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3821A - 특정 디시돌 이성질체 기재 불포화 무정형 폴리에스테르를기재로 하는 수성 분산액의 용도 - Google Patents

특정 디시돌 이성질체 기재 불포화 무정형 폴리에스테르를기재로 하는 수성 분산액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3821A
KR20070083821A KR1020077009518A KR20077009518A KR20070083821A KR 20070083821 A KR20070083821 A KR 20070083821A KR 1020077009518 A KR1020077009518 A KR 1020077009518A KR 20077009518 A KR20077009518 A KR 20077009518A KR 20070083821 A KR20070083821 A KR 200700838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amorphous
aqueous dispersion
unsaturated
polyester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9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패트릭 글뢰크네르
루츠 민다크
페테르 덴킨게르
Original Assignee
데구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구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데구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70083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3821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6Unsaturated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7Unsaturated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68Unsaturated polyesters
    • C08G18/683Unsaturated polyesters containing cyclic groups
    • C08G18/686Unsaturated polyesters containing cyclic groups containing cycloaliphatic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80Masked polyisocyanates
    • C08G18/8003Masked polyisocyanates masked with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groups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8048Masked polyisocyanates masked with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groups containing active hydrogen with compounds of C08G18/34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52Polycarboxylic acids or polyhydroxy compounds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two components contains aliphatic unsatu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52Polycarboxylic acids or polyhydroxy compounds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two components contains aliphatic unsaturation
    • C08G63/54Polycarboxylic acids or polyhydroxy compounds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two components contains aliphatic unsaturation the acids or hydroxy compounds containing carbocyclic rings
    • C08G63/553Acids or hydroxy compounds containing cycloaliphatic rings, e.g. Diels-Alder ad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91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67/06Unsaturated polyester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 디시돌 이성질체 및 카르복실산 기재 불포화 무정형 폴리에스테르에 기재한 수성 분산액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디시돌, 불포화 무정형 폴리에스테르, 수성 분산액

Description

특정 디시돌 이성질체 기재 불포화 무정형 폴리에스테르를 기재로 하는 수성 분산액의 용도 {Use of an aqueous dispersion based on an unsaturated, amorphous polyester based on defined Dicidol isomers}
본 발명은 카르복실산과 특정 디시돌 이성질체 기재 불포화 무정형 폴리에스테르를 기재로 하는 수성 분산액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UP 수지)는 공지되어 있다. 이는 포화 및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무수물을 디올과 함께 축합시켜서 제조된다. 이들의 특성은 시작 물질의 성질 및 비율에 크게 의존한다.
중합성 이중 결합의 담체로서, α,β-불포화 산, 1차 말레산 또는 그의 무수물 또는 푸마르산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불포화 디올은 중요성이 적다. 이중 결합의 함량이 높아질수록, 즉, 사슬 분자 내의 이중 결합 사이의 거리가 짧아질수록,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더욱 반응성이 커진다. 이는 매우 빨리 중합되며, 많은 양의 열을 발생시키고, 높은 수준의 부피 수축이 이루어지며, 고도로 가교되어 상대적으로 취약한 최종 생성물을 형성한다. 결과적으로, 폴리에스테르 분자 내의 반응성 이중 결합은 포화 지방족 또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의 축합에 의해서 "희석" 된다. 직쇄 및 분지쇄 디올은 알콜 성분으로 사용된다. 각각의 UP 수지 유형 은 그들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하는 성분뿐만 아니라 불포화산에 대한 포화산의 비율에서 차이가 나며, 이는 중합에서의 가교도, 축합도, 즉, 몰 질량, 산가 및 OH 가, 즉, 사슬 분자 내의 말단기의 성질, 단량체 함량 및 첨가의 성질 등을 결정한다 (문헌[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Vol. A21, p.217 ff, 1992]).
디올 성분으로 디시돌(Dicidol)을 기재로 하는 UP 수지들은, 예를 들어, DE 924 889, DE 953 117, DE 22 45 110, DE 27 21 989, EP 1 14 208 및 EP 934 988에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수많은 가능성과 변화의 폭으로부터, 신규한, 추가적으로 수분산성이며 고체 형태의 투명한 불포화 무정형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발견하는 것이다. 이러한 수지는 예를 들어, 수성 코팅 물질 및 접착제에 대한, 접착성 및 초기 건조 속도와 같은 특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러한 목적은 이 후 설명하는 방법을 통하여 달성되었다.
본 발명은 무정형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기재로 하는 수성 분산액의 용도를 제공하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I. 알콜 성분,
II. 1. 20 내지 100 몰%의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 성분 및
2. 0 내지 80 몰%의 추가적인 카르복실산 성분 (여기서, II. 1 및 II. 2의 합은 100 몰%이다), 및
III. I 및 II로부터의 폴리에스테르 1 몰을 기준으로 (Mn을 통함) 0 내지 2 몰의, 하나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및/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친수성 또는 잠재적으로 친수성 기 외에, 이소시아네이트기에 반응성인 하나 이상의 작용기를 갖는 화합물과 반응시켜 수득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유리 NCO 기를 갖는 하나 이상의 친수성으로 변형된 이소시아네이트 및/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합성되고,
상기 알콜 성분 I은 이성질 화합물 3,8-비스(히드록시메틸)트리시클로[5.2.1.02,6]데칸, 4,8-비스(히드록시메틸)트리시클로[5.2.1.02,6]데칸 및 5,8-비스(히드록시메틸)트리시클로[5.2.1.02,6]데칸의 디시돌 혼합물로 구성되고,
각 이성질체는 혼합물 내에서 20% 내지 40%의 분율로 존재할 수 있고, 3개의 이성질체의 합은 90% 내지 100%이며,
상기 혼합물은 폴리에스테르의 알콜 성분 내에서 lO 몰% 이상 존재하며,
하나 이상의 성분 II. 2 및/또는 III이 존재하고,
수성 분산액은
a) 20 중량% 내지 60 중량%의 비휘발물 함량을 갖고,
b) 0 내지 20 중량%의 용매 함량을 갖고,
c) 5.0 및 9.5 사이의 pH를 갖고,
d) 20oC에서 20 내지 500 mPas의 점도를 갖는다.
특히, 상기 분산액은 다음과 같은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 코팅 물질, 접착제, 인쇄용 잉크를 비롯한 잉크, 겔 코팅, 광택제, 착색제, 안료 페이스트, 충전 화합물, 화장품, 밀폐제 및/또는 절연체에서 주요, 기본 또는 추가 성분;
- 충전 화합물, 프라이머, 서페이서, 베이스코트, 톱코트 및 클리어코트 물질에서 주요, 기본 또는 추가 성분;
- 금속, 플라스틱, 목재, 보드, 종이, 텍스타일, 가죽, 무기 기판 및 유리의 보호 또는 가공;
- 물리적 건조, 산화성 경화 또는 화학적 가교 코팅 물질, 접착제, 인쇄용 잉크를 비롯한 잉크, 겔 코팅, 광택제, 착색제, 안료 페이스트, 충전 화합물, 화장품, 밀폐제 및/또는 절연체에서 주요, 기본 또는 추가 성분
(이는 추가적인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올리고머 및/또는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 물리적 건조, 산화성 경화, 화학적 가교 코팅 물질, 접착제, 인쇄용 잉크를 비롯한 잉크, 겔 코팅, 광택제, 착색제, 안료 페이스트, 충전 화합물, 화장품, 밀폐제 및/또는 절연체에서 주요, 기본 또는 추가 성분
(이는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알키드 수지, 셀룰로스 에테르, 셀룰로스 유도체, 폴리비닐 알콜 및 유도체, 고무, 말레에이트 수지, 페놀-/우레아- 알데히드 수지, 아미노 수지 (예를 들어, 멜라민 수지, 벤조구아나민 수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수지, 규산 에스테르 및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 (예를 들어, 물유리), 천연 수지, 실리콘 오일 및 실리콘 수지, 아민 수지 및/또는 불소-함유 고분자 및 이들의 유도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단독으로 또는 조합되어 선택된, 추가적인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올리고머 및/또는 고분자를 포함한다).
상기 분산액은 EP 1 433 803 및 EP 1 433 805에 공지되어 있다.
불포화 무정형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알콜 성분 I을 카르복실산 성분 II 및 또한, 필요한 경우, 친수성으로 변형된 디이소시아네이트 III과 함께 반응시켜 수득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알콜 성분 I은, 이성질 화합물 3,8-비스(히드록시메틸)트리시클로[5.2.1.02,6]-데칸, 4,8-비스(히드록시메틸)트리시클로[5.2.1.02,6]데칸 및 5,8-비스(히드록시메틸)트리시클로[5.2.1.02,6]데칸의 디시돌 혼합물을 포함하고, 각 이성질체는 혼합물 내에서 20% 내지 40%의 분율로 존재할 수 있고, 3개의 이성질체의 합은 9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95% 내지 l00% 이며, 혼합물은 폴리에스테르의 알콜 성분 내에서 l0% 이상 존재한다. 디시돌 혼합물의 이성질체 함량은, 예를 들어, GC 분석에 의하여 정성적 및 정량적으로 측정될 수 있으며, 또는 정제용 GC 또는 HPLC 및 그 후의 NMR 분광법에 의하여, 분별에 의하여 정량적으로 측정될 수 있다. 위치 9에서의 디시돌의 모든 상응하는 이성질체는 동일하게 적합하지만, 상기 언급한 이성질체의 거울상 대칭 및 또한 시스 및 트란스 이성질체 때문에, 관행에 따른 일반적인 환경 하에서는 구별이 불가능할 수도 있다.
디시돌 혼합물은 또한 1O% 이하의 추가적인 디시돌의 이성질체 및/또는 시클로펜타디엔의 디엘스-알더 반응 생성물의 삼량체 및/또는 고급 이성질 디올을 포함할 수 있다. 알콜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20%, 50%,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매우 바람직하게는 l00%의 디시돌 혼합물로 구성되며, 이는 매우 바람직하게는 95% 내지 100%의 상기 3개의 이성질 화합물을 함유한다.
디시돌 혼합물 외에도, 알콜 성분 I은 추가적으로 직쇄 및/또는 분지쇄, 지방족 및/또는 시클로지방족 및/또는 방향족 디올 및/또는 폴리올을 함유할 수 있다. 사용하기 바람직한 추가적인 알콜은 에틸렌 글리콜, 1,2- 및/또는 1,3-프로판디올, 디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1,2- 및/또는 1,4-부탄디올, 1,3-부틸에틸프로판디올, 1,3-메틸프로판디올, 1,5-펜탄디올, 비스페놀 A, B, C, F, 노르보르닐렌 글리콜, 1,4-벤질디메탄올 및 -에탄올, 2,4-디메틸-2-에틸헥산-1,3-디올, 시클로헥산-디메탄올, 글리세롤, 헥산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트리메틸올에탄, 트리메틸올프로판 및/또는 펜타-에리트리톨을 포함한다.
불포화 무정형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시작 산 성분으로 하나 이상의 α,β-불포화 디카르복실산을 함유한다. 바람직하게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시트라콘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말레산 및/또는 메사콘산을 함유한다.
또한, 추가적으로 방향족 및/또는 지방족 및/또는 시클로지방족 모노카르복실산 및/또는 디카르복실산 및/또는 폴리카르복실산, 예를 들어, 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1,4-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숙신산, 세박산, 메틸테트라히드로프탈산, 메틸헥사히드로프탈산, 헥사히드로프탈산, 테트라히드로프탈산, 도데칸이산, 아디프산, 아젤라산, 피로멜리트산 및/또는 트리멜리트산, 이소노난산, 및 2-에틸헥산산이 존재할 수 있다. 프탈산, 헥사히드로프탈산, 테트라히드로프탈산, 헥사히드로테레프탈산, 트리멜리트산, 아디프산 및/또는 아젤라산이 바람직하다.
카르복실산 성분 II는 전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무수물 및/또는 저분자량 알킬 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메틸 에스테르 및/또는 에틸 에스테르로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알콜 성분은 카르복실산 성분에 대하여 0.5 내지 2.0 : 1의 몰 비,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1.5 : 1의 몰비로 존재한다. 매우 바람직하게는 알콜 성분의 반응은 카르복실산 성분에 대하여 1.0 내지 1.3 : 1의 몰비로 일어난다.
친수성화에 필요한 산가는 카르복실산 성분 II. 2의 불완전한 반응의 결과일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예를 들어, 피로멜리트산 및/또는 트리멜리트산과 같은, 특히 3개 이상의 작용기를 갖는 카르복실산을, 하나 이상의 카르복실산기가 반응하지 않도록 반응시키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총 카르복실산 성분에 기초하여, 추가적인 카르복실산 성분 II. 2의 분율은 2 내지 80 몰%일 수 있다.
다르게는, 친수성화를 위하여, 반응은 친수성화된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우레탄화) (성분 III)과 함께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I 및 II로부터 형성된 폴리에스테르 1 몰 당 0.1 내지 2 몰의 친수성화된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 III)가 사용될 수 있다 (수평균 분자량, Mn).
불포화 무정형 폴리에스테르에 필요할 수 있는 친수성 변형은, 우레탄화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불포화 무정형 폴리에스테르와 하나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및/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친수성 또는 잠재적으로 친수성 기 - 즉, 중화된 후에만 친수성이 되는 기 - 에 더하여 예를 들어 히드록실기 또는 아미노기와 같은, 이소시아네이트기에 반응성인 하나 이상의 작용기를 갖는 화합물과의 반응에 의하여 수득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유리 NCO 기를 갖는 하나 이상의 친수성으로 변형된 이소시아네이트 및/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의 반응에 의하여 발생한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친수성 변형을 위한 이러한 종류의 화합물의 예로는 아미노산 및 또한 모노히드록시- 및 폴리히드록시알킬카르복실산 등이 있다. 친수성 변형은 또한 비이온성기와 함께 (예를 들어, 폴리에테르와 함께) 또는 이미 중화된 화합물과 함께 수행될 수 있다.
2,2-디메틸올아세트산, 2,2-디메틸올프로피온산, 2,2-디메틸올부티르산, 2,2-디메틸올펜탄산, 디히드록시숙신산, 1,1,1-트리메틸올아세트산, 히드록시피발산 또는 이러한 산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모노- 및/또는 폴리히드록시포스폰산, 예컨대 2,3-디히드록시프로판포스폰산이 적합하다.
아민과 같은 휘발성 염기로 중화되는 경우, 예를 들어, 이들은 강한 친수성 작용을 보이지만, 휘발성 염기가 증발한 후 이러한 작용이 급격히 감소되기 때문에, 특히, 디메틸올프로피온산과 같은 히드록시카르복실산이 특히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팽윤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코팅은, 예를 들어, 수분 노출로 인해 그의 보호 기능을 잃지 않는다.
또한 디메틸올프로피온산은, 2개의 히드록실기를 통해서 2개의 소수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에서 (잠재적으로) 친수성 변형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적합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는 2 내지 4개의 작용기를 갖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바람직하다. 그 예로는, 시클로헥산 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시클로헥산 디이소시아네이트, 에틸시클로헥산 디이소시아네이트, 프로필시클로헥산 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디에틸시클로헥산 디이소시아네이트, 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비스(이소시아네이토페닐)메탄, 프로판 디이소시아네이트, 부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펜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산 디이소시아네이트, 예컨대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HDI) 또는 1,5-디이소시아네이토-2-메틸펜탄 (MPDI), 헵탄 디이소시아네이트, 옥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노난 디이소시아네이트, 예컨대 1,6-디이소시아네이토-2,4,4-트리메틸헥산 또는 1,6-디이소시아네이토-2,2,4-트리메틸헥산 (TMDI), 노난 트리이소시아네이트, 예컨대 4-이소시아네이토메틸-1,8-옥탄 디이소시아네이트 (TIN), 데칸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트리이소시아네이트, 운데칸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트리이소시아네이트, 도데칸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트리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IPDI), 디시클로헥실메탄 4,4'-디이소시아네이트 (H12MDI), 이소시아네이토메틸메틸시클로헥실 이소시아네이트, 2,5(2,6)-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 (NBDI), 1,3-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시클로헥산 (1,3-H6-XDI) 또는 1,4-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시클로헥산 (1,4-H6-XDI) 등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로 포함한다.
또다른 바람직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종류는 분자당 둘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이며, 이는 단순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이량체화, 삼량체화, 알로판화, 뷰렛화 및/또는 우레탄화하여 제조되고, 이러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예로는, 예를 들어 IPDI, HDI 및/또는 H12MDI와 같은 상기 단순 디이소시아네이트와 다가알콜 (예를 들어, 글리세롤,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트리톨) 및/또는 다작용기 폴리아민의 반응 생성물, 또는 예를 들어 IPDI, HDI 및 H12MDI와 같은 단순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삼량체화하여 수득할 수 있는 트리이소시아누레이트를 들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디메틸올프로피온산 또는 이의 유도체 및 IPDI 및/또는 TMDI 및/또는 H12MDI 및/또는 HDI의 1:2의 몰 비로부터 형성된, 친수성으로 변형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III)이다.
불포화 무정형 폴리에스테르는 1 및 200 mg KOH/g 사이, 바람직하게는 1 및 100 사이,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및 50 mg KOH/g 사이의 산가를 가질 수 있고, 1 및 200 mg KOH/g 사이, 바람직하게는 1 및 lOO 사이,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및 80 mg KOH/g 사이의 OH 가를 가질 수 있다.
불포화 무정형 폴리에스테르의 Tg는 -30 내지 +80oC,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oC,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oC로 변화한다.
한 바람직한 실시양태 1에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UP 수지)는, 50%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l00%의 이성질 화합물 3,8-비스(히드록시메틸)트리시클로[5.2.1.02,6]-데칸, 4,8-비스(히드록시메틸)트리시클로[5.2.1.02,6]데칸 및 5,8-비스(히드록시메틸)트리시클로[5.2.1.02,6]데칸 및 a) 푸마르산 및/또는 b) 말레산 (무수물) 및/또는 c) 트리멜리트산 무수물의 디시돌 혼합물을 함유하는 알콜 성분으로 구성된다.
실시양태 1의 카르복실산 성분의 조성은 다음과 같다.
a) 0 내지 90 몰% 푸마르산
b) 90 내지 0 몰% 말레산 (무수물)
[a)+b) 의 합은 60 내지 90 몰%]
c) 10 내지 40 몰% 트리멜리트산 무수물
[a) 내지 c)의 합은 lOO 몰%].
추가로 바람직한 실시양태 2에서, 폴리에스테르는 1에서와 같이 상기 언급한 시작 성분을 함유하지만, 이에 더하여, 아디프산, 도데칸이산 및/또는 프탈산 (무수물) 중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실산 성분 d)를 추가로 함유하고, 추가적인 카르복실산에 대한 α,β-불포화 산의 비율은 2 : l 내지 1 : 4로 변화할 수 있다. 대략 1 : 1 내지 1 : 2의 비율이 바람직하다.
실시양태 2의 카르복실산 성분의 조성은 다음과 같다.
a) 0 내지 80 몰% 푸마르산
b) 80 내지 0 몰% 말레산 (무수물)
[a) 및 b)의 합은 20 몰% 이상]
c) 5 내지 40 몰% 트리멜리트산 무수물
d) 5 내지 75 몰% 추가적인 카르복실산 성분
[c) 및 d)의 합은 20 몰% 이상이며 a) 내지 d)의 합은 lOO 몰%].
바람직한 실시양태 3에서, 본 발명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는 50%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l00%의 이성질 화합물 3,8-비스(히드록시메틸)트리시클로[5.2.1.02,6]데칸, 4,8-비스(히드록시메틸)트리시클로[5.2.1.02,6]데칸 및 5,8-비스-(히드록시메틸)트리시클로[5.2.1.02,6]데칸의 디시돌 혼합물을 갖는 알콜 성분 및 푸마르산 및/또는 말레산 (무수물) 및, 성분 III으로서,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및/또는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HDI) 및/또는 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시클로헥실)메탄 (H12MDI) 및/또는 1,6-디이소시아네이토-2,4,4-트리메틸헥산 또는 1,6-디이소시아네이토-2,2,4-트리메틸헥산 (TMDI), 및 2,2-디메틸올-프로피온산으로 구성된다.
추가적으로 바람직한 실시양태 4에서, 폴리에스테르는 3에서와 같이 상기 언급한 시작 성분을 함유하지만, 이에 더하여 아디프산, 도데칸이산 및/또는 프탈산 (무수물) 중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실산을 추가적으로 함유하고, 추가적인 카르복실산에 대한 α,β-불포화 산의 비율은 2 : 1 내지 1 : 4로 변화할 수 있다. 대략 1 : 1 내지 1 : 2의 비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는 또한 억제제, 유기 용매, 물, 계면활성제, 산소 제거제 및/또는 유리-라디칼 제거제, 촉매, 광안정제, 색 광택제, 감광제 및 광개시제, 유변학적 특성에 영향을 주기 위한 첨가제, 예컨대 틱소트로픽제 및/또는 증점제, 유량 조절제, 피막 방지제, 소포제, 대전 방지제, 윤활제, 습윤제, 분산제, 중화제, 예를 들어 살진균제 및/또는 살생물제를 포함하는 작용제와 같은 방부제, 열가소성 첨가제, 가소제, 소광제, 내연제, 내부 이형제, 충전제, 염료, 안료 및/또는 분사제 중에서 선택되는 보조제 및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는 단일-단계 또는 다단계 방법으로 시작 산 및 시작 알콜의 (반)연속식 또는 배치식 에스테르화를 통하여, 필요한 경우, 성분 III과 함께 반응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는 적합한 중화제로 중화되어, 물에 희석되는 폴리에스테르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는 경우에 따라, 예를 들어,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 등과 같은 적합한 보조 용매를 사용하여 물에 분산될 수 있다. 사용되는 보조 용매는, 필요한 경우, 생성된 분산액으로 부터 증류에 의하여 최종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무정형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수성 분산액이 다음의 실시예에서 더욱 자세히 설명되지만, 이는 본 발명의 적용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대략적인 이성질체 비율이 1 : 1: 1인 시작 성분 디시돌 혼합물
실시예 폴리에스테르 1
1.1 몰의 아디프산을 3.4 몰의 디시돌과 210oC의 질소 분위기 하에서 산가가 5 mg KOH/g 미만이 될 때까지 반응시켰다. 이 후 1.1 몰의 푸마르산 및 0.02%의 히드로퀴논을 첨가하였다.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산가가 5 mg KOH/g 미만이 될 때까지 20 mbar의 감압을 가하였다. 제조된 1300 g의 폴리에스테르를 150 g의 트리멜리트산 무수물에 부가혼합하고, 혼합물을 200oC에서 1.5시간 동안 산가가 약 30 mg KOH/g이 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특성:
Mn: 2500 g/mol, Mw: 12000 g/mol, 산가: 31 mg KOH/g, 히드록실가: 66 mg KOH/g, Tg: 35oC.
실시예 폴리에스테르 2
2.22 몰의 디시돌, 2.15 몰의 헥산디올 및 1.65 몰의 아디프산을 210oC의 질소 분위기 하에서 산가가 약 5 mg KOH/g이 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이 후 1.65 몰의 말레산 무수물 및 0.1%의 히드로퀴논을 첨가하고 산가가 1 mg KOH/g 미만이 될 때까지 상태를 유지하면서, 축합의 종료 시점에 20 mbar의 감압을 가하였다. 그 후 0.5 몰의 트리멜리트산 무수물을 첨가하고 산가가 대략 30 mg KOH/g이 될 때까지 상태를 유지하였다.
특성:
Mn: 2000 g/mol, 산가: 27 mg KOH/g, 히드록실가: 55 mg KOH/g, Tg: -9oC.
수성 분산액 I의 제조 실시예
실시예 1의 폴리에스테르를 50%로 아세톤에 용해시켰다. 그 후 DMEA를 첨가하였다 (중화도: 1.0). 물을 첨가한 후 아세톤을 증류로 제거하였다. 이를 통해 대략 36%의 고체를 보유하는 저장-안정성 분산액을 얻었다.
특성:
산가: 27 mg KOH/g, 점도D=200: 180 mPas, pH: 7.8, 고체 함량 :36.0%
수성 분산액 II의 제조 실시예
실시예 2의 폴리에스테르를 60%로 아세톤에 용해시켰다. 그 후 DMEA를 첨가하였다 (중화도: 0.7). 물을 첨가한 후 아세톤을 증류로 제거하였다. 이를 통해 대략 37%의 고체를 보유하는 저장-안정성 분산액을 얻었다.
특성:
산가: 25 mg KOH/g, 점도D=200: 155 mPas, pH: 7.5, 고체 함량: 37.5%
수성 분산액 III의 제조 실시예
실시예 2의 폴리에스테르를 약 120oC에서 밀폐 용기 내에서 용융시키고, DMEA와 함께 부가혼합시키고 (중화도: 1.O), 물을 넣고, 격렬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하여 대략 38%의 고체 함량을 갖는 저장-안정성 분산액을 생성하였다.
특성:
산가: 27 mg KOH/g, 점도D=200: 85 mPas, pH: 7.7, 고체 함량: 38.5%
우레탄화 폴리에스테르 A
1.25 몰의 아디프산을 3.675 몰의 디시돌과 최대 210oC의 온도의 질소 분위기 하에서 산가가 5 mg KOH/g 미만이 될 때까지 반응시켰다. 그 후 1.25 몰의 푸마르산 및 0.05 중량%의 히드로퀴논 모노메틸 에테르 (푸마르산을 기재로 함)를 첨가하였다.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20 mbar의 감압을 산가가 5 mg KOH/g 미만이 될 때까지 가하였다. 냉각시킨 후, 폴리에스테르를 60%로 아세톤에 용해시켰다.
1128 g의 이 폴리에스테르 용액을 2 몰의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1 몰의 디메틸올-프로피온산 (아세톤에서 60% 강도 용액)으로 구성되는 431.9 g의 부가물과 환류 온도에서 1.O g의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의 존재 하에 14시간 동안 NCO 함량이 O.1% 미만이 될 때까지 반응시켰다.
특성:
산가: 26.6 mg KOH/g, 고체 함량: 63.5%.
수성 분산액 IV의 제조
상기에서 설명한 우레탄화 폴리에스테르 A를 고체 함량이 50%가 되도록 아세톤으로 희석하고, DMAE와 부가혼합하였다 (중화도: 1.05). 격렬히 교반하면서, 탈 이온수를 첨가하고, 추가로 30분 후에 온화한 감압 하에서 아세톤을 증류로 제거하였다. 이를 통해 대략 27%의 고체를 갖는 저장-안정성, 용매-무함유 분산액을 얻었다.
특성:
점도D=200: 320 mPas, pH: 8.8, 고체 함량: 27.3%.
우레탄화 폴리에스테르 B
1.25 몰의 아디프산을 3.675 몰의 디시돌과 최대 210oC의 질소 분위기 하에서 산가가 5 mg KOH/g 미만이 될 때까지 반응시켰다. 이 후 1.25 몰의 푸마르산 및 0.05 중량%의 히드로퀴논 모노메틸 에테르 (푸마르산을 기재로 함)를 첨가하였다.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20 mbar의 감압을 산가가 5 mg KOH/g 미만이 될 때까지 가하였다. 냉각시킨 후, 폴리에스테르를 60%로 아세톤에 용해시켰다.
1129 g의 이 폴리에스테르 용액을 2 몰의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1 몰의 디메틸올-프로피온산 (아세톤에서 60% 강도 용액)으로 구성되는 431.9 g의 부가물과 환류 온도에서 1.O g의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의 존재 하에 14시간 동안 NCO 함량이 O.1% 미만이 될 때까지 반응시켰다.
특성:
산가: 23.1 mg KOH/g, 고체 함량: 60.8%.
수성 분산액 V의 제조
상기에서 설명한 우레탄화 폴리에스테르 B를 고체 함량이 50%가 되도록 아세 톤으로 희석하고, DMAE와 함께 부가혼합하였다 (중화도: 1.00). 격렬히 교반하면서, 탈이온수를 첨가하고, 추가로 30분 후 온화한 감압 하에서 아세톤을 증류로 제거하였다. 이를 통해 대략 27%의 고체를 갖는 저장-안정성, 용매-무함유 분산액을 얻었다.
특성:
점도D=200: 370 mPas, pH: 8.5, 고체 함량: 27.3%.
적용 실시예 :
리파톤(Lipaton) X 6030 (폴리머 라텍스 (Polymer Latex) GmbH & Co. KG)을 10% 또는 20%의 분산액 I 내지 V와 부가혼합하였다. 혼합물을 100 μm 닥터 블레이드를 사용하여 아연 도금된 강판 위로 흘려보냈다. 실온에서 72시간 동안 저장 후, 크로스-컷 (CC) 시험으로 접착을 측정하였다 (DIN EN ISO 2409).
CC
무첨가 5
분산액 I + 10% 분산액 2
+ 20% 분산액 1-2
분산액 II + 10% 분산액 2
+ 20% 분산액 1-2
분산액 III + 10% 분산액 1-2
+ 20% 분산액 1-2
분산액 IV + 10% 분산액 1
+ 20% 분산액 1
분산액 V + 10% 분산액 1
+ 20% 분산액 1

Claims (36)

  1.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I. 알콜 성분,
    II. 1. 20 내지 100 몰%의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 성분 및
    2. 0 내지 80 몰%의 추가적인 카르복실산 성분 (여기서, II. 1 및 II. 2의 합은 100 몰%이다), 및
    III. I 및 II로부터의 폴리에스테르 1 몰 기준으로 (Mn을 통함) 0 내지 2 몰의, 하나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및/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친수성 또는 잠재적으로 친수성 기 외에, 이소시아네이트기에 반응성인 하나 이상의 작용기를 갖는 화합물과 반응시켜 수득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유리 NCO 기를 갖는 하나 이상의 친수성으로 변형된 이소시아네이트 및/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합성되고,
    상기 알콜 성분 I은 이성질 화합물 3,8-비스(히드록시메틸)트리시클로[5.2.1.02,6]데칸, 4,8-비스(히드록시메틸)트리시클로[5.2.1.02,6]데칸 및 5,8-비스(히드록시메틸)트리시클로[5.2.1.02,6]데칸의 디시돌 혼합물로 구성되고,
    각 이성질체는 혼합물 내에서 20% 내지 40%의 분율로 존재할 수 있고, 3개의 이성질체의 합은 90% 내지 100%이며,
    상기 혼합물은 폴리에스테르의 알콜 성분 내에서 lO 몰% 이상 존재하며,
    하나 이상의 성분 II. 2 및/또는 III이 존재하고,
    수성 분산액은
    a) 20 중량% 내지 60 중량%의 비휘발물 함량을 갖고,
    b) 0 내지 20 중량%의 용매 함량을 갖고,
    c) 5.0 및 9.5 사이의 pH를 갖고,
    d) 20oC에서 20 내지 500 mPas의 점도를 갖는,
    무정형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기재로 하는 수성 분산액의 용도.
  2. 제1항에 있어서, 불포화 무정형 폴리에스테르가 1O% 이하의 추가적인 디시돌의 이성질체 및/또는 시클로펜타디엔의 디엘스-알더 반응 생성물의 삼량체 및/또는 고급 이성질 디올을 포함하는 무정형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기재로 하는 수성 분산액의 용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불포화 무정형 폴리에스테르의 알콜 성분이 추가적으로 직쇄 및/또는 분지쇄, 지방족 및/또는 시클로지방족 및/또는 방향족 디올 및/또는 폴리올을 함유하는 무정형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기재로 하는 수성 분산액의 용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불포화 무정형 폴리에스테르가 추가적인 알콜로서 에틸렌 글리콜, 1,2- 및/또는 1,3-프로판디올, 디에틸렌 글리 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1,2- 및/또는 1,4-부탄디올, 1,3-부틸에틸프로판디올, 1,3-메틸프로판디올, 1,5-펜탄디올, 시클로헥산디메탄올, 글리세롤, 헥산디올, 네오펜틸글리콜, 트리메틸올에탄, 트리메틸올프로판 및/또는 펜타에리트리톨, 비스페놀 A, B, C, F, 노르보르닐렌 글리콜, 1,4-벤질디메탄올 및 -에탄올, 2,4-디메틸-2-에틸헥산-1,3-디올을 함유하는 무정형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기재로 하는 수성 분산액의 용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0% 이상의 불포화 무정형 폴리에스테르의 알콜 성분이 디시돌의 이성질체로 구성되는 무정형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기재로 하는 수성 분산액의 용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50% 이상의 불포화 무정형 폴리에스테르의 알콜 성분이 디시돌의 이성질체로 구성되는 무정형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기재로 하는 수성 분산액의 용도.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90% 이상의 불포화 무정형 폴리에스테르의 알콜 성분이 디시돌의 이성질체로 구성되는 무정형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기재로 하는 수성 분산액의 용도.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00%의 불포화 무정형 폴리에스 테르의 알콜 성분이 디시돌의 이성질체로 구성되는 무정형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기재로 하는 수성 분산액의 용도.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불포화 무정형 폴리에스테르가 α,β-불포화 디카르복실산 (II. 1)으로서 시트라콘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말레산 및/또는 메사콘산, 더욱 바람직하게는 푸마르산 및/또는 말레산 (무수물)을 함유하는 무정형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기재로 하는 수성 분산액의 용도.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불포화 무정형 폴리에스테르의 추가적인 카르복실산 성분 (II. 2)으로서 방향족 및/또는 지방족 및/또는 시클로지방족 모노카르복실산 및/또는 디카르복실산 및/또는 폴리카르복실산, 이들의 무수물 및/또는 알킬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무정형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기재로 하는 수성 분산액의 용도.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불포화 무정형 폴리에스테르가 추가적인 카르복실산 성분 (II. 2)으로서 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1,4-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숙신산, 세박산, 메틸테트라히드로프탈산, 메틸헥사히드로프탈산, 헥사히드로프탈산, 테트라히드로프탈산, 도데칸이산, 아디프산, 아젤라산, 피로멜리트산 및/또는 트리멜리트산, 이들의 산 무수물 및/또는 메틸 에스테르 및 또한 이소노난산 및/또는 2-에틸헥산산, 더욱 바람직하게는 트리멜리트산 (무수물 ), 아디프산, 도데칸이산 및/또는 프탈산 (무수물)을 함유하는 무정형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기재로 하는 수성 분산액의 용도.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불포화 무정형 폴리에스테르의 알콜 성분이 카르복실산 성분에 대하여 0.5 내지 2.0 : 1의 몰비로 존재하는 무정형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기재로 하는 수성 분산액의 용도.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불포화 무정형 폴리에스테르의 알콜 성분이 카르복실산 성분에 대하여 0.8 내지 1.5 : 1의 몰비로 존재하는 무정형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기재로 하는 수성 분산액의 용도.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불포화 무정형 폴리에스테르의 알콜 성분이 카르복실산 성분에 대하여 1.0 내지 1.3 : 1의 몰비로 존재하는 무정형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기재로 하는 수성 분산액의 용도.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가 1 및 200 mg KOH/g 사이, 바람직하게는 1 및 100 사이, 특히 10 및 50 mg KOH/g 사이의 산가를 갖는 무정형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기재로 하는 수성 분산액의 용도.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가 1 및 200 mg KOH/g 사이, 바람직하게는 1 및 100 사이,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및 80 mg KOH/g 사이의 OH 가를 갖는 무정형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기재로 하는 수성 분산액의 용도.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친수성화가 3개 및/또는 그 이상의 작용기를 갖는 카르복실산을 사용하여 수행되는 무정형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기재로 하는 수성 분산액의 용도.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친수성화가 피로멜리트산 및/또는 트리멜리트산, 더욱 바람직하게는 트리멜리트산 무수물을 사용하여 수행되는 무정형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기재로 하는 수성 분산액의 용도.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무정형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가 하나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및/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친수성 또는 잠재적으로 친수성 기 외에, 이소시아네이트기에 반응성인 하나 이상의 작용기를 갖는 화합물과 반응시켜 수득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유리 NCO 기를 갖는 친수성으로 변형된 이소시아네이트 및/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하여 친수성화되는, 무정형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기재로 하는 수성 분산액의 용도.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친수성으로 변형된 디이소시아 네이트가 방향족, 지방족 및/또는 시클로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무정형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기재로 하는 수성 분산액의 용도.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및/또는 1,6-디이소시아네이토-2,4,4-트리메틸헥산 또는 1,6-디이소시아네이토-2,2,4-트리메틸헥산 (TMDI) 및/또는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또는 4,4'-메틸렌-비스(시클로헥실 디이소시아네이트)가,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로서, 디이소시아네이트로 사용되는 무정형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기재로 하는 수성 분산액의 용도.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친수성으로 변형된 디이소시아네이트가 3차 아미노 알콜, 아미노 카르복실산 및/또는 비스히드록시알킬카르복실산과 같은 히드록시카르복실산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무정형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기재로 하는 수성 분산액의 용도.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친수성으로 변형된 디이소시아네이트가 2,2-디메틸올아세트산, 2,2-디메틸올프로피온산, 2,2-디메틸올부티르산, 2,2-디메틸올펜탄산, 디히드록시숙신산, 1,1,1-트리메틸올아세트산, 히드록시피발산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무정형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기재로 하는 수성 분산액의 용도.
  24.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조제 및 첨가제가 포함되는 무정형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기재로 하는 수성 분산액의 용도.
  25.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억제제, 유기 용매, 물, 계면활성제, 산소 제거제 및/또는 유리-라디칼 제거제, 촉매, 광안정제, 색 광택제, 감광제 및 광개시제, 유변학적 특성에 영향을 주는 첨가제, 예컨대 틱소트로픽제 및/또는 증점제, 유량 조절제, 피막 방지제, 소포제, 대전 방지제, 윤활제, 습윤제, 분산제, 중화제, 예를 들어, 살진균제 및/또는 살생물제를 포함하는 작용제와 같은 방부제, 열가소성 첨가제, 가소제, 소광제, 내연제, 내부 이형제, 충전제, 염료, 안료 및/또는 분사제 중에서 선택되는 보조제 및 첨가제가 포함되는 무정형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기재로 하는 수성 분산액의 용도.
  26.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불포화 무정형 폴리에스테르의 알콜 성분이 50% 이상의 제1항 및 제2항에서 설명한 디시돌 혼합물로 구성되고 푸마르산 및/또는 말레산 (무수물) 및 트리멜리트산 무수물 또는 디메틸올프로피온산 및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및/또는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및/또는 4,4'-메틸렌비스(시클로헥실 디이소시아네이트)가 포함되는 무정형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기재로 하는 수성 분산액의 용도.
  27. 제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디프산, 도데칸이산 및/또는 프탈산 (무수물)이 추가적으로 불포화 무정형 폴리에스테르에 카르복실산 성분으로 포함되고 추가적인 카르복실산에 대한 α,β-불포화 산의 비율이 3 : 1 내지 1 : 4, 바람직하게는 1 : 1 내지 1 : 2인 무정형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기재로 하는 수성 분산액의 용도.
  28. 제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불포화 무정형 폴리에스테르의 적어도 일부의 산기가 중화된 무정형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기재로 하는 수성 분산액의 용도.
  29. 제1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민 및/또는 무기 히드록시드 용액이 중화에 사용되는 무정형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기재로 하는 수성 분산액의 용도.
  30. 제1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화도가 0.3 및 1.1 사이, 바람직하게는 0.4 및 1.1 사이,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및 1.05 사이인 무정형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기재로 하는 수성 분산액의 용도.
  31. 제1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팅 물질, 접착제, 인쇄용 잉크를 비롯한 잉크, 겔 코팅, 광택제, 착색제, 안료 페이스트, 충전 화합물, 화장 품, 밀폐제 및/또는 절연체에서 주요, 기본 또는 추가 성분으로서의 무정형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기재로 하는 수성 분산액의 용도.
  32. 제1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충전 화합물, 프라이머, 서페이서, 베이스코트, 톱코트 및 클리어코트 물질에서 주요, 기본 또는 추가 성분으로서의 무정형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기재로 하는 수성 분산액의 용도.
  33. 제1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금속, 플라스틱, 목재, 보드, 종이, 텍스타일, 가죽, 무기 기판 및/또는 유리의 보호 및/또는 가공을 위한 무정형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기재로 하는 수성 분산액의 용도.
  34. 제1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적인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올리고머 및/또는 고분자를 포함하는, 방사선-경화 코팅 물질, 접착제, 인쇄용 잉크를 비롯한 잉크, 겔 코팅, 광택제, 착색제, 안료 페이스트, 충전 화합물, 화장품, 밀폐제 및/또는 절연체에서 주요, 기본 또는 추가 성분으로서의 무정형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기재로 하는 수성 분산액의 용도.
  35. 제1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알키드 수지, 셀룰로스 에테르, 셀룰로스 유도체, 폴리비닐 알콜 및 유도체, 고무, 말레에이트 수지, 페놀-/우레아-알데히드 수지, 아미 노 수지 (예를 들어, 멜라민 수지, 벤조구아나민 수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수지, 규산 에스테르 및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 (예를 들어, 물유리), 천연 수지, 실리콘 오일 및 실리콘 수지, 아민 수지 및/또는 불소-함유 고분자 및 이들의 유도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단독으로 또는 조합되어 선택되는 추가적인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올리고머 및/또는 고분자가 포함되는, 방사선-경화 코팅 물질, 접착제, 인쇄용 잉크를 비롯한 잉크, 겔 코팅, 광택제, 착색제, 안료 페이스트, 충전 화합물, 화장품, 밀폐제 및/또는 절연체에서 주요, 기본 또는 추가 성분으로서의 무정형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기재로 하는 수성 분산액의 용도.
  36. 제1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설명한 조성물로 제조된 코팅된 용품.
KR1020077009518A 2004-10-26 2005-09-02 특정 디시돌 이성질체 기재 불포화 무정형 폴리에스테르를기재로 하는 수성 분산액의 용도 KR2007008382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51861A DE102004051861A1 (de) 2004-10-26 2004-10-26 Verwendung einer wässrigen Dispersion auf Basis eines ungesättigten, amorphen Polyesters auf Basis bestimmter Dicidolisomerer
DE102004051861.0 2004-10-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3821A true KR20070083821A (ko) 2007-08-24

Family

ID=35134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9518A KR20070083821A (ko) 2004-10-26 2005-09-02 특정 디시돌 이성질체 기재 불포화 무정형 폴리에스테르를기재로 하는 수성 분산액의 용도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090227732A1 (ko)
EP (1) EP1805245A1 (ko)
JP (1) JP2008518066A (ko)
KR (1) KR20070083821A (ko)
CN (1) CN1878819A (ko)
AU (1) AU2005298812A1 (ko)
BR (1) BRPI0518201A (ko)
CA (1) CA2585328A1 (ko)
DE (1) DE102004051861A1 (ko)
TN (1) TNSN07160A1 (ko)
WO (1) WO20060456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16071A (ja) * 2004-10-13 2008-05-15 クナーフ インシュレーション ゲーエムベーハー ポリエステル結合性組成物
CN102766423B (zh) 2005-07-26 2015-10-28 可耐福保温材料有限公司 粘结剂和由其制备的材料
WO2008089847A1 (en) 2007-01-25 2008-07-31 Knauf Insulation Limited Composite wood board
CN101668713B (zh) 2007-01-25 2012-11-07 可耐福保温材料有限公司 矿物纤维板
PT2108006T (pt) 2007-01-25 2020-12-21 Knauf Insulation Gmbh Ligantes e materiais feitos com os mesmos
EP2137223B1 (en) 2007-04-13 2019-02-27 Knauf Insulation GmbH Composite maillard-resole binders
GB0715100D0 (en) 2007-08-03 2007-09-12 Knauf Insulation Ltd Binders
US9144796B1 (en) 2009-04-01 2015-09-29 Johnson Matthey Public Limited Company Method of applying washcoat to monolithic substrate
WO2011015946A2 (en) 2009-08-07 2011-02-10 Knauf Insulation Molasses binder
LT2566904T (lt) 2010-05-07 2021-10-25 Knauf Insulation Angliavandeniai poliamido rišikliai ir iš jų pagamintos medžiagos
WO2011138459A1 (en) 2010-05-07 2011-11-10 Knauf Insulation Carbohydrate binders and materials made therewith
WO2011154368A1 (en) 2010-06-07 2011-12-15 Knauf Insulation Fiber products having temperature control additives
WO2012152731A1 (en) 2011-05-07 2012-11-15 Knauf Insulation Liquid high solids binder composition
GB201206193D0 (en) 2012-04-05 2012-05-23 Knauf Insulation Ltd Binders and associated products
GB201214734D0 (en) 2012-08-17 2012-10-03 Knauf Insulation Ltd Wood board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ES2921601T3 (es) 2012-12-05 2022-08-30 Knauf Insulation Sprl Aglutinante
CN103724230B (zh) * 2013-12-30 2015-07-15 济南大学 一种异氰酸酯的制备方法和应用
MX2016010192A (es) 2014-02-07 2017-01-09 Knauf Insulation Inc Articulos no curados con estabilidad en almacen mejorada.
GB201408909D0 (en) 2014-05-20 2014-07-02 Knauf Insulation Ltd Binders
GB201517867D0 (en) 2015-10-09 2015-11-25 Knauf Insulation Ltd Wood particle boards
CN105255232A (zh) * 2015-11-20 2016-01-20 苏州菲斯特电力科技有限公司 新型静止无功发生器
KR101831877B1 (ko) 2016-04-29 2018-02-26 주식회사 휴비스 바인더용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섬유
EP3243863A1 (de) 2016-05-09 2017-11-15 Evonik Degussa GmbH Verwendung von block-copolymeren in klebstoffen
GB201610063D0 (en) 2016-06-09 2016-07-27 Knauf Insulation Ltd Binders
GB201701569D0 (en) 2017-01-31 2017-03-15 Knauf Insulation Ltd Improved binder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CN108329184B (zh) * 2018-02-06 2020-07-07 中国工程物理研究院化工材料研究所 一种带自修复功能的高聚物粘结炸药及其制备方法
GB201804908D0 (en) 2018-03-27 2018-05-09 Knauf Insulation Ltd Binder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GB201804907D0 (en) 2018-03-27 2018-05-09 Knauf Insulation Ltd Composite products
CN109575232B (zh) * 2018-12-10 2021-08-31 陕西科技大学 一种高抗张强度的无溶剂型水性聚氨酯及其制备方法
CN110527063A (zh) * 2019-07-09 2019-12-03 华伦纳路新材料有限公司 双环戊二烯聚氨酯改性水性醇酸树脂及其制备方法
CN111748074A (zh) * 2020-06-19 2020-10-09 广州木森态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聚氨酯及其制备方法和胶合板胶粘剂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22504A (en) * 1975-09-18 1982-03-30 Hoechst Aktiengesellschaft Resin binders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m
DE3935495A1 (de) * 1989-10-25 1991-05-02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ungesaettigten, urethanisierten polyesterharzen, die nach diesem verfahren erhaeltlichen polyesterharze und ihre verwendung als oder zur herstellung von beschichtungsmittel(n)
JP4535555B2 (ja) * 2000-03-27 2010-09-01 ブリヂストン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ボール用水系塗料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ゴルフボール
DE10212706A1 (de) * 2002-03-21 2003-10-02 Degussa Ungesättigte, amorphe Polyester auf Basis bestimmter Dicidolisomerer
DE10242265A1 (de) * 2002-09-12 2004-03-25 Degussa Ag Haftungsverbessernder Zusatz aus einem ungesättigten, amorphen Polyester
DE10261006A1 (de) * 2002-12-24 2004-07-08 Degussa Ag Dispersionen amorpher, ungesättigter Polyesterharze auf Basis bestimmter Dicidolisomerer
DE10261005A1 (de) * 2002-12-24 2004-07-08 Degussa Ag Dispersionen amorpher, urethanisierter ungesättigter Polyesterharze auf Basis bestimmter Dicidolisomer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4051861A1 (de) 2006-04-27
CN1878819A (zh) 2006-12-13
WO2006045661A1 (de) 2006-05-04
BRPI0518201A (pt) 2008-11-04
TNSN07160A1 (en) 2008-11-21
AU2005298812A1 (en) 2006-05-04
JP2008518066A (ja) 2008-05-29
CA2585328A1 (en) 2006-05-04
US20090227732A1 (en) 2009-09-10
EP1805245A1 (de) 2007-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83821A (ko) 특정 디시돌 이성질체 기재 불포화 무정형 폴리에스테르를기재로 하는 수성 분산액의 용도
US20080039593A1 (en) Aqueous, Unsaturated, Amorphous Polyesters that are Modified so as to be Radiation Curable
US7135522B2 (en) Dispersions of amorphous urethanized unsaturated polyester resins based on particular dicidol isomers
US7759424B2 (en) Radiation curable modified, unsaturated, amorphous polyesters
KR101478358B1 (ko)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기재의 uv-경화성 분산액
US6815501B2 (en) Dual cure coating compositions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multilayer coatings
DE19715382C1 (de) Wasserdispergierte, strahlenhärtbare Polyurethane
CN107001570B (zh) 基于链增长和交联的聚氨酯的可辐射固化的涂料组合物
WO2001060870A1 (en) No voc radiation curable resin compositions
US11124671B2 (en) Aqueous coating composition
KR101326338B1 (ko) 우레탄기를 함유하는 수성 히드록시-관능성 폴리에스테르분산액
KR101441148B1 (ko)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우레탄 예비중합체 및 이의 적용
EP3105271B1 (en) Polyurethane dispersions
WO2006045662A1 (de) Dispersionen sulfonsäuregruppenhaltiger, ungesättigter und amorpher polyester auf basis bestimmter dicidolisomerer
CA3030296C (en) Aqueous based polyurethane/acrylate hybrid dispersions
KR101106451B1 (ko) 블로킹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EP2900721B1 (en) Urethane alkyd comprising strong acidic group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