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2443B1 - 체중에 맞추어 시트의 상승 동작과 등받이의 틸팅동작이 동기화되는 의자 - Google Patents

체중에 맞추어 시트의 상승 동작과 등받이의 틸팅동작이 동기화되는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2443B1
KR101832443B1 KR1020160011550A KR20160011550A KR101832443B1 KR 101832443 B1 KR101832443 B1 KR 101832443B1 KR 1020160011550 A KR1020160011550 A KR 1020160011550A KR 20160011550 A KR20160011550 A KR 20160011550A KR 101832443 B1 KR101832443 B1 KR 101832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ase
joint
shaft
back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1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1938A (ko
Inventor
형준호
김사엽
정경렬
노종련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70001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2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2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0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47C1/03216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by fluid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0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6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47C7/467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adjustable by fluid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Abstract

본 발명의 체중에 맞추어 시트의 상승 동작과 등받이의 틸팅동작이 동기화되는 의자는 베이스와, 좌판과, 등판과, 상기 베이스와 좌판의 전방에 힌지 연결되는 제1관절과, 상기 등판과 이음되어 베이스의 후방에 힌지 연결되는 제2관절로 이루어져 착석에 의한 체중에 감응하여 제1관절 및 제2관절의 힌지 포인트를 기준으로 등판이 기울어지면서 좌판이 상승하는 동작을 수행하되, 상기 제1관절과 베이스의 힌지 포인트 양측에 제1축과 제2축을 분할 결합하여 힌지 기능을 수행하는 동시에 상기 베이스 및 좌판과 등판의 위치를 제어한다.

Description

체중에 맞추어 시트의 상승 동작과 등받이의 틸팅동작이 동기화되는 의자{Which is synchronized tilting action of the seat and the backrest of the seat raising operation according to weight}
본 발명은 체중에 맞추어 시트의 상승 동작과 등받이의 틸팅동작이 동기화되는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체중에 맞추어 의자 등판의 틸팅 동작을 가능하도록 하는 체중에 맞추어 시트의 상승 동작과 등받이의 틸팅동작이 동기화되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서로 평행하고, 적절한 형태이면서, 지지부에 힌지되어 있으면서, 크랭크들의 회전이 수평선에 대해 시트 프레임에 동일한 회전을 발생시키는 2개의 크랭크들에 의해, 의자 베이스에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부에 힌지되어 있는 시트 프레임에 의해 동기화하는 "개인하중(personal-weighing)"으로 정의되는 이러한 형태의 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이러한 크랭크의 회전은 관절시스템에 의해 크랭크들 중에 한 개의 크랭크 또는 시트 프레임에 연결되어 있는 의자 등받이 프레임의 회전에 의해 직접 형성된다.
이러한 매커니즘이 반영된 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0038121호에서 개시된 "의자의 시트와 등받이를 동기화하는 장치"는 의자의 시트 프레임과 등받이 프레임의 기울기 혹은 대응하는 기저부에, 프레임들의 상호 기울기를 확실하게 연관시킬 수 있고 사용자의 무게와 사용자가 의자 등받이 상에 미치는 착석 형태의 함수로 기울기를 결정한다.
즉, 의자 등받이의 시트의 기울기를 동조화하기 위한 장치로 등받이 프레임 13은 제1크랭크 3인 전방크랭크와 일체로 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를 통해 의자 등받이에 가해지는 외력이 장치의 제1크랭크에 전달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몸무게와 상관없이 사용자가 의자 등받이와 시트의 기울기 조절을 간단히 할 수 있음
그러나, 의자의 시트와 등받이를 동기화하는 장치는 등받이 프레임 13은 제1크랭크 3와 일체로 되어 있는 것이 특징으로서 의자 등받이 경사와 시트 경사를 동기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반면에, 등받이 프레임13과 제1크랭크 3의 연결 부위에 사용자의 무게가 집중되기 때문에 안정적인 기계적 강도를 얻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38121호.(2013.04.17)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의 체중에 맞추어 시트의 상승 동작과 등받이의 틸팅동작이 동기화되는 의자는 사용자의 체중에 맞추어 등판의 틸팅 매커니즘이 적용된 의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등판의 장력 조절 기능이 필요 없는 의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4관절로 힌지 연결된 부위 중 어느 한 개소의 힌지 포인트에 축을 분할 결합하여 4관절의 힌지 기능을 수행하는 동시에 상기 베이스 및 좌판과 등판의 위치를 제어하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축의 조작에 의해 좌판 승하강과 등판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축의 조작에 의해 베이스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축의 조작에 의해 사용자의 체중에 맞추어 등판의 틸팅 매커니즘이 적용된 의자의 틸팅 동작 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좌판에 부여된 체중을 해제시 틸틸 동작을 수행한 등판과 좌판을 원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체중에 맞추어 시트의 상승 동작과 등받이의 틸팅동작이 동기화되는 의자는 베이스와, 좌판과, 등판과, 상기 베이스와 좌판의 전방에 힌지 연결되는 제1관절과, 상기 등판과 이음되어 베이스의 후방에 힌지 연결되는 제2관절로 이루어져 착석에 의한 체중에 맞추어 고정 상태의 베이스와 연결된 제1관절 및 제2관절의 힌지 포인트를 기준으로 등판이 기울어지면서 좌판이 상승하는 동작을 수행하되, 상기 제1관절과 베이스의 힌지 포인트 양측에 제1축과 제2축을 분할 결합하여 힌지 기능을 수행하는 동시에 상기 베이스를 기준으로 좌판과 등판의 위치를 제어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축은 상기 제1관절과 베이스의 힌지 포인트 일측에 회전되게 설치하여 상기 제1축과 연동하여 동작되는 제1레버수단을 통해 베이스의 하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제1압력수단의 유체 압력을 통제하도록 하여 베이스의 높이를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축은 상기 제1관절과 베이스의 힌지 포인트 타측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제2축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제2레버수단을 통해 제1관절과 좌판의 힌지 포인트와 베이스에 설치된 제2압력수단의 유체 압력을 통제하도록 하여 좌판의 승하강 및 등판의 각도를 제어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축은 상기 제1관절 140과 베이스 110의 힌지 포인트 타측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제2축 300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제2레버수단 310을 통해 제1관절 140에 고정된걸림수단의 각도를 단계적으로 제어하여 상기 걸림수단과 연동되는 제1관절의 각도를 제어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축과 제2축에는 각각 레버를 장착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좌판과 제1관절의 힌지 포인트와 베이스에 설치된 제2브라켓의 고정축 사이에 탄성수단을 설치함을 더 포함하여 좌판에 부여된 체중을 해제시 등판과 좌판을 원위치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레버수단은 상기 제1축과 고정되어 연동하는 받침부재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된 제1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받침부재에 의해 시소 동작하는 시소부재로 구성하여 상기 시소부재의 시소동작에 의해 상기 제1압력수단의 상부에 설치되어 압력을 통제하는 압력밸브를 선택적으로 가압하여 제1압력수단의 압력 변화를 통해 길이 가변을 수행토록 하여 베이스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레버수단은 상기 제2축과 고정되어 연동하는 당김부재와, 상기 당김부재와 연결되어 연동하는 이음부재와, 상기 제2압력수단에 설치된 압력밸브 전방에서 회전되게 설치하여 이음부재와 연결을 통해 제2축의 회전으로 압력밸브를 선택적으로 가압하여 제2압력수단의 압력 변화를 통해 길이 가변을 수행토록 하여 좌판의 승하강 및 등판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가압부재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레버수단은 상기 제2축에 고정되고 외주연에 복수의 제1기어를 형성한 변속부재와, 상기 제1기어와 치합되는 복수의 제1기어홈을 형성하여 변속부재의 회전에 의해 베이스 전후방으로 수평 이동하되 상기 제1기어홈 측방에 형성시킨 단턱에 상기 걸림수단에 형성시킨 제2기어가 단계적으로 걸림되면서 상기 제2축을 기준으로 제1관절의 각도를 제어하는 이동부재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이동부재는 가이드공을 형성하여 베이스에 형성된 가이드턱에 의해 수평 이동이 안내되도록 구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체중에 맞추어 시트의 상승 동작과 등받이의 틸팅동작이 동기화되는 의자는 베이스와, 좌판과, 등판과, 상기 베이스와 좌판의 전방에 힌지 연결되는 제1관절과, 상기 등판과 이음되어 베이스의 후방에 힌지 연결되는 제2관절로 이루어져 착석에 의한 체중에 감응하여 제1관절 및 제2관절의 힌지 포인트를 기준으로 등판이 기울어지면서 좌판이 상승하는 동작을 수행하되, 상기 제1관절과 베이스의 힌지 포인트 양측에 제1축과 제2축을 분할 결합하여 힌지 기능을 수행하는 동시에 상기 베이스 및 좌판과 등판의 위치를 제어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체중에 맞추어 등판의 틸팅 매커니즘이 적용된 의자를 제공하여 등판의 장력 조절 기능이 필요 없는 의자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해, 다양한 체형 및 체중을 갖는 사용자들이 의자의 등판 장력 조절이 필요 없이 사용자에 등판의 각도를 맞춤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체중에 맞추어 시트의 상승 동작과 등받이의 틸팅동작이 동기화되는 의자는 상기 제1관절과 베이스의 힌지 포인트 양측에 제1축과 제2축을 분할 결합하여 힌지 기능을 수행하는 동시에 상기 베이스 및 좌판과 등판의 위치를 제어하도록 하여 제1축과 제2축을 통해 의자의 구조적 기능과 동작을 병행 수행하도록 함으로서, 구성부품의 최소화를 통해 기계적 동작 오류와 기계적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좌판의 하부 전방에 제1축과 제2축을 위치시킴으로서,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제1축과 제2축의 보다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체중에 맞추어 시트의 상승 동작과 등받이의 틸팅동작이 동기화되는 의자는 상기 제1관절과 베이스의 힌지 포인트 일측에 회전되게 설치하여 상기 제1축과 연동하여 동작되는 제1레버수단을 통해 베이스의 하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제1압력수단의 유체 압력을 통제하도록 하여 베이스의 높이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체중에 맞추어 시트의 상승 동작과 등받이의 틸팅동작이 동기화되는 의자는 상기 제1관절과 베이스의 힌지 포인트 타측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제2축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제2레버수단을 통해 제1관절과 좌판의 힌지 포인트와 베이스에 설치된 제2압력수단의 유체 압력을 통제 또는 기계적으로 각도를 제한시켜 좌판의 승하강 및 등판의 각도를 제어하는 제2축으로 구성하여 좌판 승하강과 등판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체중에 맞추어 시트의 상승 동작과 등받이의 틸팅동작이 동기화되는 의자는 상기 좌판과 제1관절의 힌지 포인트와 베이스에 설치된 제2브라켓의 고정축 사이에 탄성수단을 설치함을 더 포함하여 좌판에 부여된 체중을 해제시 등판과 좌판을 원위치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좌판에 부여된 체중을 해제시 틸틸 동작을 수행한 등판과 좌판을 원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체중에 맞추어 시트의 상승 동작과 등받이의 틸팅동작이 동기화되는 의자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체중에 맞추어 시트의 상승 동작과 등받이의 틸팅동작이 동기화되는 의자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체중에 맞추어 시트의 상승 동작과 등받이의 틸팅동작이 동기화되는 의자의 기본적 구성을 나타낸 분해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체중에 맞추어 시트의 상승 동작과 등받이의 틸팅동작이 동기화되는 의자의 기본적 구성을 나타낸 결합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체중에 맞추어 시트의 상승 동작과 등받이의 틸팅동작이 동기화되는 의자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체중에 맞추어 시트의 상승 동작과 등받이의 틸팅동작이 동기화되는 의자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체중에 맞추어 시트의 상승 동작과 등받이의 틸팅동작이 동기화되는 의자 중 등판 각도 조절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체중에 맞추어 시트의 상승 동작과 등받이의 틸팅동작이 동기화되는 의자 중 베이스 높이조절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체중에 맞추어 시트의 상승 동작과 등받이의 틸팅동작이 동기화되는 의자 중 등판 및 좌판의 원위치 기능을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체중에 맞추어 시트의 상승 동작과 등받이의 틸팅동작이 동기화되는 의자를 나타낸 분해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체중에 맞추어 시트의 상승 동작과 등받이의 틸팅동작이 동기화되는 의자에서 제2레버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체중에 맞추어 시트의 상승 동작과 등받이의 틸팅동작이 동기화되는 의자에서 제2레버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체중에 맞추어 시트의 상승 동작과 등받이의 틸팅동작이 동기화되는 의자에서 제2레버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체중에 맞추어 시트의 상승 동작과 등받이의 틸팅동작이 동기화되는 의자에서 제2레버수단을 통해 제어되는 틸팅 의자의 작동 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체중에 맞추어 시트의 상승 동작과 등받이의 틸팅동작이 동기화되는 의자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체중에 맞추어 시트의 상승 동작과 등받이의 틸팅동작이 동기화되는 의자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체중에 맞추어 시트의 상승 동작과 등받이의 틸팅동작이 동기화되는 의자의 기본적 구성을 나타낸 분해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체중에 맞추어 시트의 상승 동작과 등받이의 틸팅동작이 동기화되는 의자의 기본적 구성을 나타낸 결합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체중에 맞추어 시트의 상승 동작과 등받이의 틸팅동작이 동기화되는 의자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체중에 맞추어 시트의 상승 동작과 등받이의 틸팅동작이 동기화되는 의자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체중에 맞추어 시트의 상승 동작과 등받이의 틸팅동작이 동기화되는 의자 중 등판 각도 조절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체중에 맞추어 시트의 상승 동작과 등받이의 틸팅동작이 동기화되는 의자 중 베이스 높이조절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체중에 맞추어 시트의 상승 동작과 등받이의 틸팅동작이 동기화되는 의자 중 등판 및 좌판의 원위치 기능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체중에 맞추어 시트의 상승 동작과 등받이의 틸팅동작이 동기화되는 의자를 나타낸 분해 평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체중에 맞추어 시트의 상승 동작과 등받이의 틸팅동작이 동기화되는 의자에서 제2레버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체중에 맞추어 시트의 상승 동작과 등받이의 틸팅동작이 동기화되는 의자에서 제2레버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체중에 맞추어 시트의 상승 동작과 등받이의 틸팅동작이 동기화되는 의자에서 제2레버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체중에 맞추어 시트의 상승 동작과 등받이의 틸팅동작이 동기화되는 의자에서 제2레버수단을 통해 제어되는 틸팅 의자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체중에 맞추어 시트의 상승 동작과 등받이의 틸팅동작이 동기화되는 의자 100는 사용자의 체중에 맞추어 등판 130의 틸팅 동작이 결정된다.
여기서, 등판 130은 등받이 131가 연결되어 사용자의 등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체중에 맞추어 시트의 상승 동작과 등받이의 틸팅동작이 동기화되는 의자 100는 베이스 110와, 좌판 120과, 등판 130이 마련되고, 제1관절 140을 통해 베이스 110와 좌판 120의 전방에 힌지 연결되고, 제2관절 150은 등판 130과 이음 연결되어 좌판 120과 베이스 110의 후방에 힌지 연결된다.
여기서, 제2관절 150과 등판 130은 상호 절곡된 상태로 이음 연결된다.
즉, 베이스 110, 좌판 120, 등판 130, 제1관절 140, 제2관절 150 및 등판 130이 힌지 연결하기 위해 각 연결 부위에 관통된 구멍의 힌지포인트 170가 형성된다.
그리고, 힌지포인트 170들에는 축을 결합하여 베이스 110, 좌판 120, 제1관절 140 및 제2관절 150을 포함한 등판 130이 상호 회동 동작한다.
이를 통해 베이스 110, 좌판 120, 제1관절 140 및 등판 130과 일체로 이음된 제2관절 150로 이루어진 4관절 의자를 통해 체중에 반응하여 등판 130의 틸팅 동작과 강도가 결정된다.
다시 말해, 좌판 120에 사용자가 착석하여 등판 130에 등을 기대면 등판 130의 틸팅 동작이 수행되면서 등판 130의 틸팅동작과 좌판 120의 상승 동작이 연계한다.
이를 통해 좌판 120에 가해지는 무게 만큼 연계하여 등판 130의 틸팅 동작이 구현되어 별도로 등판 130의 장력 조절 기능이 필요 없는 의자를 제공할 수 있다.
결국, 좌판 120에 사용자가 착석을 하면 체중에 감응하여 제1관절 140 및 제2관절 150의 힌지 포인트를 기준으로 등판 130이 기울어지면서 좌판 120이 상승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는, 사용자의 체중에 맞추어 등판 130의 틸팅 매커니즘이 적용된 의자를 제공하여 등판 130의 장력 조절 기능이 필요 없는 의자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해, 다양한 체형 및 체중을 갖는 사용자들이 의자의 등판 130 장력 조절이 필요 없이 사용자에 등판 130의 각도를 맞춤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제1관절 140과 베이스 110의 힌지 포인트 양측에는 제1축 200과 제2축 300을 분할 결합하여 힌지 기능을 수행하는 동시에 상기 베이스 110 및 좌판 120과 등판 130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축 200과 제2축 300은 제1관절 140과 베이스 110의 힌지 포인트에 설치되어 힌지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제1축 200과 제2축 300은 회전에 의한 조작에 의해 좌판 120의 승하강과 등판 13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1축 200과 제2축 300은 회전에 의한 조작에 의해 베이스 1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결국, 제1축 200과 제2축 300은 체중에 맞추어 시트의 상승 동작과 등받이의 틸팅동작이 동기화되는 의자 100에 힌지 기능을 수행하는 동시에 의자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다.
다시 말해, 제1축 200과 제2축 300을 통해 의자의 구조적 기능과 동작을 병행 수행하도록 함으로서, 구성부품의 최소화를 통해 기계적 동작 오류와 기계적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제1축 200과 제2축 300의 보다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제1축 200과 제2축 300의 보다 쉽게 조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도 2, 도 8 및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축 200은 상기 제1관절 140과 베이스 110의 힌지 포인트 일측에 회전되게 설치하여 상기 제1축 200과 연동하여 동작되는 제1레버수단 210을 통해 베이스 110의 하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제1압력수단 220의 유체 압력을 통제하도록 하여 베이스 110의 높이를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제1압력수단 220은 유체 압력 변화에 따라 물리적 이동 동작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그리고 상기 제1압력수단 220은 의자를 지지하는 지주 230에 연결된다.
상기 제1축 200에는 제1레버 201를 장착하여 제1축 200의 회전에 대한 조작성을 보장한다.
아울러, 상기 제1레버수단 210은 받침부재 211, 시소부재 213로 구성한다.
먼저, 받침부재 211는 상기 제1축 200과 고정되어 연동한다. 상기 받침부재 211는 베이스 110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고, 제1축 200에 돌출되도록 고정된다.
그리고, 시소부재 213는 상기 베이스 110에 설치된 제1브라켓 212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받침부재 211에 의해 시소 동작한다.
상기 시소부재 213는 중앙이 제1브라켓 212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일측은 받침부재 211의 상면에 위치되고, 타측은 베이스 110를 관통하여 내부 공간으로 노출된 제1압력수단 220의 압력밸브 221 상부에 위치한다.
이를 통해 제1축 200의 회전을 통해 받침부재 211가 연동하여 시소부재 213의 일측을 상승시키면 제1브라켓 212을 기점으로 시소부재 213의 타측이 하부로 이동하여 압력밸브 221를 가압함으로써, 제1압력수단 220의 압력 변화를 통해 길이 가변을 수행토록 하여 베이스 1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 도 2, 도 7 및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그리고, 제2축 300은 상기 제1관절 140과 베이스 110의 힌지 포인트 타측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제2축 300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제2레버수단 310을 통해 제1관절 140과 좌판 120의 힌지 포인트와 베이스 110에 설치된 제2압력수단 320의 유체 압력을 통제하도록 하여 좌판 120의 승하강 및 등판 130의 각도를 제어한다.
상기 제2축 300에는 제2레버 301를 장착하여 제2축 300의 회전에 대한 조작성을 보장한다.
여기서, 상기 제1압력수단 220과 제2압력수단 320은 가스스프링 또는 가스실린더로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제1압력수단 220과 제2압력수단 320은 유체, 기체 및 스프링을 적용하여 제1압력수단 220과 제2압력수단 320의 실린더의 로드 이동을 통제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제2레버수단 310은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로 구분된다.
먼저, 상기 제2레버수단 310의 제1실시예는 당김부재 311, 이음부재 312 및 가압부재 313로 구성한다.
먼저, 당김부재 311는 상기 제2축 300과 고정되어 연동한다. 상기 당김부재 311는 베이스 110 내부 공간에 위치되고, 제2축 300에 돌출되도록 고정된다.
그리고, 이음부재 312는 상기 당김부재 311와 연결되어 연동한다. 즉, 이음부재 312의 일측은 당김부재 311에 걸림 구조로 결합되어 제2축 300이 회전하면 당김부재 311와 연동하여 이음부재 312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한다.
아울러, 가압부재 313는 상기 제2압력수단 320에 설치된 압력밸브 321 전방에서 회전되게 설치하여 이음부재 312와 연결을 통해 제2축 300의 회전으로 압력밸브 321를 선택적으로 가압하여 제2압력수단 320의 압력 변화를 통해 길이 가변을 수행토록 하여 좌판 120의 승하강 및 등판 13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2압력수단 320은 유체 압력 변화에 따라 물리적 이동 동작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상기 제2압력수단 320은 상기 베이스 110와 제1관절 140에 이음 설치된다.
다시 말해, 베이스 110에는 한 쌍의 제2브라켓 111이 이격되게 설치되고, 한 쌍의 제2브라켓 111의 연결하는 고정축 112이 마련된다.
그리고, 제2압력수단 320은 일측이 상기 고정축 112에 결합되고, 타측은 제1관절 140과 좌판 120이 연결되는 힌지포인트 170에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제2레버수단 310과 제2압력수단 320을 통해 제2축 300의 회전 조작에 의해 당김수단이 회전하여 이음부재 312를 이동시켜 가압부재 313를 회전시킨다.
이를 통해 가압부재 313가 제2압력수단 320의 압력을 통제하는 압력밸브 321를 가압시켜 제2압력수단 320의 압력 변화를 꾀하여 길이 가변을 수행토록 하여 좌판 120의 승하강 및 등판 13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1 내지 도 1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레버수단 310의 제2실시예는 아래와 같다.
먼저, 상기 제2축 300은 상기 제1관절 140과 베이스 110의 힌지 포인트 타측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제2축 300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제2레버수단 310을 통해 제1관절 140에 고정된 걸림수단 141의 각도를 단계적으로 제어하여 상기 걸림수단 141과 연동되는 제1관절 140의 각도를 제어하도록 하여 좌판 120의 승하강 및 등판 13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가능하도록 하는 상기 제2레버수단 310은 변속부재 314와 이동부재 316로 구성된다.
상기 변속부재 314는 상기 제2축 300에 고정되어 베이스 110의 내부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변속부재 314의 외주연에는 복수의 제1기어 315가 형성된다.
상기 이동부재 316는 상기 제1기어 315와 치합되는 제1기어홈 317을 형성하여 변속부재 314의 회전에 의해 베이스 110 전후방으로 수평 이동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이동부재 316는 제1기어홈 317 측방에 단턱 318을 형성시켜 상기 걸림수단 141에 형성시킨 제2기어 142가 걸림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걸림수단 141은 제1관절 140과 일체로 형성되고 이동부재 316의 이동에 의해 제2기어 142가 이동부재 316의 단턱 318에 단계적으로 걸림되면서 상기 제2축 300을 기준으로 제1관절 140의 각도를 제어한다..
아울러, 상기 이동부재 316는 가이드공 319을 형성하여 베이스 110에 수직으로 형성된 가이드턱 113에 의해 수평 이동이 안내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2실시예의 제2레버수단 310의 작동은 아래와 같다.
도 14 (a)는 제1관절 140의 걸림수단 141에 형성된 복수의 제2기어 142 중에서 제일 내측에 위치한 제2기어 142가 이동부재 316의 단턱 318에 걸림되어 있는 상태로써, 제1관절 140과 베이스 110가 제2축 300으로 연결된 힌지포인트를 기준으로 제1관절 140이 회전되지 않는다.
이때, 틸팅 의자에 사람의 체중이 가해져도 제1관절 140과 일체로 형성된 걸림수단 141이 이동부재 316에 걸림 된 상태이기 때문에 제1관절 140이 회전되지 않아 좌판 120, 등판 130 및 제2관절 150을 연동시키지 않아 좌판 120의 승하강 및 등판 13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없도록 하여 좌판 120과 등판 130의 위치를 고정시키고자 할 때 적용된다.
도 14 (b)는 제2축 300을 이용하여 변속부재 314를 회전시키면 상기 변속부재 314의 제1기어 315와 치합된 이동부재 316가 베이스 110의 후방측으로 이동하여 도 14 (a)에서 단턱 318과 걸림된 제일 내측에 위치한 제2기어 142와 연접된 다음 차순의 제2기어 142가 걸림된다.
이를 통해 걸림수단 141의 부분 회전을 가능하게 하여 제1관절 140의 각도를 부분적으로 변환시킬 수 있어 상기 제1관절 140과 연동되는 좌판 120, 등판 130 및 제2관절 150이 연동 동작하여 좌판 120의 승하강 및 등판 130의 각도를 부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도 14 ⓒ는 제2축 300을 이용하여 변속부재 314를 한 단계 더 회전시키면 이동부재 316가 후방으로 더 이동하여 걸림수단 141 중 제일 외측에 위치한 제2기어 142가 이동부재 316의 단턱 318에 걸림되도록 한다.
이때, 도 14 ⓒ는 제1관절 140의 변환 가능한 한계 각도로서, 좌판 120과 등판 130의 최종적인 상승 높이 및 경사 각도를 갖는 상태이다.
또한, 도 14 ⓒ 상태에서 좌판 120에 가해졌던 체중을 제거하면 탄성수단 160을 통해 좌판 120과 등판 130이 최초의 위치로 복원된다.
동시에 탄성부재 250를 통해 제2축 300의 회전 상태가 원위치로 복귀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 250는 구체적으로 제1축 200과 제2축 300에 설치된다.
이를 통해, 등판 130 각도 또는 베이스 110의 높이조절 동작을 수행한 후 회전 조작된 상태를 원위치로 복귀시켜 다음 조작의 반복을 준비한다.
아울러, 도 8과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좌판 120과 제1관절 140의 힌지 포인트와 베이스 110에 설치된 제2브라켓 111의 고정축 112 사이에 탄성수단 160을 설치함을 더 포함하여 좌판 120에 부여된 체중을 해제시 등판 130과 좌판 120을 원위치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 틸팅 의자
110 : 베이스 111 : 제2브라켓
112 : 고정축 113 : 가이드턱
120 : 좌판 130 : 등판
131 : 등받이 140 : 제1관절
141 : 걸림수단 142 : 제2기어
150 : 제2관절 160 : 탄성수단
170 : 한지포인트 200 : 제1축
201 : 제1레버 210 : 제1레버수단
211 : 받침부재 212 : 제1브라켓
213 : 시소부재 220 : 제1압력수단
221 : 압력밸브 230 : 지주
250 : 탄성부재 300 : 제2축
301 : 제2레버 310 : 제2레버수단
311 : 당김부재 312 : 이음부재
313 : 가압부재 314 : 변속부재
315 : 제1기어 316 : 이동부재
317 : 제1기어홈 318 : 단턱
319 : 가이드공 320 : 제2압력수단
321 : 압력밸브

Claims (10)

  1. 베이스와,
    좌판과,
    등판과,
    상기 베이스와 좌판의 전방에 힌지 연결되는 제1관절과,
    상기 등판과 이음되어 베이스의 후방에 힌지 연결되는 제2관절로 이루어져 착석에 의한 체중에 맞추어 고정 상태의 베이스와 연결된 제1관절 및 제2관절의 힌지 포인트를 기준으로 등판이 기울어지면서 좌판이 상승하는 동작을 수행하면서,
    상기 제1관절과 베이스의 힌지 포인트 양측에 제1축과 제2축을 분할 결합하여 힌지 기능을 수행하는 동시에 상기 베이스를 기준으로 좌판과 등판의 위치를 제어하도록 하되,
    상기 제2축은,
    상기 제1관절과 베이스의 힌지 포인트 타측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제2축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제2레버수단을 통해 제1관절에 고정된 걸림수단의 각도를 단계적으로 제어하여 상기 걸림수단과 연동되는 제1관절의 각도를 제어하도록 하고,
    상기 제2레버수단은,
    상기 제2축에 고정되고 외주연에 복수의 제1기어를 형성한 변속부재와, 상기 제1기어와 치합되는 복수의 제1기어홈을 형성하여 변속부재의 회전에 의해 베이스 전후방으로 수평 이동하되 상기 제1기어홈 측방에 형성시킨 단턱에 상기 걸림수단에 형성시킨 제2기어가 단계적으로 걸림되면서 상기 제2축을 기준으로 제1관절의 각도를 제어하는 이동부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에 맞추어 시트의 상승 동작과 등받이의 틸팅동작이 동기화되는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축은,
    상기 제1관절과 베이스의 힌지 포인트 일측에 회전되게 설치하여 상기 제1축과 연동하여 동작되는 제1레버수단을 통해 베이스의 하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제1압력수단의 유체 압력을 통제하도록 하여 베이스의 높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에 맞추어 시트의 상승 동작과 등받이의 틸팅동작이 동기화되는 의자.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축과 제2축에는 각각 레버를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에 맞추어 시트의 상승 동작과 등받이의 틸팅동작이 동기화되는 의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과 제1관절의 힌지 포인트와 베이스에 설치된 제2브라켓의 고정축 사이에 탄성수단을 설치함을 더 포함하여 좌판에 부여된 체중을 해제시 등판과 좌판을 원위치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에 맞추어 시트의 상승 동작과 등받이의 틸팅동작이 동기화되는 의자.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버수단은,
    상기 제1축과 고정되어 연동하는 받침부재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된 제1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받침부재에 의해 시소 동작하는 시소부재로 구성하여,
    상기 시소부재의 시소동작에 의해 상기 제1압력수단의 상부에 설치되어 압력을 통제하는 압력밸브를 선택적으로 가압하여 제1압력수단의 압력 변화를 통해 길이 가변을 수행토록 하여 베이스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에 맞추어 시트의 상승 동작과 등받이의 틸팅동작이 동기화되는 의자.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가이드공을 형성하여 베이스에 형성된 가이드턱에 의해 수평 이동이 안내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에 맞추어 시트의 상승 동작과 등받이의 틸팅동작이 동기화되는 의자.
KR1020160011550A 2015-06-26 2016-01-29 체중에 맞추어 시트의 상승 동작과 등받이의 틸팅동작이 동기화되는 의자 KR1018324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988 2015-06-26
KR20150090988 2015-06-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938A KR20170001938A (ko) 2017-01-05
KR101832443B1 true KR101832443B1 (ko) 2018-02-27

Family

ID=57835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1550A KR101832443B1 (ko) 2015-06-26 2016-01-29 체중에 맞추어 시트의 상승 동작과 등받이의 틸팅동작이 동기화되는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24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56613B (zh) * 2017-01-19 2021-04-23 安吉县盛信办公家具有限公司 一种腰托座椅
KR102100623B1 (ko) 2019-11-22 2020-04-16 주식회사 대하체어스 체중 연동형 의자
KR102217014B1 (ko) * 2020-07-30 2021-02-19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의자의 틸팅 자세 조절기구
CN115177114A (zh) * 2021-04-06 2022-10-14 恒林家居股份有限公司 椅子及其托盘
KR102341830B1 (ko) * 2021-10-14 2021-12-22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좌판의 틸팅 강도 조절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10931A (ja) * 2010-06-30 2012-01-19 Takano Co Ltd 椅子における回動部品取付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12021407B1 (pt) 2010-02-26 2020-06-09 Donati Spa dispositivo para sincronizar a inclinação do encosto e do assento de uma cadeira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10931A (ja) * 2010-06-30 2012-01-19 Takano Co Ltd 椅子における回動部品取付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938A (ko) 2017-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2443B1 (ko) 체중에 맞추어 시트의 상승 동작과 등받이의 틸팅동작이 동기화되는 의자
JP6641000B2 (ja) 椅子の構造及び椅子
JP5087975B2 (ja) 車両用シート
CN102133005B (zh) 动力摇摆和滑移躺椅联动机构
EP2375938B2 (en) Device for synchronizing the tilt of a chair back and seat
KR101239009B1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KR101661949B1 (ko) 의자의 시트와 등받이를 동기화하는 장치
JP4435215B2 (ja) 椅子型マッサージ機
US8177296B2 (en) Motorized rocking chair moved in a pendulum manner
CN111885948A (zh) 具有低姿态零重力设计且增加倾斜靠背的全联动座椅装置
JP2009509592A (ja) 椅子
JPH0793898B2 (ja) 椅子装置
EP3281557A1 (en) Seat arrangement
TW200950726A (en) Front-and-back reciprocating, reclining, lifting and lowering apparatus for a chair back
MX2015002808A (es) Silla con respaldo y asiento ajustables.
CN106413479A (zh) 用于同步椅子的椅背和椅座的倾斜的装置
CN210748189U (zh) 一种电动座椅调节连杆系机构及座椅伸展调节装置
US7431397B2 (en) Chair
WO2016001714A1 (en) Mechanism for changing the tilt of the backrest having regard to the seat of a chair
JP2009153744A (ja) 椅子式マッサージ機
KR102018349B1 (ko) 체중 감응형 슬라이드 싱크 틸트 의자
CN216293539U (zh) 一种变形座椅框架
CN220327154U (zh) 一种多方位调节扶手及座椅
JP3118362U (ja) 椅子の調整式背もたれの連動調整構造
JP2018134175A (ja) リクライニング椅子および椅子型マッサージ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