whether it is necessary to utilize a vehicle's safety equipment and vehicle comprising these
KR101371924B1 (ko) 2011-10-27 2014-03-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와이퍼 정지 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
DE102011118149A1 (de) * 2011-11-10 2013-05-1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Sicherheitssystems eines Kraftfahrzeugs und Sicherheits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1120500B4 (de) * 2011-12-07 2014-08-21 Audi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Kraftfahrzeugs und Kraftfahrzeug
RU2577981C1 (ru) 2012-02-24 2016-03-20 Пилон Мануфэкчуринг Корп. Щетка стеклоочистителя
US20130219649A1 (en) 2012-02-24 2013-08-29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US10829092B2 (en) 2012-09-24 2020-11-10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with modular mounting base
JP6178580B2 (ja) * 2013-01-28 2017-08-09 富士通テン株式会社 物体検出装置、物体検出システム及び物体検出方法
US10166951B2 (en) 2013-03-15 2019-01-01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US9786178B1 (en) * 2013-08-02 2017-10-10 Honda Motor Co., Ltd. Vehicle pedestrian safety system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thereof
JP6429368B2 (ja) 2013-08-02 2018-11-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歩車間通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5949803B2 (ja) * 2014-02-07 2016-07-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衝突検出装置
US9505380B2 (en) 2014-03-07 2016-11-29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and assembly
USD787308S1 (en) 2014-10-03 2017-05-23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package
USD777079S1 (en) 2014-10-03 2017-01-24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frame
WO2017075066A1 (en) 2015-10-26 2017-05-04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EP3243706B1 (en) * 2016-05-11 2019-12-11 Veoneer Sweden AB A vehicle safety system
EP3458315B1 (en) 2016-05-19 2021-09-08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blade
WO2017201485A1 (en) 2016-05-19 2017-11-23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US10513246B2 (en) 2016-05-19 2019-12-24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AU2017267978A1 (en) 2016-05-19 2018-11-22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US11040705B2 (en) 2016-05-19 2021-06-22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WO2018081791A1 (en) 2016-10-31 2018-05-03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with cover
DE102017201936A1 (de) * 2017-02-08 2018-08-09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Reduzierung eines Kollisionsschadens
US20200190869A1 (en) * 2018-12-14 2020-06-1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utomatic vulnerable object detection triggered hood latch release
JP7125918B2 (ja) * 2019-05-31 2022-08-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保護装置
JP7195219B2 (ja) 2019-05-31 2022-12-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衝突予測判定装置、及び交通弱者保護システム
JP2021104703A (ja) * 2019-12-26 2021-07-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衝突予測判定装置、及び交通弱者保護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21456B1 (ko) * 1970-12-01 1973-06-28
DE19736840B4 (de) 1997-08-23 2006-01-26 Volkswagen Ag Verfahren zur situationsabhängigen Auslösung eines Rückhaltesystems und Rückhaltesystem
DE19843042A1 (de) * 1998-09-19 2000-03-23 Volkswagen Ag Wischvorrichtung für die Frontscheibe von Kraftfahrzeugen insbesondere PKW
JP2000264146A (ja) * 1999-03-12 2000-09-26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用歩行者保護装置
DE29908722U1 (de) * 1999-05-18 1999-08-12 Lalk Petra Kraftfahrzeug
DE10021142B4 (de) * 2000-04-29 2008-06-26 Volkswagen Ag Fahrzeug, insbesondere Kraftfahrzeug
DE10132681C1 (de) * 2001-07-05 2002-08-22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r Klassifizierung von einem Hindernis anhand von Precrashsensorsignalen
DE10261870A1 (de) 2002-12-20 2004-07-15 Volkswagen Ag Kraftfahrzeug mit Vorrichtungen zum Anheben eines Deckels oder Deckelteils bei einer Fußgängerkollision sowie zur Rückführung desselben
DE10305857A1 (de) * 2003-02-13 2004-09-09 Robert Bosch Gmbh Scheibenwischvorrichtung
JP2004299614A (ja) * 2003-03-31 2004-10-28 Toyota Motor Corp リフトアップフード機構
JP2006036015A (ja) * 2004-07-27 2006-02-09 Toyoda Gosei Co Ltd 歩行者保護装置
US7188012B2 (en) * 2004-08-24 2007-03-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daptive voice control and vehicle collision warning and countermeasure system
US7158017B2 (en) * 2004-12-22 2007-01-0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Method for controlling a safety system in a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1781A (ko) * 2014-03-26 2015-10-06 평화정공 주식회사 액티브 후드 리프트 시스템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02005007256D1 (de) 2009-06-18
KR101249786B1 (ko) 2013-04-03
EP1841628B1 (de) 2009-05-06
DE102004058176A1 (de) 2006-06-08
WO2006058804A1 (de) 2006-06-08
JP2008521695A (ja) 2008-06-26
US20090171536A1 (en) 2009-07-02
JP5009806B2 (ja) 2012-08-22
ATE430675T1 (de) 2009-05-15
US7899596B2 (en) 2011-03-01
EP1841628A1 (de) 2007-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9786B1 (ko) 차량의 예방 안전 활성화 방법
US7905314B2 (en) Pedestrian detecting system
JP4874979B2 (ja) 予防的に作動する保護システムを備えた自動車
US9937888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riggering of at least one passenger protection device for a motor vehicle and safety system for a vehicle
US11040693B2 (en) Vehicular protection device and vehicle
US20160325741A1 (en) Safety Device for a Motor Vehicle and Associated Operating Method
CN112009412B (zh) 碰撞预测判断装置、以及交通弱势者保护系统
JP2007533521A (ja) プリセーフシステムを装備した自動車
JP2002274318A (ja) 自動車における衝突識別のための方法
CN101804800A (zh) 一种汽车正面碰撞主动保护系统
JP2008521691A (ja) 車間距離センサシステムを備える自動車で予防的に作動する保護システムのための方法
CN103144597B (zh) 用于运行机动车的方法及机动车
JP2007532390A (ja) 自動車用の安全装置
CN109910791B (zh) 用于车辆行人保护装置的控制方法和系统、处理器
EP2524847B1 (en) Vehicle control arrangement
KR100666360B1 (ko) 차량 동역학에 근거한 충돌예방 안전장치
GB2400352A (en) Pedestrian detecting system for a motor vehicle
WO2020217167A1 (en) A safety system to prevent road users from being run over by a vehicle
JP2014133448A (ja) 車両用衝突検知装置
JP3932555B2 (ja) 歩行者保護を目的に傾けられる自動車エンジンボンネットを制御する方法
CN111372828A (zh) 用于单辙机动车的运动控制的方法和设备
EP3351441B1 (en) Device for increased safety during slow vehicle movement
JP6183607B2 (ja) 車両用の車外者保護装置
Leschke et al. Basics of Traffic Safety
CN116872817A (zh) 车辆安全拉手控制方法、车辆拉手安全系统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