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3817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3817A
KR20070083817A KR1020077009510A KR20077009510A KR20070083817A KR 20070083817 A KR20070083817 A KR 20070083817A KR 1020077009510 A KR1020077009510 A KR 1020077009510A KR 20077009510 A KR20077009510 A KR 20077009510A KR 20070083817 A KR20070083817 A KR 200700838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image
driver
unit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9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지 와타나베
가츠히로 야스다
에이지 미야자와
노부아키 가지모토
겐이치 고우지모토
기요시 하마타니
도모노리 다케우치
다카코 후쿠다
요시히데 오오타니
Original Assignee
후지쓰 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6257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195417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6375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190245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76773A external-priority patent/JP4377365B2/ja
Application filed by 후지쓰 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쓰 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83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38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vehicle types or users, e.g. for left- or right-hand drive
    • B60K35/654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vehicle types or users, e.g. for left- or right-hand drive the user being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vehicle types or users, e.g. for left- or right-hand drive
    • B60K35/656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vehicle types or users, e.g. for left- or right-hand drive the user being a passeng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06F3/042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by interrupting or reflecting a light beam, e.g. optical touch-scre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G09G3/0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to produce spatial visual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60R11/0235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of flat type, e.g. LC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2011/028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he use of several passengers, e.g. simultaneous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1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parallax b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24Colour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1Reproducing mixed stereoscopic images; Reproducing mixed monoscopic and stereoscopic images, e.g. a stereoscopic image overlay window on a monoscopic image backgrou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98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운전자로부터는 보이고, 조수석 탑승자로부터는 보이지 않는 운전석용 영상과, 조수석 탑승자로부터는 보이고, 운전자로부터는 보이지 않는 조수석용 영상이 동일 화면 상에 표시되어 있다고 해도, 사용자가 원하는 적절한 조작 제어를 실현하는 것이다.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표시 화면 상에서의 조작 영역, 및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표시 화면 상에서의 조작 영역이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조작 스위치(42DR∼47DR, 42PA∼47PA)로의 조작이, 운전석 방향으로부터인지, 조수석 방향으로부터인지를 판단하고, 그 방향으로부터 보이는 영상에 대한 조작 제어를 행하는 수단을 장비(裝備)한다.
표시 제어부, 표시부, 제 1 표시 화상, 제 2 표시 화상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동일 화면 상에 복수의 관찰자(이용자) 각각에 대하여, 독립된 상이한 정보를 실질적으로 동시에 제공하기 위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 주행 중에는 운전자가 텔레비전이나 영화 등을 주시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고, 현재의 표시 장치는 차량 주행 중에는 텔레비전이나 영화 등을 표시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운전자 이외의 탑승자(예를 들어 운전자 이웃의 조수석 탑승자)는 텔레비전이나 영화를 보는 것이 금지되어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차량 주행 중에는 텔레비전이나 영화를 볼 수 없다.
한편, 최근, 차량에 탑재되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운전자에 대한 표시 내용과, 운전자 이외의 탑승자에 대한 표시 내용을 상이하게 하는 기술에 대해서 다양한 제안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하기의 특허문헌 1에는, 도 5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투명 커버(301)에 차광띠(302, 303)를 설치하여, 운전석용 영상(GDR)을 표시하는 띠 형상 표시부(304)로부터 출사(出射)된 광은 운전자(DR)의 눈에 입사되지만, 조수석용 영상(GPA)을 표시하는 띠 형상 표시부(305)로부터 출사된 광은 운전 자(DR)의 눈에 입사되지 않도록 하고, 한편 조수석용 영상(GPA)을 표시하는 띠 형상 표시부(305)로부터 출사된 광은 조수석 탑승자(PA)의 눈에 입사되지만, 운전석용 영상(GDR)을 표시하는 띠 형상 표시부(304)로부터 출사된 광은 조수석 탑승자(PA)의 눈에 입사되지 않도록 한 기술에 대해서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하기의 특허문헌 2, 3에도, 1대의 액정 디스플레이(LCD)에서 2개의 영상을 동시에 표시하고, 운전석과 조수석으로부터 각각 상이한 영상을 볼 수 있는 표시 장치에 대해서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하기의 특허문헌 4, 5에는, 2종류의 영상을 동시에 동일 화면 상에 표시하는 2화면 표시 장치에 대해서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을 채용함으로써, 도 5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비게이션 장치에 의한 지도 영상(307)을 운전자(DR)로부터는 보이도록(조수석 탑승자(PA)로부터는 보이지 않도록) 표시 장치(306)에 표시하고, DVD 영상(308)을 조수석 탑승자(PA)로부터는 보이도록(운전자(DR)로부터는 보이지 않도록) 표시 장치(306)에 표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차량 주행 중에도, 조수석 탑승자(PA)는 텔레비전이나 영화 등을 볼 수 있다.
그런데, 최근의 표시 장치에서는 터치 패널이 채용되어 있고, 표시 화면 상에 조작 스위치가 작성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운전자에 대한 표시 내용과, 운전자 이외의 탑승자에 대한 표시 내용을 상이하게 한 경우, 도 5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전자에 대한 표시 화상과 운전자 이외의 탑승자에 대한 표시 화상에는 각각의 표시 내용에 대한 조작 스위치(BD1∼BD6, BA1∼BA6)가 표시되는 것이 생각된다.
조작 스위치(BD1∼BD6)는 운전자만이 볼 수 있고, 조작 스위치(BA1∼BA6)는 조수석 탑승자만이 볼 수 있도록 되어 있지만, 도 6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스위치(BD1∼BD6)는 조작 스위치(BA1∼BA6) 각각과 표시 화면 상에서는 조작 영역이 동일한 영역(P1∼P6) 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표시 화면 상에서, 각각의 화상에서 조작 영역이 동일 영역에 조작 스위치를 배치하는 것을 「동일」또는 「중복」이라고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표시 화면 상에서의 영역(P5)이 눌려진 경우, 조작 스위치(BD5) 『상세』가 눌려진 경우에 행하는 제어(지도 영상을 상세한 표시로 하는 제어)를 실시해야 하는지, 조작 스위치(BA5) 『정지』가 눌려진 경우에 행하는 제어(DVD 영상의 재생을 정지하는 제어)를 실시해야 하는지를 적절히 판단할 필요가 있다. 환언하면, 이 판단을 적절히 할 수 없으면, 사용자가 원하는 적절한 조작 제어가 실시되지 않게 된다.
또한, 특허문헌 6 및 7은 입체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해, 시야 방향을 제한하기 위한 배리어(barrier)에 대해서 개시하고 있다.
안전성의 관점에서, 일본 국내에서는 차량 주행 중에 운전자가 텔레비전이나 영화 등을 주시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기 때문에, 현재의 차량 탑재용 표시 장치에서는 텔레비전이나 영화와 같이 운전자가 주시하는 표시 화상은 차량 주행 중에는 표시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운전자 이외의 탑승자, 예를 들어 운전자 이웃의 조수석의 탑승자는 텔레비전이나 영화 등을 보는 것이 금지되어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차량 주행 중에는 텔레비전이나 영화를 볼 수 없다.
한편, 차량 탑재용 표시 장치에 있어서, 운전자에 대한 표시 내용과, 운전자 이외의 탑승자에 대한 표시 내용을 상이하게 하는 기술이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3에는, 도 7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체(體)(146)의 표리(表裏) 양면에 차광띠(142, 144)를 설치한 시차(視差) 배리어(26')를 액정 패널(21)의 전면(前面) 측에 배치하고, 액정 패널(21)에서 1개 간격으로 설정되는 우측(운전석 측) 표시용 화소(110)에 운전자용 표시 화상을 표시하고, 우측(운전석 측) 표시용 화소(110) 사이에 배치되는 좌측(조수석 측) 표시용 화소(109)에 조수석용 표시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표시 장치에서는 차광띠(142, 144)를 설치함으로써, 운전석용 표시 화상을 표시하는 우측(운전석 측) 표시용 화소(110)로부터 출사된 광은 운전자(11)의 눈에 입사되지만, 조수석용 표시 화상을 표시하는 좌측(조수석 측) 표시용 화소(109)로부터 출사된 광은 운전자(11)의 눈에 입사되지 않도록 하고, 한편 조수석용 표시 화상을 표시하는 좌측(조수석 측) 표시용 화소(109)로부터 출사된 광은 조수석 탑승자(8)에게 입사되지만, 운전석용 표시 화상을 표시하는 우측(운전석 측) 표시용 화소(110)로부터 출사된 광은 조수석 탑승자(8)에게 입사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표시 장치를 차량 탑재용 표시 장치에 채용함으로써, 도 7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비게이션 장치에 의한 지도 표시 화상(5)을 운전자(11)로부터는 보이지만 조수석 탑승자(8)로부터는 보이지 않도록 표시하고, DVD 플레이어에 의한 DVD 표시 화상(8)을 조수석 탑승자(8)로부터는 보이지만 운전자(11)로부터는 보이지 않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차량 주행 중에도 조수석 탑승자(8)는 텔레비전이나 영화 등을 볼 수 있다.
또한, 나중에 상세히 설명하지만, 표시 화면 상에서, 각각의 화상에서 조작 영역이 동일 영역에 조작 스위치를 배치하는 것을 「동일」또는 「중복」이라고 하는 것에 대해, 도 12에 나타낸 해제 스위치(41DR, 41PA)와 같이, 표시 화면 상에서, 각각의 화상에서 조작 영역이 상이한 위치에 조작 스위치를 배치하는 것을 「중복되지 않음」이라고 한다.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2003-137005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공개특허평6-186526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국 공개특허2000-137443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국 공개특허평11-331876호 공보
특허문헌 5: 일본국 공개특허평9-46622호 공보
특허문헌 6: 일본국 공개특허평10-123461호 공보
특허문헌 7: 일본국 공개특허평11-84131호 공보
본 발명은, 복수의 시(視) 방향에 대하여, 각각 개별의 정보가 동일 화면 상에 표시되어 있어도, 예를 들어 운전자가 존재하는 방향으로부터는 보이고, 조수석 탑승자가 존재하는 방향으로부터는 보이지 않는 운전석용 영상과, 조수석 탑승자가 존재하는 방향으로부터는 보이고, 운전자가 존재하는 방향으로부터는 보이지 않는 조수석용 영상이 동일 화면 상에 표시되어 있어도, 사용자가 원하는 적절한 조작 제어가 실시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특히 차량에 탑재되는 표시 장치에서는 화상을 관찰·시인하면서 다양한 입력(조작)을 행하고, 또한 새로운 정보를 얻으려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운전석 측과 조수석 측에서 각각 상이한 화상을 표시한 경우 등에, 표시부에 표시한 조작 버튼 화상을 사용하여 각각의 좌석 측으로부터 어떻게 조작을 행할지에 대한 명확한 지표는 표시되지 않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복수의 화상을 동시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 표시 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화상을 시인(視認)하는 개별 조작자로부터의 입력(조작)을 적절히 행하는 것이 가능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차량 탑재용 표시 장치에서는, 입력 수단으로서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에 겹쳐서 배치되는 터치 패널과 함께, 표시 장치와 무선 접속되는 원격 조작 장치(통칭: 리모컨)가 채용되는 경우가 있다. 터치 패널을 사용할 경우,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에 조작 스위치가 표시되고, 사용자가 터치 패널 상의 조작 스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을 누름으로써 조작 스위치의 입력이 행해진다. 따라서, 운전자에 대한 표시 내용과, 운전자 이외의 탑승자에 대한 표시 내용을 상이하게 한 경우, 표시 화면 상에는 각각의 표시 내용에 대한 조작 스위치가 동일 장소에 표시되는 것이 생각된다.
예를 들어 운전자에 대한 표시 내용이 내비게이션 장치의 조작 입력 화면이고, 운전자 이외의 탑승자에 대한 표시 내용이 DVD 플레이어의 조작 입력 화면인 경우, 동일 장소에 표시되고 있는 조작 스위치가 운전자에게는 내비게이션 장치를 위한 조작 스위치로 되고, 운전자 이외의 탑승자에게는 DVD 플레이어를 위한 조작 스위치로 되는 것이 생각된다. 이 경우, 터치 패널 상에서 조작 스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이 눌려졌을 때, 어느 쪽의 표시 내용에 대한 조작 스위치로서 눌려졌는지, 즉 내비게이션 장치를 위한 조작 스위치에 대한 제어를 행하는 것인지, DVD 플레이어를 위한 조작 스위치에 대한 제어를 행하는 것인지를 적절히 판단할 필요가 있다.
또한, 리모컨을 사용할 경우에도, 리모컨에 의한 조작 스위치의 입력이 운전자에 대한 표시 내용에 대응하는 입력인지, 운전자 이외의 탑승자에 대한 표시 내용에 대응하는 입력인지를 적절히 판단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복수의 시 방향에 대한 개별의 표시 화상을 표시부의 동일 화면 상에 표시하고 있는 상황 하에서, 관찰자가 원하는 적절한 조작을 행할 수 있는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한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1)는, 복수의 시 방향에 대하여, 각각 개별의 정보를 동일 화면 상에 표시하는 표시부와,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조작 입력부와, 상기 조작 입력이 상기 개별적으로 표시된 정보 중 어떤 정보에 대응하는 것인지를 판단하는 입력 방향 판단부와, 상기 입력 방향 판단부에 의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명에 의하면, 예를 들어 조작 입력이 운전석 측을 위해 이루어진 것인지, 조수석 측을 위해 이루어진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그 후의 처리 및 또는 제어를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2)는, 복수의 시 방향에 대하여, 각각 개별의 정보를 동일 화면 상에 표시하는 표시부와,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조작 입력부와, 상기 조작 입력이 상기 개별적으로 표시된 정보 중 어떤 정보에 대응하는 것인지를 판단하는 입력 방향 판단부와, 상기 입력 방향 판단부에 의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정보를 한정하는 한정 처리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표시 장치(2)에 의하면, 어떤 특정한 시 방향에 대하여 표시되고 있는 정보(예를 들어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표시 화면 상에서의 조작 영역, 및 상기 어떤 특정한 시 방향과는 다른 시 방향에 대하여 표시되고 있는 다른 정보(예를 들어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표시 화면 상에서의 조작 영역이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조작 스위치(예를 들어 도 12에 나타낸 조작 스위치(42DR, 42PA)와 같이, 동일 영역(E3) 내에 배치된 조작 스위치)로의 조작 입력이, 상기 어떤 특정한 시 방향(예를 들어 운전자(DR)가 존재하는 방향)에 대하여 표시된 정보에 대응하는 것인지, 상기 다른 시 방향(예를 들어 조수석 탑승자(PA)가 존재하는 방향)에 대하여 표시된 정보에 대응하는 것인지가 판단되고, 그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정보가 한정된다.
예를 들어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표시 화면 상에서의 조작 영역, 및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표시 화면 상에서의 조작 영역이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조작 스위치가 운전자(DR)가 존재하는 방향으로부터 조작된 경우,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만이 유효로 되고,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은 무효로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적절한 조작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표시 화면 상에서의 조작 영역, 및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표시 화면 상에서의 조작 영역이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조작 스위치로의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도, 사용자가 원하는 조작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환언하면, 도 12에 나타낸 조작 스위치(42DR, 42PA)와 같이, 동일 영역(E3) 내에 상이한 성질의 조작 스위치를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표시 화면 상을 더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어떤 특정한 시 방향에 대하여 표시되고 있는 영상(예를 들어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표시 화면 상에서의 조작 영역, 및 상기 어떤 특정한 시 방향과는 다른 시 방향에 대하여 표시되고 있는 영상(예를 들어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표시 화면 상에서의 조작 영역이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조작 스위치로의 조작이 상기 어떤 특정한 시 방향(예를 들어 운전자(DR)가 존재하는 방향)에 대하여 표시된 정보에 대응하는 것인지, 상기 다른 시 방향(예를 들어 조수석 탑승자(PA)가 존재하는 방향)에 대하여 표시된 정보에 대응하는 것인지를 판단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의 a∼e를 들 수 있다.
a) 터치 패널로의 접근물(손가락)이 접근해 오는 방향으로부터 판단.
i) 터치 패널의 종방향으로 적외선을 방사(放射)하고, 상기 적외선이 차단된 개소(箇所)로부터 좌우 중 어느 쪽으로부터 접근물이 접근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
b) 조작 형태의 차이로부터 판단.
i) 가압력의 차이로부터 판단한다.
ii) 누르는 시간의 차이로부터 판단한다.
iii) 누르는 회수(클릭 수)의 차이로부터 판단한다.
c) 운전자(DR), 조수석 탑승자(PA) 각각에 상이한 물건(장치)을 갖게 하여, 상기 물건(장치)으로부터 판단.
i) 발신 주파수나 발신하는 코드 등이 상이한 발신기를 양자(兩者)의 손가락에 부착하여, 그 차이로부터 판단한다.
ii) 화상에 의해 식별할 수 있는 물건(색이 상이한 반지)을 손가락에 부착하여, 그 차이로부터 판단한다.
d) 생태 인식(지문 등).
e) 그 장소에 사람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로부터 판단.
i) 조수석 탑승자(PA)가 없을 경우, 운전석 방향으로부터의 조작이라고 판단하고, 한편 운전자(DR)가 없을 경우, 조수석 방향으로부터의 조작이라고 판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3)는, 복수의 시 방향에 대하여, 각각 개별의 정보를 동일 화면 상에 표시하는 표시부와, 제 1 영역 내에 배치되고, 상기 개별적으로 표시된 정보 중 제 1 정보에 대응하는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제 1 조작 입력부와, 상기 제 1 영역과는 중복되지 않는 제 2 영역 내에 배치되고, 상기 개별적으로 표시된 정보 중 제 2 정보에 대응하는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제 2 조작 입력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표시 장치(3)에 의하면, 상기 제 1 정보(예를 들어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응하는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상기 제 1 조작 입력부는, 상기 제 1 영역(예를 들어 터치 패널의 상측)에 배치되고, 한편 상기 제 2 정보(예를 들어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응하는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상기 제 2 조작 입력부는, 상기 제 1 영역과는 중복되지 않는 상기 제 2 영역(예를 들어 터치 패널의 하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조작 입력이 운전석 방향으로부터 된 것인지, 조수석 방향으로부터 된 것인지와 같이, 조작 입력이 어떤 방향으로부터의 것인지를 판단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비용의 저하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우측 핸들 차량의 경우, 터치 패널의 우측에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응하는 조작 입력만을 접수하는 조작 스위치를 배치하고, 터치 패널의 좌측에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응하는 조작 입력만을 접수하는 조작 스위치를 배치하면, 매우 조작하기 쉬운 배치로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4)는, 상기 표시 장치(3)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작 입력부 및 상기 제 2 조작 입력부는 터치 패널로서,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제 1 영역에 근접하고 있고, 상기 화면 상에서의 상기 제 2 조작 입력부의 배치가 상기 화면 상에서의 상기 제 1 조작 입력부의 배치와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표시 장치(4)에 의하면, 상기 제 1 조작 입력부와 상기 제 2 조작 입력부를 중복되지 않는 영역에 배치했다고 해도(도 38 참조), 각각의 배치는 동일하게 된다(도 37 참조). 따라서, 시 방향이 바뀌어도, 상기 조작 입력부의 배치는 바뀌지 않기 때문에, 사용하기 좋은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5)는, 상기 표시 장치(3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조작 입력이 상기 개별적으로 표시된 정보 중 어떤 정보에 대응하는 것인지를 판단하는 입력 방향 판단부와, 상기 입력 방향 판단부에 의해, 상기 조작 입력이 상기 어떤 특정한 시 방향에 대하여 표시되어 있는 정보에 대응하는 것이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어떤 특정한 시 방향과는 다른 방향에 대하여 표시되어 있는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조작 입력에 따른 조작 제어의 실시를 허가하지 않는 실시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도 12에 나타낸 조작 스위치(42DR, 42PA)와 같이, 동일 영역(E3) 내에 조작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을 경우, 조작에 어떠한 제약을 가미(加味)하지 않으면,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조작 제어가 행해지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각각이 다른 영역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도 33, 도 34 참조), 조작에 제약을 두지 않아도,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조작 제어가 행해지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그러나, 운전자(DR)는 조수석용 영상(GPA)을 볼 수 없고, 또한 조수석 탑승자(PA)는 운전석용 영상(GDR)을 볼 수는 없다. 따라서, 운전자(DR)는 조수석용 영상(GPA) 상에 설치되어 있는 조작 스위치의 장소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없기 때문에, 운전자(DR) 조작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접촉할 생각이어도, 조수석용 영상(GPA) 상에 설치되어 있는 조작 스위치에 접촉하게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응하는 조작 입력만을 접수하는 조작 스위치와,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응하는 조작 입력만을 접수하는 조작 스위치가 각각 중복되지 않는 상이한 영역 내에 설치되어 있어도, 역시 조작에 어떠한 제약을 가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시 장치(5)에 의하면, 상기 조작 입력이 상기 어떤 특정한 시 방향(예를 들어 운전자(DR)가 존재하는 방향)에 대하여 표시되고 있는 정보에 대응하는 것이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어떤 특정한 시 방향과는 다른 방향(예를 들어 조수석 탑승자(PA)가 존재하는 방향)에 대하여 표시되고 있는 정보(예를 들어 DVD 플레이어의 영화 화상)에 대응하는 상기 조작 입력에 따른 조작 제어의 실시는 허가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운전석 방향으로부터,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응하는 조작 입력만을 접수하는 조작 스위치(52DR)(도 33 참조)로의 조작이 행해진 경우, 그 조작은 유효로 되지만,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응하는 조작 입력만을 접수하는 조작 스위치(52PA)로의 조작이 행해진 경우, 그 조작은 무효로 된다. 이것에 의해, 운전석 방향으로부터,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오조작이 행해지는 것을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6)는, 상기 표시 장치(3∼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입력 방향 판단부가 상기 제 1 조작 입력부 및 상기 제 2 조작 입력부 각각으로의 접촉물의 접촉 면적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 입력이 상기 개별적으로 표시된 정보 중 어떤 정보에 대응하는 것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 1 조작 입력부와, 상기 제 2 조작 입력부가 중복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어도, 손가락 등의 접촉물이 양자에 동시에 접촉되게 되는 사태가 생기는 것이 생각된다. 특히, 이들 조작 입력부가 배치되는 영역이 근접하고 있을 경우, 그 가능성은 높다.
상기 표시 장치(6)에 의하면, 이들 조작 입력부 각각으로의 접촉물(예를 들어 손가락)의 접촉 면적(손가락이 접촉된 자국의 면적)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 입력이 상기 개별적으로 표시된 정보 중 어떤 정보에 대응하는 것인지가 판단된다. 예를 들어 2개의 조작 버튼에 걸쳐 접촉된 경우, 접촉 면적이 큰 쪽의 조작 버튼의 조작을 사용자가 원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이에 따라, 복수의 조작 버튼에 걸쳐 접촉되었다고 해도, 적절히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7)는, 상기 표시 장치(2∼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화면과 직교하는 방향에 복수단 설치된, 상기 화면으로의 접근물을 검출하는 검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 방향 판단부가 상기 검출부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 입력이 상기 개별적으로 표시된 정보 중 어떤 정보에 대응하는 것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표시 장치(7)에 의하면, 상기 검출부가 상기 화면과 직교하는 방향에 복수단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상단(上段)에 설치된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한 상기 접근물의 지점과, 하단에 설치된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한 상기 접근물의 지점을 잇는 직선으로부터, 상기 화면에 대한 상기 접근물의 진입 방향을 구할 수 있다.
상기 화면에 대한 상기 접근물의 진입 방향이 구해지면, 상기 조작 입력이 어떤 방향으로부터의 것인지를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검출부로부터 얻어지는 정보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조작 입력이 상기 개별적으로 표시된 정보 중 어떤 정보에 대응하는 것인지의 판단을 정밀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8)는, 상기 표시 장치(2∼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화면에 대해, 어떤 방향으로부터의 접근물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 방향 판단부가 상기 검출부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 입력이 상기 개별적으로 표시된 정보 중 어떤 정보에 대응하는 것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표시 장치(8)에 의하면, 검출 내용은 단순하지만, 상기 조작 입력이 개별적으로 표시된 정보 중 어떤 정보에 대응하는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출부로서는, 접근물(예를 들어 손가락)의 열을 검출하는 감열(感熱) 센서나, 적외선을 발사하고, 손가락으로부터 반사된 적외선을 검출하는 적외선 인감(人感) 센서, 공기압의 변화를 검출하는 공기압 센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9)는, 상기 표시 장치(2∼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화면에 접촉한 손가락의 방향을 산출하는 산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 방향 판단부가 상기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상기 화면에 접촉한 손가락의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 입력이 상기 개별적으로 표시된 정보 중 어떤 정보에 대응하는 것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우측에 착석하고 있는 운전석 측으로부터 상기 화면이 접촉된 경우, 도 5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가락은 좌측 경사 상방을 향하게 된다. 한편, 좌측에 착석하고 있는 조수석 측으로부터 상기 화면이 접촉된 경우, 도 5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가락은 우측 경사 상방을 향하게 된다. 환언하면, 손가락의 방향을 알면, 상기 화면에 대한 손가락의 진입 방향을 알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9)에 의하면, 상기 화면에 접촉한 손가락의 방향이 산출되고, 산출된 손가락의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 입력이 어떤 방향으로부터의 것인지가 판단된다. 따라서, 상기 조작 입력이 개별적으로 표시된 정보 중 어떤 정보에 대응하는 것인지의 판단을 적절히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상기 표시 장치(9)에 있어서, 상기 화면으로의 손가락의 접촉 방향을 결정하는 결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 방향 산출부가 상기 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상기 화면으로의 손가락의 접촉 방향을 가미하여, 상기 조작 입력이 상기 개별적으로 표시된 정보 중 어떤 정보에 대응하는 것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화면에 접촉한 손가락의 접촉 자국(接觸跡)은 대체로 타원형을 하고 있다. 또한, 상기 화면에는 손가락의 선단(先端) 부분을 사용하여 행해지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운전석 측으로부터 접촉된 경우, 도 5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가락의 접촉 자국은 우측으로 경사지고, 조수석 측으로부터 접촉된 경우, 도 5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가락의 접촉 자국은 좌측으로 경사지게 된다. 따라서, 이 경사로부터 손가락의 방향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손가락의 선단 부분을 사용하여 반드시 상기 화면에 접촉된다고는 한정되지 않고, 손가락의 복(腹) 부분을 사용하여 상기 화면에 접촉되는 경우도 생각된다. 손가락의 복 부분을 사용한 경우, 손가락 자국인 타원형의 방향은 손가락의 선단 부분을 사용한 경우와는 상이하게, 운전석 측으로부터 접촉된 경우, 도 5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가락의 접촉 자국은 좌측으로 경사지고, 조수석 측으로부터 접촉된 경우, 도 5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가락의 접촉 자국은 우측으로 경사지게 된다.
상기 표시 장치(10)에 의하면, 상기 화면에의 손가락의 접촉 방향이 결정되고, 결정된 상기 화면으로의 손가락의 접촉 방향(선단 부분의 사용, 복 부분의 사용)을 가미하여, 상기 조작 입력이 어떤 방향으로부터의 것인지가 판단된다. 따라서, 상기 조작 입력이 개별적으로 표시된 정보 중 어떤 정보에 대응하는 것인지의 판단을 한층더 적절히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11)는, 상기 표시 장치(10)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가 상기 화면으로의 손가락의 접촉 면적의 크기, 상기 화면으로의 손가락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기 화면으로의 압력이 가해지는 방향, 및 사전에 등록된 정보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화면으로의 손가락의 접촉 방법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화면에 손가락의 선단 부분으로 접촉한 경우와, 복 부분으로 접촉한 경우는 후자 쪽이 접촉 면적이 커진다. 따라서, 상기 화면으로의 손가락의 접촉 면적이 클 경우, 복 부분으로 접촉되었다고 판단하고, 접촉 면적이 작을 경우, 선단 부분으로 접촉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면에 손가락의 복 부분으로 접촉한 경우는 선단 부분으로 접촉한 경우보다도, 상기 화면에 접촉하고나서 접촉 면적의 변화가 없어질 때까지의 시간이 길어진다. 따라서, 상기 화면에 접촉하고나서 접촉 면적의 변화가 없어질 때까지의 시간이 길 경우, 복 부분으로 접촉되었다고 판단하고, 상기 시간이 짧을 경우, 선단 부분으로 접촉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면에 손가락의 선단 부분으로 접촉한 경우, 어떤 크기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는 부분은 집중되지만, 복 부분으로 접촉한 경우, 어떤 크기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는 부분은 분산되게 된다. 따라서, 어떤 크기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는 부분이 집중될 경우, 선단 부분으로 접촉되었다고 판단하고, 상기 부분이 분산될 경우, 복 부분으로 접촉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면에 손가락의 선단 부분으로 접촉할지, 복 부분으로 접촉할지는 그때마다 변화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동일하면, 언제나 동일하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선단 부분으로 접촉할지, 복 부분으로 접촉할지를 사전에 등록시켜 두고, 그 정보를 사용하도록 하면 적절히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11)에 의하면, 상기 화면으로의 손가락의 접촉 면적의 크기나, 상기 화면으로의 손가락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기 화면으로의 압력이 가해지는 방향, 사전에 등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화면으로의 손가락의 접촉 방향이 결정된다. 따라서, 상기 화면으로의 손가락의 접촉 방향을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손가락의 접촉 면적 등에 대해서는 손가락 크기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사전에 손가락의 크기를 등록해 두고, 등록된 크기와의 상대적인 대소(大小)에 의해, 접촉 면적이 클지 작을지를 판단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12)는, 상기 표시 장치(9∼1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산출부가 상기 화면에 접촉한 점의 집합으로부터 근사(近似) 직선을 구함으로써, 상기 화면에 접촉한 손가락의 방향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표시 장치(12)에 의하면, 상기 화면에 접촉한 점의 집합으로부터 근사 직선이 구해지고, 그 근사 직선으로부터 상기 화면에 접촉한 손가락의 방향이 산출된다. 따라서, 상기 화면에 접촉한 손가락의 방향을 적절히 구할 수 있다. 또한, 점의 집합으로부터 근사 직선을 구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최소 제곱법을 사용하여 구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13)는, 상기 표시 장치(2∼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화면에 접촉한 지문의 방향을 산출하는 산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 방향 판단부가 상기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상기 화면에 접촉한 지문의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 입력이 상기 개별적으로 표시된 정보 중 어떤 정보에 대응하는 것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지문의 상부는 위로 돌기(突起)한 활 형상을 하고 있다. 또한, 상기 화면에는 손가락의 선단 부분, 또는 복 부분으로 접촉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화면에는 지문의 활 형상 부분이 접촉되게 된다. 또한, 우측에 착석하고 있는 운전석 측으로부터 상기 화면이 접촉된 경우, 손가락은 좌측 경사 상방을 향하고, 지문의 돌기되어 있는 부분은 좌측으로 경사지고, 한편 좌측에 착석하고 있는 조수석 측으로부터 상기 화면이 접촉된 경우, 손가락은 우측 경사 상방을 향하고, 지문의 돌기되어 있는 부분은 우측으로 경사지게 된다. 환언하면, 지문의 방향을 알면, 상기 화면에 대한 손가락의 진입 방향을 알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13)에 의하면, 상기 화면에 접촉한 지문의 방향이 산출되고, 산출된 지문의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 입력이 어떤 방향으로부터의 것인지가 판단된다. 따라서, 상기 판단을 적절히 행할 수 있다. 또한, 손가락의 방향과 상이하게, 선단 부분, 복 부분으로 조작되어도, 지문이 향하는 방향은 바뀌지 않기 때문에, 처리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14)는, 상기 표시 장치(6∼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작 입력이 상기 개별적으로 표시된 정보 중 어떤 정보에 대응하는 것인지 판단할 수 없을 경우, 상기 입력 방향 판단부가 과거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 입력이 상기 개별적으로 표시된 정보 중 어떤 정보에 대응하는 것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표시 장치(14)에 의하면, 상기 조작 입력이 상기 개별적으로 표시된 정보 중 어떤 정보에 대응하는 것인지 판단할 수 없을 경우(예를 들어 손가락이 좌우 중 어느 쪽을 향하고 있는지 판단할 수 없을 경우), 과거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 입력이 상기 개별적으로 표시된 정보 중 어떤 정보에 대응하는 것인지 판단된다. 예를 들어 전회(前回)와 동일 판단을 행한다. 조작은 동일한 사람에 의해 반복 행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전회와 동일 판단을 행하는 것은 매우 유효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15)는, 상기 표시 장치(6∼1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운전자가 존재하는 방향, 조수석 탑승자가 존재하는 방향에 대하여, 각각 개별의 정보가 동일 화면 상에 표시되고, 상기 입력 방향 판단부가 상기 조작 입력이 운전자가 존재하는 방향에 대하여 표시된 정보에 대응하는 것인지, 조수석 탑승자가 존재하는 방향에 대하여 표시된 정보에 대응하는 것인지를 판단하는 것이고, 차량의 핸들 부착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방향 판단부에 의한 상기 판단을 좌우 전환하는 전환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표시 장치(15)에 의하면, 차량의 핸들 부착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판단이 좌우 전환되기 때문에, 우측 핸들 차량, 좌측 핸들 차량 중 어느 것일지라도 적절히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16)는, 복수의 시 방향에 대하여, 각각 개별의 정보를 동일 화면 상에 표시하는 표시부와,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조작 입력부와, 상기 조작 입력에 대한 확인 정보 입력을 요구하는 확인 정보 요구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복수의 시 방향에 대하여, 각각 개별의 정보가 동일 화면 상에 표시되어 있을 경우, 예를 들어 운전자가 존재하는 방향으로부터는 보이고, 조수석 탑승자가 존재하는 방향으로부터는 보이지 않는 운전석용 영상과, 조수석 탑승자가 존재하는 방향으로부터는 보이고, 운전자가 존재하는 방향으로부터는 보이지 않는 조수석용 영상이 동일 화면 상에 표시되어 있을 경우, 「배경기술」의 항목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것과는 상이한 조작 제어가 실시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상기 표시 장치(16)에 의하면, 상기 조작 입력에 대한 확인 정보 입력이 요구되고, 사용자가 그 조작 입력을 확정하거나, 취소하거나 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것과는 상이한 조작 제어가 실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특정한 시 방향에 존재하는 사람(예를 들어 운전자(DR))이 상기 어떤 특정한 시 방향과는 다른 방향(예를 들어 조수석 탑승자(PA)가 존재하는 방향)에 대하여 표시되고 있는 정보에 대응하는 조작 스위치에 실수로 접촉했다고 해도, 그 조작을 무효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17)는, 상기 표시 장치(16)에 있어서, 상기 조작 입력에 따른 제어 내용을 고지(告知)하는 고지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표시 장치(17)에 의하면, 상기 조작 입력에 따른 제어 내용이 사용자에게 알려지기 때문에, 상기 사용자는 자신의 조작이 올바른 것이었는지, 잘못된 것이었는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조작 입력을 확정해야 할지, 또는 취소해야 할지와 같은 판단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18)는, 상기 표시 장치(16 또는 17)에 있어서, 상기 확인 정보 입력이 상기 조작 입력을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표시 장치(18)에 의하면, 상기 조작 입력을 확정하는 기회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그 조작 입력이 올바르면, 확정 조작을 행함으로써 상기 조작 입력을 확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19)는, 상기 표시 장치(18)에 있어서, 상기 확인 정보 입력의 기회가 마련되어 있는 동안에, 어떤 시 방향에 대하여 표시된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조작 입력의 확정 조작의 입력을 접수한 경우, 상기 어떤 시 방향에 대하여 표시되고 있는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조작 입력에 따른 조작 제어의 실시를 허가하는 실시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표시 장치(19)에 의하면, 사용자로부터 상기 조작 입력에 대한 확정 지시가 있으면, 상기 조작 입력에 따른 조작 제어의 실시가 허가된다. 환언하면, 사용자로부터 상기 조작 입력에 대한 확정 지시가 없으면, 상기 조작 입력에 따른 조작 제어의 실시는 허가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것과는 상이한 조작 제어가 실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20)는, 상기 표시 장치(16 또는 17)에 있어서, 상기 확인 정보 입력이 상기 조작 입력을 취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표시 장치(20)에 의하면, 상기 조작 입력을 취소하는 기회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그 조작 입력이 잘못되어 있으면, 취소 조작을 행함으로써 상기 조작 입력을 취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21)는, 상기 표시 장치(20)에 있어서, 상기 확인 정보 입력의 기회가 마련되어 있는 동안에, 어떤 시 방향에 대하여 표시된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조작 입력의 취소 조작의 입력을 접수한 경우, 상기 어떤 시 방향과는 다른 시 방향에 대하여 표시되고 있는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조작 입력에 따른 조작 제어의 실시를 허가하는 실시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복수의 시 방향에 대하여, 각각 개별의 정보가 동일 화면 상에 표시되어 있을 경우, 예를 들어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전석용 영상(GDR)과 조수석용 영상(GPA)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로서,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표시 화면 상에서의 조작 영역, 및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표시 화면 상에서의 조작 영역이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조작 스위치로의 조작에 따른 조작 제어가 취소되는 경우로서는, 운전석 방향으로부터의 조작인지, 조수석 방향으로부터의 조작인지와 같은 판단 처리가 적절히 행해지지 않은 경우가 생각된다. 예를 들어 운전석 방향으로부터의 조작임에도 불구하고, 조수석 방향으로부터의 조작이라고 판단되어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 제어가 아니라,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제어가 행하려고 하고 있는 경우가 생각된다.
상기 표시 장치(21)에 의하면, 예를 들어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표시 화면 상에서의 조작 영역, 및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표시 화면 상에서의 조작 영역이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조작 스위치에의 조작에 따른,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 제어(예를 들어 도 12에 나타낸 조작 스위치(42DR)로의 누름에 따른 조작 제어)가 취소될 경우,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제어(예를 들어 도 12에 나타낸 조작 스위치(42PA)로의 누름에 따른 조작 제어)가 행해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조작 제어가 실시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본래 원하고 있던 조작 제어가 실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22)는, 복수의 시 방향에 대하여 각각 개별의 정보를 동일 화면 상에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어떤 조작 장치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기초하여, 어떤 특정한 시 방향과 다른 시 방향에 대해서가 아니라, 상기 어떤 특정한 시 방향에 대하여 표시되고 있는 정보에 대응하는 조작 제어의 실시를 허가하는 실시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표시 장치(22)에 의하면, 상기 어떤 조작 장치(예를 들어 리모컨)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어떤 특정한 시 방향(예를 들어 운전자(DR)가 존재하는 방향)과 다른 시 방향(예를 들어 조수석 탑승자(PA)가 존재하는 방향)에 대해서가 아니라, 상기 어떤 특정한 시 방향에 대하여 표시되고 있는 정보에 대응하는 조작 제어의 실시가 허가된다. 따라서, 상기 어떤 조작 장치를 사용한 경우에는, 상기 어떤 특정한 시 방향에 대하여 표시되고 있는 정보에 대응하는 조작 제어만이 행해짐으로써 오조작을 간단히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23)는, 복수의 시 방향에 대한 개별의 표시 화상을 동일 화면 상에 표시하는 표시부와, 표시부에 설치된 조작 입력부와, 표시부에 표시되는 각 시 방향에 대한 조작 입력부의 조작 입력 위치를 나타내는 조작 입력 화상의 표시 위치를 조정하는 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24)는, 상기 표시 장치(23)에 있어서, 제어부가 각 시 방향에 대응하는 조작 입력 화상의 표시 위치가 표시부 상에서 중복되지 않도록, 조작 입력 화상의 표시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25)는, 상기 표시 장치(23 또는 24)에 있어서, 제어부가 복수의 시 방향 중 1개의 시 방향에 대응하는 조작 입력 화상의 표시 위치에 따라, 복수의 시 방향 중 다른 시 방향에 대응하는 다른 조작 입력 화상의 표시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26)는, 상기 표시 장치(23)에 있어서, 제어부가 복수의 시 방향 중 1개의 시 방향에 대응하는 조작 입력 화상의 표시 위치와, 복수의 시 방향 중 다른 시 방향에 대응하는 다른 조작 입력 화상의 표시 위치를 각각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27)는, 상기 표시 장치(23∼26)에 있어서, 조작자를 특정하는 조작자 특정부를 더 가지고, 제어부는 조작자 특정부의 특정 결과에 기초하여, 조작 입력 화상의 표시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28)는, 상기 표시 장치(23∼27)에 있어서, 제어부는 표시 화상에 대응하는 소스에 따라 조작 입력 화상의 표시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29)는, 상기 표시 장치(23∼28)에 있어서, 복수의 조작 입력 화상의 표시 위치를 미리 정한 조작 입력 화상 위치 패턴 중에서 특정한 패턴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부를 더 가지고, 제어부는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패턴에 기초하여, 조작 입력 화상의 표시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30)는, 상기 표시 장치(23∼29)에 있어서, 조작 입력 화상의 표시 위치를, 각 시 방향에서 독립적으로 등록하는 등록부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31)는, 상기 표시 장치(30)에 있어서, 등록부에서 등록된 조작 입력 화상의 표시 위치에 기초하여, 조작 입력 화상의 표시 위치를 설정하는 설정부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작 입력 화상의 커스터마이즈(customize) 방법(32)은, 조작 입력 화상의 표시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 스텝과, 조정된 표시 위치를 등록하는 등록 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작 입력 화상의 커스터마이즈 방법(33)은, 상기 조작 입력 화상의 커스터마이즈 방법(32)에 있어서, 조정 스텝은 시 방향, 표시 화상에 대응하는 소스 정보 및 조작자 중 적어도 1개를 특정하는 특정 정보를 특정하는 특정 스텝과, 특정된 특정 정보에 대응시켜 조작 입력 화상의 표시 위치를 조정하는 스텝을 포함하고, 등록 스텝은 조정된 조작 입력 화상의 표시 위치를 특정된 특정 정보에 대응시켜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작 입력 화상의 커스터마이즈 방법(34)은, 상기 조작 입력 화상의 커스터마이즈 방법(32 또는 33)에 있어서, 조정된 조작 입력 화상의 표시 위치가 다른 시 방향에 대한 조작 입력 화상의 표시 위치에 겹칠 경우에 고지를 행하는 고지 스텝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조작 입력 화상 설정 방법(35)은, 시 방향, 표시 화상에 대응하는 소스 정보 및 조작자 중 적어도 1개를 특정하는 특정 정보를 특정하는 특정 스텝과, 특정된 특정 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기억된 조작 입력 화상의 표시 위치에 조작 입력 화상을 설정하는 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조작 입력 화상 설정 방법(36)은, 상기 표시 장치의 조작 입력 화상 설정 방법(35)에 있어서, 설정 스텝은 1개의 시 방향에 대한 조작 입력 화상의 표시 위치와, 다른 시 방향에 대한 조작 입력 화상의 표시 위치가 겹칠 경우, 적어도 어느 한쪽의 시 방향에 대한 조작 입력 화상의 표시 위치를 이동시키는 이동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조작 입력 화상 설정 방법(37)은, 상기 표시 장치의 조작 입력 화상 설정 방법(35)에 있어서, 설정 스텝은 1개의 시 방향에 대한 조작 입력 화상의 표시 위치와, 다른 시 방향에 대한 조작 입력 화상의 표시 위치가 겹칠 경우, 고지를 행하는 고지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38)는, 제 1 방향에서 관찰할 수 있는 제 1 화상과 제 2 방향에서 관찰할 수 있는 제 2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와, 제 1 화상 및 제 2 화상을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제어부와, 표시부 전면(前面)에 배치되는 터치 패널을 구비하고, 제어부는 제 1 방향과 제 2 방향에서의 터치 패널 상의 조작 입력 위치가 겹되지 않도록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 1 화상과 제 2 화상에서의 입력 접수 화상의 표시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39)는, 상기 표시 장치(38)에 있어서, 제어부가 제 1 화상과 제 2 화상 중 한쪽의 입력 접수 화상의 위치에 따라, 다른 쪽 입력 접수 화상의 표시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40)는, 상기 표시 장치(38)에 있어서, 제어부가 제 1 방향과 제 2 방향의 각 방향에 따른 입력 접수 화상의 표시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41)는, 상기 표시 장치(38∼40)에 있어서, 조작자를 특정하는 조작자 특정부를 가지고, 제어부는 조작자 특정부에서의 특정 결과에 기초하여, 조작자마다 입력 접수 화상의 표시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42)는, 상기 표시 장치(40 또는 41)에 있어서, 제어부는 화상의 소스에 따른 입력 접수 화상의 표시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43)는, 상기 표시 장치(38∼42)에 있어서, 입력 접수 화상의 표시 위치를 미리 정한 입력 접수 화상 표시 위치 패턴을 복수 설치하고, 입력 접수 화상 표시 위치 패턴을 선택하기 위한 패턴 선택부를 가지고, 제어부는 패턴 선택부의 선택에 따라 입력 접수 화상의 표시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44)는, 제 1 방향에서 관찰할 수 있는 제 1 화상과 제 2 방향에서 관찰할 수 있는 제 2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와, 제 1 화상 및 제 2 화상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제어부와, 표시부 전면에 배치되는 터치 패널을 구비하고, 제어부는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상에 포함되는 입력 접수 화상의 배치를 제 1 화상과 제 2 화상에서 독립적으로 등록하는 등록 기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45)는, 제 1 방향에서 관찰할 수 있는 제 1 화상과 제 2 방향에서 관찰할 수 있는 제 2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와, 제 1 화상 및 제 2 화상을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제어부와, 표시부 전면에 배치되는 터치 패널을 구비하고,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조작이 행해지면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상에 포함되는 입력 접수 화상의 배치를 제 1 화상과 제 2 화상에서 독립적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46)는, 상기 표시 장치(45)에 있어서, 입력 접수 화상의 배치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구비하고, 제어부는 기억 수단으로부터 입력 접수 화상의 배치를 판독하여,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상에 포함되는 입력 접수 화상의 배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커스터마이즈 방법(47)은, 제 1 방향에서 관찰할 수 있는 제 1 화상과 제 2 방향에서 관찰할 수 있는 제 2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와, 표시부 전면에 배치되는 터치 패널과, 제 1 화상 및 제 2 화상을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제어부를 갖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관찰 방향을 결정하는 방향 결정 스텝과, 방향 결정 스텝에서 결정된 관찰 방향에 대응시켜 표시 버튼의 표시 위치를 결정하는 표시 위치 결정 스텝과, 표시 위치 결정 스텝에서 결정된 표시 버튼의 표시 위치를 등록하는 등록 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커스터마이즈 방법(48)은, 제 1 방향에서 관찰할 수 있는 제 1 화상과 제 2 방향에서 관찰할 수 있는 제 2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와, 표시부 전면에 배치되는 터치 패널과, 제 1 화상 및 제 2 화상을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제어부를 갖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소스 정보를 결정하는 소스 정보 결정 스텝과, 표시 버튼의 표시 위치를 결정하는 표시 위치 결정 스텝과, 표시 위치 결정 스텝에서 결정된 표시 버튼의 표시 위치를 소스 정보 결정 스텝에서 결정된 소스 정보에 대응시켜 등록하는 등록 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커스터마이즈 방법(49)은, 제 1 방향에서 관찰할 수 있는 제 1 화상과 제 2 방향에서 관찰할 수 있는 제 2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와, 표시부 전면에 배치되는 터치 패널과, 제 1 화상 및 제 2 화상을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제어부를 갖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조작자를 특정하는 조작자 특정 스텝과, 표시 버튼의 표시 위치를 결정하는 표시 위치 결정 스텝과, 표시 위치 결정 스텝에서 결정된 표시 버튼의 표시 위치를 조작자 특정 스텝에서 선택된 조작자에게 대응시켜 등록하는 등록 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커스터마이즈 방법(50)은, 상기 커스터마이즈 방법(47∼49)에 있어서, 표시 위치 결정 스텝과 상기 등록 스텝 사이에 방향 선택 스텝에서 선택된 관찰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에서 이미 등록된 표시 버튼의 표시 위치와 표시 위치 결정 스텝에서 결정된 표시 버튼의 표시 위치를 비교하는 비교 스텝과, 비교 스텝에서 양쪽 방향의 표시 버튼의 표시 위치가 겹치면 그 사항을 고지하는 고지 스텝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커스터마이즈 방법(51)은, 상기 커스터마이즈 방법(47∼49)에 있어서, 등록 스텝보다도 전에 소스 정보를 결정하는 소스 정보 결정 스텝을 더 가지고, 등록 스텝에서는 표시 위치 결정 스텝에서 결정된 표시 버튼의 표시 위치를 소스 정보 결정 스텝에서 결정된 소스 정보에 대응시켜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커스터마이즈 방법(52)은, 상기 커스터마이즈 방법(47∼49)에 있어서, 등록 스텝보다도 전에 조작자를 특정하는 조작자 특정 스텝을 더 가지고, 등록 스텝에서는 표시 위치 결정 스텝에서 결정된 표시 버튼의 표시 위치를 조작자 특정 스텝에서 특정된 조작자에게 대응시켜 등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커스터마이즈 방법(53)은, 상기 커스터마이즈 방법(47∼49)에 있어서, 등록 스텝보다도 전에 조작자를 특정하는 조작자 특정 스텝을 더 가지고, 등록 스텝에서는 표시 위치 결정 스텝에서 결정된 표시 버튼의 표시 위치를 소스 정보 결정 스텝에서 결정된 소스 정보와 조작자 특정 스텝에서 특정된 조작자에게 대응시켜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설정 방법(54)은, 제 1 방향에서 관찰할 수 있는 제 1 화상과 제 2 방향에서 관찰할 수 있는 제 2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와, 표시부 전면에 배치되는 터치 패널과, 제 1 화상 및 제 2 화상을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제어부를 갖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관찰 방향을 결정하는 방향 결정 스텝과, 방향 결정 스텝에서 결정된 관찰 방향에 대응하는 미리 기억된 표시 버튼의 표시 위치를 판독하는 표시 위치 판독 스텝과, 표시 위치 판독 스텝에서 판독한 표시 버튼의 표시 위치를 설정하는 설정 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설정 방법(55)은, 제 1 방향에서 관찰할 수 있는 제 1 화상과 제 2 방향에서 관찰할 수 있는 제 2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와, 표시부 전면에 배치되는 터치 패널과, 제 1 화상 및 제 2 화상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제어부를 갖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소스 정보를 결정하는 소스 정보 결정 스텝과, 소스 정보 결정 스텝에서 결정된 소스 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기억된 표시 버튼의 표시 위치를 판독하는 표시 위치 판독 스텝과, 표시 위치 판독 스텝에서 판독한 표시 버튼의 표시 위치를 설정하는 설정 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설정 방법(56)은, 제 1 방향에서 관찰할 수 있는 제 1 화상과 제 2 방향에서 관찰할 수 있는 제 2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와, 표시부 전면에 배치되는 터치 패널과, 제 1 화상 및 상기 제 2 화상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제어부를 갖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조작자를 특정하는 조작자 특정 스텝과, 조작자 특정 스텝에서 특정된 조작자에 대응하는 미리 기억된 표시 버튼의 표시 위치를 판독하는 표시 위치 판독 스텝과, 표시 위치 판독 스텝에서 판독한 표시 버튼의 표시 위치를 설정하는 설정 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설정 방법(57)은, 상기 설정 방법(54∼56)에 있어서, 표시 위치 판독 스텝보다도 전에 소스 정보를 결정하는 소스 정보 결정 스텝을 더 가지고, 표시 위치 판독 스텝에서는 방향 결정 스텝에서 결정된 관찰 방향과 소스 정보 결정 스텝에서 결정된 소스 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기억된 표시 버튼의 표시 위치를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설정 방법(58)은 상기 설정 방법(54∼56)에 있어서, 표시 위치 판독 스텝보다도 전에 조작자를 특정하는 조작자 특정 스텝을 더 가지고, 표시 위치 판독 스텝에서는 방향 결정 스텝에서 결정된 관찰 방향과 조작자 특정 스텝에서 특정된 조작자에 대응하는 미리 기억된 표시 버튼의 표시 위치를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설정 방법(59)은, 상기 설정 방법(54∼56)에 있어서, 표시 위치 판독 스텝보다도 전에 조작자를 특정하는 조작자 특정 스텝을 더 가지고, 표시 위치 판독 스텝에서는 소스 정보 결정 스텝에서 결정된 소스 정보와, 조작자 특정 스텝에서 특정된 조작자에 대응하는 미리 기억된 표시 버튼의 표시 위치를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설정 방법(60)은, 상기 설정 방법(54∼56)에 있어서, 표시 위치 판독 스텝과 상기 설정 스텝 사이에 방향 선택 스텝에서 선택된 관찰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에서 표시되는 표시 버튼의 표시 위치와 표시 위치 판독 스텝에서 판독된 표시 버튼의 표시 위치를 비교하는 비교 스텝과, 비교 스텝에서 양쪽 방향의 표시 버튼의 표시 위치가 겹치면 상기 겹치는 표시 버튼 위치를 겹치지 않도록 이동시키는 표시 위치 이동 스텝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설정 방법(61)은, 표시 위치 판독 스텝과 설정 스텝 사이에, 방향 선택 스텝에서 선택된 관찰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에서 표시되는 표시 버튼의 표시 위치와 표시 위치 판독 스텝에서 판독된 표시 버튼의 표시 위치를 비교하는 비교 스텝과, 비교 스텝에서 양쪽 방향의 표시 버튼의 표시 위치가 겹치면 그 사항을 고지하는 고지 스텝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62)는, 제 1 표시 영역과 제 2 표시 영역을 가지고, 제 1 표시 영역과 제 2 표시 영역을 관찰자의 시선 각도에 따라 구별하여 표시하는 표시부와, 제 1 표시 영역에 제 1 화상을 표시시키기 위한 제 1 구동부와, 제 2 표시 영역에 제 1 화상과는 독립된 제 2 화상을 표시시키기 위한 제 2 구동부와, 운전석용 조작 버튼 화상을 제 1 구동부를 제어하여 제 1 표시 영역에 표시시키고, 운전석용 조작 버튼 화상과 상이한 조수석용 조작 버튼 화상을 제 2 구동부를 제어하여 제 2 표시 영역에 표시시키는 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63)는, 표시부 상에 설치된 입력부를 더 가지고, 제어부는 조작 버튼 화상 상의 입력 장치가 가압됨으로써, 조작 버튼이 선택된 것을 판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소위, 터치 패널 등의 입력 방식을 이용하여, 표시부에 조작 버튼 화상을 표시하고, 표시된 조작 버튼 화상과 입력부를 이용하여 원하는 입력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작 버튼 화상의 커스터마이즈 방법(64)은, 제 1 좌석 및 제 2 좌석 중 1개를 선택하는 좌석 정보를 입력하는 스텝과, 좌석 정보에 대응시켜 조작 버튼 화상에서의 조작 버튼의 표시부에서의 표시 위치를 결정하는 스텝과, 결정된 조작 버튼 화상을 등록하는 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작 버튼 화상의 커스터마이즈 방법(65)은, 상기 화상의 커스터마이즈 방법(64)에 있어서, 선택한 좌석 이외의 좌석에 대응시켜 이미 등록된 조작 버튼 화상의 표시부에서의 표시 위치와, 좌석 정보에 대응시켜 결정된 조작 버튼 화상에서의 조작 버튼의 표시부에서의 표시 위치가, 표시부 상에서 겹친 경우에, 등록하는 스텝을 금지하는 스텝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개의 표시부에서 복수의 화상(또는 표시 화상)을 표시한 경우에도, 입력부는 1개이기 때문에, 복수의 화상마다의 조작 입력이 혼동되지 않도록 조작 버튼 화상을 등록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작 버튼 화상의 커스터마이즈 방법(66)은, 상기 화상의 커스터마이즈 방법(64 또는 65)에 있어서, 제 1 좌석 및 제 2 좌석 중 1개를 선택하는 좌석 정보를 입력하는 스텝과, 좌석 정보에 대응하여 조작 버튼 화상을 판독하는 스텝과, 판독된 조작 버튼 화상을 이용 가능하게 하는 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작 버튼 화상의 커스터마이즈 방법(67)은, 상기 화상의 커스터마이즈 방법(64∼66)에 있어서, 선택한 좌석 이외의 좌석에 대응시켜 이미 이용되고 있는 조작 버튼 화상의 표시부에서의 표시 위치와, 좌석 정보에 대응하여 판독된 조작 버튼 화상에서의 조작 버튼의 표시부에서의 표시 위치가, 표시부 상에서 겹친 경우에, 이용 가능하게 하는 스텝을 금지하는 스텝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개의 표시부에서 복수의 화상(또는 표시 화상)을 표시한 경우에도, 입력부는 1개이기 때문에, 복수의 화상마다의 조작 입력이 혼동되지 않도록 조작 버튼 화상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시스템(68)은, 복수의 시 방향에 대한 개별의 표시 화상을 동일 화면 상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갖는 표시 장치와, 복수의 시 방향에 대한 개별의 표시 화상에 대응하는 복수의 신호원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표시 장치로 출력하고, 표시 장치를 원격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와, 복수의 신호원 중 특정한 신호원을 설정하는 설정부와,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신호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모드 설정 스위치를 설치하고, 모드 설정 스위치에서 설정된 모드에 대응하는 표시 화면에 대하여 리모컨으로부터 조작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시스템(69∼72)은, 상기 제어 시스템(68)에 있어서, 제어부 및 설정부는 각각 원격 제어 장치 또는 표시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시스템(73)은, 상기 제어 시스템(69∼72)에 있어서, 복수의 시 방향 중 특정한 시 방향에 대한 표시 화상에 대응하는 신호원의 제어를 무효로 하는 조건이 성립되어 있는지 여부의 판단을 행하는 조건 판단부와, 조건 판단부에 의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설정부에 의한 설정을 제어하는 설정 제어부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를 무효로 하는 조건이 성립되어 있을 때에는 리모컨에 의한 조작을 할 수 없게 되고, 예를 들어 이것에 의해 운전자가 리모컨의 조작에 정신을 빼앗기지 않도록 구성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시스템(74 및 75)은, 상기 제어 시스템(73)에 있어서, 조건 설정부 및 설정 제어부는 각각 원격 제어 장치 또는 표시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시스템(76)은, 상기 제어 시스템(73∼75)에 있어서, 설정 제어부에 의한 제어를 해제시키기 위한 해제부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별한 경우에는 제어를 무효로 하는 조건이 성립되어 있을 때에도, 리모컨에 의한 조작을 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시스템(77)은, 복수의 시 방향에 대한 개별의 표시 화상을 동일 화면 상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갖는 표시 장치와, 복수의 시 방향에 대한 개별의 표시 화상에 대응하는 복수의 신호원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표시 장치로 출력하고, 표시 장치를 원격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와, 복수의 시 방향에 대한 개별의 표시 화상에 의한 복수의 표시 화상의 동일 화면 표시로부터, 복수의 시 방향에 대한 개별의 표시 화상 중 소정의 1개의 표시 화상만의 단일 화면 표시로의 전환을 행하는 표시 전환부와,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표시 전환부에 의해 전환된 소정의 1개의 표시 화상에 대응한 신호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분리 표시를 행하고 있는 상황에서, 일단 단일 표시로 변경하고나서 리모컨에 의한 조작 입력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시스템(78∼81)은, 상기 제어 시스템(77)에 있어서, 제어부 및 표시 전환부는 각각 원격 제어 장치 또는 표시 장치 중 어느 한쪽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시스템(82)은, 상기 제어 시스템(78∼81)에 있어서, 복수의 시 방향 중 특정한 시 방향에 대한 표시 화상에 대응하는 신호원의 제어를 무효로 하는 조건이 성립되어 있는지 여부의 판단을 행하는 조건 판단부와, 조건 판단부에 의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표시 전환부에 의한 전환을 제어하는 전환 제어부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를 무효로 하는 조건이 성립되어 있을 때에는, 리모컨에 의한 조작을 할 수 없게 되고, 예를 들어 이것에 의해 운전자가 리모컨의 조작에 정신을 빼앗기지 않도록 구성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시스템(83 및 84)은, 상기 제어 시스템(82)에 있어서, 조건 설정부 및 전환 제어부는 원격 제어 장치 또는 표시 장치 중 어느 한쪽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시스템(85)은, 상기 제어 시스템(82∼84)에 있어서, 전환 제어부에 의한 제어를 해제시키기 위한 해제부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시스템(86)은, 복수의 시 방향에 대한 개별의 표시 화상을 동일 화면 상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갖는 표시 장치와, 복수의 시 방향에 대한 개별의 표시 화상에 대응하는 복수의 신호원의 각각에 대응한 복수의 조작 입력부, 복수의 조작 입력부에 대응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신호 생성부, 및 제어 신호를 표시 장치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가지고, 표시 장치를 원격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와,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신호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전체 모드에 대응하는 조작 스위치를 모두 갖는 리모컨을 사용하고, 모드의 전환 등을 신경쓰지 않고 조작 입력을 행할 수 있는 구성으로 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시스템(87 및 88)은, 상기 제어 시스템(86)에 있어서, 제어부가 표시 장치 또는 원격 제어 장치 중 어느 한쪽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시스템(89)은, 복수의 시 방향에 대한 개별의 표시 화상을 동일 화면 상에 표시하는 표시부와, 복수의 시 방향 중 1개의 시 방향에 대한 표시 화상에 대응한 1개의 신호원에 대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조작부를 갖는 표시 장치와, 복수의 시 방향 중 다른 시 방향에 대한 표시 화상에 대응한 다른 신호원에 대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원격 제어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운전자용 표시 화상은 표시부만으로부터, 조수석용 표시 화상은 리모컨만으로부터 조작 입력하도록 구성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시스템(90)은, 복수의 시 방향에 대한 개별의 표시 화상을 동일 화면 상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갖는 표시 장치와, 복수의 시 방향에 대한 개별의 표시 화상에 대응하는 복수의 신호원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표시 장치로 출력하고, 표시 장치를 원격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와, 원격 제어 장치가 존재하는 방향을 검출하는 원격 제어 방향 검출부와,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원격 제어 방향 검출부의 검출 결과에 대응한 신호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리모컨의 위치를 확인하여, 리모컨의 위치로부터 복수의 시 방향 중 어느 시 방향에 대응하는 표시 화면에 대한 조작 입력이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시스템(91 및 92)은, 상기 제어 시스템(90)에 있어서, 원격 제어 방향 검출부는 원격 제어 장치 또는 표시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작 제어 장치(93)는, 제 1 방향으로부터는 보이고, 제 2 방향으로부터는 보이지 않는 제 1 표시 화상 표시와, 상기 제 2 방향으로부터는 보이고, 상기 제 1 방향으로부터는 보이지 않는 제 2 표시 화상 표시를 동일 화면 상에서 동시에 행하는 것이 가능한 표시 수단과, 상기 표시 수단과는 별체(別體)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 또는 상기 제 2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신호를 출력하는 원격 조작 수단과, 상기 원격 조작 수단으로부터의 조작 신호에 따른 조작 제어를 행하는 조작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미리 정해진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을 행하는 제 1 조작 모드와, 상기 제 2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을 행하는 제 2 조작 모드 중 어떤 조작 모드를 설정하는 것인지를 지시하는 모드 설정 정보를 출력하는 모드 설정 정보 출력부와, 상기 모드 설정 정보 출력부로부터 출력된 모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조작 모드 또는 제 2 조작 모드를 설정하고, 제 1 조작 모드에서 조작이 행해진 때에는 상기 제 1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신호를 출력하고, 제 2 조작 모드에서 조작이 행해진 때에는 상기 제 2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신호를 출력하는 조작 모드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명(93)에 의하면, 관찰자가 원격 조작 수단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조작을 행하면, 제 1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을 행하는 제 1 조작 모드 또는 제 2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을 행하는 제 2 조작 모드가 설정된다. 이 상태에서 관찰자가 원격 조작 수단에 대하여 조작을 행하면, 행해진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신호가 출력된다. 즉, 제 1 조작 모드에서 관찰자가 조작을 행한 경우는 제 1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신호가 출력되고, 제 2 조작 모드에서 관찰자가 조작을 행한 경우는 제 2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신호가 출력된다. 따라서, 관찰자는 조작을 원하는 표시 화상에 대응한 조작 모드를 설정하면, 조작을 원하는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을 적절히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1개의 원격 조작 수단을 이용하여 2개의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을 적절히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조작 제어 장치(94)는, 제 1 방향으로부터는 보이고, 제 2 방향으로부터는 보이지 않는 제 1 표시 화상 표시와, 상기 제 2 방향으로부터는 보이고, 상기 제 1 방향으로부터는 보이지 않는 제 2 표시 화상 표시를 동일 화면 상에서 동시에 행하는 것이 가능한 표시 수단과, 상기 표시 수단과는 별체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 또는 상기 제 2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신호를 출력하는 원격 조작 수단과, 상기 원격 조작 수단으로부터의 조작 신호에 따른 조작 제어를 행하는 조작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미리 정해진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을 행하는 제 1 조작 모드와, 상기 제 2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을 행하는 제 2 조작 모드 중 어떤 조작 모드를 설정하는 것인지를 지시하는 모드 설정 정보를 출력하는 모드 설정 정보 출력부와, 상기 모드 설정 정보 출력부로부터 출력된 모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조작 모드 또는 제 2 조작 모드를 설정하고, 제 1 조작 모드에서 조작이 행해진 때에는 상기 제 1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신호를 출력하고, 제 2 조작 모드에서 조작이 행해진 때에는 상기 제 2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신호를 출력하는 조작 모드 제어부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또한 상기 제 1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을 무효로 하고, 상기 제 2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을 유효로 하기 위한 유효 조작 설정 조건이 성립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유효 조작 설정 조건 판단 수단과, 상기 유효 조작 설정 조건 판단 수단에 의해 유효 조작 설정 조건이 성립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 제 2 조작 모드에 의한 조작만을 유효로 하고, 제 1 조작 모드에 의한 조작을 무효로 하는 조작 제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명(94)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관찰자가 조작하기를 원하는 표시 화상에 대응한 조작 모드를 설정하면, 조작하기를 원하는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을 적절히 행할 수 있다. 한편, 유효 조작 설정 조건이 성립되어 있는 경우는 제 2 조작 모드에 의한 조작, 즉 제 2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만이 유효로 되고, 제 1 조작 모드에 의한 조작, 즉 제 1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은 무효로 된다. 이것에 의해, 원격 조작 수단으로부터의 제 1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효 조작 설정 조건을 차량의 운전자가 운전에 전념해야할 상황일 때라고 한 경우, 유효 조작 설정 조건이 성립되어 있을 때에는 운전석용 표시 화상(제 1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을 무효로 하고, 조수석용 표시 화상(제 2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만을 유효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운전자가 원격 조작 수단의 조작에 정신을 빼앗기는 것이 억제되고, 차량 주행 시 안전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작 제어 장치(95)는, 제 1 방향으로부터는 보이고, 제 2 방향으로부터는 보이지 않는 제 1 표시 화상 표시와, 상기 제 2 방향으로부터는 보이고, 상기 제 1 방향으로부터는 보이지 않는 제 2 표시 화상 표시를 동일 화면 상에서 동시에 행하는 것이 가능한 표시 수단과, 상기 표시 수단과는 별체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 또는 상기 제 2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신호를 출력하는 원격 조작 수단과, 상기 원격 조작 수단으로부터의 조작 신호에 따른 조작 제어를 행하는 조작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미리 정해진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을 행하는 제 1 조작 모드와, 상기 제 2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을 행하는 제 2 조작 모드 중 어떤 조작 모드를 설정하는 것인지를 지시하는 모드 설정 정보를 출력하는 모드 설정 정보 출력부와, 상기 모드 설정 정보 출력부로부터 출력된 모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조작 모드 또는 제 2 조작 모드를 설정하고, 제 1 조작 모드에서 조작이 행해진 때에는 상기 제 1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신호를 출력하고, 제 2 조작 모드에서 조작이 행해진 때에는 상기 제 2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신호를 출력하는 조작 모드 제어부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또한 상기 제 2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을 상기 제 1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보다도 우선하기 위한 우선 조작 설정 조건이 성립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우선 조작 설정 조건 판단 수단과, 상기 우선 조작 설정 조건 판단 수단에 의해 우선 조작 설정 조건이 성립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 제 2 조작 모드에 의한 조작을 유효로 하고, 제 1 조작 모드에 의한 조작을 무효로 하며, 무효 해제가 지시된 때에는 제 1 조작 모드에 의한 조작을 유효로 하는 조작 제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명(95)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관찰자가 조작하기를 원하는 표시 화상에 대응한 조작 모드를 설정하면, 조작하기를 원하는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을 적절히 행할 수 있다. 한편, 우선 조작 설정 조건이 성립되어 있는 경우는, 원격 조작 수단에서는 제 2 조작 모드에 의한 조작이 유효로 되고, 제 1 조작 모드에 의한 조작이 무효로 되며, 즉 제 2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만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관찰자가 무효 해제를 지시하면 제 1 조작 모드에 의한 조작이 유효로 된다. 이것에 의해, 원격 조작 수단에서 제 2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을 우선적으로 행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우선 조작 설정 조건을 차량의 운전자가 운전에 전념해야할 상황일 때라고 한 경우, 우선 조작 설정 조건이 성립되어 있을 때는 조수석용 표시 화상(제 2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을 우선적으로 행할 수 있게 되고, 필요에 따라 관찰자가 무효 해제 조작을 행하면, 운전석용 표시 화상(제 1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도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운전자가 원격 조작 수단의 조작에 정신을 빼앗기는 것이 억제되고, 차량 주행 시 안전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운전석용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성 및 편리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작 제어 장치(96)는, 상기 조작 제어 장치(95)에 있어서, 상기 조작 제한 수단은 제 1 조작 모드에 의한 조작을 유효로 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제 1 조작 모드에 의한 조작을 무효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 조작 모드에 의한 조작을 유효로 하여 제 1 조작 모드에 의한 조작을 무효로 하고 있을 경우에, 관찰자의 무효 해제 조작에 의해 제 1 조작 모드에 의한 조작이 유효로 된 때에는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제 1 조작 모드에 의한 조작이 무효로 된다. 이것에 의해, 제 1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을 제한하여, 제 2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을 우선하는 것의 실효를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운전석용 표시 화상(제 1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을 제한하여, 조수석용 표시 화상(제 2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을 우선시킬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차량 주행 시 안전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작 제어 장치(97)는, 상기 조작 제어 장치(92∼96)에 있어서, 상기 원격 조작 수단은 상기 제 1 조작 모드 및 상기 제 2 조작 모드 중 어느 쪽이 설정되어 있는 지를 관찰자에게 알리는 고지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관찰자는 원격 조작 수단에 설정되어 있는 조작 모드를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조작성 및 편리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작 제어 장치(98)는, 상기 조작 제어 장치(92∼97)에 있어서, 상기 원격 조작 수단은 조작 모드를 변경한 것을 관찰자에게 안내하는 안내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관찰자는 조작 모드가 변경된 것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조작성 및 편리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작 제어 장치(99)는, 제 1 방향으로부터는 보이고, 제 2 방향으로부터는 보이지 않는 제 1 표시 화상 표시와, 상기 제 2 방향으로부터는 보이고, 상기 제 1 방향으로부터는 보이지 않는 제 2 표시 화상 표시를 동일 화면 상에서 동시에 행하는 것이 가능한 표시 수단과, 상기 표시 수단과는 별체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 또는 상기 제 2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신호를 출력하는 원격 조작 수단과, 상기 원격 조작 수단으로부터의 조작 신호에 따른 조작 제어를 행하는 조작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제 1 표시 화상 표시 및 제 2 표시 화상 표시의 표시 화상을 통일하는 1화면 표시를 상기 표시 수단에 행하게 하고, 상기 1화면 표시에서 표시되고 있는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 제어만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99)에 의하면, 예를 들어 관찰자가 미리 정해진 조작에 응답하여 표시 수단에서 1화면 표시가 행해지고, 표시 수단에 1화면 표시가 행해진 상태에서 관찰자가 표시되고 있는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을 행하면, 조작 제어 수단에 의해 1화면 표시되고 있는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에 따른 조작 제어가 행해진다. 또한, 표시되고 있지 않은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이 행해진 때에는 조작 제어 수단은 조작 제어를 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관찰자는 조작하기를 원하는 표시 화상에 의한 1화면 표시를 시킨 상태에서 조작을 행하기 때문에, 조작하기를 원하는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을 적절히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1개의 원격 조작 수단을 이용하여 2개의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을 적절히 행할 수 있다. 또한, 조작하고 있는 표시 화상만이 표시 수단에 표시되기 때문에, 관찰자는 어느 쪽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을 하고 있는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작 제어 장치(100)는, 상기 조작 제어 장치(99)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을 무효로 하고, 상기 제 2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을 유효로 하기 위한 유효 조작 설정 조건이 성립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유효 조작 설정 조건 판단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유효 조작 설정 조건 판단 수단에 의해 유효 조작 설정 조건이 성립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는, 상기 조작 제어 수단은 제 2 표시 화상 표시의 표시 화상에 의한 상기 1화면 표시를 상기 표시 수단에 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효 조작 설정 조건이 성립되어 있는 경우는, 제 2 표시 화상 표시의 표시 화상에 의한 1화면 표시가 행해지고, 제 2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만이 유효로 된다. 이것에 의해, 원격 조작 수단으로부터의 제 1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효 조작 설정 조건을 차량의 운전자가 운전에 전념해야할 상황일 때라고 한 경우, 유효 조작 설정 조건이 성립되어 있을 때에는 운전석용 표시 화상(제 1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을 무효로 하고, 조수석용 표시 화상(제 2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만을 유효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운전자가 원격 조작 수단의 조작에 정신을 빼앗기는 것이 억제되고, 차량 주행 시 안전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작 제어 장치(101)는, 상기 조작 제어 장치(99)에 있어서, 상기 제 2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을 상기 제 1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보다도 우선하기 위한 우선 조작 설정 조건이 성립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우선 조작 설정 조건 판단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우선 조작 설정 조건 판단 수단에 의해 우선 조작 설정 조건이 성립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는, 상기 조작 제어 수단은 제 2 표시 화상 표시의 표시 화상에 의한 상기 1화면 표시를 상기 표시 수단에 행하게 하고, 미리 정해진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조작 제어 수단은 제 1 표시 화상 표시의 표시 화상에 의한 1화면 표시를 상기 표시 수단에 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우선 조작 설정 조건이 성립되어 있는 경우는 표시 수단에서 제 2 표시 화상 표시의 표시 화상에 의한 1화면 표시가 행해지고, 제 2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예를 들어 관찰자가 미리 정해진 조작을 행하면, 표시 수단에서는 제 1 표시 화상 표시의 표시 화상에 의한 1화면 표시가 행해지고, 제 1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원격 조작 수단에서 제 2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을 우선적으로 행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우선 조작 설정 조건을 차량의 운전자가 운전에 전념해야할 상황일 때라고 한 경우, 우선 조작 설정 조건이 성립되어 있을 때에는 조수석용 표시 화상(제 2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을 우선적으로 행할 수 있게 되고, 필요에 따라 관찰자가 전환 조작을 행하면, 운전석용 표시 화상(제 1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도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운전자가 원격 조작 수단의 조작에 정신을 빼앗기는 것이 억제되고, 차량 주행 시 안전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운전석용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성 및 편리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작 제어 장치(102)는, 상기 조작 제어 장치(99∼101)에 있어서, 제 1 표시 화상 표시의 표시 화상과 제 2 표시 화상 표시의 표시 화상이 상이한 분리 표시로부터 1화면 표시로 전환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조작 제어 수단은 상기 분리 표시로 되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조작을 행하기 위해 분리 표시로부터 1화면 표시로 전환한 경우, 소정 시간 경과하면 원래의 분리 표시로 돌아간다. 따라서, 조작 대상으로 되어 있지 않은 표시 화상의 시청자의 불편을 경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작 제어 장치(103)는, 제 1 방향으로부터는 보이고, 제 2 방향으로부터는 보이지 않는 제 1 표시 화상 표시와, 상기 제 2 방향으로부터는 보이고, 상기 제 1 방향으로부터는 보이지 않는 제 2 표시 화상 표시를 동일 화면 상에서 동시에 행하는 것이 가능한 표시 수단과, 상기 표시 수단과는 별체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 또는 상기 제 2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신호를 출력하는 원격 조작 수단과, 상기 원격 조작 수단으로부터의 조작 신호에 따른 조작 제어를 행하는 조작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상기 제 1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 스위치와, 상기 제 2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 스위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명(103)에 의하면, 원격 조작 수단에는 미리 제 1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 스위치와, 제 2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관찰자는 원하는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을 행할 때에는 조작하기를 원하는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 스위치를 조작하면 된다. 이것에 의해, 1개의 조작 수단을 이용하여 2개의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을 적절히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작 제어 장치(1O4)는, 상기 조작 제어 장치(103)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을 무효로 하고, 상기 제 2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을 유효로 하기 위한 유효 조작 설정 조건이 성립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유효 조작 설정 조건 판단 수단과, 상기 유효 조작 설정 조건 판단 수단에 의해 유효 조작 설정 조건이 성립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 2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 스위치의 조작을 유효로 하고, 상기 제 1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 스위치의 조작을 무효로 하는 조작 제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효 조작 설정 조건이 성립되어 있는 경우는 제 2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 스위치만이 유효로 된다. 이것에 의해, 원격 조작 수단으로부터의 제 1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효 조작 설정 조건을 차량의 운전자가 운전에 전념해야할 상황일 때라고 한 경우, 유효 조작 설정 조건이 성립되어 있을 때에는 운전석용 표시 화상(제 1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을 무효로 하고, 조수석용 표시 화상(제 2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만을 유효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운전자가 원격 조작 수단의 조작에 정신을 빼앗기는 것이 억제되고, 차량 주행 시 안전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작 제어 장치(105)는, 상기 조작 제어 장치(1O4)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이 무효이고, 상기 제 2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이 유효인 것을 관찰자에게 고지하는 고지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관찰자는 원격 조작 수단에서 조작할 수 있는 표시 화상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조작성 및 편리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작 제어 장치(106)는, 제 1 방향으로부터는 보이고, 제 2 방향으로부터는 보이지 않는 제 1 표시 화상 표시와, 상기 제 2 방향으로부터는 보이고, 상기 제 1 방향으로부터는 보이지 않는 제 2 표시 화상 표시를 동일 화면 상에서 동시에 행하는 것이 가능한 표시 수단과, 상기 표시 수단의 화면에 중복되도록 배치되는 터치 패널을 가지고, 상기 제 1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신호를 출력하는 터치 패널형 조작 수단과, 상기 표시 수단과는 별체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신호를 출력하는 원격 조작 수단과, 상기 터치 패널형 조작 수단 및 상기 원격 조작 수단으로부터의 각 조작 신호에 따른 조작 제어를 행하는 조작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명(106)에 의하면, 제 1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은 터치 패널형 조작 수단에 의해 행할 수 있고, 제 2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은 원격 조작 수단으로부터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2개의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을 적절히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작 제어 장치(107)는, 상기 조작 제어 장치(106)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을 무효로 하고, 상기 제 2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을 유효로 하기 위한 유효 조작 설정 조건이 성립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유효 조작 설정 조건 판단 수단과, 상기 유효 조작 설정 조건 판단 수단에 의해 유효 조작 설정 조건이 성립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터치 패널형 조작 수단에 의한 조작만을 유효로 하고, 상기 원격 조작 수단에 의한 조작을 무효로 하는 조작 제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효 조작 설정 조건이 성립되어 있는 경우는, 원격 조작 수단에 의한 제 2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만이 유효로 된다. 이것에 의해, 제 1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효 조작 설정 조건을 차량의 운전자가 운전에 전념해야할 상황일 때라고 한 경우, 유효 조작 설정 조건이 성립되어 있을 때에는 운전석용 표시 화상(제 1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을 무효로 하고, 조수석용 표시 화상(제 2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만을 유효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운전자가 원격 조작 수단의 조작에 정신을 빼앗기는 것이 억제되고, 차량 주행 시 안전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작 제어 장치(108)는, 제 1 방향으로부터는 보이고, 제 2 방향으로부터는 보이지 않는 제 1 표시 화상 표시와, 상기 제 2 방향으로부터는 보이고, 상기 제 1 방향으로부터는 보이지 않는 제 2 표시 화상 표시를 동일 화면 상에서 동시에 행하는 것이 가능한 표시 수단과, 상기 표시 수단과는 별체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 또는 상기 제 2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신호를 출력하는 원격 조작 수단과, 상기 원격 조작 수단으로부터의 조작 신호에 따른 조작 제어를 행하는 조작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원격 조작 수단이 존재하는 방향을 검출하는 원격 조작 방향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조작 제어 수단은 상기 원격 조작 방향 검출 수단의 검출 방향에 따라, 상기 원격 조작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조작 신호에 따른 조작 제어의 실행을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명(108)에 의하면, 원격 조작 수단이 존재하는 방향이 검출되고, 검출 방향에 따라 제 1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 또는 제 2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에 따른 조작 제어의 실행이 금지된다. 따라서, 원격 조작 수단이 조작된 때 조작자가 어느 쪽 방향으로부터 조작한 것인지를 검출하여, 조작 규제 대상인 방향이면 조작에 따른 조작 제어의 실행을 금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에 적용한 경우, 운전석 방향으로부터의 조작에 따른 조작 제어를 금지하도록 하면, 주행 시 운전자에 의한 조작을 금지하고, 조수석 탑승자 등 다른 탑승자의 조작에 따른 조작 제어만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작 제어 장치(109)는, 제 1 방향으로부터는 보이고, 제 2 방향으로부터는 보이지 않는 제 1 표시 화상 표시와, 상기 제 2 방향으로부터는 보이고, 상기 제 1 방향으로부터는 보이지 않는 제 2 표시 화상 표시를 동일 화면 상에서 동시에 행하는 것이 가능한 표시 수단과, 상기 표시 수단과는 별체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 또는 상기 제 2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신호를 출력하는 원격 조작 수단과, 상기 원격 조작 수단으로부터 조작 신호에 따른 조작 제어를 행하는 조작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상기 원격 조작 수단이 존재하는 방향을 검출하는 원격 조작 방향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원격 조작 제어 수단은 상기 원격 조작 방향 검출 수단의 검출 방향에 따라, 조작 신호의 출력을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명(109)에 의하면, 원격 조작 수단이 존재하는 방향이 검출되고, 검출 방향에 따라 제 1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 또는 제 2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신호의 출력이 금지된다. 따라서, 원격 조작 수단이 조작된 때, 조작자가 어느 쪽 방향으로부터 조작한 것인지를 검출하여, 조작 규제 대상인 방향이면 조작에 대응한 조작 신호의 출력을 금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조작 규제 대상인 방향으로부터의 조작에 따른 조작 제어의 실행을 금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에 적용한 경우, 운전석 방향으로부터의 조작에 대응한 조작 신호의 출력을 금지하도록 하면, 주행 시 운전자에 의한 조작을 금지하고, 조수석 탑승자 등 다른 탑승자의 조작에 따른 조작 제어만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표시 장치가 갖는, 복수의 시(視) 방향에 대하여 개별 영상을 동일 화면 상에 표시시키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2는 실시예 1에 따른 표시 장치를 차량에 탑재한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a는 표시부를 정면으로부터 본 때의 표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b는 도 3a에서의 B-B선 단면도.
도 4는 표시부를 구성하는 TFT 기판의 개략을 나타내는 회로도.
도 5는 실시예 1에 따른 표시 장치가 채용된, 차량에 탑재되는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요부(要部)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6은 화상 출력부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7은 메모리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8은 제어부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9는 실시예 1에 따른 표시 장치의 외관 정면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표시부 주변의 형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1은 실시예 1에 따른 표시 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12의 (a)는 운전석용 영상에 사용되는 화소와 조수석용 영상에 사용되는 화소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12의 (b)는 운전석용 영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의 (c)는 조수석용 영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의 (a)는 운전석용 영상에 사용되는 화소와 조수석용 영상에 사용되는 화소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13의 (b)는 운전석용 영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의 (c)는 조수석용 영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의 (a)는 운전석용 영상에 사용되는 화소와 조수석용 영상에 사용되는 화소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14의 (b)는 운전석용 영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4의 (c)는 조수석용 영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실시예 1에 따른 표시 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1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17의 (a)는 운전석용 영상에 사용되는 화소와 조수석용 영상에 사용되는 화소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17의 (b)는 운전석용 영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7의 (c)는 조수석용 영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1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20의 (a)는 운전석용 영상에 사용되는 화소와 조수석용 영상에 사용되는 화소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20의 (b)는 운전석용 영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0의 (c)는 조수석용 영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실시예 2에 따른 표시 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2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2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2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25는 실시예 3에 따른 표시 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2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2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2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2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3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3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32는 실시예 4에 따른 표시 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33의 (a)는 운전석용 영상에 사용되는 화소와 조수석용 영상에 사용되는 화소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33의 (b)는 운전석용 영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3의 (c)는 조수석용 영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4의 (a)는 운전석용 영상에 사용되는 화소와 조수석용 영상에 사용되는 화소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34의 (b)는 운전석용 영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4의 (c)는 조수석용 영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5는 실시예 4에 따른 표시 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36은 실시예 5에 따른 표시 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37의 (a)는 운전석용 영상에 사용되는 화소와 조수석용 영상에 사용되는 화소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37의 (b)는 운전석용 영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7의 (c)는 조수석용 영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8의 (a)는 운전석용 영상에 대응할 수 있는 조작 스위치의 표시 범위 및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38의 (b)는 조수석용 영상에 대응할 수 있는 조작 스위치의 표시 범위 및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38의 (c)는 각 조작 스위치의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39는 실시예 5에 따른 표시 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4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4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4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43의 (a)는 운전석용 영상에 사용되는 화소와 조수석용 영상에 사용되는 화소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43의 (b)는 운전석용 영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3의 (c)는 조수석용 영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4의 (a)는 운전석용 영상에 대응할 수 있는 조작 스위치의 표시 범위 및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44의 (b)는 조수석용 영상에 대응할 수 있는 조작 스위치의 표시 범위 및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44의 (c)는 각 조작 스위치의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45는 실시예 6에 따른 표시 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4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4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4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49의 (a)는 실시예 7에 따른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표시부의 정면도이고, 도 49의 (b)는 (a)에서의 B-B선 단면도.
도 50은 실시예 7에 따른 표시 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51은 실시예 8에 따른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표시부의 정면도.
도 52는 실시예 9에 따른 표시 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53의 (a)는 터치 패널에 손가락이 접촉한 자국 및 검출점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3의 (b)는 검출점으로부터 구해지는 근사(近似) 직선을 나타내는 도면.
도 54의 (a)는 운전자가 터치 패널에 접촉한 경우의 손가락의 접촉 자국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4의 (b)는 조수석 탑승자가 터치 패널에 접촉한 경우의 손가락의 접촉 자국을 나타내는 도면.
도 55는 실시예 10에 따른 표시 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56의 (a)는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표시부에 표시되는 표시 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6의 (b)는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표시부에 표시되는 표시 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57은 분리 표시를 실현하는 표시 장치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58의 (a)는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표시부에 표시되는 표시 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8의 (b)는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표시부에 표시되는 표시 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59의 (a)는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표시부에 표시되는 표시 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9의 (b)는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표시부에 표시되는 표시 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60의 (a) 내지 (c)는 표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1은 실시예 11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요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62는 스피커 및 센서의 배치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3은 표시부의 단면 형상의 개략을 나타내는 도면.
도 64는 등록 시 동작 플로(flow)를 나타내는 도면.
도 65는 커스터마이즈(customize)용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66은 좌석 설정용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67은 인물 설정용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68은 소스 설정용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69의 (a)는 조수석 측의 조작 버튼 배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9의 (b)는 운전석 측의 조작 버튼 배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0의 (a)는 조수석 측의 조작 버튼 배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0의 (b)는 운전석 측의 조작 버튼 배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71은 조작 시 동작 플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2는 조작 버튼의 배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3은 실시예 12 내지 16에 따른 제어 시스템의 개략 블록도.
도 74는 표시 장치(20)의 정면도.
도 75는 표시 장치(20) 내 표시부(4)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76의 (a)는 표시부(4)의 운전석 측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76의 (b)는 표시부(4)의 조수석 측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77은 실시예 12에서의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78은 실시예 12에서의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79는 실시예 12에서의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80은 실시예 13에서의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81은 실시예 13에서의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82는 실시예 13에서의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83은 실시예 14에서의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84는 실시예 15에서의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85는 실시예 16에서의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표시 장치가 갖는, 복수의 시(視) 방향에 대하여 개별 영상을 동일 화면 상에 표시시키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면 중 1은 제 1 화상 소스를 나타내고, 도면 중 2는 제 2 화상 소스를 나타내고 있다. 화상 소스로서는 예를 들어 DVD 플레이어나 텔레비전 수신기, 내비게이션 장치 등을 들 수 있다.
제 1 화상 소스(1)로부터 얻어지는 제 1 화상 데이터(D1) 및 제 2 화상 소 스(2)로부터 얻어지는 제 2 화상 데이터(D2)는 표시 제어부(3)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이들 제 1 화상 데이터(D1) 및 제 2 화상 데이터(D2)는 표시 제어부(3)에 있어서 표시부(4)에서 실질적으로 동시에 표시할 수 있도록 처리가 실시되고, 처리된 표시 데이터(D3)는 표시부(4)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표시부(4)는 뒤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차(視差) 배리어(barrier)(26)를 구비한 액정 패널(21)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그 횡방향 총 화소의 반수(半數)(예를 들어 짝수 열)가 제 1 화상 소스(1)에 기초하는 제 1 표시 화상(5)의 표시에 사용되고, 나머지 반수(예를 들어 홀수 열)가 제 2 화상 소스(2)에 기초하는 제 2 표시 화상(6)의 표시에 사용되도록 되어 있다.
제 1 표시 화상(5)에 대한 화소는 표시부(4)에 대하여 우측에 위치하는 관찰자(이용자)(7)로부터는 보이지만, 제 2 표시 화상(6)에 대한 화소는 표시부(4)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시차 배리어(26)에 의해 차단되고, 관찰자(7)로부터는 보이지 않도록 되어 있다. 한편, 제 2 표시 화상(6)에 대한 화소는 표시부(4)에 대하여 좌측에 위치하는 관찰자(이용자)(8)로부터는 보이지만, 제 1 표시 화상(5)에 대한 화소는 표시부(4)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시차 배리어(26)에 의해 차단되고, 관찰자(8)로부터는 보이지 않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표시부(4)의 위치 관계에 따라, 환언하면 표시부(4)에 대한 시야각(視野角)에 따라, 제 2 표시 화상(6)은 보이지 않지만, 제 1 표시 화상(5)은 보이고, 한편 제 1 표시 화상(5)은 보이지 않지만, 제 2 표시 화상(6)은 보이는 상황을 만들어 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동일 화면 상에서 좌우의 관찰자(이용자)(7, 8)에게 상이한 정보나 콘텐츠를 제시할 수 있다. 물론, 제 1 화상 소스(1)와 제 2 화상 소스(2)가 동일하면, 좌우의 관찰자(7, 8)가 동일 표시 화상을 볼 수도 있다.
도 2는 표시 장치를 차량에 탑재한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표시부(4)는 운전석(11) 및 조수석(12)의 전방(前方), 윈드 실드(windshield)(3)의 하방(下方)에 설치된 대시 보드(dashboard)(14)의 거의 중앙에 배열 설치되고, 표시 장치에 대한 각종 조작은 표시부(4)의 표면에 형성된 터치 패널, 그 주위에 설치된 조작부(15), 또는 적외선이나 무선식 리모컨(도시 생략) 등의 조작에 의해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차량의 각 도어(door)(16)에는 스피커(17)가 배열 설치되고, 스피커(17)로부터 표시 화상에 연동한 음성이나 경고음 등이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어 제 1 시 방향으로 되는 운전석(11)으로부터는 내비게이션 장치의 지도 화상만을 보이도록 하고, 한편 제 2 시 방향으로 되는 조수석(12)으로부터는 텔레비전 수신 화상이나 DVD 영화 화상만을 보이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석(11)에 착석하고 있는 운전자(DR)가 카 내비게이션에 의한 운전 지원을 받으면서, 조수석(13)에 착석하고 있는 조수석 탑승자(PA)가 텔레비전이나 영화를 즐길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표시 화상은 표시부(4)의 화면 전체(예를 들어 7인치)를 사용하여 표시되기 때문에, 종래의 멀티 윈도(window) 표시와 같이 화면 사이즈는 작아지지 않는다. 즉, 운전자(DR)나 조수석 탑승자(PA)에게 있어서는 마치 화면을 점 유하고 있는 것처럼 되기 때문에, 운전자(DR), 조수석 탑승자(PA) 각각에 대하여 적절히 정보나 콘텐츠를 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표시 장치의 표시부(4)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a는 표시부(4)를 정면으로부터 본 때의 표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b는 도 3a에서의 B-B선 단면도이다. 표시부(4)는 액정 패널(21)과 백라이트(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액정 패널(21)은 백라이트(30)로부터 조금 격리하여 배열 설치되고, RGB색(3원색)으로 구성되는 화소를 가지고 있다.
또한, 액정 패널(21)은 TFT(Thin Film Transistor) 기판(23)과 컬러 필터 기판(24) 사이에 액정층(25)이 삽입된 기판(22)과, 시차 배리어(26)와, 유리 기판(27)이 백라이트(30) 측에 배열 설치된 편광판(28)과, 그 발광 방향 측의 전면(前面)에 배열 설치된 편광판(29) 사이에 삽입된 구조로 되어 있다. 액정 패널(21)로서는 예를 들어 횡방향이 800화소, 종방향이 480화소로 이루어지는 것이 채용된다.
액정 패널(21)의 각 화소는 우측(운전석(11))용 화소(RP)와, 좌측(조수석(12))용 화소(LP)로 종방향에 번갈아 그룹화되어 표시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즉, 액정 패널(21)의 횡방향 총 화소의 반수가 제 1 표시 화상(5)의 표시에, 나머지 반수의 화소가 제 2 표시 화상(6)의 표시에 사용되도록 되어 있다.
시차 배리어(26)는 횡방향에 소정의 간격(각 화소로부터의 광의 출사(出射) 방향을 좌우 중 어느 한쪽으로 규제할 수 있는 간격)으로 설치되고, 세로 스트라이 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시차 배리어(26)에 의해, 우측(운전석(11))용 화소(RP)는 좌측(운전석(12))으로의 표시는 차단되지만, 우측으로의 표시는 차단되지 않고, 우측의 운전석(11)으로부터는 보이도록 되어 있는 한편, 좌측(조수석(12))용 화소(LP)는 우측(운전석(11))으로의 표시는 차단되지만, 좌측으로의 표시는 차단되지 않고, 좌측의 조수석(12)으로부터는 보이도록 되어 있다.
즉, 우측으로부터 액정 패널(21)을 보면, 시차 배리어(26)가 좌측용 화소(LP)를 덮어 숨기고, 우측용 화소(RP)가 보이는 한편, 좌측으로부터 액정 패널(21)을 보면, 시차 배리어(26)가 우측용 화소(RP)를 덮어 숨기고, 좌측용 화소(LP)가 보인다. 또한, 정면 부근으로부터 액정 패널(21)을 보면, 우측용 화소(RP)와 좌측용 화소(LP)의 양쪽이 보이기 때문에, 제 1 표시 화상(5)과 제 2 표시 화상(6)이 겹친 듯이 보인다.
또한, 액정 패널(21)의 각 화소에 대한 표시 제어와 시차 배리어(26)의 배치 구성을 변경하면, 3방향 이상에 상이한 화상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시차 배리어(26)를 전기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액정 셔터(shutter) 등으로 구성하여 시야각을 가변(可變)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3의 번갈아 배열된 우측용 화소(RP) 및 좌측용 화소(LP)는 RGB색을 가지고 있지만, 각 그룹 종방향 내는 R열, G열, B열과 같이 단색으로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고, 또한 RGB가 복수 섞인 열로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 4는 표시부(4)를 구성하는 TFT 기판(23)의 개략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TFT 기판(23)은 주사선 구동 회로(31)와, 데이터선 구동 회로(32)와, 주사선 구동 회로(31)에 접속된 주사선(LSCAN1, LSCAN2, …)과, 데이터선 구동 회로(32)에 접속된 데이터선(LDATA1, LDATA2, …)과, 주사선 구동 회로(31) 및 데이터선 구동 회로(32)에 접속된 표시 패널 구동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각 주사선(LSCAN1, LSCAN2, …) 및 각 데이터선(LDATA1, LDATA2, …)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을 1단위로 하여, 복수의 서브 픽셀(SP)이 형성되고, 각 서브 픽셀(SP)에는 액정층(25)(도 3b 참조)에 전압을 인가하는 화소 전극(34)과 그것을 스위칭 제어하는 TFT 소자(35)가 형성되어 있다.
표시 패널 구동부(33)는 주사선 구동 회로(31) 및 데이터선 구동 회로(32)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주사선 구동 회로(31)는 TFT 소자(35)의 선택 주사를 행하고, 또한 데이터선 구동 회로(32)는 화소 전극(34)으로의 인가 전압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각 서브 픽셀(SP)은 제 1 화상 데이터(D1)(도 1 참조)와 제 2 화상 데이터(D2)의 합성 데이터, 또는 제 1 화상 데이터(D1), 제 2 화상 데이터(D2) 각각 개개의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데이터선(LDATA2, LDATA4)에 제 1 화소 데이터(D1)(우측 화상 표시용)를, 또한 데이터선(LDATA1, LDATA3)에 제 2 화소 데이터(D2)(좌측 화상 표시용)를 송신함으로써, 제 1 표시 화상(5)(도 1 참조)을 형성 하는 제 1 화상 데이터(D1) 그룹과 제 2 표시 화상(6)을 형성하는 제 2 화상 데이터(D2) 그룹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3방향 이상에 개별 화상을 표시시키는 경우에도, 상기와 동일한 구동 제어를 실시하면 되고, 예를 들어 3방향에 개별 화상을 표시시키기 위해서는 제 1, 제 2, 제 3 화상 데이터 그룹을 형성하도록 하면 된다.
도 5는 표시 장치가 채용된, 차량에 탑재되는 AV(Audio Visual)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요부(要部)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다만, 도 1∼도 4에서 설명한 각 부와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 부품에는 동일 부호를 첨부하는 것으로 한다.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CD/MD 재생부(101), 라디오 수신부(102), TV 수신부(103), DVD 재생부(104), HD(하드디스크) 재생부(105), 및 내비게이션부(106)를 포함하는 각종 소스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 각종 소스는 신호 라인을 통하여 분배 회로(107)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한, 외부 음성/영상 입력부(108)가 신호 라인을 통하여 분배 회로(107)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외부 음성/영상 입력부(108)에는 카메라(예를 들어 후방 감시용 카메라)(109)가 접속되어 있지만, 비디오 카메라나 게임기 등도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TV 수신부(103)에는 실렉터(selector)(110)가 접속되고, 실렉터(110)에는 차량의 우측 전방, 좌측 전방, 우측 후방, 좌측 후방 각각에 배열 설치된 안테나(110a∼110d)가 접속되어 있다. 내비게이션부(106)에는 VICS 정보 수신부(111)와 GPS 정보 수신부(112)가 접속되고, VICS 정보 수신부(111) 및 GPS 정보 수신부(112)에는 각각 안테나(111a, 112b)가 접속되어 있다.
분배 회로(107)는 신호 라인을 통하여 음성 조정 회로(113)와, 제 1 화상 조정 회로(114)와, 제 2 화상 조정 회로(115)에 각각 접속되고, 음성 조정 회로(113)는 각 도어(16)(도 2 참조)에 배열 설치된 스피커(17)에, 제 1 화상 조정 회로(114) 및 제 2 화상 조정 회로(115)는 신호 라인을 통하여 화상 출력부(116)에 접속되고, 화상 출력부(116)는 신호 라인을 통하여 표시부(4)의 액정 패널(21)에 신호 라인을 통하여 리어(rear) 표시부(117)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한, 리어 표시부(117)는 차량의 뒷좌석용으로 설치된 것이고, 화상 출력부(116)를 통하여 표시부(4)에 표시되는 화상과 동일한 것, 또는 운전석용 화상이나 조수석용 화상 중 한쪽을 표시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표시부(4)는 백라이트(30), 액정 패널(21), 및 터치 패널(118)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터치 패널(118)로의 조작 신호가 제어부(100)에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밝기 검지 수단(예를 들어 차량의 라이트 스위치나 광 센서 등)(119), 탑승자 검지 수단(예를 들어 압력 센서 등)(120),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통신 유닛(121), ETC 차량 탑재기(122), 리모컨(123)과 데이터 수수(授受)를 하는 리모컨 송수신부(124), 조작부(15), 및 메모리(125)가 제어부(100)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100)는 제어 라인을 통하여, 각종 소스(101∼106), 분배 회로(107), 외부 음성/영상 입력부(108), 각종 조정 회로(113∼115), 화상 출력부(116), 및 표시부(4) 등, 시스템 내의 각 부에 접속되어 있고, 시스템의 각 부를 통괄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6은 화상 출력부(116)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다만, 도 1∼도 5에서 설명한 각 부와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 부품에는 동일한 부호를 첨부하는 것으로 한다. 화상 출력부(116)는 제 1 화상 조정 회로(114)(도 5 참조)와 접속된 제 1 기입 회로(131)와, 제 2 화상 조정 회로(115)와 접속된 제 2 기입 회로(132)와, VRAM(133)과, 표시 패널 구동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 1 기입 회로(131)는 제 1 화상 조정 회로(114)에서 조정된 화상 데이터 중 화상의 짝수 열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를, 제 2 기입 회로(132)는 제 2 화상 조정 회로(115)에서 조정된 화상 데이터 중 화상의 홀수 열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를 기초로 하고, 각각 VRAM(133)에서의 해당하는 영역에 기입한다. 표시 패널 구동부(33)는 액정 패널(21)(도 3, 도 5 참조)을 구동시키기 위한 회로이고, VRAM(133)에 보존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제 1 화상 데이터(D1)와 제 2 화상 데이터(D2)의 합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액정 패널(21)이 대응하는 화소를 구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VRAM(133)에는 제 1 화상 데이터(D1)와 제 2 화상 데이터(D2)가 합성된 멀티뷰(multiview) 표시용 화상에 대응하도록 화상 데이터의 기입이 행해지고 있기 때문에, 구동 회로는 1개이어도 되고, 그 동작도 통상의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회로의 동작과 동일하다. 또한, 다른 형태로서, 제 1 화상 데이터(D1)와 제 2 화상 데이터(D2)를 합성하지 않고, 각각의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액정 패널(21)이 대응하는 화소를 구동하는 제 1 표시 패널 구동부 및 제 2 표시 패널 구동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도 7은 메모리(125)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메모리(125)는 사용자가 설정한 제 1 표시 화상(5)(도 1 참조) 및 제 2 표시 화상(6)의 화질 조정값을 각각 기입할 수 있는 제 1 화면 RAM(141) 및 제 2 화면 RAM(142)과, 제 1 표시 화상(5) 및 제 2 표시 화상(6)의 각 화질 조정용으로 미리 복수 단계의 조정값이 선택 가능하게 기억된 화질 설정 정보 기억 수단(143)과, 주위 환경에 대한 제 1 표시 화상(5) 및 제 2 표시 화상(6)의 화질의 조정 상태를 유지하는 대(對)환경 조정값 유지 수단(144)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화질 설정 정보 기억 수단(143), 및 대환경 조정값 유지 수단(144)은 플래시 메모리 등의 전기적 재기입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 또는 배터리 백업된 휘발성 메모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8은 제어부(100)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어부(100)는 시스템 내의 각 부와 접속된 인터페이스(151)와, 시스템 내의 각 부를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CPU(152)와, 시스템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이 기억된 프로그램 기억부(ROM)(153)와, 각종 데이터를 기억하는 데이터 기억부(RAM)(15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ROM(153)과 RAM(154)은 CPU(152)에 내장된 것이어도, 외부에 설치된 것이어도 되고, ROM(153)은 플래시 메모리와 같이 전기적으로 재기입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일 수도 있다.
제어부(10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터치 패널(118)이나 조작부(15), 리모컨(123) 등으로부터의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각종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예를 들어 각종 소스(101∼106) 및 분배 회로(107)를 제어하고, 선택된 2개의 소스 또는 1개의 소스의 화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의 출력을 제어하고, 선택된 소스의 화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를, 분배 회로(107)를 통하여, 화상 데이터이면 제 1 화상 조정 회로(114) 및 제 2 화상 조정 회로(115)에, 음성 데이터이면 음성 조정 회로(113)에 각각 분배시키는 제어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제 1 화상 조정 회로(114) 및 제 2 화상 조정 회로(115)에서는, 제어부(10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화상 데이터의 휘도나 색조, 콘트라스트 등이 조정되고, 조정된 화상 데이터는 화상 출력부(116)에 출력되고, 화상 출력부(116)에서는 제어부(10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액정 패널(21)을 구동시켜 화상을 표시하는 처리가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음성 조정 회로(113)에서는 제어부(10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각 스피커(17)로의 분배, 음량, 음성 등이 조정되고, 조정된 음성이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이들 각종 소스(101∼106)를 컨트롤하기 위한 조작 메뉴를 표시시키는 제어도 행하고 있다.
예를 들어 HD 재생부(105)가 선택된 경우, 하드 디스크(도시 생략)에 기록된 MP3 파일 등의 음악 데이터나 JPEG 파일 등의 화상 데이터, 내비게이션용 지도 데이터 등이 판독되고, 음악 데이터 등을 선택하기 위한 메뉴 표시나 화상 데이터가 표시부(4)에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내비게이션부(106)는 내비게이션을 위해 이용되는 지도 정보를 기억한 지도 정보 기억부(상기 하드 디스크의 일부 영역을 사용)를 구비하고 있고, VICS 정보 수신부(111)나 GPS 정보 수신부(112)를 통하여 취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내비게이션 화상을 표시부(4)에 표시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TV 수신부(103)는 실렉터(110)에서 선택된 안테나(110a∼ 110d)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원하는 아날로그 TV 방송파나 디지털 TV 방송파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밝기 검지 수단(119)이나 탑승자 검지 수단(120)에 의해 검지된 정보를 기초로, 출력 화상이나 음성의 설정을 변경하는 제어 등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통신 유닛(121)과 ETC 차량 탑재기(122)가 제어부(100)에 접속되어 있고, 제어부(100)는 ETC 차량 탑재기(122)로부터의 요금 정보 등을 표시부(4)에 표시시키는 제어를 행하거나, 휴대 전화 등과 무선 접속하기 위한 통신 유닛(121)을 제어하여, 상기 제어에 관한 정보를 표시부(4)에 표시시키는 제어 등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화질 설정 정보나 프로그램, 차량 정보 등의 각종 설정 정보를 메모리(125)에 기억시키는 처리도 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도 1∼도 8은 이하에 설명하는 모든 실시예에 공통되는 구성을 설명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표시 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실시예 1에 따른 표시 장치의 외관 정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 중 201은 표시 장치를 나타내고 있고, 표시 장치(201)는 터치 패널(118)이 그 표면에 구성된 표시부(4)와, 그 주위에 설치된 조작부(15)(조작 스위치(15a∼15h))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표시부(4)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차 배리어(26) 등을 포함하여 구 성되고, 동일 화면 상에서 운전석용 영상(GDR)과 조수석용 영상(GPA)을 분리하여 표시하고, 운전자(DR)에게는 운전석용 영상(GDR)을 시인(視認)시키고, 조수석 탑승자(PA)에게는 조수석용 영상(GPA)을 시인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표시부(4)의 상하 양단(兩端)에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외선 LED(4a)와 포토 트랜지스터(4b)가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들 적외선 LED(4a) 및 포토 트랜지스터(4b)는 조작 입력이 어떤 방향(운전석 또는 조수석)으로부터의 것인지의 판단에 사용되는 것이다.
표시부(4)에 손가락 등이 접근하면, 적외선 LED(4a)로부터 발광된 적외광이 차단되고, 포토 트랜지스터(4b)에 적외광이 도달하지 않게 되며, 그 포토 트랜지스터(4b)가 오프(off) 상태로 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어 우측에 존재하는 포토 트랜지스터(4b)로부터 차례로 오프가 되어 간 경우, 우측, 즉 운전석 측으로부터 손가락이 접근하여온 것이 되고, 그 반대로 좌측에 존재하는 포토 트랜지스터(4b)로부터 차례로 오프가 되어 간 경우, 좌측, 즉 조수석 측으로부터 손가락이 접근하여온 것이 된다.
또한, 제어부(100)는 각 포토 트랜지스터(4b)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되고, 포토 트랜지스터(4b)의 온(on)/오프(off) 상태를 인식할 수 있으며, 조작 입력이 어떤 방향으로부터의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되고 있다. 또한, 조작 입력이 어떤 방향으로부터의 것인지의 판단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에서 판단할 경우에는 적외선 LED(4a)나 포토 트랜지스터(4b)는 반드시 필요로 하지 않는다.
실시예 1에 따른 표시 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의 제어부(100)가 행하는 처리 동작 [1-1]을 도 11에 나타낸 플로차트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 처리 동작 [1-1]은 운전자(DR)에게는 운전석용 영상(GDR)을 시인시키고, 조수석 탑승자(PA)에게는 조수석용 영상(GPA)을 시인시키기 위한 분리 표시(멀티뷰)가, 표시부(4)에 형성된 조작 스위치나 조작부(15), 리모컨(123) 등이 조작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지시된 경우에 행해지는 동작이다.
또한, 분리 표시가 기본으로 되어 있을 경우(즉,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전원 온(on) 이후부터 분리 표시가 되어 있을 경우)에는 사용자로부터의 분리 표시의 지시는 필요 없고, 이제부터 설명하는 처리 동작 [1-1]은 불필요하게 되며, 분리 표시가 행해지고 있음을 나타내기 위한 분리 표시 플래그(fSE)에 대해서도 불필요하게 된다. 다만, 조작 입력이 어떤 방향으로부터의 것인지의 판단에 적외선 LED(4a) 및 포토 트랜지스터(4b)를 사용할 경우에는, 어떠한 타이밍에서 적외선 LED(4a)로부터 적외광을 발광시키는 등 하여, 표시부(4)에 접근하는 물체(예를 들어 손가락)를 검지할 수 있는 상태로 할 필요가 있다.
사용자로부터 분리 표시가 지시되면, 우선 소정의 조건에 기초하여,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영상 중 한쪽을 운전석용 영상(GDR)으로 표시하고, 나머지를 조수석용 영상(GPA)으로 표시하며(스텝 S1), 다음으로 운전석용 영상(GDR)의 우측 상부에 분리 표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 스위치(41DR)를 형성하는 동시에, 조수석용 영상(GPA)의 좌측 상부에 분리 표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 스위치(41PA)를 형성한다(스텝 S2). 또한, 분리 표시의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목적지까지 유도하기 위한 지도 영상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는, 그 지도 영상을 운전석용 영상(GDR)으로 하고, 텔레비전 영상이나 영화 등은 조수석용 영상(GPA)으로 하는 방법이나, 각 시 방향 각각에서의 라스트 메모리(last memory)나 빈도가 높은 것을 표시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도 12의 (a)는 운전석용 영상(GDR)에 사용되는 화소와 조수석용 영상(GPA)에 사용되는 화소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12의 (b)는 운전석용 영상(GDR)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의 (c)는 조수석용 영상(GPA)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횡방향 총 화소 수의 반수의 짝수 열(우측용 화소(RP))이 운전석용 영상(GDR)에 사용되고, 홀수 열(좌측용 화소(LP))이 조수석용 영상(GPA)에 사용되고 있다.
도 12로부터, 영역(E1) 내에 해제 스위치(41DR)가 배치되고, 영역(E1)과는 중복되지 않는 영역(E2) 내에 해제 스위치(41PA)가 배치되고, 해제 스위치(41DR)는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 입력만을 접수하도록 되어 있고, 해제 스위치(41DR)는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입력만을 접수하도록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운전석용 영상(GDR)에 설치된 조작 스위치(42DR∼47DR)와, 조수석용 영상(GPA)에 설치된 조작 스위치(42PA∼47PA)는 동일 영역(E3∼E8) 내에 배치되고, 이들 조작 스위치는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표시 화면 상에서의 조작 영역, 및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표시 화면 상에서의 조작 영역이 중복되도록 되어 있다.
운전석용 영상(GDR)에 설치된 조작 스위치(48DR)는 영역(E9)에 배치되고, 조수석용 영상(GPA)에 설치된 조작 스위치(48PA)는 영역(E9)에 중복되지 않는 영역(E10)에 배치되며, 조작 스위치(48DR)는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 입력만을 접수하도록 되어 있고, 조작 스위치(48PA)는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입력만을 접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12에서는 영역(E1) 내에 해제 스위치(41DR)가 배치되고, 영역(E1)과는 중복되지 않는 영역(E2) 내에 해제 스위치(41PA)가 배치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제 스위치(41DR)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E1) 내에 해제 스위치(41PA)를 배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2에서는 영역(E9) 내에 조작 스위치(48DR)가 배치되고, 영역(E9)과는 중복되지 않는 영역(E10) 내에 조작 스위치(48PA)가 배치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스위치의 배치에 대해서는 운 전석용 영상(GDR)과 조수석용 영상(GPA)에서 동일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조작 스위치(42DR∼47DR과 42PA∼47PA)의 배치에 대해서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전석용 영상(GDR)과 조수석용 영상(GPA)에서 동일하도록 하고, 해제 스위치(41DR과 41PA)의 배치에 대해서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전석용 영상(GDR)과 조수석용 영상(GPA)에서 동일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분리 표시가 기본으로 되어 있을 경우에는, 해제 스위치(41DR과 41PA)는 불필요해진다. 또한, 도 13,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제 스위치나 조작 스위치를 배치한 경우의 처리 동작에 대해서는, 나중에 도 21∼도 28에 나타낸 플로차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표시부(4)의 주위에 배치되어 있는 조작 스위치(15a∼15h)(도 9 참조)에 대해서는 운전석용 영상(GDR), 및 조수석용 영상(GPA) 중 어느 것에도 대응할 수 있는 것만이어도 되고, 어느 한쪽에만 대응할 수 있는 것이어도 되며, 이들이 혼재되어 있어도 된다.
스텝 S2에서의 처리 후, 표시부(4)에 설치되어 있는 적외선 LED(4a)로부터 적외광을 발광시켜, 표시부(4)에 접근하는 물체(예를 들어 손가락)를 검지할 수 있는 상태로 하고(스텝 S3), 그 후 분리 표시가 행해지고 있음을 나타내기 위한 분리 표시 플래그(fSE)를 1로 한다(스텝 S4).
다음으로, 실시예 1에 따른 표시 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의 제어부(100)가 행하는 처리 동작 [1-2]를 도 15에 나타낸 플로차트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 처리 동작 [1-2]는 상기 분리 표시가 행해지고 있을 때(즉, 분리 표시 플래그(fSE)가 1일 때), 사용자에 의해 표시부(4)에 형성된 해제 스위치(41DR, 41PA)나 조작 스위치(42DR∼48DR, 42PA∼48PA), 조작부(15)를 구성하는 조작 스위치(15a∼15h) 등이 조작된 경우에 행해지는 동작이다. 다만, 상기한 바와 같이, 분리 표시가 기본으로 되어 있을 경우에는, 당연히 분리 표시 플래그(fSE)는 불필요하고, 분리 표시 플래그(fSE)가 1인 것은 개시(開始) 조건에 포함되지 않는다.
우선, 어느 조작 스위치의 조작이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S11),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표시 화면 상에서의 조작 영역, 및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표시 화면 상에서의 조작 영역이 중복되는 조작 스위치(중복 스위치(예를 들어 조작 스위치(42DR∼47DR, 42PA∼47PA)))가 조작되었다고 판단되면, 다음으로 포토 트랜지스터(4b)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석 측으로부터 조작되었는지, 또는 조수석 측으로부터 조작되었는지를 판단한다(스텝 S12).
표시부(4)의 하부 우측에 존재하는 포토 트랜지스터(4b)로부터 차례로 오프 상태로 되어간 경우, 우측으로부터 손가락이 접근하여온 것이 되기 때문에, 상기 조작이 운전석 측으로부터 행해졌다고 판단하고, 그 반대로 표시부(4)의 하부 좌측에 존재하는 포토 트랜지스터(4b)로부터 차례로 오프 상태로 되어간 경우, 좌측으로부터 손가락이 접근하여온 것이 되기 때문에, 상기 조작이 조수석 측으로부터 행 해졌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조작 입력이 어떤 방향으로부터의 것인지의 판단 형태로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손가락(인체)이 발(發)하는 적외선을 검출하는 적외선 센서를 표시부(4)의 좌우 양단에 설치하고, 적외선의 검출 상태로부터 판단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그 외의 형태에 대해서는, 나중에 정리하여 도 49∼도 55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스텝 S12에서 상기 조작이 운전석 측으로부터 행해졌다고 판단되면,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상기 조작에 따른 조작 제어를 행하고(스텝 S13), 한편 상기 조작이 조수석 측으로부터 행해졌다고 판단되면,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상기 조작에 따른 조작 제어를 행한다(스텝 S14).
또한, 스텝 S11에서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응하는 조작 입력만을 접수하는 조작 스위치(예를 들어 조작 스위치(48DR), 다만 해제 스위치(41DR)는 제외함)가 조작되었다고 판단되면, 다음으로 포토 트랜지스터(4b)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이 운전석 측으로부터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5).
상기 조작이 운전석 측으로부터 행해진 것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조작에 따른 조작 제어를 행하고(스텝 S16), 한편 상기 조작이 운전석 측으로부터 행해지고 있지 않다(즉, 상기 조작이 조수석 측으로부터 행해졌다)고 판단되면, 상기 조작을 오조작으로 간주하고, 그대로 처리 동작 [1-2]를 종료한다.
또한, 스텝 S11에서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입력만을 접수하는 조작 스위치(예를 들어 조작 스위치(48PA), 다만 해제 스위치(41PA)는 제외함)가 조작되었다고 판단되면, 다음으로 포토 트랜지스터(4b)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이 조수석 측으로부터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7).
상기 조작이 조수석 측으로부터 행해졌다고 판단되면, 상기 조작에 따른 조작 제어를 행하고(스텝 S18), 한편 상기 조작이 조수석 측으로부터 행해지고 있지 않다(즉, 상기 조작이 운전석 측으로부터 행해졌다)고 판단되면, 상기 조작을 오조작으로 간주하고, 그대로 처리 동작 [1-2]를 종료한다.
또한, 스텝 S11에서 운전석용 영상(GDR)에 설치된, 분리 표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 스위치(41DR)가 조작되었다고 판단되면, 다음으로 포토 트랜지스터(4b)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이 운전석 측으로부터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9).
상기 조작이 운전석 측으로부터 행해졌다고 판단되면, 해제 스위치(41DR, 41PA)를 화면 상으로부터 소거하고(스텝 S20), 2개의 영상 중, 운전석용 영상(GDR)을 소거하고, 조수석용 영상(GPA)을 전체 화면 표시로 하며(스텝 S21), 그 후 분리 표시 플래그(fSE)를 0으로 되돌린다(스텝 S22). 한편, 상기 조작이 운전석 측으로부터 행해지고 있지 않다(즉, 상기 조작이 조수석 측으로부터 행해졌다)고 판단되면, 상기 조작을 오조작으로 간주하고, 그대로 처리 동작 [1-2]를 종료한다.
또한, 스텝 S11에서 조수석용 영상(GPA)에 설치된, 분리 표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 스위치(41PA)가 조작되었다고 판단되면, 다음으로 포토 트랜지스터(4b)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이 조수석 측으로부터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3).
상기 조작이 조수석 측으로부터 행해졌다고 판단되면, 해제 스위치(41DR, 41PA)를 화면 상으로부터 소거하고(스텝 S24), 2개의 영상 중, 조수석용 영상(GPA)을 소거하고, 운전석용 영상(GDR)을 전체 화면 표시로 하며(스텝 S25), 그 후 분리 표시 플래그(fSE)를 0으로 되돌린다(스텝 S26). 한편, 상기 조작이 조수석 측으로부터 행해지고 있지 않다(즉, 상기 조작이 운전석 측으로부터 행해졌다)고 판단되면, 상기 조작을 오조작으로 간주하고, 그대로 처리 동작 [1-2]를 종료한다.
여기서는, 스텝 S12∼S14의 처리 동작과 같이, 조작 방향이 판명되면, 그에 따른 조작 제어를 행하도록 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제어를 행하기 전에 상기 조작 제어의 내용을 사용자에게 고지하고(스텝 S12a, S12c, S15a, S17a), 사용자에게 확인의 기회를 주고(확인 정보의 입력을 요구하고), 사용자로부터 소정 기간(예를 들어 3초) 내에 최소하는 의사 표시(확인 정보의 입력)가 되면(스텝 S12b, S12d, S15b, S17b), 상기 조작 제어를 실시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고지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스피커(17)로부터 음성으로 출력하는 방법이나 고지 화상을 표시하는 방법을 들 수 있 다.
또한, 사용자의 취소 의사를 확인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취소」라고 발성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이나,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취소 스위치(49DR, 49PA)를 설치하여 취소 스위치(49DR, 49PA)가 눌렸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조작 제어의 내용을 고지함으로써, 어떠한 조작이 있었던 사항을 고지하도록 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취소 스위치」나 후술하는 「확정 스위치」를 표시함으로써, 어떠한 조작이 있었던 사항을 고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는,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표시 화면 상에서의 조작 영역, 및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표시 화면 상에서의 조작 영역이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조작 스위치(42DR∼47DR, 42PA∼47PA)(중복 스위치)로의 조작에 따른 조작 제어이고, 예를 들어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 제어가 취소된 경우,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제어를 행하고(스텝 S12e), 그 반대로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제어가 취소된 경우,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 제어를 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스텝 S12f). 이것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조작 제어가 실시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조작의 수정 작업 등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는,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제어를 행하기 전에 상기 조작 제어의 내용을 사용자에게 고지하고(스텝 S12a, S12c, S15a, S17a), 사용자에게 확인의 기회를 주고(확인 정보의 입력을 요구하고), 사용자로부터 소정 기간(예를 들어 3초) 내에 확정하는 의사 표시(확인 정보의 입력)가 되면(스텝 S12g, S12h, S15c, S17c), 상기 조작 제어를 실시하고, 확정하는 의사 표시가 되지 않으면, 상기 조작 제어를 실시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의 확정 의사를 확인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OK」라고 발성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이나,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확정 스위치(50DR, 50PA)를 설치하여 확정 스위치(50DR, 50PA)가 눌렸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표시 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의하면,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표시 화면 상에서의 조작 영역, 및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표시 화면 상에서의 조작 영역이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조작 스위치(예를 들어 도 12에 나타낸 조작 스위치(42DR∼47DR, 42PA∼47PA)와 같이, 동일 영역 내에 배치된 조작 스위치)로의 조작이 운전석 측으로부터인지, 조수석 측으로부터인지가 판단되고, 상기 조작이 운전석 측으로부터라고 판단된 경우,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상기 조작에 따른 조작 제어가 행해지고, 한편 상기 조작이 조수석 측으로부터라고 판단된 경우,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상기 조작에 따른 조작 제어가 행 해진다.
예를 들어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표시 화면 상에서의 조작 영역, 및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표시 화면 상에서의 조작 영역이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조작 스위치(42DR, 42PA)(중복 스위치)가 운전자(DR)에 의해 조작된 경우,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만이 유효로 되고(즉, 조작 스위치(42DR)가 조작된 것으로 되고),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은 무효로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적절한 조작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표시 화면 상에서의 조작 영역, 및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표시 화면 상에서의 조작 영역이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조작 스위치(42DR∼47DR, 42PA∼47PA)(중복 스위치)로의 조작이 실행된 경우에도, 사용자가 원하는 조작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환언하면, 도 12에 나타낸 조작 스위치(42DR∼47DR, 42PA∼47PA)와 같이, 동일 영역 내에 상이한 성질의 조작 스위치를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표시 화면 상을 더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표시 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다만, 상기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제어부(100)를 제외하고, 도 5에 나타낸 AV 내비게이션 시스템과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제어부에는 상이한 부호를 첨부 하고, 그 외의 설명을 여기서는 생략한다.
제어부(100A)는 제어부(100)에서 행해지는, 처리 동작 [1-1](도 11 참조)과 동일한 처리 동작 [2-1]을 행하고, 도 1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소 표시를 제어하고, 도 1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운전석용 영상(GDR)을 표시하며, 도 13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수석용 영상(GPA)을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실시예 2에 따른 표시 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의 제어부(100A)가 행하는 처리 동작 [2-2]를 도 21에 나타낸 플로차트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 처리 동작 [2-2]는 상기 분리 표시가 행해지고 있을 때(즉, 분리 표시 플래그(fSE)가 1일 때), 사용자에 의해 표시부(4)에 형성된 해제 스위치(41DR, 41PA)나 조작 스위치(42DR∼48DR, 42PA∼48PA), 조작부(15)를 구성하는 조작 스위치(15a∼15h) 등이 조작된 경우에 행해지는 동작이다.
우선, 어느 조작 스위치의 조작이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S111),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표시 화면 상에서의 조작 영역, 및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표시 화면 상에서의 조작 영역이 중복되는 조작 스위치(중복 스위치(예를 들어 조작 스위치(42DR∼47DR, 42PA∼47PA), 다만 해제 스위치(41DR, 41PA)는 제외함))가 조작되었다고 판단되면, 다음으로 포토 트랜지스터(4b)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이 운전석 측으로부터 행해졌는지, 또는 상기 조작이 조수석 측으로부터 행해졌는지를 판단한다(스텝 S112).
상기 조작이 운전석 측으로부터 행해졌다고 판단되면,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상기 조작에 따른 조작 제어를 행하고(스텝 S113), 한편 상기 조작이 조수석 측으로부터 행해졌다고 판단되면,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상기 조작에 따른 조작 제어를 행한다(스텝 S114).
또한, 스텝 S111에서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응하는 조작 입력만을 접수하는 조작 스위치(예를 들어 조작 스위치(48DR))가 조작되었다고 판단되면, 다음으로 포토 트랜지스터(4b)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이 운전석 측으로부터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15).
상기 조작이 운전석 측으로부터 행해졌다고 판단되면, 상기 조작에 따른 조작 제어를 행하고(스텝 S116), 한편 상기 조작이 운전석 측으로부터 행해지고 있지 않다(즉, 상기 조작이 조수석 측으로부터 행해졌다)고 판단되면, 상기 조작을 오조작으로 간주하고, 그대로 처리 동작 [2-2]를 종료한다.
또한, 스텝 S111에서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응하는 조작 입력만을 접수하는 조작 스위치(예를 들어 조작 스위치(48PA))가 조작되었다고 판단되면, 다음으로 포토 트랜지스터(4b)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이 조수석 측으로부터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17).
상기 조작이 조수석 측으로부터 행해졌다고 판단되면, 상기 조작에 따른 조작 제어를 행하고(스텝 S118), 한편 상기 조작이 조수석 측으로부터 행해지고 있지 않다(즉, 상기 조작이 운전석 측으로부터 행해졌다)고 판단되면, 상기 조작을 오조작으로 간주하고, 그대로 처리 동작 [2-2]를 종료한다.
또한, 스텝 S111에서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표시 화면 상에서의 조작 영역, 및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표시 화면 상에서의 조작 영역이 중복되는 해제 스위치(41DR, 41PA)가 조작되었다고 판단되면, 다음으로 포토 트랜지스터(4b)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이 운전석 측으로부터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19).
상기 조작이 운전석 측으로부터 행해졌다고 판단되면, 해제 스위치(41DR, 41PA)를 화면 상으로부터 소거하고(스텝 S120), 2개의 영상 중, 운전석용 영상(GDR)을 소거하고, 조수석용 영상(GPA)을 전체 화면 표시로 하며(스텝 S121), 그 후 분리 표시 플래그(fSE)를 0으로 되돌린다(스텝 S122).
한편, 상기 조작이 운전석 측으로부터 행해지고 있지 않다(즉, 상기 조작이 조수석 측으로부터 행해졌다)고 판단되면, 해제 스위치(41DR, 41PA)를 화면 상으로부터 소거하고(스텝 S123), 2개의 영상 중, 조수석용 영상(GPA)을 소거하고, 운전석용 영상(GDR)을 전체 화면 표시로 하며(스텝 S124), 그 후 분리 표시 플래그(fSE)를 0으로 되돌린다(스텝 S125).
여기서는, 스텝 S112∼S114의 처리 동작과 같이, 조작 방향이 판명되면, 그 에 따른 조작 제어를 행하도록 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는,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제어를 행하기 전에 상기 조작 제어의 내용을 사용자에게 고지하고(스텝 S112a, S112c, S115a, S117a), 사용자에게 확인의 기회를 주고(확인 정보의 입력을 요구하고), 사용자로부터 소정 기간(예를 들어 3초) 내에 취소하는 의사 표시(확인 정보의 입력)가 되면(스텝 S112b, S112d, S115b, S117b), 상기 조작 제어를 실시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고지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스피커(17)로부터 음성으로 출력하는 방법이나, 고지 화상을 표시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취소 의사를 확인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취소」라고 발성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이나, 도 17에서 나타낸 것과 동일하게, 취소 스위치를 설치하여 취소 스위치가 눌렸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조작 제어의 내용을 고지함으로써, 어떠한 조작이 있었던 사항을 고지하도록 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취소 스위치」나 후술하는 「확정 스위치」를 표시함으로써, 어떠한 조작이 있었던 사항을 고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는,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표시 화면 상에서의 조작 영역, 및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표시 화면 상에서의 조작 영역이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조작 스위치(42DR ∼47DR, 42PA∼47PA)(중복 스위치)로의 조작에 따른 조작 제어이고, 예를 들어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 제어가 취소된 경우,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제어를 행하고(스텝 S112e), 그 반대로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제어가 취소된 경우,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 제어를 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스텝 S112f). 이것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조작 제어가 실시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조작의 수정 작업 등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는,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제어를 행하기 전에 상기 조작 제어의 내용을 사용자에게 고지하고(스텝 S112a, S112c, S115a, S117a), 사용자에게 확인의 기회를 주고(확인 정보의 입력을 요구하고), 사용자로부터 소정 기간(예를 들어 3초) 내에 확정하는 의사 표시(확인 정보의 입력)가 되면(스텝 S112g, S112h, S115c, S117c), 상기 조작 제어를 실시하고, 확정하는 의사 표시가 되지 않으면, 상기 조작 제어를 실시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의 확정 의사를 확인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OK」라고 발성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이나, 도 20에서 나타낸 것과 동일하게, 확정 스위치를 설치하여 확정 스위치가 눌렸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표시 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다만, 상기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제어부(100)를 제외하고, 도 5에 나타낸 AV 내비게이션 시스템과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제어부에는 상이한 부호를 첨부하고, 그 외의 설명을 여기서는 생략한다.
제어부(100B)는 제어부(100)에서 행해지는, 처리 동작 [1-1](도 11 참조)과 동일한 처리 동작 [3-1]을 행하고, 도 1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소 표시를 제어하고, 도 1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운전석용 영상(GDR)을 표시하며, 도 14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수석용 영상(GPA)을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실시예 3에 따른 표시 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의 제어부(100B)가 행하는 처리 동작 [3-2]를 도 25에 나타낸 플로차트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 처리 동작 [3-2]는 상기 분리 표시가 행해지고 있을 때(즉, 분리 표시 플래그(fSE)가 1일 때), 사용자에 의해 표시부(4)에 형성된 해제 스위치(41DR, 41PA)나 조작 스위치(42DR∼47DR, 42PA∼47PA), 조작부(15)를 구성하는 조작 스위치(15a∼15h) 등이 조작된 경우에 행해지는 동작이다.
우선, 어느 조작 스위치의 조작이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S211),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표시 화면 상에서의 조작 영역, 및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표시 화면 상에서의 조작 영역이 중복되는 조작 스위치(중복 스위치(예를 들어 조작 스위치(42DR∼47DR, 42PA∼47PA)))가 조작되었다고 판단되면, 다음으로 포토 트랜지스터(4b)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이 운적석 측으로부터 행해졌는지, 또는 상기 조작이 조수석 측으로부터 행해졌는지를 판단한 다(스텝 S212).
스텝 S212에서 상기 조작이 운전석 측으로부터 행해졌다고 판단되면,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상기 조작에 따른 조작 제어를 행하고(스텝 S213), 한편 상기 조작이 조수석 측으로부터 행해졌다고 판단되면,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상기 조작에 따른 조작 제어를 행한다(스텝 S214).
또한, 스텝 S211에서 운전석용 영상(GDR)에 설치된, 분리 표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 스위치(41DR)가 조작되었다고 판단되면, 다음으로 포토 트랜지스터(4b)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이 운전석 측으로부터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19).
상기 조작이 운전석 측으로부터 행해졌다고 판단되면, 해제 스위치(41DR, 41PA)를 화면 상으로부터 소거하고(스텝 S220), 2개의 영상 중, 운전석용 영상(GDR)을 소거하고, 조수석용 영상(GPA)을 전체 화면 표시로 하며(스텝 S221), 그 후 분리 표시 플래그(fSE)를 0으로 되돌린다(스텝 S222). 한편, 상기 조작이 운전석 측으로부터 행해지고 있지 않다(즉, 상기 조작이 조수석 측으로부터 행해졌다)고 판단되면, 상기 조작을 오조작으로 간주하고, 그대로 처리 동작 [3-2]를 종료한다.
또한, 스텝 S211에서 조수석용 영상(GPA)에 설치된, 분리 표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 스위치(41PA)가 조작되었다고 판단되면, 다음으로 포토 트랜지스터(4b)로 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이 조수석 측으로부터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23).
상기 조작이 조수석 측으로부터 행해졌다고 판단되면, 해제 스위치(41DR, 41PA)를 화면 상으로부터 소거하고(스텝 S224), 2개의 영상 중, 조수석용 영상(GPA)을 소거하고, 운전석용 영상(GDR)을 전체 화면 표시로 하며(스텝 S225), 그 후 분리 표시 플래그(fSE)를 0으로 되돌린다(스텝 S226). 한편, 상기 조작이 조수석 측으로부터 행해지고 있지 않다(즉, 상기 조작이 운전석 측으로부터 행해졌다)고 판단되면, 상기 조작을 오조작으로 간주하고, 그대로 처리 동작 [3-2]를 종료한다.
여기서는, 스텝 S212∼S214, S219∼S226의 처리 동작과 같이, 조작 방향이 판명되면, 그에 따른 조작 제어를 행하도록 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는,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제어를 행하기 전에 상기 조작 제어의 내용을 사용자에게 고지하고(스텝 S212a, S212c, S219a, S223a), 사용자에게 확인의 기회를 주고(확인 정보의 입력을 요구하고), 사용자로부터 소정 기간(예를 들어 3초) 내에 취소하는 의사 표시(확인 정보의 입력)가 되면(스텝 S212b, S212d, S219b, S223b), 상기 조작 제어를 실시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고지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스피커(17)로부터 음성으로 출력하는 방법이나 고지 화상을 표시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취소 의사를 확인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취소」라고 발성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이나, 도 17에서 나타낸 바 와 같이, 취소 스위치를 설치하여 취소 스위치가 눌렸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조작 제어의 내용을 고지함으로써, 어떠한 조작이 있었던 사항을 고지하도록 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취소 스위치」나 후술하는 「확정 스위치」를 표시함으로써, 어떠한 조작이 있었던 사항을 고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는,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표시 화면 상에서의 조작 영역, 및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표시 화면 상에서의 조작 영역이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조작 스위치(42DR∼47DR, 42PA∼47PA)(중복 스위치)로의 조작에 따른 조작 제어이고, 예를 들어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 제어가 취소된 경우,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제어를 행하고(스텝 S212e), 그 반대로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제어가 취소된 경우,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 제어를 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스텝 S212f). 이것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조작 제어가 실시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조작의 수정 작업 등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는,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제어를 행하기 전에 상기 조작 제어의 내용을 사용자에게 고지하고(스텝 S212a, S212c, S219a, S223a), 사용자에게 확인의 기회를 주고(확인 정보의 입력을 요구하 고), 사용자로부터 소정 기간(예를 들어 3초) 내에 확정하는 의사 표시(확인 정보의 입력)가 되면(스텝 S212g, S212h, S219c, S223c), 상기 조작 제어를 실시하고, 확정하는 의사 표시가 되지 않으면, 상기 조작 제어를 실시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의 확정 의사를 확인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OK」라고 발성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이나, 도 20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확정 스위치를 설치하여 확정 스위치가 눌렸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조작 제어의 내용을 고지하지 않고, 「취소 스위치」, 「확정 스위치」를 표시함으로써, 어떠한 조작이 있었던 사항을 고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 따른 표시 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는, 도 12∼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표시 화면 상에서의 조작 영역, 및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표시 화면 상에서의 조작 영역이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조작 스위치(42DR∼47DR, 42PA∼47PA)(중복 스위치)가 조작된 경우, 조작 입력이 어떤 방향으로부터의 것인지를 판단함으로써 적절한 처리를 행하도록 되어 있지만, 다음으로 상술한 조작 입력의 방향을 판별하는 수단(적외선 LED(4a) 및 포토 트랜지스터(4b) 등)이나 후술하는 조작 입력의 방향을 판별하는 수단(도 49∼도 55 참조)을 구비하지 않을 경우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 동작을 도 29에 나타낸 플로차트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여기서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은 표시가 행해지고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3,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은 표시의 경우에 대해서는, 나중에 도 30, 도 31에 나타낸 플로차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어느 조작 스위치의 조작이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S311),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표시 화면 상에서의 조작 영역, 및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표시 화면 상에서의 조작 영역이 중복되는 조작 스위치(중복 스위치(예를 들어 조작 스위치(42DR∼47DR, 42PA∼47PA))가 조작되었다고 판단되면, 다음으로 조작 제어의 내용을 표시하는 동시에, 도 17에 나타낸 취소 스위치(49DR, 49PA), 또는 도 20에 나타낸 확정 스위치(50DR, 50PA)를 표시하는 등 하여, 조작 제어의 내용이나 어떠한 조작이 있었던 사항을 운전자(DR), 조수석 탑승자(PA) 각각에 전하여, 확인의 기회를 준다(확인 정보 입력의 조작을 요구, 스텝 S312).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작 제어의 내용을 고지하지 않고, 「확정 스위치」, 「취소 스위치」를 표시함으로써 어떠한 조작이 있었던 사항을 고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 제어의 실시 OK」의 의사 표시가 되었다(예를 들어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확정 스위치(50DR, 50PA)가 표시되어 있을 경우에 운전자용 확정 스위치(50DR)가 조작되는 것이나,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취소 스위치(49DR, 49PA)가 표시되어 있을 경우에 조수석 탑승자용 취소 스위치(49PA)가 조작되는 것)고 판단되면(스텝 S313),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 제어를 실시한다(스텝 S314).
한편,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제어의 실시 OK」의 의사 표시가 되었다(예를 들어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확정 스위치(50DR, 50PA)가 표시되어 있을 경우에 조수석 탑승자용 확정 스위치(50DR)가 조작되는 것이나,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취소 스위치(49DR, 49PA)가 표시되어 있을 경우에 운전석용 취소 스위치(49PA)가 조작되는 것)고 판단되면(스텝 S313),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제어를 실시한다(스텝 S315).
또한, 확인의 기회를 주고나서(확인 정보의 입력을 요구하고나서), 어떤 일정 시간(예를 들어 3초)이 경과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스텝 S313), 특정 영상에 대한 조작 제어를 실시한다(스텝 S316). 예를 들어 주행 중의 경우, 운전자(DR)는 커브가 연속되는 등, 특히 운전에 집중해야 하는 상황 하에서는 「확정 스위치」나 「취소 스위치」의 조작이 곤란하다. 따라서,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확정 스위치(50DR, 50PA)가 표시되고 있을 때, 어떤 일정 시간, 확정 스위치(50DR, 50PA) 중 어느 하나도 조작되지 않은 경우, 운전자(DR)가 조작 곤란한 상황에 있고, 조작하기를 원해도 운전자(DR)가 운전자용 확정 스위치(50DR)를 조작할 수 없다고 판단하며,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 제어의 확정 조작이 이루어진(즉, 확정 스위치(50DR)가 조작된) 것으로 간주하여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 제어를 실시한다.
한편,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취소 스위치(49DR, 49PA)가 표시되어 있을 때, 어떤 일정 시간, 취소 스위치(49DR, 49PA) 중 어느 하나도 조작되지 않은 경우, 운전자(DR)가 조작 곤란한 상황에 있고, 조작하기를 원해도 운전자(DR)가 운전자용 취소 스위치(49DR)를 조작할 수 없다고 판단하며,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 제어의 취소 조작이 이루어진(즉, 취소 스위치(49DR)가 조작된) 것으로 간주하여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제어를 실시한다.
또한, 스텝 S311에서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 입력만을 접수하는 조작 스위치(예를 들어 조작 스위치(48DR), 다만 해제 스위치(41DR)는 제외함)가 조작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조작에 따른 조작 제어를 행하고(스텝 S317),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입력만을 접수하는 조작 스위치(예를 들어 조작 스위치(48PA), 다만 해제 스위치(41PA)는 제외함)가 조작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조작에 따른 조작 제어를 행한다(스텝 S318).
스텝 S311에서 운전석용 영상(GDR)에 설치된, 분리 표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 스위치(41DR)가 조작되었다고 판단되면, 해제 스위치(41DR, 41PA)를 화면 상으로부터 소거하고(스텝 S319), 2개의 영상 중, 운전석용 영상(GDR)을 소거하고, 조수석용 영상(GPA)을 전체 화면 표시로 하며(스텝 S320), 그 후 분리 표시 플래그(fSE)를 0으 로 되돌린다(스텝 S321).
스텝 S311에서 조수석용 영상(GPA)에 설치된, 분리 표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 스위치(41PA)가 조작되었다고 판단되면, 해제 스위치(41DR, 41PA)를 화면 상으로부터 소거하고(스텝 S322), 2개의 영상 중, 조수석용 영상(GPA)을 소거하고, 운전석용 영상(GDR)을 전체 화면 표시로 하며(스텝 S323), 그 후 분리 표시 플래그(fSE)를 0으로 되돌린다(스텝 S324).
다음으로,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은 표시가 아니라,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은 표시의 경우에 대해서,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 동작을 도 30에 나타낸 플로차트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다만, 1점쇄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을 제외하고, 도 29에 나타낸 처리 동작과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또한,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은 표시의 경우에는, 파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처리가 불필요해진다.
스텝 S311에서 운전석용 영상(GDR)에 설치된, 분리 표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 스위치(41DR), 또는 조수석용 영상(GPA)에 설치된, 분리 표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 스위치(41PA)가 조작되었다고 판단되면, 해제 조작이 행해진 것을 표시하는 동시에, 도 17에 나타낸 취소 스위치(49DR, 49PA), 또는 도 20에 나타낸 확정 스위치(50DR, 50PA)를 표시하는 등 하여, 해제 조작이 행해진 것이나 어떠한 조작이 있었 던 사항을 운전자(DR), 조수석 탑승자(PA) 각각에 전하여, 확인의 기회를 준다(확인 정보 입력의 조작을 요구, 스텝 S325).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해제 조작이 행해진 것을 고지하지 않고, 「확정 스위치」, 「취소 스위치」를 표시함으로써 어떠한 조작이 있었던 사항을 고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분리 해제 제어의 실시 OK」의 의사 표시가 되었다(예를 들어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확정 스위치(50DR, 50PA)가 표시되어 있을 경우에 운전자용 확정 스위치(50DR)가 조작되는 것이나,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취소 스위치(49DR, 49PA)가 표시되어 있을 경우에 조수석 탑승자용 취소 스위치(49PA)가 조작된 것)고 판단되면(스텝 S326), 해제 스위스위치(41DR, 41PA)를 화면 상으로부터 소거하고(스텝 S327), 2개의 영상 중, 운전석용 영상(GDR)을 소거하고, 조수석용 영상(GPA)을 전체 화면 표시로 하며(스텝 S328), 그 후 분리 표시 플래그(fSE)를 0으로 되돌린다(스텝 S329).
한편,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분리 해제 제어의 실시 OK」의 의사 표시가 되었다(예를 들어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확정 스위치(50DR, 50PA)가 표시되어 있을 경우에 조수석 탑승자용 확정 스위치(50PA)가 조작되는 것이나,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취소 스위치(49DR, 49PA)가 표시되어 있을 경우에 운전자용 취소 스위치(49DR)가 조작된 것)고 판단되면(스텝 S326), 해제 스위치(41DR, 41PA)를 화면 상으로부터 소거하고(스텝 S330), 2개의 영상 중, 조수석용 영상(GPA)을 소거하고, 운전석용 영상(GDR)을 전체 화면 표시로 하며(스텝 S331), 그 후 분리 표시 플래그(fSE)를 0으로 되돌린다(스텝 S332).
또한, 확인의 기회를 주고나서(확인 정보의 입력을 요구하고나서), 어떤 일정 시간(예를 들어 3초)이 경과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스텝 S326), 해제 스위치(41DR, 41PA)를 화면 상으로부터 소거하고(스텝 S333), 2개의 영상 중, 특정 영상을 소거하고, 특정 영상이 아닌 다른 영상을 전체 화면 표시로 하며(스텝 S334), 그 후 분리 표시 플래그(fSE)를 0으로 되돌린다(스텝 S335).
예를 들어 주행 중의 경우, 운전자(DR)는 커브가 연속되는 등, 특히 운전에 집중해야 하는 상황 하에서는 「확정 스위치」나 「취소 스위치」의 조작이 곤란하다. 따라서,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확정 스위치(50DR, 50PA)가 표시되어 있을 때, 어떤 일정 시간, 확정 스위치(50DR, 50PA) 중 어느 하나도 조작되지 않은 경우, 운전자(DR)가 조작 곤란한 상황에 있고, 조작하기를 원해도 운전자(DR)가 운전자용 확정 스위치(50DR)를 조작할 수 없다고 판단하고,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분리 해제 조작의 확정 조작이 이루어진(즉, 확정 스위치(50DR)가 조작된) 것으로 간주하여 운전석용 영상(GDR)을 소거하고, 조수석용 영상(GPA)을 전체 화면 표시로 한다.
한편,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취소 스위치(49DR, 49PA)가 표시되어 있을 때, 어떤 일정 시간, 취소 스위치(49DR, 49PA) 중 어느 하나도 조작되지 않은 경우, 운전자(DR)가 조작 곤란한 상황에 있고, 조작하기를 원해도 운전자(DR)가 운전자용 취소 스위치(49DR)를 조작할 수 없다고 판단하고,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분리 해제 조작의 취소 조작이 이루어진(즉, 취소 스위치(49DR)가 조작된) 것으로 간주하여 조수석용 영상(GPA)을 소거하고, 운전석용 영상(GDR)을 전체 화면 표시로 한다.
다음으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은 표시의 경우에 대해서, 제어부가 행하는 다른 처리 동작을 도 31에 나타낸 플로차트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다만, 1점쇄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을 제외하고, 도 29에 나타낸 처리 동작과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또한,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은 표시의 경우에는, 파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처리가 불필요해진다.
스텝 S311에서 운전석용 영상(GDR)에 설치된, 분리 표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 스위치(41DR), 또는 조수석용 영상(GPA)에 설치된, 분리 표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 스위치(41PA)가 조작되었다고 판단되면, 해제 스위치(41DR, 41PA)를 화면 상으로부터 소거하고(스텝 S336), 2개의 영상 중, 특정 영상을 소거하고, 특정 영상이 아닌 다른 영상을 전체 화면 표시로 하며(스텝 S337), 그 후 분리 표시 플래그(fSE)를 0으로 되돌린다(스텝 S338).
예를 들어 조수석 탑승자(PA)는 보기를 원하는 프로그램이나 영화 등의 시청이 끝나면, 분리 표시의 해제를 지시할 가능성이 높다. 한편, 운전자(DR)는 내비게이션 영상 등, 항상 어떠한 영상을 표시해 두기를 원하는 요구가 있을 경우가 많고, 운전자(DR)가 영상 표시의 소거(분리 표시의 해제)를 지시할 가능성은 낮다. 또한, 운전자(DR)는 조주석 탑승자(PA)가 하차한 경우 등에는, 운전석용 영상(GDR)의 전체 화면 표시를 바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해제 스위치(41DR, 41PA)가 조작된다는 것은, 운전석용 영상(GDR)의 전체 화면 표시를 바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특정 영상은 조수석용 영상(GPA)으로 하고, 특정 영상이 아닌 영상을 운전석용 영상(GDR)으로 하면, 특히 유효하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작 스위치(42DR∼47DR, 42PA∼47PA)의 배치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전석용 영상(GDR)과 조수석용 영상(GPA)에서 동일하고, 또한 해제 스위치(41DR, 41PA)의 배치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전석용 영상(GDR)과 조수석용 영상(GPA)에서 동일할 경우에는, 도 30에 나타낸 처리 동작으로부터 파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을 제외한 처리, 또는 도 31에 나타낸 처리 동작을 행하도록 하면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표시 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다만, 상기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제어부(100)를 제외하고, 도 5에 나타낸 AV 내비게이션 시스템과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제어부에는 상이한 부호를 첨부하고, 그 외의 설명을 여기서는 생략한다.
실시예 4에 따른 표시 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의 제어부(100C)가 행하는 처리 동작 [4-1]을 도 32에 나타낸 플로차트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 처리 동작 [4-1]은 운전자(DR)에게는 운전석용 영상(GDR)을 시인시키고, 조수석 탑승자(PA)에게는 조수석용 영상(GPA)을 시인시키기 위한 분리 표시(멀티뷰)가 표시부(4)에 형성된 조작 스위치나 조작부(15), 리모컨(123) 등이 조작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지시된 경우에 행해지는 동작이다.
또한, 분리 표시가 기본으로 되어 있을 경우(즉,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전원 온(on) 후부터 분리 표시가 되어 있을 경우)에는, 사용자로부터의 분리 표시의 지시는 필요 없고, 이제부터 설명하는 처리 동작 [4-1]은 불필요해지며, 분리 표시가 행해지고 있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분리 표시 플래그(fSE)에 대해서도 불필요해진다. 다만, 조작 입력이 어떤 방향으로부터의 것인지의 판단에 적외선 LED(4a) 및 포토 트랜지스터(4b)를 사용할 경우에는, 어떠한 타이밍에서 적외선 LED(4a)로부터 적외광을 발광시켜, 표시부(4)에 접근하는 물체(예를 들어 손가락)를 검지할 수 있는 상태로 할 필요가 있다.
사용자로부터 분리 표시가 지시되면, 우선 소정의 조건에 기초하여, 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영상 중 한쪽을 운전석용 영상(GDR)으로 표시하고, 나머지 를 조수석용 영상(GPA)으로 표시하고(스텝 S31), 다음으로 운전석용 영상(GDR)의 우측 상부에 분리 표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 스위치(51DR)를 형성하는 동시에, 조수석용 영상(GPA)의 좌측 하부에 분리 표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 스위치(51PA)를 형성한다(스텝 S32).
도 33의 (a)는 운전석용 영상(GDR)에 사용되는 화소와 조수석용 영상(GPA)에 사용되는 화소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33의 (b)는 운전석용 영상(GDR)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3의 (c)는 조수석용 영상(GPA)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횡방향 총 화소 수의 반수의 짝수 열(우측용 화소(RP))이 운전석용 영상(GDR)에 사용되고, 홀수 열(좌측용 화소(LP))이 조수석용 영상(GPA)에 사용되고 있다.
도 33으로부터, 표시부(4)의 상부에 위치하는 영역(E21∼E28) 내 각각에,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 입력만을 접수하는 해제 스위치(51DR), 조작 스위치(52DR∼58DR)가 배치되고, 영역(E21∼E28)과는 중복되지 않는, 표시부(4)의 하부에 위치하는 영역(E31∼E38) 내 각각에,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입력만을 접수하는 해제 스위치(51PA), 조작 스위치(52PA∼58PA)가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33에서는 표시부(4)의 상측과 하측으로 나누어, 운전석용 영 상(GDR)에 대한 조작 입력만을 접수하는 스위치,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입력만을 접수하는 스위치를 배치하도록 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도 3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부(4)의 우측과 좌측으로 나누어,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 입력만을 접수하는 스위치,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입력만을 접수하는 스위치를 배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스텝 S32에서의 처리 후, 표시부(4)에 설치되어 있는 적외선 LED(4a)로부터 적외광을 발광시켜, 표시부(4)에 접근하는 물체(예를 들어 손가락)를 검지할 수 있는 상태로 하고(스텝 S33), 그 후 분리 표시가 행해지고 있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분리 표시 플래그(fSE)를 1로 한다(스텝 S34).
다음으로, 실시예 4에 따른 표시 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의 제어부(100C)가 행하는 처리 동작 [4-2]를 도 35에 나타낸 플로차트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 처리 동작 [4-2]는 상기 분리 표시가 행해지고 있을 때(즉, 분리 표시 플래그(fSE)가 1일 때), 사용자에 의해 표시부(4)에 형성된 해제 스위치(51DR, 51PA)나 조작 스위치(52DR∼58DR, 52PA∼58PA), 조작부(15)를 구성하는 조작 스위치(15a∼15h) 등이 조작된 경우에 행해지는 동작이다. 다만, 상기한 바와 같이, 분리 표시가 기본으로 되어 있을 경우에는, 당연히 분리 표시 플래그(fSE)는 불필요하고, 분리 표시 플래그(fSE)가 1인 경우는 개시 조건에 포함되지 않는다.
우선, 어느 조작 스위치의 조작이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S41),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 입력만을 접수하는 조작 스위치(예를 들어 조작 스위치(52DR∼58DR), 다만 해제 스위치(51DR)는 제외함)가 조작되었다고 판단되면, 다음으로 포토 트랜지스터(4b)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이 운전석 측으로부터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42).
상기 조작이 운전석 측으로부터 행해졌다고 판단되면, 상기 조작에 따른 조작 제어를 행하고(스텝 S43), 한편 상기 조작이 운전석 측으로부터 행해지고 있지 않다(즉, 상기 조작이 조수석 측으로부터 행해졌다)고 판단되면, 상기 조작을 오조작으로 간주하고, 그대로 처리 동작 [4-2]를 종료한다.
또한, 스텝 S41에서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입력만을 접수하는 조작 스위치(예를 들어 조작 스위치(52PA∼58PA), 다만 해제 스위치(51PA)는 제외함)가 조작되었다고 판단되면, 다음으로 포토 트랜지스터(4b)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이 조수석 측으로부터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44).
상기 조작이 조수석 측으로부터 행해졌다고 판단되면, 상기 조작에 따른 조작 제어를 행하고(스텝 S45), 한편 상기 조작이 조수석 측으로부터 행해지고 있지 않다(즉, 상기 조작이 운전석 측으로부터 행해졌다)고 판단되면, 상기 조작을 오조작으로 간주하고, 그대로 처리 동작 [4-2]를 종료한다.
또한, 스텝 S41에서 운전석용 영상(GDR)에 설치된, 분리 표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 스위치(51DR)가 조작되었다고 판단되면, 다음으로 포토 트랜지스터(4b)로부 터 얻어지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이 운전석 측으로부터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46).
상기 조작이 운전석 측으로부터 행해졌다고 판단되면, 해제 스위치(51DR, 51PA)를 화면 상으로부터 소거하고(스텝 S47), 2개의 영상 중, 운전석용 영상(GDR)을 소거하고, 조수석용 영상(GPA)을 전체 화면 표시하는 동시에, 하측 영역에 집중적으로 배치되어 있던, 해제 스위치(51PA), 조작 스위치(52PA∼58PA)를 통상의 위치로 되돌리고(스텝 S48), 그 후 분리 표시 플래그(fSE)를 0으로 되돌린다(스텝 S49). 한편, 상기 조작이 운전석 측으로부터 행해지고 있지 않다(즉, 상기 조작이 조수석 측으로부터 행해졌다)고 판단되면, 상기 조작을 오조작으로 간주하고, 그대로 처리 동작 [4-2]를 종료한다.
또한, 스텝 S41에서 조수석용 영상(GPA)에 설치된, 분리 표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 스위치(51PA)가 조작되었다고 판단되면, 다음으로 포토 트랜지스터(4b)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이 조수석 측으로부터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50).
상기 조작이 조수석 측으로부터 행해졌다고 판단되면, 해제 스위치(51DR, 51PA)를 화면 상으로부터 소거하고(스텝 S51), 2개의 영상 중, 조수석용 영상(GPA)을 소거하고, 운전석용 영상(GDR)을 전체 화면 표시하는 동시에, 상측 영역에 집중적으 로 배치되어 있던 해제 스위치(51DR), 조작 스위치(52DR∼58DR)를 통상의 위치로 되돌리고(스텝 S52), 그 후 분리 표시 플래그(fSE)를 0으로 되돌린다(스텝 S53). 한편, 상기 조작이 조수석 측으로부터 행해지고 있지 않다(즉, 상기 조작이 운전석 측으로부터 행해졌다)고 판단되면, 상기 조작을 오조작으로 간주하고, 그대로 처리 동작 [4-2]를 종료한다.
상기 실시예 4에 따른 표시 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의하면,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 입력만을 접수하는 해제 스위치(51DR)나 조작 스위치(52DR∼58DR)는 표시부(4)의 상측에 배치되고, 한편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입력만을 접수하는 해제 스위치(51PA)나 조작 스위치(52PA∼58PA)는 표시부(4)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작이 운전석 측으로부터라고 판단된 경우,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상기 조작에 따른 조작 제어는 행해지지 않고, 또한 조작이 조수석 측으로부터라고 판단된 경우,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상기 조작에 따른 조작 제어는 행해지지 않는다. 예를 들어 운전자(DR)에 의해,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 스위치로의 조작이 행해진 경우, 그 조작은 유효로 되지만, 운전자(DR)에 의해,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스위치로의 조작이 행해진 경우, 그 조작은 무효로 된다. 이것에 의해, 운전자(DR)에 의해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오조작이 행해지는 것 을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표시 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다만, 상기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제어부(100)를 제외하고, 도 5에 나타낸 AV 내비게이션 시스템과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제어부에는 상이한 부호를 첨부하고, 그 외의 설명을 여기서는 생략한다.
실시예 5에 따른 표시 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의 제어부(100D)가 행하는 처리 동작 [5-1]을 도 36에 나타낸 플로차트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 처리 동작 [5-1]은, 운전자(DR)에게는 운전석용 영상(GDR)을 시인시키고, 조수석 탑승자(PA)에게는 조수석용 영상(GPA)을 시인시키기 위한 분리 표시(멀티뷰)가, 표시부(4)에 형성된 조작 스위치나 조작부(15), 리모컨(123) 등이 조작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지시된 경우에 행해지는 동작이다.
또한, 분리 표시가 기본으로 되어 있을 경우(즉,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전원 온(on) 후부터 분리 표시로 되어 있을 경우)에는, 사용자로부터의 분리 표시의 지시는 필요 없고, 이제부터 설명하는 처리 동작 [5-1]은 불필요해지며, 분리 표시가 행해지고 있음을 나타내기 위한 분리 표시 플래그(fSE)에 대해서도 불필요해진다. 다만, 조작 입력이 어떤 방향으로부터의 것인지의 판단에 적외선 LED(4a) 및 포토 트랜지스터(4b)를 사용할 경우에는, 어떠한 타이밍에서 적외선 LED(4a)로부터 적외광을 발광시켜, 표시부(4)에 접근하는 물체(예를 들어 손가락)를 검지할 수 있 는 상태로 할 필요가 있다.
사용자로부터 분리 표시가 지시되면, 우선 소정의 조건에 기초하여, 도 37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영상 중 한쪽을 운전석용 영상(GDR)으로 표시하고, 나머지를 조수석용 영상(GPA)으로 표시하고(스텝 S6l), 다음으로 운전석용 영상(GDR)의 우측 상부에 분리 표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 스위치(61DR)를 형성하는 동시에, 조수석용 영상(GPA)의 좌측 상부에 분리 표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 스위치(61PA)를 형성한다(스텝 S62).
도 37의 (a)는 운전석용 영상(GDR)에 사용되는 화소와 조수석용 영상(GPA)에 사용되는 화소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37의 (b)는 운전석용 영상(GDR)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7의 (c)는 조수석용 영상(GPA)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횡방향 총 화소 수의 반수의 짝수 열(우측용 화소(RP))이 운전석용 영상(GDR)에 사용되고, 홀수 열(좌측용 화소(LP))이 조수석용 영상(GPA)에 사용되고 있다.
도 37에서 영역(E41) 내에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 입력만을 접수하는 해제 스위치(61DR)가 배치되고, 영역(E42) 내에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입력만을 접수하는 해제 스위치(61PA)가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영 역(E43∼E48) 내 각각에,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조작 스위치(62DR∼67DR)가 배치되고, 영역(E43∼E48)과 부분적으로 중복되는 영역(E49∼E54) 내 각각에,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조작 스위치(62PA∼67PA)가 배치되고, 이들 조작 스위치(62DR∼67DR)와, 조작 스위치(62PA∼67PA)의 배치가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도 38의 (a)는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조작 스위치의 표시 범위 및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38의 (b)는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조작 스위치의 표시 범위 및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38의 (c)는 각 조작 스위치의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스위치(62DR∼67DR)는 표시 범위인 영역(E43∼E48)과,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범위(즉, 터치를 수리(受理)하는 범위)인 영역(E43'∼E4 8')이 일치하지 않고,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범위가 좁게 되어 있다. 조작 스위치(62PA∼67PA)에 대해서도, 표시 범위인 영역(E49∼E54)과,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범위인 영역(E49'∼E54')이 일치하지 않고,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범위가 좁게 되어 있다. 또한, 조작 스위치(62DR∼67DR)에 대한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범위(영역(E43' ∼E4 8'))와, 조작 스위치(62PA∼67PA)에 대한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범위(영역(E49'∼E54'))는 중복되지 않게 되어 있다.
스텝 S62에서의 처리 후, 표시부(4)에 설치되어 있는 적외선 LED(4a)로부터 적외광을 발광시켜, 표시부(4)에 접근하는 물체(예를 들어, 손가락)를 검지할 수 있는 상태로 하고(스텝 S63), 그 후 분리 표시가 행해지고 있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분리 표시 플래그(fSE)를 1로 한다(스텝 S64).
다음으로, 실시예 5에 따른 표시 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의 제어부(100D)가 행하는 처리 동작 [5-2]를 도 39에 나타낸 플로차트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 처리 동작 [5-2]는 상기 분리 표시가 행해지고 있을 때(즉, 분리 표시 플래그(fSE)가 1일 때), 사용자에 의해 표시부(4)에 형성된 해제 스위치(61DR, 61PA)나 조작 스위치(62DR∼67DR, 62PA∼67PA), 조작부(15)를 구성하는 조작 스위치(15a∼15h) 등이 조작된 경우에 행해지는 동작이다. 다만, 상기한 바와 같이, 분리 표시가 기본으로 되어 있을 경우에는, 당연히 분리 표시 플래그(fSE)는 불필요하고, 분리 표시 플래그(fSE)가 1인 것은 개시 조건에 포함되지 않는다.
우선, 어느 조작 스위치의 조작이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S71), 2중 누름이 있었다고 판단되면, 포토 트랜지스터(4b)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이 운전석 측으로부터 행해졌는지, 또는 상기 조작이 조수석 측으로부터 행해졌는지를 판단한다(스텝 S72). 2중 누름은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조작 스위치(62DR∼67DR)뿐만 아니라, 그와 동시에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조작 스위치(62PA∼67PA)에 대해서도 조작된 경우, 예를 들어 영역(E43')뿐만 아니라, 인접하는 영역(E49')에 대해서도 접촉된 경우를 가리킨다.
상기 조작이 운전석 측으로부터 행해졌다고 판단되면,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상기 조작에 따른 조작 제어를 행하고(스텝 S73), 한편 상기 조작이 조수석 측으로부터 행해졌다고 판단되면,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상기 조작에 따른 조작 제어를 행한다(스텝 S74).
또한, 스텝 S71에서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 입력만을 접수하는 조작 스위치(예를 들어 조작 스위치(62DR∼67DR)의 영역(E43'∼E48') 부분)가 조작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조작에 따른 조작 제어를 행하고(스텝 S75),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입력만을 접수하는 조작 스위치(예를 들어 조작 스위치(62PA∼67PA)의 영역(E49'∼E54') 부분)가 조작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조작에 따른 조작 제어를 행한다(스텝 S76).
또한, 스텝 S71에서 운전석용 영상(GDR)에 설치된, 분리 표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 스위치(61DR)가 조작되었다고 판단되면, 해제 스위치(61DR, 61PA)를 화면 상 으로부터 소거하고(스텝 S77), 2개의 영상 중, 운전석용 영상(GDR)을 소거하고, 조수석용 영상(GPA)을 전체 화면 표시하는 동시에, 좌측에 편중 배치되어 있던 조작 스위치(62PA∼67PA)를 통상의 위치로 되돌리고(스텝 S78), 그 후 분리 표시 플래그(fSE)를 0으로 되돌린다(스텝 S79).
또한, 스텝 S71에서 조수석용 영상(GPA)에 설치된, 분리 표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 스위치(61PA)가 조작되었다고 판단되면, 해제 스위치(61DR, 61PA)를 화면 상으로부터 소거하고(스텝 S80), 2개의 영상 중, 조수석용 영상(GPA)을 소거하고, 운전석용 영상(GDR)을 전체 화면 표시하고(스텝 S81), 그 후 분리 표시 플래그(fSE)를 0으로 되돌린다(스텝 S82).
상기 실시예 5에 따른 표시 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의하면,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 스위치(62DR∼67DR)의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범위(영역(E43'∼E48'))와,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스위치(62PA∼67PA)의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범위(영역(E49'∼E54'))를 중복되지 않게 배치해도, 도 37, 도 3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전석용, 조수석용 어떤 조작 스위치의 배치도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시(視) 방향이 바뀌어도, 조작 스위치의 배치는 바뀌지 않기 때문에, 사용하기 좋게 할 수 있다.
도 43, 도 44는 각각, 도 37, 도 38에 나타낸 표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면이고, 해제 스위치(61DR, 61PA)가 다른 조작 스위치(62DR∼67DR, 62PA∼67PA)와 동일하게 운전석용 영상(GDR)과 조수석용 영상(GPA)에서 배치가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4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제 스위치(61DR)에 대한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범위(영역(E41'))와, 해제 스위치(61PA)에 대한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범위(영역(E55'))는 중복되지 않게 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는 도 39에 나타낸 플로차트를 사용하여, 도 37, 도 3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제 스위치(61DR, 61PA)는 상이하지만, 조작 스위치(62DR∼67DR, 62PA∼67PA)에 대해서는 운전석용 영상(GDR)과 조수석용 영상(GPA)에서 배치가 동일하게 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다음으로 도 43, 도 4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제 스위치(61DR, 61PA)에 대해서도 양쪽 영상(GDR, GPA)에서 배치가 동일하게 되어 있는 경우에 대한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 동작을 도 40에 나타낸 플로차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다만, 1점쇄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을 제외하고, 도 39에 나타낸 처리 동작과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스텝 S71에서 운전석용 영상(GDR)에 설치된, 분리 표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 스위치(61DR)가 조작되었다고 판단되면, 해제 스위치(61DR, 61PA)를 화면 상으로부터 소거하고(스텝 S77A), 2개의 영상 중, 운전석용 영상(GDR)을 소거하고, 조수석용 영상(GPA)을 전체 화면 표시하는 동시에, 좌측에 편중 배치되어 있던 조작 스위치(62PA∼67PA)를 통상의 위치로 되돌리고(스텝 S78A), 그 후 분리 표시 플래그(fSE)를 0으로 되돌린다(스텝 S79A).
또한, 스텝 S71에서 조수석용 영상(GPA)에 설치된, 분리 표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 스위치(61PA)가 조작되었다고 판단되면, 해제 스위치(61DR, 61PA)를 화면 상으로부터 소거하고(스텝 S80A), 2개의 영상 중, 조수석용 영상(GPA)을 소거하고, 운전석용 영상(GDR)을 전체 화면 표시하고(스텝 S81A), 그 후 분리 표시 플래그(fSE)를 O으로 되돌린다(스텝 S82A).
또한, 스텝 S71에서 해제 스위치(61DR, 61PA)의 2중 누름이 있었다고 판단되면, 포토 트랜지스터(4b)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이 운전석 측으로부터 행해졌는지, 또는 상기 조작이 조수석 측으로부터 행해졌는지를 판단한다(스텝 S83). 해제 스위치(61DR, 61PA)의 조작이 운전석 측으로부터 행해졌다고 판단되면, 상기와 동일하게 스텝 S77A∼S79A의 처리를 행하고, 한편 해제 스위치(61DR, 61PA)의 조작이 조수석 측으로부터 행해졌다고 판단되면, 상기와 동일하게 스텝 S80A∼S82A의 처리를 행한다.
다음으로, 도 43, 도 4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제 스위치(61DR, 61PA)에 대해서도 양쪽 영상(GDR, GPA)에서 배치가 동일하게 되어 있는 경우에 대한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 동작을 도 40이 아니라, 도 41에 나타낸 플로차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다만, 1점쇄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을 제외하고, 도 39에 나타낸 처리 동작과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스텝 S71에서 운전석용 영상(GDR)에 설치된, 분리 표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 스위치(61DR), 또는 조수석용 영상(GPA)에 설치된, 분리 표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 스위치(61PA)가 조작되었다고 판단되면, 해제 스위치(61DR, 61PA)를 화면 상으로부터 소거하고(스텝 S84), 2개의 영상 중, 특정 영상을 소거하고, 특정 영상이 아닌 다른 영상을 전체 화면 표시로 하며(스텝 S85), 그 후 분리 표시 플래그(fSE)를 0으로 되돌린다(스텝 S86).
예를 들어 조수석 탑승자(PA)는 보기를 원하는 프로그램이나 영화 등의 시청이 끝나면, 분리 표시의 해제를 지시할 가능성이 높다. 한편, 운전자(DR)는 내비게이션 영상 등, 항상 어떠한 영상을 표시해 두기를 원하는 요구가 있을 경우가 많고, 운전자(DR)가 영상 표시의 소거(분리 표시의 해제)를 지시할 가능성은 낮다. 또한, 운전자(DR)는 조수석 탑승자(PA)가 하차한 경우 등에는, 운전석용 영상(GDR)의 전체 화면 표시를 바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해제 스위치(61DR, 61PA)가 조작된다는 것은 운전석용 영상(GDR)의 전체 화면 표시를 바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특정 영상은 조수석용 영상(GPA)으로 하고, 특정 영상이 아닌 영상을 운전석용 영 상(GDR)으로 하면, 특히 유효하다.
다음으로, 도 43, 도 4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제 스위치(61DR, 61PA)에 대해서도 양쪽 영상(GDR, GPA)에서 배치가 동일하게 되어 있는 경우에 대한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 동작을 도 40, 도 41이 아니라, 도 42에 나타낸 플로차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다만, 1점쇄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을 제외하고, 도 39에 나타낸 처리 동작과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스텝 S71에서 운전석용 영상(GDR)에 설치된, 분리 표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 스위치(61DR)가 조작되었다고 판단되면, 해제 스위치(61DR, 61PA)를 화면 상으로부터 소거하고(스텝 S77B), 2개의 영상 중, 운전석용 영상(GDR)을 소거하고, 조수석용 영상(GPA)을 전체 화면 표시하는 동시에, 좌측에 편중 배치되어 있던 조작 스위치(62PA∼67PA)를 통상의 위치로 되돌리고(스텝 S78B), 그 후 분리 표시 플래그(fSE)를 0으로 되돌린다(스텝 S79B).
또한, 스텝 S71에서 조수석용 영상(GPA)에 설치된, 분리 표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 스위치(61PA)가 조작되었다고 판단되면, 해제 스위치(61DR, 61PA)를 화면 상으로부터 소거하고(스텝 S80B), 2개의 영상 중, 조수석용 영상(GPA)을 소거하고, 운전석용 영상(GDR)을 전체 화면 표시하고(스텝 S81B), 그 후 분리 표시 플래그(fSE)를 0으로 되돌린다(스텝 S82B).
또한, 스텝 S71에서 해제 스위치(61DR, 61PA)의 2중 누름이 있었다고 판단되면, 도 41에 나타낸 스텝 S84∼S86과 동일한 처리를 행한다(스텝 S84B∼86B).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표시 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다만, 상기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제어부(100)를 제외하고, 도 5에 나타낸 AV 내비게이션 시스템과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제어부에는 상이한 부호를 첨부하고, 그 외의 설명을 여기서는 생략한다.
제어부(100E)는 제어부(100D)에서 행해지는, 처리 동작 [5-1](도 36 참조)과 동일한 처리 동작 [6-1]을 행하고, 도 3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소 표시를 제어하고, 도 37의 (b), 도 3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은 운전석용 영상(GDR)을 표시하며, 도 37의 (c), 도 3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수석용 영상(GPA)을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실시예 6에 따른 표시 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의 제어부(100E)가 행하는 처리 동작 [6-2]를 도 45에 나타낸 플로차트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 처리 동작 [6-2]는 상기 분리 표시가 행해지고 있을 때(즉, 분리 표시 플래그(fSE)가 1일 때), 사용자에 의해 표시부(4)에 형성된 해제 스위치(61DR, 61PA)나 조작 스위치(62DR∼67DR, 62PA∼67PA), 조작부(15)를 구성하는 조작 스위치(15a∼15h) 등이 조작된 경우에 행해지는 동작이다. 다만, 상기한 바와 같이, 분리 표시가 기본으로 되어 있을 경우에는, 당연히 분리 표시 플래그(fSE)는 불필요하고, 분리 표시 플래그(fSE)가 1인 것은 개시 조건에 포함되지 않는다.
우선, 어느 조작 스위치의 조작이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S91), 2중 누름이 있었다고 판단되면, 조작된 각 조작 스위치에의 접촉 면적(손가락이 접촉된 자국의 면적)을 산출하고(스텝 S92),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조작 스위치에의 접촉 면적과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조작 스위치에의 접촉 면적을 비교한다(스텝 S93).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조작 스위치에의 접촉 면적이,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조작 스위치에의 접촉 면적보다도 클 경우에는, 상기 조작이 운전석 측으로부터 행해졌다고 간주하고,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상기 조작에 따른 조작 제어를 행하고(스텝 S94), 한편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조작 스위치에의 접촉 면적이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조작 스위치에의 접촉 면적보다도 클 경우에는, 상기 조작이 조수석 측으로부터 행해졌다고 간주하고,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상기 조작에 따른 조작 제어를 행한다(스텝 S95).
또한, 스텝 S91에서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 입력만을 접수하는 조 작 스위치(예를 들어 조작 스위치(62DR∼67DR)의 영역(E43'∼E48') 부분)가 조작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조작에 따른 조작 제어를 행하고(스텝 S96),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입력만을 접수하는 조작 스위치(예를 들어 조작 스위치(62PA∼67PA)의 영역(E49'∼E54') 부분)가 조작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조작에 따른 조작 제어를 행한다(스텝 S97).
또한, 스텝 S91에서 운전석용 영상(GDR)에 설치된, 분리 표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 스위치(61DR)가 조작되었다고 판단되면, 해제 스위치(61DR, 61PA)를 화면 상으로부터 소거하고(스텝 S98), 2개의 영상 중, 운전석용 영상(GDR)을 소거하고, 조수석용 영상(GPA)을 전체 화면 표시하는 동시에, 좌측에 편중 배치되어 있던 조작 스위치(62PA∼67PA)를 통상의 위치로 되돌리고(스텝 S99), 그 후 분리 표시 플래그(fSE)를 0으로 되돌린다(스텝 S100).
또한, 스텝 S91에서 조수석용 영상(GPA)에 설치된, 분리 표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 스위치(61PA)가 조작되었다고 판단되면, 해제 스위치(61DR, 61PA)를 화면 상으로부터 소거하고(스텝 S101), 2개의 영상 중, 조수석용 영상(GPA)을 소거하고, 운전석용 영상(GDR)을 전체 화면 표시하고(스텝 S102), 그 후 분리 표시 플래그(fSE)를 0으로 되돌린다(스텝 S103).
상기 실시예 6에 따른 표시 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의하면,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 스위치(62DR∼67DR)의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범위(영역(E43'∼E48'))와,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스위치(62PA∼67PA)의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범위(영역(E49'∼E54'))를 중복되지 않도록 배치해도, 도 37, 도 3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전석용, 조수석용 어떤 조작 스위치의 배치도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시 방향이 바뀌어도, 조작 스위치의 배치는 바뀌지 않기 때문에, 사용하기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도 45에 나타낸 플로차트를 사용하고, 도 37, 도 3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제 스위치(61DR, 61PA)는 상이하지만, 조작 스위치(62DR∼67DR, 62PA∼67PA)에 대해서는 운전석용 영상(GDR)과 조수석용 영상(GPA)에서 배치가 동일하게 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다음으로, 도 43, 도 4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제 스위치(61DR, 61PA)에 대해서도 양쪽 영상(GDR, GPA)에서 배치가 동일하게되어 있는 경우에 대한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 동작을 도 46에 나타낸 플로차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다만, 1점쇄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을 제외하고, 도 45에 나타낸 처리 동작과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스텝 S91에서 운전석용 영상(GDR)에 설치된, 분리 표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 스위치(61DR)가 조작되었다고 판단되면, 해제 스위치(61DR, 61PA)를 화면 상으로부 터 소거하고(스텝 S98A), 2개의 영상 중, 운전석용 영상(GDR)을 소거하고, 조수석용 영상(GPA)을 전체 화면 표시하는 동시에, 좌측에 편중 배치되어 있던 조작 스위치(62PA∼67PA)를 통상의 위치로 되돌리고(스텝 S99A), 그 후 분리 표시 플래그(fSE)를 0으로 되돌린다(스텝 S100A).
또한, 스텝 S91에서 조수석용 영상(GPA)에 설치된, 분리 표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 스위치(61PA)가 조작되었다고 판단되면, 해제 스위치(61DR, 61PA)를 화면 상으로부터 소거하고(스텝 S10lA), 2개의 영상 중, 조수석용 영상(GPA)을 소거하고, 운전석용 영상(GDR)을 전체 화면 표시하고(스텝 S102A), 그 후 분리 표시 플래그(fSE)를 0으로 되돌린다(스텝 S103A).
또한, 스텝 S91에서 해제 스위치(61DR, 61PA)의 2중 누름이 있었다고 판단되면, 조작된 각 해제 스위치(61DR, 61PA)에의 접촉 면적(손가락이 접촉된 자국의 면적)을 산출하고(스텝 S104), 운전석용 해제 스위치(61DR)에의 접촉 면적과 조수석용 해제 스위치(61PA)에의 접촉 면적을 비교한다(스텝 S105).
운전석용 해제 스위치(61DR)에의 접촉 면적이 조수석용 해제 스위치(61PA)에의 접촉 면적보다도 클 경우에는, 상기 조작이 운전석 측으로부터 행해졌다고 간주하고, 상기와 동일하게 스텝 S98A∼S100A의 처리를 행하고, 한편 조수석용 해제 스 위치(61PA)에의 접촉 면적이 운전석용 해제 스위치(61DR)에의 접촉 면적보다도 클 경우는, 상기 조작이 조수석 측으로부터 행해졌다고 간주하고, 상기와 동일하게 스텝 S101A∼S103A의 처리를 행한다.
다음으로, 도 43, 도 4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제 스위치(61DR, 61PA)에 대해서도 양쪽 영상(GDR, GPA)에서 배치가 동일하게 되어 있는 경우에 대한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 동작을 도 46이 아니라, 도 47에 나타낸 플로차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다만, 1점쇄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을 제외하고, 도 45에 나타낸 처리 동작과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스텝 S91에서 운전석용 영상(GDR)에 설치된, 분리 표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 스위치(61DR), 또는 조수석용 영상(GPA)에 설치된, 분리 표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 스위치(61PA)가 조작되었다고 판단되면, 해제 스위치(61DR, 61PA)를 화면 상으로부터 소거하고(스텝 S106), 2개의 영상 중, 특정 영상을 소거하고, 특정 영상이 아닌 다른 영상을 전체 화면 표시로 하며(스텝 S107), 그 후 분리 표시 플래그(fSE)를 0으로 되돌린다(스텝 S108). 특정 영상은, 상술한 바와 같이, 조수석용 영상(GPA)으로 하고, 특정 영상이 아닌 영상을 운전석용 영상(GDR)으로 하면, 특히 유효하다.
다음으로, 도 43, 도 4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제 스위치(61DR, 61PA)에 대해서도 양쪽 영상(GDR, GPA)에서 배치가 동일하게 되어 있는 경우에 대한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 동작을 도 46, 도 47이 아니라, 도 48에 나타낸 플로차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다만, 1점쇄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을 제외하고, 도 45에 나타낸 처리 동작과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스텝 S91에서 운전석용 영상(GDR)에 설치된, 분리 표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 스위치(61DR)가 조작되었다고 판단되면, 해제 스위치(61DR, 61PA)를 화면 상으로부터 소거하고(스텝 S98B), 2개의 영상 중, 운전석용 영상(GDR)을 소거하고, 조수석용 영상(GPA)을 전체 화면 표시하는 동시에, 좌측에 편중 배치되어 있던 조작 스위치(62PA∼67PA)를 통상의 위치로 되돌리고(스텝 S99B), 그 후 분리 표시 플래그(fSE)를 0으로 되돌린다(스텝 S100B).
또한, 스텝 S91에서 조수석용 영상(GPA)에 설치된, 분리 표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 스위치(61DR)가 조작되었다고 판단되면, 해제 스위치(61DR, 61PA)를 화면 상으로부터 소거하고(스텝 S101B), 2개의 영상 중, 조수석용 영상(GPA)을 소거하고, 운전석용 영상(GDR)을 전체 화면 표시하며(스텝 S102B), 그 후 분리 표시 플래그(fSE)를 0으로 되돌린다(스텝 S103B).
또한, 스텝 S91에서 해제 스위치(61DR, 61PA)의 2중 누름이 있었다고 판단되면, 도 47에 나타낸 스텝 S106∼S108과 동일한 처리를 행한다(스텝 S106B∼S108B).
다음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작 입력이 어떤 방향으로부터의 것인지의 판 단(여기서는, 상기 조작 입력이 운전석 측으로부터 행해졌는지, 또는 조수석 측으로부터 행해졌는지의 판단)의 다른 형태에 대해서, 도 49∼도 55를 사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 터치 패널을 사용하여, 조작이 운전석, 조수석 중 어떤 방향으로부터 행해졌는지의 판단을 행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따른 표시 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다만, 상기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제어부(100), 표시부(4)의 터치 패널(118)을 제외하고, 도 5에 나타낸 AV 내비게이션 시스템과 동일한 구성(다만, 적외선 LED(4a), 포토 트랜지스터(4b)는 구비하고 있지 않음)이고,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49의 (a)는 실시예 7에 따른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표시부의 정면도이고, 도 49의 (b)는 도 49의 (a)에서의 B-B선 단면도이다. 표시부(4)(터치 패널(118))의 상측, 좌측 각각에, 화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빔(beam)을 출사(出射)하는 복수의 발광 소자(210)가 터치 패널(118)로부터 높이 H1, H2의 부분에 설치되고, 표시부(4)의 하측, 우측 각각에, 발광 소자(210)로부터의 빔을 받는 복수의 수광 소자(211)가 터치 패널(118)로부터 높이 H1, H2의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발광 소자(210)로서는 적외선 LED 등을 들 수 있고, 수광 소자(211)로서는 포토 트랜지스터 등을 들 수 있다.
터치 패널(118)에 손가락 등의 접근물(T)이 접근하면, 수광 소자(211)를 향하고 있던 빔이 차단되기 때문에, 수광 소자(211)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기초하 여, 터치 패널(118)로부터 높이 H1에서의 접근물(T)의 위치, 및 터치 패널(118)로부터 높이 H2에서의 접근물(T)의 위치를 구할 수 있다.
제어부(100F)로는 각 수광 소자(211)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되도록 되어 있고, 제어부(100F)는 수광 소자(211)의 온(on)/오프(off) 상태를 인식할 수 있으며, 터치 패널(118)로부터 높이 H1에서의 접근물(T)의 위치, 및 터치 패널(118)로부터 높이 H2에서의 접근물(T)의 위치를 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실시예 7에 따른 표시 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의 제어부(100F)가 행하는 처리 동작 [7]을 도 50에 나타낸 플로차트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 처리 동작 [7]은 조작이 운전석, 조수석 중 어떤 방향으로부터인지(즉, 조작 입력이 어떤 방향으로부터의 것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처리이고, 분리 표시(멀티뷰) 중에 터치 패널(118)로의 접촉이 검출된 때 행해지는 동작이다.
우선, 하단(下段)(높이 H1)에 설치되어 있는 수광 소자(211)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기초하여, 높이 H1에서의 접근물(T)의 위치를 산출하고(스텝 S401), 다음으로 상단(높이 H2)에 설치되어 있는 수광 소자(211)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기초하여, 높이 H2에서의 접근물(T)의 위치를 산출한다(스텝 S402).
다음으로, 높이 H1에서의 접근물(T)의 위치와, 높이 H2에서의 접근물(T)의 위치를 연결하는 직선을 산출하여, 터치 패널(116)에 대한 접근물(T)의 진입 방향을 구하고(스텝 S403), 이 진입 방향으로부터 접근물(T)이 운전석 측, 조수석 측 중 어떤 방향으로부터 접근하여온 것인지를 판정한다(스텝 S404).
상기 실시예 7에 따른 표시 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의하면, 조작 입력이 어떤 방향으로부터의 것인지를 적절히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발광 소자(210), 수광 소자(211)를 2단으로 설치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3단 이상으로 설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3단 이상으로 설치한 쪽이 접근물(T)의 진입 방향을 더 정밀하게 구할 수 있다.
이하, 접근물을 검출하는 센서를 사용하여, 조작이 운전석, 조수석 중 어떤 방향으로부터 행해졌는지의 판단을 행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 8에 따른 표시 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다만, 상기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제어부(100), 접근물을 검출하는 센서(220)를 제외하고, 도 5에 나타낸 AV 내비게이션 시스템과 동일한 구성(다만, 적외선 LED(4a), 포토 트랜지스터(4b)는 구비하고 있지 않음)이고,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51은 실시예 8에 따른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표시부의 정면도이다. 표시부(4)(터치 패널(118))의 좌측 단부(端部) 부근(즉, 조수석 측)에 접근물(T)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센서(220)가 설치되어 있다. 도면 중 E220은 검출 센서(220)에 의한 검출 영역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검출 센서(220)로서는 예를 들어 감열(感熱) 센서나, 적외선 인감(人感) 센서, 공기압 센서 등을 들 수 있다.
제어부(100G)에는 검출 센서(220)에 의한 검출 결과를 나타내는 신호가 입력되도록 되어 있고, 제어부(100G)는 조수석 측으로부터 접근물(T)이 터치 패널(118)로 접근하여온 것을 인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검출 센서(220)에서 접근물(T)을 검출한 경우에는, 터치 패널(118)로의 조작 입력은 조수석 측으로부터의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고, 그 반대로 검출 센서(220)에서 접근물(T)을 검출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터치 패널(118)로의 조작 입력은 운전석 측으로부터의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검출 센서(220)를 표시부(4)의 좌측 단부 부근에 설치하고, 조수석 측으로부터의 접근물의 접근을 검출하도록 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검출 센서(220)를 표시부(4)의 우측 단부 부근에 설치하고, 운전석 측으로부터의 접근물의 접근을 검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 터치 패널의 접촉 자국으로부터, 조작이 운전석, 조수석 중 어떤 방향으로부터의 것인지의 판단을 행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 8에 따른 표시 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다만, 상기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제어부(100)를 제외하고, 도 5에 나타낸 AV 내비게이션 시스템과 동일한 구성(다만, 적외선 LED(4a), 포토 트랜지스터(4b)는 구비되어 있지 않음)이고,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9에 따른 표시 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의 제어부(100H)가 행하는 처리 동작 [9]를 도 52에 나타낸 플로차트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 처리 동작 [9]는 조작이 운전석, 조수석 중 어떤 방향으로부터인지(즉, 조작 입력이 어떤 방향으로부터의 것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처리이고, 분리 표시(멀티뷰) 중에 다점(多点) 검출 가능한 방식이 채용되어 있는 터치 패널(118)로의 손가락 등의 접근물의 접근이 검출된 때 행해지는 동작이다.
우선, 터치 패널(118)에 접촉된 자국(손가락이 닿은 자국)에 포함되는 검출 점을 사용하여, 최소 제곱법에 의해 근사 직선을 산출한다(스텝 S411). 예를 들어 터치 패널(118)로의 접촉 자국(M)이 도 5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일 경우, 접촉 자국(M)에 포함되는 복수의 검출점(P)을 사용하여, 도 5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우측으로 경사진 근사 직선(L)을 구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근사 직선(L)으로부터 접촉 자국(M)이 우측으로 경사져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접촉 자국(M)의 면적(손가락이 닿은 자국의 면적)을 산출하고(스텝 S412), 접촉 자국(M)의 면적이 어떤 일정한 크기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413). 도 5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가락의 복(腹) 부분을 사용하여 터치 패널(118)에 접촉한 경우 쪽이, 손가락의 선단(先端) 부분을 사용하여 터치 패널(118)에 접촉한 경우보다도 접촉 자국(M)의 면적은 커진다.
또한, 도 5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측에 착석하고 있는 운전자(DR)가 손가락의 복 부분을 사용한 경우, 접촉 자국(M)은 좌측으로 경사지고, 손가락의 선단 부분을 사용한 경우, 접촉 자국(M)은 우측으로 경사지게 된다. 또한, 도 5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에 착석하고 있는 조수석 탑승자(PA)가 손가락의 복 부분을 사용한 경우, 접촉 자국(M)은 우측으로 경사지고, 손가락의 선단 부분을 사용한 경우, 접촉 자국(M)은 좌측으로 경사지게 된다.
접촉 자국(M)의 면적이 어떤 일정한 크기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조작자는 손가락의 복 부분을 사용하여 터치 패널(118)에 접촉했다고 간주하고, 다음으로 근사 직선(L)이 우측으로 경사져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414). 근사 직선(L)(즉, 접촉 자국(M))이 우측으로 경사져 있다고 판단되면, 조작 입력은 조수석 측으로부터 행해졌다고 판정한다(스텝 S415). 한편, 근사 직선(L)이 우측으로 경사져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조작 입력은 운전석 측으로부터 행해졌다고 판정한다(스텝 S416).
또한, 스텝 S413에서 접촉 자국(M)의 면적이 어떤 일정한 크기 이상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조작자는 손가락의 선단 부분을 사용하여 터치 패널(118)에 접촉했다고 간주하고, 다음으로 근사 직선(L)이 우측으로 경사져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417). 근사 직선(L)이 우측으로 경사져 있다고 판단되면, 조작 입력은 운전석 측으로부터 행해졌다고 판정한다(스텝 S418). 한편, 근사 직선(L)이 우측으로 경사져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조작 입력은 조수석 측으로부터 행해졌다고 판정한다(스텝 S419).
상기 실시예 9에 따른 표시 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의하면, 조작 입력이 어떤 방향으로부터의 것인지를 적절히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접촉 자국(M) 면적의 크기에 기초하여, 조작자가 터치 패널(118)에 손가락의 복 부분, 손가락의 선단 부분 중 어느 쪽으로 접촉했는지를 판단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 접촉 방향의 판단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접촉 자국(M)의 면적 변화나, 터치 패널(118)에의 압력이 가해지는 방향, 사전에 등록된 정보 등에 기초하여 판단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터치 패널(118)에 손가락의 복 부분으로 접촉한 경우는, 선단 부분으로 접촉한 경우보다도, 터치 패널(118)에 접촉하고나서 접촉 자국(M)의 면적 변화가 없어질 때까지의 시간이 길어진다. 따라서, 터치 패널(118)에 접촉하고나 서 접촉 자국(M)의 면적 변화가 없어질 때까지의 시간이 길 경우, 복 부분으로 접촉되었다고 판단하고, 상기 시간이 짧을 경우, 선단 부분으로 접촉되었다고 판단하도록 한다.
또한, 터치 패널(118)에 손가락의 선단 부분으로 접촉한 경우, 어떤 크기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는 부분은 집중되지만, 복 부분으로 접촉한 경우, 어떤 크기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는 부분은 분산되게 된다. 따라서, 어떤 크기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는 부분이 집중될 경우, 선단 부분으로 접촉되었다고 판단하고, 상기 부분이 분산될 경우, 복 부분으로 접촉되었다고 판단하도록 한다.
또한, 터치 패널(118)에 손가락의 선단 부분으로 접촉할지, 복 부분으로 접촉할지는 그때마다 변화되는 것이 아니라, 조작자가 동일하면, 언제나 동일하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선단 부분으로 접촉할 것인지, 복 부분으로 접촉할 것인지를 사전에 등록시켜 두고, 그 정보를 사용하여 판단하도록 한다.
이하, 터치 패널의 접촉 자국으로부터, 조작이 운전석 측, 조수석 측 중 어떤 방향으로부터인지의 판단을 행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 8에 따른 표시 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다만, 상기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제어부(100), 지문 검출 센서(도시 생략)를 제외하고, 도 5에 나타낸 AV 내비게이션 시스템과 동일한 구성(다만, 적외선 LED(4a), 포토 트랜지스터(4b)는 구비되어 있지 않음)이고,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10에 따른 표시 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의 제어 부(100I)가 행하는 처리 동작 [10]을 도 55에 나타낸 플로차트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 처리 동작 [10]은 조작이 운전석 측, 조수석 측 중 어느 쪽인지(즉, 조작 입력이 어떤 방향으로부터의 것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처리이고, 분리 표시(멀티뷰) 중에 터치 패널(118)에의 손가락 등의 접촉물의 접촉이 검출된 때 행해지는 동작이다.
우선, 터치 패널(118)에 접촉된 지문을 검출하고(스텝 S421), 검출된 지문의 돌기(突起)한 부분이 우측을 향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422). 지문의 돌기한 부분이 우측을 향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조작 입력은 조수석 측으로부터 행해졌다고 판정한다(스텝 S423). 한편, 검출된 지문의 돌기한 부분이 좌측을 향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조작 입력은 운전석 측으로부터 행해졌다고 판정한다(스텝 S424).
상기 실시예 10에 따른 표시 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의하면, 조작 입력이 어떤 방향으로부터의 것인지를 적절히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지문의 돌기한 부분의 방향은 손가락의 복 부분, 선단 부분 중 어느 쪽을 사용하여 터치 패널(118)에 접촉되었다고 해도 바뀌지 않기 때문에, 터치 패널(118)에의 접촉 방향을 검출하지 않아도 되어, 처리를 간소화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 7 내지 10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는, 조작 입력이 어떤 방향으로부터의 것인지를 판단하는 형태를 설명하여 왔지만, 이들 판단 처리가 항상 만전(万全)이라고는 한정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손가락의 접촉 자국(M)이 거의 똑바로 향하고 있고, 좌우 중 어느 쪽으로 경사져 있다고도 판단할 수 없는 사태가 생기는 경우가 생각된다.
따라서, 다른 실시예에서는, 현재의 정보로부터는 조작 입력이 어떤 방향으로부터의 것인지 판단할 수 없을 경우, 상기 조작 입력이 전회(前回)와 동일 방향으로부터 행해졌다고 판단하도록 할 수도 있다. 조작은 동일인에 의해 반복하여 행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현재의 정보로부터 조작 입력이 어떤 방향으로부터의 것인지를 판단할 수 없을 경우에, 조작 입력이 전회와 동일 방향으로부터 행해졌다고 판단하는 것은 매우 유효하게 된다.
또한, 여기서는 우측 핸들 차량(우측이 운전석)에 채용할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여 왔지만, 처리에 따라서는 좌측 핸들 차량에 채용한 경우에 결함이 생길 우려가 있다. 그래서, 다른 실시예에서는 우측 핸들 차량용, 또는 좌측 핸들 차량용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스위치를 설치하고, 상기 선택 스위치로부터 얻어지는 선택 정보를 고려하여, 처리를 제어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10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는, 표시부(4)에 형성된 조작 스위치나, 표시부(4) 주위에 설치된 조작부(15)를 조작할 경우(즉, 조작자를 정확하게 판별하지 않으면, 오조작이 될 우려가 높은 것을 조작할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는, 표시부(4)와는 다른 장소에 설치된 조작 장치나 리모컨(123)으로부터의 조작 지령을 접수하도록 하고, 이들 조작 장치나 리모컨(123)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만을 행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물론,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만을 행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들 조작 장치나 리모컨(123)을 사용하면, 조작자의 실수에 기인하는 오조작을 각별히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이제까지, 표시부(4)에 설치된 스위치에 대한 조작 입력이 어떤 방향으로부터의 것인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기초한 제어를 행할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부(4)에 설치된 스위치에 대한 처리에 한정되지 않고, 표시부(4) 주위에 설치된 조작 스위치(15a∼15h)에 대해서도 동일한 처리를 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경우와,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경우에서 조작 기능을 바꾸고, 도 5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부(4)에서 조작 스위치(15a∼15g)에 대한 조작 기능을 설명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이제까지,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으로서 채용하고, 차량에 탑재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해 왔지만,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차량에 탑재하는 것에 채용이 한정되지 않고, 가정용 텔레비전 등에 채용할 수도 있고, 복수의 시 방향에 대하여, 각각 개별 정보를 동일 화면 상에 표시하는 것에 본 발명은 유효하게 된다. 또한, 시 방향은 2방향으로 한정되지 않고, 3방향 이상일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따른 표시 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1은 실시예 11의 특징 부분을 나타내는 개요 블록도이다. 도 61에 있어서, 도 5에 나타낸 AV 내비게이션 시스템과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 번호를 첨부했 다. 또한, 도 61에서는 도 5의 구성에 더하여, 지문 대조부(330), 지문 센서(332) 및 음성 조정 회로(113)를 추가하여 기재하고 있다.
표시부(4)는,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패널(118), 액정 패널(21) 및 백라이트(30) 등으로 구성되다. 제 1 화상 조정 회로(114)는 운전석 측으로의 화상을 표시하는 제 1 띠 형상부의 구동 표시 제어를 행하고, 제 2 화상 조정 회로(115)는 조수석 측으로의 화상을 표시하는 제 2 벨트 형상부의 구동 표시 제어를 행한다.
제어부(100)는 각종 소스(CD/DVD 재생부(280), 라디오 수신부(102), TV 수신부(103), 및 내비게이션부(106))로부터의 화상을, 제 1 및 제 2 화상 조정 회로(114, 115)를 사용하여, 운전석 측과 조수석 측에서 별도로 액정 패널(21)에 표시한다.
조작자는 표시부(4)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터치 패널(118), 표시부(4)의 주위에 설치되고, 각종 버튼, 스위치 등으로 구성되는 조작부(15), 및/또는 리모컨(123)으로부터 각종 데이터 및 조작 입력을 행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지문 센서(332) 상에 조작자의 손끝이 놓이면, 지문 센서(332)로부터 조작자의 지문 데이터를 검출하고, 지문 대조부(330)에 기억되어 있는 지문 대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메모리(125)에 기억되어 있는 지문 데이터와의 대조를 행하고, 지문 센서(332) 상에 손끝을 놓은 조작자의 인증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조작자를 특정하기 위한 다른 생체 인증 수단, 예를 들어 정맥 인증 수단 및 망막 인증 수단 등을, 상기의 지문 인증 수단으로 바꾸어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차량(19)의 각 부에 설치된 제 1 스피커(17-1)∼제 4 스피커(17-4)의 각 음량 등을 음성 조정 회로(113)를 사용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차량(19)의 각 시트에, 머리 받침부에 배치된 제 1 검출 센서(320)∼제 5 검출 센서(328)로부터 음량을 음성 검출부(300)를 통하여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내비게이션부(106)는 내비게이션을 위해서 등에 이용되는 지도 정보를 기억한 지도 정보 기억부, 자이로(gyro) 센서, 차속(車速) 펄스 검출부 등을 포함하고, 또한 VICS 정보 수신부(111) 및 GPS 정보 수신부(112)로부터의 각종 데이터를 사용하여 내비게이션 동작을 위한 화상을 작성 및 출력하고, 제어부(100)를 통하여 표시부에 표시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전석(11)과 조수석(12) 거의 중앙의 대시보드(dashboard) 부분에 표시부(4)를 배치하고, 표시부(4)의 옆에 조작부(15) 및 지문 센서(332)를 배치했다. 또한, 운전석 측 도어(door)의 하부에 배치된 스피커(17)는 제 1 스피커(17-1)이다.
도 62에 스피커 및 검출 센서의 배치예를 나타낸다. 도 6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스피커(17-1)를 운전석 측 도어에, 제 2 스피커(17-2)를 조수석 측 도어에, 제 3 스피커(17-3)를 리어(rear) 시트(18)의 우측에, 제 4 스피커(17-4)를 리어 시트(18)의 좌측에 배치했다. 또한, 제 1 검출 센서(320)를 운전석(11)의 머리 받침(223) 내에 배치하고, 제 2 검출 센서(322)를 조수석(12)의 머리 받침(224) 내에 배치하고, 제 3 검출 센서(324)를 리어 시트(18)의 머리 받침(225) 내에 배치하고, 제 4 검출 센서(326)를 리어 시트(18)의 머리 받침(226) 내에 배치하고, 제 5 검출 센서(328)를 리어 시트(18)의 머리 받침(227) 내에 배치했다. 또한, 상기 스피커와 검출 센서의 배치예는 일례로서, 차량의 내부 형상이나 시트의 배치 등에 따라, 그 외의 다양한 형태를 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3에 표시부(4)의 단면 형상을 나타내는 개략도를 나타낸다. 터치 패널(118)은 가요성(可撓性)이 있는 투명 절연 기판 쌍(130 및 138), 투명 절연 기판 상에 각각 형성된 투명 전극(132 및 136), 및 투명 전극(132) 상에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한 도트 스페이서(dot spacer)(134) 등으로 구성되고, 조작자가 투명 전극 기판(130) 상을 가압함에 의해 도트 스페이서(134)가 투명 전극(136)에 접촉하면, 그 접점의 위치가 전기 저항의 측정에 의해 검지되어, 제어부(100)에서 입력 정보가 판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터치 패널(118)은 상기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방식의 것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액정 패널(21)은 종(縱)방향에 복수의 벨트 형상부로 분할되고, 좌측(조수석 측) 표시 화소(Lp)와 우측(운전석 측) 표시 화소(Rp)가 번갈아 형성되어 있다. 모든 좌측(조수석 측) 표시 화소(Lp)는 제 1 화상 조정 회로(114)에 의해 구동 제어되고, 모든 우측(운전석 측) 표시 화소(Rp)는 제 2 화상 조정 회로(115)에 의해 구동 제어된다.
액정 패널(21)의 표면 측에는 폴리카보네이트 등으로 형성되는 시차(視差) 배리어(barrier)(26')가 배치된다. 시차 배리어(26')의 표리(表裏)에는 차광 띠(142 및 144)가 번갈아 형성되어 있다. 도 63의 예에서는 차광띠(142 및 144)가 번갈아 형성되어 있는 시차 배리어(26')를 사용했지만,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시차 배리어(26)를 사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우측의 탑승자(7)는 시차 배리어(26')의 작용에 의해, 각 우측(운전석 측) 표시 화소(Rp)의 집합체로서의 화상만을 운전석용 표시 화상으로서 시인(視認)할 수 있다. 한편, 좌측의 탑승자(8)는 시차 배리어(26')의 작용에 의해, 각 좌측(조수석 측) 표시 화소(Lp)의 집합체로서의 화상만을 조수석용 표시 화상으로서 시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제로는 1개의 화면을 종방향에 복수 분할한 하나 걸러 화상을 시인하게 되지만, 1개의 벨트 형상부의 폭을 매우 좁게 함으로써, 우측으로부터도, 좌측으로부터도 각각의 화상을 각각 시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64에, 상술한 표시 장치를 사용하여 조작 버튼 배치의 커스터마이즈(customize)를 행하기 위한 등록 시 동작 플로(flow)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하의 동작 플로는 주로 제어부(100)가 미리 기억된 프로그램에 따라 실행하는 것으로 한다.
표시 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전원은 ON으로 되고, 각종 기능이 동작 가능한 상태에서 조작부(15) 또는 리모컨(123) 등에 의한 커스터마이즈 지시 입력에 의해 프로그램이 개시된다(S501).
다음으로, 커스터마이즈를 위한 동작이 선택되면, 커스터마이즈용 화상이 표시부(4)에 표시된다(S502). 도 65에, 화면에 표시되는 커스터마이즈용 화상의 일례를 나타낸다. 조작자는 도 65에 나타낸 화면에 표시되는 커스터마이즈용 화상 상에서 설정 1∼설정 3 중 1개의 등록 버튼, 예를 들어 401을 선택한다.
다음으로, 조수석(P석) 또는 운전석(D석)에서의 버튼 배치의 커스터마이즈를 위해, 커스터마이즈하는 측 좌석의 설정을 행한다(S503). 좌석의 설정을 행하기 위한 화상 표시의 일례를 도 66에 나타낸다. 도 65에 나타낸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 상에서, 예를 들어 등록 버튼(401)이 선택되면, 자동적으로 도 66에 나타낸 선택 화상이 화면에 표시되기 때문에, 조작자는 화면에서 운전석(404)이나 조수석(405)을 선택한다. 각 시트에 착석 센서 등이 배치되어 있고, 미리 어느 자리의 조작자가 조작하고 있는지가 판별 가능할 경우에는 이 스텝을 생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커스터마이즈에 대응하는 인물의 설정을 행한다(S504). 인물의 설정을 행하기 위한 화상 표시의 일례를 도 67에 나타낸다. 도 66에 나타낸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 상에서 좌석이 선택되면, 자동적으로 도 67에 나타낸 화상이 화면에 표시되기 때문에, 조작자는 자기를 특정하는 조작자명(예를 들어 「아버지」등)을 조작부(15), 리모컨(123) 또는 소프트 키보드 등을 이용하여 소정의 공란(406)에 입력한다. 또한, 조작자를 특성(特性)하지 않고(표시 장치에 공통의 설정을 행할 경우 등), 커스터마이즈를 행할 경우에는 이 스텝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조작자명의 등록과 동시에, 지문 센서(332)를 사용하여 지문 데이터의 등록을 행할 수 있다. 등록된 지문 데이터는 조작자명과 함께 메모리(125)에 기억된다. 또한, 조작자를 특성하지 않고(예를 들어 표시 장치에 공통의 설정을 행할 경우 등), 커스터마이즈를 행할 경우에는 이러한 처리는 불필요하다.
다음으로, 현재 등록을 하려고 하는 대상의 소스의 설정을 행한다(S505). 도 67에 나타낸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 상에서 인물이 설정되면, 자동적으로 도 68에 나타낸 화상이 화면에 표시되기 때문에, 조작자는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을 선택하는 버튼(413)을 선택하여, 커스터마이즈를 행하는 소스를 설정한다. 또한, 소스를 특정하지 않고 커스터마이즈를 행할 경우(예를 들어 모두의 소스에 대한 공통의 설정을 행할 경우)에는 이 스텝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선택하고 있는 소스가 대상의 소스로서 자동적으로 설정되도록 할 수도 있고, 그 경우에는 조작자에 의한 이 스텝에서의 설정은 불필요해진다.
다음으로, 설정된 좌석 측에서의 설정된 소스의 조작 버튼의 커스터마이즈를 행한다(S506). 조작 버튼의 커스터마이즈에서는 조작 버튼의 크기, 형(形), 휘도, 색, 화면 상의 위치, 기능을 조작자가 자유롭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자는 조작부(15), 리모컨(123) 등을 이용하여, 표시부(4)의 표시 영역 중 어느 장소에서도, 조작 버튼을 자유롭게 배열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또한, 설정 조작 방법으로서, 그 외의 다양한 방식을 채용할 수 있음은 말할 필요도 없다.
다음으로, 조작자가 설정한 조작 버튼의 커스터마이즈가 금지 사항에 해당하는 지의 여부가 판단된다(S507).
금지 사항으로서는 이번에 등록하려고 하는 조작 버튼 배치가 이미 등록되어 있는 반대 측 좌석용 조작 버튼 배치와 위치적으로 중복되는 경우가 해당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부(4)의 1개의 화면을 다중으로 분할하여 복수의 조작자에게 상이한 화상을 시청시킬 수는 있어도, 터치 패널(118)은 1개이기 때문에, 예를 들어 도 7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조작자에 대한 조작 버튼의 배치가 표시부(4) 상에서 근접 배치되고, 조작 영역이 중복되면, 어느 쪽 좌석용 조작 입력인지가 제어부(100) 측에서 판단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도 7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부(4)의 영역(451)은, 실제로는 좌측 표시용 화소(Lp) 및 우측 표시용 화소(Rp)로 구성되어 있다(도 3a 참조). 따라서, 제 1 표시 화소(6)의 일부 조작 버튼(452)은 좌측 표시용 화소(Lp)에 의해 표시되고, 제 2 표시 화소(5)의 일부 조작 버튼(453)은 우측 표시용 화소(Rp)에 의해 표시되고 있다. 즉, 조작 버튼(452)과 조작 버튼(453)은 표시부(4) 상에서는 엄밀하게는 서로 근접 배치되어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조작자에 대한 조작 버튼의 배치가 표시부 상에서 근접 배치되고, 조작 영역이 중복되는 조작 버튼 배치를 「동일」 또는 「중복」이라고 한다.
도 69에 운전석 측의 조작 버튼 배치와, 조수석 측의 조작 버튼 배치가 중복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도 69의 (a)는 조수석 측에서 이미 등록되어 있는 CD 조작용 조작 버튼 배치예(414)를 나타내고, 도 69의 (b)는 이번에 운전석 측에서의 내비게이션용으로 등록하려고 하는 조작 버튼 배치예(415)를 나타내고 있다. 이번에, 내비게이션용 조작 버튼 배치예(415)를 등록하면, 제어부(100)가 표시부(4)에서 운전석 방향으로는 내비게이션 화상(조작용 버튼을 포함함)을 표시하고, 조수석측 방향으로는 CD 조작용 화상을 표시한 경우, 운전석 측과 조수석 측에서 조작 버튼끼리가 위치적으로 중복되게 되고, 터치 패널(118)을 사용한 입력이 어느 쪽 좌석에 관한 조작 입력인지를 제어부(100)가 판단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이번에 등록하려고 하는 조작 버튼 배치와, 이미 등록되어 있는 반대 측 좌석의 모든 조작 버튼 배치를 비교하고, 조금이라도 위치적으로 중복이 있을 경우에는 금지 사항에 해당하는 것이라고 판단하도록 했다. 즉, 운전석 측에서의 등록 시에도, 이미 조수석 측에서 등록되어 있는 모든 조작 버튼 배열과의 중복을 확인하고, 완전히 중복이 없을 경우만 등록을 허가하는 것으로 한다.
그러나, 조작 버튼의 배열 중복을 금지하는 방법으로서는 이하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양한 방법이 생각된다.
(1) 운전석 측에서의 등록을 우선하여, 운전석 측에서의 등록에서는 금지 사항을 설치할지 않고, 조수석 측에서의 등록 시에만, 이미 등록되어 있는 모든 운전석 측 등록과의 중복을 판단하는 방법.
(2) 또한, 어떤 자리 측에서의 등록에 대해서도 금지 사항을 설치하지 않고, 이용 시에 중복을 판단하는 방법(도 71의 플로 참조).
(3) 미리, 각 좌석에서의 조작 버튼의 배열 가능 영역을 설정하고(예를 들어 운전석 측에서는 표시부(4)의 화상 영역 중 운전석 측의 우측 절반), 그 이외의 영역에는 조작 버튼을 배치할 수 없도록 한 방법.
(4) 미리 운전석 측과 조수석 측에서 서로 중복되는 것이 없는 패턴을 몇 개 준비해두고, 조작자가 그 중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5) 운전석 측과 조수석 측에서 서로 중복되는 부분만을 무효로 하는 방법.
또한, 상기 (3) 및 (4)의 경우에는, 잠재적으로 운전석 측과 조수석 측에서 조작 버튼 배치에 중복이 생길 가능성이 없기 때문에, 도 64에 나타낸 플로에서의 S7의 판단은 불필요해진다.
S7에서 금지 사항에 해당한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금지 사항에 해당하는 사항이 표시부(4)를 이용하여 조작자에게 고지되고(S508), S506으로 되돌아와, 조작자에게 조작 버튼 배치의 재설정을 촉구한다. 또한, 고지를 받은 조작자가 고지를 무시하여 조작 버튼끼리가 중복된 채로 등록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 경우, 이미 등록되어 있는 배치가 자동적으로 이동되어, 서로 중복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S7에서 금지 사항에 해당되지 않을 경우에는, 이제까지의 설정에 의한 조작 버튼 배열 데이터가 메모리(125)에 기억·등록되고(S509), 일련의 조작이 종료된다(S510). 도 70의 (a)에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설정된 운전석 측, 조작자명「아버지」, 내비게이션 조작용의 조작 버튼 배치예(416)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이 조작 버튼 배치(416)는 도 70의 (b)에 나타낸 이미 등록되어 있는 조수석 측의 CD 조작용 버튼 배치(417)와 중복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술한 플로에 따라, 특정 좌석, 특정 인물, 및 특정 소스에 관한, 조작 버튼 배치를 커스터마이즈하여 등록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또한, 좌석을 설정하는 스텝(S503), 인물을 설정하는 스텝(S504) 및 소스를 설정하는 스텝(S505)은 도 64에 나타낸 순서가 아니라, 다른 순서일 수도 있다.
또한, 좌석을 설정하는 스텝(S503), 인물을 설정하는 스텝(S504) 및 소스를 설정하는 스텝(S505)에서는 각각의 사용 빈도를 메모리(125) 등에 카운트해두고, 각 설정 화면의 초기 표시로서, 가장 사용 빈도가 높은 것을 특징적으로 표시 또는 빈도순으로 배열하여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좌석을 설정하는 스텝(S503), 인물을 설정하는 스텝(S504) 및 소스를 설정하는 스텝(S505)에서는 표시 장치(20)가 전원 OFF된 때 최후의 상태를 메모리(125) 등에 기억해 두고, 그 때의 설정을 각 설정 화상의 초기 표시로서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64의 플로에서는 표시부(4)에서 2방향에 대하여 상이한 표시 화상을 표시하는 예에 맞춰 설명했지만, 3방향 이상에 대하여 각각 상이한 표시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에도 S503의 설정을 늘림으로써, 도 64에 나타낸 플로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1에 커스터마이즈를 행한 조작 버튼 배치를 사용하기 위한 조작 시 동작 플로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하의 동작 플로는 주로 제어부(100)가 미리 기억된 프로그램에 따라 실행하는 것으로 한다.
표시 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전원은 ON으로 되고, 각종 기능이 동작 가능한 상태일 경우, 단일 표시(표시부에서 1개의 표시 화상만을 표시하는 경우)로부터 복수 표시(복수의 시 방향에 대한 개별의 표시 화상을 동일 화면 상에 표시하는 경우)로의, 조작부(15) 또는 리모컨(123) 등에 의한 소정의 지시 입력의 경우에 프로그램이 개시된다(S511).
다음으로, 등록된 커스터마이즈 정보에 대응하는 인물의 설정을 행한다(S512). 인물 설정의 선택은 표시부(4)에 표시되는 적절한 선택 화상에 의해 행한다. 또한, 선택 화상을 표시하여 선택하는 대신에, 지문 센서(332)를 사용하여 인물 설정을 대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지문 센서(332)로부터 지문 데이터가 입력되면, 지문 대조부(330)는 메모리(125)에 기억되어 있는 지문 데이터와의 대조를 행하고, 지문 입력을 행한 인물을 특정한다. 또한, 인물에 대응시켜, 커스터마이즈를 행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본 스텝은 불필요하다.
다음으로, 조수석(P석) 또는 운전석(D석) 중 어느 쪽 측에서의 커스터마이즈 정보를 판독할지를 좌석에 의해 선택하고(S513), 또한 대상으로 되는 소스의 설정을 행한다(S514). 또한, 좌석에 대응시켜 커스터마이즈를 행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S513은 불필요하고, 소스에 좌석에 대응시켜 커스터마이즈를 행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S514는 불필요하다.
다음으로, 특정 좌석, 특정 인물, 및 특정 소스에 관하여 커스터마이즈된 조작 버튼 배치 데이터의 판독을 행한다(S515).
다음으로, 판독된 조작 버튼 배치가 금지 사항에 해당하는 지의 여부가 판단된다(S516).
금지 사항으로서는, 이번에 이용하려고 하는 조작 버튼 배치가 이미 현재 이용되고 있는 반대 측 좌석용 조작 버튼 배치와 중복되는 경우가 해당된다. 그것은, 표시부(4)에서 복수의 조작자에게 상이한 화상을 표시시킬 수는 있어도, 터치 패널(118)은 1개이기 때문에, 조작 버튼의 배열이 중복되면, 어느 쪽 좌석용의 조작 입력인지가 제어부(100) 측에서 판단할 수 없기 때문이다.
S516에서 금지 사항에 해당한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금지 사항에 해당하는 사항이 표시부(4)를 이용하여 조작자에게 고지되고(S517), 이미 이용되고 있는 반 대 측 좌석용 조작 버튼 배치와 중복되지 않는 표준 조작 버튼 배치가 판독되어 이용 가능 설정된다(S518). 또한, S516에서 금지 사항에 해당한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표준 조작 버튼 배치를 판독하는 것이 아니라, 금지 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조작 버튼 배치를 다시 선택하도록 조작자에게 촉구하는 것도 가능하다.
S516에서 금지 사항에 해당하지 않을 경우에는, S515에서 판독된 조작 버튼 배치가 조작자에게 이용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일련의 조작이 종료된다(S519).
이와 같이 하여, 커스터마이즈 등록된 조작 버튼 배치가 판독되어, 운전석 측과 조수석 측에서 중복되지 않고 조작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또한, 커스터마이즈 등록(도 64의 플로 참조) 시에 조작 버튼 배치끼리가 중복되지 않을 경우에만 등록이 허가되는 경우에는 S516의 플로는 불필요해진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운전석용과 조수석용에 대하여 각각 상이한 화상을 제공하고, 각각 상이한 조작 버튼 배치를 제공하도록 구성했지만, 3개 이상의 좌석(예를 들어 상기 3좌석의 차량에 대응하는 경우나, 후부 좌석을 포함하는 경우 등)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각각 상이한 화상을 제공하고, 각각 상이한 조작 버튼 배치를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다른 예로서, 차량(19)에 탑승자가 탑승한 때에 다양한 어떤 검출 수단(예를 들어 화상 인식 등)에 의해 탑승자를 특정하고, 또는 착좌(着座) 위치를 검출(화상 인식이나 착좌 센서 등의 검출 수단을 이용함)함으로써, 인물 및 좌석 방향을 특정(설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조작자가 조작부(15)를 통하여 선택한 소스에 대해, 특정한 인물 및 좌석 방향에서의 버튼 배치 를 자동적으로 등록·판독을 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메뉴 설정이 아니라, 자동 설정).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차량에 탑재된 표시 장치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를 방 등에 설치하고, 표시 장치를 항하여 우측에 앉는 조작자와 좌측에 앉는 조작자에 대하여 각각 상이한 화상을 제공하고, 각각 상이한 조작 버튼 배치를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운전석용과 조수석용에 대하여 각각 상이한 조작 버튼 배치를 제공하도록 구성했지만, 조작 버튼에는 소위 버튼 형상의 것뿐만 아니라, 슬라이드형 스위치 타입이나, 다이얼식 등, 다양한 타입의 조작 입력 형상이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 방향에 따라 상이한 화상의 시인이 가능한 표시 장치, 그러한 표시 장치에서의 조작 버튼 화상의 커스터마이즈 방법 및 그러한 표시 장치에서의 조작 버튼 화상의 사용 방법에 의하면, 복수의 화상을 시인하는 각각의 조작자로부터의 조작 입력을 적절히 행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 방향에 따라 상이한 화상의 시인이 가능한 표시 장치에서의 조작 입력 화상 커스터마이즈 방법에 의하면, 1개의 표시부에서 복수의 화상(또는 표시 화상)을 표시한 경우에도, 복수의 화상마다의 조작 입력이 혼동되지 않도록 조작 버튼 화상을 등록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화상을 동시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 표시 장치에서의 조작 입력 화상 설정 방법에 의하면, 1개의 표시부에서 복수의 화상(또는 표시 화상)을 표시한 경우에도, 복수의 화상마다의 조작 입력이 혼동되지 않도록 조작 버튼 화상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2 내지 16에 따른 표시 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3은 실시예 12 내지 16의 특징 부분을 나타내는 개요 블록도이다. 도 73에 있어서, 도 5에 나타낸 AV 내비게이션 시스템과 동일 구성에는 동일 번호를 첨부했다.
도 73에 있어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포함되는 표시 장치(20)는 차량의 인스트루먼트패널(instrument pannel) 중앙부에 탑재되는 표시 장치이다. 표시 장치(20)에는 버스 라인(BL)을 통하여, 동일 차량에 탑재되는 각종 전자 기기로서, 예를 들어 음성 조정 회로(113), 내비게이션부(106), DVD 재생부(104)가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표시 장치(20), 내비게이션부(106), DVD 재생부(104), 앰플리파이어(amplifier)(260) 및 스피커(17)는 도 5에서 리모컨(123) 이외의 구성에 대응한다.
표시 장치(20)는 도시하지 않은 CPU나, ROM, RAM 등을 구비한 제어부(100)와, 터치 패널(118)이 채용된 표시부(4)와, 상기 각종 전자 기기(음성 조정 회로(113), 내비게이션부(106), DVD 재생부(104) 등)에 대하여 조작 지령을 주는 각종 조작 스위치(15a∼15h)(도 74 참조)를 구비한 조작부(15)와, 리모컨(123)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는 리모컨 송수신부(12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100)는 표시부(4)에 설치된 조작 스위치(15a∼15h)를 통하여 입력된 조작 지령에 관한 데이터를 각종 전자 기기(음성 조정 회로(113), 내비게이션부(106), DVD 재생부(104) 등)로 송신하거나, 이것에 응답하여 각종 전자 기기로부터 송신되어오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종 전자 기기의 동작 상태나 동작 상황 등을 나타낸 정보를 표시부(4)에 표시시키거나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표시부(4)는, 도 7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어 TFT(박막 트랜지스터)형 액정 패널(21)과, 액정 패널(21)의 전면(前面) 측에 배치되는 시차 배리어(26')를 구비한다. 액정 패널(21)에서는 수평 표시 라인 방향(도 75 지면에서는 좌우측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우측 표시용 화소(Rp) 및 좌측 표시용 화소(Lp)로 구분되어 표시 화상 표시가 행해진다. 우측 표시용 화소(Rp) 및 좌측 표시용 화소(Lp)는 번갈아 설정되어 있고, 우측 표시용 화소(Rp)에는 우측 표시 화상이 표시되고, 좌측 표시용 화소(Lp)에는 좌측 표시 화상이 표시된다. 액정 패널(21)의 전면 측(관찰자 측)에 배치되는 시차 배리어(26')는 투명한 시트체(146)의 표리 양면에 각각 복수의 차광띠(142, 144)를 간격을 두고 형성하여 구성되어 있다. 차광띠(142, 144)는 우측 표시용 화소(Rp) 및 좌측 표시용 화소(Lp)에 대하여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시차 배리어(26')를 설치함으로써, 우측 표시 화상을 표시하는 우측 표시용 화소(Rp)로부터 출사된 광은 우측 탑승자(7)의 눈에 입사(入射)되지만, 좌측 표시 화상을 표시하는 좌측 표시용 화소(Lp)로부터 출사된 광은 우측 탑승자(7)의 눈에 입사되지 않도록 하고, 한편 좌측 표시 화상을 표시하는 좌측 표시용 화소(Lp)로부터 출사된 광은 좌측의 탑승자(8)의 눈에 입사되지만, 우측 표시 화상을 표시하는 우측 표시용 화소(Rp)로부터 출사된 광은 좌측 탑승자(8)의 눈에 입사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음성 조정 회로(113)에는 앰플리파이어(260)를 통하여 스피커(17)가 접속되어 있고, 음성 조정 회로(113)로부터 출력된 음성 신호는 앰플리파이어(260)에서 증폭되어, 스피커(17)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내비게이션부(106) 및 DVD 재생부(104)로부터 출력된 음성 신호에 대해서도, 음성 조정 회로(113) 및 앰플리파이어(260)를 통하여, 스피커(17)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리모컨(123)은 도시 하지 않은 CPU나, ROM, RAM 등을 구비한 리모컨 측 제어부(52)와, 터치 패널이 채용된 리모컨 측 표시부(53)와, 상기 각종 전자 기기나 리모컨(123) 자체에 대하여 조작 지령을 주는 각종 조작 스위치를 구비한 리모컨 측 조작부(54)와, 표시 장치(20)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는 리모컨 측 통신부(5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리모컨(123)에서는 표시부(53)에 조작 스위치의 표시 화상을 표시함으로써 조작 스위치가 구성되고, 표시 장치(20)에 표시되는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이 관찰자에 의해 행해진다.
표시 장치(20)에서는 상술한 표시부(4)를 사용함으로써, 도 7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비게이션부(106)에 의한 지도 표시 화상(5)을 운전자(11)로부터는 보이도록(조수석 탑승자(8)로부터는 보이지 않도록) 표시부(4)에 표시하는 동시에, DVD 재생부(104)에 의한 DVD 표시 화상(8)을 조수석 탑승자(8)로부터는 보이도록(운전자(11)로부터는 보이지 않도록) 표시부(4)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4)에서는 터치 패널(118)이 채용되어 있기 때문에, 표시 화면 상에 조작 스위치의 표시 화상을 표시함으로써, 조작 스위치가 구성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운전자(11) 에 대한 표시 내용과, 조수석 탑승자(8)에 대한 표시 내용을 상이하게 한 경우, 도 7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 화면 상에는 지도 표시 화상(5)에 대한 조작 스위치(BD1∼BD6)와, DVD 표시 화상(8)에 대한 조작 스위치(BA1∼BA6)가 표시된다.
도 75의 예에서는 차광띠(142 및 144)가 번갈아 형성되어 있는 시차 배리어(26')를 사용했지만,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시차 배리어(26)를 사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본 발명은 표시 장치(20)에, 복수의 시 방향에 대한 개별의 표시 화상(예를 들어 2개의 상이한 방향에 상이한 표시 화상)이 표시되고 있는 상황에서, 표시 장치(20) 및/또는 원격 제어 장치로서 기능하는 리모컨(123)을 사용하여, 적절히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한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 제어 시스템에서의 제어 내용을 5개의 실시예로 나누어 설명한다. 또한, 복수의 시 방향에 대한 개별의 표시 화상(예를 들어 2개의 상이한 방향에 상이한 표시 화상)을 표시하는 것을 「분리 표시」라고 하는 것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2에 따른 표시 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12에서는 리모컨(123)이, 제 2 표시 화상(운전석용 표시 화상)(5)에 대한 제 2 화상 소스(1)에 대한 제어 조작을 행하는 운전석용 조작 모드(DR 모드)와, 제 1 표시 화상(조수석용 표시 화상)(6)에 대한 제 1 화상 소스(2)에 대한 제어 조작을 행하는 조수석용 조작 모드(PA 모드) 중 어떤 모드를 선택할지를 결정하 는 모드 설정부를 가지고 있다. 그런데, 모드 설정은 복수의 시 방향 중 어떤 시 방향을 나타내는지를 결정하는 것, 및 복수의 화상 소스(내비게이션부(106), DVD 재생부(104) 등) 중 어느 것을 나타낼지를 결정하는 것에도 상당한다.
또한, 리모컨(123)에서 후술하는 방법에 의해 모드 설정을 행함으로써, 리모컨 측 표시부(53)에는 대응하는 DR 모드용 조작 스위치 및 PA 모드용 조작 스위치 중 어느 한쪽이 표시되고, 리모컨 조작부(54) 및/또는 리모컨 측 표시부(53)에 포함되는 터치 패널을 이용하여, DR 모드 및 PA 모드 중 어느 한쪽에 대한 조작 입력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리모컨(123)의 리모컨 측 제어부(52)는 모드 설정 상황을 나타내는 모드 설정 신호와, 리모컨(123)의 리모컨 측 조작부(54) 또는 리모컨 측 표시부(53)에 설치된 터치 패널로부터 입력되는 조작 입력에 대응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다음으로, 리모컨 측 제어부(52)는 생성한 모드 설정 신호 및 제어 신호를 리모컨 측 송수신부(55)로부터 리모컨 송수신부(124)로 송신한다. 표시 장치의 제어부(100)는 수신한 모드 설정 신호에 의해 대상의 화상 소스를 특정하고, 수신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대상의 화상 소스를 제어한다.
즉, 실시예 12의 경우, 리모컨(123)이 모드 설정 기능을 가지고, 표시 장치(20)가 제어 신호에 의해 대상의 화상 소스를 제어하는 제어 기능을 가지고 있다.
도 77은 실시예 12에서의 제어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이 제어는 표시 장치(20)에서의 분리 표시를 지시함으로써 개시된다. 또한, 본 플로차 트는 분리 표시가 해제될 때까지 반복된다. 우선, 스텝 a1에서는 리모컨(123)의 제어부(52)가 초기 설정 정보를 참조하여, 리모컨(123)의 조작 모드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초기 모드로서 DR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는 리모컨(123)에서 DR 모드가 설정된다.
스텝 a2에서는 리모컨(123)에 대하여 조작이 행해졌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조작이 행해진 경우는 조작 내용이 판단된다(스텝 a3). 조작 내용이 모드 전환 조작 이외의 그 외의 조작인 경우는 그 조작에 대응하는 처리가 행해진다(스텝 a4). 예를 들어 DR 모드에서의 조작, 즉 운전석용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인 경우는 표시 장치(20)의 제어부(100)가 대응하는 조작 제어를 행한다. 그 후, 처리는 스텝 a2로 되돌아간다.
한편, 조작 내용이 모드 전환 조작인 경우는 조작 모드의 전환이 행해진다(스텝 a5). 예를 들어 DR 모드가 설정되어 있을 때 모드 전환 조작이 행해진 경우는 리모컨(123)에서 PA 모드가 설정된다. 그 후, 처리는 스텝 a2로 되돌아간다.
모드 전환 조작(모드 설정 동작)으로서는 이하의 조작이 생각된다
1) 표시부(53)로 구성되는 전환 스위치를 누른다. 이 경우는, 초기 설정 정보의 초기 모드를 DR 모드 또는 PA 모드로 해두고, 전환 스위치가 눌린 것을 모드 전환 명령으로 하여, 조작 모드를 전환한다. 초기 설정 정보는 제어부(52) 내의 메모리에 기억된다. 초기 설정 정보 및 모드 전환 명령이 모드 설정 정보에 상당하고, 제어부(52) 및 표시부(53)의 전환 스위치가 모드 설정 정보 출력부에 상당하며, 제어부(52)가 조작 모드 제어부에 상당한다.
2) 2개의 접속 형태를 갖는(리모컨 측 조작부(54)의 일부로서 구성된) 기계식 스위치를 전환한다. 이 경우는, 기계식 스위치의 접속 형태에 기초하여 조작 모드를 전환한다. 예를 들어 한쪽 접속 형태를 DR 모드로 하고, 다른 쪽 접속 형태를 PA 모드로 해두고, 기계식 스위치의 접속 형태에 기초하여 조작 모드를 전환한다. 초기 모드는 기계식 스위치의 접속 형태로 결정된다. 기계식 스위치의 접속 형태가 모드 설정 정보에 상당하고, 기계식 스위치 및 제어부(52)가 모드 설정 정보 출력부에 상당하며, 제어부(52)가 조작 모드 제어부에 상당한다.
3) 리모컨(123)에 진동량을 검출하는 검출기(자이로스코프(gyroscope) 등)를 설치해두고, 리모컨(123)을 흔듬에 의해 조작 모드를 전환한다. 이 경우는, 초기 설정 정보의 초기 모드를 DR 모드 또는 PA 모드로 해두고, 검출기에 의한 검출 진동량이 기준값을 초과한 것을 모드 전환 명령으로 하여, 조작 모드를 전환한다. 초기 설정 정보 및 모드 전환 명령이 모드 설정 정보에 상당하고, 검출기 및 제어부(52)가 모드 설정 정보 출력부에 상당하며, 제어부(52)가 조작 모드 제어부에 상당한다.
4) 관찰자를 식별하는 개인 식별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와, 입력된 개인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관찰자를 인식하는 인식부와, 관찰자로 설정하는 조작 모드를 대응시켜 기억하는 기억부를 설치해두고, 인식한 관찰자에 대응시켜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조작 모드를 설정한다. 이 경우는, 분리 표시가 지시되고나서 최초에 인식한 관찰자에 대응하는 조작 모드가 초기 모드로 된다. 이후는, 관찰자가 인식될 때마다 조작 모드가 전환된다.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조작 모드가 모드 설정 정보에 상당하고, 상기 입력부, 인식부 및 기억부가 모드 설정 정보 출력부에 상당하며, 제어부(52)가 조작 모드 제어부에 상당한다.
5) 표시 장치(20)에 대한 리모컨(123)이 존재하는 방향을 검출하는 방향 검출 장치를 설치하고, 방향 검출 장치에 의해 검출된 방향에 따라, 조작 모드를 전환한다. 예를 들어 리모컨(123)이 존재하는 방향이 운전석 방향인 경우는 DR 모드가 된다. 또한, 방향 검출의 상세는 후술한다(실시예 16을 참조). 검출된 방향이 모드 설정 정보에 상당하고, 방향 검출 장치가 모드 설정 정보 출력부에 상당하며, 제어부(52)가 조작 모드 제어부에 상당한다.
상기 실시예 12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상기 실시예에서는 관찰자가 소정의 모드 전환 조작을 행함으로써 DR 모드 및 PA 모드를 적절히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20)에 표시되고 있는 2개의 표시 화상에 대한 각각의 조작을 1개의 리모컨(123)으로부터 적절히 행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 12는, 또한 표시 장치(20) 측에서 유효 조작 설정 조건을 판단하도록 변형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실시예 12의 제 1 변형예).
유효 조작 설정 조건은 예를 들어 제 1 표시 화상(조수석용 표시 화상)(6)에 대응하는 제 1 화상 소스(2)로의 조작을 유효로 하고, 제 2 표시 화상(운전석용 표시 화상)(5)에 대응하는 제 2 화상 소스(1)로의 조작을 무효로 하기 위한 조건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유효 조작 설정 조건을, 운전자가 운전에 전념해야할 상황에 있을 때 성립하는 조건이라고 하면, 운전자가 운전에 전념해야할 때는 (표시 장 치(20)의 제어부(100)가 유효 조작 설정 조건이 성립되어 있는지 여부의 판단과, 리모컨(123)으로부터의 모드 설정 신호에 의한 화상 소스의 설정을 제어하여) 제 2 표시 화상(운전석용 표시 화상)(5)에 대한 조작 입력이 무효로 되어 리모컨(123)에 의해 조작할 수 없게 된다. 이것에 의해, 운전자가 리모컨(123)의 조작에 정신을 빼앗기는 것이 억제되고, 차량 주행 시 안전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 12의 제 1 변형예에서는, 리모컨(123)이 모드 설정 기능을 가지고, 표시 장치(20)가 제어 신호에 의해 대상의 화상 소스를 제어하는 제어 기능을 가지고, 표시 장치(20)가 유효 조작 설정 조건이 성립되어 있는지 여부의 조건 판단 및 조건 판단에 기초하는 모드 설정의 제어를 행하고 있는 것으로 된다.
도 78은 유효 조작 설정 조건이 성립된 때 행하는 제어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이 제어는 표시 장치(20)에서의 분리 표시를 지시함으로써 개시된다. 또한, 본 플로차트는 분리 표시가 해제될 때까지 반복된다. 우선, 스텝 a11에서는 리모컨(123)의 제어부(52)가 초기 설정 정보를 참조하여, 리모컨(123)의 조작 모드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초기 모드로서 DR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는 리모컨(123)에서 DR 모드가 설정된다.
스텝 a12에서는 표시 장치(20)의 제어부(100)에서 유효 조작 설정 조건이 성립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조건이 성립되어 있는 경우는 스텝 a13에서 PA 모드에 의한 조작만을 유효로 하고, DR 모드에 의한 조작을 무효로 한다. 한편, 조건이 성립되어 있지 않을 경우는 스텝 a14에서 PA 모드 및 DR 모드의 양쪽 모드에 의한 조작을 유효로 한다.
스텝 a13에서의(모드 설정의) 제어로서는 이하의 제어 방법이 생각된다. 유효 조작 설정 조건이 성립되어 있는 기간은 DR 모드에 의한 조작이 행해져도, 조작에 대응하는 제어를 행하지 않도록 한다. 이는 리모컨(123)으로부터의 조작 신호를 수신한 제어부(100)가 대응하는 제어를 행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스텝 a15에서는 제어부(100)에서, 리모컨(123)에서 설정되어 있는 조작 모드가 유효 모드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유효 모드는 그 모드에서의 조작이 유효로 되어 있는 모드이다. 유효 모드, 즉 PA 모드인 경우는 스텝 a16으로 진행하고, 유효 모드가 아닐 경우(무효 모드일 경우), 즉 DR 모드인 경우는 스텝 a19로 진행한다.
스텝 a16에서는 제어부(100)에서 리모컨(123)에 대하여 조작이 행해졌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모드 전환 조작 이외의 그 외의 조작이 행해진 경우는 그 조작에 대응하는 처리가 행해진다(스텝 a17). 이 경우는 PA 모드에서의 조작, 즉 조수석용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이 행해진 경우이기 때문에, 표시 장치(20)의 제어부(100)가 대응하는 조작 제어를 행한다. 그 후, 처리는 스텝 a12로 되돌아간다.
한편, 모드 전환 조작이 행해진 경우는, 제어부(52)에서 조작 모드의 전환이 행해진다(스텝 a18). 여기서는, PA 모드가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DR 모드로 조작 모드가 전환된다. 그 후, 처리는 스텝 a12로 되돌아간다.
또한, 스텝 a15에서 DR 모드가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는 스텝 a19에서, 리모컨(123)에서 모드 전환 조작이 행해졌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모드 전환 조작이 행해진 경우는 조작 모드의 전환이 행해진다(스텝 a18). 여기서는, DR 모드가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PA 모드로 조작 모드가 전환된다. 즉, 유효 설정 조건이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도, PA 모드에서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DR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유효 설정 조건이 성립된 경우에도 모드 전환은 가능해진다. 그 후, 처리는 스텝 a12로 되돌아간다. 또한, 리모컨(123)에서 모드 전환 조작 이외의 그 외의 조작이 행해진 경우는 조작에 대응하는 처리를 행하지 않고, 스텝 a12로 되돌아간다.
운전자가 운전에 전념해야할 상황에 있을 때는, 차량이 주행하고 있을 때, 야간일 때, 고속도로를 주행하고 있을 때, 커브가 많은 등 복잡한 도로를 주행하고 있을 때 등이 생각된다.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것은, 예를 들어 차속 센서에서 검출된 차량의 속도가 5㎞/h 이상인 것, 파킹 브레이크(parking brake) 신호(PKB 신호)가 오프(off)인 것, GPS 정보 수신부(112)로부터의 GPS(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 신호에 의해 차량의 이동을 검출한 것, 내비게이션부(106)에 내장되어 있는 자이로스코프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진동이 검출된 것 등에 기초하여 판단할 수 있다.
야간인 것은, 예를 들어 표시 장치(20)에 대하여 야간용 일루미네이션(illuminations)의 점등이 관찰자에 의해 지시된 것, 시계 기능에 의해 얻어진 현재 시각이 야간에 상당하는 시간대에 포함되어 있는 것 등에 기초하여 판단할 수 있다.
고속도로를 주행하고 있는 것 및 커브가 많은 등 복잡한 도로를 주행하고 있 는 것은,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부(106)에서의 지도 정보와 차량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변형예에서는, 표시 장치(20)가 유효 조작 설정 조건이 성립되어 있는지 여부의 조건 판단 및 조건 판단에 기초하는 모드 설정의 제어를 행했다. 그러나, 표시 장치(20) 제어부(100)의 부하를 경감시키기 위해, 유효 조작 설정 조건이 성립되어 있는지 여부의 조건 판단 및 조건 판단에 기초하는 모드 설정의 제어를 리모컨(123)의 리모컨 측 제어부(52)에서 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 경우, 유효 조작 설정 조건이 성립되어 있는지 여부의 조건 판단을 위한 정보(예를 들어 차속 센서로부터의 속도 정보, PKB 신호, GPS 신호 등)를 표시 장치(20)로부터 리모컨(123)이 수신할 필요가 있다.
상기 실시예 12는, 또한 표시 장치(20) 측에서 우선 조작 설정 조작 조건을 판단하도록 변형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실시예 12의 제 2 변형예).
우선 조작 설정 조건은 예를 들어 제 2 표시 화상(운전석용 표시 화상)(5)에 대응하는 제 2 화상 소스(1)로의 조작을, 제 1 표시 화상(조수석용 표시 화상)(6)에 대응하는 제 1 화상 소스(2)로의 조작보다 우선하기 위한 조건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우선 조작 설정 조건을, 운전자가 운전에 전념해야할 상황에 있을 때 성립하는 조건이라고 하면, 운전자가 운전에 전념해야할 때는 (표시 장치(20)의 제어부(100)가 유효 조작 설정 조건이 성립되어 있는지 여부의 판단과, 리모컨(123)으로부터의 모드 설정 신호에 의한 화상 소스의 설정을 제어하여) 제 2 표시 화상(운전석용 표시 화상)(5)에 대한 조작 입력을 간단하게는 행할 수 없게 된다. 이것에 의해, 운전자가 리모컨(123)의 조작에 정신을 빼앗기는 것이 억제되고, 차량 주행 시 안전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 2 표시 화상(운전석용 표시 화상)(5)에 대한 조작 입력이 필요한 경우에는 무효 해제를 지시하면, 제 2 표시 화상(운전석용 표시 화상)(5)에 대한 조작 입력도 유효가 된다. 따라서, 우선성의 조건 판단에서는 제 2 표시 화상(운전석용 표시 화상)(5)에 대한 조작 입력을 항상 무효로 할 경우(유효성의 조건 판단: 실시예 12의 제 1 변형예)에 비해,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유효 조작 설정 조건이 성립되는 구체적 조건은 유효 조작 설정 조건과 동일하다.
즉, 본 실시예(12)의 제 2 변형예에서는, 리모컨(123)이 모드 설정 기능을 가지고, 표시 장치(20)가 제어 신호에 의해 대상의 화상 소스를 제어하는 제어 기능을 가지며, 표시 장치(20)가 우선 조작 설정 조건이 성립되어 있는지 여부의 조건 판단 및 조건 판단에 기초하는 모드 설정의 제어를 행하고 있는 것으로 된다.
도 79는 우선 조작 설정 조건이 성립된 때 행하는 제어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이 제어는 표시 장치(20)에서의 분리 표시를 지시함으로써 개시된다. 또한, 본 플로차트는 분리 표시가 해제될 때까지 반복된다. 우선, 스텝 a21에서는 리모컨(123)의 제어부(52)가 초기 설정 정보를 참조하여, 리모컨(123)의 조작 모드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초기 모드로서 DR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는 리모컨(123)에서 DR 모드가 설정된다.
스텝 a22에서는 제어부(100)에서 우선 조작 설정 조건이 성립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조건이 성립되어 있는 경우는 스텝 a23에서 PA 모드에 의한 조 작만을 유효로 하고, DR 모드에 의한 조작을 무효로 한다. 한편, 조건이 성립되지 않는 경우는 스텝 a24에서 PA 모드 및 DR 모드의 양쪽 모드에 의한 조작을 유효로 한다.
스텝 a23에서의 제어로서는 이하의 제어 방법이 생각된다. 우선 조작 설정 조건이 성립되어 있는 기간은 DR 모드에 의한 조작이 행해져도, 조작에 대응하는 제어를 행하지 않도록 한다. 이는 리모컨(123)으로부터의 조작 신호를 수신한 제어부(100)가 대응하는 제어를 행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스텝 a25에서는 제어부(100)에서 리모컨(123)에 의해 설정되어 있는 조작 모드가 유효 모드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유효 모드는 그 모드에서의 조작이 유효로 되어 있는 모드이다. 유효 모드 즉 PA 모드인 경우는 스텝 a26으로 진행하고, 유효 모드가 아닐 경우(무효 모드일 경우), 즉 DR 모드인 경우는 스텝 a29로 진행한다.
스텝 a26에서는 제어부(100)에서 리모컨(123)에 대하여 조작이 행해졌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모드 전환 조작 이외의 그 외의 조작이 행해진 경우는 그 조작에 대응하는 처리가 행해진다(스텝 a27). 이 경우는, PA 모드에서의 조작, 즉 조수석용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이 행해진 경우이기 때문에, 표시 장치(20)의 제어부(100)가 대응하는 조작 제어를 행한다. 그 후, 처리는 스텝 a22로 되돌아간다.
한편, 모드 전환 조작이 행해진 경우는 제어부(52)에서 조작 모드의 전환이 행해진다(스텝 a28). 여기서는, PA 모드가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DR 모드로 조작 모드가 전환된다. 그 후, 처리는 스텝 a22로 되돌아간다.
또한, 스텝 a25에서 DR 모드가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는 스텝 a29에서, 리모컨(123)에서 모드 전환 조작이 행해졌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모드 전환 조작이 행해진 경우는 조작 모드의 전환이 행해진다(스텝 a28). 여기서는, DR 모드가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PA 모드로 조작 모드가 전환된다. 그 후, 처리는 스텝 a22로 되돌아간다.
또한, 스텝 a29에서 모드 전환 조작 이외의 그 외의 조작이 행해진 경우는 스텝 a30에서, 리모컨(123)에서 무효 해제 조작이 행해졌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무효 해제 조작이 행해진 경우는 스텝 a31에서 DR 모드에 의한 조작을 유효로 한다. 그 후, 스텝 a32에서는 리모컨(123)에 대한 조작이 행해졌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조작이 행해진 경우는 표시 장치(20)의 제어부(100)가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제어를 행한다.
처리 종료 후, 스텝 a34에서는 DR 모드에 의한 조작이 행해지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소정 시간 경과하지 않은 경우는 스텝 a32로 되돌아간다. 한편, 소정 시간 경과한 경우는 스텝 a35에서 DR 모드에 의한 조작을 무효로 하여, 스텝 a22로 되돌아간다. 또한, 무효 해제 조작이 행해지고 나서 DR 모드에 의한 조작이 행해지지 않고 소정 시간 경과한 경우(스텝 a30, a31, a32, a34)도, 스텝 a35에서 DR 모드에 의한 조작을 무효로 하여, 스텝 a22로 되돌아간다.
또한, 스텝 a30에서, 리모컨(123)에서 무효 해제 조작 이외의 그 외의 조작이 행해졌다고 판단된 경우는 조작에 대응하는 처리를 행하지 않고, 스텝 a22로 되 돌아간다.
이와 같이, 우선 조작 설정 조건이 성립되어 있고, 본래는 DR 모드에 의한 조작이 무효로 되어 있을 경우에 관찰자의 지시에 따라 무효를 해제한 때는, 소정 시간 경과 후 다시 DR 모드에 의한 조작을 무효로 하기 때문에, DR 모드에 의한 조작을 제한할 수 있고, 차량 주행 시 안전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제 2 변형예에서는, 표시 장치(20)가 우선 조작 설정 조건이 성립되어 있는지 여부의 조건 판단 및 조건 판단에 기초하는 모드 설정의 제어를 행했다. 그러나, 표시 장치(20) 제어부(100)의 부하를 경감시키기 위해, 우선 조작 설정 조건이 성립되어 있는지 여부의 조건 판단 및 조건 판단에 기초하는 모드 설정의 제어를 리모컨(123)의 리모컨 측 제어부(52)에서 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 경우, 우선 조작 설정 조건이 성립되어 있는지 여부의 조건 판단을 위한 정보(예를 들어 차속 센서로부터의 속도 정보, PKB 신호, GPS 신호 등)를 표시 장치(20)로부터 리모컨(123)이 수신할 필요가 있다.
상기 실시예 12에서는, 리모컨(123)이 모드 설정 기능을 가지고, 표시 장치(20)가 제어 신호에 의해 대상의 화상 소스를 제어하는 제어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리모컨(123)이 모드 설정 기능 및 제어 신호에 의해 대상의 화상 소스를 제어하는 제어 기능을 가지고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리모컨(123)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가 대상의 화상 소스를 제어하게 된다. 즉, 표시 장치(20)의 제어부(100)는 리모컨으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대상 소스에 전송할 뿐인 중계 장치로서 기능하게 된다.
또한, 리모컨(123)이 모드 설정 기능 및 제어 신호에 의해 대상의 화상 소스를 제어하는 제어 기능을 가지고 있도록 구성한 경우에도, 상술한 유효 조작 설정 조건의 판단(제 1 변형예) 및 우선 조작 설정 조건의 판단(제 2 변형예)을 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 12에서는, 리모컨(123)이 모드 설정 기능을 가지고, 표시 장치(20)가 제어 신호에 의해 대상의 화상 소스를 제어하는 제어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표시 장치(20)가 모드 설정 기능 및 제어 신호에 의해 대상의 화상 소스를 제어하는 제어 기능을 가지고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표시 장치(20)의 조작부(15) 또는 터치 패널(118)에 의해 모드 설정부를 구성하고, 표시 장치(20)로부터 리모컨 송수신부(124)를 통하여, 설정된 모드 설정 정보를 리모컨(123)에 송신한다. 리모컨(123)에서는 수신한 모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리모컨 측 표시부(53)에, 대응하는 DR 모드용 조작 스위치 및 PA 모드용 조작 스위치 중 어느 한쪽을 표시하고, 리모컨 조작부(54) 및/또는 리모컨 측 표시부(53)에 포함되는 터치 패널을 이용하여, DR 모드 및 PA 모드 중 어느 한쪽에 대한 조작 입력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 된다. 또한, 리모컨(123)의 리모컨 측 제어부(52)는 리모컨(123)의 리모컨 측 조작부(54) 또는 리모컨 측 표시부(53)에 설치된 터치 패널로부터 입력되는 조작 입력에 대응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표시 장치(20)의 제어부(100)로 송신한다. 표시 장치의 제어부(100)에서는 자체의 모드 설정부에 의한 모드 설정 상황에 의해 대상의 화상 소스를 특정하고, 리모컨(123)으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대상의 화상 소스를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20)가 모드 설정 기능 및 제어 신호에 의해 대상의 화상 소스를 제어하는 제어 기능을 가지고 있도록 구성한 경우에도, 상술한 유효 조작 설정 조건의 판단(제 1 변형예) 및 우선 조작 설정 조건의 판단(제 2 변형예)을 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 12에서는, 리모컨(123)이 모드 설정 기능을 가지고, 표시 장치(20)가 제어 신호에 의해 대상의 화상 소스를 제어하는 제어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표시 장치(20)가 모드 설정 기능을 가지고, 리모컨(123)이 제어 신호에 의해 대상의 화상 소스를 제어하는 제어 기능을 가지고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표시 장치(20)의 조작부(15) 또는 터치 패널(118)에 의해 모드 설정부를 구성하고, 표시 장치(20)로부터 리모컨 송수신부(124)를 통하여, 설정된 모드 설정 정보를 리모컨(123)에 송신한다. 리모컨(123)에서는 수신한 모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리모컨 측 표시부(53)에 대응하는 DR 모드용 조작 스위치 및 PA 모드용 조작 스위치 중 어느 한쪽을 표시하고, 리모컨 조작부(54) 및/또는 리모컨 측 표시부(53)에 포함되는 터치 패널을 이용하여, DR 모드 및 PA 모드 중 어느 한쪽에 대한 조작 입력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 된다. 또한, 리모컨(123)의 리모컨 측 제어부(52)는 리모컨(123)의 리모컨 측 조작부(54) 또는 리모컨 측 표시부(53)에 설치된 터치 패널로부터 입력되는 조작 입력에 대응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이 경우, 리모컨(123)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가 대상의 화상 소스를 제어하게 된다. 즉, 표시 장치(20)의 제어부(100)는 리모컨으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대상 소스에 전송할 뿐인 중계 장치로서 기능하게 된다.
또한, 표시 장치(20)가 모드 설정 기능을 가지고, 리모컨(123)이 제어 신호에 의해 대상의 화상 소스를 제어하는 제어 기능을 가지고 있도록 구성한 경우에도, 상술한 유효 조작 설정 조건의 판단(제 1 변형예) 및 우선 조작 설정 조건의 판단(제 2 변형예)을 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3에 따른 표시 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13에서는 분리 표시가 행해지고 있는 상황 하에서 분리 표시를 일단 해제하고, 표시부(4)에 조작 대상으로 되는 1개의 표시 화상만을 표시시킨 후, 표시되고 있는 1개의 표시 화상에 대응하는 화상 소스에 대하여 제어를 행하려는 것이다. 또한, 실시예 13에서 표시 장치(20) 및 리모컨(123)을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 자체는 실시예 12의 것과 동일하다.
실시예 13에서는, 리모컨(123)이 제 2 표시 화상(운전석용 표시 화상)(5)과, 제 1 표시 화상(조수석용 표시 화상)(6) 중 어떤 표시 화상으로 전환할지를 결정하는(분리 표시 해제를 행하는 조작부로서도 기능하는) 표시 전환부를 가지고 있다. 그런데, 표시 전환은 복수의 시 방향 중 어떤 시 방향을 나타낼지를 결정하는 것, 및 복수의 화상 소스(내비게이션부(106), DVD 재생부(104) 등) 중 어떤 것을 나타낼지를 결정하는 것에도 상당한다.
또한, 리모컨(123)에서 후술하는 방법에 의해 표시 전환을 행함으로써, 리모 컨 측 표시부(53)에는 대응하는 조작 스위치 중 어느 한쪽이 표시되고, 리모컨 조작부(54) 및/또는 리모컨 측 표시부(53)에 포함되는 터치 패널을 이용하여, DR 모드 및 PA 모드 중 어느 한쪽에 대한 조작 입력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리모컨(123)의 리모컨 측 제어부(52)는 표시 전환의 상황을 나타내는 표시 전환 신호와, 리모컨(123)의 리모컨 측 조작부(54) 또는 리모컨 측 표시부(53)에 설치된 터치 패널로부터 입력되는 조작 입력에 대응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다음으로, 리모컨 측 제어부(52)는 생성된 표시 전환 신호 및 제어 신호를, 리모컨 측 송수신부(55)로부터 리모컨 송수신부(124)로 송신한다. 표시 장치의 제어부(100)는 수신한 표시 전환 신호에 의해 대상의 화상 소스를 특정하고, 표시부(4)에 표시되어 있는 모든 표시 화상을 대상의 화상 소스로부터의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는 표시 화상으로 전환한다. 그 후, 예를 들어 전환된 표시 화상을 보면서 관찰자에 의해 리모컨(123)에서 조작 입력된 제어 신호를 수신한 표시 장치(20)의 제어부(100)는 수신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대상의 화상 소스를 제어한다.
즉, 실시예 13의 경우, 리모컨(123)이 표시 전환 기능을 가지고, 표시 장치(20)가 제어 신호에 의해 대상의 화상 소스를 제어하는 제어 기능을 가지고 있다.
도 80은 실시예 13에서의 제어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이 제어는 표시 장치(20)에서 분리 표시가 행해지고 있는 상황 하에서 관찰자가 조작을 행함으로써 개시된다. 우선, 리모컨(123)에 대하여 행해진 조작이 분리 표시 해제 조작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스텝 b1). 해제 조작이 행해진 경우는, 표시 장 치(20)의 제어부(100)는 표시부(4)에서 1화면 표시를 실행한다(스텝 b2).
운전석용 표시 화상과 조수석용 표시 화상 중 어느 쪽의 표시 화상에 의한 1화면 표시로 할지는 해제 조작의 내용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 1개의 해제 스위치(표시 전환 스위치)를 설치하고, 1회 해제 스위치를 누르면 운전석용 표시 화상에 의한 1화면 표시로 되고, 다시 1회 해제 스위치를 누르면 조수석용 표시 화상에 의한 1화면 표시로 되며, 이후는 해제 스위치를 누를 때마다 1화면 표시의 표시 화상이 전환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2개의 해제 스위치를 설치하고, 한쪽 해제 스위치를 누르면 운전석용 표시 화상에 의한 1화면 표시로 되고, 다른 쪽 해제 스위치를 누르면 조수석용 표시 화상에 의한 1화면 표시로 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표시 장치(20)에 대하여 리모컨(123)이 어느 쪽 방향에 존재하는지를 검출하고, 리모컨(123)이 운전석 방향에 있을 경우는 운전석용 표시 화상에 의한 1화면 표시로 하고, 조수석 방향에 있을 경우는 조수석용 표시 화상에 의한 1화면 표시로 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표시 장치(20)에서 1화면 표시가 행해짐에 따라, 리모컨(123)에서는 1화면 표시의 표시 화상에 대응하는 화상 소스에 대한 조작을 행할 수 있는 조작 모드가 설정된다(스텝 b3). 조작 모드의 설정은 1화면 표시의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 스위치를 표시부(53)에 표시하는 것이다.
리모컨(123)에 대하여 관찰자가 조작을 행하면, 조작이 행해진 것이 표시 장치(20)의 제어부(100)에서 인식되고(스텝 b4), 제어부(100)가 행해진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제어를 행한다(스텝 b5). 리모컨(123)에 대한 조작이 행해지고 나서 소 정 시간 경과하면(스텝 b6), 표시 장치(20)에서의 1화면 표시가 분리 표시로 되돌려지고(스텝 b7), 이에 따라 리모컨(123)에서는 조작 모드가 해제된다(스텝 b8). 즉, 리모컨(123)의 표시부(53)로부터 1화면 표시의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 스위치가 소거된다. 또한, 조작 모드의 해제는 조작 스위치의 조작을 무효로 함으로써 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해제 조작이 행해지고 나서 조작이 행해지지 않은 채로 소정 시간 경과한 경우도(스텝 b1∼b4, b6), 표시 장치(20)에서의 1화면 표시가 분리 표시로 되돌려지고, 이에 따라 리모컨(123)의 조작 모드가 해제된다(스텝 b7, b8).
상기 실시예 13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상기 실시예에서는 분리 표시를 해제하여 관찰자가 조작을 행하기를 원하는 표시 화상에 의한 1화면 표시로 된 상태에서 조작을 행하도록 했기 때문에, 관찰자가 어느 쪽의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을 행하고 있는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2) 상기 실시예에서는 분리 표시를 해제하는 조작을 행함으로써 리모컨(123)에서 적절한 조작 모드가 설정되기 때문에, 표시 장치(20)에 표시되고 있는 2개의 표시 화상에 대한 각각의 조작을 적절히 행할 수 있다.
(3) 상기 실시예에서는 표시 장치(20)에서의 1화면 표시와 리모컨(123)에서의 조작 모드는 소정 시간 경과하면, 분리 표시로 되돌아가는 동시에, 조작 모드가 해제되기 때문에, 조작 대상으로 되어 있지 않은 표시 화상의 시청자의 불편함을 경감할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는 1화면 표시로 했을 때, 리모컨(123)에서는 표시되고 있는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 모드를 설정하고, 대응하는 조작 스위치를 표시부(53)에서 구성하도록 했다. 그러나, 복수의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 스위치를 모두 표시부(53)에서 구성하고, 조작 모드의 전환에 의해 표시부의 표시를 전환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표시 장치(20)에 표시되고 있지 않은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 스위치에 대한 조작은 무효로 되도록 제어를 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실시예 13은, 또한 표시 장치(20) 측에서 유효 조작 설정 조건을 판단하도록 변형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실시예 13의 제 1 변형예).
유효 조작 설정 조건은 예를 들어 제 1 표시 화상(조수석용 표시 화상)(6)에 대응하는 제 1 화상 소스(2)로의 조작을 유효로 하고, 제 2 표시 화상(운전석용 표시 화상)(5)에 대응하는 제 2 화상 소스(1)로의 조작을 무효로 하기 위한 조건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유효 조작 설정 조건을, 운전자가 운전에 전념해야할 상황에 있을 때 성립하는 조건으로 하면, 운전자가 운전에 전념해야할 때는 (표시 장치(20)의 제어부(100)가 유효 조작 설정 조건이 성립되어 있는지 여부의 판단과, 리모컨(123)으로부터의 표시 전환 신호에 의한 표시 화상의 전환을 제어하여) 제 2 표시 화상(운전석용 표시 화상)(5)에 대한 조작 입력이 무효로 되어 리모컨(123)에 의해 조작할 수 없게 된다. 이것에 의해, 운전자가 리모컨(123)의 조작에 정신을 빼앗기는 것이 억제되고, 차량 주행 시 안전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 13의 제 1 변형예에서는, 러모컨(123)이 표시 전환 기능을 가지고, 표시 장치(20)가 제어 신호에 의해 대상의 화상 소스를 제어하는 제어 기능 을 가지며, 표시 장치(20)가 유효 조작 설정 조건이 성립되고 있는지 여부의 조건 판단 및 조건 판단에 기초하는 표시 화상 전환의 제어를 행하게 된다.
도 81은 유효 조작 설정 조건이 성립된 때 행하는 제어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유효 조작 설정 조건이 성립된 경우는 분리 표시 해제 조작이 행해지면(스텝 b11), 조수석용 표시 화상에 의한 1화면 표시가 표시 장치(20)에서 실행되고(스텝 b12), 이에 따라 리모컨(123)에서는 조수석용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을 행할 수 있는 조작 모드(PA 모드)가 설정된다(스텝 b13).
리모컨(123)에 대하여 관찰자가 조작을 행하면, 조작 내용이 판단된다(스텝 b14). 조작 내용이 모드 전환 조작인 경우는 무효로 한다(스텝 b15). 무효 처리는 조작 내용을 리모컨(123)의 제어부(52)에서 판단한 경우는, 조작 신호를 표시 장치(20)의 제어부(100)에 송신하지 않음으로써 행할 수 있다. 또한, 조작 내용을 표시 장치(20)의 제어부(100)에서 판단한 경우는, 제어부(100)가 모드 전환 처리를 행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무효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조작 내용이 모드 전환 조작 이외의 다른 조작일 경우는, 제어부(100)가 행해진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제어를 행한다(스텝 b16). 리모컨(123)에 대한 조작이 행해지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하면(스텝 b17), 표시 장치(20)에서의 1화면 표시가 분리 표시로 되돌려지고(스텝 b18), 이에 따라 리모컨(123)에서는 조작 모드가 해제된다(스텝 b19).
또한, 해제 조작이 행해지고 나서 조작이 행해지지 않은 채로 소정 시간 경과한 경우도(스텝 b11∼b14, b17), 표시 장치(20)에서의 1화면 표시가 분리 표시로 되돌려지고, 이에 따라 리모컨(123)의 조작 모드가 해제된다(스텝 b18, b19).
상기 제 1 변형예에서는, 표시 장치(20)가 유효 조작 설정 조건이 성립되고 있는지 여부의 조건 판단 및 조건 판단에 기초하는 표시 화상의 전환 제어를 행했다. 그러나, 표시 장치(20) 제어부(100)의 부하를 경감시키기 위해, 유효 조작 설정 조건이 성립되어 있는지 여부의 조건 판단 및 조건 판단에 기초하는 표시 화상 전환의 제어를, 리모컨(123)의 리모컨 측 제어부(52)에서 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 경우, 유효 조작 설정 조건이 성립되어 있는지 여부의 조건 판단을 위한 정보(예를 들어 차속 센서로부터의 속도 정보, PKB 신호, GPS 신호 등)를 표시 장치(20)로부터 리모컨(123)이 수신할 필요가 있다.
상기 실시예 13은, 또한 표시 장치(20) 측에서 우선 조작 설정 조작 조건을 판단하도록 변형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실시예 13의 제 2 변형예).
우선 조작 설정 조건은 예를 들어 제 2 표시 화상(운전석용 표시 화상)(5)에 대응하는 제 2 화상 소스(1)로의 조작을, 제 1 표시 화상(조수석용 표시 화상)(6)에 대응하는 제 1 화상 소스(2)로의 조작보다 우선하기 위한 조건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우선 조작 설정 조건을, 운전자가 운전에 전념해야할 상황에 있을 때 성립하는 조건이라고 하면, 운전자가 운전에 전념해야할 때는 (표시 장치(20)의 제어부(100)가 유효 조작 설정 조건이 성립되어 있는지 여부의 판단과, 리모컨(123)으로부터의 표시 전환 신호에 의한 표시 화상의 전환을 제어하여) 제 2 표시 화상(운전석용 표시 화상)(5)에 대한 조작 입력을 간단하게는 행할 수 없게 된다. 이것에 의해, 운전자가 리모컨(123)의 조작에 정신을 빼앗기는 것이 억제되고, 차량 주행 시 안전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 2 표시 화상(운전석용 표시 화상)(5)에 대한 조작 입력이 필요한 경우에는 무효 해제를 지시하면, 제 2 표시 화상(운전석용 표시 화상)(5)에 대한 조작 입력도 유효가 된다. 따라서, 우선성의 조건 판단에서는 제 2 표시 화상(운전석용 표시 화상)(5)에 대한 조작 입력을 항상 무효로 할 경우(유효성의 조건 판단: 실시예 13의 제 1 변형예)에 비해, 조건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또한 유효 조작 설정 조건이 성립되는 구체적 조건은 유효 조작 설정 조건과 동일하다.
즉, 본 실시예 13의 제 2 변형예에서는, 리모컨(123)이 표시 전환 기능을 가지고, 표시 장치(20)가 제어 신호에 의해 대상의 화상 소스를 제어하는 제어 기능을 가지며, 표시 장치(20)가 우선 조작 설정 조건이 성립되어 있는지 여부의 조건 판단 및 조건 판단에 기초하는 표시 화상의 전환의 제어를 행하게 된다.
도 82는 우선 조작 설정 조건이 성립된 때 행하는 제어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우선 조작 설정 조건이 성립된 경우는 분리 표시 해제 조작이 행해지면(스텝 b21), 조수석용 표시 화상에 의한 1화면 표시가 표시 장치(20)에서 실행되고(스텝 b22), 이에 따라 리모컨(123)에서는 조수석용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을 행할 수 있는 조작 모드(PA 모드)가 설정된다(스텝 b23).
리모컨(123)에 대하여 관찰자가 조작을 행하면, 조작 내용이 판단된다(스텝 b24). 조작 내용이 모드 전환 조작 이외의 다른 조작인 경우는 제어부(100)가 행해진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제어를 행한다(스텝 b25). 리모컨(123)에 대한 조작이 행해지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하면(스텝 b26), 표시 장치(20)에서의 1화면 표시가 분리 표시로 되돌려지고(스텝 b27), 이에 따라 리모컨(123)에서는 조작 모드가 해제된다(스텝 b28).
또한, 해제 조작이 행해지고 나서 조작이 행해지지 않은 채로 소정 시간 경과한 경우도(스텝 b21∼b24, b26), 표시 장치(20)에서의 1화면 표시가 분리 표시로 되돌려지고, 이에 따라 리모컨(123)의 조작 모드가 해제된다(스텝 b27, b28).
이에 대해, 조작 내용이 모드 전환 조작인 경우는 운전석용 표시 화상에 의한 1화면 표시가 표시 장치(20)에서 실행되고(스텝 b29), 이에 따라 리모컨(123)에서는, 운전석용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을 행할 수 있는 조작 모드(DR 모드)가 설정된다(스텝 b30). 리모컨(123)에 대하여 관찰자가 조작을 행하면, 조작이 행해진 것이 표시 장치(20)의 제어부(100)에서 인식되고(스텝 b31), 제어부(100)가 행해진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제어를 행한다(스텝 b32).
리모컨(123)에 대한 조작이 행해지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하면(스텝 b33), 표시 장치(20)에서의 1화면 표시가 분리 표시로 되돌려지고(스텝 b27), 이에 따라 리모컨(123)에서는 조작 모드가 해제된다(스텝 b28). 또한, 모드 전환 조작이 행해지고 나서 조작이 행해지지 않은 채로 소정 시간 경과한 경우도(스텝 b24, b29∼b31, b33), 표시 장치(20)에서의 1화면 표시가 분리 표시로 되돌려지고, 이에 따라 리모컨(123)의 조작 모드가 해제된다(스텝 b27, b28).
상기 제 2 변형예에서는, 표시 장치(20)가 우선 조작 설정 조건이 성립되고 있는지 여부의 조건 판단 및 조건 판단에 기초하는 표시 화상 전환의 제어를 행했다. 그러나, 표시 장치(20) 제어부(100)의 부하를 경감시키기 위해, 우선 조작 설 정 조건이 성립되어 있는지 여부의 조건 판단 및 조건 판단에 기초하는 표시 화상 전환의 제어를, 리모컨(123)의 리모컨 측 제어부(52)에서 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 경우, 우선 조작 설정 조건이 성립되어 있는지 여부의 조건 판단을 위한 정보(예를 들어 차속 센서로부터의 속도 정보, PKB 신호, GPS 신호 등)를 표시 장치(20)로부터 리모컨(123)이 수신할 필요가 있다.
상기 실시예 13에서는, 리모컨(123)이 표시 전환 기능을 가지고, 표시 장치(20)가 제어 신호에 의해 대상의 화상 소스를 제어하는 제어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리모컨(123)이 표시 전환 기능 및 제어 신호에 의해 대상의 화상 소스를 제어하는 제어 기능을 가지고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리모컨(123)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가 대상의 화상 소스를 제어하게 된다. 즉, 표시 장치(20)의 제어부(100)는 리모컨으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대상 소스에 전송할 뿐인 중계 장치로서 기능하게 된다.
또한, 리모컨(123)이 표시 전환 기능 및 제어 신호에 의해 대상의 화상 소스를 제어하는 제어 기능을 가지고 있도록 구성한 경우에도, 상술한 유효 조작 설정 조건의 판단(제 1 변형예) 및 우선 조작 설정 조건의 판단(제 2 변형예)을 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 13에서는, 리모컨(123)이 표시 전환 기능을 가지고, 표시 장치(20)가 제어 신호에 의해 대상의 화상 소스를 제어하는 제어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표시 장치(20)가 표시 전환 기능 및 제어 신호에 의해 대상의 화상 소스를 제어하는 제어 기능을 가지고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 다. 이 경우, 표시 장치(20)의 조작부(15) 또는 터치 패널(118)에 의해 표시 전환부를 구성하고, 표시 장치(20)로부터 리모컨 송수신부(124)를 통하여, 표시 전환 정보를 리모컨(123)에 송신한다. 리모컨(123)에서는 수신한 표시 전환 정보에 기초하여, 리모컨 측 표시부(53)에 대응하는 DR 모드용 조작 스위치 및 PA 모드용 조작 스위치 중 어느 한쪽을 표시하고, 리모컨 조작부(54) 및/또는 리모컨 측 표시부(53)에 포함되는 터치 패널을 이용하여, DR 모드 및 PA 모드 중 어느 한쪽에 대한 조작 입력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 된다. 또한, 리모컨(123)의 리모컨 측 제어부(52)는 리모컨(123)의 리모컨 측 조작부(54) 또는 리모컨 측 표시부(53)에 설치된 터치 패널로부터 입력되는 조작 입력에 대응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표시 장치(20)의 제어부(100)로 송신한다. 표시 장치의 제어부(100)에서는 자체 표시 전환부에 의한 표시 전환 상황에 의해 대상의 화상 소스를 특정하고, 리모컨(123)으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대상의 화상 소스를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20)가 표시 전환 기능 및 제어 신호에 의해 대상의 화상 소스를 제어하는 제어 기능을 가지고 있도록 구성한 경우에도, 상술한 유효 조작 설정 조건의 판단(제 1 변형예) 및 우선 조작 설정 조건의 판단(제 2 변형예)을 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 13에서는, 리모컨(123)이 표시 전환 기능을 가지고, 표시 장치(20)가 제어 신호에 의해 대상의 화상 소스를 제어하는 제어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표시 장치(20)가 표시 전환 기능을 가지고, 리 모컨(123)이 제어 신호에 의해 대상의 화상 소스를 제어하는 제어 기능을 가지고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표시 장치(20)의 조작부(15) 또는 터치 패널(118)에 의해 표시 전환부를 구성하고, 표시 장치(20)로부터 리모컨 송수신부(124)를 통하여, 표시 전환 정보를 리모컨(123)에 송신한다. 리모컨(123)에서는 수신한 표시 전환 정보에 기초하여, 리모컨 측 표시부(53)에는 대응하는 DR 모드용 조작 스위치 및 PA 모드용 조작 스위치 중 어느 한쪽을 표시하고, 리모컨 조작부(54) 및/또는 리모컨 측 표시부(53)에 포함되는 터치 패널을 이용하여, DR 모드 및 PA 모드 중 어느 한쪽에 대한 조작 입력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 된다. 또한, 리모컨(123)의 리모컨 측 제어부(52)는 리모컨(123)의 리모컨 측 조작부(54) 또는 리모컨 측 표시부(53)에 설치된 터치 패널로부터 입력되는 조작 입력에 대응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이 경우, 리모컨(123)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가 대상의 화상 소스를 제어하게 된다. 즉, 표시 장치(20)의 제어부(100)는 리모컨으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대상 소스에 전송할 뿐인 중계 장치로서 기능하게 된다.
또한, 표시 장치(20)가 표시 전환 기능을 가지고, 리모컨(123)이 제어 신호에 의해 대상의 화상 소스를 제어하는 제어 기능을 가지고 있도록 구성한 경우에도, 상술한 유효 조작 설정 조건의 판단(제 1 변형예) 및 우선 조작 설정 조건의 판단(제 2 변형예)을 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4에 따른 표시 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14에서는 분리 표시가 행해지고 있는 상황 하에서, 제 1 표시 화상 (조수석 측 표시 화상)(6) 및 제 2 표시 화상(운전석 측 표시 화상)(5)의 양쪽에 대응한 모든 조작 스위치를 갖는 리모컨(123)으로 적절한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실시예 14에서 표시 장치(20) 및 리모컨(123)을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 자체는 실시예 12의 것과 동일하다.
도 83은 실시예 14에서의 제어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이 제어는 표시 장치(20)에서 분리 표시가 행해지고 있는 상황 하에서 행해지는 제어이다. 또한, 본 플로차트는 분리 표시가 해제될 때까지 반복된다. 우선, 운전석용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을 무효로 하고, 조수석용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을 유효로 하기 위한 유효 조작 설정 조건이 성립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되고(스텝 c1), 유효 조작 설정 조건이 성립되어 있는 경우는 조수석용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을 유효로 하고, 운전석용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을 무효로 한다(스텝 c2). 무효로 하기 위한 처리는, 표시 장치(20)의 제어부(100)가 운전석용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제어를 행하지 않음으로써 행할 수 있다.
리모컨(123)에 대하여 관찰자가 조작을 행하면, 조작이 행해진 것이 표시 장치(20)의 제어부(100)에서 인식되고(스텝 c3), 또한 제어부(100)에서는 어느 쪽의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인지가 판단된다(스텝 c4). 운전석용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인 경우는, 제어부(100)는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제어를 행하지 않는다(스텝 c5). 한편, 조수석용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인 경우는, 제어부(100)는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제어를 행한다(스텝 c6). 그 후, 스텝 c1로 되돌아간다.
또한, 유효 조작 설정 조건이 성립되지 않는 경우는, 운전석용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을 유효로 하여 양쪽의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을 유효로 하고(스텝 c7), 리모컨(123)에 대하여 관찰자가 조작을 행하면, 조작이 행해진 것이 표시 장치(20)의 제어부(100)에서 인식되고(스텝 c8), 제어부(100)는 행해진 조작에 대한 조작 제어를 행한다(스텝 c6). 그 후, 스텝 c1로 되돌아간다.
상기 실시예 14에 의하면, 이하와 같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상기 실시예에서는, 리모컨(123)이 표시 장치(20)에 표시되어 있는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에 필요한 모든 조작 스위치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제 1 및 실시예 13과 같은 모드 전환 조작을 행하지 않고, 2개의 표시 화상에 대한 각각의 조작을 즉시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리모컨(123)의 조작성을 향상할 수 있다.
(2) 운전석용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을 무효로 하고, 조수석용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을 유효로 하기 위한 유효 조작 설정 조건을, 운전자가 운전에 전념해야할 상황에 있을 때라고 하면, 운전자가 운전에 전념해야할 때는 운전석용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이 무효로 되고, 조작할 수 없게 된다. 이것에 의해, 운전자가 리모컨(123)의 조작에 정신을 빼앗기는 것이 억제되고, 차량 주행 시 안전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 이외의 사람 예를 들어 조수석 탑승자는 리모컨(123)을 조작하여 원하는 조작 제어를 행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쾌적하게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 이외의 사람이 운전자 대신에 리모컨(123)을 조작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 14에서 설명한, 조수석용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을 유효로 하고, 운전석용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을 무효로 하는 처리는, 운전석용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이 행해진 때, 리모컨(123)의 제어부(52)가 제어 신호를 표시 장치(20)에 송신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대용할 수도 있다. 그 경우, 표시 장치(20)의 제어부(100)가 제어 신호의 유효/무효를 판단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표시 장치(20)의 제어부(100)에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4에서는 운전석용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을 무효로 하고, 또한 조수석용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이 유효임을 관찰자에게 고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고지는 리모컨(123)의 표시부(53)에 운전석용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이 무효임을 나타내는 문자나 미리 정한 캐릭터를 표시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는, 이것에 의해 관찰자는 리모컨(123)을 조작할 경우에, 각종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5에 따른 표시 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15에서는 분리 표시가 행해지고 있는 상황 하에서, 제 1 표시 화상(조수석 측 표시 화상)(6)에 대한 조작 입력을 리모컨(123) 측에서 행하고, 제 2 표시 화상(운전석 측 표시 화상)(5)의 조작 입력을 표시 장치 측에서 행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실시예 15에서 표시 장치(20) 및 리모컨(123)을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 자체는 실시예 12의 것과 동일하다.
실시예 15에서는 예를 들어 리모컨(123)에는 조수석용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 스위치가 구성되고, 운전석용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은 구성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리모컨(123)에서는 조수석용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은 할 수 있지만, 운전 석용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은 할 수 없다. 또한, 표시 장치(20)의 제어부(100)는, 표시부(4)가 구비하는 터치 패널에 대한 조작은 조수석용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이면 인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84는 실시예 15에서의 제어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이 제어는 표시 장치(20)에서 분리 표시가 행해지고 있는 상황 하에서 행해지는 제어이다. 또한, 본 플로차트는 분리 표시가 해제될 때까지 반복된다. 우선, 운전석용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을 무효로 하고, 조수석용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을 유효로 하기 위한 유효 조작 설정 조건이 성립되고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되고(스텝 d1), 유효 조작 설정 조건이 성립되어 있는 경우는 리모컨(123)에 의한 조작을 유효로 하고, 터치 패널에 의한 조작을 무효로 한다(스텝 d2). 무효로 하기 위한 처리는 표시부(4)의 터치 패널(118)에 대한 조작이 행해졌을 때, 표시 장치(20)의 제어부(100)가 터치 패널(118)에 대한 조작, 즉 운전석용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제어를 행하지 않음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리모컨(123) 또는 표시부(4)의 터치 패널에 대하여 관찰자가 조작을 행하면, 조작이 행해진 것이 표시 장치(20)의 제어부(100)에서 인식되고(스텝 d3), 또한 제어부(100)에서는 리모컨(123)에 의한 조작인지 터치 패널에 의한 조작인지가 판단된다(스텝 d4). 터치 패널에 대한 조작인 경우는, 제어부(100)는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제어를 행하지 않는다(스텝 d5). 한편, 리모컨(123)에 의한 조작인 경우는, 제어부(100)는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제어를 행한다(스텝 d6). 그 후, 처리는 스텝 d1으로 되돌아간다.
또한, 유효 조작 설정 조건이 성립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터치 패널에 대한 조작을 유효로 하여 리모컨(123)에 의한 조작 및 터치 패널에 의한 조작의 양쪽을 유효로 한다(스텝 d7). 리모컨(123) 또는 표시부(4)의 터치 패널(118)에 대하여 관찰자가 조작을 행하면, 조작이 행해진 것이 표시 장치(20)의 제어부(100)에서 인식되고(스텝 d8), 제어부(100)는 행해진 조작에 대한 조작 제어를 행한다(스텝 d6). 그 후, 처리는 스텝 d1로 되돌아간다.
상기 실시예 15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상기 실시예에서는, 조수석용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은 리모컨(123)에서 행하고, 운전석용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은 표시부(4)의 터치 패널(118)에서 행하기 때문에, 제 1 및 실시예 13과 같은 모드 전환 조작을 행하지 않고, 2개의 표시 화상에 대한 각각의 조작을 즉시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리모컨(123)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2) 운전석용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을 무효로 하고, 조수석용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을 유효로 하기 위한 유효 조작 설정 조건을, 운전자가 운전에 전념해야할 상황에 있을 때로 하면, 운전자가 운전에 전념해야할 때는 운전석용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이 무효로 되고, 조작할 수 없게 된다. 이것에 의해, 운전자가 터치 패널의 조작에 정신을 빼앗기는 것이 억제되고, 차량 주행 시 안전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 이외의 사람 예를 들어 조수석 탑승자는 리모컨(123)을 조작하여 원하는 조작 제어를 행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쾌적하게 조작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 15에서는, 리모컨(123)으로는 조수석용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것을 관찰자에게 고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고지하는 방법은 리모컨(123)의 표시부(53)에 조수석용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사항을 나타내는 문자나 미리 정한 캐릭터를 표시시키는 것이 생각된다. 이것에 의해, 관찰자가 실수로 리모컨(123)을 조작하여 운전석용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을 행하는 것이 제어되고, 리모컨(123)의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6에 따른 표시 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16에서는 분리 표시가 행해지고 있는 상황 하에서, 표시 장치(20)와 리모컨(123)의 위치 관계를 판단하고,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제 1 표시 화상(조수석 측 표시 화상)(6) 및 제 2 표시 화상(운전석 측 표시 화상)(5) 중 어떤 조작 입력을 관찰자가 행하기를 원하는지를 판별하여, 리모컨(123)에서의 조작 제어를 실행 또는 금지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실시예 16에서 표시 장치(20) 및 리모컨(123)을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 자체는 실시예 12의 것과 동일하다.
도 85는 실시예 16에서의 제어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이 제어는 표시 장치에서 분리 표시가 행해지고 있는 상황 하에서 행해지는 제어이다. 또한, 본 플로차트는 분리 표시가 해제될 때까지 반복하여 행해진다. 우선, 관찰자가 리모컨(123)을 조작했는지의 여부가 판단되고(스텝 e1), 리모컨(123)이 조작된 경우는 운전석용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을 무효로 하고, 조수석용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을 유효로 하기 위한 유효 조작 설정 조건이 성립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스텝 e2).
유효 조작 설정 조건이 성립되어 있는 경우는 표시 장치(20)에 대하여 리모컨(123)이 존재하는 방향을 검출한다(스텝 e3). 리모컨(123)이 존재하는 방향이 운전석 방향인 경우는 리모컨(123)에 의한 조작을 무효로 한다(스텝 e4). 무효로 하기 위한 처리는 표시 장치(20)의 제어부(100)가 조작 신호에 따른 조작 제어를 행하지 않음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한편, 리모컨(123)이 존재하는 방향이 조수석 방향 또는 다른 방향(예를 들어 후부 좌석 방향)인 경우는, 제어부(100)는 리모컨(123)에서 행해진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제어를 행한다(스텝 e5)
또한, 스텝 e2에서 유효 조작 설정 조건이 성립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운전석 방향으로부터의 조작을 유효로 하여 리모컨(123)이 존재하는 방향에 관계없이 모든 조작을 유효로 하고(스텝 e6), 제어부(100)는 리모컨(123)에서 행해진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제어를 행한다(스텝 e5).
표시 장치(20)에 대한 리모컨(123)이 존재하는 방향의 검출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이하의 검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1) 표시 장치(20)가 리모컨(123)으로부터의 조작 신호를 수신했을 때, 수신한 조작 신호가 어느 방향으로부터 발신된 것인지를 검출한다.
2) 리모컨(123)이 표시 장치(20)에 대하여 어느 방향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장치를 리모컨(123)에 설치한다. 리모컨(123)은 위치 검출 장치에 의해 검출된 위치 정보를 조작 신호에 중첩시켜 표시 장치(20)에 송신한다. 표시 장치(20)의 제어부(100)는 수신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리모컨(123)이 존재하는 방향을 검출한다.
3) 리모컨(123)이 표시 장치(20)에 대하여 어느 방향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장치를 리모컨(123)에 설치한다. 리모컨(123)은 위치 검출 장치에 의해 검출된 위치 정보에 따라, 송신하는 신호의 형태를 바꾸어 조작 신호를 표시 장치(20)에 송신한다. 표시 장치(20)의 제어부(100)는 수신한 조작 신호의 형태에 기초하여, 리모컨(123)이 존재하는 방향을 검출한다. 신호의 형태는 주파수, 부가하는 코드 정보 등이다. 예를 들어 리모컨(123)이 운전석 방향에 존재하는 경우와 조수석 방향에 존재하는 경우에서 송신 주파수를 바꾸는, 또는 부가하는 코드 정보를 바꾸는 등의 방법이 실시 가능하다.
4) 리모컨(123)이 표시 장치(20)에 대하여 어느 방향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장치를 리모컨(123)에 설치한다. 리모컨(123)은 위치 검출 장치에 의해 검출된 위치 정보에 따라, 송신하는 신호의 종별(種別)을 바꾸어 조작 신호를 표시 장치(20)에 송신한다. 표시 장치(20)의 제어부(100)는 수신한 조작 신호의 종별에 기초하여 리모컨(123)이 존재하는 방향을 검출한다. 신호의 종별은 광, 적외선, 전파 등이다. 예를 들어 리모컨(123)이 운전석 방향에 존재하는 경우는 광으로 송신하고, 조수석 방향에 존재하는 경우는 적외선으로 송신하는 등의 방법이 실시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 16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상기 실시예에서는 표시 장치(20)에 대하여 리모컨(123)이 존재하는 방 향이 검출되고, 검출 방향에 따라 운전석용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 또는 조수석용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에 따른 조작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20)에 표시되고 있는 2개의 표시 화상에 대한 각각의 조작을 1개의 리모컨(123)으로부터 적절히 행할 수 있다.
(2) 운전석용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을 무효로 하고, 조수석용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을 유효로 하기 위한 유효 조작 설정 조건을, 운전자가 운전에 전념해야할 상황에 있을 때로 하면, 운전자가 운전에 전념해야할 때는 운전석용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이 무효로 되고, 조작할 수 없게 된다. 이것에 의해, 운전자가 리모컨(123)의 조작에 정신을 빼앗기는 것이 억제되고, 차량 주행 시 안전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 이외의 사람 예를 들어 조수석 탑승자는 리모컨(123)을 조작하여 원하는 조작 제어를 행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쾌적하게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 이외의 사람이 운전자 대신에 리모컨(123)을 조작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 16에서 리모컨(123)에 의한 조작을 무효로 하는 처리를, 리모컨(123)의 제어부(52)가 조작 신호를 표시 장치(20)에 송신하지 않음으로써 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표시 장치(20) 제어부(100)의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6에서 운전석용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이 무효이고, 조수석용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이 유효인 것을 관찰자에게 고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고지하는 방법은 리모컨(123)의 표시부(53)에, 운전석용 표시 화상에 대한 조 작이 무효인 사항을 나타내는 문자나 미리 정한 캐릭터를 표시시키는 것이 생각된다. 이것에 의해, 관찰자는 리모컨(123)을 조작하여 각종 기기를 제어할 수 있을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실시예 16은 상술한 실시예 12 내지 14와 조합시켜 실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유효 조작 설정 조건이 성립되어 있는 경우에, 실시예 12 내지 14와 같이 하여 리모컨(123)으로부터 행해진 운전석용 표시 화상에 대한 조작을 무효로 하는 제어와, 실시예 16과 같이 운전석 방향으로부터 리모컨(123)이 조작된 때에 그 조작을 무효로 하는 제어를 조합시켜 실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2, 13 및 16에서, 그 시점에서 어떤 시 방향에 대한 화상 소스가 리모컨으로 조작 가능한지를 관찰자에게 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지는 리모컨(123)의 표시부(53)에 현시점에서의 조작 가능 모드(리모컨으로 조작할 수 있는 모드)를 나타내는 미리 정해진 문자, 기호 또는 캐릭터 등을 표시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관찰자는 리모컨(123)을 보는 것만으로, 현시점의 조작 가능 모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현시점에서의 조작 가능 모드(리모컨으로 조작할 수 있는 모드)를 나타내는 미리 정해진 문자, 기호 또는 캐릭터 등을 표시 장치(20)의 표시부(4)의 모든 시 방향에 대응한 화면에서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2, 13 및 16에서 리모컨으로 조작할 수 있는 시 방향에 대한 화상 소스가 전환된 것을(DR 모드로부터 PA 모드, PA 모드로부터 DR 모드로 변경 등) 관찰자에게 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지는 리모컨(123)의 표시 부(53)에 「전환」을 나타내는 미리 정해진 문자, 기호 또는 캐릭터 등을 표시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관찰자는 리모컨(123)을 보는 것만으로, 「전환」이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전환」이 발생한 것을 나타내는 미리 정해진 문자, 기호 또는 캐릭터 등을 표시 장치(20)의 표시부(4)의 모든 시 방향에 대응한 화면에서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의 실시예 12 내지 16에서는, 도 7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모컨 측 표시부(53)를 갖는 리모컨(123)을 이용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리모컨 측 표시부(53)를 갖고 있지 않은 리모컨을 이용하는 제어 시스템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실시예 1의 경우에서는, 모드 설정용 버튼과, 전체 모드에 공통의 버튼 그룹을 준비해 두고, 모드 설정에 맞춰, 공통 버튼을 이용하도록 하면 된다. 또한, 특정한 모드(예를 들어 DR 모드)로 설정된 경우, 그 모드에 이용하지 않는 버튼에 관한 제어 신호는 리모컨으로부터 출력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고, 표시 장치(20) 측에서 무효로 판단하도록 할 수도 있다.
(부기)
1. 복수의 시 방향에 대하여, 각각 개별의 정보를 동일 화면 상에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조작 입력 수단과, 상기 조작 입력이 상기 개별적으로 표시된 정보 중 어떤 정보에 대응하는 것인지를 판단하는 입력 방향 판단 수단과, 상기 입력 방향 판단 수단에 의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정보를 한정하는 한정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 복수의 시 방향에 대하여, 각각 개별의 정보를 동일 화면 상에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제 1 영역 내에 배치되고, 상기 개별적으로 표시된 정보 중 제 1 정보에 대응하는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제 1 조작 입력 수단과, 상기 제 1 영역과는 중복되지 않는 제 2 영역 내에 배치되고, 상기 개별적으로 표시된 정보 중 제 2 정보에 대응하는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제 2 조작 입력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상기 제 1 조작 입력 수단 및 상기 제 2 조작 입력 수단은 터치 패널로서,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제 1 영역에 근접하고 있고, 상기 화면 상에서의 상기 제 2 조작 입력 수단의 배치가, 상기 화면 상에서의 상기 제 1 조작 입력 수단의 배치와 거의 동일한 부기 2에 기재된 표시 장치.
4. 상기 조작 입력이 상기 개별적으로 표시된 정보 중 어떤 정보에 대응하는 것인지를 판단하는 입력 방향 판단 수단과, 상기 입력 방향 판단 수단에 의해, 상기 조작 입력이 상기 어떤 특정한 시 방향에 대하여 표시되고 있는 정보에 대응하는 것이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어떤 특정한 시 방향과는 다른 방향에 대하여 표시되고 있는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조작 입력에 따른 조작 제어의 실시를 허가하지 않는 실시 제어 수단을 더 갖는 부기 2 또는 부기 3에 기재된 표시 장치.
5. 상기 입력 방향 판단 수단이 상기 제 1 조작 입력 수단 및 상기 제 2 조작 입력 수단 각각으로의 접촉물의 접촉 면적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 입력이 상기 개별적으로 표시된 정보 중 어떤 정보에 대응하는 것인지를 판단하는 부기 2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표시 장치.
6. 상기 화면과 직교하는 방향에 복수단 설치된, 상기 화면으로의 접근물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가지고, 상기 입력 방향 판단 수단이 상기 검출 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 입력이 상기 개별적으로 표시된 정보 중 어떤 정보에 대응하는 것인지를 판단하는 부기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표시 장치.
7. 상기 화면에 대해, 어떤 방향으로부터의 접근물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을 가지고, 상기 입력 방향 판단 수단이 상기 검출 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 입력이 상기 개별적으로 표시된 정보 중 어떤 정보에 대응하는 것인지를 판단하는 부기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표시 장치.
8. 상기 화면에 접촉한 손가락의 방향을 산출하는 산출 수단을 가지고, 상기 입력 방향 판단 수단이 상기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상기 화면에 접촉한 손가락의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 입력이 상기 개별적으로 표시된 정보 중 어떤 정보에 대응하는 것인지를 판단하는 부기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표시 장치.
9. 상기 화면에의 손가락의 접촉 방향을 결정하는 결정 수단을 가지고, 상기 입력 방향 산출 수단이 상기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상기 화면에의 손가락의 접촉 방향을 가미하여, 상기 조작 입력이 상기 개별적으로 표시된 정보 중 어떤 정보에 대응하는 것인지를 판단하는 부기 8에 기재된 표시 장치.
10. 상기 결정 수단이 상기 화면으로의 손가락의 접촉 면적의 크기, 상기 화면으로의 손가락의 접촉 면적의 변화, 상기 화면으로의 압력이 가해지는 방향, 및 사전에 등록된 정보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화면으로의 손가락의 접촉 방향을 결정하는 부기 9에 기재된 표시 장치.
11. 상기 산출 수단이 상기 화면에 접촉한 점의 집합으로부터 근사 직선을 구함으로써, 상기 화면에 접촉한 손가락의 방향을 산출하는 부기 8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표시 장치.
12. 상기 화면에 접촉한 지문의 방향을 산출하는 산출 수단을 가지고, 상기 입력 방향 판단 수단이 상기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상기 화면에 접촉한 지문의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 입력이 상기 개별적으로 표시된 정보 중 어떤 정보에 대응하는 것인지를 판단하는 부기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표시 장치.
13. 상기 조작 입력이 상기 개별적으로 표시된 정보 중 어떤 정보에 대응하는 것인지 판단할 수 없을 경우, 상기 입력 방향 판단 수단이 과거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 입력이 상기 개별적으로 표시된 정보 중 어떤 정보에 대응하는 것인지를 판단하는 부기 5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표시 장치.
14. 적어도 운전자가 존재하는 방향, 조수석 탑승자가 존재하는 방향에 대하여, 각각 개별의 정보가 동일 화면 상에 표시되고, 상기 입력 방향 판단 수단이, 상기 조작 입력이 운전자가 존재하는 방향에 대하여 표시된 정보에 대응하는 것인지, 조수석 탑승자가 존재하는 방향에 대하여 표시된 정보에 대응하는 것인지를 판단하는 것이고, 차량의 핸들 부착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방향 판단 수단에 의한 상기 판단을 좌우 전환하는 전환 수단을 갖는 부기 5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표시 장치.
15. 복수의 시 방향에 대하여, 각각 개별의 정보를 동일 화면 상에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조작 입력 수단과, 상기 조작 입력에 대한 확 인 정보 입력을 요구하는 확인 정보 요구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6. 상기 조작 입력에 따른 제어 내용을 고지하는 고지 수단을 갖는 부기 15에 기재된 표시 장치.
17. 상기 확인 정보 입력이 상기 조작 입력을 확정하는 부기 15 또는 부기 16에 기재된 표시 장치.
18. 상기 확인 정보 입력의 기회가 마련되어 있는 동안에, 어떤 시 방향에 대하여 표시된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조작 입력의 확정 조작의 입력을 접수한 경우, 상기 어떤 시 방향에 대하여 표시되고 있는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조작 입력에 따른 조작 제어의 실시를 허가하는 실시 제어 수단을 갖는 부기 17에 기재된 표시 장치.
19. 상기 확인 정보 입력이 상기 조작 입력을 취소하는 부기 15 또는 부기 16에 기재된 표시 장치.
20. 상기 확인 정보 입력의 기회가 마련되어 있는 동안에, 어떤 시 방향에 대하여 표시된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조작 입력의 취소 조작의 입력을 접수한 경우, 상기 어떤 시 방향과는 다른 시 방향에 대하여 표시되고 있는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조작 입력에 따른 조작 제어의 실시를 허가하는 실시 제어 수단을 갖는 부기 19에 기재된 표시 장치.
21. 복수의 시 방향에 대하여, 각각 개별의 정보를 동일 화면 상에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어떤 조작 장치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기초하여, 어떤 특정한 시 방 향과 다른 시 방향에 대해서가 아니라, 상기 어떤 특정한 시 방향에 대하여 표시되고 있는 정보에 대응하는 조작 제어의 실시를 허가하는 실시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2. 복수의 시 방향에 대한 개별의 표시 화상을 동일 화면 상에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 설치된 조작 입력부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고 있는 각 시 방향에 대한 상기 조작 입력부의 조작 입력 위치를 나타내는 조작 입력 화상의 표시 위치를 조정하는 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3. 상기 제어부는, 각 시 방향에 대응하는 상기 조작 입력 화상의 표시 장치가 상기 표시부 상에서 중복되지 않도록, 상기 조작 입력 화상의 표시 위치를 조정하는 부기 22에 기재된 표시 장치.
24.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시 방향 중 1개의 시 방향에 대응하는 조작 입력 화상의 표시 위치에 따라, 상기 복수의 시 방향 중 다른 시 방향에 대응하는 다른 조작 입력 화상의 표시 위치를 조정하는 부기 22 또는 23에 기재된 표시 장치.
25.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시 방향 중 1개의 시 방향에 대응하는 조작 입력 화상의 표시 위치와, 상기 복수의 시 방향 중 다른 시 방향에 대응하는 다른 조작 입력 화상의 표시 위치를 각각 조정하는 부기 22에 기재된 표시 장치.
26. 조작자를 특정하는 조작자 특정부를 더 가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자 특정부의 특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 입력 화상의 표시 위치를 조정하는 부기 22 내지 2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표시 장치.
27.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 화상에 대응하는 소스에 따라 상기 조작 입력 화상의 표시 위치를 조정하는 부기 22 내지 2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표시 장치.
28. 복수의 상기 조작 입력 화상의 표시 위치를 미리 정한 조작 입력 화상 위치 패턴 중에서 특정한 패턴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부를 더 가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 입력 화상의 표시 위치를 조정하는 부기 22 내지 2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표시 장치.
29. 상기 조작 입력 화상의 표시 위치를, 각 시 방향에서 독립하여 등록하는 등록부를 더 갖는 부기 22 내지 2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표시 장치.
30. 상기 등록부에서 등록된 상기 조작 입력 화상의 표시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 입력 화상의 표시 위치를 설정하는 설정부를 더 갖는 부기 29에 기재된 표시 장치.
31. 복수의 시 방향에 대한 개별의 표시 화상을 동일 화면 상에 표시하는 동시에, 각 시 방향에 대한 조작 입력 위치를 나타내는 조작 입력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에서의 조작 입력 화상 커스터마이즈 방법으로서, 상기 조작 입력 화상의 표시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 스텝과, 조정된 표시 위치를 등록하는 등록 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입력 화상 커스터마이즈 방법.
32. 상기 조정 스텝은, 시 방향, 상기 표시 화상에 대응하는 소스 정보 및 조작자 중 적어도 1개를 특정하는 특정 정보를 특정하는 특정 스텝과, 특정된 상기 특정 정보에 대응시켜 상기 조작 입력 화상의 표시 위치를 조정하는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등록 스텝은, 조정된 상기 조작 입력 화상의 표시 위치를 특정된 상기 특 정 정보에 대응시켜 등록하는 부기 31에 기재된 조작 입력 화상 커스터마이즈 방법.
33. 조정된 상기 조작 입력 화상의 표시 위치가 다른 시 방향에 대한 조작 입력 화상의 표시 위치에 겹칠 경우에 고지를 행하는 고지 스텝을 더 갖는 부기 31 또는 32에 기재된 조작 입력 화상 커스터마이즈 방법.
34. 복수의 시 방향에 대한 개별의 표시 화상을 동일 화면 상에 표시하는 동시에, 각 시 방향에 대한 조작 입력 위치를 나타내는 조작 입력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에서의 조작 입력 화상 설정 방법으로서, 시 방향, 상기 표시 화상에 대응하는 소스 정보 및 조작자 중 적어도 1개를 특정하는 특정 정보를 특정하는 특정 스텝과, 특정된 상기 특정 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기억된 상기 조작 입력 화상의 표시 위치에 상기 조작 입력 화상을 설정하는 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입력 화상 설정 방법.
35. 상기 설정 스텝은 1개의 시 방향에 대한 조작 입력 화상의 표시 위치와, 다른 시 방향에 대한 조작 입력 화상의 표시 위치가 겹칠 경우, 적어도 어느 한쪽의 시 방향에 대한 조작 입력 화상의 표시 위치를 이동시키는 이동 스텝을 포함하는 부기 34에 기재된 조작 입력 화상 설정 방법.
36. 상기 설정 스텝은 1개의 시 방향에 대한 조작 입력 화상의 표시 위치와, 다른 시 방향에 대한 조작 입력 화상의 표시 위치가 겹칠 경우, 고지를 행하는 고지 스텝을 포함하는 부기 34에 기재된 조작 입력 화상 설정 방법.
37. 복수의 시 방향에 대한 개별의 표시 화상을 동일 화면 상에 표시하는 표 시부를 갖는 표시 장치와, 상기 복수의 시 방향에 대한 개별의 표시 화상에 대응하는 복수의 신호원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표시 장치로 출력하고, 상기 표시 장치를 원격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와, 상기 복수의 신호원 중 특정한 신호원을 설정하는 설정부와,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신호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38.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에 설치되고, 상기 설정부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부기 37에 기재된 제어 시스템.
39.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 장치에 설치되고, 상기 설정부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부기 37에 기재된 제어 시스템.
40.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에 설치되고, 상기 설정부는 상기 표시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부기 37에 기재된 제어 시스템.
41.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 장치에 설치되고, 상기 설정부는 상기 표시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부기 37에 기재된 제어 시스템.
42. 상기 복수의 시 방향 중 특정한 시 방향에 대한 표시 화상에 대응하는 신호원의 제어를 무효로 하는 조건이 성립되어 있는지 여부의 판단을 행하는 조건 판단부와, 상기 조건 판단부에 의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설정부에 의한 설정을 제어하는 설정 제어부를 더 갖는 부기 38 내지 4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어 시스템.
43. 상기 조건 설정부 및 상기 설정 제어부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부기 42에 기재된 제어 시스템.
44. 상기 조건 설정부 및 상기 설정 제어부는 상기 표시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부기 42에 기재된 제어 시스템.
45. 상기 설정 제어부에 의한 제어를 해제시키기 위한 해제부를 더 갖는 부기 42 내지 4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어 시스템.
46. 복수의 시 방향에 대한 개별의 표시 화상을 동일 화면 상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갖는 표시 장치와, 상기 복수의 시 방향에 대한 개별의 표시 화상에 대응하는 복수의 신호원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표시 장치로 출력하고, 상기 표시 장치를 원격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와, 상기 복수의 시 방향에 대한 개별의 표시 화상에 의한 복수의 표시 화상의 동일 화면 표시로부터, 상기 복수의 시 방향에 대한 개별의 표시 화상 중 소정 1개의 표시 화상만의 단일 화면 표시로의 전환을 행하는 표시 전환부와,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전환부에 의해 전환된 상기 소정 1개의 표시 화상에 대응한 신호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47.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에 설치되고, 상기 표시 전환부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부기 46에 기재된 제어 시스템.
48.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 장치에 설치되고, 상기 표시 전환부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부기 46에 기재된 제어 시스템.
49.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에 설치되고, 상기 표시 전환부는 상기 표시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부기 46에 기재된 제어 시스템.
50.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 장치에 설치되고, 상기 표시 전환부는 상기 표 시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부기 46에 기재된 제어 시스템.
51. 상기 복수의 시 방향 중 특정한 시 방향에 대한 표시 화상에 대응하는 신호원의 제어를 무효로 하는 조건이 성립되어 있는지 여부의 판단을 행하는 조건 판단부와, 상기 조건 판단부에 의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전환부에 의한 전환을 제어하는 전환 제어부를 더 갖는 부기 47 내지 5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어 시스템.
52. 상기 조건 설정부 및 상기 전환 제어부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부기 51에 기재된 제어 시스템.
53. 상기 조건 설정부 및 상기 전환 제어부는 상기 표시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부기 51에 기재된 제어 시스템.
54. 상기 전환 제어부에 의한 제어를 해제시키기 위한 해제부를 더 갖는 부기 51 내지 5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어 시스템.
55. 복수의 시 방향에 대한 개별의 표시 화상을 동일 화면 상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갖는 표시 장치와, 상기 복수의 시 방향에 대한 개별의 표시 화상에 대응하는 복수의 신호원의 각각 대응한 복수의 조작 입력부, 상기 복수의 조작 입력부에 대응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신호 생성부, 및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표시 장치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가지고, 상기 표시 장치를 원격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와,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신호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56.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부기 55에 기재된 제어 시스템.
57.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부기 55에 기재된 제어 시스템.
58. 복수의 시 방향에 대한 개별의 표시 화상을 동일 화면 상에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복수의 시 방향 중 1개의 시 방향에 대한 표시 화상에 대응한 1개의 신호원에 대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조작부를 갖는 표시 장치와, 상기 복수의 시 방향 중 다른 시 방향에 대한 표시 화상에 대응한 다른 신호원에 대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원격 제어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59. 복수의 시 방향에 대한 개별의 표시 화상을 동일 화면 상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갖는 표시 장치와, 상기 복수의 시 방향에 대한 개별의 표시 화상에 대응하는 복수의 신호원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표시 장치로 출력하고, 상기 표시 장치를 원격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와, 상기 원격 제어 장치가 존재하는 방향을 검출하는 원격 제어 방향 검출부와,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원격 제어 방향 검출부의 검출 결과에 대응한 신호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60. 상기 원격 제어 방향 검출부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부기 59에 기재된 제어 시스템.
61. 상기 원격 제어 방향 검출부는 상기 표시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부기 59에 기재된 제어 시스템.

Claims (20)

  1. 복수의 시(視) 방향에 대하여, 각각 개별의 정보를 동일 화면 상에 표시하는 표시부와,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조작 입력부와,
    상기 조작 입력이 상기 개별적으로 표시된 정보 중 어떤 정보에 대응하는 것인지를 판단하는 입력 방향 판단부와,
    상기 입력 방향 판단부에 의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방향 판단부에 의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정보를 한정하는 한정 처리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입력부는, 제 1 영역 내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개별적으로 표시된 정보 중 제 1 정보에 대응하는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제 1 조작 입력부와, 상기 제 1 영역과는 중복되지 않는 제 2 영역 내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개별적으로 표시된 정보 중 제 2 정보에 대응하는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제 2 조작 입력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작 입력부 및 상기 제 2 조작 입력부는 터치 패널로서,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제 1 영역에 근접하여 있고,
    상기 화면 상에서의 상기 제 2 조작 입력부의 배치가 상기 화면 상에서의 상기 제 1 조작 입력부의 배치와 거의 동일한 표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방향 판단부에 의해, 상기 조작 입력이 상기 어떤 특정한 시 방향에 대하여 표시되어 있는 정보에 대응하는 것이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어떤 특정한 시 방향과는 다른 방향에 대하여 표시되어 있는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조작 입력에 따른 조작 제어의 실시를 허가하지 않는 실시 제어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방향 판단부는 상기 제 1 조작 입력부 및 상기 제 2 조작 입력부 각각으로의 접촉물의 접촉 면적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 입력이 상기 개별적으로 표시된 정보 중 어떤 정보에 대응하는 것인지를 판단하는 표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과 직교하는 방향에 복수단 설치된, 상기 화면으로의 접근물을 검출하는 검출부를 더 가지며,
    상기 입력 방향 판단부는 상기 검출부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 입력이 상기 개별적으로 표시된 정보 중 어떤 정보에 대응하는 것인지를 판단하는 표시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에 대해, 어떤 방향으로부터의 접근물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를 더 가지며,
    상기 입력 방향 판단부는 상기 검출부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 입력이 상기 개별적으로 표시된 정보 중 어떤 정보에 대응하는 것인지를 판단하는 표시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에 접촉한 손가락의 방향을 산출하는 산출부를 더 가지며,
    상기 입력 방향 판단부는 상기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상기 화면에 접촉한 손가락의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 입력이 상기 개별적으로 표시된 정보 중 어떤 정보에 대응하는 것인지를 판단하는 표시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에 접촉된 지문의 방향을 산출하는 산출부를 더 가지며,
    상기 입력 방향 판단부는 상기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상기 화면에 접촉된 지문의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 입력이 상기 개별적으로 표시된 정보 중 어떤 정보에 대응하는 것인지를 판단하는 표시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입력이 상기 개별적으로 표시된 정보 중 어떤 정보에 대응하는 것인지 판단할 수 없을 경우,
    상기 입력 방향 판단부는 과거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 입력이 상기 개별적으로 표시된 정보 중 어떤 정보에 대응하는 것인지를 판단하는 표시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운전자가 존재하는 방향, 조수석 탑승자가 존재하는 방향에 대하여, 각각 개별의 정보가 동일 화면 상에 표시되고,
    상기 입력 방향 판단부는 상기 조작 입력이 운전자가 존재하는 방향에 대하여 표시된 정보에 대응하는 것인지, 조수석 탑승자가 존재하는 방향에 대하여 표시된 정보에 대응하는 것인지를 판단하는 것이고,
    차량의 핸들 부착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방향 판단부에 의한 상기 판단을 좌우 전환하는 전환부를 더 갖는 표시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입력에 대한 확인 정보 입력을 요구하는 확인 정보 요구부를 더 갖는 표시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입력에 따른 제어 내용을 고지(告知)하는 고지부를 더 갖는 표시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정보 입력이 상기 조작 입력을 확정하는 표시 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정보 입력이 상기 조작 입력을 취소하는 표시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방향 판단부에 의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각 시 방향에 대한 상기 조작 입력부의 조작 입력 위치를 나타내는 조작 입력 화상의 표시 위치를 조정하는 표시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각 시 방향에 대응하는 상기 조작 입력 화상의 표시 위치가 상기 표시부 상에서 중복되지 않도록, 상기 조작 입력 화상의 표시 위치를 조정하는 표시 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시 방향 중 1개의 시 방향에 대응하는 조작 입력 화상의 표시 위치에 따라, 상기 복수의 시 방향 중 다른 시 방향에 대응하는 다른 조작 입력 화상의 표시 위치를 조정하는 표시 장치.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시 방향 중 1개의 시 방향에 대응하는 조작 입력 화상의 표시 위치와, 상기 복수의 시 방향 중 다른 시 방향에 대응하는 다른 조작 입력 화상의 표시 위치를 각각 조정하는 표시 장치.
KR1020077009510A 2004-10-27 2005-10-26 표시 장치 KR200700838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12778 2004-10-27
JP2004312778 2004-10-27
JPJP-P-2004-00355757 2004-12-08
JP2004355757 2004-12-08
JPJP-P-2004-00359624 2004-12-13
JP2004359624 2004-12-13
JP2005262571A JP2006195417A (ja) 2004-12-13 2005-09-09 表示装置
JPJP-P-2005-00262571 2005-09-09
JP2005263753A JP2006190245A (ja) 2004-12-08 2005-09-12 表示装置、表示装置の操作入力画像カスタマイズ方法、及び表示装置の操作入力画像設定方法
JPJP-P-2005-00263753 2005-09-12
JP2005276773A JP4377365B2 (ja) 2004-10-27 2005-09-22 表示装置
JPJP-P-2005-00276773 2005-09-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3817A true KR20070083817A (ko) 2007-08-24

Family

ID=36227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9510A KR20070083817A (ko) 2004-10-27 2005-10-26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70297064A1 (ko)
KR (1) KR20070083817A (ko)
CN (1) CN101048727B (ko)
WO (1) WO200604675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02536A1 (en) * 2011-06-27 2013-01-03 Cj Cgv Co., Ltd. Theater seat guide light
KR101464751B1 (ko) * 2007-05-25 2014-11-24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검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38193B2 (ja) * 2005-10-07 2007-06-2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ータ処理装置
JP4624930B2 (ja) * 2006-01-19 2011-02-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リモコン信号使用装置、リモコン信号使用方法、カー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表示装置
JP4545212B2 (ja) * 2006-02-23 2010-09-15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操作入力装置
CN101401413A (zh) * 2006-03-14 2009-04-01 夏普株式会社 显示系统、显示装置、显示方法、程序和存储介质
DE102007011543A1 (de) * 2006-08-31 2008-03-06 Volkswagen Ag Verfahren zum Bedienen von Einrichtungen eines Fahrzeugs und Bedienvorrichtung für solche Einrichtungen
JP4888063B2 (ja) * 2006-11-08 2012-02-29 株式会社デンソー 手動操作装置
WO2008092637A1 (en) * 2007-01-29 2008-08-07 Johnson Controls Gmbh Operation equipment for a vehicle
JP4378494B2 (ja) * 2007-07-03 2009-12-09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CN101400002A (zh) * 2007-09-24 2009-04-0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立体影像装置
US11441919B2 (en) * 2007-09-26 2022-09-13 Apple Inc. Intelligent restriction of device operations
EP2253993B1 (en) * 2008-03-21 2013-01-09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touch sensor housed therein
US20110012812A1 (en) * 2009-01-14 2011-01-20 Tpo Displays Corp. Multi View Display
US20100328221A1 (en) * 2009-06-24 2010-12-30 Nokia Corporation Multiview display
WO2011003467A1 (en) * 2009-07-10 2011-01-13 Tomtom International B.V. Touchscreen input on a multi-view display screen
JP2011113345A (ja) * 2009-11-27 2011-06-09 Fujitsu Ten Ltd 車載表示システム
CN102111724A (zh) * 2009-12-29 2011-06-29 深圳市赛格导航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车载服务系统和车载终端
CN102193712A (zh) * 2010-03-11 2011-09-21 龙旗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移动终功能开关集的人机交互方式
DE102010011039A1 (de) * 2010-03-11 2011-09-15 Volkswagen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r Benutzerschnittstelle
US9131123B2 (en) * 2010-03-19 2015-09-08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Device for monitoring surroundings of vehicle and method for monitoring surroundings of vehicle
CN102236453A (zh) * 2010-04-30 2011-11-09 禾伸堂企业股份有限公司 双视显示装置的操作方法
US9025030B2 (en) * 2010-06-08 2015-05-05 Cheryl Garcia Video system
US20130044080A1 (en) * 2010-06-16 2013-02-21 Holy Stone Enterprise Co., Ltd. Dual-view display device operating method
US20110310050A1 (en) * 2010-06-16 2011-12-22 Holy Stone Enterprise Co., Ltd. Dual-view display operating method
FR2979515B3 (fr) * 2011-12-29 2013-09-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eil d'affichage et procedes de controle de celui-ci
JP5754410B2 (ja) * 2012-04-13 2015-07-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表示装置
JP5626259B2 (ja) * 2012-05-22 2014-11-19 株式会社デンソー 画像表示装置
FR2994284B1 (fr) * 2012-08-06 2015-07-17 Johnson Contr Automotive Elect Dispositif d'affichag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KR102192035B1 (ko) * 2013-12-02 2020-12-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촉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CN104751031A (zh) * 2013-12-31 2015-07-01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一种信息交互控制方法及装置
KR20150083243A (ko) * 2014-01-09 2015-07-17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및 영상표시방법
DE102014016222A1 (de) * 2014-10-31 2016-05-04 Audi Ag Verfahren und System zum Betreiben einer berührungssensitiven Anzeigeeinrichtung eines Kraftwagens
WO2016157816A1 (ja) * 2015-04-03 2016-10-06 株式会社デンソー 情報提示装置及び情報提示方法
CN106406507B (zh) * 2015-07-30 2020-03-27 株式会社理光 图像处理方法以及电子设备
US10331260B2 (en) 2015-10-30 2019-06-25 Essential Products, Inc. Variable transparency layers for electronic devices
US9864400B2 (en) 2015-10-30 2018-01-09 Essential Products, Inc. Camera integrated into a display
US9767728B2 (en) 2015-10-30 2017-09-19 Essential Products, Inc. Light sensor beneath a dual-mode display
US10102789B2 (en) 2015-10-30 2018-10-16 Essential Products, Inc. Mobile device with display overlaid with at least a light sensor
US9754526B2 (en) 2015-10-30 2017-09-05 Essential Products, Inc. Mobile device with display overlaid with at least a light sensor
CN105550640B (zh) * 2015-12-07 2019-07-26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US10459616B2 (en) * 2016-04-15 2019-10-29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Automatic full screen display
KR101806892B1 (ko) * 2016-05-09 2018-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제어장치
DE112016006950T5 (de) * 2016-06-09 2019-02-2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nzeigesteuervorrichtung, Anzeigevorrichtung, fahrzeuginternes Anzeigesystem und Anzeigesteuerverfahren
KR102493607B1 (ko) * 2016-06-15 2023-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지문 인식 기능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운용 방법
DE102016121107A1 (de) * 2016-11-04 2018-05-09 Volkswagen Ag Anordnung einer grafischen Benutzerschnittstelle in einem Fahrzeug und Verfahren zum Bereitstellen einer grafischen Benutzerschnittstelle in einem Fahrzeug
CN106650384A (zh) * 2016-12-30 2017-05-10 深圳市万普拉斯科技有限公司 一种指纹防误触的方法及终端
KR102587735B1 (ko) * 2017-01-09 2023-10-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보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09398227A (zh) * 2017-08-18 2019-03-01 江苏斯诺物联科技有限公司 一种根据车辆行驶状态检测疲劳驾驶的系统
JP6449501B1 (ja) * 2018-03-28 2019-01-09 Eizo株式会社 表示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11042249B2 (en) * 2019-07-24 2021-06-22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Identifying users using capacitive sensing in a multi-view display system
JP7309524B2 (ja) * 2019-08-29 2023-07-18 アルパイン株式会社 操作システム、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US20230365271A1 (en) * 2022-05-12 2023-11-16 Panasonic Avionics Corporation Programmable lighting methods and systems for a removable peripheral bar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7619B2 (ja) * 1996-04-30 2001-05-21 富士通テン株式会社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DE69732820T2 (de) * 1996-09-12 2006-04-13 Sharp K.K. Parallaxeschranke und Anzeigevorrichtung
GB2321815A (en) * 1997-02-04 1998-08-05 Sharp Kk Autostereoscopic display with viewer position indicator
GB2317291A (en) * 1996-09-12 1998-03-18 Sharp Kk Observer tracking directional display
US6624863B1 (en) * 1997-06-28 2003-09-23 Sharp Kabushiki Kaisha Method of making a patterned retarder, patterned retarder and illumination source
US6055103A (en) * 1997-06-28 2000-04-25 Sharp Kabushiki Kaisha Passive polarisation modulating optical element and method of making such an element
JP3773642B2 (ja) * 1997-12-18 2006-05-10 株式会社東芝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H11312053A (ja) * 1998-04-30 1999-11-09 Toyota Motor Corp 画面タッチ式入力装置
JP4425496B2 (ja) * 2001-07-03 2010-03-03 アルパイン株式会社 表示装置
JP2003137005A (ja) * 2001-10-30 2003-05-14 Denso Corp 車両用表示装置
NZ521505A (en) * 2002-09-20 2005-05-27 Deep Video Imaging Ltd Multi-view display
JP4246466B2 (ja) * 2002-10-04 2009-04-02 富士通テン株式会社 車載用表示装置
JP2004233816A (ja) * 2003-01-31 2004-08-19 Olympus Corp 映像表示装置及び映像表示方法
JP3953434B2 (ja) * 2003-03-20 2007-08-08 株式会社ソフィア 画像表示装置
JP3823972B2 (ja) * 2003-05-09 2006-09-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視角制御素子、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5073076A (ja) * 2003-08-26 2005-03-17 Sharp Corp 表示装置
GB2405519A (en) * 2003-08-30 2005-03-02 Sharp Kk A multiple-view directional displa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4751B1 (ko) * 2007-05-25 2014-11-24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검출 방법
WO2013002536A1 (en) * 2011-06-27 2013-01-03 Cj Cgv Co., Ltd. Theater seat guide ligh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48727A (zh) 2007-10-03
CN101048727B (zh) 2010-09-29
US20070297064A1 (en) 2007-12-27
WO2006046750A1 (ja) 2006-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83817A (ko) 표시 장치
JP4377365B2 (ja) 表示装置
KR100877895B1 (ko) 표시장치
US7747961B2 (en) Display device, 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providing menus
CN101101219B (zh) 车载显示设备和车载显示设备中采用的显示方法
US20070129864A1 (en) In-vehicle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therefor
JP3953434B2 (ja) 画像表示装置
US20090135089A1 (en) In-Vehicle Display Apparatus
JP2006047534A (ja) 表示制御システム
JP2010215194A (ja) 車載機器の操作装置
US20070006081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adjusting sounds of the display device
JP2011197848A (ja) タッチパネル入力装置
WO2006059528A1 (ja) 表示制御装置、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JP2007024854A (ja) 表示装置
US7102497B2 (en) In-car device and processing method for use with the in-car device
US760922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JP2006151363A (ja) 表示装置
JP2011116304A (ja)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
JP2007331692A (ja) 車載電子装置およびタッチパネル装置
JP2006190245A (ja) 表示装置、表示装置の操作入力画像カスタマイズ方法、及び表示装置の操作入力画像設定方法
JP2007041490A (ja) 表示装置、表示装置の画質調整方法、および画質調整装置
JP2007024866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7688293B2 (en) Display apparatus and in-vehicle display apparatus
JP2008102084A (ja) 表示装置及び目的地設定方法
JP3907683B2 (ja) 車載用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