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3386A - 탄성 스케이트 보드 - Google Patents

탄성 스케이트 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3386A
KR20070083386A KR1020060067419A KR20060067419A KR20070083386A KR 20070083386 A KR20070083386 A KR 20070083386A KR 1020060067419 A KR1020060067419 A KR 1020060067419A KR 20060067419 A KR20060067419 A KR 20060067419A KR 20070083386 A KR20070083386 A KR 200700833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arm
elastic
roller
skate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7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2590B1 (ko
Inventor
김준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슬로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슬로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슬로비
Priority to KR1020060067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2590B1/ko
Publication of KR20070083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3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2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2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2Wheels for roller skates
    • A63C17/226Wheel mounting, i.e. arrangement connecting wheel and axle mou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033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a castor wheel, i.e. a swiveling follow-up whee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1Skateboar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1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brakes, e.g. toe stoppers, freewheel roller clutches
    • A63C2017/1472Hand 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40Runner or deck of boards articulated between both feet

Landscapes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발목이나 몸통을 흔드는 동작에 의해 추진력을 얻는 탄성 스케이트 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의 발 조작을 통한 보드의 미세 탄성 비틀림 동작이 가능해져서 주행성능이 향상되고, 보드의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할 뿐 아니라 제작비도 현저하게 절감시킬 수 있는 탄성 스케이트 보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탄성 스케이트 보드{SKATE BOARD WITH ELASTIC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 스케이트 보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유닛의 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의 탄성복원 과정을 보여주는 작동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브래이크 유닛의 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7은 도 6의 결합 단면도.
도 8은 도 6의 제동 후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도.
도 10은 종래기술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의 휠 회전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11은 도 10의 저면에서 바라본 저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래이크 유닛의 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보드 102,210 : 홀
110a,110b : 제1,2체결부재 200 : 중앙부
310a,310b : 고정프레임 320a,320b : 아암
330a,330b : 롤러 332a,332 : 롤러축
340a,340b : 볼트 352a,354a,352b,354b : 베어링
360a,360b : 너트 370a,370b,372a,372b : 스프링
312a,312b : 제1지지부 380a,380b : 제2지지부
402 : 브레이크 손잡이 404 : 브레이크 케이블
410 : 누름부재 412,414 : 힌지편
420 : 축볼트 424 : 스프링
440 : 브레이크 샤프트 430, 430a : 샤프트블록
본 발명은 주행성능이 향상되고, 보드의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할 뿐 아니라 제작비도 현저하게 절감시킬 수 있는 탄성 스케이트 보드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양발을 보드에 올려놓고 주행을 하는 레포츠 용품(운동기구)으로서 스케이트 보드(Skate board)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스케이트 보드의 기본적인 구성은 양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면적을 갖는 넓적하고 긴 타원형의 플레이트와, 이 플레이트의 바닥에 앞뒤로 고정 설치되어 지면과 구름운동을 하는 한 쌍의 롤러(휠)를 갖는다.
한편, 미국 특허 US 5,347,681 호에서는 스케이트 보드의 앞부분에 1개의 휠이 장착되고 뒷부분에는 2개의 휠이 장착된 스케이트 보드의 형태가 제시되어 있는바, 좌우회전이 가능한 1개의 휠을 구비한 캐스터가 보드의 앞부분에 장착되고 보드의 뒷부분에는 좌우회전이 불가능한 한 쌍의 휠이 장착되어 상기 보드의 상향으로 기울어진 앞부분에 상기 캐스터를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결합시킨 구조가 나타나 있다.
또한, 미국 특허 US 6,193,249 호에는 스케이트 보드의 앞,뒷부분에 각각 1개의 휠을 장착하여 추진력을 얻는 스케이트 보드 형태가 제시되어 있는바,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케이트 보드의 베이스(52) 전방 및 후방의 저면에 위치한 제1,2마운팅 플레이트(58)(59)에는 각각 제1,2휠(64)(76)이 지지된 제1,2캐스터(60)(72)가 회전가능하게 마운팅되고, 상기 제1,2휠(64)(76)의 좌우에는 일측이 상기 제1,2휠(64)(76)의 힌지부 양측에 지지되고 타측이 베이스(52)의 저면에 지지되어 제1,2휠(64)(76)의 좌,우 회전을 억제하는 제1,2회전방지수단(84)(86)이 설치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상기와 같은 스케이트 보드들은 하나의 보드에 좌우회전이 가능한 휠을 구비한 캐스터가 장착된 형태로서, 스케이트 보드의 추진력을 얻기 위해서 주행자가 한 발로 지면을 박차고 나가야 하는 행위를 해야만 하거나 방향 전환시 회전반경이 커져 놀이 공간이 많이 필요한 단점이 있었다.
아울러, 휠을 스케이트 보드의 진행방향으로 탄성 복원시키는 회전방지수단이 휠의 좌우에 노출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외관이 저해되어 제품의 품질을 떨어뜨 리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발을 굴러가며 추진력을 얻는 기존의 방법에서 벗어나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94848호에서는 2개의 분리된 보드 하부에 1개 이상의 방향성 캐스터가 구비된 스케이트 보드가 제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서로 이격된 상태의 앞보드와 뒷보드는 파이프 형태의 연결요소를 통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결요소 내에는 비틀림 또는 굽힘시 탄성 복원할 수 있는 탄성체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2개의 보드 중 적어도 하나에는 롤러가 지지된 롤러아암의 회전축이 보드에 대해 소정각도 기울어진 형태로 되어 있는 방향성 캐스터가 설치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상기한 구성의 스케이트보드에 따르면, 사용자가 스케이트보드의 앞보드와 뒷보드 위에 양발을 각기 올려놓고, 양발이 번갈아 기울어질 때마다 탄성체가 이루는 연결요소를 비틀림으로 하여 방향성 캐스터가 일축을 중심으로 반복적인 각운동을 하면서 추진력을 얻어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스케이트보드는 탄성체가 내장된 연결요소에 의해 서로 이격된 상태의 2개의 보드를 연결하고, 상기 2개의 보드를 연결요소의 축을 중심으로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비틀림 동작만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을 뿐 추진방향에 대하여 앞보드 및 뒷보드의 좌우회전이 불가능했었던 단점이 있었다.
이 때문에 사용자의 발조작이 비틀림 동작에만 그쳐서 발조작 유연성이 자유롭지 못했고, 스케이트보드의 추진속도를 증가시키는 데에 한계가 있었으며, 주행중 좌,우 방향 전환성이 저하되어 넓은 주행공간이 요구될 수 밖에 없었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스케이트 보드는 앞보드 및 뒷보드 자체는 탄성을 지니고 있지 않아 상기 연결요소에 내장된 탄성체의 탄성에만 의존하여 동작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미세한 발조작에 맞는 탄성 동작이 구현되지 못했던 단점이 있었다.
아울러, 상기한 종래의 스케이트 보드는 서로 분리된 상태의 앞보드 및 뒷보드가 연결요소에 의해 서로 연결 조립된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스케이트 보드의 전체적인 구조가 복잡하고 제품 제작시 부품 조립에 따른 시간 및 공정이 많이 요구되어 제작비의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드에 장착되는 방향성 캐스터의 고정프레임 및 아암에 각각 지지부를 대향하도록 형성하고, 한 쌍의 스프링을 고정프레임과 아암 사이에 설치하여 지지부를 통해 양측에서 지지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기구적인 구조가 간단하여 제품을 콤팩트하게 구현할 수 있고 휠을 탄성 복원시키는 탄성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의 발 조작을 통한 보드의 미세 탄성 비틀림 동작이 가능해져서 주행성능이 향상되고, 보드의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할 뿐 아니라 제작비도 현저하게 절감시킬 수 있는 탄성 스케이트 보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탄성 스케이트 보드는, 보드; 상기 보드의 저면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 롤러가 지지되며 상기 고정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아암; 상기 고정프레임에 장착되는 베어링; 및 상기 아암과 상기 고정프레임을 체결하는 체결부재; 상기 고정프레임의 하부에 돌출 형성된 제1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의 대각선 방향에 위치한 상기 아암의 상부에 돌출 형성된 제2지지부; 상기 고정프레임과 상기 아암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를 통해 지지되는 한 쌍의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보드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판 형태의 탄성체로 형성하되, 상기 보드의 중앙부는 양측면으로부터 요입되어 잘룩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드의 중앙부는 길이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비틀려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 스케이트 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탄성 스케이트 보드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판 형태의 탄성체로 이루어진 보드(100)와, 상기 보드(100)의 저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방향성 캐스터(300a)(300b)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보드(100)는 전체가 하나의 탄성판으로 이루어지며 중앙부(200)는 양측면으로부터 요입되어 띠 형태로 잘룩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보드(100)의 중앙부(200)는 상기 중앙부(200)의 앞부분 및 뒷 부분에 대하여 길이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수직으로 비틀려져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형성하게 되면, 보드(100)의 길이방향으로 구조적인 강성이 보완될 뿐 아니라, 보드(100)의 중앙부(200)를 중심으로 하여 앞부분 및 뒷부분이 기존과 같은 수준의 토션을 유지하면서 좌우방향으로 유연하게 굽혀질 수 있게 되는 반면 상하방향으로 과도하게 굽혀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드(100)의 중앙부(20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홀(210)이 서로 일정 간격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홀(210)은 그 형상과 개수를 달리하여 형성함에 따라 중앙부(200)의 탄성계수 조절이 가능해지고 보드(100)의 중량감소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중앙부(200)를 중심으로 상기 보드(100)의 앞부분 및 뒷부분에는 그 전후좌우 부분에 크기와 모양이 서로 다른 다수의 홀(10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홀(102)은 중앙부(200)에 형성된 홀(210)과 마찬가지로 그 형상과 개수를 달리하여 형성하게 되면, 보드(100)의 앞부분과 뒷부분의 탄성계수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고, 보드(100)의 전체적인 중량도 경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홀(102)을 통해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특히, 상기 홀(102) 중의 일부는 방향성 캐스터(300a)(300b)의 최상단에 구비된 너트(360a)(360b) 등의 구조물이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때문에 보드(100)의 높이 축소가 가능해지는 잇점이 있고, 아울러, 공구를 이용하여 너트(360a)(360b)를 분리할 경우 공구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보드(100)의 앞부분과 뒷부분에 형성된 상대적으로 작은 홀들은 예컨대 사용자의 발을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수단을 장착하는 등 필요한 여러 형태의 구조물을 장착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드(100)의 앞부분과 뒷부분에는 주행시에 발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엠보싱 처리될 수 있다.
한편, 방향성 캐스터(300a)(300b)는 보드(100)의 중앙부(200)를 중심으로 앞부분 및 뒷부분의 소정위치에 각각 제1체결부재(110a) 및 제2체결부재(110b)를 통해 체결된다.
상기 제1,2체결부재(110a)(110b)는 각각 볼트(112a)(112b)와 너트(114a)(114b)로 구성되고, 상기 보드(100)의 앞부분과 뒷부분에 형성된 체결공(미도시)에 볼트(112a)(112b)를 삽입하여 상기 볼트(112a)(112b)에 너트(114a)(114b)를 체결하여 결합시키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향성 캐스터의 구성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방향성 캐스터의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3 및 도 4는 특히 보드(100)의 앞부분에 장착되는 방향성 캐스터(300a)의 구성을 일예로 들어 설명하게 되지만, 보드(100)의 뒷부분에 장착되는 방향성 캐스터(300b) 역시 상기 앞부분에 장착되는 방향성 캐스터(300a)와 동일한 구성 및 작동을 따르기 때문에 이에 대한 별도의 중복 설명은 하지 않는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방향성 캐스터는 보드(100)의 앞부분 저면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310a)과, 상기 고정프레임(310a)의 하부에 돌출 형성 된 제1지지부(312a)와, 롤러(330a)가 지지되며 상기 고정프레임(310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아암(320a)과, 상기 제1지지부(312a)의 대각선 방향에 위치한 상기 아암(320a)의 상부에 돌출 형성된 제2지지부(380a)와, 상기 고정프레임(310a)과 상기 아암(320a)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지지부(312a)와 상기 제2지지부(380a)를 통해 지지되는 한 쌍의 스프링(370a)(372a)과, 상기 아암(320a)과 상기 고정프레임(310a)을 체결하는 중공볼트(340a) 및 너트(360a)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310a)은 제1체결부재(110a)인 볼트(112a) 및 너트(114a)를 통해 보드(100)의 앞부분 저면에 체결 고정된다.
상기 고정프레임(310a)은 내측 중앙에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을 사이에 두고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베어링(352a)(354a)이 수용 장착된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310a)은 하부에 직경이 확장된 확장부를 이루며 상기 확장부의 저면에는 스프링(370a)(372a)이 수용될 수 있도록 원주 형태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홈 내부에는 상기 스프링(370a)(372a)의 일측 단부가 지지되는 제1지지부(312a)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상기 아암(320a)에는 롤러(330a)가 롤러축(332a)과 볼트(334a)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아암(320a)의 상부에는 상기 고정프레임(310a)이 안착되는 상판(382a)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상판(382a)의 중앙에는 하부 베어링(354a)이 안착되는 안착단(384a)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지지부(312a)의 대각선 방향에 위치한 상기 아암(320a)의 상판(382a)에는 스프링(370a)(372a)의 타측 단부가 지지되는 제2지지부(380a)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상기 아암(320a)과 고정프레임(310a)의 조립시 상기 아암(320a)의 하부로부터 중공볼트(340a)를 베어링(352a)(354a)과 고정프레임(310a)을 관통하여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중공볼트(340a)의 상단에 와셔(390a) 및 너트(360a)를 체결하여 상기 아암(320a)을 상기 고정프레임(310a)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향성 캐스터에 있어서 스프링(370a)(372a)에 의한 롤러(330a)의 탄성복원 과정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a)는 롤러(330a)의 초기상태 위치이고, (b) 및 (c)는 롤러(330a)의 좌,우방향 회전시 제1,2지지부(312a)(380a)에 의한 스프링(370a)(372a)의 탄성 압축 또는 복귀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롤러(330a)의 초기위치는 도 5의 (a)와 같이 좌,우측 스프링(370a)(372a)에 의한 힘의 평형에 의해 제1지지부(312a)와 제2지지부(380a)가 중공볼트(340a)가 위치된 중심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 상태를 유지하여 롤러(330a)가 보드(100)의 길이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배열하게 된다.
한편, 외력에 의해 롤러(330a)가 좌측(시계방향)으로 회전될 경우에는 도 5의 (b)에서 보는 것과 같이 제1지지부(312a)가 고정상태의 제2지지부(380a)에 대하여 좌측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좌측 스프링(370a)은 인장되고 우측 스프링(372a)은 압축하게 되며, 외력이 해제시 상기 압축상태의 우측 스프링(372a)의 탄성 반력에 의해 롤러(330a)의 원상 복귀가 이루어지게 된다.
반대로, 외력에 의해 롤러(330a)가 우측(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경우에는 도 5의 (c)에서 보는 것과 같이 제1지지부(312a)가 고정상태의 제2지지부(380a)에 대하여 우측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우측 스프링(372a)은 인장되고 좌측 스프링(370a)은 압축하게 되며, 외력이 해제시 상기 압축상태의 좌측 스프링(370a)의 탄성 반력에 의해 롤러(330a)의 원상 복귀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의 탄성 스케이트 보드의 주행시 보드(100)의 앞부분이 들리는 상황이 발생하여도 상기 스프링(370a)(372a)에 의한 탄성 복원 과정을 통해 롤러(330a)가 초기위치(예컨대 전진방향)로 탄성 복원되기 때문에 롤러(330a)의 위치를 항상 안정된 위치상에 잡아주도록 하여 안정된 착지동작을 구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방향성 캐스터(300a)의 구성 및 작용은 보드(100)의 뒷부분에 장착되는 방향성 캐스터(300b)에도 동일하게 적용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별도의 중복 설명은 하지 않는다.
한편, 도 6은 보드(100)의 뒷부분에 장착되는 방향성 캐스터(300b) 및 브래이크 유닛의 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또한, 도 7은 도 6의 결합 단면도로서, 롤러(330a)가 제동되기 전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탄성 스케이트 보드는 롤러의 회전을 저지하여 제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브레이크유닛을 탑재하고 있다.
상기 브레이크유닛은 아암(320b)에 대해 승하강되는 브레이크샤프트(440)와, 상기 브레이크샤프트(440)를 통해 롤러(330b)를 가압해 주는 가압부로 구성되어 있 다.
상기 가압부는 상기 중공볼트(340b) 내부에 삽입되어 승하강되는 축볼트(420)와, 상기 브레이크샤프트(440)와 결합되어 상기 축볼트(420)와 체결되는 샤프트블록(430)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축볼트(420)를 눌러줄 수 있도록 상기 보드(100)의 뒷부분에 힌지 고정되는 누름부재(410)와, 상기 축볼트(420)와 대향하는 상기 누름부재(410)의 단부측에 연결되는 브레이크 케이블(404)과, 상기 브레이크 케이블(404)과 연결되며 상기 브레이크 케이블(404)을 잡아당겨 상기 누름부재(410)를 회동시키는 브레이크 손잡이(402)를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중공볼트(340b) 내에는 상기 축볼트(420)를 탄성적으로 지지해 주는 스프링(424)이 설치된다.
상기 보드(100)의 뒷부분 저면에는 누름부재(410)의 장착을 위한 한 쌍의 힌지편(412)(414)이 볼트(122) 및 너트(124)를 통해 고정되고, 상기 누름부재(410)는 상기 양측 힌지편(412)(414)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힌지축(316)에 의해 힌지 결합된다.
상기 누름부재(410)의 일단부는 보드(100)의 뒷부분을 하향으로 관통한 브레이크 케이블(404)과 연결되며 상기 브레이크 케이블(404)을 상방으로 잡아당길 경우 힌지축(316)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축볼트(420)는 롤러유닛의 아암(320b) 및 고정프레임(310b)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중공볼트(340b)의 내부 중공에 스프링(424)과 함께 삽입 장착된 상태에서 그 끝단부에 너트(360b)를 체결하여 고정된다.
상기 축볼트(420)는 보드(100)의 뒷부분에 형성된 홀(120)을 상향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스프링(424)에 의해 탄성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누름부재(410)를 통해 하방으로 눌려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누름부재(410)과 상기 축볼트(420)가 접촉되는 부분에는 상기 두 접촉부재 사이의 원활한 작동을 위하여 별도의 볼을 설치할 수도 있다.
물론, 이때에는 상기 축볼트(420)의 상단 머리부에는 상기 볼이 안착될 수 있는 홈이 마련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 아암(320b)에는 롤러(330b)를 압박하여 제동시키는 브레이크샤프트(440)가 설치된다. 상기 브레이크샤프트(440)는 상기 아암(320b)에 형성된 장공(322)을 통해 끼워지게 되며 제동시 상기 장공(322)을 따라 안내되며 하부에 위치한 롤러(330b)를 압박하여 제동시키게 된다.
상기 브레이크샤프트(440)는 상기 축볼트(420)의 끝단에 너트를 통해 체결되는 샤프트블록(430)과 함께 결합되어 상기 축볼트(420)의 승하강시 연동하게 되어 있다.
도 8은 도 7의 제동 후 모습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스케이트 보드의 제동시 브레이크 손잡이(402)를 잡아당기게 되면 브레이크 케이블(404)과 연결된 누름부재(410)의 회동작용에 의해 축볼트(420)가 스프링(424)의 탄성을 받으며 하방으로 눌려지게 되고 이와 연동하여 브레이크 샤프트(440)가 하강하여 롤러(330b)를 압박함으로써 제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 스케이트 보드의 사용 상태도로서, 스케이트 보드의 추진에 따른 보드(100)가 탄성 비틀림 변형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전술된 첨부도면들 및 상기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탄성 스케이트 보드의 주행시 사용자는 보드(100)의 앞부분 및 뒷부분 위에 발을 올려놓고 주행하게 되고, 사용자의 발로 보드(100)의 앞부분과 뒷부분을 중앙부(200)에 대해 사방으로 적절히 비틀어주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스케이트 보드의 추진력을 얻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보드(100)의 전체가 하나의 탄성판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발이 얹혀지는 보드(100)의 앞부분과 뒷부분, 그리고 중앙부(200)를 포함하는 전 영역의 자유로운 탄성 변형이 가능하고, 이에 따른 사용자의 발 조작이 자유롭고 유연해져서 균형잡기가 쉬울 뿐 아니라 사용자의 발 조작을 통한 보드(100)의 미세 탄성 비틀림 동작이 가능해져서 스케이트 보드의 추진속도를 현저하게 증가시킬 수 있고 주행중 좌,우 방향 전환성이 향상되어 좁은 주행공간에서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프레임(310a)과 아암(320a) 사이에 스프링(370a)(372a)을 개재하고 상기 스프링(370a)(372a)을 고정프레임(310a)에 형성된 제1지지부(312a)와 아암(320a)에 형성되 제2지지부(380a)를 통해 지지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외력에 의한 아암(320a)의 좌우 회전시 상기 스프링(370a)(372a)에 의한 탄성에 의해 롤 러(330a)를 항상 초기위치(예컨대 전진방향)로 탄성 복원시킬 수 있기 때문에(보드의 뒷부분의 방향성 캐스터도 동일함) 스케이트 보드의 주행시 보드(100)의 앞,뒷부분이 들리는 상황이 발생하여도 롤러(330a)를 항상 안정된 초기위치에 잡아주도록 하여 안정된 착지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스케이트 보드의 주행시 제동시킬 수 있는 브레이크유닛을 채용하고 있는바, 주행중에 브레이크유닛의 브레이크 손잡이(402)를 잡아당기게 되면 누름부재(410)가 축볼트(420)를 하방으로 눌러 상기 축볼트(420) 하단에 결합된 브레이크 샤프트(440)가 롤러(330b)를 압박하여 제동력을 발생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발을 이용하여 제동하게 되는 번거로움과 위험성을 배제하고 안전하고 용이한 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보드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방향성 캐스터가 보드의 앞부분 및 뒷부분 양쪽에 설치된 구조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상기 방향성 캐스터를 상기 보드의 앞 또는 뒷부분 중 한쪽에만 설치하고 나머지는 한쪽에는 회전되지 않는 고정식으로 롤러방식을 채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는 다르게, 탄성스케이트 보드는 앞쪽과 뒤쪽 모두 한개의 롤러(330a, 330b)가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래이크 유닛은, 상기 체결부재 내에 승하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를 상기 체결부재 내에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424)을 포함한다.
즉, 전술한 것과는 다르게, 브레이크 샤프트(440)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상기 승강부재의 샤프트블록(430a)이 롤러(330b)에 직접 접촉되어 롤러(330b)를 가압하여 제동력을 발생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재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중공볼트(340a) 및 너트(360a)를 포함하여, 아암(320b)과 고정프레임(310b)을 체결한다.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중공볼트(340b) 내부에 삽입되어 승하강되는 축볼트(420)와, 상기 축볼트(420)에 체결되는 샤프트블록(430a)을 포함하고 있다.
샤프트블록(430a)은 롤러(330b)에 접촉되는 부분으로, 단면이 사각형과 같은 다각형인 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심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샤프트블록(430a)은 상기 관통공을 통해 축볼트(420) 하부에 끼워져서 너트를 통해 체결된다.
이러한 샤프트블록(430a)은 양측에 측판이 구비되어 '∩' 형상으로 형성되는 아암(320b)의 상기 측판 사이에 배치된다. 즉, 샤프트블록(430a)은 아암(320b)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승강운동한다.
샤프트블록(430a)은 롤러(330b)와 접촉되는 모서리 부분에 면취부가 형성된다.
즉, 샤프트블록(430a)은 롤러(330b)와 접촉되는 부분에 경사면이 형성된다.
따라서, 롤러(330b)와 샤프트블록(430a)의 접촉면적이 증가하게 됨으로써, 제동력이 더 커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샤프트블록(430a)이 축볼트(42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샤프트블록(430a)을 사용함에 따라 마모가 되게 되면 샤프트블록(430a)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어 교체비용이 저렴해지는 이점이 있다.
이로써, 주행중에 브레이크유닛의 브레이크 손잡이(402)를 잡아당기게 되면 누름부재(410)가 축볼트(420)를 하방으로 눌러 상기 축볼트(420) 하단에 결합되며 아암(320b) 내부에 배치된 샤프트블록(430a)이 아암(320b)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롤러(330b)를 압박하여 제동력을 발생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드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하나의 탄성 판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보드의 전 영역이 자유롭게 탄성 변형이 가능하게 되어 사용자의 발 조작이 자유롭고 유연해져서 균형잡기가 용이하고, 사용자의 발 조작을 통한 보드의 미세 탄성 비틀림 동작이 가능해져서 스케이트 보드의 추진속도를 현저하게 증가시킬 수 있으며, 주행중 좌,우 방향 전환성이 향상되어 좁은 주행공간에서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보드의 중앙부를 양측면으로부터 요입하여 잘룩하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보드의 앞,뒷부분보다 상기 중앙부 부분에서 비틀림이나 굽힘 등의 탄성 변형이 더욱 잘 유발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보드의 조작이 유연해지고 보드의 추 진력 또한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보드의 구조 자체가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제작이 간편해지고 제작에 따른 비용을 현저하게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드의 중앙부를 길이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비틀려지게 형성함으로써, 보드의 길이 방향에 따른 구조적 강성을 보완할 수 있고, 중앙부를 중심으로 보드의 앞, 뒷부분이 상하로 과도하게 굽혀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드의 중앙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홀을 형성하고, 아울러 보드의 앞, 뒷부분에도 복수 개의 홀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홀의 형상과 개수를 달리하여 사용자의 연령이나 성별 및 체중에 적합한 보드의 탄성도 조절이 가능해지고, 보드의 전체적인 중량도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프레임과 회전 가능한 아암 사이에 한 쌍의 스프링을 설치하되, 상기 스프링이 고정프레임에 형성된 제1지지부와 아암에 형성된 제2지지부를 통해 지지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아암이 회전될 경우 상기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기 때문에 스케이트 보드의 주행시 보드의 앞부분이나 뒷부분이 들리는 상황의 발생하여도 롤러가 임의 방향으로 자유 회전되지 않고 항상 안정된 초기위치에 놓이도록 하여 안정된 착지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함께, 롤러의 위치를 초기위치로 탄성 복귀시키는 기능을 하는 스프링이 방향성 캐스터의 고정프레임과 아암 사이에 내장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스프링이 외부에 노출된 경우와 비교하여 외관이 깔끔해져서 제품의 품질을 월등하게 향상시킬 수 있고, 기구적인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제품을 보다 콤팩 트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향성 캐스터를 보드의 앞,뒷부분에 제1,2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체결 또는 분리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스케이트 보드의 조립이 매우 용이하고 조립에 따른 고정 및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브레이크유닛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주행중 필요시 브레이크유닛을 통한 제동이 가능하여 스케이트 보드의 과속 또는 돌발상황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브레이크유닛은 브레이크 손잡이를 잡아당김에 따라 누름부재가 축볼트를 눌러 축볼트 하단에 결합된 브레이크 샤프트가 롤러를 압박하여 제동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스케이트 보드의 주행중 브레이크 손잡이를 잡아당기는 간단한 동작만으로도 제동 작용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아암과 고정프레임을 체결하는 볼트로서 중공볼트를 적용하여, 제동시 중공볼트 내에서 축볼트가 승강되며 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현되기 때문에 아암의 외부에 축볼트의 승강작용을 위한 별도의 구조물 설치가 필요 없어 브레이크유닛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외관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체결부재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 내에 승하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를 상기 체결부재 내에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롤러를 가압함으로써, 브레이크유닛 을 구성하는 부품수가 줄어들게 되어 제조비용이 적게 들고, 전체적으로 구조가 단순해지고 전체 중량이 감소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보드;
    상기 보드의 저면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
    롤러가 지지되며 상기 고정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아암;
    상기 고정프레임에 장착되는 베어링; 및
    상기 아암과 상기 고정프레임을 체결하는 체결부재;
    상기 고정프레임의 하부에 돌출 형성된 제1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의 대각선 방향에 위치한 상기 아암의 상부에 돌출 형성된 제2지지부;
    상기 고정프레임과 상기 아암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를 통해 지지되는 한 쌍의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스케이트 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판 형태의 탄성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보드의 중앙부는 양측면으로부터 요입되어 잘룩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스케이트 보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의 중앙부는 길이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비틀려져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스케이트 보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 내에 승하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를 상기 체결부재 내에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롤러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스케이트 보드.
KR1020060067419A 2006-03-04 2006-07-19 탄성 스케이트 보드 KR100752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7419A KR100752590B1 (ko) 2006-03-04 2006-07-19 탄성 스케이트 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0730 2006-03-04
KR20060020730 2006-03-04
KR1020060067419A KR100752590B1 (ko) 2006-03-04 2006-07-19 탄성 스케이트 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3386A true KR20070083386A (ko) 2007-08-24
KR100752590B1 KR100752590B1 (ko) 2007-08-29

Family

ID=38612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7419A KR100752590B1 (ko) 2006-03-04 2006-07-19 탄성 스케이트 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25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507B1 (ko) * 2008-06-19 2008-09-08 주식회사 휴머닉 스텝보드
KR101214739B1 (ko) * 2011-12-23 2013-01-21 윤임식 킥보드의 발판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2572A (ko) 2002-05-01 2002-06-05 고진경 흔들어서 나아가는 구름판
KR200400918Y1 (ko) 2005-04-21 2005-11-09 권영돈 스피드 스케이트보드
KR100537797B1 (ko) 2005-06-04 2005-12-19 김준홍 롤러 보드
KR200410530Y1 (ko) 2005-08-01 2006-03-09 이한선 스케이트보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507B1 (ko) * 2008-06-19 2008-09-08 주식회사 휴머닉 스텝보드
WO2009154318A1 (en) * 2008-06-19 2009-12-23 Humanic Co., Ltd. Step board
KR101214739B1 (ko) * 2011-12-23 2013-01-21 윤임식 킥보드의 발판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2590B1 (ko) 2007-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2126B1 (ko) 탄성 스케이트 보드
KR100859413B1 (ko) 스케이트 보드
US8047556B2 (en) Board where the voluntary advance is possible
KR200410530Y1 (ko) 스케이트보드
EP2327459B1 (en) Hinge structure of skateboard
CA2524490A1 (en) Skateboard with direction-caster
WO1993011836A1 (fr) Roues elastiques et ski a roulettes utilisant de telles roues
JPH0225417Y2 (ko)
WO2011118590A1 (ja) スケートボード
KR100752590B1 (ko) 탄성 스케이트 보드
KR20070098467A (ko) 스케이트보드
KR102043282B1 (ko) 보행보조기
US6302415B1 (en) Skateboard foot brake
KR20120000804U (ko) 스케이트 보드
KR101010015B1 (ko) 링크식 스케이트 보드
KR100537797B1 (ko) 롤러 보드
KR100748583B1 (ko) 탄성 스케이트 보드
KR100752570B1 (ko) 절첩식 스케이트 보드
US20220314061A1 (en) Bounce Treadmill
KR102254346B1 (ko) 롤러 스케이트용 또는 스케이트 보드용 서스펜션 트럭
ITTV940069A1 (it) Struttura di pattino a rotelle a prestazioni migliorate
KR200414574Y1 (ko) 인라인 스케이트
KR20060126295A (ko) 롤러 보드
KR20060126294A (ko) 롤러 보드
KR200360599Y1 (ko) 인라인 스케이트용 브레이크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