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3216A - 혼선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혼선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3216A
KR20070083216A KR1020070017133A KR20070017133A KR20070083216A KR 20070083216 A KR20070083216 A KR 20070083216A KR 1020070017133 A KR1020070017133 A KR 1020070017133A KR 20070017133 A KR20070017133 A KR 20070017133A KR 20070083216 A KR20070083216 A KR 200700832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ontacts
connector
ground
cont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7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오 마스모토
가즈히로 후지노
유키코 사토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83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32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01R12/725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containing contact members presenting a contact carrying strip, e.g. edge-like stri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01R13/647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by special arrangement of ground and signal conductors, e.g. GSGS [Ground-Signal-Ground-Sign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73Impedance matching
    • H01R13/6477Impedance matching by variation of dielectric propert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41Crosstalk suppression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상대 커넥터에 제 1 방향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커넥터에서, 복수의 커넥터는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각각의 접촉자는 상대 커넥터와 접촉되는 접촉부와, 이 접촉부와 단자부 사이의 중간부를 포함한다. 상기 접촉자는 복수의 짝 신호 접촉자와 복수의 접지 접촉자를 포함한다. 하나의 열에서의 짝 신호 접촉자와 다른 열에서의 접지 접촉자의 조합은 제 1 세트를 형성한다. 상기 다른 열에서의 짝 신호 접촉자와 하나의 열에서의 접지 접촉자의 조합은 제 2 세트를 형성한다. 제 1 및 제 2 세트의 중간부의 인접한 하나들은 제 1 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위치되어 있다.

Description

혼선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전기 커넥터{ELECTRICAL CONNECTOR IN WHICH CROSSTALK HARDLY OCCURS}
도 1a 는 종래 커넥터의 평면도.
도 1b 는 도 1a 의 종래 커넥터의 정면도.
도 1c 는 도 1a 의 종래 커넥터의 바닥도.
도 1d 는 도 1a 의 종래 커넥터의 측면도.
도 1e 는 도 1b 의 라인 1e ~ 1e 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2 는, 도 1a ~ 도 1e 에 도시된 종래 커넥터의 선호 접촉자 및 접지 접촉자의 배열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3a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따른 커넥터의 평면도.
도 3b 는 도 3a 의 커넥터의 정면도.
도 3c 는 도 3a 의 커넥터의 바닥도.
도 3d 는 도 3a 의 커넥터의 측면도.
도 3e 는 도 3a 의 커넥터의 후방도.
도 3f 는 도 3b 의 라인 3f ~ 3f 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g 는 도 3b 의 라인 3g ~ 3g 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4 는 도 3a ~ 도 3g 에 도시된 커넥터의 신호 접촉자 및 접지 접촉자의 배열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5 는 중간 제조 과정에서의, 도 3a ~ 도 3g 에 도시된 커넥터의 제 1 방식의 접촉자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 은 중간 제조 과정에서의, 도 3a ~ 도 3g 에 도시된 커넥터의 제 2 방식의 접촉자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를 나타내는, 도 3g 와 유사한 단면도.
도 8 은, 도 7 에 도시된 커넥터의 신호 접촉자 및 접지 접촉자의 배열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9 는, 도 7 의 커넥터의 변형을 나타내는, 도 3g 와 유사한 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후방도.
도 11 은 도 10 에 도시된 커넥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부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커넥터
2: 하우징
3: 쉘
S: 신호 접촉자
G: 접지 접촉자
D1: 제 1 방향
D2: 제 2 방향
본 발명은 신호 전송용 신호 접촉자와 접지되는 접지 접촉자를 포함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이러한 종류의 전기 커넥터 방식이 일본 특허 제 3564555 및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2004-534358 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전기 커넥터는 차동(differential) 전송 방식에 의해 고속 신호를 전송하는 라인의 연결에 적합하다. 상기 전송 방식에서, 두 개의 신호 라인 (+, -) 이 사용되며 , 신호의 '하이(High)' '로우(low)' 는 두 신호 라인 간의 전위 차에 의해 구별된다. 두 신호 라인을 통하여 전송된 두 신호는, 전압 레벨이 서로 동일하며, 또한 서로 180°의 위상차를 갖는다. 상기 전송 방식에서, 두 신호 라인에서 발생된 노이즈는 수신기의 입력단에서 상쇄된다. 따라서, 전송 정확도가 향상된다.
도 1a ~ 도 1e 및 도 2 를 참조로, 차동 전송 방식에 사용되는 종래 커넥터를 설명한다.
커넥터 (21) 는, 복수의 신호 접촉자 (S), 복수의 접지 접촉자 (G), 상기 신호 접촉자 (S) 및 상기 접지 접촉자 (G) 를 유지시키는 절연 하우징 (22) 및, 상기 신호 접촉자 (S) 와 상기 접지 접촉자 (G) 및 하우징 (22) 을 덮는 쉘을 포함한다. 상기 쉘 (23) 은, 상면에 형성되어 상대 커넥터와 결합되는 한 쌍의 스프링부 (23a) 를 가진다.
커넥터 (21) 의 접촉자 (S) 및 (G) 는, 상대 커넥터의 각각의 접촉자에 연결되는 접촉부 (C) 를 가진다. 상기 접촉부 (C) 는, 도 1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열, 즉 상부 및 하부 열로 배치되어 있다. 접촉자 (S) 및 (G) 의 접촉부는, 상부열에서 우측으로부터 S, S, G,... 순으로 배치되어 있고, 하부열에서는 우측으로부터 G, S, S,...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2 를 참조하면, 접촉자 (S) 및 (G) 는 두 개의 열, 즉, 도면의 상부에서 상부열 및 하부열로 유사하게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열에서 서로 인접한 접촉자 (S, S) 와 하부열의 접촉자 (G) 는 각각 이등변 삼각형의 꼭지점에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상부열의 접촉자 (G) 와 하부열에서 서로 인접한 접촉자 (S, S) 는 각각 이등변 삼각형의 꼭지점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접촉자 (S) 및 (G) 는, 기판에 납땜 연결되는 단자부 (T) 를 가진다. 도 2 의 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부 (T) 는, 우측으로부터 S, G, S, S, G, S,... 순으로 규정된 피치로 하나의 열로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신호 접촉자 (S) 들은, 하우징 (22) 의 외부로 노출된 중간부 (Sm) 에서 서로 근접해 있다. 따라서, 혼선(crosstalk)이 쉽게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혼선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콤팩트하며 가격이 저렴하고, 고주파수 특성이 우수 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분명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기판에 탑재되고 상대 커넥터에 제 1 방향으로 연결되는 커넥터가 제공되며, 이 커넥터는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접촉자와, 이 접촉자를 유지시키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접촉자는 상대 접촉부와 접촉되는 접촉부, 상기 기판과 연결되는 단자부 및, 상기 접촉부와 상기 단자부 사이의 중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자는 짝 신호 접촉자와 접지 접촉자의 접촉부가 제 2 방향을 따르는 두 열로 엇갈린 방식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짝 신호 접촉자 및 복수의 접지 접촉자를 포함하며, 한 열에 있는 짝 신호 접촉자와 다른 열의 접지 접촉자의 조합은 제 1 세트를 형성하며, 다른 열에 있는 짝 신호 접촉자와 한 열의 접지 접촉자의 조합은 제 2 방향으로 제 1 세트에 인접하는 제 2 세트를 형성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세트에 있는 인접한 중간부들은 제 1 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위치된다.
도 3a ~ 도 3g 및 도 4 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를 설명한다.
도에서 도면부호 '1' 로 지시된 커넥터는 제 1 방향 (D1) 으로 상대 커넥터 (도시 안됨) 에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 (1) 는 복수의 전도성 신호 접촉자 (S), 복수의 전도성 접지 접촉자 (G), 상기 신호 접촉자 (S) 와 상기 접지 접촉자 (G) 를 유지시키는 절연 하우징 (2) 및, 상기 신호 접촉자 (S) 와 상 기 접지 접촉자 (G) 및 하우징 (2) 을 덮는 전도성 쉘 (3) 을 포함한다. 상기 쉘 (3) 은 상면에 형성된 한 쌍의 스프링부 (3a) 를 가진다. 상기 커넥터 (1) 가 상대 커넥터에 연결될 시에, 상기 스프링부 (3a) 는 상대 커넥터의 전도성 쉘과 접촉하게 된다. 상기 신호 접촉자 (S) 및 접지 접촉자 (G) 는, 일반적으로 제 1 방향 (D1) 과 수직한 제 2 방향 (D2) 으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신호 접촉자 (S) 및 접지 접촉자 (G) 는, 상대 커넥터의 상대 접촉자와 접촉하는 접촉부 (Sc) 및 (Gc), 상기 접촉부 (Sc) 및 (Gc) 로부터 연장되어 하우징 (2) 에 의해 유지되는 유지부 (Sp) 및 (Gp), 상기 유지부 (Sp) 및 (Gp) 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 (2) 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중간부 (Sm) 및 (Gm) 및, 상기 중간부 (Sm) 및 (Gm) 로부터 연장되어 납땜에 의해 기판에 각각 연결되는 단자부 (St) 및 (Gt) 를 가진다.
커넥터 (1) 의 접촉자 (S) 및 (G) 는, 끼워맞춤부 (1a) 에서, 접촉부 (Sc) 및 (Gc) 와 유지부 (Sp) 및 (Gp) 가 두 개의 열, 즉, 상부 및 하부열로 분리되어 배열되어 있다. 상기 상부열에서, 상기 유지부 (Sp) 및 (Gp) 는 제 2 방향 (D2) 으로 Sp, Sp, Gp,... 순으로 배열되어 있다. 하부열에서, 상기 유지부 (Sp) 및 (Gp) 는 Gp, Sp, Sp,... 순으로 배열되어 있다. 상부열에서 인접한 두 신호 접촉자 (S) (이하, 상부열의 짝 신호 접촉자라 함) 의 유지부 (Sp) 와, 짝 신호 접촉자 (S) 와 수직 방향으로 마주보는 하부열의 일 접지 접촉자 (G) 의 유지부 (Gp) 는 각각 이등변 삼각형의 꼭지점에 위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하부에서 인접하는 두 신호 접촉자 (S) (이하, 하부열의 짝 신호 접촉자라 함) 의 유지부 (Sp) 와, 상기 짝 신호 접촉자 (S) 와 대면하는 상부열의 일 접지 접촉자 (G) 의 유지부 (Gp) 는 각각 이등변 삼각형의 꼭지점에 위치되어 있다.
도 3a ~ 도 3g 이외에, 도 4 를 참조하여, 도 3a ~ 도 3g 에 도시된 커넥터의 신호 접촉자 (S) 와 접지 접촉자 (G) 의 배열을 설명한다.
상부열에서의 짝 신호 접촉자 (S) 와, 하부열의 접지 접촉자 (G) 의 조합은 세트 A 를 형성한다. 이와 유사하게, 하부열의 짝 신호 접촉자 (S) 와, 상부열의 접지 접촉자 (G) 의 조합은 세트 B 를 형성한다. 상기 세트 A 및 B 는 제 2 방향 (D2) 으로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세트 A 와 세트 B 의 인접한 중간부 (Sm) 는 제 1 방향 (D1) 으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되어 있다. 따라서, 중간부 (Sm) 및 (Gm) 에서, 두 인접 신호 접촉자 (S) 는 수평 거리 (Hs) 만큼 서로 멀리 떨어져 있다. 따라서, 혼선이 감소된다.
도 3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부 (Sc) 및 (Gc) 와, 유지부 (Sp) 및 (Gp) 는, 제 2 방향 (D2) 을 따르는 두 개의 열로 서로 엇갈린 방식으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접촉부 (Sc) 및 (Gc) 와, 유지부 (Sp) 및 (Gp) 는 제 1 방향 (D1) 및 제 2 방향 (D2) 과 수직한 제 3 방향 (D3) 으로 수직 거리 (Vs) 만큼 서로 떨어져 있다. 또한, 하우징 (2) 의 일부가 이들 사이에 끼워져 있다. 따라서, 혼선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접촉자 (S) 및 (G) 의 단자부 (St) 및 (Gt) 는, 제 2 방향 (D2) 으로 S, G, S, S, G, S 의 순으로 규정된 피치로 단일 열로 배열되어 있다.
상기 설명으로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접촉자는, 제 1 형 접촉자, 즉, 유지부 (Sp) 및 (Gp) 가 상부열에 배열되는 상부열 접촉자와, 제 2 형 접촉자, 즉, 유지부 (Sp) 및 (Gp) 가 하부열에 배열되는 하부열 접촉자로 분류된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열 접촉자는, 도면의 밑에서부터, 더미 (dummy) 접지 접촉자 (Gud), 두 개의 신호 접촉자 (Suo), 내부 접지 접촉자 (Gui), 두 개의 외부 신호 접촉자 (Suo), 내부 접지 접촉자 (Gui),... 순으로 배열되어 있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열 접촉자는, 도면의 밑에서부터, 더미 접지 접촉자 (Gld), 외부 접지 접촉자 (Glo), 두 개의 내부 신호 접촉자 (Sli), 외부 접지 접촉자 (Glo), 두 개의 내부 신호 접촉자 (Sli),... 순으로 배열되어 있다.
상기 더미 접지 접촉자 (Gud) 및 (Gld) 는, 쌍을 이룬 신호 접촉자 (S) 사이의 임피던스의 차를 감소 또는 보상함과 동시에 다른 쌍의 신호 접촉자 (S) 와 등가적인 임피던스 조건을 만드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커넥터 (1) 의 조립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우선, 하부열 접촉자를 하우징 (2) 내로 임시 또는 임시적으로 삽입시킨다. 캐리어 (11) 를 접어 상기 하부열 접촉자로부터 분리시킨 후에, 상기 하부열 접촉자를 하우징 (2) 내로 가압 끼워 맞춘다.
다음으로, 상부열 접촉자를 하우징 (2) 내로 임시 또는 일시적으로 삽입시킨다. 캐리어 (11) 를 접어 상기 상부열 접촉자로부터 분리시킨 후에, 상기 상부열 접촉자를 하우징 (2) 내로 가압 끼워 맞춘다.
이어서, 하우징 (2) 을 쉘 (3) 에 결합시킨다.
이로써, 조립 과정이 종료된다.
도 7 및 도 8 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를 설명한다.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부호로 지시되었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3a ~ 도 3g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7 에 도시된 커넥터 (1) 는, 제 1 방향 (D1) 으로 상대 커넥터 (도시 안됨) 에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부열에 있는 짝 신호 접촉자 (S) 및 접지 접촉자 (G) 는, 중간부 (Sm) 및 (Gm) 가 유지부 (Sp) 및 (Gp) 와 수직을 이루도록 구부러져 있다. 하부열에 있는 짝 신호 접촉자 (S) 및 접지 접촉자 (G) 는, 이들의 중간부 (Sm) 및 (Gm) 가 상부열에 있는 짝 신호 접촉자 (S) 와 접지 접촉자 (G) 의 중간부 (Sm) 및 (Gm) 와 유지부 (Sp) 및 (Gp) 에 대하여 기울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설명된 구성으로, 두 개의 인접 신호 접촉자 (S) 사이의 수평 거리 (Hs) 가 증가되어 혼선이 감소된다.
도 9 의 커넥터는 제 3 방향 (D3) 으로 상대 커넥터 (도시 안됨) 에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0 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를 설명한다. 유사한 부분은 동일 도면부호로 지시되어 있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각각의 세트 A 및 B 에 있는 짝 신호 접촉자 (S) 및 접지 접촉자 (G) 는, 짝 신호 접촉자 (S) 의 중간부 (Sm) 가 접지 접촉자의 중간부 (Gm) 쪽으로 구부러져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혼선이 감소된다.
도 10 에서, 신호 접촉자 (S) 의 중간부 (Sm) 는 접지 접촉자 (G) 에 근접하 도록 구부러져 있다. 대안으로서,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신호 접촉자 (S) 의 중간부 (Sm) 는 나머지 부분에 비하여 증가된 폭을 가질 수 있다.
몇몇의 실시형태를 가지고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다양한 다른 방식으로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으로, 혼선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으며, 콤팩트하며 가격이 저렴하고, 고주파수 특성이 우수한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기판에 탑재되고 상대 커넥터에 제 1 방향으로 연결되는 커넥터로서,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접촉자;
    상기 접촉자를 유지시키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접촉자는,
    상대 접촉부와 접촉되는 접촉부;
    상기 기판에 연결되는 단자부 및;
    상기 접촉부와 상기 단자부 사이의 중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자는 복수의 짝 신호 접촉자와 복수의 접지 접촉자를 포함하며,
    짝 신호 접촉자 및 접지 접촉자의 접촉부는 제 2 방향을 따르는 두열로 엇갈린 방식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한 열에 있는 상기 짝 신호 접촉자와 다른 열의 접지 접촉자의 조합은 제 1 세트를 형성하며,
    상기 다른 열에 있는 짝 신호 접촉자와 상기 한 열의 접지 접촉자의 조합은 상기 제 2 방향으로 상기 제 1 세트와 인접하는 제 2 세트를 형성하며,
    제 1 및 제 2 세트에 있는 인접한 중간부들은 제 1 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접촉자는, 상기 접촉부와 상기 중간부 사이의 유지부를 더 포함하며, 또한 상기 하우징에 의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세트 각각의 접촉부들은 각각 이등변 삼각형의 꼭지점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짝 신호 접촉자와 상기 접지 접촉자의 단자부는 제 2 방향으로 하나의 열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접촉자의 단자부는 상기 짝 신호 접촉자의 단자부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세트의 중간부는, 제 2 세트의 중간부로부터 제 1 방향으로 떨어져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각각의 접촉자는 상기 유지부가 상기 중간부에 수직하도록 구부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제 6 항에 있어서,
    한 열에 있는 짝 신호 접촉자와 접지 접촉자의 각각은 유지부가 중간부에 수직하도록 구부러져 있으며, 다른 열에 있는 짝 신호 접촉자와 접지 접촉자의 각각은 중간부가 기울어져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세트에서 짝 신호 접촉자의 중간부는 접지 접촉자의 중간부 쪽으로 구부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0.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세트에서 짝 신호 접촉자의 중간부의 각각은 나머지 부분에 비하여 폭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070017133A 2006-02-20 2007-02-20 혼선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전기 커넥터 KR200700832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42231 2006-02-20
JP2006042231A JP4216287B2 (ja) 2006-02-20 2006-02-20 コネク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3216A true KR20070083216A (ko) 2007-08-23

Family

ID=38428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7133A KR20070083216A (ko) 2006-02-20 2007-02-20 혼선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435107B2 (ko)
JP (1) JP4216287B2 (ko)
KR (1) KR20070083216A (ko)
CN (1) CN101026279B (ko)
TW (1) TWI32519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42920B2 (en) 2012-10-17 2015-09-22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with differential pair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546107C (zh) * 2006-11-28 2009-09-3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201117877Y (zh) * 2007-07-24 2008-09-1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US8864501B2 (en) 2007-08-23 2014-10-21 Molex Incorporated Board mounted electrical connector
CN201122731Y (zh) * 2007-10-25 2008-09-24 上海莫仕连接器有限公司 电连接器
JP4459273B2 (ja) * 2008-02-20 2010-04-2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1519463A (ja) * 2008-02-26 2011-07-07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インピーダンス制御電気コネクタ
CN101771225B (zh) * 2009-01-07 2012-07-0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的应用
JP4887393B2 (ja) * 2009-03-24 2012-02-29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ネクタ
US7794290B1 (en) 2009-07-21 2010-09-14 Adtran, Inc. Communications connector configured for low crosstalk
JP5614955B2 (ja) 2009-08-07 2014-10-29 ホシデン株式会社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JP4575525B1 (ja) * 2009-10-30 2010-11-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レセプタクル及び電子機器
US8437469B1 (en) 2010-01-25 2013-05-07 Adtran, Inc. Electrical protection device configured to reduce crosstalk caused by fuses
BR112012030285B1 (pt) 2010-05-28 2020-01-21 Apple Inc conector de plugue e conector de plugue com orientação dupla
WO2011150402A1 (en) 2010-05-28 2011-12-01 Zenith Investments Llc D-shaped connector
WO2011156653A1 (en) 2010-06-09 2011-12-15 Zenith Investments Llc Flexible trs connector
CN103069654A (zh) * 2010-06-18 2013-04-24 苹果公司 具有侧面接触点的双向连接器
EP2583361B1 (en) 2010-06-21 2017-11-15 Apple Inc. External contact plug connector
US8911260B2 (en) 2010-06-21 2014-12-16 Apple Inc. External contact plug connector
JP2012054215A (ja) * 2010-09-03 2012-03-15 Yazaki Corp コネクタ
DE102011001225A1 (de) * 2011-03-11 2012-09-13 Harting Electronics Gmbh & Co. Kg Anschlussvorrichtung und Anschlussverfahren für hochfrequente Digitalsignale
JP4976568B1 (ja) * 2011-04-18 2012-07-1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2916281B (zh) * 2011-08-05 2015-04-01 上海莫仕连接器有限公司 插头电连接器、插座电连接器及电连接器组合
US8708745B2 (en) 2011-11-07 2014-04-29 Apple Inc. Dual orientation electronic connector
US9112327B2 (en) 2011-11-30 2015-08-18 Apple Inc. Audio/video connector for an electronic device
CN202772376U (zh) * 2012-08-29 2013-03-06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连接器
US9093803B2 (en) 2012-09-07 2015-07-28 Apple Inc. Plug connector
US8777666B2 (en) 2012-09-07 2014-07-15 Apple Inc. Plug connector modules
WO2014040231A1 (en) 2012-09-11 2014-03-20 Apple Inc. Connector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connectors
US9160129B2 (en) * 2012-09-11 2015-10-13 Apple Inc. Connector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connectors
US9059531B2 (en) 2012-09-11 2015-06-16 Apple Inc. Connector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connectors
US9325097B2 (en) 2012-11-16 2016-04-26 Apple Inc. Connector contacts with thermally conductive polymer
US20140206209A1 (en) 2013-01-24 2014-07-24 Apple Inc. Reversible usb connector
CN104283067B (zh) * 2013-07-11 2019-07-12 冯辉舜 高速电连接器组合及其耦接的电路板
US9496651B2 (en) * 2015-03-03 2016-11-15 Lattice Semiconductor Corporation HDMI connector
TWI650910B (zh) * 2017-11-24 2019-02-11 維將科技股份有限公司 電連接器
TWI658950B (zh) * 2018-02-02 2019-05-11 啓碁科技股份有限公司 車載自動診斷系統及其端子及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16071B2 (ja) 1991-06-24 1998-02-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ベルトコンベアのずれ調整方法とその装置
US6206730B1 (en) * 1999-02-04 2001-03-27 Molex Incorporated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US6350134B1 (en) * 2000-07-25 2002-02-26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triad contact groups arranged in an alternating inverted sequence
JP3564555B2 (ja) 2001-03-05 2004-09-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高速ディファレンシャル信号伝送用コネクタ
ATE313864T1 (de) * 2001-06-11 2006-01-15 Molex Inc Impedanzabgestimmter verbinder mit hoher dichte
JP3987493B2 (ja) 2001-08-01 2007-10-10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インピーダンス調整されたコネクタ
US6540559B1 (en) * 2001-09-28 2003-04-0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with staggered contact pattern
JP4091603B2 (ja) * 2002-06-21 2008-05-28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モジュール構造を有するインピーダンス調整された高密度コネクタ
JP4036376B2 (ja) * 2004-04-09 2008-01-2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42920B2 (en) 2012-10-17 2015-09-22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with differential pai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26279B (zh) 2010-12-15
TWI325199B (en) 2010-05-21
CN101026279A (zh) 2007-08-29
US20070197064A1 (en) 2007-08-23
JP4216287B2 (ja) 2009-01-28
TW200810249A (en) 2008-02-16
JP2007220591A (ja) 2007-08-30
US7435107B2 (en) 2008-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83216A (ko) 혼선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전기 커넥터
US7497704B2 (en) Electrical connector capable of suppressing crosstalk
KR101123524B1 (ko) 전기 커넥터
US8257118B2 (en) Communication assembly comprising a plug connector and a jack assembly provided to be connected
US8157573B2 (en) Connector
US8047875B2 (en) Connector device
JP5342943B2 (ja) 多極コネクタ
US6808419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enhanced electrical performance
JP5756110B2 (ja) シールドすることを含むプラグイン接続
KR100754098B1 (ko) 접속대상물을 접속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
US7824193B2 (en) Connector
US20090011624A1 (en) Electric Connector
KR101571601B1 (ko) 커넥터
JP2017022028A (ja) コネクタ
US7798854B2 (en) Connector
JP5338261B2 (ja) 電気コネクタ
JP2913361B2 (ja) ツーピースコネクタ
JP3363804B2 (ja) 雌雄嵌合型コネクタ
US8956191B2 (en) Connector
KR100827267B1 (ko) 누화 억제가 가능한 전기 커넥터
CN118017300A (zh) 连接器组件
CN118017298A (zh) 连接器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1230

Effective date: 20100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