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2795A -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2795A
KR20070082795A KR1020060015878A KR20060015878A KR20070082795A KR 20070082795 A KR20070082795 A KR 20070082795A KR 1020060015878 A KR1020060015878 A KR 1020060015878A KR 20060015878 A KR20060015878 A KR 20060015878A KR 20070082795 A KR20070082795 A KR 200700827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sliding
support
stand
slid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5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9009B1 (ko
Inventor
윤금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5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9009B1/ko
Priority to EP07290170.5A priority patent/EP1821027B1/en
Priority to US11/706,197 priority patent/US7669812B2/en
Priority to CNA200710005394XA priority patent/CN101026018A/zh
Publication of KR20070082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2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9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9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0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 F16M11/2021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around a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4Balancing means
    • F16M2200/044Balancing means for balancing rotational movement of the undercarri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8/00Supports
    • Y10S248/917Video display screen support
    • Y10S248/919Adjustably orientable video screen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는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딩부; 상기 슬라이딩부의 하단부가 상하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가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바닥면에 대하여 지지되는 베이스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의해서 디스플레이 기기의 높낮이와 경사각이 다양한 양상으로 조작가능하고, 그와 같이 디스플레이 기기의 위치조절이 용이하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기기의 구조가 간단하게 제작되면서, 다양한 작동모드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스탠드

Description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Stand of a 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부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상기 지지부의 정면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Ⅰ-Ⅰ'의 단면도.
도 6 내지 도 8은 스탠드의 동작모드를 설명하는 측면도로서, 도 6은 디스플레이 기기의 경사각이 일정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기기가 상하로 움직이는 모드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7은 슬라이딩부가 지지부를 따라서 상하로 움직이는 동작모드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8은 디스플레이 기기가 자체적으로 회전되는 동작모드를 설명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디스플레이 기기 2 : 배면 고정부 3 : 슬라이딩부
4 : 지지부 5 : 베이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프레이 기기를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위치로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높낮이를 보다 대용량을 조절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기기의 대표적인 예로는 모니터를 예로들 수 있고, 상기 모니터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서 다양한 위치로 이동되어 사용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기기를 편리하게 이동시키기 위하여 종래에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각도를 편리하게 조절하는 사절링크 구조의 스탠드가 제안된 바가 있다. 상기 사절링크 구조가 채용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위치를 조절하는 과정 중에도 디스플레이 기기의 경사각은 변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진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에 사절링크가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위치를 조절하는 작업은 스탠드의 하측을 중심을 회전하는 동작에 의해서만 수행되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기기의 위치 조정은 스탠드의 하단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운동으로 제한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디스플레이 기기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에 있어서 한계가 있기 때문에, 사용성이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기기의 높낮이와 경사각이 다양한 양상으로 조작가능하고, 그와 같이 디스플레이 기기의 위치조절이 용이하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 성이 증대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를 제안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한다.
또한, 디스프레이 기기의 높이를 보다 높게 조절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더욱 증진되는 장점이 있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저렴한 비용으로 디스플레이 기기의 위치를 다양한 양상으로 변경하여 조작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는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딩부; 상기 슬라이딩부의 하단부가 상하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가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바닥면에 대하여 지지되는 베이스가 포함된다.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배면에 고정되는 배면 고정부; 상기 배면고정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딩부; 상기 슬라이딩부의 하단부가 지지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하부가 지지되는 베이스가 포함되고,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지지부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안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에 따르면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양상으로 디스플레이 기기의 위치의 조작이 가능하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기기의 위치를 조작하는 과정 중에 디스플레이 기기의 경사각은 변하지 않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 이 기기의 높이를 보다 대용량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및 추가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는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 기기(1)와,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의 배면이 체결되는 배면 고정부(2)와, 상기 배면고정부(2)에서 대략 하방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딩부(3)와, 상기 슬라이딩부(3)의 하단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부(3)의 하방이동을 안내하는 지지부(4)와, 상기 지지부(4)의 하단이 지지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를 바닥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베이스(5)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배면 고정부(2)와 상기 슬라이딩부(3)의 연결지점, 상기 슬라이딩부(3)와 상기 지지부(4)의 연결지점힌지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되는 각 연결지점은 연결되는 부재들이 회전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힌지동작에 의해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원하는 위치를 보다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부(3)의 내부에는 사절링크구조가 제공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슬라이딩부(3)를 회전시키는 동작 중에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의 경사 각이 그대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서 사용자는 편리하게 디스플레이 기기(1)의 높낮이를 조절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 기기(1)의 경사각은 원래의 위치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부(3)의 하단은 상기 지지부(4)에 지지되는 동작이 수행됨과 동시에, 지지부(4)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딩이 가능한 형태로 제공되어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기기(1)의 높이를 조절하고자 할 때, 슬라이딩부(3)를 지지부(4)를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편리하게 디스플레이 기기(1)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설명되는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기기의 위치조절의 각 작용은 도 6 내지 도 9에 의해서 상세하게 설명된 바가 있사오며, 추후에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상세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부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딩부(3)에는, 상기 슬라이딩부(3)의 상단측과 상기 배면 고정부(2)가 서로 연결되는 제 1 연결부와, 상기 슬라이딩부(3)의 하단측과 상기 지지부(4)가 서로 연결되는 제 2 연결부와, 상기 제 1 연결부 및 제 2 연결부를 서로 연결되는 링크부가 포함된다.
상세하게, 상기 링크부는 상기 제 1 연결부와 상기 제 2 연결부의 사이를 연결한 상태에서 일정 이상의 연결강도를 제공하는 주링크(13)와, 상기 주링크(13)의 일측에 제공되어 사절링크의 기능을 제공하는 보조링크(18)(19)가 포함된다. 상기 보조링크(18)(19)의 상단은 링크힌지(14)의 회전중심에 대하여 각각 다른 방향으로 편심된 상태로 연결되고, 상기 보조링크(18)(19)의 하단은 상기 지지힌지(15)의 회전중심에 대하여 각각 다른 방향으로 편심된 상태로 연결된다. 결국,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서 상기 보조링크(18)(19)와 상기 링크힌지(14)와 상기 지지힌지(15)는 사절링크로서 동작이 될 수 있다.
상기 사절링크는 전체적으로 평행사변형의 구조로 제공되어 어느 일 변이 고정된 상태에서 마주보는 다른 변이 이동되면, 상기 다른 변은 상기 일 변과 평행한 상태로 이동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는데, 이와 같은 사절링크의 성질에 의해서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의 경사각은 상기 슬라이딩부(3)부가 회전되더라도 동일한 경사각을 유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 제 1 연결부에는, 상기 배면 고정부(2)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 1 힌지축(21)과, 제 2 힌지축(22)이 제공되는 힌지 스프링 부재(12)가 포함되고, 상기 제 1 힌지축(21) 및 힌지 스프링 부재(25)에 의해서 상기 제 1 연결부는 두 가지 종류의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제 1 연결부의 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제 1 힌지축(21)은 상기 주링크(13)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제 1 힌지 수용부(23)에 의해서 가이드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 결합부(11)에 덮혀서 지지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 1 힌지축(21)은 상기 제 1 힌지 수용부(23)에 가이드된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힌지 스프링 부재(25)는 상기 제 1 힌지축(21)의 내부에 놓인 상 태에서 제 2 힌지축(22)이 제 2 힌지 수용부(24)를 통하여 상기 링크 힌지(14)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 스프링 부재(12)에는 상대적을 회전가능한 두 부재가 그 내부에 제공되고, 그 부재는 힌지 스프링(25)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 있고, 두 부재 중의 어느 한 부재는 상기 제 2 힌지축(22)에 고정되어 상기 링크힌지(14)와 같이 회전되고, 다른 한 부재는 상기 제 1 힌지축(21)에 고정되어 상기 배면고정부(2)와 같이 회전된다. 물론, 상기 힌지 스프링 부재(12)의 내부에는 마찰력을 제공하는 와셔등과 같은 부재가 더 형성되는 것도 당연하다. 또한, 상기 힌지 스프링 부재(12) 내부의 두 부재 간에서 와셔등에 의해서 제공되는 마찰력은, 상기 제 1 힌지축(21)와 제 1 힌지수용부(23)의 사이에 제공되는 마찰력보다 크다.
상기 제 1 연결부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기기(1)의 높낮이를 조절하고자 하여 디스플레이 기기(1)를 움직이면, 상기 사절링크는 상기 지지힌지(15)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링크힌지(14)가 회전된다. 다만, 상기 링크힌지(14)는 사절링크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자전은 없고 상기 지지힌지(15)에 대한 공전운동만이 일어난다. 그러므로, 상기 링크힌지(14)와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제 2 힌지축(22)에서도 공전운동만이 수행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힌지 스프링 부재(12) 내부의 두 부재 간에서 와셔등에 의해서 제공되는 마찰력은, 상기 제 1 힌지축(21)와 제 1 힌지수용부(23)의 사이에 제공되는 마찰력보다 크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힌지 스프링 부재(12) 내부의 두 부재는 상대적인 회전이 없고 상기 힌지 스프링 부재(12)는 상기 제 1 힌지축(21)과 같이 회전된다. 그 대신에 상기 제 1 힌지축(21)과 제 1 힌지 수용부(23)에서 상대적인 회전이 일어나고, 결국 주링크(13)와 배면 고정부(2)는 서로 다르게 회전되고, 상기 배면 고정부(2)에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기기(1)도 상기 주링크(13)에 대하여 상대적인 회전이 일어난다.
이 운동은 결국 상기 슬라이딩부(3)가 하단을 중심을 회전되는 경우에도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의 경사각은 그대로 유지되는 양상으로 작용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항상 동일한 경사각으로 디스플레이 기기(1)를 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의 경사각만을 조절하고자 할 때에는 상당한 정도의 힘을 디스플레이 기기(1)에 가하여 상기 힌지 스프링 부재(12) 내부의 두 부재가 상대적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디스플레이 기기(1)의 자체적인 경사각이 조절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제 2 연결부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제 2 연결부는 상기 슬라이딩부(3)와 상기 지지부(4)의 사이에 형성되는 부재로서, 제 1 지지축(27)과, 상기 제 1 지지축(27)에 차례대로 끼워지는 지지힌지(15)와, 지지부(4)와, 주링크(13)의 하단부와, 제 1 마찰부(16)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마찰부(16)는 상기 제 1 지지축(27)에 대하여 고정된다. 그리고, 적어도 일측은 상기 주링크(13)의 하측면에 접촉되어 주링크(13)가 하방으로 회전되면 상기 주링크(13)를 상방을 밀어올리는 힘을 제공한다. 이는 제 2 마찰부(17)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여기서, 상기 제 1 마찰부(16) 및 제 2 마찰부(17)는 상기 제 1 지지축(27)에 대하여 말려있는 방향이 달라서 디스플레이 기기(1)가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될 때 어느 방향에서든지 복원력을 충분히 제공할 수 있 다.
또한, 상기 제 1 지지축(27)은 상기 지지힌지(15)에 대하여 회전이 불가능하게 끼워지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지지힌지(15)에 끼워지는 상기 제 1 지지축(27)의 부분은 비원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지지축(27)은 상기 제 1 마찰부(16)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4)와 상기 제 1 지지축(27)의 접촉부는 소정의 제 1 마찰력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고, 상기 주링크(13)의 하단과 상기 제 1 지지축(27)의 사이도 소정의 제 2 마찰력으로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마찰력은 상기 제 2 마찰력에 비하여 크게 설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기기(1)에 외력을 하여 상기 주링크(13)를 회전시킬 때에는 상기 제 1 지지축(27)과 주링크(13)의 하단과의 접촉부가 서로 상대회전되고, 이 경우는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의 경사각이 유지되면서 높낮이가 조절되는 상태이다. 이에 반하여 디스플레이 기기(1)의 경사각이 유지되지 아니하면 주링크(13)의 높낮이-다시 말하면, 주링크의 경사도-만을 변경시키고자 할 때에는 어느 정도 큰 힘을 가하여, 지지부(4)와 제 1 지지축(27)와의 상대적인 회전이 발생되도록 하여 지지부(4)와 지지힌지(15)와의 사이의 비틀림 각도가 달라지도록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 2 보조링크(19)와 주링크(13)의 사이에는 탄성부재(26)가 연결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주링크(13)를 회전시킬 때 특정의 방향으로 주링크(13)가 회전되는 힘을 제공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보조링크(19)는 상기 주링크(13)의 회전중심에 대하여 편심되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탄성부재(26)는 주링크가 회전될 때 늘어나게 되어 탄성력이 발생되고, 그 탄성력은 상기 주링크(13)와 보조링크(19)의 상대적인 위치가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도록 하는 힘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탄성부재(26)의 복원력은 상기 주링크(13)가 일어서는 방향으로 가하여져서, 디스플레이 기기(1)의 자중이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지지부와 슬라이딩부의 상호관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상기 지지부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Ⅰ-Ⅰ'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부(4)는 지지부(4)의 틀을 이루는 가이드 패널(42)과, 상기 가이드 패널(42)의 연장방향으로 따라서 이동되는 미끄럼 패널(41)과, 상기 가이드 패널(42)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미끄럼 패널(41)이 이동을 지지하는 판 스프링(45)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미끄럼 패널(41)의 일측에는 안내돌기(44)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돌기(44)와 대응되는 가이드 패널(42)의 위치에는 연장홈(43)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한 상기 지지부(4)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슬라이딩부(3)를 하방으로 내리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상기 미끄럼 패널(41)은 상기 판 스프링(45)을 밀어서 판 스프링(45)이 펼쳐지도록 한다. 이 때, 상기 판 스프링(45)은 상기 미끄럼 패널(41)이 내려오지 못하는 항력을 발생시켜서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의 자중을 지지하거나 상방으로 편리하게 이동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판 스프링(45)에 마찰력이 발생되도록 하여 일정 높이에 미끄럼 패널(41) 이 이르렀을 때에는, 디스플레이 기기(1)가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작용이 상기 판 스프링(45)에 의해서 수행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판 스프린(45)의 일단은 상기 가이드 패널(42)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은 일정 곡률로 말려서 제공된 상태에서 상기 미끄럼 패널(41)에 접촉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안내돌기(44)는 상기 연장홈(43)의 내부에서만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미끄럼 패널(41)의 상하 이동이 상기 가이드 패널(42)에 의해서 가이드 되는 것은 당연하다. 물론, 상기 미끄럼 패널(41)이 가이드 패널(42)의 상단 및 하단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 패널(42)의 상단 및 하단부에는 소정의 걸림턱이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되는 구성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의 구성에 대해서는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고,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스탠드에 의해서 구현되는 스탠드의 동작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8은 스탠드의 동작모드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먼저 도 6은 디스플레이 기기의 경사각이 일정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기기가 상하로 움직이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어느 정도의 약한 힘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를 조작하면 상기 슬라이딩부(3)와 지지부(4)를 연결하는 제 2 연결부를 중심으로 슬라이딩부(3)는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이때에도 상기 슬라이딩부(3)의 내부에 제공되는 사절링크에 의해서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는 경사각이 일정한 상태로 움직일 수 있다.
이러한 작동모드는 사용자가 현재 보고있는 시야각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기기를 전후방으로 움직이고자 할 때 적용될 수 있다.
도 7은 슬라이딩부가 지지부를 따라서 상하로 움직이는 동작모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판 스프링(45)에 의해서 디스플레이 기기(1)의 자중이 지지될 수 있고,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기기(1)를 상기 지지부(4)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내리거나 올리는 동작에 의해서 디스플레이 기기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 작동모드의 경우에는 상기 지지부(4)를 따라서 디스플레이 기기(1)와 슬라이딩부(3)가 함께 승강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기기(1)의 높낮이를 보다 높게 조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디스플레이 기기가 자체적으로 회전되는 동작모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힌지 스프링 부재(12)의 내부에 제공되는 두 부재가 자체적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기기를 바라보는 시야각을 상하방향으로 조작할 수 있다.
이 작동모드의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기기(1)를 보는 시야각을 보다 확연하게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화면이 선명한 방향으로 디스플레이 기기의 시야각을 조작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제시되는 각 작동모드는 어느 하나 이상의 작동모드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는 것도 물론이다.
본 발명은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다양한 형태로 제안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절링크 구조가 채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디스플레 이 기기의 경사각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편리함은 얻을 수 없을 지 모르지만, 디스플레이 기기를 높은 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제안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서 디스플레이 기기의 높낮이와 경사각이 다양한 양상으로 조작가능하고, 그와 같이 디스플레이 기기의 위치조절이 용이하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기기의 구조가 간단하게 제작되면서, 다양한 작동모드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Claims (11)

  1.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딩부;
    상기 슬라이딩부의 하단부가 상하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가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바닥면에 대하여 지지되는 베이스가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연결부는 회전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의 하부는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마찰력에 의해서 지지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슬라이딩부의 하부가 체결되는 미끄럼 패널; 및
    상기 미끄럼의 패널이 가이드되어 이동되도록 하는 가이드 패널이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패널의 연장방향으로 형성되는 연장홈; 및
    상기 연장홈에 의해서 안내되도록 상기 미끄럼 패널에서 돌출되는 안내돌기가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팬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패널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미끄럼 패널에 접촉된 상태에서 신축이 가능한 판 스프링이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이 상기 미끄럼 패널에 접촉되는 부분은 말린 형태로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사절링크가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절링크는,
    상기 슬라이딩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를 연결하는 제 1 연결부에 제공되는 링크 힌지;
    상기 슬라이딩부와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는 제 2 연결부에 제공되는 지지힌지;
    상기 링크힌지와 상기 지지힌지를 서로 편심되게 연결되는 한 쌍의 보조링크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10. 디스플레이 기기의 배면에 고정되는 배면 고정부;
    상기 배면고정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딩부;
    상기 슬라이딩부의 하단부가 지지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하부가 지지되는 베이스가 포함되고,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지지부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이동가능한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지지부의 연장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KR1020060015878A 2006-02-17 2006-02-17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KR101239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5878A KR101239009B1 (ko) 2006-02-17 2006-02-17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EP07290170.5A EP1821027B1 (en) 2006-02-17 2007-02-12 Stand for display device
US11/706,197 US7669812B2 (en) 2006-02-17 2007-02-15 Stand for display device
CNA200710005394XA CN101026018A (zh) 2006-02-17 2007-02-16 用于显示器设备的支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5878A KR101239009B1 (ko) 2006-02-17 2006-02-17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2795A true KR20070082795A (ko) 2007-08-22
KR101239009B1 KR101239009B1 (ko) 2013-03-04

Family

ID=38050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5878A KR101239009B1 (ko) 2006-02-17 2006-02-17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669812B2 (ko)
EP (1) EP1821027B1 (ko)
KR (1) KR101239009B1 (ko)
CN (1) CN10102601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60694A1 (en) * 2013-12-10 2015-06-11 Lenovo (Singapore) Pte. Ltd. Hinged computer stand that slides up and down on a video displa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754B1 (ko) * 2006-07-07 2008-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ITPI20080042A1 (it) * 2008-05-15 2009-11-16 Domenico Morello Supporto per televisore a schermo piatto
JP4923121B2 (ja) * 2010-02-25 2012-04-25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システム
US9188275B2 (en) 2010-07-30 2015-11-17 Ergotron, Inc. Edge mount position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CN103068279B (zh) 2010-07-30 2016-01-13 爱格升公司 显示器定位设备与方法
AU2012214183B2 (en) * 2011-02-11 2016-09-08 Ergotron, Inc. Bifocal display positioning apparatus and method
US8998161B2 (en) * 2013-07-25 2015-04-07 Matthew K. E. Larson Apparatus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US10813451B2 (en) 2014-04-08 2020-10-27 Hypnap LLC Mobile device stand
USD776668S1 (en) * 2014-11-18 2017-01-17 Lenovo (Singapore) Pte. Ltd. Display stand
DE102015220813A1 (de) * 2015-10-23 2017-04-27 Andreas Seibold Vorrichtung zum Schwenken eines Virtual-Reality-Displays und Verfahren zur Darstellung einer Virtual-Reality-Szene
CN108153380B (zh) * 2017-12-22 2021-09-14 联想(北京)有限公司 显示器的支撑部件和电子设备
CN109521839B (zh) * 2018-11-10 2020-05-12 万翼方教育科技(江苏)有限公司 一种仰角可调式计算机显示屏
US11202963B2 (en) * 2019-05-08 2021-12-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Balanced game controller clip
US11930931B2 (en) 2021-08-13 2024-03-19 Hypnap LLC Apparatus for supporting a user in a forward-leaning position with faceplate pivotability
US11737570B2 (en) 2021-08-13 2023-08-29 Hypnap LLC Apparatus for supporting a user in a forward-leaning position with base proximity adjustability
CN114935082B (zh) * 2022-05-10 2023-11-03 田霞 用于计算机的高端外设硬件安装展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2718B1 (ko) * 2002-07-16 2005-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장치
JP2004271595A (ja) * 2003-03-05 2004-09-30 Sony Corp 表示装置
TW591286B (en) * 2003-03-27 2004-06-11 Benq Corp Liquid crystal display and support thereof
JP3757217B2 (ja) * 2003-05-06 2006-03-22 株式会社ナナオ 液晶ディスプレイ用のスタンド
KR100662367B1 (ko) * 2004-05-06 200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니터용 스탠드 어셈블리
JP2008503000A (ja) * 2004-06-14 2008-01-31 クヴェク,サヴァ 伸縮装置
US7770856B2 (en) * 2004-08-13 2010-08-1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Thin computer monitor support apparatus
KR100658836B1 (ko) * 2005-08-16 2006-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탠드 장치
KR101237560B1 (ko) * 2006-02-17 2013-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KR100710313B1 (ko) * 2006-05-26 2007-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KR100710314B1 (ko) * 2006-06-01 2007-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니터 스탠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60694A1 (en) * 2013-12-10 2015-06-11 Lenovo (Singapore) Pte. Ltd. Hinged computer stand that slides up and down on a video display
US9618976B2 (en) * 2013-12-10 2017-04-11 Lenovo (Singapore) Pte. Ltd. Hinged computer stand that slides up and down on a video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228253A1 (en) 2007-10-04
EP1821027A3 (en) 2008-10-08
EP1821027B1 (en) 2018-11-21
US7669812B2 (en) 2010-03-02
CN101026018A (zh) 2007-08-29
KR101239009B1 (ko) 2013-03-04
EP1821027A2 (en) 2007-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9009B1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KR101237560B1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KR100710313B1 (ko) 영상표시장치
KR100531314B1 (ko) 영상표시장치
KR101164820B1 (ko) 디스플레이장치
KR100684998B1 (ko) 모니터장치
KR101237570B1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KR100793754B1 (ko) 영상표시장치
JPH0332137Y2 (ko)
US20060174807A1 (en) Computer workstation with movable monitor support
US20120260830A1 (en) Desktop/monitor combination
KR20070033211A (ko) 디스플레이장치
KR101832443B1 (ko) 체중에 맞추어 시트의 상승 동작과 등받이의 틸팅동작이 동기화되는 의자
JP2020030349A (ja) 映像表示装置
KR100951999B1 (ko) 디스플레이 틸팅장치
KR101558412B1 (ko) 의자 틸팅장치
KR100826198B1 (ko) 영상표시장치
KR101410637B1 (ko) 디스플레이 거치대
KR101558413B1 (ko) 의자의 틸팅장치
JPH11272188A (ja) 薄形表示装置の昇降機構
JP4818986B2 (ja) ビューファインダーのパン・チルト機構
WO2001061237A1 (en) Holding device for monitors provided with viewing screens
KR19990075223A (ko) 화면각도 및 높이가 연동으로 조절되는 모니터
JP4991188B2 (ja) 平面ディスプレイのヒンジ装置
CN219231396U (zh) 运动引导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