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3409A - 랩 필름 장치의 안전 구조 - Google Patents

랩 필름 장치의 안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3409A
KR20070083409A KR1020070016290A KR20070016290A KR20070083409A KR 20070083409 A KR20070083409 A KR 20070083409A KR 1020070016290 A KR1020070016290 A KR 1020070016290A KR 20070016290 A KR20070016290 A KR 20070016290A KR 20070083409 A KR20070083409 A KR 200700834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wrap film
box body
bent portion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6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다시 우메쯔
마꼬또 히데오까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구레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구레하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구레하
Publication of KR20070083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34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47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at the junction of two walls
    • B65D83/0852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at the junction of two walls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 B65D83/0882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at the junction of two walls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and for cutting interconnec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52Devices for discharging successive articles or portions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72Contents-dispensing means
    • B65D5/724Internal fittings facilitating the discharge of contents, e.g. guiding panels, movable bottoms or lifting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4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랩 필름 장치의 덮개가 탄성 복원력에 의해 덮개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절단날과 사람의 손이 접촉될 위험을 방지하는 것이다.
랩 필름 장치는 상자체(2), 상자체(2) 내에 수용되는 랩 필름의 롤(5) 및 상자체로부터 인출된 랩 필름(31)을 절단할 수 있는 절단날(20)을 포함한다. 상자체(2)는 두꺼운 종이로 된 상자 본체(3) 및 상자체의 상부 개구(38)를 개방 가능하게 폐쇄하는 두꺼운 종이로 된 덮개(4)를 갖는다. 덮개(4)는 후방벽(14)의 상변에 절곡부(43)를 거쳐서 연속 접촉되는 천정판(17) 및 천정판으로부터 수직 하강하는 덮개 전방벽(18)을 갖고, 상기 절단날(20)은 덮개 전방벽(18)의 하변을 따라 날끝부(21)가 배치된다. 상기 절곡부(43)는 상기 상자체(2)의 외측에 볼록부를 갖도록 형압된 것이다.
상자체, 랩 필름, 상자 본체, 덮개, 상부 개구, 후방벽, 전방벽, 절단날

Description

랩 필름 장치의 안전 구조 {SAFETY STRUCTURE FOR WRAP FILM DEVICE}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랩 필름 장치의 사용 개시 시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랩 필름 장치의 사용 중의 사시도.
도3은 도1의 랩 필름 장치의 화살표 C-C에 따른 확대 단면도.
도4는 랩 필름을 절단하기 위해 덮개를 회전 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3과 같은 단면도.
도5는 덮개가 후방벽의 연장면을 넘어 회전된 상태의 상자체의 도해식 확대 단면도.
도6은 두꺼운 종이로 된 상자체의 절곡부의 한쪽면에 볼록부를 형성하고, 다른 쪽면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공정 중의 형압 공구 및 두꺼운 종이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랩 필름 장치
2 : 상자체
3 : 상자 본체
4 : 덮개
5 : 롤
11 : 상자 부벽
12 : 상자 전방벽
13 : 바닥벽
14 : 후방벽
15 : 단부벽
16 : 후방벽(14)의 연장면
17 : 천정판
18 : 덮개 전방벽
19 : 덮개 단부벽
20 : 절단날
21 : 날끝부
22 : 정점
31 : 랩 필름
32 : 단부 모서리부
35 : 가이드 테이프
37 : 돌출편
38 : 상부 개구
40 내지 44 : 절곡부
80 : 제1 형판
81, 92 : 홈
82, 91 : 돌출부
90 : 제2 형판
411, 421, 431, 441 : 볼록부
412, 422, 432, 442 : 오목부
F : 연장면을 넘어 회전되는 각도
R : 복원력에 의해 회전하는 각도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0-142683호 공보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5-178901호 공보
본 발명은 식품 포장에 사용되는 랩 필름의 롤을 상자체 내에 수용하고, 상자체 밖으로 랩 필름을 인출 가능하게 한 랩 필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랩 필름 장치에 있어서, 랩 필름의 사용 개시에 대해서 덮개를 개방하여 상자체로부터 랩 필름의 선단부를 인출할 때, 덮개가 그 자체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회전하여 절단날과 사람의 손이 접촉되는 일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성 구조를 갖는 랩 필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가정용의 식품 포장을 위한 랩 필름의 롤을 상자체 내에 수용하여 랩 필름의 사용 시에 소정량의 랩 필름을 상자체 밖으로 사람의 손에 의해 인출하고, 상자체에 설치한 절단날에 의해 절단하여 사용 가능하게 하는 랩 필름 장치가 알려 져 있다. 상자체는 상자 전방벽, 후방벽, 바닥벽, 대향하는 2개의 단부벽 및 상부 개구를 갖는 상자 본체 및 후방벽의 상변에 연결되어 상부 개구를 폐쇄할 수 있는 덮개를 포함한다. 상자 본체는 상자 전방벽의 상변에 연결되어 상자 본체 내부를 거의 상자 전방벽을 따라 하방으로 신장하는 상자 부벽, 상자체로부터 인출된 랩 필름이 롤 상으로 복귀되는 것을 방지하는 점착층 및 랩 필름의 절단 모서리를 상자 본체의 외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플랩을 갖는다.
덮개는 상부 개구를 폐쇄할 때 상자 전방벽의 하방에 위치되고, 상자 본체로부터 인출된 랩 필름을 절단하는 절단날을 포함한다. 사용하지 않는 랩 필름의 롤은 랩 필름의 선단부를 롤로부터 인출하기 위해 롤 외주면에 가이드 테이프를 구비하고, 랩 필름의 사용 개시에 있어서, 사람의 손에 의해 상자 본체의 상부 개구를 개방하여 가이드 테이프를 집어 빼냄으로써, 랩 필름의 선단부를 롤로부터 인출하고, 소정량의 랩 필름을 상자체 밖으로 인출할 수 있다.
문헌 1은 롤 형상으로 권취된 랩 필름 등의 피포장물을 수납하는 용기 본체와, 용기 본체의 후방면부의 정상 모서리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연속 접촉된 덮개를 구비하는 포장용 용기를 개시한다. 문헌 1의 포장용 용기는 덮개를 개방하지 않고 사용 중의 랩 필름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게 하는 목적으로, 용기 본체 또는 덮개의 소정 부분에 투시하여 내부를 확인하기 위한 개구 및 슬릿으로 이루어지는 창문부를 형성하고 있다.
문헌 2는 포장용 필름에 대한 이물질의 부착을 방지하는 동시에, 인출된 포장용 필름의 선단부를 용이하게 인식 가능하게 하는 포장용 필름 용기를 개시한다. 이 포장용 필름 용기는 롤 형상으로 권취된 포장용 필름을 수용하는 용기 본체와, 용기 본체의 후방면벽의 정상 모서리를 회전축으로서 용기 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정상 모서리에 연속 설치되어 있는 용기 덮개부를 갖는다. 용기 본체의 전방면 벽부에 있어서 보유 지지면 벽부가 겹친 부분에는 용기 본체의 전방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편과, 돌출편에 접하는 절제부가 설치된다.
랩 필름의 롤을 상자체 내에 수용하여 랩 필름의 사용 시에 적당한 양만큼 랩 필름을 상자체 밖으로 사람의 손에 의해 인출하고, 상자체에 설치한 절단날에 의해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는 랩 필름 장치에 있어서, 랩 필름의 사용 개시에 대해서 덮개를 회전하여 상자체를 개방하고 롤 외주면에 점착한 가이드 테이프를 빼내어 상자체로부터 랩 필름의 선단부를 인출할 때, 덮개가 자체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절단날과 사람의 손이 접촉되어 손이 아프거나 또는 상처를 주는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그와 같은 위험을 방지하는 구조를 구비한 랩 필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및 작용 효과는,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명백해진다.
본 발명의 랩 필름 장치는, 두꺼운 종이로 된 상자 본체 및 상자 본체의 상부 개구를 개방 가능하게 폐쇄하는 두꺼운 종이로 된 덮개를 갖는 상자체, 상자체 내에 수용되는 랩 필름의 롤 및 상자체로부터 인출된 랩 필름을 절단 가능한 절단날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랩 필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자 본체는 상자 전방 벽, 후방벽, 바닥벽 및 대향하는 2개의 단부벽을 갖고, 상자 본체의 상부 개구는 상자 전방벽, 후방벽 및 대향하는 2개의 단부벽의 각 상변에 의해 둘러싸여진다. 상기 덮개는 상자 본체의 후방벽의 상변에 절곡부를 거쳐서 연속 접촉되는 천정판 및 덮개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천정판으로부터 상자 전방벽에 평행하게 수직 하강하는 덮개 전방벽을 갖고, 상기 절단날은 덮개 전방벽의 하변을 따라서 날끝부가 배치된다. 상기 절곡부는 단부벽에 평행한 단면에 있어서, 상기 상자체의 외측에 볼록부를 갖고 상자체의 내측에 오목부를 갖는다. 즉, 상기 상자체의 외측을 향해 볼록 형상과 같이 형압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후방』은 도1에 있어서 개략 상자체에 수용된 롤을 기준으로 하여 절곡부(43)(덮개와 후방벽을 연속 접촉함)에 가까운 측을 가리키고, 『전방』은 그 반대측을 나타낸다. 또한, 『상방』은 상자 본체에 수용된 롤을 기준으로 개구에 가까운 측을 가리킨다.
본 발명의 랩 필름 장치는, 다음의 구성을 구비할 수 있다. (1) 상기 덮개의 천정판이 상부 개구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상자 본체 후방벽의 연장면을 넘어 후방 위치에 회전되었을 때, 덮개 천정판이 절곡부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후방 위치로부터 상부 개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각도 90°이하, 바람직하게는 70°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45°이하만큼 회전하도록 절곡부의 볼록부 및 오목부가 구성된다. (2) 상기 절곡부는 홈을 갖는 제1 형판과 홈에 대향하는 돌출부를 갖는 제2 형판 사이에 두꺼운 종이를 형압함으로써 제조된다. 두꺼운 종이는 대향하는 홈과 돌출부 사이에서 형압되면 좋다. (3) 상기 상자체를 형성하는 두꺼운 종이는 복수층으로 이루어지고, 상자체 외면측의 층이 가장 치밀하다. (4) 상기 랩 필름은 염화 비닐리덴계 중합체를 원재료로 하는 것 또는 알루미늄포일이다. 그 외, 상기 랩 필름 재료는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메틸펜텐, 폴리프로필렌 등으로 할 수 있다. (5) 상기 덮개 전방벽의 하변을 따라 배치되는 날끝부는, 상기 덮개 전방벽의 하변의 중앙부 부근에 정점을 갖는 V자형의 것이다. (6) 덮개와 후방벽을 연속 접촉하는 절곡부 이외의 절곡부는, 상자체의 내측을 향해 볼록부를 갖도록 형압된 것이다. (7) 상자체의 조립 전에 상자체의 모든 절곡부가 형압에 의해 형성된다.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같은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랩 필름 장치(1)의 사용 개시 시의 사시도, 도5는 상자체를 형성하는 두꺼운 종이의 두께를 과장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덮개를 후방벽의 연장면을 넘어 회전하여 상부 개구를 크게 개방한 상태의 절곡부의 도해식 확대 단면도이다. 랩 필름 장치(1)는 두꺼운 종이로 된 상자 본체(3) 및 상부 개구(38)를 개방 가능하게 폐쇄하는 두꺼운 종이로 된 덮개(4)를 갖는 상자체(2), 상자체(2) 내에 수용되는 랩 필름의 롤(5) 및 상자체(2)로부터 인출된 랩 필름(31)을 절단 가능한 절단날(20)을 갖는다. 랩 필름 장치(1)는, 인출된 랩 필름의 절단 모서리를 다음번의 인출을 더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자체 표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돌출편(37)을 구비한다.
도1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자 본체(3)는 상자 전방벽(12), 후방벽(14), 바닥벽(13) 및 대향하는 2개의 단부벽(15)을 갖는다. 상자 본체(3)의 상부 개구(38)는 상자 전방벽(12), 후방벽(14) 및 대향하는 2개의 단부벽(15)의 각 상변을 따라 둘러싸여져 있다. 덮개(4)는 후방벽(14)의 상변에 절곡부(43)를 거쳐 서 연속 접촉되는 천정판(17) 및 덮개(4)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천정판(17)으로부터 상자 전방벽(12)에 평행하게 수직 하강하는 덮개 전방벽(18), 2개의 덮개 단부벽(19)을 갖는다. 절단날(20)은 덮개 전방벽(18)의 하변을 따라 날끝부(21)가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절곡부(43)는 단부벽(15)에 평행한 단면에 있어서, 상기 상자체(2)의 외측에 볼록부(도5, 부호 431)를 갖고, 상자체의 내측에 오목부(도5, 부호 432)를 갖도록 형압에 의해 형성된다.
도1 및 도3은, 덮개(4)를 절곡부(43)를 주심으로 회전시켜 상부 개구(38)를 개방시킨 상태를 도시한다. 이 상태에서 가이드 테이프(35)를 사람의 손에 의해 인출함으로써 랩 필름의 롤(5)로부터 랩 필름(31)의 단부 모서리부(32)를 상자 본체(3)의 밖으로 인출하고, 다음에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하는 길이의 랩 필름(31)을 상자체(2)의 밖으로 사람의 손(61, 62)에 의해 인장해낸다. 랩 필름(31)이 상자체(2)의 밖으로 원하는 길이만큼 인출되었을 때,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개구(38)를 폐쇄하는 위치로 덮개(4)를 회전시키고, 덮개 전방벽(18)의 하변을 따라 설치된 절단날(20)을 상자 전방벽(12)의 전방에 위치시키고, 랩 필름(31)의 상자 전방벽(12) 부근에 위치하는 부분을 절단날(20)의 날끝부(21)로 맞대어 절단한다. 분리된 랩 필름은 식품 등의 원하는 포장에 사용된다. 날끝부(21)는 덮개 전방벽(18)의 하변의 중앙부 부근에 정점(22)을 갖는 V자형이다.
도3은, 도1의 랩 필름 장치의 선 C-C에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랩 필름의 단부 모서리부(32)를 그에 부착된 가이드 테이프(35)에 의해 인출하므로, 덮개(4)는 상자체(2)의 상부 개구(38)를 개방하도록 절곡부(43)를 중심으로 각도(F)(도3) 만큼 회전된다. 즉, 가이드 테이프(35)를 사람의 손에 의해 집어 인출하는 사용 개시에 있어서는 상부 개구(38)를 크게 개방하는 것이 필요하고, 천정판(17)은 절곡부(43)의 주위에 사람의 손에 의해 후방벽(14)의 연장면(16)을 넘어 회전되고, 천정판(17)과 후방벽의 연장면(16) 사이에 각도(F)가 형성된다. 그러나, 덮개(4)의 절곡부(43)는 탄성을 갖는 두꺼운 종이로 되어 있으므로, 이 회전에 반대 방향으로, 즉 덮개(4)를 각도(R)(도3)만큼 폐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복원력을 발생시킨다. 종래의 랩 필름 장치에 있어서는 이 복원력이 크기 때문에, 덮개(4)가 상부 개구(38)를 차단하도록 회전되고, 절단날(20)과 사람의 손이 접촉되어 아프게 되거나 또는 상처가 생길 가능성이 있었다. 본원 발명은, 절곡부(43)의 구조를 개량하고, 덮개(4)[천정판(17)]에 작용하는 복원력을 작게 함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5는 상자체(2)를 구성하는 두꺼운 종이의 두께를 과장하여 도시하는 상자체(2)의 단면도이며, 덮개(4)를 후방벽(14)의 연장면(16)을 넘어 절곡부(43)의 주위에 각도(F)만큼 회전시켜 상부 개구(38)를 크게 개방한 상태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벽(14)과 천정판(17)의 연속 설치부인 절곡부(43)는 단부벽(15)(도1)에 평행한 단면(도5의 지면에 평행한 단면)에 있어서, 상자체(2)의 외측에 볼록부(431)를 갖도록, 즉 밖을 향해 돌출하도록 형압된 구조를 갖는다. 상자 본체(3) 또는 덮개(4) 외의 절곡부(41, 42, 44)는 상자체(2)의 내측에 볼록부(411, 421, 441)를 갖도록, 즉 내측을 향해 돌출하도록 형압된 구조를 갖는다. 절곡부(43)는 상자체 내측에 오목부(432)를 갖고, 다른 절곡부(41, 42, 44)는 상자 체 외측에 오목부(412, 422, 442)를 갖는다.
도5의 실시예에 있어서, 절곡부(43)는 상자체(2)의 외측에 볼록부(431)를 갖고, 상자체 내측에 오목부(432)를 갖도록 형압된 구조를 갖는다. 이 구조에 의해, 덮개(4)의 천정판(17)이 상부 개구(38)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후방벽(14)의 연장면(16)을 넘어 각도(F)만큼 회전되었을 때, 절곡부(43)에 소성 변형이 생긴다. 그에 의해, 절곡부(4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회전된 위치로부터 상부 개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복원하는 각도(R)(도3)를 90°이하, 바람직하게는 70°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45°이하로 할 수 있다. 복원력에 의해 회전하는 각도(R)가 작을수록, 절단날(20)과 사람의 손이 접촉되어 아프게 되거나 또는 상처가 생기는 위험이 감소된다.
즉, 절곡부(43)는 상자체의 외측에 볼록부(431)를 갖는 동시에 상자체의 내측에 오목부(432)를 갖는, 즉 상자체의 외방으로 돌출한다(도5). 이 구조에 있어서, 덮개(4)의 천정판(17)이 상부 개구(38)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후방벽(14)의 연장면(16)을 넘어 각도(F)(도3)로 회전되었을 때, 절곡부(43)에 의한 덮개(4) 자체의 복원력, 즉 회전된 위치부터 상부 개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각도(R)(도3)는 90°이하가 된다. 그로 인해, 덮개(4)의 천정판(17)이 상부 개구(38)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후방벽(14)의 연장면(16)을 넘어 각도(F) = 90°(도3)를 넘어 회전되면, 절곡부(4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한 천정판(17)의 복귀는 후방벽(14)의 연장면(16)을 넘은 범위에 머물러서, 날끝부(21)에 접촉되는 일 없이 안전하게 가이드 테이프(35) 및 그에 점착된 랩 필름의 단부 모서리부(32)를 상부 개구(38)로 부터 상자체 밖으로 인출할 수 있다.
절곡부(43)가 상자체(2)의 외측에 볼록부(431)를 갖는 동시에 내측에 오목부(432)를 갖는, 즉 상자체의 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형상임으로써, 절곡부(43)의 탄성복원력이 작아지는 이유는, 다음과 같이 생각할 수 있다. 상자체를 형성하는 두꺼운 종이의 섬유는 인장에 대해 저항력이 크게 소성 변형을 발생시키기 어려운 데 반해, 압축에 대해서는 소성 변형을 쉽게 발생시키는 성질을 갖는다. 도5에 도시한 절곡부(43)는 덮개(4)가 후방벽(14)의 연장면(16)을 넘어[도5의 각도(F)만큼] 회전함으로써, 상자체 내측의 오목부(432)는 인장력이 작용되므로 본래는 소성 변형이 적어 큰 복원력이 발생되지만, 오목부이므로 원래 압축력이 작용되고 있다. 그에 압축력을 완화하는 인장력이 작용되므로, 큰 복원력은 발생하지 않고, 상자체 외측의 볼록부(431)는 압축력에 의해 소성 변형이 생기므로 탄성 복원력이 작아져, 그 결과 절곡부(43) 전체의 탄성 복원력이 작아진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절곡부가 상자체 내측을 향해 볼록부를 갖고 상자체 외측에 오목부를 갖는 종래 형상[도5, 후방벽(14)과 바닥벽(13) 사이의 절곡부(42)와 동일 형상]의 경우에는, 상자체 내측의 볼록부가 인장력에 저항하여 소성 변형이 적으면서 원래 인장력이 작용되고 있으므로, 보다 큰 복원력을 발생시킨다. 상자체 외측의 오목부는 압축력을 받아 소성 변형하여 탄성 복원력은 작지만, 절곡부의 합계의 탄성 복원력은 커지게 된다. 그로 인해, 절곡부(43)가 절곡부(42)와 같이 상자체 내측을 향해 돌출할 경우, 그와 같은 절곡부의 복원력에 의한 천정판(17)의 회전 각도(R)는 후방벽(14)의 연장면(16)을 초과하는 범위에 머무르지 않고, 천정판(17) 및 날끝부(21)가 상부 개구(38)에 근접하여 절단날(20)과 사람의 손이 접촉될 정도로 커진다.
도6은 두꺼운 종이로 된 상자체의 절곡부의 한쪽에 볼록부를 형성하고 다른 쪽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공정 중의 형압 공구 및 상자체의 내측이 되는 두꺼운 종이면을 상부로 한 두꺼운 종이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6에 있어서, 제1 형판(80)은 홈(81) 및 돌출부(82)를 갖고, 제2 형판(90)은 홈(81)에 대향하는 돌출부(91) 및 돌출부(82)에 대향하는 오목부(92)를 갖는다. 제2 형판(90)과 제1 형판(80) 사이에 두꺼운 종이를 적재하고 양자를 소정의 압축력으로 압축함으로써, 두꺼운 종이의 소정 위치에 볼록부(421, 431) 및 오목부(422, 432)가 각각 형성된다. 제1 형판(80)과 제2 형판(90)은, 예를 들어 한쪽을 위로, 다른 쪽을 아래로 배치, 또는 수평 대향(두꺼운 종이가 수직 방향이 됨)으로 할 수 있다. 볼록부(431)와 오목부(432)는 절곡부(43)가 되고, 볼록부(421)와 오목부(422)는 절곡부(42)가 된다. 절곡부(43)와 절곡부(42) 사이의 두꺼운 종이 부분은 후방벽(14)이 된다. 덮개와 후방벽 사이의 절곡부(43) 이외의 절곡부(41, 42, 44) 등은 상자체의 내측을 향해 볼록부를 갖도록 형압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상자체의 모든 절곡부를 상자체를 조립하기 전에 단일 공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험을 방지하는 구조를 구비한 랩 필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1. 두꺼운 종이로 된 상자 본체(3) 및 상자 본체의 상부 개구(38)를 개방 가능하게 폐쇄하는 두꺼운 종이로 된 덮개(4)를 갖는 상자체(2), 상자체 내에 수용되는 랩 필름의 롤(5) 및 상자체로부터 인출된 랩 필름(31)을 절단 가능한 절단날(20)을 포함하는 랩 필름 장치이며,
    상기 상자 본체(3)는 상자 전방벽(12), 후방벽(14), 바닥벽(13) 및 대향하는 2개의 단부벽(15)을 갖고, 상자 본체의 상부 개구(38)는 상자 전방벽, 후방벽 및 대향하는 2개의 단부벽의 각 상변에 의해 둘러싸이고, 상기 덮개(4)는 후방벽의 상변에 절곡부(43)를 거쳐서 연속 접촉되는 천정판(17)과 덮개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천정판으로부터 상자 전방벽에 평행하게 수직 하강하는 덮개 전방벽(18)을 갖고, 상기 절단날은 덮개 전방벽의 하변을 따라 날끝부(21)가 배치되고,
    상기 절곡부(43)는 단부벽에 평행한 단면에 있어서, 상기 상자체의 외측에 볼록부(431)를 갖는 동시에 상자체의 내측에 오목부(43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 필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정판(17)이 절곡부(43)를 중심으로 상부 개구(38)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후방벽(14)의 연장면(16)을 넘어 후방 위치에 회전되었을 때 덮개(4)가 절곡부(4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후방 위치부터 상부 개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각도 90°이하만큼 회전하도록 절곡부의 상기 볼록부(431) 및 오목부(432) 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 필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43)는 홈(81)을 갖는 제1 형판(80)과 홈에 대향하는 돌출부(91)를 갖는 제2 형판(90) 사이에 있어서 절곡부를 형성해야 할 두꺼운 종이의 부분을 형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 필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체(2)를 형성하는 두꺼운 종이는 복수층으로 이루어지고, 상자체 외면측의 층이 가장 치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 필름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전방벽(18)의 하변을 따라 배치되는 날끝부(21)는, 상기 덮개 전방벽의 하변의 중앙부 부근에 정점(22)을 갖는 V자형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 필름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4)와 후방벽(14) 사이의 절곡부(43) 이외의 절곡부(41, 42, 44)는 상자체의 내측에 볼록부를 갖도록 형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 필름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체(2)의 모든 절곡부(41 내지 44)의 오목부 및 볼록부가 상자체를 조립하기 전에 형압에 의해 형성되는 랩 필름 장치.
KR1020070016290A 2006-02-21 2007-02-16 랩 필름 장치의 안전 구조 KR200700834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43319 2006-02-21
JPJP-P-2006-00043319 2006-02-21
JP2006350968A JP4889477B2 (ja) 2006-02-21 2006-12-27 ラップフィルム装置の安全構造
JPJP-P-2006-00350968 2006-12-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3409A true KR20070083409A (ko) 2007-08-24

Family

ID=38612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6290A KR20070083409A (ko) 2006-02-21 2007-02-16 랩 필름 장치의 안전 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889477B2 (ko)
KR (1) KR20070083409A (ko)
CN (1) CN101024460B (ko)
HK (1) HK1107554A1 (ko)
TW (1) TWI38848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4899A1 (ja) * 2010-03-15 2011-09-22 株式会社クレハ カートン及び包材供給体
CN103318686B (zh) * 2012-03-23 2016-01-20 株式会社吴羽 卷绕体收置盒及装有卷绕体的收置盒
JP6075966B2 (ja) * 2012-04-24 2017-02-08 株式会社クレハ 長尺物が巻かれた巻回体を収容する容器および巻回体入り容器
JP6277000B2 (ja) * 2014-01-20 2018-02-07 株式会社クレハ 巻回体収容箱及び巻回体入り収容箱
JP2016022967A (ja) * 2014-07-18 2016-02-08 株式会社クレハ 巻回体収容箱及び巻回体入り収容箱
CN105366213B (zh) * 2014-08-07 2018-01-30 株式会社吴羽 卷绕体收纳盒以及装有卷绕体的收纳盒
CN105883157B (zh) * 2015-02-13 2018-10-02 旭化成株式会社 薄膜卷收纳装置
AU2019275630A1 (en) 2018-12-06 2020-06-25 Flexopack S.A. Multilayer cling film
CN113060588B (zh) * 2021-03-05 2023-03-28 亿源环保包装制品(昆山)有限公司 一种具有切割功能的保鲜膜收纳盒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91214A (en) * 1979-12-25 1981-07-24 Nec Corp Method of modulating light phase of fiber
CN2356978Y (zh) * 1999-01-15 2000-01-05 唐洲企业有限公司 保鲜膜的切割装置
CN2412873Y (zh) * 2000-04-12 2001-01-03 张瑞渊 保鲜膜切割器
JP4753481B2 (ja) * 2001-03-15 2011-08-24 株式会社クレハ 包装用容器
JP3800073B2 (ja) * 2001-11-12 2006-07-19 王子製紙株式会社 成形加工原紙及びそれを用いた紙製成形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24460B (zh) 2011-01-26
CN101024460A (zh) 2007-08-29
TW200806560A (en) 2008-02-01
JP4889477B2 (ja) 2012-03-07
TWI388488B (zh) 2013-03-11
HK1107554A1 (en) 2008-04-11
JP2007254027A (ja) 2007-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83409A (ko) 랩 필름 장치의 안전 구조
KR100781305B1 (ko) 포장용 용기
JP6271783B2 (ja) 巻回体収容箱及び巻回体入り収容箱
JP7472215B2 (ja) 包装容器
KR100781303B1 (ko) 포장용 용기
JP2831286B2 (ja) 包装用容器
TWI565635B (zh) A winding body storage case and a storage box provided with a winding body
JP5709459B2 (ja) フィルムケース
JP6181262B2 (ja) 巻回体収容箱及び巻回体入り収容箱
JPH0734823Y2 (ja) ラップフィルムの収納ケース
JP3034691B2 (ja) カッター及び該カッターを用いた包装用シート収納カートン
JP2005022746A (ja) ラップフィルム収納カートン
CN212830393U (zh) 一种防止保鲜膜退回的保鲜膜切割盒
JP2014136588A (ja) 巻回体収容箱及び巻回体入り収容箱
JP2018027807A (ja) 収納箱
KR200392331Y1 (ko) 포장 랩 절단장치
KR20140013821A (ko) 포장용 내측 덮개
JPH074185Y2 (ja) 包装シート収納紙容器
JP5515361B2 (ja) 段ボールカートン
JP2000229628A (ja) ロール状物収納体
JP6998007B2 (ja) 蓋部構造及びこれを用いた包装容器
JP3244479B2 (ja) ラップフィルムの収納箱
JP2008239155A (ja) 衛生用紙入りフィルムレスカートン
JPH05294337A (ja) 感光材料用包装箱
JP2013086813A (ja) 巻回体収容箱及び巻回体入り収容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